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7166A - 광고 표시가 가능한 무선 충전 테이블 - Google Patents

광고 표시가 가능한 무선 충전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7166A
KR20160137166A KR1020150071877A KR20150071877A KR20160137166A KR 20160137166 A KR20160137166 A KR 20160137166A KR 1020150071877 A KR1020150071877 A KR 1020150071877A KR 20150071877 A KR20150071877 A KR 20150071877A KR 20160137166 A KR20160137166 A KR 201601371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wireless
portable terminal
server
charging 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18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시환
Original Assignee
(주)드림미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드림미즈 filed Critical (주)드림미즈
Priority to KR10201500718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7166A/ko
Publication of KR20160137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71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2J7/02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폰 혹은 휴대 단말기를 충전하는 충전 테이블에서, 상기 충전 테이블은 각각을 구별할 수 있는 식별 부호가 존재하고, 상기 충전 테이블은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와 통신이 가능한 서버가 더 구비되어, 상기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에는 충전 테이블에 대한 정보가 존재하고, 상기 충전 테이블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에 광고가 표시되면, 광고가 표시되는 시간과 광고 정보가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므로서, 무선 충전이 가능한 스마트 테이블을 제공하지만, 무선 충전 테이블에서 스마트폰에 광고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하므로서 스마트 테이블에는 별도의 디스플레이가 구비됨 없이 스마트폰에 의하여 광고 표시가 가능하며, 스마트폰에 광고가 표시되게 되면 광고 표시 횟수를 기록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광고 표시가 가능한 무선 충전 테이블{The wireless charging table that display advertising}
광고 표시가 가능한 멀티 코일이 구비된 무선 충전 테이블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커피숍이나 식당 혹은 공공의 장소에서 사용되는 무선 충전 테이블에, 무선 충전부, 제어부, 메모리부, 통신부 등이 구비되어, 스마트폰 혹은 휴대 단말기를 무선으로 충전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광고도 표시할 수 있는 광고 표시가 가능한 멀티 코일이 구비된 무선 충전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피씨등 휴대 단말기의 경우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멀티 미디어 기기로 자리잡아 통신기능뿐만 아니라 엔터테인먼트, 교육, 업무 등 일상 생활 전반적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는 현대인의 필수 생활용품으로서 자리를 잡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스마트폰이나 태블릿 피씨)는 본체와 본체의 동작을 위해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본체에 결합된 배터리로 구성된다. 통상적으로 휴대단말은 사용자가 조작하지 않을 경우에는 배터리 절약을 위하여 Power Saving 모드로 동작을 하지만,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단말은 사용자의 빈번한 기기조작 및 사용이 아니더라도 GPS를 통한 자동 위치 추적과 각종 어플리케이션의 푸싱 기능 등으로 사용하지 않더라도 배터리가 급속히 소진되어 버려서, 수시로 배터리를 충전하거나 여분의 보조 배터리를 휴대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상기와 같은 배터리 방전을 대비하여 휴대단말 사용자는 가정용 전원을 이용하는 배터리 충전장치를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하여 사용한다. 또한, 사용자에 따라서는 배터리를 장착한 휴대단말과는 별도로 충전된 예비 배터리를 1∼2개 정도 가지고 다니다가, 휴대단말에 장착된 배터리가 방전된 경우, 방전된 배터리를 예비 배터리로 교체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이러한 현실에 비추어 볼 때 식당, 카페 혹은 편의점 등에서 고객의 편의를 위하여 휴대 단말기를 무선으로 충전할 수 있는 충전 테이블을 제공할 필요가 있게 된다.
물론, 대한민국 공개 특허 10-2014-0073390 호 에서는 “디스플레이 및 휴대단말과 연결할 수 있는 출력단자를 구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충전기, 및 상기 충전기를 적층 방식으로 적어도 두 개 이상 거치 수용할 수 있으며, 병렬 방식으로 상기 충전기에 충전 전원을 공급하는 어댑터를 포함하며, 상기 충전기는 상기 어댑터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충전모드와, 상기 어댑터와 분리되어 휴대단말과 연결됨으로써 상기 어댑터를 통해 충전된 전원을 상기 휴대단말에 공급하는 방전모드로 동작하며, 상기 방전모드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서 소정의 컨텐츠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충전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408873 호 에서는 “충전기의 상기 연결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부면에 형성되며 양의 전극과 음의 전극을 포함하는 상부 전극과, 상기 상부 전극과 대응되는 상기 본체부의 하부면에 형성되며 양의 전극과 음의 전극을 포함하는 하부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 전극과 하부 전극은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 전극이 상기 하부 전극에 삽입됨으로써 인접한 두 개의 충전기 간에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기구적으로 인접한 두 개의 충전기 간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충전기는 상기 어댑터와 분리되어 휴대단말과 연결됨으로써 상기 어댑터를 통해 충전된 전원을 상기 휴대단말에 공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 충전장치.”를 제공한다.
