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3438A - 추측 항법 시스템에서의 밀결합 측위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추측 항법 시스템에서의 밀결합 측위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3438A
KR20160143438A KR1020150080175A KR20150080175A KR20160143438A KR 20160143438 A KR20160143438 A KR 20160143438A KR 1020150080175 A KR1020150080175 A KR 1020150080175A KR 20150080175 A KR20150080175 A KR 20150080175A KR 20160143438 A KR20160143438 A KR 201601434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state
error covariance
predicted
positio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0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72145B1 (ko
Inventor
박정우
이숙진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80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2145B1/ko
Publication of KR20160143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34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21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21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1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by using measurements of speed or acceleration
    • G01C21/12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by using measurements of speed or acceleration executed aboard the object being navigated; Dead reckon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0Instruments for performing navigational calculations
    • G01C21/206Instruments for performing navigational calcu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indoor navig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28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with correlation of data from several navigational instru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avigation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Abstract

추측 항법 시스템에서의 밀결합 측위 방법 및 그 장치가 제공된다. 관성 센서로부터의 제1 관측 데이터, 위성 항법 장치로부터의 제2 관측 데이터, 그리고 도플러 수신 장치로부터의 제3 관측 데이터를 토대로, 측위를 위한 상태 변수를 설정하고, 이를 토대로 밀결합 측위를 수행한다.

Description

추측 항법 시스템에서의 밀결합 측위 방법 및 그 장치{Tightly-coupled localization method and apparatus in dead-reckoning system}
본 발명은 추측 항법 시스템에서의 밀결합 측위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 폰의 광범위한 보급 및 측위 기술의 발전과 함께 킬러 애플리케이션으로서 가장 유망한 모바일 핵심 서비스로 부각되고 있는 위치기반 서비스(Location-based Services, LBS)를 제공하기 위해서 가장 기본적으로 확보되어야 하는 기술이 측위 기술이다.
측위 시스템은 크게 상대 측위 시스템과 절대 측위 시스템으로 분류된다.
상대 측위 시스템(일명, 추측 항법(dead reckoning) 시스템이라고도 함)은 대상의 위치를 추적함에 있어서 그 초기의 위치 및 방향을 기준으로 상대적인 변화량을 추적하는 시스템으로, 위성 항법 등과 같이 대상의 절대적인 위치를 추적하는 절대 측위 시스템과 대비된다. 대표적인 상대 측위 시스템으로서 보행자 추측 항법(Pedestrian Dead Reckoning, PDR)이 있다. 보행자가 어떤 경로를 이동시에 자기 발걸음의 횟수와 진행 방향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면, 보행자는 이 정보들과 자기의 평균 보폭에 대한 추정치를 바탕으로 출발점 대비 자기의 대략적인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이것이 보행자 추측 항법의 기본 원리이다.
그런데, 보행자 추측 항법의 경우에 시간이 진행됨에 따라 보행자의 위치 추정값은 점점 부정확해지게 된다. 이는 보행자 추측 항법이 발걸음의 횟수에 대응하는 보행자의 상대적인 변위에 대한 추정치를 연쇄적으로 연결해 나가는 방식인데, 각 스텝(Step)의 상대적 변위 추정치에는 보행자의 실제 보폭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발생하는 오차뿐 아니라, 진행 방향의 변화량 추정치에 개입하는 오차도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오차들은 계속적으로 누적되어 위치 추정 결과에 반영되므로, 보행자가 앞으로 진행해 나아갈수록 위치 추정 결과는 점점 더 부정확해지게 된다. 이러한 오차의 누적 현상을 드리프트(Drift)라고 하며, 이는 모든 상대 측위 시스템에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특성이다.
한편 절대 측위 시스템으로는 대표적으로 위성 항법 시스템(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을 들 수 있으며, 그 외에 이동 통신망, Wi-Fi, UWB(ultra wideband), 블루투스를 이용하는 방식 등이 연구되고 있다.
위성 항법 시스템은 지구를 도는 인공 위성의 네트워크 정보를 이용해 지상에 있는 목표물의 위치와 고도, 속도를 알아내는 시스템이다. 미사일 유도 같은 군사적 용도나 항공기, 선박, 자동차 등의 항법 장치에 이용되는데, 그 중 대표적 시스템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이다.
또 다른 절대 측위 시스템으로서 도플러 레이더(Doppler Radar)를 들 수 있다. 도플러 레이더는 도플러 효과를 이용하여 멀리 떨어져 있는 물체의 빠르기 데이터를 만들어내는 특수 레이더로서, 마이크로파 신호를 표적에 맞추어 그로부터의 반사파를 측정한 뒤, 되돌아온 신호의 주파수가 물체의 움직임에 의해 얼마나 변화되었는지를 분석한다. 도플러 레이더를 이용하는 시스템으로서 과속 차량의 적발에 사용되는 스피드 건(speed gun)이 있다.
파동이 발생되는 파원과 관측자의 상대적 운동에 의하여 관측되는 진동수가 달라지는 현상을 도플러 효과(Doppler Effect)라고 하는데, 이러한 현상은 음파뿐만 아니라 광파(빛) 등 모든 파동에 대하여 나타난다 이러한 도플러 효과를 토대로 한 도플러 레이더를 이용하여 단말의 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채널 내에서 송신기와 수신기가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수신기는 송신기가 송신한 신호의 주파수로부터 약간 달라진 주파수의 신호를 수신하게 되는데, 이 수신되는 신호의 주파수 변화를 토대로 단말의 속도를 추정할 수 있다. 이러한 도플러 효과를 이용하여 단말의 속도를 감지할 수 있는 장치를 도플러(Doppler) 수신 장치라고 한다.
