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7497A - 통계 데이터 제공 방법 및 통계 데이터 제공 장치 - Google Patents

통계 데이터 제공 방법 및 통계 데이터 제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7497A
KR20160137497A KR1020160157422A KR20160157422A KR20160137497A KR 20160137497 A KR20160137497 A KR 20160137497A KR 1020160157422 A KR1020160157422 A KR 1020160157422A KR 20160157422 A KR20160157422 A KR 20160157422A KR 20160137497 A KR20160137497 A KR 201601374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omic
user
statistical data
comic b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7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6221B1 (ko
Inventor
김효
이현철
김지한
임대현
김병관
양명석
Original Assignee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네이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네이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7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6221B1/ko
Publication of KR20160137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74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6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6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Z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6Z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6F19/00

Landscapes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만화 데이터와 관련된 통계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어부가 제1 사용자가 제1 만화 데이터를 독서할 때의 상기 제1 사용자의 만화 독서 패턴을 분석하여 제1 만화 독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획득한 제1 만화 독서 정보로부터 제1 통계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통신부가 상기 생성한 제1 통계 데이터를 외부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만화 데이터의 영역별 특징을 고려하면서 상기 제1 사용자의 만화 독서 패턴을 분석하여 제1 만화 독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만화 데이터의 영역별 특징은, 각 영역에 포함된 컷의 개수, 컷의 내용, 텍스트의 개수, 이펙트의 개수, 이펙트의 종류, 등장 물체의 개수, 등장 물체의 종류, 광고 컨텐츠의 포함 여부, 또는 포함된 광고 컨텐츠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계 데이터 제공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통계 데이터 제공 방법 및 통계 데이터 제공 장치{Statistical data providing method and statistical data providing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통계 데이터 제공 방법 및 통계 데이터 제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만화는 익살, 해학, 풍자 등을 통해 대상의 성격을 과장하거나 생략하여 인생이나 사회를 풍자, 비판하거나 독자의 흥미를 돋우는 그림으로서, 그 내용에 따라 순정, 무협, 액션, 코믹, 스포츠, SF 등의 다양한 장르로 구분된다. 만화는 영상과 텍스트라는 시각적 체계를 사용하여 복잡한 내용을 가시적으로 묘사함으로써, 단순 글자만으로 이루어진 일반 서적에 비해 독자들의 관심을 끄는데 보다 효과적이다.
한편, 근래에는 전통적인 만화책에서 벗어나 인터넷 등을 통하여도 만화를 독서할 수 있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공개특허 KR 2003-0083249 A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의 만화 독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정보로부터 통계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통계 데이터를 제공하는 통계 데이터 제공 방법 및 통계 데이터 제공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서로 다른 사용자 또는 서로 다른 만화 데이터로부터 생성한 통계 데이터를 서로 구분하여 제공하는 통계 데이터 제공 방법 및 통계 데이터 제공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사용자의 만화 독서 시간, 반복 독서 여부, 독서 중단 여부, 댓글 작성 여부, 또는 피드백 여부 등을 고려하여 생성한 통계 데이터를 제공하는 통계 데이터 제공 방법 및 통계 데이터 제공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만화 데이터와 관련된 통계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어부가 제1 사용자가 제1 만화 데이터를 독서할 때의 상기 제1 사용자의 만화 독서 패턴을 분석하여 제1 만화 독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획득한 제1 만화 독서 정보로부터 제1 통계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통신부가 상기 생성한 제1 통계 데이터를 외부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만화 데이터의 영역별 특징을 고려하면서 상기 제1 사용자의 만화 독서 패턴을 분석하여 제1 만화 독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만화 데이터의 영역별 특징은, 각 영역에 포함된 컷의 개수, 컷의 내용, 텍스트의 개수, 이펙트의 개수, 이펙트의 종류, 등장 물체의 개수, 등장 물체의 종류, 광고 컨텐츠의 포함 여부, 또는 포함된 광고 컨텐츠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계 데이터 제공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제1 사용자가 제1 만화 데이터를 독서할 때의 상기 제1 사용자의 만화 독서 패턴을 분석하여 제1 만화 독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제1 만화 독서 정보로부터 제1 통계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생성한 제1 통계 데이터를 외부 장치에 제공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만화 데이터의 영역별 특징을 고려하면서 상기 제1 사용자의 만화 독서 패턴을 분석하여 제1 만화 독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만화 데이터의 영역별 특징은, 각 영역에 포함된 컷의 개수, 컷의 내용, 텍스트의 개수, 이펙트의 개수, 이펙트의 종류, 등장 물체의 개수, 등장 물체의 종류, 광고 컨텐츠의 포함 여부, 또는 포함된 광고 컨텐츠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계 데이터 제공 장치를 개시한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이러한 일반적이고 구체적인 측면이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어떠한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의 조합을 사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해서, 사용자의 만화 독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정보로부터 통계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한 통계 데이터를 제공하는 통계 데이터 제공 방법 및 통계 데이터 제공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사용자 또는 서로 다른 만화 데이터로부터 생성한 통계 데이터를 서로 구분하여 제공하는 통계 데이터 제공 방법 및 통계 데이터 제공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만화 독서 시간, 반복 독서 여부, 독서 중단 여부, 댓글 작성 여부, 또는 피드백 여부 등을 고려하여 생성한 통계 데이터를 제공하는 통계 데이터 제공 방법 및 통계 데이터 제공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계 데이터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계 데이터 제공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계 데이터 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만화 데이터의 예시적인 형태 및 만화 데이터가 표시 장치 상에 표시되는 예시적인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계 데이터 제공 장치에서 통계 데이터 생성을 위한 만화 독서 정보를 획득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통계 데이터를 활용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계 데이터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계 데이터 제공 시스템(10)은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계 데이터 제공 시스템(10)은 만화 데이터 제공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계 데이터 제공 시스템(10)은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계 데이터 제공 시스템(10)은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 만화 데이터 제공 장치(200) 및 서버(300)를 상호 연결하는 통신망(400)을 포함할 수 있다.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는 만화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는 유무선 통신 환경에서 타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 단말기를 의미할 수 있다.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는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에 존재하는 만화 데이터를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통신망(400)에 연결되어있는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는 복수일 수 있다. 