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5684A - Edge light-type backlight reflection film and backlight using same - Google Patents

Edge light-type backlight reflection film and backlight using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5684A
KR20160145684A KR1020167031546A KR20167031546A KR20160145684A KR 20160145684 A KR20160145684 A KR 20160145684A KR 1020167031546 A KR1020167031546 A KR 1020167031546A KR 20167031546 A KR20167031546 A KR 20167031546A KR 20160145684 A KR20160145684 A KR 201601456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cles
film
convex portions
diameter
p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154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350562B1 (en
Inventor
쇼타로 다나카
류이치 와카하라
유스케 츠카무라
Original Assignee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레이 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45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568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0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056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22Reflectors for light sourc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e.g. dichroic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흠집이 발생하기 어려운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용의 반사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백라이트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그의 해결 수단은 기재 필름 및 입자 직경이 25 내지 50㎛인 입자와 입자 직경이 1 내지 15㎛인 입자를 함유하는 입자 함유층을 갖고, 적어도 한쪽 면에 이하의 (i) 내지 (iii)의 요건을 충족시키는 볼록부를 갖는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용 반사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다. (i) 직경이 25 내지 50㎛인 볼록부가 있다. (ii) 직경이 25 내지 50㎛인 볼록부에 접촉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존재하고, 직경이 25 내지 50㎛인 볼록부의 개수가 0.64㎟당 10 내지 100개이다. (iii) 직경이 25 내지 50㎛인 볼록부가 연속하여 접촉하는 볼록부의 집합체에 포함되는 볼록부의 개수가 0.64㎟당 10개 이하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flective film for an edge light type backlight in which scratches are less likely to occur and a backlight using the same. The solution has a base film and a particle containing layer containing particles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25 to 50 占 퐉 and particles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1 to 15 占 퐉 and has the following requirements (i) to (iii) A reflective film for an edge light type backlight having a convex portion that satisfies the above-described conditions. (i) convex portions having a diameter of 25 to 50 mu m. (ii) the number of convex portions having diameters of 25 to 50 mu m is 10 to 100 per 0.64 mm < 2 > independently of the convex portions having diameters of 25 to 50 mu m. (iii) The number of convex portions included in the aggregate of the convex portions continuously contacting the convex portions having a diameter of 25 to 50 占 퐉 is 10 or less per 0.64 mm2.

Description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용 반사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백라이트{EDGE LIGHT-TYPE BACKLIGHT REFLECTION FILM AND BACKLIGHT USING SAM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lective film for an edge light type backlight and a backligh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백라이트용의 반사 필름 및 그것을 사용한 백라이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lective film for a backlight and a backlight using the same.

액정 디스플레이에서는 액정 셀을 비추는 백라이트가 사용되고 있다. 종래, 액정 디스플레이의 종류에 따라, 비교적 작은 액정 모니터에서는 에지 라이트 방식의 백라이트, 또한 비교적 큰 액정 TV에서는 직하형의 백라이트가 채용되고 있었다. 근년, 액정 TV의 박형화에 의해, 큰 액정 TV에서도 에지 라이트 방식의 백라이트가 채용되어, 그와 동시에 에지 라이트 방식의 백라이트에 관한 개발이 정력적으로 실시되고 있다. 또한 저소비 전력화 및 수은 프리화를 위하여, 발광 다이오드(이하, LED라고 약칭함)가 광원으로서 채용되고 있다. 이들 백라이트용 반사 필름으로서는, 기포에 의해 형성된 다공질의 백색 필름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BACKGROUND ART In a liquid crystal display, a backlight illuminating a liquid crystal cell is used. Conventionally, depending on the type of liquid crystal display, a backlight of the edge light type is employed in a relatively small liquid crystal monitor, and a backlight of a direct lower type is adopted in a relatively large liquid crystal TV. BACKGROUND ART In recent years, the thinness of a liquid crystal TV has employed an edge light type backlight even in a large liquid crystal TV, and at the same time, the development of an edge light type backlight has been energetically performed. In addition, a light emitting diode (hereinafter abbreviated as an LED) is employed as a light source for lowering power consumption and mercury-free. As these reflective films for backlight, a porous white film formed by bubbles is generally used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또한, 에지 라이트 방식의 백라이트에는, 광학 부재로서 도광판이 사용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백라이트 내부에 있어서 도광판(2)과 반사 필름(1)은 일반적으로 접촉하여 배치되는 것이며, 반사 필름(1)은 도광판(2)을 통과하여 반사 필름측에 조사되는 광을 반사하여 백라이트의 휘도를 향상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도광판에 관해서는, 종래의 노트북 컴퓨터나 데스크톱 모니터에서는 25인치형 정도까지의 사이즈로 충분했지만, 텔레비전에서는 30 내지 60인치형이 요구된다. 그로 인해, 아크릴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와 스티렌계 수지를 혼합한 수지, 스티렌계 수지, 유리 등을 포함하는 판을 기판으로 하고, 거기에 도트 인쇄를 실시하거나, 금형이나 롤을 사용하여 성형하거나 함으로써,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볼록부(5)를 갖는 도광판(2)이 개발되고 있다. 또한 상기한 기판에 대하여, 레이저 가공을 실시하거나, 금형이나 롤을 사용하여 성형하거나 함으로써,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오목부를 갖는 도광판(2)이 개발되고 있다.In the backlight of the edge light type, a light guide plate is used as the optical member. 1, the light guide plate 2 and the reflection film 1 are generally dispos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within the backlight, and the reflection film 1 passes through the light guide plate 2 and is irradiated to the reflection film side And has a function of reflecting light to improve the brightness of the backlight. Regarding the light guide plate, sizes of up to about 25 inches have been sufficient in conventional notebook computers and desktop monitors, and 30 to 60 inches are required in televisions. As a result, a plate containing a resin such as an acrylic resin, a resin obtained by mixing an acrylic resin and a styrenic resin, a styrenic resin, glass, or the like is used as a substrate and dot printing is performed thereon or molding is performed using a mold or a roll, A light guide plate 2 having a convex portion 5 as shown in Fig. 2 is being developed. The light guide plate 2 having a concave portion as shown in Fig. 3 has been developed by performing laser processing on the above-described substrate or by molding using a mold or a roll.

상기한 바와 같은 대형·박형의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의 개발에 있어서는, 도광판과 반사 필름이 접촉하여 배치됨으로써, 이하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고, 이것을 개선하는 것이 과제가 되어 있다. 즉, 도광판과 반사 필름이 불균일하게 밀착되어, 면상, 선상, 점상으로 광학 불균일을 발생시키는 문제(특히 점상으로 밝게 시인되는 부분을 백점 불균일이라고 칭함), 도광판과 반사 필름이 스침으로써, 도광판에 흠집이 생겨, 광학 불균일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어, 이들을 개선하는 것이 과제이었다. 이들 과제를 개선하는 반사 필름 기술로서는, 특정한 높이의 볼록부를 갖는 반사 필름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2).In the development of the above-described large-size and thin-type edge light type backlight, the following problems arise because the light guide plate and the reflective film are dispos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is is a problem to be solved. That is, the problem that the light guide plate and the reflection film adhere unevenly to cause optical unevenness in the form of plane, line, and dot (in particular, a portion visibly brightened is referred to as white spot unevenness), and the light- There is a problem that optical unevenness is generated, and it has been a problem to improve these problems. As a reflective film technique for improving these problems, a reflective film having a convex portion of a specific height has been proposed (Patent Document 2).

일본 특허 공개 (평)8-262208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8-262208 국제 공개 제2011/105294호 공보International Publication No. 2011/105294

근년, 더욱 기술의 진보에 의해, 디스플레이 설계, 백라이트 설계에 다양한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In recent years, further advances in technology have caused various changes in display design and backlight design.

특히, 광원에 LED를 사용한 에지 라이트 방식의 백라이트에서는, LED 라이트 바가 사용되지만, 이 LED 라이트 바를 설치하는 위치에 관해서, 종래는 디스플레이의 4변에 배치하고 있던 것에 대하여, LED 라이트 바의 수 및 LED수를 삭감하여 비용 절감하는 목적으로부터, 긴 변 2변, 짧은 변 2변, 긴 변 1변 그리고 짧은 변 1변으로 배치가 변화되고 있다.Particularly, in an edge light type backlight using an LED for a light source, an LED light bar is used. However, the position where the LED light bar is installed is conventionally arranged on four sides of the display, In order to reduce the cost and reduce the cost, the arrangement is changed to a long side 2 side, a short side 2 side, a long side 1 side and a short side 1 side.

또한, 도광판에 관해서는, 도광판의 수지량을 저감시켜 비용 절감하는 목적과 디스플레이를 박형화하는 목적을 위하여, 종래 3㎜ 이상의 두께인 것이, 3㎜보다도 얇은 두께, 예를 들어 2.5㎜나, 2㎜나, 1㎜나, 그 보다 아래의 두께로 박형화가 도모되고 있다.With respect to the light guide plate, in order to reduce the resin amount of the light guide plate to reduce the cost and to reduce the thickness of the display, a thickness of 3 mm or more is conventionally thinner than 3 mm, for example, 2.5 mm or 2 mm Thinner than 1 mm, or less than 1 mm.

그 외에, 백라이트에는 지금까지 확산 필름이나 프리즘 필름과 같은 광학 필름이 복수매 사용되고 있었지만, 비용 절감과 디스플레이의 박형화의 요구로부터, 광학 필름의 매수를 저감시키는 설계로 되어 있다.In addition to this, a plurality of optical films such as a diffusion film and a prism film have been used for the backlight. However, from the viewpoint of cost reduction and thinning of display, the number of optical films is reduced.

상기한 설계 변화로부터, 반사 필름에 요구되는 성능이 더 높은 것으로 되어 있다.From the above design change, the performance required for the reflective film is higher.

예를 들어, 광원(예를 들어, LED) 점등 시의 발열에 의해 백라이트 내부의 온도가 상승했을 때, 일반적으로 도광판은 열 변형을 일으킨다. 특히 에지 라이트 방식에 있어서는, 상기한 광원의 위치의 변화에 따라, LED 광원에 가까운 부분과 이격되어 있는 부분에서 백라이트 내부의 온도 구배가 보다 커지는 경향이 있다. 이 온도 구배 때문에 도광판의 열 팽창이나 열 수축의 정도도 부분마다 구배가 생겨, 그 결과, 도광판 면 내에서 치수차가 발생하여, 물결치듯이 변형되기 쉬워지고 있다. 그리고, 이 도광판의 변형은 도광판의 두께가 작아질수록 현저해진다.For example, when the temperature inside the backlight rises due to the heat generated when the light source (for example, LED) is turned on, the light guide plate generally causes thermal deformation. Particularly in the edge light type, the temperature gradient inside the backlight tends to become larger at a portion apart from the portion near the LED light source, as the position of the light source changes. As a result of this temperature gradient, the degree of thermal expansion or the degree of heat shrinkage of the light guide plate is also varied depending on the portion, and as a result, a dimensional difference is generated in the light guide plate surface, and is easily deformed like a wave. The deformation of the light guide plate becomes more significant as the thickness of the light guide plate becomes smaller.

이때, 도광판과 접촉하고 있는 반사 필름은, 도광판이 평면성을 유지하고 있으면 면 내에 거의 균일한 하중으로 도광판과 접촉하여 백라이트에 끼워 넣어져 있다. 그러나 도광판이 변형되면, 부분적으로 큰 하중으로 도광판과 접촉하여 백라이트에 끼워 넣어지는 상태가 된다. 이 때 누르는 하중이 큰 위치에서는, 도광판과 반사 필름이 강하게 스쳐, 반사 필름에도 흠집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이와 같이 반사 필름 자체의 표면에 패인 형상의 흠집이나 줄무늬 형상의 흠집이 발생한 경우는, 도광판으로부터 반사 필름에 광이 입광되었을 때에, 반사 필름의 흠집의 부분에 그림자가 발생하고, 이 그림자가 화면 상에 광학 불균일이 되어 시인된다.At this time, the reflective film in contact with the light guide plate contacts the light guide plate with almost uniform load in the surface if the light guide plate maintains planarity, and is inserted into the backlight. However, when the light guide plate is deformed, the light guide plate comes into contact with the backlight at a partly large load. At the position where the load pressed at this time is large, the light guide plate and the reflecting film are strongly struck, and the reflecting film is also prone to scratches. When scratches or stripe-like scratches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reflecting film itself, when light is incident on the reflecting film from the light guide plate, shadows are generated on the scratches of the reflecting film, The optical non-uniformity is visually recognized.

이러한 광학 불균일은, 백라이트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복수매의 확산 필름이나 프리즘 필름 등의 광학 시트의 이용에 의해 경감되고 있었다. 근년의 백라이트 설계에서는, 백라이트의 비용 절감과 디스플레이의 박형화의 요구로부터, 광학 필름의 매수를 저감시키는 설계로 되어 있기 때문에, 광학 불균일을 경감시키는 것이 곤란해지고 있다.Such optical unevenness has been alleviated by the use of a plurality of optical sheets such as a diffusion film and a prism film which are generally used for a backlight. In the backlight design of recent years, since it is designed to reduce the number of optical films from the demand for cost reduction of backlight and thin display, it is difficult to reduce optical unevenness.

따라서, 반사 필름 자체에 발생하는 패인 형상의 흠집이나 줄무늬 형상의 흠집이라는 결점을 개선한 반사 필름이 요구되고 있었지만, 종래의 반사 필름에서는, 개선이 충분하지 않았다.Therefore, there has been a demand for a reflective film which is improved in defects such as scratches on the concave shape and scratches on the stripe shape that are generated in the reflective film itself, but the conventional reflective film has not been sufficiently improved.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용 반사 필름에 있어서, 반사 필름 표면의 패인 형상의 흠집이나 줄무늬 형상의 흠집이라는, 반사 필름의 품질 결점을 개선하고자 하는 것이며, 흠집의 감소에 의해 백라이트의 광학 불균일을 개선할 수 있는 반사 필름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In view of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improve defects in the quality of a reflective film, such as scratches on the surface of a reflecting film and scratches in stripe shape, in the edge light type backlight reflecting film, And to provide a reflective film capable of improving the optical unevenness of the backlight by reducing the thickness of the backlight.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 어느 한 수단을 채용한다.The present invention adopts any one of the following means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1) 기재 필름 및 입자 직경이 25 내지 50㎛인 입자와 입자 직경이 1 내지 15㎛인 입자를 함유하는 입자 함유층을 갖고,(1) A coating film comprising a base film and a particle-containing layer containing particles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25 to 50 탆 and particles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1 to 15 탆,

적어도 한쪽 면이 이하 (i) 내지 (iii)의 요건을 충족시키는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용 반사 필름.Wherein at least one surface satisfies the following requirements (i) to (iii).

(i) 직경이 25 내지 50㎛인 볼록부가 있다. (i) convex portions having a diameter of 25 to 50 mu m.

(ii) 직경이 25 내지 50㎛인 볼록부에 접촉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존재하고, 직경이 25 내지 50㎛인 볼록부의 개수가 0.64㎟당 10 내지 100개이다. (ii) the number of convex portions having diameters of 25 to 50 mu m is 10 to 100 per 0.64 mm < 2 > independently of the convex portions having diameters of 25 to 50 mu m.

(iii) 직경이 25 내지 50㎛인 볼록부가 연속하여 접촉하는 볼록부의 집합체에 포함되는 볼록부의 개수가 0.64㎟당 10개 이하이다. (iii) The number of convex portions included in the aggregate of the convex portions continuously contacting the convex portions having a diameter of 25 to 50 占 퐉 is 10 or less per 0.64 mm2.

(2) (i) 내지 (iii)의 요건을 충족시키는 면이 입자 함유층의 면인 (1)의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용 반사 필름.(2) A reflective film for edge light type backlight according to (1), wherein the face satisfying the requirements of (i) to (iii) is a face of the particle containing layer.

(3) (i) 내지 (iii)의 요건을 충족시키는 면의 SRz가 15 내지 60㎛인 (1) 또는 (2)에 기재된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용 반사 필름.(3) The edge light type reflective film for backlight according to (1) or (2), wherein the SRz of the surface satisfying the requirements (i) to (iii) is 15 to 60 탆.

(4)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용 반사 필름을 사용한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4) An edge light type backlight using the edge light type back light reflecting film according to any one of (1) to (3).

본 발명에 따르면, 반사 필름의 적어도 한쪽 면에 특정한 특징을 갖는 볼록부를 갖는 경우에, 반사 필름 표면의 패인 형상의 흠집이나 줄무늬 형상의 흠집 등에 의한 반사 필름의 결점의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case of having a convex portion having a specific characteristic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reflecting film,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roblem of defects of the reflecting film due to scratches on the surface of the reflecting film or scratches in the stripe pattern.

이에 의해, 본 발명에서 얻어진 반사 필름은 LED 광원을 구비한 에지 라이트 방식의 백라이트 및 조명용 면 광원에 사용했을 때 광학 불균일을 보다 적게 할 수 있다.Thus, the reflection film obta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optical unevenness when used in an edge light type backlight including an LED light source and a surface light source for illumination.

도 1은 LED를 광원으로 한 대형의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의 일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모식도이다.
도 2는 볼록부를 갖는 도광판과 반사 필름과 배면 하우징의 관계 모식도이다.
도 3은 오목부를 갖는 도광판과 반사 필름과 배면 하우징의 관계 모식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large edge light type backlight using an LED as a light source.
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ght guide plate having convex portions, the reflective film and the back housing.
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ght guide plate having the concave portion, the reflective film, and the rear housing.

