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6036A - 문제 콘텐트 제공 방법 및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문제 콘텐트 제공 방법 및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6036A
KR20160146036A KR1020150082571A KR20150082571A KR20160146036A KR 20160146036 A KR20160146036 A KR 20160146036A KR 1020150082571 A KR1020150082571 A KR 1020150082571A KR 20150082571 A KR20150082571 A KR 20150082571A KR 20160146036 A KR20160146036 A KR 201601460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word
user
determined
input
main keyw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25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혁
황성택
김상호
이동창
이원희
정호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82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6036A/ko
Priority to US15/735,431 priority patent/US20180181296A1/en
Priority to PCT/KR2016/006166 priority patent/WO2016200194A1/ko
Publication of KR20160146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60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3Interaction with page-structured environments, e.g. book metaph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79Recognition of textual ent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Abstract

문제 콘텐트를 제공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문제 콘텐트를 제공하는 방법은, 디바이스의 화면을 터치하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필기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필기 데이터로부터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주요 키워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주요 키워드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문제 콘텐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문제 콘텐트 제공 방법 및 디바이스{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QUESTION CONTENT}
본 개시는 문제 콘텐트를 제공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디바이스에 입력된 사용자의 필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문제 콘텐트를 제공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기의 주 입력장치로 사용되는 키보드나 마우스는 사용자에 의해 휴대되기가 어려워, 전자기기의 휴대화 추세에 부응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하드웨어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디바이스의 프로세싱 능력이 향상되고 다양한 입력 수단이 디바이스에 적용되었다. 특히, 사용자의 음성이나 접촉 등을 인식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사용자의 접촉을 인식하는 터치 인식 기술은 사용자에게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단 점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터치 인식 기술은 단순히 사용자의 접촉만을 감지하는 기술부터 사용자의 필기를 인식하는 기술까지, 기술의 스펙트럼이 매우 다양하다. 여기서, 필기 인식 기술은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stylus) 등을 통한 사용자의 필기 입력을 인식하는 기술을 의미하며, 실제 종이 위에 펜을 이용하여 기록하는 듯한 사용자 경험 (UX; User Experience) 을 제공해줄 수 있어, 그 연구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마치 종이에 필기를 하듯이 디바이스에 메모를 기록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사용자 경험은 기존의 학교 교과 과정이나 각종 수험 과정에서 학생들의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켜줄 수 있어, 학생과 선생님들을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의 학교 교과 과정이나 수험 과정에서의 학생들의 전략은 해당 교과목에 대한 수강 과정에서 행하는 필기와 이를 바탕으로 한 문제 풀이로 요약될 수 있다. 그러나, 디바이스를 활용한 필기 또는 디바이스를 활용한 문제 풀이는 종래의 그것을 그대로 전자화시킨 것에 불과하여, 사용자에게 물리적으로 수많은 서적을 운반하지 않아도 되는 편의를 제공할 수 있을 뿐, 종래의 방식에 비해 학습 효율에 대한 개선 효과는 기대할 수가 없다. 이에, 사용자의 학습 효율을 제고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디바이스에 입력된 사용자의 필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문제 콘텐트를 제공할 수 있는 방법 및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개시의 제1 측면은, 디바이스의 화면을 터치하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필기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필기 데이터로부터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주요 키워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주요 키워드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문제 콘텐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에게 문제 콘텐트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요 키워드는 상기 획득된 필기 데이터에 포함된 키워드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하이라이트된 키워드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획득된 필기 데이터는 글머리 기호를 포함하고, 상기 주요 키워드는 상기 글머리 기호로부터 기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획득된 필기 데이터로부터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결정된 주요 키워드를 설명하는 설명 키워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문제 콘텐트는 상기 결정된 주요 키워드 및 상기 결정된 설명 키워드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에게 문제 콘텐트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주요 키워드 또는 상기 결정된 설명 키워드를 비가시화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명 키워드는 상기 결정된 주요 키워드로부터 기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획득된 필기 데이터는 문장 부호를 포함하고, 상기 설명 키워드는 상기 문장 부호로부터 기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정된 주요 키워드와 기저장된 설명 키워드 DB의 매칭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설명 키워드 DB로부터 상기 결정된 주요 키워드를 설명하는 설명 키워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문제 콘텐트는 상기 결정된 주요 키워드 및 상기 선택된 설명 키워드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문제 콘텐트는 상기 결정된 주요 키워드와 기저장된 문제 콘텐트 DB의 매칭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문제 콘텐트 DB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획득된 필기 데이터는 상기 입력된 필기 데이터가 텍스트 포맷으로 변환된 텍스트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획득된 필기 데이터는 상기 입력된 필기 데이터가 텍스트 포맷으로 변환된 텍스트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주요 키워드는 상기 텍스트 데이터에 대한 텍스트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획득된 필기 데이터는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복수의 세그먼트로 구분되고, 상기 문제 콘텐트는 상기 세그먼트별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요 키워드는 상기 획득된 필기 데이터에 포함된 키워드들 중에서 사용자의 별도 입력에 의해 선택된 키워드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기 데이터는 미리 로드된 전자책 콘텐트상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고, 상기 주요 키워드는 상기 전자책 콘텐트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하이라이트된 키워드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요 키워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필기 데이터 내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필기 입력의 속성에 따라 상기 주요 키워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정된 주요 키워드는 기설정된 시간 경과 후에 상기 필기 입력의 속성에 따라 비가시화 처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에게 문제 콘텐트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주요 키워드를 비가시화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문제 콘텐트는 상기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문제 콘텐트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답변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답변에 기초하여 상기 문제 콘텐트의 제공 빈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이라이트의 속성에 기초하여 상기 문제 콘텐트의 제공 빈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제2 측면은, 상기 디바이스의 화면을 터치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필기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필기 데이터로부터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주요 키워드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주요 키워드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문제 콘텐트를 제공하는 제어부 및 상기 문제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사용자에게 문제 콘텐트를 제공하는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요 키워드는 상기 획득된 필기 데이터에 포함된 키워드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하이라이트된 키워드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획득된 필기 데이터는 글머리 기호를 포함하고, 상기 주요 키워드는 상기 글머리 기호로부터 기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필기 데이터로부터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결정된 주요 키워드를 설명하는 설명 키워드를 결정하고, 상기 문제 콘텐트는 상기 결정된 주요 키워드 및 상기 결정된 설명 키워드에 기초하여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주요 키워드 또는 상기 결정된 설명 키워드를 비가시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명 키워드는 상기 결정된 주요 키워드로부터 기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획득된 필기 데이터는 문장 부호를 