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40363A - 사물인터넷 기반 도어락 제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비스 제공 서버 - Google Patents
사물인터넷 기반 도어락 제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비스 제공 서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140363A KR20160140363A KR1020160041873A KR20160041873A KR20160140363A KR 20160140363 A KR20160140363 A KR 20160140363A KR 1020160041873 A KR1020160041873 A KR 1020160041873A KR 20160041873 A KR20160041873 A KR 20160041873A KR 20160140363 A KR20160140363 A KR 2016014036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oor lock
- information
- user terminal
- user
- authentication inform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2—Network 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the location of the user terminal
-
- H04L67/18—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04L67/125—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involving control of end-device applications over a network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71—Connecting lockparts by electronic communication means only, e.g. bus systems, time multiplexing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94—Mechanical aspects of remotely controlled 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서버가, 사물인터넷 기반 도어락 제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인증 정보를 포함한 도어락 제어 요청이 수신되면, 수신된 사용자 인증 정보가 미리 등록된 사용자 인증 정보와 일치하는지 확인하여 제어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가 미리 등록된 정보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도어락 제어 요청에 상응하는 제어 정보를 도어락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도어락 제어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 기반 도어락 제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비스 제공 서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락이 설치된 장소의 출입을 위한 열쇠나 카드열쇠 등을 소지하지 않더라도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원격으로 도어락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출입 허가 및 관리에 대한 편의성을 제공하고자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도어락 제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비스 제공 서버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가정 또는 회사 등 일정 공간에 대한 보안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일정 공간 내 보안을 편리하게 확보하기 위해 비밀번호 입력 또는 카드 접촉 등으로 도어락을 제어하고 출입하는 형태의 도어락 시스템이 보편화 되고 있으며, 금고 또는 개인 사물함 등의 개인적인 공간까지 도어락 시스템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도어락을 제어하려면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출입카드를 접촉시켜야 하므로, 사용자가 도어락을 통해 출입 하기 위해서는 비밀번호를 인지하고 있거나, 출입카드를 반드시 소지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예를 들어, 숙박업소에서는 투숙객이 객실에 입실하기 위해 카운터로 방문하여 예약 정보를 확인 받은 후 출입카드를 지급 받아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카운터의 직원이 부재중이면 입실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으며, 회사에서는 직원이 사무실에 입실하기 위해 항상 출입 권한이 부여된 사원증을 소지하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도어락에 설정된 비밀번호를 입력하거나 출입카드를 접촉시키기만 하면 모든 사용자의 출입이 가능하므로, 출입 권한 부여에 대한 인증 절차가 별도로 수행되지 않는 바, 보안성에 대한 이슈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출입에 대한 편리함을 제공함과 동시에 도어락 제어에 대한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도어락 제어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한 요구가 점차 증대되고 있으며,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어락이 설치된 장소의 출입을 위한 열쇠나 카드열쇠 등을 소지하지 않더라도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원격으로 도어락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출입 허가 및 관리에 대한 편의성을 제공하고자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도어락 제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비스 제공 서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서버가, 사물인터넷 기반 도어락 제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인증 정보를 포함한 도어락 제어 요청이 수신되면, 수신된 사용자 인증 정보가 미리 등록된 사용자 인증 정보와 일치하는지 확인하여 제어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가 미리 등록된 정보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도어락 제어 요청에 상응하는 제어 정보를 도어락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도어락 제어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제어 정보 전송 단계는, 미리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도어락으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어 정보를 상기 도어락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정보 전송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출입 허가 인증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출입 허가 인증 정보가 외부 서버로부터 미리 수신된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출입 허가 인증 정보에 포함된 도어락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도어락으로 상기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입 허가 인증 정보는,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 및 상기 도어락 식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미리 전송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어 정보 전송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도어락 제어 가능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도어락 제어 가능 시간 정보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된 시간에는 상기 도어락으로 상기 제어 정보를 전송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물인터넷 기반 도어락 제어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도어락 식별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도어락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사용자 인증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물인터넷 기반 도어락 제어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사물인터넷 기기에 대한 환경 정보 및 상기 도어락에 대한 상태 정보를 상기 도어락으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인증 정보를 포함한 도어락 제어 요청이 수신되면, 수신된 사용자 인증 정보가 미리 등록된 사용자 인증 정보와 일치하는지 확인하여 제어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인증 정보 확인부; 및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가 미리 등록된 정보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도어락 제어 요청에 상응하는 제어 정보를 도어락으로 전송하는 제어 정보 전송부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가 제공된다.