본 발명은 상기 과제, 즉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에 있어서, 반사 필름 표면의 패인 형상의 흠집이나 줄무늬 형상의 흠집이라는, 반사 필름의 품질 결점을 개선할 수 있는 반사 필름에 대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반사 필름의 적어도 편면에 특정한 볼록부를 갖는 경우에, 상기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구명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at is, a reflective film capable of improving defects in the quality of a reflective film, such as scratches and stripe- In the case of having at least one convex portion on at least one side thereof

이하, 본 발명에 관한 반사 필름에 대하여 상세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반사 필름은 기재 필름 및 입자 함유층을 갖는다.Hereinafter, the reflectiv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e reflectiv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ase film and a particle containing layer.

<반사 필름의 기본 구성><Basic Structure of Reflective Film>

<<기재 필름>><< Base film >>

기재 필름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은이나 알루미늄의 증착 필름, 은박이나 알루미늄박의 라미네이트 필름, 백색 필름, 다층 적층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기재 필름은, 액정 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나 조명 용도의 반사 필름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가시광선의 반사율이 높은 편이 좋다. 이로 인해, 내부에 기포 및/또는 비상용의 입자를 함유하는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필름으로서는 열 가소성 수지 필름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들 열 가소성 수지 필름으로서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다공질의 미연신 혹은 2축 연신된 폴리프로필렌 필름이나, 다공질의 미연신 혹은 연신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등의, 폴리올레핀계나 폴리에스테르계의 필름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특히 성형성이나 생산성의 관점에서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The base film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evaporated films of silver and aluminum, laminate films of silver foil and aluminum foil, white films, and multilayer laminated films. When the base film is used as a backlight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or a reflective film for lighting purposes, the reflectance of the visible ray should be high. As a result, a film containing bubbles and / or particles for emergency can be used. As the film, a thermoplastic resin film is preferably used. Although these thermoplastic resin films are not limited, a polyolefin-based or polyester-based film such as a porous non-stretched or biaxially-stretched polypropylene film or a porous non-stretched or stretch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is preferably used do. In particular, a polyester film is preferably used from the viewpoints of moldability and productivity.

이들 열 가소성 수지 필름의 제조 방법은 일본 특허 공개 (평)8-262208호 공보의 단락 〔0034〕 내지 〔0057〕, 일본 특허 공개 제2002-90515호 공보의 단락 〔0007〕 내지 〔0018〕, 일본 특허 공개 제2002-138150호 공보의 단락 〔0008〕 내지 〔0034〕 등에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다.Methods for producing these thermoplastic resin films are described in paragraphs [0034] to [0057] of JP-A 8-262208, paragraphs [0007] to [0018] of JP-A No. 2002-90515, 0008] to [0034] of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2-138150.

그 중에서도, 일본 특허 공개 제2002-90515호 공보 중에 개시되어 있는 다공질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 전술한 이유로 본 발명에 있어서의 기재 필름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나아가, 내열성이나 반사율의 관점에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의 혼합물, 또는 이들의 공중합물로부터 얻어진 다공질 백색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 바람직하다. 특히, 열 가소성 수지 필름 자체의 난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무기 입자를 함유하는 다공질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 바람직하다. 무기 입자는, 열 가소성 수지 필름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2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질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30질량% 이상이다.Among them, a porous biaxially stretch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2-90515 can be preferably used as a base film in the present invention for the reasons described above. Further, from the viewpoints of heat resistance and reflectance, a porous white biaxially orient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obtained from a mixture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and polyethylene naphthalate, or a copolymer thereof, is preferable. In particular, a porous biaxially orient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lm containing inorganic particles is preferable for improving the flame retardancy of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itself. The inorganic particles are preferably 2 mass% or more, more preferably 7 mass% or more, further preferably 10 mass% or more, particularly preferably 30 mass% or more, based on the total mass of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본 발명에 관한 기재 필름의 구성은 사용하는 용도나 요구되는 특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면 되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는, 적어도 1층 이상의 구성을 갖는 단층 및 2층 이상의 복합 필름을 예시할 수 있고, 그의 적어도 1층 이상에 기포 및/또는 무기 입자를 함유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stitution of the base fil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uitably selected depending on the intended use and the required properties,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Concretely, a single layer having at least one layer structure and two or more composite films can be exemplified, and it is preferable that at least one layer contains bubbles and / or inorganic particles.

단층 구성의 필름이란, 단일의 층만을 포함하는 필름이다. 이 층에 무기 입자 및/또는 기포를 함유한다.A single layer film is a film containing only a single layer. This layer contains inorganic particles and / or air bubbles.

또한, 2층 구성의 필름이란, A층과 B층을 적층한, A층/B층의 구성을 갖는 필름이며, 이들 A층 및 B층의 적어도 1층 중에 무기 입자 및/또는 기포가 함유된다. 또한, 무기 입자의 함유율은, 기재 필름의 전체 질량, 즉 2층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2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질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30질량% 이상이다.The two-layer structure film is a film having the structure of the A layer / B layer obtained by laminating the A layer and the B layer, and the inorganic particles and / or the bubbles are contained in at least one of the A layer and the B layer . The content of the inorganic particles is preferably 2% by mass or more, more preferably 7% by mass or more, further preferably 10% by mass or more, particularly preferably 2% by mass or more based on the total mass of the base film, Is not less than 30% by mass.

또한, 3층 구성의 필름이란, A층/B층/A층이나 A층/B층/C층의 구조를 갖는 필름이며, 이들 각 층의 적어도 1층 중에 무기 입자 및/또는 기포를 함유한다. 2층 구성의 필름과 마찬가지로, 무기 입자는, 기재 필름의 전체 질량에 대하여 2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질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30질량% 이상이다. 3층 구성의 경우, 생산성의 관점에서 B층이 기포를 함유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The three-layered film is a film having a structure of layer A / layer B / layer A or layer A / layer B / layer C, and at least one layer of each layer contains inorganic particles and / or bubbles . The inorganic particles are preferably not less than 2% by mass, more preferably not less than 7% by mass, further preferably not less than 10% by mass, particularly preferably not less than 30% by mass, based on the total mass of the substrate film, Mass% or more. In the case of a three-layer structure, it is most preferable that the B layer contains bubbles in terms of productivity.

이러한 기재 필름에 함유하는 무기 미립자의 수 평균 입자 직경은 0.3 내지 2.0㎛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number average particle diameter of the inorganic fine particles contained in such a base film is preferably 0.3 to 2.0 占 퐉.

또한, 이러한 무기 입자로서는,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탄산아연, 산화티타늄, 산화아연, 산화세륨, 산화마그네슘, 황산바륨, 황화아연, 인산칼슘, 실리카, 알루미나, 마이카, 운모티타늄, 탈크, 클레이, 카올린, 불화리튬, 불화칼슘 등을 사용할 수 있다.Examples of such inorganic particles include calcium carbonate, magnesium carbonate, zinc carbonate, titanium oxide, zinc oxide, cerium oxide, magnesium oxide, barium sulfate, zinc sulfide, calcium phosphate, silica, alumina, mica, mica titanium, talc, clay, Kaolin, lithium fluoride, calcium fluoride and the like can be used.

다음에 상기 기재 필름 중 3층 구성의 열 가소성 수지 필름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이 이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Next, a method for producing a thermoplastic resin film having a three-layer structure in the base film will be describ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example.

먼저, 비상용 중합체로서 폴리메틸펜텐을, 저비중화제로서 폴리에틸렌글리콜과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의 공중합물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에 넣는다. 그것을 충분히 혼합·건조시켜 270 내지 300℃의 온도로 가열된 압출기 B에 공급한다. BaSO4, CaCO3, TiO2 등의 무기물 및/또는 유기물의 첨가제를 포함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통상의 방법에 의해 압출기 A에 공급한다. 그리고, T 다이 3층 구금 내에서 압출기 B의 중합체가 내층(B층)에, 압출기 A의 중합체가 양쪽의 표층(A층)에 배치되도록 하여, A층/B층/A층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의 3층으로 적층한다.First, a copolymer of polyethylene glycol, polybutylene terephthalate and polytetramethylene glycol as a low specific grafting agent is introduced into polyethylene terephthalate as an incompatible polymer. Sufficiently mixed and dried, and fed to an extruder B heated to a temperature of 270 to 300 ° C. Polyethylene terephthalate containing an additive of an inorganic substance and / or an organic substance such as BaSO 4 , CaCO 3 and TiO 2 is fed to the extruder A by a conventional method. The polymer of the extruder B is arranged in the inner layer (B layer) and the polymer of the extruder A is arranged in both surface layers (A layer) in the T die 3 layer structure, Three layers are stacked.

기재 필름의 바람직한 제조 방법을 이하에 설명한다. 중합체가 용융되어 있는 시트를, 드럼 표면 온도 10 내지 60℃의 드럼 상에서 정전기력으로 밀착 냉각 고화하여, 미연신 필름을 얻는다. 해당 미연신 필름을 80 내지 120℃로 가열한 롤군으로 유도하여, 길이 방향으로 2.0 내지 5.0배 세로 연신하고, 20 내지 50℃의 롤군에서 냉각한다. 계속해서, 이 세로 연신된 필름의 양단을 클립으로 파지하면서 텐터로 유도하여 90 내지 140℃로 가열된 분위기 중에서 길이에 수직인 방향으로 가로 연신한다. 이 경우, 연신 배율은 세로, 가로 각각 2.5 내지 4.5배로 연신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의 면적 배율(세로 연신 배율×가로 연신 배율)은 9 내지 16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면적 배율이 작으면 얻어지는 필름의 기포의 양, 구멍의 양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또한, 면적 배율이 지나치게 크면, 연신 시에 찢어짐을 발생시키기 쉬워져, 제막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하여 2축 연신된 필름에 평면성, 치수 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텐터 내에서 150 내지 230℃의 열 고정을 행하고, 균일하게 서냉하고, 또한 실온까지 냉각한 후, 권취기로 권취하여, 기재 열 가소성 수지 필름을 얻는다. 또한, 기재 필름의 두께는, 예를 들어 30㎛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 이상, 한편 1,000㎛ 이하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 preferred method of producing the base film will be described below. The sheet on which the polymer is melted is tightly cooled and solidified on the drum at a drum surface temperature of 10 to 60 DEG C by electrostatic force to obtain an unstretched film. The unstretched film is led to a roll group heated at 80 to 120 캜, longitudinally stretched 2.0 to 5.0 tim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cooled in a roll group of 20 to 50 캜. Subsequently, both ends of the longitudinally stretched film are guided by a tenter while grasping with a clip, and transversely stretch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ength in an atmosphere heated to 90 to 140 캜.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stretching magnification is 2.5 to 4.5 times in both the longitudinal and transverse directions, but the area ratio (longitudinal stretching magnification x transverse stretching magnification) is preferably 9 to 16 times. That is, if the area magnification is small, the amount of bubbles and the amount of holes in the resulting film may not be sufficient. If the area ratio is too large, tearing tends to occur at the time of stretching, and the film-forming property may be lowered. In order to impart planarity and dimensional stability to the biaxially stretched film in this manner, the film was thermally fixed at 150 to 230 DEG C in a tenter, uniformly and slowly cooled, cooled to room temperature, To obtain a plastic resin film. The thickness of the base film is preferably set to, for example, 30 占 퐉 or more, preferably 100 or more, and 1,000 占 퐉 or less.

<<입자 함유층>><< Particle Containing Layer >>

본 발명의 반사 필름은 입자 함유층을 갖는다. 입자 함유층은 기재 필름에 인접하여 존재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자 함유층의 형성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이하의 방법을 들 수 있다.The reflectiv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article containing layer. It is preferable that the particle-containing layer is present adjacent to the base film. The method for forming the particle-containing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the following methods can be used.

(I) 기재 필름의 적어도 편면에 입자를 함유한 수지층을 접합하거나, 입자를 함유한 도액을 도포하고, 그것을 건조하는 방법.(I) A method of bonding a resin layer containing particles to at least one surface of a base film, or applying a coating liquid containing particles, and drying the coating.

(II) 용융 압출에 의해 기재 필름을 제조할 때, 입자를 함유한 수지 원료를 함께 압출함으로써 입자 함유층을 적층하는 방법.(II) A method for laminating a particle containing layer by extruding a resin material containing particles when the base film is produced by melt extrusion.

입자 함유층의 바람직한 두께는 0.1㎛ 이상, 500㎛ 이하이다. 0.1㎛ 이상이면 반사 필름 표면의 패인 형상의 흠집이나 줄무늬 형상의 흠집 등이 생기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500㎛ 이하이면, 입자 함유층을 기재 필름 표면에 양호하게 형성할 수 있고, 또한 반사 필름이 컬 등을 일으키기 어려워져, 평면성이 양호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The preferable thickness of the particle-containing layer is 0.1 占 퐉 or more and 500 占 퐉 or less. When the thickness is more than 0.1 탆, scratches on the surface of the reflective film and scratches on the stripe shape are less likely to occur. If it is 500 탆 or less, the particle-containing layer can be formed favorably on the surface of the base film, and the reflection film is less likely to cause curling and the like, and planarity is improved.

<<반사 필름의 면에 있는 볼록부>><< Convex on the surface of the reflective film >>

본 발명의 반사 필름은 적어도 한쪽 면에 볼록부가 존재하고 있다. 볼록부는 입자 함유층에 포함되는 입자에 의해 생성 가능하다. 여기서, 복수의 볼록부가 접하고 있는 것을 볼록부의 집합체라고 한다. 볼록부의 수를 세는 데 있어서 그 집합체를 1개의 볼록부로서 세지 않고, 주목하는 집합체에서의 볼록부의 개수로 한다.The reflectiv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vex portion on at least one side. The convex portion can be generated by particles included in the particle containing layer. Here, the contact of a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is referred to as a collection of convex portions. In counting the number of convex portions, the aggregate is not counted as one convex portion, and is taken as the number of convex portions in the noted aggregate.

반사 필름의 어느 한 면이 볼록부를 가짐으로써, 반사 필름 표면의 패임이나 줄무늬 등의 흠집 방지, 나아가 반사 필름이 도광판에 부착하여 발생하는 불균일의 방지의 효과가 발현된다. 볼록부의 존재 및 크기는 반사 필름의 표면을 전자 현미경 관찰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By providing the convex portion on either side of the reflective film, it is possible to prevent scratches such as dents and streaks on the reflective film surface, and to prevent unevenness caused by adhering the reflective film to the light guide plate. The presence and size of the convex portions can be confirmed by observing the surface of the reflective film with an electron microscope.

본 발명의 반사 필름은 이하의 요건을 모두 만족하는 볼록부를 적어도 한쪽 면에 갖는다. 이하, 이 면을 「특징 있는 면」이라고 한다.The reflectiv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t least one convex portion satisfying all the following requirements. Hereinafter, this surface will be referred to as a &quot; characteristic surface &quot;.

(i) 직경이 25 내지 50㎛인 볼록부가 있다.(i) convex portions having a diameter of 25 to 50 mu m.

(ii) 직경이 25 내지 50㎛인 볼록부에 접촉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직경이 25 내지 50㎛인 볼록부의 개수가 0.64㎟당 10 내지 100개이다.(ii) the number of the convex portions having a diameter of 25 to 50 mu m independently from the convex portions having a diameter of 25 to 50 mu m is 10 to 100 per 0.64 square mm.

(iii) 직경이 25 내지 50㎛인 볼록부가 연속하여 접촉하는 볼록부의 집합체에 포함되는 볼록부의 개수가 0.64㎟당 10개 이하이다.(iii) The number of convex portions included in the aggregate of the convex portions continuously contacting the convex portions having a diameter of 25 to 50 占 퐉 is 10 or less per 0.64 mm2.

특징 있는 면은 입자 함유층의 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징 있는 면에는 직경 25 내지 50㎛의 볼록부가 존재하고 있다. 이에 의해, 반사 필름 표면의 패임이나 줄무늬 등의 흠집 방지, 또한 반사 필름이 도광판에 부착하여 발생하는 광의 불균일의 방지 효과가 발현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The characteristic surface is preferably a surface of the particle-containing layer. A convex portion having a diameter of 25 to 50 mu m is present on the characteristic surface. Thus, it is preferable to prevent scratches such as dents and streaks on the surface of the reflective film, and to prevent unevenness of light generated by attaching the reflective film to the light guide plate.

또한, 특징 있는 면에서는, 직경 25 내지 50㎛의 볼록부가, 직경이 25 내지 50㎛인 다른 볼록부에 가능한 한 접촉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존재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직경 25 내지 50㎛의 볼록부가, 직경이 25 내지 50㎛인 다른 볼록부에 접촉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존재하고 있다」란, 후술하는 방법에 의해 전자 현미경으로 관찰했을 때, 1개의 직경 25 내지 50㎛의 볼록부에 직경 25 내지 50㎛의 다른 볼록부가 접촉하고 있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접촉」이란, 후술하는 방법으로 2개의 볼록부를 관찰했을 때, 볼록부의 최외부부터 다른 볼록부의 최외부까지의 가장 짧은 거리가 0.005㎛ 이하인 경우를 의미한다. 즉, 볼록부의 최외부부터 다른 볼록부의 최외부까지의 가장 짧은 거리가 0.005㎛보다 큰 경우, 접촉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한다.Further, in the characteristic aspect,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vex portions having a diameter of 25 to 50 mu m exist independently of other convex portions having a diameter of 25 to 50 mu m without contacting as much as possible. Here, the &quot; convex portions having diameters of 25 to 50 mu m exist independently of other convex portions having diameters of 25 to 50 mu m independently of each other &quot; means that when observed with an electron microscope by a method described later, Means that the convex portion of 50 to 50 mu m in diameter is not in contact with the other convex portion of 25 to 50 mu m in diameter. Refers to a case where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outermost portion of the convex portion to the outermost portion of the other convex portion is 0.005 m or less when two convex portions are observed by a method described later. That is, when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outermost part of the convex part to the outermost part of the other convex part is larger than 0.005 mu m, it is not contacted.

