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6064A - 스마트 타입 위성항법 비콘 복합항법 서비스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 타입 위성항법 비콘 복합항법 서비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6064A
KR20160146064A KR1020150082652A KR20150082652A KR20160146064A KR 20160146064 A KR20160146064 A KR 20160146064A KR 1020150082652 A KR1020150082652 A KR 1020150082652A KR 20150082652 A KR20150082652 A KR 20150082652A KR 20160146064 A KR20160146064 A KR 201601460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vigation
information
satellite navigation
unit
satell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26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시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시텍
Priority to KR10201500826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6064A/ko
Publication of KR20160146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60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38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 G01S19/39Determining a navigation solution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a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he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42Determining position
    • G01S19/45Determining position by combining measurements of signals from the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with a supplementary measurement
    • G01S19/47Determining position by combining measurements of signals from the 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 with a supplementary measurement the supplementary measurement being an inertial measurement, e.g. tightly coupled inert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1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by using measurements of speed or acceleration
    • G01C21/12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by using measurements of speed or acceleration executed aboard the object being navigated; Dead reckoning
    • G01C21/1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by using measurements of speed or acceleration executed aboard the object being navigated; Dead reckoning by integrating acceleration or speed, i.e. inertial navigation
    • G01C21/165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by using measurements of speed or acceleration executed aboard the object being navigated; Dead reckoning by integrating acceleration or speed, i.e. inertial navigation combined with non-inertial navigation instru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015Arrangements for jamming, spoofing or other methods of denial of service of such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01S19/13Receivers
    • G01S19/14Receiver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9/17Emergency appl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위성항법 비콘 복합항법 서비스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 위성항법 비콘수신기 이동측위 장치의 신뢰성 향상을 위해 일체형안테나 형상에 위성항법수신기, 비콘수신기, 관성항법센서 등을 융합하여 정확한 위치 정밀도를 갖추고 해안접안 등 GPS음영지역이나 재밍지역에서 복합항법을 통해 위치 정밀도를 유지하며 안전재난 정보를 스마트기기에 서비스 할 수 있는 스마트 위성항법 비콘 복합항법 서비스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스마트 타입 위성항법 비콘 복합항법 서비스장치 {APPARATUS FOR HYBRID NAVIGATION SERVICE USING SMART-TYPE GNSS BEACON }
본 발명은 스마트 위성항법 비콘 복합항법 서비스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 위성항법 비콘수신기 이동측위 장치의 신뢰성 향상을 위해 일체형안테나 형상에 위성항법수신기, 비콘수신기, 관성항법센서 등을 융합하여 정확한 위치 정밀도를 갖추고 해안접안 등 GPS음영지역이나 재밍지역에서 복합항법을 통해 위치 정밀도를 유지하며 안전재난 정보를 스마트기기에 서비스 할 수 있는 스마트 위성항법 비콘 복합항법 서비스장치에 관한 것이다.
