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5966A - 사용자 상태 추론을 위한 태그 정보 처리 방법,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사용자 상태 추론을 위한 태그 정보 처리 방법,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5966A
KR20160135966A KR1020150069509A KR20150069509A KR20160135966A KR 20160135966 A KR20160135966 A KR 20160135966A KR 1020150069509 A KR1020150069509 A KR 1020150069509A KR 20150069509 A KR20150069509 A KR 20150069509A KR 20160135966 A KR20160135966 A KR 201601359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access point
information
communication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9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석연
김종연
조채환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695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5966A/ko
Publication of KR20160135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59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3Special arrangements for circuits, e.g. for protecting identification code in memory
    • G06K19/07309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reading or writing from or onto record carri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08General problems related to the reading of electronic memory record carriers, independent of its reading method, e.g. power transfer
    • H04B5/006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상태 추론을 위한 태그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태그 식별 정보와 무선 통신 식별 정보를 동시에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고 사용자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사용자 상태 추론을 위한 태그 정보 처리 방법,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그 장치는 태그 리더기에 접촉됨에 따라 특정 구역으로의 사용자 진입 여부 판단을 위한 제1 식별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태그 리더기에 전송하는 태그 통신 모듈, 사용자의 위치 식별을 위한 제2 식별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달하기 위해 일정 반경 내 액세스 포인트 장치로 송출하는 무선 통신 모듈 및 상기 태그 리더기에 접촉됨에 따라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태그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태그 리더기로 전송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제2 식별 정보가 송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상태 추론을 위한 태그 정보 처리 방법, 이를 위한 장치{PROCESSING METHOD OF TAG INFORMATION FOR INFERRING USER SITUATION}
본 발명은 사용자 상태 추론을 위한 태그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태그 식별 정보와 무선 통신 식별 정보를 동시에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고 사용자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사용자 상태 추론을 위한 태그 정보 처리 방법,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 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최근 블루투스 저 전력(BLE: Bluetooth Low Energy) 기술(블루투스 4.0)이 스마트폰, 소매 지오펜싱(geofencing), 모바일 결제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블루투스 저 전력 기술은 표준 블루투스 무선 연결보다 전력을 적게 소모하며, 최근 각광받는 기술이나, 아직까지 블루투스 저 전력 기술을 이용한 다양한 응용 서비스 제공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블루투스 저전력 기술을 통해 사용자가 별도의 행동을 취하지 않더라도 자동으로 사용자를 인식하여 위치를 파악한 후 사용자에게 다양한 위치 기반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데, 동일한 비콘 신호를 주기적으로 송출함으로써, 악의적인 사용자에 의해 쉽게 스캐닝될 수 있으며, 쉽게 스캐닝한 비콘 신호를 복제하여 다른 불법적인 행위가 이뤄질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RFID 태그 등을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가 리더기에 태그를 접촉시킴으로써 특정 구역으로의 진입할 수 있는 출입 시스템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태그를 이용한 시스템은 단순히 특정 구역으로의 사용자의 진입 여부만을 판단할 수 있을 뿐, 이를 기초로 태그를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에 대한 다양한 상황을 판단하고 이에 적절한 서비스 제공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2-0104677호, 2012년 09월 24일 공개(명칭: 무선 에이피와 블루투스 비콘을 이용한 위치인증 서비스 시스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특히 태그 식별 정보와 무선 통신 식별 정보를 동시에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고 사용자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사용자 상태 추론을 위한 태그 정보 처리 방법,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태그 식별 정보를 송출하는 모듈과 무선 통신 식별 정보를 송출하는 모듈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장치를 통해 구현되며, 액세스 포인트 장치로 무선 통신 식별 정보 송출 시 사전에 액세스 포인트 장치로부터 제공된 암호화값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 식별 정보를 암호화하여 전송할 수 있는 사용자 상태 추론을 위한 태그 정보 처리 방법,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액세스 포인트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암호화값을 주기적으로 변경하고, 주기적으로 변경되는 암호화값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 식별 정보를 암호화함으로써 무선 통신 식별 정보가 중간에 유출되더라도 악의적인 사용자가 무선 통신 식별 정보를 해독할 수 없는 사용자 상태 추론을 위한 태그 정보 처리 방법,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태그 식별 정보를 송출하는 모듈과 무선 통신 식별 정보를 송출하는 모듈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장치는 휴대가 용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전력 절감을 위해 평상시에는 액세스 포인트 장치로 무선 통신 식별 정보만을 송출하고 기 설정된 주기 단위로 또는 특정 조건 발생 시에만 액세스 포인트 장치와 보안 채널을 수립하여 정보를 송수신함으로써 저전력으로 동작할 수 있는 사용자 상태 추론을 위한 태그 정보 처리 방법,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그 장치는 태그 리더기에 접촉됨에 따라 특정 구역으로의 사용자 진입 여부 판단을 위한 제1 식별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태그 리더기에 전송하는 태그 통신 모듈; 사용자의 위치 식별을 위한 제2 식별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달하기 위해 일정 반경 내 액세스 포인트 장치로 송출하는 무선 통신 모듈; 및 상기 태그 리더기에 접촉됨에 따라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태그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태그 리더기로 전송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제2 식별 정보가 송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로부터 미리 수신되어 저장된 암호화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식별 정보를 암호화한 후 암호화된 제2 식별 정보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로 전송되도록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 모듈은 일정 주기 단위로 또는 기 설정된 조건 발생 시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이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와 연결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에 의해 설정된 암호화값이 수신되면, 기 저장된 암호화값을 상기 수신된 암호화값으로 변경하여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상태 추론을 위한 태그 정보 처리 방법은 태그 장치가 태그 리더기에 접촉됨에 따라 특정 구역으로의 사용자의 진입 여부 판단을 위한 제1 식별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태그 리더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태그 장치가 사용자의 위치 식별을 위한 제2 식별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달하기 위해 일정 반경 내 액세스 포인트 장치로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기 태그 장치가 주기적으로 또는 상기 제1 식별 정보가 상기 태그 리더기로 전송됨이 감지되면,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로부터 미리 수신되어 저장된 암호화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식별 