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3394A - 통신 장비용 유닛의 착탈시 유닛 보호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장비용 유닛의 착탈시 유닛 보호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3394A
KR20160143394A KR1020150080044A KR20150080044A KR20160143394A KR 20160143394 A KR20160143394 A KR 20160143394A KR 1020150080044 A KR1020150080044 A KR 1020150080044A KR 20150080044 A KR20150080044 A KR 20150080044A KR 20160143394 A KR20160143394 A KR 201601433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ignal
pair
power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0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호
명수곤
손동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주)유비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주)유비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50080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3394A/ko
Publication of KR20160143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33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14Distribution frames
    • H04Q1/146Distribution frames with line protection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03Power distribution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통신 장비용 유닛의 착탈시 유닛 보호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비용 유닛의 착탈시 유닛 보호 장치는 레버가 제 1 단계 및 제 2 단계로 구분하여 회동하는 이젝터 - 제 1 단계는 이젝터 자체의 기계적 회동으로 이루어지고, 제 2 단계는 이젝터와 통신 장비의 슬롯의 전면 셀프와의 맞물림 구조에 의한 물리적 회동으로 이루어짐 -; 이젝터에 내장되며, 레버의 회동 위치에 따라 온/오프 신호를 발생하는 이젝터 스위치; 이젝터 스위치로부터 온/오프 신호를 수신하고, 제어 유닛으로부터 유닛에 대한 인에이블/디스에이블 신호를 수신하여 유닛의 탈착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부;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유닛 내에 전원을 인가하거나 차단하는 핫 스왑 처리부; 및 이젝터 스위치의 오프 신호에 따라 제어 유닛으로 해당 유닛의 기능 전환을 요청하고, 제어 유닛의 지시에 따라 해당 기능을 사용중인 다른 동일 기능 유닛으로 전환한 후 전원을 오프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통신 장비용 유닛의 착탈시 유닛 보호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otecting unit of communication equipment upon inserting and removing unit}
본 발명은 통신 장비용 유닛의 착탈시 유닛 보호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핫 스왑(hot-swap) 동작에 의한 통신 장비용 유닛의 착탈시 유닛 보호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스템에 전원이 인가되고 정상 동작하는 경우 동작 중에 유닛을 제거할 상황이 발생하면, 시스템 전체의 전원을 오프하거나 해당 유닛의 전원만을 오프시킨 상태에서 유닛을 제거한다. 이때, 시스템의 전원을 오프하지 않은 상태에서 악영향을 줄 수 있는 유입 전류 및 과전류 보호를 고려하여 핫 스왑 동작이 구현된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 유닛의 제거시, 해당 유닛이 제거될 것이라는 정보를 제어 유닛이 사전에 알지 못한 상태에서 갑자기 정상 운용중인 유닛이 제거됨에 따라 해당 데이터 처리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유닛의 장착시, 유닛의 커넥터가 정상적으로 완전히 실장되지 않은 상태에서 전원이 인가될 경우, 해당 유닛이 정상적으로 부팅되지 않을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유닛이 완전히 실장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핀을 유닛의 커넥터 핀에 추가로 구성하고, 유닛이 실장되었음을 해당 핀이 감지하면, 제어 유닛에 의해 해당 유닛에 전원이 인가된다.
그러나, 이 경우, 유닛의 커넥터 핀에 불필요한 핀의 추가로 인해 복잡도가 증가하고, 유닛의 반복적인 실장 및 제거 동작에 의해 해당 핀의 변형이 발생하여 유닛의 완전 체결 여부를 인식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결론적으로, 종래의 핫 스왑 기능은 유닛의 실장 및 제거시 시스템이 수행중인 기능이 단절될 수 있어 시스템의 신뢰성이 낮아질 뿐만 아니라, 제어 유닛이 각 유닛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KR 2003-0035318 A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각 유닛의 기능을 끊김 없이 수행하면서도 핫 스왑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 장비용 유닛의 착탈시 유닛 보호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유닛의 제거시에도 제어 유닛이 실시간으로 유닛의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통신 장비용 유닛의 착탈시 유닛 보호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통신 장비용 유닛의 착탈시 유닛 보호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통신 장비용 유닛의 착탈시 유닛 보호 장치는 레버가 제 1 단계 및 제 2 단계로 구분하여 회동되는 한 쌍의 이젝터 - 상기 제 1 단계는 해당 유닛의 제거시, 상기 한 쌍의 이젝터의 누름 버튼에 의한 자동적인 회동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한 쌍의 이젝터와 상기 통신 장비의 슬롯의 전면 셀프와의 맞물림 구조에 기반하여 외력에 의한 수동적인 회동으로 이루어짐 -; 상기 한 쌍의 이젝터에 각각 내장되며, 상기 레버의 상기 제 1 단계 회동 위치에 따라 온/오프 신호를 발생하는 한 쌍의 이젝터 스위치; 전원 공급 유닛으로부터 인가된 전원을 해당 유닛 내로 인가하는 핫 스왑 처리부; 상기 핫 스왑 처리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변환하여 회로부로 제공하는 전원 변환부; 상기 핫 스왑 처리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지속적인 온 상태로 신호의 수신 대기 상태로 유지되며, 상기 한 쌍의 이젝터 스위치로부터 온/오프 신호를 수신하고, 제어 유닛으로부터 상기 해당 유닛에 대한 인에이블/디스에이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해당 유닛의 탈착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전원 변환부를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 