직경이 25 내지 50㎛인 다른 볼록부에 접촉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직경이 25 내지 50㎛인 볼록부의 개수는, 0.64㎟에 있어서 10 내지 100개이다. 하한은 바람직하게는 15개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개 이상이다.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75개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개 이하이다. 직경이 25 내지 50㎛인 다른 볼록부에 접촉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직경이 25 내지 50㎛인 볼록부의 개수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반사 필름 표면의 패임의 방지 효과나 줄무늬 등의 흠집의 방지 효과가 발현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The number of the convex portions which do not contact other convex portions having a diameter of 25 to 50 占 퐉 and existed independently and each having a diameter of 25 to 50 占 퐉 is 10 to 100 in 0.64 mm2. The lower limit is preferably 15 or more, more preferably 20 or more. The upper limit is preferably 75 or less, more preferably 50 or less. When the number of convex portions having a diameter of 25 to 50 占 퐉 that is not in contact with other convex portions having a diameter of 25 to 50 占 퐉 and exists independently is out of the above range, the effect of preventing the reflections of the reflecting film surface and preventing scratches The effect may not be exhibited.

본 발명에 있어서, 직경이 25 내지 50㎛인 볼록부가 연속하여 접촉하는 볼록부의 집합체가 형성되는 경우도 있다. 여기에서 「연속하여 접촉하는 볼록부의 집합체」란, 2개 이상의 볼록부가 접촉하여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접촉」하고 있는지 여부의 판단은 상술한 방법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판단하는 것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lso a case where an aggregate of convex portions in which convex portions having a diameter of 25 to 50 mu m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is formed in some cases. Here, the term &quot; aggregate of continuous convex portions &quot; means that two or more convex portion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Whether or not "contact" is made is judged by the same method as the above-mentioned method.

이러한 직경이 25 내지 50㎛인 볼록부가 연속하여 접촉하는 볼록부의 집합체에 있어서, 볼록부의 집합체에 포함되는 볼록부의 개수는 0.64㎟당 10개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직경이 25 내지 50㎛인 볼록부가 연속하여 접촉하는 개수가 10개 이하이다」란, 복수의 볼록부가 연속하여 접촉함으로써 볼록부의 집합체를 형성하고 있는 경우에, 1개의 집합체를 구성하고 있는 볼록부의 개수가 0.64㎟당 10개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It is preferable that the number of the projections included in the aggregate of the projections is 10 or less per 0.64 mm 2 in the aggregate of the projections having the diameter of 25 to 50 탆 continuously contacting the projections. Here, &quot; the number of the convex portions having a diameter of 25 to 50 占 퐉 is continuously in contact with 10 or less &quot; means that when a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are continuously contacted to form an aggregate of convex portions, Quot; means that the number of convex portions is 10 or less per 0.64 mm &lt; 2 &gt;

볼록부의 집합체에 있어서, 볼록부의 개수가 0.64㎟당 10개 이하이면, 입자 함유층을 형성하는 공정에서 줄무늬 형상의 결점 발생이 억제된다.In the aggregate of the convex portions, if the number of the convex portions is 10 or less per 0.64 mm 2, the occurrence of stripe-shaped defects is suppressed in the step of forming the particle containing layer.

특징 있는 면의 표면 조도 측정에 있어서의 SRz는 15 내지 60㎛인 것이 바람직하다. SRz의 하한으로서는 1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이상이다. SRz의 상한은 6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5㎛ 이하이다. SRz가 지나치게 작으면, 반사 필름 표면의 패임이나 줄무늬 등의 흠집 방지가 저하되는 경우가 있고, 또한 반사 필름이 도광판에 부착하여 발생하는 불균일 방지의 효과가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SRz가 지나치게 크면, 반사 필름 표면의 패임이나 줄무늬 등의 흠집이 두드러지기 쉬워지는 경우가 있다. 볼록부를 형성하는 입자의 입자 직경을 약간 큼직하게 한 경우, SRz가 지나치게 커져, 입자 함유층을 형성하는 공정에서 반사 필름 표면에 줄무늬 형상의 결점이 발생하거나, 입자 함유층 형성 후에 입자가 탈락하여 반사 필름 표면에 패임이 발생하거나 하는 경우가 있다.The SRz in the surface roughness measurement of the characteristic surface is preferably 15 to 60 mu m. The lower limit of SRz is preferably 15 占 퐉 or more, more preferably 20 占 퐉 or more, and further preferably 25 占 퐉 or more. The upper limit of SRz is preferably 60 占 퐉 or less, more preferably 50 占 퐉 or less, and further preferably 45 占 퐉 or less. If SRz is too small, scratches such as dents and streaks on the surface of the reflective film may be lowered, and the effect of preventing unevenness caused by the reflective film adhering to the light guide plate may be deteriorated. If SRz is excessively large, scratches such as dents and streaks on the surface of the reflective film may become more conspicuous. When the grain diameter of the convex portion is made slightly larger, SRz becomes excessively large, and stripe-like defects are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reflecting film in the step of forming the particle containing layer, or particles are dropped after the formation of the particle containing layer, There may be a case where an exfoliation occurs.

특징 있는 면의 볼록부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이하의 방법을 들 수 있다.The method of forming convex portions on the characteristic surfac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xamples include the following methods.

상기 (I)의 방법으로 입자 함유층을 제조하는 경우, 적당한 결합제 수지와 입자를 적당한 용매(유기 용제 등)에 혼합하여, 얻어진 혼합물을 기재 필름에 도포한 후, 건조함으로써, 입자 함유층에 입상의 볼록부를 형성하는 방법.When the particle-containing layer is produced by the method of (I), a suitable binder resin and particles are mixed with a suitable solvent (organic solvent or the like), the resulting mixture is applied to a base film and then dried, / RTI &gt;

상기 (II)의 제법으로 입자 함유층을 제조하는 경우, 용융 압출에 의해 필름을 제조하는 공정에서, 입자 함유층을 형성하는 수지 내에 입자를 사전에 혼련하여 넣고, 기재 필름을 형성하는 수지와 함께 압출하여, 연신 공정에서 입자 함유층에 볼록부를 형성하는 방법이 있다.In the case of producing the particle-containing layer by the production method of the above (II), particles are previously kneaded in the resin for forming the particle-containing layer in the step of producing the film by melt extrusion, and the resultant is extruded together with the resin for forming the base film , And forming convex portions in the particle-containing layer in the drawing step.

이들 중에서도, 경제적으로 고성능을 달성할 수 있는 점에서, 혼합물을 기재 필름에 도포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Of these, a method of applying the mixture to a base film is preferable in terms of achieving economical high performance.

<<입자 함유층의 입자>><< Particles of the particle-containing layer >>

입자의 재질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기계, 무기계,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형상에 대해서는, 구상 입자, 그 밖의 형상의 입자의 어느 것이든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볼록부의 특징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구상 입자가 바람직하다. 유기계 입자로서는, 아크릴계 수지 입자, 실리콘계 수지 입자, 나일론계 수지 입자, 스티렌계 수지 입자, 폴리에틸렌계 수지 입자,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입자, 벤조구아나민계 수지 입자, 우레탄계 수지 입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무기계 입자로서는, 실리카, 수산화알루미늄, 산화알루미늄, 산화아연, 황화바륨, 마그네슘실리케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The material of the particle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organic or inorganic materials can be used. As for the shape, either spherical particles or particles having other shapes can be selected. In order to impart the feature of the convex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herical particles are preferable. Examples of the organic particles include acrylic resin particles, silicone resin particles, nylon resin particles, styrene resin particles, polyethylene resin particles, polypropylene resin particles, benzoguanamine resin particles, urethane resin particles, Can be used. As the inorganic particles, silica, aluminum hydroxide, aluminum oxide, zinc oxide, barium sulfide, magnesium silicate and mixtures thereof can be used.

입자 함유층을 도포에 의해 형성하는 경우, 도포액에 결합제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통상이다. 후술하는 아크릴 단량체나, 아크릴 단량체와 자외선 흡수제와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결합제 수지를 사용한 경우에는, 결합제 수지와 입자의 굴절률차의 관계, 입자 분산성, 도공성 등으로부터, 아크릴계 수지 입자, 폴리에틸렌계 수지 입자, 실리콘계 수지 입자, 나일론계 수지 입자, 우레탄계 수지 입자,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입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광판에의 내찰상성으로부터 폴리에틸렌계 수지 입자, 나일론계 수지 입자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백점 불균일의 관점에서 바람직한 입자는 나일론계 수지 입자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나일론 12 수지 입자 및/또는 나일론 6과 나일론 12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 입자이다. 한편, 입자 함유층을 형성하는 공정에서 발생하는 줄무늬 형상의 결점이 발생하기 어려운 입자로서는, 폴리에틸렌계 수지 입자가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입자 중에서 입자의 재질이 상이한 입자를 2종류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When the particle-containing layer is formed by coating, a binder resin is usually contained in the coating liquid. In the case of using a binder resin containing a copolymer of an acrylic monomer and an ultraviolet absorber described later, the acrylic resin particles, the polyethylene-based resin, and the ultraviolet absorber are preferably selected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efractive index difference of the binder resin and the particles, It is preferable to use resin particles, silicone resin particles, nylon resin particles, urethane resin particles, and polyester resin particles. Further, polyethylene-based resin particles and nylon-based resin particles are more preferable from scratch resistance to the light guide plate. From the viewpoint of white point unevenness, preferred particles are nylon resin particles, and most preferably resin particles comprising nylon 12 resin particles and / or copolymers of nylon 6 and nylon 12. On the other hand, a polyethylene-based resin particle is preferable as a particle which is unlikely to cause stripe-shaped defects generated in the step of forming the particle-containing layer. Two or more kinds of particles having different particle materials among these particles may be used in combination.

본 발명에 있어서는 입자 함유층에, 입자 직경이 25 내지 50㎛인 입자와, 입자 직경이 1 내지 15㎛인 입자를 함유한다. 입자 함유층에 입자 직경이 25 내지 50㎛인 입자를 함유함으로써, 직경 25 내지 50㎛의 볼록부를 적합하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ticle-containing layer contains particles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25 to 50 mu m and particles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1 to 15 mu m. It is preferable to contain the particles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25 to 50 占 퐉 in the particle-containing layer because convex portions having a diameter of 25 to 50 占 퐉 can be suitably formed.

또한, 입자 직경이 1 내지 15㎛인 입자를 함유함으로써, 직경 25 내지 50㎛의 볼록부가, 직경 25 내지 50㎛의 다른 볼록부와 가능한 한 접촉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존재하고, 독립적으로 존재하고 있는 볼록부의 개수를 본 발명의 범위로 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즉, 입자 직경이 1 내지 15㎛인 입자를 함유하는 경우, 직경 25 내지 50㎛의 볼록부는, 입자 직경이 1 내지 15㎛인 입자에 의해 형성된 볼록부와 접촉할 기회가 많아져, 그 결과, 직경 25 내지 50㎛의 다른 볼록부와는 접촉하기 어려워진다. 직경 25 내지 50㎛의 볼록부가 직경 25 내지 50㎛인 다른 볼록부와는 접촉하기 어려워지는 효과를 효과적으로 발현시키기 위해서는, 바람직하게는 입자 직경이 1 내지 5㎛인 입자를 함유하는 것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인 입자를 함유하는 것이다.Also, by containing particles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1 to 15 占 퐉, convex portions of 25 to 50 占 퐉 in diameter exist independently of other convex portions having a diameter of 25 to 50 占 퐉 as much as possible and independently exist, It is easy to make the number of part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when the particles contain particles having a diameter of 1 to 15 탆, the convex portions having a diameter of 25 to 50 탆 have a larger chance of being in contact with convex portions formed of particles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1 to 15 탆, It is difficult to contact other convex portions having a diameter of 25 to 50 mu m. Convex portion having a diameter of 25 to 50 mu m is preferably made to contain particles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1 to 5 mu m, Lt; RTI ID = 0.0 &gt; um. &Lt; / RTI &gt;

여기서, 입자의 입자 직경은, 입자를 관찰하여, 4변에 입자가 내접하여 면적이 가장 작아지는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을 그려, 정사각형의 경우에는 1변의 길이, 직사각형의 경우에는 긴 변의 길이를 채용했다.Here, the particle diameter of the particles is a square or a rectangle in which the particles are in contact with the four sides of the particles and the area is minimized by observing the particles. In the case of a square, the length is one side, and in the case of a rectangle, a length is long.

본 발명의 입자 함유층에 있어서는, 입자 직경이 상이한 입자를 2종류 이상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자 직경이 상이한 입자를 2종류 이상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입자 직경이 25 내지 50㎛인 입자와, 입자 직경이 1 내지 15㎛인 입자를 함유하는 입자 함유층을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In the particle-containing layer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use two or more kinds of particles having different particle diameters in combination. By using two or more kinds of particles having different particle diameters in combina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form particles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25 to 50 μm and particles containing particles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1 to 15 μm.

입자의 첨가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입자 함유층 전체에 대하여 17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9질량% 이상이다. 한편 90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0질량%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6질량% 이하이다. 이들 입자의 첨가량은, 입자를 2종류 이상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는, 2종류 이상의 모든 입자를 합계한 양이다. 첨가량이 지나치게 적은 경우도 지나치게 많은 경우도, 반사 필름 표면의 패임이나 줄무늬 등의 흠집 방지의 효과가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첨가량이 지나치게 많은 경우에는 입자 함유층을 형성하는 공정에서 줄무늬 형상의 결점이 발생되어 버리기 때문에, 반사 필름을 사용하는 전(前)단계에서 이미 문제가 되는 경우가 있다.The addition amount of the particles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at least 17 mass%, more preferably at least 19 mass%, based on the whole particle-containing layer. 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y 90 mass% or less, more preferably 60 mass% or less, and further preferably 56 mass% or less. The amount of these particles to be added is the sum of two or more kinds of all the particles when two or more kinds of particles are used in combination. The effect of preventing scratches such as dents and streaks on the surface of the reflective film may be deteriorated even when the addition amount is too small or too large. In addition, when the added amount is too large, stripe-like defects are generated in the step of forming the particle-containing layer, which may cause a problem in the previous step of using the reflective film.

또한, 입자 직경 25 내지 50㎛ 이상의 입자 첨가량이, 입자 함유층 전체에 대하여 7질량% 이상 55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9질량%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2질량% 이상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40질량% 이하이다. 또한, 입자 직경 1 내지 15㎛의 입자의 첨가량이 입자 함유층 전체에 대하여 10질량% 이상 35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한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24질량%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6질량% 이하이다.The amount of the particles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25 to 50 mu m or more is preferably 7 mass% or more and 55 mass% or less with respect to the whole particle-containing layer. More preferably 9% by mass or more, and further preferably 12% by mass or more. And more preferably 40 mass% or less. The addition amount of the particles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1 to 15 mu m is preferably 10 mass% or more and 35 mass% or less with respect to the whole particle-containing layer. The upper limit is more preferably 24 mass% or less, and still more preferably 16 mass% or less.

입자 직경 25 내지 50㎛ 이상의 입자와 입자 직경이 1 내지 15㎛인 입자의 바람직한 질량 비율(전자의 입자 질량/후자의 입자 질량)은 0.61 이상, 6.49 이하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0.63 이상, 5.5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63 이상, 2.5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75 이상, 2.5 이하이다.The preferable mass ratio (particle weight of the electron / particle weight of the latter) of the particles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25 to 50 mu m or more and the particles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1 to 15 mu m is not less than 0.61 and not more than 6.49. More preferably 0.63 or more and 5.5 or less, still more preferably 0.63 or more and 2.5 or less, further preferably 0.75 or more and 2.5 or less.

<<입자 함유층의 입자 이외의 수지>><< Resin other than particle of particle-containing layer >>

기재 필름의 적어도 편면에, 도액의 도포에 의해 입자 함유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결합제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아크릴 수지, 메타크릴 수지,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폴리염화비닐리덴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아세트산비닐 수지, 불소계 수지, 실리콘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수지는 입자 함유층을 도포 이외의 방법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도 입자 이외의 수지로서 적합하게 사용된다. 또한, 이들 수지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혹은 2종 이상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아크릴 수지 및 메타크릴 수지가 내열성, 입자의 분산성, 도액의 도포성, 얻어지는 반사 필름의 광택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When the particle-containing layer is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base film by coating the coating solution, the binder resi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polyester resin, polyurethane resin, acrylic resin, methacrylic resin, polyamide resin, A polyethylene resin, a polypropylene resin, a polyvinyl chloride resin, a polyvinylidene chloride resin, a polystyrene resin, a polyvinyl acetate resin, a fluorine resin, and a silicone resin. These resins are suitably used as resins other than the particles even when the particle-containing layer is formed by a method other than coating. These resins may be used alone or in combination of two or more. Among them, a polyester resin, a polyurethane resin, an acrylic resin and a methacrylic resin are preferably used from the viewpoints of heat resistance, dispersibility of the particles, coatability of the coating solution and gloss of the resulting reflective film.

입자 함유층의 내광성이라는 관점에서는, 입자 함유층에 자외선 흡수제, 광 안정화제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외선 흡수제, 광 안정제로서는, 무기계와 유기계가 있다. 함유되는 형태에 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러한 입자 함유층을 형성하는 수지와 자외선 흡수제 또는 광 안정화제를 혼합할 수도 있다. 한편, 자외선 흡수제 또는 광 안정화제가 입자 함유층으로부터 블리드 아웃하는 것을 방지하고 싶은 경우에는 입자 함유층에 포함되는 수지의 단량체와 공중합할 수도 있다. 또한 포함되는 수지와 화학 결합시킬 수도 있다.From the viewpoint of the light resistance of the particle-containing layer, it is preferable that the particle-containing layer contains an ultraviolet absorber and a light stabilizer. As the ultraviolet absorber and light stabilizer, there are inorganic and organic systems. The form contained therei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 resin forming such a particle-containing layer may be mixed with an ultraviolet absorber or a light stabilizer.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desired to prevent the ultraviolet absorber or the light stabilizer from bleeding out from the particle-containing layer, it may be copolymerized with the monomer of the resin contained in the particle-containing layer. It may also be chemically bonded to the resin involved.

