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9913A - 시각장애인용 지능형 촉지도 안내시스템 - Google Patents

시각장애인용 지능형 촉지도 안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9913A
KR20160139913A KR1020150075825A KR20150075825A KR20160139913A KR 20160139913 A KR20160139913 A KR 20160139913A KR 1020150075825 A KR1020150075825 A KR 1020150075825A KR 20150075825 A KR20150075825 A KR 20150075825A KR 20160139913 A KR20160139913 A KR 201601399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ille
touch
voice
guidanc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58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88287B1 (ko
Inventor
진병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눔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눔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눔이앤씨
Priority to KR10201500758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8287B1/ko
Publication of KR20160139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9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82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82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01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 G09B21/007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blind persons using both tactile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Navig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용 지능형 촉지도 안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터치스크린에 해당하는 점자기반 촉지도면 및 점자안내면의 외주면을 감싸서 형성되어 적외선을 이용한 광학식으로 상기 점자기반 촉지도면 및 상기 점자안내면에 각각 형성된 점자로 터치되는 좌표를 측정하는 적외선 터치모듈; 상기 적외선 터치모듈에 의해 측정된 좌표가 상기 점자기반 촉지도면 중 미리 설정된 점자 좌표로의 터치인지 판단하는 터치인식모듈; 및 상기 터치인식모듈에 의해 미리 설정된 점자 좌표로의 터치로 판단된 경우, 터치된 좌표와 매칭되는 음성 가이드 멘트를 저장부로부터 추출한 뒤, 추출된 음성 가이드 멘트를 내장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음성가이드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점맹인들을 위해서 안내 촉지도에 적외선 터치 시스템을 적용시켜 터치시 음성이 지원되도록 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의 안정적인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점맹인도 타인의 도움 없이 쉽게 목적지까지 찾아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복지국가 실현에 이바지지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분기점에 해당하는 안내 블록별로 음성 안내를 수행하거나 시각장애인이 소지한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와의 연동을 통해 점맹인이 건물 내에서 구역을 찾고자 하는 경우 편의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시각장애인용 지능형 촉지도 안내시스템{INTELLIGENT GUIDING SYSTEM OF TACTUAL MAP FOR VISUALLY HANDICAPPED PERSON}
본 발명은 시각장애인용 지능형 촉지도 안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시각장애인 중 점자를 읽을 수 없는 점맹인들을 위한 안내 촉지도에 적외선 터치 방식을 적용시켜 터치시 음성이 지원되는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타인의 도움 없이 쉽게 목적지까지 찾아 갈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시각장애인용 지능형 촉지도 안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시각장애인은 시력을 대신하여 손가락을 점자로 구성된 안내도에 접촉하여 문자 또는 그림을 읽을 수 있다. 이러한 점자 구성으로 된 것 중 관공서, 각종 공공시설물들에 대한 안내문을 설치한 안내도에 일반인이 육안으로 식별가능한 문자와 지도 그리고 장애인이 식별가능한 점자를 함께 설치하여 촉지도로 다양한 형태로 보급설치하고 있다.
