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7856A -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method for producing same, molded body, film, and polarizing plate - Google Patents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method for producing same, molded body, film, and polarizing pla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7856A
KR20160147856A KR1020167032267A KR20167032267A KR20160147856A KR 20160147856 A KR20160147856 A KR 20160147856A KR 1020167032267 A KR1020167032267 A KR 1020167032267A KR 20167032267 A KR20167032267 A KR 20167032267A KR 20160147856 A KR20160147856 A KR 201601478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acrylic resin
mass
film
less
resi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22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275215B1 (en
Inventor
아츠히로 나카하라
도루 아베
도시유키 젠토
유우키 다카스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쿠라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쿠라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쿠라레
Publication of KR20160147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785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5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521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08L33/1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yl methacry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0/10Esters
    • C08F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0/14Methyl esters, e.g.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투명성이 높고, 두께 방향의 위상차가 작고, 연신하기 쉬운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은, 메타크릴산메틸 유래의 구조 단위의 함유량이 80 질량% 이상이고,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0000 이하인 메타크릴 수지와, 1000 이상, 32000 이하의 점도 평균 분자량을 갖고, 상기 메타크릴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한 함유량이 1 ∼ 4 질량부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3,000 ∼ 40,000 의 평균 중합도를 갖고, 상기 메타크릴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한 함유량을 0.3 ∼ 6 질량부로 하는 고분자 가공 보조제를 함유하고,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 중에 함유되는 상기 메타크릴 수지와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합계량을 80 질량% 이상으로 한다.A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having high transparency, a small retarda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easy stretching. The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ethacrylic resin having a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methyl methacrylate of 80 mass% or more and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200000 or less, and a methacrylic resin having a viscosity average molecular weight of 1000 or more and 32000 or less, A polycarbonate resin having a content of 1 to 4 parts by mass relative to 100 parts by mass of a methacrylic resin, and a polymer processing aid having an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3,000 to 40,000 and having a content of 0.3 to 6 parts by mass with respect to 100 parts by mass of the methacrylic resin , And the total amount of the methacrylic resin and the polycarbonate resin contained in the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is 80 mass% or more.

Description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성형체, 필름 그리고 편광판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METHOD FOR PRODUCING SAME, MOLDED BODY, FILM, AND POLARIZING PLATE}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 molded article, a film, and a polarizing plate,

본 발명은 메타크릴 수지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 상기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필름, 성형체, 및 상기 필름을 구비하는 편광판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a methacrylic resin and a polycarbonate resin.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film made of the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a molded product thereof, and a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film.

액정 표시 장치에는 각종 수지제 필름이 사용되고 있다. 이 중 편광자 보호 필름에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로 이루어지는 필름은 투습도가 높기 때문에, 박막화됨에 따라 편광자의 품질 저하를 일으키는 경향이 있다. 편광자 보호 필름의 개량은 액정 표시 장치의 박형화에 있어서 과제가 되고 있다. Various resin films are used for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riacetyl cellulose is mainly used as a polarizer protective film. Since the film made of triacetyl cellulose has a high moisture permeability, there is a tendency that the quality of the polarizer deteriorates as the film becomes thinner. The improvement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has been a problem in the thinning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그래서, 새로운 편광자 보호 필름의 재료로서 메타크릴 수지가 검토되고 있다. 메타크릴 수지로 이루어지는 필름을 연신 처리하면 인성이 높아지는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참조). 그런데, 통상적인 메타크릴 수지 필름을 연신하면 위상차가 커져, 예를 들어 IPS 액정 방식으로는 화면의 품위 저하를 일으킨다.Thus, a methacrylic resin has been studied as a material for a new polarizer protective film. It is known that a film made of a methacrylic resin is subjected to stretching treatment to increase toughness (see Patent Document 1). However, if a conventional methacrylic resin film is stretched, the phase difference becomes large. For example, in the IPS liquid crystal system, the quality of the screen is degraded.

메타크릴 수지에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의 수지를 첨가함으로써, 위상차가 작은 필름을 얻기 쉬워지는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2 ∼ 5). 그러나, 이들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은,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해 분자량이 낮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첨가하고 있기 때문에 연신성이 충분하지 않았다. 구체적으로는 보다 박막으로 연신하는 경우에는 균열되기 쉬워지고, 또, 연신 후의 필름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보다 낮은 온도에서 연신하는 경우에는 파단되기 쉬워진다는 문제를 안고 있었다. 또,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의 내열성을 높이기 위해 3 연자 표시의 신디오택티시티 (rr) 가 높은 메타크릴 수지는, 일반적으로 분자량 분포가 좁고, 통상적인 메타크릴 수지를 사용한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보다 연신성이 충분하지 않았다. It is known that by adding a resin such as a polycarbonate resin to a methacrylic resin, it becomes easy to obtain a film having a small retardation (Patent Documents 2 to 5). However, since these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s contain a polycarbonate resin having a low molecular weight to ensure transparency, the extensibility is not sufficient. Specifically, when the film is stretched to a thin film, it tends to be easily cracked. Further, in order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film after stretching, the film tends to be broken when stretching at a lower temperature. In order to improve the heat resistance of the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a methacrylic resin having a high syndiotacticity (rr) in triplet is generally narrower in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and is more flexible than a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using a conventional methacrylic resin It was not enough.

일본 특허공보 소57-32942호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57-32942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5-32846호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5-32846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514759호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12-514759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148655호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13-148655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51649호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14-51649

본 발명은 상기 배경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투명성이 높고, 두께 방향의 위상차가 작고, 연신하기 쉬운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두께가 균일하고 또한 표면 평활성이 우수하며, 생산성이 높고, 강도가 큰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which is high in transparency, has a small retarda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is easy to stretch.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lm made of a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having uniform thickness, excellent surface smoothness, high productivity, and high strength.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검토를 거듭한 결과, 이하의 양태를 포함하는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s As a result of extensive studies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ors have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the following aspects.

[1] : 메타크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고분자 가공 보조제를 함유하는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로서, [1] A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a methacrylic resin, a polycarbonate resin and a polymer processing aid,

상기 메타크릴 수지는, 메타크릴산메틸 유래의 구조 단위의 함유량이 80 질량% 이상이고,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0000 이하이고, The methacrylic resin preferably has a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methyl methacrylate of 80 mass% or more,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200,000 or less,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1000 이상, 32000 이하의 점도 평균 분자량을 갖고 있고, 상기 메타크릴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함유량이 1 질량부 이상, 4 질량부 이하이고, Wherein the polycarbonate resin has a viscosity average molecular weight of 1000 or more and 32000 or less and the content of the polycarbonate resin relative to 100 parts by mass of the methacrylic resin is 1 part by mass or more and 4 parts by mass or less,

상기 고분자 가공 보조제는, 3,000 이상, 40,000 이하의 평균 중합도를 갖고 있고, 상기 메타크릴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한 상기 고분자 가공 보조제의 함유량이 0.3 질량부 이상, 6 질량부 이하이고, Wherein the polymer processing aid has an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3,000 or more and 40,000 or less and the content of the polymer processing aid in relation to 100 parts by mass of the methacrylic resin is 0.3 parts by mass or more and 6 parts by mass or less,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 중에 함유되는 상기 메타크릴 수지와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합계량이 80 질량% 이상인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 Wherein the total amount of the methacrylic resin and the polycarbonate resin contained in the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is 80 mass% or more.

[2] : 상기 메타크릴 수지가, 3 연자 표시의 신디오택티시티 (rr) 가 50 % 이상이고, 중량 평균 분자량이 80000 ∼ 200000 이고, 또한 메타크릴산메틸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이 92 질량% 이상, 100 질량% 이하인 [1] 에 기재된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 Wherein the methacrylic resin has a syndiotacticity (rr) of at least 50%,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80,000 to 200,000, and a content of a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methyl methacrylate of 92 By mass or more and 100% by mass or less, based on the total mass of the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3] : 상기 메타크릴 수지의 신디오택티시티 (rr) 가 58 % 이상, 85 % 이하인 [1] 또는 [2] 에 기재된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 [3] The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1] or [2], wherein the methacrylic resin has a syndiotacticity (rr) of 58% or more and 85% or less.

[4] : 상기 메타크릴 수지의 메타크릴산메틸 유래의 구조 단위의 함유량이, 99 질량% 이상인 [1] ∼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 [4] The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3], wherein the content of the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the methacrylic acid methyl group in the methacrylic resin is 99% by mass or more.

[5] :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5000 이상, 18000 이하의 점도 평균 분자량을 갖는 [1] ∼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 [5] The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4], wherein the polycarbonate resin has a viscosity average molecular weight of 5000 or more and 18000 or less.

[6] : 상기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70000 ∼ 200000 인 [1] ∼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 [6] The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5], wherein the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has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70,000 to 200,000.

[7] : 상기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의 분자량 분포가 1.2 ∼ 2.5 인 [1] ∼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 [7] The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6], wherein the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has a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of 1.2 to 2.5.

[8] : [1] ∼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성형체. [8] A molded article comprising the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7].

[9] : [1] ∼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필름. [9] A film comprising the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7].

[10] : 두께가 10 ∼ 50 ㎛ 인 [9] 에 기재된 필름. [10] A film according to [9], wherein the thickness is 10 to 50 μm.

[11] : 면적비로 1.5 ∼ 8 배로 2 축 연신된 [9] 또는 [10] 에 기재된 필름. [11] A film according to [9] or [10], wherein the film is biaxially stretched at an area ratio of 1.5 to 8 times.

[12] :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되는 [9] ∼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필름. [12] A film according to any one of [9] to [11], which is used as a polarizer protective film.

[13] : [12] 에 기재된 필름이 적어도 1 장 적층된 편광판. [13] A polarizing plate in which at least one film described in [12] is laminated.

[14] : 메타크릴산메틸 유래의 구조 단위의 함유량이 80 질량% 이상이고,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0000 이하인 메타크릴 수지 100 질량부와, 1000 이상, 32000 이하의 점도 평균 분자량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 질량부 이상, 4 질량부 이하와, 3,000 이상, 40,000 이하의 평균 중합도를 갖는 고분자 가공 보조제 0.3 질량부 이상, 6 질량부 이하 중 적어도 3 성분을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 [14] 100 parts by mass of a methacrylic resin having a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methyl methacrylate of 80% by mass or more and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200,000 or less and 100 parts by mass of a polycarbonate resin 1 having a viscosity average molecular weight of 1000 or more and 32000 or less Not less than 4 parts by mass and not less than 3,000 parts by mass and not more than 40,000 parts by mass of at least three compon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ot less than 0.3 parts by mass and not more than 6 parts by mass of a polymer processing aid.

본 발명에 의하면, 투명성이 높고, 두께 방향의 위상차가 작고, 연신하기 쉬운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두께가 균일하고 또한 표면 평활성이 우수하고, 생산성이 높고, 강도가 큰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발휘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having high transparency, a small retarda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easy stretching. In addition, it exerts an excellent effect that a film made of a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having uniform thickness, excellent surface smoothness, high productivity, and high strength can be provided.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련된 편광판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은 메타크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고분자 가공 보조제를 함유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필름은 상기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필름이다. The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tains a methacrylic resin, a polycarbonate resin and a polymer processing aid. Th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lm made of the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본 발명에 사용되는 메타크릴 수지는, 얻어지는 필름의 내열성의 관점에서 메타크릴산메틸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이, 메타크릴 수지의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80 질량%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92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7 질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9 질량%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 질량% 이다. The content of the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methyl methacrylate in the methacrylic resi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80 mass% or more based on the mass of the methacrylic resin, preferably 92 mass% More preferably 95% by mass or more, further preferably 97% by mass or more, particularly preferably 99% by mass or more, and most preferably 100% by mass.

본 발명에 사용되는 메타크릴 수지는, 메타크릴산메틸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 이외의 구조 단위를 함유하고 있어도 되고, 예를 들어, 메타크릴산에틸, 메타크릴산시클로헥실, 메타크릴산t-부틸, 메타크릴산2-이소보르닐, 메타크릴산8-트리시클로[5.2.1.02,6]데카닐, 메타크릴산4-t-부틸시클로헥실 등의 메타크릴산메틸 이외의 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 ; 아크릴산메틸, 아크릴산에틸, 아크릴산프로필, 아크릴산부틸, 아크릴산2-에틸헥실 등의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 아크릴산페닐 등의 아크릴산아릴에스테르 ; 아크릴산시클로헥실, 아크릴산노르보르네닐 등의 아크릴산시클로알킬에스테르; 아크릴아미드 ; 메타크릴아미드 ; 아크릴로니트릴 ; 메타크릴로니트릴 ; 등의 1 분자 중에 중합성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을 1 개만 갖는 비닐계 단량체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들 수 있다. 메타크릴산메틸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 이외의 구조 단위는, 바람직하게는 8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 질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1 질량%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0 질량% 이다. The methacrylic resi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structural units other than the structural units derived from methyl methacrylate,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ethyl methacrylate, cyclohexyl methacrylate, t-butyl methacrylate , Methacrylic acid other than methyl methacrylate such as 2-isobornyl methacrylate, 8-tricyclo [5.2.1.0 2,6 ] decanyl methacrylate and 4-t-butylcyclohexyl methacrylate Esters; Acrylic acid alkyl esters such as methyl acrylate, ethyl acrylate, propyl acrylate, butyl acrylate and 2-ethylhexyl acrylate; Acrylic acid aryl esters such as phenyl acrylate; Acrylic acid cycloalkyl esters such as cyclohexyl acrylate and norbornenyl acrylate; Acrylamide; Methacrylamide; Acrylonitrile; Methacrylonitrile; And the like can be given as a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a vinyl-based monomer having only one polymerizable carbon-carbon double bond in one molecule. The structural unit other than the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methyl methacrylate is preferably 8 mass% or less, more preferably 5 mass% or less, further preferably 3 mass% or less, particularly preferably 1 mass% or less, Most preferably 0 mass%.

본 발명에 사용되는 메타크릴 수지는, 3 연자 표시의 신디오택티시티 (rr) 의 하한이, 내열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0 %, 보다 바람직하게는 55 %, 더욱 바람직하게는 58 %,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59 %, 가장 바람직하게는 60 % 이다. 그 메타크릴 수지는 제막성의 관점에서 3 연자 표시의 신디오택티시티 (rr) 의 상한이, 바람직하게는 99 %, 보다 바람직하게는 85 %,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77 %,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65 %, 가장 바람직하게는 64 % 이다. 이와 같은 신디오택티시티를 갖는 메타크릴 수지는 분자량 분포가 좁은 것에서 기인하여 연신성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고분자 가공 보조제의 첨가가 보다 효과를 발현한다. The methacrylic resin to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50%, more preferably 55%, further preferably 58%, further preferably 50%, more preferably 50% , More preferably 59%, and most preferably 60%. The methacrylic resin preferably has an upper limit of syndiotacticity (rr) of 3 symbols in terms of film formability, preferably 99%, more preferably 85%, even more preferably 77%, still more preferably 70 %, Still more preferably 65%, most preferably 64%. Since the methacrylic resin having the syndiotacticity has a narrow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and the stretchability is not sufficient, the addition of the polymer processing aid exhibits a more effective effect.

3 연자 표시의 신디오택티시티 (rr) (이하, 간단히 「신디오택티시티 (rr)」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는, 연속하는 3 개의 구조 단위의 연쇄 (3 연자, triad) 가 갖는 2 개의 연쇄 (2 연자, diad) 가 모두 라세모 (rr 이라고 표기한다) 인 비율이다. 또한, 폴리머 분자 중의 구조 단위의 연쇄 (2 연자, diad) 에 있어서 입체 배치가 동일한 것을 메소 (meso), 반대인 것을 라세모 (racemo) 라고 칭하고, 각각 m, r 이라고 표기한다. The syndiotacticity rr of the triplet display (hereinafter sometimes simply referred to as " syndiotacticity (rr) ") is a value obtained by dividing the number of repeating three structural units (triad) It is the ratio that the chain (two consecutive, diad) is all three (it is denoted rr). In the chain of the structural units (two consecutive diad) in the polymer molecule, the same configuration is referred to as meso, and the opposite configuration is referred to as racemo, and m and r are respectively denoted.

메타크릴 수지의 신디오택티시티 (rr) (%) 는, 중수소화 클로로포름 중, 30 ℃ 에서 1H-NMR 스펙트럼을 측정하고, 그 스펙트럼으로부터 TMS 를 0 ppm 으로 했을 때의 0.6 ∼ 0.95 ppm 영역의 면적 (X) 과 0.6 ∼ 1.35 ppm 의 영역의 면적 (Y) 을 계측하여, 식 : (X/Y) × 100 으로 산출할 수 있다. The syndiotacticity (rr) (%) of the methacrylic resin was determined by measuring the 1 H-NMR spectrum of the deuterated chloroform at 30 ° C from the spectrum and calculating the syndiotacticity of the methacrylic resin in the range of 0.6 to 0.95 ppm The area (X) and the area (Y) in the region of 0.6 to 1.35 ppm can be calculated and can be calculated by the formula: (X / Y) x 100.

본 발명에 사용되는 메타크릴 수지는, 중량 평균 분자량 (이하, 「Mw」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이 200000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80000 ∼ 20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85000 ∼ 160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90000 ∼ 120000 이다. 이러한 Mw 가 80000 이상이고, 또한, 신디오택티시티 (rr) 가 50 % 이상임으로써, 얻어지는 필름은, 강도가 높고, 균열되기 어렵고, 연신하기 쉽다. 그 때문에 필름을 보다 얇게 할 수 있다. 또 Mw 가 200000 이하임으로써, 메타크릴 수지의 성형 가공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얻어지는 필름의 두께가 균일하고 또한 표면 평활성이 우수한 경향이 된다. The methacrylic resi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hereinafter sometimes referred to as "Mw") of 200,000 or less, preferably 80,000 to 200,000, more preferably 85,000 to 160,000, and even more preferably 90000 ~ 120000. When the Mw is not less than 80000 and the syndiotacticity (rr) is not less than 50%, the resulting film has high strength, is not easily cracked, and is easily stretched. Therefore, the film can be made thinner. Further, when the Mw is 200,000 or less, the molding processability of the methacrylic resin becomes high, so that the obtained film tends to have a uniform thickness and excellent surface smoothness.

본 발명에 사용되는 메타크릴 수지는, Mw 와 수평균 분자량 (이하, 「Mn」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의 비 (Mw/Mn : 이하, 이 값을 「분자량 분포」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가 바람직하게는 1.2 ∼ 2.0, 보다 바람직하게는 1.3 ∼ 1.7 이다. 분자량 분포가 1.2 이상임으로써 메타크릴 수지의 유동성이 향상되고, 얻어지는 필름은 표면 평활성이 우수한 경향이 된다. 분자량 분포가 2.0 이하임으로써 얻어지는 필름은 내충격성 및 인성이 우수한 경향이 된다. 또한, Mw 및 Mn 은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 (GPC) 로 측정한 크로마토그램을 표준 폴리스티렌의 분자량으로 환산한 값이다. The methacrylic resi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atio (Mw / Mn: hereinafter sometimes referred to as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of Mw to number average molecular weight Preferably 1.2 to 2.0, and more preferably 1.3 to 1.7. Since the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is 1.2 or more, the flowability of the methacrylic resin is improved, and the obtained film tends to have excellent surface smoothness. A film obtained by a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of 2.0 or less tends to have excellent impact resistance and toughness. Mw and Mn are values obtained by converting the chromatogram measured by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into the molecular weight of standard polystyrene.

본 발명에 사용되는 메타크릴 수지는, JIS K7210 에 준거하여 230 ℃, 3.8 ㎏ 하중의 조건에서 측정되는 멜트 플로 레이트가 바람직하게는 0.1 ∼ 5 g/10 분,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 4 g/10 분,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 3 g/10 분이다. The methacrylic resi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has a melt flow rate of 0.1 to 5 g / 10 min, more preferably 0.5 to 4 g / 10 min, at 230 ° C under a load of 3.8 kg in accordance with JIS K7210, 10 min, and most preferably 1.0 to 3 g / 10 min.

본 발명에 사용되는 메타크릴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1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18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 ℃ 이상,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23 ℃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124 ℃ 이상이다. 그 메타크릴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의 상한은, 통상적으로 140 ℃, 바람직하게는 130 ℃ 이다. 유리 전이 온도는 분자량이나 신디오택티시티 (rr) 를 조절함으로써 제어할 수 있다. 유리 전이 온도가 이 범위에 있으면, 얻어지는 필름의 열수축 등의 변형이 일어나기 어렵다. 또한, 유리 전이 온도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으로 측정한 중간점 유리 전이 온도이다.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methacrylic resi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at least 110 ° C, more preferably at least 118 ° C, more preferably at least 120 ° C, even more preferably at least 123 ° C, 124 ° C or higher. The upper limit of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methacrylic resin is usually 140 占 폚, preferably 130 占 폚.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can be controlled by adjusting the molecular weight or syndiotacticity (rr). Whe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s within this range, heat shrinkage or the like of the obtained film is hardly deformed.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s the midpoint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measured by the method described in the Examples.

