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1884A - Apparatus for dispensing drug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dispensing dru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1884A
KR20160141884A KR1020150077027A KR20150077027A KR20160141884A KR 20160141884 A KR20160141884 A KR 20160141884A KR 1020150077027 A KR1020150077027 A KR 1020150077027A KR 20150077027 A KR20150077027 A KR 20150077027A KR 20160141884 A KR20160141884 A KR 201601418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ensing module
dispens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unit
installation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70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06368B1 (en
Inventor
김준호
Original Assignee
(주)제이브이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브이엠 filed Critical (주)제이브이엠
Priority to KR1020150077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6368B1/en
Publication of KR20160141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188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6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636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9/3462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4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in bulk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9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assembling and dispensing of pharmaceutical articles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dispensing dru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evice for dispensing drug includes: a plurality of dispensing modules to which each of unique dispensing modu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is given; a plurality of install blocks; a display unit; a database; and a control unit including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information about the dispensing module on the display unit.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previously preventing a drug accident.

Description

약제 불출 장치{Apparatus for dispensing drug}Apparatus for dispensing drug

본 발명은 약제 불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인스톨 블럭 및 디스펜싱 모듈의 장착 위치에 관계없이 인식이 가능한 약제 불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dicine dispens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dicine dispensing apparatus capable of recognizing an installation block and a dispensing module regardless of their mounting positions.

일반적으로 환자의 처방전에 따른 1회 복용분의 약제에는 다양한 종류 및 형태의 약제들이 포함될 수 있으며, 처방전에 따라 분류된 1회 복용분의 약제는 바스켓에 담겨 환자에게 전달된다.In general, a single-dose medication according to a patient's prescription may include various kinds and forms of medicines, and a single-dose medication classified according to the prescription is delivered to the patient in a basket.

하나의 바스켓에 담기게 되는 약제들은 각각의 약제가 담긴 박스로부터 환자의 처방전에 기재된 약제의 종류 및 개수에 따라 하나의 바스켓에 수집된다. 약제가 수집된 바스켓은 환자에게 전달되고 환자는 바스켓에 수집된 약제를 복용하게 된다.The medicines contained in one basket are collected from a box containing each medicament into one basket according to the type and number of medicines listed in the patient's prescription. The basket on which the medication is collected is delivered to the patient and the patient takes the medication collected on the basket.

한편, 하나의 바스켓에 다양한 약제의 수집을 위해서 종래에는 약사 등의 의약 전문가가 환자의 처방전에 따라 수동으로 약제를 담아 놓은 병 등으로부터 일일이 꺼낸 후 담는 과정이 필요하였으며, 이에 따라 약제 수집의 정확성을 재차 판단해야 하는 확인 작업이 반드시 필요하였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collect various medicines in one basket, in the past, medicines experts such as pharmacists needed to take out the medicines manually from the bottles containing the medicines according to the prescription of the patients, The confirmation work that needs to be judged again was indispensable.

이는 투약의 정확성을 담보하기 어려워 약화사고를 발생시킬 가능성을 항상 내포하게 된다. 또한, 약화사고 가능성뿐만 아니라 수집 과정 자체가 복잡하여 환자의 처방전에 맞게 약제를 수집하는 시간도 오래 걸리게 되어 작업 효율성이 저하된다는 문제도 유발시키게 된다. This makes it difficult to ensure the correctness of the medication and always implies the possibility of causing an attrition. In addition, not only the possibility of weakness but also the complexity of the collection process itself, it takes a long time to collect the medicine according to the prescription of the patient, which also causes a problem of lowering the working efficiency.

이러한 이유로 환자의 처방전에 따라 1회 복용분씩 약제를 수집하는데 있어서, 정확성 및 효율성을 향상시켜 약사 등의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는 동시에 약화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 방안 및 기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For this reason, it is necessary to study methods and techniques for improving the accuracy and efficiency in collecting medicines by one dose according to the patient's prescription, thereby providing convenience to users such as pharmacists, and preventing weakening accidents .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약제들을 불출하기 위하여 약제 불출 장치에 장착하는 경우 정해진 위치가 아닌 임의의 위치에 장착하는 경우에도 이를 감지하여 약제의 불출이 가능하고 사용자에게 이를 인지시킬 수 있는 약제 불출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dicine dispensing apparatus capable of dispensing medicines and recognizing the medicines when the medicines are dispensed to a dispenser for dispensing various kinds of medicines, to provide.

또한, 본 발명은 임의의 위치에 장착된 약제들을 보충하는 경우 사용자로 하여금 보충 대상 약제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약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 약제 불출 장치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dicine dispensing apparatus for allowing a user to easily grasp the position of a supplementary drug when supplementing medicines installed at an arbitrary position, and preventing a weakening accident in advance.

본 발명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는 각각 고유의 디스펜싱 모듈 식별정보가 부여되는 복수의 디스펜싱 모듈; 상기 디스펜싱 모듈이 장착되는 복수의 장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디스펜싱 모듈이 상기 장착부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장착부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장착부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디스펜싱 모듈 식별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를 구비하며, 각각 고유의 인스톨 블럭 식별정보가 구비되는 복수의 인스톨 블럭; 디스플레이; 데이터 베이스; 및 상기 디스펜싱 모듈, 상기 디스펜싱 모듈이 장착된 인스톨 블럭 및 장착부에 대한 일련의 식별정보들을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갱신수단과, 상기 복수의 디스펜싱 모듈 중 리필이 필요한 디스펜싱 모듈을 확인하는 재고 관리수단과, 상기 재고 관리수단에 의하여 리필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된 디스펜싱 모듈이 장착된 인스톨 블럭 및 장착부를 상기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조회하는 검색수단, 상기 검색수단에 의하여 조회된 디스펜싱 모듈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회된 디스펜싱 모듈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조회된 디스펜싱 모듈의 식별 정보, 상기 조회된 디스펜싱 모듈이 장착된 인스톨 블록 및 장착부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조회된 디스펜싱 모듈에 저장된 약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edicine disp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lurality of dispensing modules, each of which is assigned unique dispensing modu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 memory for storing dispensing modu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unting portion and the mounting por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en the dispensing module is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A plurality of installation blocks each having unique installed block identification information; display; database; And updating means for storing a series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the dispensing module, the installation block on which the dispensing module is mounted, and the mounting portion, in the database, and a controller for checking the dispensing module that requires refill among the plurality of dispensing modules A search means for inquiring, from the database, an installation block and a mounting portion on which a dispensing module that has been confirmed to be required to be refilled by the stock management means is mounted; information related to the dispensing module inquired by the searching means Wherein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arched dispensing module includes at least one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arched dispensing module, an installation block in which the searched dispensing module is install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unting portion, and drug information stored in the searched dispensing module .

또한, 상기 인스톨 블럭은 상기 디스펜싱 모듈이 장착되는 경우 상기 디스펜싱 모듈로부터 상기 고유의 디스펜싱 모듈 식별정보를 리딩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stallation block may include an interface unit for reading the unique dispensing modu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dispensing module when the dispensing module is installed.

