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2706A - 반사경을 이용한 차량감지시스템 - Google Patents

반사경을 이용한 차량감지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2706A
KR20160142706A KR1020150078789A KR20150078789A KR20160142706A KR 20160142706 A KR20160142706 A KR 20160142706A KR 1020150078789 A KR1020150078789 A KR 1020150078789A KR 20150078789 A KR20150078789 A KR 20150078789A KR 20160142706 A KR20160142706 A KR 201601427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viewing angle
illuminance
value
warning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87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용택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융합산업연합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융합산업연합회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융합산업연합회
Priority to KR10201500787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42706A/ko
Publication of KR20160142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27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6Anti-collision systems
    • G08G1/166Anti-collision systems for active traffic, e.g. moving vehicles, pedestrians, bik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04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 G08G1/0137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8G1/0145Measuring and analyzing of parameters relative to traffic conditions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ctive traffic flow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일정한 제 1 시야각을 갖도록 형성된 반사경, 반사경 상에 구비된 차량진입 경고등 및 제 1 시야각에 대응되는 범위내에서 촬영된 도로의 영상정보를 기초로, 차량의 전조등에 의한 조도변화를 센싱하며, 상기 조도변화의 센싱여부에 따라 상기 제 1 시야각 범위내의 차량 진입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차량진입 경고등을 제어하는 영상센서모듈을 포함하며,영상센서모듈은 주변의 조도변화값과 기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하여, 상기 영상정보의 생성여부를 제어한다.

Description

반사경을 이용한 차량감지시스템{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detecting the vehicle by using reflecting mirror}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반사경을 이용한 차량감지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의 보급이 증가함에 따라, 교통사고가 급증하는 추세이다. 특히, 굽은 도로에 진입하는 경우 운전자는 반대편 도로의 상황을 인식하기 어려워 교통사고가 발생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굽은 도로에 반사경을 설치한다. 이러한 반사경은 주간에는 시인성이 좋아 운전자의 시야에서 벗어난 위치에 있는 차량의 존재여부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으나, 야간에는 주간에 비하여 시인성이 떨어져 운전자 또는 보행자는 반사경에 비치는 상을 정확하게 분별하기 곤란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야간에도 차량의 존재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반사경에 초음파센서 또는 마이크로웨이브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초음파센서는 근거리에 사물의 존재여부를 판단할 때 사용되며, 마이크로웨이브는 원거리에 사물의 존재여부를 판단할 때 사용된다. 반사경으로 부터 10m이상의 거리에서 차량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알아야 하므로, 근거리의 범위를 커버하는 초음파 방식을 적용하는 것은 부적절하며, 초음파 센서는 온도와 습도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기 때문에 차량의 존재여부를 판단함에 있어 신뢰성있는 판단을 하기가 어렵다. 이에 반하여 마이크로웨이브 방식은 온도와 습도에 의해 영향을 거의 받지 않으며, 비교적 원거리 범위의 차량의 존재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마이크로웨이브는 직진성을 가지기 때문에 반사경의 시야각에 해당하는 넓은 각도의 범위를 커버하는것이 곤란하며, 넓은 각도의 범위를 커버하기 위해서는 특별한 안테나 기술을 필요로 한다. 특별한 안테나 기술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을 요구하여 상용성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KR 10-2013-0086487 A