실내 무선통신 환경에서 도플러 쉬프트(Doppler Shift)의 영향은 캐리어 주파수
Figure pat00001
및 (광속으로 normalize한) 관측자(단말)의 속도의 곱에 비례한다. 이러한 원리에 기반하여 단말의 속도를 감지해 내는 장치가 도플러 수신 장치이다. Wi-Fi 신호는 보행자 속도에 대응하는 도플러 쉬프트 량의 측정에 사용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에 속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도플러 수신 장치를 실내 측위에 사용할 경우에, 다른 실내 측위 수단과 같은 별도의 막대한 인프라 투자가 필요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실내 측위에 가장 큰 장애가 되는 다중경로 효과(Multipath Effect)가 지배하는 환경에서도 신호 발생 소스의 위치를 파악하지 않고서도 적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추측 항법 시스템은 단거리 추적에 있어서는 높은 정밀도를 자랑하나, 장거리 추적시에는 드리프트 문제에 의해 정밀도가 현저히 떨어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상대 오차의 누적 현상인 드리프트 현상을 극복하고 측위 결과의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관성 센서 등의 상대 측위 시스템에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오차의 누적 현상을 극복하고 측위 결과의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절대 측위 시스템에 의한 관측 데이터에 기반하여 주기적으로 상대 측위 시스템에 의한 측위 결과를 보정/캘리브레이션(Calibration)해 주기 위한 밀결합의 측위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밀결합 측위 방법은, 관성 센서로부터의 제1 관측 데이터, 위성 항법 장치로부터의 제2 관측 데이터, 그리고 도플러 수신 장치로부터의 제3 관측 데이터를 토대로, 측위를 위한 상태 변수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상태 변수를 토대로 현재 상태에 대한 제1 내지 제3 관측 데이터에 대한 상태 예측값 및 오차 공분산 예측값을 산출하는 예측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예측 과정에서 획득한 상태 예측값 및 오차 공분산 예측값을 측정값과 예측값의 차이로써 보상하여 측위를 위한 새로운 추정값을 획득하는 교정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관측 데이터는 방위각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제2 관측 데이터는 보행자 위치 정보를 포함하며, 위치 정보는 x 좌표 및 y 좌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3 관측 데이터는 보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관측 데이터는 스텝별 순간 속도를 포함하며, 스텝별 순간 속도는 k번째 스텝의 보폭과 k번째 스텝의 소요시간 △를 토대로 산출되고, k번째 스텝의 소요시간 △는 출발시부터 시각 k까지의 총 소요시간을 가속도계가 검출한 스텝의 갯수로 나누어서 도출될 수 있다.
상기 예측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상태 변수를 토대로 현재 상태를 예측하여 상태 예측값을 획득하는 단계; 현재 상태에 해당하는 오차 공분산을 예측하여 오차 공분산 예측값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상태 예측값을 토대로 관측 데이터에 대한 추정값인 예측 측정값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정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오차 공분산 예측값과 실제 관측 노이즈를 토대로 이득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이득, 실제 측정값과 예측 측정값의 차이를 토대로 상태 예측값을 보정하여 새로운 추정값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이득을 토대로 상기 오차 공분산 예측값을 보정하여 교정된 오차 공분산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제 측정값은 상기 관성 센서로부터의 제1 관측 데이터, 위성 항법 장치로부터의 제2 관측 데이터, 그리고 도플러 수신 장치로부터의 제3 관측 데이터일 수 있다.
상기 상태 변수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내지 제3 관측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예측 과정 및 교정 과정의 수행에 따라 획득한 이전 단계의 새로운 추정값을 토대로 상기 상태 변수를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예측 과정 및 교정 과정은 칼만 필터를 토대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밀결합 측위 장치는, 관성 센서로부터의 제1 관측 데이터를 제공받는 제1 입력부; 위성 항법 장치로부터의 제2 관측 데이터를 제공받는 제2 입력부; 도플러 수신 장치로부터의 제3 관측 데이터를 제공받는 제3 입력부; 및 상기 제1 내지 제3 관측 데이터를 토대로, 측위를 위한 상태 변수를 설정하고, 설정된 상태 변수를 토대로 현재 상태에 대한 예측값 및 오차 공분산 예측값을 산출하는 예측 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예측 과정에서 획득한 상태 예측값 및 오차 공분산 예측값을 측정값과 예측값의 차이로써 보상하여 측위를 위한 새로운 추정값을 획득하는 교정 과정을 수행하여, 측위를 위한 데이터를 획득하는 밀결합 측위 처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관측 데이터는 방위각 정보이고, 상기 제2 관측 데이터는 보행자 위치 정보를 포함하며, 위치 정보는 x좌표 및 y 좌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 관측 데이터는 보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관측 데이터는 스텝별 순간 속도를 포함하며, 스텝별 순간 속도는 k번째 스텝의 보폭과 k번째 스텝의 소요시간 △를 토대로 산출되고, k번째 스텝의 소요시간 △는 출발시부터 시각 k까지의 총 소요시간을 가속도계가 검출한 스텝의 갯수로 나누어서 도출될 수 있다.
상기 밀결합 측위 처리부는 상기 제1 내지 제3 관측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예측 과정 및 교정 과정의 수행에 따라 획득한 이전 단계의 새로운 상태 추정값을 토대로 상기 상태 변수를 설정하는 변수 설정부; 상기 상태 변수를 토대로 현재 상태를 예측하여 상태 예측값을 획득하는 제1 예측 처리부; 현재 상태에 해당하는 오차 공분산을 예측하여 오차 공분산 예측값을 획득하는 제2 예측 처리부; 및 상기 상태 예측값을 토대로 관측 데이터에 대한 추정값인 예측 측정값을 획득하는 추정값 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밀결합 측위 처리부는 상기 오차 공분산 예측값과 실제 관측 노이즈를 토대로 이득을 산출하는 이득 산출부; 상기 산출된 이득, 실제 측정값과 예측 측정값의 차이를 토대로 상태 예측값을 보정하여 새로운 추정값을 획득하는 추정값 보정부; 상기 산출된 이득을 토대로 상기 오차 공분산 예측값을 보정하여 교정된 오차 공분산을 획득하는 오차 산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관성 센서 등을 이용하는 상대 측위 시스템에서 발생되는 오차 누적 문제를 해소하여, 정확한 측위 결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측위 결과의 정확도를 안정적으로 보장할 수 있다.
도 1은 파원과 관측자가 상대 운동하고 있는 경우의 도플러 효과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실내 무선 환경에서의 도플러 효과의 영향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3은 칼만 필터 알고리즘의 전체적 동작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밀결합 측위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밀결합 측위 방법의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추측 항법 시스템에서의 밀결합 측위 방법 및 그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측위 시스템은 상대측위 시스템과 절대측위 시스템으로 대별되는데, 측위 결과의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해서 상대 측위 시스템에 의한 측위 결과에 대하여, 절대 측위 시스템에 의한 관측 데이터에 기반한 주기적인 측위 결과의 보정/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 작업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절대측위 시스템으로서는 대표적으로 실외 영역에서 네비게이션에 장착되는 위성항법 시스템(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을 들 수 있다. 위성 항법 시스템은 지구를 도는 인공 위성의 네트워크 정보를 이용해 지상에 있는 목표물의 위치와 고도, 속도를 알아내는 장치이며, 대표적 시스템이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이다.