나아가 상기 인스톨 블럭은, 상기 디스펜싱 모듈이 장착되는 것을 감지하는 장착 감지부; 및 상기 장착 감지부가 상기 디스펜싱 모듈의 장착을 감지하는 경우 장착된 디스펜싱 모듈의 식별정보와 해당 디스펜싱 모듈이 장착된 장착부의 식별정보를 함께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인식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Further, the installation block may include: a mounting sensing unit for sensing that the dispensing module is mounted; And recognition means for stor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unted dispensing module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unting portion on which the dispensing module is mounted when the mounting sensing portion senses mounting of the dispensing module, .

더 나아가 상기 인스톨 블럭은 상기 인식수단에 의하여 일련의 디스펜싱 모듈 및 장착부의 식별정보가 저장되는 경우 갱신여부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갱신통지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installation block may further include update notification means for transmitting an update signal to the control unit wh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series of the dispensing module and the mounting unit is stored by the recognition unit.

더 나아가 상기 갱신수단은 상기 갱신통지수단으로부터 갱신여부 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상기 메모리로부터 리딩된 디스펜싱 모듈, 인스톨 블럭 및 장착부의 식별정보를 함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할 수 있다.Furthermore, when the update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update notifying means, the updating means may stor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ispensing module, the installation block, and the mounting portion read from the memory together in the database.

또한, 사용자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디스펜싱 모듈 및 인스톨 블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선택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 selection of at least one of a dispensing module and an installation block displayed on the display from a user.

나아가 상기 장착부 각각에 구비되어 특정 장착부에 장착된 디스펜싱 모듈의 위치를 타 디스펜싱 모듈들의 위치와 구분하여 식별가능하도록 표시하는 제1 안내부; 및 상기 인스톨 블럭 각각에 구비되어 특정 인스톨 블럭의 위치를 타 인스톨 블럭들의 위치와 구분하여 식별가능하도록 표시하는 제2 안내부;를 포함할 수 있다.A first guide part provided in each of the mounting parts for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dispensing module mounted on the specific mounting part so as to be distinguishable from the position of the other dispensing modules; And a second guide unit provided in each of the installation blocks to distinguish the positions of the specific installation blocks from the positions of the other installation blocks.

더 나아가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사용자가 특정 디스펜싱 모듈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특정 디스펜싱 모듈에 대응하는 제1 안내부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구분표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지시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And an instruction unit for generating a division display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to display the first guide unit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dispensing module when the user selects the specific dispensing module through the input unit.

또한,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사용자가 특정 인스톨 블럭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특정 인스톨 블럭에 대응하는 제2 안내부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구분표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지시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may further include an instruction unit that generates a division display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to display a second guide unit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installation block when the user selects a specific installation block through the input unit.

나아가 상기 지시수단은 사용자의 상기 입력부를 통한 선택이 지속 중인 경우에만 상기 구분표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indicating means may generate the delimiter display control signal only when the selection through the input unit of the user is in progress.

또한 상기 제1 안내부 및 제2 안내부는 발광 소자, 발광 램프 및 디스플레이 패널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The first guide portion and the second guide portion may be any one of a light emitting device, a light emitting lamp, and a display panel.

또한, 상기 약제 정보는, 상기 조회된 디스펜싱 모듈에 저장된 약제의 이미지, 약제의 명칭 및 약제의 식별 코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rug information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image of the medicine stored in the searched dispensing module, a name of the medicine, and an identification code of the medicine.

본 발명에 따르면 약제를 보관한 상태로 약제 불출 장치 내에 구비되는 디스펜싱 모듈과 약제 불출 장치 내에 디스펜싱 모듈이 장착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인스톨 블럭을 각각 구비하고, 각각의 인스톨 블럭과 디스펜싱 모듈을 독립적으로 인식함으로써 디스펜싱 모듈과 인스톨 블럭이 임의의 위치에 장착되는 경우에도 이를 감지하여 정확한 약제의 불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ensing module provided in a medicine dispensing device in a state of storing medicine and an installation block for providing an interface for mounting a dispensing module in a medicine dispensing device, wherein each of the installed blocks and the dispensing module Therefore, even when the dispensing module and the installation block are mounted at an arbitrary position, it is possible to detect the dispense module and the installation block and dispense the correct medicin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인스톨 블럭 및 디스펜싱 모듈을 독립적으로 인식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사용자가 특정 종류의 약제를 보충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임의의 위치에 장착된 해당 디스펜싱 모듈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함과 동시에 약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도록 할 수 있도록 한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tallation block and the dispensing module are independently recognized and notified to the user, so that even when a user wishes to supplement a specific kind of medicine, the position of the dispensing module mounted at an arbitrary position can be easily grasped And at the same time prevent weakening accidents.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인스톨 블럭 및 디스펜싱 모듈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스톨 블럭 및 디스펜싱 모듈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디스펜싱 모듈의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장치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장치의 구체적인 구성부들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장치의 구체적인 구성부들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edicine disp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stallation block and a dispensing module of FIG.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stallation block and a dispensing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the dispensing module of FIG.
5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drug disp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specific components of a medicine disp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to 9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a medicine disp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block diagram showing specific components of the medicine disp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나 언급이 없는 경우에 본 설명에 사용하는 방향을 표시하는 용어는 도면에 표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한다. 또한 각 실시예를 통하여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한편, 도면상에서 표시되는 각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그 두께나 치수가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해당 치수나 구성간의 비율로 구성되어야 함을 의미하지는 않는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absence of special definitions or references, the terms used in this description are based on the conditions indicated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note the same members throughout the embodiments. For the sake of convenience, the thicknesses and dimensions of the structure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and they do not mean that the dimensions and the proportions of the structures should be actually set.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디스펜싱 모듈”와 “인스톨 블럭”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디스펜싱 모듈들은 각각 특정 종류의 약제가 수용되는 약제 보관부를 포함하여 약제의 불출이나 재고의 보충이 이루어지는 최소 단위의 구성부를 의미한다. 인스톨 블럭은 약제 불출 장치 내에 디스펜싱 모듈이 장착될 수 있는 복수의 장착부를 구비함으로써 디스펜싱 모듈들이 공간적 및/또는 제어적인 면에서 하나의 번들을 형성하여 취급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구성부이다. 예를 들어 디스펜싱 모듈에는 약제 보관함, 약제 불출 박스, 디비전 블럭 등이 해당될 수 있다.
Hereinafter, for the sake of convenience of description, "dispensing module" and "installation block" are defined as follows. The dispensing modules each include a medicine storage part in which a specific kind of medicine is accommodated, and the dispensing module is a minimum unit part in which the medicine is dispensed or the stock is replenished. The installation block has a plurality of mounting portions to which the dispensing module can be mounted in the dispenser so that the dispensing modules provide an interface by which one bundle can be handled in a spatial and / . For example, the dispensing module may include a medicine storage box, a medicine dispensing box, a division block, and the like.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이러한 디스펜싱 모듈과 인스톨 블럭의 다양한 예를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인스톨 블럭 및 디스펜싱 모듈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스톨 블럭 및 디스펜싱 모듈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디스펜싱 모듈의 모습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Various examples of such a dispensing module and an installation block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FIG.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edicine disp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stallation block and a dispensing module of FIG. 1. Referring to FIG. FIG.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installation block and a dispensing modul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nd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pensing module of FIG.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1)는 인스톨 블럭(150) 및 디스펜싱 모듈(100)를 구비한다. 약제 불출 장치(1) 내에는 수직 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다수의 인스톨 블럭(150)이 구비된다.As shown in FIG. 1, the drug dispensing apparatus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cludes an installation block 150 and a dispensing module 100. In the medicine dispensing apparatus 1, a plurality of installation blocks 150 are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vertical direction.