상기 제어 정보 전송부는, 미리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도어락으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어 정보를 상기 도어락으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정보 전송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출입 허가 인증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출입 허가 인증 정보가 외부 서버로부터 미리 수신된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출입 허가 인증 정보에 포함된 도어락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도어락으로 상기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출입 허가 인증 정보는,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 및 상기 도어락 식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미리 전송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어 정보 전송부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도어락 제어 가능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도어락 제어 가능 시간 정보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된 시간에는 상기 도어락으로 상기 제어 정보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도어락 식별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도어락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사용자 인증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사용자 인증 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제공 서버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사물인터넷 기기에 대한 환경 정보 및 상기 도어락에 대한 상태 정보를 상기 도어락으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환경 정보 및 상태 정보 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리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된 사용자 단말기가 도어락으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접근하기만 하면 자동으로 도어락이 제어 되어 문이 열리므로, 사용자 입장에서는 출입을 위한 별도의 키를 소지하지 않아도 되는 바, 사용자의 출입에 대한 편의성이 증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증 정보 확인 절차 등을 통해 인증된 사용자 단말기에 대해서만 도어락 제어 권한이 부여되므로,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 단말기는 도어락 제어가 불가능한 바, 도어락 제어 서비스에 대한 보안성 확보가 가능하며, 권한이 부여된 사용자 단말기만이 출입이 가능한 바, 도어락 제어 서비스의 무인 경비 시스템 적용도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를 통해 도어락을 원격 제어하므로, 도어락에 대한 직접적인 접촉이 요구되지 않는 바, 도어락 접촉으로 인한 지문 흔적 등이 발생하지 않아, 도어락 제어 서비스 이용에 대한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 도어락에 통신 모듈을 추가 장착하기만 하면 기존 도어락을 이용한 도어락 제어 서비스 적용이 가능하므로, 설치 과정이 간단한 바, 도어락 제어 서비스 도입을 위해 소요되는 시간 단축 및 비용 절감 등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도어락 제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도어락에 접근 시 제공되는 사물인터넷 기반 도어락 제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출입 허가 인증 정보를 통한 출입 요청 시 제공되는 사물인터넷 기반 도어락 제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제공 서버가 도어락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사용 인증 정보 생성 시 제공되는 사물인터넷 기반 도어락 제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환경 정보 및 상태 정보에 따라 제공되는 사물인터넷 기반 도어락 제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물인터넷 기반 도어락 제어 서비스 제공 시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도어락에 접근 시 제공되는 사물인터넷 기반 도어락 제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출입 허가 인증 정보를 통한 출입 요청 시 제공되는 사물인터넷 기반 도어락 제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제공 서버가 도어락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사용 인증 정보 생성 시 제공되는 사물인터넷 기반 도어락 제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환경 정보 및 상태 정보에 따라 제공되는 사물인터넷 기반 도어락 제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물인터넷 기반 도어락 제어 서비스 제공 시 사용자 단말기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도어락 제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 제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100), 서비스 제공 서버(200) 및 도어락(300)을 포함한다.