도1 에서는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가 스마트폰 형태의 제1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a) 및 데스크탑 형태의 제2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b)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는, 스마트폰, PC, 태블릿 PC, 스마트 TV,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톱, 미디어 플레이어, 마이크로 서버,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네비게이션, 키오스크,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및 기타 모바일 또는 비모바일 컴퓨팅 장치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는 전자 칠판, 터치 테이블 등과 같이 터치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는 통신 기능 또는 데이터 프로세싱 기능을 구비한 시계, 안경, 헤어 밴드 및 반지 등의 악세서리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만화 데이터는, 문자(alphabet), 그림, 또는 사진 등 시각적으로 인지될 수 있고, 상대방에게 시각적인 형태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객체 또는 해당 객체들의 집합으로 이루어진 영상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만화 데이터는 만화가에 의해 작성된 데이터일 수 있다. 만화 데이터는 1회에 제공되는 분량의 복수의 시각적 객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만화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컷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컷은 하나의 만화의 한 장면을 포함하는 데이터로, 이미지 또는 텍스트를 포함하는 복수의 레이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만화 데이터의 예시적인 형태 및 만화 데이터가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 상에 표시되는 예시적인 형태에 대해서는 도 4a 및 도 4b를 통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는 만화 데이터를 표시하고, 만화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대응하여 만화 데이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만화 데이터는, 만화 데이터 전체가 디스플레이부에서 한 번에 표시되기 힘들 정도로 큰 크기의 영상 데이터일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는 한 순간에 만화 데이터의 일부 영역만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는 만화 데이터를 스크롤하여 만화 데이터의 다른 일부 영역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만화 데이터를 스크롤하는 동작은, 만화 데이터의 제1 일부 영역을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상태에서, 제1 일부 영역과 다른 제2 일부 영역을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상태로 변경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만화 데이터를 스크롤하는 도중, 제1 일부 영역 또는 제2 일부 영역에 포함되는 컷들, 또는 제1 일부 영역 및 제2 일부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컷들이 일정 시간 이상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수 있다.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기영동 디스플레이(electrophoretic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를 2개 이상 포함할 수도 있다.
만화 데이터 제공 장치(200)는 만화가가 만화 데이터를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 또는 서버(300)로 제공할 때 사용하는 장치일 수 있다. 만화 데이터 제공 장치(200)는 만화가가 만화 데이터를 직접 제공하는데 사용하는 장치일 수 있다. 만화 데이터 제공 장치(200)는 만화 데이터의 제작을 가능하게 하거나, 만화 데이터의 제작을 용이하게 하는 만화 제작툴이 설치된 장치일 수 있다. 만화 데이터 제공 장치(200)는 유무선 통신 환경에서 타 장치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만화 데이터 제공 장치(200)는 만화 데이터를 서버(300)로 제공하는 장치일 수 있다. 통신망(400)에 연결되어있는 만화 데이터 제공 장치(200)는 복수일 수 있다. 도1 에서는 만화 데이터 제공 장치(200)가 노트북 형태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만화 데이터 제공 장치(200)는, 스마트폰, PC, 태블릿 PC, 스마트 TV,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톱, 미디어 플레이어, 마이크로 서버,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네비게이션, 키오스크,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웨어러블 장치 및 기타 모바일 또는 비모바일 컴퓨팅 장치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버(300)는 만화 데이터를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로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서버(300)는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로 제공할 만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서버(300)는 만화 데이터 제공 장치(200)로부터 제공받는 만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도 1에는 하나의 서버를 표시하였지만, 접속량 혹은 데이터 양에 따라 복수 개의 서버가 존재할 수 있다.
서버(300)는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의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를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로부터 전송 받거나, 스스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서버(300)는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의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서버(300)는 서로 다른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들을 구분하여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계정들을 구분하여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서버(300)는 제1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a)와 관련된 제1 만화 독서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제2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b)와 관련된 제2 만화 독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서버(300)는 제1 계정과 관련된 제3 만화 독서 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제2 계정과 관련된 제4 만화 독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즉, 서버(300)는 만화 데이터가 표시되는 장치가 상이한지를 기준으로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를 구분할 수도 있고, 만화 데이터의 표시를 요청한 계정이 상이한지를 기준으로 사용자와 관련된 정보를 구분할 수도 있다.
서버(300)는 만화 데이터와 관련된 서비스 외에도 일반적인 검색 서비스 및 기타 사용자의 편의를 증진시키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즉, 서버(300)는 만화 데이터와 관련된 서비스에 더하여, 검색, 이메일, 블로그,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뉴스, 쇼핑 정보 제공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서버(300)는 검색, 이메일, 뉴스, 쇼핑과 같은 포털(portal)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에 연결되어, 포털(portal) 서비스에 정보 제공을 요청하는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로 포털(portal) 서비스가 제공하는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서버(300)와 포털 서비스 제공 서버는 물리적으로 분리된 별도의 서버일 수도 있고, 개념적으로만 분리된 동일한 서버일 수도 있다.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 또는 서버(300) 중 어느 하나는 통계 데이터 제공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가 통계 데이터 제공 장치일 경우,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는 사용자의 만화 독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한 정보로부터 통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한 통계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가 통계 데이터 제공 장치일 경우, 외부 장치는 서로 다른 사용자의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 만화 데이터 제공 장치(200), 또는 서버(300)일 수 있다. 다른 예시로, 서버(300)가 통계 데이터 제공 장치일 경우, 서버(300)는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의 사용자의 만화 독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한 정보로부터 통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한 통계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서버(300)가 통계 데이터 제공 장치일 경우, 외부 장치는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 또는 만화 데이터 제공 장치(200)일 수 있다.
