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6494A - Cosmetic - Google Patents

Cosmetic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6494A
KR20160146494A KR1020160001781A KR20160001781A KR20160146494A KR 20160146494 A KR20160146494 A KR 20160146494A KR 1020160001781 A KR1020160001781 A KR 1020160001781A KR 20160001781 A KR20160001781 A KR 20160001781A KR 20160146494 A KR20160146494 A KR 201601464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s
discharge surface
discharge
container body
puf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17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수라
강성수
차민지
박상욱
박병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ublication of KR20160146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6494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61K8/027Fibers; Fibr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6Aerosols; Fo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5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flexible bag or a deformable membrane or diaphragm for expelling the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7Application Devices; Containers; Packaging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product which comprises: a discharging side discharging contents by pressure applied from the outside; and an elastic supporting member provided between the discharging side and the contents, having elasticity, and sagged by the press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smetic product can reduce production costs and secures hygiene.

Description

화장품{Cosmetic}Cosmetics {Cosmetic}

본 발명은 화장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저점도 액상의 내용물이 퍼프에 의해 눌리면서 늘어나는 토출면을 통해 적정량 배출되도록 하는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product,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smetic product in which a low-viscosity liquid content contained in the inside is discharged by a proper amount through a discharge surface which is pushed and pushed by a puff.

일반적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파운데이션(foundation)이나 선 블록(sun block) 등과 같은 액상 화장품은, 피부를 보호하고 화사하게 하며 주름을 개선하고 아름다움을 부여하는 등의 효과를 위해 사용되며, 사용자는 퍼프(puff)에 화장품을 묻힌 후 피부에 바르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Liquid cosmetics such as foundation and sun block, which are widely used in general, are used for effects such as protecting and brightening the skin, improving the wrinkles and imparting beauty, and the user can use the puff puff, and apply it to the skin.

액상 화장품은 특정한 용기 내에 다양한 방법으로 수용되는데, 일례로 액상 화장품은 펌프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버튼을 눌러 펌프를 작동시킬 수 있으며, 펌프는 내부에 수용된 화장품을 외부로 배출시키고, 사용자는 외부로 노출된 화장품을 퍼프로 찍어서 피부에 바를 수 있다.Liquid cosmetics are contained in a particular container in a variety of ways, for example liquid cosmetics can be contained in a pump. In this case, the user can actuate the pump by pressing the button, and the pump discharges the cosmetics contained therein, and the user can puff out the cosmetics exposed to the outside and apply it to the skin.

그런데 이와 같이 펌프를 사용하는 경우, 실린더와 피스톤을 갖는 펌프를 마련하여야 함에 따라 구성이 복잡해지며, 전체적인 용기의 크기가 컴팩트하게 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구성이 복잡해진다는 것은 결국 제조 원가의 상승으로 이어지며 이로 인해 소비자 가격이 증대되면, 소비자 불만이 제기될 수밖에 없다는 문제가 있다.However, when the pump is used in this way, a pump having a cylinder and a piston must be provided, so that the configuration becomes complicated, and the overall container size may not be compact. In addition, the complexity of the configuration leads to an increase in manufacturing costs, which leads to consumer complaints if consumer prices increase.

액상 화장품을 수용하는 다른 예로 함침재를 이용할 수 있다. 함침재는 발포 우레탄으로 이루어지는 스펀지 등으로서, 다공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내부 구멍들에 화장품이 흡수되어 있을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of accommodating liquid cosmetics, an impregnated material can be used. The impregnation material is a sponge made of foamed urethane, and is made of a porous material, and cosmetics may be absorbed into the inner holes.

이때 사용자는, 퍼프를 이용하여 함침재의 상면을 눌러서 함침재 내에 함침되어 있던 화장품이 함침재의 외부로 빠져나오도록 할 수 있으며, 함침재는 탄성력을 통해 원상태의 크기로 회복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ser can push the upper surface of the impregnation material by using the puff so that the cosmetic impregnated in the impregnation material can be released to the outside of the impregnation material, and the impregnation material can be restored to the original size by the elastic force.

그런데 함침재를 이용할 경우, 함침재의 일면에는 퍼프가 지속적으로 닿게 되어 세균의 투입이 우려되고, 함침재의 적어도 일면이 공기 중에 노출됨에 따라 액상 화장품이 경화될 우려 또한 존재한다. However, when the impregnated material is used, there is a concern that the puff is continuously contacted to one surface of the impregnated material, so that the bacteria may be injected, and the liquid cosmetic may be cured due to exposure of at least one surface of the impregnated material to air.

그리고 사용 기간이 경과하면서 화장품의 함침량이 감소하면, 화장품을 배출시키기 위해 퍼프로 함침재를 누르는 압력이 커져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으며, 또한 함침재의 탄성력이 떨어지면 함침재의 형상이 변화해 미감을 해친다는 문제가 있다.If the impregnation amount of the cosmetic product decreases over the period of use,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the pressure for pressing the impregnated puff product to discharge the cosmetic product must be increased, and if the elastic force of the impregnated article is lowered, .

이와 같이 종래의 액상 화장품 용기들은, 제조 원가가 높거나 위생성을 보장하지 못하고 미감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를 안고 있는바, 액상 화장품을 효율적으로 수용하면서도 용기를 컴팩트화 및 고급화할 수 있는 개선이 시급하게 요구된다.Conventional liquid cosmetics containers have problems such as high production cost, insufficient hygiene and lack of aesthetics. As a result, it is urgently required to improve the ability to compact and upgrade the container while efficiently accommodating liquid cosmetics Is requir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액상 내용물을 수용하는 용기 본체의 일측에 토출면을 덮어 내용물을 보호하고, 퍼프에 의해 토출면이 눌리면 내용물이 토출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여, 제조 원가를 절감하고 위생을 보장할 수 있는 화장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iquid container which is capable of protecting a contents by covering a discharge surface on one side of a container body for containing liquid contents, And is capable of passing through the discharge surface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thereby reducing manufacturing cost and ensuring hygiene.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탄성지지부재를 마련해 토출면의 처짐을 방지하거나, 토출면의 면적을 한정하여 토출면이 퍼프에 의해 고르게 가압되어 내용물의 토출이 비교적 균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화장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smetic product in which elastic support members are provided to prevent sagging of the discharge surface or to limit the area of the discharge surface so that the discharge surface is uniformly pressed by the puff to discharge the contents relatively uniformly .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토출면에서 중앙부와 주변부의 재질이나 형태 등을 달리 하여 내용물이 전체적으로 고르게 토출되도록 해 사용자의 편의성을 보장하고, 용기 본체에 이종의 화장품이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화장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smetic product which allows convenience of a user to be ensured by uniformly discharging the contents uniformly on the discharge surface in different materials and shapes of the central part and the peripheral part, .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토출면과 내용물 사이에 투과성 등이 상이한 실링면을 마련해 내용물의 누액을 방지하고, 내용물을 누르는 가압부재 또는 내용물에 잠겨 유동하는 혼합부재를 통해 저점도 액상 내용물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화장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aling surface in which the permeability and the like are different between the discharge surface and the contents to prevent the leakage of the contents and to separate the low viscosity liquid contents through the pressure member pressing the contents or the mixing member flowing in the contents And to provide a cosmetic product which can prevent such a problem.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은, 외부로부터의 가압에 의해 내용물을 배출하는 토출면; 및 상기 토출면과 상기 내용물 사이에 마련되고 탄성력을 가지며 상기 가압에 의해 처지는 상기 토출면을 지지하는 탄성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cosmetic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charge surface for discharging contents by external pressure; And an elastic supporting member which is provided between the discharge surface and the contents and has an elastic force and supports the discharge surface which is sagged by the pressure.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지지부재는, 상기 토출면의 적어도 일부분에서 상기 토출면과 겹치도록 배치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elastic supporter may be disposed so as to overlap at least a part of the ejection surface with the ejection surface.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지지부재는, 상기 토출면보다 상대적으로 강한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Specifically, the elastic supporting member may have an elastic force relatively stronger than the discharge surface.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지지부재는, 상기 토출면과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Specifically, the elastic supporting member may be made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e discharge surface.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지지부재는, 상기 토출면의 적어도 일부분과 겹치는 밴드 형태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elastic supporting member may be in the form of a band overlapping at least a part of the discharge surface.

구체적으로, 상기 내용물을 수용하고 일측이 개방된 용기 본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토출면 및 상기 탄성지지부재는, 상기 용기 본체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container body accommodating the contents and having one side opened, and the discharging surface and the elastic supporting member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ontainer body.

구체적으로, 상기 토출면 및 상기 탄성지지부재를 상기 용기 본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it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portion for fixing the ejection surface and the elastic supporting member to the container body.

구체적으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용기 본체의 일측 둘레에 고정되는 내측 고정링; 상기 내측 고정링과의 사이에 상기 토출면을 두고 상기 내측 고정링에 결합되는 외측 고정링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ixing portion may include: an inner fixing ring fixed on one side of the container body; And an outer stationary ring which is disposed between the inner stationary ring and the discharge surface to be coupled to the inner stationary ring.

구체적으로, 상기 탄성지지부재는, 인장된 상태로 상기 고정부에 의해 상기 용기 본체에 고정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elastic supporting member can be fixed to the container body by the fixing portion in a tensioned state.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은, 저점도 액상 내용물을 용기 본체에 수용하고, 용기 본체의 개방된 일면에 토출면을 마련하여 내용물을 덮어 보호하여 위생성을 확보하며, 탄성력을 갖는 토출면을 퍼프 등으로 누르면 내용물이 토출면을 관통하여 배출되도록 하여 편의성을 높였다.The cosmetic pro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 viscosity liquid content is contained in the container body and the discharge surface is provided on one open side of the container body to cover and protect the contents to ensure the hygienic properties and to press the discharge surface having elastic force with a puff or the like The contents ar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surface to enhance the convenienc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은, 토출면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토출면의 하면에 탄성지지부재를 덧댈 수 있고, 내용물의 고른 토출을 위하여 토출면의 면적이 퍼프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sagging of the discharge surface, the cosmetic pro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n elastic support member on the lower surface of the discharge surface, and the discharge surface area may be formed larger than the puff area for uniform discharge of the contents .

또한 본 발명에 화장품은, 토출면의 중앙부와 주변부의 투과성을 다르게 하여 내용물이 토출면에서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토출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으며, 용기 본체에 격리부재를 두어 이종의 화장품을 사용 가능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smetic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convenience of the user by allowing the contents to be uniformly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surface as a whole, by making the permeability of the center portion and the peripheral portion of the discharge surface different, and to use a different kind of cosmetic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은, 토출면의 하부에 실링면을 마련해 내용물의 누액을 방지하며, 가압부재 또는 혼합부재를 이용하여 저점도 액상 내용물에서 성분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smetic produ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leakage of the contents by providing a sealing surface at the lower part of the discharge surface, and can prevent the components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low viscosity liquid contents using the pressing member or the mixing member.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토출면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토출면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분해 단면도이다.
도 22 및 도 23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단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smetic produc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smetic produc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a cosmetic produc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cosmetic produc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smetic produc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lan view of a cosmetic produc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a cosmetic produc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and 10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cosmetic produc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smetic produc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scharge surface of a cosmetic produc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scharge surface of a cosmetic product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smetic product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5 and 16 are sectional views of a cosmetic product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smetic product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and 19 are sectional views of a cosmetic product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smetic product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a cosmetic product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2 and 23 are sectional views of a cosmetic product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smetic product according to a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objects, particular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FIG.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reference numerals are added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and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assigned the same number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ell-known functions or constructions are not described in detail since they would obscure the invention in unnecessary detail.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각 실시예들뿐만 아니라, 각 실시예들의 조합도 실시예로서 포괄하는 것임을 알려둔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no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but also includes combinations of the embodiments as an embodiment.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분해 단면도이다. 또한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smetic produc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smetic produc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smetic produc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ctional view. 4 and 5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cosmetic produc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1)은, 용기 본체(20), 토출면(10), 고정부(30)를 포함한다.1 to 5, a cosmetic 1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ainer body 20, a discharge surface 10, and a fixing portion 30. As shown in Fig.

용기 본체(20)는, 내용물(P)을 수용한다. 이때 내용물(P)은 저점도 액상일 수 있으며, 파운데이션 등일 수 있다. 용기 본체(20)는 내용물(P)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면서도 일측이 개방되어, 일측을 통해 내용물(P)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The container body (20) accommodates the contents (P). At this time, the content (P) may be a low viscosity liquid, and may be a foundation or the like. The container body 20 may be formed with a space for receiving the content P, but may be opened to allow the content P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one side.

다만 용기 본체(20)의 일측이 개방된 상태로 놓일 경우 용기 본체(20)가 기울어질 때 내용물(P)이 누출될 위험이 있는바, 용기 본체(20)의 개방된 일측에는 토출면(10)이 마련될 수 있다.The contents P may leak when the container body 20 is tilted when one side of the container body 20 is in an open state. ) May be provided.

또한 용기 본체(20)에는, 내뚜껑(21)이 마련될 수 있다. 내뚜껑(21)은 용기 본체(20)의 일측을 개폐하도록 용기 본체(20)에 힌지 연결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내뚜껑(21)을 열고 용기 본체(20)의 내용물(P)을 취할 수 있다.Further, the container lid 20 may be provided with an inner lid 21. The inner lid 21 can be hinged to the container body 20 to open and close one side of the container body 20 and the user can open the inner lid 21 and take the contents P of the container body 20 .