GPS에서는 모두 24개의 인공 위성에서 발신하는 전파(마이크로파)를 수신자의 수신기에서 수신하여 수신기의 위치를 결정한다. 24개의 GPS 인공 위성이 하루에 두 번씩 지구 둘레를 돌며 지구상의 수백만 개 GPS 단말기에 예를 들어, 1초마다 위치값을 송신하고 있다. 인공 위성들은 약 2만㎞ 상공의 6개 회전 궤도 상에 각 60도마다 4개가 배치되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돌고 있다. 이는 지구가 평면이 아니라 둥근 입체 모양이어서 위치 하나를 찾기 위해서는 4개의 GPS 위성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원래 군사 프로젝트로 시작했던 GPS는 상업적 서비스 혹은 과학 연구에서 추적 및 감시를 위한 유용한 도구로서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GPS의 정확한 시각은 시각 동기 및 핸드오프 전환을 가능케 함으로써 금융, 이동통신망 운영, 심지어 전력망 제어와 같은 일상 활동에도 요긴하게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위성항법 시스템의 수신기는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항법 메시지를 통해 GNSS 위성의 위치와 GNSS 위성의 시계를 확인하고, 반송파에 실려 보내진 코드를 감지하여 위성 신호가 수신기까지 걸린 시간을 구하여 전파의 속도를 곱해 GNSS 위성과 수신기간의 거리를 구한다. 하지만 전파 전파 환경, GNSS 수신기에 내장된 시계의 오차, 수신기 내부 오차 등으로 인해 이렇게 구한 거리는 실제 거리가 아닌 의사거리이다.
GNSS 수신기의 좌표를 [x, y, z], 시간 편향을 b, i번째 GNSS 위성의 좌표를 [xi, yi, zi]라 할 때, i번째 위성과 수신기와의 의사거리는 다음 식으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02
여기서 c는 전파의 속도(빛의 속도)를 나타낸다.
GNSS 수신기의 좌표를 구하기 위해서는 [x, y, z, b] 네 개의 미지수를 알아야 하므로 네 개의 방정식이 필요하다. 따라서 적어도 네 개의 GNSS 위성으로부터 위성신호를 수신해야 한다.
다른 절대 측위 시스템으로서 도플러 레이더(Doppler Radar)를 들 수 있다. 도플러 레이더는 도플러 효과를 이용하여 멀리 떨어져 있는 물체의 빠르기 데이터를 만들어내는 특수 레이더이다. 도플러 레이더는 마이크로파 신호를 표적에 맞추어 그로부터의 반사파를 측정한 뒤, 되돌아온 신호의 주파수가 물체의 움직임에 의해 얼마나 변화되었는지를 분석한다.
도플러 레이더에 의해 단말의 속도를 감지하는 원리는 다음과 같이 도플러 효과를 통해 설명될 수 있다.
채널내에서 송신기와 수신기가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수신기는 송신기가 송신한 신호의 주파수로부터 약간 달라진 주파수의 신호를 수신하는 현상을 경험하게 된다. 동일한 원리에서 유래하는 일상 생활의 경험으로는, 사이렌을 울리면서 차가 다가올 때에는 소리가 높게 들리다가 차가 관측자 앞을 지나쳐 멀어지면 소리도 낮게 들리는 현상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는 원리는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파원과 관측자가 상대 운동하고 있을 때 서로 가까워지는 경우에는 파원의 실제 진동수보다 더 큰 진동수(고음)로 들리고 서로 멀어지는 경우에는 실제 진동수보다 더 작은 진동수(저음)로 들린다. 이와 같이, 파원과 관측자의 상대적 운동에 의하여 관측되는 진동수가 달라지는 현상을 도플러 효과(Doppler Effect)라고 한다. 이 현상은 음파뿐만 아니라 광파(빛) 등 모든 파동에 대하여 나타난다.
파원과 관측자가 상대 운동하고 있는 상황에서, 소리의 속력을 V, 음원의 속력을 v, 음원의 진동수를 f0, 관측자가 듣는 소리의 진동수를 f라고 하고, 관측자 O가 음원 S에서 속력 u로 멀어지는 경우를 생각해 본다.
도 1은 파원과 관측자가 상대 운동하고 있는 경우의 도플러 효과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파원에서 관측자 방향을 (+)로 하면 위의 두 식에서 관측자가 듣는 진동수 f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03
여기서, u, v는 +V 방향에 대해 반대일 때 (-) 부호를 넣어 윗식에 대입하여 사용하면 된다.
이러한 도플러 효과의 영향을 실내 무선통신 환경에서 검토해 보기로 한다.
도 2는 실내 무선 환경에서의 도플러 효과의 영향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에서와 같이, Wi-Fi에 의한 전자파 등 일반적인 파동의 경우에 파동의 속도를
Figure pat00004
, 파원(Source)의 속도를
Figure pat00005
, 관측자(Observer)의 속도를
Figure pat00006
라고 하면, 위의 수학식 2에 따라 수신된 파동의 주파수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07
전자파의 경우에도 위의 수학식 3이 그대로 적용되는데, 이 경우
Figure pat00008
이고
Figure pat00009
이므로, 다음과 같이 식이 성립된다.
Figure pat00010
따라서, 도플러 쉬프트 량
Figure pat00011
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12
위의 수학식 5로부터 실내 무선통신 환경에서 도플러 쉬프트의 영향은 캐리어 주파수
Figure pat00013
및 관측자(단말)의 속도((광속으로 노말라이즈(normalize)한 속도임)의 곱에 비례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원리에 기반하여 단말의 속도를 감지해 내는 장치가 도플러 수신 장치이다.
위의 도플러 쉬프트량에 대한 수학식 5에 의하면, 도플러 쉬프트량은 반송파(carrier) 주파수에 의존적인 것을 알 수 있다.
관성 항법 시스템과 도플러 레이더는 1950년대 이후 주로 비행체 및 잠수함의 항법 시스템으로 적용되어 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추측 항법 시스템은 단거리 추적에 있어서는 높은 정밀도를 자랑하나, 장거리 추적시에는 드리프트 문제에 의해 정밀도가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 반면에, 도플러 레이더는 상대적으로 정밀도가 떨어지기는 하나 장거리 추적시의 드리프트 문제가 없으므로, 양 측위 시스템을 결합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장거리 추적시의 드리프트 문제를 극복하고 정밀도가 높은 측위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고성능의 측위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하여 전혀 다른 종류의 측위 시스템을 상호 보완적으로 결합하여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방식을 보통 밀결합(Tightly-Coupled)에 의한 측위라고 한다. 전통적으로 이러한 밀결합 방식의 측위 솔루션을 구현하는데 주로 동원되는 도구가 칼만필터(Kalman Filter) 혹은 그 변형인 확장 칼만필터(Extended Kalman Filter)이다.
