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3375A - 관 크리닝 장치, 원료 처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관 크리닝 장치, 원료 처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3375A
KR20160143375A KR1020150079984A KR20150079984A KR20160143375A KR 20160143375 A KR20160143375 A KR 20160143375A KR 1020150079984 A KR1020150079984 A KR 1020150079984A KR 20150079984 A KR20150079984 A KR 20150079984A KR 20160143375 A KR20160143375 A KR 201601433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bending
tube portion
outlet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9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97673B1 (ko
Inventor
전만수
변창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50079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7673B1/ko
Publication of KR20160143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33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7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7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43/00Preventing or removing incrustations
    • C10B43/02Removing incrustations
    • C10B43/04Removing incrustations by mechanical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27/00Arrangements for withdrawal of the distillation gases
    • C10B27/06Conduit details, e.g. 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29/00Other details of coke ove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43/00Preventing or removing incrustations
    • C10B43/14Preventing incrusta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출구가 상기 통로의 내부에서 개방되는 관부, 상기 관부의 입구에 연결되는 센서부, 상기 관부의 출구를 통과하여 내부에 부착되는 불순물에 외력을 작용시켜 제거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불순물 제거부를 포함하여, 처리물이 통과되는 통로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는 관 크리닝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원료 처리 장치 및 원료 처리 방법으로서, 관부의 막힘을 방지하여 가스가 유도되는 통로의 압력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고, 이에 통로의 개도를 안정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원료가 처리되는 공간의 압력을 일정하게 제어할 수 있는 관 크리닝 장치, 원료 처리 장치 및 원료 처리 방법이 제시된다.

Description

관 크리닝 장치, 원료 처리 장치 및 방법{Tube cleaning apparatus, Raw material processing apparatus and Raw material processing method}
본 발명은 관 크리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압력을 측정하도록 통로의 내부로 연장되는 관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는 관 크리닝 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원료 처리 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원료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코크스 오븐은 원료탄을 고온에서 건류시켜 코크스로 제조하는 공정에 적용되는 설비이다. 코크스 오븐의 탄화실에서 원료탄이 건류되는 동안 탄화실의 내부 압력은 일정하게 유지 또는 제어되어야 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코크스 오븐의 상승관과 연결된 가스 수집조의 곡관부에 트랜스 미터를 연결하고, 트랜스 미터로부터 측정되는 곡관부의 압력이 소정 값을 유지하도록 곡관부의 개도를 조절하여, 탄화실에서 생성되어 상승관으로 배기되는 코크스 오븐 가스의 유량을 조절하였다.
하지만, 곡관부를 통과하는 코크스 오븐 가스에는 원료탄으로부터 기인하는 타르나 카본 등의 불순물이 분진의 형태로 혼입되어 있기 때문에 코크스 오븐 가스가 곡관부를 통과하는 동안 트랜스 미터의 도압관에는 불순 물질이 점차 부착되며 이에 도압관이 막히게 된다. 도압관이 막히게 되어 곡관부의 압력을 측정하지 못하게 되면, 탄화실의 압력 변동을 즉시 감지하지 못하므로 곡관부의 개도를 조절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이는 탄화실의 내부 압력의 불규칙한 증가 또는 감소를 야기한다. 이로부터 탄화실 내의 코크스 오븐 가스가 외부로 유출되어 환경이 오염되거나 탄화실의 내부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어 폭발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KR 10-2014-0066461 A
본 발명은 압력을 측정하도록 통로의 내부로 연장되는 관부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는 관 크리닝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가스가 유도되는 통로의 압력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어 통로의 개도를 안정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원료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원료가 처리되는 공간의 압력을 일정하게 제어할 수 있는 원료 처리 장치 및 원료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관 크리닝 장치는, 처리물이 통과되는 통로의 내부로 연장되는 관을 갖는 관 크리닝 장치로서, 적어도 출구가 상기 통로의 내부에서 개방되는 관부; 상기 관부의 출구를 통과하여 내부에 부착되는 불순물에 외력을 작용시켜 제거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불순물 제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불순물 제거부는 유체를 상기 관부의 내부에 주입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1 불순물 제거수단 및 일부가 상기 관부의 출구에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2 불순물 제거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관부의 입구에 연결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불순물 제거수단은, 상기 관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주입관; 및 상기 관부의 일측에서 이격되어 상기 관부의 입구 부근에 장착되는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불순물 제거수단은, 상기 관부의 출구를 통과하여 내부로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관부의 출구와 대향하여 위치하는 제거부재; 상기 제거부재를 상기 관부의 출구에 대하여 전진 및 후진시키도록 형성되는 승강부재; 및 상기 제거부재의 하측에서 상기 승강부재와 상기 제거부재 사이를 연결하여 장착되는 원동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거부재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일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원동기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불순물 제거수단은, 상기 원동기를 향하여 연장되는 작동유체 공급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원동기는 상기 작동유체 공급관으로부터 작동유체를 전달받아 회전력을 생성하여 상기 제거부재에 인가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원료 처리 방법은, 원료를 장입받아 처리하는 공간이 내부에 구비되는 오븐 본체; 상기 오븐 본체의 내부에 연통하는 상승관; 상기 상승관에 연결되는 집합 본관; 상기 상승관과 상기 집합 본관 사이를 연결하는 곡관부; 및 상기 곡관부를 관통하여 장착되는 관 크리닝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관 크리닝 장치는 상기 곡관부의 내부에서 상기 관 크리닝 장치의 내부로 유입되어 부착되는 불순물에 외력을 작용시켜 제거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불순물 제거부를 구비한다.