용기 본체(20)는 외용기(22)에 안착된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외용기(22)는 용기 본체(20)의 외측을 두르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외용기(22)에 용기 본체(20)가 교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외용기(22)는 용기 본체(20)의 하면과 대응되는 부분에 구멍(도시하지 않음)이 마련되어, 사용자가 구멍을 통해 용기 본체(20)를 밀어내면 용기 본체(20)가 외용기(2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The container body 20 can be used in a state in which it is seated in the outer container 22. The outer container 22 may be provided to surround the outer side of the container body 20 and the container body 20 may be replaceably provided in the outer container 22. At this time, the outer container 22 is provided with a hole (not shown) at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ontainer main body 20 so that when the user pushes the container main body 20 through the hole, 22).

외용기(22)에는 외뚜껑(23)이 마련된다. 외뚜껑(23)은 외용기(22)를 개폐 가능하게 외용기(22)에 힌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외뚜껑(23)의 내면에는 거울(부호 도시하지 않음)이 마련되어 사용자의 화장을 보조할 수 있다.The outer container (22) is provided with an outer lid (23). The outer lid 23 can be hingedly connected to the outer container 22 to allow the outer container 22 to be opened and closed. In addition, a mirror (not shown)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lid 23 to support the makeup of the user.

토출면(10)은, 용기 본체(20)의 일측에 마련되며, 퍼프, 브러시 등의 화장도구(2) 또는 사용자의 손 등을 통해 가해지는 가압에 의해 저점도 액상 내용물(P)을 배출한다. 내용물(P)은 저점도 액상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제형이 액상, 겔상, 고형상 등의 조성물일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편의상 토출면(10)이 퍼프에 의해 가압되는 경우 및 내용물(P)이 저점도 액상인 경우를 한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The discharge surface 1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ontainer main body 20 and discharges the low viscosity liquid content P by pressure applied through a makeup tool 2 such as a puff or brush or a user's hand . The content (P) is not limited to a low viscosity liquid phase, and the formulation may be a composition such as liquid, gel, solid and the like. Hereinafter, the case in which the discharge surface 10 is pushed by the puff and the case in which the contents P is in a low viscosity liquid phase will be described for convenience.

토출면(10)은 용기 본체(20)에서 개방된 일측을 덮어서 용기 본체(20)가 기울어지더라도 내용물(P)이 배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The discharge surface 10 covers one side opened in the container body 20 so that the contents P can not be discharged even if the container body 20 is inclined.

토출면(10)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내용물(P)은 토출면(10)을 통과하지 못할 수 있다. 즉 용기 본체(20)에 수용된 내용물(P)은, 용기 본체(20)와 토출면(10)에 의하여 일정한 공간 내에 갇혀 있을 수 있다.The contents P may not pass through the discharge surface 10 in a state in which no pressure is applied to the discharge surface 10. [ In other words, the content P contained in the container body 20 may be trapped in a certain space by the container body 20 and the ejection surface 10.

다만 사용자가 토출면(10)을 퍼프 등의 화장도구(2)로 누르게 되면, 토출면(10)은 늘어나면서 도면 기준 하방으로 처지게 되며, 토출면(10)에 의해 눌리는 내용물(P)은 토출면(10)을 관통하여 외부로 빠져나올 정도의 압력을 갖게 된다. 따라서 내용물(P)은 토출면(10)의 상방으로 토출되며, 사용자는 외부로 배출된 내용물(P)을 퍼프로 찍어서 피부에 도포할 수 있다.However, when the user presses the discharge surface 10 with the makeup tool 2 such as a puff, the discharge surface 10 is stretched and sags downward in the drawing reference, and the contents P to be pressed by the discharge surface 10 And has a pressure enough to pass through the discharge surface 10 and to escape to the outside. Therefore, the contents P are discharged upward of the discharge surface 10, and the user can paint the contents P discharged to the outside with puffs and apply them to the skin.

이때 토출면(10)은, 날실과 씨실이 서로 교차하여 짜여진 직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토출면(10)에서 날실과 씨실의 교차 틈새로 내용물(P)이 토출될 수 있는데, 토출면(10)의 짜여진 밀집도는 일반적인 대기압에서 내용물(P)이 틈새를 빠져나오지 못할 정도로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discharge surface 10 may be formed of a fabric in which warp yarns and weft yarns cross each other. The contents P may be discharged from the discharging surface 10 in a crossing gap between the warp yarn and the weft yarn. The knitted density of the discharging surface 10 may be such that the contents P can not escape from the gap at normal atmospheric pressure.

반면 사용자가 퍼프로 토출면(10)을 눌러서 토출면(10)이 늘어나게 되면, 상기 틈새가 벌어질 수 있고 동시에 내용물(P)은 토출면(10)에 의하여 가압될 수 있다. 이때 대기압 이상의 압력을 갖는 내용물(P)은 벌어진 틈새를 통하여 적정량이 빠져나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presses the discharge surface 10 with the puff to extend the discharge surface 10, the gap can be opened and at the same time, the contents P can be pressed by the discharge surface 10. [ At this time, the content (P) having a pressure higher than the atmospheric pressure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clearance gap.

즉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토출면(10)에 의하여 내용물(P)의 밀봉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다만 토출면(10)이 퍼프에 의하여 눌렸을 때에만 내용물(P)의 토출이 이루어지도록 해, 위생성과 편의성을 모두 확보할 수 있다.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allows the contents P to be sealed by the discharge surface 10, and only when the discharge surface 10 is pushed by the puff, the contents P are discharged, Both hygiene and convenience can be secured.

이때 토출면(10)은,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마련된다. 즉 토출면(10)은 퍼프에 의하여 눌리면서 늘어나게 되지만, 퍼프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면 토출면(10)은 원래의 팽팽한 상태로 되돌아갈 수 있다.At this time, the discharge surface 1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n elastic force. That is, the discharge surface 10 is stretched while being pushed by the puff. However, when the pressurization by the puff is released, the discharge surface 10 can return to the original tight state.

물론 토출면(10)은 탄성력이 없거나 매우 적은 재질로 마련될 수 있고, 퍼프의 지속적인 가압 및 내용물(P)의 잔량 감소 등에 따라 처진 상태로 유지될 수도 있다.Of course, the discharge surface 10 may be provided with no elastic force or with a very small material, and may be held in a sagging state due to continuous pressurization of the puff and reduction of the remaining amount of the contents P.

토출면(10)은 액상의 내용물(P)과 접촉하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젖게 되는데, 토출면(10)이 부분적으로만 내용물(P)에 의해 젖을 경우 얼룩이 생겨서 미감을 해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토출면(10)은, 내용물(P)에 의하여 젖어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The discharge surface 10 is at least partly wetted in contact with the contents P of the liquid phase. If the discharge surface 10 is partially wetted by the contents P,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discharge surface 10 is contaminated by the spots. Therefore, the discharge surfa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intain a wet state by the content P.

토출면(10)은, 퍼프에 의하여 1회도 눌리지 않은 상태에서 이미 내용물(P)에 의해 젖어있을 수 있다. 토출면(10)이 내용물(P)에 의해 젖어있지 않으면, 사용자가 퍼프로 토출면(10)을 누르는 위치나 압력에 따라 토출면(10)에 내용물(P)이 부분적으로만 젖게 되어 얼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The discharge surface 10 may be already wet by the contents P in a state where the discharge surface 10 is not pressed once by the puff. If the discharge surface 10 is not wet by the contents P, the content P is partially wetted on the discharge surface 10 depending on the position or pressure of the user pressing the discharge surface 10 with the puff, It is because.

즉 본 발명에서 토출면(10)은 용기 본체(20)의 내용물(P)에 닿아 내용물(P)을 흡수하면서 젖게 되기 이전에, 이미 내용물(P)에 의하여 젖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토출면(10)을 적시는 내용물(P)은, 용기 본체(20)에 수용될 내용물(P)과 동일한 것이지만 용기 본체(20)에 수용된 내용물(P)은 아니거나, 또는 용기 본체(20)에 수용된 내용물(P)일 수 있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jection surface 10 can be kept wet by the contents P before reaching the contents P of the container body 20 and getting wet while absorbing the contents P. The content P that moistens the discharge surface 10 at this time is the same as the contents P to be received in the container body 20 but is not the contents P contained in the container body 20, (P)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이 경우 토출면(10)은, 틈새 등에 내용물(P)이 채워지면서 표면장력을 갖게 될 수 있고, 따라서 내용물(P)의 불필요한 누액을 방지하는 막으로써 기능할 수 있다. 즉 토출면(10)이 젖어있게 되면, 토출면(10)은 표면장력을 갖는 실링(sealing) 막이 되면서, 용기 본체(20)가 흔들려 내용물(P)이 유동하더라도 내용물(P)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ischarge surface 10 can have a surface tension by filling the contents P in a gap or the like, and thus can function as a film for preventing unnecessary leakage of the contents P. That is, when the discharge surface 10 is wetted, the discharge surface 10 becomes a sealing film having surface tension, and prevents the contents P from leaking even if the contents P flow, can do.

토출면(10)에서 내용물(P)에 젖어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부분은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을 적어도 포함하며, 후술할 외측 고정링(32)에 의해 가려지는 부분은 제외될 수 있다.The portion that keeps the wetting state of the contents P on the discharge surface 10 includes at least a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portion covered by the outer fixing ring 32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excluded.

토출면(10)은 퍼프의 가압에 의해 내용물(P)을 향하도록 늘어나 내용물(P)과 접촉하면서 내용물(P)에 적셔질 수 있는데, 이때 토출면(10)은 틈새로 내용물(P)을 흡수하면서 전체적으로 젖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토출면(10)에서 적어도 사용자에게 노출되는 면은 모두 젖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토출면(10)은, 내용물(P)이 묻지 않은 부분과 내용물(P)이 묻은 부분이 구분되면서 얼룩이 나타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ejection surface 10 is stretched toward the contents P by the pressing of the puff and can be wetted with the contents P while being in contact with the contents P.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wet state as a whole while absorbing and at least the surface exposed to the user on the discharge surface 10 can be kept wet. Therefore, the ejection surface 10 can prevent the appearance of unevenness by dividing the portion in which the content P is not applied and the portion in which the content P is adhered.

토출면(10)이 젖는다는 것은 토출면(10)이 직물로 이루어질 때 토출면(10)을 구성하는 날실과 씨실에 내용물(P)이 흡수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실 자체에 흡수된 내용물(P)과 달리 날실과 씨실 사이의 틈새에 유입된 내용물(P)은, 토출면(10)이 퍼프에 의해 눌리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e wetting of the ejection surface 10 may mean that the contents P are absorbed into the warp and weft yarns constituting the ejection surface 10 when the ejection surface 10 is made of a fabric, The contents P introduced into the gap between the warp yarn and the weft yarn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when the discharge surface 10 is pushed by the puff.

토출면(10)은, 내용물(P)과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내용물(P)과 이격되더라도 내용물(P)에 의해 젖어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용기 본체(20)에 수용된 내용물(P)은 사용에 따라 잔량이 줄어들 수 있는데, 토출면(10)은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토출면(10)과 내용물(P)은 서로 이격될 수 있고, 내용물(P)이 용기 본체(20)에서 배출됨에 따라 토출면(10)과 내용물(P) 사이의 간격은 점차 커질 수 있다. 그러나 토출면(10)은 내용물(P)에 의하여 젖어있는 상태를 지속 유지할 수 있다.The discharge surface 10 may be provid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contents P and can remain wet by the contents P even when the contents P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content P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body 20 may be reduced in size depending on use. Since the ejection surface 1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the ejection surface 10 and the contents P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 The distance between the discharge surface 10 and the contents P can gradually become larger as the contents P are discharged from the container main body 20. However, the discharge surface 10 can be kept wet by the content P.

그런데 토출면(10)에서 내용물(P)이 접촉하는 일면과 반대되는 타면은, 퍼프와의 접촉에 의해 내용물(P)을 배출시키기 위하여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토출면(10)을 적신 내용물(P)이 경화될 우려가 있다.Since the other surface opposite to the one surface of the discharge surface 10 contacting the contents P is exposed to the outside in order to discharge the contents P by contact with the puff, P) may be hardened.

따라서 본 발명은, 용기 본체(20)에 내뚜껑(21)이 덮이거나 외용기(22)에 외뚜껑(23)이 덮여 밀폐되도록 하여, 토출면(10)이 내용물(P)에 의해 젖어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즉 토출면(10)을 적신 내용물(P)은, 내뚜껑(21) 등의 덮임에 의하여 외부와 격리되므로 경화가 방지될 수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case where the container lid 20 is covered with the inner lid 21 or the outer lid 23 is covered with the outer lid 23 so that the discharge surface 10 is wet by the contents P State can be maintained. That is, the content P impregnated with the discharge surface 10 is isolated from the outside by covering the inner lid 21, etc., so that curing can be prevented.

다만 내뚜껑(21) 등이 열린 상태에서도 토출면(10)이 내용물(P)에 의해 젖어있는 상태를 일정 시간 동안 유지하기 위하여, 토출면(10)의 타면에는, 발수 또는 발유 코팅이 이루어질 수 있다.A water-repellent or oil-repellent coating may be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discharge surface 10 in order to maintain the state in which the discharge surface 10 is wet by the contents P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even when the lid 21 or the like is open. have.

토출면(10)의 타면에는 내용물(P)의 투과를 차단하는 코팅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례로 내용물(P)이 수성 또는 수중유(oil-in-water)일 경우, 토출면(10)의 타면은 발수 코팅되며, 내용물(P)이 유성 또는 유중수(water-in-oil)일 경우, 토출면(10)의 타면은 발유 코팅될 수 있다.A coating for blocking the permeation of the contents P may be form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discharge surface 10. For example, when the content P is water or oil-in-water, And the other surface is water-repellent coated. When the content P is oil-based or water-in-oil, the other surface of the discharge surface 10 can be oil-coated.

