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6204A - 연상이미지 단어학습 컨텐츠 상호교류 방법 - Google Patents

연상이미지 단어학습 컨텐츠 상호교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6204A
KR20160146204A KR1020150083145A KR20150083145A KR20160146204A KR 20160146204 A KR20160146204 A KR 20160146204A KR 1020150083145 A KR1020150083145 A KR 1020150083145A KR 20150083145 A KR20150083145 A KR 20150083145A KR 20160146204 A KR20160146204 A KR 201601462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image
word
user terminal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31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호
Original Assignee
김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호 filed Critical 김진호
Priority to KR10201500831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6204A/ko
Publication of KR201601462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62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제1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제1 단어, 제2 단어 및 상기 단어들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컨텐츠가 업로드 되는 단계와, (b) 상기 컨텐츠가 컨텐츠 풀에 저장되고 상기 단어들 및 이미지에 근거하여 컨텐츠가 분류되는 단계 및 (c) 다른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컨텐츠 풀에서 상기 분류에 근거하여 컨텐츠들이 검색되고, 상기 검색된 컨텐츠들에 순위가 부여되어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상이미지 단어학습 컨텐츠 상호교류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컨텐츠 풀에서 다른 사용자들이 제작하여 업로드한 연상이미지 단어학습 컨텐츠를 다운로드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다 다양한 컨텐츠를 확보하고 작은 비용으로 컨텐츠를 상호교류할 수 있다.

Description

연상이미지 단어학습 컨텐츠 상호교류 방법{METHOD OF INTERCHANGING VOCABULARY CONTENTS ASSOCIATED WITH IMAGE}
본 발명은 SNS를 이용하여 연상이미지 단어학습 컨텐츠를 상호교류하고 확산시킬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람들은 좋은 기억력을 가지고 싶어 한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기억력은 후천적인 노력으로 더 좋아질 수 있다고 한다. 이에 따라, 후천적으로 기억력을 개선하고 증진시킬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인지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가장 효과적인 기억력 개선 방법은 반복하여 암기하는 것이다. 반복 학습은 신경 세포인 시냅스 간의 강화 작용을 일으켜 기억력을 개선시킨다. 하지만, 반복하여 암기하는 방법은 많은 노력과 시간이 들기 때문에 좀 더 효율적인 방법을 강구하게 된다. 그 대안으로 제시된 것이 그림, 연상, 스토리, 순서, 색깔, 특이함 등 여러가지 요소들을 이용하여 기억하는 방법이다.
외국어 학습에도 이와 같이 여러가지 요소들을 복합적으로 활용하여 단어를 암기하는 방법이 적용된다. 즉, 연상기억법을 이용하여 단어를 암기하는 방법이 그중 하나인데 특허문헌 1을 참조하면, 컨텐츠 제공업자가 직접 이미지를 제공하고 사용자는 그 이미지를 보고 기억세포를 활성화하여 단어를 쉽게 외울 수 있게 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서비스에서는 한 업체가 각 영어단어에 해당하는 그림을 직접 그려야 하기 때문에 컨텐츠의 양이나 품질에 한계가 있다. 또한, 해당 기업이 컨텐츠를 만들었을 경우 컨텐츠의 적절성 여부에 대한 검증이 이루어질 수 없고 사용자는 기업이 제공한 컨텐츠를 수용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시스템에서는 컨텐츠 제작의 과도한 비용이 발생하고, 컨텐츠의 다양성이 부족해지며, 컨텐츠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질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보다 다양한 컨텐츠를 작은 비용으로 상호교류하고 컨텐츠의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이 연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968795, 그림을 이용하여 어휘를 암기하는 영어 학습 장치 및 시스템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0-0061310, 사용자 제작 학습 컨텐츠의 제공 방법 및 시스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들이 직접 제작하거나 수정한 연상이미지 단어학습 컨텐츠를 SNS를 통해 상호교류할 수 있도록 연결하고 매개하는 연상이미지 단어학습 컨텐츠 상호교류 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a) 제1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제1 단어, 제2 단어 및 상기 단어들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컨텐츠가 업로드 되는 단계와, (b) 상기 컨텐츠가 컨텐츠 풀에 저장되고 상기 단어들 및 이미지에 근거하여 컨텐츠가 분류되는 단계 및 (c) 다른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컨텐츠 풀에서 상기 분류에 근거하여 컨텐츠들이 검색되고, 상기 검색된 컨텐츠들에 순위가 부여되어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상이미지 단어학습 컨텐츠 상호교류 방법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단어는 제1 언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단어는 제2 언어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이미지는 사진이미지, 