KR20160148265A - 정전기를 이용한 빗물 수집 장치 - Google Patents

정전기를 이용한 빗물 수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8265A
KR20160148265A KR1020150085030A KR20150085030A KR20160148265A KR 20160148265 A KR20160148265 A KR 20160148265A KR 1020150085030 A KR1020150085030 A KR 1020150085030A KR 20150085030 A KR20150085030 A KR 20150085030A KR 20160148265 A KR20160148265 A KR 20160148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static electricity
collecting chamber
generating module
water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5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한별
Original Assignee
이한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한별 filed Critical 이한별
Priority to KR1020150085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8265A/ko
Publication of KR20160148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826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rain-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2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rain-water
    • E03B3/03Special vessels for collecting or storing rain-water for use in the household, e.g. water-but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108Rainwater harve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limination Of Static Electricit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정전기를 이용한 빗물 수집 장치는, 슬로프(slope)에 둘러싸인 수집 스페이스에 낙하 상태의 빗물을 수집하는 집수 챔버; 상기 수집 챔버에서 수집된 빗물을 유통 낙하하는 배수관을 구비한 상태로 지지 대상으로부터 상기 집수 챔버를 지지하는 서포터; 상기 집수 챔버 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으로,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정전기를 발생시켜 상기 집수 챔버 외측으로 낙하하는 빗물을 정전기 인력에 의해 집수 챔버로 유도하는 정전기 발생모듈; 상기 정전기 발생모듈의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전기를 이용한 빗물 수집 장치에 의하면, 정전기 인력에 의하여 집수 챔버 외측으로 낙하는 빗물까지 유인할 수 있어 집수 챔버 체적 대비 높은 집수 효율을 나타낼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정전기를 이용한 빗물 수집 장치{RAINWATER COLLECTION DEVICE USING STATIC ELECTRICITY}
본 발명은 정전기를 이용한 빗물 수집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는 집수 챔버에 수집되는 빗물과 함께 집수 챔버 외측 주변으로 낙하하는 빗물을 정전기를 통해 집수부로 유도함으로써, 집수 챔버의 면적 대비 우수한 집수 효율을 자랑할 수 있으면서 더 나아가 친환경 기반으로 구동될 수 있는 빗물 수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간을 비롯하여 지구의 모든 생명체는 하루라도 물이 없이 살 수 없는데, 물은 생명체를 구성하는 주된 성분으로 생명 유지에 필수적일 뿐 아니라 경제 발전에도 반드시 필요한 요소이다.
현재 물 부족으로 전 세계 인구 중 약 1/3 가량이 고통을 받고 있고 앞으로 이러한 현상이 더욱 가속화될 것이라는 뉴스 및 논문 발표가 적지 않다.
사막이 없는 한국은 과거에는 물이 풍부한 것으로 인식되었으나 지금은 OECD 국가 중 물 스트레스가 가장 높은 국가로서 물이 충분하지 않은 현실이다.
한국의 물 부족 현상의 주된 요인은 계절 별로 강수량 편차가 심하여 약 27%의 빗물만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고, 여러 정수 시설이 개발되고 있으나 이러한 정수 시설을 유지할 경우 환경오염과 함께 정수에 따른 비용이 만만치 않게 소요된다는 단점이 따른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댐 건설을 증가함과 동시에 바닷물의 담수화 기술도 개발되고 있으나 댐 건설의 경우 지역 주민의 삶의 터전이 흔들릴 수 있고 담수화의 경우 온실가스 배출을 야기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어, 여러 전문가들은 친환경 물 공급원으로서 빗물을 권장하고 있다.
빗물은 지면에 닿는 순간 중화반응이 일어나 다른 원수에 비해 상대적으로 깨끗하고 이에 따른 정수 비용도 절감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이슈에 따라, 현재 적지 않은 빗물 수집 기술이 공개되어 있는바 예를 들어 국내 특허 제 건물에 설치된 배수관을 통해 빗물을 수집하는 국내 특허 제 1322306호와 같은 기술이 게시되어 있다. 그런데 건물의 배수관을 통해 집수하는 기술은 건물에 한정되기 때문에 다양한 장소에서 보편적으로 사용하기 어렵다는 한계를 가진다.