하지만, 무선 충전 테이블에서 스마트폰을 직접 충전하고, 스마트폰에 광고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무선 충전 테이블이 아직 제안되고 있는 것은 아니며, 따라서 스마트폰에 광고를 표시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충전 테이블에는 별도의 디스플레이가 구비되지 않아도 되는 충전 테이블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선행기술 1 : 대한민국 공개 특허 : 10-2014-0073390 (2014년06월16일) 선행기술 2 : 대한민국 등록 특허 : 10-1408873 (2014년06월11일)
무선 충전이 가능한 스마트 테이블을 제공하지만, 무선 충전 테이블에서 스마트폰에 광고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하므로서 스마트 테이블에는 별도의 디스플레이가 구비됨 없이 스마트폰에 의하여 광고 표시가 가능하며, 스마트폰에 광고가 표시되게 되면 광고 표시 횟수를 기록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스마트폰 혹은 휴대 단말기를 충전하는 충전 테이블에서, 상기 충전 테이블은 각각을 구별할 수 있는 식별 부호가 존재하고, 상기 충전 테이블은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와 통신이 가능한 서버가 더 구비되어, 상기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에는 충전 테이블에 대한 정보가 존재하고, 상기 충전 테이블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에 광고가 표시되면, 광고가 표시되는 시간과 광고 정보가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는 유선 충전으로 휴대 단말기를 충전할 수 있고, 무선으로도 휴대 단말기를 충전할 수 있다.
또한,상기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에는 충전 테이블에 전송하는 광고 정보가 저장될 때,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가 구비되는 영역별로 광고가 구별되어 저장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무선 충전이 가능한 스마트 테이블을 제공하지만, 무선 충전 테이블에서 스마트폰에 광고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하므로서 스마트 테이블에는 별도의 디스플레이가 구비됨 없이 스마트폰에 의하여 광고 표시가 가능하며, 스마트폰에 광고가 표시되게 되면 광고 표시 횟수를 기록할 수 있게 된다.
도 1 은 본원 발명의 충전 테이블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2와 도3은 서버와 충전 테이블과의 연결 방법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4내지 도 6은 본원 발명에서 사용되는 블럭도를 나타내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7은 NFC 안테나 코일과 무선 충전 안테나 코일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8과 도 9는 자동으로 무선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0은 본원 발명의 충전 테이블(20)의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1은 충전 테이블의 무선 충전 과정을 나타내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고 표시가 가능한 충전 테이블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필요한 통상의 기술에 대해서는 상세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무선 충전 가능한 시대에 무선 충전이 가능한 충전 테이블을 구비할 수 있고, 또한 다양한 광고 콘텐츠를 중앙에서 제어하여 광고를 표시할 수도 있는 광고 표시가 가능한 충전 테이블을 제공하고자 한다.
도 1 은 본원 발명의 충전 테이블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테이블(20)에 무선 충전 패드(10)가 장착되고, 스마트폰(혹은 휴대 단말기)(30)을 충전 테이블에서 무선 충전 패드(10)위에 올려 놓게 되면 스마트폰은 충전이 된다. 이때, 무선 충전 패드(10)는 무선으로 전력을 송신하는 안테나 코일이 내장된 필름 혹은 판으로, 플라스틱 필름 혹은 플라스틱 판이 안테나 코일을 감싼 형태로서 통상의 무선 충전 패드를 의미한다.
그리고, 본원 발명의 또 다른 특징으로 스마트폰(30)의 디스플레이에 광고가 표시된다.