이하에서 칼만 필터(Kalman Filter)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칼만 필터(Kalman Filter)는 노이즈(Noise)가 포함되어 있는 관측 데이터로부터 선형 시스템의 상태를 추적하는 재귀형의(Recursive) 필터로서 루돌프 칼만(Rudolf E. Kalman)에 의해 1960년대 초에 개발된 이래 아폴로 우주선의 궤도 추정 문제에 적용된 바 있고, 이후에 컴퓨터 비젼, 로봇, 레이더, 로켓, 위성, 미사일, 제어 등의 공학 분야에 광범위하게 이용될 뿐 아니라 주식, 계량 경제학, 날씨 예측, 인구 예측 등의 사회과학 분야에도 활용되고 있다. 칼만 필터는 과거의 측정 데이터와 새로운 측정 데이터를 사용하여 데이터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시킴으로써 새로운 결과를 추정(Estimate)하는 데 사용되는 알고리즘으로 선형 시스템에 재귀적으로 동작한다. 이것은 우리가 어떤 대상으로부터 얻는 측정 데이터에는 불확실성 정보(Noise)가 포함되어 있는데, 이 불확실성을 정수기의 필터가 불순물을 걸러내듯이 필터링하는 동작으로 이해할 수 있다. 즉, 노이즈(가우시안(Gaussian) 분포를 갖는)를 포함하는 측정 데이터나 신호로부터 원하는 신호나 정보를 골라내는 알고리즘으로서 확률에 기반한 예측 시스템이다.
자연계의 움직임은 물리적 법칙의 지배를 받기 때문에 어느 정도 예측이 가능한데, 누적된 과거 데이터와 현재 얻을 수 있는 최선의 데이터로 현 상태를 추정하고자 하는 수요는 자연 현상이나 사회 현상의 도처에서 발생하며, 이러한 관점에서 미사일 추적이나 주식의 흐름은 매우 유사한 속성을 갖는다.
실제 응용에 있어서는 시스템이 비선형이고 노이즈도 가우시안이 아닌 경우가 많으므로 칼만 필터의 변형된 형태가 요구되는데, 확장 칼만 필터(Extended Kalman Filter)가 가장 많이 사용된다. 확장 칼만 필터는 선형화된 칼만 필터와 유사하나, 선형화하는 기준점을 계속 갱신해 나간다는 특징을 갖는다.
자연계의 신호는 영상, 음성, 좌표, 압력 등 다양한 형태를 취하는데 센서를 거치면서 센서 자체에 의한 물성적 노이즈가 첨가되는 경우가 대부분으로, 통상 필터로 제거된다.
칼만 필터는 비행체의 위치 제어, 네비게이션이나 영상 처리 등의 여러 분야에서 각 시스템의 작동 중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주요 변수(비행체의 자세, 이동체의 위치, Tracking하는 객체의 위치 등)를 예측하는데 사용되는 도구이다. 칼만 필터가 추출된 신호에서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모델링하려는 프로세스가 선형 시스템으로 기술이 가능해야 한다.
선형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다음 2개의 수식으로 표현된다:
프로세스/시스템 모델은 아래 수학식 6으로 표현된다.
Figure pat00014
여기서, Xk는 시각 k에서 칼만 필터의 상태(State) 변수를 나타내고,
Figure pat00015
는 상태 천이(state transition) 행렬을 나타내며, Vk는 시간 k에서의 프로세스 노이즈(process noise)를 나타낸다.
관측/센서 모델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16
여기서,
Figure pat00017
는 관측 행렬을 나타내며, Wk는 시각 t에서의 관측/센서 노이즈(measurement/sensor noise)를 나타낸다. Zk는 센서 등을 이용해서 측정된 값을 나타낸다.
프로세스/시스템 모델은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기술하며, 상태 방정식이라고도 한다. 관측/센서 모델은 시스템 신호 중 측정 가능한 값을 표현하며, 출력 방정식이라고도 한다. Xk는 시스템의 상태(State)를 나타내는 벡터이고 Zk 는 센서 등을 이용해서 측정된 값을 의미한다. 그리고, Vk, Wk는 노이즈(오차)로서 특히 Vk는 프로세스 노이즈, Wk 는 관측/센서 노이즈라고 하는데, 칼만 필터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이 노이즈이다.
우선, 프로세스 상태 벡터인 Xk의 경우 시스템의 현재 상태에 대한 모든 정보(ex. 비행체의 위치 정보, 각도 등)를 나타내는데, 중요한 것은 이 상태 변수는 직접적으로 측정할 수 없다는 점이다. 대신에, 관측/센서 노이즈 Wk에 의해 어느 정도 값이 흐트러진 Zk를 측정하게 된다. 이 측정된 Zk를 이용해서 거꾸로 Xk를 계산해 낼 수 있다. 그러나, 이 관측치 Zk는 관측/센서 노이즈 Wk에 의해 값이 변형된 상태이기 때문에 그대로 값을 사용할 수 없다. 모든 센서는 기본적으로 오차를 내포하므로, 시스템의 상태(State) Xk를 정확하게 예측하기 위한 도구로서 필요한 것이 바로 칼만 필터이다.
칼만 필터의 전체적 동작은 측정값으로부터 추정값을 추출해 내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다.
시스템 모델을 기초로 다음 스텝에서 상태와 오차 공분산을 예측하고(예측 과정, Prediction), 이렇게 구한 예측값과 측정값의 차이를 보상해서 새로운 추정값을 계산한다(교정 과정, Correction).
칼만 필터의 알고리즘은 도 3과 같이 위의 2단계의 동작이 순환적으로 맞물려 돌아가도록 구성된다.
도 3은 칼만 필터 알고리듬의 전체적 동작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첨부한 도 3에서,
Figure pat00018
이전 상태, K는 Kalman 이득(Gain)이고, P는 추정오차 공분산 행렬, ^는 상태변수를 예측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리고, Xθ는 현 상태에 대한 교정 직전의 예측값으로서, θ는 이전 상태(정확히는, 아래 첨자 k+1|k와 동일한 의미)를 의미하며,
Figure pat00019
Figure pat00020
는 현 상태에 대한 교정 직후의 예측값(정확히는, 아래 첨자 k+1|k+1과 동일한 의미)을 의미한다. 그리고, Q는 예측 노이즈 공분산, R은 관측 노이즈 공분산을 나타낸다.
초기에 X와 P를 초기 예측이 제공되어야 한다.
(1) 예측 단계(시간 갱신): 이전 데이터를 근거로 예측
1) 이전 상태벡터
Figure pat00021
에 F를 곱하고 시스템입력 Uk를 더하여 구한 xθ는 순수한 상태 예측값이다.
2) 오차 보정을 위해 수행하는 단계로 수집된 자료를 기반으로 어느 정도의 보정을 할 건지를 결정한다(프로세스 노이즈 예측).