한편, 우리나라 시각장애인은 현재 약 253,000명이 등록되어 있으며, 이들 중 점자를 읽을 수 있는 시각장애인은 25%에 불과한 형편으로 단순한 촉지도 만으로는 시각장애인의 불편함을 해소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서는 점자를 읽을 수 없는 점맹인들을 위해서 안내 촉지도에 음성이 지원되도록 함으로써, 타인의 도움 없이 쉽게 목적지까지 찾아 갈 수 있도록 지원하는 지능형 시스템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시각장애인용 반구형 촉지도 제조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제조장치(Manufacturing method of hemisphere tactual map and equipment used in that method) (특허출원번호 제10-2013-0088103호) 시각장애인용 촉지도용 촉지판 제작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한 촉지도(Tactile map production method for the blind and its tactile map) (특허출원번호 제10-2013-0018175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점맹인들을 위해서 안내 촉지도에 적외선 터치 시스템을 적용시켜 터치시 음성이 지원되도록 하도록 하기 위한 시각장애인용 지능형 촉지도 안내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점맹인도 타인의 도움 없이 쉽게 목적지까지 찾아 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시각장애인용 지능형 촉지도 안내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지능형 촉지도 안내시스템은, 터치스크린에 해당하는 점자기반 촉지도면 및 점자안내면의 외주면을 감싸서 형성되어 적외선을 이용한 광학식으로 상기 점자기반 촉지도면 및 상기 점자안내면에 각각 형성된 점자로 터치되는 좌표를 측정하는 적외선 터치모듈; 상기 적외선 터치모듈에 의해 측정된 좌표가 상기 점자기반 촉지도면 중 미리 설정된 점자 좌표로의 터치인지 판단하는 터치인식모듈; 및 상기 터치인식모듈에 의해 미리 설정된 점자 좌표로의 터치로 판단된 경우, 터치된 좌표와 매칭되는 음성 가이드 멘트를 저장부로부터 추출한 뒤, 추출된 음성 가이드 멘트를 내장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음성가이드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터치인식모듈은, 상기 점자기반 촉지도면 및 상기 점자안내면에 형성된 점자에 대한 터치 방식으로 6포인트 멀티 터치 방식과 같은 멀티 터치 방식을 채용하여, 여러 개의 손가락이 동시에 각 점자에 대한 터치를 하더라도 오류 없이 터치 입력을 받아 상기 음성가이드모듈에 의한 음성가이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음성입력부를 통해 시각장애인으로부터 상기 점자기반 촉지도면에 나타난 건물의 구역 중 가고 싶은 구역에 대한 음성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저장부로부터 가고 싶은 구역에 대한 음성네비게이션 정보를 추출한 뒤, 블록형 음성안내장치 또는 시각장애인이 소지한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시각장애인의 실시간 위치에 따른 음성네비게이션 정보에 대한 출력을 수행하는 음성네비게이션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록형 음성안내장치는, 미리 설정된 분기점에 해당하는 안내 블록별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음성입력부를 통해 시각장애인으로부터 상기 점자기반 촉지도면에 나타난 건물의 구역 중 가고 싶은 구역에 대한 음성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터치인식모듈을 통해 상기 점자기반 촉지도면 중 가고 싶은 구역에 대한 점자 그룹에 대한 터치 인식이 수행된 경우, 가고 싶은 구역에 대한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록형 음성안내장치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를 제어하여, 미리 설정된 분기점에 해당하는 안내 블록별로 설치되는 각 블록형 음성안내장치의 인식센서에 의해 시각장애인 도달로 판단시, 안내 블록별로 가고자 하는 구역에 대한 안내 멘트를 각 블록형 음성안내장치의 외부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도록 하는 목적지 가이드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음성네비게이션모듈은, 네트워크를 통해 시각장애인이 소지한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와의 페어링(pairing)을 수행하도록 송수신부를 제어한 뒤, 추출된 음성네비게이션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는,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음성네비게이션모듈에 의한 실시간 위치 추적에 따라 각 위치에 따른 음성네비게이션 정보를 출력하여, 시각장애인이 원하는 장소를 찾도록 음성 가이드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점자기반 촉지도면은, 건물의 하나의 층에 대한 안내를 위해 형성되며, 층의 구역을 구분하는 인쇄 영역과, 각 구역에 대한 설명을 위한 점자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점자안내면은, 상기 점자기반 촉지도면과 함께 좌우로 구분되어 터치스크린 면을 형성하며, 상부면에는 안내를 위한 인쇄영역, 그리고 하부면에는 상부면의 인쇄영역의 의미를 나타내어 시각장애인에 대한 안내를 위한 점자영역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지능형 촉지도 안내시스템은, 점맹인들을 위해서 안내 촉지도에 적외선 터치 시스템을 적용시켜 터치시 음성이 지원되도록 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의 안정적인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지능형 촉지도 안내시스템은, 점맹인도 타인의 도움 없이 쉽게 목적지까지 찾아 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복지국가 실현에 이바지지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지능형 촉지도 안내시스템은, 분기점에 해당하는 안내 블록별로 음성 안내를 수행하거나 시각장애인이 소지한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와의 연동을 통해 점맹인이 건물 내에서 구역을 찾고자 하는 경우 편의성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지능형 촉지도 안내시스템(100)의 정면 및 배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각장애인용 지능형 촉지도 안내시스템(100) 중 시각장애인 안내부(11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시각장애인용 지능형 촉지도 안내시스템(100) 중 제어단말(140)을 중심으로 주요 구성요소를 블록화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지능형 촉지도 안내시스템(100) 중 제어단말(14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시각장애인용 지능형 촉지도 안내시스템(100)과 블록형 음성안내장치(200), 그리고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400)가 네트워크(300)를 통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1의 시각장애인용 지능형 촉지도 안내시스템(100)이 실제로 제작된 것을 나타내는 참조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지능형 촉지도 안내시스템(100)의 정면 및 배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각장애인용 지능형 촉지도 안내시스템(100) 중 시각장애인 안내부(11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시각장애인용 지능형 촉지도 안내시스템(100) 중 제어단말(140)을 중심으로 주요 구성요소를 블록화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시각장애인용 지능형 촉지도 안내시스템(100)은 시각장애인 안내부(110), 지주부(120), 이동형 받침대(130), 제어단말(140), 전원스위치(150), 확장 메모리 포트(160) 및 음성입력부(170)를 포함한다.
