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6869A - Flng 및 flng용 벙커링 방법 - Google Patents

Flng 및 flng용 벙커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6869A
KR20160136869A KR1020150071029A KR20150071029A KR20160136869A KR 20160136869 A KR20160136869 A KR 20160136869A KR 1020150071029 A KR1020150071029 A KR 1020150071029A KR 20150071029 A KR20150071029 A KR 20150071029A KR 20160136869 A KR20160136869 A KR 201601368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tank
sent
natural gas
gas
liquefied natu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1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3069B1 (ko
Inventor
김성수
배재류
추교식
김재휘
이성재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71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3069B1/ko
Publication of KR20160136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68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3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30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1/00Processes or apparatus for liquefying or solidifying gases or gaseous mixtures
    • F25J1/0002Processes or apparatus for liquefying or solidifying gases or gaseous mixtures characterised by the fluid to be liquefied
    • F25J1/0022Hydrocarbons, e.g. natural g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3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 B63B27/3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transfer at sea between ships or between ships and off-shore structures using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38Apparatu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use on marine vessels, for handling power plant or unit liquids, e.g. lubricants, coolants, fuel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1/00Processes or apparatus for liquefying or solidifying gases or gaseous mixtures
    • F25J1/0002Processes or apparatus for liquefying or solidifying gases or gaseous mixtures characterised by the fluid to be liquefied
    • F25J1/0022Hydrocarbons, e.g. natural gas
    • F25J1/0025Boil-off gases "BOG" from stor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1/00Processes or apparatus for liquefying or solidifying gases or gaseous mixtures
    • F25J1/02Processes or apparatus for liquefying or solidifying gases or gaseous mixtures requiring the use of refrigeration, e.g. of helium or hydrogen ; Details and kind of the refrigeration system used; Integration with other units or processes; Controlling aspects of the process
    • F25J1/0228Coupling of the liquefaction unit to other units or processes, so-called integrated processes
    • F25J1/0229Integration with a unit for using hydrocarbons, e.g. consuming hydrocarbons as feed stock
    • F25J1/023Integration with a unit for using hydrocarbons, e.g. consuming hydrocarbons as feed stock for the combustion as fuels, i.e. integration with the fuel gas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1/00Processes or apparatus for liquefying or solidifying gases or gaseous mixtures
    • F25J1/02Processes or apparatus for liquefying or solidifying gases or gaseous mixtures requiring the use of refrigeration, e.g. of helium or hydrogen ; Details and kind of the refrigeration system used; Integration with other units or processes; Controlling aspects of the process
    • F25J1/0243Start-up or control of the process; Details of the apparatus used; Details of the refrigerant compression system used
    • F25J1/0257Construction and layout of liquefaction equipments, e.g. valves, machines
    • F25J1/0275Construction and layout of liquefaction equipments, e.g. valves, machines adapted for special use of the liquefaction unit, e.g. portable or transportable devices
    • F25J1/0277Offshore use, e.g. during shipping
    • F25J1/0278Unit being stationary, e.g. on floating barge or fixed plat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63B2035/448Floating hydrocarbon production vessels, e.g. Floating Production Storage and Offloading vessels [FPSO]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2245/00Processes or apparatus involving steps for recycling of process streams
    • F25J2245/90Processes or apparatus involving steps for recycling of process streams the recycled stream being boil-off gas from stor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JLIQUEFACTION, SOLIDIFICATION OR SEPARATION OF GASES OR GASEOUS OR LIQUEFIED GASEOUS MIXTURES BY PRESSURE AND COLD TREATMENT OR BY BRINGING THEM INTO THE SUPERCRITICAL STATE
    • F25J2290/00Other 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F25J2200/00 - F25J2280/00
    • F25J2290/62Details of storing a fluid in a ta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선체 상부 구조인 탑사이드 모듈을 포함하는 FLNG가 개시된다.
상기 FLNG는, 상기 탑사이드 모듈에 설치되는 액화설비; 상기 선체에 설치되는 저장탱크; 및 상기 액화설비에 의해 액화된 액화천연가스를 상기 저장탱크로 보내는 제 4 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저장탱크 내부의 액화천연가스는 다른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로 보내진다.

