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4862A - 노출된 캐리어 플레이트를 갖춘 백미러 장치 - Google Patents

노출된 캐리어 플레이트를 갖춘 백미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4862A
KR20160134862A KR1020167031473A KR20167031473A KR20160134862A KR 20160134862 A KR20160134862 A KR 20160134862A KR 1020167031473 A KR1020167031473 A KR 1020167031473A KR 20167031473 A KR20167031473 A KR 20167031473A KR 20160134862 A KR20160134862 A KR 201601348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plate
device housing
rear side
wall
peripheral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314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9000B1 (ko
Inventor
니겔 티. 락
마크 알. 로트
대니 엘. 주니어 미니키
Original Assignee
젠텍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젠텍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젠텍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60134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48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9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9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4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insid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B60R1/083Anti-glare mirrors, e.g. "day-night" mirrors
    • B60R1/088Anti-glare mirrors, e.g. "day-night" mirrors using a cell of electrically changeable optical characteristic, e.g. liquid-crystal or electrochromic mirr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3Constructional details
    • G02F1/1533Constructional details structural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3Constructional details
    • G02F1/157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reflectors or illuminat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제1 면 및 제2 면을 형성하는 전방 요소를 구비하는 백미러 장치. 후방 요소는 제3 면 및 제4 면을 형성한다. 상기 전방 요소와 상기 후방 요소 사이에 전기 광학 물질이 위치된다. 캐리어 플레이트는 전방측, 후방측 및 둘레 벽을 포함한다. 상기 전방측은 상기 제4 면과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둘레 벽은 상기 제2 면의 둘레 에지와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의 상기 후방측과 작동 가능하게 장치 하우징이 결합된다. 상기 둘레 벽과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의 후방측의 일부분이 상기 장치 하우징을 지나 연장하여 외부에 노출된다.

Description

노출된 캐리어 플레이트를 갖춘 백미러 장치{REARVIEW DEVICE WITH EXPOSED CARRIER PLATE}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백미러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노출된 캐리어 플레이트를 갖춘 백미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백미러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노출된 캐리어 플레이트를 갖춘 백미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제1 면 및 제2 면을 형성하는 전방 요소를 갖는 백미러 장치를 포함한다. 후방 요소는 제3 면 및 제4 면을 형성한다. 상기 전방 요소와 상기 후방 요소 사이에 전기 광학 물질이 위치된다. 캐리어 플레이트는 전방측, 후방측 및 둘레 벽을 포함한다. 상기 전방측은 상기 제4 면과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둘레 벽은 상기 제2 면의 둘레 에지와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의 상기 후방측에 작동 가능하게 장치 하우징이 결합된다. 상기 둘레 벽과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의 후방측의 일부분이 상기 장치 하우징을 지나 연장하여 외부에 노출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둘레 에지를 포함하는 표지 장치를 갖춘 백미러 장치를 포함한다. 캐리어 플레이트는 후방측 및 둘레벽을 포함한다. 상기 둘레 벽은 상기 표시 장치의 상기 둘레 에지로부터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의 상기 둘레 벽까지 매끄러운 변이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둘레 에지와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둘레 에지와 일반적으로 동일한 높이이다. 장치 하우징은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의 후방측과 인접한다. 상기 둘레 벽과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의 후방측의 일부분이 상기 장치 하우징을 지나 연장하여 외부에 노출된다. 맞물림 벽은 상기 둘레 벽의 상기 후방측에 대해 일반적으로 직교하여 연장하며 상기 장치 하우징과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를 작동 가능하게 결합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둘레 에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갖춘 백미러 장치를 포함한다. 캐리어 플레이트는 후방측 및 둘레벽을 포함한다. 상기 둘레 벽은 상기 표시 장치의 상기 둘레 에지로부터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의 상기 둘레 벽까지 일반적으로 매끄러운 변이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둘레 에지와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둘레 에지와 일반적으로 동일한 높이이다.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의 상기 후방측과 작동 가능하게 장치 하우징이 결합된다. 상기 둘레 벽과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의 후방측의 일부분이 상기 장치 하우징을 지나 연장하여 외부에 노출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둘레 에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갖춘 백미러 장치를 포함한다. 캐리어 플레이트는 후방측 및 둘레 벽을 포함한다. 상기 둘레 벽은 상기 표시 장치의 상기 둘레 에지로부터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의 상기 둘레 벽까지 일반적으로 매끄러운 변이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둘레 에지와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둘레 에지와 대체로 동일한 높이이다.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의 상기 후방측과 작동 가능하게 장치 하우징이 연결된다. 상기 둘레 벽과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의 후방측의 일부분이 상기 장치 하우징을 지나 연장하여 외부에 노출된다.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와 전방 요소 사이에 밀봉부가 배치될 수 있다.