시각장애인 안내부(110)는 적외선 터치모듈(111), 점자기반 촉지도면(112), 점자안내면(113)을 포함한다.
적외선 터치모듈(111)은 제어단말(140)에 의해 인식되는 터치스크린에 해당하는 점자기반 촉지도면(112) 및 점자안내면(113)의 외주면을 감싸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적외선 터치모듈(111)은 점자기반 촉지도면(112) 및 점자안내면(113)으로 이루어진 터치스크린 면의 꼭짓점에 장착된 적외선 카메라와 적외선 조명으로 형성됨으로써, 시각장애인에 의해 점자기반 촉지도면(112) 및 점자안내면(113) 상의 각 점자를 터치하려는 물체의 그림자로 좌표를 측정하여 제어단말(140)로 측정 정보를 제공한다.
점자기반 촉지도면(112)은 도 2,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하나의 층에 대한 안내를 위해 형성되며, 해당 층의 구역(커피숍, 로비, 회의실, 화장실)을 구분하는 인쇄 영역과, 각 구역에 대한 설명을 위한 점자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따라 점자기반 촉지도면(112) 상의 구역에 대한 설명을 위한 점자가 시각장애인에 의해 터치되는 것으로 적외선 터치모듈(111)을 통해 제어단말(140)에 인식되는 경우, 제어단말(140)은 내장스피커(122)를 통해 터치된 구역에 대한 음성 가이드 멘트를 시각장애인에게 제공한다. 여기서 음성 가이드 멘트는 구역으로 이동을 위한 안내 정보 또는 각 점자에 대한 음성정보 등일 수 있다.
점자안내면(113)은 점자기반 촉지도면(112)과 함께 좌우로 구분되어 터치스크린 면을 형성하며,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면에는 안내를 위한 인쇄영역, 그리고 하부면에는 상부면의 인쇄영역의 의미를 나타내어 시각장애인에 대한 안내를 위한 점자영역으로 이루어진다.
점자안내면(113)의 점자영역도 각 점자가 시각장애인에 의해 터치되는 것으로 적외선 터치모듈(111)을 통해 제어단말(140)에 인식되는 경우, 제어단말(140)은 내장스피커(122)를 통해 터치된 점자와 대응하는 음성 가이드 멘트를 시각장애인에게 제공할 수 있다.
지주부(120)는 시각장애인 안내부(110)와 이동형 받침대(130)의 사이의 위치에, 전면에 형성된 근접센서(121), 그리고 후면에 형성된 내장스피커(1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지주부(120) 상에서 후면의 하부 영역에는 전원스위치(150) 및 확장 메모리 포트(160)가 형성된다. 여기서 확장 메모리 포트(160)는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 확장을 위한 용도로 사용한다.