정보를 암호화하는 단계; 및 상기 태그 장치가 상기 암호화된 제2 식별 정보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태그 장치가 일정 주기 단위로 또는 기 설정된 조건 발생 시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와 연결을 수립하는 단계; 기 태그 장치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에 의해 설정된 암호화값을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태그 장치가 기 저장된 암호화값을 삭제하고 상기 수신된 암호화값이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상태 추론을 위한 태그 정보 처리 방법은 관리 서버가 태그 리더기로부터 전달되는 태그 장치에 대한 제1 로그 정보와 액세스 포인트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태그 장치에 대한 제2 로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수신된 각 로그 정보를 시간 정보를 기준으로 병합하여 병합 로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병합 로그 정보에서 태그 식별을 위한 제1 식별 정보와 무선 통신 식별을 위한 제2 식별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 서버가 확인된 상기 제1 식별 정보와 제2 식별 정보를 미리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태그 장치의 사용자 상태를 추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사용자 상태 추론을 위한 태그 정보 처리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용자 상태 추론을 위한 태그 정보 처리 방법, 이를 위한 장치에 의하면, 태그 식별 정보를 송출하는 모듈과 무선 통신 식별 정보를 송출하는 모듈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장치를 통해 구현되며, 액세스 포인트 장치로 무선 통신 식별 정보 송출 시 사전에 액세스 포인트 장치로부터 제공된 암호화값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 식별 정보를 암호화하여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액세스 포인트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암호화값을 주기적으로 변경하고, 주기적으로 변경되는 암호화값을 이용하여 무선 통신 식별 정보를 암호화함으로써 무선 통신 식별 정보가 중간에 유출되더라도 악의적인 사용자가 무선 통신 식별 정보를 해독할 수 없어 보안이 보다 향상된다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태그 식별 정보를 송출하는 모듈과 무선 통신 식별 정보를 송출하는 모듈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장치는 휴대가 용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전력 절감을 위해 평상시에는 액세스 포인트 장치로 무선 통신 식별 정보만을 송출하고 기 설정된 주기 단위로 또는 특정 조건 발생 시에만 액세스 포인트 장치와 보안 채널을 수립하여 정보를 송수신함으로써 저전력으로 동작하여 장치의 배터리 소모를 절감시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태그 식별 정보와 무선 통신 식별 정보를 동시에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고 사용자의 상태를 종합적으로 판단함으로써, 특정 구역 내의 보다 정확한 사용자 상태 파악이 가능하며 보다 다양한 신규 서비스 창출이 가능하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상술한 효과 이외의 다양한 효과들이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그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그 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그 장치의 일 구현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관리 서버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그 장치에서의 사용자 상태 추론을 위한 태그 정보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암호화값이 갱신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상태 추론을 위한 태그 정보 처리 방법을 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관리 서버에서의 사용자 상태 추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핵심을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하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로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상기 구성요소들을 한정하기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더하여,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할 경우, 이는 논리적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시 말해,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으며, 간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포함 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상태 추론을 위한 태그 정보 처리 방법, 이를 위한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이때,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전체 시스템 구조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그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태그 시스템(1000)은 태그 장치(100), 태그 리더기(200), 액세스 포인트 장치(300) 및 관리 서버(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태그 리더기(200) 및 액세스 포인트 장치(300)와 관리 서버(400) 간의 정보의 송수신을 지원하는 통신망(5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각 구성 요소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태그 장치(100)는 사용자의 휴대가 용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태그 장치(100)는 관리 서버(400)에 의해 태그 장치(100)를 휴대하고 있는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특정 구역으로의 출입 여부 등이 확인되도록 필요한 정보를 태그 리더기(200) 및 액세스 포인트 장치(30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태그 장치(100)는 특정 구역으로의 사용자 진입 여부 판단에 활용될 수 있으며 태그 통신 모듈을 식별하는 제1 식별 정보를 태그 리더기(200)로 전달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위치 식별에 활용될 수 있으며 무선 통신 모듈을 식별하는 제2 식별 정보를 액세스 포인트 장치(3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태그 장치(100)는 제1 식별 정보를 태그 리더기(200)로 전달하기 위한 태그 통신 모듈 및 제2 식별 정보를 액세스 포인트 장치(300)로 전달하기 위한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모듈은 서로 다른 독립된 장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각각의 모듈이 서로 다른 독립된 장치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태그 통신 모듈은 태그 카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무선 통신 모듈을 태그 카드를 수납할 수 있는 케이스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태그 통신 모듈이 카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무선 통신 모듈이 케이스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모듈은 하나의 장치 내에 존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태그 장치(100)의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태그 리더기(200)는 태그 장치(100)와 접촉하거나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하는 태그 장치(100)를 비접촉 방식으로 인식하고, 태그 장치(100)에 저장된 태그 식별을 위한 정보인 제1 식별 정보를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독출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태그 리더기(200)는 제1 식별 정보가 태그 장치(100)로부터 독출된 시간 또는 태그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시간 정보를 포함하여 제1 로그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1 로그 정보를 관리 서버(40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태그 리더기(200)는 태그 장치(100)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이외의 관리 서버(400)와 접속할 수 있는 별도의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경우 직접 관리 서버(400)로 생성한 제1 로그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반면, 근거리 무선 통신만 지원하는 경우 일정 반경 내 위치하는 액세스 포인트 장치(300)로 생성한 제1 로그 정보를 전송하고 액세스 포인트 장치(300)에 의해 관리 서버(400)로 제1 로그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러한 태그 리더기(200)는 태그 장치(100)가 900MHz의 주파수를 사용하며 최대 인식거리가 10M 정도인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를 포함하는 경우 RFID 태그를 리딩할 수 있는 RFID 리더기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태그 장치(100)가 13.56MHz의 주파수를 사용하며 최대 인식거리가 10cm 정도인 NFC 태그를 포함하는 경우 NFC 태그를 리딩할 수 있는 NFC 리더기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태그 장치(100)가 RFID 태그 및 NFC 태그 기능을 동시에 지원하는 듀얼 태그(dual tag)를 포함하는 경우 태그 리더기(200)는 RFID 태그를 리딩하거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태그를 리딩하거나 또는 듀얼 태그를 리딩할 수 있는 어느 하나의 장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 장치(300)는 자신의 커버리지 내에 위치하는 태그 장치(100)를 인식하고, 태그 장치(100)의 무선 통신 모듈로부터 전송되는 제2 식별 정보를 통신망(500)을 거쳐 관리 서버(40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액세스 포인트 장치(300)는 태그 장치(100)로부터 블루투스 통신 방식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특히 BLE(Bluetooth Low Energy) 방식의 비콘 신호를 수신하여 수신된 비콘 신호에서 제2 식별 정보를 추출하여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액세스 포인트 장치(300)가 태그 장치(100)로부터 수신하는 제2 식별 정보는 액세스 포인트 장치(300)가 미리 제공한 암호화 값을 이용하여 암호화되어 수신될 수 있다. 