하기 명세서, 청구범위, 및 첨부 도면을 연구시 당업자에 의해 본 발명의 이들과 다른 양태들, 목적들, 및 특징들을 이해하고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도면들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의 백미러 장치의 후방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백미러 장치의 상부 전방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백미러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백미러 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상부 분해도이고;
도 6은 도 1의 확대 단면도이며;
도 7은 확대된 둘레 벽을 갖는 백미러 장치의 확대 횡단면도이다.
여기에서, 설명의 목적으로, 용어 "상부", "하부", "우측", "좌측", "후방", "전방", "수직", "수평", 및 그들의 파생어들은 도 1에서 배향된 바와 같이 본 발명과 관련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달리 명백히 특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다양한 대안적인 배향을 가정할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들에 도시되고 하기 명세서에 설명된 특정 장치들 및 공정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정의된 본 발명의 개념들에 대한 단순히 예시적인 실시예들이라는 점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관한 특정 치수들 및 다른 물리적 특성들은 청구범위가 명백히 다르게 명시하지 않는 한 한정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
본 문헌에서, 관계 용어들, 예를 들면 제1 및 제2, 상부 및 하부 등은 이러한 명칭들 또는 동작들 간에 임의의 실제 이러한 관계 또는 순서를 반드시 요구하거나 시사함이 없이, 하나의 실체 또는 동작을 다른 실체 또는 동작과 구별하는 데에만 사용된다. 용어 "포함하다(comprise)", "포함하는(comprising)" 또는 그의 임의의 다른 변형은 요소들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공정, 방법, 물품, 또는 장치가 이들 요소들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이러한 공정, 방법, 물품, 또는 장치에 대하여 명확히 열거되거나 고유하지 않은 다른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도록, 비배타적인 포함을 포괄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를 포함한다"는 표현에 선행하는 요소는 추가 제약 없이, 그 요소를 포함하는 공정, 방법, 물건 또는 장치에 추가적인 동일한 요소들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여기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2개 또는 그 이상의 품목 리스트에 사용되는 경우 리스트의 품목들 중 어느 하나가 그 자체로 채택될 수 있거나, 리스트의 품목들 중 2개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이 채택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구성물이 성분 A, B 및/또는 C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다면, 구성물은 A 단독, B 단독, C 단독, A 및 B의 조합, A 및 C의 조합, B 및 C의 조합, 또는 A, B 및 C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참조 부호 10은 제1 면(14) 및 제2 면(16)을 형성하는 제1 요소(12)를 갖춘 백미러 장치를 일반적으로 지시한다. 후방 요소(18)는 제3면(20) 및 제4면(22)을 형성한다. 전방 요소(12)와 후방 요소(18) 사이에 전기 변색 물질과 같은 전기 광학 물질(24)이 위치된다. 캐리어 플레이트(26)는 전방측(28), 후방측(30) 및 둘레 벽(32)을 포함한다. 전방측(28)은 제4 면(22)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캐리어 플레이트(26)의 후방측(30)에 장치 하우징(36)이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캐리어 플레이트(26)의 후방측(30)의 외부 부분(38)과 둘레 벽(32)은 장치 하우징(36)을 넘어 연장되어 외부로 노출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백미러 장치(10)는 일반적으로 차량의 전방 창유리 상에 설치하도록 구성된다. 