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9127A - 다중 패널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다중 패널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9127A
KR20160139127A KR1020150073204A KR20150073204A KR20160139127A KR 20160139127 A KR20160139127 A KR 20160139127A KR 1020150073204 A KR1020150073204 A KR 1020150073204A KR 20150073204 A KR20150073204 A KR 20150073204A KR 20160139127 A KR20160139127 A KR 201601391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member
light
display device
panel
diff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3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55828B1 (ko
Inventor
문정민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73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5828B1/ko
Publication of KR201601391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91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5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58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02B5/02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the surface having an irregular structur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수의 개별 표시장치가 연결되어 형성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에서, 개별 표시장치들의 연결부분으로 입사되는 패널 픽셀로부터 광을 굴절하기 위한 굴절 광학부재와, 굴절 광학부재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굴절 광학부재로부터 전달된 광을 확산하는 확산 광학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정면 및 고시야각 모두에서 심리스(Seamless)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다중 패널 표시장치 {Display Device having Multiple Display Panel}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수의 개별 표시장치가 연결되어 하나의 대형 영상 출력 장치로 사용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에서, 개별 표시장치들의 연결부분에서 이미지의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근래에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Device), 유기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와 같은 여러 가지 표시장치가 활용되고 있다.
한편, 상업적인 목적 등에 의하여 대형 사이즈의 표시장치가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 기술에 의하면 표시장치를 구성하는 표시 패널의 크기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대형 표시장치를 구형하기 위하여, 표시패널 또는 개별 표시장치들을 다수 연결하여 하나의 영상을 표현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다중 패널 표시장치는 비디오월(Video Wall) 등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한편, 이러한 다중 패널 표시장치를 구성하는 각각의 표시패널 또는 개별 표시장치는 이미지가 표시되는 중앙의 표시영역과, 표시영역 주위에 배치되되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한다.
이러한 비표시 영역은 표시패널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면서 일정한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일종의 프레임 형상을 가지고, 이러한 비표시 영역은 베젤(Bezel)로 표현될 수도 있다. 이러한 비표시 영역 또는 베젤 영역은 표시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 구동회로, 데이터 구동회로 또는 각종 신호선이 형성되는 필수불가결한 부분이다.
최근 표시장치에서 이러한 베젤 영역을 최소화하여 내로우 베젤(Narrow Bezel)을 구현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베젤 영역의 폭을 일정 크기 이하로 구현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한편,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경우 다수의 개별 표시장치가 연결되어 형성되므로, 개별 표시장치들의 연결부위에서는 개별 표시장치의 베젤 영역이 이중으로 배치되며, 따라서 개별 표시장치들의 연결부위에서 비표시 영역이 커지게 된다. 이로 인하여 하나의 이미지를 다중 패널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경우, 그러한 연결부분에서 이미지가 끊어져 보이는 문제가 발생된다.
즉, 이상적으로 제로 베젤(Zero Bezel)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다수의 개별 표시장치를 연결하여 구현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경우, 패널 연결부위에서 이미지의 불연속 현상이 나타나는 문제가 있으며, 이를 위한 해결이 요구된다.
한편, 이러한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패널 연결부분에서의 이미지 불연속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패널 연결부분에 일정한 광학 수단을 배치하는 연구가 진행되고는 있으나, 이러한 기술에서도 정면 또는 정면 부근의 시야각에서는 이미지 불연속 현상이 일부 개선되지만, 시야각이 커지는 경우 이미지 불연속 현상은 여전히 존재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개별 표시장치의 연결부분에서의 이미지 불연속 문제가 개선된 다중패널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다른 목적은 수평 시야각이 큰 경우에도 개별 표시장치의 연결부분에서의 이미지 불연속 문제가 개선된 다중 패널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또다른 목적은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상부에 2개의 다른 성질을 가지는 광학부재를 배치함으로써 큰 수평 시야각에서도 패널 연결부분에서의 이미지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또다른 목적은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상부에 배치되어 개별 표시장치들의 연결부분으로 입사되는 패널 픽셀로부터 광을 굴절하기 위한 굴절 광학부재와, 굴절 광학부재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굴절 광학부재로부터 전달된 광을 확산하는 확산 광학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정면 및 고시야각 모두에서 심리스(Seamless)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또다른 목적은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연결부분에서의 이미지 불연속 문제를 해결하면서도,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전체 영역에서 균일한 휘도의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다수의 개별 표시장치가 연결되되, 상기 개별 표시장치의 비표시 영역이 연결 배치되는 연결부분을 포함하는 표시패널부와, 상기 표시패널부 상부에 배치되고, 적어도 상기 연결부분의 상부를 포함하는 영역에 광굴절 렌즈부가 형성된 굴절 광학부재와, 상기 굴절 광학부재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굴절 광학부재로부터의 광을 확산하는 확산 광학부재를 포함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를 도시하는 것으로서,(a)는 평면도이고, (b)는 다중 패널 표지상치의 각 패널 연결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2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연결부분을 확대 표시하는 굴절 광학부재의 일 예와, 그를 이용하는 경우 정면 시야에서의 이미지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2와 같은 굴절 광학부재가 사용되는 경우 시야각이 일정 이상인 사선 시선 방향에서의 광경로와 그에 따라 사용자에게 인식되는 이미지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단면도 및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중 패널 표시장치가 사용되는 경우 패널 연결 부분 근처에서의 광경로를 도시한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굴절 광학부재의 일 예로서 컨벡스(Convex) 렌즈 플레이트가 사용되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다중 패널 표시장치에 사용되는 확산 광학부재의 여러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확산 광학부재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각 패널 중앙 부분에 대응되는 제1확산부와, 패널간 연결부분과 인접한 제2확산부가 구분된 형태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개별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의 일 예를 도시하면, 가장자리의 고휘도 영역과 중앙의 저휘도 영역을 포함한다.