메타크릴 수지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라디칼 중합법, 아니온 중합법 등의 공지된 중합법에 있어서, 중합 온도, 중합 시간, 연쇄 이동제의 종류나 양, 중합 개시제의 종류나 양 등을 조정함으로써, Mw, 신디오택티시티 (rr) 등의 특성이 원하는 범위를 만족하는 메타크릴 수지를 제조할 수 있다. The method for producing the methacrylic resi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by adjusting the polymerization temperature, the polymerization time, the kind and amount of the chain transfer agent, and the kind and amount of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in a known polymerization method such as a radical polymerization method and an anion polymerization method, (Rr) and the like satisfying a desired range can be produced.

예를 들어, 라디칼 중합법의 경우, 중합 온도를 80 ℃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70 ℃ 이하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0 ℃ 이하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온도를 조정하면, 신디오택티시티 (rr) 를 높게 하는 것이 용이하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radical polymerization method, the polymerization temperature is preferably 80 占 폚 or lower, more preferably 70 占 폚 or lower, and still more preferably 60 占 폚 or lower. By adjusting the temperature in this manner, it is easy to increase the syndiotacticity rr.

아니온 중합법의 경우, 중합 개시제로서 n-부틸리튬, sec-부틸리튬, 이소부틸리튬, tert-부틸리튬 등의 알킬리튬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생산성의 관점에서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을 공존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 알루미늄으로는, 하기 식 : In the case of the anion polymerization method, it is preferable to use alkyllithium such as n-butyllithium, sec-butyllithium, isobutyllithium, tert-butyllithium as a polymerization initiator. From the viewpoint of productivity, it is preferable to coexist the organoaluminum compound. As the organic aluminum,

AlR1R2R3 AlR 1 R 2 R 3

(식 중, R1, R2 및 R3 은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알킬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시클로알킬기,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아릴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아르알킬기,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알콕시기,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아릴옥시기 또는 N,N-2 치환 아미노기를 나타낸다. R2 및 R3 은 각각이 결합하여 이루어지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아릴렌디옥시기여도 된다.)(Wherein R 1 , R 2 and R 3 each independently represent an alkyl group which may have a substituent, a cycloalkyl group which may have a substituent, an aryl group which may have a substituent, an aralkyl group which may have a substituent, An aryloxy group which may have a substituent, or an N, N-2-substituted amino group, R 2 and R 3 may be an arylenedioxy group which may have a substituent and are each bonded to each other.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소부틸비스(2,6-디-tert-부틸-4-메틸페녹시)알루미늄, 이소부틸비스(2,6-디-tert-부틸페녹시)알루미늄, 이소부틸[2,2'-메틸렌비스(4-메틸-6-tert-부틸페녹시)]알루미늄 등을 들 수 있다. And the like. Specific examples thereof include isobutylbis (2,6-di-tert-butyl-4-methylphenoxy) aluminum, isobutylbis (2,6- -Methylenebis (4-methyl-6-tert-butylphenoxy)] aluminum.

또, 아니온 중합법에 있어서는, 중합 반응을 제어하기 위해 에테르나 함질소 화합물 등을 공존시킬 수도 있다. In the anionic polymerization method, an ether or a nitrogen-containing compound may be coexisted to control the polymerization reaction.

또, 메타크릴 수지를 아니온 중합법으로 제조하는 경우, 중합 반응의 도중에 중합 개시제의 양보다 적은 양, 구체적으로는 중합 개시제의 양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1 몰% ∼ 50 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몰% ∼ 20 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몰% ∼ 10 몰% 의 중합 정지제를 첨가하거나, 또는 중합 반응의 도중에 맨처음 첨가한 중합 개시제의 양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1 몰% ∼ 50 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몰% ∼ 20 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몰% ∼ 10 몰% 의 중합 개시제를 추가 첨가하거나 함으로써, 중량 평균 분자량을 조정할 수 있다. When the methacrylic resin is produced by an anionic polymerization method, the amount of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is preferably less than the amount of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in the course of the polymerization reaction, more preferably 1 mol% to 50 mol% Is added in an amount of from 2 mol% to 20 mol%, and more preferably from 5 mol% to 10 mol%, based on the amount of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added first in the course of the polymerization reaction,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can be adjusted by further adding a polymerization initiator in an amount of 50 mol%, more preferably 2 mol% to 20 mol%, and still more preferably 5 mol% to 10 mol%.

중량 평균 분자량, 신디오택티시티 (rr) 등이 원하는 특성을 갖는 메타크릴 수지를 얻는 제 2 방법으로서, 원하는 특성을 만족하지 않는 메타크릴 수지를 일부에 혼합하거나, 원하는 특성을 만족하지 않는 메타크릴 수지끼리를 적절히 혼합함으로써, 원하는 특성 (중량 평균 분자량, 신디오택티시티 (rr) 등의 특성) 을 갖는 메타크릴 수지를 얻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공정 관리가 용이하다. 복수 종의 메타크릴 수지의 혼합은 공지된 방법, 예를 들어 니더 루더, 압출기, 믹싱 롤, 밴버리 믹서 등의 용융 혼련 장치를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혼련시의 온도는 사용하는 메타크릴 수지의 용융 온도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고, 통상적으로 150 ∼ 300 ℃ 이다. As a second method for obtaining a methacrylic resin having desired properties such as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and syndiotacticity (rr), a methacrylic resin which does not satisfy desired characteristics is mixed in a part, or methacrylic A method of obtaining a methacrylic resin having desired properties (properties such as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syndiotacticity (rr)) by appropriately mixing the resins. This method facilitates process control. The mixing of the plural kinds of methacrylic resins can be carried out by a known method, for example, a melt kneading apparatus such as a kneader rudder, an extruder, a mixing roll, and a Banbury mixer. The temperature at the time of kneading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according to the melting temperature of the methacrylic resin to be used, and is usually 150 to 300 占 폚.

원하는 특성을 갖는 메타크릴 수지를 얻는 제 3 제조 방법으로서, 원하는 특성 범위에서 벗어나 있는 메타크릴 수지의 존재하에서 단량체를 중합하여, 원하는 중량 평균 분자량, 신디오택티시티 (rr) 등의 특성이 원하는 범위를 만족하는 메타크릴 수지를 제조하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중합은 상기한 라디칼 중합법이나 아니온 중합법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할 수 있다. 제 3 제조 방법에 의하면, 제2 제조 방법에 비해, 메타크릴 수지에 가해지는 열이력이 짧아지기 때문에, 메타크릴 수지의 열분해가 억제되어, 착색이나 이물질이 적은 필름이 쉽게 얻어진다.A third production method for obtaining a methacrylic resin having desired properties is to polymerize a monomer in the presence of a methacrylic resin deviating from a desired characteristic range to obtain a desired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and syndiotacticity (rr) Of the methacrylic resin. Such polymerization can be carried out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above-mentioned radical polymerization method or anion polymerization method. According to the third production method, the thermal history to be applied to the methacrylic resin is shortened as compared with the second production method, so that thermal decomposition of the methacrylic resin is suppressed, and a film having little coloration and foreign matter can be easily obtained.

상기와 같은 메타크릴 수지의 제조 방법 중, 투명성이 높은 메타크릴 수지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아니온 중합법에 의해 특성이 원하는 범위를 만족하는 메타크릴 수지를 제조하는 방법 ; 아니온 중합법에 의해 제조된 메타크릴 수지와, 라디칼 중합에 의해 제조된 메타크릴 수지를 혼합함으로써 특성이 규정 범위를 만족하는 메타크릴 수지를 제조하는 방법 ; 및 아니온 중합법에 의해 제조된 메타크릴 수지와, 다른 아니온 중합법에 의해 제조된 메타크릴 수지를 혼합함으로써 특성이 원하는 범위를 만족하는 메타크릴 수지를 제조하는 방법이 바람직하고, 아니온 중합법에 의해 제조된 메타크릴 수지와, 라디칼 중합에 의해 제조된 메타크릴 수지를 혼합함으로써 특성이 원하는 범위를 만족하는 메타크릴 수지를 제조하는 방법이 보다 바람직하다. Among the above methacrylic resin production methods, there are a method of producing a methacrylic resin whose characteristics satisfy the desired range by an anionic polymerization method from the viewpoint of easily producing a methacrylic resin having high transparency; A method of producing a methacrylic resin having characteristics satisfying a specified range by mixing a methacrylic resin produced by an anionic polymerization method with a methacrylic resin produced by radical polymerization; And methacrylic resin produced by an anionic polymerization method and methacrylic resin produced by another anionic polymerization method are mixed with each other to produce a methacrylic resin satisfying a desired range of properties, Methacrylic resin prepared by radical polymerization and a methacrylic resin produced by radical polymerization are mixed with each other to produce a methacrylic resin having characteristics satisfying a desired range.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다관능 하이드록시 화합물과 탄산에스테르 형성성 화합물의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중합체이다. 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메타크릴 수지와의 상용성, 얻어지는 필름의 투명성이 양호하다는 관점에서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바람직하다. The polycarbonate resi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lymer obtained by a reaction between a polyfunctional hydroxy compound and a carbonic acid ester-forming compound. The polycarbonate resin is preferably an aromatic polycarbonate resin from the viewpoint of compatibility with the methacrylic resin and transparency of the resulting film.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얻어지는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로부터 폴리카보네이트가 블리드 아웃되기 어렵다는 관점에서 점도 평균 분자량 (이하, 「Mv」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이 1000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30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0 이상이다. 또, 메타크릴 수지와의 상용성의 관점에서 점도 평균 분자량이 32000 이하, 바람직하게는 220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80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7000 이하이다. 사용하는 메타크릴 수지의 신디오택티시티 (rr) 가 높을수록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의 상용성이 높고, 보다 큰 점도 평균 분자량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비교적 점도 평균 분자량이 작은 폴리카보네이트를 첨가하는 경우, 연신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고분자 가공 보조제의 첨가가 보다 효과를 발현한다. The polycarbonate resi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viscosity average molecular weight (hereinafter sometimes referred to as " Mv ") of 1000 or more, preferably 3000 or more, from the viewpoint that the polycarbonate is difficult to be bleed out from the resulting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More preferably 5000 or more, and further preferably 10000 or more. From the viewpoint of compatibility with the methacrylic resin, the viscosity average molecular weight is 32000 or less, preferably 22000 or less, more preferably 18000 or less, further preferably 17000 or less. The higher the syndiotacticity (rr) of the methacrylic resin to be used, the higher the compatibility with the polycarbonate resin and the higher viscosity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carbonate resin can be used. When such a polycarbonate having a relatively small viscosity average molecular weight is added, the extensibility is lowered, so that the addition of the polymer processing aid exhibits more effects.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점도 평균 분자량 (Mv) 은, 캐논-펜스케 점도계나 우베로데 점도계를 사용하여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0.5 g 을 염화메틸렌 100 ㎖ 에 용해시킨 용액의 비점도 ηsp 를 20 ℃ 에서 측정하고, 하기 Schnell 의 식을 만족하는 값으로서, 20 ℃ 염화메틸렌 용액의 극한 점도 [η] 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The viscosity-average molecular weight (Mv) of the polycarbonate resin is, Canon -pentanoic schedule viscometer and using a de viscometer by Ube polycarbonate and the resin 0.5 g Fig η sp boiling point of the solution, dissolved in 100 ㎖ methylene chloride measured at 20 ℃ , Can be calculated from the intrinsic viscosity [eta] of a methylene chloride solution at 20 [deg.] C as a value satisfying the following Schnell equation.

ηsp/c = [η] + 0.45 × [η]2c η sp / c = [η] + 0.45 × [η] 2 c

(단 [η] 는 극한 점도, 상기 조건에서는 c = 0.5)([Eta] is an intrinsic viscosity, c = 0.5 in the above condition)

[η] = 1.23 × 10-4Mv0.83 [?] = 1.23 10 -4 Mv 0.83

또,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300 ℃, 1.2 ㎏ 에서의 MVR (멜트 볼륨 플로 레이트) 값은, 메타크릴 수지와의 상용성의 관점에서 1.0 ㎤/10 분 이상이 바람직하고, 10 ㎤/10 분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25 ㎤/10 분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33 ㎤/10 분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얻어지는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로부터 폴리카보네이트가 블리드 아웃되기 어렵다는 관점에서 2 × 107 ㎤/10 분 이하가 바람직하고, 1 × 105 ㎤/10 분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0000 ㎤/10 분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390 ㎤/10 분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The MVR (melt volume flow rate) value of the polycarbonate resi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t 300 캜 and 1.2 kg is preferably 1.0 cm 3/10 min or more, more preferably 10 cm 3 / More preferably 10 minutes or more, still more preferably 25 cm3 / 10 minutes or more, and particularly preferably 33 cm3 / 10 minutes or more. From the viewpoint that the polycarbonate is hardly bleed out from the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to be obtained, it is preferably 2 x 10 7 cm 3/10 min or less, more preferably 1 x 10 5 cm 3/10 min or less, and further preferably 10000 cm 3 / More preferably 390 cm < 3 > / 10 minutes or less.

또,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 (GPC) 로 측정한 크로마토그램을 표준 폴리스티렌의 분자량으로 환산한 중량 평균 분자량 (Mw) 이, 얻어지는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로부터 폴리카보네이트가 블리드 아웃되기 어렵다는 관점에서 Mw 는 1300 g/몰 이상이 바람직하고, 4700 g/몰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고, 8500 g/몰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고, 19200 g/몰 이상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메타크릴 수지와의 상용성의 관점에서 75000 g/몰 이하가 바람직하고, 48300 g/몰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38200 g/몰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35700 g/몰 이하가 특히 바람직하다. In the polycarbonate resi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obtained by converting the chromatogram measured by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into the molecular weight of standard polystyrene is from the obtained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to the polycarbonate resin The Mw is preferably 1300 g / mol or more, more preferably 4700 g / mol or more, still more preferably 8500 g / mol or more, and particularly preferably 19200 g / mol or more from the viewpoint of difficulty in bleeding out. Further, from the viewpoint of compatibility with a methacrylic resin, it is preferably 75000 g / mole or less, more preferably 48300 g / mole or less, still more preferably 38200 g / mole or less, particularly preferably 35700 g / mole or less.

또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점도 평균 분자량, MVR 값이나 중량 평균 분자량은 말단 정지제나 분기제의 양을 조정함으로써 실시할 수 있다. The viscosity average molecular weight, MVR value or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carbonate resin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amount of the terminal terminator and the branching agent.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1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25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40 ℃ 이상이다. 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의 상한은 통상적으로 180 ℃ 이다.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polycarbonate resi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110 占 폚 or higher, more preferably 125 占 폚 or higher, and even more preferably 140 占 폚 or higher. The upper limit of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polycarbonate resin is usually 180 占 폚.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포스겐법 (계면 중합법) 및 용융 중합법 (에스테르 교환법) 등을 들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용융 중합법으로 제조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원료에, 말단 하이드록시기량을 조정하기 위한 처리를 실시하여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polycarbonate resi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Examples thereof include a phosgene method (interfacial polymerization method) and a melt polymerization method (ester exchange method). The aromatic polycarbonate resin preferably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ne obtained by subjecting a polycarbonate resin raw material produced by the melt polymerization method to a treatment for adjusting the terminal hydroxy group amount.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제조하기 위한 원료인 다관능 하이드록시 화합물로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4,4'-하이드록시비페닐류 ;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비스(하이드록시페닐)알칸류 ;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비스(4-하이드록시페닐)에테르류 ;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비스(4-하이드록시페닐)술파이드류 ;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비스(4-하이드록시페닐)술폭사이드류 ;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비스(4-하이드록시페닐)술폰류 ;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비스(4-하이드록시페닐)케톤류 ;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비스(하이드록시페닐)플루오렌류 ;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디하이드록시-p-터페닐류 ;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디하이드록시-p-쿼터-페닐류 ;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비스(하이드록시페닐)피라진류 ;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비스(하이드록시페닐)멘탄류 ;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비스[2-(4-하이드록시페닐)-2-프로필]벤젠류 ;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디하이드록시나프탈렌류 ;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디하이드록시벤젠류 ;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폴리실록산류 ;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되는 디하이드로퍼플루오로알칸류 등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polyfunctional hydroxy compound as a raw material for producing the polycarbonate resin include 4,4'-hydroxybiphenyls which may have a substituent; Bis (hydroxyphenyl) alkanes which may have a substituent; Bis (4-hydroxyphenyl) ethers which may have a substituent; Bis (4-hydroxyphenyl) sulfide which may have a substituent; Bis (4-hydroxyphenyl) sulfoxide which may have a substituent; Bis (4-hydroxyphenyl) sulfone which may have a substituent; Bis (4-hydroxyphenyl) ketones which may have a substituent; Bis (hydroxyphenyl) fluorenes which may have a substituent; Dihydroxy-p-terphenyl which may have a substituent; Dihydroxy-p-quaterphenyl which may have a substituent; Bis (hydroxyphenyl) pyrazine which may have a substituent; Bis (hydroxyphenyl) mannant which may have a substituent; Bis [2- (4-hydroxyphenyl) -2-propyl] benzenes which may have a substituent; Dihydroxynaphthalenes which may have a substituent; Dihydroxybenzenes which may have a substituent; Polysiloxanes which may have a substituent; Dihydro perfluoroalkane which may have a substituent, and the like.

이들 다관능 하이드록시 화합물 중에서도,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프로판,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비스(4-하이드록시페닐)디페닐메탄,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1-페닐에탄, 2,2-비스(4-하이드록시-3-메틸페닐)프로판, 2,2-비스(4-하이드록시-3-페닐페닐)프로판, 4,4'-디하이드록시비페닐, 비스(4-하이드록시페닐)술폰, 2,2-비스(3,5-디브로모-4-하이드록시페닐)프로판, 3,3-비스(4-하이드록시페닐)펜탄, 9,9-비스(4-하이드록시-3-메틸페닐)플루오렌, 비스(4-하이드록시페닐)에테르, 4,4'-디하이드록시벤조페논, 2,2-비스(4-하이드록시-3-메톡시페닐)1,1,1,3,3,3-헥사플루오로프로판, α,ω-비스[3-(2-하이드록시페닐)프로필]폴리디메틸실록산, 레조르신, 2,7-디하이드록시나프탈렌이 바람직하고, 특히 2,2-비스(4-하이드록시페닐)프로판이 바람직하다. Among these multifunctional hydroxy compounds, preferred are 2,2-bis (4-hydroxyphenyl) propane, 1,1-bis (4-hydroxyphenyl) cyclohexane, bis Bis (4-hydroxyphenyl) -1-phenylethane, 2,2-bis (4-hydroxy-3-methylphenyl) propane, 2,2- Propane, 4,4'-dihydroxybiphenyl, bis (4-hydroxyphenyl) sulfone, 2,2-bis (3,5-dibromo- (4-hydroxyphenyl) pentane, 9,9-bis (4-hydroxy-3-methylphenyl) fluorene, bis Bis [3- (2-hydroxyphenyl) propyl] poly (2-hydroxyphenyl) propane, 1,1,1,3,3,3-hexafluoropropane, Dimethyl siloxane, resorcin, and 2,7-dihydroxynaphthalene are preferable, and 2,2-bis (4-hydroxyphenyl) propane is particularly preferable.

탄산에스테르 형성성 화합물로는, 포스겐 등의 각종 디할로겐화 카르보닐이나, 클로로포메이트 등의 할로포메이트, 비스아릴카보네이트 등의 탄산에스테르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 탄산에스테르 형성성 화합물의 양은 반응의 화학 양론 비 (당량) 를 고려하여 적절히 조정하면 된다. Examples of the carbonate ester-forming compound include various dihalogenated carbonyls such as phosgene, haloformates such as chloroformate, and carbonate ester compounds such as bisaryl carbonate. The amount of the carbonic ester-forming compound may be appropriately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the stoichiometric ratio (equivalence) of the reaction.

