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9550A - 무선 통신 연결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연결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9550A
KR20160139550A KR1020150074649A KR20150074649A KR20160139550A KR 20160139550 A KR20160139550 A KR 20160139550A KR 1020150074649 A KR1020150074649 A KR 1020150074649A KR 20150074649 A KR20150074649 A KR 20150074649A KR 20160139550 A KR20160139550 A KR 201601395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e
mobile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wireless charger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4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정진
Original Assignee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74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9550A/ko
Publication of KR201601395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95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W4/008
    • H02J7/02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04W4/003
    • H04W4/04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통신 연결 시스템은 차량 내부에 구비되며, 무선 통신을 위한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모듈을 갖는 멀티미디어 기기와, 상기 차량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와 CAN 통신을 통해 연결되며, 제1 BLE를 갖는 무선충전기 및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모듈, 상기 무선충전기와의 연결을 위한 제2 BLE 및 케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제1 BLE에 인접함에 따라 상기 제1 BLE에 의해 켜지며, 배터리와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의 충전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1 BLE로 전달하는 제3 BLE를 갖는 모바일 기기를 포함한다. 상기 모바일 기기는 상기 무선충전기의 제1 BLE가 상기 제2 BLE를 검색하여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따라서, 따라서,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 및 상기 모바일 기기를 사용자 조작없이 간편하게 연결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연결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of connecting wireless communication}
본 발명은 무선 통신 연결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구비된 멀티미디어 기기와 모바일 기기를 무선 통신으로 연결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오디오, 비디오, 네비게이션 등과 같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기가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음악, 영상 등을 편리하게 이용하기 위해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와 모바일 기기의 데이터를 공유할 필요성이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와 상기 모바일 기기는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같은 무선 통신으로 연결하여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와 상기 모바일 기기를 무선 통신으로 연결하는 과정이 번거롭고 복잡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와 상기 모바일 기기를 다시 연결하는 경우 연결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와 상기 모바일 기기를 NFC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으로 연결하는 경우, 상기 NFC의 주파수와 자기공진식 무선충전기의 주파수가 동일하여, 상기 NFC와 상기 무선충전기 사이에 주파수 간섭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NFC를 이용하여 무선 통신으로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와 상기 모바일 기기를 연결하는 구성은 상기 무선충전기와 같이 사용하기 어렵다.
본 발명은 무선충전기를 이용하여 차량의 멀티미디어 기기와 모바일 기기를 무선통신으로 연결하는 무선통신 연결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충전기를 이용하여 차량의 멀티미디어 기기와 모바일 기기를 무선통신으로 연결하는 무선통신 연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연결 시스템은 차량 내부에 구비되며, 무선 통신을 위한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모듈을 갖는 멀티미디어 기기와, 상기 차량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와 CAN 통신을 통해 연결되며, 제1 BLE를 갖는 무선충전기 및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모듈, 상기 무선충전기와의 연결을 위한 제2 BLE 및 케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제1 BLE에 인접함에 따라 상기 제1 BLE에 의해 켜지며, 배터리와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의 충전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1 BLE로 전달하는 제3 BLE를 갖는 모바일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기기는 상기 무선충전기의 제1 BLE가 상기 제2 BLE를 검색하여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모바일 기기는 상기 제1 BLE가 상기 제2 BLE의 검색과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며, 무선 통신을 위한 인증 정보를 상기 무선충전기를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연결 방법에 따르면, 블루투스가 켜진 모바일 기기를 차량에 구비된 무선충전기에 인접시켜 상기 모바일 기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충전기의 제1 BLE가 상기 배터리의 충전 진행을 확인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 충전기의 제1 BLE가 상기 모바일 기기의 제2 BLE를 검색하여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모바일 기기와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가 상기 무선충전기를 통해 상기 무선 통신 연결을 위한 인증 정보를 교환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기기와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의 무선 통신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무선충전기의 제1 BLE가 상기 배터리의 충전 진행을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충전기의 제1 BLE에 상기 모바일 기기의 케이스에 구비된 제3 BLE가 인접함에 따라 상기 제1 BLE에 의해 상기 제3 BLE가 켜지는 단계와, 상기 배터리와 연결된 상기 제3 BLE가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정보를 상기 제1 BLE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BLE가 상기 충전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무선 충전기의 제1 BLE가 상기 모바일 기기의 제2 BLE를 검색하여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제1 BLE가 상기 제2 BLE의 검색과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상기 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연결 시스템 및 방법은 무선충전기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기기와 모바일 기기의 무선 통신을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 연결 시스템 및 방법은 상기 무선충전기에 내장되어 있는 제1 BLE를 이용하므로,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와 모바일 기기의 무선 통신 연결시 주파수 간섭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무선 통신 연결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상기 무선충전기의 제1 BLE가 상기 배터리의 충전 진행을 확인한 후, 상기 제1 BLE가 상기 모바일 기기의 제2 BLE를 검색하여 연결하고, 상기 무선 충전기를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와 모바일 기기를 서로 인증한다. 따라서,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와 상기 모바일 기기를 사용자 조작없이 간편하게 무선 통신으로 연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연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연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 BLE가 배터리의 충전 진행을 확인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연결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연결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통신 연결 시스템(100)은 멀티미디어 기기(110), 무선충전기(120) 및 모바일 기기(130)를 포함한다.