따라서 토출면(10)의 타면에 이루어지는 코팅에 의해, 토출면(10)을 적신 내용물(P)은, 외부와 직접적으로 닿지 않으면서 토출면(10)을 젖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Therefore, by coating on the other surface of the discharge surface 10, the contents P impregnated with the discharge surface 10 can maintain the discharge surface 10 in a wet state without directly contacting the outside.

즉 토출면(10)은, 타면에 발수 또는 발유 코팅하여 토출면(10)을 적신 내용물(P)의 방출을 억제하여, 토출면(10)에서 내용물(P)이 마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토출면(10)이 늘어날 때 토출면(10)에서 벌어지는 틈새에는 코팅이 이루어지지 못할 수 있으므로, 토출면(10)에 젖은 모든 내용물(P)(특히 틈새에 존재하는 내용물(P))을 코팅으로 외부와 완전히 격리시키지는 못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적어도 토출면(10)이 내용물(P)에 의해 젖어서 얼룩이 발생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정도로 내용물(P)이 마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discharge surface 10 can prevent the content P from drying on the discharge surface 10 by suppressing the discharge of the contents P impregnated with the discharge surface 10 by water repellency or oil coating on the other surface. Of course, coating may not be formed in the gap formed in the ejection surface 10 when the ejection surface 10 is extended. Therefore, all the contents P (particularly the contents P present in the gap) wetted on the ejection surface 10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the contents P from drying to such an extent that at least the discharge surface 10 is wetted by the contents P and thereby maintains a state in which unevenness does not occur.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토출면(10)의 타면 코팅과 함께 또는 별도로, 토출면(10)에서 일면과 타면 중 적어도 일면에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반대되는 코팅을 구현할 수 있다. 즉 토출면(10)의 일면에 이루어지는 코팅은, 내용물(P)의 흡수를 허용하는 친수 또는 친유 코팅일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t least one of the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discharge surface 10, in addition to or in addition to the surface coating of the discharge surface 10 described above. The coating on one side of the discharge surface 10 may be a hydrophilic or a lipophilic coating that allows the absorption of the contents P,

내용물(P)이 수성 또는 수중유일 경우 토출면(10)의 일면은 친수 코팅되며, 내용물(P)이 유성 또는 유중수일 경우 토출면(10)의 타면은 친유 코팅될 수 있다. 따라서 토출면(10)은 일면에 친수 또는 친유 코팅하여 내용물(P)을 보다 쉽게 흡수하여, 토출면(10)이 내용물(P)에 의해 충분히 젖도록 할 수 있다.If the content P is unique to water or water, one surface of the discharge surface 10 is hydrophilic coated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discharge surface 10 may be hydrophilic coated when the content P is oil or water. Therefore, the discharge surface 10 is coated with a hydrophilic or lipophilic coating on one side so that the contents P can be absorbed more easily, so that the discharge surface 10 can be sufficiently wetted by the contents P.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토출면(10)이 내용물(P)에 의하여 전체적으로 젖어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토출면(10)이 얼룩덜룩해지는 것을 방지해 미감을 대폭 향상시켜 사용자의 만족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jection surface 10 is kept wet by the contents P as a whole, thereby preventing the ejection surface 10 from becoming uneven and greatly improving the aesthetics, thereby maximizing the user's satisfaction have.

고정부(30)는, 토출면(10)을 용기 본체(20)에 고정한다. 고정부(30)는 내측 고정링(31)과 외측 고정링(32)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xing portion (30) fixes the discharge surface (10) to the container body (20). The fixing part 30 may include an inner fixing ring 31 and an outer fixing ring 32. [

내측 고정링(31)은, 용기 본체(20)의 일측 둘레에 고정된다. 내측 고정링(31)은 용기 본체(20)에서 개방된 일측의 둘레에 설치될 수 있고, 나사 결합 또는 억지끼움, 돌기 결합 등의 다양한 방식에 의해 용기 본체(20)에 결합될 수 있다.The inner fixing ring 31 is fixed around one side of the container body 20. The inner fixing ring 31 may be installed around the open side of the container body 20 and may be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20 by various methods such as screw engagement or interference fit,

내측 고정링(31)은 단순한 링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내측 고정링(31)의 외측으로 토출면(10)이 감싸질 수 있다. 이때 내측 고정링(31)을 감싸는 토출면(10)은 외측 고정링(32)에 의하여 내측 고정링(31)에 강하게 결속된다.The inner retaining ring 31 may have a simple ring shape and the ejecting surface 10 may be wrapped around the outer side of the inner retaining ring 31. At this time, the discharge surface 10 surrounding the inner stationary ring 31 is strongly bound to the inner stationary ring 31 by the outer stationary ring 32.

외측 고정링(32)은, 내측 고정링(31)과의 사이에 토출면(10)을 두고 내측 고정링(31)에 결합된다. 외측 고정링(32)은 단면이 'ㄱ'자 형태일 수 있으며, 내측 고정링(31)의 외측에 놓인 토출면(10)을 압박하여 토출면(10)이 내측 고정링(31)과 외측 고정링(32) 사이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내측 고정링(31) 및 외측 고정링(32)에 의해 압착되는 토출면(10)의 일부분은, 토출면(10)의 테두리일 수 있다.The outer stationary ring 32 is coupled to the inner stationary ring 31 with the discharge surface 10 between the inner stationary ring 31 and the inner stationary ring 31. The outer fixing ring 32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letter "A" and presses the ejection surface 10 located on the outer side of the inner fixing ring 31 so that the ejection surface 10 contacts the inner fixing ring 31 and the outer side And can be fixed between the stationary rings 32. At this time, a part of the ejection surface 10 pressed by the inner fixing ring 31 and the outer fixing ring 32 may be the edge of the ejection surface 10.

이 경우 토출면(10)을 강하게 압착하기 위해, 내측 고정링(31)과 외측 고정링(32) 사이의 간격(내측 고정링(31)의 직경과 외측 고정링(32)의 직경의 차이)은, 토출면(10)의 두께(일례로 고정부(30)에 고정되는 토출면(10) 테두리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일례로 50% 내지 95%). 따라서 토출면(10)은 외측 고정링(32)과 내측 고정링(31)이 결합될 때 그 사이에서 눌려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외측 고정링(32)과 내측 고정링(31) 사이에 토출면(10)이 두 겹 이상으로 고정될 수도 있으므로, 내측 고정링(31)과 외측 고정링(32) 사이의 간격은 그 사이에 인입되는 구성의 두께보다 작을 수 있다. 이는 이하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gap between the inner fixing ring 31 and the outer fixing ring 32 (the difference between the diameter of the inner fixing ring 31 and the diameter of the outer fixing ring 32) (For example, 50% to 95%) of the ejection surface 10 (for example, the thickness of the edge of the ejection surface 10 fixed to the fixing portion 30). Therefore, the discharge surface 10 can be pressed and firmly fixed therebetween when the outer stationary ring 32 and the inner stationary ring 31 are engaged. Since the discharge surface 10 may be fixed in two or more layers between the outer stationary ring 32 and the inner stationary ring 31 at this time, the distance between the inner stationary ring 31 and the outer stationary ring 32 is Lt; RTI ID = 0.0 > of the < / RTI > This can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as well.

외측 고정링(32)은 내측 고정링(31)과 억지끼움, 돌기결합 등의 다양한 방식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외측 고정링(32)과 내측 고정링(31) 사이에는 토출면(10)이 놓이게 되므로, 외측 고정링(32)과 내측 고정링(31)은 간접적인 접촉으로도 견고한 결합이 가능한 방식을 통해 서로 고정될 수 있다.The outer fixing ring 32 may be coupled with the inner fixing ring 31 by various methods such as interference fit, projection coupling, and the like. Since the discharge surface 10 is located between the outer stationary ring 32 and the inner stationary ring 31, the outer stationary ring 32 and the inner stationary ring 31 can be firmly coupled even by indirect contact. Can be fixed to each other.

토출면(10)은 평면 형태로 내측 고정링(31)의 상측에 놓이고, 외측 고정링(32)은 토출면(10)의 둘레를 내측 고정링(31)의 외측으로 내리누르면서, 외측 고정링(32)과 내측 고정링(31) 사이에 토출면(10)의 테두리가 압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정부(30)와 토출면(10)이 견고히 고정될 수 있고, 고정부(30)는 용기 본체(20)에 결합되어 토출면(10)을 용기 본체(20)에 결합시킬 수 있다.While the outer fixing ring 32 presses the periphery of the discharging surface 10 downward to the outside of the inner fixing ring 31 while the outer fixing ring 32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fixing ring 31, The rim of the discharge surface 10 can be pressed between the ring 32 and the inner stationary ring 31. The fixing portion 30 and the discharging surface 10 can be firmly fixed and the fixing portion 30 can be coupled to the container body 20 to couple the discharging surface 10 to the container body 20 .

이와 달리 용기 본체(20)의 일측 둘레에 토출면(10)이 놓이고 외측 고정링(32)이 토출면(10)의 둘레를 내리누르면서 용기 본체(20)의 둘레와 외측 고정링(32) 사이에 토출면(10)이 압착되도록 할 경우, 고정부(30)는 내측 고정링(31)을 생략할 수 있다.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inner fixing ring 31 can be omitted from the fixing portion 30. In this case,

다만 내측 고정링(31)을 사용할 경우에는 고정부(30)를 용기 본체(20)로부터 분리하더라도 고정부(30)에 토출면(10)이 팽팽하게 고정되어 있는 상태인 반면, 내측 고정링(31)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고정부(30)를 용기 본체(20)에서 분리하면 토출면(10)이 따로 분리될 수 있는바, 토출면(10)의 재설치를 간편하게 하기 위해서는 내측 고정링(31)을 사용할 수 있다.However, when the inner fixing ring 31 is used, even if the fixing portion 30 is detached from the container main body 20, the discharging surface 10 is tightly fixed to the fixing portion 30. On the other hand, The ejection surface 10 can be separated by separating the fixing portion 30 from the container main body 20 in order to simplify the installation of the ejection surface 10, 31) can be used.

다만 본 발명은 고정부(30)를 사용하는 물리적 결합 구조 외에도 융착(열, 고주파 등), 접착제에 의한 접착 등을 통해 토출면(10)을 용기 본체(20)에 고정할 수 있으며, 이는 토출면(10) 외에도 본 명세서에서 용기 본체(20)에 고정되어야 하는 모든 구성에 대해 적용될 수 있음을 알려둔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can fix the discharge surface 10 to the container body 20 through fusion bonding (heat, high frequency, etc.), adhesive bonding or the like in addition to the physical coupling structure using the fixing portion 30,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tion to the surface 10, it can be applied to any configuration that must be secured to the container body 20 herein.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직물 등으로 이루어지는 토출면(10)이 내용물(P)에 의하여 젖어있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내용물(P)이 토출면(10)에 부분적으로 묻어서 얼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토출면(10)이 비교적 깔끔한 모습을 갖도록 해 사용자의 만족도를 보장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harge surface 10 made of a fabric or the like is kept wet by the contents P, thereby preventing the contents P from being partially buried on the discharge surface 10 to cause unevenness .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ensure the satisfaction of the user by allowing the discharge surface 10 exposed to the outside to have a relatively clean appearance.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평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분해 단면도이다. 또한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단면도이다.7 is a plan view of a cosmetic produc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smetic produc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ectional view. 9 and 10 are sectional views of a cosmetic produc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1)은, 토출면(10), 탄성지지부재(4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가 앞서 설명한 다른 실시예 대비 달라지는 점에 대해 중점적으로 설명하도록 하며, 설명을 생략한 부분은 다른 실시예에서의 설명으로 갈음한다. 6 to 10, the cosmetic 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charge surface 10 and an elastic support member 40. [ Hereinafter,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emphasis on differences with respect to the above-described other embodiments, and a description omitted in the description will be replaced with descriptions in other embodiments.

다만 본 실시예에서 토출면(10)은, 앞서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내용물(P)에 의해 젖은 상태일 수 있고, 또는 그렇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이는 하기에서 설명할 다른 실시예들에서도 마찬가지임을 알려둔다.However, in this embodiment, the discharge surface 10 may be in a wet state by the contents P as described in the foregoing embodiment, or may be in a non-wet state. It is noted that this is the same in other embodiments described below.

또한 본 실시예에서 탄성지지부재(40)는, 앞서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토출면(10)과 같이 내용물(P)에 의해 젖은 상태일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elastic support member 40 may be wetted by the contents P like the ejection surface 10 described in the foregoing embodiment.

탄성지지부재(40)는, 토출면(10)과 내용물(P) 사이에 마련된다. 탄성지지부재(40)는 퍼프의 가압에 의해 토출면(10)이 처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토출면(10)은 내용물(P)의 배출을 위하여 지속적으로 퍼프에 의해 가압되므로, 토출면(10)의 적어도 중앙 부분은 처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탄성지지부재(40)를 토출면(10)에서 내용물(P)에 인접한 일면에 마련하여, 탄성지지부재(40)가 물리적으로 토출면(10)의 처짐을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탄성지지부재(40)는 토출면(10)의 상부에 마련될 수도 있다.The elastic support member 40 is provided between the discharge surface 10 and the contents P. The elastic support member 40 may be provided to prevent the ejection surface 10 from sagging by the pressure of the puff. Since the discharge face 10 is continuously pressed by the puff for discharging the contents P, at least a central portion of the discharge face 10 may cause deflec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the elastic supporting member 40 on one side of the discharge surface 10 adjacent to the contents P so that the elastic supporting member 40 physically supports the deflection of the discharge surface 10 . However, the elastic support member 40 may be provided on the discharge surface 10.

