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5911A - 노치 음악과 경피적 전기 자극을 이용한 이명 치료용 경피 전기 자극 장치 - Google Patents

노치 음악과 경피적 전기 자극을 이용한 이명 치료용 경피 전기 자극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5911A
KR20160145911A KR1020150082127A KR20150082127A KR20160145911A KR 20160145911 A KR20160145911 A KR 20160145911A KR 1020150082127 A KR1020150082127 A KR 1020150082127A KR 20150082127 A KR20150082127 A KR 20150082127A KR 20160145911 A KR20160145911 A KR 201601459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nnitus
music
notch
frequency band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21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4560B1 (ko
Inventor
우강섭
심현준
염호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티엔씨코포레이션
을지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티엔씨코포레이션, 을지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티엔씨코포레이션
Priority to KR10201500821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4560B1/ko
Publication of KR201601459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59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4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4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56Specially adapted for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T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syc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tolaryngology (AREA)
  • Bio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노치 음악을 이용한 이명 치료용 경피 전기 자극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환자의 귀에 착용 가능하도록 환자별 귀의 형상에 따라 실리콘(silicon)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실리콘 재질의 외부에 전도 물질로 코팅(coating)되며, 소리가 고막으로 입력될 수 있도록 외이도와 접촉되는 부분에 수신기가 부착되는 프레임(frame); 상기 프레임에 코팅된 전도 물질에 전선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전도 물질이 상기 외이도에 분포하는 미주 신경(vagus nerve) 분지에 경피 전기 자극을 가하는 외이 경피 전기 자극 모듈(external ear transcutaneous electrical stimulating module); 상기 프레임의 중앙에 부착된 수신기에 전선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환자의 이명 주파수 대역이 제거된 가청 주파수 대역으로 구성되는 노치 음악(notched music)을 출력하는 노치 음악 출력 모듈을 구성한다. 상술한 구성에 의하면, 기존의 치료 방식과 달리 이명 주파수 대역이 제거된 주파수 대역의 노치 음악을 이용하여 미주 신경 자극이 노치 음악을 통하여 대뇌 청각피질의 이명주파수 대역 인근의 신경세포들을 자극하도록 유도되어 이명주파수 대역 신경세포들을 래트럴 인히비션(lateral inhibition)시켜 신경조절 치료를 가능하게 하고 이에 따라 이명 현상을 완화시키고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노치 음악과 경피적 전기 자극을 이용한 이명 치료용 경피 전기 자극 장치 및 방법{TRANSCUTANEOUS ELECTRICAL STIMULA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TINNITUS TREATMENT USING NOTCHED MUSIC}
본 발명은 이명(tinnitus) 치료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이명 치료용 경피 전기 자극(transcutaneous electrical stimulation)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며, 좀 더 구체적으로는 환자별 맞춤형 노치 음악(notched music)을 이용한 이명 치료용 경피 전기 자극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명은 귀 울림 현상으로서, 외부의 음원이 없는데도 잡음이 들리는 병적인 상태를 의미한다. 이명은 전인구의 100명당 1명이 병원을 찾을 정도의 심한 유병율을 갖고 있으며, 이는 고혈압이나 당뇨보다 더 높은 유병율이다.
이명의 발생 기전은 매우 복잡한데, 대뇌의 여러 영역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받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이명의 발생 기전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초기 이명은 말초 청각 기관(cochlea)의 손상에 따른 특정 주파수 대역의 입력 신호 소실에 의해 발생한다. 이러한 입력 신호 소실은 중추 청각계의 가소성 변화(plastic change)를 일으킨다. 중추 청각계는 흥분성 신경 전달 물질인 글루타메이트(glutamate)와 억제성 신경 전달 물질인 가바(GABA)의 균형으로 유지되고 있는데 말초에서 입력 신호가 올라오지 않는 주파수 대역은 주변 신경 세포로 래트럴 인히비션(lateral inhibition)을 하지 못함으로써 휴면 상태에 있던 시냅스가 재활성화되고 이렇게 활성화된 연결은 주로 신경 전달 물질인 글루타메이트를 분비하여 입력 신호를 받지 못하는 신경 세포의 바로 인근 신경 세포들이 과흥분 상태에 빠지게 되어 이명을 발생시킨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후기 이명은 중추 청각계에 새로운 신경 연결이 생기고 손상 받은 주파수 대역은 인근 주파수 대역에서 올라오는 신호가 담당하게 되는 동기화(synchronization)가 일어나면서 대뇌 청각 피질의 각 주파수 대역을 담당하는 신경계의 맵(map, tonotopy)이 재구성되는 부적응 신경 가소성(maladaptive neuronal plasticity)에 의해 발생한다.