Description

FLNG 및 FLNG용 벙커링 방법{FLNG and Method of Bunkering for FLNG}
본 발명은 FLNG 및 FLNG용 벙커링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저장탱크 내부의 액화천연가스를 다른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로 이송하는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FLNG 및 이러한 FLNG가 다른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로 액화천연가스를 이송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천연가스는 육상 또는 해상의 가스배관을 통해 가스 상태로 운반되거나 액화천연가스(LNG; Liquefied Natureal Gas) 또는 액화석유가스(LPG; Liquefied Petroleum Gas) 상태로 액화된 후에 액화천연가스 수송선이나 액화석유가스 수송선에 저장되어 운반된다. 액화천연가스는 천연가스를 극저온(대략 -163℃)으로 냉각하여 얻어지는 것으로, 가스 상태와 비교할 때 그 부피가 대략 1/600로 줄어들기 때문에 해상을 통한 원거리 운반에 매우 적합하다.
최근에는, 액화천연가스 운반선(LNGC; Liquefied Natural Gas Carrier), LNG FSRU(Liquefied Natural Gas Floating Storage and Regasification Unit)에서 더 나아가, FLNG(Floating Liquid Natural Gas plant)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FLNG는, LNG FPSO(Liquefied Natural Gas Floating Production Storage Offloading)라고도 불리며, 심해에서 원유를 시추하여 가스를 분리하고, 분리된 가스 중 천연가스 성분을 뽑아내어 액화시킨 후 저장하며, 저장된 액화천연가스를 수요처까지 운반하여 하역시킨다. FLNG의 선체 상부 구조인 탑사이드 모듈(Topside Module)에는 액화천연가스 생산 설비가 설치되고, 선체(Hull)에는 저장탱크가 설치되어 탑사이드 모듈에서 생산된 액화천연가스를 저장한다.
한편, 벙커링(Bunkering)이란, 벙커유로 알려진 선박 연료유를 저장 및 전송하는 것을 주로 의미하는데, 최근에는 LNG 사용이 늘어남에 따라 LNG 연료의 전송 및 공급 또한 벙커링으로 포함되고 있다. 대량의 연료를 해안으로부터 선박까지 전송하기 위해, 바지선이나 다른 컨테이너에 연료를 임시 저장할 수 있고, 따라서 연료 공급은 도크 또는 다른 항만 시설로부터 직접 이루어지거나, 바지선 또는 다른 연료 급유선에 의해 운반된 연료를 공급받아 이루어질 수도 있다.
종래의 FLNG는, 액화천연가스를 생산하고, 저장하고, 하역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을 뿐, 액화천연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도록 다른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전송하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지는 않았다.
본 발명은, 벙커링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FLNG 및 FLNG용 벙커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체 상부 구조인 탑사이드 모듈을 포함하는 FLNG에 있어서, 상기 탑사이드 모듈에 설치되는 액화설비; 상기 선체에 설치되는 저장탱크; 및 상기 액화설비에 의해 액화된 액화천연가스를 상기 저장탱크로 보내는 제 4 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저장탱크 내부의 액화천연가스는 다른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로 보내지는, FLNG가 제공된다.
상기 FLNG는, 상기 저장탱크 내부의 액화천연가스를 다른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로 보내는 제 1 배관; 상기 저장탱크 내부의 액화천연가스를 상기 FLNG의 엔진으로 보내는 제 3 배관; 및 상기 저장탱크 내부의 증발가스를 상기 액화설비로 보내는 제 5 배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FLNG는, 상기 다른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로부터 상기 액화설비로 증발가스를 보내는 제 2 배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FLNG는, 상기 다른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로부터 상기 저장탱크로 증발가스를 보내는 제 2 배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FLNG는, 상기 저장탱크보다 내부 압력에 더 잘 견디는 버퍼탱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저장탱크 내부의 액화천연가스는 상기 버퍼탱크에 임시 저장된 후 상기 다른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로 보내질 수 있다.