탄성지지부재(40)는, 토출면(10)의 적어도 일부분에서 토출면(10)과 겹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탄성지지부재(40)는 토출면(10)의 전면을 지지할 필요 없이, 토출면(10)에서 처짐이 가장 크게 발생할 수 있는 부분(일례로 토출면(10)의 중앙 부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을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elastic support member 40 may be disposed so as to overlap with the ejection surface 10 at least at a part of the ejection surface 10. In other words, the elastic supporting member 40 is not required to support the entire surface of the discharge surface 10, but may be a portion where the deflection is most likely to occur at the discharge surface 10 (for example, a central portion of the discharge surface 10,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일례로 탄성지지부재(40)는,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토출면(10)의 일부분과 겹치는 밴드 형태일 수 있고, 이때 탄성지지부재(4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밴드가 서로 교차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물론 탄성지지부재(40)는 교차되지 않고 마련될 수 있으며, 탄성지지부재(40)는 둘 이상의 밴드가 서로 이격된 형태(서로 이격되어 평행한 형태 등)로 마련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elastic support member 40 may be in the form of a band overlapping with a part of the discharge surface 10 as shown in Fig. 7, wherein the elastic support member 40 is formed in such a manner that at least one band crosses each other . Of course, the elastic support member 40 may be provided without being crossed, and the elastic support member 40 may be provided in a shape in which two or more band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e.g.

다만 탄성지지부재(40)는 토출면(10)과 반드시 접촉한 상태를 유지할 필요는 없으며, 토출면(10)의 하강 시 토출면(10)을 지지하면 충분하므로, 탄성지지부재(40)는 토출면(10)과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It is not necessary to keep the elastic support member 40 in contact with the discharge surface 10 and it is sufficient to support the discharge surface 10 when the discharge surface 10 descends, And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discharge surface 10.

탄성지지부재(40)는, 토출면(10)과 내용물(P) 사이에 마련됨에 따라 토출면(10)이 퍼프에 의해 가압될 때 토출면(10)과 함께 눌릴 수 있다. 다만 탄성지지부재(40)는 토출면(10)보다 상대적으로 강한 탄성력을 가질 수 있어서, 퍼프에 의해 가압되더라도 원상태로 회복될 수 있고 처지지 않을 수 있다.The elastic support member 40 is provided between the ejection surface 10 and the contents P so that the elastic support member 40 can be pressed together with the ejection surface 10 when the ejection surface 10 is pressed by the puff. However, the elastic supporting member 40 can have a relatively stronger elastic force than the discharge surface 10, so that even if pressed by the puff, the elastic supporting member 40 can be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and not sagged.

탄성지지부재(40)는 토출면(10)과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일례로 고무, 합성수지, 직물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토출면(10)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이 경우 탄성지지부재(40)는 탄성력을 갖기 위해 토출면(10)보다 두껍게 마련될 수 있다.The elastic support member 40 may be made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at of the discharge surface 10, and may be made of rubber, synthetic resin, fabric, or the like. Alternatively, the elastic supporting member 40 may be made thicker than the ejection surface 10 in order to have an elastic force.

탄성지지부재(40)는 토출면(10)과 함께 용기 본체(20)의 일측에 고정부(30)에 의하여 마련될 수 있다. 탄성지지부재(40)는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내측 고정링(31)과 외측 고정링(32) 사이에 끼어 용기 본체(20)에 고정될 수 있다.The elastic support member 40 may be provided on the one side of the container body 20 together with the ejection surface 10 by the fixing portion 30. [ The elastic support member 40 may be fixed to the container body 20 between the inner fixing ring 31 and the outer fixing ring 32 as shown in the figure.

반면 탄성지지부재(40)는, 용기 본체(20) 또는 내측 고정링(31)에 열융착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내측 고정링(31)과 외측 고정링(32) 사이에는 토출면(10)만 압착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elastic supporting member 40 can be fixed to the container main body 20 or the inner fixing ring 31 by various methods such as heat fusion. In this case, the inner fixing ring 31 and the outer fixing ring 32 Only the ejection surface 10 can be squeezed.

탄성지지부재(40)는, 인장된 상태로 고정부(30)에 의해 용기 본체(20)에 고정될 수 있다. 즉 탄성지지부재(40)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로 용기 본체(20)에 고정되는 대신에, 장력이 가해져 늘어난 상태에서 용기 본체(20)에 고정될 수 있다.The elastic supporting member 40 can be fixed to the container body 20 by the fixing portion 30 in a tensioned state. That is, the elastic support member 40 can be fixed to the container body 20 in a state in which tension is applied and stretched, instead of being fixed to the container body 20 in a state in which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다른 조건이 모두 동일할 때 장력은 처짐량과 반비례하는 변수일 수 있으므로, 탄성지지부재(40)가 장력을 받아 팽팽하게 인장된 상태가 되면, 탄성지지부재(40)의 처짐량이 감소하게 되며, 이는 탄성력이 증가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탄성지지부재(40)는, 팽팽하게 고정됨에 따라 토출면(10)의 처짐을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다.When the elastic supporting member 40 is tensioned in a tensioned state, the amount of deflection of the elastic supporting member 40 is reduced. This is because when the elastic supporting member 40 is in tension, It can be seen that the elastic force is increased. Therefore, the elastic supporting member 40 can be effectively tightly fixed so that the deflection of the discharge surface 10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즉 사용자가 퍼프를 이용하여 도 10과 같이 토출면(10)과 탄성지지부재(40)를 내리 누르더라도, 탄성지지부재(40)의 탄성력에 의하여 토출면(10)은 탄성지지부재(40)와 함께 도 9의 상태로 원상 복귀될 수 있다.That is, even if the user puffs the ejection surface 10 and the elastic support member 40 as shown in Fig. 10, the ejection surface 10 is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elastic support member 40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support member 40, To the state shown in Fig.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퍼프로 토출면(10)을 누르면 토출면(10)을 통해 내용물(P)이 토출되도록 하면서, 토출면(10)의 하부에 탄성력이 좋은 탄성지지부재(40)를 두어 토출면(10)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when the puff-discharging surface 10 is pushed, the contents P ar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ing surface 10, and an elastic supporting member 40 having a good elastic force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discharging surface 10 So that deflection of the ejection surface 10 can be prevented.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단면도이다.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smetic produc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1)은, 토출면(10)의 면적이 한정될 수 있다. 즉 토출면(10)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퍼프의 접촉을 허용하는 면적(W2)은, 퍼프의 면적(W1)보다 상대적으로 클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the area of the discharge surface 10 of the cosmetic 1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limited. That is, the area W2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discharge surface 10 and allowing the puff contact can be relatively larger than the area W1 of the puff.

토출면(10)에서 외부로 노출되어 퍼프의 접촉을 허용하는 부분이라 함은, 토출면(10)의 전체에서 고정부(30)에 의하여 가려지는 부분을 제외한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 부분을 퍼프로 눌러서 화장품(1)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The portion that is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discharge surface 10 and allows the puff to contact may refer to a portion excluding the portion covered by the fixing portion 30 in the entire discharge surface 10. [ The user can press this portion with a puff so that the cosmetic product 1 is discharged.

구체적으로 토출면(10)에서 외부로 노출된 부분의 면적(W2)은, 퍼프의 면적(W1) 대비 110 내지 200%일 수 있다. 사용자는 퍼프를 이용하여 일반적으로 토출면(10)의 가운데를 눌러 사용하게 되는데, 이 경우 토출면(10)의 면적(W2)이 퍼프의 면적(W1)보다 크게 마련됨에 따라, 퍼프의 전면에 균일하게 내용물(P)이 전달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area W2 of the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discharge surface 10 may be 110 to 200% of the area W1 of the puff. In this case, since the area W2 of the discharge surface 10 is set to be larger than the area W1 of the puff, the user can press the center of the discharge surface 10 on the front surface of the puff 10 The contents P can be uniformly delivered.

또한 퍼프의 면적(W1)이 토출면(10)의 면적(W2)보다 작으므로, 사용자는 보다 쉽게 퍼프로 토출면(10)을 누를 수 있다. 토출면(10)의 면적(W2)이 퍼프의 면적(W1)보다 작을 경우에는 사용자가 퍼프로 토출면(10)을 충분히 가압하지 못하게 될 수 있기 때문이다.Further, since the area W1 of the puff is smaller than the area W2 of the discharge surface 10, the user can more easily push the discharge surface 10 with the puff. This is because when the area W2 of the discharge surface 10 is smaller than the area W1 of the puff, the user may not be able to sufficiently press the discharge surface 10 with the puff.

또한 토출면(10)은 고정부(30)에 의해 둘레가 고정되면서 가려지는데, 본 발명은 퍼프의 면적(W1) 대비 토출면(10)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면적(W2)을 더 크게 하여, 퍼프로 토출면(10)을 누를 때 퍼프가 고정부(30)에 닿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퍼프를 사용할 시 고정부(30)에 내용물(P)이 묻는 것을 최소화하여 미감이 훼손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charge surface 10 is covered while the periphery is fixed by the fixing portion 3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rea W2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discharge surface 10 is larger than the area W1 of the puff,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uff from touching the fixing portion 30 when the puff discharging surface 10 is pressed.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minimizes the contents P from being attached to the fixing portion 30 when the puff is used, and can prevent the aesthetics from being damaged.

도 1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토출면의 단면도이다.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scharge surface of a cosmetic produc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1)은, 적어도 일부분이 내용물(P)의 투과가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토출면(10)을 포함하며, 토출면(10)은 중앙부(11)와, 중앙부(11)의 주변에 마련되는 주변부(12)를 포함한다.12, the cosmetic 1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charge surface 10 at least partially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permeating the contents P, And includes a central portion 11 and a peripheral portion 12 provided around the central portion 11.

중앙부(11)라 함은 토출면(10)에서 중심을 기준으로 일정 범위 내의 부분을 의미하며, 토출면(10)의 중심은 토출면(10)이 원 형태일 경우 그 원의 중심이거나, 또는 토출면(10)의 무게중심 등을 의미할 수 있다. The central portion 11 refers to a portion within a certain rang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discharge surface 10 and the center of the discharge surface 10 is the center of the discharge surface 10 when the discharge surface 10 is circular,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discharge surface 10, and the like.

또한 중앙부(11)는 수치적으로 토출면(10)의 중심을 기준으로 토출면(10)의 전체 면적 대비 약 10 내지 50%의 면적을 의미할 수 있다. 단면에서 볼 경우, 중앙부(11)는 토출면(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전체 폭 대비 약 30 내지 70%의 폭을 차지하는 부분일 수 있다.The central portion 11 may numerically mean an area of about 10 to 50% of the entire area of the discharge surface 10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discharge surface 10. [ The central portion 11 may be a portion occupying about 30 to 70% of the entire width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discharge surface 10. [

주변부(12)는 중앙부(11)의 주변을 의미하며, 중앙부(11)를 제외한 토출면(10)의 나머지 전부를 의미하거나, 또는 토출면(10)에서 외부로 노출된 부분 중 중앙부(11)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토출면(10)에서 고정부(30)에 의하여 고정되는 부분은, 고정부(30)에 의해 압착되어 있으므로 내용물(P)의 배출에 관여하지 않기 때문이다.The peripheral part 12 means the periphery of the central part 11 and means the rest of the discharge surface 10 excluding the central part 11 or the central part 11 of the part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discharge surface 10. [ Quot; and " other parts ". This is because the portion of the discharging surface 10 fixed by the fixing portion 30 is not pressed by the fixing portion 30 and therefore does not contribute to the discharge of the contents P. [

중앙부(11)는, 주변부(12)보다 내용물(P)의 투과성이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다. 즉 중앙부(11)는, 퍼프에 의하여 토출면(10)이 가압될 경우, 주변부(12) 대비 더 높은 압력을 받게 되더라도 주변부(12) 대비 내용물(P)을 균일하게 투과시킬 수 있다.The permeability of the contents P may be relatively lower in the central portion 11 than in the peripheral portion 12. [ That is, the central portion 11 can uniformly transmit the content P to the peripheral portion 12 even when the discharge surface 10 is pressed by the puff, even when the peripheral portion 12 is subjected to a higher pressure.

이를 위하여 중앙부(11)는, 주변부(12)와 재질, 크기, 구조 등이 상이할 수 있다. 일례로 중앙부(11)는, 도 12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주변부(12) 대비 상대적으로 두껍게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중앙부(11)는 주변부(12)와 일체로 마련될 수 있고, 또는 주변부(12)와 별도로 마련된 후 주변부(12)에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중앙부(11)는 주변부(12)와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For this, the central portion 11 may be different from the peripheral portion 12 in material, size, structure, and the like. For example, the central portion 11 may be provided relatively thicker than the peripheral portion 12 as shown in FIG. 12 (A). The central portion 11 may be integrally formed with the peripheral portion 12 or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peripheral portion 12 so as to be coupled to the peripheral portion 12. In the latter case, the central portion 11 may be made of a different material from the peripheral portion 12. [

토출면(10)은 날실과 씨실이 서로 교차된 직물로 마련될 수 있는데, 이 경우 중앙부(11)는, 주변부(12) 대비 상대적으로 직물의 짜여진 정도가 촘촘할 수 있다. 따라서 내용물(P)은 날실과 씨실이 교차된 틈새를 통하여 투과되면서도, 중앙부(11)와 주변부(12)에 서로 다른 압력이 가해지더라도 전체적으로 고르게 배출될 수 있다. The discharge surface 10 may be formed of a fabric in which the warp yarns and the weft yarns are intersected with each other. In this case, the central portion 11 may have a relatively woven fabric relatively to the peripheral portion 12. Therefore, the contents P can be uniformly discharged even though different pressures are applied to the central portion 11 and the peripheral portion 12 while being transmitted through the gaps where the warps and wefts intersect.

