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2904A - 휨력이 고르게 분산된 커브드 액정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휨력이 고르게 분산된 커브드 액정 표시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42904A KR20160142904A KR1020150078297A KR20150078297A KR20160142904A KR 20160142904 A KR20160142904 A KR 20160142904A KR 1020150078297 A KR1020150078297 A KR 1020150078297A KR 20150078297 A KR20150078297 A KR 20150078297A KR 20160142904 A KR20160142904 A KR 2016014290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gnetic sheet
- liquid crystal
- curved
- crystal panel
- side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휨력이 고르게 분산된 커브드 액정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커브드 액정 표시장치는, 만곡된 탑 케이스, 만곡된 가이드 패널, 실장 공간, 액정 패널, 제1 자성 시트 및 제2 자성 시트를 포함한다. 만곡된 가이드 패널은 만곡된 탑 케이스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실장 공간은 탑 케이스와 가이드 패널 사이에 정의된다. 액정 패널은 실장 공간 내에서 만곡되어 배치된다. 제1 자성 시트는, 액정 패널의 테두리 외측 표면에 배치된다. 제2 자성 시트는, 제1 자성 시트와 대향하도록, 가이드 패널 및 탑 케이스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휨력이 고르게 분산된 커브드 액정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다수의 시청자가 시청 위치에 관계없이 양질의 표시 품질을 제공하기 위한 곡면형 대형 액정 표시장치에서, 표시 패널의 전체 면적에 걸쳐 휨력을 일정하게 분산한 커브드 액정 표시장치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장치는 경량, 박형, 저소비 전력구동 등의 특징으로 인해 그 응용범위가 점차 넓어지고 있는 추세에 있다. 액정 표시장치는 노트북 PC와 같은 휴대용 컴퓨터, 사무 자동화 기기, 오디오/비디오 기기, 옥내외 광고 표시장치 등으로 이용되고 있다. 액정 표시장치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투과형 액정 표시장치는 액정층에 인가되는 전계를 제어하여 백 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변조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한다.
백 라이트 유닛은 직하형(direct type)과 에지형(edge type)으로 대별된다. 에지형 백 라이트 유닛은 도광판의 측면에 대향되도록 광원이 배치되고 액정 표시패널과 도광판 사이에 다수의 광학 시트들이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에지형 백 라이트 유닛은 광원이 도광판의 일측에 빛을 조사하고 도광판이 선광원 또는 점광원을 면광원으로 변환한다. 직하형 백 라이트 유닛은 액정 표시패널의 아래에 다수의 광원들이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백 라이트 유닛의 광원으로 최근에는, 발광다이오드(이하 "LED"라 함)가 각광을 받고 있다. 특히, LED를 액정 표시패널의 일측면에 장착한 에지형 백 라이트 유닛을 구비한 액정 표시장치가 박형화에 더욱 적합하여 많은 각광을 받고 있다.
이하, 도 1 및 2를 참조하여, 액정 표시장치로 대형 TV를 구현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LED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한 액정 표시장치로 구현한 대형 TV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절취선 I-I'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2는 액정 표시장치의 장변을 따라 자른 단면으로 보여준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액정 표시장치는 일례로서, 에지형 백 라이트 유닛을 구비한 경우를 나타낸다. 에지형 백 라이트 유닛은 도광판(LG)의 측면에 빛을 조사하는 LED 광원(LED)를 구비한다. LED 광원(LED)은 커버 버텀(CB)의 하단변 측면에 광원 구동 회로기판(MCP)에 장착되어, 도광판(LG)의 측면에 결합된다. 도광판(LG)과 액정 표시패널(LCP) 사이에는 광학 시트들(OPT)이 배치된다. 광학 시트들(OPT)은 1매 이상의 프리즘 시트, 1매 이상의 확산시트 등을 포함하여 도광판(LG)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확산하고 액정 표시패널(LCP)의 광입사면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수직인 각도로 빛의 진행경로를 굴절시킨다. 광학 시트들(OPT)에는 DBEF(dual brightness enhancement film)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가이드 패널(PG)은 액정 표시패널(LCP)과 에지형 백 라이트 유닛의 측면을 감싸고 액정 표시패널(LCP)과 광학 시트들(OPT) 사이에서 액정 표시패널(LCP)을 지지한다. 커버 버텀(CB)은 LED 광원(LED)의 배면 및 도광판(LG) 하면을 감싼다. 커버 버텀(CB)과 도광판(LG) 사이에는 반사시트(REF)가 배치된다. 탑 케이스(TC)는 액정 표시패널(LCP)의 전면 가장자리와 가이드 패널(PG)의 측면을 감싼다. 도 2에서는 양측변에 모두 광원이 배치된 경우를 나타내었다. 필요하다면, 어느 한쪽에만 광원이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대형 TV를 액정 표시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현재 80인치 정도의 초대형 TV를 액정 표시장치 1장으로 구현하기도 한다. 대형 TV의 경우, 여러 사람들이 TV 앞에 일렬로 앉아서 감상하는 경우가 많다. 이 경우, 시야각 성능이 우수하다고 하더라도, 양 측 끝에 위치한 관람자의 경우, 반대측 변의 영상이 정상적으로 인지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화면의 중심 세로 축을 중심으로 양 측변을 가운데 방향으로 약간 구부린 커브드(Curved) 액정 표시장치가 제안되었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커브드 액정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 절취선 II-II'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커브드 액정 표시장치는, 세로 중심 선(CL)을 기준으로 좌측변(LEF)과 우측변(RIG)이 앞쪽으로 구부러진 커버 버텀(CB)과 가이드 패널(PG) 그리고 탑 케이스(TS)를 포함한다. 그리고 구부러진 탑 케이스(TS)와 가이드 패널(PG)이 형성하는 만곡형의 실장 공간(HS) 내에 액정 패널(LCP)이 안착됨으로써, 구부러진 만곡 형상을 유지한다. 즉, 장변 방향으로 만곡된 가이드 패널(PG)과 탑 케이스(TS)의 형상에 의해 액정 표시패널(LCP)가 강제적으로 만곡된 형상을 유지하는 구조를 갖는다.
