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4287A - Led장치 보호회로 - Google Patents

Led장치 보호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4287A
KR20160134287A KR1020150068115A KR20150068115A KR20160134287A KR 20160134287 A KR20160134287 A KR 20160134287A KR 1020150068115 A KR1020150068115 A KR 1020150068115A KR 20150068115 A KR20150068115 A KR 20150068115A KR 20160134287 A KR20160134287 A KR 201601342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capacitor
event signal
led device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8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현
조신
김정태
한동열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681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4287A/ko
Publication of KR20160134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42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5B33/0887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5/00Safety devic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lighting devices
    • F21V25/02Safety devic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lighting devices coming into action when lighting device is disturbed, dismounted, or broken
    • F21V25/04Safety devic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lighting devices coming into action when lighting device is disturbed, dismounted, or broken breaking the electric circuit
    • H05B33/0815
    • H05B37/04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 Y02B20/342
    • Y02B20/34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ed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ED장치 보호회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반복적으로 발생하는이벤트 신호와 노이즈 신호를 구분함으로써 LED장치가 노이즈성 신호에 반응하지 않고 이벤트 신호에만 회로 차단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 LED장치 보호회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LED장치 보호회로{PROTECTION CIRCUIT FOR LED APPARATUS}
본 발명은 LED장치 보호회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반복적으로 발생하는이벤트 신호와 노이즈 신호를 구분함으로써 LED장치가 노이즈성 신호에 반응하지 않고 이벤트 신호에만 회로 차단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한 LED장치 보호회로에 관한 것이다.
최근 LED장치, 그 중에서도 특히 LED조명은 종래 조명과 비교하여 수명이 길고 효율이 높아 다양한 영역으로 빠르게 보급되고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가격이 높은 LED장치가 빠르게 확산됨과 동시에 시장에서는 LED장치에 대한 높은 신뢰성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불안전한 상용전원 및 노이즈에 취약한 아날로그 LED조명의 특성상 제조시 설계자가 고려하지 못했던 필드 노이즈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는데, 이 경우 LED장치가 오동작하게 되는 문제가 존재하였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마이콤(MICOM) 또는 센서를 별도로 구비시켜 왔으나, 별도의 마이콤 또는 센서를 구비하는 데에 적지 않은 비용이 들어가 가격 경쟁력이 낮아진다는 문제가 있다.
미국공개특허 2015-0123552 (2015.05.07. 공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노이즈성 신호와 반복적으로 인가되는 이벤트 신호를 구분하여 이벤트 신호가 인가되었을 때에만 작동하는 LED장치 보호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트랜지스터 및 수동소자 만으로 구현함으로써 가격경쟁력이 높은 LED장치 보호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동소자의 소자값을 달리하여 인가되는 이벤트 신호에 대한 보호회로 구동 민감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LED장치를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LED장치 보호회로는 구동에 필요한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부;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이벤트 신호의 유효성을 파악하는 이벤트 검출부; 및 상기 이벤트 신호의 유효성 여부에 따라 회로 차단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LED장치 보호회로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검출부는, 수신되는 이벤트 신호의 반복패턴을 카운트(count)하여 상기 이벤트 신호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 신호의 카운트 수가 기 설정된 수 이상인 경우 회로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 때, 이벤트 검출부는, 상기 이벤트 신호의 입력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 상태가 되는 제1스위치; 상기 제1스위치가 온상태이면 제2스위치와 연결된 제2축전기에 전하를 누적시키고, 상기 제1스위치가 턴오프 상태이면 상기 제2축전기에의 전하 누적을 중지하는 제2스위치; 를 포함하고, 상기 제2축전기에의 전하 누적량에 따라 상기 수신된 이벤트 신호의 반복패턴을 카운트(count)한다.