국내 특허 제 1340799호는 중력 방향으로 빗물을 수집할 수 있도록 경사면을 구비한 깔때기 형상의 집수판과 배수관 및 집수 탱크를 구비한 빗물 수집 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은 장치는 건물 뿐 아니라 야외의 다양한 위치에 설치되어 구동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나 집수판의 체적에 한정된 양만큼만 집수할 수밖에 없어 많은 빗물을 수집하기 위해 필연적으로 집수판의 직경이나 체적이 커져야 한다는 단점이 따른다.
따라서 빗물을 수집할 수 있는 집수판을 이용하되 단지 집수판의 체적에 국한되지 않고 그 주변의 빗물을 유도하여 집수판으로 수집함으로써 집수판의 체적 대비 상대적으로 우수한 집수 효율을 제시할 수 있는 신규하고 진보한 빗물 수집 장치를 개발할 필요성이 대두되는 현실이다.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경사면을 구비하여 중력 방향으로 빗물을 수집하는 일정 체적을 가져 집수판의 역할을 하는 집수 챔버 내에 정전기를 발생시키는 정전기 발생 모듈을 구비하여 정전기의 인력에 의하여 집수 챔버 외측의 빗물을 집수 챔버 내로 유도하는 빗물 수집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빗물 감지 센서를 장착하여 비가 올 때에만 정전기 발생 모듈이 구동되도록 하여 운용의 효율성을 담보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태양광 내지 풍력에 의한 자가 발전모듈을 추가로 구비하여 에너지 절약을 추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정전기 발생모듈의 다양한 변형 구조를 제공하여 빗물 수집의 유용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전기를 이용한 빗물 수집 장치는, 슬로프(slope)에 둘러싸인 수집 스페이스에 낙하 상태의 빗물을 수집하는 집수 챔버; 상기 수집 챔버에서 수집된 빗물을 유통 낙하하는 배수관을 구비한 상태로 지지 대상으로부터 상기 집수 챔버를 지지하는 서포터; 상기 집수 챔버 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으로,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정전기를 발생시켜 상기 집수 챔버 외측으로 낙하하는 빗물을 정전기 인력에 의해 집수 챔버로 유도하는 정전기 발생모듈; 상기 정전기 발생모듈의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빗물 수집 장치는, 자가 발전기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자가 발전기에서 발전된 전원을 상기 구동부에 제공하는 자가 발전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상기 빗물 수집 장치는, 빗물을 감지하는 빗물 감지 센서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빗물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구동부를 구동 제어하는 구동 제어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전기를 이용한 빗물 수집 장치에 의하면,
1) 정전기 인력에 의하여 집수 챔버 외측으로 낙하는 빗물까지 유인할 수 있어 집수 챔버 체적 대비 높은 집수 효율을 나타낼 수 있고,
2) 자가 발전에 의하여 에너지를 정략하면서 정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3) 강수량의 고저에 따라 정전기 세기를 자동으로 조절하여 빗물 유입 환경을 제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4) 정전기 발생모듈의 각도, 설치 위치 등을 감수량의 고저에 따라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설치 환경을 도모할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빗물 수집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정전기 발생모듈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및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컨트롤러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빗물 수집 장치에 자가 발전부가 설치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정전기 발생모듈의 지지 바가 각도 조절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정전기 발생모듈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빗물 수집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빗물 수집 장치는 슬로프(slope)(11)에 둘러싸인 수집 스페이스(12)에 빗물을 수집하여 중력 방향으로 빗물을 유도하는 집수 챔버(10)와, 내부에 배수관(21)을 구비한 상태로 지면 또는 지지 대상으로부터 집수 챔버(10)를 지지하는 서포터(20) 및, 집수 챔버(10) 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집수 챔버(10) 외측으로 낙하하는 빗물을 정전기 인력에 의해 집수 챔버(10)로 유도하는 정전기 발생모듈(100)과, 정전기 발생모듈(1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200)로 이루어져 있다.
집수 챔버(10)는 낙하되는 빗물을 수집하는 체적과 공간을 결정하는 수집 스페이스(12)가 슬로프(11)에 둘러싸여 마치 각뿔을 역으로 돌려 세웠거나 깔때기와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수집 스페이스(12) 내로 낙하되는 빗물을 수집할 뿐 아니라 슬로프(11)의 경사에 의해 집수 챔버(10)의 내측 면에 떨어진 빗물을 중력 방향, 즉 서포터(20) 측으로 흐르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집수 챔버(10)는 큰 직경으로 이루어졌을 때 그만큼 수집 스페이스(12)의 체적이 커지기 때문에 빗물 수집량이 증가하는 것이 상식이나, 본 발명에서는 집수 챔버(10) 외측으로 낙하되는 빗물을 정전기 인력에 의해 휘어지도록 집수 챔버(10) 내로 유도하여 집수 챔버(10)의 체적을 늘리지 않고도 빗물 수집량을 증가시키는 독특한 특성을 제공하며 이는 후술할 정전기 발생모듈(100)에 의해 구체화된다.