또는 중앙부(11) 대비 주변부(12)는, 날실과 씨실 사이의 교차 틈새 중 적어도 일부를 강제로 크게 벌린 상태로 고정하여 형성되어, 투과성이 상대적으로 높아질 수 있다.Or the peripheral portion 12 with respect to the central portion 11 may be formed by fixing at least a part of the intersecting clearance between the warp and the weft in a state where the force is greatly enlarged so that the permeability may be relatively high.

다만 날실과 씨실의 교차를 통해 중앙부(11)와 주변부(12)를 일체로 마련할 경우 중앙부(11)와 주변부(12)의 투과성을 다르게 제작하는 것이 제조 비용 등을 고려할 때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토출면(10)이 직물일 경우 중앙부(11)는 주변부(12)보다 투과성이 낮은 형태를 갖도록 주변부(12)와 별도로 마련된 후 주변부(12)에 결합될 수 있다. 및/또는 중앙부(11)와 주변부(12)가 하나의 직물에 의해 일체로 마련된 뒤 중앙부(11)에 다른 직물이 겹쳐지면서 중앙부(11)의 투과성이 낮아질 수 있다.However, when the central part 11 and the peripheral part 12 are provided integrally with each other through the intersection of the warp yarns and the weft yarn, it may not be preferable to make the permeability of the central part 11 and the peripheral part 12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central portion 11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peripheral portion 12 so as to have a lower permeability than the peripheral portion 12 and may be coupled to the peripheral portion 12 when the discharge surface 10 is a fabric. And the central portion 11 and the peripheral portion 12 are integrally provided by a single fabric, and the permeability of the central portion 11 may be lowered by overlapping another fabric on the central portion 11. [

및/또는 중앙부(11)는, 주변부(12) 대비 상대적으로 내용물(P)의 투과성이 떨어지는 재질(주변부(12)와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중앙부(11)가 주변부(12)와 상이한 재질로 마련될 경우에는 중앙부(11)와 주변부(12)가 독립적으로 마련된 후 서로 결합되면서 토출면(10)을 구성할 수 있다.And / or the central portion 11 may be made of a material (material different from the peripheral portion 12) whose permeability of the contents P is relatively low relative to the peripheral portion 12. The central portion 11 and the peripheral portion 12 may be form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and then coupled to each other to form the ejection surface 10. In the case where the central portion 11 is made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at of the peripheral portion 12,

및/또는 중앙부(11)와 주변부(12)는, 동일한 재질 및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만 주변부(12)에는 내용물(P)의 흡수를 촉진하는 코팅(121)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코팅(121)은 주변부(12)에서 내용물(P)에 인접한 일면에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계면활성제 코팅일 수 있다. 즉 주변부(12)의 코팅(121)은, 내용물(P)의 점도를 떨어뜨려서 내용물(P)이 주변부(12)를 통해 중앙부(11)보다 상대적으로 더 투과되도록 할 수 있다.And the central portion 11 and the peripheral portion 12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nd the same structure but the peripheral portion 12 may be provided with the coating 121 promoting the absorption of the contents P. The coating 121 may be on one side adjacent to the contents P in the periphery 12 and may be a surfactant coating. That is, the coating 121 of the peripheral portion 12 can lower the viscosity of the contents P so that the contents P are relatively more transmitted through the peripheral portion 12 than the central portion 11.

또는 코팅(121)은, 내용물(P)의 흡수를 허용하는 친수 또는 친유 코팅일 수 있다. 따라서 주변부(12)는 내용물(P)을 중앙부(11) 대비 더 빠르고 더 많이 흡수하여, 중앙부(11) 대비 많은 내용물(P)을 투과시킬 수 있다.Or the coating 121 may be a hydrophilic or lipophilic coating that allows absorption of the contents P. Therefore, the peripheral portion 12 absorbs the content P faster and mor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portion 11, and can transmit a larger content P with respect to the central portion 11. [

또는 주변부(12)에는 고흡수층(도시하지 않음)이 덧대어질 수 있다. 고흡수층이라 함은 기저귀 등에 사용되는 ADL(Acquisition Distribution Layer) 시트 등과 같이 내용물(P)을 빠르게 흡수하고 분산하는 역할을 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층일 수 있다.Or the peripheral portion 12 may be padded with a high absorption layer (not shown). The high absorption layer may be a layer made of a material that plays a role of rapidly absorbing and dispersing the contents P, such as an ADL (Acquisition Distribution Layer) sheet used for diapers and the like.

따라서 본 발명은, 퍼프에 의해 중앙부(11)가 중점적으로 눌리더라도, 중앙부(11)보다 주변부(12)의 투과성이 더 좋게 하여, 토출면(10)에서 내용물(P)이 전체적으로 고르게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even if the central portion 11 is pushed down by the puff, the permeability of the peripheral portion 12 is better than that of the central portion 11, so that the contents P are uniformly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surface 10 as a whole can do.

도 1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토출면의 단면도이다.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scharge surface of a cosmetic product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1)은, 적어도 일부분이 내용물(P)의 투과가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토출면(10)을 포함하며, 토출면(10)은 중앙부(11)와 주변부(12)로 구성될 수 있다.13, the cosmetic 1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charge surface 10, at least a part of which is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permeating the contents P, And may include a central portion 11 and a peripheral portion 12.

토출면(10)은 날실과 씨실이 서로 교차하여 짜여진 직물로 이루어지며, 날실과 씨실 사이의 교차 틈새를 통하여 내용물(P)을 배출할 수 있다. 즉 중앙부(11)와 주변부(12) 모두, 토출면(10)의 재질에 의한 투과(교차 틈새를 통한 내용물(P)의 배출)를 구현할 수 있다.The discharge surface 10 is made of a woven fabric in which warp yarns and weft yarns are interwoven with each other, and the contents P can be discharged through crossing gaps between the warp yarns and the weft yarns. Both of the central portion 11 and the peripheral portion 12 can be permeated by the material of the discharge surface 10 (discharge of the content P through the crossing gap).

이때 중앙부(11)에는 토출구(111)가 마련될 수 있다. 중앙부(11)는 토출면(10)의 재질에 의한 투과에 더하여 토출구(111)를 통해 내용물(P)을 토출시킬 수 있다. 즉 중앙부(11)는, 교차 틈새에 더하여 토출구(111)가 마련되어 교차 틈새 및 토출구(111)를 통해 내용물(P)을 배출할 수 있다.At this time, a discharge port 111 may be provided in the central portion 11. The central portion 11 can discharge the contents P through the discharge port 111 in addition to the permeation by the material of the discharge surface 10. [ In other words, the central part 11 is provided with the discharge opening 111 in addition to the crossing clearance, and can discharge the contents P through the crossing clearance and the discharge opening 111. [

이때 토출구(111)는, 교차 틈새보다 내용물(P)의 투과성이 상대적으로 높을 수 있으며, 교차 틈새보다 상대적으로 큰 구멍의 형태일 수 있다. 토출구(111)는 날실과 씨실 사이의 교차 틈새 중 적어도 일부를 강제로 크게 벌린 상태로 고정하여 형성하는 것이거나, 또는 토출면(10)에 구멍을 강제로 뚫어 형성하는 것일 수 있다. At this time, the discharge port 111 may have a higher permeability of the content P than the crossing gap, and may be in the form of a hole relatively larger than the crossing gap. The discharge port 111 may be formed by fixing at least a part of the intersection clearance between the warp yarn and the weft yarn in a state in which the force is greatly enlarged or by forcibly piercing the discharge surface 10 with a hole.

토출구(111)는, 직경이 모두 동일하거나, 또는 토출면(10)의 중심에서 주변으로 갈수록 직경이 달라질 수 있다. 일례로 토출구(111)는 토출면(10)의 중심(=중심부의 중심)에 근접할수록 크기가 가장 작을 수 있다.The diameters of the discharge ports 111 may be the same or may vary from the center of the discharge surface 10 toward the periphery. For example, the discharge port 111 may be the smallest in size as it approaches the center of the discharge surface 10 (= the center of the center).

또는 토출구(111)는, 중앙부(11)의 중심에는 형성되지 않고 중앙부(11)의 중심에서 이격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이는 퍼프에 의하여 중앙부(11)의 중심이 눌린다고 가정할 때, 과도한 내용물(P)의 배출을 억제하면서도 충분한 양의 내용물(P)이 배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Or the discharge port 111 may not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central portion 11 but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apart from the center of the central portion 11. [ This is to allow a sufficient amount of contents P to be discharged while suppressing the discharge of excessive contents P, assuming that the center of the central portion 11 is pushed by the puff.

중앙부(11)와 달리 주변부(12)에는 토출구(111)가 마련되지 않을 수 있고, 주변부(12)는 교차 틈새를 통하여 내용물(P)을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중앙부(11)는, 교차 틈새에 더하여 토출구(111)를 통해 내용물(P)을 배출하게 되므로, 퍼프에 의해 동일한 가압이 이루어지더라도 중앙부(11)에서 토출되는 내용물(P)은 주변부(12) 대비 많을 수 있다.Unlike the central portion 11, the peripheral portion 12 may not have the discharge port 111, and the peripheral portion 12 may discharge the contents P through the cross clearance.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entral part 11 discharges the content P through the discharge opening 111 in addition to the intersection clearance. Therefore, even if the same pressing is performed by the puff, the contents P discharged from the center part 11 May be greater than the peripheral portion 12.

이는 앞선 실시예와 반대되는 것일 수 있는데, 본 실시예는 퍼프에 의하여 보통 중앙부(11)가 중점적으로 가압되는 점에 착안하여, 중앙부(11)의 토출량을 주변부(12)보다 많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퍼프로 중앙부(11)만을 누르더라도 충분한 양의 내용물(P)을 토출시켜 사용할 수 있다.This is contrary to the previous embodiment. In this embodiment, the discharge amount of the central portion 11 can be made larger than that of the peripheral portion 12, paying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central portion 11 is mainly pressed by the puff. In this case, even if the user presses only the central portion 11 with the puff, a sufficient amount of contents P can be discharged and used.

도 14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5 및 도 1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단면도이다.FIG. 1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smetic product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5 and 16 are cross-sectional views of a cosmetic product according to a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1)은, 용기 본체(20)와 토출면(10)을 포함한다. 이때 용기 본체(20)에는, 격리부재(24)가 마련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4 to 16, the cosmetic 1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ainer body 20 and a discharge surface 10. At this time, the container body 20 may be provided with an isolating member 24.

용기 본체(20)는, 내용물(P)이 수용되는 공간을 적어도 둘 이상으로 나누는 격리부재(24)를 가질 수 있다. 격리부재(24)는, 일측이 토출면(10)에 고정되고 타측이 용기 본체(20)의 내면에 고정될 수 있다.The container body 20 may have an isolating member 24 that divides the space in which the contents P are accommodated into at least two or more. One side of the isolation member 24 may be fixed to the discharge surface 10 and the other side thereof may be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20. [

즉 격리부재(24)는, 용기 본체(20) 및 토출면(10)에 의해 둘러싸이는 공간을 적어도 둘 이상으로 나누면서 서로 격리시킬 수 있다. 이때 서로 격리된 공간에 수용되는 내용물(P)은, 서로 다른 성분을 가질 수 있다.That is, the isolation member 24 can separate the space surrounded by the container body 20 and the discharge surface 10 from each other by dividing into at least two or more. At this time, contents P contained in the mutually isolated spaces may have different components.

다만 격리부재(24)는 일측이 토출면(10)에 고정되지 않은 상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격리부재(24)는 내용물(P)의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높이를 갖도록 설치되어 내용물(P)이 수용되는 공간을 나눌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eparating member 24 may be provided to have a relatively higher height than the height of the contents P, P can be accommodated.

즉 격리부재(24)의 상단은 내용물(P)과 토출면(1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는데, 이때 토출면(10)이 눌리면 격리부재(24)가 압축되거나 휘어지면서 내용물(P)의 높이보다 격리부재(24)의 높이가 낮아지고 내용물(P)이 토출면(10)을 통해 토출될 수 있다. 이후 토출면(10)의 눌림이 해제되면 격리부재(24)는 원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That is, the upper end of the isolation member 24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contents P and the discharge surface 10. At this time, when the discharge surface 10 is pressed, the isolation member 24 is compressed or warped, The height of the isolating member 24 is lowered and the contents P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surface 10. [ Thereafter, when the discharge surface 10 is released from the pressure, the isolation member 24 can be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격리부재(24)는 강체로 마련될 수 있는데, 이 경우 토출면(10)에서 격리부재(24)와 접하는 부분은 퍼프의 눌림에 의해서도 처지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격리부재(24)에 의해 서로 격리되는 각 공간의 상방을 눌러서 내용물(P)을 토출시킬 수 있다. 즉 격리부재(24)가 토출면(10)의 하강을 허용하지 않는 형태일 경우, 사용자는 격리부재(24)의 주변을 눌러 내용물(P)을 토출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the portion of the discharge surface 10 in contact with the isolation member 24 may not be sagged by the puff. At this time, the user can press the upper portions of the spaces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isolating member 24 to discharge the contents P. That is, when the separating member 24 does not allow the discharge surface 10 to descend, the user can press the periphery of the separating member 24 to discharge the contents P.

이 경우 사용자는, 서로 다른 성분을 갖는 내용물(P)을 독립적으로 토출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다만 사용자는 토출면(10)에 서로 다른 성분의 내용물(P)을 모두 토출시킨 후 토출면(10)에서 직접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In this case, the user can independently use and discharge the contents P having different components. However, the user can use the dispensing surface 10 after discharging all contents P of different components to the discharging surface 10, Can also be used directly in combination.