통신망(400)은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 만화 데이터 제공 장치(200), 및/또는 서버(300)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통신망(400)은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 만화 데이터 제공 장치(200), 및/또는 서버(300) 간에 만화 데이터 또는 통계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통신망을 의미할 수 있다. 통신망(400)은 예컨대 LANs(Local Area Networks), WANs(Wide Area Networks), MANs(Metropolitan Area Networks), ISDNs(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등의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LANs, CDMA, 블루투스, 위성 통신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계 데이터 제공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계 데이터 제공 시스템(10)의 통계 데이터 제공 장치(500)는 통신부(510) 및 제어부(520)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510)는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 만화 데이터 제공 장치(200), 또는 서버(300) 중 적어도 하나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510)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통신부(510)는 통신망(400) 상에서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 만화 데이터 제공 장치(200), 서버(300), 또는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와 유무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유무선 신호는, 만화 데이터 또는 통계 데이터를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통신부(510)는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로 만화 데이터 또는 통계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고, 만화 데이터 제공 장치(200)로 통계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고, 서버(300)로 만화 데이터 또는 통계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510)는 만화 데이터 제공 장치(200)로부터 만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고, 서버(300)로부터 만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510)는 제어부(520)에서 생성한 통계 데이터를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 만화 데이터 제공 장치(200), 서버(300), 또는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로 송신할 수 있다.
통계 데이터 제공 장치(500)가 서버(300) 내에 포함되는 경우, 통신부(510)는 사용자의 만화 독서 패턴에 대한 데이터를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로부터 수신 받을 수 있다.
통신부(510)는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 만화 데이터 제공 장치(200), 서버(300), 또는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와 유무선 연결을 통해 만화 데이터 또는 통계 데이터를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제어부(520)는 통상적으로 통계 데이터 제공 장치(5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20)는, 통계 데이터 제공 장치(500)에 포함되는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통신부(510)를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메모리는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520)는 프로세서(processor)와 같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processor)'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520)는 사용자가 만화 데이터를 독서할 때, 사용자의 만화 독서 패턴들을 분석할 수 있다. 사용자의 만화 독서 패턴들에는 사용자가 만화 데이터를 독서할 때 클릭 또는 터치를 수행하는 횟수, 클릭 또는 터치를 수행하는 위치, 만화 데이터에서 스크롤 수행 여부, 스크롤을 수행하는 횟수, 또는 스크롤 속도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520)는 사용자의 만화 독서 패턴들을 분석하여 사용자의 만화 독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만화 독서 정보에는 사용자가 만화 데이터를 독서하는데 소비한 시간, 사용자가 만화 데이터를 반복하여 독서한 횟수, 사용자가 만화 데이터의 독서 중에 역방향으로 스크롤을 수행한 횟수, 사용자가 만화 데이터의 독서 중에 역방향으로 스크롤을 수행한 컷의 종류, 사용자가 중간에 읽기를 중단한 만화 데이터의 종류, 장르, 혹은 중단한 위치, 사용자가 반복하여 본 만화 데이터의 종류 혹은 장르, 사용자가 만화 데이터를 독서한 후 댓글 작성 여부, 사용자가 작성한 댓글이 긍정적인 내용인지 혹은 부정적인 내용인지 여부, 사용자가 만화 데이터에 피드백을 남겼는지 여부, 사용자가 남긴 피드백이 긍정적인지 혹은 부정적인지 여부, 사용자가 만화 데이터를 시청하는 장소, 사용자가 만화 데이터를 시청하는 시간대, 또는 사용자의 시선의 위치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만화 독서 정보에 사용자의 시선의 위치가 포함되는 경우, 통계 데이터 제공 장치(500)는 사용자의 시선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520)는 해당 센서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시선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520)는 사용자의 만화 독서 정보로부터 사용자의 통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520)는 사용자의 만화 독서 정보 자체를 사용자의 통계 데이터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만화 데이터를 독서하는데 소비한 시간 또는 사용자가 만화 데이터를 반복하여 독서한 횟수 등의 사용자의 만화 독서 정보는, 그 자체로 통계 데이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만화 독서 정보 자체를 통계 데이터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20)는 사용자의 만화 독서 정보를 수치화하여 사용자의 통계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이 때, 수치화된 통계 데이터의 수치는, 만화가나 만화 데이터 제공자의 입장에서 볼 때 사용자의 만화 독서 정보가 긍정적인지 혹은 부정적인지를 나타내는 수치일 수 있다. 사용자의 만화 독서 정보가 긍정적일수록 수치화된 통계 데이터의 수치를 높게 결정하는 경우의 예시를 들어보면, 사용자가 만화 데이터를 독서하는데 소비한 시간에 비례하게 수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만화 데이터를 반복하여 독서한 횟수에 비례하게 수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역방향으로 스크롤을 수행한 횟수에 비례하게 수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만화 데이터의 독서가 완료되기 전에 독서를 중단한 경우에는 수치를 낮게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만화 데이터를 독서한 후 댓글을 작성한 경우에는 수치를 높게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부정적인 내용의 댓글을 작성한 경우에는 수치를 낮게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만화 데이터에 좋아요 또는 싫어요 등으로 표시되는 피드백을 남긴 경우에는 수치를 높게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싫어요와 같이 부정적인 피드백을 남긴 경우에는 수치를 낮게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520)에서 생성한 통계 데이터는 통신부(510)를 통하여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 만화 데이터 제공 장치(200), 서버(300), 또는 기지국 중 적어도 하나로 송신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통계 데이터 제공 장치(500)는 외부 장치에 통계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520)는 서로 다른 사용자들을 구분하여, 각 사용자 별 만화 독서 패턴들을 분석할 수 있고, 각 사용자 별 만화 독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20)는 제1 사용자의 만화 독서 패턴들을 분석하여 제1 만화 독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제어부(520)는 제1 사용자와 다른 제2 사용자의 만화 독서 패턴들을 분석하여 제2 만화 독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520)는 서로 다른 사용자들을 구분하여, 각 사용자 별 통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20)는 제1 만화 독서 