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5505A - 인체 세정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인체 세정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5505A
KR20160135505A KR1020150068890A KR20150068890A KR20160135505A KR 20160135505 A KR20160135505 A KR 20160135505A KR 1020150068890 A KR1020150068890 A KR 1020150068890A KR 20150068890 A KR20150068890 A KR 20150068890A KR 20160135505 A KR20160135505 A KR 201601355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rfactant
fatty acid
acid salt
weight
so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8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인식
구형서
한일민
강태조
이지해
Original Assignee
애경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경산업(주) filed Critical 애경산업(주)
Priority to KR10201500688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5505A/ko
Publication of KR20160135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5505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7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면활성제, 지방산염 및 에틸렌/소듐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를 통해 풍부하고도 탄력있는 거품을 형성하고, 세정 시 개운한 사용감을 나타내며 세정 후에도 피부를 촉촉하고 부드럽게 유지시켜주는 인체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인체 세정제 조성물{Cleansing Composition for Body}
본 발명은 인체 세정제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 시 풍부하면서도 탄력있는 거품 특성을 부여하고, 헹굼 시 피부에 개운하면서도 부드러운 헹굼감을 부여하며, 건조 후에도 피부를 부드럽고 촉촉하게 유지시켜 주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인체 세정제의 바람직한 특징으로는 풍부하면서도 소비자를 만족시킬 수 있는 기포 질감 특성을 가지며, 피부에서 분비되거나 외부에서 부착되는 다양한 유성 오염 및 수성 오염을 제거하여야 한다. 또한 인체에 자극이 낮고 지나친 탈지를 막음과 동시에 피부에 충분한 수분을 공급, 유지시켜 주어 사용 후에도 피부를 부드럽고 촉촉하게 유지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인체세정제는 크게 3가지 부류의 세정 베이스로 구분된다.
그 첫번째 부류로 계면활성제 세정 베이스가 있다. 계면활성제 베이스는 통상적으로 지방산염 즉 비누분을 함유하지 않는 세정 베이스를 말한다. 계면활성제 베이스의 특징은 풍부한 기포력을 부여할 수 있으며, 경수와의 접촉 시에 물때를 형성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계면활성제 베이스는 헹굼 시의 헹굼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사용 시 개운한 헹굼감을 부여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와는 상대적 부류로 지방산염 베이스가 있으며, 지방산염 베이스는 지방산염 즉 비누분을 세정베이스로 활용하는 것을 말한다. 지방산염 베이스의 특징은 지방산의 탄소분포 조절이 가능하여 원하는 기포특성 조절에 유리하며, 헹굼 시의 개운한 헹굼감을 부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지방산염 베이스는 헹굼 시에 지나친 탈지감을 부여하기 때문에 피부에 충분한 보습감을 부여하기 어려우며, 물때인 불용성 지방산염을 형성하는 단점이 있다.
상기 2부류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계면활성제와 지방산염을 혼용하는 혼용베이스가 있다. 혼용 베이스는 계면활성제 베이스와 지방산염 베이스의 장점을 활용하기 위한 베이스로 풍부한 기포특성과 지방산염의 탄소분포 조절을 통해 원하는 기포 특성 부여가 가능하고 물때의 형성을 억제하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혼용베이스에서도 개운한 헹굼감을 부여함과 동시에 촉촉함을 부여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탄소 분포 조절을 통해 기포 크기 및 기포 생성 속도의 조절은 가능하지만 기포의 단단함과 탄력 등의 기포 질감 특성을 부여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종래의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 특허 제10-1105810호에는 모노글리세라이드 설포네이트, 계면활성제, 오일, 수용성폴리머를 포함하여 보습력, 기포력 등 사용감이 우수한 인체세정제 조성물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모노글리세라이드 설포네이트 및 오일을 함유하여야 하기 때문에 바람직한 헹굼성 및 기포 질감 특성을 구현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체세정제 분야에서 기포의 질감 특성을 개선함과 동시에 피부에서 개운한 헹굼감과 촉촉함을 유지하는 것은 여전히 해결되어야 할 과제이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체 세정제에서 풍부한 기포력과 동시에 탄력있는 기포 질감 특징 부여하면서 헹굼 시 개운한 헹굼감과 건조 후 촉촉함을 유지시켜 주는 인체 세정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양상은,