국내내륙과 전세계해양에서 1m급 위치정밀도 서비스를 위해 300Khz대역 중파(Beacon)에 위성항법 보정정보를 서비스하고 있으며, 그동안 위성항법 비콘 수신기를 통해 운용되고 있다. 그러나 해양, 산림환경에서 주로 사용되는 비콘(Beacon)수신기는 비콘 수신불량, 위성항법 신호음영지역 및 재밍환경으로 위치서비스가 불가능하거나 해당지점 실제위치와 다르게 위치오차가 커 정확한 위치 정밀도를 측정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비콘 수신불량, 위성항법수신 음영지역 및 재밍환경에서도 정확한 위치 측정을 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기존의 정밀위치오차 획득의 부가서비스로 기상, 재해 등 안전재난 문자 방송기반을 갖추고 있으나 현재 재난문자서비스 처리가 되는 장비가 없어 문자정보획득 서비스와 재난안전 알람서비스 장치를 연동시키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10-1118147]에서는 항로표지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 [10-1118147](등록일자: 2012년02월13일)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본 발명은 중파 전파신호 음영지역과 GPS음영과 재밍환경에서 위치 좌표획득이 어려울 경우 관성항법센서와 알고리즘을 안테나형상에 스마트한 타입으로 융합하여 복잡한구성을 간소화하고 저렴한 가격으로 정확한 이동측위와 재난안전을 대비 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 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타입 위성항법 비콘 복합항법 서비스장치는, 위성으로부터 위성항법 RF신호를 수신받는 위성항법안테나(110) 및 해양 및 내륙의 고정 기준국으로부터 Beacon 보정방송정보를 포함하여 방송되는 중파 RF신호를 수신받는 중파안테나(120)를 포함하는 신호처리부(100); 3차원 관성공간에서 각속도를 측정하는 자이로스코프와 선형 가속도를 측정하는 가속도계를 포함하는 관성항법센서부(240)를 포함하며, 상기 위성항법 RF신호를 근거로 생성된 위성항법측위정보를 상기 중파 RF신호를 근거로 생성된 보정정보를 이용하여 보정한 위성항법보정정보와, 상기 위성항법보정정보 및 상기 관성항법센서부(200)에서 획득된 관성항법정보를 이용하여 복합항법정밀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연산처리부(200); 및 상기 복합항법정밀위치정보를 외부로 송출하는 통신부(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관성항법센서부(240)는 15분 이상 측위 시 1m 이하의 오차가 발생되는 관성항법센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연산처리부(200)는 상기 신호처리부(100)의 위성항법 RF신호로부터 위성항법측위정보를 생성하는 위성항법수신부(210); 상기 신호처리부(100)의 중파 RF신호로부터 보정정보를 획득하는 중파수신부(220); 상기 위성항법수신부(230)의 위성항법측위정보를 상기 중파수신부(220)의 보정정보를 이용하여 보정한 위성항법보정정보를 생성하는 위성항법보정부(230); 및 상기 위성항법보정부(230)로부터 최종 생성된 위성항법보정정보 및 상기 관성항법센서부(200)에서 획득된 관성항법정보를 이용하여 복합항법정밀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복합항법위치생성부(2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통신부(300)는 상기 복합항법정밀위치정보를 유선서비스와 블루투수 무선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스마트 타입 위성항법 비콘 복합항법 서비스장치는 상기 중파 RF신호에 포함된 안전재난정보를 수신받아, 외부로 안전재난정보를 송출하는 안전재난정보관리부(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안전재난정보관리부(400)는 상기 중파 RF신호에 포함된 안전재난정보를 수신받는 안전재난정보수신부(410); 상기 안전재난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안전재난정보표시부(420); 상기 안전재난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안전재난정보음성안내부(430); 및 상기 안전재난정보를 외부기기가 획득 가능한 정보로 변환하여 외부기기로 송출하는 외부기기도킹인터페이스부(4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타입 위성항법 비콘 복합항법 서비스장치에 의하면, 항법에 필요한 위성항법신호 중파신호의 음영지역 또는 재밍환경에서 일정시간 정밀위치 서비스가 가능한 장치가 사용됨으로서 국내 통신음영지역 운향에 따른 위험을 예방하고, 특히 야간, 안개등 시야확보가 안되는 환경에서 정밀한 위치서비스가 연속적으로 이루질수 있어 정확도가 요구되는 국제기준의 해양안전과, 내륙 장애물, 산림측량등에서 발생하는 음영지역에서 정밀좌표 확보에 효율적으로 적용될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고가의 고정밀 위치획득 해양장비의 신뢰성향상과 Smart 타입의 저가제품으로 기존 스마트 플로터와 호환성을 갖추고 스마트폰과 같은 앱 서비스로 고정밀 환경에서 다양한 해양서비스가 가능하게 되어 소형어선 및 레져장비의 안전항행에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음으로써 해양사고절감 및 안전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타입 위성항법 비콘 복합항법 서비스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타입 위성항법 비콘 복합항법 서비스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타입 위성항법 비콘 복합항법 서비스장치는 신호처리부(100), 연산처리부(200) 및 통신부(300)를 포함한다.
신호처리부(100)는 위성으로부터 위성항법 RF신호를 수신받는 위성항법안테나(110) 및 해양 및 내륙의 고정 기준국으로부터 Beacon 보정방송정보를 포함하여 방송되는 중파 RF신호를 수신받는 중파안테나(120)를 포함한다.
즉, 상기 신호처리부(100)는 위성항법안테나(110) 및 중파안테나(120)를 포함하며, 위성항법안테나(110) 및 중파안테나(120)로부터 수신받은 정보를 상기 연산처리부(200)로 전달한다.