그림이미지, 연속동작장면이미지 또는 동영상이미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업로드 된 컨텐츠의 순위는 다른 사용자 단말기들을 통한 다운로드 정보에 의해 결정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제2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업로드 된 컨텐츠가 다운로드 된 후 이미지가 변경된 컨텐츠가 생성되는 단계 및 상기 이미지가 변경된 컨텐츠가 업로드 되어 상기 컨텐츠 풀에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제2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업로드 된 컨텐츠가 다운로드 된 후 제2 단어가 변경된 컨텐츠가 생성되는 단계 및 상기 제2 단어가 변경된 컨텐츠가 업로드 되어 상기 컨텐츠 풀에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변경된 제2 단어는 제3 언어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순위는 각 사용자 단말기별로 다르게 결정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순위는 각 사용자 단말기가 다운로드 받은 컨텐츠들이 공통으로 포함하는 항목에 근거하여 결정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항목은 상기 이미지가 포함하는 배경의 카테고리 또는 상기 이미지 대상의 카테고리를 포함한다.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a) 제1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단어들 및 상기 단어들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제1 컨텐츠가 업로드 되어 컨텐츠 풀에 저장되는 단계와, (b) 제2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단어들 및 상기 단어들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제2 컨텐츠가 업로드 되어 컨텐츠 풀에 저장되는 단계와, (c) 제3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제1 컨텐츠 및 제2 컨텐츠가 다운로드 되어 사용자 단어장에 저장되는 단계 및 (d) 상기 사용자 단어장이 업로드 되어 단어장 풀에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상이미지 단어학습 컨텐츠 상호교류 방법을 제공함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단어장 풀에서 단어장들이 검색될 때 상기 단어장들에 순위가 부여되어 전송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상기 순위는 사용자 단말기들을 통한 다운로드 정보에 의하여 결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연상이미지 단어학습 컨텐츠 상호교류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는 컨텐츠 풀에서 다른 사용자들이 제작하여 업로드한 연상이미지 단어학습 컨텐츠를 다운로드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다 다양한 컨텐츠를 확보하고 작은 비용으로 컨텐츠를 상호교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상이미지 단어학습 컨텐츠 상호교류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가 제작하여 업로드한 컨텐츠는 다른 사용자 단말기들을 통한 다운로드 정보에 의해 순위가 결정되어 컨텐츠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상이미지 단어학습 컨텐츠 상호교류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가 업로드한 컨텐츠에서 이미지를 개선하여 재 업로드 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보다 효과적인 연상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상이미지 단어학습 컨텐츠 상호교류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는 업로드 컨텐츠에서 단어를 다른 언어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손쉽게 다국어간 교차 언어 학습이 가능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연상이미지 단어학습 컨텐츠 상호교류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는 컨텐츠 풀에서 마음에 드는 컨텐츠를 다운로드 하여 자신만의 단어장을 만들고 다른 사용자들과 공유할 수 있다. 이렇게 공유된 단어장은 다른 사용자들의 선호도에 따라 순위가 정해지므로 가장 효과적인 연상이미지 컨텐츠들로 구성된 단어장을 손쉽게 선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상이미지 단어학습 컨텐츠 상호교류 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상이미지 단어학습 컨텐츠의 상호교류 과정을 설명하는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버에서 각 사용자별 선호 컨텐츠를 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각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연상이미지 단어학습 단어장이 업로드 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각 사용자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컨텐츠 검색 항목들을 나타낸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제작 또는 편집된 컨텐츠를 나타내는 개념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기술적 특징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상이미지 단어학습 컨텐츠 상호교류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연상이미지 단어학습 컨텐츠 상호교류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들(100,100')과, 서버(200)와, 통신네트워크 등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사용자 단말기(100)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등과 같은 이동 단말기 및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가 포함된다.
