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5060A - 광각 렌즈 - Google Patents

광각 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5060A
KR20160135060A KR1020150068098A KR20150068098A KR20160135060A KR 20160135060 A KR20160135060 A KR 20160135060A KR 1020150068098 A KR1020150068098 A KR 1020150068098A KR 20150068098 A KR20150068098 A KR 20150068098A KR 20160135060 A KR20160135060 A KR 201601350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quot
refractive index
wide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8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1675B1 (ko
Inventor
정재철
이회순
박형규
신승종
Original Assignee
(주) 소모비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소모비전 filed Critical (주) 소모비전
Priority to KR10201500680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1675B1/ko
Priority to US15/317,890 priority patent/US20170146778A1/en
Priority to PCT/KR2015/005734 priority patent/WO2015190783A1/ko
Publication of KR201601350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50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1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16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4Reversed telephoto objectiv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62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six components on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80도 이상의 화각을 갖는 광각 렌즈로서, 물체로 향하는 제1 면이 상기 물체를 향하여 볼록하고, 이미지를 향하는 제2 면이 오목한 메니스커스 렌즈로서 음(-)의 굴절률을 갖고 [수학식 1] 및 [수학식 2]를 만족하는 제1 렌즈; 상기 제1 렌즈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렌즈를 향하는 제3 면이 상기 제1 렌즈를 향하여 볼록하고, 이미지를 향하는 제4면은 오목한 메니스커스 렌즈로서 음(-)의 굴절률을 갖는 제2 렌즈; 상기 제2 렌즈의 후방에 배치되고, 이미지를 향하는 제6 면이 오목한 렌즈로서 음(-)의 굴절률을 갖는 제3 렌즈; 양(+)의 굴절률을 갖고 양면이 볼록한 형상의 제4 렌즈; 상기 물체를 향하여 배치되고, 양(+)의 굴절률을 갖는 제1 단위 렌즈와 양면이 오목하고 음(-)의 굴절률을 갖는 제2 단위 렌즈가 접합되어 구성되는 제5 렌즈; 양볼록이고 양(+)의 굴절률을 갖는 제6 렌즈를 포함하는 광각 렌즈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180도 이상의 화각을 갖고, 보다 적은 렌즈 구성 매수를 포함하며, 야외 활동에서도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각 렌즈{Wide field lens}
본 발명은 광각 렌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180도 이상의 화각을 갖는 광각 렌즈에 관한 것이다.
스포츠 장면, 특히, 역동적으로 동작하는 선수의 동작을 영상으로 남기기 위해서는 가능한 넓은 화각을 갖는 광각 렌즈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광각 렌즈는 넓은 화각의 구현을 위해서는 일반 렌즈 모듈보다 많은 매수(예를 들어 8매 이상)의 렌즈로 이루어지므로, 넓은 화각(예를 들어 180도 이상)을 구현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광각 렌즈 모듈은 상대적으로 많은 렌즈 수로 인해 왜곡 현상이 일어나기 쉬울 뿐만 아니라 촬영된 영상의 모서리가 잘리는 비네팅(vignetting) 현상이 발생하기 쉽다.
또한, 스포츠 영상을 얻는 장소는 야외인 경우가 대부분이고, 적절한 영상 포착을 위해서는 촬영자의 움직임도 많아지므로, 렌즈의 신뢰성을 확보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에 대한 선행기술로는 공개특허 2013-0056574호를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180도 이상의 화각을 갖는 광각 렌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다 적은 렌즈 구성 매수를 포함하는 광각 렌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야외 활동에서도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광각 렌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80도 이상의 화각을 갖는 광각 렌즈로서, 물체로 향하는 제1 면이 상기 물체를 향하여 볼록하고, 이미지를 향하는 제2 면이 오목한 메니스커스 렌즈로서 음(-)의 굴절률을 갖고 [수학식 1] 및 [수학식 2]를 만족하는 제1 렌즈; 상기 제1 렌즈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렌즈를 향하는 제3 면이 상기 제1 렌즈를 향하여 볼록하고, 이미지를 향하는 제4면은 오목한 메니스커스 렌즈로서 음(-)의 굴절률을 갖는 제2 렌즈; 상기 제2 렌즈의 후방에 배치되고, 이미지를 향하는 제6 면이 오목한 렌즈로서 음(-)의 굴절률을 갖는 제3 렌즈; 양(+)의 굴절률을 갖고 양면이 볼록한 형상의 제4 렌즈; 상기 물체를 향하여 배치되고, 양(+)의 굴절률을 갖는 제1 단위 렌즈와 양면이 오목하고 음(-)의 굴절률을 갖는 제2 단위 렌즈가 접합되어 구성되는 제5 렌즈; 양볼록이고 양(+)의 굴절률을 갖는 제6 렌즈를 포함하는 광각 렌즈를 제공한다.