도 2와 도3은 서버와 충전 테이블과의 연결 방법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2는 로컬 서버가 구비된 실시예의 도면이다. 중앙에 서버(150)가 구비되고, 상기 서버(150)는 로컬 서버(173)와 유무선 통신 혹은 유무선 인터넷으로 연결되며, 상기 로컬 서버(173)는 충전 테이블(20)와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각각 연결된다. 이때, 유무선 통신 과 유무선 인터넷 및, 근거리 통신은 통상의 일반적인 실시 방법을 본원 발명에 적용하도록 한다.
중앙 서버(150)는 모든 로컬 서버(173)를 제어하고 로컬 서버와 통신을 통하여 정보를 주고 받는 서버이며, 로컬 서버(173)는 각각의 영업소(커피솝이나 식장 혹은 공공장소)에 구비되어 영업소 내부에 장치된 모든 충전 테이블(20-1)(20-2)(20-3) - - - (20-n)과 통신을 통하여 정보를 주고 받는다.
도 3은 로컬 서버가 구비되지 않은 실시예의 도면으로, 중앙의 서버(150)가 모든 충전 테이블(20-1)(20-2)(20-3) - - - (20-n)와 유무선 통신을 통하여 직접 정보를 주고 받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내지 도 6은 본원 발명에서 사용되는 블럭도를 나타내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4는 충전 테이블(20)에 구비된 충전 시스템의 블록도를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본원 발명에서 충전 시스템의 별도 도시는 생략되었지만, 충전 패드에 전원을 공급하고 광고 데이터를 스마트폰에 제공하고, 또한 서버 나 로컬 서버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충전 시스템은 충전 테이블(20) 내에 장착됨을 원칙으로 한다.
충전 테이블(20) 내에서 중앙제어 장치 기능을 하는 멀티 미디어 IC(65)가 구비된다. 그리고, 충전 테이블(20)은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주며 최종적으로는 12V 6A의 출력을 만들어주는 아답타(adapter)(본원 발명에서는 도시 생략)가 구비되어 전원이 공습 받을 수도 있지만 USB 단자를 통하여서도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하여간 아답타를 통하여 공급 받은 전원은 전원 공급을 조정하는 충전 IC(68)를 통하여 밧테리에 전원이 공급되게 된다.
그리고, 출력 전압을 조정하는 DC DC Set UP(70)을 통하고 USB(71)를 통하여 휴대 단말기(스마트폰)(30)에 전원이 공급된다.
그 밖에, 충전 테이블(20)의 운영 프로그램 알고리즘이나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68), 휴대용 충전기를 제어하는 버튼(64)(본원 발명에서는 별도 도시를 생략하였지만, on/off 버튼이나 충전 속도를 조정하는 버튼이 구비된다,)이 구비된다,
또한, 통신부(67)와 안테나가 구비되며, 휴대용 충전기(100)에 구비되는 통신 모듈은 WiFi, NFC, 혹은 원거리 통신망등 근거리와 원거리 통신이 가능한 통상의 통신 모듈을 모두 적용할 수가 있다.
이외에도, 디스플레이(61)와 상기 디스플레이(61)를 구동할 수 있는 구동부(61a)가 구비되어 정해진 이미지, 정보 및 동영상 등의 표시가 가능하다. 또한 디스플레이(61) 상단에 입력장치(63)와 입력장치 구동부(63a)가 구비되어, 원하는 정보를 입력하거나 원하는 메뉴를 선택할 수가 있다.
물론 상기 디스플레이(61)와 입력장치(63)는 반드시 구비되지 않아도 된다. 경우에 따라서 디스플레이(61)와 입력장치(63)가 구비 될 수도 있음을 보인 예일 뿐이다.
그리고, 추가적인 기능으로는 연결 단자를 통하여 외부의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컨버터(Converter) 등이 구비될 경우, 컨버터는 5 V에서 1 A 출력을 제공하는 컨버터와 5 V에서 2 A 출력을 제공하는 컨버터 2 가지가 구비되어 대용량의 휴대 단말기와 보통의 휴대 단말기를 모두 충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연결단자도 2개가 구비되어 본원 발명의 휴대용 충전기를 통하여 동시에 2 개의 휴대 단말기의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며, 일정하게 전류를 공급하여 주는 LDO(리니어 레귤레이터), 및 내장 밧테리(69)의 방전이나 충전 여부를 알려주며 Green 램프(밧테리의 Full 충전을 알려줌)와 Red 램프(밧테리의 방전을 알려줌)로 구성된 램프부등이 더 구비될 수가 있다.