관 크리닝 장치는, 상기 곡관부의 내부로 연장되어 적어도 출구가 상기 곡관부의 내부에서 개방되는 관부; 및 상기 관부의 입구에 연결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불순물 제거부는 상기 관부의 출구 내부에 부착되는 불순물에 외력을 작용시켜 제거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불순물 제거부는, 상기 관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주입관; 및 상기 관부의 일측에서 이격되어 상기 관부의 입구 부근에 장착되는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불순물 제거부는, 상기 관부의 출구를 통과하여 내부로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관부의 출구와 대향하여 위치하는 제거부재; 상기 제거부재를 상기 관부의 출구에 대하여 전진 및 후진시키도록 형성되는 승강부재; 및 상기 제거부재의 하측에서 상기 승강부재와 상기 제거부재 사이를 연결하여 장착되는 원동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거부재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일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원동기에 장착되며, 상기 불순물 제거부는 상기 원동기에 연결되는 작동유체 공급관을 구비하고, 상기 원동기는 상기 작동유체 공급관으로부터 작동유체를 공급받아 회전력을 생성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곡관부는, 입구가 상기 상승관에 연결되고 출구가 상기 집합 본관을 관통하여 장착되는 곡관 본체; 상기 곡관 본체의 출구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상기 곡관 본체의 출구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상측 개구와 하측 개구를 구비하는 용기; 상기 용기의 하측 개구의 상측에서 상기 용기의 하측 개구와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승강부재에 장착되어 지지되는 마개부재; 상기 곡관 본체를 관통하여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급관; 및 상기 공급관과 상기 주입관에 연결되는 유체 공급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원료 처리 방법은, 원료를 오븐 본체의 내부에 마련하는 과정; 상기 원료를 처리하는 과정; 상기 원료에서 생성되는 가스를 상기 오븐 본체의 내부에 연통하는 집합 본관으로 유도하는 과정; 상기 원료에서 생성되는 상기 가스를 상기 집합 본관으로 유도하는 곡관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과정; 및 상기 곡관부의 압력 값에 대응하여 상기 곡관부의 개도를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곡관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과정은, 상기 곡관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관 크리닝 장치에 외력을 작용시켜 상기 곡관부의 내부에서 상기 관 크리닝 장치의 내부로 유입되어 부착되는 불순물을 제거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곡관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과정은, 상기 곡관부를 관통하여 장착되는 관부의 내부로 전달되는 압력을 상기 관부에 연결된 센서부로 측정하는 과정; 상기 관부의 내부로 유입되어 부착되는 불순물에 외력을 작용시켜 제거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관부의 내부로 전달되는 압력을 센서부로 측정하는 과정과 상기 관부의 내부에 부착되는 불순물을 제거하는 과정은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교차 실시될 수 있다.
상기 관부의 내부에 부착되는 불순물을 제거하는 과정은, 상기 곡관부를 완전 개방하는 과정; 상기 관부의 출구로 제거부재를 통과시키며 회전시키는 과정; 및 상기 관부의 내부에 유체를 주입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곡관부의 개도를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곡관부의 개도를 제어하도록 상기 곡관부의 용기에 수용되는 유체의 수위를 조절하여 곡관부의 개도를 조절하는 과정; 및 상기 용기에 수용되는 유체를 새로운 유체로 교체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용기에 수용된 유체를 새로운 유체로 교체하는 과정과 함께 상기 관부의 내부로 유입되어 부착되는 불순물에 외력을 작용시켜 제거하는 과정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압력을 측정하도록 통로의 내부로 연장되는 관부의 막힘을 방지할 수 있어, 가스가 유도되는 통로의 압력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고, 압력을 정확하게 측정함에 따라 통로의 개도를 통로의 압력 값에 대응하여 안정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로부터 원료가 처리되는 공간에서 생성되는 가스를 상기한 통로로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어 원료가 처리되는 공간의 압력을 일정하게 제어 가능하다.
예컨대 원료탄을 건류시켜 코크스로 제조하는 공정에 적용되는 경우, 원료탄의 건류 중에 발생되는 코크스 오븐 가스를 집합 본관으로 유도함에 있어, 가스가 통과되는 곡관부의 내부에 마련되는 관 크리닝 장치에 부착되는 불순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고, 이에 곡관부의 압력을 안정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이로부터 곡관부의 개도를 안정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며, 따라서 원료탄이 처리되는 공간인 탄화실의 내부 압력을 일정하게 제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료 처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관 크리닝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료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해당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면은 과장되거나 확대될 수 있으며, 도면상에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료 처리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관 크리닝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관 크리닝 장치의 일부를 확대한 개략도 이다.
먼저,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관 크리닝 장치를 설명한다. 관 크리닝 장치(500)는 처리물이 통과되는 통로의 내부로 연장되는 관을 갖는 관 크리닝 장치로서, 관부(510) 및 불순물 제거부를 포함한다.
한편, 관 크리닝 장치(500)는 센서부(52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로부터 관 크리닝 장치(500)는 처리물이 통과되는 통로의 내부 압력을 측정하는 장치 예를 들어 압력 측정 장치로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관 크리닝 장치(500)는 통로의 내부에서 관부(510)의 내부로 유입되어 부착되는 불순물을 관 크리닝 장치(500)의 작동 중에 쉽게 제거하여 센서부(520)가 통로 내부의 압력을 안정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기술적인 특징을 제공한다.
처리물은 코크스의 제조 과정 중에 코크스 제조 설비의 오븐 본체 내부에서 생성되는 부생가스 예컨대 코크스 오븐 가스(Coke Oven Gas, COG)를 포함할 수 있다. 처리물에는 각종 불순물이 혼입될 수 있으며, 예컨대 처리물이 코크스 오븐 가스일 경우, 불순물은 원료탄으로부터 기인하는 분진 형태의 타르나 카본 등일 수 있다. 물론 처리물은 상기한 바에 한정하지 않으며, 각종 설비에서 처리되는 기체, 액체 및 고체 중 적어도 하나의 상태의 혼합물 또는 화합물일 수 있다.
통로는 코크스 오븐 가스를 코크스 제조 설비의 집합 본관으로 유도하는 곡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통로는 상기한 바에 한정하지 않으며, 각종 처리 설비에서 다양한 처리물이 유도되는 각종 통로일 수 있다.
관부(51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중공의 부재로서, 통로의 일측을 관통하여 장착되고, 적어도 출구가 통로의 내부에서 개방될 수 있다. 관부(510)는 고온의 처리물 예컨대 코크스 오븐 가스에 노출되는 분위기에서 사용 가능하도록 고온에서의 화학적 및 물리적 부식 등이 방지되는 각종 합금으로 제작될 수 있다. 관부(510)는 압력을 센서부(520)로 전달하는 예컨대 도압관일 수 있다.