이동형 받침대(130)는 지주부(120)의 하부에 평판형 프레임으로 형성되며, 시각장애인용 지능형 촉지도 안내시스템(100) 전체의 이동을 위한 바퀴가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시각장애인용 지능형 촉지도 안내시스템(100) 중 제어단말(140)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시각장애인용 지능형 촉지도 안내시스템(100)과 블록형 음성안내장치(200), 그리고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400)가 네트워크(300)를 통해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네트워크(300)는 대용량, 장거리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대형 통신망의 고속 기간 망인 통신망이며, 인터넷(Internet) 또는 고속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유선 및 무선 망일 수 있다. 네트워크(300)가 이동통신망일 경우 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고,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일 수도 있다. 비동기식 이동 통신망의 일 실시 예로서,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의 통신망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도면에 도시되진 않았지만, 네트워크(300)는 RNC(Radio Network Controller)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WCDMA망을 일 예로 들었지만, 3G LTE망, 4G망 등 차세대 통신망, 그 밖의 IP를 기반으로 한 IP망일 수 있다. 네트워크(300)은 시각장애인용 지능형 촉지도 안내시스템(100), 블록형 음성안내장치(200),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400), 그 밖의 시스템 상호 간의 신호 및 데이터를 상호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단말(140)은 송수신부(141), 저장부(142) 및 제어부(143)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어부(143)는 터치인식모듈(143a), 음성가이드모듈(143b), 음성네비게이션모듈(143c) 및 목적지 가이드모듈(143d)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모듈이라 함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및 상기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소프트웨어의 기능적, 구조적 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모듈은 소정의 코드와 상기 소정의 코드가 수행되기 위한 하드웨어 리소스의 논리적인 단위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반드시 물리적으로 연결된 코드를 의미하거나, 한 종류의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은 아님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평균적 전문가에게는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어부(142)의 각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시각장애인용 지능형 촉지도 안내시스템(100)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터치인식모듈(143a)은 적외선 터치모듈(111) 상에 형성된 점자기반 촉지도면(112) 및 점자안내면(113) 각각의 점자에 대한 터치를 인식한 뒤, 인식신호를 음성가이드모듈(143b)로 전송한다. 즉, 터치인식모듈(143a)은 적외선 터치모듈(111)에 의해 측정된 좌표가 상기 점자기반 촉지도면 중 미리 설정된 점자 좌표로의 터치인지 판단한 뒤, 미리 설정된 점자 좌표로의 터치인 경우 인식신호를 음성가이드모듈(143b)로 전송하는 것이다.
또한, 터치인식모듈(143a)은 시각장애인의 터치방식이 검지와 같은 하나의 손가락만을 이용한 터치방식 뿐만 아니라, 점자기반 촉지도면(112) 및 점자안내면(113)에서 대부분 가로 방향을 따라 배열된 점자를 연속적으로 파악해 나가기 위해 여러 개의 손가락을 사용한 멀티 터치 방식에 대한 인식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터치인식모듈(143a)은 점자기반 촉지도면(112) 및 점자안내면(113)에 형성된 단위 점자 그룹과 인접하여 배치되는 안내버튼(114) 구성을 시각장애인이 쉽게 인지하거나 찾아내기 어렵다는 점에 근거하여, 점자기반 촉지도면(112) 및 점자안내면(113) 각각에 형성된 구역 안내를 위한 점자 자체를 터치하면 음성 가이드를 수행하기 위해 음성가이드모듈(143b)로 터치된 점자 정보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터치인식모듈(143a)은 점자기반 촉지도면(112) 및 점자안내면(113)에 형성된 점자에 대한의 터치 방식으로 6포인트 멀티 터치 방식을 채용함으로써, 여러 개의 손가락이 동시에 각 점자에 대한 터치를 하더라도 오류 없이 터치입력을 받아 음성가이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터치인식모듈(143a)은 터치스크린에 해당하는 점자기반 촉지도면(112) 및 점자안내면(113)의 외주면을 감싸서 형성되는 적외선 터치모듈(111)을 통해 적외선을 이용한 광학식으로 터치되는 좌표 측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음성가이드모듈(143b)은 지주부(120)의 배면에 형성된 내장스피커(122)를 통해 시각장애인용 지능형 촉지도 안내시스템(100)이 현재 설치 위치에서 시각장애인에게 유도할 수 있도록 유도 신호음을 출력한다.
이후, 음성가이드모듈(143b)은 지주부(120)의 전면에 형성된 근접센서(121)를 통해 미리 설정된 거리 이내로 시각장애인이 근접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 내장스피커(122)를 통해 유도 신호음에 대한 출력을 중지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시각장애인용 지능형 촉지도 안내시스템(100)이 설치된 건물에 대한 음성 가이드 멘트에 대한 내장스피커(122)를 통한 출력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음성 가이드 멘트는 '어서 오십시오. 여기는 XX 센터 정문 현관입니다."와 같은 방식으로 출력될 수 있다.