시키는 전원 제어부; 및 상기 한 쌍의 이젝터 스위치로부터 모두 오프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어 유닛으로 상기 해당 유닛의 기능 전환을 요청하고, 상기 제어 유닛에 의해 해당 기능이 다른 동일 기능 유닛으로 전환되면, 상기 전원 제어부가 상기 전원 변환부를 디스에이블시켜 상기 해당 유닛의 전원을 실질적으로 오프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한 쌍의 이젝터 스위치 각각은 상기 제 1 단계 동작시 상기 레버가 상기 해당 유닛 측으로 최대 회동된 경우, 상기 온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한 쌍의 이젝터 스위치 각각은 상기 제 1 단계 동작시 상기 레버가 상기 해당 유닛으로부터 외측으로 최대 회동된 경우, 오프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레버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수동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레버의 회동 방향에 따라 상기 해당 유닛을 상기 통신 장비에 형성되는 대응하는 커넥터로부터 제거하거나 상기 커넥터에 삽입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단계는 상기 한 쌍의 이젝터 각각의 상기 누름 버튼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이젝터 각각의 레버가 자동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한 쌍의 이젝터 스위치에서 발생된 상기 온 신호에 따라 상기 해당 유닛의 인에이블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해당 유닛을 다른 기능 유닛으로 전환한 후, 상기 해당 유닛의 디스에이블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한 쌍의 이젝터 스위치로부터 모두 온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유닛으로부터 상기 인에이블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전원 변환부를 인에이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이젝터를 구비한 유닛이 착탈되는 통신 장비에서 유닛의 착탈시 유닛 보호 방법이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유닛은 레버가 제 1 단계 및 제 2 단계로 구분하여 회동하는 한 쌍의 이젝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단계는 해당 유닛의 제거시, 상기 한 쌍의 이젝터의 누름 버튼에 의한 자동적인 회동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한 쌍의 이젝터와 상기 통신 장비의 슬롯의 전면 셀프의 걸림 구조에 기반하여 외력에 의한 수동적인 회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통신 장비에서 유닛의 착탈시 유닛 보호 방법은 상기 레버의 상기 제 1 단계 회동 위치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이젝터 스위치로부터 발생하는 온 신호에 의해 상기 유닛에 전원을 인가하는 장착 단계; 및 상기 레버의 상기 제 1 단계 회동 위치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이젝터 스위치로부터 발생하는 오프 신호에 의해 상기 유닛의 전원을 차단하는 제거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거 단계는 상기 한 쌍의 이젝터 스위치로부터 모두 오프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오프 신호에 따라 제어 유닛으로 상기 유닛의 기능 전환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제어 유닛이 상기 유닛의 기능을 체크하여 사용중인 다른 동일 기능 유닛으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제어 유닛으로부터 디스에이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디스에이블 신호에 따라 상기 유닛의 전원 변환부를 디스에이블시켜 상기 유닛의 전원을 실질적으로 오프시키는 단계- 전원 공급 유닛으로부터 핫 스왑 처리부를 통하여 인가된 전원에 의해 전원 제어부가 지속적인 온 상태로 신호의 수신 대기 상태로 유지됨-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거 단계는 상기 한 쌍의 이젝터 각각의 상기 누름 버튼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이젝터 각각의 레버가 자동으로 회동하여 상기 레버가 상기 유닛으로부터 외측으로 최대 회동한 경우, 상기 오프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장착 단계는 전원 공급 유닛으로부터 인가된 전원을 핫 스왑 처리부에 의해 상기 유닛 내로 인가하는 단계- 상기 핫 스왑 처리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전원 제어부는 지속적인 온 상태로 신호의 수신 대기 상태로 유지됨-; 상기 한 쌍의 이젝터 스위치로부터 모두 온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한 쌍의 이젝터 스위치에서 발생된 온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 유닛에 의해 발생된 상기 유닛의 인에이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일정 시간 경과 후, 상기 온 신호 및 상기 인에이블 신호에 의해, 상기 핫 스왑 처리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변환하여 회로부로 제공하도록 전원 변환부를 인에이블시켜 상기 유닛의 전원을 실질적으로 온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장착 단계는 상기 한 쌍의 이젝터 각각의 상기 레버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이젝터 각각의 레버가 수동으로 회동하여 상기 유닛 측으로 최대 회동한 경우, 상기 온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비용 유닛의 착탈시 유닛 보호 장치 및 방법은 유닛 내에서 전원이 완전히 오프된 상태에서 유닛을 제거하거나 유닛이 완전히 장착된 상태에서 전원을 인가하여 유닛이 완전히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전원이 인가됨을 방지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커넥터 정합에 따른 에러를 최소화하여 과전류로부터 유닛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통신 장비용 유닛의 착탈시 유닛 보호 장치 및 방법은 핫 스왑 수행 시 수행중인 기능을 다른 유닛으로 전환하여 끊김 없이 해당 기능을 유지함으로써 해당 기능을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통신 장비용 유닛의 착탈시 유닛 보호 장치는 실시간으로 유닛의 상태를 감지하여 유닛 제거시에도 해당 유닛으로 요청된 기능을 누락하지 않고 수행할 수 있어 통신 장비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젝터를 구비한 유닛이 통신 장비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비용 유닛의 착탈시 유닛 보호 장치의 이젝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비용 유닛의 착탈시 유닛 보호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전원 제어부의 입력 신호에 대한 논리 회로이다.
