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4953A - 자동 포장형 솜사탕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포장형 솜사탕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4953A
KR20160144953A KR1020160168979A KR20160168979A KR20160144953A KR 20160144953 A KR20160144953 A KR 20160144953A KR 1020160168979 A KR1020160168979 A KR 1020160168979A KR 20160168979 A KR20160168979 A KR 20160168979A KR 20160144953 A KR20160144953 A KR 201601449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tton candy
collecting
sugar
rotation
can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8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0899B1 (ko
Inventor
이종규
Original Assignee
이종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규 filed Critical 이종규
Priority to KR1020160168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0899B1/ko
Publication of KR201601449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49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0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0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0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weetmeats or confectionery; Accessories therefor
    • A23G3/10Candy-pulling machines ; Processes or apparatus for making cotton candy or candy flo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5/00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 B65B25/001Packaging other articles presenting special problems of foodstuffs, combined with their conserv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04Packaging singl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08Packaging groups of articles, the articles being individually gripped or guided for transfer to the containers or recepta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포장형 솜사탕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솜사탕(S)을 만드는 솜사탕생성기(3); 및 상기 솜사탕(S)을 용기(C)에 담는 솜사탕포장기(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솜사탕생성기(3)는, 외부 몸체를 이루는 위로 개방된 통모양의 케이스(11); 회전 시 외부에서 투입된 설탕을 녹여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의 통공(27)을 통해 원심 분사시키는 가열회전통(13); 및 상기 포집위치에서 상기 가열회전통(13)으로부터 원심 분사되는 상기 설탕실을 실타래 모양으로 감아 상기 솜사탕(S)을 생성하는 포집체(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따라서 솜사탕의 생성과 포장 및 이들의 연계를 자동화하여 솜사탕 제조공정 전체를 자동화할 수 있게 되므로, 솜사탕의 생산효율성 및 경제성은 물론 제품의 품질까지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자동 포장형 솜사탕 제조장치{Packing Type Automatic Cotton Candy Producing Machine}
본 발명은 솜사탕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솜사탕이 생성되는 과정에서 수작업을 전혀 필요로 하지 않을 뿐 아니라, 자동으로 생성된 솜사탕을 용기로 포장하는 과정까지를 자동화시킨 자동 포장형 솜사탕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솜사탕은 솜 모양으로 만든 사탕을 이르는 것으로, 회전체 안에 투입한 설탕가루를 고온으로 가열하여 용융시킨 뒤, 회전 원심력에 의해 회전체로부터 분사되면서 응고되도록 하여, 길고 가는 실 모양으로 만든 다음, 막대에 감아 솜뭉치 모양으로 만들게 되어 있는 제조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이러한 솜사탕 제조장치의 한 예로 도 1에 도면부호 101로 도시된 솜사탕 제조장치를 들 수 있는데, 이 장치(101)도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고온 가열된 회전체(103)에 설탕을 넣고 녹인 다음, 회전체(103)를 고속으로 회전시켜 포집부(105)로 가늘고 긴 실 모양으로 뽑은 뒤, 막대기(107)를 이용해 솜 모양으로 모아 솜사탕을 만들게 된다.