백미러 장치(10)는 창유리의 내부면과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장착부(50)를 포함한다. 장착부(50)는 장치 지지부(58)의 볼(56)(도 4)와 맞물리도록 구성된 소켓(54)을 형성하는 창유리 커넥터(52)를 포함한다. 특히, 볼(56)과 소켓(54)이 장치 하우징(36)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장착부(50)는 창유리에 대한 백미러 장치(10)의 이동 범위를 제공한다. 또한, 장착부(50)가 장치 하우징(36) 내부에서 캐리어 플레이트(26)의 후방측(30)과 작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소켓(54)은 "백미러 장착 장치"라는 명칭의 미국 특허공개 제 2014/0097320호에 기술된 것과 유사하며, 이는 본원에 그 전문이 참조로 본 명세서에 원용된다. 장치 지지부(58)는 장치 하우징(36)의 후방 부분(62) 내에 형성되는 오목부(60) 안으로 연장하여 이 오목부에 의해 수용되어, 백미러 장치(10)에 대한 전기적, 기계적 및 데이터 연결 중 하나 이상을 제공한다. 특히, 장치 하우징(36)의 높이와 폭이 캐리어 플레이트(26), 제1 요소(12) 및 후방 요소(18)의 높이와 폭 보다 상당히 작다는 것이다. 이 결과, 장치 하우징(36)은 캐리어 플레이트(26)의 후방측(30)에 장착된다. 보다 상세하게, 장치 하우징(36)은 캐리어 플레이트(26)의 후방측(30)에서 연장되는 맞물림 벽(66)의 형태의 고정 배열체에 장착된다. 이 고정 배열체는 장치 하우징(36)의 내부면 상에 배치된다. 따라서, 캐리어 플레이트(26)의 후방측(30)의 외부 부분(38)이 노출된 상태로 남는다. 캐리어 플레이트(26)의 외부 부분(38)은 장치 하우징(36)과 유사 또는 비유사 질감과 색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 플레이트(26)는 장치 하우징(36)을 약 1인치 지나서 연장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캐리어 플레이트(26)의 하방으로 연장하는 맞물림 벽(66)은 장치 하우징(36)과 기계적으로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장치 하우징(36)은 일반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회로 기판을 포함하는 전기 성분을 보유, 지지 및 보호하도록 구성된다. 장치 하우징(36)은 약간 테이퍼형이어서, 캐리어 플레이트(26)의 후방측(30) 상에 배치된 맞물림 벽(66)과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이 맞물림 벽(66)이 조립 동안 장치 하우징(36) 내부 또는 장치 하우징(36) 외부에 맞물릴 수 있는 것이 일반적으로 고려된다. 캐리어 플레이트(26)가 단일 피스로서 장치 하우징(36)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주조될 수 있는 것이 또한 고려된다.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요소(12)가 노출되는 한편 후방 요소(18)가 전방 요소(12) 뒤에 위치된다. 전방 요소(12)는 후방 요소(18) 보다 큰 높이와 폭을 가지며, 둥근 전방 에지(70)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둥근 전방 에지(70)는 매끄럽고 미적으로 보기 좋은 외양을 백미러 장치(10)에 제공한다. 유사하게, 캐리어 플레이트(26)는 전방 요소(12)의 둥근 전방 에지(70)와 유사한 둥근 후방 변이부(72)를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 플레이트(26)는 후방 요소(18) 주위를 감싸고 전방 요소(12)의 제2 면(16)과 인접한다. 이러한 구성은 캐리어 플레이트(26)로부터 전방 요소(12)까지 일정하고 매끄러운 변이부를 제공하며 후방 요소(18)를 둘러싸고 후방 요소(18)를 또한 숨긴다. 대안으로, 캐리어 플레이트(26)가 후방 요소(18)의 제4 면(22)과 인접할 수 있다. 이 경우, 후방 요소(18)의 둘레가 노출될 수 있다. 결합된 캐리어 플레이트(26)와 전방 요소(12)를 유지시키는 밀봉부(80)가 캐리어 플레이트(26)와 전방 요소(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는 것이 또한 고려된다.