도 3 및 4의 모서리에는 3차원 좌표축을 도시하였다. 도 3 및 4에서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커브드 액정 표시장치는 XY 평면상에 액정 패널(LCP)이 배치된다. 액정 패널(LCP)을 실장하는 커버 버텀(CB)과 가이드 패널(PG) 그리고 탑 케이스(TS)들의 평면이 XY 평면상에 배치된다. 커브드 액정 표시장치는 중심선(CL)을 기준으로 양측변들이 +Z 축 방향으로 구부러져 돌출된다. X축상에 배치된 커브드 액정 표시장치의 장변의 양 측변들이 앞쪽으로 구부러진 구조를 갖는다.
도 5를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커브드 액정 표시장치의 문제점을 살펴본다. 도 5는 도 4에서 원형 A로 표시한 한쪽 모서리 부분을 자세히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4와 같이 만곡된 형상을 갖는 커버 버텀(CB)과 가이드 패널(PG) 그리고 탑 케이스(TS)들에 의해 형성된 만곡 형상의 실장 공간(혹은, 하우징 공간)(HS) 내에 평판형의 액정 패널(LCP)를 강제적으로 장착한다. 액정 패널(LCP)은 유리 기판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자체적으로 가진 탄성력에 의해 원래 상태인 평면 상태로 되돌아 가려는 복원력이 발생한다.
구조상 실장 공간(HS)의 크기가 액정 패널(LCP)의 크기와 완벽하게 동일할 수는 없다. 즉, 실장 공간(HS)을 구성하는 커버 버텀(CB) 및 가이드 패널(PG)의 내측 벽면과 액정 패널(LCP)의 표면 사이에는 공간 혹은 공극이 존재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액정 패널(LCP)은 일부가 커버 버텀(CB) 및 가이드 패널(PG)의 내측 벽면과 접촉하면서 복원력에 의한 반발력이 발생한다.
특히, 액정 패널(LCP)의 만곡되는 장변을 따라 만곡 형상을 유지하는 휨력과 복원력이 균일하게 분포/유지되지 않고, 커버 버텀(CB) 및 가이드 패널(PG)의 내측 벽면과 접촉하는 특정 영역에만 집중되는 현상이 일어 난다. 예를 들어, 도 5에서 원형으로 표시한 'F'부분에 휨력이 집중될 수 있다. 이 경우, 액정 패널(LCP)의 네 모서리 부분에서 액정층(LC)의 배열에 영향을 주어, 빛샘 현상이 발생한다.
특히, 만곡된 정도가 커질 수록 빛샘 정도는 더 심해진다. 예를 들어, 평면 상태인 액정 패널에서는 전체 패널 어디에서도 빛샘이 발생하지 않는다. 커브드 액정 표시장치의 만곡된 정도인 곡률을 6000mm, 4000mm 및 2500mm로 변화하면서 빛샘을 측정한 결과, 도 6과 같이 네 모서리에서 빛샘 현상이 심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6은 종래 기술에 의한 커브드 액정 표시장치에서 곡률 반경이 작아짐에 따라 네 모서리 부분에서 발생하는 빛샘 현상의 정도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커브드 액정 표시장치는 대형 TV에 적용하는 구조로서, 여러 사람이 대형 화면에 대해 관측 시감을 향상시켜주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만곡된 형상에서 발생하는 휨력과 복원력이 액정 패널을 실장하는 공간 내에서 휨력이 일정하게 분포되지 않음으로 인해 빛샘이 발생한다. 이러한 빛샘은 오히려 관측 시감을 저해하는 요소가 되고 있다. 따라서, 커브드 액정 표시장치에서 휨력을 일정하게 분산하도록 함으로써 빛샘을 줄일 수 있는 구조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안출 된 발명으로써, 휨력이 고르게 분산된 커브드 액정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휩력이 만곡된 변을 따라 고르게 분산된 커브드 액정 표시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모서리 부분에서 빛샘 및/또는 화질 불량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커브드 액정 표시장치는, 만곡된 탑 케이스, 만곡된 가이드 패널, 실장 공간, 액정 패널, 제1 자성 시트 및 제2 자성 시트를 포함한다. 만곡된 가이드 패널은 만곡된 탑 케이스에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실장 공간은 탑 케이스와 가이드 패널 사이에 정의된다. 액정 패널은 실장 공간 내에서 만곡되어 배치된다. 제1 자성 시트는, 액정 패널의 테두리 외측 표면에 배치된다. 제2 자성 시트는, 제1 자성 시트와 대향하도록, 가이드 패널 및 탑 케이스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된다.
일례로, 제1 자성 시트는, 액정 패널의 네 변들 중 적어도 만곡된 변을 따라 배치된다. 제2 자성 시트는, 가이드 패널의 네 변들 중 적어도 만곡된 변을 따라 배치된다. 그리고 제1 자성 시트와 제2 자성 시트는 동일한 극성을 갖는다.