도 5는 도 3의 상태 표시부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비에서 유닛의 제거시 유닛 보호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비에서 유닛의 장착시 유닛 보호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젝터를 구비한 유닛이 통신 장비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비용 유닛의 착탈시 유닛 보호 장치의 이젝터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젝터를 구비한 유닛이 착탈되는 통신 장비(1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비(10)는 프레임(11)으로 본체가 구성되고, 프레임(11)에는 기능 유닛(14), 제어 유닛(15), 및 전원 공급 유닛(16) 등과 같은 각종 유닛을 장착하기 위한 복수의 슬롯(13)이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11)의 전면에 형성된 전면 셀프(1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 유닛이 프레임(11)에 착탈되는 경우, 이젝터(200)와 맞물림 구조를 이루어 이젝터(200)에 의해 유닛들이 프레임(11)으로부터 착탈될 수 있도록 한다.
슬롯(13)에 장착되는 기능 유닛(14)은 슬롯(13)으로부터 착탈 기능을 위해 그 전면부(102)의 양측에 한 쌍의 이젝터(200)가 결합되고, 한 쌍의 이젝터(200)의 레버의 회동 동작에 따라 슬롯(13)에 장착되거나 슬롯(13)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또한, 유닛 전면부(102)에는 기능 유닛(14)의 각종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표시부(15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기능 유닛(14)의 후면부에는 유닛 커넥터(104)가 형성되어 프레임(11)의 커넥터(미도시)에 삽입될 수 있다.
도 1에는 기능 유닛(14)이 통신 장비(10)의 슬롯(13)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통신 장비(10)의 슬롯(13)에 장착되는 유닛은 통신 유닛뿐만 아니라 제어 유닛(15), 전원 공급 유닛(16), 및 팬 모듈(미도시) 중 어느 하나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젝터(200)는 레버(210), 회동축(220), 결합부(230), 및 신호 인출선(240)을 포함한다.
레버(210)는 회동축(220)이 연결되는 위치로부터 일 방향의 측단부에 형성된 전후측 돌출부(216, 218)와, 회동축(220)이 연결되는 위치로부터 타 방향으로 형성된 손잡이(2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후측 돌출부(216, 218)는 레버(210)의 회동을 통해 기능 유닛(14)의 장착 및 제거 시 전면 셀프(12)에 형성된 지지 돌기(미도시)에 접촉 지지하여 지렛대 원리에 의해 장착과 제거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손잡이(214)를 파지하고, 레버(210)에 외력을 가하여 회동시킴으로써 기능 유닛(14)을 슬롯(13)에 장착 또는 고정하거나, 슬롯(13)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결합부(230)는 기능 유닛(14)에 이젝터(200)를 결합하기 위한 요소이다. 이러한 결합부(230)는 기능 유닛(14)에 나사 결합을 통하여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230)는 레버(210)와 대면하는 부분에 이젝터 스위치(202)가 수납될 수 있다. 여기서, 이젝터 스위치(202)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 스위치일 수 있고, 레버(210)의 위치에 따라 누름 상태 또는 누름 해제 상태로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젝터 스위치(202)는 레버(210)에 의해 누름 상태인 경우, 기능 유닛(14)의 온 신호를 발생하고, 누름 해제 상태인 경우, 기능 유닛(14)의 오프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신호 인출선(240)은 결합부(230)에 수납된 이젝터 스위치(202) 및 기능 유닛(14)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젝터 스위치(202)의 온/오프 상태 신호를 기능 유닛(14)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이젝터(200)는 레버(210)가 제 1 단계 및 제 2 단계로 구분하여 회동하는데, 여기서, 제 1 단계는 이젝터(200) 자체의 잠금 구조 및 잠금해제 구조에 의한 회동으로 이루어지고, 특히, 기능 유닛(14)의 제거시 이젝터(200)의 누름 버튼(212)에 의한 자동적인 회동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제 2 단계는 이젝터(200)와 통신 장비(10)의 전면 셀프(12)와의 맞물림 구조에 기반하여 외력에 의한 수동적인 회동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결합부(230)에 내장된 이젝터 스위치(202)는 상기 제 1 단계 동작시, 레버(210)가 기능 유닛(14) 측으로 최대 회동된 경우, 즉, 도 1에서와 같이 기능 유닛(14)이 슬롯(13)에 완전히 장착된 경우, 온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이젝터(200)의 손잡이(214)를 수동적으로 회동시키면, 이젝터(200) 내부의 잠금 구조에 의해 레버(210)가 기능 유닛(14) 측으로 회동되며, 이때, 최대 회동된 레버(210)에 의해 이젝터 스위치(202)가 온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이젝터 스위치(202)는 상기 제 1 단계 동작시, 레버(210)가 기능 유닛(14)으로부터 외측으로 최대 회동된 경우, 오프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이젝터(200)의 누름 버튼(212)을 누르면, 누름 버튼(212)은 이젝터(200) 내부의 잠금 구조를 해제하고, 잠금 구조와 연동하는 탄성부에 의해 레버(210)가 기능 유닛(14)의 외측으로 자동으로 회동되며, 이때, 최대 회동된 레버(210)에 의해 이젝터 스위치(202)는 오프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2 단계는 레버(210)에 가해지는 외부의 물리적인 힘, 즉, 사용자가 손잡이(214)를 잡고 잡아당김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기능 유닛(14)은 통신 장비(10)에 형성되는 대응하는 커넥터(미도시)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역으로, 사용자가 레버(210)를 기능 유닛(14)측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기능 유닛(14)은 통신 장비(10)에 형성되는 대응하는 커넥터(미도시)에 삽입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통신 장비용 유닛의 착탈시 유닛 보호 장치를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비용 유닛의 착탈시 유닛 보호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전원 제어부의 입력 신호에 대한 논리 회로이며, 도 5는 도 3의 상태 표시부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유닛 보호 장치(100)는 이젝터 스위치(202), 핫 스왑 처리부(110), 전원 제어부(120), 전원 변환부(130), 제어부(140), 상태 표시부(150), 및 회로부(1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 유닛(15)은 통신 장비(1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유닛이며, 전원 공급 유닛(16)은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통신 장비(10) 내의 각종 유닛에 전원을 공급하는 유닛일 수 있다.