본 발명은 반사경의 제 1 시야각에 대응되는 범위에서 촬영된 영상을 기초로 차량 전조등에 의한 조도변화를 검출함으로써, 야간과 같이 육안으로 식별하기 어려운 상황에서도 차량의 진입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반사경을 이용한 차량감지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반사경을 이용한 차량감지시스템은 일정한 제 1 시야각을 갖도록 형성된 반사경, 상기 반사경 상에 구비된 차량진입 경고등 및 상기 제 1 시야각의 범위내에서 촬영된 도로의 영상정보를 기초로, 차량의 전조등에 의한 조도변화를 검출하며, 상기 조도변화의 검출여부에 따라 상기 제 1 시야각 범위내 일방향 차선으로의 차량 진입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차량진입 경고등을 제어하는 영상센서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영상센서모듈은 주변의 조도값 과 기설정된 제 1 기준값을 비교하여, 상기 도로의 촬영여부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영상센서모듈은 주변의 조도변화를 센싱하는 조도센서, 상기 제 1 시야각에 대응되는 제 2 시야각의 범위내에서 도로를 촬영하는 영상촬영부 및 상기 조도센서의 출력값이 상기 제 1 기준값 이하인 경우에만, 상기 영상촬영부가 동작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영상촬영부에서 촬영된 상기 영상정보를 기초로 하는 영상처리과정을 통해, 상기 제 2 시야각의 범위에 일방향 차선으로의 상기 차량의 진입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차량이 진입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차량진입 경고등의 점등을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영상센서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영상센서 컨트롤러는 상기 영상정보로부터 화소단위영역에서의 조도변화를 산출하며, 상기 조도변화값을 전압값으로 변환한 후, 상기 전압값이 상기 제 2 기준값 이상이며, 상기 전압값이 일정시간동안 유지되는 경우, 상기 제 2 시야각의 범위에서의 일방향 차선에서의 상기 차량의 진입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상기 차량진입 경고등은 상기 반사경의 원주면 좌측하부에 구비되는 제 1 LED 경고등 및 상기 반사경의 원주면 우측하부에 구비되는 제 2 LED 경고등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영상센서 컨트롤러는 상기 제 2 시야각 범위내의 일방향 차선으로 차량의 진입을 검출한 경우, 상기 제 1 LED 경고등이 점등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 2 시야각 범위내의 타방향 차선으로 차량의 진입을 검출한 경우, 상기 제 2 LED 경고등이 점등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반사경을 이용한 차량감지시스템의 제어방법은 조도센서로부터, 주변의 조도를 센싱하여, 조도값을 출력하는 조도센싱단계, 영상촬영부를 통해, 반사경의 제 1 시야각에 대응되는 제 2 시야각의 범위내의 도로를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영상촬영단계, 영상센서 컨트롤러에서, 상기 영상정보를 기초로 차량의 전조등에 의한 조도변화를 산출하상기 제 2 시야각 범위내 일방향 차선으로의 차량 진입여부를 검출하는 차량진입 검출단계 및 영상센서 컨트롤러에서, 상기 일방향 차선으로의 차량 진입을 검출한 경우, 차량진입 경고등이 점등되도록 제어하는 경고등의 점등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영상촬영단계는 상기 영상센서 컨트롤러에서, 상기 조도값 과 기설정된 제 1 기준값을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센서 컨트롤러에서, 상기 조도값이 상기 제 1 기준값 이하인 경우, 영상촬영부가 상기 제 2 시야각 범위내의 도로를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차량진입 검출단계는 상기 영상정보로부터 화소단위영역에서의 조도변화를 검출하며, 상기 조도변화값에 대응되는 전압값으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전압값을 기설정된 제 2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전압값이 상기 제 2 기준값 이상이며, 상기 전압값이 일정시간동안 유지되는 경우, 상기 일방향 차선으로의 차량의 진입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경고등의 점등단계는 상기 제 2 시야각 범위내의 일방향 차선으로 차량의 진입이 검출된 경우, 제 1 LED 경고등을 점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시야각 범위내의 타방향 차선으로 차량의 진입이 검출된 경우, 제 2 LED 경고등을 점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촬영된 도로의 영상정보를 기초로, 차량의 전조등에 의한 조도변화를 센싱하며, 조도변화의 센싱여부에 따라 차량 진입여부를 판단하여, 차량진입 경고등을 점등하는 제어함으로써 야간과 같이 반사경을 식별하기 어려운 환경에서도 차량이 진입하는 것을 경고하여 교통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영상센서모듈은 주변의 조도변화값과 기 설정된 기준값을 비교하여, 상기 영상정보의 생성여부를 제어함으로써, 주간 촬영에 소모되는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사경을 이용한 차량감지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사경을 이용한 차량감지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3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방향에서 차량이 진입하는 경우에 차량의 진입여부를 검출하는 프로세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내지 4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방향에서 차량이 진입하는 경우에 차량의 진입여부를 검출하는 프로세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사경을 이용한 차량감지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일면", "타면",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반사경을 이용한 차량감지시스템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시야각이란, 볼록거울 또는 렌즈등을 통해, 정상적으로 물체를 볼수있는 각도의 범위를 의미한다.