[수학식 1]
1.55 < n1 < 1.85
n1 : 제1 렌즈의 파장 587nm에서의 굴절률
[수학식 2]
40 < v1 < 80
v1 : 제1 렌즈의 압베수
상기 제1 렌즈와 상기 제2 렌즈는 다음의 [수학식 3]을 더 만족할 수 있다.
[수학식 3]
1.5 < |f1/f2| < 4.0
f1 : 제1 렌즈의 초점거리
f2 : 제2 렌즈의 초점거리
상기 제4 렌즈와 상기 제6 렌즈는 다음의 [수학식 4]를 만족할 수 있다.
[수학식 4]
1.0 < f4/f6 < 2.0
f4 : 제4 렌즈의 초점거리
f6 : 제6 렌즈의 초점거리
상기 제6 렌즈는 다음의 [수학식 5]를 더 만족할 수 있다.
[수학식 5]
2.0 < f6/f < 5.0
f6 : 제6 렌즈의 초점거리
f : 광각 렌즈 전체의 초점거리
상기 제5 렌즈는 다음의 [수학식 6]을 만족할 수 있다.
[수학식 6]
20 < v51 - v52 < 40
v51 : 제5렌즈 중 제1단위렌즈의 압베수
v52 : 제5렌즈 중 제2단위 렌즈의 압베수
상기 제3 렌즈는 하나 이상의 비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6 렌즈는 하나 이상의 비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렌즈와 상기 제6 렌즈의 열팽창 계수는 다음을 만족할 수 있다.
|A3| > 1.6 X 10-5
|A6| > 1.6 X 10-5
A3: 제3 렌즈의 열팽창 계수
A6: 제6 렌즈의 열팽창 계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180도 이상의 화각을 가질 수 있고, 보다 적은 렌즈 구성 매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야외 활동에서도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광각 렌즈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광각 렌즈의 구면 수차, 비점 수차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광각 렌즈의 변조 전달함수(Modulation Transfer Function; MTF)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각 렌즈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광각 렌즈의 구면 수차, 비점 수차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광각 렌즈의 변조 전달함수(Modulation Transfer Function; MTF)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광각 렌즈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광각 렌즈의 구면 수차, 비점 수차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광각 렌즈의 변조 전달함수(Modulation Transfer Function; MTF)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광각 렌즈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광각 렌즈(100)는 제1 렌즈(L1A), 제2 렌즈(L2A), 제3 렌즈(L3A), 제4 렌즈(L4A), 제5 렌즈(L5A) 및 제6 렌즈(L6A)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각 렌즈(200)는 필터(F)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의 구성 요소들인 제1 렌즈(L1A), 제2 렌즈(L2A), 제3 렌즈(L3A), 제4 렌즈(L4A), 제5 렌즈(L5A), 제6 렌즈(L6A), 필터(F)는 소정의 직경과 길이를 갖는 원통 형상의 경통(미도시)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경통의 내부에는 렌즈와 필터가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링 등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광각 렌즈(100)는 탐지거리가 화각은 180도 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경통의 내부 일단에서 타단으로 제1 렌즈(L1A), 제2 렌즈(L2A), 제3 렌즈(L3A), 제4 렌즈(L4A), 제5 렌즈(L5A), 제6 렌즈(L6A), 필터(F)가 차례대로 배치된다.