도 10은 도 9에 의한 백라이트 유닛의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a)는 엣지 타입의 백라이트 유닛에서 고휘도 및 저휘도 영역에서 도광판의 패턴을 다르게 형성하는 구조이고, (b)는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에서 광원의 분포를 다르게 하는 구조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여 패널 연결부분의 광휘도 저하를 보상할 수 있는 구조에서의 최종적인 광경로를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를 도시하는 것으로서,(a)는 평면도이고, (b)는 다중 패널 표지장치의 각 패널 연결부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다중 패널 표시장치(100)는 다수의 개별 표시장치(200)가 연결되어 형성되며, 개별 표시장치(200) 들이 연결되는 연결부분(300)이 형성된다.
각각의 개별 표시장치(200)는 단독으로 하나의 완전한 표시장치를 이루는 것으로서, 액정표시장치(LCD),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OLED)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개별 표시장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를 구성하는 하나의 표시장치를 의미하며, 이러한 개별표시장치는 경우에 따라서 개별 패널, 패널 등의 다른 표현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1의 (b)과 같이, 각 개별 표시장치(200)는 패널 중앙에서 이미지가 표시되는 표시영역(Active Area; A/A; 212)과, 표시영역 가장자리를 둘라싸는 영역으로서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는 비표시 영역(N/A; 210)을 포함한다. 각 개별 표시장치(200)의 비표시 영역(210)은 베젤 영역 등으로 달리 표현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개별 표시장치(200)는 다시 표시패널(222)과, 표시패널 하부에 배치되어 표시패널로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224)과, 표시장치 전체를 둘러싸는 지지구조(22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표시패널(222)은 통상 박막 트랜지스터 등이 형성되어 화소영역이 정의되는 어레이기판인 제1기판과, 블랙매트릭스 및/또는 칼라필터층 등이 형성된 상부 기판으로서의 제2기판이 합착되어 제조된다. 물론, OLED 표시장치에 의한 패널인 경우에는 상기 제2기판은 보호기판으로서의 기능만 할 수도 있다.
또한, 백라이트 유닛(224)은 LED 등의 광원과 광원을 고정하기 위한 홀더 및 광원 구동 회로 등을 포함하는 광원 모듈과, 광을 패널 영역 전체로 확산시키기 위한 도광판(LGP) 또는 확산판과, 빛을 표시패널 방향으로 반사하기 위한 반사판과, 광원의 On/Off 등을 제어하기 회로인 LED 연성회로와, 도광판 상부에 배치되어 휘도 향상, 광의 확산 및 보호 등의 용도로 배치되는 1 이상의 광학필름 또는 시트(Sheet) 등과 같은 서브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표시장치를 커버하는 외부 지지부재(226)는 표시장치 단위에서 백라이트 유닛(224) 및 표시패널(222)을 둘러싸서 보호하는 커버 버텀(Cover Bottom) 및/또는 가이드 패널(guide Panel) 등은 물론,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최종 전자제품인 세트 전자장치 단위에서의 백 커버 등이 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개별 표시장치(200)은 가장자리의 일정 영역에서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는 비표시 영역(N/A; 210)을 포함하며, 다중 패널 표시장치는 이러한 개별 표시장치(200)가 다수 연결되어 형성되므로, 다중 표시패널에서 각 개별표시장치가 연결되는 연결부분(300)에는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한다.
한편, 각 개별표시장치(200)의 비표시 영역(N/A; 210)은 표시패널(222) 자체의 비표시 영역과, 기타 백라이트 유닛(224)에 의하여 가려지는 부분, 또는 표시장치 전면을 커버하는 케이스 탑(Case Top) 또는 프론트 커버 등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과 같은 다중 패널 표시장치 또는 비디오월(Video Wall)에 단일의 이미지를 표시하는 경우, 연결부분(300)에서는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는 이미지 단절 현상이 발생하며, 이를 해결할 방안이 필요하게 되었다.
도 2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연결부분을 확대 표시하는 굴절 광학부재의 일 예와, 그를 이용하는 경우 정면 시야에서의 이미지를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연결부분에서의 이미지 단절 현상을 극복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서, 다중 패널 표시장치 상부에 배치되어 연결부분 근처에서의 광경로를 굴절 또는 확대하는 굴절 광학부재를 사용하는 기술이 고려될 수 있다.
도 2는 그러한 굴절 광학수단으로서 다중 패널 표시장치 상부에 배치되는 렌즈 플레이트를 이용한 구성을 도시한다.
도 2에 사용되는 굴절 광학부재인 렌즈 플레이트(240)는 일종의 광투과성 스크린으로서,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일반적인 광투과성 판상 재료인 베이스 플레이트(242)와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연결부분(300) 부근에 형성된 렌즈부(244)를 포함한다.