나아가 제1스위치 또는 제2스위치는 트랜지스터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제1스위치의 이미터(E)는 그라운드;와 연결되고, 컬렉터(C)는 타단이 제2스위치의 베이스와 연결된 제2저항(R2)의 일단;과 연결되고, 베이스(B)는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현할 수 있으며, 제2스위치의 이미터는(E)는 전원부;와 연결되고, 컬렉터(C)는 타단이 제2축전기와 연결된 제4저항(R4)의 일단;과 연결되고, 베이스(B)는, 상기 전원부와 병렬로 연결된 제3저항(R3) 및 제1축전기(C1);와 연결되고, 일단이 상기 제1스위치의 컬렉터와 연결된 제2저항(R2)의 타단;과 연결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LED장치 보호회로에 있어서 제어부는, 상기 제2스위치의 작동 상태에 따라 전하가 누적되는 제2축전기; 상기 제2축전기의 전하 누적량이 기 설정값 이상인 경우 제3스위치를 턴온 시키는 제너다이오드; 및 상기 제너다이오드의 턴온 신호에 따라 회로를 차단하는 제3스위치;를 포함한다.
이 때, 제3스위치는 트랜지스터이고, 제3스위치의 이미터(E)는 그라운드와 연결되고, 컬렉터(C)는 회로 차단단자와 연결되고, 베이스(B)는 타단이 상기 제2축전기와 제4저항과 연결되는 제너다이오드(ZD1)의 일단; 및 타단이 그라운드와 연결된 제5저항(R5)의 일단;과 연결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노이즈성 신호와 이벤트 신호를 명확히 구별함으로써 LED장치의 오작동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수동소자의 소자값을 변경하는 것만으로 이벤트 신호에 대한 회로의 구동 민감도를 쉽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비교적 가격이 저렴한 트랜지스터 및 수동소자들로 회로 구현이 가능하여 LED장치의 가격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LED장치 보호회로의 활용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LED장치 보호회로의 세부 회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LED장치 보호회로의 주요 부분에서의 전압 크기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거나 이용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포함한 설명은 다양한 응용을 갖는다는 것이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임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도면에 표시되고 아래에 설명되는 기능 용어들은 가능한 표현의 예들일 뿐이다.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상세한 설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용어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되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LED장치의 내부 구성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여기에는 본 발명에 따른 LED장치 보호회로(100)가 포함된다.
LED장치는 일반적으로 이상 신호에 따른 오작동 및 부품 파손을 예방하기 위해 LED장치 내 회로를 보호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데, 종래에는 그 중에서도 마이콤(MICOM)을 구비시키거나 또는 일반 아날로그 보호회로를 장치 내에 구비시켜 왔다.
마이콤을 사용하는 경우 디지털 신호처리가 가능하여 노이즈성 신호를 정확하게구분해 낼 수 있고, 이에 따라 LED장치의 제어 역시 정확하게 이루어진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마이콤은 비용이 많이 들어 LED장치 완제품의 가격경쟁력을 떨어트린다는 단점이 있다.
한편, LED장치 내 기본적으로 구비된 아날로그 보호회로의 경우 저가로 구현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노이즈성 신호를 구별해 내는 능력이 떨어지며, 이벤트 신호의 인가에 따른 구동 민감도를 조절하기가 어렵다는 단점 역시 존재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LED장치 보호수단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는 경우 노이즈성 신호를 이벤트 신호와 정확하게 구별해 낼 수 있음은 물론, 저렴한 소자들 만으로 구현이 가능하여 가격경쟁력에서도 이점이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할 때, 본 발명에 따른 LED장치 보호회로(100)는 LED장치 내에 구비될 수 있으며, 특히 LED장치 보호회로(100)는 LED장치 내 기본적으로 내재된 보호회로들과 연계하여 2차적인 장치 보호 기능을 하게 됨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LED장치들은 기본적인 아날로그 보호회로로 입력 과전류 보호회로, 고온 보호회로, 출력 과전압 보호회로, 출력 과전류 보호회로 등을 구비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르면 이들 기본 보호회로 이외에 2차적으로 LED장치 보호회로(100)를 더 구비함으로써 LED장치가 보다 안정적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LED장치 보호회로(100)의 세부 회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따르면, LED장치 보호회로(100)는 크게 전원부(VCC), 이벤트 검출부(110), 제어부(120)의 세 가지 구성을 포함한다.
먼저 전원부(VCC)는 LED장치 보호회로(100)를 구동하는 데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전류원 또는 전압원이 사용될 수 있다. 도 2에는 전압원이 전원부로서 포함되어 있음이 도시되어 있다.