포함하고, 상기 설명 키워드는 상기 문장 부호로부터 기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주요 키워드와 기저장된 설명 키워드 DB의 매칭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설명 키워드 DB로부터 상기 결정된 주요 키워드를 설명하는 설명 키워드를 선택하고, 상기 문제 콘텐트는 상기 결정된 주요 키워드 및 상기 선택된 설명 키워드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문제 콘텐트는 상기 결정된 주요 키워드와 기저장된 문제 콘텐트 DB의 매칭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문제 콘텐트 DB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획득된 필기 데이터는 상기 입력된 필기 데이터가 텍스트 포맷으로 변환된 텍스트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획득된 필기 데이터는 상기 입력된 필기 데이터가 텍스트 포맷으로 변환된 텍스트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주요 키워드는 상기 텍스트 데이터에 대한 텍스트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획득된 필기 데이터는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복수의 세그먼트로 구분되고, 상기 문제 콘텐트는 상기 세그먼트별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요 키워드는 상기 주요 키워드를 선택하는 별도의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기 데이터는 미리 로드된 전자책 콘텐트상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고, 상기 주요 키워드는 상기 전자책 콘텐트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하이라이트된 키워드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필기 데이터 내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필기 입력의 속성에 따라 상기 주요 키워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정된 주요 키워드는 기설정된 시간 경과 후에 상기 필기 입력의 속성에 따라 비가시화 처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주요 키워드를 비가시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문제 콘텐트는 상기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문제 콘텐트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답변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의 답변에 기초하여 상기 문제 콘텐트의 제공 빈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이라이트의 속성에 기초하여 상기 문제 콘텐트의 제공 빈도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제3 측면은 상기 제1 측면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에 입력된 사용자의 필기 데이터로부터 문제 콘텐트를 제공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에 입력된 사용자의 필기 데이터로부터 문제 콘텐트를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필기 데이터로부터 주요 키워드가 결정되는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글머리 기호에 기초하여 필기 데이터로부터 주요 키워드가 결정되는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에 입력된 사용자의 필기 데이터로부터 문제 콘텐트를 제공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필기 데이터로부터 주요 키워드를 설명하는 설명 키워드를 결정하는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에 입력된 사용자의 필기 데이터로부터 문제 콘텐트를 제공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별도 입력에 의해 선택된 키워드가 주요 키워드로 결정되는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필기 입력의 속성에 따라 주요 키워드가 결정되는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텍스트 데이터에 대한 텍스트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주요 키워드가 결정되는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a 내지 도 11d 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세그먼트로 구분되는 필기 데이터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세그먼트별로 제공되는 문제 콘텐트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자책 콘텐트로부터 키워드가 결정되는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문제 콘텐트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답변 입력에 따라 문제 콘텐트의 제공 빈도를 결정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5 및 도 16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실시예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실시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필기 데이터란, 사용자가 디지타이저 (digitizer), 터치 패드, 또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와 같은 입력장치 상에 손 또는 스타일러스 등의 입력수단을 이용해 수기 (手記, handwriting) 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필기 데이터는 기본적으로 스트로크 (stroke) 입력의 집합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스트로크 입력은, 사용자가 입력을 인가한 때부터 입력이 해제 (release) 된 때까지 해당 입력의 이동 경로를 따라 시간 순서로 정렬된 점들에 대한 입력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필기 데이터는 이러한 스트로크 입력이 모임으로써, 문자, 기호, 그림, 표 등 다양한 형태로 디스플레이된다.
나아가, 스트로크 입력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필기 데이터는 광학적 문자 인식 (ORC;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등의 기술을 통해 텍스트 포맷으로 변환될 수도 있다. 따라서, 필기 데이터는, 필기 데이터가 텍스트 포맷으로 변환된 텍스트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키워드란, 필기 데이터 내에서 기설정된 범위의 여백을 기준으로 구분되어, 하나의 덩어리로 인식될 수 있는 숫자, 문자, 기호 들의 집합부분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문장에서는 띄어쓰기를 기준으로 키워드가 구분될 수 있으며, 수식에서는 수식 전체가 하나의 키워드이거나, 해당 수식을 구성하는 일련의 숫자, 문자, 기호 등 각각이 키워드일 수 있다.
이러한 키워드는 필기 데이터와 같이 스트로크 입력의 집합일 수 있으며, 나아가, 전술된 필기 데이터와 같이, 텍스트 포맷으로 변환된 형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에 입력된 사용자의 필기 데이터로부터 문제 콘텐트를 제공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바이스 (1000) 의 사용자는 디바이스 (1000) 에 필기 문자들을 입력할 수 있으며, 디바이스 (1000) 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필기 데이터를 디바이스 (1000) 의 화면 상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필기 데이터는 사용자가 직접 수기로 작성하기 때문에, 문자, 기호, 그림, 및 표 등 다양한 형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디바이스 (1000) 는 사용자가 자유롭게 작성한 필기 데이터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문제 콘텐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사용자가 디바이스 (1000) 에 직접 입력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다른 디바이스에 입력하고, 디바이스 (1000) 는 다른 디바이스로부터 필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디바이스 (1000) 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PC, 스마트 TV, 휴대폰,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톱, 미디어 플레이어, 마이크로 서버,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네비게이션, 키오스크,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및 기타 모바일 또는 비모바일 컴퓨팅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에 입력된 사용자의 필기 데이터로부터 문제 콘텐트를 제공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단계S200에서 디바이스 (1000) 는 디바이스 (1000) 의 화면을 터치하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필기 데이터를 획득한다. 이때 필기 데이터는 문자, 기호, 그림, 및 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210에서 디바이스 (1000) 는 단계 S200에서 획득된 필기 데이터로부터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주요 키워드를 결정한다. 필기 데이터는 다양한 키워드들을 포함하고, 다양한 키워드들 중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기준들에 기초하여 주요 키워드가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주요 키워드는 2개 이상의 키워드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단계 S220에서 디바이스 (1000) 는 단계 S210에서 결정된 주요 키워드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문제 콘텐트를 제공한다. 문제 콘텐트는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제 콘텐트는, 필기 데이터 내에서 주요 키워드가 비가시화 처리되어 사용자 입장에서 해당 주요 키워드가 무엇인지 고민하도록 요구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비가시화 처리는 주요 키워드 자체를 삭제하거나, 주요 키워드를 공란으로 디스플레이하거나, 주요 키워드상에 별도의 이미지를 오버레이함으로써, 주요 키워드가 사용자에게 보여지지 않도록 처리하는 것을 지칭한다.
나아가, 사용자가 디바이스 (1000) 화면을 보지 않더라도 학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문제 콘텐트는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즉, 필기 데이터가 텍스트 포맷으로 변환된 텍스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해당 텍스트 데이터에 대해 텍스트 음성 변환 (TTS; Text To Speech) 가 수행되어, 문젠 콘텐트가 음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기 데이터 내에서 주요 키워드는 '땡땡땡 (blah blah blah)'로 읽혀지고, 나머지 키워드들은 인식된 텍스트 그대로 읽혀질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주요 키워드가 'Conduction'로 결정된 경우, 'Conduction 은 무엇인가?'와 같은 음성 질문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는, 문제 콘텐트는, 단계 S210에서 결정된 주요 키워드와 기저장된 문제 콘텐트 DB의 매칭 결과에 기초하여, 문제 콘텐트 DB로부터 선택될 수도 있다.
문제 콘텐트 DB에서 하나의 문제 콘텐트는 적어도 복수의 색인어와 대응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하나의 색인어는 복수의 문제 콘텐트와 대응될 수도 있다.
주요 키워드와 매칭되는 색인어가 문제 콘텐트 DB에 있는 경우, 해당 색인어에 대응되는 문제 콘텐트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해당 색인어에 복수의 문제 콘텐트가 대응되는 경우에는, 복수의 문제 콘텐트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도 있다. 여기서의 매칭은 주요 키워드와 색인어가 완전하게 일치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주요 키워드와 색인어가 기설정된 수준 이상 일치하는 경우도 포함될 수 있다.
