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2797A - 스마트 기기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신장 측정 소셜 미디어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스마트 기기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신장 측정 소셜 미디어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2797A
KR20160142797A KR1020160156750A KR20160156750A KR20160142797A KR 20160142797 A KR20160142797 A KR 20160142797A KR 1020160156750 A KR1020160156750 A KR 1020160156750A KR 20160156750 A KR20160156750 A KR 20160156750A KR 20160142797 A KR20160142797 A KR 201601427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smart device
information
subject
coordinate valu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6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정
Original Assignee
김승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정 filed Critical 김승정
Priority to KR1020160156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2797A/ko
Publication of KR20160142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27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52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신장 측정 소셜 미디어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신장 측정 소셜 미디어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실제 높이가 알려진 기준 물품을 신장 측정 대상자의 옆에 놓고 함께 스마트 기기에 의해 이미지가 촬영되는 단계;
촬영된 이미지에서 기준 물품의 외곽선이 도출되어 기준 물품의 최외곽 상하 좌표값들(Y2a, Y1a)이 도출되는 단계;
촬영된 이미지에서 신장 측정 대상자의 외곽선이 도출되어 신장 측정 대상자의 최외곽 상하 좌표값들(Y2b, Y1b)이 도출되는 단계;
기준 물품의 최외곽 상하 좌표값들(Y2a, Y1a)과 신장 측정 대상자의 최외곽 좌표값들(Y2b, Y1b)을 통해, 기준 물품에 대한 신장 측정 대상자의 높이 비율(Sh)이 도출되는 단계;
비율(Sh)을 기준 물품의 실제 높이에 곱하여, 신장 측정 대상자의 신장이 도출되는 단계;
도출된 신장 측정 대상자의 신장이 촬영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과 함께 소셜 서비스 서버에 전송되어 저장되는 단계;
사용자가 요청시, 소셜 서비스 서버에 저장된 촬영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 정보와 함께 신장 정보가 스마트 기기에 전달되어 스마트 기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 기기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신장 측정 소셜 미디어 서비스 방법{Height Measuring Social Media Service Method using Augmented Reality of Smart Device}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신장 측정 소셜 미디어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녀 사진이나 동영상을 수시로 촬영해 놓았다가 추후 부모가 자녀의 성장 과정을 보고 싶을 때에 이들을 재생하여 보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러한 사진이나 동영상에는 자녀 성장 과정 파악의 주요 요소 중의 하나인 신장 변화에 대한 정보가 없다.
그래서, 자녀의 성장 과정을 보다 자세히 파악하기 위해서는 자녀의 신장 변화를 편리하고 용이하게 측정하여 이러한 사진이나 동영상과 함께 제공하는 방안이 필요하게 된다.
그런데, 스마트폰과 같은 다양한 스마트 기기에는 카메라와 함께 방향과 각도, 기울기, 가속도, 조도 센서들이 내장되게 되어, 종래기술(한국특허공개공보 공개번호 10-2013-22831호, 2013년 3월 7일 공개)에서는 도1과 같은 삼각법을 이용하여 어느 하나의 사이즈(거리 D)를 사용자가 입력하고 각도(θ)를 각도/기울기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하여 높이(H)를 산출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그러나, 이 종래기술에서는 거리(D)를 사용자가 정확하게 입력해야 정확한 높이(H)가 산출되는데, 사용자가 정확한 거리(D)를 측정할 수 있는 줄자나 막대자 등이 없는 경우에는 정확한 높이(H)를 측정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스마트 기기에서 이러한 삼각법을 이용하여 높이(H)를 측정하는 경우에는 정확한 거리(D)를 측정할 수 있는 거리 측정 장치 또는 센서가 스마트 기기에 탑재되지 않는 한, 정확한 높이(H)를 측정하기가 불가능해 진다.