렌즈 플레이트(240)에 형성된 렌즈부(244)는 연결부분(300) 인근에서의 광경로를 굴절시킬 용도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프레넬 렌즈(Fresnel Lens)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분(300) 정면에 사용자(250)가 있는 경우에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연결부분 상에 형성되는 렌즈 플레이트(240)의 렌즈부(244)에 의하여 인접한 표시영역의 화소(P1~P4)로부터 광이 렌즈부(240)에 굴절되어 사용자 시야로 입사된다.
따라서,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정면에서 바라보게 되면, 도 2의 하부 도면과 같이, 연결부분(300)에서도 인접한 화소의 이미지가 굴절 투사됨으로써 일정한 이미지가 표시되게 되고, 따라서 패널 연결부분에서의 이미지 단절 현상이 어느 정도 보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다중 패널 표시장치 상부에 광경로 굴절이 가능한 프레넬 렌즈 플레이트 등을 배치함으로써 패널 연결부분에서의 이미지 단절 문제를 일부 극복하기 위한 여러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이러한 기존의 굴절 광학부재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정면 시야에서만 그러한 효과를 가진다는 한계가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넬 렌즈 플레이트를 다중 패널 표시장치 상부에 배치하더라도 사용자의 시야각이 정면(시야각=0)에서 벗어나서 약45도 이상(α)이 되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광경로가 형성되지 않고, 패널 연결부분(300)이 그대로 보이게 된다.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야각이 α(α>약45도)인 경우 연결부분 근처의 화소로부터 광 중 일부는 비스듬히 보고 있는 사용자에게 입사되지 않고, 결과적으로 각 개별 표시장치의 베젤이 그대로 보이게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도 3의 하부에 도시한 바와 같은 패널 연결부분에서의 이미지 단절 현상이 그대로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와 같이 일정 각도 이상의 시야각에서도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연결부분에서 발생하는 이미지 단절 현상을 보상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다중 패널 표시장치는 여러 개별 표시장치가 연결되는 표시패널부 상부에 굴절 광학부재와 확산 광학부재를 순차적으로 배치한다. 이 때 굴절 광학부재는 표시장치의 연결부분 근처에서 인근 화소로부터의 광이 전달되도록 하고, 확산 광학부재는 굴절되어 전달된 광을 다시 한 번 확산함으로써 시야각이 일정 이상인 비스듬한 시야에서도 다중 패널 표시장치 연결부분의 이미지 단절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11을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단면도 및 사시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다중 패널 표시장치는 다수의 개별표시장치가 연결되는 것으로서, 다수의 개별 표시장치(410)의 패널 부분이 연결되어 형성되되 개별 표시장치들이 연결되는 연결부분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부(400)와, 표시 패널부 상부에 배치되는 굴절 광학부재(500) 및 굴절 광학부재(500) 상부에 배치되어 굴절 광학부재(500)로부터의 광을 확산하는 확산 광학부재(6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표시패널부(400)는 다수의 개별 표시장치(410)가 연결되어 단일의 이미지를 표시하게 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 부분에 대응되는 것으로서, 개별 표시장치들이 연결되는 부분에는 각 개별 표시장치의 베젤 또는 비표시영역(420)이 연결 형성되어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는 부분이 존재하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러한 개별 표시장치가 연결되는 경계영역을 연결부분(300)으로 정의한다.
즉,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표시패널부(400)에는 이미지가 표시되지 않는 연결부분(300)이 일정한 폭을 가지는 격자 형상의 선형 구조로 형성되며, 이러한 연결부분(300)에서의 이미지 단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굴절 광학부재(500) 및 확산 광학부재(600)를 이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될 수 있는 개별 표시장치(410)는 액정 표시장치일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유기전계발광소자(OLED) 표시장치 등 모든 형태의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개별 표시장치(410)는 다시 화소가 형성되는 표시패널과, 커버버텀 등과 같이 표시패널을 지지하는 패널 지지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개별 표시장치(410)가 액정 표시 장치인 경우에는 상기 표시패널은 액정 패널이며, 액정 패널 하부에 배치되어 액정 패널로 광을 제공하는 백라이트 유닛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개별 표시장치(410)가 액정 표시패널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인 경우, 액정표시패널에는 다시 다수의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 및 그 교차 영역에 정의되는 픽셀(Pixel)과, 각 픽셀에서의 광투과도를 조절하기 위한 스위칭 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과, 컬러필터 및/또는 블랙매트릭스 등을 구비한 상부기판과, 그 사이에 형성되는 액정물질층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터치 윈도우가 표시패널의 상부 전면에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개별 표시장치가 유기전계 발광 표시장치(OLED)인 경우의 표시패널은 다수의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 및 그 교차 영역에 정의되는 픽셀(Pixel)과, 각 픽셀에 제공된 유기전계 발광 재료층에 선택적으로 전기적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스위칭 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과, 상부 보호 기판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굴절 광학부재(500)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표시패널부(400) 상부에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판상 플레이트일 수 있으며, 이러한 굴절 광학 부재(500)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표시패널부(400) 전면 전체에 배치되는 광투과성 재질의 판형상의 베이스 플레이트(510)와, 표시패널부의 연결부분(300) 상부를 포함하는 영역에 배치되는 광굴절 렌즈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광굴절 렌즈부(520)는 프레넬 렌즈 또는 컨벡스 렌즈일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굴절 광학부재(500)의 광굴절 렌즈부(520)를 형성하는 프레넬 렌즈(Fresnel Lens)는 일반적인 선형 프레넬 렌즈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부분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다수의 리지(Ridge; 522)와 각 리지로부터 렌즈 플레이트 상면까지 연장되는 사선면(524)이 반복적으로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한편, 프레넬 렌즈의 리지(522)는 연결부분의 중간(도 5의 I)에서 가장 높으며 각 개별 표시장치의 중앙 영역으로 이동할수록 리지가 점점 더 작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연결부분의 중앙에서의 굴절각도가 가장 커져서 멀리있는 최외곽 화소(P1)으로부터의 광을 굴절시켜 연결부분(300)의 수직 상부로 향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굴절 광학부재로서 컨벡스(Convex) 렌즈 플레이트가 사용되는 경우를 도시한다.