이처럼 이명은 그 발생 기전이 매우 복잡할 뿐만 아니라 대뇌의 여러 영역이 복합적으로 영향을 받기 때문에, 만성 이명의 경우 그 치료가 매우 어려워 아직까지 확실한 효과를 입증하는 치료법이 없는 실정이다.
만성 이명의 경우에는 약물 치료에는 잘 반응하지 않고 있으며, 여러 가지 소리를 지속적으로 들려주면서 이명을 청각 중추에서 적응시키는 이명 재훈련 치료가 주로 적용되었으나 이는 매우 시간이 오래 걸리고 환자들의 순응도 또한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한편, 최근의 이명 치료 중에는 중추 신경계의 부적응 신경 가소성(maladaptive neuronal plasticity)을 원래 상태로 되돌리는 신경 조절 치료(neuromodulation)에 초점이 맞추어지고 있다.
신경 조절 치료로서 트랜스크래니얼 마그네틱 스티뮬레이션(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 트랜스크래니얼 다이렉트 커런트 스티뮬레이션(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트랜스큐테이니어스 일렉트릭 너브 스티뮬레이션(transcutaneous electric nerve stimulation) 등이 시도되고 있으나, 일시적인 이명 증상의 감소 효과만 있을 뿐 지속적인 효과는 없는 실정이다. 이는 신경 조절 치료에 의해 잘못된 가소성 변화를 복원시키지 못하였음을 의미한다.
이에, 이명을 효과적으로 치료하고 증상을 완화시켜줄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치료와 그 수단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노치 음악을 이용한 이명 치료용 경피 전기 자극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노치 음악을 이용한 이명 치료용 경피 전기 자극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노치 음악을 이용한 이명 치료용 경피 전기 자극 장치는, 환자의 귀에 착용 가능하도록 환자별 귀의 형상에 따라 실리콘(silicon)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실리콘 재질의 외부에 전도 물질로 코팅(coating)되며, 소리가 고막으로 입력될 수 있도록 외이도와 접촉되는 부분에 수신기가 부착되는 프레임(frame); 상기 프레임에 코팅된 전도 물질에 전선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전도 물질이 상기 외이도에 분포하는 미주 신경(vagus nerve) 분지에 경피 전기 자극을 가하는 외이 경피 전기 자극 모듈(external ear transcutaneous electrical stimulating module); 상기 프레임의 중앙에 부착된 수신기에 전선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환자의 이명 주파수 대역이 제거된 가청 주파수 대역으로 구성되는 노치 음악(notched music)을 출력하는 노치 음악 출력 모듈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노치 음악 출력 모듈은, 이명 주파수의 중앙 주파수를 기준으로 1 옥타브(octave), 0.5 옥타브 또는 1.5 옥타브에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을 제거한 노치 음악을 생성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따른 노치 음악을 이용한 이명 치료용 경피 전기 자극 방법은, 노치 음악(notched music) 출력 모듈이 환자의 이명 주파수 대역이 제거된 가청 주파수 대역으로 구성되는 노치 음악을 생성하거나 외부 음향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노치 음악 출력 모듈이 상기 생성되거나 수신된 노치 음악을 프레임의 중앙에 설치된 수신기를 통하여 상기 환자의 귀로 출력하고, 외이 경피 전기 자극 모듈(external ear transcutaneous electrical stimulating module)이 상기 환자의 외이도에 분포하는 미주 신경(vagus nerve) 분지에 경피 전기 자극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노치 음악 출력 모듈이 환자의 이명 주파수 대역이 제거된 가청 주파수 대역으로 구성되는 노치 음악을 생성하거나 외부 음향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이명 주파수의 중앙 주파수를 기준으로 1 옥타브(octave), 0.5 옥타브 또는 1.5 옥타브에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을 제거한 노치 음악을 생성하거나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노치 음악을 이용한 이명 치료용 경피 전기 자극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기존의 치료 방식과 달리 미주 신경 자극이 제거된 주파수 대역의 노치 음악을 통하여 대뇌 청각 피질의 이명 주파수 대역 신경 세포들을 래트럴 인히비션(lateral inhibition)시켜 신경 조절 치료를 가능하게 하고 이에 따라 이명 현상을 완화시키고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이명의 발생 기전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명 주파수가 제거된 가청 주파수 대역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미주 신경의 분포를 나타내는 분포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치 음악을 이용한 이명 치료용 경피 전기 자극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치 음악을 이용한 이명 치료용 경피 전기 자극 방법의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명 주파수가 제거된 가청 주파수 대역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가청 주파수 대역에서 이명 주파수 대역이 제거된 상태의 주파수 대역 신호를 나타내고 있다.