관부(510)의 입구는 통로의 외부에서 개방될 수 있고, 관부(510)의 입구에는 센서부(520)가 연결될 수 있다. 이로부터 센서부(520)는 통로 내부의 고온의 가스 분위기로부터 물리적 또는 화학적으로 보호될 수 있다.
센서부(520)는 예컨대 트랜스 미터일 수 있으며, 관부(510)로부터 전달되는 통로의 압력을 측정 가능한 다양한 구성 및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센서부(520)의 구성 및 방식은 특정 구성 및 방식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불순물 제거부는 관부(510)의 출구를 통과하여 내부에 부착되는 불순물에 외력을 작용시켜 제거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외력을 작용시키는 불순물 제거부의 구조에는 외력을 직접 작용시키는 구조 및 외력을 간접 작용시키는 구조 중에 적어도 하나의 구조가 선택되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불순물 제거부는 유체를 관부(510)의 내부에 주입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1 불순물 제거수단 및 일부가 관부(510)의 출구에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2 불순물 제거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제1 불순물 제거수단 및 제2 불순물 제거수단을 모두 포함하는 불순물 제거부를 예시하나, 불순물 제거부는 제1 불순물 제거수단만을 포함하거나 제2 불순물 제거수단만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불순물 제거수단은 관부(510)의 일측에 연결되는 주입관(531)을 포함할 수 있다. 주입관(531)은 관부(510)의 내부에 유체 예컨대 안수(암모니아수)를 주입하는 역할을 한다. 주입관(531)의 입구는 관부(510)를 관통하여 장착되며, 출구는 통로의 외부에 마련되는 유체 공급원에 연결될 수 있다. 물론 주입관(531)을 통과하여 관부(510)로 주입되는 유체는 다양한 액체 또는 기체 또는 액체와 기체의 혼합 유체일 수 있으며, 이를 특별하게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암모니아수는 타르 등의 성분을 용해시켜 제거하는 기능을 가진다.
제1 불순물 제거수단은 관부(510)의 일측에서 이격되어 관부(510)의 입구 부근에 장착되는 밸브(532)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532)는 관부(510)의 내부에 유체가 공급되는 동안 관부(510)와 센서부(520)와의 연통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며, 이에 관부(510)의 내부로 주입되는 유체는 출구 측으로 흐름이 유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제1 불순물 제거수단은 관부(510)의 내부로 유체 예컨대 안수를 고압으로 빠르게 흘려보내 관부(510)의 내부에 부착되는 불순물을 씻어 내리는 역할을 한다.
제2 불순물 제거수단은 관부(510)의 출구를 통과하여 내부로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거부재(5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거부재(533)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외주면에 나선형의 곡면이 형성되는 예컨대 드릴 비트일 수 있다. 제거부재(533)는 관부(510)의 하측에서 관부(510)의 출구에 대향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제거부재(533)는 후술하는 원동기(534)의 상측에서 원동기(534)의 출력단에 장착되어 일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제2 불순물 제거수단은 제거부재(533)를 관부(510)의 출구에 대하여 전진 및 후진시키도록 형성되는 승강부재(534)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부재(534)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의 로드일 수 있으며, 통로를 관통하여 관부(510)와 평행하도록 관부(510)의 부근에 장착될 수 있다. 승강부재(534)에는 승강부재(534)를 승강시키도록 승강부재 구동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승강부재 구동부는 승강부재(534)를 승강시키는 것을 만족하는 기계식이나 유압식 구조로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제2 불순물 제거수단은 승강부재(534)와 제거부재(533)의 사이를 연결하여 장착되는 원동기(535)를 포함할 수 있다. 원동기(535)는 제거부재(533)의 하측에서 승강부재(534)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장착될 수 있다. 원동기(535)는 후술하는 작동유체 공급관으로부터 작동유체 또는 작동기체를 전달받아 회전력을 생성하여 제거부재(533)에 인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예컨대 에어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모터에는 압축된 유체가 공급될 수 있으며, 예컨대 공기 또는 질소 기체 등이 공급될 수 있다. 공급된 유체는 원동기(535)를 작동시키고 나서 원동기(535)의 외부로 배기되며, 이때, 원동기(535)의 외부로 배기되는 작동유체의 유량은 통로로 유도되는 처리물의 유량에 비하여 상당히 작은 값이기 때문에 작동유체는 통로로 배기될 수 있으며, 이의 상세한 구조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특별히 고려하지 않는다. 물론 작동유체를 통로로 배기하지 않고 별도의 배기수단을 통하여 배기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원동기(535)로서 에어모터가 적용됨에 따라 통로 내부의 고온 가스 분위기에서도 안정적으로 원동기(535)를 작동시킬 수 있다. 물론 원동기(535)는 에어모터에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제거부재(533)를 회전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조 및 방식의 원동기일 수 있다.
제2 불순물 제거수단은 원동기(535)를 향하여 연장되어 원동기(535)에 연결되는 작동유체 공급관을 포함할 수 있다. 작동유체 공급관의 구조 및 연결 방식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예컨대 작동유체 공급관은 승강부재(534)의 내부 중공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작동유체 공급관에는 별도의 작동유체 공급원(미도시)이 연결되어 작동유체를 공급 가능하다.
이어서, 도 1 내지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료 처리 장치를 설명한다. 원료 처리 장치는 다양한 원료를 공급받아 처리하는 장치로서, 오븐 본체(10), 상승관(20), 집합 본관(30), 곡관부(40) 및 관 크리닝 장치(500)를 포함하며, 이때, 관 크리닝 장치(500)는 곡관부(40)의 압력을 측정하는 센서부(520)를 포함한다.
원료 처리 장치는 곡관부(40)로 유도되는 가스의 압력을 정확하게 측정하고 측정되는 압력을 이용하여 곡관부(40)의 개도를 안정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기술적인 특징을 제공한다.
원료는 코크스 제조 과정의 원료로 사용되는 원료탄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처리시에 각종 가스를 발생시키는 다양한 원료일 수 있다.