(2) 교정 단계(관측 갱신) : 새로운 측정값으로 교정
1) 칼만 이득(Gain)을 구한다.
(프로세스 노이즈(예측 오차분)와 관측 노이즈(실측 오차분)를 이용하여 계산)
2) 관측/센서 노이즈 Wk를 추가하여 현재의 상태벡터
Figure pat00022
를 구한다.
3) 예측 오류인 추정오차 공분산 P를 구한다.
이러한 칼만 필터를 기반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밀결합의 측위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절대 측위 시스템에 의한 관측 데이터에 기반하여 주기적으로 상대 측위 시스템에 의한 측위 결과를 보정/캘리브레이션 (Calibration)해 주기 위한 밀결합의 측위를 수행한다.
관성 센서 등을 이용한 상대 측위 시스템에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오차의 누적 현상을 극복하고 측위 결과의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절대 측위 시스템에 의한 관측 데이터를 토대로 상대 측위 시스템에 의한 위 결과를 보정하며, 상대 측위 시스템의 오차적 특성에 의한 영향을 제거하여 캘리브레이션 (Calibration)해 주기 위한 수단으로서 위성 항법 시스템에 의한 위치 측정치와 도플러 수신 장치에 의한 속도 측정치를 이용하여 밀결합 측위를 수행한다.
자이로스코프(Gyroscope) 등의 관성센서는 기준점 대비 상대적인 이동 정보를 측정하는 상대 측위 수단이고 시간에 따른 오차누적 특성을 가지고 있는 반면에, 위성 항법 시스템과 도플러 수신 장치는 모두 절대적인 위치/속도를 관측하는 절대 측위 수단으로, 양 측위 수단의 강점만을 취하여 상호 보완적으로 밀결합하여 측위를 수행한다. 위성 항법 시스템은 주로 실외에서 유용한 캘리브레이션용 측위 수단으로 기능하며, 도플러 수신 장치는 위성 항법 신호가 실내에서는 접근이 불가능함에 따른 실내 캘리브레이션용 측위 수단으로서 기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측위 장치 즉, 밀결합 측위 시스템은 보행자의 보폭이 일정하다는 가정을 토대로 시스템 모델을 구축한다. 측정 및 업데이트(measurement update) 단계에서 칼만 필터가 속도 성분의 추정치를 실제 관측치에 근접시켜 가므로, 위와 같은 가정을 토대로 시스템 모델을 구축할 수 있다.
밀결합 측위 시스템은 각종 측위 자원으로부터 관측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있는데, 특히, 관성 센서로부터의 관측 데이터, 도플러 수신 장치로부터의 관측 데이터, 그리고 위성 항법 시스템의 GPS 수신 장치로부터의 관측 데이터를 제공받아서 측위를 수행한다.
관성 센서로는 자이로스코프, 가속도계 등 다양한 센서들이 포함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자이로스코프를 이용한 것을 예로 들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관성 센서는 특정 위치를 기준점으로 한 단말의 상대적인 이동 정보를 측정하여 제공하는 상대 측위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관성 센서로부터 제공되는 관측 데이터를 설명의 편의상 제1 관측 데이터라고 한다.
한편, 위성 항법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GPS 수신 장치와, 도플러 효과를 이용한 도플러 수신 장치는 모두 절대적인 위치/속도를 관측하는 절대 측위 수단이며, GPS 수신 장치는 실외에서의 캘리브레이션 수단으로 기능하고, 도플러 수신 장치는 실내에서의 캘리브레이션 수단으로 기능한다. 설명의 편의상, GPS 수신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관측 데이터를 제2 관측 데이터라고 하고, 도플러 수신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관측 데이터를 제3 관측 데이터라고 한다.
제1 관측 데이터는 방위각 정보를 포함하며, 보행자 진행 방향의 방위각(Orientation)을 나타낸다. 제2 관측 데이터는 보행자 위치 정보를 포함하며, 위치 정보는 x좌표 및 y 좌표로 이루어진다. 제3 관측 데이터는 보폭을 포함하며, 스텝별 순간 속도를 포함한다. 스텝별 순간 속도는 k번째 스텝의 보폭과 k번째 스텝의 소요시간 △를 토대로 산출된다. 여기서 k번째 스텝의 소요시간 △는 출발시부터 시각 k까지의 총 소요시간을 가속도계가 검출한 스텝의 갯수로 나눔으로써 도출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내지 제3 관측 데이터를 토대로 밀결합의 측위를 수행하는데,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칼만 필터를 사용한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확장 칼만 필터(Extended Kalman Filter)가 사용될 수 있다.
칼만 필터를 기반으로 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측정값으로부터 추정값을 추출하기 위하여, 예측(Prediction) 과정과, 교정(Correction) 과정을 수행하며, 예측 과정과 교정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예측 과정에서는 시스템 모델을 토대로, 이전 단계에서 추정된 상태를 토대로 소정 입력을 가했을 때의 예측되는 상태와 오차 공분산을 계산한다. 그리고 교정 과정에서는 예측 과정에서 획득한 예측값과 측정값의 차이를 보상해서 새로운 추정값을 계산한다.
먼저, 시각 k에서 칼만 필터의 상태 변수 Xk를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Figure pat00023
여기서, xk는 보행자 위치를 나타내는 제2 관측 데이터의 x 좌표를 나타내며, yk는 보행자 위치를 나타내는 제2 관측 데이터의 y 좌표를 나타낸다. sk는 제3 관측 데이터에 해당하는 보행자의 보폭을 나타내며, Ψk는 제1 관측 데이터에 해당하는 보행자 진행 방향의 방위각(Orientation)을 나타낸다. 방위각은 양의 x축으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측정된 각도를 나타낸다. 이러한 방위각은 자이로스코프 또는 지자계 센서를 통해 검출되어 제공될 수 있다.
측정값 즉, 제1 내지 제3 관측 데이터들을 토대로 추정값 즉, 상태 변수 Xk를 위와 같이 설정한 다음에, 시스템 모델을 토대로 다음 상태와 오차 공분산(covariance)을 예측한다.
위의 수학식 6을 토대로, 다음 상태는 다음과 같이 예측할 수 있다.
Figure pat00024
여기서
Figure pat00025
는 이전 상태 벡터를 나타내며,
Figure pat00026
는 상태 변수를 예측하는 것을 나타낸다. xθ는 현재 상태에 대한 예측값으로, 순수한 상태 예측값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교정 과정이 수행되기 전의 예측값을 나타낸다. θ는 이전 상태( k+1|k와 동일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러한 시스템 모델 관련된 수학식 9를 토대로, 시스템 입력 Uk = 0으로 두면, 다음 상태의 변수
Figure pat00027
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상태 변수의 천이를 수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28
그리고 위의 상태 천이 관계식인 수학식 10을 행렬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29
여기서,
Figure pat00030
는 상태 천이(state transition) 행렬을 나타낸다.