제1 렌즈(L1A)는 물체를 향하는 제1 면(R1)이 물체를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되고, 이미지를 향하는 제2 면(R2)은 오목한 메니스커스(meniscus) 타입 오목 렌즈로서, 양면이 구면일 수 있다. 제1 렌즈(L1A)는 음(-)의 굴절률을 갖는다.
제1 렌즈(L1A)의 직경은 후술하는 제2 렌즈(L2A)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제1 렌즈(L1A)의 후면(R2) 즉, 이미지를 향하는 면의 가장 자리는 평면으로 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렌즈(L1A)의 이미지를 향하는 면(R2)의 오목한 부위는 제2 렌즈(L2A)의 직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렌즈(L1A)의 굴절률은 다음의 [수학식 1]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굴절률 측정의 기준 파장은 587nm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학식 1]
1.55 < n1 < 1.85
n1 : 제1 렌즈의 파장 587nm에서의 굴절률
제1 렌즈(L1A)의 압베수(abbe number)는 다음의 [수학식 2]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학식 2]
40 < v1 < 80
v1 : 제1 렌즈의 압베수(abbe number)
제1 렌즈(L1A)는 고굴절의 광학 유리 또는 저분산 유리(Extra dispersion glass)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렌즈(L2A)는 제1 렌즈(L1A)의 후방에 배치된다. 제2 렌즈(L2A)에서, 제1 렌즈(L1A)를 향하는 제2 렌즈(L2A)의 제3 면은 제1 렌즈(L1A)에 대하여 볼록하고, 이미지를 향하는 제4 면(R4)은 오목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2 렌즈(L2A)는 메니스커스 렌즈(meniscus lens)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렌즈(L2A)는 음(-)의 굴절률을 갖는다.
제1 렌즈(L1A)와 제2 렌즈(L2A)의 촛점거리는 다음의 [수학식 3]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학식 3]
1.5 < |f1/f2| < 4.0
f1 : 제1 렌즈의 초점거리
f2 : 제2 렌즈의 초점거리
제3 렌즈(L3A)는 제2 렌즈(L2A)의 후방에 배치된다. 제3 렌즈(L3A)는 이미지를 향하는 제6 면(R6)이 오목한 오목 렌즈이다. 제3 렌즈(L3A)의 물체를 향하는 제5면(R5)도 오목할 수 있다.
제3 렌즈(L3A)는 음(-)의 굴절률을 갖는다. 제3 렌즈(L3A)의 직경은 제2 렌즈(L2A)의 직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제3 렌즈(L3A)의 후면(R6) 즉, 이미지를 향하는 면의 가장 자리는 평면으로 가공될 수 있다.
제3 렌즈(L3A)의 제5 면(R5)과 제6 면(R6) 중 어느 하나의 면은 비구면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5 면(R5)과 제6 면(R6)이 각각 비구면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비구면 계수는 후술하는 [표 2]에 기재되어 있다.
제4 렌즈(L4A)는 제3 렌즈(L3A)의 후방에 배치된다.
제4 렌즈(L4A)는 물체를 향하는 제7 면(R7)과 이미지를 향하는 제8 면(R8)이 각각 볼록한 양볼록 렌즈이다. 제4 렌즈(L4A)는 양(+)의 굴절률을 갖는다.
제5 렌즈(L5A)는 제4 렌즈(L4A)의 후방에 배치된다.
제5 렌즈(L5A)는 양(+)의 굴절률을 갖고, 물체를 향하여 배치되는 제1 단위 렌즈(Lu1C)와 음(-)의 굴절률을 갖고, 이미지를 향하여 배치되는 제2 단위 렌즈(Lu2C)를 포함한다. 제5 렌즈(L5A)는 제1 단위 렌즈(Lu1C)와 제2 단위 렌즈(Lu2C)가 접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단위 렌즈(Lu1C)는 양볼록 렌즈이고, 제2 단위 렌즈(Lu2C)는 양오목 렌즈일 수 있다.