일례로, 제1 자성 시트는, 액정 패널의 네 변들 중 적어도 만곡된 변을 따라 배치된다. 제2 자성 시트는, 탑 케이스의 네 변들 중 적어도 만곡된 변을 따라 배치된다. 그리고 제1 자성 시트와 제2 자성 시트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다.
일례로, 만곡된 탑 케이스는, 네 변에 대응하도록 배치된 네 개의 테두리 외면들을 포함한다. 가이드 패널은, 네 개의 테두리 외면들과 대응하여 배치된 네 개의 테두리 내면들을 포함한다. 실장 공간은, 네 개의 테두리 외면들과 네 개의 테두리 내부들 사이에 형성된다. 그리고 만곡된 액정 패널은, 네 변에 배치된 비 표시 영역들이 네 개의 테두리 외면들과 네 개의 테두리 내면들 사이에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일례로, 제1 자성 시트는, 액정 패널의 네 변들 중 적어도 만곡된 변을 따라 배치된다. 제2 자성 시트는, 가이드 패널의 네 개의 테두리 내면들 중 적어도 만곡된 테두리 내면을 따라 내측면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1 자성 시트와 제2 자성 시트는 동일한 극성을 갖는다.
일례로, 제1 자성 시트는, 액정 패널의 네 변들 중 적어도 만곡된 변을 따라 배치된다. 제2 자성 시트는, 탑 케이스의 네 변들 중 적어도 만곡된 변을 따라 내측면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1 자성 시트와 제2 자성 시트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다.
일례로, 만곡된 탑 케이스는, 네 변에 대응하도록 배치된 네 개의 테두리 외면들을 포함한다. 가이드 패널은, 네 개의 테두리 외면들과 대응하여 배치되는 네 개의 상부면들과 네 개의 하부면들 그리고 상부면들과 하부면들을 연결하는 측면을 포함한다. 하우징 공간은, 가이드 패널의 상부면들과 하부면들 사이에 정의된다. 만곡된 액정 패널은, 네 변에 배치된 비 표시 영역들이 가이드 패널의 상부면들과 하부면들 사이에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일례로, 제1 자성 시트는, 액정 패널의 네 변들 중 적어도 만곡된 변을 따라 배치된다. 제2 자성 시트는, 가이드 패널의 하부면들 중 적어도 만곡된 변을 따라 내측면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1 자성 시트와 제2 자성 시트는 동일한 극성을 갖는다.
일례로, 제1 자성 시트는, 액정 패널의 네 변들 중 적어도 만곡된 변을 따라 배치된다. 제2 자성 시트는, 가이드 패널의 상부면들 중 적어도 만곡된 변을 따라 내측면에 배치된다. 그리고 제1 자성 시트와 제2 자성 시트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한 커브드 액정 표시장치는 액정 패널의 만곡된 변을 따라 균일하게 분포된 휨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실장 공간 내에서 기구부와 일정 부분이 지나치게 접촉하거나 눌려서 발생할 수 있는 빛샘 및/또는 화질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자성 시트를 휨력을 분산하고자 하는 부분에 부착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로 빛샘을 완벽하게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값비싼 광학적 수단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LED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에지형 백라이트 유닛을 구비한 액정 표시장치로 구현한 대형 TV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절취선 I-I'으로 자른 단면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커브드 액정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절취선 II-II'로 자른 단면도,
도 5는 도 4에서 원형 A로 표시한 한쪽 모서리 부분을 자세히 나타내는 확대도,
도 6은 종래 기술에 의한 커브드 액정 표시장치에서 곡률 반경이 작아짐에 따라 네 모서리 부분에서 발생하는 빛샘 현상의 정도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커브드 액정 표시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커브드 액정 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커브드 액정 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의한 커브드 액정 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의한 커브드 액정 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그리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의한 커브드 액정 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도 1에서 절취선 I-I'으로 자른 단면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의한 커브드 액정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절취선 II-II'로 자른 단면도,
도 5는 도 4에서 원형 A로 표시한 한쪽 모서리 부분을 자세히 나타내는 확대도,
도 6은 종래 기술에 의한 커브드 액정 표시장치에서 곡률 반경이 작아짐에 따라 네 모서리 부분에서 발생하는 빛샘 현상의 정도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커브드 액정 표시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커브드 액정 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커브드 액정 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의한 커브드 액정 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의한 커브드 액정 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그리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의한 커브드 액정 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 요소들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명칭은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선택된 것일 수 있는 것으로서, 실제 제품의 부품 명칭과는 상이할 수 있다.