도 6과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굴절 광학부재(500)로서 사용될 수 있는 컨벡스 렌즈 플레이트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표시패널부(400) 전면 전체에 배치되는 광투과성 재질의 판형상의 베이스 플레이트(510)와, 표시패널부의 연결부분(300) 상부를 포함하는 영역에 배치되는 광굴절 렌즈부(520)로 구성된다. 이 때, 광굴절 렌즈부(520)는 컨벡스 렌즈 구조로서, 각 개별 표시장치의 표시영역에서는 큰 두께를 가지면서, 개별 표시장치의 비표시영역(420)에서 두께가 감소하기 시작하여 표시패널(400)의 연결부분(300)의 중앙 영역에서 가장 작은 두께를 가지도록 연속적인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이러한 컨벡스 렌즈 플레이트는 각 개별 표시장치의 표시영역에 대응되는 부분에서는 화소로부터의 광을 그대로 수직 투과시켜야 하므로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평편한 형태의 베이스 플레이트(510)로 구성하고, 각 개별 표시장치의 베젤부분(비표시영역)에서는 인접한 화소로부터의 광을 굴절시켜 수직 투과시켜야 하므로 일정 곡률을 가지는 곡면 또는 컨벡스 표면을 형성하는 렌즈 구조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 사용되는 프레넬 렌즈 플레이트와 컨벡스 렌즈 플레이트를 비교하면, 프레넬 렌즈 플레이트는 컨벡스 렌즈 플레이트에 비하여 얇은 두께가 가능하다는 장점은 있으나, 불연속 적인 렌즈 구조의 특성상 광굴절 역시 불연속 적이어서 연결부분(300)에서의 이미지가 다소 불연속적이라는 단점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선형 프레넬 렌즈 플레이트 또는 컨벡스 렌즈 플레이트 등은 광의 확대 및/또는 굴절을 위하여 다른 분야에서도 사용되는 기술이므로 본 명세서에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한 굴절 광학부재(500)는 전술한 프레넬 렌즈 플레이트나 컨벡스 렌즈 플레이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연결부분(300)에서 광굴절에 의하여 인접 화소로부터의 광을 외부로 투과시킬 수 있는 모든 광학부재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앞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프레넬 렌즈 플레이트 및 컨벡스 렌즈 플레이트와 같은 굴절 광학부재(500)를 사용하는 경우,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정면 시야각에서는 연결부분(300)에 인접한 화소(도 5의 P1~P4)로부터의 광이 연결부분 상부로 굴절되어 연결부분에서의 이미지 불연속 현상이 어느 정도 보상될 수 있다.
그러나, 굴절 광학부재만을 사용하는 경우, 시야각이 정면에서 벗어날수록 이러한 인접 화소의 광굴절 현상이 감소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측면 시야에서는 개별 표시장치의 베젤 또는 연결부분(300)이 그대로 보이게 되는 이미지 불연속 문제가 그대로 발생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굴절 광학부재(500) 상부에 별도의 광학 부재인 확산 광학부재(600)를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사용되는 확산 광학부재(600)는 굴절 광학부재(500) 상부에 배치되어 굴절 광학부재(500)로부터의 광을 확산하는 기능을 하는 판상 광학 부재로서, 굴절율 1.4 내지 1.55인 광투과성 재질로 형성되는 확산 플레이트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다중 패널 표시장치에 사용되는 확산 광학부재의 여러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확산 광학부재(600)의 일 예인 확산 플레이트는 굴절 광학부재(600)로부터 입사된 광을 여러 방향으로 확산 또는 분산시킬 수 있는 판상 부재로서, 확산 플레이트의 광투과성 재질은 폴리메타크릴산 메틸(poly-methyl metha crylate; PMMA), 폴리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PC), 폴리에테르 술폰(Poly Ether Sulfone; PES), 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Methacrylate Styrene; MS) 중 선택되는 1 이상의 고분자 레진일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7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확산 광학부재(600)가 단순한 판 형태의 확산 플레이트 일 수도 있으며, 이 때의 확산 플레이트는 백라이트 유닛의 도광판 상부 등에 배치되어 사용되는 여러 종류의 확산시트 중 하나와 유사한 광학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도 7의 (b)에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확산 광학부재(600)가 광투과성 재질의 베이스 플레이트(610)와, 연결부분의 상부를 포함하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영역에 배치되는 확산 패턴부(6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확산 광학부재를 구성하는 확산 패턴부(620)는 1 이상의 엠보싱 돌출구조일 수 있다.