서포터(20)는 집수 챔버(10)의 하 단과 유통 가능하게 연결된 것으로, 집수 챔버(10)에서 수집된 빗물을 배수 처리하는 배수관(21)이 서포터(20)의 연장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서포터(20)의 배수관(21)을 통해 유통된 빗물은 서포터(20)의 하 측단에 설치된 베이스(30)로 흐르는바, 베이스(30)는 빗물에 포함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 등의 정수 처리 모듈과, 집수 탱크를 구비하여 수 처리를 하면서 식용수로 활용될 수 있는 기반을 갖추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정전기 발생모듈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정전기 발생모듈(100)은 집수 챔버(10) 내에 장착된 것으로, 마찰에 의하여 대전체 표면의 전하의 불균형을 유발시켜 마찰전기, 즉 정전기를 발생시키거나 정전기를 유도하여 정전기가 유도된 전극 주변으로 낙하하는 빗물을 정전기 인력에 의하여 집수 챔버(10) 내로 끌어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정전기 발생모듈(100)은 정전기나 고전압 저전류의 전기를 생성하는 정전기 발생기의 기능 및 구조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것으로, 이러한 정전기발생기는 밴더그래프/라이덴병 정전기발생기, 웜스허스트 감응기전기, 펠레트론과 같은 종류가 존재한다.
본 발명의 정전기 발생모듈(100)은 이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정전기를 발생할 수 있는 장치를 포괄하는 것으로서 마찰을 이용하거나 정전기를 유도하는 원리로 정전기를 발생하며, 특히 마찰전기의 경우 비가 오는 습기가 많은 상황에서는 정전기가 잘 발생되지 않아 접지 상태가 아닌 도체의 자연 전하 형상을 이용하여 비가 오는 습한 상황에서도 정전기를 잘 발생시키는 정전기유도 방식의 장치가 더욱 바람직하다.
하지만, 본 발명의 정전기 발생모듈(100)은 특정 방식의 정전기 발생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도 3에서는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진 밴더그래프 정전기발생기를 하나의 예로 선별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a)을 보아 알 수 있듯이 밴더그래프 정전발전기 타입의 정전기 발생모듈(100)은 기본적으로 절연 재질로 이루어져 일정 길이로 기립 형성된 지지 바(support bar)(120)와, 지지 바(120)의 상단에 장착되어 발생된 양전하를 축적하는 컨덴서 역할을 하는 돔(dome)/구/기타 입체 형상의 전극체(110), 지지 바(120) 내부의 스페이스에 수용된 1쌍의 풀리(130) 및 벨트(140)와, 풀리(130) 주변에서 벨트(140)와 접촉하여 정전기 유도를 하는 브러시(150), 풀리(130)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및 전하(양전하) 발생 기능을 겸비한 전원부(161)를 구비한 구동부(160)를 포함한다.
