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7029A - 구강 촬영장치 - Google Patents

구강 촬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7029A
KR20160137029A KR1020150071522A KR20150071522A KR20160137029A KR 20160137029 A KR20160137029 A KR 20160137029A KR 1020150071522 A KR1020150071522 A KR 1020150071522A KR 20150071522 A KR20150071522 A KR 20150071522A KR 20160137029 A KR20160137029 A KR 201601370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image
oral cavity
module
photographing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1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1921B1 (ko
Inventor
민성준
문권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루시스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루시스템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루시스템즈
Priority to KR1020150071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1921B1/ko
Publication of KR20160137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7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1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1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82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 A61B5/0088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for oral or dental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77Devices for viewing the surface of the body, e.g. camera, magnifying l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강 내로 삽입 가능하도록 길게 형성되며, 내부에 복수 개의 렌즈가 구비되고, 길이방향에 따른 일측 끝단부에 수광렌즈가 구비되는 촬영모듈, 상기 촬영모듈의 일측 끝단부에서 상기 수광렌즈를 중심으로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원호부 및 상기 원호부상에서 방사형으로 복수 개가 이격되어 배치되며, 선택적으로 빛을 구강 내부에 조사하는 조사부를 포함하는 조사모듈 및 상기 촬영모듈의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촬영모듈을 통해 전달되는 구강 내부의 상학 또는 하악의 정보를 이미지로 변환하는 이미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를 통해 환자의 치아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구강 촬영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구강 촬영장치{Device for Taking Image Inside Oral Cavity}
본 발명은 환자의 구강에 삽입하여 내부를 촬영하는 구강 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악 또는 하악의 상태를 체크하기 위한 이미지를 일괄적으로 촬영할 수 있는 구강 촬영장치에 관한 것이다.
치아를 치료하는 병원에서 우식치아, 치아 결손부, 병변부, 치석 혹은 치태의 부착상황을 진단하기 위해서 구강 내 치아를 촬영한다. 치아의 촬영은 의사가 치아와 치주의 상태를 파악하고 진단하는데 이용할 뿐만 아니라 환자에게 치아상태를 설명하는 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 특히 환자의 치아 및 치주상태를 데이터베이스에 남겨놓고 치료 전후 호전상황을 확인하거나 치아상태의 악화 진행상황을 확인하는데 유용한 자료가 된다.
일반적으로 치과에서 치아의 상태를 관찰하기 위하여 치아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왔으며, 특히 X-레이기기를 사용하여왔으나 방사선 피폭 등의 문제가 제기되어 점차적으로 조명광을 이용한 치아 영상용 광학기기가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광학기기의 경우 단순히 환자의 구강 내부 이미지의 촬영 시 복수 개의 지아를 일괄적으로 촬영하기 어려워 일일이 각각의 치아에 대한 이미지를 촬영하여 불편함을 초래하였다.
또한, 치아 우식의 경우 환자의 치아를 촬영하여 지속적으로 변화를 관찰해야 하는데, 복수 개의 치아를 매 촬영 시 각각 촬영함으로써 환자의 치아에 대한 전체적인 변화를 쉽게 확인하는데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에 따라 환자의 치료를 위해 치아상태를 촬영 시 안전하고 보다 편리하게 촬영하는 방법의 필요성이 제시되고 있다.
치아를 치료하는 병원에서 우식치아, 치아 결손부, 병변부, 치석 혹은 치태의 부착상황을 진단하기 위해서 구강 내 치아를 촬영한다. 치아의 촬영은 의사가 치아와 치주의 상태를 파악하고 진단하는데 이용할 뿐만 아니라 환자에게 치아상태를 설명하는 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 특히 환자의 치아 및 치주상태를 데이터베이스에 남겨놓고 치료 전후 호전상황을 확인하거나 치아상태의 악화 진행상황을 확인하는데 유용한 자료가 된다.
일반적으로 치과에서 치아의 상태를 관찰하기 위하여 치아의 이미지를 촬영하여 왔으며, 특히 X-레이기기를 사용하여왔으나 방사선 피폭 등의 문제가 제기되어 점차적으로 조명광을 이용한 치아 영상용 광학기기가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광학기기의 경우 단순히 환자의 구강 내부 이미지의 촬영 시 복수 개의 지아를 일괄적으로 촬영하기 어려워 일일이 각각의 치아에 대한 이미지를 촬영하여 불편함을 초래하였다.
