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4478A - 공유 대역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공유 대역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4478A
KR20160134478A KR1020160039801A KR20160039801A KR20160134478A KR 20160134478 A KR20160134478 A KR 20160134478A KR 1020160039801 A KR1020160039801 A KR 1020160039801A KR 20160039801 A KR20160039801 A KR 20160039801A KR 20160134478 A KR20160134478 A KR 201601344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red band
channel
value
base station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9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승훈
문정민
정병훈
류선희
정정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5/154,284 priority Critical patent/US10375729B2/en
Priority to PCT/KR2016/005086 priority patent/WO2016182387A1/en
Publication of KR20160134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44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common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multiple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04L5/0057Physical resource allocation for CQI
    • H04W72/125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35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resource usage policies

Abstract

본 개시는 LTE와 같은 4G 통신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에 관련된 것으로, 공유 대역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디바이스가 데이터를 송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수신 디바이스와 설정된 링크 정보, 송신 디바이스의 측정치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공유 대역에서 다음 데이터 송신을 결정하기 위한 시구간의 길이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길이의 시구간에서 상기 공유 대역의 채널 점유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다음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공유 대역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그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CEIVING DATA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SHARED CHANNEL BAND}
본 개시는 공유 대역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4G (4th-Generation)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5th-Generation)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 (post LTE)의 시스템이라 불리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 (mmWave)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 (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 전파의 경로 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 (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 (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 (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 (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 (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 (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 (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 (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 (moving network), 협력 통신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 (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 (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 (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 (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 (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 (non-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 SCMA (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네트워크의 용량 증대를 위해서 비면허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방안이 고려되고 있다. 비면허대역의 사용에 있어서 자원접속의 효율성과 더불어 예를 들어, WiFi(wireless fidelity),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와 같은 기존의 무선 랜과 단말과의 공존을 고려하여야 한다.
본 개시에서는 공유 대역에서 무선랜과 자원을 공유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개시에서는, 공유 대역에서 무선랜과 자원을 공유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접속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본 개시에서는 기지국이 측정 결과에 따라 반-동적으로(semi-dynamic) 단말을 제어하거나 발동 조건(triggering condition)에 따라 동적으로(dynamic) 제어하는, 공존을 위한 자원접속 방법을 제안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공유 대역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디바이스가 데이터를 송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수신 디바이스와 설정된 링크 정보, 송신 디바이스의 측정치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공유 대역에서 다음 데이터 송신을 결정하기 위한 시구간의 길이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길이의 시구간에서 상기 공유 대역의 채널 점유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다음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다른 방법은, 공유 대역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수신 디바이스가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유 대역을 통해서 상기 송신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의 수신 결과를 상기 송신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의 송신은, 상기 송신 디바이스와 상기 수신 디바이스간에 설정된 링크의 정보, 상기 송신 디바이스의 측정치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결정된 길이를 가지는 시구간에서 상기 공유 대역의 채널이 점유되지 않은 경우 수행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공유 대역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디바이스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수신 디바이스와 설정된 링크 정보, 송신 디바이스의 측정치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공유 대역에서 다음 데이터 송신을 결정하기 위한 시구간의 길이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길이의 시구간에서 상기 공유 대역의 채널 점유 여부를 확인하는 제어부와,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다음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다른 장치는; 공유 대역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공유 대역을 통해서 상기 송신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데이터의 수신 결과를 생성하고, 상기 송신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의 송신은, 상기 송신 디바이스와 상기 수신 디바이스간에 설정된 링크의 정보, 상기 송신 디바이스의 측정치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결정된 길이를 가지는 시구간에서 상기 공유 대역의 채널이 점유되지 않은 경우 수행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들과, 이득들 및 핵심적인 특징들은 부가 도면들과 함께 처리되고,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게시하는, 하기의 구체적인 설명으로부터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하기의 본 개시의 구체적인 설명 부분을 처리하기 전에, 이 특허 문서를 통해 사용되는 특정 단어들 및 구문들에 대한 정의들을 설정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상기 용어들 “포함하다(include)” 및 “포함하다(comprise)”과 그 파생어들은 한정 없는 포함을 의미하며; 상기 용어 “혹은(or)”은 포괄적이고 ‘및/또는’을 의미하고; 상기 구문들 “~와 연관되는(associated with)” 및 ““~와 연관되는(associated therewith)”과 그 파생어들은 포함하고(include), ~내에 포함되고(be included within), ~와 서로 연결되고(interconnect with), 포함하고(contain), ~내에 포함되고(be contained within), ~에 연결하거나 혹은 ~와 연결하고(connect to or with), ~에 연결하거나 혹은 ~와 연결하고(couple to or with), ~와 통신 가능하고(be communicable with), ~와 협조하고(cooperate with), 인터리빙하고(interleave), 병치하고(juxtapose), ~로 가장 근접하고(be proximate to), ~로 ~할 가능성이 크거나 혹은 ~와 ~할 가능성이 크고(be bound to or with), 가지고(have), 소유하고(have a property of) 등과 같은 것을 의미하고; 상기 용어 “제어기”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제어하는 임의의 디바이스, 시스템, 혹은 그 부분을 의미하고, 상기와 같은 디바이스는 하드웨어, 펌웨어 혹은 소프트웨어, 혹은 상기 하드웨어, 펌웨어 혹은 소프트웨어 중 적어도 2개의 몇몇 조합에서 구현될 수 있다. 어떤 특정 제어기와 연관되는 기능성이라도 집중화되거나 혹은 분산될 수 있으며, 국부적이거나 원격적일 수도 있다는 것에 주의해야만 할 것이다. 특정 단어들 및 구문들에 대한 정의들은 이 특허 문서에 걸쳐 제공되고, 해당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많은 경우, 대부분의 경우가 아니라고 해도, 상기와 같은 정의들이 종래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이 정의된 단어들 및 구문들의 미래의 사용들에도 적용된다는 것을 이해해야만 할 것이다.
도 1a,b는 일반적인 비면허 대역에 대한 LBT(Listen Before Talk) 규제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이 q 값을 제어하는 동작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하향링크에서 기지국이 단말 별 ECCA를 위한 q 값을 제어하는 동작의 일 예,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상향링크에서 기지국이 단말별 ECCA를 위한 q값을 제어하는 동작의 일 예,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측정용 시간 슬롯에서 단말의 CCA 측정에 의한 충돌 감지 동작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서로 다른 시점의 CCA 측정 결과를 비교하여 채널 점유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의 동작 예,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연기 구간에서 단말이 채널 점유를 검출하는 동작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이 측정용 시간 슬롯에서 채널의 점유 여부를 검출하는 동작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이웃 기지국의 측정용 시간 슬롯에서 탐지된 채널 점유 결과를 기반으로 채널 점유를 검출하는 동작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a,b는 기지국이 서로 다른 시점에서의 CCA 측정 결과들을 이용하여 q 값의 제어에 대한 발동 조건을 결정하는 동작의 일 예,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연기 구간에서 기지국이 채널 점유를 검출하는 동작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이 UL grant로 단말의 BO 카운터를 제어하는 Approach A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이 2개의 단말에게 UL 자원을 스케쥴링하는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본 개시의 실시 에에 따라 잔여 BO 카운터 값이 상이한 2개의 단말에게 UL 스케쥴링하는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a는 UL grant를 DL 서브 프레임에서 할당하여 발생하는 지연 시간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5b는 DL 서브프레임과 UL 서브프레임 사이에 복수의 서브 프레임들이존재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
도 15c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이 기지국의 신호를 탐색하는 실시 예들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주파 재사용을 위해 기지국이 채널 점유 종료 신호 및 시간 정렬을 지시하는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개시는 공유 대역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는, 공유 대역에서 무선랜과 자원을 공유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자원접속 방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본 개시에서는 기지국이 측정 결과에 따라 반-동적으로(semi-dynamic) 단말을 제어하거나 발동 조건(triggering condition)에 따라 동적으로(dynamic) 제어하는, 공존을 위한 자원접속 방법을 제안한다.
공유 대역을 이용한 통신은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에 대해 정해진 송신 규제를 따라야 한다. 이러한 송신 규제는 장치 간 신호 간섭을 완화하기 위해 여러 종류의 방법을 사용하는데, 일정 거리에서의 수신 전력이 특정값 이상이 되지 않도록 송신 전력을 제한하거나, 시간 또는 주파수 자원에서의 위치를 홉핑(hopping)하거나, 전체 자원 중 일정 자원만 사용하도록 하거나, 다른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먼저 들어보고, 상기 신호의 수신 전력이 특정값보다 작을 때 송신이 가능하도록 제한하는 방법 등이 있다. 공유 대역에서 대표적으로 활용되는 주파수 대역은 License-exempt 또는 Unlicensed 대역이라고 불리우는 비면허 대역이다. 본 개시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유럽에서 사용하는 5 GHz 비면허 대역을 일 예로서, 기술한다. 하지만, 그 외 유사한 공유 규제에 기초한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도 본 개시를 적용할 수 있다. 비면허 대역을 사용하는 기기는 FBE (Frame Based Equipment) 또는 LBE (Load Based Equipment)로 분류될 수 있다. 도 1a,b는 일반적인 비면허 대역에 대한 LBT(Listen Before Talk) 규제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각 기기는 다음과 같은 규제를 반드시 만족시켜야 한다. 도 1a를 참조하면, FBE의 경우 송신기가 전송을 수행하기 전에 최소 20 us 이상 CCA (Clear Channel Assessment, 100)을 수행하여야 한다. CCA란 송신기가 간섭의 크기를 측정하여 다른 기기가 현재 비면허 대역을 사용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이다. 그리고, 송신기는 CCA의 수행 결과 간섭의 크기가 일정 값 이상인 경우에는 전송을 수행하지 않고, 간섭의 크기가 일정 값 미만인 경우에는 전송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FBE가 한 번 CCA(short CCA, one-shot CCA) 을 수행하여, 그 결과 간섭의 크기가 일정값 미만인 경우에는, 송신기가 최소 1 ms에서 최대 10 ms까지 비면허 대역을 점유할 수 있고, 그 후 점유 시간의 최소 5 % 시간(102) 동안은 전송을 수행하지 않고 휴식을 취해야 한다. 여기서, 전송을 수행하지 않는 구간을 idle (휴지) 구간이라고 한다. 만약, FBE의 CCA 수행 결과 간섭의 크기가 일정값 이상인 경우, 다른 기기가 현재 비면허 대역을 사용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FBE는 fixed frame period가 지난 후 다시 CCA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LBE의 경우 FBE와 마찬가지로 송신기가 전송을 수행하기 전에 최소 20 us 이상 CCA(110)을 수행해야 한다. 그리고, CCA 수행 결과 간섭의 크기가 일정값 미만이어서 현재 비면허 대역을 사용하고 있는 기기가 없다고 판단되면, 송신기는 비면허 대역을 점유하여 전송을 수행한다. 하지만, 상기 CCA 수행 결과 간섭의 크기가 일정값 이상이어서 다른 기기가 현재 비면허 대역을 사용하고 있다고 판단되면, LBE는 FBE와 다르게 추가적인 CCA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ECCA (Extended CCA, 112)라고 한다. ECCA는 N번의 CCA로 구성되며, 여기서 N은 [1, q] 사이에서 임의로 선택된 값으로 CCA의 총 횟수를 의미하고, q는 CWS(contention window size)로 주어진 값으로 설정된다. 그리고, 하나의 CCA의 수행 결과가 비면허 대역을 점유할 수 있는 경우, 송신기는 N으로 설정된 CCA 카운터 값을 ‘1’씩 감소시킨다. 그리고, CCA 카운터 값이 ‘0’이 되기 전에 다른 기기의 비면허 대역 점유를 감지하면, 송신기는 현재 CCA 카운터의 값을 저장해둔 채로, 다른 기기의 비면허 대역 점유가 해제될 때까지 기다리는 정지(freezing) 동작을 수행한다. 송신기는 비면허 대역의 사용이 다시 가능함을 감지하면, CCA를 수행함에 따라 CCA 카운터의 값을 감소시키는 동작을 다시 재개한다. 만약, CCA 카운터의 값이 ‘0’이 될 때, 현재 비면허 대역을 사용하고 있는 기기가 없다고 판단되면, 마지막 CCA 구간 이후 시점에서 송신기는 전송을 수행한다. 이때, LBE가 비면허 대역을 점유할 수 있는 시간은 최대 (13/32)*q ms이고, 그 후 송신기는 ECCA을 다시 수행하며, 다시 EECA를 수행하는 시간 동안 송신에 대한 idle 구간(114)을 갖는다.
FBE와 LBE는 각각 장단점이 있다. 우선 비면허 대역을 점유할 확률 관점에서는 LBE가 FBE 보다 좋은 성능을 보일 것이다. 왜냐하면 FBE는 CCA을 한 번 실패하면 fixed frame period 동안 이를 다시 수행할 수 없지만, LBE는 CCA을 실패한 후 ECCA, 즉 N번의 추가적인 CCA을 수행함으로써, 비면허 대역을 점유하려는 동작을 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scheduling, 즉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전송 관점에서는 FBE가 LBE 보다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다. FBE는 subframe boundary, 즉 PDCCH 전송 시점을 기준으로 비면허 대역을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LBE는 ECCA의 CCA 수행 횟수인 N을 임의로 선택하기 때문에 비면허 대역을 사용하는 시작 시점과 subframe boundary을 일치시킬 수 없다. 따라서 LBE의 경우,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1번째 subframe의 일부를 ECCA를 위해 reservation 하고, 2번째 subframe 부터 PDCCH 및 data 전송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FBE는 LBE에 비해서 비면허 대역을 공유하고 있는 주변 Wi-Fi 기기에게 적은 피해를 준다. 일반적으로 LBE가 FBE 보다 비면허 대역을 점유할 확률이 높기 때문에, Wi-Fi 기기가 비면허 대역을 점유할 기회를 더 많이 빼앗는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비면허 대역을 사용하더라도 신뢰성 있는 셀룰라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단말은 면허 대역에 대한 접속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단말은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면허 대역 및 비면허 대역을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은 음성 등 지연에 민감한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의 송신 시 면허대역을 사용하고,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의 송신 시 면허 대역을 사용하면서 추가로 비면허 대역을 기회적으로 사용함으로써, 가능한 데이터 전송률을 향상할 수 있다.