정보로부터 제1 통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고, 제어부(520)는 제2 만화 독서 정보로부터 제2 통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제1 및 제2 통계 데이터는 서로 구분되어 통신부(510)를 통하여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 만화 데이터 제공 장치(200), 또는 서버(300) 중 적어도 하나로 송신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통계 데이터 제공 장치(500)는 외부 장치에 사용자 별로 구분된 통계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520)는 서로 다른 만화 데이터를 구분하여, 각 만화 데이터에 대한 사용자의 만화 독서 패턴들을 분석할 수 있고, 사용자의 각 만화 데이터 별 만화 독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20)는 제1 사용자가 제1 만화 데이터를 독서할 때의 만화 독서 패턴들을 분석하여 제3 만화 독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제어부(520)는 제1 만화 데이터와 다른 제2 만화 데이터를 제1 사용자가 독서할 때의 만화 독서 패턴들을 분석하여 제4 만화 독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520)는 서로 다른 만화 데이터를 구분하여, 각 만화 데이터 별 통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20)는 제3 만화 독서 정보로부터 제3 통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고, 제어부(520)는 제4 만화 독서 정보로부터 제4 통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제3 및 제4 통계 데이터는 서로 구분되어 통신부(510)를 통하여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 만화 데이터 제공 장치(200), 또는 서버(300) 중 적어도 하나로 송신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통계 데이터 제공 장치(500)는 외부 장치에 만화 데이터 별로 구분된 통계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520)는 동일한 시리즈의 복수의 만화 데이터, 동일한 장르의 복수의 만화 데이터, 또는 동일한 작가가 작성한 복수의 만화 데이터를 사용자가 독서할 때의 만화 독서 패턴들을 분석하여 하나의 통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520)는 제1 사용자가 제1 만화 데이터를 독서할 때의 만화 독서 패턴들을 분석하고, 제1 만화 데이터와 동일한 시리즈인 제2 만화 데이터를 제1 사용자가 독서할 때의 만화 독서 패턴들을 분석하여, 하나의 만화 독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후, 해당 만화 독서 정보로부터 하나의 통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제어부(520)는 제1 사용자가 제1 만화 데이터를 독서할 때의 만화 독서 패턴들을 분석하여 제5 만화 독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제1 만화 데이터와 동일한 시리즈인 제2 만화 데이터를 제1 사용자가 독서할 때의 만화 독서 패턴들을 분석하여 제6 만화 독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 후, 제5 만화 독서 정보 및 제6 만화 독서 정보로부터 하나의 통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통계 데이터 제공 장치(500)는 동일한 시리즈의 복수의 만화 데이터, 동일한 장르의 복수의 만화 데이터, 또는 동일한 작가가 작성한 복수의 만화 데이터로부터 하나의 통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한 통계 데이터를 외부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520)는 만화 데이터의 각 영역별 특징을 고려하면서 만화 독서 패턴을 분석할 수 있고, 서로 유사한 컨텐츠가 존재하는 영역들을 사용자가 독서할 때의 만화 독서 패턴들을 분석하여 하나의 통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만화 데이터의 제1 일부 영역 및 제2 일부 영역에는 화려한 이펙트가 포함된 액션이 묘사되어 있고, 제3 일부 영역에는 정적인 풍경이 묘사되어 있는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520)는 제1 일부 영역과 제2 일부 영역에는 서로 유사한 컨텐츠가 존재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520)는 제1 일부 영역 및 제2 일부 영역을 사용자가 독서할 때의 만화 독서 패턴들을 분석하여 하나의 만화 독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해당 만화 독서 정보로부터 하나의 통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반면, 제3 일부 영역은 제1 일부 영역과 서로 상이한 컨텐츠가 존재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520)는 제1 일부 영역을 사용자가 독서할 때의 만화 독서 패턴들을 분석하여 제7 만화 독서 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제3 일부 영역을 사용자가 독서할 때의 만화 독서 패턴들을 분석하여 제8 만화 독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520)는 제7 만화 독서 정보로부터 제5 통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고, 제어부(520)는 제8 만화 독서 정보로부터 제6 통계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제5 및 제6 통계 데이터는 서로 구분되어 통신부(510)를 통하여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 만화 데이터 제공 장치(200), 또는 서버(300) 중 적어도 하나로 송신될 수 있다. 만화 데이터의 영역별 특징에는 각 영역에 포함된 컷의 개수, 컷의 내용, 텍스트의 개수, 이펙트의 개수, 이펙트의 종류, 등장 물체의 개수, 등장 물체의 종류, 광고 컨텐츠의 포함 여부, 또는 포함된 광고 컨텐츠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520)는 사용자에 대한 통계 데이터를 생성하는 과정에서, 해당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정보를 고려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신이 미성년자라고 사용자가 직접 정보를 입력한 경우, 제어부(520)는 해당 사실을 적시하여 통계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정보는 사용자 자신이 생각하는 자신의 만화 독서 속도, 사용자 자신이 생각하는 자신의 글 읽기 속도, 사용자의 나이, 사용자가 좋아하는 만화 장르, 사용자가 더 오랫동안 보기 원하는 장면이나 더 짧게 보기 원하는 장면, 사용자가 좋아하는 그림의 종류, 사용자의 만화 읽는 습관, 또는 사용자가 미성년자, 노약자, 혹은 임산부인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계 데이터 제공 장치(500)가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 내에 포함되는 경우, 제어부(520)는 만화 데이터가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520)는 만화 데이터의 일부 영역이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만화 데이터를 표시하라는 명령이 입력된 경우, 제어부(520)는 만화 데이터의 일부 영역이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520)는 만화 데이터의 가장 처음 영역이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해당 만화 데이터의 중간 영역까지 과거에 독서한 경험이 있는 경우, 제어부(520)는 만화 데이터의 해당 중간 영역이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계 데이터 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흐름도는, 도 2에 도시된 통계 데이터 제공 장치(500)에서 시계열적으로 처리되는 단계들로 구성된다. 따라서, 이하에서 생략된 내용이라 하더라도, 도 2에서 도시된 구성들에 관하여 이상에서 기술된 내용은 도 3에 도시된 흐름도에도 적용됨을 알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만화 데이터와 관련된 통계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은, 사용자가 만화 데이터를 독서할 때, 제어부가 사용자의 만화 독서 패턴을 분석하여 만화 독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100 단계), 획득한 만화 독서 정보로부터 제어부가 통계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S200 단계), 및 생성한 통계 데이터를 통신부가 외부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S300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만화 데이터 표시 방법은, 제어부가 사용자의 시선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의 만화 독서 정보는 검출된 사용자의 시선의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만화 데이터의 예시적인 형태 및 만화 데이터가 표시 장치 상에 표시되는 예시적인 형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제1 만화 데이터(600)는 복수의 컷들(602)을 포함할 수 있다.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10)에는 제1 만화 데이터(600)의 일부 영역(604)이 표시될 수 있다.