계면활성제, 지방산염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에틸렌/소듐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세정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화학식 1>
(C3H4O2·C2H4)x·yNa
(상기 화학식 1에서 x, y는 정수이다. 여기서, 10 < x < 500, 10 < y < 500 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체 세정용 조성물은 풍부한 기포력과 동시에 탄력있는 기포 질감의 특징 부여하면서 헹굼 시 개운한 헹굼감과 건조 후 촉촉함을 유지시켜 주는데 탁월한 효과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계면활성제, 지방산염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에틸렌/소듐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세정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1>
(C3H4O2·C2H4)x·yNa
(상기 화학식 1에서 x, y는 정수이다. 여기서, 10 < x < 500, 10 < y < 500 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체 세정제 조성물은 계면활성제와 지방산염 혼용 세정 베이스에 신규 컨디셔닝 폴리머를 도입하여 풍부한 거품의 양을 얻음과 동시에 탄력있는 기포 질감 특성을 부여하면서 헹굼 시 피부를 개운하게 헹구어 주며 건조 후에 피부를 촉촉하게 유지시킨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인체세정제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비이온 계면활성제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경계를 이루는 표면을 활성화하는 화학물질을 뜻하는 말로 표면활성제라고 하며, 계면활성제는 액체의 표면에 흡착되어 계면의 활성을 크게 하고 성질을 현저하게 변화시키는 물질이다. 특히 표면장력을 떨어뜨리고, 세정력, 분산력, 유화력, 가용력 및 살균력 등이 뛰어나 가정용 세제를 시작으로 각종 공업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대표적인 예로는 소듐라우레스설페이스, 암모늄라우레스설페이트, 소듐라우레스설포네이트, 소듐라우릴설페이트, 암모늄라우릴설페이트, 소듐코코일이세치오네이트 등이 있으며,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예가 선택 가능한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대표적인 예로는 라우릴산디이에이, 코카마이드디이에이, 코카마이드엠이에이 및 코카마이드메틸엠이에이 등이 있으며,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코카마이드메틸엠이에이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예가 선택 가능한 비이온 계면활성제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대표적인 예로는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알킬베타인, 아미도베타인, 술포베타인, 히드록시술포베타인, 아미도술포베타인, 포스포베타인, 이미다졸리늄베타인, 아미도프로피온산 및 아미노산 등이 있으며,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예가 선택 가능한 양쪽성 계면활성제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염은 물에 잘 녹지 않으나 알카리성 용액에서는 지방산의 카르복시기가 이온화되어 강한 극성을 띠므로 수용성이 된다. 지방산에 나트륨과 칼륨염이 첨가되면 비누가 되며 물에 잘 녹는다.
상기 지방산염의 예로는 C10 내지 C22의 탄소분포를 가지는 지방산 또는 트리글리세라이드를 알칼리제를 이용하여 중화 또는 검화한 것으로서 적절한 기포특성과 사용감, 안정성 등을 고려하여 그 분포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지방산은 라우릭애씨드, 미리스틱애씨드, 팔미틱애씨드 및 스테아릭애씨드 등이 있으며, 대표적인 지방염의 예로는 포타슘라우레이트, 포타슘미리스테이트, 포타슘팔미테이트 및 포타슘스테아레이트 등이 있으며,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예가 선택 가능한 지방산염의 종류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소듐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는 결합제로써 세정제 원료들을 서로 결합시키는 역할을 하고, 피막을 형성하여 피부를 부드럽게 감싸는데 도움을 주며, 수용성 점증제로써 세정제의 점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에틸렌/소듐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는 계면활성제 및 지방산염 총 중량에 대하여 0.2 내지 7중량%로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중량%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7 내지 4중량% 이다.
상기 에틸렌/소듐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가 0.2중량% 미만이면 피부에 적절한 컨디셔닝감을 부여하기 어렵고, 7중량%를 초과하면 오히려 피부에 뻣뻣함을 가져올 수 있다.
상기 에틸렌/소듐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의 수평균/중량평균분자량은 1,230 달톤 내지 61,500 달톤 이고, 61,500 달톤을 초과이면 오히려 피부에 뻣뻣함을 가져올 수 있고, 1,230 달톤 미만이면 피부 부착성이 떨어져 적절한 컨디셔닝을 가져올 수 없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와 지방산염의 중량비가 1:5 내지 4:1의 비율로 구성된다.