도 3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하이라이트에 기초하여 필기 데이터로부터 주요 키워드가 결정되는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주요 키워드는 필기 데이터에 포함된 키워드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하이라이트된 키워드로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하이라이트는 필기 데이터에 포함된 데이터로서, 필기 데이터의 일부를 강조하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데이터이다. 하이라이트는 형광펜 (11), 밑줄 (12), 동그라미 (13), 박스, 및 별 (14) 등 사용자가 해당 키워드의 중요도에 따라 표식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에 의한 하이라이트가 형광펜 (11) 형태로 입력된 경우, 해당 형광펜 (11) 효과와 중첩하여 위치하는 키워드가 주요 키워드로 결정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형광펜 (11) 효과와 중첩하여 위치하는 키워드인 'electricity'가 주요 키워드로 결정된다.
또한, 사용자에 의한 하이라이트가 밑줄 (12) 형태로 입력된 경우, 해당 밑줄 (12) 위에 위치하는 키워드가 주요 키워드로 결정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밑줄 (12) 위에 위치하는 키워드인 'heat'가 주요 키워드로 결정된다.
또한, 사용자에 의한 하이라이트가 동그라미 (13) 나 박스 형태로 입력된 경우, 해당 동그라미 (13) 나 박스의 안에 위치하거나 해당 동그라미 (13) 나 박스를 이루는 스트로크와 중첩되는 키워드가 주요 키워드로 결정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동그라미 (13) 안에 위치하는 키워드인 'waves'가 주요 키워드로 결정된다.
또한, 사용자에 의한 하이라이트가 별 (14) 형태로 입력된 경우, 해당 별 (14) 을 이루는 스트로크와 중첩되거나, 해당 별 (14) 과 가장 가까운 키워드가 주요 키워드로 결정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별 (14) 과 가장 가까운 키워드인 'Conduction'이 주요 키워드로 결정된다.
도 4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글머리 기호에 기초하여 필기 데이터로부터 주요 키워드가 결정되는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필기 데이터는 글머리 기호를 포함하고, 글머리 기호로부터 기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하는 키워드가 주요 키워드로 결정될 수 있다. 글머리 기호는 기호, 숫자, 및 문자 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필기 데이터가 기호 형태의 글머리 기호를 포함하는 경우, 해당 기호로부터 가장 가까운 키워드가 주요 키워드로 결정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 글머리 기호 (21a) 로부터 가장 가까운 키워드인 'Conduction'이 주요 키워드로 결정된다.
한편, 해당 글머리 기호로부터 가장 가까운 키워드 다음에 또 다른 키워드가 위치하는 경우, 줄바꿈이 이루어지기 이전까지의 키워드까지 모두 주요 키워드로 결정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 글머리 기호 (21b) 로부터 가장 가까운 키워드인 'Transfer'부터 줄바꿈 이전까지의 키워드까지인 'of energy', 즉, 'Transfer of energy'가 주요 키워드로 결정된다.
또한, 해당 글머리 기호로부터 가장 가까운 키워드 다음에 또 다른 키워드가 위치하는 경우, 문장 부호가 위치하기 이전까지의 키워드만 주요 키워드로 결정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 글머리 기호 (22a, 22b, 22c) 로부터 가장 가까운 키워드부터 문장 부호가 위치하기 이전까지의 키워드까지인 'Conduction', 'Radiation', 및 'Convection'이 주요 키워드로 결정된다. 문장 부호에 대한 자세한 구성은 도 6에서 다시 설명한다.
또한, 숫자나 문자 형태의 글머리 기호는 해당 숫자나 문자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마침표, 쉼표, 및 괄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필기 데이터가 숫자나 문자 형태의 글머리 기호를 포함하는 경우, 해당 숫자나 문자, 또는 해당 숫자나 문자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기호로부터 가장 가까운 키워드가 주요 키워드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해당 글머리 기호로부터 가장 가까운 키워드 다음에 또 다른 키워드가 위치하는 경우, 줄바꿈이나 문장 부호가 위치하기 이전까지의 키워드까지는 모두 하나의 주요 키워드로 결정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 (1)' 글머리 기호 (23a) 및 ' (2)' 글머리 기호 (23b) 각각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키워드부터 줄바꿈이 이루어지기 전까지의 키워드인 'Microscope of diffusion'과 'Collision of Particles'가 각각 주요 키워드로 결정된다.
도 5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에 입력된 사용자의 필기 데이터로부터 문제 콘텐트를 제공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S500에서 디바이스 (1000) 는 디바이스 (1000) 의 화면을 터치하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필기 데이터를 획득한다. 이때 필기 데이터는 문자, 기호, 그림, 및 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510에서 디바이스 (1000) 는 단계 S500에서 획득된 필기 데이터로부터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주요 키워드를 결정한다. 필기 데이터는 다양한 키워드들을 포함하고, 다양한 키워드들 중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기준들에 기초하여 주요 키워드가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주요 키워드는 2개 이상의 키워드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단계 520에서 디바이스 (1000) 는 단계 S500에서 획득된 필기 데이터로부터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S510단계에서 결정된 주요 키워드를 설명하는 설명 키워드를 결정한다. 필기 데이터는 다양한 키워드들을 포함하고, 다양한 키워드들 중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기준들에 기초하여 주요 키워드를 설명하는 설명 키워드가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설명 키워드는 2개 이상의 키워드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단계 S530에서 디바이스 (1000) 는 단계 S510 에서 결정된 주요 키워드 및 단계 S520에서 결정된 설명 키워드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문제 콘텐트를 제공한다. 문제 콘텐트는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제 콘텐트는, 필기 데이터 내에서 주요 키워드가 비가시화 처리되거나, 주요 키워드를 설명하는 설명 키워드가 비가시화 처리되어, 사용자 입장에서 해당 주요 키워드가 어떤 내용인지 고민하도록 요구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문제 콘텐트는 객관식 문제 형태로 생성될 수도 있다. 이때, 설명 키워드가 주요 키워드에 대한 객관식 보기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제 콘텐트는 "'주요 키워드'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이란 질문과 해당 질문에 대한 보기로서, 해당 주요 키워드를 설명하는 설명 키워드와 다른 주요 키워드들을 설명하는 설명 키워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주요 키워드가 설명 키워드에 대한 객관식 보기로 이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문제 콘텐트는 "'설명 키워드'가 설명하는 것은?"이란 질문과 해당 질문에 대한 보기로서, 해당 설명 키워드가 설명하는 주요 키워드와, 다른 주요 키워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가 디바이스 (1000) 화면을 보지 않더라도 학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문제 콘텐트는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즉, 필기 데이터가 텍스트 포맷으로 변환된 텍스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해당 텍스트 데이터에 대해 텍스트 음성 변환 (TTS; Text To Speech) 가 수행되어, 문젠 콘텐트가 음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6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필기 데이터로부터 주요 키워드를 설명하는 설명 키워드를 결정하는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필기 데이터는 글머리 기호를 포함하고, 주요 키워드는 해당 글머리 기호로부터 가장 가까운 키워드로 결정될 수 있다. 나아가, 결정된 주요 키워드를 설명하는 설명 키워드는 결정된 주요 키워드로부터 기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하는 키워드들로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정된 주요 키워드의 다음에 위치하는 모든 키워드들이 해당 키워드를 설명하는 설명 키워드로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다음" 또는 "이전"이라 함은, 일반적인 글 작성 방향인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나아가 위쪽에서 아래쪽으로의 방향을 기준으로 한 것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글 작성 방향은 언어나 사용자의 필기 습관에 따라 달라지도록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6에서 결정된 주요 키워드들은 도 4에서 결정된 주요 키워드들과 동일한 것으로 전제한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정된 주요 키워드의 다음에 위치하는 모든 키워드들 (31) 이 해당 주요 키워드를 설명하는 설명 키워드로 결정될 수 있다.