제1 단위 렌즈(Lu1C)와 제2 단위 렌즈(Lu2C)의 압베수(abbe number)는 다음의 [수학식 6]을 만족한다.
[수학식 6]
20 < v51 - v52 < 40
v51 : 제5렌즈 중 제1 단위 렌즈의 압베수
v52 : 제5렌즈 중 제2 단위 렌즈의 압베수
제6 렌즈(L6A)는 제5 렌즈(L5A)의 후방에 배치된다. 제6 렌즈(L6A)는 양(+)의 굴절률을 갖는다. 제6 렌즈(L6A)는 양면이 볼록한 양볼록 렌즈로서, 하나 이상의 비구면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4 렌즈(L4A)와 제6 렌즈는 다음의 [수학식 4]와 [수학식 5]를 만족한다.
Figure pat00001
f4 : 제4 렌즈의 초점거리
f6 : 제6 렌즈의 초점거리
Figure pat00002
f : 광각 렌즈 전체의 초점거리
한편, 제3 렌즈(L3A)와 제6 렌즈(L6A)의 열팽창 계수는 다음의 [수학식 7]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at00003
A3: 제3 렌즈의 열팽창 계수
A6: 제6 렌즈의 열팽창 계수
필터(F)는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소정 파장의 광이 통과되도록 한다. 필터(F)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광각 렌즈의 각 광학면은 다음의 [표 1] 및 [표 2]에 기재된 수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 1]은 광각 렌즈의 구성 요소들의 기본 데이터를 나타낸다.
기본 렌즈 데이터
면번호 곡률반경 면간격 굴절률 분산률
물체 무한 무한
R1 25.73372 4.482244 1.768 72.58
R2 7.64738 10.331669
R3 9.17139 0.963514 1.744 44.89
R4 3.53103 3.211621
R5 -34.01506 0.450000 1.545 56.00
R6 1.62247 1.102364
R7 3.76470 3.358311 1.7173 29.50
R8 -8.69767 1.001079
조리개 무한 0.738467
R10 3.14843 0.897860 1.714 47.35
R11 -2.60000 0.546739 1.846 23.78
R12 4.10309 0.192124
R13 3.73975 1.123747 1.545 56.00
R14 -2.97138 0.243767
R15 무한 0.300000 1.5168 64.16
R16 무한 2.452206
Image 무한 0.000000
여기서, f1 : -15.85
f2 : -8.3
f4 : 4.11
f6 : 3.22
f : 0.8422
v51 : 47.35
v52 : 23.78
n1 : 1.768
v1 : 72.58
[표 2]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렌즈의 비구면 계수값을 나타낸다.
비구면계수 K A B C D E
R5 -0.0000000 -0.196175E-02 0.109171E-04 0.126567E-04 -0.132990E-05
R6 -0.645591 -0.409360E-02 -0.258670E-02 0.501243E-03 -0.821094E-04
R13 -2.459224 -0.115200E-01 0.480578E-02 -0.127293E-02 0.00000E+00
R14 -7.419680 -0.285093E-01 0.931166E-02 -0.185378E-02 0.355003E-03 -0.791790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성능은 도 2 및 도 3에 기재된 바와 같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광각 렌즈의 구면 수차, 비점 수차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광각 렌즈의 변조 전달함수(Modulation Transfer Function; MTF)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각 렌즈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각 렌즈(200)는 제1 렌즈(L1B), 제2 렌즈(L2B), 제3 렌즈(L3B), 제4 렌즈(L4B), 제5 렌즈(L5B) 및 제6 렌즈(L6B)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각 렌즈(300)는 필터(F)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전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가 있는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제2 렌즈(L2B)는 하나 이상의 비구면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광각 렌즈의 각 광학면은 다음의 [표 3] 및 [표 4]에 기재된 수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 3]은 광각 렌즈의 구성 요소들의 기본 데이터를 나타낸다.