반면 격리부재(24)는, 형상이 변형될 수 있는 재질 및/또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격리부재(24)의 상부에서 퍼프로 토출면(10)을 눌러 내용물(P)을 배출시킬 수 있으며, 격리부재(24)는 토출면(10)이 퍼프에 의해 가압될 때 압축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solation member 24 may be made of a material and / or structure that can be deformed in shape. At this time, the user can push out the contents P by pressing the discharge surface 10 with the puff at the upper part of the isolation member 24, and the isolation member 24 is compressed when the discharge surface 10 is pressed by the puff .

이 경우 격리부재(24)에 의하여 서로 격리된 이종의 내용물(P)은, 토출면(10)에 동시에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두 가지 내용물(P)을 한꺼번에 배출시킨 후 혼합 사용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ifferent kinds of contents P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isolating member 24 can be discharged to the discharge surface 10 at the same time. Therefore, the user can discharge the two contents (P) at a time and mix them together.

퍼프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면 격리부재(24)는 원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즉 격리부재(24)는 용기 본체(20)의 내부 공간을 적어도 둘 이상으로 나누면서도, 토출면(10)을 상방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When the pressurization by the puff is released, the isolation member 24 can be returned to its original state. That is, the isolation member 24 can divide the internal space of the container body 20 into at least two or more and can support the discharge surface 10 upward.

구체적으로 격리부재(24)는, 고무 등과 같이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며, 또는 내부에 인장 탄성력을 갖는 탄성부재(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는 구조로 마련될 수 있다. 격리부재(24)는 퍼프에 의해 압축되었을 때 팽창하는 탄성력을 가져야 하므로, 격리부재(24)의 재질은 압축 시 인장되려는 힘을 갖는 고무 등의 재질일 수 있다. 및/또는 격리부재(24)는 내부에 스프링 등을 포함하는 벽 형태로 마련되어, 압축 시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여 원상태로 팽창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Specifically, the isolation member 24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an elastic force such as rubber or may be provided with an elastic member (not shown) having a tensile elastic force therein. Since the isolation member 24 has an elastic force to expand when compressed by the puff, the material of the isolation member 24 may be rubber or the like having a force to be stretched when compressed. And / or the isolation member 24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wall including a spring or the like in the interior thereof, and may have a structure to be inflat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pring during compression.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토출면(10)을 누르면 내용물(P)이 배출되도록 하면서, 둘 이상의 내용물(P)이 하나의 토출면(10)을 통해 배출될 수 있도록 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ore than two contents P can be discharged through one discharge surface 10 while pushing the discharge surface 10 to discharge the contents P, thereby improving user's convenience .

도 17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단면도이다.FIG. 1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smetic product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8 and 19 are sectional views of a cosmetic product according to a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1)은, 토출면(10)과 실링면(50)을 포함한다.17 to 19, the cosmetic product 1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discharge surface 10 and the sealing surface 50. As shown in Fig.

실링면(50)은, 토출면(10)과 내용물(P) 사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토출면(10)과 이격되도록 마련된다. 실링면(50)은 토출면(10)에 퍼프가 주로 눌리는 중앙 부분에서 토출면(10)과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The sealing surface 50 is provided so as to be at least partly spaced from the discharge surface 10 between the discharge surface 10 and the contents P. [ The sealing surface 50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discharge surface 10 at a central portion where the puff is mainly pressed on the discharge surface 10. [

토출면(10)과 실링면(50)은 고정부(30)에 의하여 용기 본체(20)에 고정될 수 있는데, 용기 본체(20)에서 개방된 일측의 면적보다, 용기 본체(20)의 개방된 일측을 덮는 실링면(50)의 면적이 상대적으로 클 수 있다. 즉 실링면(50)은, 토출면(10)보다 처진 상태로 용기 본체(20)에 고정됨에 따라, 토출면(10)과 이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discharge surface 10 and the sealing surface 50 can be fixed to the container body 20 by the fixing portion 30. The opening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20 is larger than the area of one side opened in the container body 20, The area of the sealing surface 50 that covers the one side may be relatively large. The sealing surface 50 may be provid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discharge surface 10 as the sealing surface 50 is fixed to the container body 20 in a state in which the discharge surface 10 is further suspended.

토출면(10)은, 인장된 상태로 고정부(30)에 의하여 용기 본체(20)에 고정될 수 있다. 즉 토출면(10)은 중심에서 외측 방향으로 잡아 당겨진 상태에서 고정부(30)에 의해 용기 본체(20)에 고정됨에 따라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는 토출면(10)은, 인장되지 않은 상태로 고정부(30)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는데, 이 경우 토출면(10)은 인장되지 않고 고정부(30)에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부(30)가 용기 본체(20)에 끼워질 때 다소 인장될 수도 있다.The ejection surface 10 can be fixed to the container body 20 by the fixing portion 30 in a tensioned state. In other words, the ejection surface 10 can be held in a taut state as it is fixed to the container body 20 by the fixing portion 30 while being pulled out from the center. Or the discharge surface 10 may be fixed by the fixing portion 30 in a non-tensioned state. In this case, the discharge surface 10 is fixed to the fixing portion 30 without being pulled, 30 may be somewhat tensioned as they are fitted into the container body 20.

반면 실링면(50)은, 토출면(10)보다 상대적으로 덜 인장된 상태 또는 인장되지 않은 상태로 고정부(30)에 의해 용기 본체(20)에 고정될 수 있고, 처진 상태로 용기 본체(20)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실링면(50)과 토출면(10)은, 적어도 중앙 부분에서 서로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sealing surface 50 can be fixed to the container body 20 by the fixing portion 30 in a state in which the sealing surface 50 is relatively less tensioned than the discharge surface 10 or in a non-tensioned state, 20). Therefore, the sealing surface 50 and the discharge surface 1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least at the central portion.

이때 토출면(10)과 실링면(50)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는, 내용물(P)이 채워져 있을 수 있다. 또는 해당 공간에는 내용물(P)을 임시로 함침하는 함침재(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될 수 있으며, 함침재는 다공성 스펀지 등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spaced space between the discharge surface 10 and the sealing surface 50 may be filled with the contents P. Alternatively, an impregnation material (not shown) for temporarily impregnating the content P may be provided in the space, and the impregnation material may be a porous sponge or the like.

또한 토출면(10)과 실링면(50) 사이에는 앞서 설명한 격리부재(24)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인 이격유지부재(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될 수 있으며, 이격유지부재는 토출면(10)과 실링면(50) 사이의 간격을 벌리도록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다. 이는 실링면(50)이 토출면(10)과 접촉되지 않은 상태로 마련되어 내용물(P)의 누액 방지를 보장하기 위함이다. 또한 앞서 언급한 함침재 역시 이격유지부재의 예시로 볼 수 있으며, 이격유지부재는 스펀지, 플라스틱, 메시, 고무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Further, a spacing member (not shown) having the same or similar construction as the above-described separating member 24 may be provided between the discharging face 10 and the sealing face 50, And the sealing surface (50). This is to ensure that the sealing surface 50 is not in contact with the discharge surface 10 to prevent leakage of the contents P. [ Also, the above-mentioned impregnated material can be seen as an example of the spacing member, and the spacing member can be made of sponge, plastic, mesh, rubber or the like.

실링면(50)은, 토출면(10) 대비 투과성이 상이한 재질 또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실링면(50)은 내용물(P)의 누액을 방지하기 위해 토출면(10)보다 투과성이 낮을 수 있다. 토출면(10)과 실링면(50)은 날실과 씨실이 서로 교차하여 짜여진 직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실링면(50)은 토출면(10) 대비 짜여진 정도가 상대적으로 촘촘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The sealing surface 50 may be made of a material or a structure having a different permeability from the discharge surface 10. For example, the sealing surface 50 may be less permeable than the discharge surface 10 to prevent leakage of the contents P. The discharge surface 10 and the sealing surface 50 may be made of a woven fabric in which the warp yarns and the weft yarns are interwoven with each other. The sealing surface 50 may be relatively closely woven with respect to the discharge surface 10.

반대로 실링면(50)은 토출면(10)보다 투과성이 높은 재질 또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그렇다 하더라도 실링면(50)은 토출면(10) 대비 인장되지 않은 상태로 용기 본체(20)에 고정되어 실링 효과를 구현할 수 있고, 및/또는 실링면(50)은 내용물(P)에 젖은 상태를 유지하여 내용물(P)의 표면 장력에 의해 실링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The sealing surface 50 may be fixed to the container body 20 in a state that the sealing surface 50 is not stretched with respect to the discharging surface 10 even if the sealing surface 50 is made of a material or structure having higher permeability than the discharging surface 10. [ And / or the sealing surface 50 can maintain a wet state with the contents P, so that the sealing effect can be realized by the surface tension of the contents P.

즉 본 실시예는 투과성이 서로 다른 토출면(10)과 실링면(50)을 마련하여 누액을 방지하는 동시에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토출면(10)이 실링면(50) 대비 투과성이 낮은 재질 또는 구조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미관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우수할 수 있다.That is, in this embodiment, the discharge surface 10 and the sealing surface 50 having different permeabilities are provided to prevent leakage and prevent sagging. However, when the discharge surface 10 is made of a material or structure having a low permeability with respect to the sealing surface 50, the discharge surface 10 may be relatively excellent in terms of aesthetic appearance.

즉 실링면(50)은 다른 실시예에서 토출면(10)에 대해 설명한 것과 동일/유사하게, 내용물(P)에 젖어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및/또는 코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실링면(50)은 액상 내용물(P)의 표면 장력에 의하여 실링 효과를 높일 수 있다.That is, the sealing surface 50 may be kept wet with the content P, and / or the coating may be made, in the same or similar manner as described for the discharge surface 10 in another embodiment. In this case, the sealing surface 50 can increase the sealing effect by the surface tension of the liquid content P.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링면(50)은 처진 상태로 용기 본체(20)에 고정되므로, 실링면(50)은 내용물(P)의 상면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는 이를 한정하지 않으며, 실링면(50)이 내용물(P)의 상면에 접촉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즉 실링면(50)은 내용물(P)에 접촉되어 있지 않다가, 토출면(10)에 의해 눌리면 눌린 부분이 움푹 들어가면서 내용물(P)과 접촉할 수 있다. The sealing surface 50 can be kept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ents P because the sealing surface 50 is fixed to the container body 20 in a sagging state as described above, And the sealing surface 50 may not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ents P. That is, the sealing surface 50 is not in contact with the contents P, but is pushed by the discharging surface 10 and can be in contact with the contents P while being depressed.

토출면(10)과 실링면(50) 중 적어도 토출면(10)은,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토출면(10)과 실링면(50)은 두께, 탄력감, 투과성이 서로 다를 수 있다.At least the discharge surface 10 of the discharge surface 10 and the sealing surface 50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an elastic force and the discharge surface 10 and the sealing surface 50 may have different thicknesses, have.

사용자가 퍼프로 토출면(10)을 누르면, 퍼프의 가압에 의해서 실링면(50)과 토출면(10)의 이격된 부분은 서로 밀착될 수 있다. 이후 퍼프의 가압이 해제되면, 실링면(50)에서 토출면(10)과 이격되는 부분은 다시 이격된 상태로 되돌아갈 수 있다. 즉 실링면(50)은, 사용자에 의해 내용물(P)의 배출이 필요하지 않을 때 토출면(10)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여, 내용물(P)의 누액을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user presses the discharge surface 10 with the puff, the separated surface of the sealing surface 50 and the discharge surface 10 can be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by the pressure of the puff. When the pressurization of the puff is subsequently released, the part of the sealing surface 50 which is spaced apart from the discharge surface 10 can be returned to the separated state again. That is, the sealing surface 50 maintains the state of being spaced apart from the discharge surface 10 when the contents P are not required to be discharged by the user, and leakage of the contents P can be prevented.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토출면(10) 대비 투과성이 떨어지는 실링면(50)을 토출면(10)에서 내용물(P)에 인접한 부분에 마련하고, 실링면(50)을 토출면(10)과 이격되도록 배치함으로써, 내용물(P)의 누액을 방지해 사용자의 만족도를 보장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the sealing surface 50, which is less permeable to the discharge surface 10, is provided on the discharge surface 10 adjacent to the content P, and the sealing surface 50 is formed on the discharge surface 10, It is possible to prevent leakage of the contents P and ensure satisfaction of the user.

도 20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분해 단면도이며, 도 22 및 도 23은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단면도이다.FIG. 2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smetic product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1 is an exploded sectional view of a cosmetic product according to an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Fig.

도 20 내지 도 2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8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1)은, 토출면(10)과 가압부재(6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20 to 23, the cosmetic 1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charge surface 10 and a pressing member 60. Fig.

가압부재(60)는, 토출면(10)과 내용물(P) 사이에 마련되며, 내용물(P)이 토출되는 토출구(61)를 갖는다. 가압부재(60)는 토출면(10)이 퍼프에 의해 눌리면 그에 따라 이동하여 내용물(P)을 가압할 수 있다. The pressing member 60 is provided between the discharge surface 10 and the contents P and has a discharge port 61 through which the contents P are discharged. The pressing member 60 can move according to the pressing of the discharge surface 10 by the puff and press the content P.

이를 위해 가압부재(60)는 용기 본체(20) 내에서 상기 내용물의 일측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퍼프의 가압 시 토출면(10)에 의해 밀려서 내용물(P)을 압축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물론 가압부재(60)의 둘레가 용기 본체(20)의 내면에 밀착되어, 가압부재(60)의 이동 시 가압부재(60)와 용기 본체(20)의 틈으로 내용물(P)이 새어나오지 않을 수 있다.To this end, the pressing member 60 may be movably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ontents in the container body 20, and may be pushed by the discharge surface 10 when the puff is pressed to move in the direction of compressing the contents P . Of course, the periphery of the pressing member 6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20, so that when the pressing member 60 moves, the contents P do not leak out through the gap between the pressing member 60 and the container body 20 .