이하,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커브드 액정 표시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커브드 액정 표시장치의 외관 구조는 종래 기술에 의한 것과 거의 동일하다. 핵심적인 구조적인 특징은 내부 구조에서 잘 나타난다. 따라서, 외관 구조는 도 4를 인용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커브드 액정 표시장치는, 액정 패널(LCP)와 액정 패널(LCP)을 실장하기 위한 커버 버텀(CB)과 가이드 패널(PG) 그리고 탑 케이스(TS)를 포함한다. 액정 패널(LCP)은 상부 기판(US) 및 하부 기판(LS)이 액정 층(LC)을 사이에 두고 합착되어 있다. 상부 기판(US)의 외측 표면에는 상부 편광 필름(UP)이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 기판(LS)의 외측 표면에는 하부 편광 필름(LP)이 부착되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커브드 액정 표시장치는, 세로 중심 선(CL)을 기준으로 좌측변(LEF)과 우측변(RIG)이 앞쪽으로 (+Z 방향) 구부러진 커버 버텀(CB)과 가이드 패널(PG) 그리고 탑 케이스(TS)를 포함한다. 그리고 구부러진 탑 케이스(TS)와 가이드 패널(PG)이 형성하는 만곡형의 실장 공간(HS) 내에 액정 패널(LCP)이 안착됨으로써, 구부러진 만곡 형상을 유지한다. 즉, 장변 방향으로 만곡된 가이드 패널(PG)과 탑 케이스(TS)의 형상에 의해 액정 표시패널(LCP)가 강제적으로 만곡된 형상을 유지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커브드 액정 표시장치는, 액정 패널(LCP)이 실장되는 실장 공간(HS) 내에서, 액정 패널(LCP)과 탑 케이스(TS) 및 가이드 패널(PG) 사이의 공간에 배치된 자성 시트들을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액정 패널(LCP) 상부 표면의 네 변과 탑 케이스(TS) 사이에는 상부 자성 보조체(UM)가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액정 패널(LCP) 하부 표면의 네 변과 가이드 패널(PG) 사이에는 하부 자성 보조체(LM)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자성 보조체(UM) 및 하부 자성 보조체(LM)은 액정 패널(LCP)의 휨력이 기판 전체에 걸쳐 고르게 분포될 수 있도록 분산하는 기능을 한다. 특히, 액정 패널(LCP)에 가해지는 휨력은 장변을 따라 (X축) 가해지므로, 액정 패널(LCP)의 상부변과 하부변에 대응하여 각각 상부 자성 보조체(UM) 및 하부 자성 보조체(LM)을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자성 보조체(UM) 및 하부 자성 보조체(LM)는 어느 하나만 배치될 수도 있고, 두 개 모두가 배치될 수도 있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상부 자성 보조체(UM) 및 하부 자성 보조체(LM)를 어떻게 구성하고 어떻게 배치하는 가에 따라 여러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의 원형 B부분을 확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만곡된 형상을 따라 배치된 자성 보조체의 자성 특성의 일례는 다음과 같다. 전류 자속 밀도(Br)는 2.0 ~ 5.0[Kgauss] 혹은 200~500[T]일 수 있다. 보자력(Hc)은 1.5 ~ 5.0[KOe] 혹은 125~400[KA/m]일 수 있다. 그리고 최대 에너지적((BH)max)은 0.8 ~ 6.0[MGOe] 혹은 6.5~45.0[KJ/m3]일 수 있다.
<제1 실시 예>
먼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커브드 액정 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커브드 액정 표시장치는, 가이드 패널(PG)을 구성하는 네 개의 면들과 탑 케이스(TC)로 둘러싸인 공간이 액정 패널(LCP)를 장착할 수 있는 실장 공간(HS)을 형성한다. 실장 공간(HS) 내에 액정 패널(LCP)이 장착된다.
탑 케이스(TS)는 네 변에 대응하도록 배치된 네 개의 테두리 외면들(OTS)을 포함한다. 네 개의 테두리 외면들(OTS)중에서 장변 방향을 따라 만곡된 형상을 갖는다. 또한, 가이드 패널(PG)은, 탑 케이스(TS)의 네 개 테두리 외면들(OTS)과 대응하여 배치된 네 개의 테두리 내면들(INS)을 포함한다. 그 결과, 실장 공간(HS)은, 탑 케이스(TS)의 네 개 테두리 외면들(OTS)과 가이드 패널(PG)의 네 개 테두리 내면들(INS)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정의된다.
또한, 액정 패널(LCP)의 하부면 외측면에서 비 표시 영역에 해당하는 네 개의 가장자리 변을 따라 배치된 제1 하부 자성 시트(LM1)를 더 포함한다. 또한, 제1 하부 자성 시트(LM1)와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2 하부 자성 시트(LM2)를 더 포함한다. 제2 하부 자성 시트(LM2)는 가이드 패널(PG)에서 네 개 테두리 내면(INS)의 내측 표면에 배치된다. 그 결과, 제1 하부 자성 시트(LM1)와 제2 하부 자성 시트(LM2)는 서로 마주보고 대치하는 구조로 배치된다.
여기서, 제1 하부 자성 시트(LM1)와 제2 하부 자성 시트(LM2)는 그 극성이 서로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제1 하부 자성 시트(LM1)와 제2 하부 자성 시트(LM2) 사이에서 인력에(끌어 당기는 힘) 의해 액정 패널(LCP)에 휨력이 균일하게 제공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자성 시트를 적용한 경우, 액정 패널(LCP)의 크기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곡률 6000인 경우에서, 빛샘 수준이 50~55% 정도 향상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다시 설명하면, 휨력이 -Z 방향으로 가해져야 액정 패널(LCP)의 만곡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액정 패널(LCP)의 장변을 따라 자력에 의한 휨력이 고르게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제1 하부 자성 시트(LM1)가 S극성을 갖는 다면, 제2 하부 자성 시트(LM2)가 N극성을 갖도록 배치하여, 액정 패널(LCP)이 만곡 형상을 갖는 가이드 패널(PG)의 형상과 밀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도 5에서 도시한 'F' 부분에서와 같이, 종래의 구조에서 발생하는 특정 부분의 눌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하부 자성 시트(LM1)는 액정 패널(LCP)에서 비 표시 영역에 해당하는 네개의 테두리 영역 모두에서 하부 외측 표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휨력이 가장 심하게 걸리는 두 개의 장변(X 방향의 변)들에 대응하는 테두리 영역의 하부 외측 표면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어떠한 경우든지, 제2 하부 자성 시트(LM2)는 제1 하부 자성 시트(LM1)와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 하부 자성 시트(LM2)는 가이드 패널(PG)의 테두리 내측면에 배치된다. 도 8에서 편의상 제1 하부 자성 시트(LM1)와 제2 하부 자성 시트(LM2)가 서로 분리된 형상으로 도시하였다. 하지만, 실제로 액정 패널(LCP)을 실장한 후에는, 제1 하부 자성 시트(LM1)와 제2 하부 자성 시트(LM2)가 서로 밀착함으로써, 휨력이 액정 패널(LCP) 전체 길이에 걸쳐 고르게 분산된다.