만약, 필기 데이터가 복수의 글머리 기호를 포함하고, 제1 글머리 기호에 기초하여 결정된 주요 키워드를 설명하는 설명 키워드는, 해당 주요 키워드의 다음부터 제2 글머리 기호 이전에 위치하는 키워드들로 결정될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글머리 기호인 '(1)' 글머리 기호 (23a) 에 기초하여 결정된 주요 키워드인 'Microscope of diffusion'를 설명하는 설명 키워드는 해당 주요 키워드의 다음부터 제2 글머리 기호인 '(2)' 글머리 기호 (23b) 이전에 위치하는 키워드들 (32) 이 해당 주요 키워드를 설명하는 설명 키워드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필기 데이터가 문장 부호를 포함하는 경우, 설명 키워드는 문장 부호로부터 기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하는 키워드들로 결정될 수도 있다. 여기서 문장 부호는 쌍점 (:), 쌍반점 (;), 대쉬 (ㅡ), 하이픈 (-), 물결표 (~), 큰따옴표 (" "), 작은따옴표 (' '), 꺽쇠괄호 (< >), 소괄포 (( )), 중괄호 ({ }), 및 대괄호 ([]) 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필기 데이터가 쌍점, 쌍반점, 대쉬, 하이픈, 또는 물결표와 같은 문장 부호를 포함하는 경우, 해당 문장 부호 다음에 위치하는 키워드들은 해당 문장 부호 이전에 위치하고 해당 문장 부호와 가장 가까운 주요 키워드에 대한 설명 키워드로 결정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쌍점 (33a) 다음에 위치하는 키워드들 (34a) 이, 쌍점 (33a) 이전에 위치하면서 가장 가까운 주요 키워드 'Conduction'에 대한 설명 키워드로 결정된다. 마찬가지로, 쌍점 (33b) 다음에 위치하는 키워드들 (34b) 이, 쌍점 (33b) 이전에 위치하면서 가장 가까운 주요 키워드 'Radiation' 에 대한 설명 키워드로 결정되고, 쌍점 (33c) 다음에 위치하는 키워드들 (34c) 이, 쌍점 (33c) 이전에 위치하면서 가장 가까운 주요 키워드 ' Convection ' 에 대한 설명 키워드로 결정된다.
또한, 필기 데이터가 큰따옴표, 작은따옴표, 꺽쇠괄호, 소괄포, 중괄호, 또는 대괄호와 같은 문장 부호를 포함하는 경우, 해당 문장 부호 사이에 위치하는 키워드들은, 해당 문장 부호 이전에 위치하고 해당 문장 부호와 가장 가까운 주요 키워드에 대한 설명 키워드로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해당 문자 부호 이전은, 해당 문자 부호 중에서 이전에 위치하는 문자 부호의 이전을 의미한다. 도 6을 참조하면, 큰따옴표 (37a, 37b) 사이에 위치하는 키워드들인 'energy in the form of heat'가, 큰따옴표 (37a, 37b) 이전에 위치하면서 가장 가까운 주요 키워드 'Radiation'에 대한 설명 키워드로 결정된다.
도 7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에 입력된 사용자의 필기 데이터로부터 문제 콘텐트를 제공하는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계 S700에서 디바이스 (1000) 는 디바이스 (1000) 의 화면을 터치하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필기 데이터를 획득한다. 이때 필기 데이터는 문자, 기호, 그림, 및 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710에서 디바이스 (1000) 는 단계 S700에서 획득된 필기 데이터로부터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주요 키워드를 결정한다. 필기 데이터는 다양한 키워드들을 포함하고, 다양한 키워드들 중에서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기준들에 기초하여 주요 키워드가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주요 키워드는 2개 이상의 키워드들로 구성될 수도 있다.
단계 S720에서 디바이스 (1000) 는 단계 S710단계에서 결정된 주요 키워드와 기저장된 설명 키워드 DB의 매칭을 통해, 해당 설명 키워드 DB로부터 해당 주요 키워드를 설명하는 설명 키워드를 선택한다.
설명 키워드 DB에서 하나의 설명 키워드는 적어도 복수의 색인어와 대응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하나의 색인어는 복수의 설명 키워드와 대응될 수도 있다.
주요 키워드와 매칭되는 색인어가 설명 키워드 DB에 있는 경우, 해당 색인어에 대응되는 설명 키워드가 해당 주요 키워드를 설명하는 설명 키워드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해당 색인어에 복수의 설명 키워드가 대응되는 경우에는, 복수의 설명 키워드 모두가 해당 주요 키워드를 설명하는 설명 키워드로 결정될 수도 있다. 여기서의 매칭은 주요 키워드와 색인어가 완전하게 일치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주요 키워드와 색인어가 기설정된 수준 이상 일치하는 경우도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설명 키워드 DB은 디바이스 (1000) 내에 포함될 수 있으나, 외부에 위치하면서 디바이스 (1000) 와 유무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필기 데이터는 다양한 키워드들을 포함하고, 디바이스 (1000) 는 다양한 키워드들 중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다양한 기준에 기초하여 주요 키워드를 설명하는 설명 키워드를 결정한다.
단계 S730에서 디바이스 (1000) 는 단계 S710 에서 결정된 주요 키워드 및 단계 S720에서 결정된 설명 키워드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문제 콘텐트를 제공한다. 문제 콘텐트는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제 콘텐트에는 설명 키워드만 디스플레이되어, 사용자 입장에서 해당 설명 키워드가 설명하는 것이 무엇인지 고민하도록 요구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문제 콘텐트는 객관식 문제 형태로 생성될 수도 있다. 이때, 기저장된 설명 키워드 DB로부터 선택된 설명 키워드가 주요 키워드에 대한 객관식 보기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제 콘텐트는 "'주요 키워드'에 대한 설명으로 맞는 것은?" 이란 질문과 해당 질문에 대한 보기로서, 해당 주요 키워드를 설명하는 설명 키워드와, 다른 주요 키워드들을 설명하는 설명 키워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문제 콘텐트는 해당 질문에 대한 보기로서, 기저장된 설명 키워드 DB에서 임의로 선택된 설명 키워드들, 해당 주요 키워드와 기설정된 수준 이상 일치하는 색인어에 대응되는 설명 키워드들, 또는 해당 주요 키워드를 설명하는 설명 키워드와 연관되는 다른 설명 키워드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주요 키워드가 기저장된 설명 키워드 DB에서 선택된 설명 키워드에 대한 객관식 보기로 이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문제 콘텐트는 "'설명 키워드'가 설명하는 것은?"이란 질문과 해당 질문에 대한 보기로서, 해당 설명 키워드가 설명하는 주요 키워드와, 다른 주요 키워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문제 콘텐트는 해당 질문에 대한 보기로서, 기저장된 설명 키워드 DB에서 임의로 선택된 색인어들, 해당 설명 키워드가 설명하는 주요 키워드와 기설정된 수준 이상 일치하는 색인어들, 또는 해당 설명 키워드와 대응되는 다른 색인어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나아가, 사용자가 디바이스 (1000) 화면을 보지 않더라도 학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문제 콘텐트는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즉, 필기 데이터가 텍스트 포맷으로 변환된 텍스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해당 텍스트 데이터에 대해 텍스트 음성 변환 (TTS; Text To Speech) 가 수행되어, 문제 콘텐트가 음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도 8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별도 입력에 의해 선택된 키워드가 주요 키워드로 결정되는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주요 키워드는, 필기 데이터에 포함된 키워드들 중에서 사용자의 별도 입력에 의해 선택된 키워드로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별도 입력 지점과 중첩되거나 가장 가깝게 위치하는 키워드가 주요 키워드로 결정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입력 (41a, 41b) 지점과 중첩되는 'electricity', 'heat'가 주요 키워드로 결정된다.