상기 FLNG는, 상기 저장탱크 내부의 액화천연가스를 상기 버퍼탱크로 보내는 제 1 배관; 상기 버퍼탱크 내부의 액화천연가스를 상기 FLNG의 엔진으로 보내는 제 3 배관; 상기 저장탱크 내부의 증발가스를 상기 버퍼탱크로 보내는 제 5 배관; 상기 버퍼탱크 내부의 액화천연가스를 상기 다른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로 보내는 제 6 배관; 및 상기 버퍼탱크 내부의 증발가스를 상기 액화설비로 보내는 제 7 배관; 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로부터 상기 버퍼탱크로 증발가스를 보내는 제 2 배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탱크는 멤브레인형 저장탱크이고, 상기 버퍼탱크는 독립탱크형 저장탱크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저장탱크 내부의 액화천연가스의 일부는 엔진으로 보내지고, 다른 일부는 다른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로 보내지고, 상기 저장탱크 내부의 증발가스는 액화설비로 보내져 재액화된 후 상기 저장탱크로 보내지는, FLNG용 벙커링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다른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에서 발생된 증발가스는 상기 액화설비로 보내져 재액화된 후 상기 저장탱크로 보내질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저장탱크 내부의 액화천연가스 및 증발가스는 버퍼탱크로 보내지고, 상기 버퍼탱크 내부의 액화천연가스의 일부는 엔진으로 보내지고, 다른 일부는 다른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로 보내지고, 상기 버퍼탱크 내부의 증발가스는 액화설비로 보내져 재액화된 후 상기 저장탱크로 보내지는, FLNG용 벙커링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다른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에서 발생된 증발가스는 상기 버퍼탱크로 보내진 후 상기 버퍼탱크 내부의 증발가스와 함께 상기 액화설비로 보내져 재액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FLNG는 액화천연가스가 저장되는 저장탱크를 포함하고 있는 선박이므로, 저장탱크 내부의 액화천연가스를 다른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에 전송하기 위한 간단한 설비의 추가만으로, 벙커링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FLNG가 벙커링 기능을 함께 수행하므로, 벙커링 선박의 제작 비용 및 운용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FLNG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FLNG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FLNG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FLNG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FLNG는, 탑사이드 모듈(T)에 설치되는 액화설비(100); 선체(H)에 설치되는 저장탱크(200); 저장탱크(200) 내부의 액화천연가스를 다른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 등(D, 이하, '다른 선박'이라 한다.)으로 보내는 제 1 배관(L1); 저장탱크(200) 내부의 액화천연가스를 연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엔진(E)으로 보내는 제 3 배관(L3); 액화설비(100)에 의해 액화된 액화천연가스를 저장탱크(200)로 보내는 제 4 배관(L4); 및 저장탱크(200) 내부의 증발가스를 액화설비(100)로 보내는 제 5 배관(L5);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FLNG는, 탑사이드 모듈(T)에 액화천연가스를 생산하기 위한 각종 설비를 포함하게 된다. 각 설비는, 시추된 원유를 장치 내부로 주입시키는 주입(inlet) 설비, 원유로부터 수분을 제거하는 탈수(dehydration) 설비, 원유를 분별하여 천연가스를 분리해 내는 분별(fractionation) 설비, 천연가스로부터 탄산가스 성분을 제거하는 탄산가스(acid gas) 제거 설비, 천연가스를 액화시켜 액화천연가스를 생산하는 액화(liquefaction) 설비 등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액화설비(100)는 탑사이드 모듈(T)의 중앙부에 위치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액화설비(100)는, 탑사이드 모듈(T)의 다른 설비들에 의해 생산된 천연가스를 액화시켜 액화천연가스를 생산하거나, 본 실시예의 저장탱크(200)에서 발생한 증발가스를 재액화시킨다.
선체(H)에는, 탑사이드 모듈(T)의 액화설비(100)에 의해 액화된 액화천연가스가 저장되는 저장탱크(200)가 설치된다. 도 2에서는 하나의 저장탱크(200)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일반적으로는 다수개의 저장탱크가 선체(H)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설치된다. 저장탱크(200)는 선체(H) 내부 공간 활용이 용이한 멤브레인형 저장탱크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FLNG는, 다른 선박(D)에서 발생한 증발가스를 액화설비(100)로 보내는 제 2 배관(L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FLNG가 제 2 배관(L2)을 더 포함하는 경우, 액화 설비(100)는 다른 선박(D)에서 발생된 증발가스를 재액화시켜 저장탱크(200)로 보낸다.