도 5 및 도 6을 다시 참조하면, 전방 요소(12)의 둥근 전방 에지(70)는 주조되거나, 그라인딩되거나, 또는 그렇지 않다면 전방 요소(12)의 둘레 전방 에지 상에 형성된다. 전방 요소(12)의 곡률 반경이 흉내낼 수 있을 정도이거나 그렇지 않으면 캐리어 플레이트(26)의 후방측(30)과 둘레 벽(32) 사이에서 둥근 후방 변이 부분(72)과 유사할 수 있음이 일반적으로 고려된다. 따라서, 후방감지 장치(10)를 조절하는 사용자에게 캐리어 플레이트(26)와 전방 요소(12) 사이에 일관된 느낌이 제공된다. 그러나, 캐리어 플레이트(26)와 전방 요소(12)는 상이한 둘레 구성을 포함할 수 있음이 또한 고려된다. 예컨대, 캐리어 플레이트(26)의 둘레 벽(32)은 둥근 벽이 아닌 각진 벽을 갖춘 변이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둘레 벽(32) 상에 마디가 있거나 그렇지 않으면 거친 면이 형성될 수 있어서, 이동하기 전에 또는 이동하는 동안 사용자가 후방감지 장치(10)를 잡고 조절하는 것을 돕는다. 전방 요소(12)의 둥근 전방 에지(70)가 캐리어 플레이트(26)의 느낌과 외관을 보완하도록 매끄럽거나 성에가 낀 형상이거나 기타 형상일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다시 참조하면, 후방 요소(18)가 캐리어 플레이트(26)의 내부면에서 미리 결정된 거리로 이격되는 것이 일반적으로 고려된다. 그러나, 후방 요소(18)가 둘레 벽(32)에서 캐리어 플레이트(26)의 내부면과 인접하여 접촉한 상태일 수 있음이 또한 고려된다. 이러한 구성은 제조하는 동안 캐리어 플레이트(26)를 적절하게 위치시키는 것을 도울 수 있다. 또한, 숫 및 암 어댑터(86, 88)가 회로 기판(90)을 차량과 작동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것이 고려된다. 일 실시예에서, 전선(92)의 단부들에 배치되는 숫 어댑터(86)가 회로 기판(90) 상의 암 어댑터(88)와 결합된다. 이 전선(92)은 장치 하우징(36) 및 장착부(50)를 통하여 연장되며, 차량 제어기 영역 네트워크(CAN)와 같은 제어 센터까지 최종적으로 연장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맞물림 벽(66)은 캐리어 플레이트(26)와 일체형이며 이 캐리어 플레이트(26)와 일반적으로 수직 각도로 이 플레이트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한다. 그러나, 맞물림 벽(66)이 캐리어 플레이트(26)로부터 여러 다른 각도로 연장될 수 있음을 또한 이해해야 한다. 대안으로, 맞물림 벽(66)은 캐리어 플레이트(26)의 후방측(30) 상에 형성된 슬롯과 고정 맞물림으로 장치 하우징(36)에서 연장될 수 있다. 맞물림 벽(66)이 장치 하우징(36)의 내부면의 모두, 실질적으로 모두, 또는 일부 둘레로 연장될 수 있음이 고려된다.
장치 하우징(36) 및 캐리어 플레이트(26)가 일반적으로 불투명, 반투명 또는 투명할 수 있다. 무관하게, 백미러 장치(10)를 작동하는데 사용되는 다수의 전기 부품이 조립 후에 백미러 장치(10)의 후방 요소(18) 뒤에 그리고 장치 하우징(36) 내부에 배치되는 것이 일반적으로 고려된다. 장치 하우징(36) 내의 오목부(60)는 장치 하우징(36) 내에 배치되는 회로 기판들까지 전력선 및/또는 데이타선을 통해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100)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선 및 전력선들이 회로 기판(90)으로부터 오목부(60) 내에 형성된 개구들을 통해 최종적으로 장착부(50)의 볼(56)과 장치 지지부(58)를 통해 연장되는 것이 고려된다.