기존에는 이명 주파수 대역까지 모두 포함하는 가청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이용하여 신경 조절 치료를 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명 주파수 대역을 제거한 가청 주파수 대역의 노치 음악(notched music)을 이용하여 경피 전기 자극을 가하여 외이도 주변에 분포하는 미주 신경(vagus nerve)에 대한 신경 치료(neuromoudlation)를 하도록 구성된다.
기존의 방식에 따르면 이명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함께 가하였으나, 신경 세포의 잘못된 가소성(maladaptive neuronal plasticity)의 변화를 복원하는 데 실패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이명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제거한 노치 음악을 이용하여 신경 세포의 가소성 변화를 복원하도록 구성된다.
이명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제거한 노치 음악을 이용하면, 이명 주파수 대역 이외의 주변 신호에 의해 해당 이명 주파수 대역 주변의 신경 세포들이 래트럴 인히비션(lateral inhibition)을 수행하여 이명 주파수 대역의 신경 세포들의 가소성을 복원하게 된다. 기존에는 이명 주파수 대역의 신호가 가해져 이명 주파수 대역의 신경 세포들이 과흥분이 더욱 촉진되는 문제점이 있었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를 잘 해결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명 주파수 대역을 정확하고 정밀하게 측정하여 노치 음악을 생성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정확한 가소성 복원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도 5는 미주 신경의 분포를 나타내는 분포도이다.
도 5에서는 귀의 외이도 부분에 분포하는 미주 신경을 나타내면 이는 미주 신경 분지(Arnold's nerve)로 불린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치 음악을 이용한 이명 치료용 경피 전기 자극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치 음악을 이용한 이명 치료용 경피 전기 자극 장치(이하, '이명 치료용 경피 전기 자극 장치'라 함)(100)는 프레임(frame)(110), 외이 경피 전기 자극 모듈(external ear transcutaneous electrical stimulating module)(120), 노치 음악(notched music) 출력 모듈(130)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명 치료용 경피 전기 자극 장치(100)는 경피 전기 자극을 환자의 외이도의 미주 신경에 지속적으로 자극하면서 환자의 이명 주파수 대역이 제거된 노치 음악을 입력시키도록 구성된다. 이에 미주 신경 자극이 노치 음악을 통하여 대뇌 청각 피질의 이명 주파수 대역 인근의 신경 세포들을 자극하도록 유도되어 이명 주파수 대역 신경 세포들을 래트럴 인히비션(lateral inhibition)시켜 잘못 변화된 가소성을 복원한다.
특히, 환자별로 이명 주파수 대역을 정확하게 측정하여 1 옥타브, 0.5 옥타브 등으로 노치의 폭을 변화시키면서 가장 효과적인 노치 음악을 설정하여 이용한다.
이하, 세부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프레임(110)은 외이도 미주 신경 분지를 최대한 효과적으로 자극하기 위하여 환자의 바깥 귀에 밀착되게 착용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환자의 귀 형상을 그대로 본을 떠 제작된다.
프레임(110)은 본을 떠 실리콘(silicon) 재질로 그 형상이 제작될 수 있다.