하나의 인스톨 블럭(15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장착부(140)가 구비된다. 장착부(140)는 횡방향으로 다수개 구비되어 디스펜싱 모듈(100)가 장착될 수 있는 장착 공간을 제공하며, 디스펜싱 모듈(1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단자(미도시)들을 구비한다.As shown in FIG. 2, one installation block 15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mounting portions 140. A plurality of mounting portions 140 are provided in the lateral direction to provide a mounting space where the dispensing module 100 can be mounted, and terminals (not show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ispensing module 100 are provided.

디스펜싱 모듈(100)은 종류에 따라 다양한 타입으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디스펜싱 모듈(100)은 약제가 담겨있는 용기의 물리적 특성이나 용기의 크기 또는 용기의 형상 등에 따라 외부로의 불출이 용이하도록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다.The dispensing module 100 may be provided in various types depending on the type. That is, the dispensing module 100 may be variously provided to facilitate dispensing to the outside depending on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container containing the medicine, the size of the container, the shape of the container, and the like.

유리 재질의 앰플(ampoule) 또는 비알(vial)과 같이 깨지기 쉬운 용기에 담겨있는 약제, 크기가 커서 타 종류의 약제와 동일한 모듈을 통하여 불출이 어려운 약제, 정제(tablet, pill)와 같이 약제 자체의 크기가 작아 개수의 카운팅이 까다로운 약제 등 약제 또는 용기의 특성에 따라 다양한 방식의 디스펜싱 모듈(100)이 구비될 수 있다.Drugs contained in fragile containers such as glass ampoules or vials, drugs that are difficult to dispense through the same module as other drugs due to their size, drugs, tablets, Various types of dispensing modules 100 may be provided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medicines or containers such as medicines having a small size and difficult to count in number.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인스톨 블록(25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착부(240)를 구비한다. 장착부(240)에는 디스펜싱 모듈(200)이 각각 장착된다. 디스펜싱 모듈(2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10)와 커버(230)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측 공간부에 정제 들을 수용하고 있다가, 정제 분할수용부(220)를 통하여 정제들을 하나씩 구분하여 외부로 불출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3, the install block 250 includes at least one mount 240. The dispensing module 200 is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240, respectively. The dispensing module 200 receives tablets in an inner space formed by the body 210 and the cover 230 as shown in FIG. 4, and the tablets are fed one by one through the tablet dividing receptacle 220 So that it is separated out.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약제 불출장치의 경우 디스펜싱 모듈(100)은 약제 불출박스, 약제 불출블럭 등의 용어로 불리고 있으며, 인스톨 블럭(150)은 카트리지 등의 용어로 불리고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약제 불출장치의 경우 디스펜싱 모듈(200)은 디비전 블록 등의 용어로 불리고 있으며, 인스톨 블록(250)은 카트리지 등의 용어로 불리고 있다.In the case of the medicine dispensing apparatus shown in FIGS. 1 and 2, the dispensing module 100 is referred to as a medicine dispensing box, a medicine dispensing block, and the like, and the installation block 150 is referred to as a cartridge. In the case of the dispenser shown in FIGS. 3 and 4, the dispensing module 200 is referred to as a division block or the like, and the installation block 250 is referred to as a cartridge or the like.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의 디스펜싱 모듈(100)과 인스톨 블럭(150)은 다양한 용어로 불리거나 혼용되고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약제 또는 약제가 담긴 용기들을 수용하는 약제 보관부를 구비하며 외부의 전기적 또는 기계적 제어에 따라 부관 중인 약제를 일정 개수만큼 불출하는 단위 구성을 디스펜싱 모듈이라 하고, 이러한 디스펜싱 모듈들이 장착될 기계적 전기적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디스펜싱 모듈들로부터 약제가 불출되도록 직간접적으로 제어하는 구성부를 인스톨 블록이라 정의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dispensing module 100 and the installation block 150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called or used in various terms. Hereinafter, the dispensing module is referred to as a dispensing module, which has a medicament storage part for storing medicines or medicines and a predetermined number of medicines in accordance with external electrical or mechanical control. And a component for directly or indirectly controlling the dispensing of the medicine from the dispensing modules is defined as an installation block.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장치를 설명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장치의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장치의 구체적인 구성부들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5 and 6, a medicine disp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FIG. 5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medicine disp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specific components of a medicine disp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장치(300)는 제어부(310), 디스플레이(350), 데이터베이스(360), 복수의 인스톨 블록(330) 및 복수의 디스펜싱 모듈(340)을 포함한다.5, the medicine dispensing apparatus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control unit 310, a display 350, a database 360, a plurality of installation blocks 330, and a plurality of dispensing modules 340 .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310)에는 다수의 인스톨 블록(330)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각각의 인스톨 블록(330)에는 다수의 디스펜싱 모듈(340)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면, 제어부(310)는 인스톨 블록 2를 제어함으로써 인스톨 블록 2에 연결되어 있는 디스펜싱 모듈 2-1 내지 2-n을 직간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a plurality of installation blocks 33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310, and a plurality of dispensing modules 34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f the installation blocks 330. For example, the control unit 310 can directly or indirectly control the dispensing modules 2-1 to 2-n connected to the installation block 2 by controlling the installation block 2.

디스플레이(350)는 처방전과 관련된 정보와 인스톨 블록(330) 및 디스펜싱 모듈(340)의 상태 및 제어 정보들을 사용자가 인식가능한 방법으로 제공하는 구성부이다. 디스플레이(350)에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위와 같은 각종 정보들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Display 350 is a component that provides information related to prescriptions and status and control information of install block 330 and dispensing module 340 in a manner that is user-recognizable. The display 350 provides various information to the user through a user interface.

데이터 베이스(360)는 처방전과 관련된 각종 데이터 이외에도 약제 불출 장치(300)의 상태에 관한 데이터가 저장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베이스(360)에는 각 인스톨 블록(330) 마다 부여되는 고유의 식별정보가 저장되고, 각 인스톨 블록(330)의 장착부들 또는 디스펜싱 모듈(3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들의 식별정보가 저장된다. 인스톨 블록(330)과 디스펜싱 모듈(340)의 연결은 기계적인 면에서는 앞서 설명한 장착부를 통하여 이루어지고, 전기적인 면에서는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장착부를 통한 인스톨 블록(330)과 디스펜싱 모듈(340)간의 연결에는 전기적인 인터페이스를 통한 연결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In addition to various data related to the prescription, the database 360 stores data related to the state of the medicine dispensing apparatus 300. Specifically, in the database 36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uniqu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ssigned to each installation block 330 is stored,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unting portions of the respective installation blocks 330 or the dispensing module 340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nterface units is stored. The connection between the installation block 330 and the dispensing module 340 is made through the above-described mounting portion in terms of mechanical aspects and through the interface portion in terms of electrical aspects.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connection between the installation block 330 and the dispensing module 340 via the mounting unit is assumed to include a connection through an electrical interface.

