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0480A - 형강을 이용한 통나무주택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형강을 이용한 통나무주택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40480A
KR20160140480A KR1020160065288A KR20160065288A KR20160140480A KR 20160140480 A KR20160140480 A KR 20160140480A KR 1020160065288 A KR1020160065288 A KR 1020160065288A KR 20160065288 A KR20160065288 A KR 20160065288A KR 20160140480 A KR20160140480 A KR 201601404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log
logs
column
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5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7866B1 (ko
Inventor
이홍중
Original Assignee
이홍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홍중 filed Critical 이홍중
Publication of KR20160140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04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7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78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4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2Dwelling houses; Buildings for temporary habitation, e.g. summer hou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ㄱ형강, ㄷ형강, 평강, 환봉을 사용하여 기둥, 보, 서까래, 마룻대 등 철골조를 제공하고, 제공된 기둥 사이에 통나무를 조립식으로 적층하여 통나무벽체를 제공하는 형강을 이용한 통나무주택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발명의 통나무 벽체는 기건 함수율 15% 이내로 건조된 두께 3cm 이하의 사각통나무를 사용하여 통나무의 수축, 갈라짐, 뒤틀림을 최소화 하고, 3개의 사각통나무를 상하좌우로 엇갈려쌓기 하여 기밀 시공이 가능토록 하고, 외부에 노출되는 바깥쪽 사각통나무는 상하를 사선 절단하여 경사면이 외부로 향하도록 하여 벽체사이로 빗물이 고이거나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며, 통나무 외벽은 이중벽을 구성하여 이중벽 사이에 단열재 시공을 하여 단열 효과를 향상시킨 형강을 이용한 통나무주택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형강을 이용한 통나무주택의 시공방법{ Construction method of log houses using a section shape steel }
본 발명은 형강을 이용한 철골조에 통나무 벽체를 시공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ㄱ형강, ㄷ형강, 평강 등을 사용하여 기둥, 보, 서까래, 마룻대로 구성되는 철골조를 제공하고, 제공된 철골조에 기건 함수율 15% 이내로 건조된 두께 3cm 이하의 사각통나무 여러 개를 사용하여 통나무벽체를 조립식으로 적층하는 방식으로서 공사기간을 단축하고, 상기 통나무 벽체를 이중벽으로 구성하여 이중벽 사이에 단열재를 시공함으로써 단열 효과를 향상시킨 형강을 이용한 통나무주택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원주택은 교외의 한적한 장소에 주로 시공되는 건축물로서, 근래 들어 귀농, 귀촌 인구가 꾸준하고 주말이나 휴가를 도시 근교에서 보내기 위해 마련한 레저용 주택 일명 세컨드하우스(second house)의 수요도 계속 증가추세로 교외의 한적한 전원생활을 갈망하는 현대인의 요구에 맞추어 전원주택의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최근에는 전원주택의 대안으로 통나무주택도 많이 시공되고 있는바, 이러한 통나무주택은 자연을 소재로 하여 친환경적이며, 환경에 따라 습기를 흡수하거나 품고 있던 습기를 내뿜어 주는 특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나무 특유의 향을 가지기 때문에 다른 양식의 주택에 비하여 실내 환경을 더욱 쾌적하게 유지시켜 주는 장점이 있다.
통나무주택은 구조에 따라 통나무조적 방식(Notch style), 통나무목구조 방식(Post & Beam Style), 혼합구조방식(Combination style), 피스 앤 피스 방식(Piece & Piece style)으로 나눌 수 있는데, 대표적인 통나무주택은 통나무조적 방식(Notch style)으로 벽체를 통나무로 적층시킨 구조로서 모든 벽체가 통나무로 구성되어 벽체 모서리부분에 교차되는 나무를 서로 반씩 겹치게 하여 우물정자(#)로 물리는 방식이다.
이러한 통나무주택은 목재의 건조 및 가공기술의 발달과 함께 다양한 방법으로 발달되어 왔으며 오늘날 통나무주택은 여러 가공 시스템을 통해서 제작 및 생산되고 있다.
KR 1020100102822 B1 통나무 조립식 목조주택의 벽체 및 그 목조주택의 수축변형 방지방법 2010.09.27. KR 1020110030914 B1 통나무 조립식 목조주택의 벽체 2011.03.24. KR 1020130033848 B1 통나무를 수직재로 이용한 벽식구조체 2013.04.04
벽체를 정사각형 통나무 또는 원형 통나무를 사용하는 종래 노치공법(Notch Style)의 통나무주택은 목재의 독특한 성질인 팽창과 수축을 최소화하기 위한 기술적인 노하우가 절실하며, 통상적으로 건조의 어려움과 건조비용 때문에 반 건조된 통나무를 사용하는데 시공 후에 건조되면서 통나무의 수축에 의한 세틀링(settling)현상과 뒤틀림 그리고 갈라짐을 고려하여야 하는 문제점을 않고 있어 숙련된 기술자를 필요로 한다. 또한 기밀을 위한 홈파기, 귀퉁이의 결합을 위한 모서리파기 등 많은 통나무 가공 작업이 필요하고, 통나무 자체의 단열효과가 크다 하더라도 통나무만을 벽체로 사용하는 경우에 단열의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에 사용되는 통나무는 기건 함수율 15% 이내로 건조된 두께 3cm 이하의 사각 통나무로서 사각통나무 여러 개를 철골조에 조립식으로 적층하는 방법으로서 시공이 간편하고 공사기간의 단축 및 비용을 절감할 뿐만 아니라 통나무의 갈라짐과 변형을 예방하고, 외벽 통나무를 이중벽으로 구성하여 이중벽 사이에 단열재 시공을 함으로써 단열효과를 향상시킨 형강을 이용한 통나무주택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형강을 이용한 통나무주택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ㄱ형강, ㄷ형강, 평강 등 형강을 사용하여 기둥, 보, 서까래, 마룻대 등의 철골조를 제공한다.
상기 기둥은 외벽 모서리기둥, 외벽 중간기둥, 내벽 모서리기둥, 내벽중간기둥, 박공기둥, 박공샛기둥으로 구성되며 상기 기둥과 기둥 사이에 통나무를 적층하여 외벽 통나무, 내벽 통나무 그리고 박공벽 통나무를 구성하고, 상기 외벽 통나무, 박공벽 통나무는 이중벽체를 구성하기 위하여 상기 외벽 모서리기둥, 외벽 중간기둥, 박공기둥, 박공샛기둥은 바깥기둥, 가운데기둥, 안쪽기둥으로 제공되는 삼중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깥기둥과 가운데기둥 사이에는 바깥 통나무가 적층되고, 상기 가운데기둥과 안쪽기둥 사이에는 안쪽 통나무가 적층된다.
상기 가운데기둥 각각에는 일정 폭의 보조기둥을 구비하여 바깥 통나무와 안쪽 통나무 사이에 일정공간이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공간에 단열재를 시공하게 된다.
그리고 비교적 공급이 잘되는 길이 4미터 이하의 통나무를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외벽 모서리기둥과 외벽 모서리기둥 사이에는 외벽 중간 기둥을 상기 박공기둥과 박공기둥 사이에는 박공샛기둥을 제공한다.
상기 기둥 사이에 통나무를 적층하기 위한 시공방법을 살펴보면, 외벽 모서리기둥은 외벽모서리에 ㄱ형강으로 제작된 외벽 모서리 바깥기둥, 외벽 모서리 가운데기둥, 외벽 모서리 안쪽기둥이 적층되는 통나무 간격을 두고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되고, 내벽 모서리기둥은 내벽끼리 마주하는 내벽모서리에는 ㄱ형강으로 제작된 내벽 모서리 바깥기둥, 내벽 모서리 안쪽기둥이 적층되는 통나무 간격을 두고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되고, 외벽과 내벽이 마주하는 내벽모서리에는 ㄱ형강으로 제작된 내벽 모서리 바깥기둥, 내벽 모서리 안쪽기둥이 적층되는 통나무 간격을 두고 '
Figure pat00001
' 형태로 배치되고, 외벽모서리 기둥과 외벽모서리 기둥 사이에 제공되는 외벽 중간 바깥기둥, 외벽 중간 가운데기둥, 외벽 중간 안쪽기둥이 적층되는 통나무 간격을 두고 실내 방향 일직선으로 배치한다.
한편 박공기둥은 평강으로 제작되어 건물 측면에 배치되는 양쪽 외벽 모서리기둥 상부에 박공 바깥기둥, 박공 가운데기둥, 박공 안쪽기둥이 '
Figure pat00002
' 형태로 결합되고, 박공샛기둥은 평강으로 제작되어 양쪽의 박공기둥 사이에 박공 바깥샛기둥, 박공 가운데샛기둥, 박공 안쪽샛기둥이 제공되어 박공 바깥기둥, 박공 가운데기둥 사이, 박공 바깥샛기둥, 박공 가운데샛기둥 사이에 바깥 통나무가 적층되고 박공 가운데기둥, 박공 안쪽기둥 사이, 박공 가운데샛기둥, 박공 안쪽샛기둥 사이에 안쪽 통나무가 적층하게 된다.
상기 보는 바깥 가로보, 바깥 세로보, 안쪽 가로보, 안쪽 세로보, 내부 바깥 가로보, 내부 바깥 세로보, 내부 안쪽 가로보, 내부 안쪽 세로보로 구성되어 각각 상기 외벽 모서리기둥, 외벽 중간기둥, 내벽 모서리기둥, 내벽중간기둥 상단에 볼트와 너트로 결합 고정된다.
상기 안쪽 가로보, 안쪽 세로보, 내부 바깥 가로보, 내부 안쪽 가로보, 내부 바깥 세로보, 내부 안쪽 세로보는 천장을 평면천장으로 시공하는 경우에는 ㄱ형강으로 제작하고 'ㄴ'형태로 배치하여 사각형태의 틀이 형성되도록 하고, 천장을 열린(open)천장으로 시공하는 경우에는 평강으로 제작되어 제공되는 구조로서 상기 안쪽 가로보, 안쪽 세로보, 내부 바깥 가로보, 내부 안쪽 가로보, 내부 바깥 세로보, 내부 안쪽 세로보는 가변형의 부재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서까래는 내부서까래, 처마서까래, 박공처마 안쪽서까래 및 박공처마 바깥서까래로 구성되어 건물내부에 배치되는 내부서까래에 비하여 건물외부에 배치되는 처마서까래, 박공처마 안쪽서까래 및 박공처마 바깥서까래는 일정 부분 높게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마룻대는 건물외부에 배치되는 외부마룻대, 건물내부에 배치되는 내부 마룻대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결합된 철골조의 기둥, 보, 서까래, 마룻대는 건물 외부 쪽에 배치되는 외벽 모서리 바깥기둥, 외벽 중간 바깥기둥, 바깥 가로보, 바깥 세로보, 박공 바깥기둥, 처마서까래, 박공처마 서까래, 외부마룻대가 서로 연결되어 결합되고, 건물 내부 쪽에 배치되는 외벽모서리 안쪽기둥, 외벽 중간 안쪽기둥, 안쪽 가로보, 안쪽 세로보, 박공 안쪽기둥, 내부서까래, 내부마룻대가 서로 연결 결합되는 구조로서 건물내부와 건물외부로 단절되어 분리 배치된다.