이젝터 스위치(202)는 이젝터(200)에 내장되며, 이젝터(200)의 레버(210)의 회동 위치에 따라 온/오프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젝터 스위치(202)는 이젝터(200)의 레버(210)가 기능 유닛(14) 측으로 최대 회동된 경우 온 신호를 발생하고, 이젝터(200)의 레버(210)가 기능 유닛(14)의 외측으로 회동된 경우, 오프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핫 스왑 처리부(110)는 통신 장비(10)가 동작 중에 기능 유닛(14)을 장착하거나 제거하는 경우 기능 유닛(14)에 과전류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고 핫 스왑을 처리할 수 있다. 이러한 핫 스왑 처리부(110)는 전원 공급 유닛(16)으로부터 인가된 전원을 기능 유닛(14) 내로 인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핫 스왑 처리부(110)는 기능 유닛(14)이 통신 장비(10)에 장착되면, 유닛 커넥터(104)를 통하여 전원 공급 유닛(16)으로부터 인가된 전원을 전원 제어부(120)로 제공할 수 있다.
전원 제어부(120)는 한 쌍의 이젝터 스위치(202), 제어 유닛(15), 및 전원 공급 유닛(16)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한 쌍의 이젝터 스위치(202)로부터 온/오프 신호를 수신하고, 통신 장비(10)의 제어 유닛(15)으로부터 기능 유닛(14)에 대한 인에이블/디스에이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전원 제어부(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CPLD(complex programmable logic device)와 같은 논리 회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해당 기능 유닛(14)에 전원이 실질적으로 인가되기 전에도, 핫 스왑 처리부(110)를 통하여 전원 공급 유닛(16)으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여기서, 기능 유닛(14)에 전원이 실질적으로 인가되거나, 기능 유닛(14)의 전원이 실질적으로 온된다는 것은 전원 변환부(130)로부터 회로부(160)가 전원을 공급받아 기능 유닛(14)이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상태임을 의미한다. 즉, 전원 제어부(120)는 기능 유닛(14)의 장착 및 제거시 핫 스왑 처리부로(110)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지속적인 온 상태로 유지되어 이젝터 스위치(202)로부터의 신호 수신을 대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 기능 유닛(14)은 통신 장비에 완전히 장착된 상태에서 전원이 온되거나, 전원이 오프된 상태에서 제거가 가능하여 기능 유닛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전원 제어부(120)는 한 쌍의 이젝터 스위치(202)의 온/오프 신호 및 제어 유닛(15)의 인에이블/디스에이블 신호에 따라 기능 유닛(14)의 착탈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유닛(15)은 이젝터 스위치(202)에서 발생된 온 신호에 따라 기능 유닛(14)의 인에이블 신호를 발생하고, 이젝터 스위치(202)에서 발생된 오프 신호 및 제어부(140)의 요청에 따른 기능 유닛(14)의 기능 전환 후 기능 유닛(14)의 디스에이블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능 유닛(14)이 장착되는 경우, 전원 제어부(120)는 핫 스왑 처리부(110)를 통하여 인가된 전원에 의해 먼저 온되어 신호 대기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이젝터 스위치(202)로부터 온 신호가 수신되고, 제어 유닛(15)으로부터 인에이블 신호가 수신되면, 전원 제어부(120)는 기능 유닛(14)이 통신 장비(10)의 슬롯(13)에 완전히 장착된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유닛 커넥터(104)는 프레임(11)에 형성된 커넥터(미도시)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일 수 있다. 이때, 전원 제어부(120)는 기능 유닛(14)을 정상적으로 동작시키도록 실질적으로 전원을 온 시키기 위해 전원 변환부(130)를 인에이블시킬 수 있다.
또한, 기능 유닛(14)이 제거되는 경우, 전원 제어부(120)는 이젝터 스위치(202)로부터 오프 신호가 수신되고, 제어 유닛(15)으로부터 디스에이블 신호가 수신되면, 기능 유닛(14)이 통신 장비(10)의 슬롯(13)으로부터 제거될 예정임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전원 제어부(120)는 제어 유닛(15)으로부터 디스에이블 신호를 수신하면, 기능 유닛(14)의 전원을 실질적으로 오프시키기 위해 전원 변환부(130)를 디스에이블시킬 수 있다. 이 때, 전원 제어부(120)는 핫 스왑 처리부(110)를 통하여 인가된 전원에 의해 지속적인 온 상태로 신호의 수신 대기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전원 변환부(130)는 전원 제어부(120)에 의해 인에이블됨에 따라 핫 스왑 처리부(110)에 의해 인가된 전원을 회로부(160)를 이루는 각종 소자에 적합한 전원으로 변환하여 공급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이젝터 스위치(202)의 오프 신호에 따라 제어 유닛(15)으로 해당 유닛의 기능 전환을 요청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기능 유닛(14)을 제거하기 위해 이젝터 스위치(202)로부터 오프 신호가 발생되면, 전원 제어부(120)에 의해 기능 유닛(14)의 전원을 실질적으로 오프시키기 전에 수행중인 기능을 다른 기능 유닛으로 전환하도록 제어 유닛(15)으로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능 유닛(14)이 통신 유닛인 경우, 현재 서비스중인 회선을 다른 통신 유닛의 회선으로 전환하도록 제어 유닛(15)에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제어 유닛(15)은 이젝터 스위치(202)의 오프 신호에 따라 기능 유닛(14)의 디스에이블 신호를 즉시 발생시키는 대신, 제어부(140)의 요청에 따른 수행중인 기능의 전환을 제어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해당 기능 유닛(14)이 제어 유닛인 경우, 스탠바이 상태인 다른 제어 유닛으로 기능 전환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40)는 제어 유닛(15)에 의해 해당 기능이 사용중이거나 스탠바이 상태인 다른 동일 기능 유닛(14)으로 전환되면, 기능 유닛(14)의 전원을 실질적으로 오프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의 기능 전환 요청에 따라, 제어 유닛(15)이 전환 가능한 동일 기능 유닛(14)을 탐색하여, 전원 오프될 기능 유닛(14)에서 수행중인 기능을 탐색된 동일 기능 유닛(14)으로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해당 기능 유닛(14)이 제어 유닛인 경우, 제어부(140)는 스탠바이 상태의 다른 제어 유닛으로 전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태 표시부(150)는 기능 유닛(14)의 동작 상태를 표시할 수 있으며, 이젝터 스위치 상태등(152), 전원 상태등(154), 및 서비스 상태등(156)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상태등은 예를 들면 LED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해당 기능의 상태에 따라 점등 또는 소등되거나 상이한 색으로 점등될 수 있다.
