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6216A - 컴팩트 용기 - Google Patents

컴팩트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6216A
KR20160146216A KR1020150083173A KR20150083173A KR20160146216A KR 20160146216 A KR20160146216 A KR 20160146216A KR 1020150083173 A KR1020150083173 A KR 1020150083173A KR 20150083173 A KR20150083173 A KR 20150083173A KR 20160146216 A KR20160146216 A KR 201601462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case
gasket
contents
upp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3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6963B1 (ko
Inventor
김규진
Original Assignee
금성티에스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티에스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성티에스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83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6963B1/ko
Publication of KR20160146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62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69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69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24Containers with two lids on one side; Containers with several co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06Vanity boxes or cases, compacts, i.e. containing a powder receptacle and a puff or applic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48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 B65D77/048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the inner and outer containers being rigid and the outer container being of curved cross-section, e.g. cylindrical the inner container being coaxially disposed within the outer contain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측에 수용공간(110)이 형성되는 제1 케이스(100);와, 상기 수용공간(110)에 삽입되되, 내측에 내용물이 저장되는 내용물저장부(210)와 상기 내용물저장부(210)의 외측둘레에 돌출형성되는 경계벽부(220)와 상기 경계벽부(220)와 그 내측면 사이에 별도의 공간으로 이루어진 가스켓안착부(230)가 형성되는 제2 케이스(200);와, 상기 가스켓안착부(230)에 삽입되는 씰링가스켓(300);와, 상기 경계벽부(220)의 상부에 지지되어 상기 씰링가스켓(300)을 고정시키되, 상부에는 상기 내용물저장부(210)에 저장된 내용물이 배출되도록 배출부(410)가 타공형성되는 고정링부재(400);와, 상기 제2 케이스(200)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배출부(410)의 상부를 개폐하는 밀폐부재(500);와, 상기 제1 케이스(100)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제1 케이스(100)의 상부를 개폐하는 커버케이스(600);로 구성되되, 상기 밀폐부재(500)가 상기 배출부(410)의 상부를 폐쇄하는 경우, 상기 내용물저장부(210)의 밀폐성이 유지되도록 상기 밀폐부재(500)의 하부 내측둘레에는 제1 밀폐돌기(510)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씰링가스켓(300)의 상부 내측둘레에는 상기 제1 밀폐돌기(510)와 결합되는 제2 밀폐돌기(310)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컴팩트 용기{Compact case}
본 발명은 컴팩트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내측에 수용공간(110)이 형성되는 제1 케이스(100);와, 상기 수용공간(110)에 삽입되되, 내측에 내용물이 저장되는 내용물저장부(210)와 상기 내용물저장부(210)의 외측둘레에 돌출형성되는 경계벽부(220)와 상기 경계벽부(220)와 그 내측면 사이에 별도의 공간으로 이루어진 가스켓안착부(230)가 형성되는 제2 케이스(200);와, 상기 가스켓안착부(230)에 삽입되는 씰링가스켓(300);와, 상기 경계벽부(220)의 상부에 지지되어 상기 씰링가스켓(300)을 고정시키되, 상부에는 상기 내용물저장부(210)에 저장된 내용물이 배출되도록 배출부(410)가 타공형성되는 고정링부재(400);와, 상기 제2 케이스(200)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배출부(410)의 상부를 개폐하는 밀폐부재(500);와, 상기 제1 케이스(100)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제1 케이스(100)의 상부를 개폐하는 커버케이스(600);로 구성되되, 상기 밀폐부재(500)가 상기 배출부(410)의 상부를 폐쇄하는 경우, 상기 내용물저장부(210)의 밀폐성이 유지되도록 상기 밀폐부재(500)의 하부 내측둘레에는 제1 밀폐돌기(510)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씰링가스켓(300)의 상부 내측둘레에는 상기 제1 밀폐돌기(510)와 결합되는 제2 밀폐돌기(310)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팩트 용기(1)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컴팩트 용기는 여성들이 가방 또는 파우치 등에 넣어 휴대하면서 얼굴화장시 사용되는 색조화장품 등의 물질을 수납하여,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는 화장품 보관용기를 말한다.