한편, LTE(Long Term Evolution)와 같은 기존 셀룰라 통신에서는 송수신 링크의 전송용량을 결정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절차를 필요로 한다. 먼저, 하향링크에서는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기준신호의 신호 품질을 단말이 측정하여 이를 기지국에게 보고한다. 여기서, 기지국의 기준신호는 기지국이 서비스 커버리지 내에 위치한 모든 단말에게 공통으로 전송되는 CRS(Common/Cell-specific Reference Signal), DRS(Discovery Reference Signal)이나 CSI-RS(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기지국이 특정 단말에게만 전송하는 DMRS(Dedicated/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등을 기준 신호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이 주기적으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기지국에게 채널 품질을 CQI(Channel Quality Indicator)로 보고하도록 기지국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단말은 주기적인 보고를 위해서 상향링크 제어채널을 이용하고, 비주기적인 보고를 위해서 상향링크 데이터채널을 이용한다. 기지국은 단말이 보고한 CQI를 기반으로 물리채널 자원블록을 어느 단말에게 할당할지 결정하는 스케줄링 과정을 수행하고, 그 결과에 따라 단말 별 할당정보를 알려준다. 이때, 할당정보는 예를 들어, PDCCH를 통해서 단말의 C-RNTI(Cell-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또는 M(MBMS: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RNTI로 스크램블한 제어신호로 알려지며, 이를 수신한 단말은 제어신호에서 알려준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에서 할당된 물리채널 자원블록을 수신한다. 한편 상향링크에서는 기지국이 단말의 기준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측정하여 신호품질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단말의 기준신호는 예를 들어, 기지국이 특정 단말에게 주기적(2~320ms)으로 할당해주는 SRS (Sounding Reference Signal) 을 사용할 수 있다. 현재 규격과는 다르지만, 다른 실시 예로, 공유대역에서의 동작을 위해 단말의 상향링크 데이터 송신 시 함께 송신하는 DMRS (DeModulation Reference Signal)를 단말의 기준 신호로의 사용도 고려할 수 있다. 기지국은 단말이 송신한 단말의 기준신호를 측정하여 얻은 CQI를 기반으로 물리채널 자원블록을 어느 단말에게 할당할지 결정하는 스케줄링 과정을 수행하고, 그 결과에 따라 단말 별 할당정보를 알려준다. 할당정보는 PDCCH을 통해 단말의 C-RNTI 또는 M-RNTI로 스크램블한 제어신호로 알려지며, 이를 수신한 단말은 제어신호에서 알려준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에서 할당된 물리채널 자원블록을 송신한다. 본 개시의 자세한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몇 가지 용어들에 대해 해석 가능한 의미의 예를 제시한다. 하지만, 아래 제시하는 해석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이하, 명세서에서 기지국(BS: Base Station)은 단말과 통신하는 일 주체로서, BS, BTS(base transceiver station), NodeB(NB), eNodB(eNB), AP(Access Point),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본 개시는 일 예로, 주 기지국과 보조 기지국으로 구성된 혼합형(Heterogenous)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설명하며, 이에 따라, 주 기지국은 Macro BS, PCell(primary cell), 등으로 지칭될 수 있으며, 보조 기지국은 Small BS, SCell(secondary cell)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그러나, 본 개시는 다른 네트워크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하, 명세서에서 단말(User Equipment)은 기지국과 통신하는 일 주체로서, UE, 디바이스(device), 이동국(Mobile Station; MS), 이동장비(Mobile Equipment; ME), 터미널(terminal)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혼합형 네트워크에서 단말은 트래픽의 특성에 따라 통신하는 기지국을 구분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단말은 주요 시스템 정보 및 제어신호 송수신, 음성과 같이 이동성에 민감한 트래픽에 대해 PCell과 통신을 한다. 그리고, 단말은 데이터와 같이 순시적인 전송량이 중요한 트래픽에 대해 SCell과 통신을 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는 SCell이 공유대역으로 설정되어 있음을 가정한다. 이러한 형태의 셀룰라(cellular) 통신 시스템의 예시로는 LTE LAA(License-assisted Access) 표준을 들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공유대역을 추가로 사용하는 단말을 LAA 단말로 지칭하고, 기존 면허대역만 사용하는 단말을 LTE 단말로 지칭할 것이다. 기지국의 서비스 영역 내에 있는 단말은 RRC(Radio Resource Control) IDLE 상태 또는 RRC CONNECTED 상태에 있다.
- RRC IDLE: 기지국 (또는 셀(Cell))을 선택하고, Paging Channel을 주시(Monitor)하고, 시스템 정보(SI: System Information)을 획득하지만, 기지국과 데이터를 주고 받지는 않는 상태이다.
- RRC CONNECTED: 제어 채널(Control Channel)을 주시하고 데이터 채널(Data Channel)을 통해 기지국과 데이터를 주고 받는 상태이다. 기지국의 스케줄링을 돕도록 기지국과 주변 기지국의 여러 측정 결과들을 보고하는 상태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는 기지국이 측정 결과에 따라 반-동적으로 단말을 제어하거나 발동 조건(triggering condition)에 따라 동적으로 제어하는, 공존을 위한 자원접속 방법을 제안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공유 대역을 위한자원접속 방법에는 반-동적이거나 동적인 제어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반-동적인 제어 방법은 기지국이 직접 측정하거나 또는 단말의 측정에 대한 보고를 기반으로 자원접속과 관련한 변수를 조정하는 것이다. 동적인 제어 방법은 자원접속 및 송수신 동작에서 얻어진 결과를 발동 조건으로 하여 자원접속과 관련한 변수를 조정하는 것이다.
비면허 대역에서는 자원 접속 방법 중 하나인 기하 급수적 백오프(Exponential Back-off)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기하급수적 백오프 알고리즘은 보통 하나의 송신 디바이스와 하나의 수신 디바이스 사이에 이루어진다. 송신 디바이스는 초기 CCA (Initial CCA)를 예를 들어, 20 us동안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초기 CCA을 수행하여 측정한 에너지량을 CCA 문턱값(CCA threshold)과 비교하여 현재 비면허 대역의 점유 여부를 결정한다. 만약, 측정한 에너지량(dBm 단위)이 CCA 문턱값 이상이면, 송신 디바이스는 채널이 점유되어 있다(이하, ‘Busy 상태’라 칭함)고 판정한다. 만약, 측정한 에너지량이 상기 CCA 문턱값 미만이면, 현재 비면허 대역이 비어있다(이하, ‘Idle 상태’라 칭함)고 판정한다. 그리고, 송신 디바이스는 해당 채널이 idle 상태이면, 초기 CCA 구간 이후 바로 송신을 수행한다. 만약, 상기 채널이busy 상태이면, 상기 송신 디바이스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ECCA 절차로 전환한다. 예를 들어, ECCA가 N번의 CCA들로 구성되는 경우를 가정하자. 여기서, N과 q는 이전 설명과 동일하게 정의된다. 이때,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송신 디바이스는q의 값을 상황에 따라 조정하여 무선랜과의 공존을 지원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q 값의 범위는 최소 q(min_q)에서 최대 q(max_q)사이로 결정되고, q값이 상기 범위 내에서 제어될 수 있다. 송신 디바이스가 ECCA를 처음 수행할 경우, min_q로 시작한다. 그리고, 송신 디바이스는 q의 값을 min_q로부터 특정 조건에 따라 예를 들어, 두 배씩 늘릴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무선랜 시스템에서는 수신 디바이스가 송신 디바이스가 송신한 신호에 대해 수신 실패한 경우, 상기 송신한 신호에 대한 ACK(Acknowledge)을 발송하지 않는다. 그러면, 송신 디바이스는 상기 송신한 신호에 대한 수신 디바이스의 수신이 NACK(No Acknowledge)인 것으로 받아들이고, 다음 ECCA 절차에서 사용할 q 값을 min_q의 2배로 설정할 수 있다. 수신 디바이스가 상기 송신한 신호에 대한 수신에 성공하여 전송한 ACK를 수신한 경우, 송신 디바이스는 다음 ECCA 절차에서 사용할 q 값을 다시 초기값인 min_q 값으로 설정한다. 시스템에 따라 무선랜의 기하급수적 백오프 알고리즘과 다른 형태의 알고리즘이 존재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기하급수적 백오프 알고리즘은 4가지 부분 즉, q값 증가를 위한 발동조건과 증가 방법, q값 감소를 위한 발동조건과 감소 방법으로 구성되고, 각 방법은 실시 예에 따라 다양하게 시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증가방법의 경우, 예를 들어, 두 배씩 늘리거나, 하나씩 늘리거나 최대치로 늘리거나 특정 범위에서 임의로 정하는 경우 등이 가능하다. 감소방법의 경우, 예를 들어, 1/2 배씩 줄이거나, 하나씩 줄이거나, 최소치로 줄이거나 특정 범위에서 임의로 정하는 경우가 가능하다. q값 증가를 위한 발동조건은 일반적으로 송신 디바이스가 수신 디바이스에게 송신한 신호에 대한 ACK을 일정시간 동안 수신하지 못하거나, NACK을 직접 수신하는 경우이다. q값 감소를 위한 발동조건은 일반적으로 송신 디바이스가 수신 디바이스에게 송신한 신호에 대한ACK을 수신하는 경우이다. 설명의 편의상, 본 개시에서는 일 예로, LTE와 같은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반 셀룰라 통신을 고려하여 발동조건에 대한 논의를 전개하고자 한다.
[Exponential Back-off 동작을 위한 발동 조건과 절차]
일빈적으로, OFDMA 기반 셀룰라 통신은 한 단위 시간에 복수의 사용자들에 대한 자원할당이 가능하다. 또한, 하향링크와 상향링크가 분리되어 있어 피드백을 위해서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기존 무선랜의 경우, 송신 디바이스가 수신 디바이스의 ACK/NACK 피드백을 수신함에 따라 q값의 증가 또는 감소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은 기하급수적 백오프 알고리즘에서 동일한 백오프 카운터를 선택한 송신 디바이스 간 수신 오류가 발생하였을 때, 다음 백오프 카운터 선택할 때 송신 충돌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계되었다. 무선랜은 MU-MIMO(Multi-User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와 같은 안테나 기반 다중사용자 전송 기법을 제외하고는, 기본적으로 한 시간 자원을 하나의 단말에게 할당한다. 또한, 송신 디바이스는 송신 전 LBT(Listen before Talk)를 수행하므로, 간섭이 어느 정도 배제되어 수신 성능이 보장되므로, 동일한 백오프 카운터를 선택한 경우에 높은 확률로 수신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반해, OFDMA 기반 셀룰라 통신에서는 한 기지국의 송신 신호가 항상 이웃 기지국의 송신 신호와 겹칠 수 있다고 가정하고 설계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uqest) 와 같은 물리계층 재전송 기술을 이용하여 오류를 보상함으로써 높은 성능을 보장할 수 있다. 따라서 OFDMA 기반 셀룰라 통신에서 전송 오류는 이웃 기지국이 동일한 백오프 카운터를 선택하지 않더라도 발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는 수신 디바이스 관점의 발동조건과, 송신 디바이스 관점의 발동조건 및 송수신 디바이스 관점의 발동조건의 조합을 제안한다.