반응은 통상적으로 산결합제의 존재하에 용매 중에서 실시된다. 산결합제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리튬, 수산화세슘 등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이나,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등의 알칼리 금속 탄산염이나,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트리부틸아민, N,N-디메틸시클로헥실아민, 피리딘, 디메틸아닐린 등의 3 급 아민, 트리메틸벤질암모늄클로라이드, 트리에틸벤질암모늄클로라이드, 트리부틸벤질암모늄클로라이드, 트리옥틸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테트라부틸암모늄클로라이드, 테트라부틸암모늄브로마이드 등의 4 급 암모늄염, 테트라부틸포스포늄클로라이드, 테트라부틸포스포늄브로마이드 등의 4 급 포스포늄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원하는 바에 따라, 이 반응계에 아황산나트륨이나 하이드로술파이드 등의 산화 방지제를 소량 첨가해도 된다. 산결합제의 양은 반응의 화학 양론비 (당량) 를 고려하여 적절히 조정하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원료의 다관능 하이드록시 화합물의 수산기 1 몰당, 1 당량 혹은 그보다 과잉인 양, 바람직하게는 1 ∼ 5 당량의 산결합제를 사용하면 된다. The reaction is usually carried out in a solvent in the presence of an acid binder. Examples of the acid coupling agent include alkali metal hydroxides such as sodium hydroxide, potassium hydroxide, lithium hydroxide and cesium hydroxide, alkali metal carbonates such as sodium carbonate and potassium carbonate, and organic bases such as trimethylamine, triethylamine, tributylamine, N, Tertiary amines such as trimethylbenzylammonium chloride, triethylbenzylammonium chloride, tributylbenzylammonium chloride, trioctylmethylammonium chloride, tetrabutylammonium chloride and tetrabutylammonium bromide, and the like, such as trimethylbenzylammonium chloride, cyclohexylamine, pyridine and dimethyl aniline; Quaternary phosphonium salts such as ammonium salts, tetrabutylphosphonium chloride and tetrabutylphosphonium bromide. In addition, a small amount of an antioxidant such as sodium sulfite or hydrosulfide may be added to the reaction system as desired. The amount of the acid binder may be appropriately adjusted in consideration of the stoichiometric ratio (equivalence) of the reaction. Specifically, an acid binding agent may be used in an amount of 1 equivalent or more, preferably 1 to 5 equivalents, per 1 mole of the hydroxyl group of the starting polyfunctional hydroxy compound.

또, 반응에는 공지된 말단 정지제나 분기제를 사용할 수 있다. 말단 정지제로는, p-tert-부틸-페놀, p-페닐페놀, p-쿠밀페놀, p-퍼플루오로노닐페놀, p-(퍼플루오로노닐페닐)페놀, p-(퍼플루오로헥실페닐)페놀, p-tert-퍼플루오로부틸페놀, 1-(P-하이드록시벤질)퍼플루오로데칸, p-[2-(1H,1H-퍼플루오로트리도데실옥시)-1,1,1,3,3,3-헥사플루오로프로필]페놀, 3,5-비스(퍼플루오로헥실옥시카르보닐)페놀, p-하이드록시벤조산퍼플루오로도데실, p-(1H,1H-퍼플루오로옥틸옥시)페놀, 2H,2H,9H-퍼플루오로노난산, 1,1,1,3,3,3-테트라플로로-2-프로판올 등을 들 수 있다. In the reaction, a known terminal terminator or branching agent can be used. Examples of the terminal terminating agent include p-tert-butylphenol, p-phenylphenol, p-cumylphenol, p-perfluorononylphenol, p- (perfluorononylphenyl) phenol, p- (perfluorohexylphenyl ) Phenol, p-tert-perfluorobutylphenol, 1- (P-hydroxybenzyl) perfluorodecane, p- [2- (1H, 1H-perfluorotridodecyloxy) , 3,3,3-hexafluoropropyl] phenol, 3,5-bis (perfluorohexyloxycarbonyl) phenol, p-hydroxybenzoic acid perfluorododecyl, p- (1H, 2, 2H, 9H-perfluorononanic acid, and 1,1,1,3,3,3-tetrafluoro-2-propanol.

분기제로는, 플로로글리신, 피로갈롤, 4,6-디메틸-2,4,6-트리스(4-하이드록시페닐)-2-헵텐, 2,6-디메틸-2,4,6-트리스(4-하이드록시페닐)-3-헵텐, 2,4-디메틸-2,4,6-트리스(4-하이드록시페닐)헵탄, 1,3,5-트리스(2-하이드록시페닐)벤젠, 1,3,5-트리스(4-하이드록시페닐)벤젠, 1,1,1-트리스(4-하이드록시페닐)에탄, 트리스(4-하이드록시페닐)페닐메탄, 2,2-비스[4,4-비스(4-하이드록시페닐)시클로헥실]프로판, 2,4-비스[2-비스(4-하이드록시페닐)-2-프로필]페놀, 2,6-비스(2-하이드록시-5-메틸벤질)-4-메틸페놀, 2-(4-하이드록시페닐)-2-(2,4-디하이드록시페닐)프로판, 테트라키스(4-하이드록시페닐)메탄, 테트라키스[4-(4-하이드록시페닐이소프로필)페녹시]메탄, 2,4-디하이드록시벤조산, 트리메스산, 시아눌산, 3,3-비스(3-메틸-4-하이드록시페닐)-2-옥소-2,3-디히드로인돌, 3,3-비스(4-하이드록시아릴)옥시인돌, 5-클로로이사틴, 5,7-디클로로이사틴, 5-브로모이사틴 등을 들 수 있다. Branching agent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fluoroglycine, pyrogallol, 4,6-dimethyl-2,4,6-tris (4-hydroxyphenyl) -2-heptene, 2,6- Tris (4-hydroxyphenyl) heptane, 1,3,5-tris (2-hydroxyphenyl) benzene, 1 Tris (4-hydroxyphenyl) benzene, 1,1,1-tris (4-hydroxyphenyl) ethane, tris (4-hydroxyphenyl) phenylmethane, 2,2- Bis (4-hydroxyphenyl) -2-propyl] phenol, 2,6-bis (2-hydroxy- 2- (2,4-dihydroxyphenyl) propane, tetrakis (4-hydroxyphenyl) methane, tetrakis [4- (3-methyl-4-hydroxyphenyl) -2-oxo (2-hydroxyphenyl) isopropoxy) phenoxy] methane, 2,4-dihydroxybenzoic acid, -2,3-dihydroindole, 3,3-bis (4-hydroxy Reel), and the oxy-indole, 5-chloroisatin satin, satin dikeulroroyi 5,7, 5-bromo feeders such as satin.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폴리카보네이트 단위 이외에,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폴리에테르 혹은 폴리실록산 구조를 갖는 단위 등을 함유하고 있는 것이어도 된다.The polycarbonate resin may contain, in addition to a polycarbonate unit, a unit having a polyester, polyurethane, polyether or polysiloxane structure or the like.

고분자 가공 보조제는 고분자량 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 물질이다. 고분자 가공 보조제와 수지 재료 사이에는 고분자끼리의 낙합 (네트워크) 이 발생하고, 그 낙합점이 유사 가교점으로서 작용한다고 되어 있다. 그 때문에 고분자 가공 보조제를 첨가한 경우, 고무를 변형시켰을 때와 동일하게, 그 수지 조성물을 균일하게 연신할 수 있다. 고분자 가공 보조제를 첨가하지 않은 수지 재료의 경우에는, 이 유사 가교점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예를 들어, 연신 전의 필름에 두께가 얇은 부분이 존재하면 그 부분에 응력 집중하여, 국부적으로 연신되어 파단된다는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Polymer processing aids are substances that contain high molecular weight components. (Network) between the polymers is generated between the polymer processing aid and the resin material, and the point of intersection functions as a pseudo crosslinking point. Therefore, when the polymer processing aid is added, the resin composition can be uniformly stretched as in the case of deforming the rubber. In the case of a resin material to which a polymer processing aid is not added, since there is no pseudo-crosslinking point, for example, if a thinner portion is present in a film before stretching, stress is concentrated on the portion and stretched locally to break Sometimes a problem arises.

본 발명에 있어서 사용하는 고분자 가공 보조제는, 평균 중합도가 3,000 ∼ 40,000 인 고분자 화합물이고, 바람직하게는 메타크릴산메틸 단위 60 질량% 이상 및 이것과 공중합 가능한 비닐계 단량체 단위 40 질량% 이하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평균 중합도는 바람직하게는 6,000 ∼ 30,000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0 ∼ 25,000 이다. 메타크릴산메틸과 공중합 가능한 비닐계 단량체의 예로는, 메타크릴산에틸, 메타크릴산부틸, 메타크릴산시클로헥실 등의 메타크릴산에스테르, 아크릴산에틸, 아크릴산메틸, 아크릴산부틸, 아크릴산시클로헥실 등의 아크릴산에스테르, 스티렌, p-메틸스티렌, o-메틸스티렌 등의 방향족 비닐 화합물, N-프로필말레이미드, 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N-o-클로로페닐말레이미드 등의 말레이미드계 화합물,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헥산디올디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알릴메타크릴레이트, 트리알릴이소시아누레이트 등의 다관능성 단량체를 들 수 있다. 그와 같은 고분자 가공 보조제로는, 미츠비시 레이욘사 제조의 메타브렌 시리즈, 다우사 제조 또는 쿠레하사 제조의 파라로이드 시리즈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고분자 가공 보조제의 평균 중합도는 자동 희석형 모세관 점도계 (우베로데형) 를 사용하고, 클로로포름을 용매로 하여 20 ℃ 에서 측정하여, PMMA 환산 중합도로 구할 수 있다. The polymer processing aid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lymer compound having an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3,000 to 40,000, preferably 60% by mass or more of methyl methacrylate units and 40% by mass or less of vinyl monomer units copolymerizable therewith . The average polymerization degree is preferably 6,000 to 30,000, more preferably 10,000 to 25,000. Examples of the vinyl monomer copolymerizable with methyl methacrylate include methacrylic acid esters such as ethyl methacrylate, butyl methacrylate and cyclohexyl methacrylate, ethyl acrylate, methyl acrylate, butyl acrylate, cyclohexyl acrylate and the like Aromatic vinyl compounds such as acrylic acid ester, styrene, p-methylstyrene and o-methylstyrene, maleimide compounds such as N-propylmaleimide, N-cyclohexylmaleimide and No-chlorophenylmaleimide, Propyleneglycol dimethacrylate, hexanediol dimethacrylate, ethylene glycol diacrylate, propylene glycol diacrylate, triethylene glycol diacrylate, allyl methacrylate, tri And polyfunctional monomers such as allyl isocyanurate. Examples of such a polymer processing aid include Metablen series manufactured by Mitsubishi Rayon Co., Ltd., Parodoid series manufactured by Dow Chemical Co., Ltd. or Kureha Co., In addition, the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the polymer processing aid can be determined by measuring the degree of polymerization in terms of PMMA using an automatic dilution type capillary viscometer (Ube Dept.) and measuring chloroform as a solvent at 20 ° C.

고분자 가공 보조제를 제조하기 위한 중합법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유화 중합에 의한 것이 바람직하다. 유화 중합에 사용할 수 있는 유화제로는, 예를 들어, 아니온계 유화제인 디옥틸술포숙신산나트륨, 디라우릴술포숙신산나트륨 등의 디알킬술포숙신산염, 도데실벤젠술폰산나트륨 등의 알킬벤젠술폰산염, 도데실황산나트륨 등의 알킬황산염, 논이온계 유화제인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 등, 논이온·아니온계 유화제인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황산나트륨 등의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황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나트륨 등의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황산염, 폴리옥시에틸렌트리데실에테르아세트산나트륨 등의 알킬에테르카르복실산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The polymerization method for producing the polymer processing ai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t is preferable to use emulsion polymerization. Examples of the emulsifier that can be used for the emulsion polymerization include dialkylsulfosuccinates such as sodium dioctylsulfosuccinate and sodium dilaurylsulfosuccinate which are anionic emulsifiers, alkylbenzenesulfonic acid salts such as sodium dodecylbenzenesulfonate, Polyoxyethylene nonylphenyl ether sulfates such as polyoxyethylene nonylphenyl ether sulfates such as polyoxyethylene nonylphenyl ether sulfates which are nonionic and anionic emulsifiers such as polyoxyethylene alkyl ethers and polyoxyethylene nonylphenyl ethers which are nonionic emulsifiers, Polyoxyethylene alkyl ether sulfate such as sodium polyoxyethylene alkyl ether sulfate and alkyl ether carboxylate such as sodium polyoxyethylene tridecyl ether acetate can be used.

또, 사용하는 유화제의 종류에 따라 중합계의 pH 가 알칼리측이 될 때에는, 메타크릴산알킬에스테르,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의 가수 분해를 방지하기 위해 적당한 pH 조정제를 사용할 수 있다. 사용하는 pH 조절제로는, 붕산-염화칼륨-수산화칼륨, 인산이수소칼륨-인산수소이나트륨, 붕산-염화칼륨-탄산칼륨, 시트르산-시트르산수소칼륨, 인산이수소칼륨-붕산, 인산수소이나트륨-시트르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When the pH of the polymerization system is changed to the alkaline side depending on the kind of the emulsifier to be used, a suitable pH adjuster may be used to prevent hydrolysis of the alkyl methacrylate ester and the alkyl acrylate ester. Examples of the pH adjuster to be used include boric acid-potassium chloride-potassium hydroxide, potassium dihydrogenphosphate-disodium hydrogenphosphate, boric acid-potassium chloride-potassium carbonate, citric acid-potassium hydrogen citrate, potassium dihydrogenphosphate-boric acid, disodium hydrogenphosphate- Can be used.

또, 중합 개시제로는, 수용성 개시제 혹은 유용성 개시제의 단독계, 혹은 레독스계인 것이어도 되고, 수용성 개시제의 예로는 통상적인 과황산염 등의 무기 개시제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혹은 아황산염, 아황산수소염, 티오황산염 등과의 조합에 의해 레독스계 개시제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As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a water-soluble initiator or an oil-soluble initiator may be used alone or in a redox system. Examples of the water-soluble initiator include an inorganic initiator such as a common persulfate, or a sulfoxide, It may be used as a redox type initiator by combination with a thiosulfate or the like.

유용성 개시제의 예로는, tert-부틸하이드로퍼옥사이드, 쿠멘하이드로퍼옥사이드, 과산화벤조일, 과산화라우로일 등의 유기 과산화물, 아조 화합물 등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혹은 나트륨포름알데히드술폭시레이트 등과의 조합에 의해 레독스계 개시제로서 사용할 수도 있지만, 이러한 구체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Examples of the oil-soluble initiator include organic peroxides such as tert-butyl hydroperoxide, cumene hydroperoxide, benzoyl peroxide, and lauroyl peroxide, and azo compounds, or in combination with sodium formaldehyde sulfoxylate May be used as a redox-type initiato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specific examples.

또, 고분자 가공 보조제의 평균 중합도는, n-옥틸메르캅탄, tert-도데실메르캅탄 등의 연쇄 이동제나 중합 조건 등으로 임의로 조정할 수 있다.The average polymerization degree of the polymer processing aid can be arbitrarily adjusted by a chain transfer agent such as n-octyl mercaptan, tert-dodecyl mercaptan, or polymerization conditions.

본 발명의 고분자 가공 보조제의 평균 중합도는 3,000 이상, 40,000 이하의 범위로 한다. 고분자 가공 보조제의 평균 중합도가 3,000 미만에서는 본 발명의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을 필름으로 할 때의 제막성의 향상이 확인되지 못할 우려나, 연신했을 때에 충분한 연신성 향상의 개선 효과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한편, 고분자 가공 보조제의 평균 중합도가 40,000 을 초과하면, 투명성이 저하되거나, 또는 용융 장력이 지나치게 높아져 제막시에 멜트 커튼의 양단부가 찢어지기 쉬워지는 경우가 있다. 고분자 가공 보조제의 배합량은 메타크릴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해 0.3 ∼ 6 질량부이고, 바람직하게는 0.5 ∼ 3 질량부이다. 고분자 가공 보조제의 배합량이 0.3 질량부 미만이면,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의 필름 제막성 및 연신성의 충분한 개선 효과가 발현되지 않게 된다. 한편, 고분자 가공 보조제의 배합량이 6 질량부를 초과하면,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의 유리 전이 온도가 저하되거나, 또 투명성이 저하되거나, 나아가서는 용융 장력이 지나치게 높아져 제막시에 멜트 커튼의 양단부가 찢어지기 쉬워지는 경우가 있다. The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the polymer processing ai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range of 3,000 to 40,000. When the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the polymer processing aid is less than 3,000, improvement in film forming property when the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film may not be confirmed, and improvement in improvement in drawability may not be sufficiently confirmed when stretched . On the other hand, when the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the polymer processing aid exceeds 40,000, the transparency is lowered or the melt tension is excessively high, and both ends of the melted curtain tend to be torn at the time of film formation. The blending amount of the polymer processing aid is 0.3 to 6 parts by mass, preferably 0.5 to 3 parts by mass based on 100 parts by mass of the methacrylic resin. If the blending amount of the polymer processing aid is less than 0.3 part by mass, a satisfactory improvement effect of film formability and stretchability of the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will not be exhibit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blending amount of the polymer processing aid exceeds 6 parts by mass,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is lowered, the transparency is lowered, and the melt tension is excessively high, and both ends of the melted curtain tend to be torn at the time of film formation .

본 발명의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에 함유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함유량은, 상기 메타크릴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해 1 질량부 이상, 4 질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질량부 이상, 3 질량부 이하이다. The content of the polycarbonate resin contained in the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1 part by mass or more and 4 parts by mass or less, more preferably 2 parts by mass or more and 3 parts by mass or less based on 100 parts by mass of the methacrylic resin .

본 발명의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에 함유되는 메타크릴 수지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합계량은 80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9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4 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6 질량% 이상이다. 또한, 이러한 양의 상한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효과가 얻어지는 범위에서 고분자 가공 보조제를 본 발명의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에 함유시킬 수 있으면 특별히 제한은 없다. The total amount of the methacrylic resin and the polycarbonate resin contained in the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80 mass% or more, preferably 90 mass% or more, more preferably 94 mass% or more, further preferably 96 mass% or more to be. With respect to the upper limit of such a quantity, there is no particular limitation so long as the polymer processing aid can be contained in the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range in which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btained.

본 발명의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필요에 따라 필러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필러로는, 탄산칼슘, 탤크, 카본 블랙, 산화티탄, 실리카, 클레이, 황산바륨, 탄산마그네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에 함유될 수 있는 필러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3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질량% 이하이다. The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a filler as necessary insofar as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mpaired. Examples of the filler include calcium carbonate, talc, carbon black, titanium oxide, silica, clay, barium sulfate, magnesium carbonate and the like. The amount of the filler that can be contained in the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3 mass% or less, more preferably 1.5 mass% or less.

본 발명의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중합체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다른 중합체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텐-1, 폴리-4-메틸펜텐-1, 폴리노르보르넨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 ; 에틸렌계 아이오노머 ; 폴리스티렌, 스티렌-무수 말레산 공중합체, 하이 임펙트 폴리스티렌, AS 수지, ABS 수지, AES 수지, AAS 수지, ACS 수지, MBS 수지 등의 스티렌계 수지 ; 메틸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 공중합체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 나일론 6, 나일론 66, 폴리아미드엘라스토머 등의 폴리아미드 ;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폴리비닐알코올,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폴리아세탈, 폴리불화비닐리덴, 폴리우레탄, 변성 폴리페닐렌에테르, 폴리페닐렌술파이드, 페녹시 수지, 실리콘 변성 수지 ; 아크릴 고무, 아크릴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실리콘 고무 ; SEPS, SEBS, SIS 등의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 IR, EPR, EPDM 등의 올레핀계 고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에 함유될 수 있는 다른 중합체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10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0 질량% 이다. The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other polymers within the range not hindering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Other polymers include polyolefin resins such as polyethylene, polypropylene, polybutene-1, poly-4-methylpentene-1 and polynorbornene; Ethylenic ionomers; Styrene resins such as polystyrene, styrene-maleic anhydride copolymer, high impact polystyrene, AS resin, ABS resin, AES resin, AAS resin, ACS resin and MBS resin; Methyl methacrylate-styrene copolymer; Polyester resins such as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polybutylene terephthalate; Nylon 6, nylon 66, and polyamide elastomers; Polyvinyl chloride, polyvinyl chloride, polyvinylidene chloride, polyvinyl alcohol, ethylene-vinyl alcohol copolymer, polyacetal, polyvinylidene fluoride, polyurethane, modified polyphenylene ether, polyphenylene sulfide, phenoxy resin, silicone modified resin; Acrylic rubber, acrylic thermoplastic elastomer, silicone rubber; Styrene-based thermoplastic elastomers such as SEPS, SEBS and SIS; And olefin rubbers such as IR, EPR and EPDM. The amount of other polymer that can be contained in the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10 mass% or less, more preferably 5 mass% or less, and most preferably 0 mass%.

본 발명의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산화 방지제, 열열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 안정제, 활제, 이형제, 대전 방지제, 난연제, 염 안료, 광 확산제, 유기 색소, 광택 제거제, 내충격성 개질제, 형광체 등의 첨가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The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contain an antioxidant, a thermal deterioration inhibitor, an ultraviolet absorber, a light stabilizer, a lubricant, a release agent, an antistatic agent, a flame retardant, a salt pigment, , A gloss removing agent, an impact resistance modifier, a phosphor, and the like.