한국특허공개공보 공개번호 10-2013-22831호 (2013년 3월 7일 공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신장을 측정하여 소셜 미디어 서비스에 의해 자녀의 사진 또는 동영상과 함께, 신장 정보 및 기타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스마트 기기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신장 측정 소셜 미디어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스마트 기기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신장 측정 소셜 미디어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실제 높이가 알려진 기준 물품을 신장 측정 대상자의 옆에 놓고 함께 스마트 기기에 의해 이미지가 촬영되는 단계;
촬영된 이미지에서 기준 물품의 외곽선이 도출되어 기준 물품의 최외곽 상하 좌표값들(Y2a, Y1a)이 도출되는 단계;
촬영된 이미지에서 신장 측정 대상자의 외곽선이 도출되어 신장 측정 대상자의 최외곽 상하 좌표값들(Y2b, Y1b)이 도출되는 단계;
기준 물품의 최외곽 상하 좌표값들(Y2a, Y1a)과 신장 측정 대상자의 최외곽 좌표값들(Y2b, Y1b)을 통해, 기준 물품에 대한 신장 측정 대상자의 높이 비율(Sh)이 도출되는 단계;
비율(Sh)을 기준 물품의 실제 높이에 곱하여, 신장 측정 대상자의 신장이 도출되는 단계;
도출된 신장 측정 대상자의 신장이 촬영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과 함께 소셜 서비스 서버에 전송되어 저장되는 단계;
사용자가 요청시, 소셜 서비스 서버에 저장된 촬영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 정보와 함께 신장 정보가 스마트 기기에 전달되어 스마트 기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을 이용하면,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신장을 측정하여 소셜 미디어 서비스에 의해 자녀의 사진 또는 동영상과 함께, 신장 정보 및 기타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종래기술에 따른 신장 측정 방법을 도시함.
도2는 본 발명에서 신장 측정 대상자 옆에 기준 물품을 배치하는 것을 도시함.
도3은 본 발명에서 스마트 기기에서 신장 측정 대상자와 기준 물품을 함께 촬영하는 것을 도시함.
도4는 본 발명에서 기준 물품에 대한 상하 좌표값을 정하는 것을 도시함.
도5는 본 발명에서 신장 측정 대상자의 상하 좌표값을 정하는 것을 도시함.
도6은 본 발명에서 수동으로 신장 측정 대상자의 상하 좌표값을 정하는 것을 도시함.
도7은 본 발명에서 측정된 실제 신장과 함께 다양한 정보가 스마트 기기에 표시되는 것을 도시함.
도8은 본 발명의 소셜 서비스 서버에서 스마트 기기에 제공되는 신장 변화 관련 서비스 화면을 도시함.
먼저, 본 발명에서 신장을 스마트 기기의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도면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2와 같이 높이가 이미 알려진 납짝한 기준 물품(예:스티커)을 벽에 붙여 놓고 신장을 측정하고자 하는 자녀를 그 옆의 벽에 붙어서 서 있게 한다(S1).
다음으로, 도3과 같이 스마트 기기(예:스마트폰)로 자녀의 전신과 함께 기준 물품을 촬영한다(S2). 이때 스마트 기기를 수직으로 만들고(수직 여부는 기울기 센서값으로 알 수 있다) 촬영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설령 수직이 되지 않고 기울어져서 촬영한다고 해도 자녀와 기준 물품이 동일한 비율로 기울어져서 촬영되게 되므로 문제가 없다.
이제, 촬영된 이미지에서 외곽선들을 추출하여(S4), 이미 알려진 기준 물품들의 외곽선 형상들의 특징(예:스티커는 원형)을 고려하여, 이 외곽선들 중에서 기준 물품의 외곽선을 도출하여(S5) 이 기준 물품의 외곽선에서 최외곽의 상하 좌표(Y2a, Y1a)를 도출하면(S6), 도4와 같이 기준 물품의 외곽에서 상하를 표시하는 상하 기준선의 좌표값(Y2a, Y1a)이 도출되고, 이때의 기준 물품의 상하 높이는 도4와 같이 10(스티커의 직경이 10cm로 정하여 10cm라는 의미)이 된다.
이제, 이러한 기준 물품의 상하 기준선(Y2a, Y1a) 각각을 이동시켜서 추출된 자녀의 외곽선 이미지의 상하 최외곽과 일치하게 정하면, 도5와 같이 자녀의 이미지 최외곽선에 대응하는 신장의 상하 기준선(Y2b, Y1b)이 도출된다(S7).