이젝터 스위치 상태등(152)은 이젝터 스위치(202)에서 발생하는 온/오프 신호에 따른 이젝터 스위치(202)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젝터 스위치(202)가 온 신호를 발생한 경우, 이젝터 스위치 상태등(152)은 온 되거나 녹색으로 점등되고, 이젝터 스위치(202)가 오프 신호를 발생한 경우, 이젝터 스위치 상태등(152)은 오프되거나 적색으로 점등될 수 있다.
전원 상태등(154)은 전원 제어부(120) 및 핫 스왑 처리부(110)의 처리에 의해 기능 유닛(14)에 전원이 실질적으로 인가된 상태, 즉 회로부(160)에 전원이 인가된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회로부(160)에 전원이 인가된 경우, 온되거나 녹색으로 점등되고, 회로부(160)에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 오프되거나 적색으로 점등될 수 있다.
서비스 상태등(156)은 기능 유닛(14)의 주요 기능의 수행 여부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비스 상태등(156)은 기능 유닛(14)의 주요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온되거나 녹색으로 점등되고, 주요 기능을 수행중이지 않은 경우, 또는 스탠바이 상태인 경우, 오프되거나 적색으로 점등될 수 있다.
회로부(160)는 기능 유닛(14)의 주요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요소로서, 기능 유닛(14) 내의 인쇄 회로 기판 상에 구성되는 모든 회로 요소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회로부(160)는 주요 기능을 수행하는 기능 칩 및 그에 수반되는 각종 소자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유닛 보호 장치는 유닛의 착탈시 발생하는 커넥터 정합에 따른 에러를 최소화하여 과전류로부터 유닛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끊김 없이 해당 기능을 유지하여 해당 기능을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유닛 제거시에도 해당 유닛으로 요청된 기능을 누락하지 않고 수행할 수 있어 통신 장비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통신 장비에서 유닛의 착탈시 유닛 보호 방법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비에서 유닛의 제거시 유닛 보호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비에서 유닛의 장착시 유닛 보호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통신 장비에서 유닛의 제거시 유닛 보호 방법(600)은 이젝터(200)의 레버(210)의 회동 위치에 따라 이젝터 스위치(202)로부터 발생하는 오프 신호에 의해 기능 유닛(14)의 전원을 차단하는 제거 방법으로서, 이젝터 스위치(202)의 오프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S601 및 S602), 현재 수행중이 기능을 전환하는 단계(S603 및 S604), 및 제어 유닛(15)의 디스에이블 신호에 의해 기능 유닛(14)의 전원을 실질적으로 오프시키는 단계(S605 및 S606)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한 쌍의 이젝터(200)에 내장된 이젝터 스위치(202)로부터 오프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단계 S601). 예를 들면, 사용자가 이젝터(200)의 누름 버튼(212)을 누르면, 누름 버튼(212)에 의해 이젝터(200)의 레버가 자동으로 회동하여 레버(210)가 기능 유닛(14)의 외측으로 회동함으로써, 이젝터 스위치(202)가 오프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젝터 스위치(202)에서 발생된 오프 신호를 전원 제어부(120)가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기능 유닛(15)은 전원 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전원이 회로부(160)에 공급되어 정상적으로 기능을 수행하는 상태이다.