산화 방지제는, 산소 존재하에서 그 단체로 수지의 산화 열화 방지에 효과를 갖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인계 산화 방지제, 힌더드페놀계 산화 방지제, 티오에테르계 산화 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착색에 의한 광학 특성의 열화 방지 효과의 관점에서 인계 산화 방지제나 힌더드페놀계 산화 방지제가 바람직하고, 인계 산화 방지제와 힌더드페놀계 산화 방지제의 병용이 보다 바람직하다. The antioxidant is effective in preventing deterioration of the oxidation of the resin in the presence of oxygen. Examples thereof include phosphorus antioxidants, hindered phenol antioxidants, thioether antioxidants and the like. Of these, a phosphorus-based antioxidant and a hindered phenol-based antioxidant are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an effect of preventing deterioration of optical characteristics due to coloring, and a phosphorus-based antioxidant and a hindered phenol-based antioxidant are more preferably used in combination.

인계 산화 방지제와 힌더드페놀계 산화 방지제를 병용하는 경우, 인계 산화 방지제/힌더드페놀계 산화 방지제를 질량비로 0.2/1 ∼ 2/1 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5/1 ∼ 1/1 로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When the phosphorus-based antioxidant and the hindered phenol-based antioxidant are used in combination, the phosphorus-based antioxidant / hindered phenol-based antioxidant is preferably used in a mass ratio of 0.2: 1 to 2: 1, more preferably 0.5: 1 to 1/1 It is more preferable to use it.

인계 산화 방지제로는, 2,2-메틸렌비스(4,6-디-tert-부틸페닐)옥틸포스파이트 (ADEKA 사 제조 ; 상품명:아데카스타브 HP-10), 트리스(2,4-디-tert-부틸페닐)포스파이트 (BASF 사 제조 ; 상품명: IRGAFOS168), 3,9-비스(2,6-디-tert-부틸-4-메틸페녹시)-2,4,8,10-테트라옥사-3,9-디포스파스피로[5.5]운데칸 (ADEKA 사 제조 ; 상품명:아데카스타브 PEP-36) 등이 바람직하다. Examples of the phosphorus antioxidant include 2,2-methylenebis (4,6-di-tert-butylphenyl) octyl phosphite (trade name: Adekastab HP-10 manufactured by ADEKA), tris (2,4- tert-butylphenyl) phosphite (trade name: IRGAFOS168 manufactured by BASF), 3,9-bis (2,6-di-tert- butyl-4-methylphenoxy) -2,4,8,10- -3,9-diphosphaspiro [5.5] undecane (trade name: Adecastab PEP-36, manufactured by ADEKA).

힌더드페놀계 산화 방지제로는, 펜타에리트리틸-테트라키스[3-(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BASF 사 제조 ; 상품명 IRGANOX1010), 옥타데실-3-(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BASF 사 제조 ; 상품명 IRGANOX1076) 등이 바람직하다. Examples of the hindered phenol antioxidant include pentaerythrityl-tetrakis [3- (3,5-di-tert-butyl-4-hydroxyphenyl) propionate] (trade name IRGANOX1010, Decyl-3- (3,5-di-tert-butyl-4-hydroxyphenyl) propionate (trade name IRGANOX1076, manufactured by BASF).

열열화 방지제로는, 실질상 무산소 상태하에서 고열에 노출되었을 때 발생하는 폴리머 라디칼을 포착함으로써 수지의 열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As the thermal deterioration preventing agent, thermal degradation of the resin can be prevented by capturing the polymer radical generated when exposed to high temperature under substantially anaerobic conditions.

그 열열화 방지제로는, 2-tert-부틸-6-(3'-tert-부틸-5'-메틸-하이드록시 벤질)-4-메틸페닐아크릴레이트 (스미토모 화학사 제조 ; 상품명 스미라이저 GM), 2,4-디-tert-아밀-6-(3',5'-디-tert-아밀-2'-하이드록시-α-메틸벤질)페닐아크릴레이트 (스미토모 화학사 제조 ; 상품명 스미라이저 GS) 등이 바람직하다. Examples of the thermal deterioration preventing agent include 2-tert-butyl-6- (3'-tert-butyl-5'-methyl-hydroxybenzyl) -4-methylphenylacrylate (Sumitomo Chemical Co., , 4-di-tert-amyl-6- (3 ', 5'-di-tert-amyl-2'-hydroxy- alpha -methylbenzyl) phenyl acrylate (Sumilizer GS, desirable.

자외선 흡수제는 자외선을 흡수하는 능력을 갖는 화합물로, 주로 광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것이다.The ultraviolet absorber is a compound having an ability to absorb ultraviolet rays, and is known to have a function of mainly converting light energy into heat energy.

자외선 흡수제로는, 벤조페논류, 벤조트리아졸류, 트리아진류, 벤조에이트 류, 살리실레이트류, 시아노아크릴레이트류, 옥살산아닐리드류, 말론산에스테르류, 포름아미딘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벤조트리아졸류, 트리아진류, 또는 파장 380 ∼ 450 ㎚ 에 있어서의 몰 흡광 계수의 최대값 εmax 가 100 d㎥·㏖-1-1 이하인 자외선 흡수제가 바람직하다. Examples of the ultraviolet absorber include benzophenones, benzotriazoles, triazines, benzoates, salicylates, cyanoacrylates, anilides oxalic acid, malonic acid esters and formamidines. Among them, benzotriazoles, triazines, or ultraviolet absorbers having a maximum molar extinction coefficient ε max of 100 dm 3 · mol -1 cm -1 or less at a wavelength of 380 to 450 nm are preferable.

벤조트리아졸류는 자외선 피조 (被照) 에 의한 착색 등의 광학 특성 저하를 억제하는 효과가 높기 때문에, 본 발명의 필름을 광학 용도에 적용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자외선 흡수제로서 바람직하다. 벤조트리아졸류로는, 2-(2H-벤조트리아졸-2-일)-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놀 (BASF 사 제조 ; 상품명 TINUVIN329), 2-(2H-벤조트리아졸-2-일)-4,6-비스(1-메틸-1-페닐에틸)페놀 (BASF 사 제조 ; 상품명 TINUVIN234), 2,2'-메틸렌비스[6-(2H-벤조트리아졸-2-일)-4-tert-옥틸페놀] (ADEKA 사 제조 ; LA-31), 2-(5-옥틸티오-2H-벤조트리아졸-2-일)-6-tert-부틸-4-메틸페놀 등이 바람직하다. Since benzotriazoles have a high effect of suppressing deterioration of optical properties such as coloration caused by ultraviolet ray irradiation (illumination), they are preferable as ultraviolet absorbers for use in application of th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to optical use. Examples of benzotriazoles include 2- (2H-benzotriazol-2-yl) -4- (1,1,3,3-tetramethylbutyl) phenol (trade name: TINUVIN329, Methyl-1-phenylethyl) phenol (trade name: TINUVIN234, manufactured by BASF), 2,2'-methylenebis [6- (2H-benzotriazole (5-octylthio-2H-benzotriazol-2-yl) -6-tert-butyl-4- Methylphenol and the like are preferable.

또, 파장 380 ∼ 450 ㎚ 에 있어서의 몰 흡광 계수의 최대값 εmax 가 1200 d㎥·㏖-1-1 이하인 자외선 흡수제는 얻어지는 필름의 변색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자외선 흡수제로는, 2-에틸-2'-에톡시-옥살아닐리드 (클라리언트 재팬사 제조 ; 상품명 선듀보아 VSU) 등을 들 수 있다. In addition, the ultraviolet absorber having the maximum value? Max of the molar extinction coefficient at a wavelength of 380 to 450 nm of 1,200 dm 3 ㏖ -1 cm -1 or less can suppress discoloration of the resulting film. Examples of such an ultraviolet absorber include 2-ethyl-2'-ethoxy-oxalanilide (manufactured by Clariant Japan Co., Ltd., trade name: SUNDY Boa VSU).

이들 자외선 흡수제 중, 자외선 피조에 의한 수지 열화가 억제된다는 관점에서 벤조트리아졸류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Of these ultraviolet absorbers, benzotriazoles are preferably used from the viewpoint that the resin deterioration due to ultraviolet radiation is inhibited.

또, 파장 380 ㎚ 부근의 파장을 효율적으로 흡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트리아진류의 자외선 흡수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와 같은 자외선 흡수제로는, 2,4,6-트리스(2-하이드록시-4-헥실옥시-3-메틸페닐)-1,3,5-트리아진 (ADEKA 사 제조 ; LA-F70) 이나, 그 유연체인 하이드록시페닐트리아진계 자외선 흡수제 (BASF 사 제조 ; TINUVIN477 이나 TINUVIN460), 2,4-디페닐-6-(2-하이드록시-4-헥실옥시페닐)-1,3,5-트리아진 등을 들 수 있다. In the case where a wavelength near 380 nm is desirably absorbed, a triazine ultraviolet absorber is preferably used. Examples of such ultraviolet absorbers include 2,4,6-tris (2-hydroxy-4-hexyloxy-3-methylphenyl) -1,3,5-triazine (LA- Hydroxyphenyltriazine type ultraviolet absorber (TINUVIN477 or TINUVIN460, manufactured by BASF), 2,4-diphenyl-6- (2-hydroxy-4-hexyloxyphenyl) -1,3,5-triazine And the like.

또한, 자외선 흡수제의 몰 흡광 계수의 최대값 εmax 는 다음과 같이 하여 측정한다. 시클로헥산 1 ℓ 에 자외선 흡수제 10.00 ㎎ 을 첨가하고, 육안에 의한 관찰로 미용해물이 없도록 용해시킨다. 이 용액을 1 ㎝ × 1 ㎝ × 3 ㎝ 의 석영 유리 셀에 주입하고, 히타치 제작소사 제조 U-3410 형 분광 광도계를 사용하여, 파장 380 ∼ 450 ㎚, 광로 길이 1 ㎝ 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한다. 자외선 흡수제의 분자량 (MUV) 과, 측정된 흡광도의 최대값 (Amax) 으로부터 다음 식에 의해 계산하여, 몰 흡광 계수의 최대값 εmax 를 산출한다. The maximum value? Max of the molar extinction coefficient of the ultraviolet absorber is measured as follows. 10.00 mg of an ultraviolet absorber is added to 1 liter of cyclohexane and dissolved by observation with naked eyes so that there is no undissolved product. This solution is poured into a quartz glass cell of 1 cm x 1 cm x 3 cm and the absorbance at a wavelength of 380 to 450 nm and an optical path length of 1 cm is measured using a U-3410 type spectrophotometer manufactured by Hitachi, Ltd. The maximum value? Max of the molar extinction coefficient is calculated from the molecular weight (M UV ) of the ultraviolet absorber and the maximum value (A max ) of the measured absorbance by the following equation.

εmax = [Amax/(10 × 10-3)] × MUV ε max = [A max / (10 × 10 -3 )] × M UV

광 안정제는 주로 광에 의한 산화에 의해 생성되는 라디칼을 포착하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화합물이다. 바람직한 광 안정제로는, 2,2,6,6-테트라알킬피페리딘 골격을 갖는 화합물 등의 힌더드아민류를 들 수 있다. The light stabilizer is a compound known to have a function of capturing radicals mainly generated by light oxidation. Preferable examples of the light stabilizer include hindered amines such as compounds having a 2,2,6,6-tetraalkylpiperidine skeleton.

활제로는, 예를 들어, 스테아르산, 베헤닌산, 스테아로아미드산, 메틸렌비스스테아로아미드, 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트리글리세리드, 파라핀 왁스, 케톤 왁스, 옥틸알코올, 경화유 등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lubricant include stearic acid, behenic acid, stearoamidoic acid, methylenebisstearoamide, hydroxystearic acid triglyceride, paraffin wax, ketone wax, octyl alcohol, and hardened oil.

이형제로는, 성형품의 금형으로부터의 이형을 용이하게 하는 기능을 갖는 화합물이다. 이형제로는, 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등의 고급 알코올류 ; 스테아르산모노글리세라이드, 스테아르산디글리세라이드 등의 글리세린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형제로서 고급 알코올류와 글리세린 지방산 모노에스테르를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급 알코올류와 글리세린 지방산 모노에스테르를 병용하는 경우, 고급 알코올류/글리세린 지방산 모노에스테르의 질량비는, 2.5/1 ∼ 3.5/1 의 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8/1 ∼ 3.2/1 의 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The release agent is a compound having a function of facilitating release of a molded article from a mold. Examples of the release agent include higher alcohols such as cetyl alcohol and stearyl alcohol; Stearic acid monoglyceride, stearic acid monoglyceride, and stearic acid diglyceride.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use a combination of a higher alcohol and a glycerin fatty acid monoester as a release agent. When the higher alcohols and the glycerin fatty acid monoester are used in combination, the mass ratio of the higher alcohol / glycerin fatty acid monoester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2.5 / 1 to 3.5 / 1,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2.8 / 1 to 3.2 / Is more preferable.

내충격성 개질제로는, 아크릴계 고무 혹은 디엔계 고무를 코어층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코어 셀형 개질제 ; 고무 입자를 복수 포함한 개질제 등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impact resistance modifier include a core cell type modifier containing an acrylic rubber or a diene rubber as a core layer component; A modifier containing a plurality of rubber particles, and the like.

유기 색소로는, 수지에 대해는 유해하다고 되어 있는 자외선을 가시광선으로 변환시키는 기능을 갖는 화합물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As the organic dye, a compound having a function of converting ultraviolet rays, which are considered harmful to the resin, to visible light is preferably used.

광 확산제나 광택 제거제로는, 유리 미립자, 폴리실록산계 가교 미립자, 가교 폴리머 미립자, 탤크, 탄산칼슘, 황산바륨 등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light diffusing agent and the gloss removing agent include glass fine particles, polysiloxane crosslinked fine particles, crosslinked polymer fine particles, talc, calcium carbonate, barium sulfate and the like.

형광체로서, 형광 안료, 형광 염료, 형광 백색 염료, 형광 증백제, 형광 표백제 등을 들 수 있다. Examples of the fluorescent substance include a fluorescent pigment, a fluorescent dye, a fluorescent white dye, a fluorescent whitening agent, and a fluorescent whitening agent.

이들 첨가제는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또, 이들 첨가제는 메타크릴 수지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제조할 때의 중합 반응액에 첨가해도 되고, 제조된 메타크릴 수지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 첨가해도 되며,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을 조제할 때 첨가해도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에 함유되는 첨가제의 합계량은, 필름의 외관 불량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메타크릴 수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7 질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 질량% 이하이다. These additives may be used singly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These additives may be added to the polymerization reaction liquid when preparing the methacrylic resin or the polycarbonate resin, or may be added to the produced methacrylic resin or polycarbonate resin, or may be added when preparing the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 The total amount of the additives contained in the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7% by mass or less, more preferably 5% by mass or less, and still more preferably 5% by mass or less, based on the methacrylic resin, Is not more than 4% by mass.

상기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의 조제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존재하에 메타크릴산메틸을 함유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중합하여 메타크릴 수지를 생성시키는 방법이나, 메타크릴 수지 및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용융 혼련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용융 혼련법은 공정이 단순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용융 혼련시에 필요에 따라 다른 중합체나 첨가제를 혼합해도 되고, 메타크릴 수지를 다른 중합체 및 첨가제와 혼합한 후에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와 혼합해도 되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다른 중합체 및 첨가제와 혼합한 후에 메타크릴 수지와 혼합해도 된다. 혼련은 예를 들어, 니더 루더, 압출기, 믹싱 롤, 밴버리 믹서 등의 이미 알려진 혼합 장치 또는 혼련 장치를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들 중, 2 축 압출기가 바람직하다. 혼합·혼련시의 온도는 사용하는 메타크릴 수지 및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용융 온도 등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110 ∼ 300 ℃ 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조제된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은 펠릿, 과립, 분말 등의 임의의 형태로 하여, 필름으로 성형할 수 있다. The method for preparing the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a method of polymerizing a monomer mixture containing methyl methacrylate in the presence of a polycarbonate resin to produce a methacrylic resin, and a method of melt-kneading a methacrylic resin and a polycarbonate resin. Of these, the melt kneading method is preferable because the process is simple. Other polymers and additives may be mixed as needed during the melt-kneading, and the methacrylic resin may be mixed with other polymers and additives and then mixed with the polycarbonate resin. After the polycarbonate resin is mixed with other polymers and additives, It may be mixed with a resin. The kneading can be carried out, for example, by using a known mixing device or a kneading device such as a kneader rudder, an extruder, a mixing roll, a Banbury mixer or the like. Of these, a twin-screw extruder is preferred. The temperature for mixing and kneading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depending on the melting temperature of the methacrylic resin and the polycarbonate resin to be used, and is preferably 110 to 300 占 폚. The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prepared as described above may be formed into a film in any form such as pellets, granules, powders, and the like.

본 발명의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은 유리 전이 온도가 바람직하게는 120 ℃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23 ℃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24 ℃ 이상이다.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의 유리 전이 온도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바람직하게는 140 ℃, 보다 바람직하게는 130 ℃ 이다. The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preferably 120 占 폚 or higher, more preferably 123 占 폚 or higher, even more preferably 124 占 폚 or higher. The upper limit of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140 占 폚, and more preferably 130 占 폚.

본 발명의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을 GPC 로 측정하여 결정되는 Mw 는, 바람직하게는 70000 ∼ 200000, 보다 바람직하게는 72000 ∼ 160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75000 ∼ 120000 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을 GPC 로 측정하여 결정되는 분자량 분포는, 바람직하게는 1.2 ∼ 2.5, 보다 바람직하게는 1.3 ∼ 2.0 이다. Mw 나 분자량 분포가 이 범위에 있으면,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의 성형 가공성이 양호해져, 내충격성이나 인성이 우수한 성형체를 얻기 쉬워진다. The Mw determined by measuring the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y GPC is preferably 70,000 to 200,000, more preferably 72,000 to 160,000, and still more preferably 75,000 to 1200,000. The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determined by measuring the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 GPC is preferably 1.2 to 2.5, more preferably 1.3 to 2.0. When the Mw or the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is in this range, the molding processability of the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becomes favorable, and a molded article having excellent impact resistance and toughness is easily obtained.

본 발명의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을 230 ℃ 및 3.8 ㎏ 하중의 조건에서 측정하여 결정되는 멜트 플로 레이트는, 바람직하게는 0.1 ∼ 6 g/10 분,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 5 g/10 분,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 3 g/10 분이다. The melt flow rate determined by measuring the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under the conditions of a load of 230 캜 and a load of 3.8 ㎏ is preferably 0.1 to 6 g / 10 min, more preferably 0.5 to 5 g / 10 min, And preferably 1.0 to 3 g / 10 min.

본 발명의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은, 1.0 ㎜ 두께의 헤이즈가 1.0 % 이하가 바람직하고, 0.7 %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5 %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The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has a haze of 1.0 mm in thickness of 1.0% or less, more preferably 0.7% or less, still more preferably 0.5% or less.

본 발명의 필름은 그 제법에 따라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필름은, 예를 들어, 상기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을 용액 캐스트법, 용융 유연법, 압출 성형법, 인플레이션 성형법, 블로 성형법 등의 공지된 방법으로 제막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들 중, 압출 성형법이 바람직하다. 압출 성형법에 의하면, 투명성이 우수하고, 개선된 인성을 갖고, 취급성이 우수하고, 인성과 표면 경도 및 강성의 밸런스가 우수한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압출기로부터 토출되는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의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160 ∼ 270 ℃, 보다 바람직하게는 220 ∼ 260 ℃ 로 설정한다. Th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depending on its production method. Th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btained, for example, by forming the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by a known method such as solution casting, melt casting, extrusion molding, inflation molding and blow molding. Of these, extrusion molding is preferable. According to the extrusion molding method, it is possible to obtain a film excellent in transparency, having improved toughness, excellent handling properties, and excellent balance between toughness, surface hardness and rigidity. The temperature of the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discharged from the extruder is preferably set at 160 to 270 캜, more preferably at 220 to 260 캜.

압출 성형법 중, 양호한 표면 평활성, 양호한 경면 광택, 저헤이즈의 필름이 얻어진다는 관점에서 상기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을 용융 상태에서 T 다이로부터 압출하고, 이어서 그것을 2 개 이상의 경면 롤 또는 경면 벨트사이에 협지하여 성형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경면 롤 또는 경면 벨트는 금속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1 쌍의 경면 롤 또는 경면 벨트사이의 선압은, 바람직하게는 10 N/㎜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N/㎜ 이상이다. The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is extruded from a T-die in a molten state and then sandwiched between two or more of the mirror-surface rolls or the mirror-surface belt in order to obtain a film having good surface smoothness, good mirror gloss and low haze A method including molding is preferable. The mirror-surface roll or mirror-surface belt is preferably made of metal. The linear pressure between the pair of mirror rolls or the mirror-surface belt is preferably 10 N / mm or more, and more preferably 30 N / mm or more.