한편 이 때 전원부는 본 발명에 따른 LED장치 보호회로(100)에만 독립적으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별개의 구성으로 구비될 수도 있으나, 다른 실시예로는 전체 LED장치를 구동시키기 위한 LED장치의 전력 공급원으로부터의 전력을 활용할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도 2에서 볼 수 있듯 전원부는 뒤이어 설명하게 될 이벤트 검출부(110), 제어부(120)의 스위칭 동작 및 전하 누적에 필요한 전압을 공급한다.
이벤트 검출부(110)는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이벤트 신호의 유효성을 파악하는 기능을 한다.
이벤트 신호란 본 LED장치 보호회로(100) 외에 다른 보호회로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일컫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일정한 크기의 전압 또는 전류가 반복적으로 인가되는 신호를 의미한다. LED장치 보호회로(100)는 노이즈성 신호와 상기 이벤트 신호를 구분하고, 이벤트 신호가 수신된 경우에만 특정 동작(예. 회로 차단 등)을 실행하도록 구현된다.
또한 이벤트 신호의 유효성이란, 해당 신호가 이벤트 신호가 가지는 특성을 가지는지에 대한 판단 기준으로서, 이는 이벤트 신호를 노이즈성 신호와 구별하는 데에 필요한 기준이 된다.
앞서도 언급하였듯 이벤트 신호는 일정 크기의 전압 또는 전류가 반복적으로 인가되는 특징을 가지는데, 이와 달리 노이즈성 신호는 불규칙적인 크기의 전압 또는 전류가 비반복적으로 인가된다.
이벤트 신호의 유효성은 반복된 전압 또는 전류가 인가되는지 여부로 판단되며, 본 이벤트 검출부(110)는 후술하게 될 수단을 이용해 해당 신호의 반복패턴을 카운트(count)하고 이를 기초로 상기 이벤트 신호의 유효성을 검출해 낸다.
다음으로 제어부(120)는 상기 이벤트 검출부(110)에서 신호에 대한 유효성 판단이 이루어진 경우, 이를 기초로 회로를 차단하거나 또는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즉, 유효성 판단 결과 상기 이벤트 신호가 반복패턴을 포함하는 유효한 신호라 판단된 경우, 제어부(120)는 회로를 차단하게 되고, 반대로 상기 이벤트 신호가 비유효한 신호라 판단된 경우에는 회로의 동작 상태를 그대로 유지시키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LED장치 보호회로(100)의 각 구성을 기능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았으나, 이하에서는 각 구성들이 실제 회로상에서 어떻게 구현될 수 있는지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이벤트 검출부(110)는 제1스위치 및 제2스위치를 포함한다.
제1스위치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이벤트 신호의 크기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된다.
한편, 제2스위치는 전하를 누적 저장할 수 있는 축전기(C2)와 연결되어 있으며, 제1스위치의 동작 상태에 따라 상기 축전기에 전하를 공급하거나 또는 전하 공급을 중단하는 등의 동작을 수행한다.
즉 제1스위치 및 제2스위치는 외부로부터 이벤트 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이벤트 신호의 반복패턴(일정 크기의 전압 또는 전류)이 수신될 때마다 스위칭 동작을 하여 제2스위치에 연결된 축전기에 누적적으로 전하를 공급함으로써 해당 축전기의 전압을 상승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 이 때 누적적으로 전하가 공급되는 량 또는 축전기의 전압 상승량을 기초로 상기 이벤트 신호의 반복패턴을 카운트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1스위치 및 제2스위치는 트랜지스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외 저항, 커패시터 등의 수동소자를 사용하여 상기 이벤트 검출부(110)를 구성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제1스위치를 살펴볼 때, 제1트랜지스터(PNP형)가 제1스위치의 기능을 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이 때 제1트랜지스터의 이미터는 그라운드와 연결되고, 컬렉터는 제2저항을 매개로 제2트랜지스터의 베이스단과 연결되며, 베이스는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이 때, 상기 제1트랜지스터의 베이스에는 저항(R1)을 구비시켜 전압이 존재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제2스위치를 살펴볼 때, 제2트랜지스터(NPN형)가 제2스위치의 기능을 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제2트랜지스터의 이미터는 전원부(VCC)와 연결되도록 하며, 컬렉터는 제4저항(R4)를 매개로 제2축전기(C2)와 연결하고, 베이스는 상기 전원부(VCC)와 병렬로 연결된 제3저항(R3) 및 제1축전기(C1)와, 그리고 제2저항(R2)을 매개로 제1트랜지스터의 컬렉터와 연결되도록 한다.