또한, 액정 패널(LCP)이 실장 공간(HS) 내에서 최대한 공극이 없이 실장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가이드 패널(PG) 및 탑 케이스(TC)와의 사이에 폼 패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하부 자성 시트(LM1)는 액정 패널(LCP)의 하부 편광 필름(LP)의 외측 표면에 직접 부착할 수 있다. 반면에, 제2 하부 자성 시트(LM2)는 가이드 패널(PG) 테두리의 내측 표면에 부착된 하부 폼 패드(LF)의 상부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탑 케이스(TS)의 테두리 내측면에도 상부 폼 패드(UF)가 더 부착될 수 있다.
<제2 실시 예>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커브드 액정 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의한 커브드 액정 표시장치는, 가이드 패널(PG)을 구성하는 네 개의 면들과 탑 케이스(TC)로 둘러싸인 공간이 액정 패널(LCP)를 장착할 수 있는 실장 공간(HS)을 형성한다. 실장 공간(HS) 내에 액정 패널(LCP)이 장착된다.
탑 케이스(TS)는 네 변에 대응하도록 배치된 네 개의 테두리 외면들(OTS)을 포함한다. 네 개의 테두리 외면들(OTS)중에서 장변 방향을 따라 만곡된 형상을 갖는다. 또한, 가이드 패널(PG)은, 탑 케이스(TS)의 네 개 테두리 외면들(OTS)과 대응하여 배치된 네 개의 테두리 내면들(INS)을 포함한다. 그 결과, 실장 공간(HS)은, 탑 케이스(TS)의 네 개 테두리 외면들(OTS)과 가이드 패널(PG)의 네 개 테두리 내면들(INS)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정의된다.
또한, 액정 패널(LCP)의 상부면 외측면에서 비 표시 영역에 해당하는 네 개의 가장자리 변을 따라 배치된 제1 상부 자성 시트(UM1)를 더 포함한다. 또한, 제1 상부 자성 시트(UM1)와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2 상부 자성 시트(UM2)를 더 포함한다. 제2 상부 자성 시트(UM2)는 탑 테이스(TS)에서 네 개 테두리 외면들(OTS)의 내측 표면에 배치된다. 그 결과, 제1 상부 자성 시트(UM1)와 제2 상부 자성 시트(UM2)는 서로 마주보고 대치하는 구조로 배치된다. 여기서, 제1 상부 자성 시트(UM1)와 제2 상부 자성 시트(UM2)는 그 극성이 서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제1 상부 자성 시트(UM1)와 제2 상부 자성 시트(UM2) 사이에서 반발력에(서로 미는 힘) 의해 액정 패널(LCP)에 휨력이 균일하게 제공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시 설명하면, 휨력이 -Z 방향으로 가해져야 액정 패널(LCP)의 만곡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액정 패널(LCP)의 장변을 따라 자력에 의한 휨력이 고르게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제1 상부 자성 시트(UM1)가 S극성을 갖는 다면, 제2 상부 자성 시트(UM2)도 S극성을 갖도록 배치하여, 액정 패널(LCP)이 만곡 형상을 갖는 가이드 패널(PG)의 형상에 가급적 가깝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도 5에서 도시한 'F' 부분에서와 같이, 종래의 구조에서 발생하는 특정 부분의 눌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상부 자성 시트(UM1)는 액정 패널(LCP)에서 비 표시 영역에 해당하는 네개의 테두리 영역 모두에서 상부 외측 표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휨력이 가장 심하게 걸리는 두 개의 장변(X 방향의 변)들에 대응하는 테두리 영역의 상부 외측 표면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어떠한 경우든지, 제2 상부 자성 시트(UM2)는 제1 상부 자성 시트(UM1)와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 상부 자성 시트(UM2)는 탑 케이스(TS)의 테두리 내측면에 배치된다.
또한, 액정 패널(LCP)이 실장 공간(HS) 내에서 최대한 공극이 없이 실장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가이드 패널(PG) 및 탑 케이스(TC)와의 사이에 폼 패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상부 자성 시트(UM1)는 액정 패널(LCP)의 상부 편광 필름(UP)의 외측 표면에 직접 부착할 수 있다. 반면에, 제2 상부 자성 시트(UM2)는 탑 케이스(TS) 테두리의 내측 표면에 부착된 상부 폼 패드(UF)의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 패널(PG)의 테두리 내측면에도 상부 폼 패드(UF)가 더 부착될 수 있다.