상기 철골조에 사용되는 각각의 철골부재들은 용도에 맞게 제작한 후 아연 융용도금을 하여 부식을 방지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벽체로 사용되는 통나무는 건조비용이 저렴한 열기 건조법으로 통나무 내부까지 골고루 건조가 가능한 두께 3cm 이하의 사각통나무를 사용한다.
상기 외벽 통나무, 내벽통나무, 박공벽 통나무는 기둥과 기둥 사이에 사각통나무 여러 개를 세로로 겹치게 쌓는데 벽체 측면에서 바라볼 때 적층된 통나무는 상하로 엇갈려쌓기 방식으로 적층하여 기밀시공이 되며, 또한 적층된 통나무를 위에서 바라볼 때 서로 마주하는 통나무는 좌우로 엇갈려쌓기 하여 기밀시공이 되도록 한다.
한편 건물 외부에 노출되는 바깥쪽 통나무는 상하 부분을 사선 가공하여 경사면이 외부로 향하도록 적층하여 외부로부터의 빗물 침투 및 물고임 현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적층된 외벽 통나무, 박공벽 통나무 하부에는 받침돌이 제공되어 콘크리트기초로부터 올라오는 습기로부터 보호되고, 상기 받침돌은 외벽 통나무의 외곽보다 실내 쪽으로 일정 폭을 밀어 넣어 배치함으로써 바깥쪽 사각통나무의 하단 경사면 일부가 상기 받침돌보다 외부 쪽으로 돌출되도록 적층됨으로써 외벽 통나무를 타고 흐르는 빗물이 내부로 스며들거나 고이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제공된다.
상기 외벽 통나무, 박공벽 통나무에 1.0~1.5미터 간격으로 상하로 관통되는 수직관통구와 수직관통구에 삽입하는 지지 봉을 구비함으로써 시간의 경과에 의한 통나무가 좌우로 휘어지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도록 하고 상기 외벽 통나무, 박공벽 통나무에 창틀이 설치되는 경우 양쪽에 수직관통구와 수직관통구에 삽입하는 지지봉을 구비함으로써 외벽 모서리 기둥과 외벽 중간 기둥에 의해 좌우 지지를 받지 못하는 창틀 좌우의 외벽 통나무, 박공벽 통나무를 고정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형강을 이용한 통나무주택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기둥, 보, 서까래, 마룻대, 벽체로 사용되는 통나무는 사전에 가공하여 상기 통나무를 상기 기둥사이에 조립식으로 적층하는 방식으로 시공이 간편하다.
둘째, 상기 기둥, 보, 서까래, 마룻대는 건물내부와 건물외부의 구조로 각각 분리 시공하여 철골부재 사용에 의한 열교(heat bridge)현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의 벽체로 사용되는 두께 3cm의 사각통나무는 비교적 건조비용이 저렴한 열기건조 방식으로 통나무의 내부까지 기건 함수율 15% 이내로 건조할 수 있어 통나무의 수축에 따른 세틀링(settling)현상과 뒤틀림 그리고 갈라짐을 사전에 최소화 할 수 있다.
넷째, 상기 사각통나무 여러 개를 상하좌우로 겹치게 엇갈려쌓기 하는 방식은 별도의 가공 없이 벽체의 기밀유지에 도움이 된다.
다섯째, 건물 외부로 노출되는 바깥통나무는 상하부분을 평행사변형으로 사선 절단하여 경사면이 외부로 향하도록 적층함으로써 적층된 통나무 벽체 사이로 외부로부터의 빗물이 침입 또는 물이 고여 있는 현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여섯째, 통나무로 바깥 외벽과 안쪽 외벽의 이중벽체를 구성하고 이중벽체 사이에 단열재 시공을 함으로써 단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형강을 이용한 통나무주택의 사시도
도 2,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형강을 이용한 통나무주택 철골조의 부분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형강을 이용한 통나무주택 철골조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형강을 이용한 통나무주택 철골조의 측면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외벽모서리기둥, 외벽 중간기둥, 내벽 모서리기둥, 내벽 중간기둥의 배치도
도 7은 도 2에 도시된 기둥과 보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2에 도시된 A를 실내에서 측면으로 바라본 도면
도 9는 도 2에 도시된 A를 실내에서 정면으로 바라본 도면
도 10은 3에 도시된 A부분의 저면 분리사시도
도 11은 도 7에 도시된 A부분을 좌측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12는 도 2에 도시된 외벽 모서리 바깥기둥의 사시도
도 13은 도 2에 도시된 외벽 모서리 가운데기둥의 사시도
도 14는 도 2에 도시된 외벽 모서리 안쪽기둥의 사시도
도 15는 도 2에 도시된 외벽 중간 가운데기둥의 사시도
도 16은 도 2에 도시된 박공 바깥기둥 사시도
도 17은 도 1에 도시된 박공 가운데기둥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형강을 이용한 통나무벽체의 1층 부분평면도
도 19,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형강을 이용한 통나무벽체의 부분사시도
도 21은 도 20의 A - A' 부분 창틀 좌우의 외벽 통나무 단면도
도 22는 도 20의 B - B' 부분 외벽 통나무 및 박공벽 통나무 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형강을 이용한 통나무주택의 측면 단면도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평면천장 분리사시도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지붕 사시도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외벽 모서리부분의 도면
도 27은 도 26의 분리사시도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외벽 중간부분의 도면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참조하여 형강을 이용한 통나무주택의 시공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형강을 이용한 통나무주택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형강을 이용한 통나무주택은 콘크리트 기초(2) 위에 형강을 이용한 철골조(1), 통나무벽체(500), 지붕(3)으로 구성된다.
도 2,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형강을 이용한 통나무주택 철골조의 부분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형강을 이용한 통나무주택 철골조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형강을 이용한 통나무주택 철골조의 측면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외벽모서리기둥, 외벽 중간기둥, 내벽 모서리기둥, 내벽 중간기둥의 배치도, 도 7은 도 2에 도시된 기둥과 보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2에 도시된 A를 실내에서 측면으로 바라본 도면, 도 9는 도 2에 도시된 A를 실내에서 정면으로 바라본 도면, 도 10은 3에 도시된 A부분의 저면 분리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10을 침조하면 본 발명의 형강을 이용한 통나무주택의 시공방법에 있어서 철골조(1)는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100), 보(200), 서까래(300), 마룻대(400), 지붕 테두리(40), 앵커볼트(10), 볼트(11), 너트(12), 와이어로프(30), 와이어클립(31)을 포함한다.
상기 기둥(100)은 외벽모서리기둥(110), 외벽 중간기둥(120), 내벽 모서리기둥(130), 내벽 중간기둥(140), 박공기둥(150), 박공샛기둥(160)을 포함한다.
상기 외벽 모서리 기둥(110)은 외벽 모서리 바깥기둥(111), 외벽 모서리 가운데기둥(112), 외벽 모서리 안쪽기둥(113)으로 구성되어 평강 또는 ㄱ형강을 사용하여 ㄱ자 형태로 제작되고, 외벽 모서리마다 외벽 모서리 바깥기둥(111), 외벽 모서리 가운데기둥(112), 외벽 모서리 안쪽기둥(113)이 실내방향 대각선으로 간격을 두고 수직 배치되며 각각의 기둥은 하부에 용접되어 부착된 모서리기둥 밑창판(20)을 통하여 앵커 볼트(10)로 콘크리트 기초(2) 위에 결합 고정된다. (도 2, 도 6 참조)
상기 외벽 모서리 가운데기둥(112)은 실내방향 안쪽 두변(112-a, 112-b)에 상하로 길게 용접되어 부착된 외벽 모서리 보조기둥(114) 한 쌍을 포함한다. (도 2, 도 6 참조)
상기 철골조(1) 측면에 위치하는 외벽 모서리 바깥기둥(111)의 변(111-b), 외벽 모서리 가운데기둥(112)의 변(112-b), 외벽 모서리 안쪽기둥(113)의 변(113-b)의 콘크리트 기초(2)로 부터의 상하 길이는 각각의 기둥이 대각선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지붕기울기에 맞추어 각각 다르게 제작되며, 외벽 모서리 가운데기둥(112)의 두변(112-a, 112-b)과 외벽 모서리 안쪽기둥(113)의 두변(113-a, 113-b)은 두변의 길이가 같게 제작되고, 외벽 모서리 바깥기둥(111)의 철골조(1) 정면에 배치되는 변(111-a)의 길이는 철골조(1) 측면에 배치되는 변(111-b)보다 일정 길이가 길게 제작된다. (도 2, 도 8, 도 9 참조)
상기 외벽 중간기둥(120)은 외벽 중간 바깥기둥(121), 외벽 중간 가운데기둥(122), 외벽 중간 안쪽기둥(123)으로 구성되어 평강으로 제작되고, 상기 외벽 중간기둥(120)은 실외에서 실내 일직선 방향으로 외벽 중간 바깥기둥(121), 외벽 중간 가운데기둥(122), 외벽 중간 안쪽기둥(123)이 상기 외벽 모서리 바깥기둥(111), 외벽 모서리 가운데기둥(121), 외벽 모서리 안쪽기둥(122)간의 간격과 같은 간격을 두고 수직 배치되며 각각의 기둥은 하단에 용접되어 부착된 중간기둥 밑창판(21)을 통하여 앵커 볼트(10)로 콘크리트 기초(2) 위에 결합 고정된다. (도 2, 도 4, 도 6 참조)
상기 외벽 중간 가운데기둥(124)은 실내방향으로 상하로 길게 용접되어 부착된 외벽 중간 보조기둥(124) 한 쌍을 포함하며 외벽 중간 보조기둥(124)의 폭은 상기 외벽 모서리 보조기둥(114)의 폭과 동일하게 제작된다. (도 2, 도 6 참조)
상기 내벽 모서리기둥(130)은 내벽 모서리 바깥기둥(131,133)과 내벽 모서리 안쪽기둥(132,134)으로 구성되며 평강 또는 ㄱ형강을 사용하여 ㄱ자 형태로 제작되고, 상기 내벽 모서리 기둥(130)은 내벽과 내벽이 마주하는 모서리 부분에는 내벽 모서리 바깥기둥(131)과 내벽 모서리 안쪽기둥(132)이 간격을 두고 대각선 방향으로 수직 배치되며, 외벽과 내벽이 마주하는 모서리 부분에는 상기 내벽 모서리 바깥기둥(133)과 내벽 모서리 안쪽기둥(134)이 실외 방향으로 "
Figure pat00003
" 형태로 간격을 두고 수직 배치되며 각각의 기둥은 하부에 용접되어 부착된 모서리기둥 밑창판(20)을 통하여 앵커 볼트(10)로 콘크리트 기초(2) 위에 결합 고정된다.