연산처리부(200)는 3차원 관성공간에서 각속도를 측정하는 자이로스코프와 선형 가속도를 측정하는 가속도계를 포함하는 관성항법센서부(240)를 포함하며, 상기 위성항법 RF신호를 근거로 생성된 위성항법측위정보를 상기 중파 RF신호를 근거로 생성된 보정정보를 이용하여 보정한 위성항법보정정보와, 상기 위성항법보정정보 및 상기 관성항법센서부(200)에서 획득된 관성항법정보를 이용하여 복합항법정밀위치정보를 생성한다.
각국의 위성측위시스템들을 통칭해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위성측위시스템)라고 하며, GNSS에서 사용되는 항법정보를 위성항법정보라 한다. GNSS의 대표적인 예로는 미국의 GPS, 러시아의 GLONASS가 있다.
우리가 널리 알고 있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위치 측정 시스템)는 미국에서 1970년대초 특정 대상체의 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 만든 군사 목적의 시스템이다. 현재는 미국을 비롯해 각국에서 운영 중이며 군사 목적뿐만 아니라 민간에게도 개방돼 유용하게 널리 쓰이고 있다.
GNSS는 크게 위성, 지상의 제어국, 사용자로 구성돼 있다. 지상 제어국의 수신장치에서 고도 약 20,000㎞ 중궤도에 위치해 있는 인공위성에서 신호를 받아 100m 이내의 위치정보를 알아낼 수 있는 것이 GNSS의 기본 원리이다. 또한 위성의 위치와 위성시계, 전리층모델, 위성궤도변수, 위성상태 등의 항법정보가 있다면 현재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즉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가 수신기에 도달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측정해서 위성과 수신기 사이의 거리를 구하고,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계산할 수 있는 것이다.
이같이 전세계적으로 GNSS의 활용 범위가 넓어져 긴급구조, 미아찾기, 노인복지, 그리고 레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로 점점 더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앞으로 GNSS는 일상생활 깊숙이 자리 잡을 예정이다. 정부 차원에서는 GNSS 사용 단말기를 저가로 생산하는 등의 GNSS 생활화를 추진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GPS를 예로 들어 상기 연산처리부(200)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GPS의 경우, GPS로부터 획득한 위성항법정보를 이용하여 측위한 위치는 위성궤도 오차, 시계 오차, 전리층 오차, 대류층 오차, 다중경로 오차, 사이클 슬립에 의한 오차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오차가 발생된다.
위성 궤도 오차는 위성 위치를 구하는 데 필요한 위성 궤도 정보의 부정확성으로 인해 발생되는 오차이고, 위성 시계 오차는 GPS 위성에 내장되어 있는 시계의 부정확성으로 인해 발생되는 오차이며, 오차의 크기는 약 1m 이다. (SA(elective Availability) 제거 시) GPS를 처음 켰을 때 주로 오차가 크다.
전리층 오차는 약 350km 고도상에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자유 전자(free electron)와 GPS 위성 신호와의 간섭(interference) 현상에 의해 발생되는 오차이며, 오차의 크기는 약 7m 이다.
대류층 오차는 고도 50km까지의 대류층에 의한 GPS 위성 신호 굴절(refraction) 현상으로 인해 발생되는 오차이며, 오차의 크기는 약 3m - 20m 이다.
전리층 오차 및 대류층 오차는 위성에서부터 지상에 있는 GPS 수신기까지 오는데 중간에 있는 대기의 영향으로 발생되므로 날씨에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GPS를 절대위치가 아닌 상대위치(가는 방향)도 같이 봐야 한다.
다중경로 오차는 GPS 위성으로부터 직접 수신된 전파 이외에 부가적으로 주위의 지형 지물에 의해 반사된(reflected) 전파로 인해 발생하는 오차이며, 오차의 크기는 약 1m 이다. 빌딩이 많은 도심이나 바위로된 계곡사이에 있는 경우 콘크리트나 바위에 반사된 전파와 직접 GPS 수신기로 오는 전파가 동시에 들어오게 되므로 다중경로가 되어 오차가 발생한다. 즉, 도심에서 GPS는 오차가 더 크고, 산이나 들에서 오차가 더 적다.
사이클 슬립에 의한 오차는 GPS 반송파 위상 추적 회로 (Phase Lock Loop : PLL)에서 반송파 위상치의 값을 순간적으로 놓침으로 인해 발생하는 오차이며, 수신기 자체의 성능에 좌우된다.