제1 사용자 단말기(100)는 통신 모듈(180), 메모리(140), 프로세서(120), 입력부(160) 및 상기 구성요소들 간 데이터 전송을 매개하는 데이터 버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단말기(100')도 마찬가지로 통신 모듈(180'), 메모리(140'), 프로세서(120'), 입력부(160') 및 상기 구성요소들 간 데이터 전송을 매개하는 데이터 버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사용자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사용자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기(100) 및 제2 사용자 단말기(100') 외에도 복수의 다른 사용자 단말기들이 통신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통신 모듈(180)은 사용자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제1 사용자 단말기(100)와 제2 사용자 단말기(100') 사이, 또는 사용자 단말기(100)와 외부서버(200)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모듈(180)은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위치정보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70)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사용자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200)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40)에 저장되고 사용자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프로세서(120)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나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사용자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2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4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서버(200)는 프로세서(220), 메모리(240), 통신 모듈(280) 및 상기 구성요소들 간 데이터 전송을 매개하는 데이터 버스(2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280)은 사용자 단말기들을 통해 입력된 정보를 전달받고 프로세서(220)를 통해 처리된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들로 전송한다.
프로세서(22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전달받은 컨텐츠를 분류하고, 사용자의 다운로드 성향을 분석하며, 각 사용자에게 선호 예상되는 컨텐츠 정보를 파악한다.
메모리(240)는 서버에서 송수신하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240)는 연상이미지 단어학습 컨텐츠 풀 및 단어장 풀을 저장하고, 각 사용자별 다운로드 성향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24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하는 응용 프로그램, 사용자 단말기를 등을 구동시키기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상이미지 단어학습 컨텐츠의 상호교류 과정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2에는 서버와, 사용자 1 및 사용자 2의 관계가 도시되어 있다. 설명의 편의상 사용자는 두 명으로 도시되었지만 더 많은 수의 사용자를 포함하거나 한명의 사용자가 실시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개념이 적용될 수 있다.
사용자 1은 제1 사용자 단말기(100)로 대체될 수 있고, 사용자 2는 제2 사용자 단말기(100')으로 대체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서버는 연상이미지 단어학습 컨텐츠 풀과 단어장 풀을 생성한다. 사용자들은 각자 자신의 단말기를 이용해 컨텐츠들을 작성할 수 있다. 작성된 컨텐츠들이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서버에 업로드 되면 서버는 업로드 된 컨텐츠들을 컨텐츠 풀에 추가한다.
연상이미지 단어학습 컨텐츠는 제1 단어와, 제2 단어 및 단어들과 관련된 이미지를 포함한다. 제1 단어와 제2 단어는 동일한 의미를 갖는 서로 다른 언어의 단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상이미지 단어학습 컨텐츠는 영어 단어, 해당 영어 단어의 뜻 및 해당 영어 단어의 의미를 표현하는 이미지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 컨텐츠라고 함은 단어들 및 이미지를 포함하는 연상이미지 단어학습 컨텐츠를 의미한다.
업로드 컨텐츠들은 포함된 항목들에 근거하여 분류된다. 서버는 컨텐츠 풀에 포함된 컨텐츠들을 각각의 항목별로 분류하고 분류된 컨텐츠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한다.
사용자들은 자신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검색한다. 사용자가 컨텐츠를 검색할 때 서버는 각 사용자별 선호도를 분석하여 단말기별로 다른 검색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서버는 각 컨텐츠에 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서버는 업로드 된 컨텐츠들의 다운로드 정보를 분석하여 업로드 컨텐츠들의 순위를 결정하고 이렇게 결정된 순위는 각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된다.
사용자 단말기는 순위가 높은 컨텐츠가 우선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순위가 높은 컨텐츠의 노출 빈도와 노출 시간이 늘어나고 순위가 낮은 컨텐츠는 노출 빈도와 노출 시간이 줄어들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컨텐츠들의 순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1순위부터 10순위까지의 컨텐츠 목록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다운로드 받은 컨텐츠를 수정하여 다시 업로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운로드 받은 컨텐츠는 자신이 올렸던 컨텐츠일 수 있고 다른 사람이 이전에 업로드한 컨텐츠일 수도 있다. 다시 업로드 된 컨텐츠는 종래 컨텐츠를 갈음하여 저장되거나 새로운 컨텐츠로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는 다운로드 받은 컨텐츠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어장을 만들 수 있다. 사용자 단어장에는 본인이 만든 컨텐츠 및 타인이 만든 컨텐츠가 포함될 수 있다. 작성된 단어장은 서버에 업로드 될 수 있다.