또, 경면 롤 또는 경면 벨트의 표면 온도는 모두 13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1 쌍의 경면 롤 혹은 경면 벨트는, 적어도 일방의 표면 온도가 6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표면 온도로 설정하면, 압출기로부터 토출되는 상기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을 자연 방랭보다 빠른 속도로 냉각시킬 수 있고, 표면 평활성이 우수하고 또한 헤이즈가 낮은 본 발명의 필름을 제조하기 쉽다. The surface temperature of the mirror-surface roll or mirror-surface belt is preferably 130 ° C or lower.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surface temperature of the pair of mirror-surface rolls or mirror-surface belts is 60 占 폚 or higher. By setting the surface temperature to such a value, the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discharged from the extruder can be cooled at a rate faster than the natural freezing, and th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n excellent surface smoothness and a low haze can be easily produced.

본 발명의 필름은 연신 처리를 실시한 것이어도 된다. 연신 처리에 의해 기계적 강도가 높아져, 균열되기 어려운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연신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1 축 연신, 동시 2 축 연신법, 축차 2 축 연신법, 튜블러 연신법 등을 들 수 있다. 연신시의 온도는 균일하게 연신할 수 있고, 높은 강도의 필름이 얻어진다는 관점에서 100 ∼ 200 ℃ 가 바람직하고, 120 ∼ 160 ℃ 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 특히 강도를 크게 하고 싶은 경우에는 낮은 온도인 편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110 ∼ 150 ℃ 가 바람직하고, 125 ∼ 140 ℃ 가 보다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의 유리 전이 온도 이상에서 연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신은 통상적으로 길이 기준으로 100 ∼ 5000 %/분으로 실시된다. 연신 후, 열고정을 실시하거나, 필름을 이완시킴으로써, 보다 열수축이 적은 필름으로 할 수 있다. 연신 배율에 제한은 없지만, 통상적으로 면적비로 1.5 ∼ 8 배 정도로 한다. Th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been subjected to stretching treatment. The stretching treatment increases the mechanical strength and makes it possible to obtain a film which is hardly cracked. The stretching metho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uniaxial stretching, simultaneous biaxial stretching, sequential biaxial stretching, and tubular stretching. The temperature at the time of stretching can be uniformly stretched and is preferably from 100 to 200 占 폚, more preferably from 120 to 160 占 폚, from the viewpoint of obtaining a high-strength film. In particular, when it is desired to increase the strength, it is preferable that the temperature is low, for example, 110 to 150 ° C is preferable, and 125 to 140 ° C is more preferable. It is preferable to stretch at a temperature not lower than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The stretching is usually carried out at 100 to 5000% / min on a length basis. After the stretching, heat fixing is performed, or the film is relaxed, whereby a film with less heat shrinkage can be obtained.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stretching magnification, but it is ordinarily about 1.5 to 8 times as large as the area ratio.

본 발명의 필름은, 그 중에 함유되는 메타크릴 수지의 양이, 투명성이나 두께 방향의 위상차가 작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78 ∼ 98.7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85 ∼ 97 질량% 이다. The amount of the methacrylic resin contained in th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78 to 98.7 mass%, and more preferably 85 to 97 mass% from the viewpoint of transparency and small retarda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또, 본 발명의 필름은, 그 중에 함유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양이, 두께 방향의 위상차가 작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 ∼ 3.8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 ∼ 2.9 질량% 이다. The amount of the polycarbonate resin contained in th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1 to 3.8 mass%, more preferably 2 to 2.9 mass% from the viewpoint of small retarda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또, 본 발명의 필름은, 그 중에 함유되는 고분자 가공 보조제의 양이, 연신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3 ∼ 5.6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 2.9 질량% 이다. In th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mount of the polymer processing aid contained therein is preferably 0.3 to 5.6 mass%, more preferably 0.5 to 2.9 mass% from the viewpoint of stretchability.

본 발명의 필름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광학 필름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그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 ∼ 300 ㎛,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 5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 40 ㎛ 이다. The thickness of th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when it is used as an optical film, its thickness is preferably 1 to 300 占 퐉, more preferably 10 to 50 占 퐉, and still more preferably 15 to 40 占 퐉.

본 발명의 필름은, 두께 50 ㎛ 에 있어서의 헤이즈가 바람직하게는 0.2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 이하이다. 이로써, 표면 광택이나 투명성이 우수하다. 또, 액정 보호 필름이나 도광 필름 등의 광학 용도에 있어서는, 광원의 이용 효율이 높아져 바람직하다. 또한, 표면 부형을 실시할 때의 부형 정밀도가 우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Th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aze of preferably 0.2% or less, more preferably 0.1% or less at a thickness of 50 占 퐉. Thereby, surface gloss and transparency are excellent. Further, in optical applications such as a liquid crystal protective film and a light guiding film, the utilization efficiency of the light source is increased, which is preferable.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since the accuracy of forming the surface is excellent.

본 발명의 필름은, 파장 590 ㎚ 의 광에 대한 면내 방향 위상차 Re 가, 필름의 두께 40 ㎛ 일때, 바람직하게는 5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 ㎚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2 ㎚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1 ㎚ 이하이다. Th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has an in-plane retardation Re in the in-plane directional retardation Re at a wavelength of 590 nm of preferably 40 nm or less, preferably 5 nm or less, more preferably 4 nm or less, still more preferably 3 nm or less, Preferably 2 nm or less, and most preferably 1 nm or less.

본 발명의 필름은, 파장 590 ㎚ 의 광에 대한 두께 방향 위상차 Rth 가, 필름의 두께 40 ㎛ 일 때, -10 ㎚ 이상 1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이상, 5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 ㎚ 이상, 4 ㎚ 이하,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3 ㎚ 이상, 3 ㎚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2 ㎚ 이상, 2 ㎚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1 ㎚ 이상, 1 ㎚ 이하이다. Th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has a retardation Rth in the thickness direction with respect to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590 nm of -10 nm to 10 nm, more preferably -5 nm or more and 5 nm or less More preferably -4 nm or more and 4 nm or less, still more preferably -3 nm or more and 3 nm or less, particularly preferably -2 nm or more, 2 nm or less, and most preferably -1 nm or more, 1 nm or less.

면내 방향 위상차 및 두께 방향 위상차가 이와 같은 범위이면, 위상차에서 기인하는 화상 표시 장치의 표시 특성에 대한 영향이 현저하게 억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간섭 불균일이나 3 D 디스플레이용 액정 표시 장치에 사용하는 경우의 3D 이미지의 변형이 현저하게 억제될 수 있다. When the retardation in the in-plane direction and the retarda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are within such a range, the influence on the display characteristics of the image display apparatus due to the retardation can be remarkably suppressed. More specifically, deformation of the 3D image in the case of unevenness of interference and use in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for 3D display can be remarkably suppressed.

또한, 면내 방향 위상차 Re 및 두께 방향 위상차 Rth 는, 각각 이하의 식으로 정의되는 값이다. The in-plane direction retardation Re and the thickness direction retardation Rth are values defined by the following equations, respectively.

Re = (nx - ny) × dRe = (nx - ny) xd

Rth = ((nx + ny)/2 - nz) × dRth = ((nx + ny) / 2 - nz) xd

여기서, nx 는 필름의 지상축 방향의 굴절률이고, ny 는 필름의 진상축 방향의 굴절률이고, nz 는 필름의 두께 방향의 굴절률이며, d (㎚) 는 필름의 두께이다. 지상축은 필름 면내의 굴절률이 최대가 되는 방향을 말하고, 진상축은 면내에서 지상축과 수직인 방향을 말한다. Here, nx is the refractive index in the slow axis direction of the film, ny is the refractive index in the fast axis direction of the film, nz is the refractive index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ilm, and d (nm) is the thickness of the film. The slow axis refers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refractive index in the film plane becomes maximum, and the fast axis refers to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low axis in the plane.

본 발명의 필름은 투명성이 높고, 내열성이 높고, 위상차가 작고, 얇기 때문에, 편광자 보호 필름이나 후술하는 각종 필름 등에 바람직하다. Since th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high transparency, high heat resistance, small phase difference and thinness, it is preferable for a polarizer protective film and various films to be described later.

본 발명의 편광판은, 본 발명의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편광자 보호 필름이 적어도 1 장 적층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로부터 형성되는 편광자와 본 발명의 편광자 보호 필름이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The polariz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laminate of at least one polarizer protective film made of th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olarizer formed from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are laminated via an adhesive lay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편광판은,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광자 (11) 의 일방의 면에, 접착제층 (12), 접착 용이층 (13), 및 본 발명의 편광자 보호 필름 (14) 이 이 순서로 적층되고, 편광자 (11) 의 다른 일방의 면에, 접착제층 (15), 및 광학 필름 (16) 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1, a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adhesive layer 12, an easy-to-adhere layer 13, and a polarizer protectiv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14 are laminated in this order and the adhesive layer 15 and the optical film 16 are laminated in this order on the other surface of the polarizer 11. [

상기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로 형성되는 편광자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을 이색성 물질 (대표적으로는, 요오드, 이색성 염료) 로 염색하여 1 축 연신함으로써 얻어진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임의의 적절한 방법 (예를 들어, 수지를 물 또는 유기 용매에 용해시킨 용액을 유연 성막하는 유연법, 캐스트법, 압출법) 으로 제막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그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중합도가 바람직하게는 100 ∼ 5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400 ∼ 4000 이다. 또, 편광자에 사용되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필름의 두께는, 편광판이 사용되는 LCD 의 목적이나 용도에 따라 적절히 설정될 수 있지만, 대표적으로는 5 ∼ 80 ㎛ 이다. The polarizer formed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can be obtained, for example, by uniaxially stretching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by dying with a dichroic substance (typically, iodine or dichromatic dye). The polyvinyl alcohol based resin film can be obtained by forming a film of a polyvinyl alcohol based resin by any suitable method (for example, a method of forming a flexible film by dissolving a resin in water or an organic solvent, a casting method, an extrusion method) . Th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s preferably 100 to 5000, more preferably 1400 to 4000. The thickness of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film used for the polarizer can be suitably set according to the purposes and applications of the LCD in which the polarizing plate is used, but is typically 5 to 80 탆.

본 발명의 편광판에 형성할 수 있는 접착제층은 광학적으로 투명하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접착제층을 구성하는 접착제로서, 예를 들어, 수계 접착제, 용제계 접착제, 핫멜트계 접착제,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 수계 접착제 및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가 바람직하다. The adhesive layer that can be formed on 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far as it is optically transparent. As the adhesive constituting the adhesive layer, for example, an aqueous adhesive, a solvent adhesive, a hot melt adhesive, an active energy ray curable adhesive and the like can be used. Of these, water-based adhesives and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s are preferred.

수계 접착제는 그 형태가 수용액이어도 되고, 라텍스여도 된다. 수계 접착제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비닐폴리머계, 젤라틴계, 비닐계 라텍스계, 폴리우레탄계, 이소시아네이트계, 폴리에스테르계, 에폭시계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계 접착제에는 필요에 따라 가교제나 다른 첨가제, 산 등의 촉매도 배합할 수 있다. 상기 수계 접착제로는, 비닐폴리머를 함유하는 접착제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비닐 폴리머로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또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에는 붕산이나 붕사, 글루타르알데히드나 멜라민, 옥살산 등의 수용성 가교제를 함유할 수 있다. 특히 편광자로서 폴리비닐알코올계의 폴리머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함유하는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접착성 면에서 바람직하다. 나아가서는, 아세트아세틸기를 갖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함유하는 접착제가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점에서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수계 접착제는 통상적으로 수용액으로 이루어지는 접착제로서 사용되며, 통상적으로 0.5 ∼ 60 질량% 의 고형분을 함유하여 이루어진다. The water-based adhesive may be in the form of an aqueous solution or may be a latex. Examples of the water-based adhesive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a vinyl polymer type, a gelatin type, a vinyl type latex type, a polyurethane type, an isocyanate type, a polyester type and an epoxy type. If necessary, a catalyst such as a crosslinking agent, other additives, or an acid may be added to such an aqueous adhesive. As the water-based adhesive, it is preferable to use an adhesive containing a vinyl polymer, and as the vinyl polymer,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s preferable. Th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may contain a water-soluble crosslinking agent such as boric acid, borax, glutaraldehyde, melamine or oxalic acid. Particularly in the case of using a polyvinyl alcohol-based polymer film as a polarizer, it is preferable to use an adhesive containing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in terms of adhesiveness. Furthermore, an adhesive containing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having an acetacetyl group is more preferable in terms of improving durability. The water-based adhesive is usually used as an adhesive composed of an aqueous solution, and usually contains 0.5 to 60% by mass of solids.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로는, 단관능 및 2 관능 이상의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화합물이나 비닐기를 갖는 화합물을 경화성 성분으로서 사용하는 것 이외에, 에폭시 화합물이나 옥세탄 화합물과 광산 발생제를 주체로 하는 광 카티온 형 경화 성분을 사용할 수도 있다. 활성 에너지선으로는, 전자선이나 자외선을 사용할 수 있다. As the active energy ray curable adhesive, besides the use of a compound having a monofunctional or bifunctional (meth) acryloyl group or a compound having a vinyl group as a curable component, an epoxy compound or an oxetane compound and a photoacid generator as main components Based curing component may be used. As the active energy ray, an electron beam or ultraviolet ray can be used.

또 상기 접착제에는 금속 화합물 필러를 함유시킬 수 있다. 금속 화합물 필러에 의해 접착제층의 유동성을 제어할 수 있고, 막두께를 안정화시켜, 양호한 외관을 갖고, 면내가 균일하여 접착성의 편차가 없는 편광판이 얻어진다. The adhesive may contain a metal compound filler. The flowability of the adhesive layer can be controlled by the metal compound filler and the film thickness is stabilized to obtain a polarizing plate having a good appearance and uniform surface irregularity and no deviation in adhesion.

접착제층의 형성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접착제를 대상물에 도포하고, 이어서 가열 또는 건조시킴으로서 형성할 수 있다. 접착제의 도포는 본 발명의 편광자 보호 필름 또는 광학 필름에 대해 실시해도 되고, 편광자에 대해 실시해도 된다. 접착제층을 형성한 후, 편광자 보호 필름 혹은 광학 필름과 편광자를 밀어서 맞춤으로써 양자를 적층할 수 있다. 적층에 있어서는 롤 프레스기나 평판 프레스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가열 건조 온도, 건조 시간은 접착제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결정된다. The method of forming the adhesive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it can be formed by applying the adhesive to an object, followed by heating or drying. The application of the adhesive may be carried out with respect to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or optical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carried out with respect to the polarizer. After the adhesive layer is formed,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or the optical film and the polarizer can be pushed and aligned to laminate them. For lamination, a roll press machine, a flat press machine, or the like can be used. The heating drying temperature and drying time are appropriately determined depending on the kind of the adhesive.

접착제층의 두께는, 건조 상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0.01 ∼ 10 ㎛, 더욱 바람직하게는 0.03 ∼ 5 ㎛ 이다.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in the dried state is preferably 0.01 to 10 占 퐉, more preferably 0.03 to 5 占 퐉.

본 발명의 편광판에 형성할 수 있는 접착 용이층은, 편광자 보호 필름과 편광자가 접하는 면의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접착 용이층은 접착 용이 처리 등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접착 용이 처리로는,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 저압 UV 처리 등의 표면 처리를 들 수 있다. 또, 접착 용이층은, 앵커층을 형성하는 방법, 또는 상기 표면 처리와 앵커층을 형성하는 방법의 병용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코로나 처리, 앵커층을 형성하는 방법, 및 이것들을 병용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The easy adhesion layer which can be formed on 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mprove the adhesion between the polarizing protective film and the surface on which the polarizing film is in contact. The adhesion facilitating layer can be formed by an easy adhesion treatment or the like. Examples of the adhesion facilitating treatment include surface treatments such as corona treatment, plasma treatment, and low-pressure UV treatment. The adhesion-facilitating layer can be formed by a method of forming an anchor layer, or a combination of the surface treatment and the method of forming an anchor layer. Among them, a corona treatment, a method of forming an anchor layer, and a method of using them in combination are preferable.

상기 앵커층으로는, 예를 들어,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실리콘층을 들 수 있다.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실리콘층의 재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의 알콕시실란올류, 아미노기 함유 알콕시실란올류, 메르캅토기 함유 알콕시실란올류, 카르복시 함유 알콕시실란올류, 에폭시기 함유 알콕시실란올류, 비닐형 불포화기 함유 알콕시실란올류, 할로겐기 함유 알콕시실란올류,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 알콕시실란올류를 들 수 있다. 이들 중, 아미노계 실란올이 바람직하다. 실란올을 효율적으로 반응시키기 위한 티탄계 촉매나 주석계 촉매를 상기 실란올에 첨가함으로써, 접착력을 강고하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반응성 관능기를 갖는 실리콘에 다른 첨가제를 첨가해도 된다. 다른 첨가제로는, 테르펜 수지, 페놀 수지, 테르펜-페놀 수지, 로진 수지, 자일렌 수지등의 점착 부여제 ;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내열 안정제 등의 안정제 등을 들 수 있다. 또, 앵커층으로서,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 수지를 비누화시킨 것으로 이루어지는 층도 들 수 있다. The anchor layer includes, for example, a silicon layer having a reactive functional group. The material of the silicon layer having a reactive functional group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alkoxysilane compounds containing an isocyanate group, amino group-containing alkoxysilanols, mercapto group-containing alkoxysilanols, carboxy-containing alkoxysilanols, Alkoxy silane compounds containing vinyl type unsaturated groups, alkoxy silane compounds containing halogen groups, and alkoxy silane compounds containing isocyanate groups. Of these, amino-based silanol is preferred. By adding a titanium-based catalyst or a tin-based catalyst for efficiently reacting silanol to the silanol, the adhesion can be strengthened. Other additives may be added to the silicon having the reactive functional group. Other additives include tackifier such as terpene resin, phenol resin, terpene-phenol resin, rosin resin and xylene resin; Stabilizers such as ultraviolet absorbers, antioxidants and heat-resistant stabilizers. As the anchor layer, a layer formed by saponifying a cellulose acetate butyrate resin is also exemplified.

상기 앵커층은 공지된 기술에 의해 도공, 건조시켜 형성된다. 앵커층의 두께는 건조 상태에서 바람직하게는 1 ∼ 100 ㎚,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50 ㎚ 이다. 도공시, 앵커층 형성용 약액을 용제로 희석해도 된다. 희석 용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알코올류를 들 수 있다. 희석 농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1 ∼ 5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3 질량% 이다. The anchor layer is formed by coating and drying by a known technique. The thickness of the anchor layer in the dried state is preferably 1 to 100 nm, more preferably 10 to 50 nm. At the time of coating, the anchor layer forming chemical liquid may be diluted with a solvent. The diluting solv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alcohols may be mentioned. The dilution concentra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1 to 5% by mass, and more preferably 1 to 3% by mass.

광학 필름 (16) 은 본 발명의 편광자 보호 필름이어도 되고, 다른 임의의 적절한 광학 필름이어도 된다. 사용되는 광학 필름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셀룰로오스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고리형 폴리올레핀 수지, 메타크릴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필름을 들 수 있다. The optical film 16 may be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ny other suitable optical film. The optical film to be use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a film made of a cellulose resin, a polycarbonate resin, a cyclic polyolefin resin, a methacrylic resin, or the like.

셀룰로오스 수지는, 셀룰로오스와 지방산의 에스테르이다. 이와 같이 셀룰로오스에스테르계 수지의 구체예로는, 셀룰로오스트리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디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트리프로피오네이트, 세룰로오스디프로피오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셀룰로오스트리아세테이트가 특히 바람직하다. 셀룰로오스트리아세테이트는 많은 제품이 시판되고 있으며, 입수 용이성이나 비용 면에서도 유리하다. 셀룰로오스트리아세테이트의 시판품의 예로는, 후지 필름 사 제조의 상품명 「UV-50」, 「UV-80」, 「SH-80」, 「TD-80U」, 「TD-TAC」, 「UZ-TAC」나, 코니카 미놀타사 제조의 「KC 시리즈」등을 들 수 있다. Cellulose resins are esters of cellulose and fatty acids. Specific examples of the cellulose ester-based resin include cellulose triacetate, cellulose diacetate, cellulose tripropionate, and cellulose dipropionate. Of these, cellulose triacetate is particularly preferable. Many products of cellulose triacetate are commercially available and are advantageous in terms of availability and cost. Examples of commercially available products of cellulose triacetate include UV-50, UV-80, SH-80, TD-80U, TD-TAC and UZ- KC series manufactured by Konica Minolta Co., Ltd., and the like.

고리형 폴리올레핀 수지는, 고리형 올레핀을 중합 단위로 하여 중합되는 수지의 총칭으로,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240517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3-1488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3-122137호 등에 기재되어 있는 수지를 들 수 있다. 구체예로는, 고리형 올레핀의 개환 (공)중합체, 고리형 올레핀의 부가 중합체, 고리형 올레핀과 에틸렌, 프로필렌 등의 α-올레핀과 그 공중합체 (대표적으로는 랜덤 공중합체), 및 이것들을 불포화 카르복실산이나 그 유도체에 의해 변성시킨 그래프트 중합체, 그리고, 그것들의 수소화물 등을 들 수 있다. 고리형 올레핀의 구체예로는 노르보르넨계 모노머를 들 수 있다. The cyclic polyolefin resin is a general term of a resin polymerized by using a cyclic olefin as a polymerization unit and includes, for example, those described in JP-A-1-240517, JP-A-3-14882, JP- 3-122137 and the like. Specific examples thereof include ring-opened (co) polymers of cyclic olefins, addition polymers of cyclic olefins, copolymers of cyclic olefins and? -Olefins such as ethylene and propylene (typically, random copolymers) A graft polymer modified by an unsaturated carboxylic acid or a derivative thereof, and hydrides thereof. Specific examples of cyclic olefins include norbornene monomers.