멀티미디어 기기(110)는 차량에 구비되며, 음악, 영상 등을 재생한다. 멀티미디어 기기(110)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제1 무선 통신 모듈(112)을 갖는다. 제1 무선통신 모듈(112)은 블루투스 모듈 및 와이파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충전기(120)는 상기 차량에 구비되며, 모바일 기기(130)를 자기공진 방식으로 무선 충전할 수 있다.
무선충전기(120)는 멀티미디어 기기(110)와 CAN 통신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무선충전기(120)는 모바일 기기(130)의 충전을 위해 제1 BLE(Bluetooth Low Energy)(122)를 갖는다.
모바일 기기(130)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제2 무선 통신 모듈(132)을 갖는다. 제2 무선통신 모듈(132)은 블루투스 모듈 및 와이파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기기(130)는 무선충전기(120)와의 연결을 위한 제2 BLE(134)를 갖는다.
모바일 기기(130)는 배터리(미도시)를 감싸는 케이스(136)를 가지며, 케이스(136)는 제3 BLE(138)를 갖는다. 제3 BLE(138)는 제1 BLE(122)와 인접할 때 제1 BLE(122)에 의해 켜진다. 제3 BLE(138)는 상기 배터리와 접촉하며, 상기 배터리가 무선충전기(120)에 의해 충전될 때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충전 정보로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 상태, 충전한 시간, 완전 충전까지 소요되는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 BLE(138)는 배터리의 충전 정보를 제1 BLE(122)로 전달한다.
모바일 기기(130)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모바일 기기(130)가 무선충전기(120)와 가까워지면 제1 BLE(122)가 제2 BLE(134)를 자동으로 검색하여 연결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제1 BLE(122)와 제2 BLE(134)가 연결되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모바일 기기(130)의 무선 통신을 위한 인증 정보를 무선충전기(120)를 통해 멀티미디어 기기(110)로 제공하고, 멀티미디어 기기(110)의 무선 통신을 위한 인증 정보를 전달받는다. 즉,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모바일 기기(130)와 멀티미디어 기기(110) 사이의 인증 정보를 교환한다. 상기 인증 정보는 블루투스 어드레스, 모바일 기기(110)의 클래스 및 이름, 핀 코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멀티미디어 기기(110)와 무선충전기(120)는 CAN 통신을 통해 연결되고, 무선충전기(120)와 모바일 기기(130)는 제1 BLE(122) 및 제2 BLE(134)를 통해 연결되므로, 상기 인증 정보가 안정적으로 교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모바일 기기(130)와 멀티미디어 기기(110)의 무선 통신 연결을 요청함으로써 모바일 기기(130)와 멀티미디어 기기(110)를 무선 통신, 즉,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로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통신 연결 시스템(100)은 무선충전기(120)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기기(110)와 모바일 기기(130)의 무선 통신을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연결 시스템(100)은 무선충전기(120)에 내장되어 있는 제1 BLE(122)를 이용하므로, 주파수 간섭으로 인한 멀티미디어 기기(110)와 모바일 기기(130)의 무선 통신 연결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연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 통신 연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먼저 블루투스가 켜진 모바일 기기(130)를 차량에 구비된 무선충전기(120)에 인접시켜 모바일 기기(130)의 배터리를 충전한다.(S110)
구체적으로, 모바일 기기(130)의 블루투스를 켬으로써 모바일 기기(130)의 제2 BLE(134)도 켜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모바일 기기(130)를 무선충전기(120)에 인접시키면, 자기 공진에 의해 모바일 기기(130)의 배터리가 충전된다.
모바일 기기(130)의 충전이 시작되면, 무선충전기(120)의 제1 BLE(122)가 상기 배터리의 충전 진행을 확인한다.(S120)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 BLE가 배터리의 충전 진행을 확인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여 무선충전기(120)의 제1 BLE(122)가 상기 배터리의 충전 진행을 확인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무선충전기(120)의 제1 BLE(120)에 모바일 기기(130)의 케이스(136)에 구비된 제3 BLE(138)가 인접함에 따라 제1 BLE(122)에 의해 상기 제3 BLE(138)가 켜진다.(S121)
모바일 기기(130)가 무선충전기(120)에 인접하면, 모바일 기기(130)에 장착된 케이스(136)도 무선충전기(120)와 인접한다. 따라서, 제1 BLE(122)와 제3 BLE(138)가 서로 인접한다. 제3 BLE(138)가 제1 BLE(122)의 범위에 위치하면, 제1 BLE(122)에 의해 제3 BLE(138)가 자동으로 켜진다.