아울러, 무선 충전이 가능하도록 무선 코일(62)과 무선 충전 모듈(62a)이 구비된다.
무선으로 전력 에너지를 공급하거나 수신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한 상세 설명을 생략하였지만, 무선충전모듈(62a)는 전력에너지를 송수신할 때 에 필요한 전자 부품이 포함된다. 즉, 안테나 루프 코일을 통하여 에너지를 무선으로 전송하고, 무선 에너지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상기 루프 코일에 전력을 변환하여 공급하여 주는 부품회로들이 포함되며, 또한 무선 에너지를 수신 받기 위해서는 수신된 전력 에너지를 사용 가능하도록 변환하여 주는 부품 회로들이 포함된다,
무선 충전기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방식은 WPC(Wireless Power Consortium) 방식으로, WPC 방식의 무선 전력 에너지가 전달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은 조건을 가진다.
"전압 : 7-15V(수신부 기준), 주파수 : 100 - 200kHz, 전류 : 5V (0.7A), 전력 : 3.5W, 코일의 인덕턴스 값 : 8 마이크로 헨리(Micro Henry) - 12 마이크로 헨리 "
한편, 코일과 콘덴서는 직렬로 연결된 구조를 가진다. 무선 전력 에너지 전달에서 매개체는 안테나 루프 코일(62)이며 상기 안테나 코일(62)은 콘덴서와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는데 직렬로 연결된다는 것이다.
또 다른 무선 충전 방식은 아래와 같다.
"전압 : 7-24V(수신부 기준), 주파수: 1MHz - 6.78MHz, 전류 : 5V(1A), 전력 : 5W, 코일의 인덕턴스 값 : 600nH(Nano Henry) - 2 마이크로 헨리 "
이때 상기에 표시된 전압과 전류 값은 상기의 숫자에 정확히 일치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범위를 나타냄은 당연하다.
그리고, 상기 무선충전모듈(62a)의 부품에는 충전 받고자 하는 휴대 단말기가 근접되어 올려 놓아지면, 충전 상황을 인식하여 무선 전력 에너지를 송신하는 통상의 시스템도 포함된다. 무선 코일(62)에 인가된 전류나 전압 차이를 인식하거나 통신을 통하여 무선 전력 에너지 송신을 멀티 미디어 IC(65)가 판단하는 것이다.
한편, 본원 발명의 휴대용 충전기에 구비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하여 도난 방지 역할 도 할 수 있게 된다. 즉, 매장에 구비된 로컬 서버(170)와 충전 테이블(20)은 근거리 통신이 가능하다.
도 5는 서버의 블록도를 간단히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통신 시스템 내에서의 서버(150)는 유무선 인터넷을 통하여 각종 정보 제공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성하고 있는 장치이다. 상기 서버(150) 관리자 혹은 운영자들이 정보를 입력 관리하는 입력부(152), 정보를 출력하거나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출력부(153), 각종 정보와 서비스 운영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 베이스부(151) 및 정보를 제어하고 통제하며 출력하는 것을 관장하는 제어부(155)가 구성된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도시 생략하였지만 인터넷 혹은 통신망을 통해 접속자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부가 더 구성되어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정보는 이미지, 동영상, 텍스트 등 모든 정보 파일을 의미한다.
도 6은 서버의 기능을 상세히 도시한 블록도이다. 서버(150) 내에는 제어부(155)가 구성되며, 상기 제어부(155)에는 데이터를 검색하는 데이터 검색부(155a), 데이터 처리부(155b) 및 접속기기(로컬 서버나 휴대용 충전기) 혹은 인터넷 회원(휴대용 충전기를 운영하는 식당의 단말기 혹은 편의점 단말기)들을 관리하고 운영하는 사이트 운영부(155c)로 구성된다.
아울러, 데이터베이스(151)가 더 구성되며, 상기 데이터베이스(151)에는 서버 운영과 관련된 정보가 저장된 운영 데이터베이스(151a), 각각의 회원 정보 포인트 관리 등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 정보 데이터 베이스(151b), 및 다수의 광고 정보, 회원 정보, 휴대용 충전기 개별 정보 등이 저장된 데이터 베이스(151c)로 구성된다.