1. 수신 디바이스 관점의 발동조건
기존 무선랜 시스템에서 q값을 증가하기 위한 발동조건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송신 디바이스가 수신 디바이스에게 전송한 신호에 대한 ACK를 일정 시간 동안 수신하지 않은 경우, 즉 NACK 상황임을 인지한 때이다. 유의할 점은 무선랜에서의 ACK/NACK은 ARQ(Automatic Repeat-reQuest) 프로세스에 대한 것이다. 셀룰라 통신에서 ARQ는 RLC (Radio Link Control) 계층에서, HARQ는 MAC(Medium Access Control) 계층에서 동작한다. RLC 계층에서 ARQ에 대한 ACK/NACK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MAC 계층에서 여러 번 전송된 MAC PDU(Protocol Data Unit)들이 수신 디바이스에서 합쳐지어 RLC PDU를 복원함으로써 알 수 있다. 하지만 ARQ 계층에서의 NACK을 보고받아 이를 기반으로, q의 발동 조건으로 결정하기까지 송신 디바이스에서는 긴 지연시간이 필요하고, LBT 동작에서의 충돌에 대한 정확한 반응을 얻기 어렵다. 따라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는 수신 디바이스 관점에서의 발동조건으로, ARQ를 대체하여, HARQ매 전송에 대해 수신 디바이스로부터 NACK 피드백을 수신한 경우, 또는, 미리 결정된 N 번째 NACK 피드백을 수신한 경우, 또는, 최대 횟수만큼 재전송한 후에도 NACK피드백을 수신한 경우 등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OFDMA 기반 셀룰라 시스템에서 하나의 ECCA를 수행하여 해당 채널이 Idle 상태임을 확인하여 복수개의 단말들이 할당된 경우, 수신 디바이스 관점의 발동조건에 대한 판단 기준을 정하기가 모호하다. 예를 들어, 하향링크 서브프레임에 10개의 단말들이 할당되었고, 이 중 1개의 단말에서만 수신 실패가 발생하였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오류가 발생한 단말이 NACK피드백을 보고할 것이다. 이에 따라, 기지국이 바로 q 값을 증가할 것인지, NACK피드백을 보고한 단말의 송신시점에만 q 값을 증가할 것인지 등에 대한 절차가 정해져야 한다. 예를 들어, N개의 단말들 중 M개의 단말이 NACK 피드백을 보고한 경우를 가정하자. 이 경우,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q 값을 증가하기 위한 다양한 발동조건이 설정될 수 있다. a) M>0인 경우 발동, b) M>N*C (0<C<1), c) (N-M)*i + M*(1-i) > N*C (0<C<1), d) M==N 인 경우 발동, 등이 그 예시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이 송신한 다운링크(DL: downlink) burst 중 첫 번째 DL subframe에 대한 HARQ ACK 피드백 중 80% (즉, 상기 b) 조건에서 C=0.8 인 경우)가 NACK이면, q 값을 증가하기 위한 발동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발동조건들은 무선랜에서 기하급수적 백오프 알고리즘이 각 트래픽 링크마다 분산적으로 수행되는 것에 비해, ACK/NACK피드백에 의한 백오프 동작 파라미터 변경이 모든 기지국의 송신에 적용되므로, 트래픽 별 관리가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이 q 값을 제어하는 동작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기지국이 q값을 초기값8로 ECCA를 수행하고, LBT 성공 이후 채널을 점유하여 점유 채널을 단말1과 단말 2를 동시에 할당한 경우를 가정하자. 그리고, 기지국이 상기 점유 채널을 통해서 단말 1 및 2에게 데이터를 송신한 경우를 가정하자. 이 경우, 참조 번호 200에서와 같이 단말 1은 상기 데이터의 수신에 성공하고, 참조 번호 202에서와 같이 상기 단말2는 상기 데이터의 수신이 실패한 상황을 보여준다. 그러면, 기지국은 단말 2로부터 NACK를 보고받았으므로, q 값을 일 예로, 두 배인 “16”으로 조정하여 ECCA를 수행한다. 이후, 기지국은 LBT 성공으로 채널을 점유하여 단말 1에게만 현재 점유 채널을 할당하고, 상기 단말 1에게 데이터를 할당한 경우를 가정하자. 참조 번호 204에서 단말 1은 상기 점유 채널을 통해서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신호에 수신 성공하고, 이에 대해 ACK를 기지국에게 보고한다. 그러면, 기지국은 q 값을 초기값 8로 되돌리고 ECCA를 수행한다. 이어 기지국은 ECCA에서 LBT 성공을 하여 단말 2에게만 점유 채널을 할당하고, 상기 점유 채널을 통해서 데이터를 송신한다. 그러면, 참조번호 206에서 상기 단말2는 상기 데이터의 수신에 성공하여 기지국에게 ACK를 전송한다. 이상의 동작을 보면, 단말 2는 참조 번호 202에서 이전 수신을 실패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다음 송신에서 여전히 q 초기값을 사용하여 ECCA를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은 하향링크보다 상향링크에서 규제요구사항을 만족하지 못하는 문제를 야기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은 하나의 트래픽 링크에 대한 ACK/NACK 피드백을 별도로 관리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하향링크에서 기지국이 단말 별 ECCA를 위한 q 값을 제어하는 동작의 일 예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설명의 편의상 기지국과 단말 1간의 데이터 통신 링크를 트래픽 링크 1라 정의하고, 기지국과 단말 2간의 데이터 통신 링크를 트래픽 링크 2라 정의하자. 도 2와 마찬가지로, 기지국은 초기 q 값을 ‘8’로 설정하여 ECCA를 수행하고, LBT에 성공하여 점유한 채널을 단말 1 및 단말 2 각각에게 할당한 경우를 가정하자. 그리고, 상기 점유 채널을 통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단말 1 및 단말2에게 데이터를 송신한다. 이 경우, 참조번호 300에서 단말1은 n번째 서브프레임을 통해서 기지국에게 상기 데이터에 대한 ACK 피드백을 전송하고, 참조번호 302에서 상기 단말 2는 상기 데이터에 대한 NACK을 피드백한 경우를 가정하자. 그러면, 기지국은 ACK 피드백을 수신한 트래픽 링크 1에 대해서는 q값을 감소시킬 수 있다. 여기서, q값의 최소값이 8이므로, 기지국은 초기 q 값을 유지한다. 그리고, 기지국은 NACK 피드백을 수신한 트래픽 링크 2에 대해서는 q값을 증가시킨다. 도 3은 일 예로, q 값을 16으로 증가시킨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이후, 기지국은 다음 n+j번째 서브프레임에서 단말 1을 할당하고자 할 때, 상기 초기 값으로 유지된 q 값을 사용하여 ECCA 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기지국은 다음 n+k 번째 서브프레임에서 수신단말 2를 할당하고자 할 때, 증가한 q 값 16을 사용하여 ECCA 동작을 수행한다. 도 3의 실시 예에서와 같이 트래픽 링크 별로 q값을 제어하는 동작은 하향링크뿐만 아니라 상향링크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다. 상기 트래픽 링크란, ACK/NACK에 의해 q 값을 제어하는 절차가 한정적으로 적용되는, 연속적인 송신 프로세스를 구분하여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이 우선 순위가 다른 2 개의 트래픽 링크를 운용하는 경우, q 값의 증가/감소 조건 및 burst의 길이 등이 트래픽 링크 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상향링크에서 기지국이 단말 별 ECCA를 위한 q값을 제어하는 동작의 일 예이다. 도 4 역시, 기지국은 단말 1 및 단말 2 각각과 설정된 트래픽 링크 1 및 2에 대해 초기 q 값을 8로 설정하여 각 단말에게 전달한 경우를 가정하자. 그러면, 상기 단말 1 및 단말 2 각각은 ECCA를 수행하고, LBT에 성공하여 기지국에게 데이터를 송신한다. 참조 번호 400에서 기지국은 상기 단말1이 송신한 데이터 수신에 성공한 경우, 상기 단말 1의 q 값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상기 단말 1의 q 값은 현재 최소값인 8이므로, 기지국은 현재 q값을 유지하고, 이를 상기 단말1에게 알려준다. 참조번호 402에서 기지국은 상기 단말2가 송신한 데이터 수신에 실패한 경우, 상기 단말2의 q 값을 16으로 증가시키고, 상기 단말2에게 알려준다. 이후, 상기 단말 2는 상기 증가된 q값에 대응하게 ECCA를 수행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특정 시점(서브프레임 또는 UL burst 구간 내)에서 복수의 단말들을 할당하고자 할 경우, 기지국은 스케줄링 동작을 수행하여 할당할 단말들을 결정하고, 스케줄링 하려는 단말의 트래픽 링크 별 저장된 q 값들을 기반으로 복수의 단말들 중 대표 q 값을 결정할 수 있다. LBT 동작에 앞서 스케줄링 동작은 하나 또는 복수의 서브프레임에 대해 미리 수행하고, 하나 또는 복수의 서브프레임 구간 동안 할당할 단말에 상응하는 트래픽 링크 별 저장된 q 값들을 기반으로 할당할 단말들의 대표 q 값을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하나의 서브프레임 또는 하나의 UL burst(연속된 UL 서브프레임의 묶음)에 대한 대표 q 값은 복수 단말들의 트래픽 링크 별 q 값의 최대값, 평균값, 가중치값, 최소값 중 하나로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실시 예에 따라, 대표 q 값은 복수 단말들의 트래픽 링크 중 가장 우선순위가 낮은 트래픽 링크의 q 값을 사용할 수 있다. 한 단말이 복수의 트래픽 링크를 설정한 경우에는, 상기 단말의 대표 q 값은 그 단말에 대해 운영 중인 복수의 트래픽 링크 별 q 값의 최대값, 평균값, 가중치값, 최소값 중 하나로 선택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한 단말의 대표 q 값은 가장 우선순위가 낮은 트래픽 링크의 q 값을 사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는 복수의 트래픽 링크들에 대한 대표 q값을 설정시 적용 가능한 2가지 옵션을 제안한다.
Option1: 기지국이 각 단말 별 q 값을 제어하는 경우이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은 송신한 데이터에 대해 단말로부터 수신한 HARQ ACK/NACK 피드백 결과에 따라 각 단말 별 다음 송신에서의 q 값을 설정하고, 설정된 q값을 단말 별 제어 신호 형태로 해당 단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 별 제어 신호는 grant, PDCCH내 DCI(Downlink Control Indicator)와 같은 L1 신호이거나, MAC CE(Control Element) 또는 RRC 메시지 등일 수 있다.
Option2: 기지국이 모든 UL 단말들에 대한 하나의 q 값을 사용하여 제어하는 경우이다. 기지국은 하나의 UL burst 내의 모든 또는 특정 서브프레임에 스케줄링된 모든 단말들의 HARQ ACK/NACK 피드백 결과에 따라 모든 단말들의 대표 q값을 설정하고, 설정된 다음 송신에서의 q값을 단말들에게 제어 신호로 알려준다. 상기 HARQ ACK/NACK 결과란, 실시 예에 따라 상기 대상이 되는 HARQ ACK/NACK 정보 중에서 기지국이 설정하는 X% 이상의 NACK 피드백이 발생한 경우를 지칭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신호는 복수의 단말에게 동일한 정보이므로, PDCCH내 Common DCI이거나, 또는 SIB 메시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Option2는 서로 다른 congestion 환경에 있는 단말을 묶어서 동일하게 제어하므로, 임의의 단말에게는 시간적인 손실이 발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트래픽들을 multiplexing 하는 경우의 좀 더 상세한 동작을 하기 서술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이 특정 구간 내(서브프레임, burst, 또는 RRC로 설정하는 긴 주기 등)에서 서로 다른 priority 중 가장 낮은 priority를 가지는 트래픽의 q를 대표 q값으로 설정할 경우, 기지국은 단말에게 설정한 우선순위의 트래픽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단말이 실제로 보낼 지에 대해 신뢰할 수 없다. 예를 들어, 기지국이 특정 burst 송신에 대해 높은 순위의 트래픽을 부여하고, 그에 따라 작은 q 값, 즉 back-off window 크기를 설정하였는데, 단말이 기지국이 설정한 우선순위가 아닌 낮은 순위의 트래픽을 전송할 경우, 기지국은 해당 트래픽의 우선순위를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따라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는 기지국이 알고 있는 정보를 기반으로, 트래픽과 해당하는 LBT 접속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는 단말의 LBT priority를 결정하기 위한 두 가지 옵션을 제안한다.
Option1: 기지국이 일 예로, 해당 단말과의 EPS(Evolved Packet System) bearer 또는 SDF (Service Data Flow)의 QCI(QoS Class Identifier) mapping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의 LBT priority를 결정할 수 있다.
Option2: 단말의 상위계층에서 EPS bearer 또는 SDF의 QCI mapping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priority를 결정하고, PUCCH 또는 PUSCH을 통해서 상기 결정한 단말의 priority를 기지국에 보고할 수 있다.