고리형 폴리올레핀 수지로는 여러 가지 제품이 시판되고 있다. 구체예로는 닛폰 제온사 제조의 상품명 「제오넥스」, 「제오노아」, JSR 사 제조의 상품명 「아톤」, 폴리플라스틱스사 제조의 상품명 「토파스」, 미츠이 화학사 제조의 상품명 「APEL」을 들 수 있다. As the cyclic polyolefin resin, various products are commercially available. Specific examples thereof include trade names "Zeonex" and "Zeonoa" manufactured by Nippon Zeon Corporation, "Aton" manufactured by JSR Corporation, "Topaz" manufactured by Polyplastics Co., and "APEL" have.

광학 필름 (16) 등의 광학 필름에 사용되는 메타크릴 수지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임의의 적절한 메타크릴 수지를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리메타크릴산메틸 등의 폴리메타크릴산에스테르, 메타크릴산메틸-(메트)아크릴산 공중합, 메타크릴산메틸-(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아크릴산에스테르-(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메트)아크릴산메틸-스티렌 공중합체 (MS 수지 등), 지환족 탄화수소기를 갖는 중합체 (예를 들어, 메타크릴산메틸-메타크릴산시클로헥실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메트)아크릴산노르보르닐 공중합체 등) 를 들 수 있다. As the methacrylic resin used for the optical film such as the optical film 16, any appropriate methacrylic resin may be employed within the range not hindering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eth) acrylic acid copolymer, methacrylic acid methyl- (meth) acrylate copolymer, methyl methacrylate-acrylate ester- (meth) acrylate copolymer, Styrene copolymer (MS resin), a polymer having an alicyclic hydrocarbon group (e.g., methyl methacrylate-cyclohexyl methacrylate copolymer, methyl methacrylate-methyl methacrylate copolymer, (Meth) acrylate norbornyl copolymer).

광학 필름 (16) 등의 광학 필름에 사용되는 메타크릴 수지의 구체예로서, 예를 들어, 미츠비시 레이욘사 제조의 아크리펫 VH 나 아크리펫 VRL20A,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033237호나 WO2013/005634호 공보에 기재된 메타크릴산메틸과 말레이미드 계 단량체를 공중합한 아크릴 수지, WO2005/108438호 공보에 기재된 분자 내에 고리 구조를 갖는 아크릴 수지,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197151호에 기재된 분자 내에 고리 구조를 갖는 메타크릴 수지, 분자 내 가교나 분자 내 고리화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고유리 전이 온도 (Tg) 메타크릴 수지를 들 수 있다. As specific examples of the methacrylic resin used for the optical film such as the optical film 16, for example, acrylate VH or acryphet VRL20A manufactured by Mitsubishi Rayon Co., Ltd.,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13-033237 or WO2013 / 005634 An acrylic resin having a ring structure in the molecule described in WO2005 / 108438, an acrylic resin having a ring structure in the molecule described in JP-A-2009-197151, an acrylic resin obtained by copolymerizing methyl methacrylate and maleimide- Methacrylic resin having a high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obtained by intramolecular crosslinking or intramolecular cyclization.

메타크릴 수지로서, 락톤 고리 구조를 갖는 메타크릴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높은 내열성, 높은 투명성, 2 축 연신함으로써 높은 기계적 강도를 갖기 때문이다. As the methacrylic resin, a methacrylic resin having a lactone ring structure may be used. High heat resistance, high transparency, and high mechanical strength by biaxial stretching.

상기 락톤 고리 구조를 갖는 메타크릴 수지로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23001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15181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12032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25454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146084호 등에 기재된 락톤 고리 구조를 갖는 메타크릴 수지를 들 수 있다. As the methacrylic resin having a lactone ring structure, there can be mentioned, for example, JP-A 2000-230016, JP-A 2001-151814, JP-A 2002-120326, JP-A 2002-254544, And a methacrylic resin having a lactone ring structure described in Patent Publication No. 2005-146084.

본 발명의 편광판은 화상 표시 장치에 사용할 수 있다. 화상 표시 장치의 구체예로는,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EL)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PD),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 (FED : Field Emission Display) 와 같은 자발광형 표시 장치, 액정 표시 장치를 들 수 있다. 액정 표시 장치는 액정 셀과, 당해 액정 셀의 적어도 편측에 배치된 상기 편광판을 갖는다. 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an image display apparatus. Specific examples of the image display device include a self-emission type display device such as an electroluminescence (EL) display, a plasma display (PD), a field emission display (FED), and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he liquid crystal display has a liquid crystal cell and the polarizer dispos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liquid crystal cell.

본 발명의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은, 메타크릴 수지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균일하게 상용되기 때뮨애 투명성이 높고, 또, 연신시켜도 두께 방향의 위상차가 작다. 또, 얻어지는 필름은 연신성이 높은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에 의하면, 얇고, 면내 균일성이 우수하고, 표면 평활성이 높은 필름을 얻을 수 있다. 또, 낮은 온도에서의 연신이 가능해지고, 강도가 큰 필름이 얻어진다. 또한, 메타크릴 수지의 신디오택티시티 (rr) 를 특정값으로 함으로써, 내열성을 높게 하여, 열수축률이 작은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The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igh transparency when the methacrylic resin and the polycarbonate resin are uniformly used and has a high retarda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even when stretched. In addition, the film obtained is highly stretchable. Therefore, according to the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lm which is thin, has excellent in-plane uniformity and high surface smoothness can be obtained. Further, stretching at a low temperature becomes possible, and a film having high strength can be obtained. Further, by setting the syndiotacticity (rr) of the methacrylic resin to a specific valu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film having a high heat resistance and a small heat shrinkage ratio.

실시예Example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물성값 등의 측정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실시하였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The measurement of the physical properties and the like was carried out by the following method.

(중합 전화율)(Polymerization conversion ratio)

시마즈 제작소사 제조 가스 크로마토그래프 GC-14A 에, 칼럼으로서 GL Sciences Inc.사 제조 Inert CAP 1 (df = 0.4 ㎛, 0.25 ㎜ I.D. × 60 m) 을 연결하고, 인젝션 온도를 180 ℃ 로, 검출기 온도를 180 ℃ 로, 칼럼 온도를 60 ℃ (5 분간 유지) 부터 승온 속도 10 ℃/분으로 200 ℃ 까지 승온시켜, 10 분간 유지하는 조건으로 설정하고, 측정을 실시하여, 이 결과에 기초하여 중합 전화율을 산출하였다. Inert CAP 1 (df = 0.4 μm, 0.25 mm ID × 60 m) manufactured by GL Sciences Inc. was connected as a column to a gas chromatograph GC-14A manufactured by Shimadzu Corporation. The injection temperature was 180 ° C. and the detector temperature The temperature was raised to 180 占 폚, the column temperature was raised from 60 占 폚 (held for 5 minutes) to 200 占 폚 at a temperature raising rate of 10 占 폚 / min, and held for 10 minutes. Measurements were carried out, Respectively.

(중량 평균 분자량 (Mw), 분자량 분포 (Mw/Mn))(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Mw),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Mw / Mn))

각 제조예,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메타크릴 수지 및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의 Mw 및 분자량 분포는, 겔 퍼미에이션 크로마토그래피 (GPC) 로 하기 조건에서 크로마토그램을 측정하고, 표준 폴리스티렌의 분자량으로 환산한 값을 산출하였다. 베이스라인은 GPC 차트의 고분자량측의 피크의 기울기가 유지 시간이 빠른쪽에서 보았을 때 제로에서 플러스로 변화하는 점과, 저분자량측의 피크의 기울기가 유지 시간이 빠른쪽에서 보았을 때 마이너스에서 제로로 변화하는 점을 연결한 선으로 하였다. The Mw and the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of the methacrylic resin and the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obtained in each of Production Examples,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measured by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and the molecular weight of the standard polystyrene And one value was calculated. The baseline indicates that the slope of the peak on the high molecular weight side of the GPC chart changes from zero to positive when viewed from the fast retention time and from the negative to zero when the slope of the peak on the low molecular weight side is viewed from the fast retention time side And the line connecting the points.

GPC 장치 : 토소사 제조, HLC-8320 GPC apparatus: manufactured by Toso Co., Ltd., HLC-8320

검출기:시차 굴절률 검출기 Detector: differential refractive index detector

칼럼 : 토소사 제조의 TS㎏el Super Multipore HZM-M 2 개와 Superhz4000 을 직렬로 연결한 것을 사용하였다. Column: TS KGel Super Multipore HZM-M manufactured by Toso Co., Ltd. and Superhz 4000 were connected in series.

용리제 : 테트라하이드로푸란 Eluent: tetrahydrofuran

용리제 유량 : 0.35 ㎖/분 Flow rate of eluent: 0.35 ml / min

칼럼 온도 : 40 ℃Column temperature: 40 DEG C

검량선 : 표준 폴리스티렌 10 점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작성Calibration curve: Created using 10 points of standard polystyrene

(점도 평균 분자량 (Mv))(Viscosity average molecular weight (Mv))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점도 평균 분자량은, 우베로데 점도계를 사용하여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0.5 g 을 염화메틸렌 100 ㎖ 에 용해시킨 용액의 비점도 ηsp 를 20 ℃ 에서 측정하고, 하기 Schnell 의 식을 만족하는 값으로서 20 ℃ 의 염화메틸렌 용액의 극한 점도 [η] 로부터 산출하였다. The viscosity averag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carbonate resin was determined by measuring the specific viscosity? Sp at 20 占 폚 of a solution obtained by dissolving 0.5 g of polycarbonate resin in 100 ml of methylene chloride using a Uberolde viscometer and calculating a value satisfying the following Schnell equation Was calculated from the intrinsic viscosity [?] Of a methylene chloride solution at 20 占 폚.

ηsp/c = [η] + 0.45 × [η]2c η sp / c = [η] + 0.45 × [η] 2 c

(단 [η] 는 극한 점도, 상기 조건에서는 c = 0.5)([Eta] is an intrinsic viscosity, c = 0.5 in the above condition)

[η] = 1.23 × 10-4Mv0.83 [?] = 1.23 10 -4 Mv 0.83

(3 연자 표시의 신디오택티시티 (rr))(Syndiotacticity (rr) of three consecutive characters)

메타크릴 수지의 1H-NMR 스펙트럼을, 핵자기 공명 장치 (Bruker 사 제조 ULTRA SHIELD 400 PLUS) 를 사용하고, 용매로서 중수소화 클로로포름을 사용하여, 실온, 적산 횟수 64 회의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그 스펙트럼으로부터 TMS 를 0 ppm 으로 했을 때의 0.6 ∼ 0.95 ppm 영역의 면적 (X) 과, 0.6 ∼ 1.35 ppm 영역의 면적 (Y) 을 계측하고, 이어서, 3 연자 표시의 신디오택티시티 (rr) 를 식 : (X/Y) × 100 으로 산출하였다. The 1 H-NMR spectrum of the methacrylic resin was measured using a nuclear magnetic resonance apparatus (ULTRA SHIELD 400 PLUS manufactured by Bruker) and deuterated chloroform as a solvent at room temperature and the number of integration times of 64 times. The area X of 0.6 to 0.95 ppm area and the area Y of 0.6 to 1.35 ppm area when TMS was set to 0 ppm were measured from the spectrum and then the syndiotacticity rr of three- Was calculated by the formula: (X / Y) x 100.

(유리 전이 온도 Tg)(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g)

메타크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을, JIS K7121 에 준거하여 시차 주사 열량 측정 장치 (시마즈 제작소 제조, DSC-50 (품번)) 를 사용하여, 230 ℃ 까지 한 번 승온시키고, 이어서 실온까지 냉각시키고, 그 후, 실온부터 230 ℃ 까지를 10 ℃/분으로 승온시키는 조건에서 DSC 곡선을 측정하였다. 2 번째의 승온시에 측정되는 DSC 곡선으로부터 구해지는 중간점 유리 전이 온도를 본 발명에 있어서의 유리 전이 온도로 하였다. The methacrylic resin, the polycarbonate resin and the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were once heated up to 230 占 폚 by using a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er (DSC-50 (part number), manufactured by Shimadzu Corporation) according to JIS K7121, , And then the DSC curve was measured under the condition of raising the temperature from room temperature to 230 캜 at a rate of 10 캜 / minute. The midpoint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which is obtained from the DSC curve measured at the second rise in temperature, is defined as the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in the present invention.

(멜트 매스 플로 레이트 (MFR))(Melt mass flow rate (MFR))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필름의 제조에 사용한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의 원료인 메타크릴 수지를, JIS K7210 에 준거하여 230 ℃, 3.8 ㎏ 하중, 10 분간의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In each of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the methacrylic resin as the raw material of the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used in the production of the film was measured under the conditions of 230 占 폚 and a load of 3.8 kg for 10 minutes in accordance with JIS K7210.

(멜트 볼륨 플로 레이트 (MVR)) (Melt Volume Flow Rate (MVR))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필름의 제조에 사용한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의 원료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JIS K7210에 준거하여 300 ℃, 1.2 ㎏ 하중, 10 분간의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The polycarbonate resin as a raw material of the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used in the production of the film in each of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as measured under the conditions of 300 캜 and 1.2 kg load for 10 minutes in accordance with JIS K7210.

(표면 평활성)(Surface smoothness)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2 축 연신 필름의 표면을 육안으로 관찰하고 이하의 기준으로 표면 평활성을 평가하였다. The surfaces of the biaxially stretched films obtained in each of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visually observed and the surface smoothness was evalu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A : 표면이 평활하다. A: The surface is smooth.

B : 표면에 요철이 있다. B: The surface has irregularities.

(고분자 가공 보조제의 평균 중합도)(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the polymer processing aid)

자동 희석형 모세관 점도계 (우베로데형, 모세관 내경 = 0.5 ㎜) 를 사용하고, 클로로포름을 용매로 하여 20 ℃ 에서 측정하여, PMMA 환산 중합도로 구하였다. The measurement was carried out at 20 占 폚 using chloroform as a solvent using an auto-dilution type capillary viscometer (Uebero type, capillary inner diameter = 0.5 mm), and the degree of polymerization in terms of PMMA was determined.

(가열 수축률)(Heat shrinkage ratio)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2 축 연신 필름으로부터 100 ㎜ × 30 ㎜ 의 시험편을 잘라내어, 그 표면에 70 ㎜ 길이의 직선을 기입하고, 110 ℃ 의 온도로 유지된 강제 온풍 순환식 항온 오븐 내에서 30 분간 가열 후, 기입한 직선의 길이 (L (㎜)) 를 스케일로 판독하여, 하기 식에 의해 가열 수축률을 구하였다. A test piece of 100 mm x 30 mm was cut out from the biaxially stretched film obtained in each of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nd a straight line having a length of 70 mm was written on the surface of the biaxially stretched film and heated in a hot air circulating heating oven maintained at a temperature of 110 캜 After heating for 30 minutes, the length (L (mm)) of the straight line written was read in scale, and the heat shrinkage rate wa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formula.

가열 수축률 (%) = (70 - L)/70 × 100Heat shrinkage percentage (%) = (70 - L) / 70 x 100

(전광선 투과율)(Total light transmittance)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2 축 연신 필름으로부터 50 ㎜ × 50 ㎜ 의 시험편을 잘라내어, JIS K7361-1 에 준거하여 헤이즈 미터 (무라카미 색채 연구소 제조, HM-150) 를 사용하여 그 전광선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또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의 평가는, 1.0 ㎜ 두께의 성형체를 열 프레스로 성형하여, 전광선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Test specimens of 50 mm x 50 mm were cut out from the biaxially stretched films obtained in the respectiv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nd the total light transmittance was measured using a haze meter (HM-150 manufactured by Murakami Color Research Laboratory) according to JIS K7361-1 Respectively. The evaluation of the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was carried out by molding a molded article having a thickness of 1.0 mm in a hot press, and measuring the total light transmittance.

(헤이즈)(Hayes)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2 축 연신 필름으로부터 50 ㎜ × 50 ㎜ 의 시험편을 잘라내어, JIS K7136 에 준거하여 헤이즈 미터 (무라카미 색채 연구소 제조, HM-150) 를 사용하여 그 헤이즈를 측정하였다. 또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의 평가는, 1.0 ㎜ 두께의 성형체를 열 프레스로 성형하여 헤이즈를 측정하였다. Test specimens of 50 mm x 50 mm were cut out from the biaxially stretched films obtained in the respectiv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nd the haze thereof was measured using a haze meter (HM-150 manufactured by Murakami Color Research Laboratory) according to JIS K7136. The evaluation of the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was carried out by forming a molded article having a thickness of 1.0 mm in a hot press and measuring the haze.

(두께 방향 위상차 Rth 및 면내 방향 위상차 Re)(Thickness direction retardation Rth and in-plane direction retardation Re)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2 축 연신 필름으로부터 40 ㎜ × 40 ㎜ 의 시험편을 잘라내었다. 이 시험편을, 자동 복굴절계 (오지 계측사 제조 KOBRA-WR) 를 사용하여, 온도 23 ± 2 ℃, 습도 50 ± 5 % 에 있어서, 파장 590 ㎚, 40 °경사 방향의 위상차값으로부터 3 차원 굴절률 nx, ny, nz 를 구하여, 전술한 식으로부터 두께 방향 위상차 Rth 및 면내 방향 위상차 Re 를 계산하였다. 시험편의 두께 d (㎚) 는, 디지매틱인디게이터 (미츠토요사 제조) 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굴절률 n 은, 디지털 정밀 굴절계 (컬뉴 광학 공업사 제조 KPR-20) 로 측정하였다. Test specimens of 40 mm x 40 mm were cut out from the biaxially stretched films obtained in each of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Using the automatic birefringence system (KOBRA-WR manufactured by Oji Measurement Co., Ltd.), at a temperature of 23 ± 2 ° C and a humidity of 50 ± 5%, a three-dimensional refractive index nx , ny and nz were determined, and the thickness direction retardation Rth and in-plane direction retardation Re were calculated from the above-mentioned formulas. The thickness d (nm) of the test piece was measured using Digimatic Indicator (manufactured by Mitsutoyo Corporation), and the refractive index n was measured with a digital precision refractometer (KPR-20 manufactured by Curie Optical Co., Ltd.).

(연신성)(Extensibility)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미연신 필름을 2 축 연신할 때, 이하의 기준으로 연신성을 평가하였다. 연신은 미연신 필름을 100 ㎜ × 100 ㎜ 로 잘라내어, 팬터그래프식 2 축 연신 시험기 (토요 세이키사 제조) 에 의해, 유리 전이 온도 +10 ℃ 의 연신 온도, 일 방향 120 %/분의 연신 속도, 일 방향 2 배의 연신 배율로 축차 2 축 연신한 후 (면적비로 4 배), 10 초 유지하고, 이어서 냉각시켰다. When the unoriented films obtained in the respectiv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biaxially stretched, the stretchability was evaluated by the following criteria. The unstretched film was cut into 100 mm x 100 mm and stretched by a pantograph type biaxial stretching tester (manufactured by Toyobo Co., Ltd.) at a stretching temperature of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10 DEG C, a stretching speed of 120% / min in one direction, After being biaxially stretched at a draw ratio of 2 times (four times in area ratio), the resultant was held for 10 seconds and then cooled.

A : 균열이나 크랙이 없는 필름을 10 샘플 중, 5 샘플 이상 취득할 수 있던 것. A: It was possible to obtain more than 5 samples out of 10 samples without crack and crack.

B : 균열이나 크랙이 없는 필름을 10 샘플 중, 4 샘플 이하밖에 취득할 수 없었던 것. B: The film without cracks or cracks could be obtained for only 4 samples out of 10 samples.