한편, 특정 디스펜싱 모듈이 특정 인스톨 블록의 장착부에 장착되는 경우 인스톨 블록 및 장착부의 식별정보에 대응하여 장착된 디스펜싱 모듈의 식별정보가 함께 저장된다. 이 때 디스펜싱 모듈의 식별정보에는 해당 디스펜싱 모듈에 포함된 약제의 식별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specific dispensing module is mounted on the mounting part of the specific installation block,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unted dispensing module is stored together wit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nstallation block and the mounting part. At this tim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ispensing module may further includ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edicine contained in the dispensing module.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제어부(310)는 갱신수단(312), 재고 관리수단(314), 검색수단(316) 및 표시수단(318)을 포함한다.6, the control unit 310 includes an update unit 312, an inventory management unit 314, a search unit 316, and a display unit 318. [

갱신수단(312)은 특정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또는 주기적으로 데이터 베이스(360)에 저장될 정보들을 저장하고 갱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The updating means 312 performs a function of storing and updating information to be stored in the database 360 when a specific event occurs or periodically.

상기 갱신수단(312)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스톨 블록(330)의 특정 장착부에 디스펜싱 모듈(340)이 장착된 경우 해당 인스톨 블록 및 장착부의 식별 정보와 장착된 디스펜싱 모듈의 식별정보를 함께 데이터 베이스(360)에 저장한다. 이 때 해당 디스펜싱 모듈에 저장되어 있는 약제의 식별 정보를 함께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다.When the dispensing module 340 is mounted on the specific mounting part of the installation block 330, the updating unit 312 updat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nstallation block and the mounting part together wit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unted dispensing module, And stored in the base 360. At this time, it is also possible to stor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edicine stored in the dispensing module.

상기 갱신수단(312)은 일정 시간을 주기로 하여 데이터 베이스(360)를 갱신하는 것도 가능하고, 각 인스톨 블록(330)에 구비되는 갱신통지수단(338)에 의하여 디스펜싱 모듈(340)이 새로이 장착되어 갱신이 필요함을 알리는 경우에도 데이터 베이스(360)를 갱신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update means 312 can update the database 360 at regular intervals and the update notification means 338 provided in each install block 330 newly mounts the dispensing module 340 It is possible to update the database 360 even when it is notified that the update is necessary.

재고 관리수단(314)은 다수의 디스펜싱 모듈(340) 중 약제의 리필이 필요한 디스펜싱 모듈(340)을 확인한다. The inventory management means 314 identifies the dispensing module 340 that requires refill of medicines among the plurality of dispensing modules 340.

상기 재고 관리수단(314)은 다양한 방식에 의해 리필의 필요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특정 디스펜싱 모듈(340)에 수용된 약제의 총 수로부터 불출된 약제의 수를 차감하여 리필 필요여부를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고, 다양한 센서를 이용하여 내부의 약제의 재고 상황을 파악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 장치(300)의 재고 관리 방법에는 제한이 없다.The inventory management means 314 can confirm whether refills are required by various methods.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refills are necessary by subtracting the number of medicines dispensed from the total number of medicines contained in the specific dispensing module 340, and it is also possible to grasp the inventory status of medicines using various sensors Do. That is, there is no limit to the inventory management method of the medicine dispensing apparatus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검색수단(316)은 상술한 재고 관리수단(314)에 의하여 확인된 결과 재고가 부족하여 리필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된 디스펜싱 모듈이 어느 인스톨 블록 및 장착부에 장착되어있는지를 데이터 베이스(360)로부터 조회한다.The retrieval means 316 inquires of the database 360 whether the dispensing module which is confirmed to be required to refill due to insufficient inventory as a result of the above-described inventory management means 314 is mounted in the installation block and the mounting portion do.

표시수단(318)은 상기 데이터 베이스(360)로부터 조회된 적어도 하나의 디스펜싱 모듈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350)에 표시할 수 있다. The display means 318 may display information relating to at least one dispensing module inquired from the database 360 on the display 350.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스톨 블록(330)은 메모리(332), 장착 감지부(334), 인식 수단(336) 및 갱신통지수단(338)을 포함한다.6, the installation block 330 includes a memory 332, a mounting sensing portion 334, a recognition means 336 and an update notification means 338. [

메모리(332)는 인스톨 블록(330)에 내장된 기억장치로서 디스펜싱 모듈이 해당 인스톨 블록(330)의 장착부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는 경우 해당 장착부의 식별정보와 함께 장착된 디스펜싱 모듈의 식별정보를 저장한다. 메모리(332)에 저장된 장착부의 식별정보와 디스펜싱 모듈의 식별정보들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갱신수단(312)에 전달되어 데이터 베이스화된다.The memory 332 is a storage device built in the installation block 330. When the dispensing module is installed in any one of the mounting portions of the installation block 330, the memory 332 stor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mounting portion, / RTI >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unting part stored in the memory 332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ispensing module are transmitted to the updating unit 312 and converted into a database as described above.

인스톨 블록(330)은 각각의 장착부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부들(Im-1 내지 Im-n)들을 구비한다. 특정 디스펜싱 모듈(340)이 장착부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면, 해당 디스펜싱 모듈은 해당 장착부에 대응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제어 및 데이터 신호들을 송수신하게 된다.The installation block 330 has interface portions Im-1 to Im-n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mounting portions. When the specific dispensing module 340 is mounted on one of the mounting portions, the corresponding dispensing module transmits and receives control and data signals through the interfac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mounting portion.

장착 감지부(334)는 디스펜싱 모듈이 장착부들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는 것을 감지한다. 장착 감지부(334)는 다양한 전기적, 기계적 또는 광학적 센서들을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The mounting sensing portion 334 senses that the dispensing module is mounted on any one of the mounting portions. The mounting sensing portion 334 may be implemented using a variety of electrical, mechanical, or optical sensors.

인식수단(336)은 장착 감지부(334)가 디스펜싱 모듈(340)이 특정 장착부에 장착되는 것을 감지하는 경우 해당 디스펜싱 모듈(340)의 식별정보와 해당 디스펜싱 모듈(340)이 장착된 장착부 또는 인터페이스부의 식별정보를 획득하고, 상술한 메모리(332)에 저장한다.When the mounting sensing unit 334 senses that the dispensing module 340 is mounted on the specific mounting unit, the recognition unit 336 recogniz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dispensing module 340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dispensing module 340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unting portion or the interface portion is acquired and stored in the memory 332 described above.

갱신통지수단(338)은 인식수단(336)에 의하여 일련의 디스펜싱 모듈 및 장착부의 식별정보가 메모리(332)에 저장되는 경우나, 장착 감지부(334)가 특정 장착부 또는 인터페이스부에 디스펜싱 모듈이 장착되는 경우에 갱신여부와 관련된 신호를 상술한 제어부(310) 측에 전송한다.
The update notification means 338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series of the dispensing module and the mounting portion is stored in the memory 332 by the recognition means 336 or the case where the mounting detection portion 334 discovers When the module is mounted, transmits a signal related to whether or not the module is updated to the control unit 310 described above.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어부(310)에 의한 약제 리필 동작의 제어 방법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일 예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Hereinafter, a method of controlling the medicine refilling operation by the control unit 31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7 to 9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a medicine disp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였던 바와 같이, 상기 재고 관리수단(314)은 특정 디스펜싱 모듈(340)의 재고가 부족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고, 상기 검색수단(316)은 재고가 부족한 것으로 판단된 적어도 하나의 디스펜싱 모듈(340)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데이터 베이스(360)로부터 조회할 수 있으며, 상기 표시수단(318)은 상기 데이터 베이스(360)로부터 조회된 적어도 하나의 디스펜싱 모듈(340)에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350)에 표시할 수 있다. A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 the inventory management means 314 may determine that the inventory of the particular dispensing module 340 is insufficient, and the retrieving means 316 may determine that at least one The display unit 318 may inquire information related to the dispensing module 340 of the dispensing module 340 from the database 360 and the display unit 318 may inquire about at least one of the dispensing modules 340 inquired from the database 360 Information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350. FIG.