즉, 도 7의 (b)의 실시예와 같이, 확산 광학부재(600)는 굴절 광학부재 상부에 배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610)와,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면에 배치되는 확산 패턴부를 포함하며, 확산 패턴부(620)는 다수의 볼록부 또는 엠보싱 돌출구조와 다수의 오목부를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다.
이러한 확산 패턴부를 구성하는 엠보싱 및 오목부의 크기는 1~300um일 수 있고, 그 형상은 반구형, 타원형, 다각형, 부정형일 수 도 있다. 또한, 엠보싱 돌출구조가 반원 또는 다각형 단면을 가지면서 길게 형성된 스트라이프 형태일 수도 있다.
이러한 확산 패턴부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에 형성된 연결부분(300) 근처에서 굴절 광학부재(500)로부터 입사된 광을 확산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 때, 확산 광학부재의 베이스 플레이트 및 확산패턴부는 모두 굴절율이 1.4 내지 1.55인 폴리메타크릴산 메틸(poly-methyl metha crylate; PMMA), 폴리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PC), 폴리에테르 술폰(Poly Ether Sulfone; PES), 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Methacrylate Styrene; MS) 등과 같은 고분자 레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7의 (b)에서는 확산 패턴부가 확산 플레이트를 구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면에만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베이스 플레이트의 타면 또는 양면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확산 패턴부는 다중 표시패널의 표시패널부(400)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도 있으나, 연결부분(300)을 포함하는 표시패널부의 일정 영역에만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도 7의(c)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확산 광학부재(600)가 광투과성 재질의 베이스 플레이트(610)와, 베이스 플레이트 내부에 분산 배치되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굴절율과 상이한 굴절율을 가지는 재료로 구성되는 비드 또는 확산입자(6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확산 광학부재에 포함되는 비드 또는 확산입자(630)는 PMMA, 실리카, PC 중 적어도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지며, 비드의 형상은 원형, 사각뿔(피라미드) 형상 등일 수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 확산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비드 또는 확산입자는 각각 다른 굴절율 및/또는 크기를 가지는 2종류 이상의 비드가 사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1㎛ 내지 10㎛의 직경과 제1굴절율을 가지는 제1비드와, 20㎛ 내지 80㎛의 직경을 가지되 제1굴절율보다 0.02~0.2만큼 작은 제2굴절율을 가지는 제2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1비드와 제2비드의 단위 체적당 분포 밀도를 조절함으로써 원하는 확산 성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확산 광학부재의 확산입자가 반드시 레진 재료일 필요는 없으며, 베이스 플레이트의 내부에 형성되고 베이스 플레이트의 광 굴절률과 다른 광 굴절률을 갖는 1 이상의 공기 캐비티(Air Cavity)일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확산 광학부재(600)은 도 7에 도시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광확산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어떠한 부재가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확산 광학부재의 다른 예로서, 플라스틱 또는 유리의 베이스 플레이트에 구형상의 폴리카보네이트(PC) 확산 패턴을 형성하되, 광경화제에 의하여 PC 확산 패턴을 베이스 플레이트에 부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베이스 플레이트에 접착되는 PC 확산 패턴의 크기와 밀도를 조절함으로써 필요한 광확산도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플레이트에 스크래치 또는 광중합체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필요한 확산부를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8은 또다른 실시예에 의한 확산 광학부재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각 패널 중앙 부분에 대응되는 제1확산부와, 패널간 연결부분과 인접한 제2확산부가 구분된 형태를 도시한다.
즉,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확산 광학부재가 2종류의 다른 확산 특성을 가지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산 광학부재(700)의 전체 영역 중에서 각 개별 표시장치의 중앙 표시영역에 대응되는 제1영역에는 제1굴절율을 가지는 제1 확산부(720)가 형성되고,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연결부분(300) 상부의 일정한 영역인 제2영역에는 제2굴절율을 가지는 제2확산부(7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2굴절율을 제1굴절율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확산부(720)는 제1굴절율을 가지는 단순 평판 플레이트 또는 내부에 비드 등을 포함하는 평판 플레이트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확산부(710)는 전술한 엠보싱 돌출구조를 가지거나 상기 제1 확산부에 포함된 비드와 상이한 물성을 가지는 비드 또는 확산입자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8의 실시예와 같이, 확산 광학부재(700)를 연결부분(300)을 포함한 영역과 그 외의 영역에서 상이한 물성을 가지도록 형성함으로써,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표시영역에서의 광경로 특성과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비표시 영역인 연결부분 상에서의 광경로 특성을 상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굴절 광학부재(500) 역시 상기 제1확산부(720) 및 제2확산부(710)에 대응되는 상기 제1영역과 제2영역에 각각 다른 굴절 특성을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도 8과 같은 실시예를 이용하면,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표시영역에서는 아래에 위치하는 화소로부터의 광이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 외부로 방출되도록 광굴절 및 확산을 최소화하고,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비표시 영역인 연결부분(300)에서는 광굴절 및 확산이 많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연결부분에서의 이미지 불연속 문제를 해결하면서도 다중 패널 표시장치 전체의 이미지 열화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확산 광학부재(600)와 굴절 광학부재(500) 사이의 이격 거리(d)는 1.0 ~ 3.0mm 일 수 있다. 이러한 확산 광학부재(600)와 굴절 광학부재(500) 사이의 이격 거리(d)가 1.0mm보다 작은 경우에는 광경로가 짧아져 연결부분에서의 확산 정도가 낮아지고, 따라서 연결부분에서의 확산에 의한 이미지 불연속 해결이 제한적일 수 있다.