제1 만화 데이터(600)는 제1 방향으로 제1 길이(L1)의 길이를 가지고, 상기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제2 길이(L2)의 길이를 가지는 직사각형 형태의 영상 데이터일 수 있다. 이때, 제2 길이(L2)는 제1 길이(L1) 보다 현저히 길 수 있다.
제1 만화 데이터(600)는 복수의 컷들(602)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컷들(602) 각각은 문자, 그림, 또는 사진 등 시각적으로 인지될 수 있고, 상대방에게 시각적인 형태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객체 또는 해당 객체들의 집합일 수 있다.
제1 만화 데이터(600)의 일부 영역(604)은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될 수 있다. 즉, 제1 만화 데이터(600) 전체가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10)에 한번에 전부 표시되기 힘들 정도로, 제1 만화 데이터(600)는 크기가 큰 영상 데이터일 수 있다. 또한, 제1 만화 데이터(600)가 제2 길이(L2)가 제1 길이(L1) 보다 현저히 긴 영상 데이터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만화 데이터(600)의 일부 영역(604) 만이 일 순간에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될 수 있고, 제1 만화 데이터(600)의 다른 영역은 다른 순간에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될 수 있다.
도 4a는 만화 데이터의 일 예시 형태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고, 만화 데이터는 직사각형 형태가 아닌 다른 다각형 형태, 혹은 원형의 형태를 가지는 영상 데이터일 수도 있고, 만화 데이터는 영상 데이터뿐 아니라 소리 데이터도 포함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계 데이터 제공 장치에서 통계 데이터 생성을 위한 만화 독서 정보를 획득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제1 만화 데이터(600)는 제1 만화 데이터(600)의 제1 일부 영역(606a), 제2 일부 영역(606b), 및 제3 일부 영역(606c)을 포함할 수 있다.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10)에는 제1 만화 데이터(600)의 제1 일부 영역(606a), 제2 일부 영역(606b), 또는 제3 일부 영역(606c)이 표시될 수 있다.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10)에는 제2 만화 데이터의 일부 영역(608)이 표시될 수 있다.
통계 데이터 제공 장치(500)는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10)에 각각의 일부 영역들이 표시되는 시간에 대한 만화 독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b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는 제1 일부 영역(606a)을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할 수 있다. 이 후,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의 사용자의 직접적 혹은 간접적인 명령에 의해서 제2 일부 영역(606b)을 표시하라는 명령이 수신되면, 도 5b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는 제2 일부 영역(606b)을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통계 데이터 제공 장치(500)는 제1 일부 영역(606a)이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된 시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제1 일부 영역(606a)이 디스플레이부(110)에 제1 시간(T1)만큼 표시된 후 제2 일부 영역(606b)이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되는 상태로 전환된 경우, 통계 데이터 제공 장치(500)는 제1 일부 영역(606a)이 제1 시간(T1) 동안 표시되었다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 5b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는 제2 일부 영역(606b)을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할 수 있다. 이 후,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의 사용자의 직접적 혹은 간접적인 명령에 의해서 제3 일부 영역(606c)을 표시하라는 명령이 수신되면, 도 5b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는 제3 일부 영역(606c)을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통계 데이터 제공 장치(500)는 제2 일부 영역(606b)이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된 시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제2 일부 영역(606b)이 디스플레이부(110)에 제2 시간(T2)만큼 표시된 후 제3 일부 영역(606c)이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되는 상태로 전환된 경우, 통계 데이터 제공 장치(500)는 제2 일부 영역(606b)이 제2 시간(T2) 동안 표시되었다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5b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일부 영역(606c)이 제1 만화 데이터(600)의 마지막 영역인 경우,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는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의 사용자의 직접적 혹은 간접적인 명령에 의해서 제1 만화 데이터(600)의 표시를 종료하라는 명령이 수신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5b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는 제1 만화 데이터(600)와 다른 제2 만화 데이터의 일부 영역(608)을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통계 데이터 제공 장치(500)는 제3 일부 영역(606c)이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된 시간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제3 일부 영역(606c)이 디스플레이부(110)에 제3 시간(T3)만큼 표시된 후 화면 전환이 발생한 경우, 통계 데이터 제공 장치(500)는 제3 일부 영역(606c)이 제3 시간(T3) 동안 표시되었다는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통계 데이터 제공 장치(500)가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인 경우, 통계 데이터 제공 장치(500)는 디스플레이부(110)에 각각의 일부 영역들이 표시되는 시간을 직접 측정할 수 있다. 통계 데이터 제공 장치(500)가 서버(300)인 경우, 통계 데이터 제공 장치(500)는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10)에 각각의 일부 영역들이 표시되는 시간을 직접 측정할 수도 있고,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로부터 전송 받을 수도 있다.
도 5b의 (d)에서는 제1 만화 데이터(600)와 다른 제2 만화 데이터의 일부 영역(608)이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만화 데이터(600)를 포함하는 만화 시리즈의 목록이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될 수도 있고, 제1 만화 데이터(600)와 연관성이 없는 별개의 영상이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될 수도 있다.