이러한 컴팩트 용기는 다양한 형상 및 기능을 포함하여 제작되어지고 있는 추세이며, 그 일실시예로 하기 특허문헌 1의 “내용물이 변질되지 않는 화장품용기(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1801호)”가 게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의 “내용물이 변질되지 않는 화장품용기”는 하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에 힌지결합되는 상부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케이스 내부에는 내용물이 저장되는 별도의 이너용기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케이스의 저면에는 상부케이스를 닫음에 따라 상기 이너용기의 상부를 커버하는 이너커버가 구비된 화장품용기에 있어서, 상기 이너커버의 둘레부에는 이너커버의 하단부를 이너용기에 가압밀착시키는 인장스프링이 구비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이와같은 구성으로 인해 화장품 용기 내부의 기밀이 지속적으로 유지되어 내용물이 건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의 “내용물이 변질되지 않는 화장품용기”는 인장스프링의 탄성을 이용하여 이너용기 내부의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서, 공기가 이너용기 내부로 어느 정도 차단하는 것은 가능하나, 인장스프링의 간접적인 가압력에 의해 밀폐가 이루어져 인장스프링이 변질되는 경우, 구성요소 사이의 틈이 발생하여 완벽하게 이너용기의 내부 기밀성을 유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41801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밀폐부재가 내용물저장부의 상부를 폐쇄하는 경우, 밀폐부재의 제1 밀폐돌기, 고정링부재의 제1 경사밀폐면 및 경계벽부에 각각 결합되는 제2, 3 밀폐돌기 및 제2 경사밀폐면이 형성된 씰링가스켓을 제2 케이스에 구성함으로써, 각각의 구성요소에 직접접촉을 통한 밀폐가 이루어져 내용물저장부의 내부 기밀성이 향상되어 내용물저장부의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의 변질을 최소화할 수 있는 컴팩트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컴팩트 용기는, 내측에 수용공간(110)이 형성되는 제1 케이스(100);와, 상기 수용공간(110)에 삽입되되, 내측에 내용물이 저장되는 내용물저장부(210)와 상기 내용물저장부(210)의 외측둘레에 돌출형성되는 경계벽부(220)와 상기 경계벽부(220)와 그 내측면 사이에 별도의 공간으로 이루어진 가스켓안착부(230)가 형성되는 제2 케이스(200);와, 상기 가스켓안착부(230)에 삽입되는 씰링가스켓(300);와, 상기 경계벽부(220)의 상부에 지지되어 상기 씰링가스켓(300)을 고정시키되, 상부에는 상기 내용물저장부(210)에 저장된 내용물이 배출되도록 배출부(410)가 타공형성되는 고정링부재(400);와, 상기 제2 케이스(200)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배출부(410)의 상부를 개폐하는 밀폐부재(500);와, 상기 제1 케이스(100)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제1 케이스(100)의 상부를 개폐하는 커버케이스(600);로 구성되되, 상기 밀폐부재(500)가 상기 배출부(410)의 상부를 폐쇄하는 경우, 상기 내용물저장부(210)의 밀폐성이 유지되도록 상기 밀폐부재(500)의 하부 내측둘레에는 제1 밀폐돌기(510)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씰링가스켓(300)의 상부 내측둘레에는 상기 제1 밀폐돌기(510)와 결합되는 제2 밀폐돌기(310)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씰링가스켓(300)의 하부 내측둘레에는 상기 밀폐부재(500)가 상기 배출부(410)의 상부를 폐쇄시 내부압력에 의해 상기 경계벽부(220)와 밀착접촉되는 제3 밀폐돌기(320)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링부재(400)의 하부 외측둘레에는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형성되어 상기 씰링가스켓(300)과 접촉되는 제1 경사밀폐면(420)이 형성되고, 상기 씰링가스켓(300)의 내측에는 상기 밀폐부재(500)가 상기 배출부(410)의 상부를 폐쇄시 내부압력에 의해 상기 제1 경사밀폐면(420)과 밀착접촉되도록 상기 제1 경사밀폐면과 대응하여 형성되는 제2 경사밀폐면(330)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밀폐부재가 내용물저장부의 상부를 폐쇄하는 경우, 밀폐부재의 제1 밀폐돌기, 고정링부재의 제1 경사밀폐면 및 경계벽부에 각각 결합되는 제2, 3 밀폐돌기 및 제2 경사밀폐면이 형성된 씰링가스켓을 제2 케이스에 구성함으로써, 각각의 구성요소에 직접접촉을 통한 밀폐가 이루어져 내용물저장부의 내부 기밀성이 향상되어 내용물저장부의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의 변질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컴팩트 용기의 전체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컴팩트 용기의 분해된 모습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컴팩트 용기의 구성 중 밀폐부재와 커버케이스가 개방된 상태의 모습을 보인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컴팩트 용기 구성 중 밀폐부재와 커버케이스가 밀폐된 상태의 모습을 보인 상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팩트 용기(1)를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팩트 용기(1)는 크게 제1 케이스(100), 제2 케이스(200), 씰링가스켓(300), 고정링부재(400), 밀폐부재(500), 커버케이스(600)로 구성된다.