무기계의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산화티타늄, 산화아연, 산화세륨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고, 그 중에서도 산화아연, 산화티타늄 및 산화세륨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 블리드 아웃하지 않고, 경제성, 내광성, 자외선 흡수성, 광 촉매 활성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자외선 흡수제는, 필요에 따라 수 종류 병용하는 경우도 있다. 그 중에서도 산화아연 혹은 산화티타늄이 경제성, 자외선 흡수성, 광 촉매 활성이라는 관점에서 가장 바람직하다.Titanium oxide, zinc oxide, and cerium oxide are generally known as inorganic ultraviolet absorbers. Among them, at least one specie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zinc oxide, titanium oxide, and cerium oxide is not bleed out, and is excellent in economy, light resistance, , And is preferably used because it has excellent photocatalytic activity. These ultraviolet absorbers may be used in combination of several kinds as necessary. Among them, zinc oxide or titanium oxide is most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s of economical efficiency, ultraviolet ray absorbing property and photocatalytic activity.

또한,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벤조트리아졸, 벤조페논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벤조트리아졸은 구조 내에 질소를 함유하기 때문에 난연제로서의 작용도 갖기 때문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지만, 특별히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자외선 흡수제는 자외선을 흡수할 뿐이며, 자외선 조사에 의해 발생하는 유기 라디칼을 포착할 수 없기 때문에, 이 라디칼에 의해 연쇄적으로 기재의 열 가소성 수지 필름이 열화되는 경우가 있다. 이들 라디칼 등을 포착하기 위하여 광 안정화제가 적합하게 병용되며, 이러한 광 안정화제로서는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HALS)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Examples of the organic ultraviolet absorber include benzotriazole and benzophenone. Particularly, benzotriazole can be suitably used because it contains nitrogen in the structure and thus has a function as a flame retardant,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se ultraviolet absorbers only absorb ultraviolet rays and can not capture organic radicals generated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rays, so that the thermoplastic resin film of the substrate may be deteriorated in succession by these radicals. For capturing these radicals and the like, a light stabilizer is suitably used in combination. As such a light stabilizer, a hindered amine compound (HALS) is preferably used.

무기계, 유기계를 막론하고 자외선 흡수제가 입자의 형상을 갖는 경우에는, 그것을 입자 직경이 25 내지 50㎛인 입자나 입자 직경이 1 내지 15㎛인 입자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When the ultraviolet absorber has the shape of a particle, whether inorganic or organic, it may be used as particles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25 to 50 mu m or particles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1 to 15 mu m.

여기서, 이러한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 또는 광 안정화제를 고정하기 위하여 공중합할 수 있는 단량체로서는, 아크릴계, 스티렌계 등의 비닐계 단량체가, 범용성이 높아, 경제적으로도 바람직하다. 이러한 단량체 중에서도 스티렌계 비닐 단량체는 방향족환을 갖고 있기 때문에, 황변되기 쉬운 경향이 있다. 내광성이라는 점에서는, 아크릴계 단량체와의 공중합이 가장 바람직하게 사용된다.Here, as a monomer capable of copolymerizing for fixing the organic ultraviolet absorber or the light stabilizer, a vinyl-based monomer such as an acryl-based or styrene-based monomer has high versatility and is also economically preferable. Among these monomers, the styrene-based vinyl monomer tends to be yellowish because it has an aromatic ring. From the viewpoint of light resistance, copolymerization with an acrylic monomer is most preferably used.

또한, 벤조트리아졸에 반응성 비닐 단량체가 치환된 것으로서, 2-(2'-히드록시-5'-메타크릴옥시에틸페닐)-2H-벤조트리아졸(상품명: RUVA-93); 오츠카 가가쿠 (주)제)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힌더드 아민계 화합물과 반응성 비닐 단량체가 결합한 것으로서, 4-메타크릴로일옥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아데카스탭"(등록 상표) LA-82」; (주) 아데카(ADEKA)제)을 사용할 수 있다.Further, 2- (2'-hydroxy-5'-methacryloxyethylphenyl) -2H-benzotriazole (trade name: RUVA-93) in which a reactive vinyl monomer is substituted for benzotriazole; Manufactured by Otsuka Chemical Co., Ltd.) can be used. Also, a combination of a hindered amine compound and a reactive vinyl monomer is 4-methacryloyloxy-2,2,6,6-tetramethylpiperidine ("Adekastab " LA-82 (Available from Adeka Co., Ltd.) can be used.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이러한 유기계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벤조트리아졸, 벤조페논 등의 유기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수지, 혹은 벤조트리아졸계, 벤조페논계의 단량체를 공중합한 수지, 나아가 이들에 힌더드 아민(HALS)계 반응성 단량체 등의 광 안정제를 함유하고/하거나 공중합한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such organic ultraviolet absorbers include resins containing organic ultraviolet absorbers such as benzotriazole and benzophenone, resins obtained by copolymerizing benzotriazole-based or benzophenone-based monomers, hindered amines (HALS) Or a resin containing a photo-stabilizer such as a reactive monomer and / or a copolymer.

이러한 벤조트리아졸계, 벤조페논계 반응성 단량체를 공중합한 수지, 나아가 이들에 힌더드 아민(HALS)계 반응성 단량체를 공중합한 수지 등을 포함하는 유기 자외선 흡수 수지는 자외선 흡수 효과가 높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하고, 그 중 벤조트리아졸은 구조 내에 질소를 함유하기 때문에 난연제로서의 작용도 있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다.Organic ultraviolet absorbing resins including resins obtained by copolymerizing benzotriazole-based and benzophenone-based reactive monomers, and resins obtained by copolymerizing these with hindered amine (HALS) -based reactive monomers are more preferred because of their high ultraviolet absorbing effect, Among them, benzotriazole is particularly preferable because it contains nitrogen in the structure and therefore also acts as a flame retardant.

이들의 제조 방법 등에 대해서는, 일본 특허 공개 제2002-90515호 공보의 단락 〔0019〕 내지 〔0039〕에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또한 아크릴 단량체와 자외선 흡수제의 공중합물을 유효 성분으로서 포함하는 "할스하이브리드"(등록 상표)((주) 닛본 쇼쿠바이제)를 사용할 수 있다.The manufacturing method and the like of these are described in detail in paragraphs [0019] to [0039] of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2-90515. A "Hals hybrid" (registered trademark) (Nippon Shokubai Co., Ltd.) containing a copolymer of an acrylic monomer and an ultraviolet absorber as an active ingredient may be used.

<<도포에 의한 입자 함유층의 형성 방법>>&Lt; Method of forming particle-containing layer by coating &gt;

도포에 의해 기재 필름의 적어도 편면에 입자 함유층을 형성하는 데 있어서는, 임의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제 수지와 입자를 용제에 함유시켜 이루어지는 도액을 그라비아 코팅, 롤 코팅, 스핀 코팅, 리버스 코팅, 리버스 키스 코팅, 바 코팅, 스크린 코팅, 블레이드 코팅, 에어나이프 코팅, 슬릿 다이 코팅, 립 코팅 및 디핑 등의 각종 도포 방법을 사용하여, 기재 필름 제조 시에 도포하거나, 결정 배향 완료 후의 기재 필름 위에 도포하거나 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전자의 도포 방법을 인라인 코팅이라고 하고, 후자의 도포 방법을 오프라인 코팅이라고 한다. 도공 유효 폭에 제한이 적어, 제품 폭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고 싶은 경우에는 리버스 키스 코팅을 가장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Any method may be employed for forming the particle-containing layer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base film by coating. For example, the coating liquid containing the binder resin and the particles in a solvent may be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substrate by gravure coating, roll coating, spin coating, reverse coating, reverse kiss coating, bar coating, screen coating, blade coating, A method of coating the base film with various coating methods such as coating and dipping, or applying the base film to the base film after the crystal orientation is completed, and the like. The former application method is referred to as in-line coating and the latter application method is referred to as &quot; off-line coating &quot;. When there is little restriction on the coating effective width, and when it is desired to flexibly cope with the change in the product width, reverse kiss coating can be most preferably used.

입자 함유층을 구성하는 결합제 수지와 입자를 혼합하기 위하여 사용할 수 있는 용제는, 결합제 수지를 용해하는 성질을 갖는 액체이다. 기재 필름 표면에 도액이 도포된 후에는 용제는 기화된다. 용제로서는, 톨루엔, 크실렌, 스티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등의 케톤류, 메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이소부틸알코올 등의 알코올류, 클로로벤젠, 오르토디클로로벤젠 등의 염화 방향족 탄화수소류, 모노클로로메탄, 모노클로로에탄 등의 염화 지방족 탄화수소류,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등의 에스테르류, 에틸에테르, 1,4-디옥산 등의 에테르류,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등의 글리콜에테르류, 시클로헥산 등의 지환식 탄화수소류, 노르말헥산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류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방향족 탄화수소계, 케톤계, 에스테르계의 유기 용제가 바람직하다.The solvent usable for mixing the binder resin and particles constituting the particle-containing layer is a liquid having a property of dissolving the binder resin. After the coating liquid is applied on the surface of the base film, the solvent is vaporized. Examples of the solvent include aromatic hydrocarbons such as toluene, xylene and styrene, ketones such as acetone, methyl ethyl ketone, methyl isobutyl ketone and cyclohexanone, alcohols such as methanol, isopropyl alcohol and isobutyl alcohol, Chlorinated aliphatic hydrocarbons such as monochloromethane and monochloroethane; esters such as methyl acetate, ethyl acetate and butyl acetate; ethers such as ethyl ether and 1,4-dioxane; Glycol ethers such as eth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alicyclic hydrocarbons such as cyclohexane, and aliphatic hydrocarbons such as normal hexane. Among them, aromatic hydrocarbon-based, ketone-based, and ester-based organic solvents are preferable.

결합제 수지 등을 용해하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은 없지만, 용해성, 범용성, 비용의 면에서, 메틸에틸케톤, 메틸이소부틸케톤, 시클로헥사논, 아세트산메틸,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이 바람직하다. 또한 건조 속도를 조정할 수 있는 점에서 비점이 상이한 2종류 이상의 용제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dissolves a binder resin and the like. However, methyl ethyl ketone, methyl isobutyl ketone, cyclohexanone, methyl acetate, ethyl acetate and butyl acetate are preferable in terms of solubility, versatility and cost. It is also preferable to mix two or more kinds of solvents having different boiling points in that the drying rate can be adjusted.

<<기재 필름 및 입자 함유층에 사용할 수 있는 그 밖의 첨가제>>&Lt; Other additives usable in the base film and the particle-containing layer &gt;

이러한 기재 필름 및 입자 함유층은 각종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어 형광 증백제, 가교제, 내열 안정제, 내산화 안정제, 유기의 활제, 대전 방지제, 핵제, 염료, 안료, 충전제, 분산제, 난연제 및 커플링제 등이 있다.The base film and the particle-containing layer may contain various additives. Such additives include, for example, fluorescent whitening agents, crosslinking agents, heat stabilizers, oxidation stabilizers, organic lubricants, antistatic agents, nucleating agents, dyes, pigments, fillers, dispersants, flame retardants and coupling agents.

<반사 필름의 용도>&Lt; Use of reflective film &

본 발명의 반사 필름은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에 사용되는데, 그 중에서도, 에지 라이트 방식의 액정 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 및 간판이나 자동 판매기 등의 조명용 면 광원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INDUSTRIAL APPLICABILITY The reflectiv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itably used for an edge light type backlight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an edge light type backlight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and a surface light source for a signboard or a vending machine.

그 밖에도 각종 면 광원을 구성하는 반사 필름이나, 반사 특성이 요구되는 태양 전지 모듈의 밀봉 필름이나 백시트로서도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외에, 종이 대체, 즉 카드, 라벨, 시일, 택배 전표, 비디오 프린터용 수상지(受像紙), 잉크젯, 바코드 프린터용 수상지, 포스터, 지도, 무진지(無塵紙), 표시판, 백판, 감열 전사, 오프셋 인쇄, 텔레폰 카드, IC 카드 등의 각종 인쇄 기록에 사용되는 수용(受容) 시트의 기재, 벽지 등의 건축재, 옥내외에서 사용하는 조명 기구나 간접 조명 기구, 자동차·철도·항공기 등에 탑재하는 부재, 회로 재료용 등의 전자 부품으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it can be suitably used as a sealing film or a back sheet of a reflective film constituting various surface light sources or a solar cell module requiring reflection characteristics.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use paper substitutes, such as cards, labels, seals, courier slips, image receiving papers for video printers, inkjets, award sheets for barcode printers, posters, maps, dust- A sheet of a receiving sheet used for various printing records such as offset printing, a telephone card, and an IC card, a building material such as wallpaper, a lighting device or an indirect lighting device used indoors or outdoors, a member mounted on an automobile, a railroad, , A circuit material, and the like.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Edge light type backlight>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의 구성>><< Configuration of edge light type backlight >>

본 발명의 반사 필름은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에 적합하게 사용된다.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는, 예를 들어 하우징에, 본 발명의 반사 필름, 도광판이 이 순서대로 조립되어 이루어지고, 반사 필름은 입자 함유층의 측이 도광판에 대향하도록 조립된다. 또한, 도광판의 에지 부분에는 LED 등의 광원이 설치된다. 또한 도광판의 전방면(반사 필름과는 반대측)에는 확산 필름, 프리즘 필름 등의 광학 필름이 설치될 수도 있다.The reflectiv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uitably used for an edge light type backlight. In the edge light type backlight, for example, the reflective film and the light guide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ssembled in this order in a housing, and the reflective film is assembled such that the side of the particle containing layer faces the light guide plate. Further, a light source such as an LED is provided at an edge portion of the light guide plate. An optical film such as a diffusion film or a prism film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opposite to the reflective film).

이러한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에 본 발명의 반사 필름을 사용함으로써 광학 불균일 발생이 없는 양질의 백라이트가 얻어진다.By using the reflective film of the present invention in such an edge light type backlight, a high quality backlight free from optical nonuniformity can be obtained.

본 발명의 효과를 더 효과적으로 발휘하는, LED를 광원으로 하는 액정 디스플레이용 백라이트의 사이즈(직사각형의 대각선 길이)로서는 76.2㎝(30인치)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88.9㎝(35인치)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1.6㎝(40인치)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27㎝(50인치) 이상이다.The size (rectangular diagonal length) of the backlight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an LED as a light source that exhibits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ore effectively is preferably at least 76.2 cm (30 inches), preferably at least 88.9 cm (35 inches) Is at least 101.6 cm (40 inches), particularly preferably at least 127 inches (50 inches).

또한 도광판은,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에 있어서의 도광판의 표면에 3㎛ 이상의 오목부 혹은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10㎛ 이상의 오목부 또는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light guide plate has a concave portion or convex portion of 3 占 퐉 or more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plate in the edge light type backlight. It is preferable that a concave portion or a convex portion of 10 占 퐉 or more is formed.

또한 도광판의 표면 요철은 이하와 같이 정의된다.The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ight guide plate are defined as follows.

(i) 액정 TV로부터 반사 필름 상부에 배치된 도광판을 취출한다.(i) Take out the light guide plate disposed on the reflective film from the liquid crystal TV.

(ii) 상기 도광판을 한변 5㎝의 사각형으로 커트하여, 임의의 5매를 취출한다.(ii) The light guide plate is cut into a quadrangle of 5 cm on one side, and arbitrary five pieces are taken out.

(iii) 키엔스사제 레이저 현미경 VK-9700을 사용하여, 대물 렌즈의 배율을 20배로 설정하여 관찰을 행하고, 높이 또는 깊이가 1㎛ 이상으로 검출되는 부분을 표면 요철로 한다.(iii) Using a laser microscope VK-9700 manufactured by Keith Co., the magnification of the objective lens is set at 20 magnifications and observation is performed. The surface irregularities are detected at a height or depth of 1 mu m or more.

도광판의 재질로서는 아크릴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와 스티렌계 수지를 혼합한 수지, 스티렌계 수지, 유리 등이 사용된다.As the material of the light guide plate, acrylic resin, resin obtained by mixing acrylic resin and styrene resin, styrene resin, glass and the like are used.

도트 인쇄를 실시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볼록부를 갖는 도광판(2)은 생산 능력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레이저 가공에 의한 오목부를 갖는 도광판이나, 금형이나 롤을 사용하여 성형하거나 함으로써 볼록 형상부나 오목 형상부를 갖는 도광판은 도트 인쇄부에서의 광 흡수 등의 손실이 발생하기 어렵기 때문에, 백라이트 휘도가 높은 점에서 바람직하다.The light guide plate 2 having a convex portion as shown in Fig. 2 in which dot printing is performed is preferable from the viewpoint of production capability. Further, since the light guide plate having concave portions formed by laser machining, or the light guide plate having convex portions or concave portions formed by molding using a mold or a roll, is hard to cause loss such as light absorption in the dot printing portion, It is preferable in terms of high points.

실시예Example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측정법 및 평가법을 이하에 나타낸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First, the measurement method and the evaluation method are shown below.

(1) 입자 함유층에 포함되는 입자의 재질(1) Material of the particles contained in the particle-containing layer

실체 현미경(니콘제, SMZ1500)을 사용하여, 종합 배율 20 내지 200배로 적절히 조절하여 입자 함유층의 표면을 관찰하면서 금속제의 지그로 볼록부에 포함되는 입자를 샘플링하여, 측정 대상 시료로 했다.Using a microscope (SMZ 1500, Nikon Corporation), the particles included in the projections were sampled with a metallic jig while observing the surface of the particle-containing layer by appropriately adjusting the overall magnification to 20 to 200 times, thereby obtaining a sample to be measured.