자신이 제공한 암호화 값으로 암호화된 제2 식별 정보가 태그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면 액세스 포인트 장치(300)는 자신의 암호화 값을 이용해서 제2 식별 정보를 복호화한 후 복호화된 제2 식별 정보를 제2 식별 정보가 수신된 시간 정보와 함께 저장하여 제2 로그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2 로그 정보를 관리 서버(4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액세스 포인트 장치(300)가 태그 장치(100)로 미리 제공하는 암호화값은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또는 태그 장치(100)에서 특정 이벤트 발생 시 새롭게 생성되어 태그 장치(100)로 전송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의 태그 리더기(200) 및 액세스 포인트 장치(300)는 특정 구역 내에 복수 개 위치하여 존재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태그 시스템(1000)이 빌딩 내 구현 되는 경우, 태그 리더기(200)는 소정의 출입구에 해당하는 구역에 위치할 수 있으며, 액세스 포인트 장치(300)는 원활한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구역에 분산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해 어느 하나의 태그 리더기(200)가 위치하는 일정 반경 내, 태그 리더기(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정도의 커버리지 내에 액세스 포인트 장치(300)가 반드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관리 서버(400)는 태그 리더기(200)로부터 제1 로그 정보가 수신되고, 액세스 포인트 장치(300)로부터 제2 로그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각각의 로그 정보에 포함된 제1 식별 정보와 제2 식별 정보를 확인하고, 확인된 제1 식별 정보와 제2 식별 정보를 미리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태그 장치(100)를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의 현재 상황을 추론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식별 정보만 수신되고 제2 식별 정보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태그 장치(100)의 무선 통신 모듈에 이상이 생긴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400)는 제2 식별 정보는 수신되었으나, 제1 식별 정보는 수신되지 않은 경우 일 구역으로의 사용자 진입이 정상적이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관리 서버(400)는 태그 리더기(200)와 액세스 포인트 장치(30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태그 장치(100)를 소유하고 있는 사용자에 대한 리포트를 생성하고 생성된 리포트를 관리자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사용자에게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관리 서버(400)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각 장치에 탑재되는 프로세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처리할 수 있다. 일 구현 예에서, 이 프로세서는 싱글 쓰레드(Single-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 예에서 본 프로세서는 멀티 쓰레드(Multithreaded) 프로세서일 수 있다. 나아가 본 프로세서는 메모리 혹은 저장 장치 상에 저장된 명령을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그 리더기(200), 액세스 포인트 장치(300) 및 관리서버(400)는 통신망(500)을 통해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하게 되며, 이때의 통신망(500)은 다양한 형태의 통신망이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WLAN(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무선 통신 방식 또는 이더넷(Ethernet), xDSL(ADSL, VDSL), HFC(Hybrid Fiber Coaxial Cable), FTTC(Fiber to The Curb), FTTH(Fiber To The Home) 등의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통신 방식 이외에도 기타 널리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모든 형태의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그 장치(100)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그 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그 장치(100)는 태그 통신 모듈(110), 무선 통신 모듈(120), 제어 모듈(130) 및 저장 모듈(1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각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태그 통신 모듈(110)은 태그 리더기(200)에 접촉됨에 따라 특정 구역으로의 사용자 진입 여부 판단을 위한 제1 식별 정보를 관리 서버(400)로 전달하기 위해 태그 리더기(200)로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태그 통신 모듈(110)은 접촉식 또는 비접촉식 방식으로 태그 리더기(200)에 접촉됨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태그 통신 모듈(110)은 900MHz의 주파수를 사용하며 최대 인식거리가 10M 정도인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방식에 따라 제1 식별 정보를 상기 태그 리더기(2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13.56MHz의 주파수를 사용하며 최대 인식거리가 10cm 정도인 NFC 태그를 포함하는 경우 NFC 통신 방식에 따라 제1 식별 정보를 상기 태그 리더기(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태그 통신 모듈(110)은 수동형 또는 능동형으로 동작할 수 있는데, 다시 말해, 태그 리더기(200)에 감지됨에 따라 태그 리더기(200)에 의해 수동적으로 제1 식별 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태그 리더기(2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태그 리더기(200)에 감지됨에 따라 태그 리더기(200)로부터 요청이 수신되면, 그 이후에 제1 식별 정보를 상기 태그 리더기(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모듈(120)은 블루투스와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일정 반경 내 액세스 포인트 장치(300)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역할을 지원한다. 특히, 본 발명의 무선 통신 모듈(120)은 일정 반경 내 액세스 포인트 장치(300)를 스캔하여 검출하고, 검출된 액세스 포인트 장치(300)로 자신의 식별 정보인 제2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무선 통신 모듈(120)은 일정 반경 내 스캔된 액세스 포인트 장치(300)로 자신의 식별 정보인 제2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제2 식별 정보를 일정 반경 내 브로드캐스팅하여 송출하고 이를 액세스 포인트 장치(300)가 스캔하여 인식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무선 통신 모듈(120)은 주기적으로 제2 식별 정보를 전송할 수 있으며, 태그 통신 모듈(110)에 의해 제1 식별 정보가 태그 리더기(200)로 전송됨이 감지되면 이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제2 식별 정보를 액세스 포인트 장치(3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무선 통신 모듈(120)이 송출하는 제2 식별 정보는 액세스 포인트 장치(300)로부터 사전에 미리 수신되어 저장된 암호화값을 이용하여 암호화된 후 액세스 포인트 장치(300)로 전송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의 무선 통신 모듈(120)은 제어 모듈(130)의 제어에 따라 평상시에는 액세스 포인트 장치(300)로부터 정보 송출 기능만을 수행하는 비연결 모드 상태로 존재하다가 제어 모듈(130)의 요청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 장치(300)와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한 연결 모드 상태로 변경될 수도 있으며, 연결 모드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무선 통신 모듈(120)은 액세스 포인트 장치(300)가 제공하는 암호화값을 수신하는 기능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제어 모듈(130)은 먼저, 태그 리더기에 접촉됨이 감지됨에 따라 제1 식별 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태그 통신 모듈(110)을 통해 태그 리더기(200)로 전송되는 과정을 지원할 수 있다. 