상기 디스펜싱 모듈에 관련된 정보는, 예를 들어, 디스펜싱 모듈의 식별 정보, 상기 조회된 디스펜싱 모듈이 장착된 인스톨 블록 및 장착부들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조회된 디스펜싱 모듈에 저장된 약제정보 등일 수 있다. 여기서, 약제 정보는 약제의 이미지, 약제의 명칭 및 약제의 식별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약제의 이미지는 해당 약제를 카메라를 이용하여 촬영한 이미지일 수 있고, 약제의 명칭은 약제의 풀 네임(full name), 약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약제의 식별코드는 약제를 식별하기 위한 코드로 숫자 및 문자 등을 임의로 조합시킨 것일 수 있다.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dispensing module may include, for examp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ispensing modu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nstallation block and the mounting units on which the inquired dispensing module is mounted, and drug information stored in the inquired dispensing module have. Here, the drug information may include an image of the drug, a name of the drug, and an identification code of the drug. The image of the medicament may be an image taken by using the camera, and the name of the medicament may include a full name, an abbreviation or the like of the medicament. In addition, the identification code of the medicine may be a code for identifying the medicine, and arbitrary combination of numbers and letters.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표시수단(318)은 리필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된 디스펜싱 모듈 중, 약제의 리필을 수행할 디스펜싱 모듈을 사용자로부터 입력 받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수단(318)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데이터 베이스(360)로부터 조회된 리필이 필요한 하나 이상의 디스펜싱 모듈에 관련된 정보(a), (b), (c)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싱 모듈에 관련된 정보(a), (b), (c)는 리필이 필요한 디스펜싱 모듈에 저장된 약제의 이미지( I1, I2, I3), 약제의 명칭(N1, N2, N3), 리필이 필요한 디스펜싱 모듈의 식별 번호( CN1, CN2, CN3) 및 리필이 필요한 디스펜싱 모듈이 장착되어 있는 인스톨 블록의 식별 번호(CT1, CT2, CT3)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7 and 8, the display unit 318 may provide a user interface for receiving, from a user, a dispensing module to perform a refill of a medicine among the dispensing modules determined to require refill. For example, the display means 318 may provide information (a), (b), and (c) related to one or more of the dispensing modules required to be refilled from the database 360 through the user interface . The information (a), (b), and (c) related to the dispensing module includes images (I1, I2, I3) of medicines stored in the dispensing module requiring refill, medicinal names (N1, N2, N3) (CN1, CN2, CN3) of the necessary dispensing module and identification numbers (CT1, CT2, CT3) of the installation block in which the dispensing module requiring refill is mounted.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시수단(318)은, 상술한 재고 관리수단(314)에 의하여 Aspirin 100mg, Valpo 500mg 및 Bacloren 10mg이 수용되어 있는 디스펜싱 모듈의 재고가 부족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Aspirin 100mg이 수용된 디스펜싱 모듈에 관련된 정보(a), Valpo 500mg이 수용된 디스펜싱 모듈에 관련된 정보(b), Bacloren 10mg이 수용된 디스펜싱 모듈에 관련된 정보(c)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a), (b), (c)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선택할 수 있고, 리필(R)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선택함으로써 약제의 리필 동작을 수행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취소(C)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선택함으로써 약제의 리필 동작을 중지시키도록 요청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약제의 리필 동작 중 에러 등이 발생한 경우 재시도(RT)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선택함으로써 약제의 리필 동작을 재수행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비활성화(DA)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선택함으로써 약제의 리필 동작을 비활성화시켜 권한 없는 제3자에 의한 작동을 금지시킬 수 있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7, the display means 318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inventories of the dispensing modules containing aspirin 100 mg, valpo 500 mg, and bacloren 10 mg by the above-described stock management means 314 are insufficient (A), information (b) related to the dispensing module containing Valpo 500 mg, and information (c) related to the dispensing module containing Bacloren 10 mg, which are related to the dispensing module containing aspirin 100 mg through the user interface . Accordingly, the user can select at least one of the above (a), (b), and (c) and request to perform the refill operation of the medicine by selecting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refill (R). Alternatively, the user may request to stop the refill operation of the medicine by selecting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cancellation (C). Alternatively, the user can request to perform the refill operation of the medicine by selecting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retry (RT) when an error or the like occurs during the refill operation of the medicine. Alternatively, the user can disable the refill operation of the medicine by selecting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deactivation (DA), thereby prohibiting the operation by the unauthorized third party.

구체적으로 Aspirin 100mg이 수용된 디스펜싱 모듈에 관련된 정보(a)는, 상기 디스펜싱 모듈에 리필 되어야 할 약제의 명칭 "Aspirin 100mg"(N1), Aspirin 100mg이 수용되어 있는 디스펜싱 모듈의 식별 번호 "4"(CN1), Aspirin 100mg이 수용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펜싱 모듈이 장착된 인스톨 블록의 식별 번호 "1"(CT1), 및 Aspirin 100mg의 이미지 정보(I1)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Valpo 500mg이 수용된 디스펜싱 모듈에 관련된 정보(b)는, 상기 디스펜싱 모듈에 리필 되어야 할 약제의 명칭 "Valpo 500mg"(N2), Valpo 500mg이 수용되어 있는 디스펜싱 모듈의 식별번호 "21"(CN2), Valpo 500mg이 수용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펜싱 모듈이 장착된 인스톨 블록의 식별 번호 "5"(CT2), 및 Valpo 500mg의 이미지 정보(I2)를 포함할 수 있다. Specifically, the information (a) related to the dispensing module containing 100 mg of aspirin includes the name "Aspirin 100 mg" (N1) of the medicine to be refilled in the dispensing module, the identification number "4 (CN1), identification number "1" (CT1) of the installation block in which at least one dispensing module containing aspirin 100 mg is installed, and image information I1 of aspirin 100 mg. Further, the information (b) related to the dispensing module containing the Valpo 500 mg is obtained by adding the name "Valpo 500 mg" (N2) of the medicine to be refilled to the dispensing module, the identification number "21 5 (CT2) of the installation block in which at least one dispensing module containing Valpo 500 mg is installed, and image information I2 of Valpo 500 mg.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재고 관리수단(214)에 의하여 약제의 리필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디스펜싱 모듈에 수용되어 있는 약제의 정보 및 디스펜싱 모듈의 위치 정보를 파악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리필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디스펜싱 모듈에 약제들을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보충할 수 있다. 나아가, 약제의 리필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디스펜싱 모듈에 수용되어야 할 약제의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약제의 리필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약화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user can grasp the information of the medicines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dispensing module, which are stored in the dispensing module determined to require refill of medicines by the inventory management means 214, The dispensing module can accurately and efficiently supplement medicines. Further, by allowing the dispensing module determined to require the refilling of the medicine to confirm the image of the medicine to be accommoda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a weakening accident that may occur during the refilling process of the medicine.