얻어진 시료를 또한 절단 처리하고, 입자의 중심 부근을 현미 FT-IR법으로 측정을 행했다.The obtained sample was further cut, and the vicinity of the center of the particle was measured by a brown rice FT-IR method.

상기한 입자 샘플링, 절단 처리, 현미 FT-IR법에 의한 측정은 25㎛ 이상의 볼록부에 대하여 2개소, 15㎛ 이하의 볼록부에 대하여 2개소에서 행했다.The particle sampling, the cutting treatment, and the measurement by the brown rice FT-IR method were carried out at two points for convex portions of 25 μm or more and at two points for convex portions of 15 μm or less.

이어서, 상기에 의해 얻어진 현미 FT-IR의 적외광 흡수 파형으로부터 볼록부에 포함되는 입자의 재질을 결정했다.Next, the material of the particles included in the convex portions was determined from the infrared light absorption waveform of the brown rice FT-IR obtained above.

현미 FT-IR법으로 사용한 장치명이나 측정 조건 등을 이하에 나타낸다.The apparatus names and measurement conditions used in the brown rice FT-IR method are shown below.

장치: 현미 적외 분광 분석 장치 IR㎲(스펙트라테크(SPECTRA-TECH)사제)Apparatus: R &amp; D infrared spectroscopic analyzer IRs (manufactured by SPECTRA-TECH)

조건:Condition:

광원 탄화규소 막대 발열체(글로바) Light source Silicon carbide rod heating element (Globa)

검출기 Narrow·MCT(HgCdTe) Detector Narrow · MCT (HgCdTe)

검출 파수 범위 4000 내지 650㎝-1 Detection wave range 4000 to 650 cm -1

퍼지 질소 가스 Fudge Nitrogen gas

측정 모드 투과법 Measurement mode Transmission

분해능 8㎝-1 Resolution 8 cm -1

적산 횟수 512회 Accumulated count 512 times

데이터 보정: 베이스 라인 보정.Data correction: baseline correction.

(2) 입자 함유층의 질량(2) Mass of the particle-containing layer

반사 필름을 세로 100㎜×가로 100㎜로 잘라내어 질량을 측정했다. 이 값을 질량 1로 했다. 다음에 입자 함유층이 상면이 되도록 하여 반사 필름을 질량 저울(야마토(Yamato)제, 제품 번호 SD-12, 사용 범위 500g 내지 12㎏, 눈금 간격 50g, 형식 승인 제D9812호, 정밀도 등급 0급)의 접시 위에 놓았다. 이때, 반사 필름의 네 코너의 이면에 양면 테이프를 붙여 두어 질량 저울의 접시와 반사 필름을 고정했다. 이어서, 메틸에틸케톤을 배어들게 한 부직포("하이제 거즈", NT-4, 25㎝×25㎝, 4절, 발매원: 카와모토 산교 가부시키가이샤)를 2절로 하고, 저면이 10㎜×10㎜인 사각 기둥 형상인 금속 막대의 편측의 저면을 덮도록 하여 금속 막대에 고무 밴드로 동여맸다. 이어서, 부직포를 동여맨 금속 막대의 부직포를 부착한 면으로, 저울의 눈금이 1.5 내지 2.5㎏가 되는 하중으로, 질량 저울의 접시 위에 고정한 반사 필름의 입자 함유층을 문질렀다. 문지를 때는 세로 100㎜×가로 10㎜의 범위씩으로 나누어 10왕복씩 문지르되, 이 조작을 옆으로 비켜가면서 10회 반복함으로써 세로 100㎜×가로 100㎜의 입자 함유층의 전체면을 문지른다. 다음에 양면 테이프를 박리하여 반사 필름을 중량 저울의 접시로부터 떼어, 실온에서 방치하여 메틸에틸케톤을 증발시킨 후, 질량을 측정했다. 이 값을 질량 2로 했다. 입자 함유층의 질량은 (질량 1-질량 2)를 계산하여 구했다.The reflective film was cut into 100 mm long × 100 mm wide and mass was measured. This value was defined as mass 1. Next, the reflection film wa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flective film, and the reflection film was placed on a mass scale (Yamato, product number SD-12, use range 500 to 12 kg, scale interval 50 g, type approval D9812, I put it on a plate. At this time, a double-sided tape was attach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four corners of the reflective film to fix the dish and the reflective film of the mass scale. Subsequently, a nonwoven fabric ("Hijegazu ", NT-4, 25 cm x 25 cm, Section 4, issued by Kawamoto Sangyo K.K.) Mm so as to cover the bottom of one side of the metal rod which is in the shape of a quadrangular prism. Next, the particle-containing layer of the reflective film fixed on the dish of the mass balance was rubbed with the surface of the nonwoven fabric with the nonwoven fabric attached to the nonwoven fabric on which the nonwoven fabric was attached, with a load of 1.5 to 2.5 kg. The entire surface of the particle-containing layer having a length of 100 mm and a width of 100 mm is rubbed by repeating this operation ten times while moving the operation side by side. Next, the double-sided tape was peeled off, the reflective film was peeled off from the dish of the weight scale, allowed to stand at room temperature to evaporate the methyl ethyl ketone, and then the mass was measured. This value was defined as mass 2. The mass of the particle-containing layer was obtained by calculating (mass 1 - mass 2).

(3) 입자 함유층 중의 입자량 비율(3) The ratio of the amount of particles in the particle-

입자 함유층을 약 10㎎분 깍아내고 나서, 정확하게 질량을 측정했다. 이 질량을 질량 3으로 한다. 이어서, MEK를 25ml 측량하여, 깍아낸 입자 함유층과 함께, 덮개가 부착된 용량 50ml이며 직경 35㎜의 원기둥 형상의 유리병에 넣었다. 이어서, 유리병에 교반자를 넣어 24시간 교반을 행하고, 그 후 교반자를 취출했다. 이어서, 여과지(밀리포어(MILLIPORE)사제, "옴니포어(OMNIPORE)", CAT NO. JGWP 02500)를 직경 21㎜의 원형으로 커트하여 질량을 측정했다. 이 값을 질량 4로 한다. 측정한 후, 여과지를 깔때기(유한회사 기리야마 세이사쿠쇼제, SB-21, 21φ)에 놓고, 그 깔때기를 감압 여과용의 흡인병에 세트한 후, 깔때기에 유리병의 액체를 넣고, 감압 여과를 행했다. 여과 작업 후의 여과지를 90℃로 세트한 핫 플레이트에 놓고 메틸에틸케톤을 건조시킨 후, 여과 작업 후의 여과지의 질량을 측정했다. 이 값을 질량 5로 한다. 입자 함유층 중의 입자량 비율은 하기 식으로 산출했다.After the particle-containing layer was shrunk by about 10 mg, the mass was accurately measured. This mass is defined as mass 3. Then, 25 ml of MEK was weighed and placed in a cylindrical glass bottle having a capacity of 50 ml and a diameter of 35 mm attached with a lidded particle-containing layer. Subsequently, a stirrer was placed in a glass bottle, stirring was performed for 24 hours, and then the stirrer was taken out. Then, a filter paper ("OMNIPORE" manufactured by MILLIPORE, CAT NO. JGWP 02500) was cut into a circular shape having a diameter of 21 mm and its mass was measured. This value is set as mass 4. After the measurement, the filter paper was placed in a funnel (Kyoriyama Seisakusho Co., Ltd., SB-21, 21φ), the funnel was set in a suction bottle for filtration under reduced pressure, a liquid of a glass bottle was placed in a funnel, . The filter paper after the filtration work was placed on a hot plate set at 90 DEG C, the methyl ethyl ketone was dried, and the mass of the filter paper after filtration was measured. This value is set to mass 5. The particle amount ratio in the particle-containing layer wa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formula.

입자 함유층 중의 입자량 비율=(질량 5-질량 4)÷질량 3.Content ratio of particles in the particle containing layer = (mass 5 - mass 4) / mass 3.

(4) SRz(4) SRz

(주) 고사카 겡큐죠제 미세 형상 측정기 서프 코다 ET4000A를 사용하여 이하의 조건에서 반사 필름 표면의 SRz를 측정했다. 무작위로 선택한 3개소에 대하여 측정하고, 그들의 평균값을 SRz로 했다.Using a Surf Coda ET4000A with a fine shape measuring instrument Kosaku, the SRz of the surface of the reflecting film was measured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Three randomly selected portions were measured, and their average value was defined as SRz.

측정 단자: 다이아몬드제, 선단 R=2㎛Measuring terminal: made of diamond, tip R = 2 탆

측정력: 100μNMeasuring force: 100 μN

측정 길이: 1㎜Measuring length: 1 mm

측정 속도: 0.1㎜/초Measuring speed: 0.1 mm / sec

컷오프의 설정: R+W.Cutoff setting: R + W.

(5) 입자 직경이 25 내지 50㎛인 입자 및 입자 직경이 1 내지 15㎛인 입자의 존재(5) the presence of particles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25 to 50 mu m and particles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1 to 15 mu m

반사 필름을 무작위로 선택한 위치에서 절단하고, 주사형 전자 현미경((주) 히타치 세이사쿠쇼제 S-3400N)으로, 먼저 단면을 배율 1,000배로 관찰했다. 4변에 입자가 내접하여 면적이 가장 작아지는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을 그려, 정사각형의 경우에는 1변의 길이, 직사각형의 경우에는 긴 변의 길이를 채용했다. 이 방법에 의해, 무작위로 선택한 500개의 입자에 대하여 각각의 입자 직경을 측정했다.The reflective film was cut at a randomly selected position and observed at a magnification of 1,000 times with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3400N, Hitachi Seisakusho Co., Ltd.). A square or a rectangle in which the particle is in contact with the four sides and has the smallest area is drawn. In the case of a square, a length of one side is adopted. In the case of a rectangle, a length of a long side is adopted. By this method, the particle diameter of each of 500 randomly selected particles was measured.

또한, 1화상 중에 입자가 500개 관찰되지 않는 경우에는, 또한 반사 시트의 상이한 위치에서, 절단된 별도의 단면의 화상을 촬영하여, 합계 500개의 입자의 입자 직경을 측정했다. 500개의 입자 중 각각의 입자 직경의 범위의 입자가 1개 이상이면, 각각의 입자 직경의 범위의 입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했다. 또한, 표 2에 있어서 입자가 존재하는 경우, 「있음」이라고 기재하고, 존재하지 않는 경우, 「없음」이라고 기재했다.Further, when 500 particles were not observed in one image, an image of a cut cross section was taken at a different position of the reflection sheet, and the particle diameter of 500 particles in total was measured. If there are one or more particles in the range of the respective particle diameters among 500 particles, it is determined that particles in the range of the respective particle diameters are present. In Table 2, "presence" is described when particles are present, and "not present" is described when they are not present.

(6) 직경이 25 내지 50㎛인 볼록부에 접촉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직경이 25 내지 50㎛인 볼록부의 개수(6) The number of convex portions having diameters of 25 to 50 占 퐉 which do not contact convex portions having diameters of 25 to 50 占 퐉 and exist independently

반사 필름의 표면을 주사형 전자 현미경((주) 히타치 세이사쿠쇼제 S-3400N)으로, 먼저 배율 100배, 가속 전압 7.50kV로, 볼록부의 윤곽을 관찰했다. 또한, 배율 100배에 있어서의 화상의 시야는 1.27㎜×0.885㎜이었다. 이 화상의 중심 0.8㎜×0.8㎜를 선택하여, 직경이 25 내지 50㎛인 볼록부에 접촉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직경이 25 내지 50㎛인 볼록부의 개수를 셌다. 여기서, 볼록부의 직경은 SEM 화상의 볼록부의 윤곽으로부터, 4변에 윤곽이 내접하여 면적이 가장 작아지는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을 그려, 정사각형의 경우에는 1변의 길이, 직사각형의 경우에는 긴 변의 길이를, 볼록부의 직경으로 채용했다.The outline of the convex portion was observed with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3400N, Hitachi, Ltd.) at a magnification of 100 times and an acceleration voltage of 7.50 kV. The visual field of the image at a magnification of 100 times was 1.27 mm x 0.885 mm. The center of this image was selected to be 0.8 mm x 0.8 mm and the number of convex portions having diameters of 25 to 50 mu m independently existing without touching convex portions with diameters of 25 to 50 mu m was added. Here, the diameter of the convex portion is a square or a rectangle in which the outline is in contact with the outline of the convex portion of the SEM image so that the area becomes the smallest, and the length of one side in the case of a square or the long side in the case of a rectangle, Employed as the diameter of the negative.

또한, 볼록부가 「접촉」하고 있는지 여부의 판단은 다음 조작에 의해 판단했다. 배율 100배로 촬영한 화상에 있어서의 50㎛가 10㎜가 되도록 화상을 종이에 프린트 아웃했다. 프린트 아웃한 종이를 만능 투영기(형식 번호: V-16A, (주) 니콘제, 관찰 한계 0.001㎜)로 관찰했다. 이때, 만능 투영기에서의 0.001㎜는 100배로 촬영한 화상에서는 0.005㎛에 상당한다. 화상에 포함되는 전체 볼록부에 대하여 입자의 최외부부터 다른 볼록부의 최외부까지의 가장 짧은 거리를 측정하여, 프린트 아웃한 종위 위에서 0.001㎜ 이하(즉, 100배로 촬영한 화상에서는 0.005㎛ 이하에 상당)인 경우, 볼록부가 「접촉」하고 있다고 판단했다. 또한, 볼록부의 최외부부터 다른 볼록부의 최외부까지의 가장 짧은 거리를 측정하여, 프린트 아웃한 종위 위에서 0.001㎜보다 큰(즉, 100배로 촬영한 화상에서는 0.005㎛보다 큰 거리에 상당) 경우, 볼록부가 「접촉」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했다.Whether or not the convex portion is &quot; contacted &quot; was judged by the following operation. The image was printed out on paper so that 50 mu m in the image photographed at a magnification of 100 times was 10 mm. The printed out paper was observed with a universal projector (model number: V-16A, Nikon Corporation, observation limit: 0.001 mm). At this time, 0.001 mm in the universal projector corresponds to 0.005 m in the image photographed at 100 times.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outermost part of the particle to the outermost part of the other convex part with respect to the entire convex part included in the image was measured and found to be 0.001 mm or less (i.e., 0.005 m or less in the image photographed at 100 times) ), It was judged that the convex portion was &quot; contacted &quot;. In addition, when the shortest distance from the outermost portion of the convex portion to the outermost portion of the other convex portion is measured and is larger than 0.001 mm (that is, a distance larger than 0.005 m in an image photographed at 100 times) It was judged that the additional "contact" was not made.

반사 필름의 표면을 상이한 5개소에서 측정을 행하여, 5개소의 평균을, 직경이 25 내지 50㎛인 볼록부에 접촉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직경이 25 내지 50㎛인 볼록부의 개수로 했다. 또한, 평균값은 소수점 이하를 반올림했다.The surface of the reflecting film was measured at five different positions, and the average of the five portions was determined as the number of convex portions having a diameter of 25 to 50 占 퐉 independently existing without contacting the convex portions having a diameter of 25 to 50 占 퐉. Also, the mean value rounded to the nearest decimal point.

여기서, 볼록부의 직경은 4변에 볼록부가 내접하여 면적이 가장 작아지는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을 그려, 정사각형의 경우에는 1변의 길이, 직사각형의 경우에는 긴 변의 길이를 채용했다.Here, the diameter of the convex portion is a square or a rectangle in which convex portions are in contact with the four sides to minimize the area, and a length of one side in the case of a square and a length of a long side in the case of a rectangle are employed.

(7) 직경이 25 내지 50㎛인 볼록부가 연속하여 접촉하는 볼록부의 집합체에 포함되는 볼록부의 개수(7) The number of convex portions included in the aggregate of the convex portions with which the convex portions with the diameter of 25 to 50 占 퐉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continuously

반사 필름의 표면을 주사형 전자 현미경((주) 히타치 세이사쿠쇼제 S-3400N)으로, 먼저 배율 100배로 관찰했다. 또한, 배율 100배에 있어서의 화상의 시야는 1.27㎜×0.885㎜이었다. 이 화상의 중심 0.8㎜×0.8㎜를 선택하여, 직경이 25 내지 50㎛인 볼록부가 연속하여 접촉하고 있는, 볼록부의 집합체에 포함되는 볼록부의 개수를 셌다. 또한, 얻어진 화상 중에 복수의 집합체가 보이는 경우에는, 모든 집합체에 대하여 각각의 집합체에 포함되는 볼록부의 개수를 셌다. 또한, 접촉하고 있는지 여부의 판단은 상술한 방법과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행했다.The surface of the reflective film was observed with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3400N, Hitachi, Ltd.) at a magnification of 100 times. The visual field of the image at a magnification of 100 times was 1.27 mm x 0.885 mm. The center of this image was selected to be 0.8 mm x 0.8 mm, and the number of projections included in the aggregate of convex portions, in which the convex portions with diameters of 25 to 50 mu m continuously contacted, were added. When a plurality of aggregates are visible in the obtained image, the number of convex portions included in each aggregate is added to all the aggregates. Also, the judgment as to whether or not the contact was made was made by the same method as the above-mentioned method.