이제 도 7을 참조하며, 캐리어 플레이트(26)가 전방 요소(12)의 제2 면(16)을 지나 전방으로 연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이 또한 고려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캐리어 플레이트(26)는 테두리를 갖는 링 디자인을 포함한다. 이 실례에서, 전방 요소(12)와 후방 요소(18) 사이에 배치되는 전기 광학 물질(24)과의 전기 접촉 연결부를 숨기기 위해 제2 면(16) 상에 크롬 링과 같은 둘레 숨은 층이 위치된다. 캐리어 플레이트(26)의 둘레 벽(32)은 전방 에지(12)의 제1 면(14)과 동일한 높이 또는 거의 동일한 높이인 전방 내부 에지까지 곡선형인 둥근 전방 부분(110)을 포함한다. 이 실례에서, 후방 요소(18)는 일반적으로 캐리어 플레이트(26)와 전방 요소(12) 사이에 숨겨진다. 또한, 캐리어 플레이트(26)의 둘레 벽(32)은 전방 요소(12)와 후방 요소(18) 모두의 둘레 에지를 숨긴다.
본 발명은 예컨대 미국특허 제8,925,891호; 제8,814,373호; 제8,201,800호; 및 제8,210,695호; 미국특허 출원 공개번호 제2014/0063630호; 및 제2012/0327234호; 및 미국특허 가출원번호 제61/709,716호; 제61/707,676호; 및 제61/704,869호에 설명된 것과 같은 장착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은 본원에 그 전문이 참조로 본 명세서에 원용된다. 또한, 본 발명은 미국특허 제8,885,240호; 제8,814,373호; 제8,646,924호; 제8,643,931호; 및 제8,264,761호; 및 미국특허 가출원번호 제61/707,625호; 및 제61/590,259호에 설명된 것과 같은 패키징 백미러 조립체와 함께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은 본원에 그 전문이 참조로 본 명세서에 원용된다. 또한, 본 발명은 미국특허 제8,827,517호; 제8, 210,695호; 및 제8,201,800호에 설명된 것과 같은 베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본원에 그 전문이 참조로 본 명세서에 원용된다.
기술된 본 발명의 구성 및 다른 부품들은 임의의 특정 재료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여기에서 달리 설명되지 않는 한 본원에서 개시된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매우 다양한 물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 위해, 용어 "결합된(coupled)"(그 형성물, 쌍(couple), 결합물(coupling), 피결합물(coupled) 등 모두에서)은 일반적으로 서로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전기적 또는 기계적) 2개 성분의 연결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결은 본래 고정적일 수도 있고 본래 동적일 수도 있다. 이러한 연결은(전기적 또는 기계적) 두 개의 구성 요소, 및 서로와 또는 두 개의 구성 요소와 하나의 단일체로서 일체로 형성되는 임의의 추가 중간 부재들에 의해 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연결은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본래 영구적일 수도 있고 본래 제거 가능하거나 해제 가능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은 단지 예시적인 것을 또한 유의해야 한다. 본 혁신 기술의 단지 몇몇 실시예들이 본 명세서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검토하는 당업자라면 인용된 주제의 신규한 교시 및 이점을 실질적으로 벗어나지 않고 많은 변형(예를 들어, 다양한 요소들의 크기, 치수, 구조, 모양 및 비율, 파라미터 값, 장착 배열, 재료의 사용, 색상, 배향 등의 변동)이 가능함을 용이하게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된 요소들은 다수의 부분들로 구성될 수도 있고 또는 다수의 부분으로 도시된 요소들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인터페이스들의 동작은 반전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변화될 수도 있으며, 구조 및/또는 부재 또는 연결기 또는 시스템의 다른 구성 요소들의 길이 또는 폭은 변화될 수 있고, 요소들 사이에 제공된 조정 위치들의 성질 또는 수가 변화될 수도 있다. 시스템의 요소들 및/또는 어셈블리들은 임의의 매우 다양한 색상, 질감, 및 이들의 조합으로 충분한 강도나 내구성을 제공하는 임의의 매우 다양한 재료로부터 구성될 수도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변형은 본 혁신 기술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다른 치환, 변형, 변화, 및 생략은 본 혁신 기술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바람직한 그리고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설계, 작동 상태 및 배열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설명된 공정 내의 임의의 설명된 공정 또는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해 다른 개시된 공정 또는 단계와 결합될 수도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본원에 개시된 예시적인 구조들 및 공정들은 예시적인 목적을 위한 것이며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을 벗어나지 않고 변형 및 수정이 전술한 구조 및 방법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하며, 또한 그러한 개념이 하기 청구항이 그들의 언어로 명시적으로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하기 청구항들에 의해 포괄되도록 의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20)