사용자 단어장이 서버에 업로드 되면 서버는 단어장 풀에 업로드 단어장을 추가시킨다. 각 단어장은 사용자들의 다운로드 정보에 근거하여 순위가 결정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는 순위가 높은 단어장을 우선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순위가 높은 단어장의 노출 빈도와 노출 시간이 늘어나고 순위가 낮은 단어장은 노출 빈도와 노출 시간이 줄어들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서버는 단어장들의 순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1순위부터 10순위까지의 단어장 목록 등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각 사용자는 컨텐츠 또는 단어장을 구매한 후 해당 데이터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컨텐츠 또는 단어장의 구매는 온라인 결제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버에서 각 사용자별 선호 컨텐츠를 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서버는 연상이미지 단어학습 컨텐츠 풀을 생성하고, 컨텐츠 풀에 포함된 컨텐츠들을 항목별로 분류하고, 사용자의 다운로드 성향을 분석하여 각 사용자별로 선호 예상되는 컨텐츠를 제시할 수 있다.
컨텐츠 풀에 저장되는 컨텐츠들은 단어와 이미지를 포함한다. 이미지는 그림이미지, 사진과 그림의 합성 이미지, 변형된 사진 이미지, 연속동작장면(sequence shot) 이미지, 동영상 이미지 등을 포함한다.
컨텐츠 풀에는 서비스업체가 제작하여 업로드 하는 컨텐츠와, 사용자들이 직접 제작하여 업로드하는 컨텐츠들이 포함된다. 또한, 컨텐츠 풀에는 사용자가 컨텐츠 풀에서 다운로드 받아 수정한 후 다시 업로드 하는 수정 컨텐츠들도 포함된다.
서버는 컨텐츠 풀에 포함된 컨텐츠들을 분류한다. 컨텐츠들의 분류에는 문자 정보와 이미지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자 정보는 단어가 속하는 언어의 종류, 글자체, 글자의 색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미지 정보는 이미지의 배경에 대한 정보, 이미지 대상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배경에 대한 정보는 배경의 색, 배경에 나타난 이미지의 카테고리 등이 포함될 수 있고, 대상에 대한 정보는 대상의 색, 명암, 대상의 카테고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서버는 사용자의 다운로드 성향을 분석하여 사용자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다운로드 된 컨텐츠들에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정보가 존재한다면 서버는 상기 공통적으로 포함되는 정보를 제1 사용자가 선호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사용자 단말기에서 다운로드 받은 컨텐츠들의 이미지에 배경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서버는 제1 사용자가 배경이 없는 이미지를 선호한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제1 사용자 단말기에서 다운로드 받은 컨텐츠들의 이미지에 만화 캐릭터가 포함되는 경우 서버는 제1 사용자는 만화 캐릭터가 포함된 컨텐츠를 선호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서버는 다운로드 정보에 근거해 사용자별 선호도 통계를 내고 각 사용자별로 선호 예상되는 컨텐츠를 제시할 수 있다.
서버는 사용자별로 서로 다른 컨텐츠 순위를 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단말기에서 만화 캐릭터가 포함된 컨텐츠의 다운로드 횟수가 많은 경우 서버는 만화 캐릭터가 포함된 컨텐츠에 높은 순위를 부여하여 제1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사용자 단말기에서 흑백 이미지가 포함된 컨텐츠의 다운로드 횟수가 많은 경우 서버는 흑백 이미지가 포함된 컨텐츠에 높은 순위를 부여하여 제2 사용자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각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연상이미지 단어학습 컨텐츠가 업로드 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각 사용자 단말기에서 사용되는 컨텐츠 검색 항목들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연상이미지 단어학습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검색된 컨텐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한 온라인 결제가 이루어진 후 사용자 단말기로 해당 컨텐츠가 다운로드 될 수 있다.