한편, 서버(150)의 제어부(155)에서는 사이트 운영부(155c)가 접속자 기기에 대한 정보와 회원 가입여부 및 광고 콘텐츠 사용에 관한 정보 등을 판단하게 되며, 데어터 검색부(155a)에서는 접속자로부터 전송된 정보와 일치하는 정보를 데이터 베이스(55)통해 검색하며, 데이터 처리부(155b)에서는 검색된 데이터를 인터페이스(유무선통신망을 통한 통신 모듈)를 통해 접속기기(로컬 서버나 휴대용 충전기)에 전송하여 준다.
물론, 도 5와 도 6은 블록도 설명은 한 예이며, 본 발명의 서버는 유무선 인터넷 혹은 통신망을 통해 접속한 로컬 서버나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광고 정보 등을 제공하고, 충전 테이블에 대한 데이터, 영업소에 대한 데이터 등을 관리하고 제어하 것이다.
도 7은 NFC 안테나 코일과 무선 충전 안테나 코일을 나타낸 실시예의 도면이다.
본원 발명의 충전 테이블(20) 위에 스마트폰(30)이나 휴대 단말기 등을 밀착상태로 올려 놓을 때, 무선 충전이 가능하지만, 근거리 통신도 가능할 수도 있게 된다, 이러한 경우를 대비하여 본원 발명의 충전 테이블(20)의 무선 출력 파트(20)와 연결된 무선 코일(61) 주변에 NFC(61b) 코일을 더 구비할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 NFC(61b) 코일을 통하여 충전 테이블(20)은 스마트폰(30)에 광고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코일은 코일의 인덕턴스 값을 작게 하므로서 안테나 루프 코일을 스파이럴 코일 대신, PCB 기판(혹은 수지 기판)에 인쇄 방식으로 형성한 코일을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기판에 코일을 형성하므로서 양산시 유리하고 단가 절감의 효과를 가져 올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턴수는 휴대폰 기기에 적용되는 기준으로 언급된 숫자이다, 통상 휴대폰 기기는 그 면적이 최대 100 cm제곱 이내인 경우에 일반적으로 산정한 숫자이다.
도면에서 기판은 도시 생략하였지만, 플렉서블 수지 기판 혹은 통상의 기판(예를들면 피씨비, 플라스틱 혹은 금속 기판)에 멀티 코일이 구비됨은 당연하다.
도 8과 도 9는 자동으로 무선 충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도 8은 무선 출력 파트(20)에서 센서(12)가 더 구비되며, 상기 센서(12)는 코일(61)에서 전압이나 전류값을 측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류 값이나 전압 값의 변화를 제어부(10)는 센서를 통하여 감지하게 된다.
즉, 본원 발명의 충전 테이블(20)의 코일(61)에는 일정한 대기 전압이나 전류가 존재하며, 이때 스마트폰(30)이 본원 발명의 충전기 코일(61)에 밀착되면 스마트폰의 무선 충전 수신 코일(본원 발명에서는 도시 생략되었으나, 스마트폰의 코일부와 부품의 구조 원리는 본원 발명의 무선 입력 파트(40)와 동일하거나 유사하다.)과의 유도 현상이 발생되어, 상기 코일(61)의 대기 전류 혹은 대기 전압 값의 변화가 발생된다. 그리고, 상기 센서(12)를 통하여 제어부(10)가 대기 전류나 대기 전압 값의 변화를 감지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10)가 무선 충전 에너지를 송신하라는 제어 명령을 실행하여, 스마트폰의 충전이 시작되게 된다.
따라서, 본원 발명의 충전 테이블(20)에 스마트폰(120)을 밀착하여 올려 놓으면 자동으로 충전이 개시되게 된다.
도 9는 무선 입력 파트(40)에서 센서(43)가 더 구비되며, 상기 센서(43)는 코일(61)에서 전압이나 전류값을 측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류 값이나 전압 값의 변화를 제어부(10)는 센서를 통하여 감지하게 된다.
즉, 본원 발명의 충전 테이블(20) 하부에는 밧테리 하우징(밧테리가 장착되는 공간)이 구비되어 충전 테이블(2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밧테리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밧테리도 무선으로 자동 충전이 됨을 보이는 실시예이다.