기본 렌즈 데이터
면번호 곡률반경 면간격 굴절률 분산률
물체 무한 무한
R1 30.32022 2.501525 1.734 51.49
R2 10.20305 10.875336
R3 10.62433 1.943317 1.743 49.32
R4 3.25303 2.980309
R5 15.25015 0.508160 1.545 56.00
R6 1.26382 2.411009
R7 4.06349 3.799634 1.6889 31.081
R8 -5.21447 0.425487
조리개 무한 0.869499
R10 3.56544 1.346654 1.77 49.62
R11 -1.81714 0.451781 1.9228 20.88
R12 4.37057 0.102766
R13 3.85204 1.670670 1.545 56.00
R14 -2.03311 0.243757
R15 무한 0.800000
R16 무한 0.500000
R17 무한 0.261977
Image 무한 0.000000
여기서, f1 : -22.081
f2 : -7.096
f4 : 3.97
f6 : 2.71
f : 0.60
v51 : 49.62
v52 : 20.88
n1 : 1.734
v1 : 51.49
[표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포함되는 렌즈의 비구면 계수값을 나타낸다.
비구면계수 K A B C D E
R3 0.248921 -0.994402E-04 -0.449207E-05 0.315833E-09 -0.673111E-09
R4 -0.354193 0.239542E-02 0.189573E-04 0.183766E-05 -0.615241E-06
R5 0.000000 -0.262443E-02 -0.594702E-04 0.857830E-05 -0.337084E-06
R6 -0.792041 0.238931E-02 -0.343596E-02 0.524824E-03 -0.856513E-04
R7 -0.339112 -0.963856E-03 -0.534309E-04 -0.299832E-04 0.252300E-05
R8 -0.049773 0.302019E-04 -0.872968E-04 -0.113952E-04 0.406283E-05
R13 -3.717290 -0.141238E-01 0.598222E-02 -0.110303E-02 0.000000E-00
R14 -4.478213 -0.288038E-01 0.837859E-02 -0.204318E-02 0.538155E-03 -0.830046E-04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성능은 도 5 및 도 6에 기재된 바와 같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광각 렌즈의 구면 수차, 비점 수차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광각 렌즈의 변조 전달함수(Modulation Transfer Function; MTF)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광각 렌즈의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광각 렌즈(300)는 제1 렌즈(L1C), 제2 렌즈(L2C), 제3 렌즈(L3C), 제4 렌즈(L4C), 제5 렌즈(L5C) 및 제6 렌즈(L6C)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광각 렌즈(300)는 제1 및 제2 필터(F1, F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전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9에 도시된 광각 렌즈의 각 광학면은 다음의 [표 5] 및 [표 6]에 기재된 수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 5]는 광각 렌즈의 구성 요소들의 기본 데이터를 나타낸다.
기본 렌즈 데이터
면번호 곡률반경 면간격 굴절률 분산률
물체 무한 무한
R1 27.45358 8.380811 1.734 51.49
R2 9.75954 6.387078
R3 9.78551 2.315330 1.743 49.32
R4 3.46666 2.830287
R5 8.03945 0.450000 1.545 56.00
R6 1.16427 2.206356
R7 3.84626 3.820496 1.688 31.08
R8 -5.39038 0.367806
조리개 무한 0.658802
R10 4.00650 0.907411 1.77 49.62
R11 -2.41026 0.450000 1.923 20.88
R12 4.67892 0.100000
R13 3.37880 1.521374 1.545 56.00
R14 -2.21942 0.243757
R15 무한 0.300000 1.516 64.16
R16 무한 1.374421
Image 무한 0.000000
여기서, f1 : -25.76
f2 : -8.54
f4 : 3.91
f6 : 2.716
f : 0.82
v51 : 49.62
v52 : 20.88
n1 : 1.734
v1 : 51.49
[표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포함되는 렌즈의 비구면 계수값을 나타낸다.