다음으로, 유닛 보호 장치(100)는 제어 유닛(15)으로 이젝터 스위치(202)의 오프 신호를 보고할 수 있다(단계 S602). 여기서, 제어 유닛(15)은 유닛 커넥터(104)를 통하여 이젝터 스위치(20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이젝터 스위치(202)에서 오프 신호가 발생한 즉시 해당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유닛 보호 장치(100)는 이젝터 스위치(202)의 오프 신호에 따라 제어 유닛(15)으로 해당 기능 유닛(14)의 기능 전환을 요청할 수 있다(단계 S603). 즉, 이젝터 스위치(202)의 오프 신호에 따라 기능 유닛(14)의 전원을 실질적으로 오프시키기 전에 수행중인 기능을 다른 기능 유닛으로 전환하도록 제어 유닛(15)으로 요청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해당 기능 유닛(14)이 제어 유닛인 경우, 스탠바이 상태의 다른 제어 유닛으로 전환을 요청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 유닛(15)이 해당 기능 유닛(14)의 기능을 체크하여 사용중인 다른 동일 기능 유닛으로 전환할 수 있다(단계 S604). 여기서, 해당 기능 유닛(14)에서 현재 수행중인 처리는 데이터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해당 처리를 완료한 후에 기능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 유닛(15)은 전환 가능한 동일 기능 유닛(14)을 탐색하여, 전원 오프될 기능 유닛(14)에서 수행중인 기능을 탐색된 동일 기능 유닛(14)으로 전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해당 기능 유닛(14)은 추가로 발생하는 기능 수행 요청을 거부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유닛(15)은 해당 기능 유닛(14)에 대한 기능 수행이 요청되면, 다른 기능 유닛으로 재할당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해당 기능 유닛(14)이 제어 유닛인 경우, 스탠바이 상태의 다른 제어 유닛으로 전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 유닛(15)으로부터 디스에이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단계 S605). 즉, 기능 유닛(14)에서 수행되는 모든 기능이 다른 기능 유닛으로 전환되면, 제어 유닛(15)은 해당 기능 유닛(14)의 전원을 실질적으로 오프시키기 위한 디스에이블 신호를 발생하고, 유닛 보호 장치(100)의 전원 제어부(120)는 이러한 디스에이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젝터 스위치(202)의 오프 신호에 따라 해당 기능 유닛(14)의 기능 전환 후에 제어 유닛(15)이 디스에이블 신호를 발생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이젝터 스위치(202)의 오프 신호가 수신되면 일정 시간 경과 후에 제어 유닛(15)이 디스에이블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일정 시간 동안, 해당 기능 유닛(14)의 전환이 수행될 수 있고, 이 때, 일정 시간 경과 후에도 전환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전환이 완료될 때까지 디스에이블 신호의 발생을 대기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 유닛(15)로부터 수신된 디스에이블 신호에 따라 기능 유닛(14)의 전원을 실질적으로 오프시킬 수 있다(단계 S606). 즉, 기능 유닛(14)의 해당 기능의 전환후, 전원 제어부(120)는 제어 유닛(15)의 디스에이블 신호 및 이젝터 스위치(202)의 오프 신호에 따라 전원 변환부(130)를 디스에이블시켜 해당 기능 유닛(14)의 전원을 실질적으로 오프시킬 수 있다. 이 때, 전원 제어부(120)는 핫 스왑 처리부(110)를 통하여 인가된 전원에 의해 지속적인 온 상태로 신호의 수신 대기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기능 유닛(14)의 전원이 실질적으로 오프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이젝터(200)의 레버(210)를 수동으로 회동시켜, 기능 유닛(14)의 외측으로 최대 회동시키면, 유닛 커넥터(104)가 프레임(11)의 커넥터(미도시)로부터 제거됨으로써, 사용자는 기능 유닛(14)을 통신 장비(10)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장비에서 유닛의 삽입시 유닛 보호 방법(700)은 이젝터 스위치(202)로부터 발생하는 온 신호에 따라 기능 유닛(14)에 전원을 인가하는 장착 방법으로서, 핫 스왑 처리부(110)가 활성화되는 단계(S701), 이젝터 스위치(202)의 온 신호 및 제어 유닛(15)의 인에이블 신호를 수신 및 감지하는 단계(S702 및 S703), 및 일정 시간 경과후, 해당 기능 유닛(14)의 전원을 실질적으로 온시키는 단계(S704 및 S705)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기능 유닛(15)이 통신 장비(10)에 장착됨에 따라 핫 스왑 처리부(110)가 활성화될 수 있다(S701). 예를 들면, 사용자가 기능 유닛(15)을 통신 장비(10)에 삽입하고 이젝터(200)의 레버(210)를 수동으로 회동시켜 기능 유닛(15) 측으로 회동시키면, 유닛 커넥터(104)가 프레임(11)의 커넥터(미도시)에 삽입된다. 이 때, 핫 스왑 처리부(110)는 전원 공급 유닛(16)으로부터 인가된 전원을 기능 유닛(14) 내로 인가할 수 있다. 여기서, 전원 제어부(120)는 핫 스왑 처리부(110)를 통하여 인가된 전원에 의해 먼저 온되어 이젝터 스위치(202)로부터의 신호 대기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이젝터 스위치(202)로부터 온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단계 S702). 예를 들면, 사용자가 이젝터(200)의 레버(210)를 수동으로 회동시켜 기능 유닛(14) 측으로 최대 회동하면, 이젝터 스위치(202)가 온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젝터 스위치(202)에서 발생된 온 신호를 전원 제어부(120)가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제어 유닛(15)에서 이젝터 스위치(202)의 온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즉, 이젝터 스위치(202)는 기능 유닛(14) 뿐만 아니라 유닛 커넥터(104)를 통하여 제어 유닛(15)과도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이젝터 스위치(202)가 온 신호를 발생하면, 제어 유닛(15)도 즉시 이젝터 스위치(202)의 온 신호를 즉시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제어 유닛(15)은 이젝터 스위치(202)에서 발생된 온 신호를 감지함에 따라 기능 유닛(14)에 대한 인에이블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 유닛(15)에서 발생된 기능 유닛(14)의 인에이블 신호를 유닛 보호 장치(100)에서 수신할 수 있다(단계 S703). 이때, 전원 제어부(120)는 한 쌍의 이젝터 스위치(202)의 온 신호 및 제어 유닛(15)의 인에이블 신호에 의해, 기능 유닛(14)이 통신 장비(10)의 슬롯(13)에 완전히 장착된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일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대기할 수 있다(S704). 즉, 기능 유닛(14)의 장착을 감지한 후 안정적인 전원 공급을 위해 일정 시간, 예를 들면, 5초 동안 대기 후에 기능 유닛(14)에 전원이 실질적으로 인가될 수 있다.