프레임(110)의 실리콘 재질 외부에는 구리와 같은 전도 물질이 코팅(coating)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레임(110)은 귀 중앙 즉, 외이도 접촉 부위에 수신기(111)를 부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노치 음악 출력 모듈(130)에서 생성되거나 외부 음향 장치로부터 수신된 노치 음악을 수신기(111)를 통하여 외이도로 전달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외이 경피 전기 자극 모듈(120)은 프레임(110)에 코팅된 전도 물질에 전선을 통해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외이 경피 전기 자극 모듈(120)은 전도 물질이 외이도에 분포하는 미주 신경(vagus nerve) 분지에 경피 전기 자극을 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외이 경피 전기 자극 모듈(120)은 전기 자극을 연속 웨이브(continuous wave) 또는 펄스(pulse)로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펄스로 생성되는 경우, 실험적인 결과에 따라 200 ㎲의 펄스폭(pulse width), 5 ㎳의 펄스 듀레이션(pulse duration), 1 ㎃ 내지 10 ㎃의 자극 강도를 갖는 전기 자극을 생성하여 프레임(10)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치 음악 출력 모듈(130)은 환자별 이명 주파수 대역을 입력받고, 입력받은 이명 주파수를 기준으로 적절한 넓이의 주파수 대역을 제거한 노치 음악 내지는 노치 사운드(notced sound)를 생성하거나 외부 음향 장치(미도시)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노치 음악 출력 모듈(130)은 전선을 통해 프레임(110) 중앙에 별도 부착된 수신기(111)로 연결되며, 전선을 통해 노치 음악을 수신기(111)로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노치 음악 출력 모듈(130)은 이러한 프로세스를 통해 미주 신경 자극이 노치 음악을 통하여 대뇌 청각 피질의 이명 주파수 대역 인근의 신경 세포들을 자극하도록 유도되어 이명 주파수 대역 신경 세포들을 래트럴 인히비션(lateral inhibition)시켜 잘못 변화된 가소성을 복원한다.
노치 음악 출력 모듈(130)은 이명 주파수의 대역을 입력받아 설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명 주파수 대역을 정확하게 측정하여 실제 이명 주파수 대역보다 더 넓거나 좁지 않도록 이명 주파수 대역을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만약 너무 좁은 옥타브 대역을 제거한다면 변성이 되어있는 이명주파수 대역에 포함되는 뉴런(neuron)들을 자극하여 과흥분 되어 있는 뉴런을 더욱 흥분시키는 악영향을 일으킬 위험이 있고 너무 넓은 옥타브 대역을 제거한다면 이명주파수 대역으로 래트럴 인히비션(lateral inhibition)이 미치지 못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최적의 노치 대역폭(notched-bandwidth)을 결정하여야 한다.
노치 음악 출력 모듈(130)은 측정된 이명 주파수의 중앙 주파수를 기준으로 1 옥타브(octave), 0.5 옥타브 또는 1.5 옥타브에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을 제거한 노치 음악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주파수 대역을 정교하게 설정하여 노치 음악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외이 경피 전기 자극 모듈(120)의 전기 자극과 노치 음악 출력 모듈(130)의 노치 음악을 함께 가하여 환자의 잘못된 가소성 변화를 복원하여 이명을 치료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치 음악을 이용한 이명 치료용 경피 전기 자극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노치 음악(notched music) 출력 모듈(120)이 환자의 이명 주파수 대역이 제거된 가청 주파수 대역으로 구성되는 노치 음악을 생성하거나 외부 음향 장치(미도시)로부터 수신한다(S101).
이때, 노치 음악 출력 모듈(130)은 이명 주파수의 중앙 주파수를 기준으로 1 옥타브(octave), 0.5 옥타브 또는 1.5 옥타브에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을 제거한 노치 음악을 생성하거나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노치 음악 출력 모듈(130)이 앞서 생성되거나 수신된 노치 음악을 수신기(111)를 통하여 환자의 귀로 출력하고, 외이 경피 전기 자극 모듈(external ear transcutaneous electrical stimulating module)(130)이 환자의 외이도에 분포하는 미주 신경(vagus nerve) 분지에 경피 전기 자극을 가한다(S102).