먼저, 사물인터넷은, 생활 속 사물들을 유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해 정보를 공유하는 환경이며, 가전제품, 전자기기뿐만 아니라 헬스케어, 원격검침, 스마트홈, 스마트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물을 네트워크로 연결해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물인터넷 기반 도어락 제어 서비스 적용을 위해서는, 사물인터넷 기반 도어락 제어 서비스 제공 모듈을 추가 장착하기만 하면 되므로, 사용자는 기존의 도어락(300)을 교체하지 않아도 도어락 제어 서비스 이용이 가능하며, 사용자가 도어락(300)을 교체하더라도, 기존의 도어락(300)과 규격 및 크기가 동일하기 때문에 설치가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와 서비스 제공 서버(200)뿐만 아니라 서비스 제공 서버(200)와 도어락(300)은 각각 통신망으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으며, 여기서, 통신망은 유선 및 무선 등과 같은 그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0)와 도어락(300)은 서로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근거리 무선 통신에는 비콘(beacon) 및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이 해당된다. 비콘은 반경 50~70m 범위 안에 있는 사용자의 위치를 찾아 메시지 전송, 모바일 결제 등을 가능하게 해주는 스마트폰 근거리 통신 기술이며, 블루투스는 반경 10~100m 범위 안에서 각종 전자, 정보통신 기기를 무선으로 연결 및 제어하는 기술을 말한다. 블루투스를 통해 가정이나 사무실 내에 있는 컴퓨터, 프린터, 휴대폰, PDA 등 정보통신기기는 물론 각종 디지털 가전제품 간의 통신에 물리적인 케이블 없이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여 고속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휴대폰, 스마트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등과 같이 터치 스크린 패널이 구비된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데스크탑 PC, 태블릿 PC, 랩탑 PC, 셋탑 박스를 포함하는 IPTV와 같이,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실행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된 장치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에는 사물인터넷 기반 도어락 제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각종 애플리케이션이 업로드 되어 있는 앱 스토어 서버(미도시)에 접속한 후, 사물인터넷 기반 도어락 제어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사용자 단말기(100)에 다운로드 하여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사물인터넷 기반 도어락 제어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은, 도어락 제어 요청, 도어락 상태 정보 제공, 도어락(300)과 연동된 사물인터넷 기기에 대한 환경정보 및 상태정보 제공 등 사물인터넷 기반 도어락 제어 서비스와 관련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 사용자 인증 정보를 포함한 도어락 제어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 정보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일련번호, 도어락 제어 서비스 가입 회원 정보, 도어락 출입 권한 인증 정보, 사원증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 인증 정보 확인이 완료되면,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 도어락(300)에 대한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어락(300)에 대한 제어 정보에는, 문열림, 문닫힘, 도어락(300)과 연동된 사물인터넷 기기 정보 수집, 도어락(300)에 대한 상태 정보 수집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도어락(300)으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하여, 도어락(300)에서 송신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신호가 감지되면,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 사용자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외부 서버로부터 출입 허가 인증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해 출입 허가 인증 정보가 선택되면, 이를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외부 서버는, 숙박업소의 예약 사이트, 임대업자 관리 서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출입 허가 인증 정보는, 사용자 인증 정보 및 도어락 식별 정보를 포함하며, 사용자 단말기(100)에 저장될 수 있다. 도어락 식별 정보는, 도어락 일련번호, QR 코드, 바코드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도어락 식별 정보를 사용자에 의해 획득할 수 있으며, 획득된 도어락 식별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후, 사용자 단말기(100)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부터 도어락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사용자 인증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사물인터넷 기기에 대한 환경 정보 및 도어락(300)에 대한 상태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부터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사용자 인증 정보를 포함한 도어락 제어 요청이 수신되면, 수신된 사용자 인증 정보가 서버 내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인증 정보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하는지 확인하여 도어락(300)에 대한 제어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미리 등록된 것으로 확인된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도어락 제어 요청을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도어락 제어 요청에 상응하는 제어 정보를 도어락(3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미리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된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기(100)가 도어락(300)으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가 도어락(300)으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도어락(300)으로 제어 정보를 자동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출입 허가 인증 정보가 수신되면, 출입 허가 인증 정보가 외부 서버로부터 미리 수신된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출입 허가 인증 정보가 외부 서버로부터 미리 수신된 정보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출입 허가 인증 정보에 포함된 도어락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도어락(300)으로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사용자에 의해 도어락 제어 가능 시간 정보가 미리 설정되어 있는 경우, 도어락 제어 가능 시간 정보에 포함되지 않는 시간에는 도어락(300)으로 제어 정보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도어락 식별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도어락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사용자 인증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사물인터넷 기기에 대한 환경 정보 및 도어락(300)에 대한 상태 정보가 도어락(300)으로부터 수신되면, 이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도어락(300)에 제어 정보를 전송한 후, 제어 정보 전송 로그를 서버 내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사용자 요청 시 도어락(300)에 대한 출입 기록을 제공할 수 있다.
도어락(300)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사물인터넷 기기와 연동되어 있을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부터 제어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제어 정보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어락(300)은 근거리 무선 통신 장치를 구비하고 있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비콘 신호 또는 블루투스 통신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200)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인증 정보 확인부(210), 제어 정보 전송부(220), 사용자 인증 정보 생성부(230) 및 환경 정보 및 상태 정보 전송부(240)를 포함한다.
인증 정보 확인부(21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사용자 인증 정보를 포함한 도어락 제어 요청이 수신되면, 수신된 사용자 인증 정보가 미리 등록된 사용자 인증 정보와 일치하는지 확인하여 제어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인증 정보 확인부(21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의 위치 정보 수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100)가 도어락(300)으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되면,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사용자 인증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사용자 인증 정보가 서버 내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미리 저장된 하나 이상의 사용자 인증 정보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하는지 확인하고,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해당 사용자 단말기(100)를 도어락 제어 가능 단말기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증 정보 확인부(210)는 수신된 사용자 인증 정보가 서버 내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해당 사용자 단말기(100)를 도어락 제어 가능 단말기로 판단하지 않을 수 있다.