상기 내벽 중간기둥(140)은 내벽 중간 바깥기둥(141), 외벽 중간 안쪽기둥(142)으로 구성되어 평강으로 제작되며, 상기 내벽 모서리 기둥(130)과 내벽 모서리기둥(130) 사이에 내벽 중간 바깥기둥(141), 외벽 중간 안쪽기둥(142)이 간격을 두고 일직선 방향으로 수직 배치되며 각각의 기둥은 하단에 용접되어 부착된 중간기둥 밑창판(21)을 통하여 앵커 볼트(10)로 콘크리트 기초(2) 위에 결합 고정된다.
철골조(1) 정면에 배치되는 상기 외벽 중간 바깥기둥(121)의 콘크리트 기초(2)로 부터의 상하 길이는 상기 외벽 모서리 바깥기둥 변(111-a)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제공되고, 철골조(1) 측면에 배치되는 외벽 중간 바깥기둥(121)의 콘크리트 기초(2)로 부터의 상하 길이는 상기 외벽 모서리 바깥기둥 변(111-b)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제공되고, 외벽 중간 가운데기둥(122)의 콘크리트 기초(2)로 부터의 상하 길이는 상기 외벽 모서리 가운데기둥(112)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제공되고, 외벽 중간 안쪽기둥(123), 내벽 모서리기둥(130), 내벽 중간기둥(140)의 콘크리트 기초(2)로부터의 상하 길이는 상기 외벽 모서리 안쪽기둥(113)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제공된다. (도 2, 도 4, 도 5 참조)
상기 박공기둥(150)은 평강으로 제작된 박공 바깥기둥(151), 박공 가운데기둥(152), 박공 안쪽기둥(153)으로 구성되며 상기 박공 바깥기둥(151)은 중간 하단 면에 용접되어 부착된 박공 바깥 샛기둥(161)과 볼트구명(13)을 포함하고, 상기 박공 가운데기둥(152)은 상기 외벽 모서리 보조기둥(114)의 폭과 동일한 폭으로 실내방향 하부에 가로로 길게 용접 부착된 보조기둥(154)과 기둥의 중간 하단 면에 용접되어 부착된 박공 가운데 샛기둥(162)과 볼트구명(13)을 포함하고, 상기 박공 안쪽기둥(153)은 중간 하단 면에 용접되어 부착된 박공 안쪽 샛기둥(163)과 볼트구명(13)을 포함한다. (도 2 참조)
상기 박공 가운데 샛기둥(162)은 실내방향으로 상하로 길게 용접되어 부착된 박공 보조기둥(164)한 쌍을 포함하며 박공 보조기둥(164)의 폭은 상기 외벽 모서리 보조기둥(114)의 폭과 동일하게 제작된다. (도 2 참조)
상기 박공 바깥기둥(151)은 시공되는 지붕기울기 상태로 하부는 철골조(1) 측면에 위치하는 상기 외벽 모서리 바깥기둥(111)의 변(111-a) 상부에 용접 부착된 한 쌍의 연결 판(50) 사이에 볼트(11)와 너트(12)로 결합되고 상부는 외부마룻대(410) 아래에 용접되어 부착된 두 쌍의 연결 판(52) 중에서 바깥쪽에 위치한 한 쌍의 연결판(52) 사이에 볼트구멍(13)을 통하여 볼트(11)와 너트(12)로 결합된다. (도 8, 도 9, 도10 참조)
상기 박공 가운데기둥(152)은 시공되는 지붕기울기 상태로 하부는 철골조(1) 측면에 위치하는 상기 외벽 모서리 가운데기둥(112)의 변(112-a) 상부에 용접 부착된 한 쌍의 연결 판(50) 사이에 볼트(11)와 너트(12)로 결합되고 상부는 외부마룻대(410) 아래에 용접되어 부착된 두 쌍의 연결 판(52) 중에서 안쪽에 위치한 한 쌍의 연결판(52) 사이에 볼트구멍(13)을 통하여 볼트(11)와 너트(12)로 결합된다. (도 8, 도 9, 도10 참조)
상기 박공 안쪽기둥(1532)은 시공되는 지붕기울기 상태로 하부는 철골조(1) 측면에 위치하는 상기 외벽 모서리 안쪽기둥(113)의 변(113-a) 상부에 용접 부착된 한 쌍의 연결 판(50) 사이에 볼트(11)와 너트(12)로 결합되고 상부는 내부마룻대(420) 아래에 용접되어 부착된 한 쌍의 연결 판(52) 사이에 볼트구멍(13)을 통하여 볼트(11)와 너트(12)로 결합된다. (도 8, 도 9, 도10 참조)
상기 보(200)는 바깥 가로보(210), 제1 안쪽 가로보(220), 제2 안쪽 가로보(221), 제1 바깥 세로보(230), 제2 바깥 세로보(231), 제1 안쪽 세로보(240), 제2 안쪽 세로보(241), 내부 바깥 가로보(250), 내부 안쪽 가로보(260), 내부 바깥 세로보(270), 내부 안쪽 세로보(280)를 포함한다. (도 2, 도 7 참조)
상기 바깥 가로보(210)는 평강으로 제작, 다수의 볼트 구멍(13)을 구비하여 철골조(1) 정면의 외벽 모서리 바깥 기둥(111), 외벽 중간 바깥기둥(121) 상부 바깥쪽에 수직으로 길게 배치되어 각각 볼트(11)와 너트(12)로 결합 고정되고, 바깥 가로보(210)의 양측은 실내방향으로 각각 박공처마 안쪽서까래(330), 박공처마 바깥서까래(340)의 연결판(51)과 함께 볼트(11)와 너트(12)로 결합되고, 중간 부분은 실외방향으로 다수의 처마서까래(320)의 연결판(51)과 함께 볼트(11)와 너트(12)로 결합된다. 그리고 바깥 가로보(210)의 실내방향 상단에 일정간격으로 지붕기울기 상태로 용접되어 부착된 다수의 받침판(24)을 포함한다. (도 2, 도 3, 도 7 참조)
상기 제1 안쪽 가로보(220)는 평강 또는 ㄱ형강을 사용하여 ㄱ자 형태로 제작하여 수직으로 배치되는 변(220-a)에 다수의 볼트 구멍(13)을 구비하여 ㄴ자 형태로 배치되어 외벽 모서리 안쪽기둥(113) 상부 안쪽, 외벽과 마주하는 내벽 모서리 안쪽기둥(134) 상부 안쪽에 각각 볼트(11)와 너트(12)로 결합 고정되고, 변(220-a)의 실외방향 상단에 일정간격으로 지붕기울기 상태로 용접되어 부착된 다수의 받침판(24)이 구비되며,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내부서까래(310)의 연결판(51)과 함께 볼트(11)와 너트(12)로 결합되고, 수평 배치된 변(220-b)은 인접한 안쪽 세로보(240)의 변(240-b), 내부 안쪽 세로보(280)의 변(280-b)과 겹치지 않도록 길이를 조절하여 제작된다. (도 2, 도 3, 도 7 참조)
상기 제2 안쪽 가로보(221)는 평강으로 제작, 다수의 볼트 구멍(13)을 구비하여 외벽과 마주하는 내벽 모서리 바깥쪽기둥(133), 외벽 중간 안쪽기둥(123) 상부 안쪽에 볼트(11)와 너트(12)로 결합 고정되고, 실내방향 상단에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내부서까래(310)의 연결판(51)과 함께 볼트(11)와 너트(12)로 결합되고, 안쪽 가로보(221) 상단 실외방향에 지붕기울기 상태로 용접되어 부착된 다수의 받침판(24)이 일정간격으로 구비된다. (도 2, 도 3, 도 7 참조)
상기 바깥 세로보(230)는 평강으로 제작되어 외벽 모서리 바깥기둥(111) 바깥쪽 상부, 외벽 중간 바깥기둥(121) 바깥쪽 상부에 각각 볼트(11)와 너트(12)로 결합 고정되며, 바깥 세로보(230)의 상단 실내 방향에 용접되어 부착된 박공벽 받침판(23)이 구비된다. (도 5, 도 7참조)
상기 제1 안쪽 세로보(240)는 평강 또는 ㄱ형강을 사용하여 ㄱ형태로 제작되고 ㄴ자 형태로 배치되어 수직으로 배치되는 변(240-a)이 철골조(1) 측면의 상기 외벽 모서리 안쪽기둥(113) 안쪽 상부, 외벽과 마주하는 내벽 모서리기둥(134) 안쪽 상부에 볼트(11)와 너트(12)로 결합 고정되고, 수직으로 배치되는 변(240-a) 상단에는 실외 방향에 수평으로 용접되어 부착된 박공벽 받침판(24)이 구비된다. (도 7참조)
상기 내부 바깥 가로보(250)는 평강 또는 ㄱ형강을 사용하여 ㄱ자 형태로 제작되고 ㄴ자 형태로 배치되어 수직으로 배치되는 변(250-a)이 철골조(1) 측면의 외벽과 마주하는 내벽 모서리 바깥기둥(133) 안쪽 상부, 내벽과 내벽이 마주하는 내벽 모서리 바깥기둥(131) 바깥쪽 상부에 각각 볼트(11)와 너트(12)로 결합 고정된다. (도 2, 도 7 참조)
상기 내부 안쪽 가로보(260)는 평강 또는 ㄱ형강을 사용하여 ㄱ자 형태로 제작되고 ㄴ자 형태로 배치되어 수직으로 배치되는 변(260-a)이 철골조(1) 측면의 외벽과 마주하는 내벽 모서리 안쪽기둥(134) 상부 안쪽, 내벽과 내벽이 마주하는 내벽 모서리 안쪽기둥(132) 상부 안쪽에 각각 볼트(11)와 너트(12)로 결합 고정되고 수평 배치된 변(260-b)은 인접한 안쪽 세로보(240)의 변(240-b), 내부 안쪽 세로보(280)의 변(280-b)과 겹치지 않도록 길이를 조절하여 제작된다.. (도 2, 도 7 참조)
상기 내부 바깥 세로보(270)는 도시된 좌측 부분은 평강으로 제작되고 우측 부분은 평강 또는 ㄱ형강을 사용하여 ㄱ자 형태로 제작되어 ㄴ자 형태로 배치되어 철골조(1) 정면의 외벽과 마주하는 내벽 모서리 바깥기둥(133) 안쪽 상부, 내벽 중간 바깥기둥(141) 상부 바깥쪽, 내벽과 내벽이 마주하는 내벽 모서리 바깥기둥(131) 상부 바깥쪽에 각각 볼트(11)와 너트(12)로 결합 고정된다. (도 2, 도 7 참조)