또한, 확산 광학부재(600)와 굴절 광학부재(500) 사이의 이격 거리(d)가 일정 이상(예를 들면, 3.0mm)인 경우에는, 확산 광학부재에서의 확산 정도가 커져서 전체적인 이미지의 선명도가 열화될 가능성이 있다.
도 5는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 의한 다중 패널 표시장치에서, 패널 연결부분(300) 근처에서의 광경로를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 패널 표시장치에서 각 개별 표시장치 들이 연결되는 연결부분(300) 부근에서는 굴절 광학부재(500)에 의하여 연결부분에 인접한 최외곽 화소들인 P1 내지 P4로부터의 광이 굴절되어 연결부분(300)의 상부로 수직 방출된다.(L1) 이와 같이 굴절 광학부재(500)에 의하여 굴절 또는 확대되어 출사된 광 L1은 확산 광학부재(600)에서 여러 방향으로 확산된다.(L2)
이와 같이, 확산 광학부재(600)에서 확산된 광 L2는 여러 방향으로 향하기 때문에, 시야각이 일정 크기 이상인 측방으로도 진행하게 되며, 따라서 정면이 아닌 측면 시야각의 위치에서도 연결부분(300)에서 연속적인 심리스(Seamless)한 영상 구현이 가능해진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개별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의 일 예를 도시하면, 가장자리의 고휘도 영역과 중앙의 저휘도 영역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경우,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개별 표시장치들이 연결되는 연결부분(300)에서 인접 화소로부터의 광을 확대/굴절시키고, 그를 다시 확산시키는 방식을 이용하고 있다.
이 때,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연결부분(300) 이외의 영역, 예를 들면, 각 개별표시장치의 표시영역 등에서의 이미지에 비하여, 연결부분(300) 부근에서의 이미지는 휘도나 선명도 등이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도 9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개별 표시장치에 포함되는 백라이트 유닛을 구성함에 있어서, 백라이트 유닛이 상기 연결부분(300) 부근에서의 고휘도 영역(960)과 각 개별표시장치의 중앙 영역에서의 저휘도 영역(970)을 포함하도록 구성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다중 패널 표시장치를 구성하는 개별 표시장치 각각은 백라이트 유닛(900)을 포함할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900)은 LED 등의 광원(LED)을 포함하는 광원 모듈(930)과, 빛을 패널 영역 전체로 확산시키기 위한 도광판(LGP; 940) 또는 확산판과, 빛을 표시패널 방향으로 반사하기 위한 반사판(930)과, 광원의 On/Off 등을 제어하기 회로인 LED 연성회로(LED FPC; 미도시)와, 도광판 상부에 배치되어 휘도 향상, 광의 확산 및 보호 등의 용도로 배치되는 1 이상의 광학필름 또는 시트(950) 등과 같은 서브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 모듈(920)은 광원 소자와, 그 광원 소자를 지지하고 광원 구동을 위한 LED 구동 회로가 포함된 긴 판상 구조의 광원 홀더를 포함할수 있으며, 광원 모듈의 광원소자는 발광 다이오드(LED) 또는 발광 다이오드 스트립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패널에 필요한 광을 제공할 수 있는 한 모든 형태의 광원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광판(LGP; 940)은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시트로부터 다이 커팅되거나, 압출되거나, 사출 성형된 직사각형의 투명한 플라스틱(clear plastic) 시트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발광 다이오드 어레이 등과 같은 광원으로부터의 광은 도광판의 가장자리로 출사되어 도광판 내부에서 전반사되면서 표시패널의 배면을 가로질러 확산되며, 도광판의 평탄한 상면을 통해 출사되는 광이 표시패널의 백라이트로서 기능한다.
반사판(930)은 도광판(940)의 배면에 위치하여, 도광판(940)의 배면을 통과한 광을 표시패널 쪽으로 반사시킴으로써 광의 휘도를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도광판(940) 상부의 광학시트(950)는 확산시트와 적어도 하나의 집광시트 등을 포함하며, 도광판(940)을 통과한 빛을 확산 또는 집광하여 표시패널로 보다 균일한 면광원이 입사 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각 개별 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은 가장자리 일정 영역에 형성된 고휘도 영역(960)과 개별 표시장치의 중앙부분에 형성되는 저휘도 영역(970)을 포함하며, 고휘도 영역은 각 개별표시장치의 베젤 또는 비표시 영역을 커버하되, 베젤 영역보다 넓은 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백라이트 유닛의 고휘도 영역(960) 및 저휘도 영역(970)은 백라이트 유닛의 도광판(940)에 배치되는 도광 패턴에 의하여 구분될 수도 있고,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의 LED 분포 밀도에 의하여 구분될 수도 있다.
도 10은 도 9에 의한 백라이트 유닛의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a)는 엣지 타입의 백라이트 유닛에서 고휘도 및 저휘도 영역에서 도광판의 패턴을 다르게 형성하는 구조이고, (b)는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에서 광원의 분포를 다르게 하는 구조이다.
도 10의 (a)는 광원이 표시장치의 일측에만 제공되고 도광판을 통해서 표시패널 전체로 확산되는 엣지(Edge) 타입의 백라이트 유닛(900)으로서, 백라이트 유닛(900)의 도광판(940)은 고휘도 영역(960)에 형성되는 고휘도 도광 패턴(942)과 저휘도 영역(970)에 형성되는 저휘도 도광 패턴(944)이 형성되어 있다.