사용자는 단어장에 새로운 컨텐츠를 추가하기 위해 다시 컨텐츠 풀에서 컨텐츠들을 검색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기존의 컨텐츠를 편집하여 단어장에 추가하거나 단어장에 포함된 컨텐츠를 수정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서버에 의해 분류된 항목에 근거하여 컨텐츠들을 검색할 수 있다. 컨텐츠의 분류에는 문자 정보와 이미지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자 정보는 단어가 속하는 언어의 종류, 글자체, 글자의 색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미지 정보는 이미지의 배경에 대한 정보, 이미지 대상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배경에 대한 정보는 배경의 색, 배경에 나타난 이미지의 카테고리 등이 포함될 수 있고, 대상에 대한 정보는 대상의 색, 명암, 대상의 카테고리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제작 또는 편집된 컨텐츠(110)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컨텐츠(110)는 제1 단어(111)와, 제2 단어(112) 및 이미지(113)를 포함한다.
이미지(113)는 제1 단어(111) 및 제2 단어(112)에 대응되는 이미지(113)로 구성된다. 이미지(113)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미지(113)는 그림이미지, 사진과 그림의 합성 이미지, 변형된 사진 이미지, 연속동작장면(sequence shot) 이미지, 동영상 이미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단어(111)와 제2 단어(112)는 동일한 언어이거나 다른 언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두 단어가 동일한 언어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두 단어가 유사한 의미를 갖는 단어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외국어의 유사 단어 공부를 하고자 하는 경우 어떤 이미지를 통해 연상되는 유사한 단어들을 포함하는 컨텐츠를 검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두 단어는 서로 다른 언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어(111)는 한국어 단어이고 제2 단어(112)는 제1 단어(111)와 같은 의미의 영어 단어일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단어(111)에 대응되는 영어 단어 및 해당 단어들과 연관되는 이미지(113)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검색할 수 있다.
사용자는 컨텐츠(110)를 편집하여 서버에 업로드 할 수 있다. 컨텐츠 편집은 단어 편집과, 이미지편집을 포함한다.
단어편집은 단어의 색, 크기, 글씨체 등의 편집을 포함한다. 또한, 단어의 언어를 편집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제1 단어(111)가 제1 언어(영어)로 이루어지고 제2 단어(112)가 제2 언어(한글)로 이루어진 경우, 사용자는 제2 언어(한글)를 제3 언어로 바꿀 수 있다. 즉, 어떤 사용자가 중국어를 알고 있는 경우 제2 단어(112)를 중국어로 변경할 수 있으며, 다른 사용자는 제2 단어(112)를 히브리어, 라틴어 또는 독일어 등과 같은 다른 언어로 수정하여 업로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사용자들이 각자가 알고 있는 외국어 컨텐츠를 공유함으로써 다국어간 교차 언어 학습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여러 언어에 대한 복수의 컨텐츠 풀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컨텐츠 풀에는 영어 단어와 한국어 단어를 포함하는 컨텐츠들이 포함되고, 제2 컨텐츠 풀에는 한국어 단어와 일본어 단어를 포함하는 컨텐츠들이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는 제1 컨텐츠 풀과 제2 컨텐츠 풀의 데이터를 비교하여 새로운 컨텐츠 풀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서버는 동일한 한국어 단어에 대응되는 영어 및 일본어 단어를 비교하여 영어 단어와 일본어 단어를 포함하는 제3 컨텐츠 풀을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별도의 업로드 절차가 없더라도 영어 단어를 통해 일본어 단어를 공부할 수 있는 새로운 컨텐츠가 마련되어 다국어간 교차 언어 학습이 가능해진다.
다시 말해, 한국어,영어를 포함하는 제1 컨텐츠와, 한국어, 일본어를 포함하는 제2 컨텐츠가 서버에 저장된 후, 서버는 제1 컨텐츠에서 한국어를 일본어로 교체하여 제3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다.