다음으로, 유닛 보호 장치(100)는 전원 변환부(130)를 인에이블시켜 전원 공급 유닛(16)로부터 핫 스왑 처리부(110)를 통하여 공급되는 전원을 회로부(160)에 인가하여, 실질적으로 기능 유닛(14)의 전원을 온 시킬 수 있다(단계 S705). 이때 유닛 커넥터(104)는 프레임(11)에 형성된 커넥터(미도시)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기능 유닛(14)을 정상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해 전원 변환부(130)를 인에이블 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유닛 보호 방법은 유닛의 착탈에 따른 과전류로부터 유닛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끊김 없이 해당 기능을 유지하여 해당 기능을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유닛 제거시에도 해당 유닛으로 요청된 기능을 누락하지 않고 수행할 수 있어 통신 장비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들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어 유닛(15) 및 유닛 보호 장치(100)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특히, 이러한 단계들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되거나 전송 매체 또는 통신망에서 반송파와 결합된 컴퓨터 데이터 신호에 의하여 전송될 수 있다.
이 때,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판독가능한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하며, 예를 들면, ROM, RAM, CD-ROM, DVD-ROM, DVD-RA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 통신 장비 11 : 프레임
12 : 전면 셀프 13 : 슬롯
14 : 기능 유닛 15 : 제어 유닛
16 : 전원 공급 유닛 100 : 유닛 보호 장치
102 : 유닛 전면부 104 : 유닛 커넥터
110 : 홧 스왓 처리부 120 : 전원 제어부
130 : 전원 변환부 150 : 상태 표시부
152 : 이젝터 스위치 상태등 154 : 전원 상태등
156 : 동작 상태등 160 : 회로부
200 : 이젝터 202 : 이젝터 스위치
210 : 레버 212 : 누름 버튼
214 : 손잡이 216,218 : 전후측 돌출부
220 : 회동축 230 : 결합부
240 : 신호 인출선

Claims (11)

  1. 통신 장비용 유닛의 착탈시 유닛 보호 장치로서,
    레버가 제 1 단계 및 제 2 단계로 구분하여 회동되는 한 쌍의 이젝터 - 상기 제 1 단계는 해당 유닛의 제거시, 상기 한 쌍의 이젝터의 누름 버튼에 의한 자동적인 회동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한 쌍의 이젝터와 상기 통신 장비의 슬롯의 전면 셀프와의 맞물림 구조에 기반하여 외력에 의한 수동적인 회동으로 이루어짐 -;
    상기 한 쌍의 이젝터에 각각 내장되며, 상기 레버의 상기 제 1 단계 회동 위치에 따라 온/오프 신호를 발생하는 한 쌍의 이젝터 스위치;
    전원 공급 유닛으로부터 인가된 전원을 해당 유닛 내로 인가하는 핫 스왑 처리부;
    상기 핫 스왑 처리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변환하여 회로부로 제공하는 전원 변환부;
    상기 핫 스왑 처리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지속적인 온 상태로 신호의 수신 대기 상태로 유지되며, 상기 한 쌍의 이젝터 스위치로부터 온/오프 신호를 수신하고, 제어 유닛으로부터 상기 해당 유닛에 대한 인에이블/디스에이블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해당 유닛의 탈착 상태를 감지하고, 상기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전원 변환부를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 시키는 전원 제어부; 및
    상기 한 쌍의 이젝터 스위치로부터 모두 오프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기 제어 유닛으로 상기 해당 유닛의 기능 전환을 요청하고, 상기 제어 유닛에 의해 해당 기능이 다른 동일 기능 유닛으로 전환되면, 상기 전원 제어부가 상기 전원 변환부를 디스에이블시켜 상기 해당 유닛의 전원을 실질적으로 오프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통신 장비용 유닛의 착탈시 유닛 보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이젝터 스위치 각각은 상기 제 1 단계 동작시 상기 레버가 상기 해당 유닛 측으로 최대 회동된 경우, 상기 온 신호를 발생하는, 통신 장비용 유닛의 착탈시 유닛 보호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이젝터 스위치 각각은 상기 제 1 단계 동작시 상기 레버가 상기 해당 유닛으로부터 외측으로 최대 회동된 경우, 오프 신호를 발생하는, 통신 장비용 유닛의 착탈시 유닛 보호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레버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수동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레버의 회동 방향에 따라 상기 해당 유닛을 상기 통신 장비에 형성되는 대응하는 커넥터로부터 제거하거나 상기 커넥터에 삽입하는, 통신 장비용 유닛의 착탈시 유닛 보호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단계는 상기 한 쌍의 이젝터 각각의 상기 누름 버튼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이젝터 각각의 레버가 자동으로 회동되는, 통신 장비용 유닛의 착탈시 유닛 보호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한 쌍의 이젝터 스위치에서 발생된 상기 온 신호에 따라 상기 해당 유닛의 인에이블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해당 유닛을 다른 기능 유닛으로 전환한 후, 상기 해당 유닛의 디스에이블 신호를 발생하는, 통신 장비용 유닛의 착탈시 유닛 보호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제어부는 상기 한 쌍의 이젝터 스위치로부터 모두 온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 유닛으로부터 상기 인에이블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전원 변환부를 인에이블시키는, 통신 장비용 유닛의 착탈시 유닛 보호 장치.