[ACK/NACK 외 방법으로 q값 제어하기]
셀룰라 통신에서 수신측의 ACK/NACK 피드백을 기반으로 q값을 증가/감소하기 위한 발동조건을 결정함에 있어서, ACK/NACK을 피드백 받기까지의 시간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의 신호 수신에 대해 NACK피드백이 발생할 경우, 송신 디바이스인 기지국은 실제 수신 실패 후 미리 결정된 시간 예를 들어, 최소 4 ms 후에 단말의 피드백을 수신함에 따라 알 수 있다. 만약, 이전 ECCA 성공 이후, 기지국이 연속적인 서브프레임의 마지막 서브프레임에서 전송 실패한 경우, 규제요구사항을 준수하려면 4 ms 동안 송신을 수행할 수 없게 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ACK/NACK외 다른 측정 수치로써, CCA 성공 이후 전송 구간 중에 송신 디바이스가 수신 디바이스로부터 받은 CSI(Channel State Indication) 피드백을 기반으로 q 값을 제어할 수도 있다. 수신 디바이스의 CSI 피드백은 최소 2 ms 걸리게 되므로, ACK/NACK 피드백의 최소 4 ms보다 빠른 장점이 있다.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이 하나의 단말에 대해 마지막으로 측정한 CSI 값을 기준으로, 더 열악한 CSI 값이 전송 구간 중에 수신되는 경우를 발동 조건으로 할 수 있다. 또는, 실시 예에 따라 전송구간 중 미리 결정된 시구간 예를 들어, n 번째와 n+1번째 CSI-RS에 대해 측정한 CSI 피드백을 기준으로, n+1번째 CSI-RS에 대한 CSI 피드백이 더 열악한 경우를 발동 조건으로 할 수 있다. 또는, 실시 예에 따라 CCA 성공 이후 채널을 점유하기 위해 보내는 초기 신호(initial signal)에 초기 CSI-RS를 실어 보내고, 초기 CSI-RS에 비해 전송 구간 내 CSI-RS에 대한 CSI 피드백이 더 열악한 경우를 발동 조건으로 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특정 시점에서의 채널 점유 여부를 발동 조건으로 하여 q 값 제어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이 채널을 점유한 전송 구간 동안에 채널 점유 여부를 측정할 수 있는 시간 슬롯을 할당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이 Common 제어 신호를 통해서 전체 단말들에게 또는 Dedicated 제어 신호로 개별 단말에게 측정용 시간 슬롯을 지시하는 정보를 전달한다. 이후, 기지국은 해당 측정용 시간 슬롯을 통해서 수신되는 수신 전력 세기의 합을 통해서 채널이 점유되었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기지국은 상기 측정용 시간 슬롯을 통해서 수신되는 신호들 중 동일 사업자의 신호 성분을 제거한 수신 전력 세기의 합으로 채널이 점유되었는 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동일 사업자의 동기가 같은 이웃 기지국은 상기 기지국의 측정용 시간 슬롯에 아무 신호도 보내지 않는다. 반면, 기지국은 측정용 시간 슬롯에서 기지국 정보(예를 들어, PLMN: Public Land Mobile Network ID), 또는 이에 준하는 요약 정보를 특정 신호에 실어서 보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채널을 측정하는 단말의 동작은 물리계층(L1)에서 하나 또는 적은 수의 샘플을 바탕으로 결정하거나, L3 계층에서 L1의 샘플링 결과를 기반으로 필터링 된 값을 바탕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만, 복수의 샘플 값을 필터링 함에 있어서 서로 다른 측정 조건에 해당하는 샘플을 구분하여 필터링해야 한다. 예를 들어, 기지국이 자원을 점유하지 않은 구간에 측정한 조건과 기지국이 자원을 점유하되 점유 구간 중간에 제공한 짧은 길이의 측정용 시간구간에서 측정한 조건이 구분되어야 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측정용 시간 슬롯에서 단말의 CCA 측정에 의한 충돌 감지 동작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기지국 1 및 기지국 2 각각이 동일 사업자(PLMN1)의 기지국이며, 단말 1이 기지국 1의 서비스 영역에 위치한 경우를 가정하자. 그리고, 일 예로, 기지국 1이 단말 1에게 제어 정보를 통해서 알려준 측정용 시간 슬롯이 1프레임 duration 내에서 2 및 4번 슬롯인 경우를 가정하자. 이 경우, 단말이 상기 측정용 시간 슬롯 2 및 4에서 WLAN과의 충돌을 검출하여 채널이 점유되었다고 판단하면, 상기 시간 측정용 시간 슬롯 2 및 4에서 채널이 점유되었음을 기지국에게 보고한다. 그러면, 기지국은 상기 보고를 발동조건으로 q값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5의 실시 예에서는 일 예로서, DL burst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UL burst의 경우에도 마찬가지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다만 UL burst의 경우 단말이 시간 측정용 시간 슬롯에서 채널 점유 여부를 기지국에게 보고하는 대신, 기지국이 해당 시간 측정용 시간 슬롯에서 에너지 센싱 등을 수행하여 채널 점유를 확인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은 서로 다른 시점의 CCA 측정 결과를 비교하여 채널의 점유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서로 다른 시점의 CCA 측정 결과를 비교하여 채널 점유 여부를 판단하는 경우의 동작 예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600단계에서 기지국 2의 서비스 영역에 위치한 단말 1은 전송 구간에 진입하기 전의 CCA 측정 결과(측정치 1)와 기지국으로부터 획득한 측정 시간 슬롯에서 측정한 결과(측정치2)를 비교한다. 상기 비교 결과, 측정 시간 슬롯에서 측정한 상기 측정치2에 대응하는 수신전력/에너지값이 상기 측정치 1에 대응하는 수신전력/에너지보다 크면, 무선랜 또는 다른 사업자의 신호가 전송 구간 진입 이후에 발생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에, 602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채널 점유를 인지하고, 604단계에서 기지국1에게 q의 증가 조건임을 보고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측정치 2에 대응하는 수신전력/에너지값이 상기 측정치 1에 대응하는 수신전력/에너지보다 작거나 같으면, 606단계에서 상기 단말은 상기 기지국1에게 q이 감소 조건임을 보고할 수 있다.
또는,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은 하나의 측정 시간 슬롯과 다음 측정 시간 슬롯에서의 CCA 측정 결과를 비교하여 다음 측정 시간 슬롯에서 더 큰 수신전력/에너지값이 얻어지면 무선랜 또는 다른 사업자의 신호가 두 측정 시간 슬롯 사이에 발생하였음을 알 수 있다. 단말은 이러한 차이가 발생함을 발동 조건으로 하여 기지국에게 보고할 수 있다. 특정 시점에서의 채널 점유 여부를 발동 조건으로 하는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전송 구간이 끝난 직후 일정 시간 동안의 수신전력/에너지 값을 근거로 판단 할 수 있다. 송신 디바이스가 무선랜이나 다른 사업자 디바이스와 동일한 시간에 송신을 수행하다가 마치게 되면, 동일 사업자 디바이스 간에는 미리 정해진 전송 구간의 종료 시점이 정해져 있을 수 있다. 즉, 전송 구간이 종료된 후 해당 디바이스가 일정 시간 동안 아무것도 하지 않는 연기(defer) 구간을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연기 구간은 보통 무선랜을 보호하기 위하여 그 구간의 길이를 기지국이 설정하거나 미리 정할 수 있다. 무선랜 규격에서도 유사하게 다른 사용자의 ACK 수신을 보호하기 위해DIFS(DCF Interframe Space) 라는 구간을 정의하였다. 일 예로, 5GHz을 사용하는 무선랜 규격에서는 34 usec로 정의하고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이 연기 구간을 40 usec로 설정하고, 이 구간 동안에 수신 디바이스가 에너지 탐지를 수행하는 경우를 가정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연기 구간에서 단말이 채널 점유를 검출하는 동작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말1은 기지국2의 서비스 영역에 위치하고, 기지국 1의 1프레임 구간 동안 시간 슬롯 5에서 단말이 채널 점유가 발생함을 감지한 경우를 가정하자. 이 경우, 상기 단말1은 기지국2의 연기 구간(700)에서 에너지 탐지를 수행한다. 그리고(하향링크의 경우), 상기 연기 구간(700) 동안 측정한 에너지의 평균값 또는 최대값과 같은 대표값을 구하여 특정 문턱값 비교한다. 상기 대표값이 상기 특정 문턱값보다 높으면, 상기 단말1은 기지국2에게 채널 점유가 발생함을 보고한다. 이를 수신한 기지국2는 다음 CCA를 위한 q 값을 증가시킨다. 마찬가지로, 상향링크의 경우, 기지국이 자신의 연기 구간에서 측정한 에너지의 평균값 또는 최대값과 같은 대표값을 구하여 특정 문턱값 비교한다. 그리고, 비교 결과, 상기 대표값이 상기 특정 문턱값보다 높으면, 직접 다음 CCA를 위한 q 값을 증가한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서는, ECCA 동작을 구성하는 CCA의 총 횟수인 N을 결정하기 위해서, N을 [1, q] 사이에서 임의의 값으로 선택하지 않고, [r, q] 사이에서 임의로 선택할 수도 있다. 여기서, r은 무선랜 사용자를 배려하기 위해 CCA 윈도우의 최소값을 상향한 값이다. 또한, q와 마찬가지로 r의 조정을 위한 발동조건 역시 추가로 고려될 수 있다.
2. 송신 디바이스 관점의 발동조건
송신 디바이스가 송신한 데이터에 대한 수신 디바이스의 ACK/NACK 피드백을 기반으로 q 값을 증가/감소하는 수신 디바이스 관점에서의 발동 조건 결정에 대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는 송신 디바이스 관점에서 측정한 결과에 기반한 q값의 발동조건을 고려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송신 디바이스 관점에서 측정한 결과는, 주로 CCA 동작과 관련한 측정 결과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 CCA의 성공/실패 여부, 복수 개 CCA의 연속적인 성공/실패 여부, CCA의 성공/실패 빈도수, CCA중 freezing 상태로 전환한 횟수 또는 빈도, 특정 시점에서의 채널 점유 여부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송신 디바이스 관점에서 측정한 결과를 기반으로 q 값의 발동 조건을 결정하면, 복수 수신 디바이스들에서의ACK/NACK 피드백을 송신 디바이스로 연결하는 모호함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동적인 백오프 카운터 제어가 가능하다. 동일한 사업자 기지국의 사이에는 일정한 거리를 두고 설치가 될 것이므로, 무선랜과 같이 매 NACK피드백을 수신할 때마다, q 값을 증가할 필요가 없다는 것도 송신 디바이스 관점으로 접근하는 하나의 이유가 된다. 셀룰라 통신은 기본적으로 동시전송을 권장하는 시스템이므로 q 값의 증가는 오히려 이러한 셀룰라 통신의 철학에 반한다. 그러므로, q 값의 증가는 무선랜 신호를 일정 문턱값 이상으로 감지했을 때에만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측면에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는 동일한 사업자 기지국의 신호를 탐지하는 기능이 주요하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기지국이 CCA 수행 중 동일한 사업자 기지국의 신호를 탐지하면, 상기 신호 성분의 전력/에너지를 측정하여 전체 신호 성분의 전력/에너지 합에서 제한다. 동일한 사업자 기지국의 신호 성분을 제거하였음에도 특정 CCA 문턱값 이상으로 전력이 수신된다면, 인접한 무선랜 디바이스 또는 다른 사업자의 기지국이 신호를 송신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또는, 무선랜의 프리앰블과 같은 기준신호를 직접 탐지하여 감지할 수 도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는 이러한 상황 감지를 발동 조건으로 하여, 공존을 위해 q 값을 증가하여 다음 CCA 수행 시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동일한 사업자 기지국 신호 성분을 제거한 에너지 탐지(ED: Energy Detection)를 CCA에서 수행한 결과에 대해, 또는 무선랜 신호를 탐지한 결과에 대해, 매 CCA의 성공/실패 여부, 복수 개 CCA의 연속적인 성공/실패 여부, CCA의 성공/실패 빈도, CCA중 freezing 상태로 전환한 횟수 또는 빈도,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여 발동 조건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동일한 사업자 기지국의 신호 성분을 제거하는 대신에, 동일한 사업자 기지국의 신호를 탐지하거나 무선랜 신호를 탐지하지 않으면 , CCA 문턱값을 상향하여 공격적인(aggressive) 송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CCA 문턱값의 상향으로 인해서, 무선랜 디바이스의 통신 시 피해를 볼 수도 있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는, 무선랜을 배려하기 위해 낮은 값으로 설정한 기본 CCA 문턱값을 초과하여 수신하는 경우가 있는지를 측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다음에 사용할 q값을 증가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공격적인 송신을 위해 CCA 문턱값을 상향한 경우를 고-CCA(High level CCA), 기본 CCA 문턱값을 사용하는 경우를 저-CCA(Low level CCA)라고 칭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는, 고-CCA를 통해서 채널 점유 여부를 판단함에 따라 기지국이 전송을 수행하고, 저-CCA 성공/실패 여부에 따라 q값 제어한다. 실시 예에 따라, 매 저-CCA의 성공/실패 여부, 복수 개 저-CCA의 연속적인 성공/실패 여부, 저-CCA의 성공/실패 빈도, 저-CCA중 freezing 상태로 전환한 횟수 또는 빈도,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여 발동 조건으로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은 특정 시점에서의 채널 점유 여부를 발동 조건으로 하여 q 값 제어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이 채널을 점유한 전송 구간 동안에 채널 점유 여부를 측정할 수 있는 측정용 시간 슬롯을 할당할 수 있다. 기지국은 이웃 기지국들과 측정용 시간 슬롯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사전에 공유하고, 측정용 시간 슬롯의 위치에서 측정한 결과에 따라 채널이 점유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이 측정용 시간 슬롯에서 채널의 점유 여부를 검출하는 동작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일 예로, 기지국 1은 1프레임 구간에서 시간 슬롯 2 및 시간슬롯 4를 측정용 시간 슬롯으로 할당하여 이웃 기지국 2와 측정용 시간 슬롯의 위치 정보를 공유하고 있는 상태를 가정하자. 그러면, 기지국1은 측정용 시간 슬롯 2 및 4에서 수신되는 수신 전력 세기의 합으로 채널 점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는, 기지국1은 상기 측정용 시간 슬롯 2 및 4에서 동일 사업자의 신호 성분을 수신한 경우, 상기 측정용 시간 슬롯 2 및 4에서 수신된 신호들 중 상기 동일 사업자의 신호 성분을 제거한 수신 전력 세기의 합으로 채널 점유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동일 사업자의 동기가 같은 이웃 기지국 일 예로, 상기 기지국 2의 경우 상기 기지국 1을 통해서 인지하고 있는 상기 측정용 시간 슬롯 2 및 4에서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다. 그리고, 이웃 기지국은 상기 기지국 1의 측정용 시간 슬롯 2 및 4 외에 다른 측정용 시간 슬롯을 통해서 채널 점유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이웃 기지국의 측정용 시간 슬롯에서 탐지된 채널 점유 결과를 기반으로 채널 점유를 검출하는 동작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기지국 1의 이웃 기지국 2는 상기 기지국 1의 측정용 시간 슬롯 2 및 4와 상이한 측정용 시간 슬롯 즉, 슬롯 1 및 3이 할당된 경우이다. 이 경우에도, 기지국 1 및 기지국 2는 각각 자신의 측정용 시간 슬롯을 공유한다. 그리하여, 해당 기지국은 다른 기지국의 측정용 시간 슬롯에 신호를 전송하지 않는다. 도 9의 경우, 이웃 기지국 2가 자신의 측정용 시간 슬롯 1 및 3에서 신호를 탐지하여 채널 점유를 감지한 상황을 가정한다. 그리고, 이웃 기지국 2는 채널 점유를 감지한 결과를 기지국 1에게 해당 측정용 시간 슬롯 1 및 3에서 보고한다. 그러면, 상기 기지국 1은 상기 이웃 기지국 2의 채널 점유 감지 결과를 발동조건으로 하여 q값을 증가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 혹은 송신 디바이스는 서로 다른 시점의 CCA 측정 결과를 비교하여 q 값의 제어를 위한 발동 조건으로 결정할 수도 있다. 도 10a,b는 기지국이 서로 다른 시점에서의 CCA 측정 결과들을 이용하여 q 값의 제어에 대한 발동 조건을 결정하는 동작의 일 예이다.