아울러, 무선 통신 모듈 식별을 위한 제2 식별 정보를 무선 통신 모듈(120)을 통해 일정 반경 내 스캔된 액세스 포인트 장치(300)로 또는 일정 반경 내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송출되는 과정을 지원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어 모듈(130)은 상기 태그 통신 모듈(110)에 의해 상기 제1 식별 정보가 상기 태그 리더기로 전송됨이 감지되면 이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제2 식별 정보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300)로 전송되도록 상기 무선 통신 모듈(120)로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제어 모듈(130)은 일정 주기 단위로 또는 기 설정된 조건 발생 시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300)로부터 수신되어 미리 저장된 암호화값을 갱신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모듈(120)이 액세스 포인트 장치(300)로 송출하는 제2 식별 정보는 공용 주파수 채널을 통해 송출되므로, 다른 악의적인 사용자에 의해 스캐닝되어 악용될 소지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다른 악의적인 사용자에 의해 제2 식별 정보가 사용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제2 식별 정보를 액세스 포인트 장치(300)로 전송 시 사전에 액세스 포인트 장치(300)로부터 미리 수신되어 저장된 암호화 값을 이용하여 제2 식별 정보를 암호화한 후 액세스 포인트 장치(300)로 전송하게 된다. 예컨대, 본 발명의 제어 모듈(130)은 액세스 포인트 장치(300)로부터 수신된 암호화값과 제2 식별 정보를 XOR(exclusive OR) 연산을 수행하고 연산에 따라 수행된 결과를 무선 통신 모듈(120)로 전달하여 무선 통신 모듈(120)에 의해 액세스 포인트 장치(300)로 전달되는 과정을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수신한 액세스 포인트 장치(300)는 자신의 암호화 값을 이용하여 상기 암호화된 제2 식별 정보를 복호화하여 원래의 제2 식별 정보로 생성한 후 이를 기초로 로그 정보를 생성하고 관리 서버(400)로 전송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액세스 포인트 장치(300)로부터 미리 수신되어 저장된 암호화 값이 태그 장치(100)에 고정된 형태로 저장되어 있을 경우, 암호화 값이 유출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태그 장치(100)는 일정 주기 단위로 또는 기 설정된 조건 발생 시 액세스 포인트 장치(300)로부터 상기 암호화값을 다시 수신하여 갱신하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무선 통신 모듈(120)은 평상시에는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 장치(300)로 제2 식별 정보 송출만 가능한 상태이다. 이는 전력을 보다 절감하기 위한 것으로, 액세스 포인트 장치(300)로부터 특정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서는 액세스 포인트 장치(300)와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한 모드 상태로 변경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제어 모듈(130)은 일정 주기 단위, 예컨대 1시간, 6시간, 1일 등의 일정 주기 단위로 비연결(Non-Connectable Advertising) 모드에서 연결(Connectable Advertising) 모드로 변경되도록 무선 통신 모듈(120)을 제어한다. 연결 모드가 변경된 무선 통신 모듈(120)은 일정 반경 내로 자신의 모드가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안내 패킷(Advertising Packet)을 송출한다. 이에 대한 응답이 액세스 포인트 장치(300)로부터 수신되면, 액세스 포인트 장치(300)와 무선 통신 모듈(120)은 연결 상태가 되며, 이때의 연결 상태는 보안 채널을 통해 수립될 수 있다. 상기 과정에서 액세스 포인트 장치(300)는 암호화값 변경이 필요한 지 여부를 판단하여 암호화값 변경이 필요한 경우에만 무선 통신 모듈(120)로 암호화값을 전송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암호화값 변경을 위해 설정된 주기에 도달하여 제어 모듈(130)에 의해 무선 통신 모듈(120)의 모드가 변경되었다 하더라도, 액세스 포인트 장치(300)가 새로운 암호화값을 발급하는 것이 아니라, 액세스 포인트 장치(300)에서도 암호화값 갱신 여부를 판단하여 갱신이 필요한 경우에만 태그 장치(100)의 무선 통신 모듈(120)로 새로운 암호화값을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무선 통신 모듈(120)은 액세스 포인트 장치(300)로부터 새로운 암호화값이 수신되면, 이를 제어 모듈(130)로 전달하고, 제어 모듈(130)은 수신된 암호화값이 저장 모듈(140)에 저장되어 있던 기존의 암호화값을 대체하도록 기존의 암호화값을 삭제하고, 수신된 암호화값을 저장 모듈(140)에 저장하는 과정을 지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제어 모듈(130)이 일정 주기 단위로 액세스 포인트 장치(300)와 연결될 수 있도록 무선 통신 모듈(120)의 모드를 변경하고, 액세스 포인트 장치(300)로부터 갱신된 암호화값을 수신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는 지 여부를 판단하여 제어 모듈(130)이 무선 통신 모듈(120)의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태그 리더기(300)에 접촉됨에 따라 제1 식별 정보를 태그 통신 모듈(110)이 태그 리더기(300)로 송출됨이 감지될 때 무선 통신 모듈(120)의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저장 모듈(14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기능 동작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특히, 저장 모듈(140)은 제1 식별 정보와 제2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액세스 포인트 장치(300)로부터 수신되는 암호화값을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어 모듈(13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저장된 암호화값을 삭제하고, 새롭게 수신되는 암호화값을 저장하는 과정을 지원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그 장치(100)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태그 장치(1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각 모듈을 포함하는 하나의 독립된 장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반면, 또 다른 실시 예에서는 본 발명의 태그 장치(100)는 태그 통신 모듈(110) 및 무선 통신 모듈(120)이 각각 독립된 장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 모듈(130) 및 저장 모듈(140)은 태그 통신 모듈(110)을 포함하고 있는 장치 내에 또는 무선 통신 모듈(120)을 포함하고 있는 장치 내에 포함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태그 통신 모듈(110)을 포함하는 장치와 무선 통신 모듈(120)을 포함하는 장치는 결합이 가능한 형태 또는 서로 통신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그 장치의 일 구현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특히,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그 장치의 전면부를 예시하고 있으며,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그 장치의 후면부를 예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그 장치(100)가 특정 구역으로의 사용자 진입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출입 시스템에 적용되는 경우, 태그 장치(100)는 케이스(10)와 카드(20)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케이스(10)는 카드(20)를 수납할 수 있는 형태로 구현되며, 사용자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내에 카드(20)를 장착하거나 탈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태그 장치(100)과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10)와 카드(20)를 포함하여 구현되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태그 통신 모듈(110)은 카드(20)에 포함될 수 있다. 반면 무선 통신 모듈(120)은 케이스(10)에 포함될 수 있으며, 제어 모듈(130) 및 저장 모듈(140)은 카드(20) 또는 케이스(10)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되어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태그 통신 모듈(110)이 케이스(10)에 포함될 수 있으며, 무선 통신 모듈(120)이 카드(20)에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관리 서버(400)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관리 서버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관리 서버(40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410), 식별 정보 저장부(420), 테이블 생성부(430), 사용자 상태 추론부(440) 및 리포트부(4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각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통신 인터페이스부(410)는 통신망(500)을 거쳐 태그 리더기(200) 및 액세스 포인트 장치(300)와 정보의 송수신을 지원하게 된다. 특히, 태그 리더기(200)로부터 태그 장치(100)에 대한 제1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제1 로그 정보를 수신하고, 액세스 포인트 장치(300)로부터 태그 장치(100)에 대한 제2 식별 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제2 로그 정보를 수신하여 테이블 생성부(43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식별 정보 저장부(420)는 태그 장치(100)별로 할당되는 태그 아이디에 대응하여 제1 식별 정보 및 제2 식별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태그 아이디는 태그 장치(100) 자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태그 시스템(1000)이 출입 시스템에 적용되는 경우, 태그 아이디는 예컨대 사원번호가 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식별 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태그 장치(100)의 태그 통신 모듈(110)별로 할당되며, 제2 식별 정보는 무선 통신 모듈(120)로 할당되는 것으로, 최초 태그 장치(100) 구현 시 관리 서버(400)는 태그 아이디에 대응하여 제1 식별 정보 및 제2 식별 정보를 다음과 같이 구축하여 저장할 수 있다.