이후, 음성가이드모듈(143b)은 상술한 터치인식모듈(143a)에 의한 시각장애인의 손가락으로 점자기반 촉지도면(112) 중 미리 설정된 점자 좌표로의 터치로 판단된 경우, 터치된 좌표와 매칭되는 음성 가이드 멘트를 저장부(142)로부터 추출한 뒤, 추출된 음성 가이드 멘트를 음성으로 시각장애인에게 제공하도록 추출된 음성 가이드 멘트를 내장스피커(122)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음성가이드모듈(143b)은 터치인식모듈(143a)에 인식된 터치 좌표에 대한 다른 미리 설정된 점자 좌표로의 이동으로 판단된 경우, 이전에 터치된 좌표와 매칭되는 음성 가이드 멘트에 대한 내장스피커(122)로의 출력을 중단한 뒤, 이동된 좌표와 매칭되는 음성 가이드 멘트를 저장부(142)로부터 추출한 뒤, 내장스피커(122)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음성가이드모듈(143b)은 연속적으로 건물 층별로 입주자 현황을 음성으로 제공하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음성네비게이션모듈(143c)은 음성입력부(170)를 통해 시각장애인으로부터 점자기반 촉지도면(112)에 나타난 건물의 구역 중 가고 싶은 구역에 대한 음성정보를 수신하거나, 터치인식모듈(143a)을 통해 점자기반 촉지도면(112) 중 가고 싶은 구역에 대한 점자 그룹에 대한 터치 인식이 수행된 경우, 저장부(142)로부터 가고 싶은 구역에 대한 음성네비게이션 정보를 추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음성네비게이션모듈(143c)은 시각장애인이 점자를 찾아서 점자기반 촉지도면(112)를 더듬으면서 찾다가 가고 싶은 구역으로 제 1 구역(회의실)의 점자를 찾다가 제 2 구역(화장실)에 해당하는 점자에 대한 터치가 이루어진 것으로 적외선 터치모듈(111)을 통해 인식된 경우, 현재 터치된 구역은 제 2 구역이라는 멘트와 함께 다른 구역을 찾는 경우 음성입력부(170)를 통해 가고 싶은 구역에 해당하는 제 1 구역에 대한 음성정보를 입력해 달라는 멘트를 내장스피커(122)에 대한 제어를 통해 제공한다.
이후, 음성네비게이션모듈(143c)은 네트워크(300)를 통해 시각장애인이 소지한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400)와의 페어링(pairing)을 수행하도록 송수신부(141)를 제어한 뒤, 추출된 음성네비게이션 정보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400)는 네트워크(300)를 통해 음성네비게이션모듈(143c)에 의한 실시간 위치 추적에 따라 각 위치에 따른 음성네비게이션 정보를 출력함으로써, 시각장애인이 원하는 장소를 찾도록 음성 가이드를 수행할 수 있다.
목적지 가이드모듈(143d)은 음성입력부(170)를 통해 시각장애인으로부터 점자기반 촉지도면(112)에 나타난 건물의 구역 중 가고 싶은 구역에 대한 음성정보를 수신하거나, 터치인식모듈(143a)을 통해 점자기반 촉지도면(112) 중 가고 싶은 구역에 대한 점자 그룹에 대한 터치 인식이 수행된 경우, 가고 싶은 구역에 대한 정보를 네트워크(300)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록형 음성안내장치(200)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141)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시각장애인용 지능형 촉지도 안내시스템(100)이 설치된 지점으로부터 가고 싶은 구역 사이에서 블록형 음성안내장치(200)가 설치된 가이드 블록을 시각장애인이 지나는 것으로, 무게 감지 센서에 해당하는 인식센서(210)가 인식하는 경우, 블록형 음성안내장치(200)는 외부스피커(220)를 통해 가고자 하는 구역에 대한 안내 멘트를 출력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블록형 음성안내장치(200)는 시각장애인용 지능형 촉지도 안내시스템(100)이 설치된 지점으로부터 가고 싶은 구역 사이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가이드 블록 영역에 형성됨으로써, 가고자 하는 구역이 제 1 구역(회의실)이라면 직진, 좌회전, 우회전 등을 수행하라는 방식의 멘트를 외부스피커(220)를 통해 출력하여 가고자 하는 구역에 대한 음성기반의 가이드가 수행될 수 있다.