만약 사용자의 별도 입력이 가로 방향으로 확장되는 입력 (42) 인 경우, 해당 입력 (42) 과 중첩되는 모든 키워드들이 주요 키워드로 결정될 수도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가로 방향으로 확장되는 입력 (42) 와 중첩되는 'energy in the form of heat'가 주요 키워드로 결정된다.
만약 사용자의 별도 입력이 세로 방향으로 확장되는 입력 (43a, 43b) 인 경우, 해당 입력 (43a, 43b) 과 교차되는 가상의 가로선상에 위치하는 키워드들이 주요 키워드로 결정될 수도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세로 방향으로 확장되는 입력 (43a, 43b) 과 교차되는 가상의 가로선상에 위치하는 'the net movement of a substance (e.g., an atom, ion or molecule) from a region of high concentration to a region of low concentration' 과 'Conduction is mediated by the combination of vibrations and collisions of particles'가 주요 키워드로 결정된다.
도 9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필기 입력의 속성에 따라 주요 키워드가 결정되는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주요 키워드는 필기 데이터 내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필기 입력의 속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필기 입력의 속성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상에서 펜의 종류 (51), 펜의 색상 (52), 또는 펜의 두께 (53) 등에 의해 변경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필기 데이터에 제1 필기 입력 속성으로 필기한 부분과 제2 필기 입력 속성으로 필기한 부분이 있을 경우, 제1 필기 입력 속성으로 필기된 부분은 주요 키워드로 결정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필기 데이터 내에서 두꺼운 펜 속성으로 입력된 'waves' (54) 및 'Conduction' (55) 은 주요 키워드로 결정된다.
또한, 주요 키워드는 필기 입력 속성에 따라 기설정된 시간 경과 후에 비가시화 처리될 수도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필기 데이터 내에서 두꺼운 펜 속성으로 입력된 'waves' (54) 및 'Conduction' (55) 은 기설정된 시간 경과 후에 비가시화 처리된다.
도 10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텍스트 데이터에 대한 텍스트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주요 키워드가 결정되는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필기 데이터는, 필기 데이터가 텍스트 포맷으로 변환된 텍스트 데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텍스트 데이터에 대해 텍스트 분석이 수행되면, 해당 텍스트 데이터 내에서 키워드의 반복 횟수, 해당 키워드의 품사 등이 분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키워드의 반복 횟수가 다른 키워드들에 비해 많은 경우, 키워드의 반복 횟수가 기설정된 수준 이상인 경우, 및/또는 키워드의 품사가 명사인 경우에 주요 키워드로 결정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heat' (61, 62, 63) 의 반복 횟수가 3회로 다른 키워드보다 반복 횟수가 높고, 품사는 명사로, 'heat' (61, 62, 63) 가 주요 키워드로 결정된다.
도 11a 내지 도 11d 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세그먼트로 구분되는 필기 데이터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필기 데이터는 글머리 기호와 그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필기 데이터는 기설정된 범위 이상의 여백, 글머리 기호, 또는 그림을 기준으로 세그먼트로 구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1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기 데이터가 각 단락 사이에 기설정된 범위 이상의 여백을 포함하는 경우, 해당 여백을 기준으로 복수의 세그먼트 (71a, 71b, 71c) 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도 11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기 데이터가 복수의 글머리 기호를 포함하는 경우, 각 글머리 기호 다음에 위치하는 부분들은 각각 하나의 세그먼트 (72a, 72b, 72c, 72d) 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도 11c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기 데이터 내에서 동일한 단위의 글머리 기호가 반복되는 경우에는 각 글머리 기호 다음에 위치하면서 다음 차수의 글머리 기호 이전에 위치하는 부분들은 각각 하나의 세그먼트 (73a, 73b) 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도 11d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기 데이터가 그림을 포함하는 경우, 해당 그림으로부터 기설정된 범위 이내에 위치하는 부분들은 하나의 세그먼트 (74a, 74b, 74c) 로 구분될 수 있다.
한편, 필기 데이터가 그림 (75, 76, 77) 을 포함하는 경우, 그림 (75, 76, 77) 으로부터 기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하는 키워드가 주요 키워드로 결정될 수 있다. 도 11d 를 참조하면, 그림 (75, 76, 77) 각각으로부터 가깝게 위치하는 'Conduction', 'Radiation', 'Convection', 'Oxygen', 'O2', 'Water', 및 'H20'가 주요 키워드로 결정된다. 그림 (75, 76, 77) 으로부터 주요 키워드가 결정되는 범위는 전술된 세그먼트를 구분하는데 있어서의 범위보다 작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12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세그먼트별로 제공되는 문제 콘텐트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문제 콘텐트는 전술된 세그먼트별로 제공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필기 데이터는 복수의 세그먼트로 구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분된 세그먼트에 기초하여, 문제 콘텐트는 각 세그먼트별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제 콘텐트는 플래시 카드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도 있다.
도 13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전자책 콘텐트로부터 키워드가 결정되는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미리 로드된 전자책 콘텐트상에서 사용자에 의한 필기 데이터가 입력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의 필기 입력은 다양한 하이라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하이라이트는 형광펜 (81a, 81b, 81c), 밑줄 (82a, 82b, 82c), 동그라미 (83a, 83b), 박스, 및 별 (84a, 84b) 등 사용자가 해당 키워드의 중요도에 따라 표식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미리 로드된 전자책 콘텐트상에서 사용자에 의한 필기 데이터가 입력된 경우, 주요 키워드가 전자책 콘텐트에서도 결정될 수 있을 뿐, 그 결정 기준은 도 3에서 전술된 바와 같다.
사용자에 의해 이루어지는 이러한 하이라이트는, 키워드들 중에서도 사용자가 인식하기에 중요도가 높은 키워드에 대해 이루어지며, 하이라이트 정도에 따라 그 중요도 또한 달라진다고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1개의 별 (84a) 이 표시된 키워드보다 2개의 별 (84b) 이 표시된 키워드가 더 중요한 것으로 인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주요 키워드 내에서도 중요도에 비례하여 문제 콘텐트의 제공 빈도가 결정될 수 있다.
도 14는 일부 실시예에 따른, 문제 콘텐트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답변 입력에 따라 문제 콘텐트의 제공 빈도를 결정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단계 S1400에서 디바이스 (1000) 는, 사용자에게 제공된 문제 콘텐트에 대해 대응하는 사용자의 답변 입력을 수신한다. 이러한 사용자의 답변은 사용자의 필기 입력으로 이루어지거나, 객관식의 경우 보기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입력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음성 입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의 필기 입력이나 음성 입력은 텍스트 포맷으로 변환될 수 있다.