벨트(140)는 양전하를 띠도록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질이 피막 처리되고, 하 측의 풀리(130) 주변에 형성된 브러시(150)는 접지를 위해 선택적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상측 풀리(130)에서 하측 풀리(130)로 내려오는 벨트(140)에 대전된 과잉전자를 포획하여 접지 처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더불어, 구동부(160)는 집수 챔버(10)의 일 측에 장착되는바, 집수 챔버(10)의 특정 형상에 순응하여 별도의 지지대 또는 받침대(50)에 의해 집수 챔버의 하부에서 지지되어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전극체(110)를 제외한 지지 바(120) 및 구동부(160)는 방수 처리가 되어 습기와 빗물에 영향 받지 않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전극체(110)을 제외한 기타 외관 부위인 지지 바(120)를 빗물로부터 가리거나 방수 처리할 수 있도록 방수막이 추가로 코팅되거나 방수벽이 구획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밴더그래프 타입의 정전기 발생모듈(100)의 정전기 발생 원리를 간단히 설명하면, 전원부(161)에서 벨트(140)에 양전하를 전달하여 벨트(140)가 양전하로 도전된 상태에서 풀리(130)의 회전에 의해 벨트(140)가 이송되어 상측의 풀리(130)에 이르면 그 주변의 브러시(150)와 정전기 유도를 하여 그 브러시(150)의 대향 측인 전극체 연결 부위로 전하(양전하)를 대전시켜 전극체(110)에서 양전하를 축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물(빗물)의 특성, 양전하와 음전하의 중심이 일치하지 않으면서 산소 원자 측의 음극이 쏠리는 성질에 의해 양전하가 대전된 전극체(110)가 물 구조에서 음극 특성의 산소 원자 측 부위를 잡아 당겨 빗물 낙하 방향을 전극체(110) 측으로 휘도록 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집수 챔버(10) 내로 그 외측 주변의 빗물까지 수집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정전기 발생모듈(100)은 전원부(161)의 전압의 고저에 따라 전극체(110)에 축전된 전하량, 즉 정전기의 세기를 차등 조절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설치 개수/위치 조절을 하면서 전극체(110)에서 충분히 이격된 영역까지 정전기 인력을 작용시킴으로써, 집수 챔버(10)의 직경을 넘어선 충분한 체적을 확보하면서 빗물을 유도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도 2(b)를 참조하면, 집수 챔버(10)의 내주 면 주변에 정전기 발생모듈(100)을 3개로 설치한 것을 알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원부(161)의 전압 세기, 집수 챔버(10)의 직경과 절연 상태 및 전극의 직경 등의 조절에 따라 정전기 발생모듈(100)의 개수 역시 다양한 개수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즉, 본 발명의 빗물 수집 장치는 이러한 정전기 발생모듈(100)을 집수 챔버(10) 내에 적절한 개수와 설치 각 및 특정 사이즈로 설치하여 정전기 인력에 의해 빗물을 집수 챔버(10) 내로 휘어지도록 유도함으로써 집수 챔버(10)의 직경을 넘어선 우수한 빗물 수집 효율을 담보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컨트롤러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컨트롤러(200)는 기본적으로 구동부(160)의 구동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모듈(210)을 구비하여 이를 통해 정전기 발생모듈(100)에서 정전기를 발생할지 여부를 제어한다. 특히, 구동 제어모듈(210)은 빗물 감지센서(201)를 포함하는바, 빗물 감지센서(201)는 수분 감지센서의 일종으로 집수 챔버(10)의 슬로프(11) 일 측에 장착되어 빗물을 감지, 즉 비가 오는 상황을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로 인해, 구동 제어모듈(210)은 빗물 감지센서(201)의 감지 신호를 전달받았을 때 구동 모터를 구동 제어하여 정전기 발생모듈(100)에서 정전기를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수동 제어 방식이 아니라 자동 제어 방식을 구현하여 운용의 편의성을 보장할 뿐 아니라 불필요한 구동에 의한 에너지 낭비를 방지할 수 있는 특성을 제공한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의 컨트롤러(200)는 전압 제어모듈(220) 및 자가 발전모듈(230), 각도 제어모듈(240), 슬라이딩 구동 제어모듈(250)을 포함할 수 있다.
전압 제어모듈(220)은 강수량의 고저에 따라 구동부(160)의 전압의 세기를 차등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우량계(202)와 연동이 된다.
우량계(202)는 집수 챔버(10)의 일 측에 형성되어, 강수량을 측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지시 우량계와 자기 우량계로 크게 구분되고 예를 들어 집수 챔버(10) 내에 일정 지름의 우량 용기를 형성하고 이 우량 용기에 받아진 빗물의 무게 또는 부피를 측정하여 집수 면적에 대한 깊이 대비로서 강수량을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전원부(161)는 가변 전압부를 포함하여 전원부(161)에 공급되는 전압의 세기를 가변 처리할 수 있다.
이로써, 전압 제어모듈(220)은 우량계(202)에서 측정된 강수량의 고저에 따라 전원부(161)에 가해지는 전압의 세기를 차등 조절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비가 많이 오거나 적게 오는 특정 상황에 따라 정전기 인력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비가 적게 오는 상황에서 더 많은 정전기 인력을 제공하도록 전압을 높일 수 있고 비가 많이 오는 경우에는 집수 챔버(10) 내로 수집되는 빗물의 양이 충분하기 때문에 정전기 전압을 약화시키거나 아니면 전원부(161)의 구동을 off 처리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빗물 수집 장치에 자가 발전부가 설치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자가 발전모듈(230)은 전원부(161)에 공급되는 전원을 자가 발전 및 축전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자가 발전기(40)와 연동이 된다.