그런데, 위와 같은 종래의 솜사탕 제조장치(101)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막대기(107)를 손으로 잡고 회전체(103)를 중심으로 돌리거나, 아니면 포집부(105) 상의 위치는 고정한 채 막대기(107)를 손으로 자전시켜, 회전체(103)에서 분사된 실 모양의 설탕을 포집하도록 되어 있는 바, 설탕실의 포집을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존하므로, 생산효율성이 저하되고, 경제성이 떨어지며, 품질이 저하되는 등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솜사탕을 포장하여 제조하는 경우 솜사탕 생성공정과 솜사탕 포장공정이 분리되어 있으므로, 마찬가지로 생산효율성, 경제성, 품질 등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87945호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솜사탕 제조장치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솜사탕을 만드는 솜사탕 제조공정과 제조된 솜사탕을 용기에 담는 솜사탕 포장공정을 일원화하고, 솜사탕 제조공정을 자동화함으로써, 솜사탕 제조에 있어서의 생산효율성 및 경제성을 높이고, 솜사탕의 품질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입자 상태로 투입된 설탕을 녹이는 동시에 실 모양으로 원심 분사하여 설탕실을 만들고, 상기 설탕실을 포집위치에서 실타래 모양으로 모아 솜사탕을 만드는 솜사탕생성기; 및 상기 솜사탕생성기에서 만들어져 포장위치로 옮겨진 상기 솜사탕을 용기에 담는 솜사탕포장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솜사탕생성기는, 외부 몸체를 이루는 위로 개방된 통모양의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중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 시 외부에서 투입된 설탕을 녹여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의 통공을 통해 원심 분사시키는 가열회전통; 및 상기 케이스 내주면과 상기 가열회전통 외주면 사이에 입출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포집위치에서 상기 가열회전통으로부터 원심 분사되는 상기 설탕실을 실타래 모양으로 감아 상기 솜사탕을 생성하는 포집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 포장형 솜사탕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포집체는, 상기 솜사탕 생성 시 상기 포집위치에서 상기 설탕실을 감도록 자전하는 회전포집부; 상기 회전포집부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포집부를 자전시키는 회전구동부; 상기 회전구동부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구동부와 상기 회전포집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 및 상기 승강부를 횡이동 가능하게 지지하여, 상기 승강부를 통해 상기 회전포집부를 상기 포집위치에서 상기 포장위치로 왕복 이동시키는 횡이송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자동 포장형 솜사탕 제조장치에 따르면, 솜사탕 생성 및 솜사탕 포장이 자동화되고, 솜사탕생성기와 솜사탕포장기가 연이어 설치되어 솜사탕생성기에서 생성된 솜사탕이 포집체의 횡이송부를 통해 솜사탕포장기에 이송되므로, 솜사탕 생성공정과 솜사탕 포장공정을 연동시킬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솜사탕 제조공정 전체를 자동화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솜사탕의 생산효율성은 물론, 경제성을 크게 높일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솜사탕의 생성 및 포장을 규격화, 표준화할 수 있으므로, 솜사탕의 품질을 일층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솜사탕 제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 포장형 솜사탕 제조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도 2의 평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솜사탕포장기를 도시한 측면도.
도 5 내지 도 8는 솜사탕 생성 및 포장 공정을 설명하는 도면으로,
도 5는 솜사탕 생성 중 용기가 장전위치로 투입되는 순간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솜사탕 생성 중 용기가 장전밀개에 의해 포장위치로 이송되는 순간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파지부에 의해 고정된 포장위치의 용기에 솜사탕을 담는 순간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솜사탕을 담은 용기 위에 마감걸개를 덮어 회전포집부를 빼내는 순간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포장형 솜사탕 제조장치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솜사탕 제조장치는 포장에 담은 솜사탕의 제조를 자동화한 장치로서, 도 2 및 도 3에 도면부호 1로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솜사탕생성기(3)와 솜사탕포장기(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먼저 상기 솜사탕생성기(3)는 본 발명의 제조장치(1) 중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직접적으로 솜사탕(S)을 만드는 부분으로서, 입자 상태의 설탕을 투입하고, 투입된 설탕을 녹이는 동시에, 고속으로 회전시켜 원심력에 의해 분사되도록 하여 실 모양의 소위 설탕실을 만든 다음, 포집위치에서 실타래 모양으로 모아 도 4에 도시된 형태로 솜사탕(S)을 만든다.
이를 위해, 솜사탕생성기(3)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 가열회전통(13), 및 포집체(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케이스(11)는 솜사탕생성기(3)의 외부 몸체를 이루는 부분으로, 도 2 및 도 3은 물론,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위로 개방된 원통 모양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케이스(11)는 중심 부분에 위치하는 가열회전통(13)에서 원심력에 의해 분사되면서 온도하강에 따라 실 모양으로 응고되는 설탕실을 수용하는 울타리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가열회전통(13)은 외부에서 투입되는 설탕가루를 녹이는 동시에, 용융 상태로 원심 분사하여 설탕실을 만들어내는 부분으로, 도 2 및 도 3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서 투입된 설탕을 담는 용기 역할을 하는 회전하우징(21)과, 회전하우징(21)을 가열하여 회전하우징(21)에 투입된 설탕가루를 녹이는 히터(23), 그리고 회전하우징(21)을 포함한 가열회전통(13) 전체를 자전시키는 구동모터(25)로 이루어진다. 이때, 회전하우징(21)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케이스(11)의 중심 부분에서 케이스(11) 바닥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측벽에 다수의 통공(27)이 형성되거나 애초에 측벽 자체가 망체로 형성됨으로써, 가열회전통(13)이 고속 회전할 때, 내부에서 용융된 설탕이 원심력에 의해 측벽을 통과하여 외부로 즉, 케이스(11)의 내부공간으로 분사되도록 한다. 또한, 히터(23)는 도시된 것처럼 판형은 물론이고, 코일형으로 제작이 가능한 바, 회전하우징(21)을 가열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떤 형태로도 제작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포집체(15)는 위와 같이 케이스(11) 내부에서 응고되어 실 모양으로 생성되는 설탕실을 포집하여 솜사탕(S)을 만드는 수단으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 내주면과 가열회전통(13) 외주면 사이에 입출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 회전포집부(31)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케이스(11) 내주면과 가열회전통(13) 외주면 사이의 포집위치로 들어간 때, 가열회전통(13)으로부터 원심 분사되면서 응고되어 만들어지는 설탕실을 실타래 모양으로 감아 한 덩어리의 솜사탕(S)을 생성한다.