단계 S1410에서 디바이스 (1000) 는, 단계 S1400에서 수신된 사용자의 답변에 기초하여 해당 문제 콘텐트의 제공 빈도를 결정한다. 수신된 사용자의 답변이 필기 입력으로 이루어진 경우, 해당 필기 입력과 문제 콘텐트가 요구하는 정답의 스트로크가 얼마나 매칭되는지 여부를 통해 답변의 정오 (正誤) 가 결정될 수 있다. 만약, 해당 필기 입력이나 음성 입력이 텍스트 포맷으로 변환된 경우에는 텍스트 간의 비교를 통해 답변의 정오가 결정될 수도 있다.
만약, 사용자가 정답을 입력한 경우, 해당 콘텐트의 제공 빈도가 감소되도록 구현될 수 있고, 사용자가 오답을 입력하거나 답변 입력 시간이 초과된 경우에는, 해당 콘텐트의 제공 빈도는 증가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15 및 도 16은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1000) 는, 사용자 입력부 (1100), 출력부 (1200) 및 제어부 (1300) 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 15에 도시된 구성 요소 모두가 디바이스 (1000) 의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 15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디바이스 (1000) 가 구현될 수도 있고, 도 15에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 디바이스 (1000) 가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1000) 는, 사용자 입력부 (1100), 출력부 (1200), 및 제어부 (1300) 이외에 센싱부 (1400), 통신부 (1500), A/V 입력부 (1600), 및 메모리 (1700) 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부 (1100) 는, 사용자가 디바이스 (1000) 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를 입력하는 수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 (1100) 에는 키 패드 (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 (접촉식 정전 용량 방식, 압력식 저항막 방식, 적외선 감지 방식, 표면 초음파 전도 방식, 적분식 장력 측정 방식, 피에조 효과 방식 등),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입력부 (1100) 는, 사용자에 의한 필기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출력부 (1200) 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출력부 (1200) 는 디스플레이부 (1210), 음향 출력부 (1220), 및 진동 모터 (1230) 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 (1210) 는 디바이스 (1000) 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 (1210) 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필기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후술할 제어부 (1300) 에 의해 제공된 문제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부 (1210) 와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 (1210) 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 (1210) 는 액정 디스플레이 (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 (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 (3D display), 전기영동 디스플레이 (electrophoretic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디바이스 (1000) 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바이스 (1000) 는 디스플레이부 (1210) 를 2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이때, 2개 이상의 디스플레이부 (1210) 는 힌지 (hinge) 를 이용하여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 (1220) 는 통신부 (1500) 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 (1700) 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음향 출력부 (1220) 는 후술할 제어부 (1300) 에 의해 제공된 문제 콘텐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음향 출력부 (1220) 는 디바이스 (1000) 에서 수행되는 기능 (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알림음) 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 (1220) 에는 스피커 (speaker), 버저 (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진동 모터 (1230) 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 모터 (1230) 는 오디오 데이터 또는 비디오 데이터 (예컨대,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 의 출력에 대응하는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진동 모터 (1230) 는 터치스크린에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 진동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제어부 (1300) 는, 통상적으로 디바이스 (1000) 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도 1 내지 도 15에서의 디바이스 (1000) 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1300) 는, 메모리 (1700) 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사용자 입력부 (1100), 출력부 (1200), 센싱부 (1400), 통신부 (1500), A/V 입력부 (1600) 등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 (1300) 는 디바이스 (1000) 에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필기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 (1300) 는 디바이스 (1000) 의 화면을 터치하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필기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 (1300) 는 획득된 필기 데이터로부터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주요 키워드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 (1300) 는 결정된 주요 키워드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문제 콘텐트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 (1300) 는 문제 콘텐트를 다양한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 (1300) 는 문제 콘텐트를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제공하도록 할 수도 있다.
필기 데이터가 텍스트 포맷으로 변환된 텍스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 (1300) 는 해당 텍스트 데이터에 대해 텍스트 음성 변환 (TTS; Text To Speech) 을 수행하여, 문젠 콘텐트가 음성으로 제공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 (1300) 는, 결정된 주요 키워드와 기저장된 문제 콘텐트 DB의 매칭 결과에 기초하여, 문제 콘텐트 DB로부터 문제 콘텐트를 선택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제어부 (1300) 는 획득된 필기 데이터에 포함된 키워드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하이라이트된 키워드를 주요 키워드로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 (1300) 는 필기 데이터가 기호 형태의 글머리 기호를 포함하는 경우, 해당 기호로부터 가장 가까운 키워드를 주요 키워드로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 (1300) 는 획득된 필기 데이터로부터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결정된 주요 키워드를 설명하는 설명 키워드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 (1300) 는 결정된 주요 키워드 및 결정된 설명 키워드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문제 콘텐트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 (1300) 는 문제 콘텐트를 다양한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 (1300) 는 필기 데이터는 글머리 기호를 포함하는 경우, 해당 글머리 기호로부터 가장 가까운 키워드를 주요 키워드로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 (1300) 는 결정된 주요 키워드를 설명하는 설명 키워드는 결정된 주요 키워드로부터 기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하는 키워드들로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 (1300) 는 결정된 주요 키워드와 기저장된 설명 키워드 DB의 매칭을 통해 해당 주요 키워드를 설명하는 설명 키워드를 결정할 수 있다. 설명 키워드 DB에서 하나의 설명 키워드는 적어도 복수의 색인어와 대응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하나의 색인어는 복수의 설명 키워드와 대응될 수도 있다. 이러한 설명 키워드 DB은 디바이스 (1000) 내에 포함될 수 있으나, 외부에 위치하면서 디바이스 (1000) 와 유무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제어부 (1300) 는 결정된 주요 키워드 및 결정된 설명 키워드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문제 콘텐트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 (1300) 는 문제 콘텐트를 다양한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문제 콘텐트는 객관식 문제 형태로 생성될 수도 있다. 기저장된 설명 키워드 DB로부터 선택된 설명 키워드가 주요 키워드에 대한 객관식 보기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주요 키워드가 기저장된 설명 키워드 DB에서 선택된 설명 키워드에 대한 객관식 보기로 이용될 수도 있다.
제어부 (1300) 는 필기 데이터에 포함된 키워드들 중에서 사용자의 별도 입력에 의해 선택된 키워드를 주요 키워드로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 (1300) 는 필기 데이터 내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필기 입력의 속성에 따라 주요 키워드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 (1300) 는 필기 데이터를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제어부 (1300) 는 변환된 텍스트 데이터에 대해 텍스트 분석을 수행하여, 해당 텍스트 데이터 내에서 키워드의 반복 횟수, 해당 키워드의 품사 등에 따라 주요 키워드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 (1300) 는 필기 데이터에서 기설정된 범위 이상의 여백, 글머리 기호, 또는 그림을 기준으로 필기 데이터를 세그먼트로 구분될 수 있다.
제어부 (1300) 는 필기 데이터가 그림을 포함하는 경우, 그림으로부터 기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하는 키워드를 주요 키워드로 결정할 수 있다. 이 범위는 전술된 세그먼트를 구분하는데 있어서의 범위보다 작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 (1300) 는 세그먼트별로 문제 콘텐트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 (1300) 는 문제 콘텐트를 플래시 카드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제어부 (1300) 는 전자책 콘텐트를 로드할 수 있고, 이와 같이 미리 로드된 전자책 콘텐트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필기 데이터가 입력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의 필기 입력은 다양한 하이라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 (1300) 는 전자책 콘텐트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하이라이트된 키워드를 주요 키워드로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 (1300) 는 사용자에게 제공된 문제 콘텐트에 대해 대응하는 사용자의 답변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의 답변 입력은 먼저 사용자 입력부 (1100) 또는 마이크로폰 (1620) 을 통해 수신된다.