즉, GPS의 위성항법 RF신호를 이용해 위치를 측위한 위성항법측위정보는 일정 오차를 가지고 있다. 때문에, Beacon 보정방송정보의 보정정보를 이용해 위성항법측위정보를 보정한 위성항법보정정보를 생성한다.(1차 보정)
여기서 살펴보아야 할 것은, 위성항법 RF신호 또는 중파 RF신호를 수신받지 못하였을 경우이다.
위성항법 RF신호를 수신받지 못한다면, 위성항법측위정보를 생성할 수 없다. 즉, 위치를 측위할 수 없으므로 현재의 위치를 확인할 수 없다. 또한, 중파 RF신호를 수신받지 못한다면, 위성항법측위정보의 오차를 보정할 수 없다. 즉, 현재의 위치를 측위한 위성항법측위정보를 신뢰할 수 없다.
상기 위성항법수신부(210) 또는 중파수신부(220)가 위성항법 RF신호 또는 중파 RF신호를 수신받지 못할 경우, 마지막으로 생성된 위성항법보정정보를 근거로 관성항법센서부(200)에서 획득된 관성항법정보(각속도, 가속도)를 이용해 각속도와 가속도정보를 적분하여 항체의 각변위와 이동거리 및 자세를 계산함으로써, 현재 위치를 측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관성항법센서부(240)는 15분 이상 측위 시 1m 이하의 오차가 발생되는 관성항법센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는, Beacon 음영지역, 위성항법음영지역은 물론 전파혼신과 재밍환경에서도 일정시간 정밀위치좌표값을 서비스하기 위함이며, 이럴 경우 저가의 MEMS관성항법센서를 이용하여 15분이상 1m급 정밀항법 서비스를 유지 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산처리부(200)는 위성항법수신부(210), 중파수신부(220), 위성항법보정부(230) 및 복합항법위치생성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위성항법수신부(210)는 상기 신호처리부(100)의 위성항법 RF신호로부터 위성항법측위정보를 생성한다.
중파수신부(220)는 상기 신호처리부(100)의 중파 RF신호로부터 보정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서, 보정정보는 위성항법 RF신호를 이용해 위치를 측위한 위성항법측위정보가 일정 오차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를 보정하기 위한 정보이다.
위성항법보정부(230)는 상기 위성항법수신부(230)의 위성항법측위정보를 상기 중파수신부(220)의 보정정보를 이용하여 보정한 위성항법보정정보를 생성한다.
즉, 지구에서 멀리 떨어진 위성에서 신호를 수신하기 때문에 발생된 오차를 수정하기 위해 고정 기준국(해양 및 내륙의 방송국)에서 위성에서 수신한 신호로 확인한 위치와 실제 위치와의 차이에 대한 정보(보정정보)를 전송하여 오차를 교정한 위성항법보정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생성된 위성항법보정정보가 현재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확한 정보로 사용될 수 있다.
복합항법위치생성부(250)는 상기 위성항법보정부(230)로부터 최종 생성된 위성항법보정정보 및 상기 관성항법센서부(200)에서 획득된 관성항법정보를 이용하여 복합항법정밀위치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복합항법위치생성부(250)는 위성항법보정정보를 수신받고, 다음 위성항법보정정보를 수신받을 때 까지, 관성항법정보를 이용하여 복합항법정밀위치정보를 생성한다.
위성항법보정정보만을 이용해 위치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약간의 끊어짐 현상이 발생될 수 있으나, 관성항법정보를 이용하여 끊어짐 현상이 없는 정확한 위치 측위가 가능하다.
또한, 위성항법음영지역, Beacon 음영지역은 물론 전파혼신 지역과 재밍환경에서 정확한 위치 측위가 어려운 상황에서도 관성항법정보를 이용하여 정확한 위치 측위가 가능하다.
통신부(300)는 상기 복합항법정밀위치정보를 외부로 송출한다.