이를 위해, 포집체(15)는 다시 회전포집부(31), 회전구동부(33), 승강부(35), 및 횡이송부(3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회전포집부(31)는 케이스(11) 내부에 생성된 설탕실을 직접적으로 포집하는 부분으로, 도 3 및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집체(15)의 하단에 설치되어, 솜사탕(S) 생성 시 포집위치에 위치하여 자전함으로써, 가열회전통(13)으로부터 원심 분사되어 만들어지는 설탕실을 말아 감는다. 이때, 포집체(15)는 자전 시 보다 능률적으로 설탕실을 말아 감을 수 있도록 횡방향으로 넓게 벌어져 있으나, 가는 봉을 좌우로 배치하여 형성하므로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구동부(33)는 위와 같이 자전하는 회전포집부(31)에 회전 구동력을 가하는 구동모터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포집부(31) 상단에 장착되어 회전포집부(31)를 자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 상기 승강부(35)는 회전포집부(31)를 회전구동부(33)와 함께 승강시키는 작동수단으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구동부(33)의 회전포집부(31) 대향측 즉, 회전구동부(33)의 상단에 연결되는 바, 예컨대, 도시된 것처럼 유압실린더가 채용됨으로써 푸시로드(37)의 신축에 따라 회전구동부(33)와 회전포집부(31)를 승강시킨다. 끝으로, 상기 횡이송부(37)는 회전포집부(31)를 케이스(11) 내의 포집위치에서 솜사탕생성기(3) 상의 포장위치로 왕복 이동시키는 이송수단으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솜사탕 제조장치(1)가 설치된 장소의 천장에 또는 별도의 지지프레임을 통해 솜사탕생성기(3)와 솜사탕포장기(5) 양쪽에 걸쳐 상측에 설치된다. 이때, 횡이송부(37)는 승강부(35)를 횡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바, 승강부(35)를 미끄럼 또는 구름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안내레일(41)과, 안내레일(41)을 따라 승강부(35)를 이동시키는 주행모듈(43)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횡이송부(37)는 주행모듈(43)의 이송모터 등을 동작시켜 승강부(35)에서 회전포집부(31)까지의 구조물을 안내레일(41)을 따라 왕복 이동시킨다.
상기 솜사탕포장기(5)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위 솜사탕생성기(3)에 의해 만들어진 다음, 포장위치로 옮겨진 솜사탕(S)을 포장용 용기(C)에 담는 장치로서,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대(51), 용기공급통(53), 장전밀대(55), 파지대(57), 및 마감걸개(59)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먼저 상기 작업대(51)는 솜사탕포장기(5)의 기부를 이루는 지지프레임으로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솜사탕생성기(3)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바, 평판 형태로 되어 솜사탕생성기(3)에서 만들어진 솜사탕(S)을 포장하는 포장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용기공급통(53)은 솜사탕생성기(3)에서 만들어진 솜사탕(S)을 포장할 포장 용기(C)를 공급하는 수단으로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용기(C) 내부에 수용하도록 되어 있으며, 작업대(51) 일측에 설치되어 내부의 용기(C)를 작업대(51) 위의 장전위치에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이때, 장전위치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용기공급통(53)에서 빼내진 용기(C)가 작업대(51) 위에서 장전밀대(55)에 의해 밀리기 전에 대기하는 위치를 이른다. 한편, 용기공급통(53)은 다양한 방식으로 내부에 수용된 용기(C)를 하나씩 장전위치로 빼낼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승강실린더(61)와, 승강실린더(61)의 푸시로드(62) 선단에 장착된 흡착팁(63)을 이용해 용기공급통(53)에서 용기(C)를 빼내 장전위치에 위치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를 위해, 승강실린더(61)는 용기공급통(53)의 중심축선 상에 오도록 작업대(51) 하부에 동축상으로 배치되며, 흡착팁(63)에는 외부의 진공원과 이어진 진공라인(65)이 연결된다.