도광 패턴은 도광판의 하부 또는 내부에 형성되어 광원으로부터 전달된 광을 표시패널 방향으로 향하도록 확산/집광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형태는 도트 패턴, 일정 형상의 돌출 패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도광 패턴은 일반적인 백라이트 유닛의 도광판에 적용되는 기술이므로 그에 대한 세부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의 (a)에 의한 도광판(940)에서는, 고휘도 영역(960)에 형성되는 고휘도 도광패턴(942)과, 저휘도 영역(970)에 형성되는 저휘도 도광 패턴(944)이 상이한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고휘도 도광패턴(942)이 저휘도 도광 패턴(944)에 비하여 패턴의 형상이 다르거나, 동일한 형태의 도광패턴의 형성 밀도를 달리 하여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광 패턴이 도광판의 하면에 원형으로 형성되는 도트 도광 패턴인 경우, 고휘도 도광패턴(942)가 저휘도 도광패턴(944)에 비하여 더 큰 패턴으로 형성되거나, 고휘도 도광패턴이 저휘도 도광패턴보다 더 조밀하게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광패턴이 도광판의 하부에 형성되는 프리즘 형태의 돌출구조 또는 요홈 형태인 경우에는, 고휘도 도광패턴(942)가 저휘도 도광패턴(944)에 비하여 프리즘의 첨두부 높이가 더 높거나 요홈의 깊이가 더 깊도록 형성할 수 있다.
도 10의 (b)의 실시예는, 표시장치 후면에 배치되는 다수의 LED 칩 으로부터 광이 직접 상부의 표시패널로 전달되는 직하타입의 백라이트 유닛(1000)에 본 발명이 적용된 경우로서, 백라이트 유닛(1000)의 하부에 다수의 광원을 배치함에 있어서, 개별 표시장치의 베젤 또는 비표시 영역에는 광원을 조밀하게 배치하고, 표시영역에는 그보다 덜 조밀하게 광원을 배치할 수 있다. (도 10의 (b) 참고)
또한, 동일한 밀도로 광원이 배치되되, 개별 표시장치의 베젤 또는 비표시 영역에서 광원을 제어하기 위한 광제어신호(구동전압 또는 구동전류 등)가 표시영역에서의 광제어 신호보다 더 크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물론, 광원의 분포 밀도와 광제어신호(구동전압 또는 구동전류 등)를 함께 이용하여 고휘도 영역과 저휘도 영역을 구분 설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다중 패널 표시장치를 구성하는 각 개별 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유닛의 가장자리에 고휘도 영역을 배치함으로써,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연결부분(300)에서의 굴절/확산에 따른 광휘도 저하 현상을 해결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의하여 패널 연결부분의 광휘도 저하를 보상할 수 있는 구조에서의 최종적인 광경로를 도시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라이트 유닛(1000)의 가장자리에 배치된 고휘도 영역(1060)으로부터는 강한 광이 출사되어 표시패널부(1400)로 향하게 된다. 그러면,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연결부분(1300)을 커버하는 고휘도 영역(1060)에서 굴절 광학부재(1500)를 통과한 굴절광 L1은 저휘도 영역(1070)에서 굴절된 굴절광 L1'보다 더 강하게 된다.(L1>L1') 그러나, 확산 광학부재(1600)는 연결부분(1300)에서 더 많은 확산이 일어나게 되므로, 확산 광학부재(1600)를 통과한 이후에는 고휘도 영역(1060) 상부의 확산광 L2와 저휘도 영역(1070) 상부의 확산광 L2'의 휘도 또는 강도가 거의 균등해 지게 된다.
이와 같이, 굴절 및 확산이 크게 발생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연결부분에서 백라이트 유닛의 휘도를 더 크게 함으로써,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연결부분에서의 이미지 불연속 문제를 해결하면서도,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전체 영역에서 균일한 휘도의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상부에 배치되어 개별 표시장치들의 연결부분으로 입사되는 패널 픽셀로부터 광을 굴절하기 위한 굴절 광학부재와, 굴절 광학부재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굴절 광학부재로부터 전달된 광을 확산하는 확산 광학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정면 및 고시야각 모두에서 심리스(Seamless)한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연결부분에서 백라이트 유닛의 휘도를 더 크게 함으로써,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연결부분에서의 이미지 불연속 문제를 해결하면서도, 다중 패널 표시장치의 전체 영역에서 균일한 휘도의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결합, 분리, 치환 및 변경 등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400 : 표시패널부 410 : 개별 표시장치
300 : 연결부분 500 : 굴절 광학부재
600 : 확산 광학부재 510, 610 : 베이스 플레이트
520 : 광굴절 렌즈부 620 : 확산패턴부
630 : 확산입자 710 : 제2확산부
720 : 제1확산부 960 : 고휘도 영역
970 : 저휘도 영역

Claims (13)

  1. 다수의 개별 표시장치가 연결되되, 상기 개별 표시장치의 비표시 영역이 연결 배치되는 연결부분을 포함하는 표시패널부;
    상기 표시패널부 상부에 배치되고, 적어도 상기 연결부분의 상부를 포함하는 영역에 광굴절 렌즈부가 형성된 굴절 광학부재;
    상기 굴절 광학부재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굴절 광학부재로부터의 광을 확산하는 확산 광학부재를 포함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 광학부재는 상기 다중 표시장치 전면 전체에 형성되는 광투과성 재질의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표시패널부의 연결부분 상부를 포함하는 영역에 배치되는 광굴절 렌즈부를 포함하는 굴절 렌즈 플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굴절 렌즈부는 프레넬 렌즈 또는 컨벡스 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 광학부재는 굴절율 1.4 내지 1.55 이하인 광투과성 재질로 형성되는 확산 플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 광학부재인 굴절 렌즈 플레이트와 상기 확산 광학부재인 확산 플레이트 사이의 간격은 1.0~3.