내용물(P)이 저점도 액상일 경우, 장기간 내용물(P)의 사용이 없을 시 내용물(P)의 성분들이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용기 본체(20)를 흔들면 내용물(P)의 성분이 다시 혼합될 수 있겠지만, 사용자로서는 내용물(P)의 성분이 분리되었는지 여부를 알기 어렵고, 그렇다고 용기 본체(20)를 항상 충분히 흔들어 사용하는 것은 불편할 수 있다.When the content (P) is a low viscosity liquid phase, the components of the content (P)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when the content (P) is not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At this time, if the user shakes the container body 20, the contents of the contents P may be mixed again. However, it is difficult for the user to know whether or not the components of the contents P have been separated, It can be inconvenient to do.

따라서 본 발명은, 내용물(P)이 성분의 분리가 이루어질 우려가 있는 것일 경우, 성분의 분리를 원천 차단하지는 않더라도, 적어도 내용물(P)이 토출될 때 분리된 성분들을 서로 혼합시킬 수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mix the separated components when at least the contents (P) are discharged, even if the content (P) is likely to cause separation of components, even if the components are not separated from the source.

즉 사용자가 퍼프로 토출면(10)을 누르면, 토출면(10)과 내용물(P) 사이의 가압부재(60)가 내용물(P)의 압력을 높여서, 내용물(P)을 구성하는 성분들이 서로 혼합되면서 토출면(10)을 통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user presses the discharge surface 10 with the puff, the pressure member 60 between the discharge surface 10 and the contents P raises the pressure of the contents P, And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surface 10 while being mixed.

또한 가압부재(60)는, 내용물(P)이 토출면(10)으로 전달될 수 있는 단면적을 축소시킬 수 있다. 가압부재(60)가 마련되지 않는다면, 내용물(P)은 용기 본체(20)의 일측의 단면적 만큼 토출면(10)을 향해 유동할 수 있는데, 가압부재(60)가 마련된다면 내용물(P)은 토출구(61)의 총 단면적 만큼만 토출면(10)을 향해 유동할 수 있다.Further, the pressing member 60 can reduce the cross-sectional area in which the contents P can be transmitted to the discharge surface 10. [ If the pressing member 60 is not provided, the contents P can flow toward the discharge face 10 by a cross-sectional area of one side of the container body 20. If the pressing member 60 is provided, It is possible to flow toward the discharge surface 10 only by the total cross-sectional area of the discharge port 61.

즉 가압부재(60)는, 내용물(P)이 유동할 수 있는 단면적을 축소하여 내용물(P)의 유동 속도를 높일 수 있다. 특정한 유체의 유동에 있어서 단면적과 속도의 곱은 늘 상수(A*v=constant)이므로, 단면적이 작아지면 반대로 속도가 상승할 수 있다. That is, the pressing member 60 can reduce the cross-sectional area through which the contents P can flow to increase the flow speed of the contents P. [ In the flow of a specific fluid, the product of the cross-sectional area and the velocity is always constant (A * v = constant).

따라서 가압부재(60)는, 내용물(P)을 직접 내리눌러서 내용물(P)의 압력을 높이면서, 동시에 내용물(P)의 유동 단면적을 토출구(61)의 면적으로 축소하여 내용물(P)의 토출 속도를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압력 및 속도가 높아진 내용물(P)은, 비록 내부에서 일부 성분이 분리되었다고 하더라도, 분리된 성분이 재혼합되면서 토출면(10)으로 배출될 수 있다.Therefore, the pressing member 60 directly presses down the contents P to increase the pressure of the contents P, while at the same time reducing the flow cross-sectional area of the contents P to the area of the discharge port 61 to discharge the contents P It can speed up. The contents P having such a high pressure and high speed can be discharged to the discharge surface 10 while the separated components are remixed, even if some components are separated from the inside.

이때 가압부재(60)는, 토출구(61)를 갖는 강체인 판 형태일 수 있고, 금속, 비금속, 섬유, 합성수지 등 가압이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가압부재(60)는, 다공성의 스펀지 등과 같은 형태를 가질 수도 있고, 스펀지에 마련되는 구멍이 토출구(61) 역할을 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ressing member 60 may be in the form of a plate having a discharge port 61, which is a rigid body, and may be made of a material such as metal, non-metal, fiber, synthetic resin or the like. Alternatively, the pressing member 60 may have the form of a porous sponge or the like, and a hole provided in the sponge may serve as the discharge port 61. [

다만 가압부재(60)는 토출구(61)를 제외한 부분이 내용물(P)의 토출을 차단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또한 가압부재(60)는 내용물(P)에 인접한 일면과 토출면(10)에 인접한 타면 중 적어도 일면에 발수 또는 발유 코팅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pressing member 60 may be provided on one side adjacent to the content P and on the other side adjacent to the discharging surface 10 A water repellent or oil-repellent coating may be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adjacent surfaces.

가압부재(60)는, 퍼프에 의해 토출면(10)이 눌리면 하강하여 내용물(P)을 배출시킬 수 있는데, 퍼프의 가압이 해제되면 가압부재(60)는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압부재(60)와 용기 본체(20) 사이에는 스펀지나 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부재(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될 수 있다.The pressing member 60 can be lowered when the discharge surface 10 is pushed by the puff to discharge the contents P. When the pressing of the puff is released, the pressing member 60 can be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To this end, an elastic member (not shown) such as a sponge or a spring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ressing member 60 and the container body 20. [

이 경우 가압부재(60)의 하면과 내용물(P)의 상면은 이격되어 있을 수 있으므로, 가압부재(60)는 내용물(P)의 표면보다 토출면(10) 측에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내용물(P)의 소진에 따라 내용물(P)의 상면과 가압부재(60)의 하면 사이의 이격 거리는 점차 커질 수 있다. In this case, since the lower surface of the pressing member 6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ents P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e pressing member 60 may be provided on the discharging surface 10 side with respect to the surface of the contents P.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contents P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pressing member 60 can be gradually increased as the content P is exhausted.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가압부재(60)가 내용물(P)에서 이격되도록 하여, 가압부재(60)를 다시 누를 때 가압부재(60)가 내용물(P)을 재가압하여 내용물(P)이 충분히 혼합되도록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pressing member 60 is separated from the contents P and the pressing member 60 presses the contents P again when the pressing member 60 is pressed again, Mixed.

가압부재(60)와 토출면(10) 사이의 공간에는, 가압부재(60)의 토출구(61)를 통해 빠져나온 내용물(P)이 채워져 있을 수 있다. 물론 해당 공간에 다공성 스펀지 등과 같이 내용물(P)을 임시로 함침하는 함침재(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될 수도 있지만, 가압부재(60)와 토출면(10) 사이의 공간은 내용물(P)의 수용량에 따라 가변되는 것이어서, 해당 공간은 내용물(P)만 채워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The contents P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ort 61 of the pressing member 60 may be fi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pressing member 60 and the discharge surface 10. [ Of course, the impregnation member (not shown) for temporarily impregnating the content P, such as a porous sponge, may be provided in the space, but a space between the pressure member 60 and the ejection surface 10 may be a space And the space may be provided so as to be filled with the contents P only.

토출면(10)과 이격된 가압부재(60)는, 토출면(10)이 다시 퍼프에 의해 눌릴 때 하강하면서 내용물(P)의 배출이 강하고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해 내용물(P)의 성분이 분리된 채 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pressing member 60 spaced from the discharging face 10 descends when the discharging face 10 is pressed again by the puff so that the discharging of the contents P is carried out strongly and quickly so that the components of the contents P are separa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k from being discharged.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저점도 액상인 내용물(P)에서 포함된 성분이 분리될 것을 우려하여, 내용물(P)의 배출 시 가압부재(60)를 이용해 내용물(P)의 압력과 속도를 높여서 내용물(P) 내에서 분리되는 성분을 재혼합시킴으로써, 내용물(P) 내부의 각 성분들의 비율을 유지해서, 늘 한결같은 화장 효과를 보장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when the content P is discharged, the pressure P and the speed of the contents P are increased by using the pressing member 60, By mixing the components separated in the contents P, the proportions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in the contents P are maintained, thereby ensuring uniform cosmetic effects.

도 24는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의 단면도이다.2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smetic product according to a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9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1)은, 용기 본체(20), 토출면(1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4, the cosmetic 1 according to the ni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ainer body 20 and a discharge surface 10.

용기 본체(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혼합부재(70)를 포함한다. 용기 본체(20)에는 내용물(P)이 수용되어 있는데, 혼합부재(70)는 내용물(P)에 잠겨 유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혼합부재(70)는 용기 본체(20)가 흔들리면, 흔들림에 의하여 자유롭게 내용물(P)의 내부에서 움직일 수 있다.The container body (20) includes at least one mixing member (70). The contents P are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body 20 and the mixing member 70 can be provided so as to be able to flow by being immersed in the contents P. The mixing member 70 can move freely within the contents P by shaking if the container body 20 is shaken.

혼합부재(70)는 볼 형태 등을 가질 수 있고, 내용물(P) 내에서 움직여서 내용물(P)을 교반할 수 있다. 내용물(P)은 앞서 제8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성분의 분리가 우려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는 혼합부재(70)를 이용하여 내용물(P)을 강제로 섞어줌으로써, 내용물(P)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사용자는 용기 본체(20)를 조금만 흔들어주더라도, 혼합부재(70)의 유동에 의하여 내용물(P)의 충분한 교반을 구현할 수 있다.The mixing member 70 may have a ball shape or the like and move in the contents P to stir the contents P. The content P may be a separation of components as described in the eighth embodiment. In this embodiment, the content P is forcibly mixed using the mixing member 70, Separation can be prevented. That is, even if the user slightly shakes the container body 20 in the present invention, sufficient stirring of the contents P by the flow of the mixing member 70 can be realized.

혼합부재(70)는, 단순히 둥근 볼 형태이거나, 또는 구멍이 뚫린 볼 형태일 수 있다. 후자의 경우 내용물(P)은 혼합부재(70)의 외부에서 내부로 유입되었다가 다시 외부로 빠져나가는 과정을 통해 교반될 수 있다. 물론 혼합부재(70)의 형태는 볼 타입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육면체와 같은 다각면체 등으로 다양할 수 있다.The mixing member 70 may simply be in the form of a round ball, or may be in the form of a ball with a hole. In the latter case, the contents (P) may be agitated through the process of flowing into the interior of the mixing member (70) from the outside and then escaping to the outside. Of course, the shape of the mixing member 70 is not limited to a ball type, and may be a polygonal shape such as a hexahedron.

혼합부재(70)는, 가요성 있는 재질로 마련되며, 일례로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용기 본체(20)를 흔듦에 따라 혼합부재(70)가 내용물(P)에 잠긴 채 유동할 때 소음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mixing member 70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and may be made of synthetic resin, for example. This is to prevent noise from occurring when the mixing member 70 flows while being immersed in the contents P as the user shakes the container body 20. [

혼합부재(70)는, 토출면(10)에 의해 배출되지 않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즉 토출면(10)이 날실과 씨실의 교차로 이루어진 직물일 때, 혼합부재(70)는 교차 틈새보다 큰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혼합부재(70)는 토출면(10)이 퍼프에 의하여 가압될 때 벌어지는 교차 틈새보다 큰 크기를 가질 수 있다.The mixing member (70) may have a size that is not discharged by the discharge surface (10). That is, when the discharge surface 10 is a fabric formed by the intersection of the warp yarns and the weft yarn, the mixing member 70 may have a size larger than the cross clearance. Further, the mixing member 70 may have a larger size than the crossing gap that is opened when the discharge surface 10 is pressed by the puff.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용기 본체(20)에 수용된 내용물(P)에 혼합부재(70)를 잠기게 하고, 사용자가 용기 본체(20)를 살짝 흔들면 혼합부재(70)가 자유롭게 유동하면서 내용물(P)을 충분히 교반하도록 함으로써, 내용물(P)의 성분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ixing member 70 is immersed in the contents P contained in the container body 20, and when the user slightly shakes the container body 20, the mixing member 70 freely flow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mponents of the content P from being separated.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the modification and the modification are possible.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 화장품 2: 화장도구
P: 내용물 10: 토출면
11: 중앙부 111: 토출구
12: 주변부 121: 코팅
20: 용기 본체 21: 내뚜껑
22: 외용기 23: 외뚜껑
24: 격리부재 30: 고정부
31: 내측 고정링 32: 외측 고정링
40: 탄성지지부재 50: 실링면
60: 가압부재 61: 토출구
70: 혼합부재
1: Cosmetics 2: Cosmetic tools
P: Contents 10: Discharge surface
11: central portion 111: outlet
12: peripheral portion 121: coating
20: container body 21: inner lid
22: outer container 23: outer lid
24: isolator 30:
31: inner fixing ring 32: outer fixing ring
40: elastic support member 50: sealing surface
60: pressure member 61: discharge port
70: Mixed member

Claims (9)