오븐 본체(10)는 원료를 장입받아 처리하는 공간이 내부에 구비되는 예컨대 코크스 오븐을 포함할 수 있고, 원료를 장입받아 처리하는 공간은 예컨대 코크스 오븐의 탄화실을 포함할 수 있다. 상승관(20)은 오븐 본체(10)의 내부 탄화실에 연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승관(20)으로 오븐 본체(10) 내부에서 생성되는 가스 예컨대 코크스 오븐 가스가 수집될 수 있다. 집합 본관(30)은 상승관(20)에 연결될 수 있다. 집합 본관(20)은 상승관(20)으로부터 가스를 공급받아 이를 후처리 설비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곡관부(40)는 상승관(20)과 집합 본관(30) 사이를 연결하여 장착될 수 있다.
곡관부(40)는 곡관 본체(41)를 포함할 수 있다. 곡관 본체(41)는 입구가 상승관(20)의 외주면을 관통하여 연결되고, 출구가 집합 본관(20)의 상부를 관통하여 장착될 수 있다. 곡관 본체(41)는 입구와 출구가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일측이 소정 각도로 만곡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관 크리닝 장치(500)는 곡관 본체(41)의 상측에서 곡관 본체(41)의 만곡한 일측을 관통하여 장찰될 수 있다.
곡관부(40)는 곡관 본체(41)의 출구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곡관 본체(41)의 출구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용기(42) 예컨대 픽스 컵(Fix Cup)을 포함할 수 있다. 용기(42)에는 상측 개구와 하측 개구가 구비될 수 있고, 곡관 본체(41)의 출구는 용기(42)의 상측 개구를 관통하여 용기(42)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곡관 본체(41)의 출구의 외주면과 용기(42)의 상측 개구의 내주면은 서로 이격되어 있고, 또한, 곡관 본체(41)의 출구의 하단과 용기(42)의 내측 바닥면은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용기(42)는 내부에 수용되는 유체 예컨대 안수의 수위를 조절하며 곡관 본체(41)의 출구 개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즉, 안수의 수위가 상승하여 곡관 본체(41)의 출구가 완전히 침지되면 곡관 본체(41)의 개도가 차단되고, 안수의 수위가 하강하여 곡관 본체(41)의 출구로부터 이격되는 정도에 따라 곡관 본체(41)의 출구 개도가 정밀하게 조절될 수 있다. 이로부터 곡관 본체(41)로 유도되는 처리물 예컨대 코크스 오븐 가스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곡관부(40)는 마개부재(43)를 포함할 수 있다. 마개부재(43)는 용기(42)의 하측 개구의 상측에서 용기(42)의 하측 개구와 대향하여 배치되며, 후술하는 관 크리닝 장치(500)의 승강부재(534)에 장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마개부재(43)는 승강부재(534)의 승강을 이용하여 승강되며 용기(42)의 하측 개구의 개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며, 이에 용기(42)의 내부에 수용되는 유체 예컨대 안수의 수위가 조절될 수 있다.
예컨대 마개부재(43)는 용기(42)의 하측 개구에 삽입되어 용기(42)의 하측 개구의 개도를 차단한다. 또한, 마개부재(43)는 용기(42)의 하측 개구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는 높이를 조절하여 용기(42)의 하측 개구의 개도를 조절한다. 또한, 마개부재(43)는 용기(42)의 하측 개구로부터 소정 높이로 이격되어 용기(42)의 하측 개구의 개도를 완전 개방한다. 마개부재(43)는 용기(42)의 하측 개구의 개도를 상기한 바와 같이 조절하며 후술하는 공급관들로부터 용기(42)의 내부로 공급되는 유체의 수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곡관부(40)는 곡관 본체(41)를 관통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 장착되는 공급관을 포함하며, 예컨대 곡관부(40)는 제1 공급관(44a) 및 제2 공급관(44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공급관(44a)은 곡관 본체(41)의 입구에 상대적으로 가깝도록 곡관 본체(41)의 만곡한 일측에 장착될 수 있다. 제1 공급관(44a)의 출구는 곡관 본체(41)의 내부에서 개방될 수 있고, 제1 공급관(44a)의 출구에는 스프레이 노즐(44c)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공급관(44a)은 곡관 본체(41)의 내부에 유체 예컨대 안수를 분사하는 역할을 하며, 분사량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곡관 본체(41)의 내부를 유동하는 처리물 예컨대 코크스 오븐 가스 및 이와 접촉하는 곡관부(40)의 각 구성부들을 소정 온도로 냉각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2 공급관(44b)는 곡관 본체(41)의 출구에 상대적으로 가깝도록 곡관 본체(41)의 만곡한 일측에 장착될 수 있다. 제2 공급관(44b)의 출구는 곡관 본체(41)의 내부에서 개방될 수 있다. 제2 공급관(44b)은 용기(42)의 내부에 유체 예컨대 안수를 공급하며 역할을 하고, 그 공급량을 조절하여 용기(42)의 내부로 공급되는 유체의 수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곡관부(40)는 제3 공급관(44d) 및 제4 공급관(44e)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공급관(44e)는 후술하는 관 크리닝 장치(500)의 승강부재(534)의 외주면에서 이격되어 이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곡관 본체(41)를 관통하여 장착될 수 있다. 제3 공급관(44d)은 제4 공급관(44e)에 장착되어 연통할 수 있고, 제4 공급관(44e)에 유체 예컨대 안수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제4 공급관(44e)로 승강부재(534)의 승강을 안내하는 동안, 제3 공급관(44d)에서 제4 공급관(44e)으로 공급되는 유체는 제4 공급관(44e)과 승강부재(534)의 사이를 실링 및 윤활시키는 역할을 한다.
곡관부(40)는 유체 공급원(45)을 포함할 수 있고, 유체 공급원(45)은 각각의 공급관과 후술하는 관 크리닝 장치(500)의 주입관(531)에 유체 예컨대 안수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관 크리닝 장치(500)는 곡관부(40)를 관통하여 장착될 수 있고, 곡관부(40)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역할을 하며, 측정되는 곡관부(40)의 압력은 곡관부(40)의 개도 조절에 이용된다.