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 플레이트의 광투과성 재질은 폴리메타크릴산 메틸(poly-methyl metha crylate; PMMA), 폴리카보네이트(Poly Carbonate; PC), 폴리에테르 술폰(Poly Ether Sulfone; PES), 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Methacrylate Styrene; MS) 중 선택되는 1 이상의 고분자 레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 광학부재는 광투과성 재질의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연결부분의 상부를 포함하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영역에 배치되는 확산패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 패턴부는 1 이상의 엠보싱 돌출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 광학부재는 광투과성 재질의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내부에 분산 배치되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굴절율보다 큰 굴절율을 가지는 재료로 구성되는 확산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굴절 광학부재의 상기 렌즈부와 상기 확산 광학부재의 확산패턴부는 상기 각 개별표시장치의 중앙부분에는 배치되지 않고, 상기 연결부분을 포함하는 일부 영역에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표시장치는 백라이트 유닛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상기 연결부분 부근에서의 고휘도 영역과 각 개별표시장치의 중앙 영역에서의 저휘도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고휘도 영역 및 저휘도 영역은 백라이트 유닛의 도광판에 배치되는 패턴에 의하여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 유닛의 고휘도 영역 및 저휘도 영역은 직하형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 분포 밀도 및 각 광원에 대한 구동전압 또는 구동 전류 제어 중 하나 이상에 의하여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
KR1020150073204A 2015-05-26 2015-05-26 다중 패널 표시장치 KR1023558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3204A KR102355828B1 (ko) 2015-05-26 2015-05-26 다중 패널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3204A KR102355828B1 (ko) 2015-05-26 2015-05-26 다중 패널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9127A true KR20160139127A (ko) 2016-12-07
KR102355828B1 KR102355828B1 (ko) 2022-01-27

Family

ID=57572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3204A KR102355828B1 (ko) 2015-05-26 2015-05-26 다중 패널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58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7320A (ko) * 2018-06-01 2019-12-11 주식회사 라온아이엔씨 영상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모형 구조물 시스템
US11880235B2 (en) * 2019-05-10 2024-01-23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enhanced display area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1661A (ko) * 2004-06-30 2006-01-06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타일형 표시장치
KR20120061556A (ko) * 2010-12-03 2012-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패널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패널 표시장치
JP2013195458A (ja) * 2012-03-15 2013-09-30 Dainippon Printing Co Ltd 配列型表示装置
KR20150019841A (ko) * 2013-08-16 2015-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디스플레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1661A (ko) * 2004-06-30 2006-01-06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타일형 표시장치
KR20120061556A (ko) * 2010-12-03 2012-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패널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패널 표시장치
JP2013195458A (ja) * 2012-03-15 2013-09-30 Dainippon Printing Co Ltd 配列型表示装置
KR20150019841A (ko) * 2013-08-16 2015-02-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디스플레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7320A (ko) * 2018-06-01 2019-12-11 주식회사 라온아이엔씨 영상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모형 구조물 시스템
US11880235B2 (en) * 2019-05-10 2024-01-23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enhanced display area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5828B1 (ko) 2022-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7244B1 (ko) 광섬유를 포함하는 판상 광학부재 및 그를 포함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
CN107993577B (zh) 视频墙显示装置
EP3147705B1 (en) Frame-type optical member with optical fiber and multi-panel display device with the same
EP3264146A1 (en) Laminated optical member,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US20160116646A1 (en) Display device
KR20110009070A (ko) 조명 장치 및 표시 장치
KR20170013696A (ko) 광학산 렌즈 및 그를 포함하는 백라이트 유닛과 표시장치
EP3124857B1 (en) Light guide plate and backlight unit including the same
US20070133225A1 (en) Lighting unit, electro-optic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20170059764A1 (en) Light guide plate,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KR20160098617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355821B1 (ko) 다중 패널 표시장치
KR101984037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2355828B1 (ko) 다중 패널 표시장치
KR20120052627A (ko) 액정표시장치
KR102344296B1 (ko) 다중 패널 표시장치 및 그를 위한 판상 광학 부재
KR20120068498A (ko) 도광판, 이를 구비한 백라이트 유닛 및 이들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444400B1 (ko) 양면 표시장치 및 그를 위한 백라이트 유닛
US20210215965A1 (en) Display device
KR102355832B1 (ko) 다중 패널 표시장치
KR20120063192A (ko) 광학 시트, 이를 포함하는 광원 어셈블리 및 액정 표시 장치
KR102451409B1 (ko) 광섬유를 포함하는 액자형 광학부재 및 그를 포함하는 다중 패널 표시장치
KR102227116B1 (ko) 다중 패널 표시장치 및 그를 위한 광학 직조 부재
KR20160118712A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16887B1 (ko) 다중 패널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