상기 장전밀대(55)는 작업대(51) 위의 장전위치에 놓인 용기(C)를 포장위치로 이동시키는 수단으로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공급통(53)의 출구측에 위치하도록 작업대 일측에 설치되는 바, 용기공급통(53)에서 장전위치로 공급된 용기(C)를 밀어 포장위치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포장위치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장전밀대(55)에 의해 밀린 용기(C)가 작업대(51) 상에서 일시 고정되어 솜사탕(S)의 투입이 이루어지는 위치를 이른다. 이를 위해, 장전밀대(55)는 유압실린더 등으로 이루어진 작동실린더(미도시)와, 이 작동실린더의 푸시로드(66) 선단에 부착된 밀개(67)로 이루어지는 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밀개(67)는 용기(C)를 향해 연장된 복수의 가압편(68)을 통해 용기(C)를 직접 접촉하여 밀도록 되어 있다.
상기 파지대(57)는 솜사탕(S)을 용기(C)에 담는 포장작업이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포장작업 동안 용기(C)를 고정시키는 수단으로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대(51) 상의 포장위치와 인접하도록 장전밀개(67) 대향측에 설치된다. 따라서, 파지대(57)는 장전밀개(67)에 의해 포장위치로 이동한 용기(C)를 일시 고정시키는 바, 이를 위해 유압실린더 등으로 이루어진 작동실린더(미도시)와, 이 작동실린더의 푸시로드(69) 선단에 부착된 파지덮개(71)로 이루어진다. 이때, 작동실린더는 푸시로드(69)를 신축시켜 파지덮개(71)를 전후진시킬 뿐 아니라, 자체적으로 승강 이동하여 파지덮개(71)를 위아래로 이동시킨다. 또한, 파지덮개(71)는 용기(C)를 위에서 덮어 내리누르도록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ㄱ자 모양을 꺾여져 있으며, 용기(C)를 덮는 상단 부분에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투입구(73)가 관통된다, 이때, 투입구(73)는 그 직경이 용기(C) 주둥이의 직경보다 작게 되어, 파지덮개(71)에 의해 주둥이 전체를 둘러쌀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마감걸개(59)는 용기(C)에 솜사탕(S)을 넣은 후 회전포집부(31)를 솜사탕(S)에서 분리시켜 빼낼 수 있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도 3 및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파지대(57) 위쪽에 설치되는 바, 파지대(57)와 마찬가지로, 유압실린더 등으로 이루어진 작동실린더(미도시)와, 이 작동실린더의 푸시로드(75) 선단에 부착된 걸개판(77)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걸개판(77)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파지덮개(71) 위에 위치하는 상단 부분에 삽입슬릿(79)이 형성된다. 따라서, 걸개판(77)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덮개(71) 위에 포개져 용기(C) 위에 덮인 때, 삽입슬릿(79)을 통해 회전포집부(31)를 통과시키므로, 포장위치의 용기(C) 안으로 하강한 회전포집부(31)가 상승할 때, 회전포집부(31)만 용기(C)로부터 빠져나오고, 솜사탕(S)은 걸려 용기(C)에 남도록 한다. 이에 따라, 포집체(15)는 파지대(57)와 전혀 간섭을 일으키지 않고 포집위치에서 위쪽으로 방출된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 포장형 솜사탕 제조장치(1)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솜사탕 제조장치(1)에 의해 포장형 솜사탕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솜사탕생성기(3)에 의해 솜사탕(S)을 생성한다.
이를 위해, 작업자는 먼저 가열회전통(13)을 동작시켜 고속 회전하는 동시에 고온으로 가열되도록 한다. 그리고 나서, 수작업에 의해 또는 호퍼 등을 이용해 가열회전통(13) 안으로 설탕가루를 투입하는 동시에, 포집체(15)를 동작시킨다. 이에 따라, 포집위치로 하강하는 회전포집부(31)는 회전구동부(33)가 동작함에 따라 자전을 개시한다.