관 크리닝 장치(500)는 관부(510), 압력센서(520) 및 불순물 제거부를 포함할 수 있다. 관부(510) 예컨대 도압관은 곡관 본체(41)의 일측을 관통하여 내부로 연장되며, 출구가 곡관 본체(41)의 내부에서 개방될 수 있다. 센서부(520)는 압력 측정이 가능한 예컨대 트랜스 미터를 포함할 수 있고, 관부(510)의 입구에 연결될 수 있다.
불순물 제거부는 곡관부(40)의 내부에서 관 크리닝 장치(500)의 내부로 유입되어 부착되는 불순물에 외력을 작용시켜 제거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세하게는 관부(510)의 출구 내부에 부착되는 불순물에 외력을 작용시켜 제거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불순물 제거부는 관부(510)의 일측에 연결되는 주입관(531), 관부(510)의 일측에서 이격되어 관부(510)의 입구 부근에 장착되는 밸브(532), 관부(510)의 출구를 통과하여 내부로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관부(510)의 출구와 대향하여 위치하는 제거부재(533), 제거부재(533)를 관부(510)의 출구에 대하여 전진 및 후진시키도록 형성되는 승강부재(534), 승강부재(534)와 제거부재(533) 사이를 연결하는 원동기(535), 원동기(535)에 연결되는 작동유체 공급관을 포함할 수 있다.
주입관(531)은 입구가 제1 공급관(44a)에 연결되어 유체 예컨대 안수를 공급받을 수 있다. 물론 주입관(531)의 연결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주입관(531)은 유체 공급원(45)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승강부재(534)는 상부 승강부재(534a) 및 하부 승강부재(534b)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승강부재(534a)의 내부는 중공으로 형성되어 작동유체 공급관으로 활용될 수 있다. 원동기(535)는 상부 승강부재(534a)와 하부 승강부재(534b)의 사이에 장착되며, 상부 승강부재(534a)의 중공과 연결되는 소정의 공간을 내부에 구비하여 작동유체 공급관으로 활용될 수 있다. 하부 승강부재(534b)의 하부에는 곡관부(40)의 마개부재(43)가 장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승강부재(534)와 원동기(535)의 상기의 구조는 하나의 예일 뿐이며, 그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어서, 도 1 내지 2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원료 처리 방법을 설명한다. 원료 처리 방법은 다양한 원료를 공급받아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원료를 오븐 본체의 내부에 마련하는 과정과, 원료를 처리하는 과정과, 원료에서 생성되는 가스를 오븐 본체의 내부에 연통하는 집합 본관으로 유도하는 과정과, 원료에서 생성되는 가스를 집합 본관으로 유도하는 곡관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과정과, 곡관부의 압력 값에 대응하여 곡관부의 개도를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때, 곡관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과정은, 곡관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관 크리닝 장치에 외력을 작용시켜 곡관부의 내부에서 상기 관 크리닝 장치의 내부로 유입되어 부착되는 불순물을 제거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원료 처리 방법은 원료의 처리 시에 발생되는 부생가스 예컨대 코크스 오븐 가스가 유도되는 곡관부의 압력을 정확하게 측정함에 따라 곡관부의 개도를 안정적으로 조절하며 원료가 처리되는 공간 예컨대 탄화실의 압력을 일정하게 제어할 수 있는 기술적인 특징을 제공한다.
원료는 코크스 제조 과정의 원료로 사용되는 원료탄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처리시에 각종 가스를 발생시키는 다양한 원료일 수 있다.
원료 예컨대 원료탄을 오븐 본체(10)의 내부 탄화실에 마련(S100)한다. 이때, 곡관부(40)의 개도는 완전 개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곡관부(40)의 용기(42) 내부에는 유체 예컨대 안수가 비워지도록 곡관부(40)의 마개부재(43)가 상승될 수 있다. 이때, 곡관부(40)의 내부에는 유체 예컨대 안수가 분사될 수 있으며, 이는 곡관부(40)의 제1 공급관(44a)에 의하여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안수의 공급이 부가될 수 있으며, 곡관부(40)의 제2 공급관(44b)에 의하여 실시될 수 있고, 이를 위하여 제2 공급관(44b)에 구비되는 패스트 플로딩 밸브(Fast Flooding Valve, 미도시)는 소정 개도로 개방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원료의 장입시 발생되는 가스는 모두 집합 본관(30)으로 수집될 수 있다.
원료탄의 장입이 완료되면 제2 공급관(44b)이 소정 시간동안 완전 개방되어 곡관부(40)의 용기(42) 내부에 안수를 공급하며 마개 부재(43)를 하강시켜 곡관부(40)의 개도를 완전 차단 하고, 이어서 제2 공급관(44b)의 안수 공급을 차단한 후에 아래의 과정을 실시한다.
다음으로, 원료를 처리(S200)한다. 예컨대 오븐 본체(10)에 구비되는 연소실에 연료를 공급하여 고온으로 가열하고, 연소실의 고열을 이용하여 탄화실의 내부에 장입된 원료를 간접 가열시킨다. 이의 과정은 예컨대 코크스 제조 공정에서의 원료탄 고온 건류 과정일 수 있다.
원료가 처리되는 동안 탄화실의 내부 압력은 수 내지 수십 ㎜H2O 값의 압력으로 제어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아래의 과정들을 실시한다.
다음으로, 원료를 처리하는 과정과 함께, 원료에서 생성되는 다량의 가스를 오븐 본체(10)의 내부에 연통하는 집합 본관(30)으로 유도(S300)한다. 이의 유도 경로는 오븐 본체(10)에서 상승관(20)을 거쳐 곡관부(40)로 석션된 후 최종적으로 집합 본관(30)으로 수집되는 경로일 수 있다. 한편, 가스의 석션 방식은 집합 본관(30)에 부압을 형성하는 방식일 수 있다. 집합 본관(30)으로 수집되는 예컨대 수백 ℃의 고온 가스는 타르나 황 등의 성분을 함유하는 황갈색의 처리 가스(Raw Gas) 예컨대 코크스 오븐 가스로서, 가스는 수집되는 과정에서 제1 공급관(44a)을 이용한 예컨대 수십 ℃의 온도의 안수의 주기적인 분사에 의하여 수십 ℃의 온도로 냉각된 후에 예컨대 화성 정재 설비로 이송되고, 연료로 사용 가능하도록 정제될 수 있다.