태그 아이디 제1식별 정보 제2식별 정보 등록일 구분
A001010 H092034021 4E:74:90:0D:03:34 15.02.01 직원
A001011 H092442340 4E:43:53:53:22:09 15.02.01 직원
G000001 G020340501 4E:39:23:49:A1:BF 14.01.01 방문객
A009090 H093405013 4E:61:09:C3:44:90 15.02.20 직원
테이블 생성부(43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410)로부터 전달되는 제1 로그 정보 및 제2 로그 정보를 이용하여 병합 로그 정보에 대한 테이블을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태그 리더기(200)로부터 수신된 제1 로그 정보가 다음과 같다 가정한다.
시간 제1식별 정보 구분
2015.2.23 10:35.24.01 H092034021 OK
2015.2.23 10:35.25.42 G020340501 NOK
2015.2.23 17:06.09.53 H093405013 OK
그리고 액세스 포인트 장치(300)로부터 수신된 제2 로그 정보가 다음과 같다 가정한다.
시간 제2식별 정보 구분
2015.2.23 10:35.24.32 4E:43:53:53:22:09 OK
2015.2.23 10:35.25.42 4E:39:23:49:A1:BF -
2015.2.23 17:06.09.53 4E:61:09:C3:44:90 OK
이를 수신한 테이블 생성부(430)는 상기 로그 정보를 시간 정보를 기준으로 다음과 같이 병합하여 병합 로그 정보를 생성한 후 사용자 상태 추론부(440)로 전달한다.
제1식별 정보 제2식별 정보 시간
H092034021 - 2015.2.23 10:35.24.01
- 4E:43:53:53:22:09 2015.2.23 10:35.24.32
G020340501 4E:39:23:49:A1:BF 2015.2.23 10:35.25.42
H093405013 4E:61:09:C3:44:90 2015.2.23 17:06.09.53
사용자 상태 추론부(440)는 태그 아이디에 대응하여 식별 정보 저장부(420)에 저장된 제1 식별 정보 및 제2 식별 정보와 상기 테이블 생성부(430)에 의해 생성된 병합 로그 정보를 비교하여 태그 장치(100)의 사용자의 상태를 추론할 수 있다.
예컨대, 동일 시간대에 제1 식별 정보는 존재하나 제2 식별 정보는 없는 경우, 사용자 상태 추론부(440)는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태그 장치(100)의 무선 통신 모듈의 이상으로 추론할 수 있다. 이때, 일정 횟수 이상 동일한 현상이 발생되면 사용자 상태 추론부(440)는 이에 대한 내용을 사용자에게 안내하기 위해 리포트부(450)로 전달할 수 있다.
반면, 동일 시간대에 제2 식별 정보는 존재하나 제1 식별 정보는 존재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 상태 추론부(440)는 태그 장치(100)를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가 태그 리더기에 대한 접촉 과정 없이 진입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동일 시간 정보에 대응하여 제1 식별 정보 및 제2 식별 정보는 존재하나 제1 식별 정보의 구분이 NOK(실패)일 경우 허용되지 않은 사용자(예컨대, 퇴사자)가 진입한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리포트부(450)는 사용자 상태 추론부(440)에 의해 추론된 사용자의 상태를 태그 아이디에 대응하여 누적하여 저장하고 일정 주기 단위로 또는 관리자 요청에 의해 문서 형태로 리포트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특정 상태에 대해서는 예컨대 허용되지 않은 사용자가 진입한 것으로 추론된 상태일 경우 관리자에게 실시간 알림을 하고 해당 태그 장치(100)에 대해서는 실시간 추적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관리 서버(400)의 주요 구성 및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관리 서버(400)는 하드웨어적으로는 통상적인 웹서버(Web Server) 또는 네트워크 서버와 동일한 구성을 하고 있다. 그러나, 소프트웨어적으로는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등과 같은 언어를 통하여 구현되는 프로그램 모듈(Module)을 포함한다. 관리 서버(400)는 웹서버 또는 네트워크 서버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웹서버는 일반적으로 인터넷과 같은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불특정 다수 클라이언트 및/또는 다른 서버와 연결되어 있고, 클라이언트 또는 다른 웹서버의 작업수행 요청을 접수하고 그에 대한 작업 결과를 도출하여 제공하는 컴퓨터 시스템 및 그를 위하여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웹서버 프로그램)를 뜻하는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웹서버 프로그램 이외에도, 웹서버 상에서 동작하는 일련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과 경우에 따라서는 내부에 구축되어 있는 각종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관리 서버(400)는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DOS), 윈도우(Windows),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매킨토시(Macintosh) 등의 운영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웹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대표적인 것으로는 윈도우 환경에서 사용되는 웹사이트(Website), IIS(Internet Information Server)와 유닉스환경에서 사용되는 CERN, NCSA, APPACH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관리 서버(400)는 사용자 별로 태그 아이디를 할당하고 태그 아이디에 대응하여 제1 식별 정보 및 제2 식별 정보를 할당한 후 이를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관리 서버(400)는 서버 기반 컴퓨팅 방식 또는 클라우드 방식으로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태그 시스템(1000)을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는 인터넷 상의 클라우드 컴퓨팅 장치에 영구적으로 저장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기능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우드 컴퓨팅은 데스크톱,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넷북 및 스마트폰 등의 디지털 단말기에 인터넷 기술을 활용하여 가상화된 IT(Information Technology) 자원, 예를 들어, 하드웨어(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 소프트웨어(데이터베이스, 보안, 웹 서버 등), 서비스, 데이터 등을 온 디맨드(On demand) 방식으로 서비스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태그 리더기(200) 및 액세스 포인트 장치(300) 그리고 관리 서버(400) 사이에 송수신되는 모든 정보는 인터넷 상의 클라우드 컴퓨팅 장치에 저장되고, 언제 어디서든 전송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각 장치는 장치 내에 탑재되는 메모리를 통해 필요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일 구현 예에서, 메모리는 휘발성 메모리 유닛 일 수 있으며, 다른 구현예의 경우, 메모리는 비휘발성 메모리 유닛 일 수도 있다. 