한편 예측되는 오차 공분산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31
Figure pat00032
은 현재 상태에서 예측된 오차 공분산을 나타내며, Q는 예측 노이즈 공분산을 나타낸다.
그리고 현재 상태 예측값 xθ과 측정값은 다음과 같은 관계로 이루어진다.
Figure pat00033
여기서,
Figure pat00034
는 현재 상태 예측값을 토대로 예측된 측정값을 나타내며, 예측 측정값 즉, 추정값이라고 명명할 수 있다.
한편 수학식 7에 따른 관측 모델을 토대로, 제1 내지 제3 관측 데이터들을 토대로 한 상태 변수 Xk와 측정값 Zk의 관계를 행렬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Figure pat00035
여기서
Figure pat00036
는, 제2 관측 데이터인 x좌표의 시각 t에서의 관측/센서 노이즈를 나타내고,
Figure pat00037
는 제2 관측 데이터인 y좌표의 시각 t에서의 관측/센서 노이즈를 나타내고,
Figure pat00038
는 제3 관측 데이터인 보폭의 시작 t에서의 관측/센서 노이즈를 나타내며,
Figure pat00039
는 제1 관측 데이터인 방위각의 시작 t에서의 관측/센서 노이즈를 나타낸다. 그리고 △는 k번째 스텝의 소요시간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위성 항법 장치 및 도플러 수신 장치 그리고, 관성 센서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들을 기반으로 현재 상태를 예측하고, 이를 토대로 어느 정도로 보정을 할 것인지를 결정하기 위한 프로세스 노이즈(오차 공분산 예측값)를 예측한다.
이후, 위의 예측 과정에서 획득한 상태 예측값, 오차 공분산 예측값, 예측 측정값(추정값)을 토대로, 교정 과정을 수행한다.
먼저, 칼만 이득 K를 산출한다. 칼만 이득은 예측값과 실제 측정값 사이의 오차를 이용하는 것으로 프로세스 노이즈와 관측 노이즈를 토대로 산출된다. 관측 노이즈는 실측 오차분을 나타내며, 프로세스 노이즈는 예측 오차분을 나타낸다.
Figure pat00040
여기서,
Figure pat00041
은 프로세스 노이즈 즉, 위의 예측 과정에서 획득한 오차 공분산 예측값을 나타내며, R은 관측 노이즈 즉, 관측 노이즈 공분산을 나타낸다.
그리고 관측/센서 노이즈 Wk를 추가하여 현재의 상태 벡터
Figure pat00042
를 산출한다.
Figure pat00043
여기서,
Figure pat00044
는 현 상태에 대한 교정 직후의 예측값을 나타낸다. 위의 예측 과정에서
Figure pat00045
Figure pat00046
를 나타내며,
Figure pat00047
Figure pat00048
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칼만 이득과, 실제 측정값과 예측 측정값의 차이(
Figure pat00049
) 그리고, 예측 과정에서 획득한 상태 예측값을 토대로, 보정된 상태 예측값
Figure pat00050
를 획득한다. 이후 보정된 상태 예측값
Figure pat00051
을 토대로 한 측위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칼만 이득을 토대로, 예측 오류인 추정 오차 공분산을 산출한다.
Figure pat00052
이와 같이 절대 측위 시스템에 의한 제1 관측 데이터와, 상대 측위 시스템에 의한 측위 결과인 제2 및 제3 관측 데이터를 위에 기술된 바와 같이, 예측 과정 및 교정 과정을 통하여 보정/캘리브레이션(Calibration)하여, 보다 정확한 측위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가속도계, 자이로스코프 등을 포함하는 관성센서에 의한 측정치에는 항상 시스템 바이어스(Systematic Bias) 성분이 포함되어 있다. 예를 들어, 자이로스코프에 의한 각속도는 적분해야만 비로소 회전 각도로서 유용한 측위 정보를 제공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시스템 바이어스 성분에 의한 기여가 항시적으로 개입된다. 시스템 바이어스 성분은 가속도계의 경우에는 가속도계가 전혀 가속을 겪고 있지 않은 등속 운동의 경우에도 시간적인 평균값이 0이 되지 않고 나타내는 일정한 상수값을 말하며, 자이로스코프의 경우에는 자이로스코프가 전혀 회전을 겪고 있지 않은 경우에도 시간적인 평균값이 0이 되지 않고 나타내는 일정한 상수값을 의미한다. 따라서 가속도계나 자이로스코프의 측정치로부터 간접적으로 얻어진 측위 정보에 시간이 지남에 따라 오차가 계속적으로 누적되어 나타난다.
관성 센서의 이러한 시스템 바이어스는 그 영향을 완화시킬 수는 있으나 결코 완벽하게 제거할 수는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위와 같이 밀결합 측위 방법에 따라 측위가 수행될 경우, 관성 센서 등의 상대 측위 시스템에 고질적으로 나타나는 오차의 누적 문제를 극복하여 정확한 측위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밀결합 측위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 도이다.
첨부한 도 4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밀결합 측위 장치(1)는 상대 측위 장치인 관성 센서(2)로부터 제1 관측 데이터를 제공받으며, 특히, 절대 측위 장치인 위성 항법 장치(4)로부터 제2 관측 데이터를 제공받고, 도플러 수신 장치(3)로부터 제3 관측 데이터를 제공받는다.
이를 위하여, 밀결합 측위 장치(1)는 도 5에서와 같이, 관성 센서(2)로부터 제1 관측 데이터를 입력받는 제1 입력부(11), 위성 항법 장치(4)로부터 제2 관측 데이터를 입력받는 제2 입력부(12), 도플러 수신 장치(3)로부터 제3 관측 데이터를 입력받는 제3 입력부(13), 그리고 제1 내지 제3 관측 데이터를 토대로 밀결합 측위를 수행하는 밀결합 측위 처리부(14)를 포함한다.