본 실시예에서의 증발가스 및 액화천연가스의 흐름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저장탱크(200) 내부의 액화천연가스의 일부는 엔진(E)으로 보내져 본 실시예의 FLNG의 연료로 사용되고(L3), 또 다른 일부는 다른 선박(D)으로 보내져 다른 선박(D)의 연료로 사용된다(L1). 저장탱크(200) 내부의 증발가스는 액화설비(100)로 보내져 재액화되고(L5), 액화설비(100)에 의해 액화 및 재액화된 액화천연가스는 저장탱크(200)로 보내진다(L4). 한편, 다른 선박(D)에서 발생된 증발가스도 본 실시예의 액화설비(100)로 보내져 재액화될 수 있다(L2).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FLNG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제 2 실시예의 FLNG는, 도 1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의 FLNG에 비해, 다른 선박(D)에서 발생되는 증발가스가 저장탱크(200)로 보내진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전술한 제 1 실시예의 FLNG와 동일한 부재에 대하여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FLNG는, 제 1 실시예의 FLNG와 마찬가지로, 탑사이드 모듈(T)에 설치되는 액화설비(100); 선체(H)에 설치되는 저장탱크(200); 저장탱크(200) 내부의 액화천연가스를 다른 선박(D)으로 보내는 제 1 배관(L1); 저장탱크(200) 내부의 액화천연가스를 연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엔진(E)으로 보내는 제 3 배관(L3); 액화설비(100)에 의해 액화된 액화천연가스를 저장탱크(200)로 보내는 제 4 배관(L4); 및 저장탱크(200) 내부의 증발가스를 액화설비(100)로 보내는 제 5 배관(L5);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FLNG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탑사이드 모듈(T)에 주입(inlet) 설비, 탈수(dehydration) 설비, 분별(fractionation) 설비, 탄산가스(acid gas) 제거 설비, 액화(liquefaction) 설비 등의 액화천연가스를 생산하기 위한 각종 설비들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액화설비(100)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탑사이드 모듈(T)의 다른 설비들에 의해 생산된 천연가스를 액화시켜 액화천연가스를 생산하거나, 본 실시예의 저장탱크(200)에서 발생한 증발가스를 재액화시킨다.
본 실시예의 선체(H)에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탑사이드 모듈(T)의 액화설비(100)에 의해 액화된 액화천연가스가 저장되는 저장탱크(200)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의 FLNG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다른 선박(D)에서 발생한 증발가스를 본 실시예의 FLNG로 보내는 제 2 배관(L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 본 실시예의 제 2 배관(L2')은, 제 1 실시예와는 달리, 다른 선박(D)에서 발생한 증발가스를 액화설비(100)로 보내는 것이 아니라 저장탱크(200)로 보낸다. 제 1 실시예와 같이 다른 선박(D)에서 발생된 증발가스를 바로 액화설비(100)로 보내는 경우, 액화설비(100)가 수용할 수 있는 양을 초과하여 증발가스가 액화설비(100)로 공급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다른 선박(D)에서 발생한 증발가스를 일단 저장탱크(200)로 보낸 후, 저장탱크(200) 내부의 증발가스와 함께 액화설비(100)로 보내 재액화 시킨다. 본 실시예의 FLNG에 의하면, 액화설비(100)의 액화 용량에 맞추어 증발가스의 양을 조절하여 증발가스를 액화설비(100)로 보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증발가스 및 액화천연가스의 흐름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저장탱크(200) 내부의 액화천연가스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일부는 엔진(E)으로 보내져 본 실시예의 FLNG의 연료로 사용되고(L3), 또 다른 일부는 다른 선박(D)으로 보내져 다른 선박(D)의 연료로 사용된다(L1). 또한, 저장탱크(200) 내부의 증발가스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액화설비(100)로 보내져 재액화되고(L5), 액화설비(100)에 의해 액화 및 재액화된 액화천연가스는 저장탱크(200)로 보내진다(L4).
한편, 다른 선박(D)에서 발생된 증발가스는, 제 1 실시예와는 달리, 일단 저장탱크(200)로 보내진 후(L2') 저장탱크(200) 내부의 증발가스와 함께 액화설비(100)로 보내져 재액화될 수 있다(L5).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FLNG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제 3 실시예의 FLNG는, 도 1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의 FLNG에 비해, 버퍼탱크(Buffer Tank, 300)를 더 포함한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하에서는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전술한 제 1 실시예의 FLNG와 동일한 부재에 대하여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FLNG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탑사이드 모듈(T)에 설치되는 액화설비(100); 선체(H)에 설치되는 저장탱크(200); 및 액화설비(100)에 의해 액화된 액화천연가스를 저장탱크(200)로 보내는 제 4 배관(L4);을 포함한다.