인증 정보 확인부(21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출입 허가 인증 정보가 수신되면, 외부 서버로부터 미리 수신되어 저장되어 있는 출입 허가 인증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출입 허가 인증 정보와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확인하고,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해당 사용자 단말기(100)를 도어락 제어 가능 단말기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출입 허가 인증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정보라도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인증 정보 확인부(210)는 해당 사용자 단말기(100)를 도어락 제어 가능 단말기로 판단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신된 출입 허가 인증 정보 중 도어락 식별 정보는 일치하지만, 사용자 인증 정보가 일치하지 않거나, 사용자 인증 정보는 일치하지만, 도어락 식별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증 정보 확인부(210)는 해당 사용자 단말기(100)를 도어락 제어 가능 단말기로 판단하지 않는다. 더 나아가, 도어락 식별 정보 및 사용자 인증 정보 모두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해당 사용자 단말기(100)를 도어락 제어 가능 단말기로 판단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제어 정보 전송부(220)는 인증 정보 확인부(210)를 통해 사용자 인증 정보가 미리 등록된 정보인 것으로 확인된 사용자 단말기(100)에 대해서만, 도어락 제어 요청을 수신하여, 수신된 도어락 제어 요청에 상응하는 제어 정보를 도어락(3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정보 전송부(220)는 인증 정보 확인부(210)를 통해 사용자 인증 정보가 미리 등록된 정보인 것으로 확인되지 않은 사용자 단말기(100)에 대해서는 도어락 제어 요청을 수신하더라도, 도어락(300)으로 제어 정보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제어 정보 전송부(220)는 미리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된 사용자 단말기(100)가 도어락(300)으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해당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도어락 제어 요청이 수신되지 않더라도, 자동적으로 도어락(300)으로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 정보 전송부(22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출입 허가 인증 정보가 수신되고, 수신된 출입 허가 인증 정보가 외부 서버로부터 미리 수신되어 저장된 출입 허가 인증 정보와 일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출입 허가 인증 정보에 포함된 도어락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도어락(300)으로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 정보는 외부 서버로부터 출입 허가 인증 정보와 함께 수신되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제어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 정보 전송부(22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출입 허가 인증 정보 중 어느 하나의 정보라도 외부 서버로부터 미리 수신되어 저장된 정보와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도어락(300)으로 제어 정보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제어 정보 전송부(220)는 사용자에 의해 도어락 제어 가능 시간 정보가 미리 설정되어 있으면, 설정된 도어락 제어 가능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도어락 제어 가능 시간 정보에 포함된 시간에만 도어락(300)으로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제어 정보이거나,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요청된 제어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도어락 제어 가능 시간 정보에 포함되지 않은 시간이라면, 제어 정보 전송부(220)는 미리 등록된 것으로 확인된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도어락 제어 요청이 수신되더라도, 도어락(300)으로 제어 정보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 인증 정보 생성부(23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도어락 식별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도어락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사용자 인증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락 B에 대해 사용자 단말기 A의 사용자 인증 정보가 등록되어 있지 않다고 가정하면,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단말기 A로부터 도어락 B에 대한 QR 코드가 인식되어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 전송된 경우, 사용자 인증 정보 생성부(230)는 인식된 QR 코드에 대해 사용자 단말기 A의 사용자 인증 정보를 생성 및 생성된 사용자 인증 정보를 서버 내에 등록할 수 있다. 이 후, 생성 및 등록된 사용자 인증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 A에 전송하여, 사용자 단말기 A가 도어락 B에 대한 출입 권한을 가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환경 정보 및 상태 정보 전송부(240)는 도어락(300)과 연동된 사물인터넷 기기에 대한 환경 정보 및 도어락(300)에 대한 상태 정보를 도어락(300)으로부터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사물인터넷 기기에 대한 환경 정보 및 도어락(300)에 대한 상태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되어 수신되거나,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요청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락(300)과 스마트 카메라가 연동된 경우, 사용자에 의해 실시간 실내 영상 촬영 요청이 수신되면, 환경 정보 및 상태 정보 전송부(240)는 