도 1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사경을 이용한 차량감지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블록도이며, 도 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사경을 이용한 차량감지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사경을 이용한 차량감지시스템은 일정한 제 1 시야각을 갖도록 형성된 반사경(120), 반사경(120) 상에 구비된 차량진입 경고등(110) 및 차량의 전조등에 의한 조도변화의 검출여부에 따라 상기 제 1 시야각 범위내 일방향 차선으로의 차량 진입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차량진입 경고등을 제어하는 영상센서모듈(100)을 포함한다.
반사경(120)은 도로의 굴곡부나 교차로등에 설치되는 볼록거울이며, 상기 볼록거울의 직경에 따라 일정한 시야각을 갖는다. 여기에서, 반사경(120)은 볼록거울의 직경에 따른 일정범위의 제 1 시야각(θ1)을 갖을 수 있다. 전원부(104)는 영상센서모듈(100)에 구동전압을 공급하며, 배터리 또는 태양전지형태일 수 있으나, 안정된 전압을 공급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형태는 이에 해당할 수 있다.
차량진입 경고등(110)은 반사경(120)상에 구비되며, 상기 제 1 시야각(θ1)범위내에 차량진입이 검출된 경우, 점등되는 발광다이오드(LED)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반사경(120)의 원주면 좌측하부에 구비되는 제 1 LED 경고등(110a) 과 반사경(120)의 원주면 우측하부에 구비되는 제 2 LED 경고등(110b)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영상센서모듈(100)의 제어에 의해 온(ON) 또는 오프(OFF)가 제어된다.
영상센서모듈(100)은 상기 제 1 시야각(θ1)의 범위내에서 촬영된 도로의 영상정보를 기초로, 차량의 전조등에 의한 조도변화를 검출하며, 상기 조도변화의 검출여부에 따라 상기 제 1 시야각 범위(θ1)내 일방향 차선으로의 차량 진입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차량진입 경고등을 제어한다. 나아가, 영상센서모듈(100)은 주변의 조도값 과 기설정된 제 1 기준값을 비교하여, 상기 도로의 촬영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센서모듈(100)은 주변의 조도변화를 센싱하는 조도센서(101), 상기 제 1 시야각(θ1 )에 대응되는 제 2 시야각(θ2)의 범위내에서 도로를 촬영하는 영상촬영부(102)및 조도센서(101)로부터 출력값을 입력받으며, 상기 출력값에 따라 영상촬영부(102)를 제어하는 영상센서 컨트롤러(10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영상센서모듈(100)의 제 2 시야각(θ2)은 반사경(120)의 제 1 시야각(θ1 )과 동일 범위 또는 넓은 범위로 설정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반사경(120)의 제 1 시야각(θ1 ) 범위내의 차량 진입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영상센서 컨트롤러(103)는 조도센서(101)의 출력값이 제 1 기준값 이하인 경우에만, 영상촬영부(102)가 영상을 촬영하도록 제어하며, 영상촬영부(102)에서 촬영된 영상정보를 기초로 하는 영상처리과정을 수행한다.
영상센서 컨트롤러(103)는 제 2 시야각(θ2)의 범위내 일방향 차선으로의 차량의 진입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차량이 진입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차량진입 경고등(110)의 점등을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 1 기준값은 해가 진 상태에서의 조도센서(101)로부터 센싱된 조도값이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영상센서 컨트롤러(103)는 영상촬영부(102)로부터 촬영된 상기 영상정보로부터 화소단위영역에서의 조도변화를 산출한다. 그리고, 영상센서 컨트롤러(103)는 상기 조도변화값을 전압값으로 변환한 후, 상기 전압값이 제 2 기준값 이상이며, 상기 전압값이 일정시간동안 유지되는 경우, 상기 제 2 시야각(θ2)의 범위에서의 일방향 차선으로 차량이 진입했음을 검출한다.