  1. 백미러 장치로서:
    제1 면 및 제2 면을 형성하는 전방 요소와;
    제3 면 및 제4 면을 형성하는 후방 요소와;
    상기 전방 요소와 상기 후방 요소 사이에 위치하는 전기 광학 물질과;
    전방측, 후방측 및 둘레 벽을 포함하는 캐리어 플레이트로서, 상기 전방측은 상기 제4 면과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둘레 벽은 상기 제2 면의 둘레 에지와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캐리어 플레이트와;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의 상기 후방측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장치 하우징을 포함하며, 장치 하우징을 지나 연장하는 상기 둘레 벽 및 캐리어 플레이트의 후방측의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는, 백미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의 상기 둘레 벽은 상기 전방 요소의 제2 면과 인접하며 상기 후방 요소의 둘레 에지를 숨기는, 백미러 장치.
  3.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하우징의 후방 부분과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장치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백미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하우징은 상기 장치 지지부를 수용하도록 내부에 구성되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백미러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 벽의 상기 후방측에 대해 대체로 직교하여 연장하며 상기 장치 하우징과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를 작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맞물림 벽을 포함하는, 백미러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요소가 둥근 전방 에지를 포함하는, 백미러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의 상기 후방측과 상기 둘레 벽 사이에 배치되는 둥근 변이 부분을 더 포함하는, 백미러 장치.
  8. 백미러 장치로서:
    둘레 에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와;
    후방측 및 둘레 벽을 포함하는 캐리어 플레이트로서, 상기 둘레 벽이 상기 표시 장치의 상기 둘레 에지로부터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의 상기 둘레 벽까지 매끄러운 변이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둘레 에지와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둘레 에지와 일반적으로 동일한 높이인, 캐리어 플레이트와;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의 상기 후방측과 인접하는 장치 하우징으로서,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의 상기 후방측의 일부분과 상기 둘레 벽이 상기 장치 하우징을 지나 연장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장치 하우징과;
    상기 둘레 벽의 상기 후방측에 대해 일반적으로 직교하여 연장하며 상기 장치 하우징과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를 작동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맞물림 벽을 포함하는, 백미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하우징의 후방 부분과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장치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백미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하우징은 상기 장치 지지부를 수용하도록 내부에 구성되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백미러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장치 지지부 내에 배치되는 회로 기판에 데이터를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개구를 형성하는, 백미러 장치.
  12. 제8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 벽은 상기 장치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로부터 후방으로 연장하는, 백미러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 벽은 상기 장치 하우징의 내부면 상에 배치된 고정 배열체와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백미러 장치.
  14. 제8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둥근 전방 에지를 포함하는 전방 요소를 포함하는, 백미러 장치.
  15. 제8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의 상기 후방측과 상기 둘레 벽 사이에 배치되는 둥근 변이 부분을 더 포함하는, 백미러 장치.