또한, 예를 들어, 상기 검색수단(316)에 의한 조회 결과, 리필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된 디스펜싱 모듈이 복수의 인스톨 블록에 장착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상기 표시수단(318)은 상기 리필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된 디스펜싱 모듈이 장착되어 있는 인스톨 블록의 식별 번호를 모두 열거하여 표시할 수 있고, 또는 복수의 위치에 장착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문자 또는 이미지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시수단(316)에 Bacloren 10mg이 수용된 디스펜싱 모듈에 관련된 정보(c)가 표시될 수 있고, Bacloren 10mg이 수용된 디스펜싱 모듈에 관련된 정보(c)는 상기 디스펜싱 모듈에 리필 되어야 할 약제의 명칭 "Bacloren 10mg"(N3), Bacloren 10mg이 수용되어 있는 디스펜싱 모듈의 식별 번호 "7"(CN1), Bacloren 10mg이 수용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펜싱 모듈이 장착된 인스톨 블록의 식별 번호 "multi"(CT3), 및 Bacloren 10mg의 이미지 정보(I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표시 수단(318)은 Bacloren 10mg이 수용되어 있는 디스펜싱 모듈이 복수의 인스톨 블럭에 장착되어 있음을 "multi"(CT3)와 같은 문자로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Bacloren 10mg이 수용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펜싱 모듈에 약제를 보충하기 위하여 Bacloren 10mg이 수용된 디스펜싱 모듈에 관련된 정보(c)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수단(318)은 Bacloren 10mg이 수용되어 있는 디스펜싱 모듈이 복수의 인스톨 블록에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인스톨 블록 중 적어도 하나의 인스톨 블록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S)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를 참조하면, Bacloren 10mg이 수용되어 있는 디스펜싱 모듈"7"(CN3)이 인스톨블록 "3, 10, 12"에 장착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표시수단(318)은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S)를 통하여 "인스톨 블록 선택"(M) 메시지, 상기 디스펜싱 모듈"7"이 장착되어 있는 인스톨 블록의 식별 번호 "3, 10, 12"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12"(CT)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고, 리필(R)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선택함으로써 인스톨 블록 "12"(CT)에 장착되어 있는 디스펜싱 모듈 "7"에 약제의 리필 동작을 수행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는 취소(C)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선택함으로써 약제의 리필 동작을 중지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는 하나 이상의 인스톨 블록을 선택하여 리필 동작을 수행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Further, for example, as a result of the inquiry by the search means 316, a dispensing module that is confirmed to be required to be refilled may be mounted in a plurality of installation blocks. At this time, the display means 318 can display all of the identification numbers of the installation blocks on which the dispensing modules identified as requiring the refill are mounted, or display characters or images And so 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8, information (c) related to a dispensing module containing 10 mg of Bacloren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means 316 and information (c) related to a dispensing module containing Bacloren 10 mg may be displayed ) Contains at least one disposable dispenser module containing the name "Bacloren 10 mg" (N3) of the drug to be refilled in the dispensing module, the identification number "7" (CN1) of the dispensing module containing 10 mg of Bacloren, An identification number "multi" (CT3) of an installation block equipped with a fencing module, and image information I3 of Bacloren 10 mg. That is, the display means 318 can display that the dispensing module in which Bacloren 10 mg is accommodated is mounted in a plurality of installation blocks, such as "multi" (CT3). Accordingly, the user can select information (c) related to the dispensing module containing Bacloren 10 mg to replenish the drug to at least one dispensing module containing Bacloren 10 mg. In addition, since the display unit 318 has the dispensing module in which 10 mg of Bacloren is accommodated in a plurality of installation blocks,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installation blocks can be selected by the user The user interface S can be provided. 9, the dispensing module "7" (CN3) containing 10 mg of Bacloren may be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blocks "3, 10 and 12 & 3, 10, 12 "of the installation block on which the dispensing module" 7 "is mounted, via the user interface S, for example. Accordingly, the user can select an image corresponding to " 12 "(CT), and by selecting an image corresponding to the refill (R), the dispensing module" 7 & To perform the refill ope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Alternatively, the user can request to stop the refill operation of the medicine by selecting the image corresponding to the cancellation (C). Further, the user may select one or more install blocks to request to perform the refill operation.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재고 관리수단(214)에 의하여 약제의 리필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디스펜싱 모듈에 수용되어 있는 약제의 정보 및 디스펜싱 모듈의 위치 정보를 파악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리필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디스펜싱 모듈에 약제들을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보충할 수 있다. 나아가, 약제의 리필이 필요하다고 판단된 디스펜싱 모듈에 수용되어야 할 약제의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약제의 리필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약화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user can grasp the information of the medicines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dispensing module, which are stored in the dispensing module determined to require refill of medicines by the inventory management means 214, The dispensing module can accurately and efficiently supplement medicines. Further, by allowing the dispensing module determined to require the refilling of the medicine to confirm the image of the medicine to be accommoda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a weakening accident that may occur during the refilling process of the medicine.

이하에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장치를 설명한다. 도 1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장치의 구체적인 구성부들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Hereinafter, a medicine disp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0 is a block diagram showing specific components of the medicine dispen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본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장치(300a)는 약제의 재고 보충을 위하여 특정 위치에 장착된 디스펜싱 모듈(340) 및 인스톨 블록(330)을 타 디스펜싱 모듈(340) 및 인스톨 블록(330)들과 구별이 가능하도록 표시하는 기능을 더 포함한다.The dispenser 300a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dispenses the dispensing module 340 and the install block 330 mounted at specific positions to the dispensing module 340 and the install blocks 330 So as to be distinguishable from the other.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약제 불출장치(300a)는 앞서 설명한 도 5 및 도 6의 실시예에 비하여 입력부(370), 지시수단(320), 제1 안내부(333) 및 제2 안내부(331)를 더 포함한다.Specifically, the medicine dispensing apparatus 300a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n input unit 370, a pointing unit 320, a first guide unit 333, and a second guide unit 333, as compared with the embodiments of FIGS. 331).

입력부(370)는 사용자로부터 디스플레이(350)에 표시된 디스펜싱 모듈이나 인스톨 블록들의 리스트 또는 오브젝트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입력을 받을 수 있다. 입력부(370)는 다양한 타입의 입력장치들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들어 입력부(370)로는 디스플레이(350)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마우스 등 별도로 구비되는 입력장치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input unit 370 may receive an input from the user to select either a list of dispensing modules or installation blocks displayed on the display 350 or objects. The input unit 370 may use various types of input devices. For example, the input unit 370 may be a touch screen formed integrally with the display 350, or an input device such as a mouse may be used.

제1 안내부(333)와 제2 안내부(331)는 인스톨 블록(330)에 구비되는 일종의 표시장치이다. 제1 안내부(333)와 제2 안내부(331)은 발광 소자, 발광 램프 및 디스플레이 패널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안내부(333)와 제2 안내부(331)는 점등, 텍스트의 표시 또는 특정 그래픽의 표시 등에 의하여 특정 위치의 인스톨 블록(330)이나 장착부를 사용자가 인식 가능하도록 지시한다.The first guide portion 333 and the second guide portion 331 are a kind of display device provided in the installation block 330. [ The first guide portion 333 and the second guide portion 331 may be implemented by any one of a light emitting device, a light emitting lamp, and a display panel. The first guide portion 333 and the second guide portion 331 instruct the user to recognize the installation block 330 or the mounting portion at a specific position by lighting, displaying text or displaying a specific graphic.