스마트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실시간 실내 영상을 도어락(300)으로부터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기(1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도어락(300)의 배터리 수명 상황이 실시간으로 제공될 수 있도록 설정된 경우, 환경 정보 및 상태 정보 전송부(240)는 도어락(300)으로부터 도어락(300)의 배터리 수명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도어락(300)에 접근 시 제공되는 사물인터넷 기반 도어락 제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 단말기(100)가 도어락(300)으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하게 되면, 사용자 단말기(100)는 도어락(300)에서 송출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도어락(300)으로부터 송출되는 근거리 무선 통신 신호를 감지한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00)의 특정 움직임(예를 들어, 흔들림 등)이 사용자 단말기(100) 내에서 감지되면, 감지된 움직임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00)가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 사용자 단말기(100)의 위치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와 미리 저장되어 있는 도어락(30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와 도어락(300) 간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으며, 산출한 거리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100)가 도어락(300)으로부터의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와 도어락(300) 간의 일정 거리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거리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가 도어락(300)으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사용자 인증 정보를 수신하여, 수신된 사용자 인증 정보가 미리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인증 정보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신된 사용자 인증 정보가 서비스 제공 서버(20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 인증 정보 중 어느 하나와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도어락(300)으로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수신된 사용자 인증 정보가 서비스 제공 서버(200)에 저장되어 있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도어락(300)으로 제어 정보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단말기 A가 도어락 B으로부터 10m 떨어진 거리에 접근 하였으며, 도어락 B에 대해 일련번호 "A0010001" 및 "A0020001"이 등록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사용자 단말기 A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 사용자 단말기 A의 일련번호 "A0010001"를 자동 전송한다. 전송된 일련번호 "A0010001"가 도어락 B에 대해 서비스 제공 서버(200)에 미리 등록되어 있으므로,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 A로부터 "문열림"에 대한 제어 요청이 수신되지 않아도, 도어락 B로 "문열림" 제어 정보를 자동 전송하게 된다. 하지만, 사용자 단말기 B가 도어락 B에 접근한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기 B의 일련번호인 "B1230012"가 서비스 제공 서버(200)에 등록되어 있지 않으므로,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도어락 B로 "문열림" 제어 정보를 전송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도어락 B에 대해 미리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 단말기 A만이 도어락 B에 접근 시 자동으로 문이 열리게 되며, 등록되어 있지 않은 사용자 단말기 B가 도어락 B에 접근하게 되면, 문이 열리지 않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출입 허가 인증 정보를 통한 출입 요청 시 제공되는 사물인터넷 기반 도어락 제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가 외부 서버(400)를 통해 도어락 제어 관련 업무를 처리하게 되면, 외부 서버(400)에서는 사용자 단말기(100)와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 출입 허가 인증 정보를 동시에 전송하게 된다. 외부 서버(400)로부터 출입 허가 인증 정보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100) 및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수신된 출입 허가 인증 정보를 각각의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출입 허가 인증 정보는, 도어락 식별 정보 및 사용자 인증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제어 가능 시간 정보가 더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외부 서버(400)로부터 수신된 출입 허가 인증 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된 출입 허가 인증 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 입력 되면, 사용자 단말기(100)는 해당 출입 허가 인증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출입 허가 인증 정보가 수신되면,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서버 내 미리 저장되어 있는 출입 허가 인증 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된 출입 허가 인증 정보가 서비스 제공 서버(20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출입 허가 인증 정보와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출입 허가 인증 정보에 포함된 도어락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도어락(300)으로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제어 정보는, 외부 서버(400)에서 출입 허가 인증 정보와 함께 전송한,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제어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숙박업소 예약 사이트를 통해 객실을 예약한 경우, 숙박업소 예약 사이트에서는 객실 정보, 예약 날짜, 숙박 시간 등이 포함된 URL 주소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하게 되며, 이는 서비스 제공 서버(200)에도 동일하게 전송된다. 