제어부 (1300) 는 수신된 사용자의 답변에 기초하여 해당 문제 콘텐트의 제공 빈도를 결정할 수 있다. 수신된 사용자의 답변이 필기 입력으로 이루어진 경우, 제어부 (1300) 는 해당 필기 입력과 문제 콘텐트가 요구하는 정답의 스트로크가 얼마나 매칭되는지 여부를 통해 답변의 정오 (正誤) 를 결정할 수 있다. 만약, 해당 필기 입력이나 음성 입력이 텍스트 포맷으로 변환된 경우, 제어부 (1300) 는 텍스트 간의 비교를 통해 답변의 정오를 결정할 수도 있다.
센싱부 (1400) 는, 디바이스 (1000) 의 상태 또는 디바이스 (1000) 주변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를 제어부 (1300) 로 전달할 수 있다.
센싱부 (1400) 는, 지자기 센서 (Magnetic sensor) (1410), 가속도 센서 (Acceleration sensor) (1420), 온/습도 센서 (1430), 적외선 센서 (1440), 자이로스코프 센서 (1450), 위치 센서 (예컨대, GPS) (1460), 기압 센서 (1470), 근접 센서 (1480), 및 RGB 센서 (illuminance sensor) (149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센서들의 기능은 그 명칭으로부터 당업자가 직관적으로 추론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통신부 (1500) 는, 디바이스 (1000) 와 외부 장치 (미도시) 간의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 (1500) 는, 근거리 통신부 (1510), 이동 통신부 (1520), 방송 수신부 (1530) 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51) 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 (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 (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 (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 (Zigbee) 통신부, 적외선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 (Wi-Fi Direct) 통신부, UWB (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 통신부 (1520) 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부 (1530) 는,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구현 예에 따라서 디바이스 (1000) 가 방송 수신부 (1530) 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통신부 (1500) 는, 필기 문자를 보정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를, 외부 장치 (미도시) 와 송수신할 수 있다.
A/V (Audio/Video) 입력부 (1600) 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 (1610) 와 마이크로폰 (1620)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 (1610) 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를 통해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얻을 수 있다. 이미지 센서를 통해 캡쳐된 이미지는 제어부 (1300) 또는 별도의 이미지 처리부 (미도시) 를 통해 처리될 수 있다.
카메라 (1610) 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 (1700) 에 저장되거나 통신부 (1500) 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 (1610) 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로폰 (1620) 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 (1620) 은 외부 디바이스 또는 화자로부터 음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 (1620) 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 되는 잡음 (noise) 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마이크로폰 (1620) 은 전술된 제어부 (1300) 에 의해 제공된 문제 콘텐트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음성 답변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 (1700) 는, 제어부 (1300) 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디바이스 (1000) 로 입력되거나 디바이스 (1000) 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도 있다.
메모리 (1700) 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 (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 (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 (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 (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RAM, Random Access Memory) 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 (ROM, Read-Only Memory),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 (1700) 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그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분류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UI 모듈 (1710), 터치 스크린 모듈 (1720), 알림 모듈 (1730)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UI 모듈 (1710) 은, 애플리케이션 별로 디바이스 (1000) 와 연동되는 특화된 UI, GUI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 (1720) 은 사용자의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제스처를 감지하고, 터치 제스처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 (1300) 로 전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른 터치 스크린 모듈 (1720) 은 터치 코드를 인식하고 분석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모듈 (1720) 은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별도의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
터치스크린의 터치 또는 근접 터치를 감지하기 위해 터치스크린의 내부 또는 근처에 다양한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의 일례로 촉각 센서가 있다. 촉각 센서는 사람이 느끼는 정도로 또는 그 이상으로 특정 물체의 접촉을 감지하는 센서를 말한다. 촉각 센서는 접촉면의 거칠기, 접촉 물체의 단단함, 접촉 지점의 온도 등의 다양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터치스크린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의 일례로 근접 센서가 있다.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사용자의 터치 제스처에는 탭, 터치&홀드, 더블 탭, 드래그, 패닝, 플릭, 드래그 앤드 드롭, 스와이프 등이 있을 수 있다.
알림 모듈 (1730) 은 디바이스 (1000) 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디바이스 (1000) 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일정 알림 등이 있다. 알림 모듈 (1730) 은 디스플레이부 (1210) 를 통해 비디오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음향 출력부 (1220) 를 통해 오디오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고, 진동 모터 (1230) 를 통해 진동 신호 형태로 알림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디바이스 (1000) 의 각 구성들 중 일부 또는 전부는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 (1000) 의 메인 프로세서 외의 별도의 프로세서를 통하여, 디바이스 (1000) 에 입력된 필기 데이터가 획득될 수 있다. 또한,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디바이스 (1000) 의 각 구성들 중 일부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바이스 (1000) 의 일부 기능은 OS (Operating System)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되고, 일부 기능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바이스 (1000) 의 기능들은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및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현되는 디바이스 (1000) 의 기능들은, 디바이스 (1000) 에 설치된 OS 및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41)

  1. 사용자에게 문제 콘텐트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디바이스의 화면을 터치하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필기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필기 데이터로부터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주요 키워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주요 키워드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문제 콘텐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 키워드는 상기 획득된 필기 데이터에 포함된 키워드들 중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하이라이트된 키워드로 결정되는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필기 데이터는 글머리 기호를 포함하고,
    상기 주요 키워드는 상기 글머리 기호로부터 기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하는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필기 데이터로부터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결정된 주요 키워드를 설명하는 설명 키워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문제 콘텐트는 상기 결정된 주요 키워드 및 상기 결정된 설명 키워드에 기초하여 생성된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게 문제 콘텐트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주요 키워드 또는 상기 결정된 설명 키워드를 비가시화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설명 키워드는 상기 결정된 주요 키워드로부터 기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하는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필기 데이터는 문장 부호를 포함하고,
    상기 설명 키워드는 상기 문장 부호로부터 기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하는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주요 키워드와 기저장된 설명 키워드 DB의 매칭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설명 키워드 DB로부터 상기 결정된 주요 키워드를 설명하는 설명 키워드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문제 콘텐트는 상기 결정된 주요 키워드 및 상기 선택된 설명 키워드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문제 콘텐트는 상기 결정된 주요 키워드와 기저장된 문제 콘텐트 DB의 매칭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문제 콘텐트 DB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10. 제3 항 내지 제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필기 데이터는 상기 입력된 필기 데이터가 텍스트 포맷으로 변환된 텍스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필기 데이터는 상기 입력된 필기 데이터가 텍스트 포맷으로 변환된 텍스트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주요 키워드는 상기 텍스트 데이터에 대한 텍스트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방법.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필기 데이터는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복수의 세그먼트로 구분되고,
    상기 문제 콘텐트는 상기 세그먼트별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방법.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 키워드는 상기 획득된 필기 데이터에 포함된 키워드들 중에서 사용자의 별도 입력에 의해 선택된 키워드로 결정되는 방법.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 데이터는 미리 로드된 전자책 콘텐트상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고,
    상기 주요 키워드는 상기 전자책 콘텐트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하이라이트된 키워드로 결정되는 방법.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 키워드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된 필기 데이터 내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필기 입력의 속성에 따라 상기 주요 키워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주요 키워드는 기설정된 시간 경과 후에 상기 필기 입력의 속성에 따라 비가시화 처리되는 방법.