<제3 실시 예>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의한 커브드 액정 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의한 커브드 액정 표시장치는 제1 실시 예와 제2 실시 예를 합한 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액정 패널(LCP)의 하부면 외측면에서 비 표시 영역에 해당하는 네 개의 가장자리 변을 따라 배치된 제1 하부 자성 시트(LM1)를 더 포함한다. 또한, 제1 하부 자성 시트(LM1)와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2 하부 자성 시트(LM2)를 더 포함한다. 제2 하부 자성 시트(LM2)는 가이드 패널(PG)에서 네 테두리의 내측 면에 배치된다. 그 결과, 제1 하부 자성 시트(LM1)와 제2 하부 자성 시트(LM2)는 서로 마주보고 대치하는 구조로 배치된다. 여기서, 제1 하부 자성 시트(LM1)와 제2 하부 자성 시트(LM2)는 그 극성이 서로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액정 패널(LCP)의 상부면 외측면에서 비 표시 영역에 해당하는 네 개의 가장자리 변을 따라 배치된 제1 상부 자성 시트(UM1)를 더 포함한다. 또한, 제1 상부 자성 시트(UM1)와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2 상부 자성 시트(UM2)를 더 포함한다. 제2 상부 자성 시트(UM2)는 탑 케이스(TS)에서 네 테두리 외면들(OTS)의 내측 면에 배치된다. 그 결과, 제1 상부 자성 시트(UM1)와 제2 상부 자성 시트(UM2)는 서로 마주보고 대치하는 구조로 배치된다. 여기서, 제1 상부 자성 시트(UM1)와 제2 상부 자성 시트(UM2)는 그 극성이 서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3 실시 예에 의한 커브드 액정 표시장치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제1 및 제2 실시 예에서 모두 설명했기 때문에, 기타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제4 실시 예>
다음으로,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의한 커브드 액정 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의한 커브드 액정 표시장치는, 기본적으로 제1 및 제3 실시 예에 의한 구조와 동일하다. 다만, 가이드 패널(PG)의 구조에서 차이가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4 실시 예에 의한 커브드 액정 표시장치에 포함된 가이드 패널(PG)은 'ㄷ'자 구조의 단면 형상을 갖는다. 즉, 가이드 패널(PG)은, 액정 패널(LCP) 네 변에 배치된 비 표시 영역을 실장할 수 있도록 네 변에 대응하는 실장 공간(HS)을 갖는다. 여기서, 실장 공간(HS)은 액정 패널(LCP)의 네 개 테두리 외면들과 대응하여 배치되는 네 개의 상부면들(USB)과 네 개의 하부면들(LSB) 그리고 상부면들(USB)과 하부면들(LSB)을 연결하는 측면(SSB)으로 둘러싸인 공간이 된다.
제1 및 제3 실시 예에서는, 가이드 패널(PG)의 네 개의 하부면들(LSB)과 탑 케이스(TC)로 둘러싸인 공간이 액정 패널(LCP)를 장착할 수 있는 실장 공간(HS)이 된다. 실제적으로, 제4 실시 예에서의 실장 공간(HS)은 제1 및 제3 실시 예의 경우들과 큰 차이는 없다. 하지만, 탑 케이스(TS)의 재질과 가이드 패널(PG)의 재질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탑 케이스(TC)와 가이드 패널(PG)이 합착하면서 이루는 휨력이 강하게 작용하여 빛샘이 더 많이 발생할 수 있다. 제4 실시 예와 같이 실장 공간(HS)을 가이드 패널(PG)로만 형성할 경우, 동일한 재질로 실장 공간(HS)을 형성하기 때문에, 탑 케이스(TS)와의 합착력이 휨력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제4 실시 예에 의한 가이드 패널(PG)만 적용하더라도, 휨력의 불균형에 의한 빛샘 현상을 어느 정도는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ㄷ'자 형태의 가이드 패널(PG)만 적용하더라도, 액정 패널(LCP)의 크기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곡률 6000인 경우와 비교했을 때, 빛샘 수준이 35~40% 정도 향상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하지만, 빛샘 문제를 더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제4 실시 예에 의한 가이드 패널(PG)에 제1 및 제3 실시 예에 의한 자성 시트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에서는 제4 실시 예에 의한 가이드 패널(PG)의 구조에 제1 실시 예에 의한 자성 시트를 적용한 경우를 도시하였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의한 커브드 액정 표시장치는, 액정 패널(LCP)의 하부면 외측면에서 비 표시 영역에 해당하는 네 개의 가장자리 변을 따라 배치된 제1 하부 자성 시트(LM1)를 더 포함한다. 또한, 제1 하부 자성 시트(LM1)와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2 하부 자성 시트(LM2)를 더 포함한다. 제2 하부 자성 시트(LM2)는 가이드 패널(PG)에서 네 테두리의 내측 면에 배치된다. 그 결과, 제1 하부 자성 시트(LM1)와 제2 하부 자성 시트(LM2)는 서로 마주보고 대치하는 구조로 배치된다. 여기서, 제1 하부 자성 시트(LM1)와 제2 하부 자성 시트(LM2)는 그 극성이 서로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설명하면, 휨력이 -Z 방향으로 가해져야 액정 패널(LCP)의 만곡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액정 패널(LCP)의 장변을 따라 자력에 의한 휨력이 고르게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제1 하부 자성 시트(LM1)가 S극성을 갖는 다면, 제2 하부 자성 시트(LM2)가 N극성을 갖도록 배치하여, 액정 패널(LCP)이 만곡 형상을 갖는 가이드 패널(PG)의 형상과 밀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도 5에서 도시한 'F' 부분에서와 같이, 종래의 구조에서 발생하는 특정 부분의 눌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하부 자성 시트(LM1)는 액정 패널(LCP)에서 비 표시 영역에 해당하는 네개의 테두리 영역 모두에서 하부 외측 표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휨력이 가장 심하게 걸리는 두 개의 장변(X 방향의 변)들에 대응하는 테두리 영역의 하부 외측 표면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어떠한 경우든지, 제2 하부 자성 시트(LM2)는 제1 하부 자성 시트(LM1)와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 하부 자성 시트(LM2)는 가이드 패널(PG)의 테두리 내측면에 배치된다.