사용자가 제공된 숙박 예약 관련 URL을 선택 입력하게 되면,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 URL 주소 정보가 자동 전송된다.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수신된 URL 주소 정보가 미리 수신된 URL 주소 정보와 일치하는지 확인하여,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URL 주소 정보에 포함된 객실 정보에 해당하는 도어락(300)으로 "문열림" 제어 정보를 전송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301호" 객실에 숙박을 예약한 경우,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복수의 도어락(300) 중 "301호" 객실에 설치된 도어락(300)으로 "문열림"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도어락 제어 가능 시간 정보를 더 확인하여, 도어락 제어 가능 시간에 포함된 시간에만 도어락(300)으로 제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도어락 제어 가능 시간에 포함되지 않은 시간에는 도어락(300)으로 제어 정보를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락 제어 가능 시간이 13시부터 15시까지인 것으로 설정되었다고 가정한다면, 13시부터 15시까지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전송되는 도어락 제어 요청에 따라 서비스 제공 서버(200)가 도어락(300)으로 "문열림" 제어 정보를 전송하지만, 18시에는 도어락 식별 정보 및 사용자 인증 정보가 일치하더라도, 도어락(300)으로 "문열림" 제어 정보를 전송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특정 기간, 특정 시간, 특정 도어락(300)을 지정하여, 조건에 해당하는 기간, 시간 및 도어락(300)에 대해서만 문이 열릴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제공 서버(200)가 도어락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사용 인증 정보 생성 시 제공되는 사물인터넷 기반 도어락 제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도어락 식별 정보(QR코드, 번호 코드, 바코드, 일련번호 등)를 입력하게 되면,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도어락 식별 정보를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도어락 식별 정보를 수신한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수신된 도어락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사용자 인증 정보를 생성하여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사의 경우, 사용자 A가 제1사무실에 대한 출입 권한을 얻기 위해, 제1사무실 도어락에 상응하여 부착되어 있는 QR 코드를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인식시키면, 사원증이 발급되면서 제1사무실 도어락에 대한 출입 권한이 부여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환경 정보 및 상태 정보에 따라 제공되는 사물인터넷 기반 도어락 제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어락(300)과 연동된 사물인터넷 기기의 환경 정보 및 도어락(300)의 상태 정보가 도어락(300)으로부터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 전송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 전송되는 환경 정보 및 상태 정보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0)로 수신되는 환경 정보 및 상태 정보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팝업창, 알림음, 메시지 등의 알림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13시부터 16시 사이에 도어락(300)의 문이 열리면 알림이 수신되도록 설정한 경우, 15시 30분에 도어락(300)의 문이 열리면 서비스 제공 서버(20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 알림 메시지를 제공한다.
또한, 실내 온도계가 도어락(300)과 연동되어 있으며, 실내 내부 온도가 30℃ 이상으로 측정되면 알림 서비스를 제공 받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 실내 내부 온도가 31℃로 측정되면, 실내 온도계가 실내 내부 온도 정보를 도어락(300)을 통해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 전송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200)에서는 사용자 단말기(100)로 알림 메시지를 전송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물인터넷 기반 도어락 제어 서비스 제공 시 사용자 단말기(100)에 디스플레이 되는 화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먼저,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00)는 도어락 제어 서비스에 가입된 회원 정보를 입력 디스플레이를 제공함으로써, 도어락 제어 서비스에 가입된 회원 정보를 통해 도어락 제어 가능 여부에 대한 인증을 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b)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0)에 설치된 사물인터넷 기반 도어락 제어 서비스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도어락(300)에 대한 제어 요청을 서비스 제공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열기", "문닫기"를 선택 입력함으로써, 도어락(300)을 원격으로 열고 닫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손님의 방문으로 인해 직접적으로 문을 열어주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도어락 제어 서비스를 통해 원격으로 문을 열어줄 수 있다.