단, 본 실시예의 FLNG는, 제 1 실시예와는 달리, 저장탱크(200) 내부의 액화천연가스를, 다른 선박(D)으로 보내기 전에 임시적으로 저장하거나, 저장탱크(200) 내부의 증발가스나 다른 선박(D)에서 발생된 증발가스를, 액화설비(100)로 보내기 전에 임시적으로 저장하는, 버퍼탱크(300)을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버퍼탱크(300)는 탑사이드 모듈(T)에 설치되나, 버퍼탱크(300)는 선체(H)에 설치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저장탱크(200) 내부의 액화천연가스 및 증발가스는, 제 1 실시예와는 달리, 바로 다른 선박(D)이나 엔진(E) 또는 액화설비(100)로 보내지는 것이 아니라, 일단 버퍼탱크(300)로 보내진 후에 다른 선박(D)이나 엔진(E) 또는 액화설비(100)로 보내진다.
즉, 본 실시예의 FLNG는, 제 1 실시예와는 달리, 저장탱크(200) 내부의 액화천연가스를 버퍼탱크(300)로 보내는 제 1 배관(L1'); 버퍼탱크(300) 내부의 액화천연가스를 엔진(E)으로 보내는 제 3 배관(L3'); 저장탱크(200) 내부의 증발가스를 버퍼탱크(300)로 보내는 제 5 배관(L5'); 버퍼탱크(300) 내부의 액화천연가스를 다른 선박(D)으로 보내는 제 6 배관(L6); 및 버퍼탱크(300) 내부의 증발가스를 액화설비(100)로 보내는 제 7 배관(L7);을 포함한다.
제 1 실시예와 같이 다른 선박(D)의 증발가스를 바로 액화설비(100)로 보내는 경우에는, 액화설비(100)의 액화 용량을 초과하여 증발가스가 액화 설비로 보내질 수 있고, 제 2 실시예와 같이 다른 선박(D)의 증발가스를 저장탱크(200)로 보내는 경우에는, 저장탱크(200)의 압력이 너무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FLNG는, 내부 압력이 증가하여도 비교적 잘 견딜 수 있는 버퍼탱크(300)를 포함하여, 저장탱크(200) 내부의 증발가스를 일단 버퍼탱크(300)로 보내도록 하였다. 본 실시예의 FLNG는, 증발가스를 버퍼탱크(300)에 임시 저장한 후 다른 선박(D)나 액화설비(100) 또는 엔진(E)에 공급하므로, 액화설비(100)의 용량에 맞추어 증발가스의 양을 조절하면서 증발가스를 액화설비(100)로 보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증발가스로 인해 저장탱크(200)의 압력이 너무 높아져서 생길 수 있는 안전 사고 등에 대비할 수 있다.
버퍼탱크(300)는 3 내지 100 bar의 내압을 수용하는 압력 용기이며, 독립형 저장탱크일 수 있다. 본 실시예의 FLNG는 버퍼탱크(300)를 다수개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FLNG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탑사이드 모듈(T)에 주입(inlet) 설비, 탈수(dehydration) 설비, 분별(fractionation) 설비, 탄산가스(acid gas) 제거 설비, 액화(liquefaction) 설비 등의 액화천연가스를 생산하기 위한 각종 설비들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액화설비(100)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탑사이드 모듈(T)의 다른 설비들에 의해 생산된 천연가스를 액화시켜 액화천연가스를 생산하거나, 본 실시예의 저장탱크(200)에서 발생한 증발가스를 재액화시킨다.