곧이어, 가열회전통(13)에서 용융된 설탕가루는 회전 원심력으로 인해 가열회전통(13) 측벽의 통공(27)을 통해 케이스(11) 내부로 분사되며, 분사와 동시에 응고되어 가늘고 긴 설탕실을 만든다.
이렇게 해서 생성된 설탕실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포집위치에서 자전하는 회전포집부(31)에 실타래 모양으로 감기게 되고, 시간 경과에 따라 소정 크기로 자라 솜사탕(S)을 만들어낸다.
솜사탕(S)의 생성이 완료되면, 회전포집부(31)는 자전을 멈추고, 승강부(35)의 동작에 의해 상승한다. 이때, 회전구동부(33) 즉, 구동모터는 회전포집부(31)가 마감걸개(59)의 삽입슬릿(79)과 나란하게 되는 지점에서 회전을 멈춘다. 승강부(35)의 상사점까지 상승한 회전포집부(31)는 횡이송부(37) 주행모듈(43)의 동작에 의해 안내레일(41)을 따라 도 2의 좌측으로 즉, 솜사탕포장기(5)로 이동한다.
위와 같이 솜사탕(S)이 솜사탕포장기(5)로 이동하는 동안, 솜사탕포장기(5)도 동작을 개시하는 바, 승강실린더(61)가 동작하여 흡착팁(63)이 상승하며, 상승한 흡착팁(63)에 의해 용기공급통(53)에 수용된 최하단의 용기(C)가 흡착된다. 흡착된 용기(C)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용기공급통(53)에서 아래로 빠져나와 장전위치에 놓임으로써 포장위치로의 장전을 대기한다.
곧이어, 장전밀개(67)가 동작하면 장전위치의 용기(C)는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장전밀개(67)에 의해 가압되어 포장위치를 향해 이동한다.
이렇게 해서, 용기(C)가 포장위치에 위치하면, 파지대(57)가 동작하여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용기(C)를 위에서 내리누른다. 이때, 장전밀개(67) 여전히 신장된 자세를 유지함으로써 파지대(57)의 파지동작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킨다.
그 다음, 승강부(35)가 재작동하여 회전포집부(31)가 하강하게 되며, 회전포집부(31)에 포집된 솜사탕(S)이 파지대(57)의 투입구(73)를 통해 용기(C) 안으로 투입된다.
승강부(35)가 하사점에 이르면, 솜사탕(S)은 용기(C) 내에 수용되며, 곧이어 마감걸개(59)가 동작하여 걸개판(77)에 의해 파지대(57)를 덮는다. 이때, 회전포집부(31)는 그 상단이 걸개판(77)의 삽입슬릿(79)에 끼워짐으로써 용기(C) 내에 투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끝으로, 승강부(35)가 재차 동작하면 회전포집부(31)는 상승하게 되나, 솜사탕(S)은 걸개판(77)에 걸려 용기(C) 내에 남게 되며, 이에 따라 용기(C)로의 투입이 완료된다.
이후, 마감걸개(59), 파지대(57), 장전밀개(67), 그리고 횡이송부(37)가 역순으로 동작함으로써, 자동 포장형 솜사탕 제조장치(1)는 다음 번 포장형 솜사탕의 제조를 준비하게 된다.
1 : 자동 포장형 솜사탕 제조장치 3 : 솜사탕생성기
5 : 솜사탕포장기 11 : 케이스
13 : 가열회전통 15 : 포집체
21 : 회전하우징 23 : 히터
25 : 구동모터 27 : 통공
31 : 회전포집부 33 : 회전구동부
35 : 승강부 37 : 횡이송부
41 : 안내레일 43 : 주행모듈
51 : 작업대 53 : 용기공급통
55 : 장전밀대 57 : 파지대
59 : 마감걸개 61 : 승강실린더
63 : 흡착팁 65 : 진공라인
67 : 밀개 71 : 파지덮개
73 : 투입구 77 : 걸개판
79 : 삽입슬릿 C : 용기
S : 솜사탕

Claims (2)

  1. 입자 상태로 투입된 설탕을 녹이는 동시에 실 모양으로 원심 분사하여 설탕실을 만들고, 상기 설탕실을 포집위치에서 실타래 모양으로 모아 솜사탕(S)을 만드는 솜사탕생성기(3); 및
    상기 솜사탕생성기(3)에서 만들어져 포장위치로 옮겨진 상기 솜사탕(S)을 용기(C)에 담는 솜사탕포장기(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솜사탕생성기(3)는,
    외부 몸체를 이루는 위로 개방된 통모양의 케이스(11);
    상기 케이스(11)의 중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전 시 외부에서 투입된 설탕을 녹여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의 통공(27)을 통해 원심 분사시키는 가열회전통(13); 및
    상기 케이스(11) 내주면과 상기 가열회전통(13) 외주면 사이에 입출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포집위치에서 상기 가열회전통(13)으로부터 원심 분사되는 상기 설탕실을 실타래 모양으로 감아 상기 솜사탕(S)을 생성하는 포집체(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포장형 솜사탕 제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집체(15)는,
    상기 솜사탕(S) 생성 시 상기 포집위치에서 상기 설탕실을 감도록 자전하는 회전포집부(31);
    상기 회전포집부(31)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포집부(31)를 자전시키는 회전구동부(33);
    상기 회전구동부(33)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구동부(33)와 상기 회전포집부(31)를 승강시키는 승강부(35); 및
    상기 승강부(35)를 횡이동 가능하게 지지하여, 상기 승강부(35)를 통해 상기 회전포집부(31)를 상기 포집위치에서 상기 포장위치로 왕복 이동시키는 횡이송부(37);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포장형 솜사탕 제조장치.