  16. 백미러 장치로서:
    둘레 에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와;
    후방측 및 둘레 벽을 포함하는 캐리어 플레이트로서, 상기 둘레 벽이 상기 표시 장치의 상기 둘레 에지로부터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의 상기 둘레 벽까지 대체로 매끄러운 변이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둘레 에지와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둘레 에지와 동일한 높이인, 캐리어 플레이트와;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의 상기 후방측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장치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의 상기 후방측의 일부분과 상기 둘레 벽이 상기 장치 하우징을 지나 연장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백미러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하우징은 장치 지지부를 수용하도록 내부에 구성되는 오목부를 포함하는, 백미러 장치.
  18. 제16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둥근 전방 에지를 포함하는 전방 요소를 포함하는, 백미러 장치.
  19. 제16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플레이트의 상기 후방측과 상기 둘레 벽 사이에 배치되는 둥근 변이 부분을 더 포함하는, 백미러 장치.
  20. 제16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하우징의 내부면 상에 배치되는 고정 배열체와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맞물림 벽을 더 포함하는, 백미러 장치.

KR1020167031473A 2014-05-08 2015-05-08 노출된 캐리어 플레이트를 갖춘 백미러 장치 KR1017290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1990480P 2014-05-08 2014-05-08
US61/990,480 2014-05-08
PCT/US2015/029904 WO2015172032A1 (en) 2014-05-08 2015-05-08 Rearview device with exposed carrier pla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4862A true KR20160134862A (ko) 2016-11-23
KR101729000B1 KR101729000B1 (ko) 2017-04-21

Family

ID=54367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1473A KR101729000B1 (ko) 2014-05-08 2015-05-08 노출된 캐리어 플레이트를 갖춘 백미러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545882B2 (ko)
EP (1) EP3140160B1 (ko)
JP (2) JP2017515747A (ko)
KR (1) KR101729000B1 (ko)
CN (1) CN106458095A (ko)
WO (1) WO20151720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24064A1 (en) * 2009-04-23 2010-10-28 Magna Mirrors Of America, Inc. Mirror assembly for vehicle
US9174578B2 (en) 2013-04-22 2015-11-03 Magna Mirrors Of America, Inc. Interior rearview mirror assembly
US11046251B2 (en) 2014-09-19 2021-06-29 Magna Mirrors Of America, Inc. Interior rearview mirror with GDO module
KR102091415B1 (ko) * 2015-12-04 2020-03-20 젠텍스 코포레이션 타이트한 베젤-대-글라스 끼워맞춤 미러 조립체
US10850667B2 (en) * 2017-05-04 2020-12-01 Magna Mirrors Of America Interior rearview mirror assembly
US11485289B2 (en) * 2020-04-08 2022-11-01 Magna Mirrors Of America, Inc. Vehicular rearview mirror assembly
USD1001700S1 (en) * 2021-12-30 2023-10-17 Gentex Corporation Rearview mirror for a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98070A (en) * 1961-12-01 1965-08-03 Chrysler Corp Rear view mirror containing a fluid light controlling medium
JPS5124029Y2 (ko) * 1973-02-23 1976-06-19
JPS5730639A (en) * 1980-07-31 1982-02-18 Ichikoh Ind Ltd Anti-glare mirror device
JPH0467543U (ko) * 1990-10-19 1992-06-16
JPH04123844U (ja) * 1991-04-25 1992-11-10 市光工業株式会社 インサイドミラー
US5673994A (en) 1991-09-13 1997-10-07 Donnelly Corporation Rearview mirror with lighting assembly
JP3286553B2 (ja) * 1997-03-17 2002-05-27 株式会社村上開明堂 防眩インナーミラー
DE19903378A1 (de) 1999-01-28 2000-08-24 Mekra Lang Gmbh & Co Kg Rückspiegel für Kraftfahrzeuge
KR200200813Y1 (ko) * 2000-05-19 2000-10-16 김우재 자동차용 실내 후사경