도 10은 본원 발명의 충전 테이블(20)의 또 다른 실시예의 도면이다.
본원 발명의 충전 테이블이 카페나 식당에서 음식이 다 되었을 경우 알려주는 기능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충전 테이블에 진동기가 구비되어 진동이 발생될 수 있고 또한 램프에 의하여 램프가 발광될 수 있다.
그리고, 본원 발명의 충전 테이블(20)에도 램프나 진동자등으로 구성된 알람부(51)와 근거리 통신부(52)가 더 구비되어, 상기 근거리 통신부(52)를 통하여 식당이나 카페에서 음식이나 음료의 완료 정보를 받게 되면, 충전 테이블 (20)의 제어부(10)는 상기 신호를 감지하여 알람부(51)를 작동시키게 되면, 알람부의 진동이나 램프가 작동되게 된다.
도 11은 충전 테이블의 무선 충전 과정을 나타내는 실시예의 도면이다.
충전 테이블의 전원을 온(on)하고 작동을 시작하게 되면 유선 혹은 무선 충전이 가능하게 된다. (S 130 - S 132)
그리고, 유선으로 전원을 공급하거나 공급 받을 경우에는 전원 연결 단자를 연결하므로서 해결되므로, 유선의 방법은 흐름도의 설명을 생략한다.
무선 출력 파트의 통신 모듈 신호가 감지되는 가를 판단하게 된다.(S 134) 즉, 안테나(14)와 통신모듈(지그비 통신모듈)(15)을 통하여 무선 충전 에너지 송신 신호를 전송 받는 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송신 신호는 미리 정해진 통신 방법에 의하여 스마트폰에서 전송하게 된다. 즉 스마트폰이 무선 충전 에너지를 전송받고자 할 때에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무선 충전 수신 신호를 본 발명의 휴대용 충전기에 전송하게 된다는 것이다.(S 136)
만일 무선 충전 송신 신호를 제어부(10)가 감지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는 무선 전력 에너지를 코일(61)을 통하여 전송하게 된다.(S 136) 그리고 이러한 전송이 이루어지게 되므로서, 스마트폰(120)이나 휴대 단말기의 충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만일 통신 모듈신호가 감지되지 않으면, 대기 전류나 대기 전압의 변화가 감지되었는가를 판단하게 된다. (S 138) 즉, 코일(61)의 전류나 전압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도록 센서(12)를 연결하고 상기 센서(12)의 감지를 제어부(10)가 판단하게 된다.
그리고, 대기 전류나 대기 전압의 감지가 발생되면, 제어부(10)는 코일(61)을 통하여 무선 충전 에너지를 전송하게 된다.(S 140) 즉, 스마트폰(120)이나 휴대 단말기를 충전 테이블 밀착 올려놓게 되면, 스마트폰(120)의 무선 충전 수신 코일과 송신 코일(61)의 유도 전류 변화에 의하여 전압이나 전류의 변화가 발생하게 되며, 상기 센서(120이러한 변화를 감지하게 되면, 휴대용 충전기는 무선 충전 에너지를 송신하고 스마트폰은 충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아울러, 대기 전류나 대기 전압의 변화가 없으면 휴대용 충전기는 계속 송신 대기를 하게 된다.(S 142) 그리고, 휴대용 충전기의 동작을 중지하여 종료하면 휴대용 충전기의 작동은 종료하게 된다.(S 144 - S 146)
한편, 도 11은 무선 충전 에너지를 송신하는 경우의 실시예의 흐름도이지만, 무선 충전 에너지를 수신하는 경우에도 같은 원리가 적용될 수가 있다. 즉 본 발명의 휴대용 충전기가 통신 모듈(49)을 통하여 무선 충전 에너지 수신을 요청하면 모 충전기(150)에서 전력 에너지를 수신 받을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용 충전기(100)를 모 충전기(150)에 밀착 올려 놓아도 모 충전기(150)의 무선 에너지 송신 코일에 전류나 전압 변화가 생겨 무선 충전 에너지를 수신 받을 수가 있게 된다.