직경이 25 내지 50㎛인 볼록부가 연속하고 있는 집합체 10개를 대상으로 하여 측정을 행하고, 연속하여 접촉하고 있는 볼록부의 개수의 평균을 구했다. 표 2에서는, 볼록부의 개수의 평균값이 10개 이하인 경우, 「10개 이하」라고 기재하고, 10개를 초과하는 경우, 「10개 초과」라고 기재했다.Measurements were made on ten aggregates in which convex portions with diameters of 25 to 50 mu m were continuous, and the average of the number of convex portions that we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was obtained. In Table 2, &quot; 10 or less &quot; is described when the average value of the number of convex portions is 10 or less, and &quot; exceeds 10 &quot;

(8) 입자의 분산성 평가(8) Evaluation of dispersibility of particles

실시예, 비교예에서 제작한 도액을 25ml 칭량하여, 덮개가 부착된 용량 50ml의 유리병(직경 35㎜의 원기둥 형상)에 넣고, 덮개를 덮은 상태에서 24시간 정치했다. 24시간 경과 후의 유리병에 들어간 도액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이하의 판정을 행했다.25 ml of the coating solution prepared in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as weighed, placed in a glass bottle (cylindrical shape having a diameter of 35 mm) having a capacity of 50 ml with a lid, and left to stand for 24 hours with the lid closed. After 24 hours had elapsed, the coating liquid entering the glass bottle was visually observed and the following judgment was made.

AA급: 액상에 분리가 보이지 않거나, 액상에 분리가 보이지만(입자가 적은 상과 입자가 많은 상으로 분리), 입자가 적은 상의 높이가 액 전체의 높이의 3분의 1 이하이었다.AA grade: No separation was observed in the liquid phase, or separation appeared in the liquid phase (separated into small particles and many particles). However, the height of the phase with less particles was one third or less of the height of the liquid.

A급: 액상에 분리가 보이고(입자가 적은 상과 입자가 많은 상으로 분리), 입자가 적은 상의 높이가 액 전체의 높이의 3분의 1보다 크고 5분의 4 이하이었다.Class A: Separation was observed in the liquid phase (separated into small particles and many particles), and the height of the small particles was larger than one-third of the height of the liquid and less than four-fifths.

B급: 액상에 분리가 보이고(입자가 적은 상과 입자가 많은 상으로 분리), 입자가 적은 상의 높이가 액 전체의 높이의 5분의 4보다도 컸다.Class B: Separation was observed in the liquid phase (separated into small particles and many particles), and the height of the small particles was larger than that of the whole liquid.

(9) 반사 필름의 흠집 발생(9) Scratches of reflective film

세로 50㎜×가로 50㎜이고 두께가 3㎜인 아크릴판의 편면에 마그네트(발매원 가부시키가이샤 미츠야, "BISIX"(등록 상표) 컬러 마그네트, 원형, φ20㎜품, 제품 번호: BX4-13-YL(황색))를 3개 부착했다. 부착 위치는, 각각의 마그네트가 서로 접촉하여, 각각의 마그네트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이 정삼각형이 되며, 또한 해당 정삼각형의 중심이 아크릴판의 중심이 되는 위치로 했다. 부착은 양면 테이프를 사용했다. 마그네트의 자석면이 아크릴판측이고, 마그네트의 수지면이 아크릴판과는 반대인 방향이 되도록 마그네트를 배치했다.BISIX " (registered trademark) color magnet, circle, diameter of 20 mm, product number: BX4-13-YL (trade name, manufactured by Mitsuya Kogyo Co., Ltd.) on one side of an acrylic plate of 50 mm in length x 50 mm in width and 3 mm in thickness (Yellow)) were attached. Each of the magnets was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line connecting the centers of the magnets was a regular triangle, and the center of the triangle was the center of the acrylic plate. Attachment used double-sided tape. The magnets were arranged so that the magnet face of the magnet was on the acrylic plate side and the resin face of the magnet was opposite to the acrylic plate.

다음에 32인치 액정 디스플레이(하이센스 재팬 (주)제, 32인치 액정 TV(형식 번호: LHD32K15JP))를 분해하여, LED를 광원으로 하는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이하 「백라이트 A」라고 함)를 취출했다. 또한, 편면에 볼록형이 형성된 도광판(아크릴판, 4㎜ 두께)을 취출하여, 50㎜×100㎜로 잘라냈다.Subsequently, a 32-inch liquid crystal display (32-inch liquid crystal TV (model number: LHD32K15JP) manufactured by HiSense Japan Co., Ltd.) was disassembled and an edge light type backlight (hereinafter referred to as "backlight A" did. Further, a light guide plate (acrylic plate, 4 mm thick) having a convex shape on one side was taken out and cut into 50 mm x 100 mm.

다음에 도광판의 볼록부가 형성된 면측에, 50㎜×100㎜로 잘라낸 반사 필름을, 입자 함유층이 적층된 면이 접촉하도록 겹쳤다.Next, a reflective film cut out to a size of 50 mm x 100 mm was overlaid on the surface side of the convex portion of the light guide plate so that the surface on which the particle-containing layer was laminated contacted.

계속하여 전술한 마그네트를 부착한 아크릴판을 상기 아크릴판의 2모서리가, 겹쳐 있는 반사 필름 및 도광판의 2모서리와 각각 겹쳐지도록 반사 필름 위로부터 겹치게 하였다. 겹치는 데 있어서 마그네트의 수지면이 반사 필름에 접촉하도록 했다.Subsequently, the acrylic plate having the magnet described above was superimposed on the reflective film so that the two edges of the acrylic plate overlapped with the two edges of the overlapping reflective film and the light guide plate, respectively. So that the resin surface of the magnet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reflective film in the overlapping.

또한 전술한 마그네트를 부착하고 있지 않은 측의 아크릴판 위에 추를 두었다. 추는 직경 34㎜, 두께 13㎜의 100g 추를 4장 겹쳐 두는 경우와, 직경 48㎜, 두께 45㎜의 750g 추를 두는 경우의 2가지로 행했다.Further, a weight was placed on the acrylic plate on the side where the magnet was not attached. The weighing was carried out in two cases: a case in which four 100 g weights having a diameter of 34 mm and a thickness of 13 mm were overlapped and a case in which a weight of 750 g having a diameter of 48 mm and a thickness of 45 mm was placed.

다음에 반사 필름의 아크릴판을 겹치고 있지 않은 쪽의 단부를 손으로 들고, 아크릴판과는 반대 방향에서, 반사 필름의 두께 방향의 수직 방향으로, 3초에 걸쳐 50㎜ 인장했다. 이때, 반사 필름과 마그네트를 부착한 아크릴판은 하나가 되어 도광판 위를 움직였다.Next, the end portion of the reflection film on which the acrylic plate was not overlapped was held by hand, and the film was stretched 50 mm over 3 seconds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acrylic plate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reflection film. At this time, the reflective film and the acrylic plate with the magnet moved together and moved on the light guide plate.

상기 조작을 행한 후 반사 필름을 취출하여, 삼파장 형광등(도시바 라이테크 (주)제, FHF32EX-N-H, Hf "메로라인"(일본어 문자에 의한 등록 상표) 형광 램프, 삼파장형 주백색)을 점등한 방의 탁상에 반사 필름을 두었다. 이때 반사 필름은 형광등의 바로 아래에 두고, 입자 함유층이 책상과 반대면이 되도록 하여, 반사 필름의 흠집을 관찰했다. 반사 필름면과, 반사 필름의 아크릴판을 얹은 부분으로부터 눈을 향하여 그은 직선이 이루는 각도가 45도가 되도록 하여 관찰했다. 이하의 기준에 따라, A, B, C, D급으로 판단했다.After carrying out the above operation, the reflecting film was taken out, and a three-wavelength fluorescent lamp (FHF32EX-NH manufactured by Toshiba Latec Co., Ltd., Hf "Mero line" (registered trademark of Japanese character) fluorescent lamp, tri- I put a reflective film on my desk. At this time, the reflection film was placed just below the fluorescent lamp so that the particle-containing layer was opposed to the desk, and scratches of the reflection film were observed. The observation was made so that the angle formed by the straight line of the reflection film face and the portion of the reflection film on which the acrylic plate was placed was 45 degrees. B, C and D grades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A급: 400g 추에서도 750g 추에서도 흠집이 보이지 않음A grade: No scratches even at 400g weight and 750g weight

B급: 400g 추에서는 흠집이 보이지 않지만 750g 추에서는 흠집이 흐리게 보임B grade: 400g weight does not show scratches but 750g weight shows faint scratches

C급: 400g 추에서 흠집이 흐리게 보이고, 750g 추에서 흠집이 분명히 보임Class C: 400g The fog looks blurred in the weight, and the flaw appears clearly in the 750g weight

D급: 400g 추에서도 750g 추에서도 흠집이 분명히 보임.D grade: 400g weight and even 750g weight, clearly visible scratches.

(10) 도광판 절삭의 평가(10) Evaluation of light guide plate cutting

백라이트 A로부터, 편면에 볼록부가 형성된 도광판(아크릴판, 4㎜ 두께)을 취출하여, 얻어진 도광판의 볼록부가 형성된 면측에, 반사 필름의 입자 함유층이 적층된 면이 접촉되도록 적층한 후, 50gf/㎠, 175gf/㎠의 하중을 가하여 적층하고, 반사 필름 시료를 1m/min의 선속도로, 반사 필름의 두께 방향의 수직 방향으로 인장했다. 그 후, 도광판의 볼록부에 발생한 흠집의 정도를, 키엔스사제 레이저 현미경 VK-9710을 사용하여, 대물 렌즈의 배율을 20배, 표시 배율 100%로 표시하여 관찰했다. 그리고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했다.A light guide plate (acrylic plate, 4 mm thick) having a convex portion formed on one side thereof was taken out from the backlight A, and laminated so that the surface on which the convex portion of the obtained light guide plate was laminated wa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n which the particle- And a load of 175 gf / cm &lt; 2 &gt;, and the reflective film sample was stretched at a linear velocity of 1 m / min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reflective film. Thereafter, the degree of scratches on the convex portion of the light guide plate was observed with a magnification of the objective lens being 20 times and a display magnification of 100%, using a laser microscope VK-9710 manufactured by Keith Co. And evalu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A급: 어느 하중 하에 있어서도 흠집이 보이지 않음.Class A: Scratches are not visible under any load.

B급: 175gf/㎠의 하중 하에서는 흠집이 보이지만, 50gf/㎠의 하중 하에 있어서는 흠집이 보이지 않음.Class B: Scratches are observed under a load of 175 gf / cm 2, but no scratches are observed under a load of 50 gf / cm 2.

(실시예 1)(Example 1)

"할스하이브리드"(등록 상표) UV-G720T(아크릴계 공중합체, 농도 40질량%의 용액, (주) 닛본 쇼쿠바이제) 180g, 아세트산에틸 236.4g, 직경이 25 내지 50㎛의 범위 내에 있는 입자를 포함하는 나일론 수지 입자(도레이 (주)제 SP20, 부피 평균 입자 직경 30㎛) 12g, 직경이 1 내지 15㎛의 범위 내에 있는 입자를 포함하는 아크릴 수지 입자(세키스이 플라스틱 (주)제 "테크폴리머(TECHPOLYMER)"(등록 상표) MBX5, 부피 평균 입자 직경 5㎛) 16g을 혼합, 교반하여 도액을 준비했다. 300㎛ 두께의 다공질의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백색 필름(기재 필름, 도레이 가부시키가이샤제 "루미러"(등록 상표) E6SQ)의 편면에, 메타바 #20을 사용하여 이 도액을 도포하여, 120℃, 1분간의 건조 조건에서 도포층을 형성했다.180 g of "HALS Hybrid" UV-G720T (acrylic copolymer, solution with a concentration of 40 mass%, Nippon Shokubai Co., Ltd.), 236.4 g of ethyl acetate, 12 g of nylon resin particles (SP20 made by TORAY CO., LTD., Volume average particle diameter: 30 탆) containing silica particles, 12 g of acrylic resin particles having particle diameters in the range of 1 to 15 탆 (manufactured by Sekisui Plastics Co., (Trade name: " TECHPOLYMER "(registered trademark) MBX5, volume average particle diameter: 5 mu m) were mixed and stirred to prepare a coating solution. On one side of a white film (base film, "Lumirror (registered trademark) E6SQ" manufactured by TORAY K.K.) containing biaxially orient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with porous biaxial thickness of 300 μm, And a coating layer was formed under drying conditions of 120 占 폚 for 1 minute.

(실시예 2)(Example 2)

"할스하이브리드"(등록 상표) UV-G720T(아크릴계 공중합체, 농도 40질량%의 용액, (주) 닛본 쇼쿠바이제) 180g, 아세트산에틸 236.4g, 직경이 25 내지 50㎛의 범위 내에 있는 입자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수지 입자(분자량 200×104, 융점 136℃, 부피 평균 입자 직경 30㎛) 12g, 직경이 1 내지 15㎛의 범위 내에 있는 입자를 포함하는 아크릴 수지 입자(세키스이 플라스틱 (주)제 "테크폴리머"(등록 상표) MBX5, 부피 평균 입자 직경 5㎛) 16g을 교반하여 도액을 준비했다. 300㎛ 두께의 다공질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백색 필름(기재 필름, 도레이 가부시키가이샤제 "루미러"(등록 상표) E6SQ)의 편면에, 메타바 #20을 사용하여 이 도액을 도포하여, 120℃, 1분간의 건조 조건에서 도포층을 형성했다. 폴리에틸렌 수지 입자의 분자량은 IV[η](dl/g)로부터 환산하고, 융점은 ASTM D 3418에 따라 산출했다.180 g of "HALS Hybrid" UV-G720T (acrylic copolymer, solution with a concentration of 40 mass%, Nippon Shokubai Co., Ltd.), 236.4 g of ethyl acetate, , 12 g of polyethylene resin particles (molecular weight: 200 x 10 4 , melting point: 136 캜, volume average particle diameter: 30 탆) containing acrylic resin particles (manufactured by Sekisui Plastics Co., Ltd.) containing particles having a diameter in the range of 1 to 15 탆 16 g of "TECH POLYMER" (trade name) MBX5, volume average particle diameter 5 mu m) were stirred to prepare a coating solution. This coating solution was applied to one side of a white film (base film, "Lumirror (registered trademark) E6SQ" manufactured by TORAY K.K.) containing porous biaxially orient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having a thickness of 300 μm using MetaBa # 20 And a coating layer was formed under drying conditions of 120 占 폚 for 1 minute. Th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ethylene resin particles was calculated from IV [?] (Dl / g), and the melting point was calculated according to ASTM D 3418.

(실시예 3)(Example 3)

"할스하이브리드"(등록 상표) UV-G720T(아크릴계 공중합체, 농도 40질량%의 용액, (주) 닛본 쇼쿠바이제) 180g, 아세트산에틸 236.4g, 실시예 2에서 사용한 폴리에틸렌 수지 입자 12g, 직경이 1 내지 15㎛의 범위 내에 있는 입자를 포함하는 나일론 수지 입자(도레이 (주)제 SP500, 부피 평균 입자 직경 5㎛) 16g을 교반하여 도액을 준비했다. 300㎛ 두께의 다공질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백색 필름(기재 필름, 도레이 가부시키가이샤제 "루미러"(등록 상표) E6SQ)의 편면에, 메타바 #20을 사용하여 이 도액을 도포하여, 120℃, 1분간의 건조 조건에서 도포층을 형성했다.180 g of "HALS Hybrid" UV-G720T (acrylic copolymer, solution with a concentration of 40% by mass, Nippon Shokubai Co., Ltd.), 236.4 g of ethyl acetate, 12 g of the polyethylene resin particles used in Example 2, 16 g of nylon resin particles (SP500, manufactured by Toray Co., Ltd., volume average particle diameter: 5 mu m) containing particles having a particle diameter in the range of 1 to 15 mu m were agitated to prepare a coating solution. This coating solution was applied to one side of a white film (base film, "Lumirror (registered trademark) E6SQ" manufactured by TORAY K.K.) containing porous biaxially orient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with a thickness of 300 μm using METABA # 20 And a coating layer was formed under drying conditions of 120 占 폚 for 1 minute.

(실시예 4)(Example 4)

"할스하이브리드"(등록 상표) UV-G720T(아크릴계 공중합체, 농도 40질량%의 용액, (주) 닛본 쇼쿠바이제) 180g, 아세트산에틸 236.4g, 직경이 25 내지 50㎛의 범위 내에 있는 입자를 포함하는 나일론 수지 입자(도레이 (주)제 SP20, 부피 평균 입자 직경 30㎛) 12g, 직경이 1 내지 15㎛의 범위 내에 있는 입자를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수지 입자(분자량 180×104, 융점 136℃, 부피 평균 입자 직경 5㎛) 16g을 교반하여 도액을 준비했다. 300㎛ 두께의 다공질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백색 필름(기재 필름, 도레이 가부시키가이샤제 "루미러"(등록 상표) E6SQ)의 편면에, 메타바 #20을 사용하여 이 도액을 도포하여, 120℃, 1분간의 건조 조건에서 도포층을 형성했다. 폴리에틸렌 수지 입자의 분자량은 IV [η](dl/g)로부터 환산했다. 또한 융점은 ASTM D 3418에 따라 산출했다.180 g of "HALS Hybrid" UV-G720T (acrylic copolymer, solution with a concentration of 40 mass%, Nippon Shokubai Co., Ltd.), 236.4 g of ethyl acetate, 12 g of nylon resin particles (SP20 made by TORAY CO., LTD., Volume average particle diameter 30 탆) containing particles of polyethylene resin particles having a diameter of 1 to 15 탆 (molecular weight 180 × 10 4 , melting point 136 ° C., Volume average particle diameter 5 mu m) were stirred to prepare a coating solution. This coating solution was applied to one side of a white film (base film, "Lumirror (registered trademark) E6SQ" manufactured by TORAY K.K.) containing porous biaxially orient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with a thickness of 300 μm using METABA # 20 And a coating layer was formed under drying conditions of 120 占 폚 for 1 minute. The molecular weight of the polyethylene resin particles was converted from IV [?] (Dl / g). The melting point was also calculated according to ASTM D 3418.