상기 내부 안쪽 세로보(280)는 평강 또는 ㄱ형강을 사용하여 ㄱ자 형태로 제작되고 ㄴ자 형태로 배치되어 수직으로 배치되는 변(280-a)이 철골조(1) 정면의 외벽과 마주하는 내벽 모서리 안쪽기둥(134) 상부 안쪽, 내벽 중간 안쪽기둥(142) 상부 안쪽, 내벽과 내벽이 마주하는 내벽 모서리 안쪽기둥(132) 상부 안쪽에 각각 볼트(11)와 너트(12)로 결합 고정된다. (도 2, 도 7 참조)
상기 제1 안쪽 가로보(220), 제2 안쪽 가로보(221), 제1 안쪽 세로보(240), 제2 안쪽 세로보(241), 내부 바깥 가로보(250), 내부 안쪽 가로보(260), 내부 바깥 세로보(270), 내부 안쪽 세로보(280)는 평면천장으로 시공하기 위하여 ㄱ자 형태로 제작, ㄴ형태로 배치하여 사각형태의 틀이 형성되도록 제공되고, 열린(open) 천장을 시공하기 위하여 평강으로 제작되는 가변형의 부재이다. (도 2, 도 7 참조)
상기 서까래(300)는 내부서까래(310), 처마서까래(320), 박공처마 안쪽서까래(330), 박공처마 바깥서까래(340)로 구성되어 평강 또는 ㄱ형강을 사용하여 ㄷ자 형태로 제작된다. (도 3, 도 4 참조)
상기 내부서까래(310)는 건물 내부에 웨브(310-a)가 위쪽을 향하도록 하여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가 배치되어 하부는 제1 안쪽 가로보(220), 제2 안쪽 가로보(221)에 상부는 마주하는 내부서까래(310)와 각각 구비된 연결판(51)을 통하여 볼트(11)와 너트(12)로 결합 고정되고 더하여 웨브(310-a) 상부가 내부마룻대(420) 아래쪽에 볼트(11)와 너트(12)로 결합된다. (도 3, 도 4 참조)
상기 처마서까래(320)는 웨브(320-a)가 위쪽을 향하도록 하여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가 배치되어 하부는 지붕테두리(40)에 상부는 상기 바깥 가로보(210)에 각각 구비된 연결판(51)을 통하여 볼트(11)와 너트(12)로 결합 고정된다. (도 3, 도 4 참조)
상기 박공처마 안쪽서까래(330)는 웨브(330-a)가 아래쪽을 향하도록 하여 하부는 바깥 가로보(210)와 상부는 마주하는 박공 안쪽 처마서까래(330)와 각각 구비된 연결판(51)을 통하여 볼트(11)와 너트(12)로 결합 고정되고 추가하여 웨브(330-a) 상부가 외부마룻대(410) 위쪽에 볼트(11)와 너트(12)로 결합된다. (도 3, 도 4 참조)
상기 박공처마 바깥서까래(340)는 웨브(340-a)가 아래쪽을 향하도록 하여 하부는 바깥 가로보(210)와 상부는 마주하는 박공처마 바깥서까래(340)와 각각 구비된 연결판(51)을 통하여 볼트(11)와 너트(12)로 결합 고정되고 추가하여 웨브(340-a) 상부가 외부마룻대(410) 위쪽에 볼트(11)와 너트(12)로 결합된다. 상기 박공처마 바깥서까래(340)는 바깥쪽에 배치되는 변(340-c)의 높이는 안쪽에 배치되는 변(340-b)의 높이보다 일정 높게 제작되어 지붕테두리(40)의 높이와 일치하도록 하고 변(340-c) 하단부의 길이는 변(340-b) 보다 길게 제작되어 지붕테두리(40)와 마주하도록 제작한다. (도 3, 도 4 참조)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서까래(300)는 위와 같이 건물 내부에 배치된 내부서까래(310)는 내부 마룻대(420) 하부에 결합되고 건물 외부에 분리 배치된 박공처마 안쪽서까래(330), 박공처마 바깥서까래(340)는 외부마룻대(410) 상부에 결합되고, 상기 처마서까래(320)는 상기 박공처마 안쪽서까래(330), 박공처마 바깥서까래(340)의 지붕기울기 연장선상에 배치되는 특징을 지닌다. (도 3, 도 4 참조)
상기 마룻대(400)는 외부마룻대(410)와 내부 마룻대(420)로 구성되어 평강을 사용하여 지붕기울기에 맞추어 '
Figure pat00004
' 형태로 제작되며, 상기 외부마룻대(410)는 '
Figure pat00005
' 형태 아래 한쪽으로 두 쌍의 연결판(52) 구비하고 상기 외부마룻대(410), 연결판(52)에는 각각 볼트구멍(13)이 구비되고, 상기 내부 마룻대(420)는 '
Figure pat00006
' 형태 아래 양쪽으로 한 쌍의 연결판(52) 구비하고 상기 내부 마룻대(420), 연결판(52)에는 각각 볼트구멍(13)이 구비된다. (도 3, 도 4, 도 10 참조)
상기 외부마룻대(410)는 철골조(1) 정면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
Figure pat00007
' 형태 아래쪽으로 구비된 두 쌍의 연결판(52)을 통하여 건물 양측의 박공 바깥기둥(151), 박공 가운데기둥(152)과 볼트(11)와 너트(12)로 결합되고, 위쪽으로는 철골조(1) 양측의 박공처마 안쪽서까래(330), 박공처마 바깥서까래(340) 하부에 각각 볼트(11)와 너트(12)로 결합 고정된다. (도 3, 도 4, 도 10 참조)
상기 내부 마룻대(420)는 건물 내부에 배치되어 내부 마룻대(420) 양측은 '
Figure pat00008
' 형태 아래쪽으로 구비된 한 쌍의 연결판(52)을 통하여 철골조(1) 양측의 박공 안쪽기둥(153)과 볼트(11)와 너트(12)로 결합되고 내부 마룻대(420)의 중간 부분은 다수의 내부서까래(310) 상부에 볼트(11)와 너트(12)로 결합 고정된다. (도 3, 도 4, 도 10 참조)
상기 지붕테두리(40)는 평강으로 제작되어 다수의 처마서까래(320) 하단부에 볼트(11)와 너트(12)로 결합 고정되며 상기 지붕테두리(40)의 폭은 마주하여 결합되는 처마서까래(320) 상단 면 보다 일정 길이가 길게 제작되어 상기 박공처마 바깥서까래(340)의 바깥쪽 변(340-c)의 높이와 일치되도록 하고 지붕테두리(40) 상단에 구비된 관통구멍(32)과 와이어클립(32)을 결합된 다수의 와이어로프(30)가 배치된다, (도 3 참조)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철골조(1)는 건물 바깥쪽에 배치되어 제공되는 외벽 바깥 모서리기둥(111)을 기준으로 외벽 바깥 중간기둥(121), 박공 바깥기둥(151), 바깥가로보(210), 바깥세로보(230), 처마서까래(320), 박공처마 안쪽서까래(330), 박공처마 바깥서까래(340), 외부마룻대(410)가 서로 연결되어 결합되고, 건물 안쪽에 배치되어 제공되는 외벽 안쪽 모서리기둥(113)을 기준으로 외벽 안쪽 중간기둥(123), 박공 안쪽기둥(153), 안쪽가로보(220), 안쪽세로보(240), 내부서까래(310), 내부마룻대(420)가 서로 연결되어 결합됨으로써 건물 외부에 배치되어 제공되는 철골조(1)와 건물 내부에 배치되어 제공되는 철골조(1)가 각각 분리 단절되어 시공됨으로써 열전도율이 높은 철골부재의 사용으로 인한 열교와 결로현상을 방지하게 되는 특징을 가진다. (도 2, 도 3, 도 4, 도 5, 도 7 참조)
본 발명에 사용되는 기둥(100), 보(200), 서까래((300), 마룻대(400)는 사전에 규격에 맞게 용접 및 제작한 후 아연 융용 도금하여 부식을 방지한 후에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은 도 7에 도시된 A부분을 좌측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외벽 중간 바깥기둥(121), 외벽 중간 가운데기둥(122), 외벽 중간 안쪽기둥(123)의 상단 높이는 배치된 상태에서 지붕기울기 따라 외벽 중간 바깥기둥(121), 외벽 중간 가운데기둥(122), 외벽 중간 안쪽기둥(123)의 상단이 점차 높게 제작되고, 외벽 중간 보조기둥(124)의 상단 면(124-a)은 지붕기울기 따라 실내에서 실외 방향으로 기울도록 제작된다. 바깥 세로보(230)는 상기 외벽 중간 바깥기둥(121) 바깥 상단에 보조 연결판(53)과 함께 볼트(11)와 너트(12)로 결합 고정되고, 제2 안쪽 세로보(241)는 외벽 중간 안쪽기둥(123) 바깥 상단에 보조 연결판(53)과 함께 볼트(11)와 너트(12)로 결합 고정된다. 상기 보조 연결판(53)은 바깥 세로보(230)와 외벽 중간 바깥기둥(121) 사이, 제2 안쪽 세로보(241)와 외벽 중간 안쪽기둥(123) 사이의 공간을 메워주는 보조 수단이다.
도 12는 도 2에 도시된 외벽 모서리 바깥기둥의 사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외벽 모서리 바깥기둥(111)은 ㄱ자 형태로 제작되어 기둥 하단에는 볼트 구멍(13)이 구비된 모서리기둥 밑창판(20)이 용접되어 부착되고, ㄱ자 형태의 두변 중에서 건물의 정면에 배치되는 변(111-a)은 건물의 측면에 배치되는 다른 한쪽 변(111-b) 보다 일정 길이가 길게 제공되고, 변(111-a)과 변(111-b)의 상부에 각각 볼트 구멍(133)이 구비되고, 건물의 측면에 배치되는 변(111-b)의 상부 양쪽 면에 한 쌍의 연결판(140)이 용접되어 부착된다. 상기 연결판(50)은 평강으로 제작되어 연결판(50)의 상부와 하부에 볼트 구멍(13)이 구비된다.