<제조예 1> 교반 날개와 삼방 코크가 장착된 5 ℓ 의 유리제 반응 용기 내를 질소로 치환하였다. 이것에 실온하에서, 톨루엔 1600 g, 1,1,4,7,10,10-헥사메틸트리에틸렌테트라민 2.49 g (10.8 m㏖), 농도 0.45 M 의 이소부틸비스(2,6-디-t-부틸-4-메틸페녹시)알루미늄의 톨루엔 용액 53.5 g (30.9 m㏖), 및 농도 1.3 M 의 sec-부틸리튬의 용액 (용매 : 시클로헥산 95 질량%, n-헥산 5 질량%) 6.17 g (10.3 m㏖) 을 주입하였다. 교반하면서, 이것에 증류 정제한 메타크릴산메틸 550 g 을 -20 ℃ 에서 30 분간에 걸쳐 적하하였다. 적하 종료 후, -20 ℃ 에서 180 분간 교반하였다. 용액의 색이 황색에서 무색으로 바뀌었다. 이 시점에 있어서의 메타크릴산메틸의 중합 전화율은 100 % 였다. 얻어진 용액에 톨루엔 1500 g 을 첨가하여 희석하였다. 이어서, 그 희석액을 메탄올 100 ㎏ 에 부어 넣고 침전물을 얻었다. 얻어진 침전물을 80 ℃, 140 ㎩ 에서 24 시간 건조시켜, Mw 가 96100 이고, 분자량 분포가 1.07 이고, 신디오택티시티 (rr) 가 83 % 이고, 유리 전이 온도가 133 ℃ 이고, 또한 메타크릴산메틸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비율이 100 질량% 인 메타크릴 수지 [PMMA1] 을 얻었다. PREPARATION EXAMPLE 1 A 5 L glass reaction vessel equipped with a stirring blade and a three-way cock was substituted with nitrogen. To this were added at room temperature 1600 g of toluene, 2.49 g (10.8 mmol) of 1,1,4,7,10,10-hexamethyltriethylenetetramine, 2,6-di-t- 53.5 g (30.9 mmol) of a toluene solution of tert-butyl-4-methylphenoxy) aluminum and a solution of sec-butyllithium at a concentration of 1.3 M (solvent: 95% by mass of cyclohexane and 5% by mass of n-hexane) (10.3 mmol). While stirring, 550 g of methyl methacrylate distilled and purified therefrom was added dropwise at -20 占 폚 for 30 minutes. After completion of the dropwise addition, the mixture was stirred at -20 占 폚 for 180 minutes. The color of the solution changed from yellow to colorless. The polymerization conversion rate of the methyl methacrylate at this point was 100%. To the obtained solution, 1500 g of toluene was added and diluted. Subsequently, the diluted solution was poured into 100 kg of methanol to obtain a precipitate. The obtained precipitate was dried at 80 占 폚 and 140 Pa for 24 hours to obtain a copolymer having Mw of 96100, a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of 1.07, syndiotacticity (rr) of 83%,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133 占 폚, To obtain a methacrylic resin [PMMA1] having a proportion of the structural units derived from the monomer (A) of 100% by mass.

<제조예 2> 교반 날개와 삼방 코크가 장착된 5 ℓ 의 유리제 반응 용기 내를 질소로 치환하였다. 이것에 실온하에서, 톨루엔 1600 g, 1,1,4,7,10,10-헥사메틸트리에틸렌테트라민 2.49 g (10.8 m㏖), 농도 0.45 M 의 이소부틸비스 (2,6-디-t-부틸-4-메틸페녹시)알루미늄의 톨루엔 용액 53.5 g (30.9 m㏖), 및 농도 1.3 M 의 sec-부틸리튬의 용액 (용매 : 시클로헥산 95 %, n-헥산 5 %) 6.17 g (10.3 m㏖) 을 주입하였다. 교반하면서, 이것에 증류 정제한 메타크릴산메틸 550 g 을 20 ℃ 에서 30 분에 걸쳐 적하하였다. 적하 종료 후, 20 ℃ 에서 90 분간 교반하였다. 용액의 색이 황색에서 무색으로 바뀌었다. 이 시점에 있어서의 메타크릴산메틸의 중합 전화율은 100 % 였다. PREPARATION EXAMPLE 2 A 5 L glass reaction vessel equipped with a stirring blade and a three-way cock was substituted with nitrogen. To this were added at room temperature 1600 g of toluene, 2.49 g (10.8 mmol) of 1,1,4,7,10,10-hexamethyltriethylenetetramine, 2,6-di-t- 6.15 g (10.3 mmol) of a toluene solution of 53.5 g (30.9 mmol) of a toluene solution of tert-butyl-4-methylphenoxy) aluminum and a solution of sec- respectively. While stirring, 550 g of methyl methacrylate distilled and purified therefrom was added dropwise at 20 DEG C over 30 minutes. After completion of dropwise addition, the mixture was stirred at 20 占 폚 for 90 minutes. The color of the solution changed from yellow to colorless. The polymerization conversion rate of the methyl methacrylate at this point was 100%.

얻어진 용액에 톨루엔 1500 g 을 첨가하여 희석하였다. 이어서, 희석액을 메탄올 100 ㎏ 에 부어 넣고 침전물을 얻었다. 얻어진 침전물을 80 ℃, 140 ㎩ 에서 24 시간 건조시켜, Mw 가 81400 이고, 분자량 분포가 1.08 이고, 신디오택티시티 (rr) 가 73 % 이고, 유리 전이 온도가 131 ℃ 이고, 또한 메타크릴산메틸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이 100 질량% 인 메타크릴 수지 [PMMA2] 를 얻었다. To the obtained solution, 1500 g of toluene was added and diluted. Subsequently, the diluted solution was poured into 100 kg of methanol to obtain a precipitate. The resulting precipitate was dried at 80 DEG C and 140 Pa for 24 hours to obtain a copolymer having an Mw of 81400, a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of 1.08, a syndiotacticity (rr) of 73%,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131 DEG C and a methyl methacrylate To obtain a methacrylic resin [PMMA2] having a content of a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100% by mass.

<제조예 3> 교반기 및 채취관이 장착된 오토클레이브 내를 질소로 치환하였다. 이것에 정제된 메타크릴산메틸 100 질량부, 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오니트릴) (수소 인발능 : 1 %, 1 시간 반감기 온도 : 83 ℃) 0.0052 질량부, 및 n-옥틸메르캅탄 0.28 질량부를 넣고 교반하여 원료액을 얻었다. 이러한 원료액 중에 질소를 보내, 원료액 중의 용존 산소를 제거하였다. PREPARATION EXAMPLE 3 In an autoclave equipped with a stirrer and a sampling tube, nitrogen was substituted. To this, 0.0052 parts by mass of purified methyl methacrylate, 0.0052 parts by mass of 2,2'-azobis (2-methylpropionitrile) (hydrogen-withdrawing ability: 1%, 1 hour half-life temperature: 83 ° C) And 0.28 parts by mass of octyl mercaptan were added and stirred to obtain a raw material liquid. Nitrogen was sent to the raw material liquid to remove dissolved oxygen in the raw material liquid.

오토클레이브와 배관으로 접속된 조형 반응기에 용량의 2/3 까지 원료액을 넣었다. 온도를 140 ℃ 로 유지하여 먼저 배치 방식으로 중합 반응을 개시시켰다. 중합 전화율이 55 질량% 가 된 시점에서, 평균 체류 시간 150 분이 되는 유량으로, 원료액을 오토클레이브로부터 조형 반응기에 공급하고, 또한 원료액의 공급 유량에 상당하는 유량으로, 반응액을 조형 반응기로부터 빼내어, 온도 140 ℃ 로 유지하고, 연속 유통 방식의 중합 반응으로 전환하였다. 전환 후, 정상 상태에 있어서의 중합 전화율은 55 질량% 였다. The raw material liquid was added to the plastic reactor connected with the autoclave and the piping up to 2/3 of the capacity. The polymerization was first initiated by keeping the temperature at 140 < 0 > C. When the polymerization conversion rate reached 55 mass%, the raw material liquid was supplied from the autoclave to the molding reactor at an average residence time of 150 minutes, and the reaction liquid was discharged from the molding reactor at a flow rate corresponding to the feed flow rate of the raw material liquid The temperature was maintained at 140 캜 and the polymerization reaction was changed to a continuous flow system. After the conversion, the polymerization conversion rate in the steady state was 55 mass%.

정상 상태가 된 조형 반응기로부터 빼낸 반응액을, 평균 체류 시간 2 분간이 되는 유량으로 내온 230 ℃ 의 다관식 열교환기에 공급하여 가온하였다. 이어서 가온된 반응액을 플래시 증발기에 도입하고, 미반응 단량체를 주성분으로 하는 휘발분을 제거하여 용융 수지를 얻었다. 휘발분이 제거된 용융 수지를 내온 260 ℃ 의 2 축 압출기에 공급하여 스트랜드상으로 토출하고, 펠릿타이저로 커트하여, 펠릿상의 Mw 가 82000 이고, 분자량 분포가 1.85 이고, 신디오택티시티 (rr) 가 52 % 이고, 유리 전이 온도가 120 ℃ 이고, 또한 메타크릴산메틸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이 100 질량% 인 메타크릴 수지 [PMMA3] 을 얻었다. The reaction liquid withdrawn from the shaping reactor in the steady state was supplied to a multitubular heat exchanger having a temperature of 230 DEG C, which was cooled to a flow rate at which the average residence time was 2 minutes, and then heated. Subsequently, the warmed reaction liquid was introduced into a flash evaporator, and volatile matter containing an unreacted monomer as a main component was removed to obtain a molten resin. The molten resin from which the volatile components were removed was fed to a twin screw extruder having an internal temperature of 260 DEG C and discharged into a strand shape and cut into a pelletizer to give a pellet-like Mw of 82000, a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of 1.85, a syndiotacticity (rr) Of 52%,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120 占 폚, and a content of a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methyl methacrylate of 100% by mass.

<제조예 4> n-옥틸메르캅탄의 양을 0.225 질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3 과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여, Mw 가 103600 이고, 분자량 분포가 1.81 이고, 신디오택티시티 (rr) 가 52 % 이고, 유리 전이 온도가 120 ℃ 이고, 또한 메타크릴산메틸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비율이 100 질량% 인 메타크릴 수지 [PMMA4] 를 얻었다. Production Example 4 The same operations as in Production Example 3 were carried out except that the amount of n-octylmercaptan was changed to 0.225 parts by mass to obtain a copolymer having Mw of 103600, a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of 1.81 and syndiotacticity (rr) of 52 %,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120 占 폚, and a proportion of a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methyl methacrylate of 100% by mass.

<제조예 5> n-옥틸메르캅탄의 양을 0.30 질량부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제조예 3 과 동일한 조작을 실시하여, Mw 가 76400 이고, 분자량 분포가 1.81 이고, 신디오택티시티 (rr) 가 53 %, 유리 전이 온도가 119 ℃ 이고, 또한 메타크릴산메틸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이 100 질량% 인 메타크릴 수지 [PMMA5] 를 얻었다. Production Example 5 The same operations as in Production Example 3 were carried out except that the amount of n-octyl mercaptan was changed to 0.30 parts by mass to obtain a copolymer having Mw of 76400, a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of 1.81, syndiotacticity (rr) of 53 %, A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of 119 占 폚, and a content of a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methyl methacrylate of 100% by mass.

<제조예 6> 메타크릴 수지 [PMMA2] 57 질량부 및 메타크릴 수지 [PMMA4] 43 질량부를 혼합하여 2 축 압출기 (테크노벨사 제조, 상품명 : KZW20TW-45MG-NH-600) 로 250 ℃ 에서 혼련 압출하여 메타크릴 수지 [PMMA6] 을 제조하였다. Production Example 6 57 parts by mass of a methacrylic resin [PMMA2] and 43 parts by mass of a methacrylic resin [PMMA4] were mixed and kneaded extruded at 250 占 폚 with a twin screw extruder (trade name: KZW20TW-45MG-NH- To prepare a methacrylic resin [PMMA6].

스미펙 MHF (스미토모 화학사 제조) 를 메타크릴 수지 [PMMA7] 로 하였다. SUMIPEC MHF (manufactured by Sumitomo Chemical Co., Ltd.) was used as a methacrylic resin [PMMA7].

상기 [PMMA1] ∼ [PMMA7] 의 물성을 표 1 에 나타낸다. Table 1 shows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above [PMMA1] to [PMMA7].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1

실시예에서 사용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이하에 기재하고, 물성을 표 2 에 기재하였다. The polycarbonate resin used in the examples is described below, and the physical properties thereof are shown in Table 2.

PC1 : 이데미츠 코산사 제조, 터프론 LC1700 (품번) ; MVR (300 ℃, 1.2 ㎏) = 40 ㎤/10 분, Mv = 16200 PC1: Toughron LC1700 (product number), manufactured by Idemitsu Kosan Co., Ltd.; MVR (300 캜, 1.2 ㎏) = 40 cm 3/10 min, Mv = 16200

PC2 : 미츠비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스사 제조, 유피론 HL-4000 (품번) ; MVR (300 ℃, 1.2 ㎏) = 60 ㎤/10 분, Mv = 15100 PC2: manufactured by Mitsubishi Engineering Plastic Co., Ltd., YuPiron HL-4000 (part number); MVR (300 캜, 1.2 ㎏) = 60 cm 3/10 min, Mv = 15100

PC3 : 스미카 스타이론 폴리리카보네이트사 제조, SD POLYCA SD-2201PC3: manufactured by Sumikastar Theory Polycarbonate, SD POLYCA SD-2201

W (품번) ; MVR (300 ℃, 1.2 ㎏) = 115 ㎤/10 분, Mv = 13000 W (part number); MVR (300 캜, 1.2 ㎏) = 115 cm 3/10 min, Mv = 13000

PC4 : 스미카 스타이론 폴리카보네이트사 제조, SD POLYCA TR-2001PC4: manufactured by Sumikastar Theory Polycarbonate, SD POLYCA TR-2001

(품번) ; MVR (300 ℃, 1.2 ㎏) = 200 ㎤/10 분, Mv = 11400 (Part number); MVR (300 캜, 1.2 ㎏) = 200 cm 3/10 min, Mv = 11400

PC5:미츠비시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스사 제조, AL071 ; MVR (300 ℃, 1.2 ㎏) = 1000 ㎤/10 분 이상 (유동성이 높아 정확한 측정이 곤란하였다), PC5: AL071, manufactured by Mitsubishi Engineering Plastic Co., Ltd.; MVR (300 캜, 1.2 ㎏) = 1000 cm 3/10 min or more (flowability was high and accurate measurement was difficult)

Mv = 5500 Mv = 5500

PC6 : PC4 의 50 질량부와 PC5 의 50 질량부를 혼합한 것 ; MVR (300 ℃, 1.2 ㎏) = 1000 ㎤/10 분 이상 (유동성이 높아 정확한 측정이 곤란하였다), Mv = 8500PC6: a mixture of 50 parts by mass of PC4 and 50 parts by mass of PC5; MVR (300 占 폚, 1.2 kg) = 1000 cm3 / 10 minutes or more (fluidity was high and accurate measurement was difficult), Mv = 8500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2

실시예에서 사용한 고분자 가공 보조제를 이하에 기재하였다. 또한, 여기서 MMA 는 메타크릴산메틸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의미하고, BA 는 아크릴산부틸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의미한다. The polymer processing aid used in the examples is described below. Here, MMA means a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methyl methacrylate, and BA means a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butyl acrylate.

B1 : 미츠비시 레이욘사 제조 메타브렌 P570A (평균 중합도 : 2384, MMA 53 질량%/BA 47 질량%) B1: Metabrene P570A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2384, MMA 53 mass% / BA 47 mass%) manufactured by Mitsubishi Rayon Co.,

B2 : 미츠비시 레이욘사 제조 메타브렌 P550A (평균 중합도 : 7734, MMA 88 질량%/BA 12 질량%) B2: Metabrene P550A (average polymerization degree: 7734, MMA 88 mass% / BA 12 mass%) manufactured by Mitsubishi Rayon Co.,

B3 : 쿠레하사 제조 파라로이드 K125P (평균 중합도 : 19874, MMA 79 질량%/BA 21 질량%) B3: Parabolite K125P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19874, MMA 79 mass% / BA 21 mass%) manufactured by Kureha Co.,

B4 : 미츠비시 레이욘사 제조 메타브렌 P530A (평균 중합도 : 24455, MMA 80 질량%/BA 20 질량%)B4: Metabrene P530A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24455, MMA 80 mass% / BA 20 mass%) manufactured by Mitsubishi Rayon Co.,

B5 : 미츠비시 레이욘사 제조 메타브렌 P531A (평균 중합도 : 37162, MMA 80 질량%/BA 20 질량%)B5: Metabrene P531A (average polymerization degree: 37162, MMA 80 mass% / BA 20 mass%) manufactured by Mitsubishi Rayon Co.,

자외선 흡수제로서, 2,4,6-트리스(2-하이드록시-4-헥실옥시-3-메틸페닐)-1,3,5-트리아진 (ADEKA 사 제조 ; LA-F70) 을 사용하였다. 2,4,6-tris (2-hydroxy-4-hexyloxy-3-methylphenyl) -1,3,5-triazine (LA-F70 manufactured by ADEKA) was used as the ultraviolet absorber.

<실시예 1>≪ Example 1 >

메타크릴 수지 [PMMA1] 100 질량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PC1] 2.5 질량부 및 가공 보조제 [B2] 2 질량부를 혼합하여, 2 축 압출기 (테크노벨사 제조, 상품명 : KZW20TW-45MG-NH-600) 로 250 ℃ 에서 혼련 압출하여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 [1] 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 [1] 을 열 프레스 성형하여 50 ㎜ × 50 ㎜ × 1.0 ㎜ 의 판상 성형체를 성형하고, 전광선 투과율, 헤이즈 및 유리 전이 온도를 측정하였다.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 [1] 의 물성을 표 3 에 나타낸다. 100 parts by mass of methacrylic resin [PMMA1], 2.5 parts by mass of polycarbonate resin [PC1] and 2 parts by mass of processing aid [B2] were mixed and kneaded in a twin-screw extruder (trade name: KZW20TW-45MG-NH-600) Followed by kneading extrusion at 250 DEG C to prepare a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1]. The obtained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1] was hot-pressed to form a plate-shaped molded article of 50 mm x 50 mm x 1.0 mm, and the total light transmittance, haze and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were measured. Table 3 shows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1].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 [1] 을 80 ℃ 에서 12 시간 건조시켰다. 20 ㎜φ 단축 압출기 (OCS 사 제조) 를 사용하여, 수지 온도 260 ℃ 에서,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 [1] 을 150 ㎜ 폭의 T 다이로부터 압출하고, 그것을 표면 온도 85 ℃ 의 롤로 감아, 폭 110 ㎜, 두께 160 ㎛ 의 미연신 필름을 얻었다. The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1] was dried at 80 DEG C for 12 hours. The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1] was extruded from a 150 mm wide T-die at a resin temperature of 260 占 폚 using a 20 mm? Single-axis extruder (manufactured by OCS), rolled with a roll having a surface temperature of 85 占 폚, , And an undrawn film having a thickness of 160 mu m was obtained.

상기 수법으로 얻어진 미연신 필름을 100 ㎜ × 100 ㎜ 로 잘라내어, 팬터그래프식 2 축 연신 시험기 (토요 세이키사 제조) 에 의해, 유리 전이 온도 +10 ℃ 의 연신 온도, 일 방향 500 %/분의 연신 속도, 일 방향 2 배의 연신 배율로 축차 2 축 연신하여 (면적비로 4 배), 2 분에 걸쳐 100 ℃ 이하로 냉각시켜 꺼내, 두께 40 ㎛ 의 2 축 연신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2 축 연신 필름에 대한 표면 평활성, 가열 수축률, 전광선 투과율, 헤이즈, 면내 위상차 Re, 두께 방향 위상차 Rth 및 미연신 필름으로부터 연신 필름을 제조할 때의 연신성의 측정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The unstretched film obtained by the above procedure was cut into 100 mm x 100 mm and stretched at a stretching temperature of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 10 占 폚, a stretching speed of 500% / min in one direction, (Biaxially stretched at a stretching ratio of 2 times in one direction (4 times in terms of area ratio), cooled to 100 占 폚 or less over 2 minutes, and taken out to obtain a biaxially oriented film having a thickness of 40 占 퐉. Table 3 shows the measurement results of the surface smoothness, heat shrinkage percentage, total light transmittance, haze, in-plane retardation Re, thickness direction retardation Rth and stretchability of the stretched film produced from the unstretched film for the obtained biaxial oriented film.