비구면계수 K A B C D E
R3 0.305732 -0.172982E-04 -0.433021E-05 -0.957343E-08 0.513261E-09
R4 -0.303955 -0.183617E-02 0.225284E-05 0.499752E-05 -0.598571E-06
R5 0.000000 -0.270825E-02 -0.492362E-04 0.857830E-05 -0.257580E-06
R6 -0.792041 0.410823E-02 -0.331331E-02 0.524824E-03 -0.906878E-04
R7 -0.251389 -0.927037E-03 0.917318E-04 -0.283103E-04 -0.291450E-05
R8 -0.405158 0.453587E-03 -0.588980E-03 -0.792851E-03 -0.574043E-04
R13 -3.717290 -0.141238E-01 0.598222E-02 -0.110303E-02 0.000000E-00
R14 -4.478213 -0.288038E-01 0.837859E-02 -0.204318E-02 0.538155E-03 -0.830046E-04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성능은 도 8 및 내지 도 9에 기재된 바와 같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광각 렌즈의 구면 수차, 비점 수차를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9는 도 7에 도시된 광각 렌즈의 변조 전달함수(Modulation Transfer Function; MTF)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상기한 실시예 1 내지 3에서 비구면은 다음의 [수학식 8]에 의해 환산될 수 있다.
Figure pat00004
여기에서, c = 1 / radius이다.
본 발명은, 180도 이상의 화각을 가질 수 있고, 보다 적은 렌즈 구성 매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야외 활동에서도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200, 300: 광각 렌즈
L1A, L1B, L1C: 제1 렌즈
L2A, L2B, L2C: 제2 렌즈
L3A, L3B, L3C: 제3 렌즈
L4A, L4B, L4C: 제4 렌즈
L5A, L5B, L5C: 제5 렌즈
L6A, L6B, L6C: 제6 렌즈

Claims (8)

180도 이상의 화각을 갖는 광각 렌즈로서,
물체로 향하는 제1 면이 상기 물체를 향하여 볼록하고, 이미지를 향하는 제2 면이 오목한 메니스커스 렌즈로서 음(-)의 굴절률을 갖고 [수학식 1] 및 [수학식 2]를 만족하는 제1 렌즈;
상기 제1 렌즈의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렌즈를 향하는 제3 면이 상기 제1 렌즈를 향하여 볼록하고, 이미지를 향하는 제4면은 오목한 메니스커스 렌즈로서 음(-)의 굴절률을 갖는 제2 렌즈;
상기 제2 렌즈의 후방에 배치되고, 이미지를 향하는 제6 면이 오목한 렌즈로서 음(-)의 굴절률을 갖는 제3 렌즈;
양(+)의 굴절률을 갖고 양면이 볼록한 형상의 제4 렌즈;
상기 물체를 향하여 배치되고, 양(+)의 굴절률을 갖는 제1 단위 렌즈와 양면이 오목하고 음(-)의 굴절률을 갖는 제2 단위 렌즈가 접합되어 구성되는 제5 렌즈;
양볼록이고 양(+)의 굴절률을 갖는 제6 렌즈를 포함하는 광각 렌즈.

[수학식 1]
1.55 < n1 < 1.85
n1 : 제1 렌즈의 파장 587nm에서의 굴절률
[수학식 2]
40 < v1 < 80
v1 : 제1 렌즈의 압베수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와 상기 제2 렌즈는 다음의 [수학식 3]을 더 만족하는 광각 렌즈.
[수학식 3]
1.5 < |f1/f2| < 4.0
f1 : 제1 렌즈의 초점거리
f2 : 제2 렌즈의 초점거리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렌즈와 상기 제6 렌즈는 다음의 [수학식 4]를 만족하는 광각 렌즈.
[수학식 4]
1.0 < f4/f6 < 2.0
f4 : 제4 렌즈의 초점거리
f6 : 제6 렌즈의 초점거리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6 렌즈는 다음의 [수학식 5]를 더 만족하는 광각 렌즈.