이미지편집은 이미지 대상(113a) 편집과 이미지 배경(113b) 편집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이미지 대상(113a)과 이미지 배경(113b)을 독립적으로 수정할 수 있다. 이미지편집은 이미지(113)의 색, 명암, 크기 등의 편집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편집 1은 이미지(113)편집이 반영된 컨텐츠를 도시한다. 편집 1에 따르면 기존의 이미지(113)가 만화 캐릭터로 대체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편집 2는 단어편집 및 이미지(113)편집이 반영된 컨텐츠를 도시한다. 편집 2에 따르면, 기존의 이미지(113)가 사진 이미지로 대체되고 단어들의 글씨체 및 굵기가 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상이미지 단어학습 컨텐츠 상호교류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는 컨텐츠 풀에서 다른 사용자들이 제작하여 업로드한 연상이미지 단어학습 컨텐츠를 다운로드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다 다양한 컨텐츠를 확보하고 작은 비용으로 컨텐츠를 상호교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상이미지 단어학습 컨텐츠 상호교류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가 제작하여 업로드한 컨텐츠는 다른 사용자 단말기들을 통한 다운로드 정보에 의해 순위가 결정되어 컨텐츠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상이미지 단어학습 컨텐츠 상호교류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는 다른 사용자가 업로드한 컨텐츠에서 이미지를 개선하여 재 업로드 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보다 효과적인 연상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상이미지 단어학습 컨텐츠 상호교류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는 업로드 컨텐츠에서 단어를 다른 언어로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손쉽게 다국어간 교차 언어 학습이 가능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연상이미지 단어학습 컨텐츠 상호교류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는 컨텐츠 풀에서 마음에 드는 컨텐츠를 다운로드 하여 자신만의 단어장을 만들고 다른 사용자들과 공유할 수 있다. 이렇게 공유된 단어장은 다른 사용자들의 선호도에 따라 순위가 정해지므로 가장 효과적인 연상이미지 컨텐츠들로 구성된 단어장을 손쉽게 선별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 : 제1 사용자 단말기 110 : 컨텐츠
111 : 제1 단어 112 : 제2 단어
113 : 이미지 113a : 이미지의 대상
113b : 이미지의 배경 120 : 프로세서
140 : 메모리 160 : 입력부
180 : 통신모듈 100' : 제2 사용자 단말기
200 : 서버 220 : 프로세서
240 : 메모리 260 : 데이터 버스
280 : 통신모듈

Claims (14)

  1. (a) 제1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제1 단어, 제2 단어 및 상기 단어들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컨텐츠가 업로드 되는 단계;
    (b) 상기 컨텐츠가 컨텐츠 풀에 저장되고 상기 단어들 및 이미지에 근거하여 컨텐츠가 분류되는 단계;
    (c) 다른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컨텐츠 풀에서 상기 분류에 근거하여 컨텐츠들이 검색되고, 상기 검색된 컨텐츠들에 순위가 부여되어 상기 다른 사용자 단말기에 전송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상이미지 단어학습 컨텐츠 상호교류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어는 제1 언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단어는 제2 언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상이미지 단어학습 컨텐츠 상호교류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는 사진이미지, 그림이미지, 연속동작장면이미지 또는 동영상이미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상이미지 단어학습 컨텐츠 상호교류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업로드 된 컨텐츠의 순위는 다른 사용자 단말기들을 통한 다운로드 정보에 의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상이미지 단어학습 컨텐츠 상호교류 방법.
  5. 청구항 3에 있어서,
    제2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업로드 된 컨텐츠가 다운로드 된 후 이미지가 변경된 컨텐츠가 생성되는 단계 및 상기 이미지가 변경된 컨텐츠가 업로드 되어 상기 컨텐츠 풀에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상이미지 단어학습 컨텐츠 상호교류 방법.
  6. 청구항 3에 있어서,
    제2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업로드 된 컨텐츠가 다운로드 된 후 제2 단어가 변경된 컨텐츠가 생성되는 단계 및 상기 제2 단어가 변경된 컨텐츠가 업로드 되어 상기 컨텐츠 풀에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상이미지 단어 학습 컨텐츠 상호교류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변경된 제2 단어는 제3 언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상이미지 단어 학습 컨텐츠 상호교류 방법.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순위는 각 사용자 단말기별로 다르게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연상이미지 단어 학습 컨텐츠 상호교류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순위는 각 사용자 단말기가 다운로드 받은 컨텐츠들이 공통으로 포함하는 항목에 근거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상이미지 단어 학습 컨텐츠 상호교류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항목은 상기 이미지가 포함하는 배경의 카테고리 또는 상기 이미지 대상의 카테고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상이미지 단어 학습 컨텐츠 상호교류 방법.
  11. (a) 제1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단어들 및 상기 단어들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제1 컨텐츠가 업로드 되어 컨텐츠 풀에 저장되는 단계;
    (b) 제2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단어들 및 상기 단어들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제2 컨텐츠가 업로드 되어 컨텐츠 풀에 저장되는 단계;
    (c) 제3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상기 제1 컨텐츠 및 제2 컨텐츠가 다운로드 되어 사용자 단어장에 저장되는 단계; 및
    (d) 상기 사용자 단어장이 업로드 되어 단어장 풀에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상이미지 단어학습 컨텐츠 상호교류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단어장 풀에서 단어장들이 검색될 때 상기 단어장들에 순위가 부여되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상이미지 단어학습 컨텐츠 상호교류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순위는 사용자 단말기들을 통한 다운로드 정보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상이미지 단어학습 컨텐츠 상호교류 방법.