  1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게 문제 콘텐트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결정된 주요 키워드를 비가시화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문제 콘텐트는 상기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제공되는 방법.
  1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문제 콘텐트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답변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답변에 기초하여 상기 문제 콘텐트의 제공 빈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0.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라이트의 속성에 기초하여 상기 문제 콘텐트의 제공 빈도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21. 사용자에게 문제 콘텐트를 제공하는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의 화면을 터치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필기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필기 데이터로부터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주요 키워드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주요 키워드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문제 콘텐트를 제공하는 제어부; 및
    상기 문제 콘텐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22.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 키워드는 상기 획득된 필기 데이터에 포함된 키워드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하이라이트된 키워드로 결정되는 디바이스.
  23.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필기 데이터는 글머리 기호를 포함하고,
    상기 주요 키워드는 상기 글머리 기호로부터 기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하는 디바이스.
  24.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필기 데이터로부터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상기 결정된 주요 키워드를 설명하는 설명 키워드를 결정하고,
    상기 문제 콘텐트는 상기 결정된 주요 키워드 및 상기 결정된 설명 키워드에 기초하여 생성된 디바이스.
  25.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주요 키워드 또는 상기 결정된 설명 키워드를 비가시화 처리하는 디바이스.
  26.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설명 키워드는 상기 결정된 주요 키워드로부터 기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하는 디바이스.
  27. 제26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필기 데이터는 문장 부호를 포함하고,
    상기 설명 키워드는 상기 문장 부호로부터 기설정된 범위 내에 위치하는 디바이스.
  28.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주요 키워드와 기저장된 설명 키워드 DB의 매칭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설명 키워드 DB로부터 상기 결정된 주요 키워드를 설명하는 설명 키워드를 선택하고,
    상기 문제 콘텐트는 상기 결정된 주요 키워드 및 상기 선택된 설명 키워드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디바이스.
  29.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문제 콘텐트는 상기 결정된 주요 키워드와 기저장된 문제 콘텐트 DB의 매칭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문제 콘텐트 DB로부터 선택되는 디바이스.
  30. 제23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필기 데이터는 상기 입력된 필기 데이터가 텍스트 포맷으로 변환된 텍스트 데이터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31.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필기 데이터는 상기 입력된 필기 데이터가 텍스트 포맷으로 변환된 텍스트 데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주요 키워드는 상기 텍스트 데이터에 대한 텍스트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디바이스.
  32.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필기 데이터는 기설정된 기준에 따라 복수의 세그먼트로 구분되고,
    상기 문제 콘텐트는 상기 세그먼트별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디바이스.
  33.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주요 키워드는 상기 주요 키워드를 선택하는 별도의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결정되는 디바이스.
  34.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필기 데이터는 미리 로드된 전자책 콘텐트상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고,
    상기 주요 키워드는 상기 전자책 콘텐트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하이라이트된 키워드로 결정되는 디바이스.
  35.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획득된 필기 데이터 내에서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필기 입력의 속성에 따라 상기 주요 키워드를 결정하는 디바이스.
  36. 제35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주요 키워드는 기설정된 시간 경과 후에 상기 필기 입력의 속성에 따라 비가시화 처리되는 디바이스.
  37.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결정된 주요 키워드를 비가시화 처리하는 디바이스.
  38.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문제 콘텐트는 상기 사용자에게 음성으로 제공되는 디바이스.
  39. 제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문제 콘텐트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답변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의 답변에 기초하여 상기 문제 콘텐트의 제공 빈도를 결정하는 디바이스.
  40.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이라이트의 속성에 기초하여 상기 문제 콘텐트의 제공 빈도를 결정하는 디바이스.
  41. 제1 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의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KR1020150082571A 2015-06-11 2015-06-11 문제 콘텐트 제공 방법 및 디바이스 KR20160146036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2571A KR20160146036A (ko) 2015-06-11 2015-06-11 문제 콘텐트 제공 방법 및 디바이스
US15/735,431 US20180181296A1 (en) 2015-06-11 2016-06-10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issue content
PCT/KR2016/006166 WO2016200194A1 (ko) 2015-06-11 2016-06-10 문제 콘텐트 제공 방법 및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2571A KR20160146036A (ko) 2015-06-11 2015-06-11 문제 콘텐트 제공 방법 및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6036A true KR20160146036A (ko) 2016-12-21

Family

ID=57504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2571A KR20160146036A (ko) 2015-06-11 2015-06-11 문제 콘텐트 제공 방법 및 디바이스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80181296A1 (ko)
KR (1) KR20160146036A (ko)
WO (1) WO201620019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8274A (ko) * 2018-07-16 2020-01-28 김영곤 아이템별 응시 시간 카운트 방법 및 장치
KR20200083424A (ko) * 2018-07-16 2020-07-08 김영곤 아이템별 응시 시간 카운트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16816A (ja) * 2008-03-07 2009-09-24 Fujitsu Ltd 学習支援装置及びその方法
JP2010072203A (ja) * 2008-09-17 2010-04-02 Fuji Xerox Co Ltd 問題作成装置、問題作成プログラムおよび学習システム
KR101553952B1 (ko) * 2009-04-24 2015-09-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20140136471A (ko) * 2012-02-29 2014-11-28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필기된 컨텐츠에 대해 공간적으로 관련된 주석의 디스플레이
KR101973641B1 (ko) * 2012-07-26 2019-04-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8274A (ko) * 2018-07-16 2020-01-28 김영곤 아이템별 응시 시간 카운트 방법 및 장치
KR20200083424A (ko) * 2018-07-16 2020-07-08 김영곤 아이템별 응시 시간 카운트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200194A1 (ko) 2016-12-15
US20180181296A1 (en) 2018-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34524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reproduction speed of multimedia content
EP3469477B1 (en) Intelligent virtual keyboards
US10698564B2 (en) User terminal device and displaying method thereof
US1009749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US10528249B2 (en) Method and device for reproducing partial handwritten content
US9170713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20038668A1 (en) Method for display information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US20170357521A1 (en) Virtual keyboard with intent-based, dynamically generated task icons
US20160170617A1 (en) Automatic active region zooming
US20160224591A1 (en) Method and Device for Searching for Image
KR20160062566A (ko) 필기 문자를 보정하는 디바이스 및 방법
JP6439266B2 (ja) タッチスクリーンを有する電子装置におけるテキスト入力方法及び装置
US20130063357A1 (en) Method for presenting different keypad configurations for data input and a portable device utilizing same
US20200033966A1 (en) Method of controlling device using various input types and device for performing the method
KR20150027885A (ko) 전자 필기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1600085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미지 정보 인식 방법
KR102032407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KR102117048B1 (ko)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실행 방법 및 이를 위한 디바이스
KR20160146036A (ko) 문제 콘텐트 제공 방법 및 디바이스
KR102090516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254891B1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306535B1 (ko)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
TWI681320B (zh) 提供裝置的內容的方法與所述裝置
Kane Understanding and creating accessible touch screen interactions for blind people
KR2014002129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