<실시예 2 ∼ 11, 비교예 1 ∼ 7>≪ Examples 2 to 11 and Comparative Examples 1 to 7 >

표 3 및 표 4 에 나타내는 배합으로 하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 [2] ∼ [18] 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 [2] ∼ [18] 을 열 프레스 성형하여 50 ㎜ × 50 ㎜ × 1.0 ㎜ 의 판상 성형체를 성형하고, 전광선 투과율, 헤이즈 및 유리 전이 온도를 측정하였다.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 [2] ∼ [18] 의 물성을 표 3 및 표 4 에 나타낸다. The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s [2] to [18] were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formulations shown in Tables 3 and 4 were used. The obtained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s [2] to [18] were hot-pressed to form a plate-shaped molded body of 50 mm x 50 mm x 1.0 mm, and the total light transmittance, haze and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were measured.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s [2] to [18] are shown in Tables 3 and 4.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 [1] 대신에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 [2] ∼ [18]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2 축 연신 필름을 얻었다. 평가 결과를 표 3 및 표 4 에 나타낸다. A biaxial oriented film was obtain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the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s [2] to [18] were used instead of the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1]. The evaluation results are shown in Tables 3 and 4.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4

(편광자)(Polarizer)

평균 중합도 2400, 비누화도 99.9 몰%, 두께 75 ㎛ 의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30 ℃ 의 온수 중에 60 초간 침지하여 팽윤시켰다. 이어서, 0.3 질량%(중량비 : 요오드/요오드화칼륨 = 0.5/8) 의 30 ℃ 의 요오드 용액 중에서 1 분간 염색하면서 3.5 배까지 연신시켰다. 그 후, 65 ℃ 의 4 질량% 의 붕산 수용액 중에 0.5 분간 침지하면서 종합 연신 배율이 6 배가 되도록 연신하였다. 연신 후, 70 ℃ 의 오븐에서 3 분간 건조를 실시하여, 두께 22 ㎛ 의 편광자를 얻었다. A polyvinyl alcohol film having an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2400, a degree of saponification of 99.9 mol% and a thickness of 75 mu m was immersed in hot water at 30 DEG C for 60 seconds to swell. Then, it was stretched to 3.5 times while being dyed in an iodine solution of 0.3 mass% (weight ratio: iodine / potassium iodide = 0.5 / 8) at 30 DEG C for 1 minute. Thereafter, the substrate was immersed in an aqueous solution of 4% by mass of boric acid at 65 캜 for 0.5 minutes, and stretched so as to have a total draw ratio of 6 times. After stretching, the film was dried in an oven at 70 DEG C for 3 minutes to obtain a polarizer having a thickness of 22 mu m.

<편광판 X 의 제조>≪ Production of polarizer X >

실시예 8 의 2 축 연신 필름을 편광자 보호 필름 A 로서 사용하였다. 폴리에스테르우레탄 (다이이치 공업 제약사 제조, 상품명 : 슈퍼 플렉스 210, 고형분 : 33 %) 16.8 g, 가교제 (옥사졸린 함유 폴리머, 닛폰 쇼쿠바이사 제조, 상품명 : 에포크로스 WS-700, 고형분 : 25 %) 4.2 g, 1 질량% 의 암모니아수 2.0 g, 콜로이달실리카 (후소 화학 공업사 제조, 쿼트론 PL-3, 고형분 : 20 질량%) 0.42 g 및 순수 76.6 g 을 혼합하여, 접착 용이제 조성물을 얻었다. The biaxially stretched film of Example 8 was used as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A. 16.8 g of a polyester urethane (trade name: Superflex 210, solid content: 33%, manufactured by Daiichi Kogyo Seiyaku Co., Ltd.) , 2.0 g of 1 mass% of ammonia water, 0.42 g of colloidal silica (manufactured by Fuso Chemical Co., Ltd., Qwatron PL-3, solid content: 20 mass%) and 76.6 g of pure water were mixed to obtain a composition for bonding.

얻어진 접착 용이제 조성물을, 코로나 방전 처리를 실시한 실시예 8 의 2 축 연신 필름의 코로나 방전 처리면에, 건조 후의 두께가 100 ㎚ 가 되도록 바 코터로 도포하였다. 그 후, 필름을 열풍 건조기 (110 ℃) 에 투입하고, 접착 용이제 조성물을 약 5 분 건조시켜, 실시예 8 의 2 축 연신 필름 위에 접착 용이층을 형성하였다. The obtained composition for bonding was applied to the corona discharge treated surface of the biaxially oriented film of Example 8 subjected to the corona discharge treatment with a bar coater so that the thickness after drying was 100 nm. Thereafter, the film was placed in a hot-air dryer (110 ° C), and the composition for adhesion was dried for about 5 minutes to form an easy-to-adhere layer on the biaxially stretched film of Example 8.

다음으로, N-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아미드 (코진사 제조) 38.3 질량부와,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상품명 : 아로닉스 M-220, 토아 합성사 제조) 19.1 질량부와, 아크릴로일모르폴린 (코진사 제조) 38.3 부와, 광중합 개시제 (상품명 : KAYACURE DETX-S, 디에틸티오크산톤, 닛폰 화약사 제조) 1.4 질량부를 혼합하여 50 ℃ 에서 1 시간 교반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를 얻었다. Next, 38.3 parts by mass of N-hydroxyethyl acrylamide (manufactured by Kojin Co.), 19.1 parts by mass of tripropylene glycol diacrylate (Aronix M-220, Toagosei Co., Ltd.) and acryloylmorpholine Ltd.) and 1.4 parts by mass of a photopolymerization initiator (trade name: KAYACURE DETX-S, diethyl thioxanthone, manufactured by Nippon Kayaku Co., Ltd.) were mixed and stirred at 50 ° C for 1 hour to obtain an active energy ray curable adhesive.

상기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를 편광자 보호 필름 A 의 접착 용이층측에 건조 후의 두께가 500 ㎚ 가 되도록 도포하였다. 그 후,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를 개재하여 전술한 편광자의 양측에 1 장씩 편광자 보호 필름 A 를, 소형 라미네이터를 사용하여 적층하였다. 첩합 (貼合) 한 편광자 보호 필름 A 의 양측으로부터, IR 히터를 사용하여 50 ℃ 로 가온하고, 적산 조사량 1000 mJ/㎠ 의 자외선을 양면에 조사하여,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접착제를 경화시켜, 편광자의 양면에 투명한 편광자 보호 필름 A 를 갖는 편광판 X 를 얻었다. 제조한 편광판 X 를 80 ℃ 90 %RH 의 항온 항습기에 투입하여 100 시간 후의 편광자의 열화의 정도를 육안으로 관찰한 결과 열화는 확인되지 않았다. The active energy ray-curable adhesive was applied to the easy-adhesion layer side of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A to a thickness of 500 nm after drying. Thereafter,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A was laminated on both sides of the above-mentioned polarizer with the use of a small-sized laminator via an active energy ray curable adhesive. The active energy ray curable adhesive was cured by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of 1000 mJ / cm 2 from the both sides of the bonded polarizer protective film A using an IR heater at 50 캜 and a cumulative irradiation amount of 1000 mJ / cm 2, A polarizing plate X having a transparent polarizer protective film A on both surfaces thereof was obtained. The polarizing plate X thus prepared was placed in a constant-temperature and humidity-humidity chamber at 80 ° C and RH of 90%, and the degree of deterioration of the polarizer after 100 hours was visually observed. As a result, no deterioration was observed.

<편광판 Y 의 제조>≪ Production of Polarizer Y >

두께 40 ㎛ 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을 10 % 의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60 ℃) 에 30 초간 침지하여 비누화한 후, 60 초간 수세하여, 편광자 보호 필름 B 를 얻었다. A triacetylcellulose film having a thickness of 40 占 퐉 was saponified by immersing in a 10% aqueous solution of sodium hydroxide (60 占 폚) for 30 seconds, followed by washing with water for 60 seconds to obtain a polarizer protective film B.

아세트아세틸기 함유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평균 중합도 : 1200, 비누화도 : 98.5 몰%, 아세트아세틸기 변성도 : 5 몰%) 100 질량부에 대해 메틸올멜라민 20 질량부를 30 ℃ 의 온도 조건하에서 순수에 용해시켜, 고형분 농도 0.5 % 의 수용액을 얻었다. 얻어진 수용액을 접착제 조성물로서 30 ℃ 의 온도 조건하에서 사용하였다. 20 parts by mass of methylol melamine was added to 100 parts by mass of a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having an acetacetyl group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1200, saponification degree: 98.5 mol%, acetacetyl group degree of deformation: 5 mol% To obtain an aqueous solution having a solid content concentration of 0.5%. The obtained aqueous solution was used as an adhesive composition under a temperature condition of 30 캜.

편광자 보호 필름 B 에, 조제로부터 30 분 후의 상기 접착제 조성물을 건조 후의 두께가 50 ㎚ 가 되도록 도포하였다. 그 후, 접착제 조성물을 개재하여 전술한 편광자의 양측 각각에 편광자 보호 필름 B 를, 소형 라미네이터를 사용하여 적층하고, 열풍 건조기 (70 ℃) 에 투입하여 5 분간 건조시켜 편광판 Y 를 얻었다. 제조한 편광판 Y 를 80 ℃ 90 %RH 의 항온 항습기에 투입하여 100 시간 후의 편광자의 열화의 정도를 육안으로 관찰한 결과, 전체면에 열화가 확인되었다.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B was applied with the adhesive composition after 30 minutes from the preparation to a thickness of 50 nm after drying. Thereafter, the polarizer protective film B was laminated on both sides of the above-mentioned polarizer via the adhesive composition using a small laminator, put in a hot-air dryer (70 DEG C) and dried for 5 minutes to obtain a polarizing plate Y. [ The prepared polarizing plate Y was placed in a constant temperature and humidity chamber of 80 ° C and 90% RH, and the degree of deterioration of the polarizer after 100 hours was visually observed. As a result, deterioration was observed on the entire surface.

이 출원은 2014년 4월 23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4-88810을 기초로 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개시의 전부를 여기에 도입한다. This application claims priority based o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No. 2014-88810, filed on April 23, 2014, and incorporates herein all of its disclosure.

산업상 이용가능성Industrial availability

본 발명의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은, 투명성이 높고, 두께 방향의 위상차가 작고, 또한 내열성이 높고, 얇게 연신할 수 있으므로, 편광자 보호 필름, 위상차 필름, 액정 보호판, 휴대형 정보 단말의 표면재, 휴대형 정보 단말의 표시창 보호 필름, 도광 필름, 은나노 와이어나 카본나노 튜브를 표면에 도포한 투명 도전 필름, 각종 디스플레이의 전면판 용도 등에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의 필름은 위상차가 작기 때문에 편광자 보호 필름에 바람직하다. Since the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high transparency, a small retardation in the thickness direction, a high heat resistance and a thin stretchability, the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can be used as a polarizer protective film, a retardation film, a liquid crystal protective plate, A light guiding film, a transparent conductive film formed by coating silver nanowires or carbon nanotubes on the surface, and a front plate for various displays. In particular, th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e for a polarizer protective film because of a small retardation.

본 발명의 필름은 투명성, 내열성이 높기 때문에, 광학 용도 이외의 용도로서, IR 커트 필름이나, 방범 필름, 비산 방지 필름, 가식 필름, 금속 가식 필름, 태양 전지의 백시트, 플렉시블 태양 전지용 프론트 시트, 슈링크 필름, 인몰드 라벨용 필름에 사용할 수 있다. Since th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high transparency and heat resistance, it can be used as an IR cut film, a crime prevention film, a shatterproof film, a decorative film, a metal edible film, a solar cell back sheet, a front sheet for a flexible solar cell, Shrink films, and films for in-mold labeling.

11 : 편광자
12 : 접착제층
13 : 접착 용이층
14 : 편광자 보호 필름
15 : 접착제층
16 : 광학 필름
11: Polarizer
12: adhesive layer
13: Adhesion facilitating layer
14: polarizer protective film
15: adhesive layer
16: Optical film

Claims (14)

메타크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고분자 가공 보조제를 함유하는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로서,
상기 메타크릴 수지는, 메타크릴산메틸 유래의 구조 단위의 함유량이 80 질량% 이상이고,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0000 이하이고,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1000 이상, 32000 이하의 점도 평균 분자량을 갖고 있고, 상기 메타크릴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함유량이 1 질량부 이상, 4 질량부 이하이고,
상기 고분자 가공 보조제는, 3,000 이상, 40,000 이하의 평균 중합도를 갖고고 있고,
상기 메타크릴 수지 100 질량부에 대한 상기 고분자 가공 보조제의 함유량이 0.3 질량부 이상, 6 질량부 이하이고,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 중에 함유되는 상기 메타크릴 수지와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합계량이 80 질량% 이상인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
A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containing a methacrylic resin, a polycarbonate resin and a polymer processing aid,
The methacrylic resin preferably has a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methyl methacrylate of 80 mass% or more,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200,000 or less,
Wherein the polycarbonate resin has a viscosity average molecular weight of 1000 or more and 32000 or less and the content of the polycarbonate resin relative to 100 parts by mass of the methacrylic resin is 1 part by mass or more and 4 parts by mass or less,
The polymer processing aid has an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3,000 or more and 40,000 or less,
Wherein the content of the polymer processing aid in relation to 100 parts by mass of the methacrylic resin is 0.3 parts by mass or more and 6 parts by mass or less,
Wherein the total amount of the methacrylic resin and the polycarbonate resin contained in the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is 80 mass% or mo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크릴 수지가, 3 연자 표시의 신디오택티시티 (rr) 가 50 % 이상이고, 또한 메타크릴산메틸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의 함유량이 92 질량% 이상, 100 질량% 이하인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ethacrylic resin has a syndiotacticity (rr) of not less than 50% and a content of a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methyl methacrylate of not less than 92 mass% and not more than 100 mass%.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크릴 수지의 신디오택티시티 (rr) 가 58 % 이상, 85 % 이하인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methacrylic resin has a syndiotacticity (rr) of 58% or more and 85% or less.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크릴 수지가, 메타크릴산메틸 유래의 구조 단위의 함유량이 99 질량% 이상인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methacrylic resin has a content of a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methyl methacrylate of 99 mass% or more.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5000 이상, 18000 이하의 점도 평균 분자량을 갖는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polycarbonate resin has a viscosity average molecular weight of 5000 or more and 18000 or less.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의 중량 평균 분자량이 70000 ∼ 200000 인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has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70,000 to 200,000.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의 분자량 분포가 1.2 ∼ 2.5 인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
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Wherein the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has a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of 1.2 to 2.5.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성형체. A molded article comprising the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필름. A film comprising the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제 9 항에 있어서,
두께가 10 ∼ 50 ㎛ 인 필름.
10. The method of claim 9,
A film having a thickness of 10 to 50 占 퐉.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면적비로 1.5 ∼ 8 배로 2 축 연신된 필름.
11.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9 or 10,
Biaxially stretched film with an area ratio of 1.5 to 8 times.
제 9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편광자 보호 필름으로서 사용되는 필름.
12.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9 to 11,
A film used as a polarizer protective film.
제 12 항에 기재된 필름이 적어도 1 장 적층된 편광판. 13. A polarizing plate comprising at least one film according to claim 12. 메타크릴산메틸 유래의 구조 단위의 함유량이 80 질량% 이상이고,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0000 이하인 메타크릴 수지 100 질량부와,
1000 이상, 32000 이하의 점도 평균 분자량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1 질량부 이상, 4 질량부 이하와,
3,000 이상, 40,000 이하의 평균 중합도를 갖는 고분자 가공 보조제 0.3 질량부 이상, 6 질량부 이하 중 적어도 3 성분을 혼합하여 이루어지는 메타크릴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
100 parts by mass of a methacrylic resin having a structural unit derived from methyl methacrylate of 80% by mass or more and a weight average molecular weight of 200,000 or less,
1 part by mass or more and 4 parts by mass or less of a polycarbonate resin having a viscosity average molecular weight of 1000 or more and 32000 or less,
And at least three component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not less than 0.3 parts by mass and not more than 6 parts by mass of a polymer processing aid having an average degree of polymerization of not less than 3,000 and not more than 40,000.
KR1020167032267A 2014-04-23 2015-04-22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method for producing same, molded body, film, and polarizing plate KR10227521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88810 2014-04-23
JP2014088810 2014-04-23
PCT/JP2015/002198 WO2015162926A1 (en) 2014-04-23 2015-04-22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method for producing same, molded body, film, and polarizing pla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7856A true KR20160147856A (en) 2016-12-23
KR102275215B1 KR102275215B1 (en) 2021-07-08

Family

ID=54332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2267A KR102275215B1 (en) 2014-04-23 2015-04-22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method for producing same, molded body, film, and polarizing plate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559656B2 (en)
KR (1) KR102275215B1 (en)
CN (1) CN106471055A (en)
TW (1) TWI651355B (en)
WO (1) WO2015162926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4025B1 (en) * 2014-06-30 2022-05-03 주식회사 쿠라레 Methacrylic resin or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CN107109019B (en) * 2014-11-14 2020-04-24 株式会社可乐丽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JP6827272B2 (en) * 2016-03-30 2021-02-10 株式会社クラレ Modified methacrylic resin and molded article
KR20180018334A (en) 2016-08-09 2018-02-21 주식회사 엘지화학 Resin composition for optical material and optical film comprising the same
KR101934486B1 (en) 2016-09-20 2019-01-02 주식회사 엘지화학 Optical film with high slip property, and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same
KR102066640B1 (en) * 2016-09-20 2020-01-15 주식회사 엘지화학 Optical film with high adhesiveness, and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same
KR101960477B1 (en) * 2016-09-20 2019-03-20 주식회사 엘지화학 Optical film with high slip property and excellent property of blocking UV light, and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same
KR101964436B1 (en) 2016-09-20 2019-04-01 주식회사 엘지화학 Optical film with high adhesiveness and excellent property of blocking UV light, and polarizing plate comprising the same
WO2019155791A1 (en) * 2018-02-07 2019-08-15 日東電工株式会社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JP6580769B2 (en) * 2018-02-07 2019-09-25 日東電工株式会社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KR102553243B1 (en) * 2021-06-10 2023-07-07 주식회사 엘엑스엠엠에이 Pmma light diffusing plate containing organic crosslinked particle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32942A (en) 1980-07-28 1982-02-22 Foseco Int Injection pipe for continuous casting and its manufacture
JPH0532846A (en) 1991-07-30 1993-02-09 Kuraray Co Ltd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with low birefringence
JP2002327012A (en) * 2001-05-01 2002-11-15 Kuraray Co Ltd Syndiotactic methacrylic ester polymer and polymer composition
JP2009235160A (en) * 2008-03-26 2009-10-15 Toray Ind Inc Acrylic resin film
JP2012514759A (en) 2009-01-06 2012-06-28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Optical film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JP2013043964A (en) * 2011-08-26 2013-03-04 Kuraray Co Ltd Film comprised of acrylic resin composition
JP2013148655A (en) 2012-01-18 2013-08-01 Lg Chem Ltd Resin composition for optical film, and polarizer protective film and liquid crystal display comprising the same
JP2014051649A (en) 2012-08-09 2014-03-20 Sumitomo Chemical Co Ltd Resin composition for optical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3049A (en) * 1992-09-09 1994-04-05 Mitsubishi Petrochem Co Ltd Methacrylic random copolymer and its production
JP2003246791A (en) * 2002-02-26 2003-09-02 Nitto Denko Corp Trivalent organic lanthanoid complex, catalyst for manufacturing (meth)acrylic polymer, and (meth)acrylic polymer
CN103571118B (en) * 2012-08-09 2017-07-18 住友化学株式会社 Resin composition for optical material and its manufacture method
US10196510B2 (en) * 2013-05-16 2019-02-05 Kuraray Co., Ltd.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body thereof
US9605121B2 (en) * 2013-05-16 2017-03-28 Kuraray Co., Ltd. Film
TWI651356B (en) * 2014-01-23 2019-02-21 可樂麗股份有限公司 film
JP6470265B2 (en) * 2014-04-18 2019-02-13 株式会社クラレ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molded article, film and polarizing plate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32942A (en) 1980-07-28 1982-02-22 Foseco Int Injection pipe for continuous casting and its manufacture
JPH0532846A (en) 1991-07-30 1993-02-09 Kuraray Co Ltd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with low birefringence
JP2002327012A (en) * 2001-05-01 2002-11-15 Kuraray Co Ltd Syndiotactic methacrylic ester polymer and polymer composition
JP2009235160A (en) * 2008-03-26 2009-10-15 Toray Ind Inc Acrylic resin film
JP2012514759A (en) 2009-01-06 2012-06-28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Optical film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JP2013043964A (en) * 2011-08-26 2013-03-04 Kuraray Co Ltd Film comprised of acrylic resin composition
JP2013148655A (en) 2012-01-18 2013-08-01 Lg Chem Ltd Resin composition for optical film, and polarizer protective film and liquid crystal display comprising the same
JP2014051649A (en) 2012-08-09 2014-03-20 Sumitomo Chemical Co Ltd Resin composition for optical material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15162926A1 (en) 2017-04-13
WO2015162926A1 (en) 2015-10-29
TW201544536A (en) 2015-12-01
CN106471055A (en) 2017-03-01
TWI651355B (en) 2019-02-21
KR102275215B1 (en) 2021-07-08
JP6559656B2 (en) 2019-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59656B2 (en)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molded product, film, and polarizing plate
JP6470265B2 (en)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molded article, film and polarizing plate
JP6407270B2 (en)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JP6424084B2 (en) Film and film manufacturing method
KR102221885B1 (en) Film
US10526430B2 (en) Methacrylic resin or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JP6412935B2 (en)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EP3219753B1 (en) Methacryl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body
JP2017040825A (en) Multilayer film, polarizer protective film, and polarizing plate
JP2016048363A (en) Resin film
JPWO2018124007A1 (en) Stretched film and retardation fil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