자가 발전기(40)는 태양열 발전기, 풍력 발전기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있으며 도 4에서는 태양열 발전기(솔라셀)를 예시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즉, 자가 발전모듈(230)은 자가 발전기(40)에서 자가 발전한 전원을 전원부에 공급함으로써, 정전기 발생을 위한 전기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고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빗물 수집 장치가 외부 전원 없이 자체적으로 구동할 수 있는 친환경 에너지 절약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정전기 발생모듈의 지지 바가 각도 조절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즉, 도 5를 보아 알 수 있듯이 정전기 발생모듈(100)의 지지 바(120)에서 구동부(160)가 형성된 위치의 하 측으로 각도 조절부(170)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는바, 각도 조절부(170)는 각도 조절 구동부의 구동력을 받아 힌지(171)를 일정 각으로 회동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에 연동하여, 각도 제어모듈(240)은 상기 우량계(202)와 연동되어 우량계(202)에서 측정한 강수량의 고저에 따라 각도 조절부(170)의 힌지(171)를 회동 각 및 회동 방향을 차등 조절하는 방식으로 회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비가 적게 오는 상황에서는 정전기 발생모듈(100)이 수직 상태가 아니라 집수 챔버(10)의 외측으로 일정 각 기운 상태로 힌지(171)를 회동시켜 집수 챔버(10)의 외측을 향하도록 함으로써 수집 직경을 확대할 수 있도록 하는 특성을 제공한다.
더불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정전기 발생모듈(100)은 지지 바(120) 하단에 길이 조절부를 구비하여 집수 챔버(10)내에 설치된 정전기 발생모듈(100)의 돌출 높이를 조절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정전기 발생모듈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더 나아가, 정전기 발생모듈(100)은 집수 챔버(10)의 받침대(50)에 장착되어 있되, 받침대(50)는 슬라이딩 이동부(60)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받침대(50)에 LM 가이드 내지 랙/피니언, 벨트/풀리 등의 이송 수단으로 이루어진 슬라이딩 이동부(60)에 정전기 발생모듈(100)의 하단이 결합되어 정전기 발생모듈(100)을 좌우 일정 폭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5에서는 슬라이딩 이동부(60)가 LM 가이드(61)로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이로 인해, 집수 챔버(10) 내에서 정전기 발생모듈(100)의 설치 위치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한바, 다시 말해 강수량의 고저 등의 외부 요인에 따라 특정 위치로 집수 챔버(1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 이는 컨트롤러(200)에서 추가로 구비되는 슬라이딩 구동 제어모듈(25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전기를 이용한 빗물 수집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집수 챔버 11: 슬로프
12: 수집 스페이스 20: 서포터
21: 배수관 30: 베이스
40: 자가 발전기 50: 받침대
60: 슬라이딩 이동부 61: LM 가이드
100: 정전기 발생모듈 110: 전극체
120: 지지 바 130: 풀리
140: 벨트 150: 브러시
160: 구동부 161: 전원부
170: 각도 조절부 171: 힌지
200: 컨트롤러 201: 빗물 감지센서
202: 우량계 210: 구동 제어모듈
220: 전압 제어모듈 230: 자가 발전모듈
240: 각도 제어모듈 250: 슬라이딩 구동 제어모듈

Claims (6)

  1. 정전기를 이용한 빗물 수집 장치로서,
    슬로프(slope)에 둘러싸인 수집 스페이스에 낙하 상태의 빗물을 수집하는 집수 챔버;
    상기 수집 챔버에서 수집된 빗물을 유통 낙하하는 배수관을 구비한 상태로 지지 대상으로부터 상기 집수 챔버를 지지하는 서포터;
    상기 집수 챔버 내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으로,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정전기를 발생시켜 상기 집수 챔버 외측으로 낙하하는 빗물을 정전기 인력에 의해 집수 챔버로 유도하는 정전기 발생모듈;
    상기 정전기 발생모듈의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를 이용한 빗물 수집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 수집 장치는,
    자가 발전기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자가 발전기에서 발전된 전원을 상기 구동부에 제공하는 자가 발전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를 이용한 빗물 수집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 수집 장치는,
    빗물을 감지하는 빗물 감지 센서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빗물 감지 센서로부터 감지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구동부를 구동 제어하는 구동 제어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를 이용한 빗물 수집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 수집 장치는,