본 실시예의 선체(H)에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탑사이드 모듈(T)의 액화설비(100)에 의해 액화된 액화천연가스가 저장되는 저장탱크(200)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의 FLNG는,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다른 선박(D)에서 발생한 증발가스를 본 실시예의 FLNG로 보내는 제 2 배관(L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단, 본 실시예의 제 2 배관(L2")은, 제 1 실시예와는 달리, 다른 선박(D)에서 발생한 증발가스를 버퍼탱크(300)로 보낸다. 본 실시예의 FLNG가 제 2 배관(L2")을 더 포함하는 경우, 다른 선박(D)으로부터 버퍼탱크(300)로 보내진 증발가스는, 저장탱크(200)로부터 버퍼탱크(300)로 보내진 증발가스와 함께 버퍼탱크(300)로부터 액화설비(100)로 보내져 재액화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증발가스 및 액화천연가스의 흐름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저장탱크(200) 내부의 액화천연가스는 버퍼탱크(300)로 보내진 후(L1'), 일부는 엔진(E)으로 보내져 본 실시예의 FLNG의 연료로 사용되고(L3'), 또 다른 일부는 다른 선박(D)으로 보내져 다른 선박(D)의 연료로 사용된다(L6). 저장탱크(200) 내부의 증발가스는 버퍼탱크(300)로 보내진 후(L5') 액화설비(100)로 보내져 재액화되고(L7), 액화설비(100)에 의해 액화 및 재액화된 액화천연가스는 저장탱크(200)로 보내진다(L4). 한편, 다른 선박(D)에서 발생된 증발가스는 버퍼탱크(300)로 보내진 후(L2") 저장탱크(200)로부터 버퍼탱크(300)로 보내진 증발가스와 함께 액화설비(100)로 보내질 수 있다(L7).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00 : 액화설비 200 : 저장탱크
300 : 버퍼탱크 T : 탑사이드 모듈
H : 선체 L1, L2, L3, L4, L5, L6, L7 : 배관

Claims (12)

  1. 선체 상부 구조인 탑사이드 모듈을 포함하는 FLNG에 있어서,
    상기 탑사이드 모듈에 설치되는 액화설비;
    상기 선체에 설치되는 저장탱크; 및
    상기 액화설비에 의해 액화된 액화천연가스를 상기 저장탱크로 보내는 제 4 배관;을 포함하고,
    상기 저장탱크 내부의 액화천연가스는 다른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로 보내지는, FLNG.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 내부의 액화천연가스를 다른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로 보내는 제 1 배관;
    상기 저장탱크 내부의 액화천연가스를 상기 FLNG의 엔진으로 보내는 제 3 배관; 및
    상기 저장탱크 내부의 증발가스를 상기 액화설비로 보내는 제 5 배관;
    을 더 포함하는, FLNG.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다른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로부터 상기 액화설비로 증발가스를 보내는 제 2 배관을 더 포함하는, FLNG.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다른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로부터 상기 저장탱크로 증발가스를 보내는 제 2 배관을 더 포함하는, FLNG.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보다 내부 압력에 더 잘 견디는 버퍼탱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탱크 내부의 액화천연가스는 상기 버퍼탱크에 임시 저장된 후 상기 다른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로 보내지는, FLNG.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 내부의 액화천연가스를 상기 버퍼탱크로 보내는 제 1 배관;
    상기 버퍼탱크 내부의 액화천연가스를 상기 FLNG의 엔진으로 보내는 제 3 배관;
    상기 저장탱크 내부의 증발가스를 상기 버퍼탱크로 보내는 제 5 배관;
    상기 버퍼탱크 내부의 액화천연가스를 상기 다른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로 보내는 제 6 배관; 및
    상기 버퍼탱크 내부의 증발가스를 상기 액화설비로 보내는 제 7 배관;
    을 더 포함하는, FLNG.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다른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로부터 상기 버퍼탱크로 증발가스를 보내는 제 2 배관을 더 포함하는, FLNG.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저장탱크는 멤브레인형 저장탱크이고, 상기 버퍼탱크는 독립탱크형 저장탱크인, FLNG.
  9. 저장탱크 내부의 액화천연가스의 일부는 엔진으로 보내지고, 다른 일부는 다른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로 보내지고,
    상기 저장탱크 내부의 증발가스는 액화설비로 보내져 재액화된 후 상기 저장탱크로 보내지는, FLNG용 벙커링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다른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에서 발생된 증발가스는 상기 액화설비로 보내져 재액화된 후 상기 저장탱크로 보내지는, FLNG용 벙커링 방법.
  11. 저장탱크 내부의 액화천연가스 및 증발가스는 버퍼탱크로 보내지고,
    상기 버퍼탱크 내부의 액화천연가스의 일부는 엔진으로 보내지고, 다른 일부는 다른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로 보내지고,
    상기 버퍼탱크 내부의 증발가스는 액화설비로 보내져 재액화된 후 상기 저장탱크로 보내지는, FLNG용 벙커링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다른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에서 발생된 증발가스는 상기 버퍼탱크로 보내진 후 상기 버퍼탱크 내부의 증발가스와 함께 상기 액화설비로 보내져 재액화되는, FLNG용 벙커링 방법.