구체적으로 제1 안내부(333)는 인스톨 블록(330)에 구비되는 장착부들 각각에 별도로 구비된다. 제1 안내부(333)들 중 특정 장착부에 대응하는 제1 안내부(333)가 온상태가 되도록 제어함으로써 해당 장착부 또는 해당 장착부에 장착된 디스펜싱 모듈을 지시하는 것으로 표시할 수 있다. 즉, 후술할 지시수단(320)은 특정 위치의 제1 안내부(333)를 온상태로 제어함으로써 해당 제1 안내부(333)에 대응하는 장착부 또는 해당 장착부에 장착된 디스펜싱 모듈을 타 장착부 또는 디스펜싱 보듈과 식별가능하도록 지시하게 된다.Specifically, the first guide portion 333 is provided separately in each of the mounting portions provided in the installation block 330. [ The first guiding portion 333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guiding portion among the first guiding portions 333 is controlled to be in the ON state to indicate that the dispensing module is mounted on the corresponding mounting portion or the mounting portion. That is, the instructing means 3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controls the first guiding portion 333 at a specific position to turn on the mounting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guiding portion 333 or the dispensing module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Or to be distinguishable from the dispensing module.

제2 안내부(331)는 복수의 인스톨 블록(330)들 각각에 구비된다. 제2 안내부(331)는 온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해당 제2 안내부가 구비된 인스톨 블록(330)을 타 인스톨 블록(330)들과 식별가능하도록 표시하게 된다.The second guide unit 331 is provid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installation blocks 330. When the second guide unit 331 is switched to the on state, the second guide unit 331 displays the install block 330 having the second guide unit so as to be distinguishable from the other install blocks 330.

지시수단(320)은 제어부(310)에 포함되는 구성부로서, 제1 안내부(333)들과 제2 안내부(331)들을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로 전환되도록 제어한다. 예를 들어 지시수단(320)은 입력부(370)를 통하여 사용자가 특정 디스펜싱 모듈을 선택하는 경우 특정 디스펜싱 모듈이 장착된 장착부에 대응하는 제1 안내부(333)가 온 상태로 전환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구분표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지시수단(320)은 입력부(370)를 통하여 사용자가 특정 인스톨 블록을 선택하는 경우 특정 인스톨 블럭에 대응하는 제2 안내부(331)가 온 상태로 전화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구분표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The indicating unit 320 is a component included in the control unit 310 and controls the first guide units 333 and the second guide units 331 to be turned on or off. For example, when the user selects a specific dispensing module through the input unit 370, the indicating unit 320 switches the first guide unit 333 corresponding to the mounting unit on which the specific dispensing module is mounted, Thereby generating a division display control signal. In addition, when the user selects a specific installation block through the input unit 370, the indicating unit 320 displays a division display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second guide unit 331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installation block to be displayed in an on state .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인스톨 블럭 및 디스펜싱 모듈을 독립적으로 인식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알림으로써 사용자가 특정 종류의 약제를 보충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임의의 위치에 장착된 해당 디스펜싱 모듈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함과 동시에 약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independently recognizes the installation block and the dispensing module and informs the user of the installation block and the dispensing module, the user can easily grasp the position of the dispensing module installed at an arbitrary position At the same time, the weakening accident can be prevented.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상술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구체화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에서 다양한 약제 불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Can be implemented.

310: 제어부 312: 갱신수단
314: 재고 관리수단 316: 검색수단
318: 표시수단 330: 인스톨 블럭
332: 메모리 334: 장착 감지부
336: 인식 수단 338: 갱신통지수단
340: 디스펜싱 모듈
310: control unit 312:
314: Inventory management means 316: Search means
318: Display means 330: Install block
332: memory 334: mounting detection unit
336: recognition means 338: update notification means
340: Dispensing module

Claims (12)

각각 고유의 디스펜싱 모듈 식별정보가 부여되는 복수의 디스펜싱 모듈;
상기 디스펜싱 모듈이 장착되는 복수의 장착부를 구비하고, 상기 디스펜싱 모듈이 상기 장착부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장착부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장착부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디스펜싱 모듈 식별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를 구비하며, 각각 고유의 인스톨 블럭 식별정보가 구비되는 복수의 인스톨 블럭;
디스플레이;
데이터 베이스; 및
상기 디스펜싱 모듈, 상기 디스펜싱 모듈이 장착된 인스톨 블럭 및 장착부에 대한 일련의 식별정보들을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갱신수단과, 상기 복수의 디스펜싱 모듈 중 리필이 필요한 디스펜싱 모듈을 확인하는 재고 관리수단과, 상기 재고 관리수단에 의하여 리필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된 디스펜싱 모듈이 장착된 인스톨 블럭 및 장착부를 상기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조회하는 검색수단, 상기 검색수단에 의하여 조회된 디스펜싱 모듈에 관련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회된 디스펜싱 모듈에 관련된 정보는, 상기 조회된 디스펜싱 모듈의 식별 정보, 상기 디스펜싱 모듈이 장착된 인스톨 블록 및 장착부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조회된 디스펜싱 모듈에 저장된 약제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 불출 장치.
A plurality of dispensing modules, each of which is assigned unique dispensing modu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a memory for storing dispensing modu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unting portion and the mounting por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when the dispensing module is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 A plurality of installation blocks each having unique installed block identification information;
display;
database; And
Updating means for storing a series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on the dispensing module, the installation block on which the dispensing module is mounted, and the mounting portion, in the database; and an inventory management module for identifying a dispensing module requiring refill among the plurality of dispensing modules A search means for inquiring from the database an installation block and a mounting portion on which a dispensing module that has been confirmed to be required to be refilled by the inventory management means is mounted; information related to the dispensing module searched by the searching means;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on the display,
Wherein the information related to the searched dispensing module includes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searched dispensing modu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n installation block and a mounting part in which the dispensing module is mounted, and drug information stored in the searched dispensing module Wherein the medicament dispensing device is a device for dispensing medicin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톨 블럭은 상기 디스펜싱 모듈이 장착되는 경우 상기 디스펜싱 모듈로부터 상기 고유의 디스펜싱 모듈 식별정보를 리딩하는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약제 불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stallation block includes an interface unit for reading the unique dispensing modu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the dispensing module when the dispensing module is mount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톨 블럭은,
상기 디스펜싱 모듈이 장착되는 것을 감지하는 장착 감지부; 및
상기 장착 감지부가 상기 디스펜싱 모듈의 장착을 감지하는 경우 장착된 디스펜싱 모듈의 식별정보와 해당 디스펜싱 모듈이 장착된 장착부의 식별정보를 함께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인식수단;을 포함하는 약제 불출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In the install block,
A mounting sensing unit for sensing that the dispensing module is mounted; And
And a recognition unit that stor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installed dispensing module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mounting unit on which the dispensing module is mounted when the mounting sensing unit senses the mounting of the dispensing module,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톨 블럭은 상기 인식수단에 의하여 일련의 디스펜싱 모듈 및 장착부의 식별정보가 저장되는 경우 갱신여부 신호를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갱신통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약제 불출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installation block further comprises update notification means for transmitting an update signal to the control unit when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series of the dispensing module and the mounting unit is stored by the recognition uni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수단은 상기 갱신통지수단으로부터 갱신여부 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상기 메모리로부터 리딩된 디스펜싱 모듈, 인스톨 블럭 및 장착부의 식별정보를 함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하는 약제 불출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updating means stor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ispensing module, the installation block, and the mounting portion read from the memory together in the database when the update notification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update notifying means.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디스펜싱 모듈 및 인스톨 블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선택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포함하는 약제 불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input unit for receiving a selection of at least one of a dispensing module and an installation block displayed on the display from a us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 각각에 구비되어 특정 장착부에 장착된 디스펜싱 모듈의 위치를 타 디스펜싱 모듈들의 위치와 구분하여 식별가능하도록 표시하는 제1 안내부; 및
상기 인스톨 블럭 각각에 구비되어 특정 인스톨 블럭의 위치를 타 인스톨 블럭들의 위치와 구분하여 식별가능하도록 표시하는 제2 안내부;를 포함하는 약제 불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A first guide part provided in each of the mounting parts, for indicating the position of the dispensing module mounted on the specific mounting part so as to be distinguishable from the position of the other dispensing modules; And
And a second guide unit provided in each of the installation blocks to distinguish the position of the specific installation block from the position of the other installation blocks to be distinguishabl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사용자가 특정 디스펜싱 모듈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특정 디스펜싱 모듈에 대응하는 제1 안내부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구분표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지시수단을 포함하는 약제 불출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And instruction means for generating a division display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to display a first guide unit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dispensing module when the user selects a specific dispensing module through the input unit.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사용자가 특정 인스톨 블럭을 선택하는 경우 상기 특정 인스톨 블럭에 대응하는 제2 안내부가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구분표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지시수단을 포함하는 약제 불출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And instruction means for generating a division display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to display a second guidance unit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installation block when the user selects a specific installation block through the input unit.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수단은 사용자의 상기 입력부를 통한 선택이 지속 중인 경우에만 상기 구분표시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약제 불출 장치.
1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or 9,
Wherein the instruction means generates the division display control signal only when the selection through the input unit of the user is continuing.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내부 및 제2 안내부는 발광 소자, 발광 램프 및 디스플레이 패널 중 어느 하나인 약제 불출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first guide portion and the second guide portion are any one of a light emitting device, a light emitting lamp, and a display pane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 정보는, 상기 조회된 디스펜싱 모듈에 저장된 약제의 이미지, 약제의 명칭 및 약제의 식별 코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약제 불출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edication information includes at least one of an image of the medicament stored in the searched dispensing module, a name of the medicament, and an identification code of the medicament.
KR1020150077027A 2015-06-01 2015-06-01 Apparatus for dispensing drug KR10240636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7027A KR102406368B1 (en) 2015-06-01 2015-06-01 Apparatus for dispensing dru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7027A KR102406368B1 (en) 2015-06-01 2015-06-01 Apparatus for dispensing dru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1884A true KR20160141884A (en) 2016-12-12
KR102406368B1 KR102406368B1 (en) 2022-06-09