다음으로, 가스를 집합 본관으로 유도함과 함께, 원료에서 생성되는 가스를 집합 본관으로 유도하는 곡관부의 압력을 측정(S400)한다. 가스를 유도하는 동안 곡관부(40)의 압력을 지속적으로 측정한다. 곡관부(40)의 압력은 관 크리닝 장치(500)의 관부(510)로 전달되어 센서부(520)에서 측정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 중에 가스에 혼입되어 있는 타르 등의 불순물은 관 크리닝 장치의 관부(510) 내부로 유입되어 부착될 수 있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관부(510)의 내부를 막을 수 있다. 관부(510)의 내부가 막히면 압력 측정이 원활하게 실시되지 못하여, 곡관부(40)의 개도를 조절하지 못하고, 이에 탄화실의 압력 변화에 대응하기 힘들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를 방지하게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곡관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과정 중에, 관부의 내부로 유입되어 부착되는 불순물에 외력을 작용시켜 제거하는 과정(S5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곡관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과정은, 곡관부를 관통하여 장착되는 관부의 내부로 전달되는 압력을 관부에 연결된 센서부로 측정하는 과정과 함께, 관부의 내부로 유입되어 부착되는 불순물에 외력을 작용시켜 제거하는 과정을 실시하며, 이들 과정은 서로 병행하며 번갈아 실시될 수 있다.
예컨대 관부(510)의 내부로 전달되는 압력을 센서부(520)로 측정하는 과정과 관부(510)의 내부에 부착되는 불순물을 제거하는 과정은 주기적으로 반복하여 교차 또는 병행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압력을 측정하는 과정 중에 소정 시간 간격으로 불순물을 제거하는 과정을 적어도 한번 이상 실시할 수 있다.
관부(510)의 내부에 부착되는 불순물을 제거하는 과정은, 곡관부(40)를 완전 개방하는 과정, 관부(510)의 출구로 절삭부재(533)를 통과시키며 회전시키는 과정, 관부(510)의 내부에 유체 예컨대 안수를 주입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곡관부(40)의 용기(42)에 수용되는 안수의 수위를 낮추어 곡관부(40)를 완전 개방시킨다. 그리고 절삭부재(533)를 회전시키며 관부(510)의 출구 내로 삽입하여 부착된 불순물을 제거한다. 이의 과정은 드릴링 과정일 수 있고, 절삭부재(533)의 승강은 승강부재(534)에 의하여 실시된다. 그리고 절삭부재(533)를 하강시켜 관부(510)의 하측으로 위치시킨다. 이때, 승강부재(534)가 함께 하강되며 용기(42)의 하측 개구의 개도를 조절하여 안수의 수위를 조절한다. 이어서, 관부(510)의 내부에 유체 예컨대 안수를 공급하여 관부(510)의 내부에 남아있는 불순물을 씻어 내린다. 상기의 과정으로 관부(510)가 청정한 상태로 개공될 수 있고, 이에 막힘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의 불순물 제거 과정은 소정 시간 동안 원료가 처리되는 과정에서 예컨대 3 시간 내지 5 시간 간격으로 반복하여 실시될 수 있다. 이의 과정 동안에는 곡관부(40)의 개도가 완전 개방되며, 곡관부(40)의 개도 구체적으로는 마개부재(43)의 승강을 이용한 용기(42)의 하측 개구의 개도 조절에 사용되는 승강부재(534)를 승강시키며 제거부재(533) 예컨대 드릴 비트를 관부(510) 예컨대 도압관의 개공에 활용한다.
다음으로, 가스를 집합 본관으로 유도함과 함께, 곡관부(40)의 압력 값에 대응하여 곡관부(40)의 개도를 제어하는 과정(S600)을 포함한다. 이는 오븐 본체(10)의 원료 처리 공간 예컨대 탄화실의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과정으로, 센서부(520)에 의하여 곡관부(40)의 압력을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곡관부(40)의 용기(42) 예컨대 픽스 컵(Fix Cup)에 수용된 유체 예컨대 안수의 수위를 압력 값에 대응하도록 조절하며 곡관 본체(41)와 안수의 수면과의 공간의 크기를 조절하여 가스가 빠져나가는 유량을 제어하는 과정일 수 있다. 이의 과정으로 탄화실의 내부 압력이 일정하게 조절될 수 있다. 이때, 제2 공급관(44b)는 차단된 상태이고, 제1 공급관(44a)으로 안수를 분사함과 함께 마개부재(43)로 용기(42)의 하측 개구의 개도를 10% 내지 90%의 개도로 조절하며, 안수의 수위를 조절하여 곡관부(40)의 개도를 정밀하게 조절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곡관부의 개도를 제어하는 과정은, 곡관부의 개도를 제어하도록 곡관부의 용기에 수용되는 유체의 수위를 조절하여 곡관부의 개도를 조절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때, 곡관부의 개도를 제어하는 과정은, 용기에 수용되는 유체를 새로운 유체로 교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이의 과정과 함께 관부의 내부로 유입되어 부착되는 불순물에 외력을 작용시켜 제거하는 과정을 실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한 두 과정이 함께 실시되는 것의 의미는 두 과정이 시간적인 어긋남 없이 동시에 실시되거나, 두 과정이 임의의 순서로 순차적으로 실시되거나, 두 과정이 소정의 시간 차이를 두고 함께 실시되는 것을 모두 의미한다.