도 13은 도 2에 도시된 외벽 모서리 가운데기둥의 사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외벽 모서리 가운데기둥(112)은 ㄱ자 형태로 제작되어 기둥 하단에는 볼트 구멍(13)이 구비된 모서리기둥 밑창판(20)이 용접되어 부착되고, ㄱ자 형태 두변 중에서 건물의 정면에 배치되는 변(112-a)과 건물의 측면에 배치되는 다른 한 변(112-b)에는 각각 상하로 길게 일정 폭을 가진 보조기둥(114)이 각각 용접 결합되고, 상기 보조기둥(114)은 각각 평강으로 제작되며 상단 면(114')은 지붕의 기울기에 맞추어 경사지게 가공된다. 상기 변(11-b)은 상부 양쪽 면에는 볼트 구멍(13)이 구비된 연결 판(50) 한 쌍이 용접 부착된다.
도 14는 도 2에 도시된 외벽 모서리 안쪽기둥의 사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외벽 모서리 안쪽기둥(113)은 ㄱ자 형태로 제작되어 기둥하단에는 볼트 구멍(13)이 구비된 모서리기둥 밑창판(20)이 용접되어 부착되고, ㄱ자 형태의 두변 중에서 건물의 정면에 배치되는 변(113-a)과 건물의 측면에 배치되는 변(113-b)의 상부에는 각각 볼트 구멍(13)을 구비되고, 상기 변(113-b)의 상부 양쪽 면에 한 쌍의 연결판(50)이 용접되어 부착된다. 상기 연결판(140)은 평강으로 제작되어 상부와 하부에 각각 볼트 구멍(13)이 구비된다.
도 16은 도 2에 도시된 외벽 중간 가운데기둥의 사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외벽 중간 가운데기둥(122)은 평강으로 제작되어 기둥 하단에는 볼트 구멍(13)이 구비된 중간기둥 밑창판(21)이 용접 부착되고, 기둥의 한쪽 측면 양 측에 상하로 길게 일정 폭을 가진 보조기둥(124) 한 쌍이 각각 용접 결합되어 제공되고, 상기 보조기둥(124)의 상부 단면(124')은 지붕의 기울기에 맞추어 경사지게 가공된다.
도 17은 도 2에 도시된 박공 바깥기둥 사시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박공 바깥기둥(151)은 평강을 사용하여 제작되며 지붕기울기로 배치되는 기둥의 하단 면은 수평으로 상단 면은 수직으로 각각 가공되어 상부와 하부에 각각 볼트 구멍(13)을 구비하고, 기둥의 중간 하단에 박공 바깥 샛기둥(161)이 용접 부착되어 제공된다.
도 18은 도 2에 도시된 박공 가운데기둥 사시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박공 가운데기둥(152)은 평강을 사용하여 제작되며 지붕기울기로 배치되는 기둥의 하단 면은 수평으로 상단 면은 수직으로 각각 가공되어 상부와 하부에 각각 볼트 구멍(13)을 구비하고, 기둥의 중간 하단에 박공 가운데 샛기둥(162)이 용접 부착되어 제공된다. 상기 박공 가운데 샛기둥(162)은 실내방향 양측면에 상하로 길게 일정 폭을 가진 한 쌍의 박공 샛기둥 보조기둥(164)이 용접 부착된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형강을 이용한 통나무벽체의 1층 부분평면도, 도 19, 도 20는 본 발명에 따른 형강을 이용한 통나무벽체의 부분사시도이다.
도 18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통나무 벽체(500)는 외벽 통나무(510), 내벽 통나무(520), 박공벽 통나무(530)로 구성된다.
상기 외벽 통나무(510)는 바깥 외벽 통나무(511)와 안쪽 외벽 통나무(512)로 구성되며 상기 바깥 외벽 통나무(511)는 외벽 모서리 바깥기둥(111)과 외벽 모서리 가운데기둥(112) 사이, 외벽 중간 바깥기둥(121)과 외벽 중간 가운데기둥(122) 사이에 상하로 적층되며, 상기 안쪽 외벽 통나무(512)는 외벽 모서리 안쪽기둥(113)과 외벽 모서리 가운데기둥(112) 사이, 외벽 중간 안쪽기둥(123)과 외벽 중간 가운데기둥(122) 사이에 상하로 적층되어 고정된다.
한편, 외벽 모서리기둥(110)과 외벽 모서리기둥(110) 사이에 외벽 중간기둥(120)이 제공되는 것은 시중에서 일반적으로 공급되는 길이 4미터 이하의 비교적 짧은 통나무를 외벽통나무(510)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 내벽 통나무(520)는 내벽 모서리 바깥기둥(131)과 내벽 모서리 안쪽기둥(132) 사이, 내벽 모서리 바깥기둥(133)과 내벽 모서리 안쪽기둥(134) 사이에 상하로 적층되고, 내벽 중간기둥(140)이 제공되는 경우 내벽 모서리기둥(130)과 내벽 중간기둥(140) 사이에 상하로 적층되어 고정된다.
상기 박공벽 통나무(530)은 바깥 박공벽 통나무(531), 안쪽 박공벽 통나무(532)로 구성되어 상기 바깥 박공벽 통나무(531)는 박공 바깥기둥(151)과 박공 가운데기둥(152) 사이 그리고 박공 바깥샛기둥(161)과 박공 가운데샛기둥(162) 사이에 상하로 적층되며, 상기 안쪽 박공벽 통나무(532)는 박공 가운데기둥(152)과 박공 안쪽기둥(153) 사이 그리고 박공 가운데샛기둥(162)과 박공 안쪽샛기둥(163) 사이에 상하로 적층되어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외벽 통나무(510), 내벽 통나무(520), 박공벽 통나무(530)는 각각 두께 3cm로 가공된 사각통나무 3개가 겹치도록 각 기둥 사이에 제공된 것으로 두께 3cm의 통나무는 비용이 저렴한 열기 건조법으로 통나무 내부까지 기건 함수율 15% 내로 건조가 가능한 특징을 가진다.
상기 외벽 모서리기둥(110) 사이, 외벽 중간기둥(120) 사이에서 서로 마주하는 바깥 외벽 통나무(511)와 바깥 외벽 통나무(511), 안쪽 외벽 통나무(512)와 안쪽 외벽 통나무(512), 상기 박공샛기둥(160) 사이에서 서로 마주하는 바깥 박공벽 통나무(531)와 바깥 박공벽 통나무(531), 안쪽 박공벽 통나무(532)와 안쪽 박공벽 통나무(532)는 각각 마주하는 3개의 통나무를 각각 좌우로 엇갈려쌓기 하여 기밀시공이 되도록 한다.
한편 적층되어 있는 바깥 외벽 통나무(511)의 바깥 통나무(511-a), 안쪽 외벽 통나무(512)의 바깥 통나무(512-a), 내벽 통나무(520)의 안쪽 통나무(520-a), 바깥 통나무(520-b)에 각각 1.0~1.5미터 간격으로 수직으로 관통하는 수직관통구(650)를 구비하고 상기 수직관통구(650)에 스테인리스 재질의 지지 봉(64)을 삽입하여 가로로 길게 상하로 적층된 상기 바깥 외벽 통나무(511)의 바깥 통나무(511-a), 안쪽 외벽 통나무(512)의 바깥 통나무(512-a), 내벽 통나무(520)의 안쪽 통나무(520-a), 바깥 통나무(520-b)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좌우로 휘어져 미관을 해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바깥 외벽 통나무(511)와 안쪽 외벽 통나무(512) 사이에 외벽 모서리 보조기둥(114) 한 쌍, 외벽 중간 보조기둥(124) 한 쌍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과, 바깥 박공벽 통나무(531)와 안쪽 박공벽 통나무(532) 사이에 박공 보조기둥(154)과 박공 샛기둥 보조기둥(164)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에는 외벽 단열재(66)를 시공하게 됨으로써 단열을 강화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외벽통나무(510)와 내벽통나무(520)는 각각 받침돌(120) 위에 배치하여 밑으로부터 올라오는 습기로부터 보호되게 구성된다.
상기 박공벽 통나무(530) 상부에는 탄성을 가진 기밀부재(61)를 제공하여 바깥 박공벽 통나무(531)와 안쪽 박공벽 통나무(532)의 기건 함수율 이내에서의 상하수축에 대비하여 기밀성을 유지토록 한다.
도 21은 도 20의 A - A'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박공벽 통나무(530)에 창틀(63)이 설치되는 경우 창틀(63) 양쪽의 바깥 박공벽 통나무(531)의 바깥통나무(531-a), 안쪽 박공벽 통나무의 바깥통나무(532-a)에 각각 창틀의 높이보다 상하로 길이가 긴 수직관통구(650)를 구비하고 상기 수직관통구(650)에 스테인리스 재질의 지지 봉(64)이 제공되도록 하여 창틀(63) 좌우의 박공벽 통나무(530)를 고정시키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좌우로 휘어져 미관을 해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창틀(63)은 창틀 양쪽에 바깥 박공벽 통나무(531)와 안쪽 박공벽 통나무(532) 사이의 공간 폭을 가진 날개(63-a)를 구비하여 상기 날개(63-a)를 바깥 박공벽 통나무(531)와 안쪽 박공벽 통나무(532) 사이에 끼워 넣기 함으로써 창틀(63) 주변의 기밀성을 높일 수 있다.
도 22는 도 20의 B - B'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바깥 박공벽 통나무(531)는 건물 측면의 바깥 세로보(230)에 용접되어 부착된 박공벽 받침판(23) 위에, 안쪽 박공벽 통나무(532)는 건물 측면의 안쪽 세로보(240)에 용접되어 부착된 박공벽 받침판(24) 위에 각각 적층된다.