도 10a,b를 참조하면, 1000단계에서 기지국은 예를 들어,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송 구간에 들어서기 전의 CCA 측정 결과(측정치 1)와 미리 할당된 측정 시간 슬롯2에서 측정한 결과(측정치2)를 비교한다.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측정 시간 슬롯2에서 측정한 수신전력/에너지값에 대응하는 측정치2가 상기 측정치 1보다 더 크면, 기지국은 무선랜 또는 다른 사업자의 신호가 전송 구간 진입 이후에 발생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러면, 기지국은 1002단계에서 채널 점유가 발생함을 검출하고, 1004단계에서q 값을 증가시킨다. 상기 비교 결과, 상기 측정치 2가 상기 측정치1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기지국은 1006단계에서 q 값을 감소시킨다. 또는,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은 하나의 측정 시간 슬롯과 다음 측정 시간 슬롯에서의 CCA 측정 결과를 비교하여 다음 측정 시간 슬롯에서 더 큰 수신전력/에너지값이 얻어지면, 무선랜 또는 다른 사업자의 신호가 두 측정 시간 슬롯 사이에 발생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기지국은 이를 근거로, 다음 전송 구간에서 q값을 증가시킨다.
특정 시점에서의 채널 점유 여부를 발동 조건으로 하는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은 전송 구간이 끝난 직후 일정 시간 동안의 수신전력/에너지 값을 근거로 q 값을 제어할 수 있다. 송신 디바이스가 무선랜이나 다른 사업자 디바이스와 동일한 시간에 송신을 수행하다가 마치게 되면, 동일 사업자 디바이스 간에는 미리 정해진 전송 구간의 끝이 정해져 있을 수 있다. 전송 구간이 끝난 직후 일정 시간 동안 아무것도 하지 않는 연기 구간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연기 구간은 보통 무선랜을 보호하기 위하여 그 구간의 길이를 기지국이 설정하거나 미리 정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연기 구간에서 기지국이 채널 점유를 검출하는 동작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기지국1 및 기지국 2 각각이 연기 구간을 40 usec로 설정하고, 이 구간 동안에 송신 디바이스가 에너지 탐지를 수행한 경우를 가정한다. 하향링크의 경우, 기지국2가 연기 구간(1100)에서 에너지 탐지를 수행하고, 상기 연기 구간(1100)에서 측정한 에너지의 평균값 또는 최대값 과 같은 대표값을 구하여 특정 문턱값보다 높으면 기지국이 직접 다음 CCA를 위한 q 값을 증가시킨다. 상향링크의 경우, 단말이 해당 연기 구간에서 에너지 탐지를 수행하고, 측정한 에너지의 평균값 또는 최대값과 같은 대표값을 구하여 특정 문턱값보다 높으면 채널 점유가 발생함을 인지하고, 이를 기지국에게 보고한다. 그러면, 기지국은 상기 보고를 수신함에 따라 다음 CCA를 위한 q 값을 증가시킨다.
3. 송신-수신 디바이스 관점의 발동조건 조합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송신 디바이스 관점에서 측정한 결과를 기반으로 q값을 제어하면, 복수의 수신 디바이스들에서의ACK/NACK 피드백을 하나의 송신 디바이스로 연결하는 모호함을 제거할 수 있다. 하지만, 송신 디바이스 관점에서 측정한 결과는 수신 디바이스에 대한 간섭 디바이스가 송신 디바이스의 측정 범위 밖에 위치할 경우, 충돌 상황을 정확히 알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는 송신 디바이스 관점의 발동조건과 수신 디바이스 관점의 발동조건을 함께 고려하여 q값을 제어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기지국으로부터 자원할당을 지시받은 상향링크 단말의 경우, 지시받은 시점에 대해 최소 4 ms 후에 전송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기지국은 미래의 시점에 단말이 CCA를 성공할 수 있을지를 미리 알기 어렵다. 따라서 기지국이 업링크 수신 시점에서 ACK/NACK 피드백을 확정할 수 없으므로, 단말이 사후에 CCA 성공 여부를 알려주어야 하는데 이는 또 다른 지연을 유발한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는 기지국이 업링크에 대한 ACK/NACK 피드백을 단말에게 피드백한다. 그러면, 단말은 CCA 성공 여부를 확인하여, 업링크에 대한 ACK/NACK 피드백 중 CCA가 성공했던 경우에 대한 ACK/NACK 피드백을 발동조건으로 삼아 q 값을 제어할 수 있다.
기타 문제
[상향링크에서의 동작]
공유/비면허 대역에서 동작하는 셀룰라 통신의 설계에 있어 어려운 부분은 상향링크에 대한 제어이다. 기본적으로 셀룰라 통신에서 단말은 측정한 결과를 기지국으로 보고할 수 있지만, 대부분의 제어 동작을 기지국이 수행하기 때문에, ECCA와 같은 동작을 단말에서 수행하면 기존 셀룰라 통신의 자원 할당 및 스케줄링 방식과 상충될 수 있다. 하지만 기지국이 제어하는 기존의 방식은 단말 별 자원접속 동작에 대한 규제요구사항을 만족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는 ECCA를 위한 q값 또는 BO값을 제어할 주체가 단말인지 기지국인지에 따라 구분된 방안을 제안한다.
- 단말에서 제어하는 경우: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이 ECCA 동작을 위한 백오프 카운터(BO: Back-off Counter) 값 N을 CCA 윈도우 [0, q] 사이의 값으로 선택할 경우를 가정하자. q값은 단말이 직접 결정하거나 기지국의 지시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은 선택한 초기 BO 카운터 N 값, 또는 BO 카운터가 0이 되리라 예상되는 서브프레임 인덱스를 기지국에게 보고한다. 기지국은 스케줄링을 할 때, 단말이 보고한 초기 BO 카운터 N 값과 매 CCA에 대한 성공/실패 여부를 단말로부터 보고받아 기지국에 저장한 단말 별 BO 카운터 값을 갱신한 현재 BO 카운터 n 값을 기반으로 스케줄링에 포함할 단말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잔여 BO 카운터 값이 적은 순으로 단말을 선택하여 스케줄링에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이 매 CCA에 대한 성공/실패 여부를 기지국에게 보고하는 대신, 특정 주기마다 또는 기지국의 지시에 따라 단말은 잔여 BO 카운터 값을 기지국에 보고해야 한다.
- 기지국에서 제어하는 경우: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은 단말 별 q값 보고를 기반으로 q 값을 설정하여 모든 단말 또는 특정 단말에게 설정한 q 값을 사용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CCA 동작 관련 변수에 기반하여 q값 증가 발동조건임을 기지국에게 보고하고, 기지국은 갱신한 단말 별 q값을 고려하여 특정 시점에 대해 스케줄링 할 때 포함할 단말들을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은 스케줄링에 의해 하나의 burst 내에 자원을 할당한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q 값을 기반으로 대표 q 값을 결정하여, 자원이 할당된 단말들에게 대표 q값을 사용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그러면, 단말은 기지국이 지정한 q 값으로 [0, q] 사이의 BO 카운터 값 N을 생성한다.
다른 실시 예에 따라 단말 별 q값에 대한 제어 동작은 단말에서 수행하되, 단말은 q값에 따라 [0, q] 사이에서 생성된 BO 카운터 값 N을 기지국에게 보고한다. 그러면,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은 스케줄링에 의해 하나의 burst 내에 자원이 할당된 단말들의 N 값 보고를 기반으로, 기지국이 대표 N 값을 결정하고, 기지국은 상기 버스트 내에 자원이 할당된 단말들에게 대표 N값을 사용하도록 지시한다.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이UL grant로 단말의 BO 카운터를 제어하는 Approach A와 UL grant 이전에 BO 카운터를 단말이 제어하는 Approach B를 제안한다.
도 1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이 UL grant로 단말의 BO 카운터를 제어하는 Approach A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복수의 단말들 예를 들어, 단말 1 및 단말 2가CCA gap이 있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할당이 되었을 때 단말 1 및 단말2의 BO 카운터 값이 상이하여 발생하는 공통적인 문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단말 1 및 단말 2가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스케줄링 되었지만, 단말 1의 잔여 BO 카운터 값(1200)은 ‘2’이고, 단말 2의 잔여 BO 카운터값(1202)은 ‘7’로 상이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그 결과, 상기 단말1은 2번의 CCA 슬롯에서 채널이 점유되어 있지 않음을 확인하면, 아직 UL 서브프레임 경계에 도달하지 못했기에 기지국에게 바로 예약(reservation)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상기 단말 1이 예약신호를 전송하면서 UL 서브프레임 경계에 도달하면 UL PUSCH 신호를 기지국에게 전송한다. 그에 비해, 상기 단말2는 7번의 CCA 슬롯들에서 채널이 점유되어 있지 않음을 확인하고 나서, PUSCH 송신 시점에 도달해서야 예약 신호 없이 UL PUSCH 신호를 보낼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단말 1 및 단말 2의 BO 잔여 카운터의 값이 상이함에 따라 해당 단말의 송신 타이밍은 1) 기지국의 UL 타이밍에 따라 (즉, Timing Advance(TA)=T1), 2) 기지국의 DL 타이밍에 따라 (즉, TA=0), 3) 기지국의 UL 타이밍과 DL 타이밍의 중간 값에 따라 (즉, TA=T1/2); 결정되는 타이밍을 기준으로 CCA를 수행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다룬다.
하기 <표 1>은 본 발명의 상향링크 (UL) 실시 예에 필요한 UL grant를 보내는 DCI format 0의 상세를 나타낸다. 붉은 색 표기된 Field는 기존 DCI format 0 대비 추가로 필요한 정보이다. 실시 예에 따라 추가로 필요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Field Length (Bits)
Flag for format0/format1A differentiation 1
Hopping flag 1
N_ULhop 1
1
1
2
2
2
1.4 Mhz
3 Mhz
5 Mhz
10 Mhz
15 Mhz
20 Mhz
Resource block assignment 5
7
7
11
12
13
1.4 Mhz
3 Mhz
5 Mhz
10 Mhz
15 Mhz
20 Mhz
MCS and RV 5
NDI (New Data Indicator) 1
TPC for PUSCH 2
Cyclic shift for DM RS 3
UL index (TDD only) 2
Downlink Assignment Index (DAI) (TDD only) 2
CQI request (1 bit) 1
(추가) CWS (=q)
(추가) Backoff Counter (BO 카운터)
(추가) Tx offset (PUSCH 송신 시점)
(추가) Last CCA index (마지막 CCA 슬롯 인덱스)
[Approach A: Burst 내에서 BO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
상기와 같이 동일한 UL 서브프레임 또는 동일한 UL 서브프레임 묶음 또는 동일한 UL burst에 복수의 단말들을 스케줄링 할 때, CCA 구간에서 단말 간 BO가 서로 다른 시기에 끝나고, 그로 인해 단말 간 블록킹(blocking)이 생기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는 기지국이 UL grant로 Burst 내에서 단말의 BO 카운터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Option1: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은 UL grant 전송 시 하나의 subframe에 대해 공통의 BO 값을 설정할 수 있다.
Option2: 다른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이 UL grant 전송 시, 복수의 subframe묶음에 대해 공통의 BO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매 subframe 마다 공통의 BO값이 매번 갱신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실시 예에 따라 첫 번째 subframe은 공통의 BO값이 사용되고, 다음 subframe부터는 최소값 (또는 기지국이 설정한 더 작은 BO값)이 사용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는, 실시 예에 따라 첫 번째 subframe에서 공통의 BO값이 사용되고, 다음 매 subframe마다 점진적으로 줄어드는 (예를 들어 하나씩 감소) BO 값이 사용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Option3: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이 UL grant 전송 시, 복수의 단말들에 대해 공통의 q 값을 설정하고, 단말은 [0, q] 내에서 하나의 BO 값을 임의성(pseudo-random)을 가지는 규칙에 따라 하나의 subframe에 대해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규칙은 단말들 간 동일해야 하므로, 일 예로, seed 변수로 subframe index 등 단말이 공통으로 아는 시간 변수를 사용할 수 있다.
Option4:
본 개시의 실시 에에 따라 앞서 설명한 Option3와 Option2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이 UL grant 전송 시, 복수의 단말들에 대해 공통의 q 값을 설정하고, 단말은 [0, q] 내에서 하나의 BO 값을 임의성을 가지는 규칙에 따라 복수의 subframe묶음에 대해 설정한다. 규칙은 단말 간 동일해야 하므로 seed 변수로 subframe index, subframe 묶음 index, burst index 등 단말이 공통으로 아는 시간 변수를 사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는 규제사항에 맞추기 위해, 상기 어느 한 서브프레임에서 할당된 단말에게 공통의 BO 카운터 값은 그 단말들의 BO 카운터 값 중 가장 큰 값으로 설정해주어야 한다.