나아가, 영상센서 컨트롤러(103)는 제 2 시야각(θ2) 범위내의 일방향 차선으로 차량의 진입을 검출한 경우, 제 2 LED 경고등(110b)이 점등되도록 제어하며, 타방향 차선으로 차량의 진입을 검출한 경우, 제 1 LED 경고등(110a)이 점등되도록 제어한다.
영상센서 컨트롤러(103)는 상기에서 설명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알고리즘을 포함할 수 있으며,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예를들면, 반도체칩 또는 응용집적회로(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 3a 내지 도 5를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사경을 이용한 차량감지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도 3a 내지 3d 와 도 4a 내지 4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방향 또는 타방향에서 차량이 진입하는 경우에 차량의 진입여부를 검출하는 프로세스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반사경을 이용한 차량감지시스템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인 차량감지시스템(10)의 1) 영상센서모듈(100)은 주변의 조도값이 기설정된 제 1 기준값 이하인 경우, 반사경(120)의 제 1 시야각(θ1)에 대응되는 범위내의 도로를 촬영한다. 여기에서, 도 3a 내지 4b은 본 발명인 차량감지시스템( 10)이 T자형 도로에 구비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양한 구조의 도로에 적용될 수 있다.
즉, 영상센서 컨트롤러(103)는 조도센서(101)로부터 센싱된 조도값을 상기 제 1 기준값 과 비교하여, 상기 조도값이 상기 제 1 기준값 이하인 경우( 예를들면, 야간인 경우), 영상촬영부(102)를 제어하여, 반사경(120)의 제 1 시야각(θ1)에 대응되는 제 2 시야각(θ2) 범위내의 도로를 촬영한다(S100,S200).
2) 영상센서모듈(100)은 일정한 주기 또는 연속적으로 반사경(120)의 제 1 시야각(θ1)에 대응되는 제 2 시야각(θ2) 범위내의 도로를 촬영하며, 상기 촬영된 영상정보를 기초로 영상처리과정을 통해, 차량의 전조등에 의한 조도변화를 검출한다.
즉, 도 3a 와 도 3b 및 도 4a 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센서모듈( 100)은 제 2 시야각(θ 2 ) 범위내의 일방향 (A방향) 또는 타방향(B방향)으로 차량( C1 또는 C3 )이 진입하는 경우, 상기 차량의 영상정보를 기초로, 상기 차량의 전조등( H1 또는 H2)에 의한 조도변화를 감지하여, C 방향의 차량( C2 )이 일방향(A방 향)에서 차량이 이동중임을 감지할 수 있도록 제 1 경고등(110a)을 점등하거나, C방향의 차량( C2 )이 타방향(B방향)에서 차량(C3)동중임을 감지할 수 있도록 제 2경 고등(110b)을 점등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ⅰ) 영상촬영부(102)를 통해, 차량(C1,C3)이 일방향(A 방향) 또는 타방향(B방향)으로부터 제 2 시야각(θ2)의 범위내로 진입하는 상황이 촬영된 경우, 영상촬영부(102)는 상기 영상정보를 영상센서 컨트롤러(103)로 송신한다(S300).
3) 영상센서 컨트롤러(103)는 도 3c 및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촬영부(102)로부터 전송된 상기 영상정보를 화소단위(c)영역에서 분석하여, 상기 차량의 전조등(H1)에 의한 조도변화에 대응되는 화소영역(a1 또는 a2)을 산출한다. 여기에서, b는 노이즈에 의한 화소영역이며, 상기 노이즈는 RMS(Root Mean Square)기법에 의해 제거가능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4) 영상센서 컨트롤러(103)는 도 3d 와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영상정보의 화소단위영역(c)을 각 화소(Pixel)당(X축) 전압(V)(Y축)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차량의 진입여부를 판단한다(S400, S500).