여기서, 외이 경피 전기 자극 모듈(120)은 전기 자극을 연속 웨이브(continuous wave) 또는 펄스(pulse)로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펄스로 생성되는 경우, 실험적인 결과에 따라 200 ㎲의 펄스폭(pulse width), 5 ㎳의 펄스 듀레이션(pulse duration), 1 ㎃ 내지 10 ㎃의 자극 강도를 갖는 전기 자극을 생성하여 프레임(10)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프레임
111: 수신기
120: 외이 경피 전기 자극 모듈
130: 노치 음악 출력 모듈

Claims (4)

  1. 환자의 귀에 착용 가능하도록 환자별 귀의 형상에 따라 실리콘(silicon) 재질로 제작되며, 상기 실리콘 재질의 외부에 전도 물질로 코팅(coating)되며, 소리가 고막으로 입력될 수 있도록 외이도와 접촉되는 부분에 수신기가 부착되는 프레임(frame);
    상기 프레임에 코팅된 전도 물질에 전선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전도 물질이 상기 외이도에 분포하는 미주 신경(vagus nerve) 분지에 경피 전기 자극을 가하는 외이 경피 전기 자극 모듈(external ear transcutaneous electrical stimulating module);
    상기 프레임의 중앙에 부착된 수신기에 전선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환자의 이명 주파수 대역이 제거된 가청 주파수 대역으로 구성되는 노치 음악(notched music)을 출력하는 노치 음악 출력 모듈을 포함하는 노치 음악을 이용한 이명 치료용 경피 전기 자극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 음악 출력 모듈은,
    이명 주파수의 중앙 주파수를 기준으로 1 옥타브(octave), 0.5 옥타브 또는 1.5 옥타브에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을 제거한 노치 음악을 생성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치 음악을 이용한 이명 치료용 경피 전기 자극 장치.
  3. 노치 음악(notched music) 출력 모듈이 환자의 이명 주파수 대역이 제거된 가청 주파수 대역으로 구성되는 노치 음악을 생성하거나 외부 음향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상기 노치 음악 출력 모듈이 상기 생성되거나 수신된 노치 음악을 상기 프레임의 중앙에 설치된 수신기를 통하여 환자의 귀로 출력하고, 외이 경피 전기 자극 모듈(external ear transcutaneous electrical stimulating module)이 상기 환자의 외이도에 분포하는 미주 신경(vagus nerve) 분지에 경피 전기 자극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노치 음악을 이용한 이명 치료용 경피 전기 자극 방법.
  4.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노치 음악 출력 모듈이 환자의 이명 주파수 대역이 제거된 가청 주파수 대역으로 구성되는 노치 음악을 생성하거나 외부 음향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이명 주파수의 중앙 주파수를 기준으로 1 옥타브(octave), 0.5 옥타브 또는 1.5 옥타브에 해당하는 주파수 대역을 제거한 노치 음악을 생성하거나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치 음악을 이용한 이명 치료용 경피 전기 자극 방법.
KR1020150082127A 2015-06-10 2015-06-10 노치 음악과 경피적 전기 자극을 이용한 이명 치료용 경피 전기 자극 장치 KR101724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2127A KR101724560B1 (ko) 2015-06-10 2015-06-10 노치 음악과 경피적 전기 자극을 이용한 이명 치료용 경피 전기 자극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2127A KR101724560B1 (ko) 2015-06-10 2015-06-10 노치 음악과 경피적 전기 자극을 이용한 이명 치료용 경피 전기 자극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5911A true KR20160145911A (ko) 2016-12-21
KR101724560B1 KR101724560B1 (ko) 2017-04-13

Family

ID=57735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2127A KR101724560B1 (ko) 2015-06-10 2015-06-10 노치 음악과 경피적 전기 자극을 이용한 이명 치료용 경피 전기 자극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456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9392A (ko) * 2019-01-17 2020-07-27 한창용 개인 청력상태에 따른 이명 자가 치료 시스템
KR20200109707A (ko) * 2019-03-14 2020-09-2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명 치료를 위한 최적의 복합 자극 결정 방법 및 장치
KR20200140145A (ko) * 2019-06-05 2020-12-15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명 치료 장치 및 방법
WO2022039285A1 (ko) * 2020-08-18 2022-02-24 주식회사 뉴라이브 이명 치료를 위한 최적의 복합 자극 결정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77945A (zh) * 2017-12-18 2018-05-01 深圳先进技术研究院 一种图像增强方法、系统及电子设备
US11235156B2 (en) 2019-09-11 2022-02-01 Bose Corporation Wearable audio device with vagus nerve stimulation
US11241574B2 (en) 2019-09-11 2022-02-08 Bose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nd coordinating vagus nerve stimulation with audio therap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6085B1 (ko) * 2011-06-09 2012-11-28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명 완화 장치 및 방법