또한, 치아 우식의 경우 환자의 치아를 촬영하여 지속적으로 변화를 관찰해야 하는데, 복수 개의 치아를 매 촬영 시 각각 촬영함으로써 환자의 치아에 대한 전체적인 변화를 쉽게 확인하는데 번거로움이 있었다.
이에 따라 환자의 치료를 위해 치아상태를 촬영 시 안전하고 보다 편리하게 촬영하는 방법의 필요성이 제시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촬영장치는 구강 내로 삽입 가능하도록 길게 형성되며, 내부에 복수 개의 렌즈가 구비되고, 길이방향에 따른 일측 끝단부에 수광렌즈가 구비되는 촬영모듈, 상기 촬영모듈의 일측 끝단부에서 상기 수광렌즈를 중심으로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원호부 및 상기 원호부상에서 방사형으로 복수 개가 이격되어 배치되며, 선택적으로 빛을 구강 내부에 조사하는 조사부를 포함하는 조사모듈 및 상기 촬영모듈의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촬영모듈을 통해 전달되는 구강 내부의 상학 또는 하악의 정보를 이미지로 변환하는 이미지센서; 를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를 통해 환자의 치아 상태를 측정한다.
또한, 상기 조사부는 상기 원호부상에서 상기 수광렌즈가 향하는 일면에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호부는 상기 수광렌즈가 향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둘레를 따라 측면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에 상기 조사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면은 두께방향으로 상향 경사를 가지며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호부는 둘레의 일부가 원호의 중심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함몰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함몰홈은 상기 원호부가 구강 내부로 삽입되는 방향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사부는 조사되는 빛의 파장이 선택적으로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사부는 자외선, 가시광선 및 적외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빛을 선택적으로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사부는 서로 다른 파장의 빛을 조사하는 LED가 상기 원호부의 둘레를 따라 교차 반복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광렌즈는 광각렌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영모듈은 길이방향에 따른 일측에 만곡지게 휘어진 절곡부를 가지며, 상기 절곡부에 상기 수광렌즈가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영모듈은 길이방향에 따른 일부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촬영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촬영장치는 일부가 환자의 구강 내부로 삽입되어 영상을 촬영하는 촬영모듈, 촬영모듈의 일측 끝단부에서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환자의 구강 내부로 삽입되는 원호부와 원호부에 구비되어 구강 내부에 빛을 조사하는 조사부를 가지는 조사모듈 및 촬영모듈에서 촬영된 영상을 이미지화 하는 이미지센서를 포함하며, 조사부에서 조사되는 빛에 의해 촬영모듈이 환자의 상악 또는 하악의 이미지를 한번에 촬영함으로써 환자의 치아 이미지를 간단하게 촬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원호부의 측면에 방사형으로 배치된 조사부에서 조사되는 빛의 파장이 선택적으로 조사되며, 조사되는 빛의 파장에 따라 이미지센서에서 출력되는 이미지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남으로써, 사용자가 용도에 따라 환자의 상악 및 하악의 이미지를 수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강 촬영장치가 케이스 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구강 촬영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구강 촬영장치의 평면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의 구강 촬영장치에서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의 구강 촬영장치에 의해 환자의 상악이 촬영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1의 구강 촬영장치에서 조사부에 의해 빛이 조사되어 촬영된 치아의 개략적인 이미지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1의 구강 촬영장치에서 조사부가 가시광선을 조사하여 촬영된 실제 치아의 이미지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1의 구강 촬영장치에서 조사부가 자외선을 조사하여 촬영된 실체 치아의 이미지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강 촬영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9의 구강 촬영장치의 평면을 나타낸 도면; 및
도 11은 도 9의 구강 촬영장치에서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구강 촬영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촬영장치는 별도의 케이스(10)에서 일측 끝단부에 장착되며, 환자의 구강 내부로 삽입되어 내부 영상을 촬영살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10)에는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촬영장치뿐만 아니라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PCB등 다양한 전기적 설비가 구비될 수 있으며, 별도의 디스플레이기기(미도시)와 연결되어 촬영된 이미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촬영장치는 사용자가 환자의 구강 내부로 삽입하여 내부에서 상악 또는 하악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장치로써, 크게 촬영모듈(100), 조사모듈(200) 및 이미지센서(300)를 포함한다.
상기 촬영모듈(100)은 구강 내로 삽입 가능하도록 길게 형성되며, 내부에 복수 개의 렌즈(112)가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된다. 그리고 길이방향에 따른 일측 끝단부에 수광렌즈(130)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촬영모듈(100)은 길이방향에 따른 일부가 환자의 구강 내부로 삽입되며, 상기 수광렌즈(130)를 통해 환자의 상악 또는 하악이 촬영된다.