    강수량을 측정하는 우량계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우량계에서 측정한 강수량의 고저에 따라 상기 구동부에 인가되는 전압의 세기를 차등 조절하는 전압 제어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를 이용한 빗물 수집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빗물 수집 장치는,
    강수량을 측정하는 우량계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정전기 발생모듈은,
    상기 구동부의 하 측에서 힌지를 매개로 일정 각 회동되는 각도 조절부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우량계에서 측정한 강수량의 고저에 따라 상기 각도 조절부의 회동 각 및 회동 방향을 차등 조절하는 각도 제어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를 이용한 빗물 수집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 챔버는,
    상기 정전기 발생모듈을 지지하되, 상기 정전기 발생모듈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 지지하는 슬라이딩 이동부를 구비한 받침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빗물 수집 장치는,
    강수량을 측정하는 우량계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우량계에서 측정한 강수량의 고저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의 이동 거리를 차등 조절하는 각도 제어모듈;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를 이용한 빗물 수집 장치.
KR1020150085030A 2015-06-16 2015-06-16 정전기를 이용한 빗물 수집 장치 KR201601482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5030A KR20160148265A (ko) 2015-06-16 2015-06-16 정전기를 이용한 빗물 수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5030A KR20160148265A (ko) 2015-06-16 2015-06-16 정전기를 이용한 빗물 수집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8265A true KR20160148265A (ko) 2016-12-26

Family

ID=57733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5030A KR20160148265A (ko) 2015-06-16 2015-06-16 정전기를 이용한 빗물 수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4826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77421A (zh) * 2018-12-29 2019-04-05 福建金源泉科技发展有限公司 净水器
CN110528624A (zh) * 2019-09-21 2019-12-03 卢保贵 一种雨水防蒸发收集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77421A (zh) * 2018-12-29 2019-04-05 福建金源泉科技发展有限公司 净水器
CN109577421B (zh) * 2018-12-29 2024-02-20 福建金源泉科技发展有限公司 净水器
CN110528624A (zh) * 2019-09-21 2019-12-03 卢保贵 一种雨水防蒸发收集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2473B1 (ko) 가변형 지지로프가 구비된 수상 태양광 발전시스템
Zeng et al. Self-powered rain droplet sensor based on a liquid-solid triboelectric nanogenerator
US20040183309A1 (en) Air filtering chimney to clean pollution from a city and generate electric power
KR101318791B1 (ko) 가변형 로프 지지식 수상 태양광 발전 장치
KR101338597B1 (ko) 필름형 압전소자와 태양전지를 이용한 발전장치
KR20160148265A (ko) 정전기를 이용한 빗물 수집 장치
CN209043430U (zh) 一种水利工程的水位监测报警装置
KR20130055126A (ko) 태양전지패널 청소용 로봇장치
KR200464350Y1 (ko) 집수 발전장치
CN104965054A (zh) 水质监测设备
Li et al. WGUs sensor based on integrated wind-induced generating units for 360 wind energy harvesting and self-powered wind velocity sensing
KR101474118B1 (ko) 태양광과 풍력을 이용한 가로등
KR20080098919A (ko) 태양광 집광 장치
CN104931298B (zh) 一种大气湿沉降采集装置
JP2011108549A (ja) ソーラーライト
CN205681362U (zh) 节能型水上漂浮式光伏发电站
CN112857912A (zh) 一种互联网区块链技术研发采取不同深度水检测的设备
CN113517671B (zh) 一种水位传感器的防雷击装置
KR100943033B1 (ko) 대체 에너지를 이용한 전기 설비 수용 시스템
KR101165777B1 (ko) 동작감지센서를 구비한 조류착지 방지 장치
RU148622U1 (ru) Электроэнергетическая дождевая установка
CN208890441U (zh) 一种户外充电桩的防雨装置
CN210431261U (zh) 月尘静电储能发电装置
CN210072113U (zh) 一种用于降水估测的雨水流量监测装置
US10640941B2 (en) Water conserving, secure, and environmentnt protectiv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