상기 바깥 세로보(230)에 용접되어 부착된 박공벽 받침판(23)은 외부로 기울도록 제공되어 외부의 빗물이 내부로 침투하거나 박공벽 받침판(23)과 적층된 바깥 박공벽 통나무(531) 사이에 물이 고이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바깥 박공벽 통나무(531)의 외부에 노출되는 바깥 통나무(531-a), 상기 바깥 외벽 통나무(511)의 외부에 노출되는 바깥 통나무(511-a)는 상하 면을 사선으로 기울도록 가공하여 경사면이 외부로 향하도록 적층되어 외부의 빗물이 내부로 침투하거나 또는 상하로 적층된 통나무 사이에 물이 고이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바깥 외벽 통나무(511)와 박공벽 받침판(23) 사이, 안쪽 외벽 통나무(512)와 박공벽 받침판(24) 사이에는 탄성을 가진 기밀부재(61)를 제공하여 바깥 외벽 통나무(511)와 안쪽 외벽 통나무(512)의 기건 함수율 이내에서의 상하 수축에 대비하여 기밀성을 유지토록 한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형강을 이용한 통나무주택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외벽통나무(510)는 두께 3cm의 통나무 3개를 겹치게 상하로 적층하는데 적층된 외벽통나무(510)는 측면에서 바라볼 때 상하로 엇갈려 쌓는 방식으로 적층하여 기밀시공이 되도록 한다.
그리고 외벽통나무(510) 하단에 배치되는 받침돌(60)은 바깥 통나무(511-a)의 외곽보다 실내 안쪽으로 밀어 넣어 배치함으로써 바깥 통나무(511-a)의 아래쪽 경사면이 외벽통나무(510) 바닥에 빗물이 고이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붕(3)은 안쪽 가로보(220)에 결합된 내부서까래(310) 상부와 외벽 통나무(510), 외벽단열재(66)를 덮는 기밀유지부재(61) 상부에 2겹의 열린(open)천장 마감통나무(610), 지붕단열재(67)가 덮고 그 위에 지붕중간 통나무(620), 방수 시트(68), 지붕마감재(70) 순으로 덮도록 구성된다.
상기 박공처마 안쪽서까래(330)의 높이(H')는 열린(open)천장 마감통나무(610)와 지붕단열재(67)를 합한 두께의 높이로 제작되고, 박공처마 바깥서까래(340)의 바깥 변(340-c)의 높이(H)는 열린(open)천장 마감통나무(610), 지붕단열재(67), 지붕중간 통나무(620), 방수 시트(68)를 합한 두께의 높이로 제작된다.
그리고 외벽 모서리 바깥기둥(111)의 정면에 배치되는 변(111-a)의 상단(111-c)이 측면에 배치되는 변(111-b)의 상단(111-d)보다 길게 제작되는 길이(L)는 열린(open)천장 마감통나무(610), 지붕단열재(67)를 합한 두께의 높이(H')로 제작한다.
지붕테두리(40)의 상하 길이(L)는 마주하는 처마서까래(320)의 상하 길이와 지붕중간 통나무(620), 방수 시트(68)를 합한 두께의 높이(H")를 감안하여 제작한다.
한편, 바깥 외벽 통나무(511) 및 안쪽 외벽 통나무(512), 외벽단열재(66)의 상부와 열린(open)천장 마감통나무(610) 사이에는 탄성을 가진 기밀부재(61)를 구비하여 외벽 통나무(510)의 기건 함수율 내에서의 수축, 팽창에 대비하여 기밀시공이 되도록 하고 상기 열린(open)천장 마감통나무(610)는 기건 함수율 15% 내로 건조된 두께 3cm의 통나무를 사용하여 2개가 엇갈려 겹치도록 시공한다.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평천장 분리사시도이다.
도 24를 참조하면, 제1 안쪽 가로보(220), 제1 안쪽 세로보(240), 내부 안쪽 가로보(260), 내부 안쪽 세로보(280)로 구성된 사각형태의 틀이 제공된 부분은 평면천장(4)을 시공하는 부분으로 사각형태의 틀 안쪽에 평면천장 마감통나무(600), 두 개의 받침목(630), 평강으로 제작된 다수의 천장 장선(65), 바닥 통나무(670)가 순차적으로 제공되고, 평강으로 제작된 제2 안쪽 가로보(221), 내부 바깥 세로보(270)가 제공된 부분은 열린(open)천장(5)이 시공되는 곳이며, 상기 천장 장선(65)은 양쪽 끝 하단에 날개(65-a)를 포함한다.
상기 평면천장 마감통나무(600)는 기건 함수율 15% 내로 건조된 두께 3cm의 통나무를 사용하여 세로 면에 1.0~1.5미터 간격으로 수평 관통구(640)가 구비되고 상기 수평 관통구(640)에 스테인리스 재질의 지지 봉(64) 삽입하여 평면천장 마감통나무(600)가 밑으로 처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지붕 사시도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붕(3)은 내부서까래(310), 안쪽 가로보(220) 상부에 2겹의 열린(open)천장 마감통나무(610), 지붕단열재(67)가 배치되고 상기 지붕단열재(67)와 처마서까래(320), 박공처마 안쪽서까래(330) 상부를 지붕중간 통나무(620), 방수 시트(68), 지붕마감재(69) 순으로 덮도록 구성되어 건물 내부의 지붕은 단열을 강화하고, 건물 외부의 지붕은 얇게 시공이 가능하여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열린(open)천장 마감통나무(610)와 지붕중간 통나무(620)는 두께 3cm이하의 기건함수율 15% 이하로 건조된 통나무로 제공된다.
상기 방수 시트(68)와 지붕 중간 통나무(620) 사이에는 지붕테두리(40)에 구비된 관통구멍(32)과 와이어클립(31)으로 고정되는 와이어로프(30)가 일정 간격으로 다수 배치되어 지붕을 보호하고 지붕구조를 보다 견고하게 유지하도록 한다.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외벽 모서리부분의 도면이고 도 27은 도 26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26, 도 27을 참조하면, 외벽 모서리 바깥기둥(111)과 외벽 모서리 가운데 기둥(112) 사이에 적층되는 바깥 외벽통나무(511)의 바깥 통나무(511-a)는 바깥 쪽면에 외벽 모서리 바깥기둥(111)에 삽입되는 길이와, 외벽 모서리 바깥기둥(111)과 기둥 마감통나무(660)를 더한 두께의 홈(511-a')이 제공되고 제공된 홈(511-a')에 외벽 모서리 바깥기둥(111)이 매립되고 그 위를 기둥 마감통나무(660)로 마감한다.
외벽 모서리 가운데기둥(112)과 외벽 모서리 안쪽기둥(113) 사이에 적층되는 안쪽 외벽 통나무(512)의 안쪽 통나무(512-a)는 바깥 쪽 면에 외벽 모서리 안쪽기둥(113)에 삽입되는 길이와, 외벽 모서리 안쪽기둥(113)과 기둥 마감통나무(660)를 더한 두께의 홈(512-a')이 제공되고 제공된 홈(512-a')에 외벽 모서리 안쪽기둥(113)이 매립되고 그 위를 기둥 마감통나무(660)로 마감한다.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외벽 중간부분의 도면이다.
도 28을 참조하면, 외벽 중간 바깥기둥(121)과 외벽 중간 가운데기둥(122) 사이에 적층되는 바깥 외벽통나무(511)의 바깥 통나무(511-a)는 바깥 쪽 면에 외벽 모서리 바깥기둥(121)에 삽입되는 길이와, 외벽 모서리 바깥기둥(121)과 기둥 마감통나무(660)를 더한 두께의 홈(511-a')이 제공되고 제공된 홈(511-a')에 외벽 중간 바깥기둥(121)이 매립되고 그 위를 기둥 마감통나무(660)로 마감한다.
외벽 중간 가운데기둥(122)과 외벽 중간 안쪽기둥(123) 사이에 적층되는 안쪽 외벽 통나무(512)의 안쪽 통나무(512-a)는 바깥 쪽 면에 외벽 중간 안쪽기둥(123)에 삽입되는 길이와 외벽 모서리 안쪽기둥(123)과 기둥 마감통나무(660)를 더한 두께의 홈(512-a')이 제공되고 제공된 홈(512-a')에 외벽 모서리 안쪽기둥(123)이 매립되고 그 위를 기둥 마감통나무(660)로 마감한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내벽 모서리기둥(130), 내벽 중간기둥(140), 박공기둥(150), 박공샛기둥(160)의 경우 상기 외벽 모서리 바깥기둥(111)과 외벽 모서리 안쪽기둥(113)과 같이 각각의 기둥에 삽입되는 통나무 길이와, 기둥과 기둥 마감통나무(660)를 더한 두께의 홈을 제공하여 기둥이 통나무 안쪽으로 매립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외부와 실내로 노출되는 기둥(100), 보(200), 서까래((300), 마룻대(400)는 목재 또는 금속패널로 마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기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 청구범위 내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변경할 수 있다.