밀결합 측위 처리부(14)는 제1 내지 제3 관측 데이터를 토대로 상태 예측을 위한 상태 변수를 설정하는 변수 설정부(141), 설정된 상태 변수를 토대로 현재 상태를 예측하여 상태 예측값을 출력하는 제1 예측 처리부(142), 현재 상태에 해당하는 오차 공분산을 예측하는 제2 예측 처리부(143), 상태 예측값을 토대로 관측 데이터에 대한 추정값인 예측 측정값을 산출하는 추정값 산출부(144)를 포함하며, 이외에도, 예측된 오차 공분산과 실제 관측 노이즈를 토대로 이득(예를 들어, 칼만 이득)을 산출하는 이득 산출부(145), 그리고 산출된 이득, 실제 측정값과 예측 측정값의 차이를 토대로 상태 예측값을 보정하여 새로운 예측값 즉, 추정값을 산출하는 추정값 보정부(146), 그리고 산출된 이득을 토대로 예측된 오차 공분산을 보정하여 교정된 오차 공분산을 획득하는 오차 산출부(147)를 포함한다. 추정값 보정부(146)에서 출력되는 추정값들은 이후 측위를 위한 데이터로서 사용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밀결합 측위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밀결합 측위 장치(1)는 관성 센서(2), 위성 항법 장치(4) 그리고 도플러 수신 장치(3)로부터 측위를 위한 데이터를 제공받는다.
즉, 제1 입력부(11)는 관성 센서(2)로부터 제1 관측 데이터 즉, 방위각 정보를 제공받으며(S100), 제2 입력부(12)는 위성 항법 장치(4)로부터 제2 관측 데이터 즉, 보행자 위치 정보(x, y)를 제공받는다(S110). 그리고 제3 입력부(13)는 도플러 수신 장치(3)로부터 제3 관측 데이터 즉, 보행자의 보폭을 제공받는다(S120). 제3 관측 데이터는 스텝별 순간 속도를 포함하며, 스텝별 순간 속도는 k번째 스텝의 보폭과 k번째 스텝의 소요시간 △를 토대로 산출될 수 있다.
이후, 밀결합 측위 처리부(14)는 제1 내지 제3 관측 데이터를 토대로 위에 기술된 수학식 8과 같이 상태 변수를 설정한다(S130).
다음, 밀결합 측위 처리부(14)는 설정된 상태 변수를 토대로 현재 상태를 예측하여 상태 예측값을 획득한다(S140). 그리고 현재 상태에 해당하는 오차 공분산을 예측하여 오차 공분산 예측값을 획득하고, 상태 예측값을 토대로 관측 데이터에 대한 추정값인 예측 측정값을 획득한다(S150). 이러한 단계들(S130~S150)이 예측 과정에 해당된다.
예측 과정이 종료된 다음에, 밀결합 측위 처리부(14)는 교정 과정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밀결합 측위 처리부(14)는 오차 공분산 예측값과 실제 관측 노이즈를 토대로 이득(칼만 이득)을 산출하고(S160), 산출된 이득, 실제 측정값과 예측 측정값의 차이를 토대로 상태 예측값을 보정하여 교정된 예측값(추정값)을 획득한다(S170). 여기서 실제 측정값은 관측된(센서로부터 획득된) 데이터 즉, 제1 내지 제3 입력부(11~13)에서 제공받은 관측 데이터들을 토대로 구성된다.
한편, 산출된 이득을 토대로 예측된 오차 공분산을 보정하여 교정된 오차 공분산을
획득할 수 있다(S180). 이러한 단계들(S160~S180)이 교정 과정에 해당된다.
위의 예측 과정 및 교정 과정은 각 단계의 동작이 순환적으로 맞물려 돌아가도록 수행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대 측위 시스템에 의한 제1 관측 데이터를 절대 측위 시스템에 의한 측위 결과인 제2 관측 데이터 및 제3 관측 데이터로써 보정/캘리브레이션(Calibration)하여, 보다 정확한 측위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상에서 설명한 장치 및/또는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사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5)

  1. 관성 센서로부터의 제1 관측 데이터, 위성 항법 장치로부터의 제2 관측 데이터, 그리고 도플러 수신 장치로부터의 제3 관측 데이터를 토대로, 측위를 위한 상태 변수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된 상태 변수를 토대로 현재 상태에 대한 제1 내지 제3 관측 데이터에 대한 상태 예측값 및 오차 공분산 예측값을 산출하는 예측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예측 과정에서 획득한 상태 예측값 및 오차 공분산 예측값을 측정값과 예측값의 차이로써 보상하여 측위를 위한 새로운 추정값을 획득하는 교정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밀결합 측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측 데이터는 방위각 정보인, 밀결합 측위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관측 데이터는 보행자 위치 정보를 포함하며, 위치 정보는 x좌표 및 y 좌표로 이루어지는, 밀결합 측위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관측 데이터는 보폭을 포함하는, 밀결합 측위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관측 데이터는 스텝별 순간 속도를 포함하며, 스텝별 순간 속도는 k번째 스텝의 보폭과 k번째 스텝의 소요시간 △를 토대로 산출되고, k번째 스텝의 소요시간 △는 출발시부터 시각 k까지의 총 소요시간을 가속도계가 검출한 스텝의 갯수로 나누어서 도출되는, 밀결합 측위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상태 변수를 토대로 현재 상태를 예측하여 상태 예측값을 획득하는 단계;
    현재 상태에 해당하는 오차 공분산을 예측하여 오차 공분산 예측값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상태 예측값을 토대로 관측 데이터에 대한 추정값인 예측 측정값을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밀결합 측위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교정 과정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오차 공분산 예측값과 실제 관측 노이즈를 토대로 이득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산출된 이득, 실제 측정값과 예측 측정값의 차이를 토대로 상태 예측값을 보정하여 새로운 추정값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산출된 이득을 토대로 상기 오차 공분산 예측값을 보정하여 교정된 오차 공분산을 획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밀결합 측위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실제 측정값은 상기 관성 센서로부터의 제1 관측 데이터, 위성 항법 장치로부터의 제2 관측 데이터, 그리고 도플러 수신 장치로부터의 제3 관측 데이터인, 밀결합 측위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변수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내지 제3 관측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예측 과정 및 교정 과정의 수행에 따라 획득한 이전 단계의 새로운 추정값을 토대로 상기 상태 변수를 설정하는, 밀결합 측위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 과정 및 교정 과정은 칼만 필터를 토대로 수행되는, 밀결합 측위 방법.