[수학식 5]
2.0 < f6/f < 5.0
f6 : 제6 렌즈의 초점거리
f : 본 발명에 따른 광각 렌즈의 초점거리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5 렌즈는 다음의 [수학식 6]을 만족하는 광각 렌즈.
[수학식 6]
20 < v51 - v52 < 40
v51 : 제5렌즈 중 제1단위렌즈의 압베수
v52 : 제5렌즈 중 제2단위렌즈의 압베수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렌즈는 하나 이상의 비구면을 포함하는 광각 렌즈.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6 렌즈는 하나 이상의 비구면을 포함하는 광각 렌즈.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렌즈와 상기 제6 렌즈의 열팽창 계수는 다음의 [수학식 7]을 만족하는 광각 렌즈.
[수학식 7]
|A3| > 1.6 X 10-5
|A6| > 1.6 X 10-5
A3: 제3 렌즈의 열팽창 계수
A6: 제6 렌즈의 열팽창 계수
KR1020150068098A 2014-06-09 2015-05-15 광각 렌즈 KR1017216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8098A KR101721675B1 (ko) 2015-05-15 2015-05-15 광각 렌즈
US15/317,890 US20170146778A1 (en) 2014-06-09 2015-06-08 Wide-angle lens
PCT/KR2015/005734 WO2015190783A1 (ko) 2014-06-09 2015-06-08 광각 렌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8098A KR101721675B1 (ko) 2015-05-15 2015-05-15 광각 렌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5060A true KR20160135060A (ko) 2016-11-24
KR101721675B1 KR101721675B1 (ko) 2017-03-31

Family

ID=57705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8098A KR101721675B1 (ko) 2014-06-09 2015-05-15 광각 렌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167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797B1 (ko) * 2007-06-26 2008-07-31 삼성전기주식회사 광각 렌즈 시스템
JP2010256627A (ja) * 2009-04-24 2010-11-11 Ricoh Co Ltd 広角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
JP2011107425A (ja) * 2009-11-18 2011-06-02 Nikon Corp 広角レンズ、及び、この広角レンズを有する光学機器
KR20120007729A (ko) * 2010-07-15 2012-01-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초광각 광학 렌즈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797B1 (ko) * 2007-06-26 2008-07-31 삼성전기주식회사 광각 렌즈 시스템
JP2010256627A (ja) * 2009-04-24 2010-11-11 Ricoh Co Ltd 広角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
JP2011107425A (ja) * 2009-11-18 2011-06-02 Nikon Corp 広角レンズ、及び、この広角レンズを有する光学機器
KR20120007729A (ko) * 2010-07-15 2012-01-2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초광각 광학 렌즈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1675B1 (ko) 2017-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643584B (zh) 光学成像系统
KR101912280B1 (ko) 촬상 광학계
KR101983194B1 (ko) 촬상 광학계
JP3208259U (ja) 近赤外撮像レンズ
KR20170016714A (ko) 촬상렌즈
TW201734533A (zh) 光學鏡頭
JP2008058387A (ja) 超広角レンズ
KR101980642B1 (ko) 촬상 렌즈
KR20160069269A (ko) 렌즈 모듈
KR20190035179A (ko) 촬상 광학계
CN108279477A (zh) 光学成像系统
JP6454968B2 (ja) 撮像光学系およびステレオカメラ装置および車載カメラ装置
JP2019124880A (ja) 撮像レンズ
KR101995020B1 (ko) 광학계
KR102000009B1 (ko) 촬상 광학계
KR101853498B1 (ko) 촬상 렌즈
KR20230002188A (ko) 촬상 광학계
KR20220059463A (ko) 촬상 광학계
US20170146778A1 (en) Wide-angle lens
KR102067455B1 (ko) 촬상 광학계
TW201715267A (zh) 廣角鏡頭
KR102642916B1 (ko) 촬상 광학계
KR101622160B1 (ko) 광각 렌즈
KR101721675B1 (ko) 광각 렌즈
KR20150012571A (ko) 촬상 렌즈 시스템 및 이를 채용한 촬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