KR20120135321A (ko) * 2010-04-16 2012-12-12 비덱스 에이/에스 이명을 완화시키는 보청기 및 방법
KR20130079878A (ko) * 2012-01-03 2013-07-1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이명치료를 위한 실시간 주파수 리쉐이퍼 장치 및 방법
KR101468355B1 (ko) * 2014-01-03 2014-12-03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음향 및 전기 복합 자극을 이용한 이명치료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35321A (ko) * 2010-04-16 2012-12-12 비덱스 에이/에스 이명을 완화시키는 보청기 및 방법
KR101206085B1 (ko) * 2011-06-09 2012-11-28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명 완화 장치 및 방법
KR20130079878A (ko) * 2012-01-03 2013-07-11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이명치료를 위한 실시간 주파수 리쉐이퍼 장치 및 방법
KR101468355B1 (ko) * 2014-01-03 2014-12-03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음향 및 전기 복합 자극을 이용한 이명치료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9392A (ko) * 2019-01-17 2020-07-27 한창용 개인 청력상태에 따른 이명 자가 치료 시스템
KR20200109707A (ko) * 2019-03-14 2020-09-2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명 치료를 위한 최적의 복합 자극 결정 방법 및 장치
KR20200140145A (ko) * 2019-06-05 2020-12-15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이명 치료 장치 및 방법
WO2022039285A1 (ko) * 2020-08-18 2022-02-24 주식회사 뉴라이브 이명 치료를 위한 최적의 복합 자극 결정 방법 및 장치
CN114390933A (zh) * 2020-08-18 2022-04-22 纽里韦有限公司 用于治疗耳鸣的最佳复合刺激决定方法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4560B1 (ko) 2017-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4560B1 (ko) 노치 음악과 경피적 전기 자극을 이용한 이명 치료용 경피 전기 자극 장치
Chambers et al. Central gain restores auditory processing following near-complete cochlear denervation
Shim et al. Feasibility and safety of transcutaneous vagus nerve stimulation paired with notched music therapy for the treatment of chronic tinnitus
JP5675365B2 (ja) 耳鳴を抑制する装置および方法
EP2704792B1 (de) Vorrichtung zur kombinierten aufbringung eines transkutanen elektrischen stimulationsreizes und abgabe eines akustischen signals
Javel et al. Responses of cat auditory nerve fibers to biphasic electrical current pulses
KR102152084B1 (ko) 신경 자극기
Schaette et al. Reversible induction of phantom auditory sensations through simulated unilateral hearing loss
Doyle et al. Electrical stimulation of eighth cranial nerve
AU2014290505B2 (en) Triphasic pulses to reduce undesirable side-effects in cochlear implants
US7885714B2 (en) Cochlear implant fitting
Undurraga et al. Neural representation of interaural time differences in humans—An objective measure that matches behavioural performance
KR102185269B1 (ko) 개인 맞춤형 이명 치료를 위한 장치, 방법,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TWI398243B (zh) 神經纖維之電極刺激方法及其系統
CN110960351B (zh) 一种耳鸣治疗音乐生成方法、介质、设备及耳鸣治疗仪
Brotherton et al. Earplug-induced changes in acoustic reflex thresholds suggest that increased subcortical neural gain may be necessary but not sufficient for the occurrence of tinnitus
Carlyon et al. Spatial selectivity in cochlear implants: effects of asymmetric waveforms and development of a single-point measure
CN108720993B (zh) 一种听损治疗声音的生成方法和听损治疗系统
US20160184586A1 (en) Frequency-dependent focusing systems and methods for use in a cochlear implant system
US2015032845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width of an excitation field created by current applied by a cochlear implant system
US11583656B2 (en) System and method of coupling acoustic and electrical stimulation of noninvasive neuromodulation for diagnosis and/or treatment
CN104902955A (zh) 助听植入体的时间编码
US20210339011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chlear implant stimulation
EP3204108B1 (en) Channel selection systems that employ temporal modification
RU2410133C1 (ru) Способ лечения храп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