불순물 제거 과정과 함께, 용기(40)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안수를 새로운 안수로 교체하는 작업을 실시한다. 관 크리닝 장치(500)의 관부(510)의 내부의 불순물을 제거하는 동안, 마개부재(43)를 상승시키고 용기(42) 내부에 저장된 안수를 집합 본관(30)으로 배수시키며 제2 공급관(44b)를 완전 개방하여 새로운 안수를 다량 공급한다. 상기의 두 과정이 모두 완료되면 마개부재(43)를 하강시키고 10% 내지 90%의 개도로 용기(42)의 하측 개구의 개도를 조절하며 안수의 수위를 조절한다. 안수의 교체 과정은 일정 시간 단위로 실시되며, 이의 방식은 다양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불순물 제거 과정이 반복 실시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안수의 교체 과정에 연동하여, 교체 과정에서 활용되는 승강부재(534)와 안수를 이용하여 관 크리닝 장치(500)의 관부(510)의 불순물 제거를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처리가 완료된 코크스를 오븐 본체(10)의 외부로 압출한다. 이때, 곡관부(40)의 개도는 완전 차단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곡관부(40)의 용기(42) 내부에는 유체 예컨대 안수가 가득 채워지도록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안수의 공급은 곡관부(40)의 제2 공급관(44b)에 의하여 실시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제2 공급관(44b)에 구비되는 패스트 플로딩 밸브(Fast Flooding Valve, 미도시)는 완전 개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공정 중에 쉽게 곡관부의 압력을 전달하는 도압관을 자동 개공시킬 수 있어, 원활하게 탄화실의 압력을 관리할 수 있다. 이를 종래와 대비하여 보면, 종래에는 공정을 시작하기 전 또는 공정 후에 작업자가 수시로 점검하여 직접 도압관을 개공시키거나 교체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공정 중에 불순물 제거부를 이용하여 도압관을 실시간으로 자동 개공시킬 수 있어, 보다 안정적으로 코크스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지해야 한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 및 이와 균등한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해당하는 기술 분야에서의 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오븐 본체 20: 상승관
30: 집합 본관 40: 곡관부
500: 관 크리닝 장치 510: 관부
520: 센서부 531: 주입관
533: 제거부재

Claims (16)

  1. 처리물이 통과되는 통로의 내부로 연장되는 관을 갖는 관 크리닝 장치로서,
    적어도 출구가 상기 통로의 내부에서 개방되는 관부;
    상기 관부의 출구를 통과하여 내부에 부착되는 불순물에 외력을 작용시켜 제거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불순물 제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불순물 제거부는 유체를 상기 관부의 내부에 주입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1 불순물 제거수단 및 일부가 상기 관부의 출구에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제2 불순물 제거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관 크리닝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부의 입구에 연결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관 크리닝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불순물 제거수단은,
    상기 관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주입관; 및
    상기 관부의 일측에서 이격되어 상기 관부의 입구 부근에 장착되는 밸브;를 포함하는 관 크리닝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불순물 제거수단은,
    상기 관부의 출구를 통과하여 내부로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관부의 출구와 대향하여 위치하는 제거부재;
    상기 제거부재를 상기 관부의 출구에 대하여 전진 및 후진시키도록 형성되는 승강부재; 및
    상기 제거부재의 하측에서 상기 승강부재와 상기 제거부재 사이를 연결하여 장착되는 원동기;를 포함하는 관 크리닝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거부재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일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원동기에 장착되는 관 크리닝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 불순물 제거수단은, 상기 원동기를 향하여 연장되는 작동유체 공급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원동기는 상기 작동유체 공급관으로부터 작동유체를 전달받아 회전력을 생성하여 상기 제거부재에 인가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관 크리닝 장치.
  7. 원료를 장입받아 처리하는 공간이 내부에 구비되는 오븐 본체;
    상기 오븐 본체의 내부에 연통하는 상승관;
    상기 상승관에 연결되는 집합 본관;
    상기 상승관과 상기 집합 본관 사이를 연결하는 곡관부; 및
    상기 곡관부를 관통하여 장착되는 관 크리닝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관 크리닝 장치는 상기 곡관부의 내부에서 상기 관 크리닝 장치의 내부로 유입되어 부착되는 불순물에 외력을 작용시켜 제거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불순물 제거부를 구비하는 원료 처리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관 크리닝 장치는,
    상기 곡관부의 내부로 연장되어 적어도 출구가 상기 곡관부의 내부에서 개방되는 관부; 및
    상기 관부의 입구에 연결되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불순물 제거부는 상기 관부의 출구 내부에 부착되는 불순물에 외력을 작용시켜 제거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원료 처리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불순물 제거부는,
    상기 관부의 일측에 연결되는 주입관; 및
    상기 관부의 일측에서 이격되어 상기 관부의 입구 부근에 장착되는 밸브;를 포함하는 원료 처리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불순물 제거부는,
    상기 관부의 출구를 통과하여 내부로 삽입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관부의 출구와 대향하여 위치하는 제거부재;
    상기 제거부재를 상기 관부의 출구에 대하여 전진 및 후진시키도록 형성되는 승강부재; 및
    상기 제거부재의 하측에서 상기 승강부재와 상기 제거부재 사이를 연결하여 장착되는 원동기;를 포함하는 원료 처리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거부재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일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원동기에 장착되며,
    상기 불순물 제거부는 상기 원동기에 연결되는 작동유체 공급관을 구비하고,
    상기 원동기는 상기 작동유체 공급관으로부터 작동유체를 공급받아 회전력을 생성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원료 처리 장치.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곡관부는,
    입구가 상기 상승관에 연결되고 출구가 상기 집합 본관을 관통하여 장착되는 곡관 본체;
    상기 곡관 본체의 출구와 대향하는 위치에서 상기 곡관 본체의 출구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상측 개구와 하측 개구를 구비하는 용기;
    상기 용기의 하측 개구의 상측에서 상기 용기의 하측 개구와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승강부재에 장착되어 지지되는 마개부재;
    상기 곡관 본체를 관통하여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급관; 및
    상기 공급관과 상기 주입관에 연결되는 유체 공급원;을 포함하는 원료 처리 장치.