제3 BLE(138)가 켜지면, 상기 배터리와 연결된 제3 BLE(138)가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정보를 제1 BLE(122)로 전달한다.(S122)
제3 BLE(138)가 켜지고 상기 배터리와 접촉된 상태이므로, 제3 BLE(138)가 상기 배터리가 무선충전기(120)에 의해 충전될 때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3 BLE(138)는 상기 충전 정보를 연결된 제1 BLE(122)로 용이하게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충전 정보가 전달되면, 제1 BLE(122)가 상기 충전 정보를 확인한다.(S123)
제1 BLE(122)가 상기 충전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모바일 기기(130)의 배터리 충전이 진행되고 있는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제1 BLE(122)가 상기 배터리의 충전 진행을 확인하면, 무선 충전기(120)의 제1 BLE(122)가 모바일 기기(130)의 제2 BLE(134)를 검색하여 연결한다.(S130)
제1 BLE(122)가 상기 배터리의 충전 진행을 확인하면, 제1 BLE(122)는 제2 BLE(134)를 자동으로 검색하여 연결한다.
모바일 기기(130)는 제1 BLE(122)가 제2 BLE(134)를 자동으로 검색하여 연결 가능하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모바일 기기(130)가 무선충전기(120)와 가까워지면 제1 BLE(122)가 제2 BLE(134)를 자동으로 검색하여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제1 BLE(122)와 제2 BLE(134)가 연결되면, 모바일 기기(130)와 멀티미디어 기기(110)가 무선충전기(120)를 통해 상기 무선 통신 연결을 위한 인증 정보를 교환한다.(S140)
구체적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모바일 기기(130)로부터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와 같은 무선 통신을 위한 인증 정보를 획득하고, 모바일 기기(130)의 인증 정보를 무선충전기(120)를 통해 멀티미디어 기기(110)로 제공한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은 멀티미디어 기기(110)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을 위한 멀티미디어 기기(110)의 인증 정보를 전달받는다.
이때, 멀티미디어 기기(110)와 무선충전기(120)는 CAN 통신을 통해 연결되고, 무선충전기(120)와 모바일 기기(130)는 제1 BLE(122) 및 제2 BLE(134)를 통해 연결되므로, 모바일 기기(130)의 인증 정보 및 멀티미디어 기기(110)의 인증 정보가 안정적으로 교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모바일 기기(130)와 멀티미디어 기기(110)의 무선 통신 연결을 요청한다.(S150)
구체적으로, 상기 인증 정보들에는 멀티미디어 기기(110)의 제1 무선 통신 모듈(112)에 대한 정보와 모바일 기기(130)의 제2 무선 통신 모듈(132)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상기 인증 정보들을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기기(110)와 모바일 기기(130)를 무선 통신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무선 통신은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일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 연결 방법에 따르면, 상기 차량에 구비되는 무선충전기(120)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기기(110)와 모바일 기기(130)의 무선 통신을 안정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 연결 방법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기기(110)와 모바일 기기(130)를 서로 인증한 후, 멀티미디어 기기(110)와 모바일 기기(130)를 무선 통신으로 연결한다. 그러므로, 멀티미디어 기기(110)와 모바일 기기(130)를 간편하게 무선 통신으로 연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연결 시스템 및 방법은 무선충전기를 이용하여 멀티미디어 기기와 모바일 기기를 무선 통신으로 연결하므로, 상기 무선 통신 연결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 연결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와 모바일 기기를 서로 인증한 후,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와 상기 모바일 기기를 무선 통신으로 연결하여 사용자 조작이 불필요하므로,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와 상기 모바일 기기의 연결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무선 통신 연결 시스템 110 : 멀티미디어 기기
112 : 제1 무선 통신 모듈 120 : 무선충전기
122 : 제1 BLE 130 : 모바일 기기
132 : 제2 무선 통신 모듈 134 : 제2 BLE
136 : 케이스 138 : 제3 BLE

Claims (5)

  1. 차량 내부에 구비되며, 무선 통신을 위한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모듈을 갖는 멀티미디어 기기;
    상기 차량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와 CAN 통신을 통해 연결되며, 제1 BLE를 갖는 무선충전기; 및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블루투스 및 와이파이 모듈, 상기 무선충전기와의 연결을 위한 제2 BLE 및 케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제1 BLE에 인접함에 따라 상기 제1 BLE에 의해 켜지며, 배터리와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의 충전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1 BLE로 전달하는 제3 BLE를 갖는 모바일 기기를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기기는 상기 무선충전기의 제1 BLE가 상기 제2 BLE를 검색하여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기기 및 모바일 기기의 무선 통신 연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는 상기 제1 BLE가 상기 제2 BLE의 검색과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하며, 무선 통신을 위한 인증 정보를 상기 무선충전기를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기기 및 모바일 기기의 무선 통신 연결 시스템.