일 구현예의 경우, 저장장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이다. 다양한 서로 다른 구현 예에서, 저장장치는 예컨대 하드디스크 장치, 광학디스크 장치, 혹은 어떤 다른 대용량 저장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일 예로서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또한, 구성요소들과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비록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는 예시적인 장치 구성을 기술하고 있지만,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적인 동작과 주제의 구현물들은 다른 유형의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주제의 구현물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혹은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상태 추론을 위한 태그 정보 처리 방법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그 장치에서의 사용자 상태 추론을 위한 태그 정보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태그 장치(100)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RFID, NFC 태그와 같이 태그 리더기(200)와 접촉하여 정보를 송출할 수 있는 태그 통신 모듈과 액세스 포인트 장치(300)와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으로 정보를 송출할 수 있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여 상호 연동을 통해 동작한다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태그 장치(100)는 태그 리더기로의 접촉이 감지됨에 따라(S101), 태그 통신 모듈이 자신을 식별할 수 있는 제1 식별 정보를 태그 리더기에 전송한다(S103). 여기서 S103 단계는 수동의 방식에 따라 또는 능동의 방식에 따라 동작할 수 있는 데 다시 말해, 태그 리더기(200)가 저장된 제1 식별 정보를 독출할 수 있으며, 태그 리더기(200)로부터 요청이 수신되면, 태그 장치(100)가 제1 식별 정보를 상기 태그 리더기(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태그 장치(100)는 일정 반경 내 액세스 포인트 장치(300)로 무선 통신 모듈을 식별할 수 있는 제2 식별 정보를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브로드캐스팅 방식으로 송출할 수 있다. 이때, 제2 식별 정보는 제1 식별 정보와 독립적으로 전달될 수 있으며, 제1 식별 정보가 태그 리더기로 전송됨이 감지됨에 따라 순차적으로 액세스 포인트 장치(300)로 송출될 수도 있다.
이후에, 제1 식별 정보를 수신한 태그 리더기(200) 및 제2 식별 정보를 수신한 액세스 포인트 장치(300)는 각각 수신된 식별 정보와 식별 정보가 수신된 시점의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로그 정보를 생성한 후 관리 서버(400)로 전달하고 관리 서버(400)는 이를 이용하여 태그 장치(100)를 인식하고 사용자의 상태를 추론하는 데 활용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그 장치(100)는 구현 방식에 따라 S103 단계 및 S105 단계에서 제1 식별 정보 및 제2 식별 정보를 전송 시 현재 시간 정보를 포함하여 더 전송할 수도 있다. 이는 관리 서버(400)가 보다 정확하게 태그 장치(100)를 인식할 수 있도록 도모하기 위한 과정으로 관리 서버(4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태그 리더기(200)로부터 제1 로그 정보 및 액세스 포인트 장치(300)로부터 제2 로그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각 로그 정보에서 시간 정보를 기준으로 동일한 태그 장치(100)에 대한 로그 정보임을 확인하게 된다. 여기서 시간 정보는 태그 리더기(200)가 태그 장치(100)로부터 제1 식별 정보를 수신한 시간, 액세스 포인트 장치(300)가 태그 장치(100)로부터 제2 식별 정보를 수신한 시간이 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물리적인 환경 요인에 따라 수신된 시점이 서로 다를 경우, 관리 서버(400)는 서로 다른 태그 장치에 대한 로그 정보로 인식할 가능성도 있으므로, 이에 태그 장치(100)가 각각의 식별 정보를 태그 리더기(200) 및 액세스 포인트 장치(300)로 전송 시 전송하는 시점의 시간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하여 보다 정확한 태그 장치(100)의 인식을 도모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그 장치(100)는 액세스 포인트 장치(300)에 송출하는 식별 정보인 제2 식별 정보에 대한 보안을 보다 강화하고자 액세스 포인트 장치(300)로부터 미리 제공된 암호화값을 이용하여 제2 식별 정보를 암호화한 후 암호화된 상태의 제2 식별 정보를 액세스 포인트 장치(3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액세스 포인트 장치(300)는 암호화된 제2 식별 정보가 수신되면 자신의 암호화값을 이용하여 암호화된 제2 식별 정보를 복호화하고 복호화된 제2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제2 로그 정보를 생성한 후 관리 서버(400)로 전달하게 된다.
아울러, 액세스 포인트 장치(300)가 태그 장치(100)로 미리 제공하는 암호화값은 일정 주기별로 또는 기 설정된 조건 별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과정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암호화값이 갱신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그 장치(100)는 전력 절감을 위해 평상시에는 비연결 모드 상태이다(S201). 여기서 비연결 모드란 태그 장치(100)가 제2 식별 정보를 액세스 포인트 장치(300)로 송출하는 기능만을 수행할 수 있는 상태로, 액세스 포인트 장치(300)와 보안 채널을 설정하여 연결 수립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태그 장치(100)는 기 설정된 주기 또는 기 설정된 조건이 발생된 것으로 확인하면 연결 모드 상태로 변경한다(S203 ~ S205). 여기서 기 설정된 주기는 암호화값 변경을 위해 미리 설정된 주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예컨대 1시간, 6시간, 1일 등의 형태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기 설정된 조건은 암호화값 변경을 위해 미리 설정된 조건을 의미하는 것으로, 예컨대 태그 장치(100)가 태그 리더기(200)에 접촉되는 이벤트를 예로 들 수 있다.
이후, 연결 모드로 변경된 태그 장치(100)는 일정 반경 내 위치하는 액세스 포인트 장치(300)로 자신의 모드가 변경되었음을 알리게 된다(S207). 상기 알림은 Advertising Packet 메시지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이를 수신한 액세스 포인트 장치(300)는 암호화값 갱신이 필요한 지 여부를 판단하여 암호화값 갱신이 필요한 경우 태그 장치(100)로 연결을 요청(Connection Request) 할 수 있다(S209).
이후 태그 장치(100)와 액세스 포인트 장치(300)는 연결 상태가 되며, 이때의 연결 상태는 보안 채널을 통해 수립될 수 있다. 보안 채널이 수립된 상태에서 액세스 포인트 장치(300)는 암호화값을 새롭게 생성하고(S213), 생성된 암호화값을 태그 장치(100)로 전달한다(S215). 이때 액세스 포인트 장치(300)는 Tag ID Key Assignment 메시지 형태로 암호화값을 태그 장치(100)로 전달한다.