- 광고 표시 알고리즘 -
무선 출력 파트(20)에서 센서(12)가 더 구비되며, 상기 센서(12)는 코일(61)에서 전압이나 전류값을 측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류 값이나 전압 값의 변화를 제어부(10)는 센서를 통하여 감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센서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0)는 NFC 안테나 코일을 통하여 광고 데이터를 스마트폰(30)에 전송하게 된다, 그렇게 되면 스마트폰의 디스플레이에는 제어부(10)가 전송한 광고 데이터를 표시하게 된다.
따라서, 충전 테이블에서 수신 받은 광고 데이터로 스마트폰 구디스플레이에 광고가 표시되면, 광고가 표시되는 시간과 광고 정보가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다.
10 : 무선 충전 패드, 20 충전 테이블
30 : 스마트폰 61 : 디스플레이
62 : 무선 코일 150 : 서버
173 : 로컬 서버 63 : 입력장치

Claims (3)

  1. 스마트폰 혹은 휴대 단말기를 충전하는 충전 테이블에서, 상기 충전 테이블은 각각을 구별할 수 있는 식별 부호가 존재하고,
    상기 충전 테이블은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와 통신이 가능한 서버가 더 구비되어, 상기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에는 충전 테이블에 대한 정보가 존재하고,
    상기 충전 테이블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에 광고가 표시되면, 광고가 표시되는 시간과 광고 정보가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표시가 가능한 멀티 코일이 구비된 무선 충전 테이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는 유선 충전으로 휴대 단말기를 충전할 수 있고, 무선으로도 휴대 단말기를 충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표시가 가능한 멀티 코일이 구비된 무선 충전 테이블.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의 데이터 베이스에는 충전 테이블에 전송하는 광고 정보가 저장될 때,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가 구비되는 영역별로 광고가 구별되어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표시가 가능한 멀티 코일이 구비된 무선 충전 테이블.
KR1020150071877A 2015-05-22 2015-05-22 광고 표시가 가능한 무선 충전 테이블 KR201601371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1877A KR20160137166A (ko) 2015-05-22 2015-05-22 광고 표시가 가능한 무선 충전 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1877A KR20160137166A (ko) 2015-05-22 2015-05-22 광고 표시가 가능한 무선 충전 테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7166A true KR20160137166A (ko) 2016-11-30

Family

ID=57707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1877A KR20160137166A (ko) 2015-05-22 2015-05-22 광고 표시가 가능한 무선 충전 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3716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48134B2 (en) Battery pack for wirelessly charging two or more devices
US9325186B2 (en) Charging area displayable wireless charger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US8629651B2 (en) Portable wireless charging device
CN102801219B (zh) 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
JP5124991B2 (ja)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通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9793721B2 (en) Distributed charging of mobile devices
US7948208B2 (en) Power source, charging system, and inductive receiver for mobile devices
US10116151B2 (en) Battery charger rental kiosk system
US11601017B2 (en) Power source, charging system, and inductive receiver for mobile devices
US20150050881A1 (en) Wireless power charger
JPWO2009014125A1 (ja) 充電池ユニットとそのための電力伝送システム及び電力伝送方法
JP2006141170A (ja) 電力供給システム及びこれに用いられる送電装置並びに受電装置
US11114901B2 (en) Cradle device having wireless charging function
KR20160122551A (ko) 업소에서 사용되는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 및 충전기 시스템
JP2005237155A (ja) 複数電圧仕様対応のバッテリー充電器、バッテリー充電システム、及びバッテリーユニット
US1103838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tive device recognition and elimination of cross-talk between multiple magnetic resonance chargers
KR101571552B1 (ko) 보조 배터리 장치를 이용한 무선 충전 시스템
KR20160122671A (ko) 업소에서 사용되는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 및 충전기 시스템
KR20230054339A (ko) 휴대 단말기용 충전기 내에서 광고를 표시하는 방법
KR20140117185A (ko) 재충전 모듈을 구비한 무선 충전 장치 및 유무선 복합 충전 시스템
US20220399760A1 (en) Distributed charging of mobile devices optionally with different energy storage capabilities
KR20180120985A (ko) 광고 표시가 가능한 무선 충전 테이블
KR20160137166A (ko) 광고 표시가 가능한 무선 충전 테이블
CN107785947B (zh) 供电装置和受电装置
KR20230113858A (ko) 광고 표시가 가능한 무선 충전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