Family

ID=57574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7027A KR102406368B1 (en) 2015-06-01 2015-06-01 Apparatus for dispensing dru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6368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351938A1 (en) * 2016-06-03 2017-12-07 Becton Dickinson Rowa Germany Gmbh Method for providing a singling device of a storage and dispensing container
CN109300224A (en) * 2018-10-12 2019-02-01 深圳市安思科电子科技有限公司 A kind of anticlogging self-service machine based on block chain technology
WO2023090919A1 (en) * 2021-11-19 2023-05-25 알고케어 주식회사 Tablet dispenser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6693A (en) * 2004-06-28 2006-01-12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 Technology Spatial function presenting device and spatial function presenting system
KR20130117666A (en) * 2012-04-18 2013-10-28 (주)제이브이엠 Medicine storage apparatus
KR20130117582A (en) * 2012-04-18 2013-10-28 (주)제이브이엠 Drug managenent system and
KR20140098455A (en) * 2013-01-31 2014-08-08 주식회사 인포피아 Cartridge for medicine packing machine
KR20140100344A (en) 2013-02-06 2014-08-14 주식회사 인포피아 Container panel for medicine packing machine
KR20150042941A (en) * 2013-10-14 2015-04-22 (주)제이브이엠 Control method of main server managing a plurality of dispensing apparatuse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6693A (en) * 2004-06-28 2006-01-12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 Technology Spatial function presenting device and spatial function presenting system
KR20130117666A (en) * 2012-04-18 2013-10-28 (주)제이브이엠 Medicine storage apparatus
KR20130117582A (en) * 2012-04-18 2013-10-28 (주)제이브이엠 Drug managenent system and
KR20140098455A (en) * 2013-01-31 2014-08-08 주식회사 인포피아 Cartridge for medicine packing machine
KR20140100344A (en) 2013-02-06 2014-08-14 주식회사 인포피아 Container panel for medicine packing machine
KR20150042941A (en) * 2013-10-14 2015-04-22 (주)제이브이엠 Control method of main server managing a plurality of dispensing apparatuses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351938A1 (en) * 2016-06-03 2017-12-07 Becton Dickinson Rowa Germany Gmbh Method for providing a singling device of a storage and dispensing container
US10255524B2 (en) * 2016-06-03 2019-04-09 Becton Dickinson Rowa Germany Gmbh Method for providing a singling device of a storage and dispensing container
US20190220707A1 (en) * 2016-06-03 2019-07-18 Becton Dickinson Rowa Germany Gmbh Method for providing a singling device of a storage and dispensing container
US10902299B2 (en) 2016-06-03 2021-01-26 Becton Dickinson Rowa Germany Gmbh Method for providing a singling device of a storage and dispensing container
US11903906B2 (en) 2016-06-03 2024-02-20 Becton Dickinson Rowa Germany Gmbh Method for providing a singling device of a storage and dispensing container
CN109300224A (en) * 2018-10-12 2019-02-01 深圳市安思科电子科技有限公司 A kind of anticlogging self-service machine based on block chain technology
WO2023090919A1 (en) * 2021-11-19 2023-05-25 알고케어 주식회사 Tablet dispens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6368B1 (en) 2022-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0485B1 (en) Drug supply device
US8805578B2 (en) Pharmacy dispensing system and method
KR102398298B1 (en) Drug sorting device
JP2021007044A (en) Medicine delivery assisting system
KR20080039923A (en) Medicine dispenser
JP200728953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icking medicine
KR20160141884A (en) Apparatus for dispensing drug
KR102406344B1 (en) Drug dispens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7372584B2 (en) Medicine storage and dispensing device
JP2023123728A (en) Drug dispensing device, support program for drug dispensing device, and recording medium with recorded support program
CN204549121U (en) A kind of electronic tag medicine basket and drug control equipment thereof
JP2016179161A (en) Drug delivery support system
KR101462873B1 (en) Cartridge for medicine packing machine
JP6766546B2 (en) Chemical dispensing device
JP2002017821A (en) System for medicine retrieving rack
KR102049274B1 (en) Medicine dispensing system
JP2015222531A (en) Medical supply management system
CN111095316A (en) Availability of drugs
KR20140011726A (en) System for managing medicine and method for managing medicine of the same
KR102079224B1 (en) Medicine dispensing system
KR20230155106A (en) Canister assembly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20130473A (en) Medicine shelf lighting device and medicine shelf lighting system
CN117228204A (en) Control method and device of secondary library,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