상기 연산처리부(200)로부터 생성된 복합항법정밀위치정보가 현재의 정확한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이기 때문에, 이를 필요로 하는 외부기기로 송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신부(300)는 상기 복합항법정밀위치정보를 유선서비스와 블루투수 무선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유선서비스는 네비게이션 등에 제공할 수 있고, 블루투스 무선서비스는 스마트폰 등에 제공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타입 위성항법 비콘 복합항법 서비스장치는 상기 중파 RF신호에 포함된 안전재난정보를 수신받아, 외부로 안전재난정보를 송출하는 안전재난정보관리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Beacon 보정방송정보는 국제적으로 공용으로 이용되는 스페셜문자프로토콜에 기상, 재해 등 안전재난 문자 방송기반의 안전재난정보를 포함시켜 방송하는 재난안전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현재 재난문자서비스 처리가 되는 장비가 없어, 문자정보획득 서비스가 가능하고, 스마트기기와 연동하여 재난안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는 재난안전 알람서비스를 연동시킬 수 있는 안전재난정보관리부(4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선박환경, 해양, 산림 등에서 안전재난정보를 서비스 받아 재난안전에 대비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전재난정보관리부(400)는 안전재난정보수신부(410), 안전재난정보표시부(420), 안전재난정보음성안내부(430) 및 외부기기도킹인터페이스부(440)를 포함할 수 있다.
안전재난정보수신부(410)는 상기 중파 RF신호에 포함된 안전재난정보를 수신받는다.
즉, 안전재난정보수신부(410)는 Beacon 보정방송정보 및 안전재난정보를 포함하는 중파 RF신호에서 안전재난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안전재난정보표시부(420)는 상기 안전재난정보를 화면에 표시한다.
즉, 안전재난정보표시부(420)는 안전재난정보를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가 안전재난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안전재난정보음성안내부(430)는 상기 안전재난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한다.
즉, 사용자가 화면을 확인하지 않더라도 사용자에게 안전재난정보를 알릴 수 있도록 안전재난정보음성안내부(430)가 음성으로 안전재난정보를 방송한다.
외부기기도킹인터페이스부(440)는 상기 안전재난정보를 외부기기가 획득 가능한 정보로 변환하여 외부기기로 송출한다.
사용자가 안전재난정보관리부(400)와 멀리 떨어져 있어도 본인이 휴대한 스마트기기 등을 통해 외부기기도킹인터페이스부(440)로부터 안전재난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타입 위성항법 비콘 복합항법 서비스장치는 선박내에서 안테나형 스마트 위성항법 비콘 서비스 및 재난안전 알람서비스가 무선으로 동시에 이루어져, 해양수산부에서 무상제공되는 해양안전지킴이의 해로드 앱 등을 활용하여 휴대폰에서 정밀도가 높은 해양안전서비스를 받을수 있도록 부가기능을 갖추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신호처리부
110: 위성항법안테나 120: 중파안테나
200: 연산처리부
210: 위성항법수신부 220: 중파수신부
230: 위성항법보정부 240: 관성항법센서부
250: 복합상법위치생성부
300: 통신부
400: 안전재난정보관리부
410: 안전재난정보수신부 420: 안전재난정보표시부
430: 안전재난정보음성안내부 440: 외부기기도킹인터페이스부

Claims (6)

  1. 위성으로부터 위성항법 RF신호를 수신받는 위성항법안테나(110) 및 해양 및 내륙의 고정 기준국으로부터 Beacon 보정방송정보를 포함하여 방송되는 중파 RF신호를 수신받는 중파안테나(120)를 포함하는 신호처리부(100);
    3차원 관성공간에서 각속도를 측정하는 자이로스코프와 선형 가속도를 측정하는 가속도계를 포함하는 관성항법센서부(240)를 포함하며, 상기 위성항법 RF신호를 근거로 생성된 위성항법측위정보를 상기 중파 RF신호를 근거로 생성된 보정정보를 이용하여 보정한 위성항법보정정보와, 상기 위성항법보정정보 및 상기 관성항법센서부(200)에서 획득된 관성항법정보를 이용하여 복합항법정밀위치정보를 생성하는 연산처리부(200); 및
    상기 복합항법정밀위치정보를 외부로 송출하는 통신부(300);
    를 포함하는 스마트 타입 위성항법 비콘 복합항법 서비스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성항법센서부(240)는
    15분 이상 측위 시 1m 이하의 오차가 발생되는 관성항법센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타입 위성항법 비콘 복합항법 서비스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처리부(200)는
    상기 신호처리부(100)의 위성항법 RF신호로부터 위성항법측위정보를 생성하는 위성항법수신부(210);
    상기 신호처리부(100)의 중파 RF신호로부터 보정정보를 획득하는 중파수신부(220);
    상기 위성항법수신부(230)의 위성항법측위정보를 상기 중파수신부(220)의 보정정보를 이용하여 보정한 위성항법보정정보를 생성하는 위성항법보정부(230); 및
    상기 위성항법보정부(230)로부터 최종 생성된 위성항법보정정보 및 상기 관성항법센서부(200)에서 획득된 관성항법정보를 이용하여 복합항법정밀위치정보를 생성하는 복합항법위치생성부(250);
    를 포함하는 스마트 타입 위성항법 비콘 복합항법 서비스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300)는
    상기 복합항법정밀위치정보를 유선서비스와 블루투수 무선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타입 위성항법 비콘 복합항법 서비스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타입 위성항법 비콘 복합항법 서비스장치는