태그 장치(100)는 액세스 포인트 장치(300)로부터 새로운 암호화값이 수신되면, 이를 저장하고(S217), 액세스 포인트 장치(300)로 정상적으로 암호화값을 수신하였음을 알리는 메시지(Tag ID Key Assignment ACK 메시지)를 전달한다. 그리고 태그 장치(100)는 더 이상의 액세스 포인트 장치(300)와의 보안 채널 연결은 불필요하므로, 보안 채널 연결을 종료하고 비연결 모드 상태로 변경한다(S219). S217 단계에서 태그 장치(100)는 액세스 포인트 장치(300)로부터 미리 수신되어 저장된 암호화값이 존재한다면, 기존의 암호화값은 삭제한 후 새롭게 수신된 암호화값이 저장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친 후 태그 장치(100)는 제2 식별 정보를 액세스 포인트 장치(300)로 전송 시 제2 식별 정보를 액세스 포인트 장치(300)로부터 미리 수신된 암호화값을 이용하여 암호화한 후 전송할 수 있다.
도 5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상태 추론을 위한 태그 정보 처리 방법에 대해 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상태 추론을 위한 태그 정보 처리 방법을 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태그 장치(100)는 사용자에 의해 휴대가 용이한 형태로 구현되어 사용자에 의해 태그 리더기(200)에 접촉될 수 있다(S301).
태그 장치(100)는 태그 리더기로의 접촉이 감지되면(S303), 제1 식별 정보를 독출하여 태그 리더기(200)로 전송한다(S305). 이를 수신한 태그 리더기(200)는 제1 식별 정보와 시간 정보를 포함하여 제1 로그 정보를 생성한다(S307). 여기서 시간 정보는 태그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시간 정보를 이용하거나 태그 장치(100)로부터 시간 정보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제1 식별 정보가 수신된 시점의 시간 정보를 확인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이후에, 태그 리더기(200)는 관리 서버(400)로 제1 로그 정보를 전송한다(S309).
이러한 상태에서, 태그 장치(100)는 제1 식별 정보가 태그 리더기(200)로 전송됨이 감지되면, 액세스 포인트 장치(300)로부터 미리 수신되어 저장된 암호화값으로 제2 식별 정보를 암호화하게 된다(S313). 여기서 제2 식별 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액세스 포인트 장치(300)와 통신할 수 있는 무선 통신 모듈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 정보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태그 장치(100)는 제1 식별 정보가 태그 리더기(200)로 전송되는 과정과는 독립적으로 주기적으로 제2 식별 정보를 일정 반경 내 송출할 수도 있다.
이후, 태그 장치(100)는 암호화된 제2 식별 정보를 액세스 포인트 장치(300)로 전송하고, 액세스 포인트 장치(300)는 자신의 암호화값을 이용하여 제2 식별 정보를 복호화한 후 제2 식별 정보와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로그 정보를 생성한다(S319). 여기서 시간 정보는 태그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시간 정보를 이용하거나 태그 장치(100)로부터 시간 정보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제2 식별 정보가 수신된 시점의 시간 정보를 확인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이후에, 생성된 제2 로그 정보를 관리 서버(400)로 전달하게 된다(S321).
이후의 관리 서버(400)에서의 동작 과정에 대해서는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관리 서버에서의 사용자 상태 추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관리 서버(400)는 태그 리더기(200)로부터 태그 장치(100)에 대한 제1 로그 정보를 수신하고(S401), 액세스 포인트 장치(300)로부터 태그 장치에 대한 제2 로그 정보를 수신한다(S403). 상기 S401 단계와 상기 S403 단계는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로그 정보와 제2 로그 정보는 각각 독립적인 형태로 수신될 수 있으며, 제2 로그 정보가 먼저 수신될 수도 있다.
이후, 본 발명의 관리 서버(400)는 제1 로그 정보 및 제2 로그 정보를 이용하여 태그 장치(100)를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에 대한 추론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407).
예를 들어, 관리 서버(400)는 태그 장치(100)별로 할당되는 태그 아이디에 대응하여 태그 식별을 위한 제1 식별 정보와 무선 통신 식별을 위한 제2 식별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 로그 정보 및 제2 로그 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로그 정보에 각각 포함된 시간 정보를 기준으로 통합 로그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통합 로그 정보에서 제1 식별 정보와 제2 식별 정보가 미리 저장된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상황을 추론할 수 있다.
예컨대, 동일 시간대에 제1 식별 정보는 존재하나 제2 식별 정보는 없는 경우, 관리 서버(400)는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태그 장치(100)의 무선 통신 모듈의 이상으로 추론할 수 있다. 이때, 일정 횟수 이상 동일한 현상이 발생되면 관리 서버(400)는 이에 대한 내용을 관리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반면, 동일 시간대에 제2 식별 정보는 존재하나 제1 식별 정보는 존재하지 않는 경우, 관리 서버(400)는 태그 장치(100)를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가 태그 리더기에 대한 접촉 과정 없이 진입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동일 시간 정보에 대응하여 제1 식별 정보 및 제2 식별 정보는 존재하나 제1 식별 정보의 구분이 NOK(실패)일 경우 허용되지 않은 사용자(예컨대, 퇴사자)가 진입한 것으로 추론하여 관리 서버(400)가 관리하고자 하는 특정 지역 내의 사용자에 대한 상황을 용이하게 확인하고 비허가된 사용자의 근접을 보다 손쉽게 확인하고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상태 추론을 위한 태그 정보 처리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사용자 상태 추론을 위한 태그 정보 처리 방법은 태그 장치가 태그 리더기에 접촉됨에 따라 특정 구역으로의 사용자의 진입 여부 판단을 위한 제1 식별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태그 리더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태그 장치가 사용자의 위치 식별을 위한 제2 식별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달하기 위해 일정 반경 내 액세스 포인트 장치로 송출하는 단계 등을 실행할 수 있다.