KR1020160168979A 2016-12-12 2016-12-12 자동 포장형 솜사탕 제조장치 KR1017908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8979A KR101790899B1 (ko) 2016-12-12 2016-12-12 자동 포장형 솜사탕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8979A KR101790899B1 (ko) 2016-12-12 2016-12-12 자동 포장형 솜사탕 제조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3709A Division KR101699691B1 (ko) 2015-05-27 2015-05-27 자동 포장형 솜사탕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4953A true KR20160144953A (ko) 2016-12-19
KR101790899B1 KR101790899B1 (ko) 2017-10-26

Family

ID=57735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8979A KR101790899B1 (ko) 2016-12-12 2016-12-12 자동 포장형 솜사탕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08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7938A (ko) * 2020-07-13 2022-01-20 임호식 스마트 솜사탕 제조기
WO2023058070A1 (en) * 2021-10-10 2023-04-13 Ricoira Foods Pvt Ltd. Method of industrial production and packaging of spun suga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7945A (ko) 2004-02-27 2005-09-01 김동철 솜사탕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7945A (ko) 2004-02-27 2005-09-01 김동철 솜사탕 제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7938A (ko) * 2020-07-13 2022-01-20 임호식 스마트 솜사탕 제조기
WO2023058070A1 (en) * 2021-10-10 2023-04-13 Ricoira Foods Pvt Ltd. Method of industrial production and packaging of spun suga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0899B1 (ko) 2017-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2714B1 (ko) 간헐이송식 로터리형 백필링 포장기
KR101932738B1 (ko) 미용 마스크 팩 자동 폴딩장치
KR101790899B1 (ko) 자동 포장형 솜사탕 제조장치
US405165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ackaging yarn packages doffed from a yarn producing machine
EP030902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thdrawing, transferring and arranging textile bobbins
WO2019140237A1 (en) Automated multi-tamp herbal rod filling apparatus, system and method
US4372101A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packaging synthetic fibers in bales
KR101891800B1 (ko) 솜사탕 제조장치
US5289675A (en) Pot spinning assembly with movable pot
KR101699691B1 (ko) 자동 포장형 솜사탕 제조장치
CN104925285B (zh) 一种适用于粘胶长丝丝饼的自动包丝方法
CN113942705A (zh) 一种果冻杯包装蒸蛋糕连续生产线
CN109326543A (zh) 芯片封装装置
CN211467169U (zh) 一种手套自动脱模装袋成套设备
EP1265581A1 (en) Capsules filling machine to pack powder, herbs, microgranules, pellets
CN207174775U (zh) 一种湿巾生产线自动理料装置
CN104925313B (zh) 适用于自动包丝机的取袋张袋转移装置
CN204726696U (zh) 一种适用于粘胶长丝丝饼的自动包丝机
US6779321B1 (en) Machine and method for bagging elongated produce
CN208258601U (zh) 一种用于食用菌瓶栽技术培养基料的装瓶机
KR20130042186A (ko) 백 플레이서 자동운전방법
CN109866986A (zh) 袋装酸奶生产系统
CN104925315B (zh) 适用于自动包丝机的取袋张袋机构
CN204642274U (zh) 一种适用于自动包丝机的取袋张袋转移装置
CN108528821A (zh) 茶振动布料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