그리고, 상기 촬영모듈(100)의 타측 끝단부는 별도의 영상수단(미도시)이 연결되어 상기 촬영모듈(100)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를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촬영모듈(100)은 길게 형성되어 일측에 후술하는 상기 조사모듈(200)이 구비되며, 길이방향에 따른 일부가 휘어져 상기 촬영모듈(100)의 길이방향과 상기 수광렌즈(130)가 향하는 방향이 교차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촬영모듈(1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길게 형성되며, 길이방향에 따른 일부가 절곡되어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촬영모듈(100)은 길게 형성된 몸체(110) 및 상기 몸체(110)의 일측 끝단부에 연장된 방향과 직교하도록 절곡된 절곡부(12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11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복수 개의 렌즈(112)가 길이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된다. 그리고 길이방향에 따른 일측에는 상기 절곡부(120)가 배치되고 타측에는 상기 영상수단이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몸체(110)의 타측 끝단부에는 후술하는 이미지센서(300)가 내장될 수 있으며, 상기 수광렌즈(130)를 통해 촬영된 영상이 전기적 신호로 변환된다.
한편, 상기 절곡부(120)는 상기 촬영모듈(100)의 길이방향에 따른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몸체(110)의 길이방향과 상기 수광렌즈(130)가 향하는 방향이 교차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절곡부(120)는 상기 몸체(110)의 일측 끝단부에 구비되며 수직으로 교차되도록 구성되어 끝단에 상기 수광렌즈(130)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절곡부(1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반사프리즘(122)이 구비되어 상기 수광렌즈(130)를 통해 입사되는 빛을 반사시켜 상기 이미지센서(300)로 전달되도록 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와 달리 상기 촬영모듈(100)은 상기 절곡부(120)가 구비되지 않고, 길이방향에 따른 일측 끝단부에 상기 수광렌즈(130)가 구비되며, 상기 촬영모듈(100)의 길이방향에 따른 일부가 선택적으로 휘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수광렌즈(130)는 일반적인 렌즈(112)로 구성되며 볼록한 형태로 형성되어 환자의 구강 내부에서 상악 또는 하악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일반적으로 구강내부에 상기 수광렌즈(130)가 배치되는 경우 상악 또는 하악의 영상을 모두 촬영하기에는 거리가 너무 가깝기 때문에 시야각이 넓고 초점거리가 짧은 광각렌즈(112)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촬영모듈(100)은 후술하는 조사모듈(200)에서 조사되는 빛의 파장에 따라 촬영되는 이미지가 조절되며, 조사모듈(200)에서 조사되는 빛의 파장에 따라 촬영되는 이미지의 보정을 위한 별도의 컬러필터(미도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촬영모듈(100)은 길게 형성되며 일측 끝단부에 상기 수광렌즈(130)가 구비되며 환자의 구강 내부에서 상기 수광렌즈(130)를 통해 상악 또는 하악의 이미지를 촬영한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모듈(100)은 잠망경 형태로 형성되며 일측 끝단부에 상기 수광렌즈(130)가 구비되고 타측에는 상기 이미지센서(300)가 배치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사모듈(200)은 상기 촬영모듈(100)의 일측 끝단부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구강 내부로 삽입되며, 내부에 빛을 조사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사모듈(200)은 상기 촬영모듈(100)의 일측 끝단부에서 상기 수광렌즈(130)를 중심으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빛을 조사한다.
상기 조사모듈(200)은 크게 원호부(210) 및 조사부(220)를 포함하며, 상기 원호부(210)는 상기 수광렌즈(130)가 향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원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둘레를 따라 상기 수광렌즈(130)가 향하는 일면에는 상기 조사부(220)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원호부(210)는 상기 수광렌즈(130)가 향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원형의 플레이트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원호부(210)에는 후술하는 상기 조사부(220)가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수광렌즈(130)가 향하는 방향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원호부(2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둘레의 일부가 원호의 중심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함몰홈(214)이 형성된다.
이는 상기 원호부(210)가 환자의 구강 내부로 삽입 시 환자의 식도 부분에 상기 함몰홈(214)이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환자의 호흡이나 혀의 위치에 간섭 받지 않도록 하여 환자가 수월하게 구강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함몰홈(214)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촬영모듈(100)과 함께 상기 원호부(210)가 구강 내부로 삽입되는 방향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조사부(220)는 상기 원호부(210)상에서 둘레를 따라 복수 개가 구비되어 선택적으로 빛을 환자의 구강 내부로 조사한다.