또한, 액정 패널(LCP)이 실장 공간(HS) 내에서 최대한 공극이 없이 실장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가이드 패널(PG)과의 사이에 폼 패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하부 자성 시트(LM1)는 액정 패널(LCP)의 하부 편광 필름(LP)의 외측 표면에 직접 부착할 수 있다. 반면에, 제2 하부 자성 시트(LM2)는 가이드 패널(PG)을 구성하는 하부면(LSB)의 테두리 내측 표면에 부착된 하부 폼 패드(LF)의 상부 표면에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드 패널(PG)을 구성하는 상부면(USB)의 테두리 내측면에도 상부 폼 패드(UF)가 더 부착될 수 있다.
<제5 실시 예>
마지막으로,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의한 커브드 액정 표시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의한 커브드 액정 표시장치는, 기본적으로 제4 실시 예에 의한 구조와 동일하다. 제5 실시 예에 의한 커브드 액정 표시장치에 포함된 가이드 패널(PG)은 'ㄷ'자 구조의 단면 형상을 갖는다. 즉, 가이드 패널(PG)은, 액정 패널(LCP) 네 변에 배치된 비 표시 영역을 실장할 수 있도록 네 변에 대응하는 실장 공간(HS)을 갖는다. 여기서, 실장 공간(HS)은 액정 패널(LCP)의 네 개 테두리 외면들과 대응하여 배치되는 네 개의 상부면들(USB)과 네 개의 하부면들(LSB) 그리고 상부면들(USB)과 하부면들(LSB)을 연결하는 측면(SSB)으로 둘러싸인 공간이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의한 커브드 액정 표시장치는, 액정 패널(LCP)의 상부면 외측면에서 비 표시 영역에 해당하는 네 개의 가장자리 변을 따라 배치된 제1 상부 자성 시트(UM1)를 더 포함한다. 또한, 제1 상부 자성 시트(UM1)와 대향하도록 배치된 제2 상부 자성 시트(UM2)를 더 포함한다. 제2 상부 자성 시트(UM2)는 가이드 패널(PG)에서 네 테두리의 상부면() 내측 면에 배치된다. 그 결과, 제1 상부 자성 시트(UM1)와 제2 상부 자성 시트(UM2)는 서로 마주보고 대치하는 구조로 배치된다. 여기서, 제1 상부 자성 시트(UM1)와 제2 상부 자성 시트(UM2)는 그 극성이 서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설명하면, 휨력이 -Z 방향으로 가해져야 액정 패널(LCP)의 만곡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액정 패널(LCP)의 장변을 따라 자력에 의한 휨력이 고르게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제1 상부 자성 시트(UM1)가 S극성을 갖는 다면, 제2 상부 자성 시트(UM2)도 S극성을 갖도록 배치하여, 액정 패널(LCP)이 만곡 형상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도 5에서 도시한 'F' 부분에서와 같이, 종래의 구조에서 발생하는 특정 부분의 눌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상부 자성 시트(UM1)는 액정 패널(LCP)에서 비 표시 영역에 해당하는 네개의 테두리 영역 모두에서 하부 외측 표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휨력이 가장 심하게 걸리는 두 개의 장변(X 방향의 변)들에 대응하는 테두리 영역의 상부면 외측 표면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어떠한 경우든지, 제2 상부 자성 시트(UM2)는 제1 상부 자성 시트(UM1)와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2 상부 자성 시트(UM2)는 가이드 패널(PG)의 테두리 상부면의 내측 표면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는, 제1 및 제2 실시 예에 적용한 경우들만 설명하였으나, 제4 실시 예에 의한 가이드 패널(PG)은 제3 실시 예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앞의 실시 예들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LCP: 액정 (표시)패널
BLU: 백 라이트 유닛
TC: 탑 케이스 PG: 가이드 패널
CB: 바텀 케이스 HS: 실장 공간
UM: 상부 자성 보조체 LM: 하부 자성 보조체
UM1: 제1 상부 자성 시트 UM2: 제2 상부 자성 시트
LM1: 제1 하부 자성 시트 LM2: 제2 하부 자성 시트
TC: 탑 케이스 PG: 가이드 패널
CB: 바텀 케이스 HS: 실장 공간
UM: 상부 자성 보조체 LM: 하부 자성 보조체
UM1: 제1 상부 자성 시트 UM2: 제2 상부 자성 시트
LM1: 제1 하부 자성 시트 LM2: 제2 하부 자성 시트
Claims (9)
- 만곡된 탑 케이스;
상기 탑 케이스에 대응하도록 만곡된 가이드 패널;
상기 탑 케이스와 상기 가이드 패널 사이에 정의된 실장 공간;
상기 실장 공간 내에서 만곡되어 배치된 액정 패널;
상기 액정 패널의 테두리 외측 표면에 배치된 제1 자성 시트; 그리고
상기 제1 자성 시트와 대향하도록, 상기 가이드 패널 및 상기 탑 케이스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된 제2 자성 시트를 포함하는 커브드 액정 표시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성 시트는, 상기 액정 패널의 네 변들 중 적어도 만곡된 변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제2 자성 시트는, 상기 가이드 패널의 네 변들 중 적어도 만곡된 변을 따라 배치되며; 그리고
상기 제1 자성 시트와 상기 제2 자성 시트는 동일한 극성을 갖는 커브드 액정 표시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성 시트는, 상기 액정 패널의 네 변들 중 적어도 만곡된 변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제2 자성 시트는, 상기 탑 케이스의 네 변들 중 적어도 만곡된 변을 따라 배치되며; 그리고
상기 제1 자성 시트와 상기 제2 자성 시트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커브드 액정 표시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된 탑 케이스는, 네 변에 대응하도록 배치된 네 개의 테두리 외면들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패널은, 상기 네 개의 테두리 외면들과 대응하여 배치된 네 개의 테두리 내면들을 포함하고;
상기 실장 공간은, 상기 네 개의 테두리 외면들과 상기 네 개의 테두리 내부들 사이에 형성되며; 그리고
상기 만곡된 액정 패널은, 네 변에 배치된 비 표시 영역들이 상기 네 개의 테두리 외면들과 상기 네 개의 테두리 내면들 사이에 대응하도록 배치된 커브드 액정 표시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성 시트는, 상기 액정 패널의 네 변들 중 적어도 만곡된 변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제2 자성 시트는, 상기 가이드 패널의 상기 네 개의 테두리 내면들 중 적어도 만곡된 테두리 내면을 따라 내측면에 배치되며; 그리고
상기 제1 자성 시트와 상기 제2 자성 시트는 동일한 극성을 갖는 커브드 액정 표시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성 시트는, 상기 액정 패널의 네 변들 중 적어도 만곡된 변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제2 자성 시트는, 상기 탑 케이스의 네 변들 중 적어도 만곡된 변을 따라 내측면에 배치되며; 그리고