(실시예 5)(Example 5)

"할스하이브리드"(등록 상표) UV-G720T(아크릴계 공중합체, 농도 40질량%의 용액, (주) 닛본 쇼쿠바이제) 180g, 아세트산에틸 236.4g, 실시예 2에서 사용한 폴리에틸렌 수지 입자 12g, 실시예 4에서 사용한 폴리에틸렌 수지 입자 16g을 교반하여 도액을 준비했다. 300㎛ 두께의 다공질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백색 필름(기재 필름, 도레이 가부시키가이샤제 "루미러"(등록 상표) E6SQ)의 편면에, 메타바 #20을 사용하여 이 도액을 도포하여, 120℃, 1분간의 건조 조건에서 도포층을 형성했다.180 g of "HALS Hybrid" UV-G720T (acrylic copolymer, concentration 40% by mass, Nippon Shokubai Co., Ltd.), 236.4 g of ethyl acetate, 12 g of the polyethylene resin particles used in Example 2, 16 g of the polyethylene resin particles used in Example 4 were stirred to prepare a coating solution. This coating solution was applied to one side of a white film (base film, "Lumirror (registered trademark) E6SQ" manufactured by TORAY K.K.) containing porous biaxially orient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with a thickness of 300 μm using METABA # 20 And a coating layer was formed under drying conditions of 120 占 폚 for 1 minute.

(실시예 6)(Example 6)

"할스하이브리드"(등록 상표) UV-G720T(아크릴계 공중합체, 농도 40질량%의 용액, (주) 닛본 쇼쿠바이제) 180g, 아세트산에틸 236.4g, 직경이 25 내지 50㎛의 범위 내에 있는 입자를 포함하는 나일론 수지 입자(도레이 (주)제 SP20, 부피 평균 입자 직경 30㎛) 12g, 직경이 1 내지 15㎛의 범위 내에 있는 입자를 포함하는 나일론 수지 입자(도레이 (주)제 SP500, 부피 평균 입자 직경 5㎛) 16g을 교반하여 도액을 준비했다. 300㎛ 두께의 다공질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백색 필름(기재 필름, 도레이 가부시키가이샤제 "루미러"(등록 상표) E6SQ)의 편면에, 메타바 #20을 사용하여 이 도액을 도포하여, 120℃, 1분간의 건조 조건에서 도포층을 형성했다.180 g of "HALS Hybrid" UV-G720T (acrylic copolymer, solution with a concentration of 40 mass%, Nippon Shokubai Co., Ltd.), 236.4 g of ethyl acetate, 12 g of nylon resin particles (SP20 made by TORAY CO., LTD., Volume average particle diameter: 30 탆), 12 g of nylon resin particles (SP500, manufactured by Toray Co., Ltd.) containing particles having a diameter in the range of 1 to 15 탆, Diameter: 5 mu m) were stirred to prepare a coating solution. This coating solution was applied to one side of a white film (base film, "Lumirror (registered trademark) E6SQ" manufactured by TORAY K.K.) containing porous biaxially orient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with a thickness of 300 μm using METABA # 20 And a coating layer was formed under drying conditions of 120 占 폚 for 1 minute.

(실시예 7)(Example 7)

"할스하이브리드"(등록 상표) UV-G720T(아크릴계 공중합체, 농도 40질량%의 용액, (주) 닛본 쇼쿠바이제) 110g, 아세트산에틸 278.4g, 직경이 25 내지 50㎛의 범위 내에 있는 입자를 포함하는 나일론 수지 입자(도레이 (주)제 SP20, 부피 평균 입자 직경 30㎛) 40g, 직경이 1 내지 15㎛의 범위 내에 있는 입자를 포함하는 나일론 수지 입자(도레이 (주)제 SP500, 부피 평균 입자 직경 5㎛) 16g을 교반하여 도액을 준비했다. 300㎛ 두께의 다공질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백색 필름(기재 필름, 도레이 가부시키가이샤제 "루미러"(등록 상표) E6SQ)의 편면에, 메타바 #20을 사용하여 이 도액을 도포하여, 120℃, 1분간의 건조 조건에서 도포층을 형성했다.110 g of "HALS Hybrid" UV-G720T (acrylic copolymer, solution having a concentration of 40 mass%, Nippon Shokubai Co., Ltd.), 278.4 g of ethyl acetate, 40 g of nylon resin particles (SP20 made by TORAY CO., LTD., Volume average particle diameter: 30 탆) containing nylon resin particles (SP500, manufactured by Toray Co., Ltd.) containing particles having a diameter in the range of 1 to 15 탆, Diameter: 5 mu m) were stirred to prepare a coating solution. This coating solution was applied to one side of a white film (base film, "Lumirror (registered trademark) E6SQ" manufactured by TORAY K.K.) containing porous biaxially orient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with a thickness of 300 μm using METABA # 20 And a coating layer was formed under drying conditions of 120 占 폚 for 1 minute.

(실시예 8)(Example 8)

"할스하이브리드"(등록 상표) UV-G720T(아크릴계 공중합체, 농도 40질량%의 용액, (주) 닛본 쇼쿠바이제) 110g, 아세트산에틸 278.4g, 직경이 25 내지 50㎛의 범위 내에 있는 입자를 포함하는 나일론 수지 입자(부피 평균 입자 직경 40㎛) 40g, 직경이 1 내지 15㎛의 범위 내에 있는 입자를 포함하는 나일론 수지 입자(도레이 (주)제 SP500, 부피 평균 입자 직경 5㎛) 16g을 교반하여 도액을 준비했다. 300㎛ 두께의 다공질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백색 필름(기재 필름, 도레이 가부시키가이샤제 "루미러"(등록 상표) E6SQ)의 편면에, 메타바 #20을 사용하여 이 도액을 도포하여, 120℃, 1분간의 건조 조건에서 도포층을 형성했다.110 g of "HALS Hybrid" UV-G720T (acrylic copolymer, solution having a concentration of 40 mass%, Nippon Shokubai Co., Ltd.), 278.4 g of ethyl acetate, , 40 g of nylon resin particles (volume average particle diameter: 40 탆), 16 g of nylon resin particles (SP500, manufactured by Toray Co., Ltd., volume average particle diameter: 5 탆) containing particles having a diameter in the range of 1 to 15 탆, I prepared the sake. This coating solution was applied to one side of a white film (base film, "Lumirror (registered trademark) E6SQ" manufactured by TORAY K.K.) containing porous biaxially orient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with a thickness of 300 μm using METABA # 20 And a coating layer was formed under drying conditions of 120 占 폚 for 1 minute.

(실시예 9)(Example 9)

"할스하이브리드"(등록 상표) UV-G720T(아크릴계 공중합체, 농도 40질량%의 용액, (주) 닛본 쇼쿠바이제) 202.5g, 아세트산에틸 222.9g, 직경이 25 내지 50㎛의 범위 내에 있는 입자를 포함하는 나일론 수지 입자(도레이 (주)제 SP20, 부피 평균 입자 직경 30㎛) 9g, 직경이 1 내지 15㎛의 범위 내에 있는 입자를 포함하는 나일론 수지 입자(도레이 (주)제 SP10, 부피 평균 입자 직경 10㎛) 10g을 교반하여 도액을 준비했다. 300㎛ 두께의 다공질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백색 필름(기재 필름, 도레이 가부시키가이샤제 "루미러"(등록 상표) E6SQ)의 편면에, 메타바 #20을 사용하여 이 도액을 도포하여, 120℃, 1분간의 건조 조건에서 도포층을 형성했다.202.5 g of "HALS Hybrid" UV-G720T (acrylic copolymer, solution having a concentration of 40% by mass, Nippon Shokubai Co., Ltd.), 222.9 g of ethyl acetate, particles having a diameter of 25 to 50 μm , 9 g of nylon resin particles (SP20 made by TORAY CO., LTD., Volume average particle diameter 30 탆) containing particles having a diameter in the range of 1 to 15 탆, SP10 made by Toray Co., Particle diameter 10 mu m) was stirred to prepare a coating solution. This coating solution was applied to one side of a white film (base film, "Lumirror (registered trademark) E6SQ" manufactured by TORAY K.K.) containing porous biaxially orient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with a thickness of 300 μm using METABA # 20 And a coating layer was formed under drying conditions of 120 占 폚 for 1 minute.

(실시예 10)(Example 10)

"할스하이브리드"(등록 상표) UV-G720T(아크릴계 공중합체, 농도 40질량%의 용액, (주) 닛본 쇼쿠바이제) 207.5g, 아세트산에틸 219.9g, 직경이 25 내지 50㎛의 범위 내에 있는 입자를 포함하는 나일론 수지 입자(도레이 (주)제 SP20, 부피 평균 입자 직경 30㎛) 7g, 직경이 1 내지 15㎛의 범위 내에 있는 입자를 포함하는 나일론 수지 입자(도레이 (주)제 SP10, 부피 평균 입자 직경 10㎛) 10g을 교반하여 도액을 준비했다. 300㎛ 두께의 다공질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백색 필름(기재 필름, 도레이 가부시키가이샤제 "루미러"(등록 상표) E6SQ)의 편면에, 메타바 #20을 사용하여 이 도액을 도포하여, 120℃, 1분간의 건조 조건에서 도포층을 형성했다.207.5 g of "HALSHYBRID" (registered trademark) UV-G720T (acrylic copolymer, solution having a concentration of 40% by mass, Nippon Shokubai Co., Ltd.), 219.9 g of ethyl acetate, , 7 g of nylon resin particles (SP20 made by TORAY CO., LTD., Volume average particle diameter 30 탆) containing particles having a diameter in the range of 1 to 15 탆, SP10 made by Toray Co., Particle diameter 10 mu m) was stirred to prepare a coating solution. This coating solution was applied to one side of a white film (base film, "Lumirror (registered trademark) E6SQ" manufactured by TORAY K.K.) containing porous biaxially orient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with a thickness of 300 μm using METABA # 20 And a coating layer was formed under drying conditions of 120 占 폚 for 1 minute.

(실시예 11)(Example 11)

"할스하이브리드"(등록 상표) UV-G720T(아크릴계 공중합체, 농도 40질량%의 용액, (주) 닛본 쇼쿠바이제) 107.5g, 아세트산에틸 724.4g, 직경이 25 내지 50㎛의 범위 내에 있는 입자를 포함하는 나일론 수지 입자(부피 평균 입자 직경 50㎛) 22g, 직경이 1 내지 15㎛의 범위 내에 있는 입자를 포함하는 나일론 수지 입자(도레이 (주)제 SP500, 부피 평균 입자 직경 5㎛) 35g을 교반하여 도액을 준비했다. 300㎛ 두께의 다공질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백색 필름(기재 필름, 도레이 가부시키가이샤제 "루미러"(등록 상표) E6SQ)의 편면에, 메타바 #40을 사용하여 이 도액을 도포하여, 120℃, 1분간의 건조 조건에서 도포층을 형성했다.107.5 g of "HALS Hybrid" UV-G720T (acrylic copolymer, solution with a concentration of 40% by mass, Nippon Shokubai Co., Ltd.), 724.4 g of ethyl acetate, , 22 g of nylon resin particles (volume average particle diameter: 50 탆), 35 g of nylon resin particles (SP500, manufactured by Toray Co., Ltd., volume average particle diameter: 5 탆) containing particles having a diameter in the range of 1 to 15 탆 And the solution was prepared by stirring. This coating solution was applied to one surface of a white film (base film, "Lumirror (registered trademark) E6SQ" manufactured by TORAY K.K.) containing porous biaxially orient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having a thickness of 300 μm using Metaba # 40 And a coating layer was formed under drying conditions of 120 占 폚 for 1 minute.

(실시예 12)(Example 12)

"할스하이브리드"(등록 상표) UV-G720T(아크릴계 공중합체, 농도 40질량%의 용액, (주) 닛본 쇼쿠바이제) 207.5g, 아세트산에틸 219.9g, 직경이 25 내지 50㎛의 범위 내에 있는 입자를 포함하는 나일론 수지 입자(부피 평균 입자 직경 25㎛) 7g, 직경이 1 내지 15㎛의 범위 내에 있는 입자를 포함하는 나일론 수지 입자(도레이 (주)제 SP10, 부피 평균 입자 직경 10㎛) 10g을 교반하여 도액을 준비했다. 300㎛ 두께의 다공질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백색 필름(기재 필름, 도레이 가부시키가이샤제 "루미러"(등록 상표) E6SQ)의 편면에, 메타바 #20을 사용하여 이 도액을 도포하여, 120℃, 1분간의 건조 조건에서 도포층을 형성했다.207.5 g of "HALSHYBRID" (registered trademark) UV-G720T (acrylic copolymer, solution having a concentration of 40% by mass, Nippon Shokubai Co., Ltd.), 219.9 g of ethyl acetate, , 7 g of nylon resin particles (volume average particle diameter: 25 탆), 10 g of nylon resin particles (SP10 made by Toray Co., Ltd., volume average particle diameter: 10 탆) containing particles having a diameter in the range of 1 to 15 탆 And the solution was prepared by stirring. This coating solution was applied to one side of a white film (base film, "Lumirror (registered trademark) E6SQ" manufactured by TORAY K.K.) containing porous biaxially orient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with a thickness of 300 μm using METABA # 20 And a coating layer was formed under drying conditions of 120 占 폚 for 1 minute.

(실시예 13)(Example 13)

"할스하이브리드"(등록 상표) UV-G720T(아크릴계 공중합체, 농도 40질량%의 용액, (주) 닛본 쇼쿠바이제) 87.5g, 아세트산에틸 736.4g, 나일론 수지 입자(부피 평균 입자 직경 60㎛) 55g, 나일론 수지 입자(부피 평균 입자 직경 2㎛) 10g을 교반하여 도액을 준비했다. 300㎛ 두께의 다공질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백색 필름(기재 필름, 도레이 가부시키가이샤제 "루미러"(등록 상표) E6SQ)의 편면에, 메타바 #40을 사용하여 이 도액을 도포하여, 120℃, 1분간의 건조 조건에서 도포층을 형성했다.87.5 g of ethyl acrylate, 736.4 g of ethyl acetate, 90 g of nylon resin particles (volume average particle diameter: 60 탆), " HALSHYBRID "(registered trademark) UV-G720T (acrylic copolymer, concentration 40 wt.% Solution, Nippon Shokubai Co., And 10 g of nylon resin particles (volume average particle diameter: 2 m) were stirred to prepare a coating. This coating solution was applied to one surface of a white film (base film, "Lumirror (registered trademark) E6SQ" manufactured by TORAY K.K.) containing porous biaxially orient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having a thickness of 300 μm using Metaba # 40 And a coating layer was formed under drying conditions of 120 占 폚 for 1 minute.

(실시예 14)(Example 14)

"할스하이브리드"(등록 상표) UV-G720T(아크릴계 공중합체, 농도 40질량%의 용액, (주) 닛본 쇼쿠바이제) 37.5g, 아세트산에틸 321.9g, 나일론 수지 입자(부피 평균 입자 직경 20㎛) 55g, 나일론 수지 입자(부피 평균 입자 직경 15㎛) 30g을 교반하여 도액을 준비했다. 300㎛ 두께의 다공질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백색 필름(기재 필름, 도레이 가부시키가이샤제 "루미러"(등록 상표) E6SQ)의 편면에, 메타바 #20을 사용하여 이 도액을 도포하여, 120℃, 1분간의 건조 조건에서 도포층을 형성했다.37.5 g of ethyl acrylate, 321.9 g of ethyl acetate, 20 g of nylon resin particles (volume mean particle diameter: 20 mu m), " HALS Hybrid "UV-G720T (acrylic copolymer, concentration 40% And 30 g of nylon resin particles (volume average particle diameter 15 占 퐉) were stirred to prepare a coating solution. This coating solution was applied to one side of a white film (base film, "Lumirror (registered trademark) E6SQ" manufactured by TORAY K.K.) containing porous biaxially orient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with a thickness of 300 μm using METABA # 20 And a coating layer was formed under drying conditions of 120 占 폚 for 1 minute.

(실시예 15)(Example 15)

"할스하이브리드"(등록 상표) UV-G720T(아크릴계 공중합체, 농도 40질량%의 용액, (주) 닛본 쇼쿠바이제) 102.5g, 아세트산에틸 282.9g, 직경이 25 내지 50㎛의 범위 내에 있는 입자를 포함하는 나일론 수지 입자(부피 평균 입자 직경 25㎛) 35g, 직경이 1 내지 15㎛의 범위 내에 있는 입자를 포함하는 나일론 수지 입자(도레이 (주)제 SP500, 부피 평균 입자 직경 5㎛) 24g을 교반하여 도액을 준비했다. 300㎛ 두께의 다공질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백색 필름(기재 필름, 도레이 가부시키가이샤제 "루미러"(등록 상표) E6SQ)의 편면에, 메타바 #20을 사용하여 이 도액을 도포하여, 120℃, 1분간의 건조 조건에서 도포층을 형성했다.102.5 g of "HALS Hybrid" UV-G720T (acrylic copolymer, solution having a concentration of 40% by mass, Nippon Shokubai Co., Ltd.), 282.9 g of ethyl acetate, particles having a diameter of 25 to 50 μm , 35 g of nylon resin particles (volume average particle diameter: 25 탆), and 24 g of nylon resin particles (SP500, manufactured by Toray Co., Ltd., volume average particle diameter: 5 탆) containing particles having a diameter in the range of 1 to 15 탆 And the solution was prepared by stirring. This coating solution was applied to one side of a white film (base film, "Lumirror (registered trademark) E6SQ" manufactured by TORAY K.K.) containing porous biaxially orient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with a thickness of 300 μm using METABA # 20 And a coating layer was formed under drying conditions of 120 占 폚 for 1 minute.