  3. 블루투스가 켜진 모바일 기기를 차량에 구비된 무선충전기에 인접시켜 상기 모바일 기기의 배터리를 충전하는 단계;
    상기 무선충전기의 제1 BLE가 상기 배터리의 충전 진행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무선 충전기의 제1 BLE가 상기 모바일 기기의 제2 BLE를 검색하여 연결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기기와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가 상기 무선충전기를 통해 상기 무선 통신 연결을 위한 인증 정보를 교환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기기와 상기 멀티미디어 기기의 무선 통신 연결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와 멀티미디어 기기의 무선 통신 연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충전기의 제1 BLE가 상기 배터리의 충전 진행을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무선충전기의 제1 BLE에 상기 모바일 기기의 케이스에 구비된 제3 BLE가 인접함에 따라 상기 제1 BLE에 의해 상기 제3 BLE가 켜지는 단계;
    상기 배터리와 연결된 상기 제3 BLE가 상기 배터리의 충전 정보를 상기 제1 BLE로 전달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BLE가 상기 충전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와 멀티미디어 기기의 무선 통신 연결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충전기의 제1 BLE가 상기 모바일 기기의 제2 BLE를 검색하여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제1 BLE가 상기 제2 BLE의 검색과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상기 모바일 기기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와 멀티미디어 기기의 무선 통신 연결 방법.
KR1020150074649A 2015-05-28 2015-05-28 무선 통신 연결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395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4649A KR20160139550A (ko) 2015-05-28 2015-05-28 무선 통신 연결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4649A KR20160139550A (ko) 2015-05-28 2015-05-28 무선 통신 연결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9550A true KR20160139550A (ko) 2016-12-07

Family

ID=57573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4649A KR20160139550A (ko) 2015-05-28 2015-05-28 무선 통신 연결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3955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54973A1 (ko) * 2020-09-08 2022-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전력 수신장치
WO2022245112A1 (ko) * 2021-05-17 2022-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아웃 밴드 통신을 통한 다수의 디바이스들 간의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WO2023287188A1 (ko) * 2021-07-13 2023-0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블루투스 기반 통신을 이용한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WO2023022330A1 (ko) * 2021-08-18 2023-02-23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54973A1 (ko) * 2020-09-08 2022-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전력 전송장치 및 무선전력 수신장치
WO2022245112A1 (ko) * 2021-05-17 2022-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아웃 밴드 통신을 통한 다수의 디바이스들 간의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WO2023287188A1 (ko) * 2021-07-13 2023-0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블루투스 기반 통신을 이용한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WO2023022330A1 (ko) * 2021-08-18 2023-02-23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42216B2 (en) Wireless charging system for variable charging mode
EP2929613B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utilizing a wireless charger in a wireless docking environment
US10165613B2 (en) Control method for bluetooth communication and bluetooth low energy communication
US9521238B1 (en) Establishing multiple short range wireless links between a vehicle and a mobile device
US8018834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wire-based configuration of wireless devices
US9071698B2 (en) Charging devices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CN107182035B (zh) 使用基于位置的服务的无线车辆充电通信系统和方法
CN103209007A (zh) 一种蓝牙设备快速配对的方法及蓝牙设备
GB2455059A (en) Transmitting device pairing information over multiple available out of band channels/interfaces
KR20160139550A (ko) 무선 통신 연결 시스템 및 방법
CN103945564A (zh) 一种无线网络连接方法、系统及无线接入点设备
EP3343727B1 (en) User privacy protection in wireless charging system
CN104955166A (zh) 蓝牙通信方法和系统
JP2014093686A (ja) 車載通信装置
US20140269523A1 (en) Mobile hub devices and docking stations for controlled delivery of digital multimedia data
US10282534B2 (en) System with physical data authorization
US10298052B1 (en) System and method to wirelessly charge a portable electronics device under an extended power profile
EP3702909B1 (en) Software update device and software update method using same
KR101420574B1 (ko) 통신 기기 간 자동 통신 전환 방법 및 장치
CN204408586U (zh) 一种数据存储装置以及蓝牙耳机
CN105142098A (zh) 一种数据共享方法及装置
US20150079934A1 (en) Power receiver and power transfer and receiving system
KR20160117038A (ko) 무선 통신 연결 시스템 및 방법
JP7180909B2 (ja) 無線システム、無線システムの制御方法および無線システムの制御プログラム
US20180188786A1 (en) Remote management of gateway and wireless charg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