  11. 관성 센서로부터의 제1 관측 데이터를 제공받는 제1 입력부;
    위성 항법 장치로부터의 제2 관측 데이터를 제공받는 제2 입력부;
    도플러 수신 장치로부터의 제3 관측 데이터를 제공받는 제3 입력부; 및
    상기 제1 내지 제3 관측 데이터를 토대로, 측위를 위한 상태 변수를 설정하고, 설정된 상태 변수를 토대로 현재 상태에 대한 예측값 및 오차 공분산 예측값을 산출하는 예측 과정을 수행하고, 상기 예측 과정에서 획득한 상태 예측값 및 오차 공분산 예측값을 측정값과 예측값의 차이로써 보상하여 측위를 위한 새로운 추정값을 획득하는 교정 과정을 수행하여, 측위를 위한 데이터를 획득하는 밀결합 측위 처리부
    를 포함하는, 밀결합 측위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관측 데이터는 방위각 정보이고, 상기 제2 관측 데이터는 보행자 위치 정보를 포함하며, 위치 정보는 x좌표 및 y 좌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3 관측 데이터는 보폭을 포함하는, 밀결합 측위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관측 데이터는 스텝별 순간 속도를 포함하며, 스텝별 순간 속도는 k번째 스텝의 보폭과 k번째 스텝의 소요시간 △를 토대로 산출되고, k번째 스텝의 소요시간 △는 출발시부터 시각 k까지의 총 소요시간을 가속도계가 검출한 스텝의 갯수로 나누어서 도출되는, 밀결합 측위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밀결합 측위 처리부는
    상기 제1 내지 제3 관측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예측 과정 및 교정 과정의 수행에 따라 획득한 이전 단계의 새로운 상태 추정값을 토대로 상기 상태 변수를 설정하는 변수 설정부;
    상기 상태 변수를 토대로 현재 상태를 예측하여 상태 예측값을 획득하는 제1 예측 처리부;
    현재 상태에 해당하는 오차 공분산을 예측하여 오차 공분산 예측값을 획득하는 제2 예측 처리부; 및
    상기 상태 예측값을 토대로 관측 데이터에 대한 추정값인 예측 측정값을 획득하는 추정값 산출부
    를 포함하는, 밀결합 측위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밀결합 측위 처리부는
    상기 오차 공분산 예측값과 실제 관측 노이즈를 토대로 이득을 산출하는 이득 산출부;
    상기 산출된 이득, 실제 측정값과 예측 측정값의 차이를 토대로 상태 예측값을 보정하여 새로운 추정값을 획득하는 추정값 보정부;
    상기 산출된 이득을 토대로 상기 오차 공분산 예측값을 보정하여 교정된 오차 공분산을 획득하는 오차 산출부
    를 더 포함하는, 밀결합 측위 장치.











KR1020150080175A 2015-06-05 2015-06-05 추측 항법 시스템에서의 밀결합 측위 방법 및 그 장치 KR1021721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0175A KR102172145B1 (ko) 2015-06-05 2015-06-05 추측 항법 시스템에서의 밀결합 측위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0175A KR102172145B1 (ko) 2015-06-05 2015-06-05 추측 항법 시스템에서의 밀결합 측위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3438A true KR20160143438A (ko) 2016-12-14
KR102172145B1 KR102172145B1 (ko) 2020-10-30

Family

ID=57575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0175A KR102172145B1 (ko) 2015-06-05 2015-06-05 추측 항법 시스템에서의 밀결합 측위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214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09530A (ja) * 2016-12-28 2018-07-12 国立研究開発法人宇宙航空研究開発機構 飛行体用航法装置、飛行体、および飛行体安全管制システム
US10382894B2 (en) 2017-07-28 2019-08-1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of measuring inter-device relative coordinates and device using the same
KR102026398B1 (ko) 2018-10-23 2019-11-26 코디스페이스 주식회사 실내공간에서 사용자의 걸음 진행방향과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13631883A (zh) * 2019-04-04 2021-11-09 三菱电机株式会社 车辆定位装置
CN117146830A (zh) * 2023-10-31 2023-12-01 山东科技大学 一种自适应多信标航位推算和长基线的紧组合导航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28309A (en) * 1996-02-05 1999-07-27 Korver; Kelvin Navigation/guidance system for a land-based vehicle
KR100742612B1 (ko) * 2005-08-19 2007-07-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추측 항법과 지피에스를 이용한 복합 항법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28309A (en) * 1996-02-05 1999-07-27 Korver; Kelvin Navigation/guidance system for a land-based vehicle
KR100742612B1 (ko) * 2005-08-19 2007-07-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추측 항법과 지피에스를 이용한 복합 항법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09530A (ja) * 2016-12-28 2018-07-12 国立研究開発法人宇宙航空研究開発機構 飛行体用航法装置、飛行体、および飛行体安全管制システム
US10382894B2 (en) 2017-07-28 2019-08-1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of measuring inter-device relative coordinates and device using the same
KR102026398B1 (ko) 2018-10-23 2019-11-26 코디스페이스 주식회사 실내공간에서 사용자의 걸음 진행방향과 위치를 추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13631883A (zh) * 2019-04-04 2021-11-09 三菱电机株式会社 车辆定位装置
CN113631883B (zh) * 2019-04-04 2024-04-30 三菱电机株式会社 车辆定位装置
CN117146830A (zh) * 2023-10-31 2023-12-01 山东科技大学 一种自适应多信标航位推算和长基线的紧组合导航方法
CN117146830B (zh) * 2023-10-31 2024-01-26 山东科技大学 一种自适应多信标航位推算和长基线的紧组合导航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72145B1 (ko) 2020-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721289B (zh) 自动驾驶中车辆定位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及车辆
EP3688495B1 (en) System for determining a physical metric such as position
EP2486418B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radio navigation
US8773303B2 (en) Position tracking device and method
JP5673071B2 (ja) 位置推定装置及びプログラム
EP2816374B1 (en) Vehicle positioning in high-reflection environments
KR102172145B1 (ko) 추측 항법 시스템에서의 밀결합 측위 방법 및 그 장치
IL238877A (en) Kalman filtering with indirect noise measurements
EP3312634B1 (en) Positioning apparatus
RU2431803C1 (ru) Способ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ого определения навигационно-топогеодезических параметров
US20140104101A1 (en) Position calculating method and position calculating device
CN110440830A (zh) 动基座下车载捷联惯导系统自对准方法
CN113295174B (zh) 一种车道级定位的方法、相关装置、设备以及存储介质
KR100896320B1 (ko) 위치 추적 장치 및 방법
CN114509069B (zh) 基于蓝牙aoa和imu融合的室内导航定位系统
JP2012063313A (ja) 車両用軌跡推定装置
CN111708008B (zh) 一种基于imu和tof的水下机器人单信标导航方法
Chen et al. Study on GPS/INS loose and tight coupling
KR20140142610A (ko) 위치 측정 장치 및 방법
JPWO2005017552A1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gps測位方法
CN114001730A (zh) 融合定位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Trigo et al. Vehicle heading estimation using a two low-cost GPS receiver configuration
Mousa et al. Unmanned Aerial Vehicle Positioning using 5G New Radio Technology in Urban Environment
Siemuri et al. Application of machine learning to GNSS/IMU integration for high precision positioning on smartphones
JP2008039689A (ja) 位置検出装置及び位置検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