즉, 블록형 음성안내장치(200)는 미리 설정된 분기점에 해당하는 안내 블록별로 설치됨으로써, 시각장애인 이동경로 중 분기점 상에 시각장애인을 감지하는 인식센서(210)에 의해 시각장애인에 대한 도달로 감지된 경우, 분기점별로 음성 안내를 수행한다.
그리고 도 6 및 도 7은 도 1의 시각장애인용 지능형 촉지도 안내시스템(100)이 실제로 제작된 것을 나타내는 참조도면이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시각장애인용 지능형 촉지도 안내시스템
110: 시각장애인 안내부
111: 적외선 터치모듈
112: 점자기반 촉지도면
113: 점자안내면
120: 지주부
121: 근접센서
122: 내장스피커
130: 이동형 받침대
140: 제어단말
150: 전원스위치
160: 확장 메모리 포트
200: 블록형 음성안내장치
210: 인식센서
220: 외부스피커
300: 네트워크
400: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

Claims (3)

  1. 터치스크린에 해당하는 점자기반 촉지도면 및 점자안내면의 외주면을 감싸서 형성되어 적외선을 이용한 광학식으로 상기 점자기반 촉지도면 및 상기 점자안내면에 각각 형성된 점자로 터치되는 좌표를 측정하는 적외선 터치모듈;
    상기 적외선 터치모듈에 의해 측정된 좌표가 상기 점자기반 촉지도면 중 미리 설정된 점자 좌표로의 터치인지 판단하는 터치인식모듈; 및
    상기 터치인식모듈에 의해 미리 설정된 점자 좌표로의 터치로 판단된 경우, 터치된 좌표와 매칭되는 음성 가이드 멘트를 저장부로부터 추출한 뒤, 추출된 음성 가이드 멘트를 내장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음성가이드모듈; 을 포함하되,
    상기 터치인식모듈은, 여러 개의 손가락이 동시에 각 점자에 대한 터치를 하더라도 오류 없이 터치 입력을 받아 상기 음성가이드모듈에 의한 음성가이드가 이루어지도록, 상기 점자기반 촉지도면 및 상기 점자안내면에 형성된 점자에 대한 터치 방식으로 멀티 터치 방식을 채용한 것인, 시각장애인용 지능형 촉지도 안내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음성입력부를 통해 시각장애인으로부터 상기 점자기반 촉지도면에 나타난 건물의 구역 중 가고 싶은 구역에 대한 음성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저장부로부터 가고 싶은 구역에 대한 음성네비게이션 정보를 추출한 뒤, 블록형 음성안내장치 또는 시각장애인이 소지한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시각장애인의 실시간 위치에 따른 음성네비게이션 정보에 대한 출력을 수행하는 음성네비게이션모듈;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음성네비게이션모듈이 상기 블록형 음성안내장치와 연동되는 경우, 상기 블록형 음성안내장치는 미리 설정된 분기점에 해당하는 안내 블록별로 설치되며,
    상기 음성네비게이션모듈이 상기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와 연동되는 경우, 상기 음성네비게이션모듈은 네트워크를 통해 시각장애인이 소지한 모바일 스마트 디바이스와의 페어링(pairing)을 수행하도록 송수신부를 제어한 뒤, 추출된 음성네비게이션 정보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지능형 촉지도 안내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음성입력부를 통해 시각장애인으로부터 상기 점자기반 촉지도면에 나타난 건물의 구역 중 가고 싶은 구역에 대한 음성정보를 수신하거나, 상기 터치인식모듈을 통해 상기 점자기반 촉지도면 중 가고 싶은 구역에 대한 점자 그룹에 대한 터치 인식이 수행된 경우, 가고 싶은 구역에 대한 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블록형 음성안내장치로 전송하도록 송수신부를 제어하여, 미리 설정된 분기점에 해당하는 안내 블록별로 설치되는 각 블록형 음성안내장치의 인식센서에 의해 시각장애인 도달로 판단시, 안내 블록별로 가고자 하는 구역에 대한 안내 멘트를 각 블록형 음성안내장치의 외부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도록 하는 목적지 가이드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장애인용 지능형 촉지도 안내시스템.