이때, 기록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은 컴퓨터에서 읽히어 설치되고 실행됨으로써 전술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가 기록매체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읽어 들여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전술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의 프로세서(CPU)가 컴퓨터의 장치 인터페이스(Interface)를 통해 읽힐 수 있는 C, C++, JAVA, 기계어 등의 컴퓨터 언어로 코드화된 코드(Cod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정의한 함수 등과 관련된 기능적인 코드(Function Code)를 포함할 수 있고,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소정의 절차대로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실행 절차 관련 제어 코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코드는 전술한 기능들을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실행시키는데 필요한 추가 정보나 미디어가 컴퓨터의 내부 또는 외부 메모리의 어느 위치(주소 번지)에서 참조 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메모리 참조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전술한 기능들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통신이 필요한 경우, 코드는 컴퓨터의 프로세서가 컴퓨터의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원격(Remote)에 있는 어떠한 다른 컴퓨터나 서버 등과 어떻게 통신해야만 하는지, 통신 시 어떠한 정보나 미디어를 송수신해야 하는지 등에 대한 통신 관련 코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과 같은 반도체 메모리를 포함한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과 이와 관련된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 등은, 기록매체를 읽어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컴퓨터의 시스템 환경 등을 고려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되거나 변경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 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 상태 추론을 위한 태그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태그 식별 정보와 무선 통신 식별 정보를 동시에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고 사용자의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사용자 상태 추론을 위한 태그 정보 처리 방법,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태그 식별 정보와 무선 통신 식별 정보를 동시에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하고 사용자의 상태를 종합적으로 판단함으로써, 특정 구역 내의 보다 정확한 사용자 상태 파악이 가능하며 보다 다양한 신규 서비스 창출이 가능하다는 우수한 효과가 있으며, 이를 통해 통신 부가 서비스 산업의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0: 태그 장치 110: 태그 통신 모듈
120: 무선 통신 모듈 130: 제어 모듈
140: 저장 모듈 200: 태그 리더기
300: 액세스 포인트 장치 400: 관리 서버
410: 통신 인터페이스부 420: 식별 정보 저장부
430: 테이블 생성부 440: 사용자 상태 추론부
450: 리포트부 500: 통신망
1000: 태그 시스템

Claims (8)

  1. 태그 리더기에 접촉됨에 따라 특정 구역으로의 사용자 진입 여부 판단을 위한 제1 식별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태그 리더기에 전송하는 태그 통신 모듈;
    사용자의 위치 식별을 위한 제2 식별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달하기 위해 일정 반경 내 액세스 포인트 장치로 송출하는 무선 통신 모듈; 및
    상기 태그 리더기에 접촉됨에 따라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독출하여 상기 태그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태그 리더기로 전송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제2 식별 정보가 송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로부터 미리 수신되어 저장된 암호화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식별 정보를 암호화한 후 암호화된 제2 식별 정보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로 전송되도록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그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은
    일정 주기 단위로 또는 기 설정된 조건 발생 시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이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와 연결될 수 있도록 제어하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로부터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에 의해 설정된 암호화값이 수신되면, 기 저장된 암호화값을 상기 수신된 암호화값으로 변경하여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그 장치.
  4. 태그 장치가 태그 리더기에 접촉됨에 따라 특정 구역으로의 사용자의 진입 여부 판단을 위한 제1 식별 정보를 관리 서버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태그 리더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태그 장치가 사용자의 위치 식별을 위한 제2 식별 정보를 상기 관리 서버로 전달하기 위해 일정 반경 내 액세스 포인트 장치로 송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상태 추론을 위한 태그 정보 처리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태그 장치가 주기적으로 또는 상기 제1 식별 정보가 상기 태그 리더기로 전송됨이 감지되면,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로부터 미리 수신되어 저장된 암호화값을 이용하여 상기 제2 식별 정보를 암호화하는 단계; 및
    상기 태그 장치가 상기 암호화된 제2 식별 정보를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상태 추론을 위한 태그 정보 처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태그 장치가 일정 주기 단위로 또는 기 설정된 조건 발생 시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와 연결을 수립하는 단계;
    상기 태그 장치가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에 의해 설정된 암호화값을 상기 액세스 포인트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태그 장치가 기 저장된 암호화값을 삭제하고 상기 수신된 암호화값이 저장되도록 제어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상태 추론을 위한 태그 정보 처리 방법.
  7. 관리 서버가 태그 리더기로부터 전달되는 태그 장치에 대한 제1 로그 정보와 액세스 포인트 장치로부터 전달되는 태그 장치에 대한 제2 로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수신된 각 로그 정보를 시간 정보를 기준으로 병합하여 병합 로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관리 서버가 상기 병합 로그 정보에서 태그 식별을 위한 제1 식별 정보와 무선 통신 식별을 위한 제2 식별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관리 서버가 확인된 상기 제1 식별 정보와 제2 식별 정보를 미리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태그 장치의 사용자 상태를 추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상태 추론을 위한 태그 정보 처리 방법.
  8.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사용자 상태 추론을 위한 태그 정보 처리 방법을 실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50069509A 2015-05-19 2015-05-19 사용자 상태 추론을 위한 태그 정보 처리 방법, 이를 위한 장치 KR201601359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9509A KR20160135966A (ko) 2015-05-19 2015-05-19 사용자 상태 추론을 위한 태그 정보 처리 방법, 이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9509A KR20160135966A (ko) 2015-05-19 2015-05-19 사용자 상태 추론을 위한 태그 정보 처리 방법,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5966A true KR20160135966A (ko) 2016-11-29

Family

ID=57706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9509A KR20160135966A (ko) 2015-05-19 2015-05-19 사용자 상태 추론을 위한 태그 정보 처리 방법,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3596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97340A (zh) * 2020-10-30 2021-01-08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室内机、空气调节器的信息显示方法和空气调节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97340A (zh) * 2020-10-30 2021-01-08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室内机、空气调节器的信息显示方法和空气调节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25546B2 (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n electronic lock with a smartphone
EP3195180B1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based security
CA3087996C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power states of a mobile computing device
CN105144201A (zh) 无线信号产生卡及使用此种卡的方法和系统
CN105027148A (zh) 使用蓝牙和混合模式发射机的存在检测
CN104063931A (zh) 一种基于无线信号标识的移动互联网门禁系统和实现方法
CN103609136A (zh) 用于原位升级无线射频识别读取器的方法
KR102120770B1 (ko) 데이터 전송 및 수신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장치
KR101320931B1 (ko) 모바일 단말의 제어 방법, 이를 기록한 기록매체 및 모바일 단말 관리 서버
KR20160135966A (ko) 사용자 상태 추론을 위한 태그 정보 처리 방법, 이를 위한 장치
EP3726413B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 policy retention
KR101487349B1 (ko) 무선 ap에서의 단말 인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선랜 시스템
CN102822840A (zh) 使用管理系统和使用管理方法
WO2019138850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電子機器
KR20180011975A (ko) 유저 식별을 통한 휴대폰 충전 시스템
CN118118904A (zh) 隐私保护蓝牙低功耗配对
EP2973208A2 (en) Tamper credential
KR20190055529A (ko) 비콘 기반의 정보 전송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37270A (ko) 인체통신을 이용한 전신주 작업 처리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