    상기 중파 RF신호에 포함된 안전재난정보를 수신받아, 외부로 안전재난정보를 송출하는 안전재난정보관리부(400);
    를 더 포함하는 스마트 타입 위성항법 비콘 복합항법 서비스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재난정보관리부(400)는
    상기 중파 RF신호에 포함된 안전재난정보를 수신받는 안전재난정보수신부(410);
    상기 안전재난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안전재난정보표시부(420);
    상기 안전재난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하는 안전재난정보음성안내부(430); 및
    상기 안전재난정보를 외부기기가 획득 가능한 정보로 변환하여 외부기기로 송출하는 외부기기도킹인터페이스부(440);
    를 포함하는 스마트 타입 위성항법 비콘 복합항법 서비스장치.
KR1020150082652A 2015-06-11 2015-06-11 스마트 타입 위성항법 비콘 복합항법 서비스장치 KR201601460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2652A KR20160146064A (ko) 2015-06-11 2015-06-11 스마트 타입 위성항법 비콘 복합항법 서비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2652A KR20160146064A (ko) 2015-06-11 2015-06-11 스마트 타입 위성항법 비콘 복합항법 서비스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6064A true KR20160146064A (ko) 2016-12-21

Family

ID=57734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2652A KR20160146064A (ko) 2015-06-11 2015-06-11 스마트 타입 위성항법 비콘 복합항법 서비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4606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88900A (zh) * 2023-12-13 2024-01-12 深圳大学 一种gnss/ins联合海洋动态基准站构建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8147B1 (ko) 2011-09-06 2012-03-13 현대이마린 주식회사 항로표지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8147B1 (ko) 2011-09-06 2012-03-13 현대이마린 주식회사 항로표지 관리 시스템 및 그 운용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388900A (zh) * 2023-12-13 2024-01-12 深圳大学 一种gnss/ins联合海洋动态基准站构建方法
CN117388900B (zh) * 2023-12-13 2024-03-08 深圳大学 一种gnss/ins联合海洋动态基准站构建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35631B2 (en) Devices and techniques for improving reception or compensating for attenuation of GNSS signals during water immersion activities
US10371806B2 (en) Doppler aided inertial navigation
US9709656B2 (en) Tracking a radio beacon from a moving device
EP2449411B1 (en) Trajectory-based location determination
US10054663B2 (en) Single burst single satellite beacon localization
Noureldin et al. Fundamentals of inertial navigation, satellite-based positioning and their integration
ES2558319T3 (es) Determinación de posición usando mediciones de épocas pasadas y presentes
US20070126623A1 (en) First responder positioning apparatus
US20120191340A1 (en) Navigation systems
WO2022006031A1 (en) Techniques for detection of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error using motion sensor output
US10302770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bsolute position navigation using pseudolites
US10775495B2 (en) Ground control point device and SAR geodetic system
GB2585087A (en) Positioning system and method
KR20040070847A (ko) 의사위성을 이용한 자동 식별 시스템 및 자동 식별 방법
KR20160146064A (ko) 스마트 타입 위성항법 비콘 복합항법 서비스장치
WO2018230227A1 (ja) タイミング信号生成装置、それを備える電子機器、及びタイミング信号生成方法
JP2004156999A (ja) 測位方法および測位装置
US11573085B2 (en) Positioning system and method
Ma et al. Communication-based positioning systems: past, present and prospects
WO2017141614A1 (ja) 津波観測装置、津波観測システム、津波観測方法
Skournetou Mitigation of dominant channel propagation effects in GNSS-based positioning
CN115826025A (zh) 一种室内外一体化定位系统及方法
EP2309226A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navigation systems
KR20130038125A (ko) 실내 측위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