  13. 원료를 오븐 본체의 내부에 마련하는 과정;
    상기 원료를 처리하는 과정;
    상기 원료에서 생성되는 가스를 상기 오븐 본체의 내부에 연통하는 집합 본관으로 유도하는 과정;
    상기 원료에서 생성되는 상기 가스를 상기 집합 본관으로 유도하는 곡관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과정; 및
    상기 곡관부의 압력 값에 대응하여 상기 곡관부의 개도를 제어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곡관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과정은, 상기 곡관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관 크리닝 장치에 외력을 작용시켜 상기 곡관부의 내부에서 상기 관 크리닝 장치의 내부로 유입되어 부착되는 불순물을 제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원료 처리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곡관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과정은,
    상기 곡관부를 관통하여 장착되는 관부의 내부로 전달되는 압력을 상기 관부에 연결된 센서부로 측정하는 과정;
    상기 관부의 내부로 유입되어 부착되는 불순물에 외력을 작용시켜 제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원료 처리 방법.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관부의 내부에 부착되는 불순물을 제거하는 과정은,
    상기 곡관부를 완전 개방하는 과정;
    상기 관부의 출구로 제거부재를 통과시키며 회전시키는 과정; 및
    상기 관부의 내부에 유체를 주입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원료 처리 방법.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곡관부의 개도를 제어하는 과정은,
    상기 곡관부의 개도를 제어하도록 상기 곡관부의 용기에 수용되는 유체의 수위를 조절하여 곡관부의 개도를 조절하는 과정; 및
    상기 용기에 수용되는 유체를 새로운 유체로 교체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용기에 수용되는 유체를 새로운 유체로 교체하는 과정과 함께 상기 관부의 내부로 유입되어 부착되는 불순물에 외력을 작용시켜 제거하는 과정을 실시하는 원료 처리 방법.
KR1020150079984A 2015-06-05 2015-06-05 관 크리닝 장치, 원료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697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9984A KR101697673B1 (ko) 2015-06-05 2015-06-05 관 크리닝 장치, 원료 처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9984A KR101697673B1 (ko) 2015-06-05 2015-06-05 관 크리닝 장치, 원료 처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3375A true KR20160143375A (ko) 2016-12-14
KR101697673B1 KR101697673B1 (ko) 2017-01-18

Family

ID=57575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9984A KR101697673B1 (ko) 2015-06-05 2015-06-05 관 크리닝 장치, 원료 처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767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1199B1 (ko) 2017-05-30 2018-08-23 주식회사 포스코 가스 처리 장치 및 방법
CN110760321A (zh) * 2019-12-02 2020-02-07 中冶焦耐(大连)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顶装焦炉装煤烟尘处理系统及工艺
CN111826172A (zh) * 2020-06-29 2020-10-27 中冶天工集团天津有限公司 一种焦炉煤气埋管安装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8645A (ja) * 1993-10-22 1995-05-09 Kawasaki Steel Corp コークス炉上昇管曲管部カーボン付着防止装置
JP2012007032A (ja) * 2010-06-23 2012-01-12 Jfe Steel Corp 上昇管掃除装置
KR20120132787A (ko) * 2011-05-30 2012-12-10 현대제철 주식회사 곡관부 클리닝 장치
KR20140066461A (ko) 2012-11-23 2014-06-02 주식회사 포스코 점화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방산 장치
KR20150001084A (ko) * 2013-06-26 2015-01-06 주식회사 포스코 코크스 오븐 도압관 이물질 제거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8645A (ja) * 1993-10-22 1995-05-09 Kawasaki Steel Corp コークス炉上昇管曲管部カーボン付着防止装置
JP2012007032A (ja) * 2010-06-23 2012-01-12 Jfe Steel Corp 上昇管掃除装置
KR20120132787A (ko) * 2011-05-30 2012-12-10 현대제철 주식회사 곡관부 클리닝 장치
KR20140066461A (ko) 2012-11-23 2014-06-02 주식회사 포스코 점화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방산 장치
KR20150001084A (ko) * 2013-06-26 2015-01-06 주식회사 포스코 코크스 오븐 도압관 이물질 제거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1199B1 (ko) 2017-05-30 2018-08-23 주식회사 포스코 가스 처리 장치 및 방법
CN110760321A (zh) * 2019-12-02 2020-02-07 中冶焦耐(大连)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顶装焦炉装煤烟尘处理系统及工艺
CN110760321B (zh) * 2019-12-02 2024-04-26 中冶焦耐(大连)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顶装焦炉装煤烟尘处理系统及工艺
CN111826172A (zh) * 2020-06-29 2020-10-27 中冶天工集团天津有限公司 一种焦炉煤气埋管安装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7673B1 (ko) 2017-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7673B1 (ko) 관 크리닝 장치, 원료 처리 장치 및 방법
DE102007063363B4 (de) Vorrichtung zur Dotierung und Beschichtung von Halbleitermaterial bei niedrigem Druck
FI3484810T3 (fi) Valmistuslaitteisto ja menetelmä piinanolankojen valmistamiseksi hiilipohjaisista jauheista käytettäviksi akuissa
KR102063607B1 (ko) 웨이퍼 처리 장치
CN105316012A (zh) 一种大型焦炉结焦过程炭化室压力调节控制装置及方法
KR101442919B1 (ko) 코크스 오븐의 탄화실 압력 제어 장치
EP3093377B1 (en) View port for observing ingot growth process and ingot growth apparatus including same
EP1521731B1 (fr) Procede et installation pour l'obtention de produits en carbone a partir de produits en precurseur de carbone
RU2438006C1 (ru) Способ борьбы с парафиновыми отложениями в нефтегазовых скважинах
JP2001208658A (ja) 石炭ガスのタール除去装置
KR20150111636A (ko) 잉곳성장 장치의 배기관 산화물 제거방법 및 그 제거장치
CN106544639A (zh) 防止堵塞的气体抽取装置及设置该装置的mocvd设备
CN108410481B (zh) 一种焦炉立火道疏通清扫器和疏通方法
CZ299619B6 (cs) Zpusob provozu koksovací baterie koksárenské pece
JP2004521987A5 (ko)
TW201422802A (zh) 用以調節與控制氣體壓力的裝置及方法
KR101766546B1 (ko) 코크스 오븐 가스 배출 장치
KR101726261B1 (ko) 코크스 오븐의 수집관 제어 장치
KR101477397B1 (ko) 코크스 오븐 가스 회수장치
CN205607132U (zh) 一种自动化真空反应炉
KR101442984B1 (ko) 가스 포집관 침전물 제거장치
KR101680216B1 (ko) 뷰 포트 및 이를 포함하는 잉곳 성장 장치
US10561963B2 (en) Liquid-liquid contact device and liquid-liquid contact method
CN205580814U (zh) 一种化工反应釜人工取样装置
KR101765696B1 (ko) 로터리 킬른형 시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