Option5: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은 단말의 잔여 BO 카운터 값과 무관하게 CCA 슬롯들 중 어느 하나의 타이밍을 단말에게 알려준다. 그러면, 단말은 잔여 BO 카운터를 LBT 결과 채널이 비어있는 CCA 슬롯에서 줄여나가고, 상기 타이밍에 도달하지 않았을 때, 잔여 BO 카운터가 0이 되면, 바로 송신하지 않고 상기 타이밍에 도달할 때까지 기다린다. 이 동작은 implicit deferring 또는 self-deferring이라고 불린다. 만일, 상기 타이밍에 도달할 때까지 잔여 BO 카운터가 0이 되지 않은 단말은, 1) 다음 CCA 구간에서 잔여 BO 카운터 값을 유지하여 BO 동작을 이어나가거나, 2) BO 값을 새로 갱신하여 다음 CCA 구간에서 다시 시작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이 지정한 상기 CCA 슬롯 타이밍에 도달하면 예약신호를 송신하여 다른 장치의 점유를 방지할 수 있다.
[Approach B: Burst 이전에 BO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
한 서브프레임에 포함된 UL CCA 구간은 OFDM 1 symbol 정도의 구간으로 9 us 길이 CCA 슬롯이 7개 정도 들어간다. 따라서 도 1a의 방식에 따라 짧은 한번의 CCA를 하는 LBT 단말이거나 트래픽 우선순위가 높아서 작은 범위의 q를 가지는 단말에게 적합하다. 하기 <표 2>를 참조하면, LBT 우선순위 1을 제외할 경우, 사용 가능한 q의 범위가 7이상이므로, 확률적으로 UL 서브프레임에 있는 7개의 CCA 슬롯들에서 LBT를 성공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 MCOT(Max Channel Occupancy Time)는 LBT 우선순위에 따라서 한번 채널을 확보했을 때 연속으로 보낼 수 있는 자원의 길이이다. 따라서 LBT 우선순위가 낮은 단말 또는, BO 카운터 값이 한 UL 서브프레임 내에서 LBT를 끝낼 수 없는 단말(예를 들어, 7보다 큰 BO 카운터 값을 가지는 단말)을 위해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는 기지국으로부터 UL grant 수신 이전에도 BO 동작을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LBT priority class CWmin CWmax MCOT Set of CW sizes
1 3 7 2ms {3,7}
2 7 15 3ms {7,15}
3 15 63 10 or 8ms {15,31,63}
4 15 1023 10 or 8 ms {15,31,63,127,255,511,1023}
도 13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이 2개의 단말에게 UL 자원을 스케쥴링하는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2개의 단말 중 단말 1은 도 1a에 따라 CCA를 수행하는 카테고리 2(이하, ‘Cat2’라 칭함) 단말에 대응한다. 상기 2개의 단말 중 단말 2는 도 1b에 따라 ECCA를 수행하는 카테고리 4(이하, ‘Cat4’) 단말에 대응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Cat4 단말1은 우선순위 클래스(class) 4를 가지기 때문에, q값이 63으로 증가한 상태이며, 기지국이 Cat 4단말에 대해 [0,63] 범위에서 BO 카운터 값으로 45를 선택하여 상기 Cat 4 단말에게 전달한 경우를 가정하자. Cat2 단말2는 우선순위 클래스 2를 가지고, q값이 7임에 따라, 기지국이 Cat2 단말2에 대해 [0,7] 범위에서 BO 카운터 값으로 5를 선택하여 상기 Cat2 단말 2에게 전달한 경우를 가정하자.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지국이 각 단말에 대해 q값과 BO 카운터 값을 모두 제어하는 경우, Cat4 단말1이 grant를 받은 UL 서브프레임에서 송신을 하기 위해서는 7보다 같거나 작은 잔여 BO 카운터 값을 가진 경우에만 송신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Cat 4단말1은 DL burst가 시작되기 전에 미리 가지고 있는 BO 카운터 값을 감소할 수 있다. 즉, ECCA 절차에 따라 센싱 결과 비어 있는 CCA 슬롯이 있을 때마다, 단말은 해당 CCA 슬롯에서 BO 카운터 값을 하나씩 감소한다. 상기 Cat 4단말1의 잔여 BO 카운터 값이 7보다 같거나 작을 때, Cat 4 단말1은 참조 번호 1300에서의 self-deferring 동작을 수행하여 BO 카운터 감소를 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실시 예에 따라 상기 Cat 4 단말 1은 잔여 BO 카운터 값이 0에 도달하였을 때, 송신을 시작하지 않고 self-deferring을 수행하여 송신을 지연할 수 있다. 상기 Cat 4단말1이 기지국으로부터 수신한 UL grant로부터 이번 UL burst에서 할당된 UL 서브프레임 위치를 알게 되면, 상기 Cat4단말1은 1) 해당 CCA 구간에서 잔여 BO 카운터를 소진하고 PUSCH 송신 타이밍에서 바로 송신하거나, 2) PUSCH 송신 타이밍까지 기다려서 바로 송신하거나, 3) PUSCH 송신 타이밍 - CCA 슬롯 길이까지 기다리고 마지막 CCA를 수행한 후 송신할 수 있다.
도 14는 본 개시의 실시 에에 따라 잔여 BO 카운터 값이 상이한 2개의 단말에게 UL 스케쥴링하는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2개의 단말 1 및 2 모두 Cat 4 단말에 대응하는 경우를 가정하자. Cat 4 단말의 경우, UL burst의 첫 서브프레임에서는 ECCA로 동작하여 송신하지만, 이어지는 연속된 UL 서브프레임에서는 짧은 CCA (즉, Cat2. LBT 방식)만 수행하여 채널이 비어 있으면, 이어지는 PUSCH 자원에서 전송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4를 참조하면, Cat4단말1은 첫 번째 UL 서브프레임에서는 앞서 설명한 것처럼 ECCA 구간에서 self-deferring 동작으로 남겨둔 잔여 BO 카운터 값을 소진한 후, 송신을 시작하고, 두 번째 UL 서브프레임부터는 기지국이 설정한 Cat2 LBT용 BO 카운터 값으로 설정하여 동작할 수 있다. Cat 4단말2의 경우, UL burst의 두 번째 서브프레임이 이 단말의 첫 UL 서브프레임이 되므로, 단말1이 첫 번째 서브프레임에서 한 것처럼 Cat4 LBT 에 self-deferring을 한 방식으로 남겨둔 잔여 BO 카운터 값을 소진하여 송신한다. 따라서 도 13에서 Cat4 단말1과 Cat2 단말2가 첫 번째 서브프레임(1302)에서 함께 UL 송신했던 것처럼, 도 14의 실시예서도 Cat4 단말1과 Cat4 단말2는 두 번째 서브프레임(1400)에서 함께 UL 송신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지원하기 위해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은 적어도 하기 조건 중 하나에 따라 BO 동작을 발동할 수 있다. 이 중 기지국의 신호를 수신하는 조건에서는 기지국이 추가로 q 값 또는 BO 카운터 값을 설정할 수 있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단말이 LBT 또는 트래픽 우선순위에 따라 정한 q값에 기반하여 BO 카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는 단말이 BO 카운터 값을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q 값을 기지국이 설정할 수도 있다.
1) 단말과 네트워크 간 UL bearer가 수립되었을 때,
2) 단말에 Uplink Traffic이 발생하여 상위계층으로부터 UL 송신 요청이 도착할 때,
3) 단말에 Uplink Traffic이 발생하여 상위계층으로부터 UL 송신 요청이 도착하여 기지국에게 SR을 송신하였을 때,
4) 단말이 기지국에게 SR을 송신하고 기지국으로부터 grant를 받았을 때,
5) 단말이 기지국의 grant에 대하여 BRS를 송신하였을 때,
6) 단말이 BSR에 대하여 PHICH로 ACK을 수신하였을 때,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따라 상기한 BO의 발동 조건에서 q값을 결정 과정은 하기와 같다. q 값은 초기값 CWmin으로부터 시작하여 어떤 전송에 대해 충돌(collision) 상황이라고 판단되면 두 배씩 증가한다. 따라서, 단말은 네트워크에 의해서 또는 스스로 결정한 초기 q 값을 기반으로 상기 ECCA 동작-즉, BO 카운터 값을 발생하여 채널을 센싱하는 동작-을 시작하는 조건에 따라 ECCA를 수행하고, 송신조건이 만족되면 -즉, BO 카운터 값이 0이 되면,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단말은 기지국으로부터 UL grant를 수신하기 전에 하기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하면 BO 카운터 값을 유지하고(self-deferring) 이를 기지국에게 보고할 수 있다. 1) BO 카운터 값이 0이 된 경우, 2) BO 카운터 값이 빠른 LBT를 할 수 있는 k 값보다 같거나 작아진 경우, 예를 들어 k 값이 7이면 단말은 비어있는 채널에서 LBT를 수행하여 BO 카운터 값이 7이 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k 값은 기지국이 grant 또는 공통 제어 신호로 설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이 선행적으로 ECCA에서 LBT를 수행함에 있어 BO 카운터 값을 감소할 수 있는 구간과 감소하지 않는 구간 (deferring 구간)에 대해 다음과 같은 규칙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단말의 BO 카운터 감소 가능 구간: (적어도 하나의 구간에서 수행)
-기지국의 기준신호(CRS 등)가 수신되지 않고 채널이 비어 있는 구간
-기지국이 Common DCI로 지시한 종료 부분 서브프레임 (Ending partial subframe)의 사용하지 않는 구간. (예를 들어, Common DCI 내 사용하는 OFDM symbol의 수가 표현되어 있음)
-기지국이 단말 공통으로 또는 개별적으로 알려준 UL burst 구간의 CCA gap 가능 구간.
-기지국이 UL data 수신을 위해 확장 UL 서브프레임 구간.
단말의 BO 카운터 deferring 구간: (적어도 하나의 구간에서 수행)
-DL burst 기간 (PDCCH detection 및 end DL subframe indicator (L1)로 구분)
-UL burst 중 PUSCH 구간 (즉, UL subframe 내에서 LBT를 위한 CCA gap을 제외한 구간)
[Cross-burst Scheduling]
공유/비 면허대역에서는 타 통신장치와의 공존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하여 DL burst(연속된 DL 서브프레임의 묶음)과 UL burst(연속된 UL 서브프레임의 묶음)의 형태로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하지만 셀룰라 이동통신에서는 기지국이 단말의 송신을 제어하기 위한 UL grant를 DL 서브프레임에서 할당하면 4 ms의 지연시간이 소요된다. 이 지연시간에 의해 자원할당의 비효율성이 발생할 수 있다. 도 15a는 UL grant를 DL 서브 프레임에서 할당하여 발생하는 지연 시간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a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DL 서브프레임이 4개(1500)인 경우, DL burst 종료 후 UL burst로 이어질 때, 짧은 one-shot(1502)에 대응하는 CCA 구간만이 존재하기 때문에 다른 장치가 채널을 확보할 확률이 적다.
도 15b는 DL 서브프레임과 UL 서브프레임 사이에 복수의 서브 프레임들이존재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b를 참조하면, DL 서브프레임이 1개(1510)인 경우, DL 서브프레임과 UL 서브프레임 사이에 3 서브프레임 길이의 구간(1512)이 비어 있어 다른 장치에게 전송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UL 전송 기회를 전혀 얻을 수 없을 수 있다. DL 서브프레임과 UL 서브프레임 사이에 위치한 복수의 서브 프레임들로 인해서, UL 전송 기회를 잃을 수 있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은 다음 burst에 미리 자원을 할당하는 cross-burst 스케줄링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지국은 DL burst를 구성하는 마지막 DL 서브프레임, 또는 마지막보다 하나 앞의 DL 서브프레임에서 마지막 DL 서브프레임의 위치를 알려줄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기지국은 단말에게 이번 burst 이후 다음 burst에서의 마지막 DL 서브프레임에 이어지는 UL 서브프레임에서부터 UL 자원을grant 함을 지시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grant와 달리 grant 시점과 UL data 송신 시점 간 offset이 특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특징을 지원하기 위해 cross-burst용 grant는 우선 #0, #1, #2와 같이, #0부터 UL 서브 프레임을 넘버링하여 할당하고, 나중에 마지막 DL 서브프레임을 확인 후, 그 다음 서브프레임부터 상기 임시로 할당한 UL 서브프레임 정보를 매칭하여 단말이 해석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기존 일반 UL grant와 cross-burst UL grant를 명시적으로 구분하지 않고, 일반 UL grant에 따른 이번 burst에 대한 UL data 송신이 채널이 혼잡하여 실패하면, 자동으로 cross-burst UL grant로 변경되는 방식을 취할 수 있다. 또는, 다른 실시 예에 따라 cross-burst UL grant를 기지국의 SCell (공유대역)이 아니라 PCell (면허대역)에서 송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cross-burst UL grant가 어떤 burst에서 실패하면 N burst까지 더 계속해서 시도하도록 기지국이 단말에게 지시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cross-burst UL grant를 하나의 캐리어가 아니라 복수의 캐리어에 대해 지시할 수 있다. 그리고, 실시 예에 따라 복수의 캐리어들에 대해 기지국의 신호를 탐색하는 절차를 기지국이 지시에 따라 단말이 수행하거나, 단말이 결정한 우선순위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 도 15c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단말이 기지국의 신호를 탐색하는 실시 예들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c를 참조하면, 단말은 1) 가장 빨리 찾은 DL burst의 마지막 DL 서브프레임(1520)을 기준으로, 또는 2) 가장 빨리 찾은 마지막 DL 서브프레임(1522)을 기준으로; cross-burst UL grant에 따른 UL data 송신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는 이전 burst의 DL에서 grant한 정보와 이번 burst의 DL에서 grant한 정보가 동일 서브프레임에서 상충할 때, 단말이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규칙에 따라 하나를 선택하도록 설정된다.