1 : 철골조
2 : 콘크리트 기초
3 : 지붕
4 : 평면천장
5 : 열린(open)천장
100 : 기둥
110 : 외벽 모서리기둥
120 : 외벽 중간기둥
130 : 내벽 모서리기둥
140 : 내벽 중간기둥
150 : 박공기둥
160 : 박공샛기둥
200 : 보
210 : 바깥 가로보
220 : 안쪽 가로보
230 : 바깥 세로보
240 : 안쪽 세로보
250 : 내부 바깥 가로보
260 : 내부 안쪽 가로보
270 : 내부 바깥 세로보
280 : 내부 안쪽 세로보
300 : 서까래
310 : 내부서까래
320 : 처마서까래
330 : 박공처마 안쪽서까래
340 : 박공처마 바깥서까래
400 : 마룻대
410 : 외부마룻대
420 : 내부마룻대
500 : 통나무 벽체
510 : 외벽 통나무
520 : 내벽 통나무
530 : 박공벽 통나무
540 : 외벽단열재
600 : 평면천장 마감통나무
610 : 열린(open)천장 마감통나무
620 : 지붕중간 통나무
630 : 받침목
640 : 수평관통구
650 : 수직관통구
660 : 기둥마감 통나무
670 : 바닥 통나무
10 : 앵커 볼트
11 : 볼트
12 : 너트
13 : 볼트 구멍
20 : 모서리기둥 밑창 판
21 : 중간기둥 밑창 판
23 : 박공벽 받침판
24 : 박공벽 받침판
25 : 받침판
30 : 와이어로프
31 : 와이어클립
32 : 관통구멍
40 : 지붕테두리
50 : 연결판
51 : 연결판
52 : 연결판
53 : 보조 연결판
60 : 받침돌
61 : 기밀유지부재
62 : 방문
63 : 창틀
64 : 지지 봉
65 : 천장 장선
66 : 외벽 단열재
67 : 지붕 단열재
68 : 방수시트
69 : 지붕 마감재

Claims (22)

  1. 형강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기둥, 보, 서까래, 마룻대, 지붕테두리로 구성되는 철골조와, 상기 기둥 사이에 적층되어 외벽 통나무, 내벽 통나무, 박공벽 통나무가 제공되는 통나무벽체와, 상기 서까래를 덮는 지붕으로; 구성되는 형강을 이용한 통나무주택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둥은,
    형강을 이용하여 ㄱ형태로 제작되는 외벽 모서리 기둥, 내벽 모서리 기둥, 평강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외벽 중간기둥, 내벽 중간 기둥, 박공기둥, 박공샛기둥을 포함하고,
    상기 외벽 모서리 기둥은 외벽 모서리 바깥 기둥, 외벽 모서리 가운데 기둥, 외벽 모서리 안쪽 기둥으로 구성되어 외벽모서리에 적층되는 통나무의 간격을 두고 대각선 방향으로 기초 콘크리트 위에 앵커볼트로 결합되어 수직 배치되고,
    상기 외벽 중간 기둥은 외벽 중간 바깥 기둥, 외벽 중간 가운데 기둥, 외벽 중간 안쪽 기둥으로 구성되어 외벽 중간에 적층되는 통나무의 간격을 두고 실내 방향 일직선으로 기초 콘크리트 위에 앵커볼트로 결합되어 수직 배치되고,
    상기 내벽 모서리 기둥은 바깥 내벽 모서리기둥, 안쪽 내벽 모서리기둥으로 구성되어 외벽과 내벽 접하는 내벽모서리에는 실외 방향으로
    Figure pat00009
    형태로 적층되는 통나무의 간격을 두고 수직 배치되고, 내벽과 내벽이 접하는 내벽 모서리에는 적층되는 통나무의 간격을 두고 대각선 방향으로 기초 콘크리트 위에 앵커볼트로 결합되어 수직 배치되고,
    상기 내벽 중간 기둥은 내벽 중간 바깥 기둥, 내벽 중간 안쪽 기둥으로 구성되어 내벽 중간에 적층되는 통나무의 간격을 두고 기초 콘크리트 위에 앵커볼트로 결합되어 수직 배치되고,
    상기 외벽 모서리 바깥기둥, 외벽 모서리 가운데기둥, 외벽 모서리 안쪽기둥의 콘크리트 기초로 부터의 상하 길이는 각각의 기둥이 대각선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지붕기울기에 맞춘 길이로 각각 다르게 제작되며, 상기 외벽 모서리 바깥기둥은 ㄱ형태의 두변에서 철골조 정면에 위치하는 변의 길이는 철골조 측면에 위치하는 변보다 지붕에 배치되는 열린(open)천장 마감통나무와 지붕단열재를 합한 두께의 높이 만큼 길게 제작되고,
    상기 박공 기둥은 박공 바깥 기둥, 박공 가운데 기둥, 박공 안쪽 기둥으로 구성되어 박공 바깥 기둥은 외벽 모서리 바깥 기둥, 박공 가운데 기둥은 외벽 모서리 가운데기둥, 박공 안쪽 기둥은 외벽 모서리 안쪽 기둥 각각의 철골조 측면에 위치하는 변상단부에 연결판을 통하여 볼트와 너트로 결합 고정되고,
    상기 박공 샛기둥은 박공 바깥 샛기둥, 박공 가운데 샛기둥, 박공 안쪽 샛기둥으로 구성되어 박공 바깥 샛기둥은 박공 바깥 기둥, 박공 가운데 샛기둥은 박공 가운데 기둥, 박공 안쪽 샛기둥은 박공 안쪽 기둥 각각의 중간 하단부에 용접 고정되는 기둥과,
    상기 보는,
    형강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바깥 가로보, 바깥 세로보, 제1 안쪽 가로보, 제2 안쪽 가로보, 제1 안쪽 세로보, 제2 안쪽 세로보, 내부 바깥 가로보, 내부 안쪽 가로보, 내부 바깥 세로보, 내부 안쪽 세로보를 포함하고,
    상기 바깥 가로보는 건물 벽체의 길이보다 길게 평강으로 제작되어 철골조 정면의 외벽 모서리 바깥 기둥, 외벽 중간 바깥기둥 상부 바깥쪽에 가로로 길게 수직으로 볼트와 너트로 결합 고정되고,
    상기 바깥 세로보는 평강으로 제작되어 외벽 모서리 바깥기둥 바깥쪽 상부, 외벽 중간 바깥기둥 바깥쪽 상부에 가로로 길게 수직으로 볼트와 너트로 결합 고정되고,
    상기 제1 안쪽 가로보, 제2 안쪽 가로보, 제1 안쪽 세로보, 제2 안쪽 세로보, 내부 바깥 가로보, 내부 안쪽 가로보, 바깥 세로보, 내부 안쪽 세로보는 평면천장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ㄱ자 형태로 제작되고, 열린(open)천장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평강으로 제작되는 가변형의 부재로서,
    상기 안쪽 가로보, 안쪽 세로보, 내부 바깥 가로보, 내부 안쪽 가로보, 바깥 세로보, 내부 안쪽 세로보의 양측은 각각 상기 외벽모서리 안쪽기둥과 내벽모서리기둥 중에서 어느 하나의 기둥 상단 안쪽에 볼트와 너트로 결합 고정되는 보와,
    상기 서까래는,
    형강을 이용하여 ㄷ형태로 제작되는 내부서까래, 처마서까래, 박공처마 안쪽 서까래. 박공처마 바깥 서까래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서까래는 웨브가 위쪽을 향하도록 하여, 하부는 안쪽 가로보에 상부는 마주하는 내부서까래 그리고 내부마룻대 아래쪽에 볼트와 너트로 결합 고정되어 건물 내부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가 배치되고,
    상기 처마서까래는 웨브가 위쪽을 향하도록 하여, 하부는 지붕테두리에 상부는 상기 바깥 가로보에 볼트와 너트로 결합 고정되어 건물 외부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가 배치되고,
    상기 박공처마 안쪽서까래는 ㄷ자의 양변을 건물 내부를 덮는 지붕 두께의 높이로 제작하여 웨브가 아래쪽을 향하도록 하여 하부는 바깥 가로보와 상부는 마주하는 박공 안쪽 처마서까래 그리고 외부마룻대 위쪽에 볼트와 너트로 결합 고정되고,
    상기 박공처마 바깥서까래는 ㄷ자의 양변 중 실내방향에 위치하는 변은 건물 내부를 덮는 지붕 두께의 높이로 제작하고 실외방향에 위치하는 변은 지붕 전체의 두께의 높이로 제작하고, 웨브가 아래쪽을 향하도록 하여 하부는 바깥 가로보와 상부는 마주하는 박공처마 바깥서까래 그리고 외부마룻대 위쪽에 볼트와 너트로 결합 고정되는 서까래와,
    상기 마룻대는,
    형강을 이용하여 지붕기울기에 맞추어 '
    Figure pat00010
    ' 형태로 제작되는 외부마룻대, 내부마룻대를 포함하고,
    상기 외부마룻대는 '
    Figure pat00011
    ' 형태 아래쪽으로 구비된 두 쌍의 연결판을 통하여 건물 양측의 박공 바깥기둥, 박공 가운데기둥과 볼트와 너트로 결합되고, '
    Figure pat00012
    ' 형태 위쪽으로는 박공처마 안쪽서까래, 박공처마 바깥서까래와 볼트와 너트로 결합 고정되어 건물 외부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내부 마룻대는 '
    Figure pat00013
    ' 형태 아래쪽 양측으로는 건물 양측의 박공 안쪽기둥과, 중간 부분은 건물 양측 다수의 내부서까래 상부에 볼트와 너트로 결합 고정되어 건물 내부에 배치되는 마룻대와
    상기 지붕테두리는 평강으로 제작되어 다수의 처마서까래 하단부에 볼트와 너트로 결합되고,
    상기 외벽 통나무는,
    상기 외벽 모서리 바깥 기둥, 외벽 모서리 가운데 기둥 사이, 상기 외벽 중간 바깥기둥, 외벽 중간 가운데 기둥 사이에 두께 3cm 이하로 가공된 사각통나무 3개가 겹치게 적층되는 바깥 외벽통나무와, 상기 외벽 모서리 가운데 기둥, 외벽 모서리 안쪽기둥 사이, 상기 외벽 중간 가운데 기둥, 외벽 중간 안쪽 기둥 사이에 두께 3cm 이하로 가공된 사각통나무 3개가 겹치게 적층되는 바깥 외벽통나무로 이중벽체를 구성하고,
    상기 내벽통나무는,
    상기 바깥 내벽 모서리기둥, 안쪽 내벽 모서리기둥 사이, 상기 내벽 중간 바깥 기둥, 내벽 중간 안쪽 기둥 사이에 두께 3cm 이하로 가공된 사각통나무 3개가 겹치게 적층되고,
    상기 박공벽 통나무는
    상기 박공 바깥기둥과 박공 가운데기둥 사이, 상기 박공 바깥샛기둥과 박공 가운데 샛기둥 사이에 두께 3cm 이하로 가공된 사각통나무 3개가 겹치게 적층되는 바깥 박공벽 통나무와, 상기 박공 가운데기둥과 박공 안쪽기둥 사이, 상기 박공 가운데샛기둥과 박공 안쪽샛기둥 사이에 두께 3cm 이하로 가공된 사각통나무 3개가 겹치게 적층되어 이중벽체를 구성하는 형강을 이용한 통나무주택 시공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철골조 정면에 배치되는 상기 외벽 중간 바깥기둥의 콘크리트 기초로 부터의 상하 길이는 상기 외벽 모서리 바깥기둥의 정면에 위치하는 변의 콘크리트 기초로 부터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제공되고,
    상기 철골조 측면에 위치하는 상기 외벽 중간 바깥기둥의 콘크리트 기초로 부터의 상하 길이는 상기 외벽 모서리 바깥기둥의 측면에 위치하는 변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제공되고,
    상기 외벽 중간 가운데기둥의 콘크리트 기초로 부터의 상하 길이는 상기 외벽 모서리 가운데기둥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제공되고,
    상기 외벽 중간 안쪽기둥, 내벽 모서리기둥, 내벽 중간기둥의 콘크리트 기초로 부터의 상하 길이는 상기 외벽 모서리 안쪽기둥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로 제공되는 형강을 이용한 통나무주택 시공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깥 가로보는 실내방향 상단에 일정간격으로 지붕기울기 상태로 용접되어 부착된 다수의 받침판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안쪽 가로보, 상기 제2 안쪽 가로보는 상단 실외방향 상단에 일정간격으로 지붕기울기 상태로 용접되어 부착된 다수의 받침판을 구비하여 상기 받침판 상부를 지붕중간 통나무가 덮고,
    상기 바깥 세로보는 상단 실내 방향에 지붕기울기 상태로 용접되어 부착된 받침판을 구비하여 상기 받침판 상부에 상기 바깥 박공벽 통나무가 적층되고,
    상기 안쪽 세로보는 실외 방향 상단에 수평으로 용접되어 부착된 받침판을 구비하여 상기 받침판 상부에 상기 안쪽 박공벽 통나무가 적층되는 형강을 이용한 통나무주택 시공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붕테두리의 상하 길이는 마주하여 결합되는 처마서까래 상단보다 건물 외부를 덮는 지붕 두께의 높이만큼 길이가 길게 제작되어 상기 박공처마 바깥서까래의 바깥쪽 변의 높이와 일치되도록 하는 형강을 이용한 통나무주택 시공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철골조의 와이어로프는 건물 정면과 반대편에 배치된 상기 지붕테두리에 관통구멍과 와이어클립으로 각각 결합 고정되고 방수 시트와 지붕 중간 통나무 사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가 배치되어 지붕을 보호하고, 지붕구조를 보다 견고하게 결합 유지시키는 형강을 이용한 통나무주택 시공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건물 외부에 배치되는 상기 외벽 모서리 바깥기둥, 외벽 중간 바깥기둥, 바깥 가로 보, 바깥 세로 보, 박공 바깥기둥, 처마서까래, 박공처마 안쪽서까래, 박공처마 바깥서까래, 외부마룻대가 서로 연결되어 결합되고,