먼저, 제1 케이스(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1 케이스(100)는 도 1 또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후술할 제2 케이스(200)를 그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110)에 수용하는 구성요소로서, 그 내부에는 상기 제2 케이스(200)가 상기 제1 케이스(100) 내부에 결합되는 것을 가이드하는 결합가이드브라켓(101)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제1 케이스(100)의 외측에는 후술할 커버케이스(600)의 잠금부(610)와 결합되는 고정돌기(120)가 형성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평상시에는 상기 잠금부(610)와 결합되어 상기 커버케이스(600)가 임의적으로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제2 케이스(200) 내부에 수용된 내용물을 사용할 경우에는 상기 잠금부(620)와 분리되어 상기 커버케이스(600)가 개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다음으로, 제2 케이스(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2 케이스(200)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수용공간(110)에 삽입되는 구성요소로서, 내용물이 저장되도록 그 내부에 내용물저장부(210)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내용물저장부(210)의 외측에는 별도의 독립된 공간으로 이루어진 가스켓안착부(230)가 형성되어, 후술할 씰링가스켓(300)이 내용물과 접촉없이 상기 제2 케이스(200) 내부에 구비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때, 상기 내용물저장부(210)와 가스켓안착부(230) 사이에는 경계벽부(220)가 형성되어, 상기 내용물저장부(210)와 가스켓안착부(230)의 독립된 공간을 제공한다.
다음으로 씰링가스켓(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씰링가스켓(300)은 도 2 또는 도 3,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그 단면이“L”형상으로 형성되는 링타입의 구성요소로서, 상기 가스켓안착부(230)에 안착되어 후술할 밀폐부재(500)의 개폐여부에 따라 상기 내용물저장부(210) 내부의 긴밀한 밀폐를 실행한다.
한편, 상기 씰링가스켓(300)은 상기 제2 케이스(200) 내부의 압력변화에 따라 변형가능한 실리콘 또는 고무 등의 탄성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씰링가스켓(300)은 크게 제2 밀폐돌기(310), 제3 밀폐돌기(320), 제2 경사밀폐면(330)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제2 밀폐돌기(310)는 상기 씰링가스켓(300)의 상부 내측둘레에 내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밀폐부재(500)가 상기 내용물저장부(210)의 상부를 폐쇄하는 경우, 후술할 밀폐부재(500)의 제1 밀폐돌기(510)와 밀착되어 외부의 공기가 상기 내용물저장부(21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3 밀폐돌기(320)는 상기 씰링가스켓(300)의 하부 내측둘레에 내측방향으로 돌출형성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밀폐부재(500)가 상기 내용물저장부(210)의 상부를 폐쇄하는 경우, 상기 밀폐부재(500)의 밀폐압력으로 인해 상기 제2 케이스(200) 내부의 압력이 상승함으로써, 상기 경계벽부(220)의 측면에 밀착되어 외부의 공기가 상기 내용물저장부(21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2 경사밀폐면(330)은 상기 씰링가스켓(300)의 중앙부 내측둘레에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밀폐부재(500)가 상기 내용물저장부(210)의 상부를 폐쇄하는 경우, 상기 밀폐부재(500)의 밀폐압력으로 인해 상기 제2 케이스(200) 내부의 압력이 상승함으로써, 후술할 고정링부재(400)의 제1 경사밀폐면(420)에 밀착되어 외부의 공기가 상기 내용물저장부(21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제2 경사밀폐면(330)이 이루는 각도는 상기 제1 경사밀폐면(420)과 밀착시, 밀착되는 면에 최대압축응력이 발생되어 상기 제1, 2 경사밀폐면(330, 420)이 파손되지 않는 한도내에서 서로 최대한으로 밀착되도록 45°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인해, 상기 컴팩트용기(1)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외부의 공기가 상기 내용물저장부(210)에 유입되는 것을 단계적으로 방지함으로써, 내용물이 변질되거나 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다음으로, 고정링부재(4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고정링부재(400)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링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경계벽부(220)의 상부에 지지되어 상기 씰링가스켓(300)을 고정시키는 구성요소로서, 상부에 상기 내용물저장부(210)에 저장된 내용물이 배출되도록 배출부(410)가 타공형성된다.