KR1020150071029A 2015-05-21 2015-05-21 Flng 및 flng용 벙커링 방법 KR1023330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1029A KR102333069B1 (ko) 2015-05-21 2015-05-21 Flng 및 flng용 벙커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1029A KR102333069B1 (ko) 2015-05-21 2015-05-21 Flng 및 flng용 벙커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6869A true KR20160136869A (ko) 2016-11-30
KR102333069B1 KR102333069B1 (ko) 2021-12-01

Family

ID=57707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1029A KR102333069B1 (ko) 2015-05-21 2015-05-21 Flng 및 flng용 벙커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30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67239C2 (ru) * 2017-03-14 2022-03-17 Вудсайд Энерджи Текнолоджиз Пти Лтд Контейнерный блок сжижения природного газа и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спг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этого блока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818B1 (ko) * 2009-10-16 2010-07-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액화연료가스 급유선
KR20130098644A (ko) * 2012-02-28 2013-09-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연료가스 급유장치
KR20140148144A (ko) * 2013-06-21 2014-12-3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ng 벙커링 선박 및 lng 벙커링 방법
KR20150041820A (ko) * 2013-10-10 2015-04-2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가스 액화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42405A (ko) * 2013-10-11 2015-04-2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재액화 장치를 구비한 이중 압력 연료가스 공급 시스템
KR20150049951A (ko) * 2013-10-31 2015-05-0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818B1 (ko) * 2009-10-16 2010-07-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액화연료가스 급유선
KR20130098644A (ko) * 2012-02-28 2013-09-0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연료가스 급유장치
KR20140148144A (ko) * 2013-06-21 2014-12-3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ng 벙커링 선박 및 lng 벙커링 방법
KR20150041820A (ko) * 2013-10-10 2015-04-2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가스 액화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42405A (ko) * 2013-10-11 2015-04-2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재액화 장치를 구비한 이중 압력 연료가스 공급 시스템
KR20150049951A (ko) * 2013-10-31 2015-05-0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액화가스 처리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67239C2 (ru) * 2017-03-14 2022-03-17 Вудсайд Энерджи Текнолоджиз Пти Лтд Контейнерный блок сжижения природного газа и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спг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этого блок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3069B1 (ko) 2021-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38465B1 (ko) 액화가스추진 선박의 연료공급시스템 및 방법
KR101559403B1 (ko) 재액화 전력 소비량을 절감하기 위한 증발가스 처리장치 및방법
AU2013200429B2 (en) Marine transport of unsweetened natural gas
KR102538933B1 (ko) 액화가스추진 선박의 연료공급시스템 및 방법
AU2017207324B2 (en) Natural gas liquefaction vessel
KR20200056513A (ko) 선박의 증발가스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297865B1 (ko)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저장하역시설의 증발가스 처리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저장하역시설
KR20160036838A (ko) 선박의 lng 벙커링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33068A (ko) 선박용 연료 공급 시스템 및 동 시스템을 구비한 선박
KR102539439B1 (ko) 액화가스추진 선박의 연료공급시스템 및 방법
KR101741756B1 (ko) 재액화 시스템
KR102333068B1 (ko) 부유식 액화천연가스 생산저장하역시설
KR102333069B1 (ko) Flng 및 flng용 벙커링 방법
KR102327410B1 (ko) 액화가스 운반선의 연료공급시스템 및 방법
KR101606562B1 (ko) 증발가스 처리장치 및 방법
KR102333072B1 (ko) 액화가스 운반선의 연료공급시스템 및 방법
KR101775041B1 (ko) 부유식 저장장치
KR101584568B1 (ko) 부유식 lng 생산설비 및 이를 이용한 lng 로딩 방법
KR20220036446A (ko) 액화가스 운반선의 연료공급시스템 및 방법
KR102539435B1 (ko) 액화가스추진 선박의 연료공급시스템 및 방법
KR102553159B1 (ko) 가스 처리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2397725B1 (ko) 선박의 연료 공급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27184A (ko) 선박의 연료공급시스템 및 방법
KR102614531B1 (ko) 선박용 재액화 장치
KR102487007B1 (ko) 선박의 가스 처리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