통계 데이터 제공 장치(500)는 사용자가 역방향으로 스크롤을 수행한 횟수 또는 사용자가 역방향으로 스크롤을 수행한 컷의 종류에 대한 만화 독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c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는 제1 일부 영역(606a)을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할 수 있다. 이 후,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의 사용자의 직접적 혹은 간접적인 명령에 의해서 제2 일부 영역(606b)을 표시하라는 명령이 수신되면, 도 5c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는 제2 일부 영역(606b)을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할 수 있다. 이 후,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의 사용자의 직접적 혹은 간접적인 명령에 의해서 제3 일부 영역(606c)을 표시하라는 명령이 수신되면, 도 5c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는 제3 일부 영역(606c)을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할 수 있다. 이 후,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의 사용자의 직접적 혹은 간접적인 명령에 의해서 제2 일부 영역(606b)을 다시 표시하라는 명령이 수신되면, 도 5c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는 제2 일부 영역(606b)을 디스플레이부(110)에 다시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통계 데이터 제공 장치(500)는 사용자가 역방향으로 만화 데이터를 스크롤하라는 명령을 입력한 사실을 검출할 수 있다. 사용자의 역방향으로 만화 데이터를 스크롤하라는 명령은 사용자의 입력 장치를 통한 역방향으로의 스크롤일 수 있다. 이 경우, 통계 데이터 제공 장치(500)는 사용자의 역방향으로의 스크롤 수행 횟수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통계 데이터 제공 장치(500)는 사용자가 역방향으로 스크롤을 수행한 컷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5b 및 도 5c에서는 통계 데이터 제공 장치(500)가 획득하는 만화 독서 정보의 예시로 사용자가 만화 데이터를 독서하는데 소비한 시간, 사용자가 역방향으로 스크롤을 수행한 횟수, 또는 사용자가 역방향으로 스크롤을 수행한 컷의 종류가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통계 데이터 제공 장치(500)가 획득할 수 있는 만화 독서 정보에는 사용자가 만화 데이터를 반복하여 독서한 횟수, 사용자가 중간에 읽기를 중단한 만화 데이터의 종류, 장르, 혹은 중단한 위치, 사용자가 반복하여 본 만화 데이터의 종류 혹은 장르, 사용자가 만화 데이터를 독서한 후 댓글 작성 여부, 사용자가 작성한 댓글이 긍정적인 내용인지 혹은 부정적인 내용인지 여부, 사용자가 만화 데이터에 피드백을 남겼는지 여부, 사용자가 남긴 피드백이 긍정적인지 혹은 부정적인지 여부, 사용자가 만화 데이터를 시청하는 장소, 사용자가 만화 데이터를 시청하는 시간대, 또는 사용자의 시선의 위치 등 만화 데이터를 독서하는 사용자에 대한 다양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통계 데이터를 활용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10)에는 만화 데이터의 일부 영역이 표시될 수 있다. 만화 데이터의 일부 영역은 제1 컷(610)을 포함할 수 있다.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는 만화 데이터의 일부 영역을 표시할 때 사용자의 통계 데이터에 기초하여 특정 레이어를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하거나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통계 데이터를 참조할 경우 사용자가 공포 만화 데이터를 독서하는 빈도수가 높은 경우에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는 귀신(612)이 표시되는 제1 컷(610a)을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통계 데이터를 참조할 경우 사용자가 임산부 혹은 노약자이거나, 공포 만화 데이터를 즐기지 않는 경우에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는 귀신(612)이 표시되지 않는 제1 컷(610b)을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할 수 있다.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가 통계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하거나 표시하지 않을 레이어를 결정할 수도 있고, 서버(300)가 통계 데이터에 기초하여 표시할 레이어만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로 송신하고, 표시하지 않을 레이어는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100)로 송신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6a 및 도 6b에서는 통계 데이터를 활용하는 예시로 특정 레이어의 표시 여부가 개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통계 데이터는, 사용자에게 추천할 만화 데이터 선택, 사용자의 스크롤 동작에 대응하는 만화 데이터 스크롤 분량의 결정, 특정 위치에 광고 이미지의 삽입 여부의 결정, 삽입할 광고 이미지의 종류의 결정, 만화가의 참고용 데이터, 또는 만화 제공자의 참고용 데이터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컴퓨터 상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속 저장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임시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개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애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
한편,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통계 데이터 제공 시스템
100: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
200: 만화 데이터 제공 장치
300: 서버
400: 통신망
500: 통계 데이터 제공 장치
510: 통신부
520: 제어부

Claims (27)

  1. 만화 데이터와 관련된 통계 데이터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어부가 제1 사용자가 제1 만화 데이터를 독서할 때의 상기 제1 사용자의 만화 독서 패턴을 분석하여 제1 만화 독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어부가 상기 획득한 제1 만화 독서 정보로부터 제1 통계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통신부가 상기 생성한 제1 통계 데이터를 외부 장치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만화 데이터의 영역별 특징을 고려하면서 상기 제1 사용자의 만화 독서 패턴을 분석하여 제1 만화 독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만화 데이터의 영역별 특징은, 각 영역에 포함된 컷의 개수, 컷의 내용, 텍스트의 개수, 이펙트의 개수, 이펙트의 종류, 등장 물체의 개수, 등장 물체의 종류, 광고 컨텐츠의 포함 여부, 또는 포함된 광고 컨텐츠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계 데이터 제공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와 다른 제2 사용자의 만화 독서 패턴을 분석하여 제2 만화 독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한 제2 만화 독서 정보로부터 제2 통계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한 제2 통계 데이터를 상기 제1 통계 데이터와 구분하여 상기 외부 장치에 제공하는, 통계 데이터 제공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만화 데이터와 다른 제2 만화 데이터를 상기 제1 사용자가 독서할 때의 만화 독서 패턴을 분석하여 제3 만화 독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획득한 제3 만화 독서 정보로부터 제3 통계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생성한 제3 통계 데이터를 상기 제1 통계 데이터와 구분하여 상기 외부 장치에 제공하는, 통계 데이터 제공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만화 데이터와 동일한 시리즈의 만화 데이터, 상기 제1 만화 데이터와 동일한 장르의 만화 데이터, 또는 상기 제1 만화 데이터와 동일한 만화가가 작성한 만화 데이터를 상기 제1 사용자가 독서할 때의 만화 독서 패턴을 분석하여 상기 제1 만화 독서 정보를 획득하는, 통계 데이터 제공 방법.