  8. 레버가 제 1 단계 및 제 2 단계로 구분하여 회동되는 한 쌍의 이젝터 - 상기 제 1 단계는 해당 유닛의 제거시, 상기 한 쌍의 이젝터의 누름 버튼에 의한 자동적인 회동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단계는 상기 한 쌍의 이젝터와 통신 장비의 슬롯의 전면 셀프의 걸림 구조에 기반하여 외력에 의한 수동적인 회동으로 이루어짐- 를 구비한 유닛이 착탈되는 통신 장비에서 유닛의 착탈시 유닛 보호 방법으로서,
    상기 레버의 상기 제 1 단계 회동 위치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이젝터 스위치로부터 발생하는 온 신호에 의해 상기 유닛에 전원을 인가하는 장착 단계; 및
    상기 레버의 상기 제 1 단계 회동 위치에 따라 상기 한 쌍의 이젝터 스위치로부터 발생하는 오프 신호에 의해 상기 유닛의 전원을 차단하는 제거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거 단계는,
    상기 한 쌍의 이젝터 스위치로부터 모두 오프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오프 신호에 따라 제어 유닛으로 상기 유닛의 기능 전환을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제어 유닛이 상기 유닛의 기능을 체크하여 사용중인 다른 동일 기능 유닛으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제어 유닛으로부터 디스에이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디스에이블 신호에 따라 상기 유닛의 전원 변환부를 디스에이블시켜 상기 유닛의 전원을 실질적으로 오프시키는 단계- 전원 공급 유닛으로부터 핫 스왑 처리부를 통하여 인가된 전원에 의해 전원 제어부가 지속적인 온 상태로 신호의 수신 대기 상태로 유지됨-를 포함하는, 통신 장비에서 유닛의 착탈시 유닛 보호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거 단계는 상기 한 쌍의 이젝터 각각의 상기 누름 버튼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이젝터 각각의 레버가 자동으로 회동되어 상기 레버가 상기 유닛으로부터 외측으로 최대 회동된 경우, 상기 오프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장비에서 유닛의 착탈시 유닛 보호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단계는,
    전원 공급 유닛으로부터 인가된 전원을 핫 스왑 처리부에 의해 상기 유닛 내로 인가하는 단계- 상기 핫 스왑 처리부로부터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상기 전원 제어부는 지속적인 온 상태로 신호의 수신 대기 상태로 유지됨 -;
    상기 한 쌍의 이젝터 스위치로부터 모두 온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한 쌍의 이젝터 스위치에서 발생된 온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 유닛에 의해 발생된 상기 유닛의 인에이블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일정 시간 경과 후, 상기 온 신호 및 상기 인에이블 신호에 의해, 상기 핫 스왑 처리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변환하여 회로부로 제공하도록 전원 변환부를 인에이블시켜 상기 유닛의 전원을 실질적으로 온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통신 장비에서 유닛의 착탈시 유닛 보호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단계는 상기 한 쌍의 이젝터 각각의 상기 레버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상기 한 쌍의 이젝터 각각의 레버가 수동으로 회동되어 상기 유닛 측으로 최대 회동된 경우, 상기 온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장비에서 유닛의 착탈시 유닛 보호 방법.
KR1020150080044A 2015-06-05 2015-06-05 통신 장비용 유닛의 착탈시 유닛 보호 장치 및 방법 KR201601433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0044A KR20160143394A (ko) 2015-06-05 2015-06-05 통신 장비용 유닛의 착탈시 유닛 보호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0044A KR20160143394A (ko) 2015-06-05 2015-06-05 통신 장비용 유닛의 착탈시 유닛 보호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3394A true KR20160143394A (ko) 2016-12-14

Family

ID=57575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0044A KR20160143394A (ko) 2015-06-05 2015-06-05 통신 장비용 유닛의 착탈시 유닛 보호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4339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5318A (ko) 2001-10-31 2003-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핫 스왑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5318A (ko) 2001-10-31 2003-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핫 스왑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786742B (zh) 服务器串口切换装置及方法、服务器
US9317104B2 (en) Server cluster and control mechanism thereof
US20090049337A1 (en)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redundancy and hot-swapping capability of a redundant power supply
JP2003122459A (ja) サーバシステムにおける電力管理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10860404B2 (en) Server and debugging method therefor
KR0163706B1 (ko) 주변 장치 교환 회로 및 방법
TWI385395B (zh) 測試裝置及其自動化測試方法
KR100793306B1 (ko) 휴대용단말기에 있어서 리세트 회로 및 방법
JP2001251333A (ja) ユニバーサルシリアルバスを備えたコンピュータのワイヤレス入力装置の通信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JP5169676B2 (ja) スイッチ装置
JP2007036832A (ja) 電源回路および周辺機器
KR20160143394A (ko) 통신 장비용 유닛의 착탈시 유닛 보호 장치 및 방법
CA3034436A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obtaining operational data from circuit breakers
EP2177999B1 (en) Terminal device
CN108243358B (zh) 可插拔业务板
KR100690729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구분 동작 온/오프 장치 및 방법
EP2237475B1 (en) Method, system and single board of supporting hot plug
KR101583557B1 (ko)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컴퓨터의 대기전원을 이용해서 전원을 제어하는 컴퓨터 전원 제어 pci 카드 및 그의 전원 제어방법
US20040189341A1 (en) Power-on self test for a computer system
TWI483124B (zh) 電腦系統及電腦系統的使用方法
CN101330549B (zh) 一种智能下载单板配置信息的方法及装置
WO2013145300A1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電源制御方法
KR101683240B1 (ko) 장착 및 탈착 검출이 가능한 통신기기용 셀프 장착 유닛
US10073505B2 (en) Analytical device
US9213383B2 (en) Switching circuit module, computer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computer system reset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