상기 계면활성제와 지방산염의 중량비가 1:5 미만이면 비누분 즉, 지방산염의 세정 특성이 강하여 피부 보습감을 부여하기에 어려움이 있으며, 4:1 초과이면 계면활성제의 세정 특성이 강하여 개운한 헹굼 특성을 구현하기 어렵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총 조성물에 대하여, 3 내지 40중량%로 포함되며, 3중량% 미만이면, 지나친 탈지감을 부여하여 촉촉한 사용감을 부여하기 어렵고, 40중량%를 초과하면, 개운한 헹굼 특성을 부여하기 어렵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염은 총 조성물에 대하여, 3 내지 40중량%로 포함되며, 3중량% 미만이면, 개운한 헹굼 특성을 부여하기 어렵고, 40중량%를 초과하면, 촉촉한 사용감을 부여하기 어렵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인체 세정제 조성물은 습윤물질, 컨디셔닝제, 오일, 향료, 방부제, 비타민 및 단백질 등과 같이 인체 세정제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제를 1종 이상 더 포함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예를 기재한다. 이들 실시예 및 비교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인체 세정제 조성물의 숙련자들 범주 내에서 본 발명의 다른 변형이 허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든 %는 달리 표기되지 않는 한 총 조성물의 중량%이고, 모든 비는 달리 표기되지 않는 한 중량비이다. 달리 표기되지 않는 한 발명에서 언급되는 성분의 모든 %, 비 및 함량은 성분의 실제의 양을 기준으로 하였다
비교예 1 및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
본 발명에 따라, <표 1>과 같이 비교예 1 및 실시예 1 내지 6의 조성물을 갖는 인체 세정제 조성물을 제조한다.
구분(중량%) 비교예1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1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2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 2.3 2.3 2.3 2.3 2.3 1.15 4.6
3 라우릭애씨드 4 4 4 4 4 2 8
4 미리스틱애씨드 3 3 3 3 3 1.5 6
5 팔미틱애씨드 1.1 1.1 1.1 1.1 1.1 0.55 2.2
6 스테아릭애씨드 0.9 0.9 0.9 0.9 0.9 0.45 1.8
7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8.1 8.1 8.1 8.1 8.1 16.2 4.05
8 코카마이드메틸엠이에이 1.5 1.5 1.5 1.5 1.5 3 0.75
9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1.5 1.5 1.5 1.5 1.5 3 0.75
10 에틸렌/소듐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 - 0.05 0.5 1 1.5 1 1
11 향 1 1 1 1 1 1 1
상기 비교예 1 및 실시예 1 내지 6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원료 1~2을 투입한 후 75℃로 가열한다.
2. 원료 3~6를 75℃로 가열하여 용해한다.
3. 상기 1에 상기 2를 투입하고 교반하여 중화한다.
4. 상기 3을 50℃까지 냉각한 후, 원료 7~11를 투입하고 균일하게 혼합한다.
실험예 1: 사용감 평가
상기 비교예 1 및 실시예 1 내지 6에 대하여 기포의 양, 기포질감, 헹굼정도 및 건조 후 보습감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패널 평가를 진행하였다. 25~40세의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1주일간 총 3회 이상 사용한 후 각 제품에 대한 사용감 평가를 하기의 평가 항목에 따라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평가기준: 매우 나쁨(1), 나쁨(2), 보통(3) 좋음(4) 매우 좋음(5)
비교예1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사용시 기포가 풍부하다 3.5 3.7 4.2 4.3 3.8 4.0 3.8
기포가 탄력있는 느낌이다 3.0 3.5 4.1 4.2 3.9 4.2 3.8
쉽게 헹구어 진다 3.5 3.8 3.9 4.1 4.0 3.3 4.5
사용 후 개운한 느낌이다 3.6 3.7 3.8 4.2 3.8 3.5 4.3
사용 후 피부가 촉촉하다 3.0 3.3 3.8 3.9 3.7 3.9 3.2
사용 후 피부가 부드럽다 3.1 3.6 4.3 3.7 3.5 3.9 3.4
상기 표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실사용 평가를 통하여 에틸렌/소듐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가 함유된 실시예 1 내지 6은 비교예 1에 비해 우수한 기포감, 기포특성, 헹굼성, 보습성 및 피부 부드러움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피부 보습감 측정
상기 비교예1 및 실시예 1 내지 6에 대하여 피부의 보습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보습력을 측정하였다. 25 ~ 40 세의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전박부위에 비교예 1 및 실시예 1 내지 6의 시료 1g을 도포한 후 수돗물 1g을 넣고 30회 문지른 후 헹구어 내었다. 이 후 30분을 대기한 후 코네오미터(Corneometer)를 이용하여 수분 함유 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비교예1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수분함량 32.7 35.2 36.4 35.5 34.6 36.5 34.0
상기 표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코네오미터(Corneometer) 측정을 통하여 에틸렌/소듐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가 함유된 실시예 1 내지 6은 비교예 1에 비해 피부 보습성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Claims (11)

  1. 계면활성제, 지방산염 및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에틸렌/소듐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세정제 조성물.