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만화 데이터와 동일한 시리즈의 만화 데이터, 상기 제1 만화 데이터와 동일한 장르의 만화 데이터, 또는 상기 제1 만화 데이터와 동일한 만화가가 작성한 만화 데이터를 상기 제1 사용자가 독서할 때의 만화 독서 패턴을 분석하여 제4 만화 독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만화 독서 정보 및 상기 제4 만화 독서 정보를 함께 고려하여 상기 제1 통계 데이터를 생성하는, 통계 데이터 제공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가 서로 유사한 컨텐츠가 존재하는 영역들을 독서할 때의 만화 독서 패턴들을 분석하고,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분석된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유사한 컨텐츠가 존재하는 영역들의 독서에 대한 하나의 통계 데이터를 생성하는, 통계 데이터 제공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만화 독서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제1 만화 데이터를 독서하는데 소비한 시간,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제1 만화 데이터를 반복하여 독서한 횟수,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제1 만화 데이터를 독서 중에 역방향으로 스크롤을 수행한 횟수,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제1 만화 데이터를 독서 중에 역방향으로 스크롤을 수행한 컷의 종류,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제1 만화 데이터에 대한 독서 중단 여부,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제1 만화 데이터에 대한 댓글 작성 여부, 상기 제1 사용자가 작성한 댓글이 긍정적인 내용인지 혹은 부정적인 내용인지 여부,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제1 만화 데이터에 대한 피드백 여부, 또는 상기 제1 사용자의 피드백이 긍정적인지 혹은 부정적인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계 데이터 제공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1 사용자의 시선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만화 독서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시선의 위치를 포함하는, 통계 데이터 제공 방법.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만화 독서 정보를 수치화하여 상기 제1 통계 데이터를 생성하는, 통계 데이터 제공 방법.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만화 독서 정보 자체를 상기 제1 통계 데이터로 결정하는, 통계 데이터 제공 방법.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입력 정보를 고려하여 제1 통계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입력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의 만화 독서 속도, 상기 제1 사용자의 글 읽기 속도, 상기 제1 사용자의 나이, 상기 제1 사용자가 좋아하는 장르, 상기 제1 사용자가 좋아하는 장면, 또는 상기 제1 사용자의 노약자 혹은 임산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계 데이터 제공 방법.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는, 상기 제1 사용자가 만화를 독서하는데 사용하는 장치, 상기 제1 만화 데이터의 만화가가 만화를 제공하는데 사용하는 장치, 또는 상기 제1 만화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계 데이터 제공 방법.
  13. 컴퓨터를 이용하여 제1 항 내지 제12 항의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4. 제1 항 내지 제12 항의 방법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컴퓨터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배포하는 배포 서버.
  15. 제1 사용자가 제1 만화 데이터를 독서할 때의 상기 제1 사용자의 만화 독서 패턴을 분석하여 제1 만화 독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제1 만화 독서 정보로부터 제1 통계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생성한 제1 통계 데이터를 외부 장치에 제공하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만화 데이터의 영역별 특징을 고려하면서 상기 제1 사용자의 만화 독서 패턴을 분석하여 제1 만화 독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만화 데이터의 영역별 특징은, 각 영역에 포함된 컷의 개수, 컷의 내용, 텍스트의 개수, 이펙트의 개수, 이펙트의 종류, 등장 물체의 개수, 등장 물체의 종류, 광고 컨텐츠의 포함 여부, 또는 포함된 광고 컨텐츠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계 데이터 제공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사용자와 다른 제2 사용자의 만화 독서 패턴을 분석하여 제2 만화 독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제2 만화 독서 정보로부터 제2 통계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제2 통계 데이터를 상기 제1 통계 데이터와 구분하여 상기 외부 장치에 제공하는, 통계 데이터 제공 장치.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만화 데이터와 다른 제2 만화 데이터를 상기 제1 사용자가 독서할 때의 만화 독서 패턴을 분석하여 제3 만화 독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제3 만화 독서 정보로부터 제3 통계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한 제3 통계 데이터를 상기 제1 통계 데이터와 구분하여 상기 외부 장치에 제공하는, 통계 데이터 제공 장치.
  18.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만화 데이터와 동일한 시리즈의 만화 데이터, 상기 제1 만화 데이터와 동일한 장르의 만화 데이터, 또는 상기 제1 만화 데이터와 동일한 만화가가 작성한 만화 데이터를 상기 제1 사용자가 독서할 때의 만화 독서 패턴을 분석하여 상기 제1 만화 독서 정보를 획득하는, 통계 데이터 제공 장치.
  19.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만화 데이터와 동일한 시리즈의 만화 데이터, 상기 제1 만화 데이터와 동일한 장르의 만화 데이터, 또는 상기 제1 만화 데이터와 동일한 만화가가 작성한 만화 데이터를 상기 제1 사용자가 독서할 때의 만화 독서 패턴을 분석하여 제4 만화 독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만화 독서 정보 및 상기 제4 만화 독서 정보를 함께 고려하여 상기 제1 통계 데이터를 생성하는, 통계 데이터 제공 장치.
  20.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사용자가 서로 유사한 컨텐츠가 존재하는 영역들을 독서할 때의 만화 독서 패턴들을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유사한 컨텐츠가 존재하는 영역들의 독서에 대한 하나의 통계 데이터를 생성하는, 통계 데이터 제공 장치.