한편, 상기 고정링부재(400)의 하부 외측둘레에는 외측방향으로 소정의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 경사밀폐면(420)이 형성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상기 제1 경사밀폐면(420)은 상기 제2 경사밀폐면(420)과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상기 제2 경사밀폐면과 접촉시, 긴밀한 밀착을 가능하게 한다.
다음으로, 밀폐부재(5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밀폐부재(500)는 도 1 또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제2 케이스(200)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배출부(410)의 상부를 개폐하는 구성요소로서, 상기 밀폐부재(500)의 상, 하 이동시 조작이 편리하도록 전면에 손잡이(52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밀폐부재(500)의 하부 내측둘레에는 제1 밀폐돌기(510)가 돌출형성되는 것이 특징으로서, 상기 밀폐부재(500)가 상기 배출부(410)의 상부를 폐쇄하는 경우, 상기 제2 밀폐돌기(310)와 결합되어 밀착됨으로써, 외부의 공기가 상기 내용물저장부(210) 내부로 인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으로, 커버케이스(6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커버케이스(600)는 도 1 또는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제1 케이스(100)에 힌지결합되어 상, 하로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구성요소로서, 상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개방시)에는 내용물을 사용가능하게 하고, 하방향으로 이동시킬 경우(폐쇄시)에는 외부의 이물질 및 불순물이 상기 컴팩트용기(1) 내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커버케이스(600)의 내측에는 사용자가 얼굴화장시 화장하는 얼굴부위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거울(미도시)이 설치되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 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컴팩트 용기
100: 제1 케이스 101: 결합가이드브라켓
110: 수용공간 120: 고정돌기
200: 제2 케이스 210: 내용물저장부
220: 경계벽부 230: 가스켓안착부
300: 씰링가스켓 310: 제2 밀폐돌기
320: 제3 밀폐돌기 330: 제2 경사밀폐면
400: 고정링부재 410: 배출부
420: 제1 경사밀폐면
500: 밀폐부재 510: 제1 밀폐돌기
520: 손잡이
600: 커버케이스 610: 잠금부

Claims (3)

  1. 내측에 수용공간(110)이 형성되는 제1 케이스(100);
    상기 수용공간(110)에 삽입되되, 내측에 내용물이 저장되는 내용물저장부(210)와 상기 내용물저장부(210)의 외측둘레에 돌출형성되는 경계벽부(220)와 상기 경계벽부(220)와 그 내측면 사이에 별도의 공간으로 이루어진 가스켓안착부(230)가 형성되는 제2 케이스(200);
    상기 가스켓안착부(230)에 삽입되는 씰링가스켓(300);
    상기 경계벽부(220)의 상부에 지지되어 상기 씰링가스켓(300)을 고정시키되, 상부에는 상기 내용물저장부(210)에 저장된 내용물이 배출되도록 배출부(410)가 타공형성되는 고정링부재(400);
    상기 제2 케이스(200)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배출부(410)의 상부를 개폐하는 밀폐부재(500);
    상기 제1 케이스(100)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제1 케이스(100)의 상부를 개폐하는 커버케이스(600);로 구성되되,
    상기 밀폐부재(500)가 상기 배출부(410)의 상부를 폐쇄하는 경우, 상기 내용물저장부(210)의 밀폐성이 유지되도록 상기 밀폐부재(500)의 하부 내측둘레에는 제1 밀폐돌기(510)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씰링가스켓(300)의 상부 내측둘레에는 상기 제1 밀폐돌기(510)와 결합되는 제2 밀폐돌기(310)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팩트 용기(1).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씰링가스켓(300)의 하부 내측둘레에는 상기 밀폐부재(500)가 상기 배출부(410)의 상부를 폐쇄시 내부압력에 의해 상기 경계벽부(220)와 밀착접촉되는 제3 밀폐돌기(320)가 돌출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팩트 용기(1).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부재(400)의 하부 외측둘레에는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형성되어 상기 씰링가스켓(300)과 접촉되는 제1 경사밀폐면(420)이 형성되고,
    상기 씰링가스켓(300)의 내측에는 상기 밀폐부재(500)가 상기 배출부(410)의 상부를 폐쇄시 내부압력에 의해 상기 제1 경사밀폐면(420)과 밀착접촉되도록 상기 제1 경사밀폐면과 대응하여 형성되는 제2 경사밀폐면(330)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팩트 용기(1).