(비교예 1)(Comparative Example 1)

"할스하이브리드"(등록 상표) UV-G720T(아크릴계 공중합체, 농도 40질량%의 용액, (주) 닛본 쇼쿠바이제) 210g, 아세트산에틸 218.4g, 직경이 25 내지 50㎛의 범위 내에 있는 입자를 포함하는 나일론 수지 입자(도레이 (주)제 SP20, 부피 평균 입자 직경 30㎛) 6g, 직경이 1 내지 15㎛의 범위 내에 있는 입자를 포함하는 나일론 수지 입자(도레이 (주)제 SP500, 부피 평균 입자 직경 5㎛) 10g을 교반하여 도액을 준비했다. 300㎛ 두께의 다공질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백색 필름(기재 필름, 도레이 가부시키가이샤제 "루미러"(등록 상표) E6SQ)의 편면에, 메타바 #20을 사용하여 이 도액을 도포하여, 120℃, 1분간의 건조 조건에서 도포층을 형성했다.210 g of "HALS Hybrid" UV-G720T (acrylic copolymer, solution having a concentration of 40 mass%, Nippon Shokubai Co., Ltd.), 218.4 g of ethyl acetate, , 6 g of nylon resin particles (SP20 made by TORAY CO., LTD., Volume average particle diameter: 30 탆) containing nylon resin particles (SP500 manufactured by TORAY CO., LTD. Containing particles having a diameter in the range of 1 to 15 탆, Diameter: 5 mu m) was stirred to prepare a coating solution. This coating solution was applied to one side of a white film (base film, "Lumirror (registered trademark) E6SQ" manufactured by TORAY K.K.) containing porous biaxially orient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with a thickness of 300 μm using METABA # 20 And a coating layer was formed under drying conditions of 120 占 폚 for 1 minute.

(비교예 2)(Comparative Example 2)

"할스하이브리드"(등록 상표) UV-G720T(아크릴계 공중합체, 농도 40질량%의 용액, (주) 닛본 쇼쿠바이제) 62.5g, 아세트산에틸 306.9g, 나일론 수지 입자(도레이 (주)제 SP20, 부피 평균 입자 직경 30㎛) 65g, 나일론 수지 입자(도레이 (주)제 SP500, 부피 평균 입자 직경 5㎛) 10g을 교반하여 도액을 준비했다. 300㎛ 두께의 다공질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백색 필름(기재 필름, 도레이 가부시키가이샤제 "루미러"(등록 상표) E6SQ)의 편면에, 메타바 #20을 사용하여 이 도액을 도포하여, 120℃, 1분간의 건조 조건에서 도포층을 형성했다.62.5 g of "HALS Hybrid" UV-G720T (acrylic copolymer, concentration 40% by mass, Nippon Shokubai Co., Ltd.), 306.9 g of ethyl acetate, nylon resin particles (SP20, Volume average particle diameter 30 mu m) and 10 g of nylon resin particles (SP500, manufactured by Toray Co., Ltd., volume average particle diameter: 5 mu m) were stirred to prepare a coating solution. This coating solution was applied to one side of a white film (base film, "Lumirror (registered trademark) E6SQ" manufactured by TORAY K.K.) containing porous biaxially orient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with a thickness of 300 μm using METABA # 20 And a coating layer was formed under drying conditions of 120 占 폚 for 1 minute.

(비교예 3)(Comparative Example 3)

"할스하이브리드"(등록 상표) UV-G720T(아크릴계 공중합체, 농도 40질량%의 용액, (주) 닛본 쇼쿠바이제) 175g, 아세트산에틸 239.4g, 아크릴 수지 입자(세키스이 플라스틱 (주)제 SSX-127, 부피 평균 입자 직경 27㎛) 30g을 교반하여 도액을 준비했다. 300㎛ 두께의 다공질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백색 필름(기재 필름, 도레이 가부시키가이샤제 "루미러"(등록 상표) E6SQ)의 편면에, 메타바 #20을 사용하여 이 도액을 도포하여, 120℃, 1분간의 건조 조건에서 도포층을 형성했다.175 g of "HALSHYBRID" (registered trademark) UV-G720T (acrylic copolymer, solution having a concentration of 40% by mass, Nippon Shokubai Co., Ltd.), 239.4 g of ethyl acetate, 20 g of acrylic resin particles (manufactured by Sekisui Plastics Co., -127, volume average particle diameter 27 mu m) was stirred to prepare a coating solution. This coating solution was applied to one side of a white film (base film, "Lumirror (registered trademark) E6SQ" manufactured by TORAY K.K.) containing porous biaxially orient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with a thickness of 300 μm using METABA # 20 And a coating layer was formed under drying conditions of 120 占 폚 for 1 minute.

(비교예 4)(Comparative Example 4)

"할스하이브리드"(등록 상표) UV-G720T(아크릴계 공중합체, 농도 40질량%의 용액, (주) 닛본 쇼쿠바이제) 100g, 아세트산에틸 284.4g, 나일론 수지 입자(도레이 (주)제 SP20, 부피 평균 입자 직경 30㎛) 6g, 나일론 수지 입자(도레이 (주)제 SP500, 부피 평균 입자 직경 5㎛) 54g을 교반하여 도액을 준비했다. 300㎛ 두께의 다공질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백색 필름(기재 필름, 도레이 가부시키가이샤제 "루미러"(등록 상표) E6SQ)의 편면에, 메타바 #20을 사용하여 이 도액을 도포하여, 120℃, 1분간의 건조 조건에서 도포층을 형성했다.100 g of "HALS Hybrid" UV-G720T (acrylic copolymer, concentration 40% by mass, Nippon Shokubai Co., Ltd.), 284.4 g of ethyl acetate, nylon resin particles (SP20 made by Toray Co., Average particle diameter 30 mu m) and 54 g of nylon resin particles (SP500, manufactured by Toray Co., Ltd., volume average particle diameter: 5 mu m) were stirred to prepare a coating solution. This coating solution was applied to one side of a white film (base film, "Lumirror (registered trademark) E6SQ" manufactured by TORAY K.K.) containing porous biaxially orient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having a thickness of 300 μm using MetaBa # 20 And a coating layer was formed under drying conditions of 120 占 폚 for 1 minute.

(비교예 5)(Comparative Example 5)

"할스하이브리드"(등록 상표) UV-G720T(아크릴계 공중합체, 농도 40질량%의 용액, (주) 닛본 쇼쿠바이제) 12.5g, 아세트산에틸 336.9g, 나일론 수지 입자(도레이 (주)제 SP20, 부피 평균 입자 직경 30㎛) 60g, 나일론 수지 입자(도레이 (주)제 SP500, 부피 평균 입자 직경 5㎛) 35g을 교반하여 도액을 준비했다. 300㎛ 두께의 다공질 2축 연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백색 필름(기재 필름, 도레이 가부시키가이샤제 "루미러"(등록 상표) E6SQ)의 편면에, 메타바 #20을 사용하여 이 도액을 도포하여, 120℃, 1분간의 건조 조건에서 도포층을 형성했다.12.5 g of "HALS Hybrid" UV-G720T (acrylic copolymer, concentration 40% by mass, Nippon Shokubai Co., Ltd.), 336.9 g of ethyl acetate, nylon resin particles (SP20, Volume average particle diameter 30 mu m) and 35 g of nylon resin particles (SP500, manufactured by Toray Co., Ltd., volume average particle diameter: 5 mu m) were stirred to prepare a coating solution. This coating solution was applied to one side of a white film (base film, "Lumirror (registered trademark) E6SQ" manufactured by TORAY K.K.) containing porous biaxially oriented polyethylene terephthalate with a thickness of 300 μm using METABA # 20 And a coating layer was formed under drying conditions of 120 占 폚 for 1 minute.

각 실시예 및 각 비교예에서 얻어진 도포층이 형성된 기재 필름을 반사 필름으로서 평가를 행했다. 실시예의 도포층은 입자 함유층에 상당한다. 또한, 실시예에 기재된 부피 평균 입자 직경이 25 내지 50㎛, 1 내지 15㎛의 범위가 아닌 경우에도 입자에 입도 분포가 존재하기 때문에, 입자 함유층에 입자 직경이 25 내지 50㎛인 입자, 입자 직경이 1 내지 15㎛인 입자가 존재한다.The base film on which the coating layer obtained in each of the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as formed was evaluated as a reflective film. The application layer of the embodiment corresponds to a particle containing layer. In addition, even when the volume average particle diameter described in the examples is not in the range of 25 to 50 占 퐉 and 1 to 15 占 퐉, there is a particle size distribution in the particles. Therefore, particles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25 to 50 占 퐉, There are particles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1 to 15 mu m.

표 1에 입자 재질, 입자 함유층 중의 입자의 비율, 입자 함유층의 1㎡당 질량을 기재했다.Table 1 shows the particle material, the ratio of the particles in the particle-containing layer, and the mass per square meter of the particle-containing layer.

표 2에 SRz, 입자 직경이 25 내지 50㎛인 입자의 존재, 입자 직경이 1 내지 15㎛인 입자의 존재, 직경이 25 내지 50㎛인 볼록부에 접촉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존재하고, 직경이 25 내지 50㎛인 볼록부의 개수, 직경이 25 내지 50㎛인 볼록부가 연속하여 접촉하는 볼록부의 집합체에 포함되는 볼록부의 개수가 10개 이하인지 여부의 판정을 기재했다.In Table 2, SRz, the presence of particles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25 to 50 占 퐉, the presence of particles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1 to 15 占 퐉, the existence of independent existence without contact with convex portions having a diameter of 25 to 50 占 퐉, The number of convex portions having a diameter of 50 to 50 占 퐉 and the number of convex portions included in an aggregate of the convex portions with which the convex portions having a diameter of 25 to 50 占 m are continuously contacted is 10 or less.

표 3에 입자의 분산성, 반사 필름의 흠집 발생, 도광판 절삭의 평가, 백점 불균일 평가의 결과를 기재했다.Table 3 shows the dispersibility of the particles, the occurrence of scratches on the reflective film, the evaluation of the light guide plate cutting, and the results of the white point unevenness evaluation.

본 발명의 특징을 갖는 실시예의 반사 필름은 모두 반사 필름 흠집 발생의 평가 결과가 비교예의 반사 필름보다도 양호했다.All of the reflective films of the examples having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ere better than the reflective films of the comparative examples in the evaluation results of occurrence of the reflective film scratches.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3

1: 반사 필름
2: 도광판
3: 발광 다이오드
4: 배면 하우징
5: 도광판의 볼록부
6: 도광판의 오목부
7: 배면 하우징의 오목부
1: Reflective film
2: light guide plate
3: Light emitting diode
4: Rear housing
5: convex portion of the light guide plate
6: concave portion of light guide plate
7: concave portion of back housing

Claims (4)

기재 필름 및 입자 직경이 25 내지 50㎛인 입자와 입자 직경이 1 내지 15㎛인 입자를 함유하는 입자 함유층을 갖고,
적어도 한쪽 면이 이하의 (i) 내지 (iii)의 요건을 충족시키는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용 반사 필름.
(i) 직경이 25 내지 50㎛인 볼록부가 있다.
(ii) 직경이 25 내지 50㎛인 볼록부에 접촉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존재하고, 직경이 25 내지 50㎛인 볼록부의 개수가 0.64㎟당 10 내지 100개이다.
(iii) 직경이 25 내지 50㎛인 볼록부가 연속하여 접촉하는 볼록부의 집합체에 포함되는 볼록부의 개수가 0.64㎟당 10개 이하이다.
A base film and a particle containing layer containing particles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25 to 50 占 퐉 and particles having a particle diameter of 1 to 15 占 퐉,
Wherein at least one surface satisfies the following requirements (i) to (iii).
(i) convex portions having a diameter of 25 to 50 mu m.
(ii) the number of convex portions having diameters of 25 to 50 mu m is 10 to 100 per 0.64 mm &lt; 2 &gt; independently of the convex portions having diameters of 25 to 50 mu m.
(iii) The number of convex portions included in the aggregate of the convex portions continuously contacting the convex portions having a diameter of 25 to 50 占 퐉 is 10 or less per 0.64 mm2.
제1항에 있어서, (i) 내지 (iii)의 요건을 충족시키는 면이 입자 함유층의 면인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용 반사 필름.The edge light type reflective film for backlight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ace satisfying the requirements of (i) to (iii) is a face of the particle containing layer.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i) 내지 (iii)의 요건을 충족시키는 면의 SRz가 15 내지 60㎛인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용 반사 필름.The edge light type reflective film for a backlight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SRz of the surface satisfying the requirements (i) to (iii) is 15 to 60 占 퐉.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용 반사 필름을 사용한 에지 라이트형 백라이트.An edge light type backlight using the edge light type back light reflecting film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KR1020167031546A 2014-04-25 2015-04-22 Edge light-type backlight reflection film and backlight using same KR102350562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91198 2014-04-25
JP2014091198 2014-04-25
PCT/JP2015/062230 WO2015163363A1 (en) 2014-04-25 2015-04-22 Edge light-type backlight reflection film and backlight using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5684A true KR20160145684A (en) 2016-12-20
KR102350562B1 KR102350562B1 (en) 2022-01-14

Family

ID=54332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1546A KR102350562B1 (en) 2014-04-25 2015-04-22 Edge light-type backlight reflection film and backlight using same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835532B1 (en)
KR (1) KR102350562B1 (en)
CN (1) CN106233167B (en)
TW (1) TWI662299B (en)
WO (1) WO2015163363A1 (e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2208A (en) 1995-01-27 1996-10-11 Mitsui Toatsu Chem Inc Light reflecting body and light reflector using the same
JP2004012920A (en) * 2002-06-07 2004-01-15 Mitsui Chemicals Inc Reflector and side light type back light device using the same
JP2011022565A (en) * 2009-06-17 2011-02-03 Keiwa Inc Translucent reflection sheet, and backlight unit employing the same
JP2011075942A (en) * 2009-09-30 2011-04-14 Fujifilm Corp Anti-glare film,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tireflection film,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WO2011105294A1 (en) 2010-02-24 2011-09-01 東レ株式会社 White reflective film for edge-lit backlight and backlight using the aforementioned
KR20120140351A (en) * 2011-06-21 2012-12-31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Reflective sheet for a backlight unit of a liquid crystal display and the preparing process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7413B1 (en) * 1999-07-19 2003-11-28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Reflector,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reflective display device comprising reflector,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EP1231487A4 (en) * 1999-10-21 2003-06-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Reflecting plat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display element, and display device
CN1170174C (en) * 2000-04-17 2004-10-06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Reflection board, reflection type liquid crystal display unit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optical member, display unit, illuminating device, display board, and undulatory member
EP2447602B1 (en) * 2006-06-23 2015-05-27 Toray Industries, Inc. White reflection film
JP2009069742A (en) * 2007-09-18 2009-04-02 Toray Ind Inc Optical sheet
JP5089461B2 (en) * 2008-04-01 2012-12-05 ソニーケミカル&インフォメーションデバイス株式会社 Transflective reflective film, backlight for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for producing transflective reflective film
KR100960556B1 (en) * 2008-05-27 2010-06-03 엘지전자 주식회사 Optical sheet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2208A (en) 1995-01-27 1996-10-11 Mitsui Toatsu Chem Inc Light reflecting body and light reflector using the same
JP2004012920A (en) * 2002-06-07 2004-01-15 Mitsui Chemicals Inc Reflector and side light type back light device using the same
JP2011022565A (en) * 2009-06-17 2011-02-03 Keiwa Inc Translucent reflection sheet, and backlight unit employing the same
JP2011075942A (en) * 2009-09-30 2011-04-14 Fujifilm Corp Anti-glare film,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antireflection film, polarizing plate and image display device
WO2011105294A1 (en) 2010-02-24 2011-09-01 東レ株式会社 White reflective film for edge-lit backlight and backlight using the aforementioned
KR20120140351A (en) * 2011-06-21 2012-12-31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Reflective sheet for a backlight unit of a liquid crystal display and the preparing process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546499A (en) 2015-12-16
JPWO2015163363A1 (en) 2017-04-20
CN106233167A (en) 2016-12-14
TWI662299B (en) 2019-06-11
JP5835532B1 (en) 2015-12-24
WO2015163363A1 (en) 2015-10-29
KR102350562B1 (en) 2022-01-14
CN106233167B (en) 2018-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17475B2 (en) White reflective film for edge light type backlight and backlight using the same
JP2002001858A (en) Laminated film
JP2019101142A (en) Light reflection sheet and optical member
JP5532799B2 (en) White reflective film
KR102590694B1 (en) white reflective film
WO2016017416A1 (en) Polyester film
JP2008286907A (en) Laminate for reflection
JP6211923B2 (en) White reflective film
JP2018072496A (en) White reflective film for edge light type backlight and backlight for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same
KR20160145684A (en) Edge light-type backlight reflection film and backlight using same
JP2019045779A (en) White reflective film for edge-lit backlight unit and backlight unit for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same
JP2017134380A (en) Reflection film for edge light type backlight and backlight for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same
JP2018125117A (en) White reflection film for edge light type backlight, and backlight for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same
JP6880521B2 (en) Light reflective film and edge light type backlight
WO2017131030A1 (en) Reflective film for edge-light-type backlight, and liquid crystal display backlight using same
JP2018072497A (en) White reflective film for edge light type backlight and backlight for liquid crystal display
JP2017027035A (en) White reflection film for edge-light type backlight, and backlight for liquid crystal display
JP2017027034A (en) White reflection film for edge-light type backlight, and backlight for liquid crystal display using the same
JP2014126638A (en) Reflective film for liquid crystal display
JP2018189681A (en) Reflection film for edge light type backlight and backlight for liquid crystal displays using the same
JP2014157288A (en) Image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