  21.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만화 독서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제1 만화 데이터를 독서하는데 소비한 시간,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제1 만화 데이터를 반복하여 독서한 횟수,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제1 만화 데이터를 독서 중에 역방향으로 스크롤을 수행한 횟수, 상기 제1 사용자가 상기 제1 만화 데이터를 독서 중에 역방향으로 스크롤을 수행한 컷의 종류,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제1 만화 데이터에 대한 독서 중단 여부,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제1 만화 데이터에 대한 댓글 작성 여부, 상기 제1 사용자가 작성한 댓글이 긍정적인 내용인지 혹은 부정적인 내용인지 여부, 상기 제1 사용자의 상기 제1 만화 데이터에 대한 피드백 여부, 또는 상기 제1 사용자의 피드백이 긍정적인지 혹은 부정적인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계 데이터 제공 장치.
  22.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시선의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제1 만화 독서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의 시선의 위치를 포함하는, 통계 데이터 제공 장치.
  23.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만화 독서 정보를 수치화하여 상기 제1 통계 데이터를 생성하는, 통계 데이터 제공 장치.
  24.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만화 독서 정보 자체를 상기 제1 통계 데이터로 결정하는, 통계 데이터 제공 장치.
  25.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입력 정보를 고려하여 제1 통계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입력 정보는, 상기 제1 사용자의 만화 독서 속도, 상기 제1 사용자의 글 읽기 속도, 상기 제1 사용자의 나이, 상기 제1 사용자가 좋아하는 장르, 상기 제1 사용자가 좋아하는 장면, 또는 상기 제1 사용자가 미성년자, 노약자, 혹은 임산부인지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계 데이터 제공 장치.
  2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통계 데이터 제공 장치는, 상기 제1 사용자가 만화를 독서하는데 사용하는 장치이고,
    상기 외부 장치는, 상기 제1 만화 데이터의 만화가가 만화를 작성하는데 사용하는 장치, 제2 사용자가 만화를 독서하는데 사용하는 장치, 또는 상기 제1 만화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계 데이터 제공 장치.
  2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통계 데이터 제공 장치는, 상기 제1 만화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이고,
    상기 외부 장치는, 상기 제1 사용자가 만화를 독서하는데 사용하는 장치 또는 상기 제1 만화 데이터의 만화가가 만화를 작성하는데 사용하는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계 데이터 제공 장치.
KR1020160157422A 2016-11-24 2016-11-24 통계 데이터 제공 방법 및 통계 데이터 제공 장치 KR1017962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7422A KR101796221B1 (ko) 2016-11-24 2016-11-24 통계 데이터 제공 방법 및 통계 데이터 제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7422A KR101796221B1 (ko) 2016-11-24 2016-11-24 통계 데이터 제공 방법 및 통계 데이터 제공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9730A Division KR101685106B1 (ko) 2015-02-09 2015-02-09 통계 데이터 제공 방법 및 통계 데이터 제공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7497A true KR20160137497A (ko) 2016-11-30
KR101796221B1 KR101796221B1 (ko) 2017-11-10

Family

ID=57707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7422A KR101796221B1 (ko) 2016-11-24 2016-11-24 통계 데이터 제공 방법 및 통계 데이터 제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62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6939B1 (ko) * 2020-09-08 2021-01-25 (주)웅진씽크빅 독서 유형에 따른 전자 도서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434056B1 (ko) * 2022-05-20 2022-08-19 주식회사 패스트레인 디바이스의 인스턴스 노출시간에 적응적인 정책수립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0161B1 (ko) 1999-09-03 2002-01-10 김상룡 전자출판물 시스템에 적합한 휴대용단말기
JP2007141059A (ja) * 2005-11-21 2007-06-07 National Institute Of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読書支援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6939B1 (ko) * 2020-09-08 2021-01-25 (주)웅진씽크빅 독서 유형에 따른 전자 도서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11747914B2 (en) 2020-09-08 2023-09-05 Woongjin Thinkbig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electric book based on reading type
KR102434056B1 (ko) * 2022-05-20 2022-08-19 주식회사 패스트레인 디바이스의 인스턴스 노출시간에 적응적인 정책수립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6221B1 (ko) 2017-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5105B1 (ko) 만화 데이터 표시 방법 및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
US11700220B2 (en) Generation of electronic media content collections
US10430559B2 (en) Digital rights management in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US8510287B1 (en) Annotating personalized recommendations
US20150178388A1 (en) Interactive communication augmented with contextual information
US20210382934A1 (en) Dynamic search control invocation and visual search
KR20150017015A (ko) 이미지 카드 공유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기기
US20220334693A1 (en) User interfaces for managing visual content in media
KR101650153B1 (ko) 만화 데이터 편집 방법 및 만화 데이터 편집 장치
US10345988B2 (en) Cursor and cursor-hover based on user state or sentiment analysis
KR101685106B1 (ko) 통계 데이터 제공 방법 및 통계 데이터 제공 장치
KR101796221B1 (ko) 통계 데이터 제공 방법 및 통계 데이터 제공 장치
US9910916B1 (en) Digital content excerpt identification
US11696017B2 (en) User interface for managing audible descriptions for visual media
US20200065604A1 (en) User interface framework for multi-selection and operation of non-consecutive segmented information
KR101646191B1 (ko) 만화 데이터 표시 방법 및 만화 데이터 표시 장치
KR20160113070A (ko) 만화 데이터 편집 방법 및 만화 데이터 편집 장치
US12001642B2 (en) User interfaces for managing visual content in media
JP7462856B2 (ja) メディア内の視覚コンテンツを管理する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US20230229279A1 (en) User interfaces for managing visual content in media
KR20170075705A (ko) 만화 데이터 편집 방법 및 만화 데이터 편집 장치
US20140108926A1 (en) Using metadata
Grubert Mobile Augmented Reality for Information Surfaces
CN117061692A (zh) 在视频通话期间渲染定制视频通话界面
KR20220023424A (ko) 급상승 검색어에 대한 연관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