KR1020150075825A 2015-05-29 2015-05-29 시각장애인용 지능형 촉지도 안내시스템 KR1017882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5825A KR101788287B1 (ko) 2015-05-29 2015-05-29 시각장애인용 지능형 촉지도 안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5825A KR101788287B1 (ko) 2015-05-29 2015-05-29 시각장애인용 지능형 촉지도 안내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9913A true KR20160139913A (ko) 2016-12-07
KR101788287B1 KR101788287B1 (ko) 2017-10-19

Family

ID=57573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5825A KR101788287B1 (ko) 2015-05-29 2015-05-29 시각장애인용 지능형 촉지도 안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828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2986B1 (ko) * 2018-10-15 2019-05-27 문승호 근접센서를 이용한 지도정보 제공 건물번호판
CN110825306A (zh) * 2019-10-29 2020-02-21 深圳市证通电子股份有限公司 盲文输入方法、装置、终端及可读存储介质
CN111367458B (zh) * 2020-03-10 2024-02-06 柯旋 用于智能触屏移动终端上的无障碍膜和无障碍触屏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8175A (ko) 2011-08-10 2013-02-20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자화수 공급용 세탁기
KR20130088103A (ko) 2013-07-18 2013-08-07 장근석 기압을 이용한 공기압축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2693U (ja) 2009-11-10 2010-09-16 一隆 中島 ユニバーサルデザイン触知情報案内盤
KR101155530B1 (ko) 2010-07-28 2012-06-11 (주) 파이시스네트웍스 무선 점자 표지판 및 이를 이용한 시각 장애인용 보행 안내 시스템
KR101305235B1 (ko) * 2012-10-18 2013-09-17 박동현 점자 지원 기능이 구비된 터치스크린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8175A (ko) 2011-08-10 2013-02-20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자화수 공급용 세탁기
KR20130088103A (ko) 2013-07-18 2013-08-07 장근석 기압을 이용한 공기압축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2986B1 (ko) * 2018-10-15 2019-05-27 문승호 근접센서를 이용한 지도정보 제공 건물번호판
CN110825306A (zh) * 2019-10-29 2020-02-21 深圳市证通电子股份有限公司 盲文输入方法、装置、终端及可读存储介质
CN111367458B (zh) * 2020-03-10 2024-02-06 柯旋 用于智能触屏移动终端上的无障碍膜和无障碍触屏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8287B1 (ko) 2017-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48913B2 (en) Method of identifying unexpected obstacle and robot implementing the method
US9335836B2 (en)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for realizing virtual handwriting input
CN103245345B (zh) 一种基于图像传感技术的室内导航系统及导航、搜索方法
JP2019510296A (ja) 無線測距に基づいた電子デバイスの制御及び情報の表示
JP2015090547A (ja) 情報入力装置及び情報入力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EP308899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actile guidance
KR101788287B1 (ko) 시각장애인용 지능형 촉지도 안내시스템
JP2020523717A (ja) サーマルイメージングシステムにおける位置判断の装置および方法
KR20130015746A (ko) 차선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CN103389486A (zh) 控制方法和电子设备
Kuribayashi et al. Linechaser: a smartphone-based navigation system for blind people to stand in lines
CN109582123B (zh)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系统和信息处理方法
WO2013124851A1 (en) A system and method of transmitting data between mobile devices
Raja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new smartphone based non-visual spatial interface for learning indoor layouts
JP2016076007A (ja) 対話装置および対話方法
KR101641251B1 (ko) 차선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CN108476261B (zh) 移动装置以及控制移动装置的方法
JP2018205534A (ja)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60291744A1 (en) Display method and program of a terminal device
KR101695953B1 (ko) 시각 장애인의 안내를 위한 비콘 스피커 및 그 방법
KR20180045874A (ko) 탑승 정보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1895022B1 (ko) 상판 디스플레이를 갖는 인트랙티브 테이블의 구동 방법
KR20160023226A (ko)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이용한 글라스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연동된 외부단말기 위치 탐색 시스템 및 탐색 방법
JP2013028450A (ja) エレベータ行先階登録装置
Walkera et al. SWAN 2.0: Research and Development on a New System for Wearable Audio Navig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