외부로부터의 가압에 의해 내용물을 배출하는 토출면; 및
상기 토출면과 상기 내용물 사이에 마련되고 탄성력을 가지며 상기 가압에 의해 처지는 상기 토출면을 지지하는 탄성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A discharge surface for discharging the contents by external pressure; And
And an elastic supporting member which is provided between the discharge surface and the contents and has an elastic force and supports the discharging surface squeezed by the pres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재는,
상기 토출면의 적어도 일부분에서 상기 토출면과 겹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The elastic supporting member according to claim 1,
And at least a part of the discharge surface is arranged to overlap with the discharge surfa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재는,
상기 토출면보다 상대적으로 강한 탄성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The elastic supporting member according to claim 1,
And has a relatively stronger elastic force than the discharge surfa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재는,
상기 토출면과 상이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The elastic supporting member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discharge surface is made of a material different from that of the discharge surfa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재는,
상기 토출면의 적어도 일부분과 겹치는 밴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The elastic supporting member according to claim 1,
And a band shape overlapping at least a part of the discharge surfa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을 수용하고 일측이 개방된 용기 본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토출면 및 상기 탄성지지부재는, 상기 용기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container body accommodating the contents and having one side opened,
Wherein the discharge surface and the elastic support member ar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ontainer main body.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면 및 상기 탄성지지부재를 상기 용기 본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nd a fixing portion for fixing the discharge surface and the elastic supporting member to the container main body.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용기 본체의 일측 둘레에 고정되는 내측 고정링;
상기 내측 고정링과의 사이에 상기 토출면을 두고 상기 내측 고정링에 결합되는 외측 고정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8.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7,
An inner fixing ring fixed to one side of the container body;
And an outer fixing ring which is disposed between the inner fixing ring and the discharging surface so as to be coupled to the inner fixing ring.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재는,
인장된 상태로 상기 고정부에 의해 상기 용기 본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8. The elastic member according to claim 7,
And is fixed to the container body by the fixing portion in a tensioned state.
KR1020160001781A 2015-06-12 2016-01-06 Cosmetic KR20160146494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3109 2015-06-12
KR1020150083109 2015-06-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6494A true KR20160146494A (en) 2016-12-21

Family

ID=57574891

Family Applications (19)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5276A KR101686354B1 (en) 2015-06-12 2015-12-23 Cosmetic
KR1020150185267A KR101697442B1 (en) 2015-06-12 2015-12-23 Cosmetic
KR1020160001787A KR20160146497A (en) 2015-06-12 2016-01-06 Cosmetic
KR1020160001792A KR20160146500A (en) 2015-06-12 2016-01-06 Cosmetic
KR1020160001783A KR20160146495A (en) 2015-06-12 2016-01-06 Cosmetic
KR1020160001791A KR102371515B1 (en) 2015-06-12 2016-01-06 Cosmetic
KR1020160001785A KR20160146496A (en) 2015-06-12 2016-01-06 Cosmetic
KR1020160001781A KR20160146494A (en) 2015-06-12 2016-01-06 Cosmetic
KR1020160001789A KR101715549B1 (en) 2015-06-12 2016-01-06 Cosmetic
KR1020160001780A KR102427075B1 (en) 2015-06-12 2016-01-06 Cosmetic
KR1020160033453A KR102466834B1 (en) 2015-06-12 2016-03-21 Cosmetic
KR1020160033438A KR20160146508A (en) 2015-06-12 2016-03-21 Cosmetic
KR1020160033445A KR20160146509A (en) 2015-06-12 2016-03-21 Cosmetic
KR1020160033451A KR20160146510A (en) 2015-06-12 2016-03-21 Cosmetic
KR1020160033468A KR102469109B1 (en) 2015-06-12 2016-03-21 Cosmetic
KR1020160038438A KR101764828B1 (en) 2015-06-12 2016-03-30 Cosmetics comprising low viscosity cosmetic composition
KR1020160164532A KR102245103B1 (en) 2015-06-12 2016-12-05 Cosmetic
KR1020160165055A KR102246821B1 (en) 2015-06-12 2016-12-06 Cosmetic
KR1020170024332A KR102324871B1 (en) 2015-06-12 2017-02-23 Cosmetics comprising low viscosity cosmetic composition

Family Applications Before (7)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5276A KR101686354B1 (en) 2015-06-12 2015-12-23 Cosmetic
KR1020150185267A KR101697442B1 (en) 2015-06-12 2015-12-23 Cosmetic
KR1020160001787A KR20160146497A (en) 2015-06-12 2016-01-06 Cosmetic
KR1020160001792A KR20160146500A (en) 2015-06-12 2016-01-06 Cosmetic
KR1020160001783A KR20160146495A (en) 2015-06-12 2016-01-06 Cosmetic
KR1020160001791A KR102371515B1 (en) 2015-06-12 2016-01-06 Cosmetic
KR1020160001785A KR20160146496A (en) 2015-06-12 2016-01-06 Cosmetic

Family Applications After (1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1789A KR101715549B1 (en) 2015-06-12 2016-01-06 Cosmetic
KR1020160001780A KR102427075B1 (en) 2015-06-12 2016-01-06 Cosmetic
KR1020160033453A KR102466834B1 (en) 2015-06-12 2016-03-21 Cosmetic
KR1020160033438A KR20160146508A (en) 2015-06-12 2016-03-21 Cosmetic
KR1020160033445A KR20160146509A (en) 2015-06-12 2016-03-21 Cosmetic
KR1020160033451A KR20160146510A (en) 2015-06-12 2016-03-21 Cosmetic
KR1020160033468A KR102469109B1 (en) 2015-06-12 2016-03-21 Cosmetic
KR1020160038438A KR101764828B1 (en) 2015-06-12 2016-03-30 Cosmetics comprising low viscosity cosmetic composition
KR1020160164532A KR102245103B1 (en) 2015-06-12 2016-12-05 Cosmetic
KR1020160165055A KR102246821B1 (en) 2015-06-12 2016-12-06 Cosmetic
KR1020170024332A KR102324871B1 (en) 2015-06-12 2017-02-23 Cosmetics comprising low viscosity cosmetic composition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9) KR101686354B1 (en)
TW (2) TW201703679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02639A (en) * 2018-10-05 2020-04-14 东洋自动机株式会社 Joining device and mouth sealing machin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9177B1 (en) * 2016-01-06 2022-06-1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Cosmetic
KR101837945B1 (en) * 2016-08-05 2018-03-13 김영호 Middle cap of powder container combined with net by connection ring and lower cov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101908362B1 (en) 2017-02-20 2018-12-18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Cosmetic with a dome-type mesh
KR20180102736A (en) 2017-03-07 2018-09-18 펌텍코리아 (주) Cosmetic container having double net with discharging net and elastic net
KR102319035B1 (en) * 2017-03-13 2021-10-29 (주)아모레퍼시픽 Cosmetic composition carrier having bio cellulose lay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18177295A (en) * 2017-04-12 2018-11-15 パムテク コリア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Compact container having opaque thin film insert-injected on bottom surface of transparent discharge plate
KR101906804B1 (en) * 2017-05-04 2018-10-11 코스맥스 주식회사 Cosmetics With Three Dimensional Fabrics For Impregnating Liquid Composition
KR101930261B1 (en) 2017-07-03 2019-03-11 코스맥스 주식회사 Cosmetics Covered By Multiple Membrane
KR101987362B1 (en) * 2017-09-29 2019-06-10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Cosmetics
WO2019017577A1 (en) * 2017-07-21 2019-01-2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Cosmetic product
KR102371201B1 (en) * 2017-12-08 2022-03-07 (주)아모레퍼시픽 Carrier unit having improved elasticity and cosmetic goods comprising the same
WO2019185162A1 (en) * 2018-03-29 2019-10-03 L'oreal Cosmetic item
FR3082403B1 (en) * 2018-06-19 2021-06-18 Oreal COSMETIC ITEM IN LACE
FR3087099B1 (en) * 2018-10-15 2021-10-22 Oreal COSMETIC DEVICE
FR3087118B1 (en) 2018-10-15 2021-02-12 Oreal COSMETIC ARTICLE
FR3097725B1 (en) 2019-06-27 2022-12-23 Oreal Process for manufacturing a cosmetic article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39511B2 (en) * 1974-09-18 1978-10-21
JP2598957Y2 (en) * 1993-08-30 1999-08-23 ポーラ化成工業株式会社 Cosmetic container
KR970000995U (en) * 1995-06-09 1997-01-21 Driving Range Indicator
JP3761934B2 (en) * 1995-08-21 2006-03-29 株式会社吉野工業所 Compact container for makeup
JP3047212B2 (en) * 1995-09-08 2000-05-29 株式会社日本製鋼所 Molding method and molding die for laminated molded article
JP3799431B2 (en) * 1995-10-13 2006-07-19 株式会社吉野工業所 Compact container
JP3047212U (en) * 1997-09-18 1998-04-10 株式会社西峯化学 Cosmetic container
KR200225144Y1 (en) * 1998-09-22 2001-06-01 서경배 Face Powder Container
JP2002010827A (en) * 2000-06-28 2002-01-15 Kamaya Kagaku Kogyo Co Ltd Cosmetics storage container
JP2005007093A (en) 2003-06-23 2005-01-13 Katsushika:Kk Cosmetic powder container
JP4748638B2 (en) * 2004-09-17 2011-08-17 株式会社タイキ Liquid cosmetic puff
KR200370306Y1 (en) * 2004-09-24 2004-12-10 주식회사 성한스폰지 A portable case for liquid state cosmetics
JP5041585B2 (en) 2007-02-13 2012-10-03 中井紙器工業株式会社 Cosmetic container
JP5115956B2 (en) * 2007-05-01 2013-01-09 株式会社カツシカ Powder cosmetic container
JP5120768B2 (en) * 2007-07-02 2013-01-16 株式会社カツシカ Powder cosmetic container
JP5339511B2 (en) * 2008-11-11 2013-11-13 株式会社カツシカ Powder cosmetic container
JP2011212320A (en) * 2010-03-31 2011-10-27 Naris Cosmetics Co Ltd Cosmetic container
KR101257628B1 (en) 2011-03-24 2013-04-29 (주)아모레퍼시픽 Cosmetics comprising cosmetic composition impregnated in urethane foam
WO2013154391A1 (en) * 2012-04-13 2013-10-17 (주)아모레퍼시픽 Cosmetic composition carrier comprising foams
KR101494168B1 (en) * 2013-06-19 2015-02-1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Cosmetic vessel
KR200475589Y1 (en) * 2013-04-23 2014-12-12 (주)비디비치코스메틱 Cosmetics container
KR102144002B1 (en) * 2013-06-18 2020-08-12 코웨이 주식회사 A cosmetic container
KR200480113Y1 (en) * 2013-10-10 2016-04-15 (주)아모레퍼시픽 A cosmetic container having a sponge containing powder
KR200473939Y1 (en) * 2013-10-21 2014-08-11 (주)아모레퍼시픽 A foundation container with rubber discharging pad
KR200478110Y1 (en) * 2014-01-03 2015-08-31 박윤성 Cosmetics container
KR101643456B1 (en) * 2014-02-14 2016-07-2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Cosmetic vessel
KR101477583B1 (en) * 2014-04-25 2014-12-31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Portable cosmetic with a mesh
KR101449663B1 (en) * 2014-06-09 2014-10-13 (주)씨엠아이태가코리아 Compact that use applicator by pushbutton
KR200481524Y1 (en) * 2015-04-22 2016-10-12 (주)아모레퍼시픽 Liquefied cosmetic container with screen net
KR101609348B1 (en) * 2015-10-21 2016-04-0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Cosmetics comprising low viscosity cosmetic composition
JP7095964B2 (en) * 2017-09-20 2022-07-05 株式会社三共 Pachinko machin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02639A (en) * 2018-10-05 2020-04-14 东洋自动机株式会社 Joining device and mouth seal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6500A (en) 2016-12-21
KR20160146512A (en) 2016-12-21
KR20160146495A (en) 2016-12-21
KR20160146509A (en) 2016-12-21
TW201703679A (en) 2017-02-01
TW201642777A (en) 2016-12-16
KR20160146497A (en) 2016-12-21
KR102245103B1 (en) 2021-04-28
KR20160146610A (en) 2016-12-21
KR102371515B1 (en) 2022-03-08
KR20160146498A (en) 2016-12-21
KR20160146611A (en) 2016-12-21
KR101697442B1 (en) 2017-01-17
KR102427075B1 (en) 2022-07-29
KR102466834B1 (en) 2022-11-16
KR102246821B1 (en) 2021-04-30
KR20160146499A (en) 2016-12-21
KR20160146508A (en) 2016-12-21
KR20160146516A (en) 2016-12-21
KR20170023916A (en) 2017-03-06
KR20160146484A (en) 2016-12-21
KR101764828B1 (en) 2017-08-03
KR20160146510A (en) 2016-12-21
KR101686354B1 (en) 2016-12-13
KR20160146493A (en) 2016-12-21
KR102324871B1 (en) 2021-11-11
KR20160146496A (en) 2016-12-21
KR101715549B1 (en) 2017-03-10
KR102469109B1 (en) 2022-11-22
KR20160146511A (en) 2016-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5549B1 (en) Cosmetic
JP4292172B2 (en) Packaging equipment for substances, especially cosmetics and care products
JP6716680B2 (en) Impregnated cosmetics with fibers and screen mesh
JP3292722B2 (en) Coating cap and coating device provided with the same
JP4430870B2 (en) Applicator
KR101730807B1 (en) Liquefied cosmetics compact case with cushion sheet
KR20180028213A (en) Cosmetic
KR20170027762A (en) Cosmetic
KR20170125598A (en) Cosmetic
KR20170106159A (en) Cosmetic
JP4510580B2 (en) Packaging and applicator equipment
KR20200033182A (en) Cosmetic leakage prevention device of compact cosmetic container
KR102552600B1 (en) Cosmetic
CN207721397U (en) Cosmetics containers
KR102508240B1 (en) A cosmetic unit with discharge-control elements, and cosmetic goods comprising the same
KR20190000199U (en) Cosmetic vessel
KR101859572B1 (en) Cosmetic goods having improved hygiene property
CN115135198A (en) Cosmetic product packaging device
KR20180036063A (en) Cosmetic composition carrier having cosmetic composition path, cosmetic carrier unit and Cosmetic goo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