    <화학식 1>
    (C3H4O2·C2H4)x·yNa
    (상기 화학식 1에서 x, y는 정수이다. 여기서, 10 < x < 500, 10 < y < 500 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소듐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는 계면활성제 및 지방산염 총 중량에 대하여 0.2 내지 7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세정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와 지방산염의 중량비가 1:5 내지 4:1의 비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세정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총 조성물에 대하여, 3 내지 40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세정제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염은 총 조성물에 대하여, 3 내지 40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세정제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음이온 계면활성제, 비이온 계면활성제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 중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세정제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소듐라우레스설페이스, 암모늄라우레스설페이트, 소듐라우레스설포네이트, 소듐라우릴설페이트, 암모늄라우릴설페이트, 소듐코코일이세치오네이트 중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세정제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 계면활성제는 라우릴산디이에이, 코카마이드디이에이, 코카마이드엠이에이 및 코카마이드메틸엠이에이 중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세정제 조성물.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알킬베타인, 아미도베타인, 술포베타인, 히드록시술포베타인, 아미도술포베타인, 포스포베타인, 이미다졸리늄베타인, 아미도프로피온산 및 아미노산 중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세정제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방산염은 탄소수 10 내지 22의 지방산 또는 트리클리세라이드를 알칼리제로 중화 또는 검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세정제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체 세정제 조성물은 습윤물질, 컨디셔닝제, 오일, 향료, 방부제, 비타민 및 단백질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체 세정제 조성물.
KR1020150068890A 2015-05-18 2015-05-18 인체 세정제 조성물 KR201601355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8890A KR20160135505A (ko) 2015-05-18 2015-05-18 인체 세정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8890A KR20160135505A (ko) 2015-05-18 2015-05-18 인체 세정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5505A true KR20160135505A (ko) 2016-11-28

Family

ID=57706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8890A KR20160135505A (ko) 2015-05-18 2015-05-18 인체 세정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3550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86715A (zh) 含有磺化脂肪酸、其酯或其盐以及甜菜碱或磺基甜菜碱的粘性液体清洁组合物
JP5968692B2 (ja) 液体洗浄剤組成物
JP2007039350A (ja) 皮膚洗浄剤組成物
US6518229B2 (en) Antibacterial composition comprising an amphoteric/anionic surfactant mixture
JP5554901B2 (ja) 皮膚洗浄剤組成物
KR101626919B1 (ko) 실리콘프리 샴푸 조성물
CN107603789A (zh) 一种调理型固态洗发皂
JPWO2020153216A1 (ja) 固形石けん
KR20050058762A (ko) 클렌징 조성물
KR20160135505A (ko) 인체 세정제 조성물
KR102664458B1 (ko) 화장료 조성물
JP2021183591A (ja) 液状皮膚洗浄用組成物
JP2006028048A (ja) ゲル状又は液状洗浄料
JP5057337B2 (ja) 低刺激性液体洗浄組成物
WO2020070661A1 (en) Cleaning composition
CN109294763A (zh) 一种全效低敏表面活性剂组合物及含有其的洗衣液
KR101105810B1 (ko) 인체 세정제 조성물
JP3631080B2 (ja) 皮膚洗浄剤組成物
JP2501632B2 (ja) 液体セッケン組成物
JPH03103500A (ja) 洗浄剤組成物
JP5864208B2 (ja) 洗浄剤組成物
CN108236595A (zh) 一种润肤的沐浴露及其制备方法
JP6772900B2 (ja) フォーマー用皮膚洗浄料
JP2001064691A (ja) 洗浄剤組成物
JP2006188435A (ja) 皮膚洗浄剤組成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