KR1020150083173A 2015-06-12 2015-06-12 컴팩트 용기 KR1017569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3173A KR101756963B1 (ko) 2015-06-12 2015-06-12 컴팩트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3173A KR101756963B1 (ko) 2015-06-12 2015-06-12 컴팩트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6216A true KR20160146216A (ko) 2016-12-21
KR101756963B1 KR101756963B1 (ko) 2017-07-12

Family

ID=57734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3173A KR101756963B1 (ko) 2015-06-12 2015-06-12 컴팩트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69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4710B1 (ko) * 2020-05-20 2020-10-12 한국콜마주식회사 내용물 용기
KR102385642B1 (ko) * 2020-11-26 2022-04-14 주식회사 삼화 화장품 용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1801Y1 (ko) 2003-10-28 2004-02-14 (주)연우 내용물이 변질되지 않는 화장품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30199B2 (ja) 1999-02-23 2009-09-16 吉田プラ工業株式会社 気密化粧料容器
KR101378521B1 (ko) 2012-10-29 2014-03-27 변재삼 기밀 화장품용기
KR101569090B1 (ko) 2015-04-29 2015-11-13 (주)연우 콤팩트 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1801Y1 (ko) 2003-10-28 2004-02-14 (주)연우 내용물이 변질되지 않는 화장품 용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4710B1 (ko) * 2020-05-20 2020-10-12 한국콜마주식회사 내용물 용기
CN112438476A (zh) * 2020-05-20 2021-03-05 韩国科玛株式会社 内含物容器
WO2021235582A1 (ko) * 2020-05-20 2021-11-25 한국콜마주식회사 내용물 용기
CN112438476B (zh) * 2020-05-20 2022-02-25 韩国科玛株式会社 内含物容器
KR102385642B1 (ko) * 2020-11-26 2022-04-14 주식회사 삼화 화장품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6963B1 (ko) 2017-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1682B1 (ko) 콤팩트 타입의 화장품 용기
KR101569090B1 (ko) 콤팩트 용기
KR101499134B1 (ko) 다단 리필용기가 구비된 화장품용기
JP6326145B2 (ja) パフ内蔵型化粧用パウダー容器
KR101448713B1 (ko) 화장품 용기
KR101841178B1 (ko) 리필타입 콤팩트 용기
KR101816997B1 (ko) 화장품 리필 케이스
KR101457810B1 (ko) 에어 타이트 타입의 화장품 리필 케이스
US10894633B2 (en) Cosmetic container
KR101481544B1 (ko) 결합형 화장품 용기
KR20140012845A (ko) 공기밀폐 기능을 갖는 화장품 케이스
KR101336014B1 (ko) 화장품 케이스
KR101756963B1 (ko) 컴팩트 용기
KR101505789B1 (ko) 화장품용기
KR200489087Y1 (ko) 화장품 용기
KR101690069B1 (ko) 콤팩트 용기
KR101431386B1 (ko) 화장용 파우더 용기
KR101659288B1 (ko) 개폐성과 기밀성이 향상된 화장품 용기
KR101143948B1 (ko) 콤팩트 용기
KR200477270Y1 (ko) 화장용 콤팩트 용기
US11213107B2 (en) Cushion compact container
KR20190092688A (ko) 토출구 밀폐 구조가 개선된 튜브형 화장품 용기
KR20180000520U (ko) 화장품 용기
ES2944068T3 (es) Estuche cosmético que comprende una pared lateral deformable
KR20210132846A (ko) 밀폐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