    건물 내부에 배치되는 상기 외벽모서리 안쪽기둥, 외벽 중간 안쪽기둥, 안쪽 가로 보, 안쪽 세로 보, 박공 안쪽기둥, 내부서까래, 내부마룻대가 서로 연결되어 결합되어, 건물내부의 철골조와 건물외부의 철골조로 분리 배치되어 철골조의 열전도에 따른 결로현상 및 철골조의 부식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강을 이용한 통나무주택의 시공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 모서리 가운데 기둥의 ㄱ 형태의 실내방향 내측 두변, 상기 외벽 중간 가운데 기둥의 실내방향 한쪽 변에 평강으로 제작되어 가로로 길게 용접 부착된 한 쌍의 보조기둥이 각각 제공되어 바깥 외벽통나무와 안쪽 외벽통나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에 외벽단열재를 시공하는 형강을 이용한 통나무주택의 시공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공 가운데기둥의 실내방향에 평강으로 제작되어 가로로 길게 용접 부착된 보조기둥과 상기 박공 가운데 샛기둥의 실내방향에 평강으로 제작되어 가로로 길게 용접 부착된 보조기둥 한 쌍이 제공되어 상기 바깥 박공벽 통나무와 안쪽 박공벽 통나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에 외벽단열재를 시공하는 형강을 이용한 통나무주택의 시공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통나무, 내벽 통나무, 박공벽 통나무는 적층된 사각통나무 3개가 상하로 엇갈려쌓기 방식으로 제공되어 기밀유지토록 하는 형강을 이용한 통나무주택의 시공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 모서리기둥과 외벽 모서리기둥, 상기 외벽 중간기둥과 외벽 중간기둥 사이에서 서로 마주하는 외벽통나무, 상기 박공 샛기둥과 박공 샛기둥 사이에서 서로 마주하는 박공벽통나무는 서로 마주하는 사각통나무 3개가 각각 좌우로 겹치게 엇갈려쌓기 방식으로 제공되어 기밀유지토록 하는 형강을 이용한 통나무주택의 시공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통나무, 내벽 통나무, 박공벽 통나무는 기건 함수율 15% 이내로 건조된 통나무로 제공되는 형강을 이용한 통나무주택의 시공방법.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깥 외벽통나무와 바깥 박공벽통나무가 외부로 노출되는 바깥 외벽통나무와 바깥 박공벽통나무는 각각 상하부분을 사다리꼴 형태로 사선 가공하여 경사면이 외부로 향하도록 적층하여 빗물의 내부 유입을 방지하도록 하는 형강을 이용한 통나무주택의 시공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깥 외벽통나무가 외부에 노출되는 바깥 통나무, 상기 안쪽 외벽통나무가 실내에 노출되는 바깥 통나무, 내벽 통나무의 안쪽 통나무와 바깥 통나무에 각각 1.0~1.5미터 간격으로 상하로 관통되는 수직관통구가 구비되고 상기 수직관통구에 삽입되는 스테인리스 재질의 지지 봉이 제공되는 형강을 이용한 통나무주택의 시공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공벽 통나무에 창틀이 설치되는 경우 창틀 양쪽의 통나무에 창틀의 높이보다 상하로 길이가 긴 수직관통구가 제공되고 상기 수직관통구에 삽입되는 지지 봉이 구비되는 형강을 이용한 통나무주택의 시공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 통나무와 내벽 통나무의 하부에 각각 받침돌이 제공되고, 상기 받침돌은 외벽 통나무 외곽보다 일정 폭 실내 안쪽으로 배치하여 외벽 통나무 바닥에 빗물이 고이는 것을 사전에 방지하는 형강을 이용한 통나무주택의 시공방법.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 통나무 상부와 상기 박공벽 통나무 상부에 각각 탄성을 지닌 기밀유지부재가 제공되어 통나무 수축에 대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강을 이용한 통나무주택의 시공방법.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 통나무, 내벽 통나무, 박공벽 통나무가 외부에 노출되는 바깥 통나무와 실내에 노출되는 바깥 통나무는 통나무의 양쪽 끝에 기둥에 삽입되는 길이와, 해당 기둥의 두께, 마감통나무 두께를 더한 깊이로 홈이 제공되고, 상기 홈에 기둥이 매립되고 그 위에 마감통나무로 덮는 형강을 이용한 통나무주택의 시공방법.
  18. 제 1 항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지붕은,
    건물 내부에 위치하는 내부서까래와 외벽통나무 상부에 열린(open)천장 마감통나무, 지붕단열재가 순차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지붕단열재와 처마서까래, 박공처마 안쪽서까래, 박공처마 바깥서까래의 상부를 지붕중간 통나무, 방수 시트, 지붕마감재 순으로 덮도록 구성되어 건물내부의 지붕 두께가 건물외부의 지붕두께보다 두껍게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강을 이용한 통나무주택의 시공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시트와 지붕 중간 통나무 사이에는 지붕테두리에 결합 고정된 와이어로프가 일정 간격으로 다수가 배치되어 지붕을 보호하고, 지붕구조를 보다 견고하게 결합 유지시키는 형강을 이용한 통나무주택 시공방법.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로 구성된 사각형태의 틀 위에 평면천장 마감 통나무, 두 개의 받침 통나무, 다수의 천장 장선, 바닥 통나무가 순차적으로 제공되는 형강을 이용한 통나무주택의 시공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천장 마감 통나무에 1 ~ 1.5미터 간격으로 수평으로 관통되는 수평관통구가 제공되고 상기 수평관통구에 삽입되는 스테인리스 재질의 지지봉을 포함하는 형강을 이용한 통나무주택의 시공방법.
  2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형강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기둥, 보, 서까래, 마룻대, 지붕테두리는 사전에 아연 융용도금하여 제공되는 형강을 이용한 통나무주택의 시공방법.
KR1020160065288A 2015-05-28 2016-05-27 형강을 이용한 통나무주택 KR1018978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74945 2015-05-28
KR1020150074945 2015-05-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0480A true KR20160140480A (ko) 2016-12-07
KR101897866B1 KR101897866B1 (ko) 2018-09-12

Family

ID=57573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5288A KR101897866B1 (ko) 2015-05-28 2016-05-27 형강을 이용한 통나무주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78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76267A (zh) * 2022-05-30 2022-08-09 中国天楹股份有限公司 一种重力储能专用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2822A (ko) 2009-03-12 2010-09-27 서경석 통나무 조립식 목조주택의 벽체 및 그 목조주택의 수축 변형 방지방법
KR20110030914A (ko) 2009-09-18 2011-03-24 서경석 통나무 조립식 목조주택의 벽체
KR20130033848A (ko) 2011-09-27 2013-04-04 김명교 통나무를 수직재로 이용한 벽식구조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2822A (ko) 2009-03-12 2010-09-27 서경석 통나무 조립식 목조주택의 벽체 및 그 목조주택의 수축 변형 방지방법
KR20110030914A (ko) 2009-09-18 2011-03-24 서경석 통나무 조립식 목조주택의 벽체
KR20130033848A (ko) 2011-09-27 2013-04-04 김명교 통나무를 수직재로 이용한 벽식구조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76267A (zh) * 2022-05-30 2022-08-09 中国天楹股份有限公司 一种重力储能专用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7866B1 (ko) 2018-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030072A1 (en) System and method for panelized, superinsulated building envelopes
US1886962A (en) Building construction
US3397500A (en) Building structure with alternating structural members and panels in compression
JP5952408B2 (ja) 一体シールと共に構造的完全性を提供する建築システム
US2948362A (en) Building structure
RU101058U1 (ru) Каркас дома или другого сооружения на основе профильной клееной балки
KR101897866B1 (ko) 형강을 이용한 통나무주택
US3686812A (en) Structure consisting of prefabricated parts
KR101291678B1 (ko) 통나무를 수직재로 이용한 벽식구조체
US3986306A (en) Prefabricated buildings having a central unit and walls thereabout
US20200208399A1 (en) Envelope Interface to Insulate a Post-Frame Building
NL8120014A (nl) Werkwijze voor het oprichten van een gebouw en een inrichting voor het uitvoeren van de werkwijze.
WO2021210221A1 (ja) 壁面構造体、及び、建物
JP6963247B2 (ja) 耐力壁及び建物構造体
US9879418B2 (en) Wall element, wall section comprising said wall element and a method for building said wall section
CN105298164A (zh) 整体拼接式集装箱房
US2217184A (en) Building unit and building
JP6102683B2 (ja) 小屋組構造及び住宅
GB2469032A (en) Floor and ceiling structures
CN219508914U (zh) 隔墙结构
JP6133568B2 (ja) 下地ボックス固定材、該下地ボックス固定材を使用した棟構造
US20220259856A1 (en) Wall-Building Element System and Building Element for Use in the System
RU2736018C1 (ru) Способ монтажа стеклопакетов в домах из бруса и узел вертикального сопряжения стеклопакета с несущими деревянными элементами каркаса
JP7054888B2 (ja) 壁面構造体
RU182159U1 (ru) Каркасный дом на основе конструктивных элемент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