이에 따라 상기 조사부(220)가 빛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촬영모듈(100)이 환자의 구강 내부에서 상악 또는 하악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사부(220)는 복수 개의 광원으로 구성되어 상기 원호부(210)의 일면에서 둘레를 따라 이격되며, 각각의 광원에서 조사되는 빛의 조사 영역이 중첩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조사부(220)는 복수 개의 상기 광원이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광원 각각이 서로 다른 파장의 빛을 선택적으로 조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조사부(2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광원 중 적어도 일부가 자외선, 적외선 및 가시광선 영역대의 파장을 가진 빛을 조사하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사부(220)는 서로 다른 파장의 빛을 조사하는 복수 개의 광원이 상기 원호부(210)를 따라 교차되어 배치되며, 일부만 선택적으로 동작하여 빛을 조사한다. 여기서, 상기 광원은 일반적인 LED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LED광원 중 적어도 일부만 빛을 조사함으로써 상기 조사부(220)는 다양한 파장의 빛을 선택적으로 조사할 수 있다.
물론 이와 달리 상기 복수 개의 광원 각각이 조사되는 빛의 파장을 조절하도록 구성됨으로써 동시에 서로 다른 파장의 빛을 조사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조사부(220)는 상기 측면(212)상에 형성되어 다양한 파장의 빛을 선택적으로 조사하여 상기 촬영모듈(100)이 환자의 구강 내부에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사모듈(2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커버(23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커버(230)는 상기 원호부(210)상에서 상기 수광렌즈(130)가 향하는 방향의 일면과 상기 측면(212)을 감싸도록 구성되며, 광 투과성 소재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수광렌즈(130) 및 상기 조사부(220)에 이물질이 묻거나 외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사모듈(200)이 구성됨으로써 상기 촬영모듈(100)과 함께 환자의 구강 내부에서 상악 또는 하악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빛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선택적으로 다른 파장의 빛을 조사함으로써 상기 촬영모듈(100)이 다양한 형태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이미지센서(300)는 상기 촬영모듈(100)의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촬영모듈(100)을 통해 전달되는 구강 내부의 상학 또는 하악의 정보를 이미지로 변환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미지센서(300)는 일반적인 CMOS와 같은 장비들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촬영모듈(100)을 통해 전달되는 빛을 이미지화 시킨다.
이때, 상기 이미지센서(300)는 상기 조사모듈(200)에서 조사되는 빛의 파장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이미지를 생성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센서(300)는 상기 조사모듈(200)에서 조사되는 빛의 파장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환자의 구강 내부 영상을 이미지화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환자의 치아(T) 상태를 확인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강 촬영장치는 상술한 상기 촬영모듈(100), 상기 조사모듈(200) 및 상기 이미지센서(3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구강 내부에 상기 조사모듈(200) 및 상기 촬영모듈(100)을 삽입하여 상악 또는 하악의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촬영된 이미지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이미지화 될 수 있으며, 환자의 구강 내부 이미지를 통해 환자의 치아(T)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촬영모듈(100)을 통해 환자의 구강 내에서 상악 또는 하악의 이미지를 일괄적으로 촬영 함으로써 지속적으로 환자의 치아(T)상태를 용이하게 체크할 수 있다.
이어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상술한 조사모듈에서 조사되는 빛의 파장에 따라 촬영되는 이미지의 차이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도 1의 구강 촬영장치에서 조사부가 가시광선을 조사하여 촬영된 실제 치아의 이미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1의 구강 촬영장치에서 조사부가 자외선을 조사하여 촬영된 실체 치아의 이미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사부(220)가 조사하는 빛이 가시광선 영역의 빛인 경우 상기 촬영모듈(100)에서 촬영된 영상을 상기 이미지센서(300)에서 이미지화 시키며, 촬영된 이미지의 경우 일반적인 상악 또는 하악의 영상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조사부(220)에서 적외선을 조사하는 경우 치아(T)의 인접면에서 산란이 발생하고 이에 따라 인접면이 뿌옇게 보인다.
이에 따라 상기 촬영모듈(100)에서 촬영된 영상을 이미지화 시키는 경우 치아(T)의 인접면과 나머지 부분의 치아(T)가 서로 다른 밝기로 차이가 나는 영상을 이미지화 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사부(220)에서 자외선을 조사하는 경우 상기 촬영모듈(100)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상기 이미지센서(300)에서 이미지화 하는 경우 치아(T)와 치석(C), 우식 등은 서로 다른 색상을 나타내게 된다.