즉, 영상센서 컨트롤러(103)는 상기 영상정보의 화소단위영역(c)을 각 화소(Pixel)당 전압(V) 형태로 변환한 후, 상기 전압값을 기설정된 제 2 기준값(Vth)과 비교하여, 상기 전압값이 상기 제 2 기준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여기에서, 제 1 구간(P1)는 상기 차량의 전조등(H1)에 의한 화소영역(a1)에 대응되는 전압값이며, 제 2 구간(P2)은 노이즈등에 의한 화소영역(b)에 대응되는 전압값을 의미하며, 상기 제 2 기준값은 전압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5) 영상센서 컨트롤러(103)는 일방향(A방향) 또는 타방향(B방향)에서 진입한 차량의 전조등(H1 또는 H2)에 의해 조도변화가 발생된 화소영역(a1 또는 a2)에 대응되는 전압값이 제 2 기준값(Vth) 이상이며, 일정시간동안 유지되는 경우, 제 2 시야각(θ2) 범위내에 차량이 진입한 것으로 판단하여, 제 2 LED 경고등(110b) 또는 제 1 경고등(110a)이 점등되도록 제어한다(S600).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인 반사경을 이용한 차량감지 반사경 시스템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반사경을 이용한 차량감지시스템
100 : 영상센서모듈 101: 조도센서
102: 영상촬영부 103: 영상센서 컨트롤러
104: 전원부 110 : 차량진입 경고등

Claims (9)

  1. 일정한 제 1 시야각을 갖도록 형성된 반사경;
    상기 반사경 상에 구비된 차량진입 경고등; 및
    상기 제 1 시야각의 범위내에서 촬영된 도로의 영상정보를 기초로, 차량의 전조등에 의한 조도변화를 검출하며, 상기 조도변화의 검출여부에 따라 상기 제 1 시야각 범위내 일방향 차선으로의 차량 진입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차량진입 경고등을 제어하는 영상센서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영상센서모듈은
    주변의 조도값 과 기설정된 제 1 기준값을 비교하여, 상기 도로의 촬영여부를 제어하는 반사경을 이용한 차량감지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영상센서모듈은
    주변의 조도변화를 센싱하는 조도센서;
    상기 제 1 시야각에 대응되는 제 2 시야각의 범위내에서 도로를 촬영하는 영상촬영부;및
    상기 조도센서의 출력값이 상기 제 1 기준값 이하인 경우에만, 상기 영상촬영부가 동작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영상촬영부에서 촬영된 상기 영상정보를 기초로 하는 영상처리과정을 통해, 상기 제 2 시야각의 범위에 일방향 차선으로의 상기 차량의 진입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차량이 진입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차량진입 경고등의 점등을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영상센서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반사경을 이용한 차량감지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영상센서 컨트롤러는
    상기 영상정보로부터 화소단위영역에서의 조도변화를 산출하며, 상기 조도변화값을 전압값으로 변환한 후, 상기 전압값이 상기 제 2 기준값 이상이며, 상기 전압값이 일정시간동안 유지되는 경우, 상기 제 2 시야각의 범위에서의 일방향 차선에서의 상기 차량의 진입여부를 판단하는 반사경을 이용한 차량감지시스템.
  4. 청구항 3 에 있어서,
    상기 차량진입 경고등은
    상기 반사경의 원주면 좌측하부에 구비되는 제 1 LED 경고등; 및
    상기 반사경의 원주면 우측하부에 구비되는 제 2 LED 경고등을 포함하는 반사경을 이용한 차량감지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영상센서 컨트롤러는
    상기 제 2 시야각 범위내의 일방향 차선으로 차량의 진입을 검출한 경우, 상기 제 1 LED 경고등이 점등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 2 시야각 범위내의 타방향 차선으로 차량의 진입을 검출한 경우, 상기 제 2 LED 경고등이 점등되도록 제어하는 반사경을 이용한 차량감지시스템.