여기서, 기준 물품의 외곽선을 도출하고 기준 물품의 상하 좌표값(Y2a, Y1a)을 도출하는 방법은 공지의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면 되는데, 예를 들면 OpenCV에서 제공하는 다단계 분류 학습법(Cascade Classifier Training)을 이용한다. 자녀의 외곽선을 도출하는 방법도 마찬가지이다.
이 방법은 이미지 영상으로부터 좀 더 정확한 특징값을 검출하도록 학습시키는 것으로, 특징값을 구분하는 기본적인 원리는 이미지 영상을 이루는 영역과 영역의 밝기 차이를 이용하는 것이다.
학습은 포지티브(positive)샘플(검출 대상이 포함된 이미지 샘플)들과 네가티브(negative) 샘플(검출 대상이 포함되지 않은 이미지 샘플)들을 통해, 학습과정에서 포지티브 샘플들과 네가티브 샘플들을 가장 잘 구분시킬 수 있는 영상 특징(feature)들을 수백에서 수천 개를 찾아내고, 이 영상 특징들을 다양한 위치와 크기로 조합하여 강력한 검출 모델을 생성하게 되고, 이 검출 모델을 통해 촬영된 이미지에서 기준 물품의 좌표값들을 얻어내게 된다.
다음으로, 기준 물품의 높이에 대한 자녀의 신장의 비율(Sh)은 Sh=(Y2b-Y1b)/(Y2a-Y1a) 가 되고(S8), 기준 물품의 높이(Hr)가 10cm라는 것이 저장되어 있으므로 이 기준 물품의 높이(Hr)에 비율(Sh)을 곱하면 실제 신장(Hp)이 도출된다(S9). 즉 Hp=Hr x Sh 이다. 그래서 도5에는 이 비율(Sh)를 적용한 자녀의 신장이 142.10(142.10cm 라는 의미)로 표시되어 있다.
한편, 스티커와 같은 기준 물품은 형상이 단순하여 이상에서 설명한 다단계 분류 학습법 등을 통한 외곽선 추출이 용이하지만, 사람의 경우에는 머리 모양, 옷 형태, 손 자세 등이 다양하기 때문에 상기의 다단계 분류 학습법 등을 통해 자동적으로 신체의 외곽선을 추출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는 경우가 있으므로, 이때에는 사용자가 직접 스마트 기기로 촬영된 이미지에서 도6과 같이 직접 자녀의 머리 끝과 발뒤꿈치로 이동시켜서 상하 좌표값(Y2a, Y1a)을 정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이제, 사용자 (부모)는 자녀의 신장과 함께, 이때의 자녀의 이미지 사진이나 동영상을 스마트 기기에 저장하고, 자녀의 생년월일과 성별, 촬영 날짜/시간/위치/날씨 정보를 스마트 기기에서 입력하여, 이러한 정보들을 소셜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여 저장하게 한다(S10). 이때, 촬영 날짜/시간/위치/날씨 정보는 각각 스마트 기기에 저장된 날짜와 시간과 GPS좌표값과 날씨 정보들을 이용하여 자동적으로 추가되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추후에 사용자가 자녀의 신장 변화를 스마트 기기에서 보고자 하는 경우에 소셜 서비스 서버에 접속하여 요청하면(S11) 소셜 서비스 서버에서 사용자의 스마트 기기로 관련 데이터가 전송되어, 도8과 같이, 자녀의 모습들(사진, 동영상)과 함께 그 당시의 신장들이 표시되고, 특정 모습을 선택하면 도7과 같이 자녀의 모습과 함께, 신장/촬영날짜/시간/위치/날씨 정보가 표시된다(S12).