상기 제1 자성 시트와 상기 제2 자성 시트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커브드 액정 표시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만곡된 탑 케이스는, 네 변에 대응하도록 배치된 네 개의 테두리 외면들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패널은, 상기 네 개의 테두리 외면들과 대응하여 배치되는 네 개의 상부면들과 네 개의 하부면들 그리고 상기 상부면들과 상기 하부면들을 연결하는 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실장 공간은, 상기 가이드 패널의 상기 상부면들과 상기 하부면들 사이에 정의되며; 그리고
상기 만곡된 액정 패널은, 네 변에 배치된 비 표시 영역들이 상기 가이드 패널의 상기 상부면들과 상기 하부면들 사이에 대응하도록 배치된 커브드 액정 표시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성 시트는, 상기 액정 패널의 네 변들 중 적어도 만곡된 변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제2 자성 시트는, 상기 가이드 패널의 상기 하부면들 중 적어도 만곡된 변을 따라 내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자성 시트와 상기 제2 자성 시트는 동일한 극성을 갖는 커브드 액정 표시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자성 시트는, 상기 액정 패널의 네 변들 중 적어도 만곡된 변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제2 자성 시트는, 상기 가이드 패널의 상기 상부면들 중 적어도 만곡된 변을 따라 내측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자성 시트와 상기 제2 자성 시트는 서로 다른 극성을 갖는 커브드 액정 표시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78297A KR20160142904A (ko) | 2015-06-03 | 2015-06-03 | 휨력이 고르게 분산된 커브드 액정 표시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78297A KR20160142904A (ko) | 2015-06-03 | 2015-06-03 | 휨력이 고르게 분산된 커브드 액정 표시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42904A true KR20160142904A (ko) | 2016-12-14 |
Family
ID=57575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78297A KR20160142904A (ko) | 2015-06-03 | 2015-06-03 | 휨력이 고르게 분산된 커브드 액정 표시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60142904A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113832A1 (en) | 2017-12-13 | 2019-06-20 | Boe Technology Group Co., Ltd. | Display apparatus having transparent magnetic layer,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
WO2023282547A1 (ko) * | 2021-07-08 | 2023-01-12 | (주)코텍 | 디스플레이 장치 |
-
2015
- 2015-06-03 KR KR1020150078297A patent/KR20160142904A/ko unknown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113832A1 (en) | 2017-12-13 | 2019-06-20 | Boe Technology Group Co., Ltd. | Display apparatus having transparent magnetic layer,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
EP3724717A4 (en) * | 2017-12-13 | 2021-07-21 | Boe Technology Group Co., Ltd. |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 TRANSPARENT MAGNETIC LAYER AND ITS MANUFACTURING PROCESS |
WO2023282547A1 (ko) * | 2021-07-08 | 2023-01-12 | (주)코텍 | 디스플레이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202395B2 (en) | Curved frame and curve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 |
US8780015B2 (en) | Display device with image expansion via peripherial light guide elements | |
KR101966739B1 (ko) |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 | |
US9280011B2 (en) |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 |
US8619210B2 (en) | Display device | |
WO2014034487A1 (ja) |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 |
US20140204275A1 (en) | Illumination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ption device | |
US20160109647A1 (en) | Backplane and backlight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ing same | |
KR20110031008A (ko) | 디스플레이 모니터 | |
CN103574406A (zh) | 背光装置、包括该背光装置的显示设备以及固定构件 | |
US10345510B2 (en) | Liquid crystal display | |
WO2011132515A1 (ja) | 照明装置及び表示装置 | |
US10042195B2 (en) | Display | |
CN105549265A (zh) | 一种背光模组及液晶显示器 | |
US20120287352A1 (en) |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 |
US20150042898A1 (en) |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ption device | |
US9658390B2 (en) | Light source cover including groove and backlight assembly including the light source cover | |
KR102001855B1 (ko) | 액정표시장치 | |
CN110908191A (zh) | 显示模组和显示装置 | |
KR101995777B1 (ko) |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 |
EP2230441A1 (en) | Illumina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 |
CN104285093A (zh) | 显示装置和电视接收装置 | |
KR20160142904A (ko) | 휨력이 고르게 분산된 커브드 액정 표시장치 | |
WO2012165318A1 (ja) |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 |
KR20150063783A (ko) |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조립 방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