Option1: 단말이 이전에 수신한 grant로부터 식별한 BO, q, 송신 타이밍 값을 따른다. 이 경우, 기지국이 나중에 할당하는 단말들의 BO값 또는 q 값 설정에 제약이 발생한다.
Option2: 단말이 나중에 수신한 grant로부터 식별한 BO, q, 송신 타이밍을 따른다. 이 경우, 기지국은 앞서 할당한 단말에게 다시 할당해서 grant 정보를 덮어쓰기(overwriting) 해야 하며, 따라서 grant 부하가 증가할 수 있다.
Option3: 단말이 이전 수신한 grant 및 나중에 수신한 grant에 포함된 BO 값 또는 q 값을 비교하여 각 값 중 큰 값으로 이용할 수 있다. 해당 grant에서 송신 타이밍을 별도로 설정하는 경우, 이전 수신한 grant 및 나중에 수신한 grant에 포함된 송신 타이밍들 중 시간이 더 늦은 송신 타이밍을 따른다.
[기지국이 자원접속 관련 변수를 반-동적으로 제어하는 방법]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기지국은 기하급수적 백오프 알고리즘을 구성하는 변수를 개별적으로 또는 복수의 기지국 집합에 대해 동일하게 제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기하급수적 백오프 알고리즘을 구성하는 변수는 ECCA를 위한 랜덤값 N을 선택하기 위한 윈도우의 최소값과 최대값, CCA threshold 값, 연기 구간의 길이, q값을 증가/감소하기 위한 발동조건 등이다. 기지국은 이웃기지국과 X2 인터페이스로 이와 같은 변수를 통일하도록 제어하거나, 이웃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를 수신하여 변수를 동일하게 맞추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웃기지국은 상기 신호에 특정 인덱스를 알려주어 인덱스 별 미리 정해진 변수집합에 따라 해당 변수값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기지국 집합에 대한 제어는 같은 사이트에 위치한, 즉 Pcell과 Scell을 포함한 복수의 기지국에 대해서도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실시 예에 따라 상향링크에 대해 기지국은 하나의 UL burst에 grant한 모든 단말들에게 적용하거나, 하나의 UL subframe에 grant한 모든 단말들에게 적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기지국은 L1에서 common 또는 단말 별 dedicated 제어 신호를 송신하거나, MAC CE, 또는 RRC 메시지로 제어할 수 있다.
[TDD frame structure 에서 DL/UL 구간을 가변하는 방법]
DL 트래픽 양이 미리 설정한 DL 구간에 비해 적은 경우, UL 구간 시작을 앞당기는 것이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하지만 UL 구간에 대해 기지국으로부터 자원할당을 받은 단말은 실제 상향링크 송신을 수행하기 앞서 자원 점유를 위한 ICCA(initial) 또는 ECCA 동작을 수행하여야 한다. ICCA 동작의 경우 할당받은 UL 서브프레임의 시작에 ICCA 구간을 할당하여 CCA 성공여부에 따라 전송 여부가 결정된다. 하지만 ECCA의 경우 기지국 신호가 CCA구간에서 탐지되면 freezing 되므로, 소속 기지국 신호의 수신전력/에너지를 제거하기 위한 방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는 DL 구간 시작에 앞서 송신되는 초기 신호 또는 DL 구간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기준 신호를 단말이 수신하여 측정한 수신전력/에너지를 상향링크에 할당된 단말들이 별도로 저장한다. 그리고, 기지국이 DL 구간 끝을 알리는 신호를 송신하여 이를 상기 단말이 수신하기 전까지 ECCA를 수행하면서, 상기 기지국 신호의 수신전력/에너지 값을 전체 신호의 수신전력/에너지값에서 제외한다. 이러한 변형된 ECCA 동작 동안, 단말은 CCA 카운터를 감소하여 상향링크로 할당된 자원에 도달하기 전에 CCA 카운터가 0로 된 단말에 한하여 상향링크 전송을 수행한다. 또 다른 예시에서는, 단말이 상향링크 할당 시점에 CCA 카운터가 0이 되도록 ECCA 시작 시점을 조정하되, 마지막으로 채널 점유가 끝난 시점부터 단말의 상향링크 할당 시점까지 남은 시간이 잔여 ECCA 시간보다 작으면 CCA 카운터를 0으로 맞출 수 없으므로, 기존 ECCA 와 동일하게 동작한다. 한편, 상기 DL 구간 끝을 알리는 신호를 단말이 수신하면, DL 구간의 끝에 대응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UL 구간의 시작을 다시 설정한다. 따라서 기지국의 상향링크에 대한 자원할당 역시 서브프레임의 절대 인덱스 값이 아닌 UL 구간 시작으로부터의 상대 인덱스 값으로 할당자원 위치를 알려주어야 한다.
[채널 점유 종료 신호의 활용 방법]
기지국은 점유한 채널에서 신호 송신을 연속적인 서브프레임에서 수행하다가 최대 점유 구간에 도달하거나 더 이상 보낼 데이터가 없으면 송신을 멈출 수 있다. 이 경우,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은, 이웃 기지국이나 단말에게 채널 점유를 종료하였다는 신호를 전송하여 이후 CCA, 채널 상태 측정, 혼잡 측정의 신뢰성을 판단할 때 도움이 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은 채널 점유 종료 신호에 시간 정렬 시점(Timing for Time Alignment)을 미리 알려주어 기지국 간 동일한 시점에 송신을 수행하도록 하여 주파수 재활용 지수를 향상할 수 있다. 도 16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주파 재사용을 위해 기지국이 채널 점유 종료 신호 및 시간 정렬을 지시하는 동작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기지국 1은 송신종료 후, 참조번호 1600에서와 같이, 채널 점유 종료 신호를 보내면서 다음 ECCA를 위해 결정한 시간 정렬 시점(1) 을 알려준다. 시간 정렬 시점은 CCA 카운터가 0이 될 시점이거나 CCA 카운터가 0이 될 시점에 추가적인 여분 시간(marginal time)을 부여한 시점이다. 기지국 1이 채널 점유 종료 신호를 보낼 때, 이웃 기지국 2와 3은 여전히 송신을 하고 있으므로, 기지국1의 종료 신호를 수신할 수 없다. 기지국 2는 기지국 1보다 늦게 송신을 종료하고, 참조 번호 1602에서와 같이 채널 점유 종료 신호를 보내면서 다음 ECCA를 위해 결정한 시간 정렬 시점(3)을 알려준다. 기지국 1은 기지국 2의 종료 신호를 수신하고, 기지국 2의 시간 정렬 시점(3)으로 자신의 시간 정렬 시점을 조정한다. 마찬가지로, 기지국 2가 채널 점유 종료 신호를 보낼 때, 이웃 기지국 3은 여전히 송신을 하고 있으므로, 기지국2의 종료 신호를 수신할 수 없다. 기지국 3는 기지국 1과 2보다 늦게 송신을 종료하고, 참조번호 1604에서와 같이 채널 점유 종료 신호를 보내면서 다음 ECCA를 위해 결정한 시간 정렬 시점(2)을 알려준다. 그러면, 기지국 1과 2는 기지국 3의 종료 신호를 수신하고, 기지국 3의 시간 정렬 시점(2)로 자신의 시간 정렬 시점을 조정한다. 기지국 3은 자신의 시간 정렬 시점까지 아무런 채널 점유 종료 신호를 수신하지 않으므로 예정된 시간 정렬 시점에서 송신을 시작한다. 기지국 1은 기지국 3의 시간 정렬 시점(2)으로 조정한 상태이고, 예정된 시간 정렬 시점보다 이전에 CCA 카운터가 0이 되므로, 역시 기지국 3과 동일한 시간 정렬 시점(2)에서 송신을 시작하여 주파수 재활용 효과를 향상할 수 있다. 하지만, 기지국2는 기지국 3의 시간 정렬 시점(2)으로 조정한 상태이지만, 예정된 시간 정렬 시점에서 CCA 카운터가 0보다 크므로, 잔여 CCA 카운터 값을 저장해 놓은 채 freezing 상태로 전환한다.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의 장치는 본 개시의 실시 에에 따른 송신 디바이스, 수신 디바이스, 기지국 및 단말로 동작 가능하다. 설명의 편의상, 도 17의 장치는 송신부(1715)와 수신부(1720)로 구성되는 송수신부(17170)와 제어부(17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일 예로서 예시된 것으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는 세부 유닛들로 분할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7의 장치는 앞서 설명한 도 1 내지 도 16의 실시 예들에 대응하는 동작들을 수행한다.
만약, 상기 장치가 공유 대역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디바이스로 동작할 경우를 가정하자. 이 경우, 상기 제어부(1730)는 적어도 2개의 수신 디바이스와 설정된 링크 정보, 송신 디바이스의 측정치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공유 대역에서 다음 데이터 송신을 결정하기 위한 시구간의 길이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길이의 시구간에서 상기 공유 대역의 채널 점유 여부를 확인한다. 여기서 적어도 2개의 수신 디바이스와 설정된 링크 정보는, 앞서 설명한 수신 디바이스 관점의 발동 조건에 해당하며, 상기 송신 디바이스의 측정치는 송신 디바이스 관점의 발동 조건에 대응한다. 그리고, 상기 시구간의 길이는 앞서 설명한 q 값에 대응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730)는 상기 송신부(1715)가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다음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링크 정보는, 해당 수신 디바이스가 현재 데이터를 수신한 결과, 상기 공유 대역에서 상기 현재 데이터의 송신을 결정하기 위한 시구간의 길이, 해당 링크의 우선 순위, 수신 디바이스의 채널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각 링크 정보에 대한 세부 정의는 이전 설명과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제어부(1730)는 상기 시구간의 길이를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적어도 2개의 수신 디바이스 각각에 대해 개별적으로 결정하거나, 공통된 값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730)는 상기 시구간의 길이 결정 시, 앞서 설명한 실시 예들에 따라 서로 다른 시점에서 상기 공유 대역에 대한 에너지 측정 결과를 이용하여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송신 디바이스의 측정치는, 상기 송신 디바이스가 상기 공유 대역의 채널을 점유한 경우, 미리 결정된 적어도 2개의 시간 슬롯에서 측정한 에너지 측정 결과, 상기 공유 대역의 채널이 비어 있음을 연속적으로 확인한 횟수, 상기 공유 대역의 채널 점유 결과, 상기 공유 대역의 채널 점유를 확인함에 따라 상기 시구간을 유지한 횟수, 미리 결정된 시점에서의 채널 점유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송신 디바이스의 측정치들 각각의 정의 역시 이전 설명과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제어부(1730)는 앞서 설명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송신 디바이스의 측정치를 기반으로 상기 시구간의 길이를 결정할 경우, 상기 적어도 2개의 수신 디바이스와 인접한 송신 디바이스에게 상기 적어도 2개의 시간 슬롯을 지시하는 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시간 슬롯에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수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공유 대역의 채널 점유 여부를 지시하는 결과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결과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시구간의 길이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730)는 상기 송신 디바이스의 측정치를 기반으로 상기 시구간의 길이를 결정 시, 앞서 설명한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공유 대역의 채널을 점유하여 현재 데이터를 송신한 후 설정된 아이들 구간에서 상기 공유 대역에 대한 에너지 측정 결과를 기반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상술한 동기화 지원을 위한 모든 동작들은 상기 제어부(1730)에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실시 에에 따라 상기 제어부(1730) 및 상기 송수신부(1710)는 반드시 별도의 장치로 구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단일 칩과 같은 형태로 하나의 구성부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 내지 도 9가 예시하는 LAA 단말의 구성도, LAA 제어/데이터 신호 송신 방법의 예시도, LAA 단말의 동작 절차 예시도, 자원 프레임 구성 예시도, 단말 장치의 구성도들은 본 개시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의도가 없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즉, 도 1 내지 도 9에 기재된 모든 구성부, 엔터티, 또는 동작의 단계가 발명의 실시를 위한 필수구성요소인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일부 구성요소 만을 포함하여도 발명의 본질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기지국이나 단말의 동작들은 해당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한 메모리 장치를 기지국 또는 단말 장치 내의 임의의 구성부에 구비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즉, 기지국 또는 단말 장치의 제어부는 메모리 장치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프로세서 혹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에 의해 읽어내어 실행함으로써 앞서 설명한 동작들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엔터티, 기지국 또는 단말 장치의 다양한 구성부들과, 모듈(module)등은 하드웨어(hardware) 회로, 일 예로 상보성 금속 산화막 반도체(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기반 논리 회로와, 펌웨어(firmware)와, 소프트웨어(software) 및/혹은 하드웨어와 펌웨어 및/혹은 머신 판독 가능 매체에 삽입된 소프트웨어의 조합과 같은 하드웨어 회로를 사용하여 동작될 수도 있다. 일 예로, 다양한 전기 구조 및 방법들은 트랜지스터(transistor)들과, 논리 게이트(logic gate)들과, 주문형 반도체와 같은 전기 회로들을 사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공유 대역에서의 셀룰라 통신에 있어 WLAN과의 공존을 고려한 자원접속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특정 측면들은 또한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에서 컴퓨터 리드 가능 코드(computer readable code)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리드될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이다. 상기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의 예들은 리드 온니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 이하 ‘ROM’이라 칭하기로 한다)와, 랜덤-접속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이하 ‘RAM’라 칭하기로 한다)와, 컴팩트 디스크- 리드 온니 메모리(compact disk-read only memory: CD-ROM)들과, 마그네틱 테이프(magnetic tape)들과,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들과, 광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들, 및 캐리어 웨이브(carrier wave)들(상기 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송신과 같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는 또한 네트워크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을 통해 분산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컴퓨터 리드 가능 코드는 분산 방식으로 저장 및 실행된다. 또한, 본 개시를 성취하기 위한 기능적 프로그램들,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개시가 적용되는 분야에서 숙련된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쉽게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임의의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콤팩트 디스크(compact disk: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제어부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또는 휴대 단말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상기 메모리는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구현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는 본 명세서의 임의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컴퓨터 등)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개시는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는 프로그램 제공 장치로부터 상기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 제공 장치는 상기 프로그램 처리 장치가 기 설정된 컨텐츠 보호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지시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컨텐츠 보호 방법에 필요한 정보 등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와, 상기 그래픽 처리 장치와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와, 상기 그래픽 처리 장치의 요청 또는 자동으로 해당 프로그램을 상기 송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30)

  1. 공유 대역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디바이스가 데이터를 송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수신 디바이스와 설정된 링크 정보, 송신 디바이스의 측정치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공유 대역에서 다음 데이터 송신을 결정하기 위한 시구간의 길이를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결정된 길이의 시구간에서 상기 공유 대역의 채널 점유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다음 데이터를 송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정보는,