US6467919B1 (en) * 2001-11-02 2002-10-22 Gentex Corporation Mirror with split ball mount and hold-open device
US8004741B2 (en) 2004-02-27 2011-08-23 Gentex Corporation Vehicular rearview mirror elements and assemblies incorporating these elements
US7121028B2 (en) * 2002-12-09 2006-10-17 U-Haul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a rearview mirror into a dedicated information display
US7221363B2 (en) * 2003-02-12 2007-05-22 Gentex Corporation Vehicle information displays
EP1620763B1 (en) * 2003-05-06 2012-07-25 Gentex Corporation Vehicular rearview mirror
US20050128610A1 (en) * 2003-11-03 2005-06-16 Parker Brian R. Rearview mirror assembly including a housing having a wiring cover
FR2874100B1 (fr) * 2004-08-04 2006-09-29 Saint Gobain Systeme electrochimique comportant au moins une zone de margeage partiel
JP2006103623A (ja) * 2004-10-08 2006-04-20 Ichikoh Ind Ltd 防眩タイプの車両用インサイドミラー装置
JP2006103620A (ja) * 2004-10-08 2006-04-20 Ichikoh Ind Ltd 車両用ミラー装置
US8201800B2 (en) * 2008-08-06 2012-06-19 Gentex Corporation Two ball mount with wiring passage
WO2010111173A1 (en) * 2009-03-23 2010-09-30 Magna Mirrors Of America, Inc. Interior mirror assembly with adjustable mounting assembly
US8730553B2 (en) * 2009-04-23 2014-05-20 Magna Mirrors Of America, Inc. Frameless interior rearview mirror assembly
JP5584096B2 (ja) * 2010-11-09 2014-09-03 太平洋工業株式会社 車両用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CN202147633U (zh) * 2011-07-07 2012-02-22 华德塑料制品有限公司 嵌入式无边内后视镜
CN203005254U (zh) * 2012-10-08 2013-06-19 深圳市格比特科技有限公司 轻触式后视镜行驶仪
US9174578B2 (en) * 2013-04-22 2015-11-03 Magna Mirrors Of America, Inc. Interior rearview mirro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657282B2 (ja) 2020-03-04
US9545882B2 (en) 2017-01-17
KR101729000B1 (ko) 2017-04-21
EP3140160B1 (en) 2019-03-13
WO2015172032A1 (en) 2015-11-12
JP2017515747A (ja) 2017-06-15
EP3140160A4 (en) 2017-06-21
EP3140160A1 (en) 2017-03-15
CN106458095A (zh) 2017-02-22
JP2018090252A (ja) 2018-06-14
US20150321611A1 (en) 2015-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9000B1 (ko) 노출된 캐리어 플레이트를 갖춘 백미러 장치
USD832203S1 (en) Solar panel
USD826335S1 (en) Electronic housing
USD868106S1 (en)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D844193S1 (en) Rear combination lamp for an automobile
USD809449S1 (en) Ring and magnet for smart phone attachment
USD819747S1 (en) Gaming machine with curved display
USD854559S1 (en) Display panel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having an indicator
USD938391S1 (en) Indoor wall with built-in home appliances
USD812264S1 (en) Rear combination lamp for an automobile
USD864816S1 (en) Instrument panel for automobile
USD888470S1 (en) Umbrella display fixture
USD815322S1 (en) Rear combination lamp for an automobile
USD842784S1 (en) Side view mirror for motor vehicle
USD826277S1 (en) Motor housing
CN108349436B (zh) 后视装置
USD815321S1 (en) Rear combination lamp for an automobile
USD978834S1 (en) Indoor wall with built-in home appliances
USD847058S1 (en) Instrument panel for an automobile
USD854527S1 (en) Electronic device
USD837628S1 (en) Door surround knob
USD611932S1 (en) Wireless remote control
USD939819S1 (en) Ornament
USD849590S1 (en) Bead for use with numbered bracelet
USD992941S1 (en) Rotating displ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