또한,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기(100)는 도어락(300)에 대한 상태 정보(예를 들면, 도어락(300)의 배터리 상태, 개폐 여부 등)를 사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다.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한 도어락 제어 서비스 이용에 대한 설정(예를 들면, 도어락(300)과 사용자 단말기(100)의 근거리 무선 통신 허용 범위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도어락 제어 서비스에 대한 전반적인 설정(예를 들면, 도어락(300)의 비밀번호 변경 등)을 수행할 수 있다.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복수의 도어락(300) 각각에 연동된 사물인터넷 기기의 환경 정보 및 상태 정보 등을 종합적으로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도어락(300) 및 도어락(300)에 연동된 사물인터넷 기기에 대한 전반적인 모니터링 및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리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확인된 사용자 단말기(100)가 도어락(300)으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접근하기만 하면 자동으로 도어락(300)이 제어 되어 문이 열리므로, 사용자 입장에서는 출입을 위한 별도의 키를 소지하지 않아도 되는 바, 사용자의 출입에 대한 편의성이 증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인증 정보 확인 절차 등을 통해 인증된 사용자 단말기(100)에 대해서만 도어락 제어 권한이 부여되므로,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 단말기(100)는 도어락 제어가 불가능한 바, 도어락 제어 서비스에 대한 보안성 확보가 가능하며, 권한이 부여된 사용자 단말기(100)만이 출입이 가능한 바, 도어락 제어 서비스의 무인 경비 시스템 적용도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기(100)를 통해 도어락(300)을 원격 제어하므로, 도어락(300)에 대한 직접적인 접촉이 요구되지 않는 바, 도어락 접촉으로 인한 지문 흔적 등이 발생하지 않아, 도어락 제어 서비스 이용에 대한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 도어락(300)에 통신 모듈을 추가 장착하기만 하면 기존 도어락(300)을 이용한 도어락 제어 서비스 적용이 가능하므로, 설치 과정이 간단한 바, 도어락 제어 서비스 도입을 위해 소요되는 시간 단축 및 비용 절감 등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사용자 단말기
200 : 서비스 제공 서버
210 : 인증 정보 확인부
220 : 제어 정보 전송부
230 : 사용자 인증 정보 생성부
240 : 환경 정보 및 상태 정보 전송부
300 : 도어락
400 : 외부 서버
200 : 서비스 제공 서버
210 : 인증 정보 확인부
220 : 제어 정보 전송부
230 : 사용자 인증 정보 생성부
240 : 환경 정보 및 상태 정보 전송부
300 : 도어락
400 : 외부 서버
Claims (14)
- 서비스 제공 서버가, 사물인터넷 기반 도어락 제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인증 정보를 포함한 도어락 제어 요청이 수신되면, 수신된 사용자 인증 정보가 미리 등록된 사용자 인증 정보와 일치하는지 확인하여 제어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가 미리 등록된 정보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도어락 제어 요청에 상응하는 제어 정보를 도어락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도어락 제어 서비스 제공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 전송 단계는,
미리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도어락으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어 정보를 상기 도어락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도어락 제어 서비스 제공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 전송 단계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출입 허가 인증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출입 허가 인증 정보가 외부 서버로부터 미리 수신된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출입 허가 인증 정보에 포함된 도어락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도어락으로 상기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도어락 제어 서비스 제공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 허가 인증 정보는,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 및 상기 도어락 식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미리 전송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되는 것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도어락 제어 서비스 제공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 전송 단계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도어락 제어 가능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도어락 제어 가능 시간 정보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된 시간에는 상기 도어락으로 상기 제어 정보를 전송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도어락 제어 서비스 제공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도어락 식별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도어락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사용자 인증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도어락 제어 서비스 제공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사물인터넷 기기에 대한 환경 정보 및 상기 도어락에 대한 상태 정보를 상기 도어락으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사물인터넷 기반 도어락 제어 서비스 제공 방법.
-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 인증 정보를 포함한 도어락 제어 요청이 수신되면, 수신된 사용자 인증 정보가 미리 등록된 사용자 인증 정보와 일치하는지 확인하여 제어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인증 정보 확인부; 및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가 미리 등록된 정보인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도어락 제어 요청에 상응하는 제어 정보를 도어락으로 전송하는 제어 정보 전송부를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 전송부는,
미리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도어락으로부터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어 정보를 상기 도어락으로 전송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 전송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출입 허가 인증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출입 허가 인증 정보가 외부 서버로부터 미리 수신된 정보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출입 허가 인증 정보에 포함된 도어락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도어락으로 상기 제어 정보를 전송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 허가 인증 정보는,