여기서, 상기 조사부(220)에서 조사되는 빛이 자외선인 경우 별도의 컬러필터를 구비해야 하며, 상기 컬러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빛을 통해 상기 이미지센서(300)에서 환자의 구강 내부 영상을 이미지화 한다.
이는 일반적이 자외선 형광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환자의 치아(T)에서 충치부분이나 치석(C) 등과 같이 상아질로 구성된 치아(T)와 다른 부분의 경우 서로 다른 색으로 나타나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환자의 치아(T)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사부(220)에서 405nm파장의 자외선을 조사해 주고, 520nm filter로 차단해 주면 치아(T): 녹색/ 우식; 검정/ 치석(C): 적색으로 구분되어 이미지화 된다.
이때, 상기 이미지센서(300) 자체에 상기 컬러필터가 구비되는 경우 자외선(UV)용 필터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조사모듈(200)을 통해 다양한 파장의 빛을 환자의 구강 내에 선택적으로 조사함으로써 사용자가 용도에 따라 환자의 상악 및 하악 이미지를 다양하게 확보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조사모듈(200)에서 자외선을 조사하여 구강 내부의 이미지를 촬영하는 경우 도 8과 같이 치아(C)와 다른 부분의 색상 차이로 인해 뚜렷하게 구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조사부(220)에서 조사되는 빛의 파장에 따라 상기 촬영모듈(100)에서 촬영되는 이미지가 조절 가능하며, 사용자가 환자의 구강 촬영 시 목적에 따라 선택하여 촬영할 수 있다.
이어서,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다른 구강 촬영장치의 구성에 대해서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강 촬영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의 구강 촬영장치의 평면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1은 도 9의 구강 촬영장치에서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제1실시예와 유사하지만, 상기 조사모듈(200)의 구성에서 일부 차이가 있다.
상기 조사모듈(20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촬영모듈(100)의 일측 끝단부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구강 내부로 삽입되며, 내부에 빛을 조사한다.
여기서, 상기 조사모듈(200)은 상기 촬영모듈(100)의 일측 끝단부에서 상기 수광렌즈(130)를 중심으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빛을 조사한다.
이때, 상기 조사모듈(200)은 원호부(210) 및 조사부(220)를 포함하며, 상기 원호부(210)는 상기 수광렌즈(130)가 향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둘레를 따라 측면(2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212)에는 상기 조사부(220)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상기 원호부(210)에는 상기 측면(212)이 형성되며, 상기 측면(212)은 두께방향으로 상향 경사를 가지고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측면(212)이 테어퍼지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조사부(220)가 상기 원호부(210)의 전방과 측방으로 빛을 함께 조사할 수 있도록 한다.
도시된 도면을 살펴보면, 상기 원호부(210)는 상기 측면(212)에 상기 조사부(220)가 둘레를 따라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LED광원이 서로 다른 파장의 빛을 내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조사부(220)는 서로 다른 파장의 빛을 내는 LED광원이 상기 원호부(210)의 둘레를 따라 연속하여 교차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조사부(220)에서 조사되는 빛이 상기 수광렌즈(120)가 향하는 전방 및 측면에 중첩되어 고르게 전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사모듈(200)이 구성됨으로써 상기 촬영모듈(100)과 함께 환자의 구강 내부에서 상악 또는 하악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빛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선택적으로 다른 파장의 빛을 조사함으로써 상기 촬영모듈(100)이 다양한 형태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촬영모듈
110: 몸체
120: 절곡부
130: 수광렌즈
200: 조사모듈
210: 원호부
220: 조사부
230: 커버
300: 이미지센서
T: 치아

Claims (12)

  1. 구강 내로 삽입 가능하도록 길게 형성되며, 내부에 복수 개의 렌즈가 구비되고, 길이방향에 따른 일측 끝단부에 수광렌즈가 구비되는 촬영모듈;
    상기 촬영모듈의 일측 끝단부에서 상기 수광렌즈를 중심으로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원호부 및 상기 원호부상에서 방사형으로 복수 개가 이격되어 배치되며, 선택적으로 빛을 구강 내부에 조사하는 조사부를 포함하는 조사모듈; 및
    상기 촬영모듈의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촬영모듈을 통해 전달되는 구강 내부의 상학 또는 하악의 정보를 이미지로 변환하는 이미지센서; 를 포함하며,
    상기 이미지를 통해 환자의 치아 상태를 측정할 수 있는 구강 촬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부는,
    상기 원호부상에서 상기 수광렌즈가 향하는 일면에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촬영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호부는,
    상기 수광렌즈가 향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둘레를 따라 측면이 형성되고, 상기 측면에 상기 조사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촬영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은,
    두께방향으로 상향 경사를 가지며 테이퍼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촬영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호부는,
    둘레의 일부가 원호의 중심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함몰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촬영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홈은,
    상기 원호부가 구강 내부로 삽입되는 방향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촬영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부는,
    조사되는 빛의 파장이 선택적으로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촬영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부는,
    자외선, 가시광선 및 적외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빛을 선택적으로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촬영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부는,
    서로 다른 파장의 빛을 조사하는 LED가 상기 원호부의 둘레를 따라 교차 반복되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촬영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광렌즈는,
    광각렌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촬영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모듈은,
    길이방향에 따른 일측에 만곡지게 휘어진 절곡부를 가지며, 상기 절곡부에 상기 수광렌즈가 길이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촬영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모듈은,
    길이방향에 따른 일부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적으로 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촬영장치.