    해당 수신 디바이스가 현재 데이터를 수신한 결과, 상기 공유 대역에서 상기 현재 데이터의 송신을 결정하기 위한 시구간의 길이, 해당 링크의 우선 순위, 수신 디바이스의 채널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구간의 길이를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적어도 2개의 수신 디바이스 각각에 대해 개별적으로 결정하거나, 공통된 값으로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구간의 길이를 결정하는 과정은,
    서로 다른 시점에서 상기 공유 대역에 대한 에너지 측정 결과를 이용하여 결정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송신 디바이스의 측정치는,
    상기 송신 디바이스가 상기 공유 대역의 채널을 점유한 경우, 미리 결정된 적어도 2개의 시간 슬롯에서 측정한 에너지 측정 결과, 상기 공유 대역의 채널이 비어 있음을 연속적으로 확인한 횟수, 상기 공유 대역의 채널 점유 결과, 상기 공유 대역의 채널 점유를 확인함에 따라 상기 시구간을 유지한 횟수, 미리 결정된 시점에서의 채널 점유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디바이스의 측정치를 기반으로 상기 시구간의 길이를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적어도 2개의 수신 디바이스와 인접한 송신 디바이스에게 상기 적어도 2개의 시간 슬롯을 지시하는 정보를 전달하는 과정과,
    상기 적어도 2개의 시간 슬롯에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수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공유 대역의 채널 점유 여부를 지시하는 결과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결과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시구간의 길이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디바이스의 측정치를 기반으로 상기 시구간의 길이를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공유 대역의 채널을 점유하여 현재 데이터를 송신한 후 설정된 아이들 구간에서 상기 공유 대역에 대한 에너지 측정 결과를 기반으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공유 대역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수신 디바이스가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공유 대역을 통해서 상기 송신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의 수신 결과를 상기 송신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의 송신은, 상기 송신 디바이스와 상기 수신 디바이스간에 설정된 링크의 정보, 상기 송신 디바이스의 측정치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결정된 길이를 가지는 시구간에서 상기 공유 대역의 채널이 점유되지 않은 경우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정보는,
    상기 공유 대역에서 상기 데이터의 송신을 결정하기 위한 현재 시구간의 길이, 상기 링크의 우선 순위, 상기 링크에 대해 측정한 채널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시구간의 길이는,
    상기 송신 디바이스와 링크를 설정한 적어도 2개의 수신 디바이스와 공통되거나 상이한 값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시구간의 길이는,
    상기 송신 디바이스가 상기 공유 대역을 점유한 시구간에 포함되는 서로 다른 시점에서 상기 공유 대역에 대한 에너지 측정 결과를 이용하여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송신 디바이스의 측정치는,
    상기 송신 디바이스가 상기 공유 대역의 채널을 점유한 경우, 미리 결정된 적어도 2개의 시간 슬롯에서 측정한 에너지 측정 결과, 상기 공유 대역의 채널이 비어 있음을 연속적으로 확인한 횟수, 상기 공유 대역의 채널 점유 결과, 상기 공유 대역의 채널 점유를 확인함에 따라 상기 시구간을 유지한 횟수, 미리 결정된 시점에서의 채널 점유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데이터의 수신 결과를 기반으로 결정된 다음 데이터의 송신을 위한 다음 시구간의 길이 정보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다음 시구간에서 상기 공유 채널을 통해서 수신되는 신호의 에너지 측정을 수행하고, 상기 에너지 측정의 결과를 상기 송신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다음 시구간의 길이 정보는 상기 수신 디바이스의 전용 자원 또는 공용 자원을 통해서 수신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시구간의 길이가 상기 링크 정보와 상기 송신 디바이스의 측정치 둘 다를 사용하여 결정될 경우, 상기 송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공유 대역을 통해서 수신한 데이터의 수신 결과를 수신하는 과정과,
    미리 결정된 현재 시구간에서 상기 공유 대역의 에너지 측정 결과가 상기 공유 대역의 채널이 점유되지 않은 경우, 상기 송신 디바이스의 데이터 수신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송신 디바이스에게 다음 데이터의 송신을 위한 상기 시구간의 길이를 재설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방법.
  16. 공유 대역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 디바이스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수신 디바이스와 설정된 링크 정보, 송신 디바이스의 측정치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상기 공유 대역에서 다음 데이터 송신을 결정하기 위한 시구간의 길이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길이의 시구간에서 상기 공유 대역의 채널 점유 여부를 확인하는 제어부와,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다음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는 송신 디바이스.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정보는,
    해당 수신 디바이스가 현재 데이터를 수신한 결과, 상기 공유 대역에서 상기 현재 데이터의 송신을 결정하기 위한 시구간의 길이, 해당 링크의 우선 순위, 수신 디바이스의 채널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디바이스.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2개의 수신 디바이스 각각에 대해 개별적으로 결정하거나, 공통된 값으로 상기 시구간의 길이를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디바이스.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서로 다른 시점에서 상기 공유 대역에 대한 에너지 측정 결과를 이용하여 상기 시구간의 길이를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디바이스.
  20. 제16항에 있어서, 송신 디바이스의 측정치는,
    상기 송신 디바이스가 상기 공유 대역의 채널을 점유한 경우, 미리 결정된 적어도 2개의 시간 슬롯에서 측정한 에너지 측정 결과, 상기 공유 대역의 채널이 비어 있음을 연속적으로 확인한 횟수, 상기 공유 대역의 채널 점유 결과, 상기 공유 대역의 채널 점유를 확인함에 따라 상기 시구간을 유지한 횟수, 미리 결정된 시점에서의 채널 점유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디바이스.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송신 디바이스의 측정치를 기반으로 상기 시구간의 길이를 결정할 경우, 상기 적어도 2개의 수신 디바이스와 인접한 송신 디바이스에게 상기 적어도 2개의 시간 슬롯을 지시하는 정보를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서 전달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송수신부를 통해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시간 슬롯에서 상기 적어도 2개의 수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공유 대역의 채널 점유 여부를 지시하는 결과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결과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시구간의 길이를 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디바이스.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송신 디바이스의 측정치를 기반으로 상기 시구간의 길이를 결정할 경우, 상기 공유 대역의 채널을 점유하여 현재 데이터를 송신한 후 설정된 아이들 구간에서 상기 공유 대역에 대한 에너지 측정 결과를 기반으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 디바이스..
  23. 공유 대역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디바이스에 있어서,
    상기 공유 대역을 통해서 상기 송신 디바이스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송수신부와,
    상기 데이터의 수신 결과를 생성하고, 상기 송신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데이터의 송신은, 상기 송신 디바이스와 상기 수신 디바이스간에 설정된 링크의 정보, 상기 송신 디바이스의 측정치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결정된 길이를 가지는 시구간에서 상기 공유 대역의 채널이 점유되지 않은 경우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디바이스.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정보는
    상기 공유 대역에서 상기 데이터의 송신을 결정하기 위한 현재 시구간의 길이, 상기 링크의 우선 순위, 상기 링크에 대해 측정한 채널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디바이스.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시구간의 길이는,
    상기 송신 디바이스와 링크를 설정한 적어도 2개의 수신 디바이스와 공통되거나 상이한 값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디바이스.
  26.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시구간의 길이는,
    상기 송신 디바이스가 상기 공유 대역을 점유한 시구간에 포함되는 서로 다른 시점에서 상기 공유 대역에 대한 에너지 측정 결과를 이용하여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디바이스.
  27. 제23항에 있어서, 송신 디바이스의 측정치는,
    상기 송신 디바이스가 상기 공유 대역의 채널을 점유한 경우, 미리 결정된 적어도 2개의 시간 슬롯에서 측정한 에너지 측정 결과, 상기 공유 대역의 채널이 비어 있음을 연속적으로 확인한 횟수, 상기 공유 대역의 채널 점유 결과, 상기 공유 대역의 채널 점유를 확인함에 따라 상기 시구간을 유지한 횟수, 미리 결정된 시점에서의 채널 점유 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디바이스.
  28.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가 상기 송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데이터의 수신 결과를 기반으로 결정된 다음 데이터의 송신을 위한 다음 시구간의 길이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다음 시구간에서 상기 공유 채널을 통해서 수신되는 신호의 에너지 측정을 수행하고, 상기 에너지 측정의 결과를 상기 송신 디바이스에게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수신 디바이스.
  29.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다음 시구간의 길이 정보는 상기 수신 디바이스의 전용 자원 또는 공용 자원을 통해서 수신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디바이스.
  30.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시구간의 길이가 상기 링크 정보와 상기 송신 디바이스의 측정치 둘 다를 사용하여 결정될 경우, 상기 송수신부가 상기 송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공유 대역을 통해서 수신한 데이터의 수신 결과를 수신하고,
    미리 결정된 현재 시구간에서 상기 공유 대역의 에너지 측정 결과가 상기 공유 대역의 채널이 점유되지 않은 경우, 상기 제어부가 상기 송신 디바이스의 데이터 수신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송신 디바이스에게 다음 데이터의 송신을 위한 상기 시구간의 길이를 재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 디바이스.
KR1020160039801A 2015-05-14 2016-03-31 공유 대역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그 장치 KR2016013447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154,284 US10375729B2 (en) 2015-05-14 2016-05-13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shared band, and device therefor
PCT/KR2016/005086 WO2016182387A1 (en) 2015-05-14 2016-05-13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shared band, and device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161326P 2015-05-14 2015-05-14
US62/161,326 2015-05-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4478A true KR20160134478A (ko) 2016-11-23

Family

ID=57541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9801A KR20160134478A (ko) 2015-05-14 2016-03-31 공유 대역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3447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75729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shared band, and device therefor
US11929833B2 (en) HARQ feedback for unscheduled uplink
US1127786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LBT mode and method for LBT mode switching
US2022026463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sten-before-talk (lbt) related oper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unlicensed band
KR102620971B1 (ko) 비면허 대역 채널에서 클리어 채널 평가에 근거한 신호 전송 방법 및 이동 통신 시스템
KR102454897B1 (ko) 비면허 대역을 이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방법 및 장치
KR102340908B1 (ko) 비면허 대역을 사용하는 셀룰러 네트워크에서의 상향링크 자원할당 방법 및 그 장치
US1071613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hannel acces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7667565B (zh) 在使用非授权频带的蜂窝网络中分配资源的方法及其设备
KR102467048B1 (ko) 히든 노드 문제와 사용자 단말들의 채널 점유를 고려한 상향 링크 데이터 전송 방법
US10917905B2 (en) Autonomous uplink transmission using shared radio frequency spectrum
US20190364557A1 (en) User terminal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KR20180089435A (ko) 기기 간 통신에서 자원 충돌 회피를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19514268A (ja) Srs切り替え、送信及び拡張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2019516285A (ja) 共有無線周波数スペクトル帯域中のアップリンク制御チャネル送信を構成するための技法
KR102443134B1 (ko) 비면허 대역 지원 상향링크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220154076A (ko) 히든 노드 문제와 사용자 단말들의 채널 점유를 고려한 상향 링크 데이터 전송 방법
KR20170093059A (ko) 비면허 대역을 지원하는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US20230087110A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for slot structure, channel access, and resource allocation for sidelink communications
KR20160134478A (ko) 공유 대역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그 장치
KR102658360B1 (ko) 비면허 대역을 사용하는 셀룰러 네트워크에서의 자원할당 방법 및 그 장치
KR20240046046A (ko) 비면허 대역에서 사이드링크 채널의 접속 방법 및 장치
KR20240022852A (ko) 비면허 대역 상에서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40020526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60121406A (ko) 비면허 대역을 사용하는 셀룰러 네트워크에서의 자원할당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