상기 사용자 인증 정보 및 상기 도어락 식별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 서버로부터 미리 전송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 저장되는 것으로 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정보 전송부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도어락 제어 가능 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도어락 제어 가능 시간 정보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된 시간에는 상기 도어락으로 상기 제어 정보를 전송하지 않는, 서비스 제공 서버.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도어락 식별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도어락 식별 정보에 상응하는 사용자 인증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사용자 인증 정보 생성부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 제8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사물인터넷 기기에 대한 환경 정보 및 상기 도어락에 대한 상태 정보를 상기 도어락으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환경 정보 및 상태 정보 전송부를 더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73964 | 2015-05-27 | ||
KR20150073964 | 2015-05-27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40363A true KR20160140363A (ko) | 2016-12-07 |
Family
ID=5757292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22295A KR20160140347A (ko) | 2015-05-27 | 2016-02-25 | 사물인터넷 기반 제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스마트 제어 장치 |
KR1020160041873A KR20160140363A (ko) | 2015-05-27 | 2016-04-05 | 사물인터넷 기반 도어락 제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비스 제공 서버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22295A KR20160140347A (ko) | 2015-05-27 | 2016-02-25 | 사물인터넷 기반 제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스마트 제어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20160140347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117624A1 (ko) * | 2016-12-20 | 2018-06-28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모바일 기기,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사용자 인증 시스템 |
KR20210100866A (ko) * | 2020-02-07 | 2021-08-18 | 주식회사 디앤아이시스템 | 생체 정보를 이용한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
KR20220104526A (ko) * | 2021-01-18 | 2022-07-26 | (주)아이지코 | 비콘 기반 출입 통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78566B1 (ko) * | 2017-12-13 | 2021-07-16 | 셀로코주식회사 | 사물인터넷 시스템 온 칩 및 이를 이용한 사물 인터넷 모듈 |
US11262903B2 (en) | 2018-03-30 | 2022-03-01 | Data Alliance Co., Ltd. | IoT device control system and method using virtual reality and augmented reality |
CN108597511A (zh) * | 2018-04-28 | 2018-09-28 | 深圳市敢为特种设备物联网技术有限公司 | 基于物联网的信息展示方法、控制终端及可读存储介质 |
KR102116872B1 (ko) * | 2019-01-15 | 2020-05-29 | 차희운 | 숙박시설의 체크인 관리 및 환경 정보 수집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방법 |
WO2021235562A1 (ko) * | 2020-05-18 | 2021-11-25 | 차희운 | 숙박시설의 체크인 관리 및 환경 정보 수집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방법 |
EP4207044A4 (en) | 2021-04-12 | 2024-04-2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HOUSEHOLD APPLIANCE AND ITS CONTROL METHOD |
-
2016
- 2016-02-25 KR KR1020160022295A patent/KR2016014034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6-04-05 KR KR1020160041873A patent/KR20160140363A/ko active Search and Examination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117624A1 (ko) * | 2016-12-20 | 2018-06-28 | 삼성전자 주식회사 | 모바일 기기, 모바일 기기의 사용자 인증 방법 및 사용자 인증 시스템 |
US11727094B2 (en) | 2016-12-20 | 2023-08-1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obile device, user authentication method and user authentication system of mobile device |
KR20210100866A (ko) * | 2020-02-07 | 2021-08-18 | 주식회사 디앤아이시스템 | 생체 정보를 이용한 스마트 도어락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
KR20220104526A (ko) * | 2021-01-18 | 2022-07-26 | (주)아이지코 | 비콘 기반 출입 통제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140347A (ko) | 2016-12-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60140363A (ko) | 사물인터넷 기반 도어락 제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비스 제공 서버 | |
CN109559407B (zh) | 有时间限制的安全访问权 | |
CN103248484B (zh) | 门禁控制系统及方法 | |
US10127751B2 (en) | Controlling physical access to secure areas via client devices in a networked environment | |
EP2816532B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enabling access control via mobile devices | |
KR101920654B1 (ko) | Nfc 기반 출입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
KR101963437B1 (ko) | 도어락 시스템 및 방법 | |
KR101814719B1 (ko) | 이동 단말을 이용한 디지털 도어락 원격제어 시스템 및 방법 | |
KR102008945B1 (ko) | 공용 단말 장치 보안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
KR101855494B1 (ko) | 모바일 장치를 이용한 도어 시스템 및 방법 | |
US20220254212A1 (en) | Systems and techniques to provide smart access capabilities in a smart system environment | |
US20200357214A1 (en) | Managing and controlling access to secured areas | |
KR102063569B1 (ko) | 휴대형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문 개폐관리장치 및 방법 | |
KR20180062692A (ko) | 출입문 개폐 통제 방법, 사용자 단말기, 도어락 장치 및 출입 보안 시스템 | |
KR102077662B1 (ko) | 홈네트워크에서의 인증장치 및 그 방법 | |
KR101996890B1 (ko) | 잠금장치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
KR102001607B1 (ko) | 위치 정보를 이용한 보안 서비스를 운영하는 방법 및 시스템 | |
KR102697478B1 (ko) | 범용 개인 식별 신호 | |
KR20140137084A (ko) | Cctv 영상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
WO2015118877A1 (ja) | 認証制御システム、ゲートウェイ装置 | |
KR20140134968A (ko) | 학습 어플리케이션 인증 시스템 및 방법 | |
JP2015204507A (ja) | 機器制御システ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