KR1020150071522A 2015-05-22 2015-05-22 구강 촬영장치 KR101701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1522A KR101701921B1 (ko) 2015-05-22 2015-05-22 구강 촬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1522A KR101701921B1 (ko) 2015-05-22 2015-05-22 구강 촬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7029A true KR20160137029A (ko) 2016-11-30
KR101701921B1 KR101701921B1 (ko) 2017-02-02

Family

ID=57707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1522A KR101701921B1 (ko) 2015-05-22 2015-05-22 구강 촬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19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30800A1 (ko) * 2017-06-14 2018-12-20 한국광기술원 근적외선 기반 치아 진단 영상 획득 장치 및 방법
KR102610312B1 (ko) * 2023-05-19 2024-01-08 주식회사 빅스캔 3d 구강 스캐너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1310A (ko) * 2013-08-20 2015-03-02 조현재 구강촬영용 트레이, 구강촬영용 트레이를 포함하는 구강촬영장치 및 구강촬영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21310A (ko) * 2013-08-20 2015-03-02 조현재 구강촬영용 트레이, 구강촬영용 트레이를 포함하는 구강촬영장치 및 구강촬영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30800A1 (ko) * 2017-06-14 2018-12-20 한국광기술원 근적외선 기반 치아 진단 영상 획득 장치 및 방법
KR102610312B1 (ko) * 2023-05-19 2024-01-08 주식회사 빅스캔 3d 구강 스캐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1921B1 (ko) 2017-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05929B2 (ja) 診療審美兼用口中撮像装置
DK2668904T3 (en) Spectral filter for an intraoral imaging system
ES2608406T3 (es) Procedimiento de detección de caries
US9084535B2 (en) Non-ionizing imager
EP2592993B1 (en) Detecting device
JP3644932B2 (ja) 歯科用カメラ
Angelino et al. Near-infrared imaging for detecting caries and structural deformities in teeth
KR101499649B1 (ko) 구강촬영용 트레이, 구강촬영용 트레이를 포함하는 구강촬영장치 및 구강촬영 시스템
US20130034826A1 (en) Intraoral inspe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intraoral inspection apparatus
US20120122051A1 (en) Dental Device with Hand-held Instrument and Light Source
JP2018134418A (ja) 撮影評価・検出ユニット及び光学装置
JP4764612B2 (ja) 歯科用生体観察機器、口腔内観察機器、歯科用照射額帯装置及びデンタルミラー
KR101701921B1 (ko) 구강 촬영장치
EP3466318B1 (en) Dental caries diagnosis device with a head portion defining a tooth accommodation space
KR101979311B1 (ko) 의료용 복합촬영장치
US20120122052A1 (en) Medical, in Particular Dental, Diagnostic Device Having Image Capture Means
JP5410374B2 (ja) 口腔内観察装置
US20120130254A1 (en) Dental Device for Trans-illumination of Teeth
KR101528610B1 (ko) 치아 충치 및 불소증 진단을 위한 광섬유 조명기기
KR102163226B1 (ko) 치과용 촬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치아 촬영 방법
CN210902965U (zh) 一种龋齿观察仪
US20230225842A1 (en) Dental hand-held device for curing material and stimulating fluorescence
KR20180119739A (ko) 치아의 입체형상 측정장치
KR20090120909A (ko) 구강외 촬영방식 엑스레이 구강촬영장치
EP3542699A1 (en) Handheld device for diagnosing an in-vivo targ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