  14. (a) 제1 언어로 이루어지는 제1 단어, 상기 제1 단어에 대응되는 제2 언어로 이루어지는 제2 단어 및 상기 단어들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제1 컨텐츠가 업로드 되는 단계;
    (b) 상기 제2 단어, 상기 제2 단어에 대응되는 제3 언어로 이루어지는 제3 단어 및 상기 이미지를 포함하는 제2 컨텐츠가 업로드 되는 단계;
    (c) 상기 제1 컨텐츠의 제2 단어가 상기 제3 단어로 교체된 제3 컨텐츠가 생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상이미지 단어학습 컨텐츠 상호교류 방법.
KR1020150083145A 2015-06-12 2015-06-12 연상이미지 단어학습 컨텐츠 상호교류 방법 KR201601462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3145A KR20160146204A (ko) 2015-06-12 2015-06-12 연상이미지 단어학습 컨텐츠 상호교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3145A KR20160146204A (ko) 2015-06-12 2015-06-12 연상이미지 단어학습 컨텐츠 상호교류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6204A true KR20160146204A (ko) 2016-12-21

Family

ID=57734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3145A KR20160146204A (ko) 2015-06-12 2015-06-12 연상이미지 단어학습 컨텐츠 상호교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4620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4350A (ko) * 2019-01-30 2020-08-07 주식회사 이볼케이노 단어의 컨셉 메이커를 이용한 언어 학습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1310A (ko) 2009-08-21 2010-06-07 주식회사 다크호스 사용자 제작 학습 컨텐츠의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968795B1 (ko) 2009-08-28 2010-07-21 (주)위버스마인드 그림을 이용하여 어휘를 암기하는 영어 학습 장치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61310A (ko) 2009-08-21 2010-06-07 주식회사 다크호스 사용자 제작 학습 컨텐츠의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968795B1 (ko) 2009-08-28 2010-07-21 (주)위버스마인드 그림을 이용하여 어휘를 암기하는 영어 학습 장치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4350A (ko) * 2019-01-30 2020-08-07 주식회사 이볼케이노 단어의 컨셉 메이커를 이용한 언어 학습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57577B2 (en) Method for searching and device thereof
US10484745B2 (en) Computerized system and method for determining media based on selected motion video inputs
TWI617929B (zh) 儲存於可由處理器電路執行之一非暫態媒介中的系統及方法
EP3483723B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50339348A1 (en) Search method and device
CN117056622A (zh) 语音控制方法及显示设备
US11734370B2 (en) Method for searching and device thereof
CN112487242A (zh) 用于识别视频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3746874B (zh) 一种语音包推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TW201602814A (zh) 模組化搜尋物件架構相關強化搜尋結果
CN111432282B (zh) 一种视频推荐方法及装置
US20220092071A1 (en) Integrated Dynamic Interface for Expression-Based Retrieval of Expressive Media Content
CN115917512A (zh) 人工智能请求和建议卡
TWI748266B (zh) 搜索方法、電子裝置及非暫時性電腦可讀記錄媒體
CN111158924A (zh) 内容分享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0825928A (zh) 搜索方法和设备
KR102440635B1 (ko) 음성 패킷 녹취 기능의 안내 방법, 장치, 기기 및 컴퓨터 저장 매체
TWI695275B (zh) 搜索方法、電子裝置及電腦可讀記錄媒體
EP388797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ed searching and categorizing of media content items based on a destination for the media content item
WO2023020160A1 (zh) 一种推荐方法、训练方法、装置、设备及推荐系统
KR20160146204A (ko) 연상이미지 단어학습 컨텐츠 상호교류 방법
KR20190007714A (ko) 외국어 연상정보 컨텐츠 교류 방법
CN106815288A (zh) 一种视频相关信息生成方法及其装置
CN111736747A (zh) 物品信息推送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WO2023196044A1 (en) Method and system of retrieving assets from personalized asset librari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