  6. 조도센서로부터, 주변의 조도를 센싱하여, 조도값을 출력하는 조도센싱단계;
    영상촬영부를 통해, 반사경의 제 1 시야각에 대응되는 제 2 시야각의 범위내의 도로를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영상촬영단계;
    영상센서 컨트롤러에서, 상기 영상정보를 기초로 차량의 전조등에 의한 조도변화를 산출하상기 제 2 시야각 범위내 일방향 차선으로의 차량 진입여부를 검출하는 차량진입 검출단계;및
    영상센서 컨트롤러에서, 상기 일방향 차선으로의 차량 진입을 검출한 경우, 차량진입 경고등이 점등되도록 제어하는 경고등의 점등단계를 포함하는 반사경을 이용한 차량감지시스템의 제어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영상촬영단계는
    상기 영상센서 컨트롤러에서, 상기 조도값 과 기설정된 제 1 기준값을 비교하는 단계;및
    상기 영상센서 컨트롤러에서, 상기 조도값이 상기 제 1 기준값 이하인 경우, 영상촬영부가 상기 제 2 시야각 범위내의 도로를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사경을 이용한 차량감지시스템의 제어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차량진입 검출단계는
    상기 영상정보로부터 화소단위영역에서의 조도변화를 검출하며, 상기 조도변화값에 대응되는 전압값으로 변환하는 단계;및
    상기 전압값을 기설정된 제 2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전압값이 상기 제 2 기준값 이상이며, 상기 전압값이 일정시간동안 유지되는 경우, 상기 일방향 차선으로의 차량의 진입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사경을 이용한 차량감지시스템의 제어방법.
  9. 청구항 8 에 있어서,
    상기 경고등의 점등단계는
    상기 제 2 시야각 범위내의 일방향 차선으로 차량의 진입이 검출된 경우, 제 1 LED 경고등을 점등하는 단계; 및
    상기 제 2 시야각 범위내의 타방향 차선으로 차량의 진입이 검출된 경우, 제 2 LED 경고등을 점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사경을 이용한 차량감지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150078789A 2015-06-03 2015-06-03 반사경을 이용한 차량감지시스템 KR201601427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8789A KR20160142706A (ko) 2015-06-03 2015-06-03 반사경을 이용한 차량감지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8789A KR20160142706A (ko) 2015-06-03 2015-06-03 반사경을 이용한 차량감지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2706A true KR20160142706A (ko) 2016-12-13

Family

ID=57574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8789A KR20160142706A (ko) 2015-06-03 2015-06-03 반사경을 이용한 차량감지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4270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7295A (ko) * 2017-10-27 2019-05-08 주식회사 만도 물체 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04904B1 (ko) * 2022-08-30 2023-03-02 (주)이노테크 도로반사경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6487A (ko) 2012-01-25 2013-08-02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지능형 교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교통정보 제공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6487A (ko) 2012-01-25 2013-08-02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지능형 교통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교통정보 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7295A (ko) * 2017-10-27 2019-05-08 주식회사 만도 물체 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04904B1 (ko) * 2022-08-30 2023-03-02 (주)이노테크 도로반사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185588B (zh) 用于确定道路宽度的车载成像系统及方法
JP5680573B2 (ja) 車両の走行環境認識装置
EP3111134B1 (en) Light reflectance based detection
US20100123395A1 (en) Headlamp control device for vehicle
EP1513103A2 (en) Image processing system and vehicle control system
US10635896B2 (en) Method for identifying an object in a surrounding region of a motor vehicle, driver assistance system and motor vehicle
US20150120160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a braking situation
US20130158960A1 (en) Method and control unit for validating an illumination-range test value of a light cone of a vehicle headlight
CN111611841B (zh) 用于车辆的对象检测设备和方法
US20230117346A1 (en) System for Monitoring the Surround of a Motor Vehicle
JP2008110715A (ja) 車両用オートライトシステム
US10682966B2 (en) Vehicle light/display control system using camera
JP2007058805A (ja) 前方環境認識装置
KR20160142706A (ko) 반사경을 이용한 차량감지시스템
US20200271455A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a highly precise position and for operating an automated vehicle
US1133872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illuminance information of vehicle
JP2003009140A (ja) 歩行者検出装置
JP5151814B2 (ja) 走行区分帯検出装置及び走行区分帯検出装置用プログラム
KR20180041506A (ko) 차선 인식률 향상 장치 및 방법
KR102513818B1 (ko) 열 감지 센서를 이용한 피사체 인식률 향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카메라
KR20140147212A (ko) 라이더를 이용한 hba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3929420B2 (ja) 車両用光量検出装置及び車両用照明制御装置
JP2018182540A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カメラ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CN116615746A (zh) 可靠度校正装置、可靠度校正方法及车辆驾驶系统
TW201441581A (zh) 車輛輔助系統及車輛輔助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