한편,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Claims (5)

  1. 스마트 기기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신장 측정 소셜 미디어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실제 높이가 알려진 기준 물품을 신장 측정 대상자의 옆에 놓고 함께 스마트 기기에 의해 이미지가 촬영되는 단계;
    촬영된 이미지에서 기준 물품의 외곽선이 도출되어 기준 물품의 최외곽 상하 좌표값들(Y2a, Y1a)이 도출되는 단계;
    촬영된 이미지에서 신장 측정 대상자의 외곽선이 도출되어 신장 측정 대상자의 최외곽 상하 좌표값들(Y2b, Y1b)이 도출되는 단계;
    기준 물품의 최외곽 상하 좌표값들(Y2a, Y1a)과 신장 측정 대상자의 최외곽 좌표값들(Y2b, Y1b)을 통해, 기준 물품에 대한 신장 측정 대상자의 높이 비율(Sh)이 도출되는 단계;
    비율(Sh)을 기준 물품의 실제 높이에 곱하여, 신장 측정 대상자의 신장이 도출되는 단계;
    도출된 신장 측정 대상자의 신장이 촬영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과 함께 소셜 서비스 서버에 전송되어 저장되는 단계;
    사용자가 요청시, 소셜 서비스 서버에 저장된 촬영된 이미지 또는 동영상 정보와 함께 신장 정보가 스마트 기기에 전달되어 스마트 기기의 화면에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신장 측정 소셜 미디어 서비스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되는 단계에서 촬영날짜정보, 시간 정보, 위치 정보 또는 날씨 정보가 더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신장 측정 소셜 미디어 서비스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날짜정보, 시간 정보, 위치 정보 또는 날씨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신장 측정 소셜 미디어 서비스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날짜정보, 시간 정보, 위치 정보 또는 날씨 정보는 스마트 기기에 저장된 관련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신장 측정 소셜 미디어 서비스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기기는 스마트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기기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사이즈 측정 방법.
KR1020160156750A 2016-11-23 2016-11-23 스마트 기기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신장 측정 소셜 미디어 서비스 방법 KR201601427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6750A KR20160142797A (ko) 2016-11-23 2016-11-23 스마트 기기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신장 측정 소셜 미디어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6750A KR20160142797A (ko) 2016-11-23 2016-11-23 스마트 기기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신장 측정 소셜 미디어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2797A true KR20160142797A (ko) 2016-12-13

Family

ID=57575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6750A KR20160142797A (ko) 2016-11-23 2016-11-23 스마트 기기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신장 측정 소셜 미디어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4279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36158B1 (en) 2020-01-13 2020-04-28 Bodygram, Inc. Methods and systems for height estimation from a 2D image using augmented reality
KR20220140350A (ko) * 2021-04-09 2022-10-18 박상혁 Ar 기반의 신장 측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성장 상태 측정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2831A (ko) 2011-08-26 2013-03-07 유민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거리, 높이, 길이 측정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2831A (ko) 2011-08-26 2013-03-07 유민규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거리, 높이, 길이 측정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36158B1 (en) 2020-01-13 2020-04-28 Bodygram, Inc. Methods and systems for height estimation from a 2D image using augmented reality
KR20220140350A (ko) * 2021-04-09 2022-10-18 박상혁 Ar 기반의 신장 측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성장 상태 측정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63448B2 (ja) 視覚強化ナビゲーション
US10095031B1 (en) Non-overlapped stereo imaging for virtual reality headset tracking
US10037614B2 (en) Minimizing variations in camera height to estimate distance to objects
US10636185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or guiding a user to a vicinity of a viewpoint
US20170371450A1 (en) Detecting tap-based user input on a mobile device based on motion sensor data
TWI718150B (zh) 用於判定一攝像機之空間特徵的方法及系統
CN102812416B (zh) 指示输入装置、指示输入方法、程序、记录介质以及集成电路
US10319104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datum plane
US8831337B2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identifying locations of detected objects
US11164378B1 (en) Virtual reality detection and projection system for use with a head mounted display
TW200838750A (en) Intelligent driving safety monitoring system integrating multiple direction information and method thereof
KR101341727B1 (ko) 3d gui 제어 장치 및 방법
CN103189827A (zh) 对象显示装置以及对象显示方法
CN110047105B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及存储介质
US20170076428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9883170B2 (en) Method for estimating distance, an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US2019026679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real object detection and control using a virtual reality head mounted display system
CN110807431A (zh) 对象定位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20160142797A (ko) 스마트 기기의 증강현실을 이용한 신장 측정 소셜 미디어 서비스 방법
KR20110087407A (ko) 카메라 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위치 감지 방법
CN117751393A (zh) 利用视觉辅助装置检测障碍元素的方法和系统
US11669988B1 (en) System and method for three-dimensional box segmentation and measurement
KR101726041B1 (ko) 모션 분석 기반 스키 자세 트레이닝 시스템
CN115516509A (zh) 基于对象底部位置的深度估计
JP6849331B2 (ja) デバイス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