제어부(120)는 기본구성으로서 제2스위치(제2트랜지스터)의 구동 상태에 따라 전하가 누적되는 제2축전기, 상기 제2축전기의 전하 누적량이 기 설정값 이상인 경우 제3스위치를 턴온 시키는 제너다이오드, 그리고 상기 제너다이오드의 턴온 신호에 따라 회로를 차단하는 제3스위치를 포함한다.
즉, 본 제어부(120)는 앞서 설명한 이벤트 검출부(110)가 누적적으로 제2축전기에 전하를 공급하였을 때 제2축전기의 전하 누적량이 기 설정값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며,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3스위치로 하여금 턴온되도록 하여 최종적으로 회로를 차단(IC_OFF)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제어부(120) 역시 트랜지스터 및 수동소자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할 때, 제3스위치는 트랜지스터로 구현할 수 있는데 이 때 이미터는 그라운드와 연결되고, 컬렉터는 회로 차단단자(IC_OFF)와 연결되며, 베이스는 제너다이오드를 매개로 상기 제2축전기와 연결되도록 함과 동시에 제5저항(R5)를 매개로 그라운드와 연결되도록 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LED장치 보호회로(100)의 구성 및 세부 회로도를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LED장치 보호회로(100)가 구동되는 과정을 순서에 따라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상기 LED장치 보호회로(100) 내 주요 node의 전압값을 시간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가장 먼저, 제1트랜지스터는 이벤트 신호를 수신한다. 이 때 인가되는 이벤트 신호는 도 3의 첫 번째 그래프와 같이 일정한 크기(1V)의 전압이 반복패턴을 가진다.
한편, 제1트랜지스터는 베이스단과 이미터단의 전압 차이가 특정 값(예. 0.7V)을 초과하는 경우 턴온 되는데, 앞서 이벤트 신호로서 인가되는 전압이 상기 특정 값을 초과하는 경우 반복적으로 턴온되어 컬렉터와 이미터가 도통, 즉 전류가 흐를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제1트랜지스터의 컬렉터와 이미터가 도통이 되는 경우 제2트랜지스터의 베이스단 전압은 낮아지게 되는데, 이 때에도 역시 제2트랜지스터의 베이스단과 이미터단의 전압 차이가 특정 값을 초과하게 되는 경우 제2트랜지스터가 턴온 되어 컬렉터와 이미터가 도통이 된다. 도 3의 두 번째 그래프는 제2트랜지스터의 베이스단 전압을 그린 것으로, 이벤트 신호가 반복적으로 인가될 때마다 제2트랜지스터의 베이스단 전압이 하강(low-level)함을 할 수 있다.
한편, 제2트랜지스터의 컬렉터와 이미터가 도통이 되는 경우, 전류는 컬렉터->이미터 방향으로 흐르고, 반대로 전하는 이미터->컬렉터로 공급되는데 이 때 공급된 전하는 제2트랜지스터의 컬렉터와 연결된 제2축전기(C2)에 누적된다. 전하가 제2축전기(C2)에 누적되어 전압이 상승되는 모습은 도 3의 세 번째 그래프에 나타나 있다.
제2축전기(C2)에 전하가 일정량 누적되어 전압이 특정 값까지 상승하는 경우, 제2축전기의 일단에 연결된 제너다이오드의 항복전압을 초과하는 순간이 도래(도 4의 네 번째 그래프)하는데, 이 때 상기 제너다이오드는 도통이 됨과 동시에 해당 전압을 제3트랜지스터(TR3)의 베이스단에 인가하게 된다. 참고로 제너다이오드란 정전압 장치에 이용되는 다이오드로서, 역방향 전압을 가하는 경우 전압이 특정 수치 이상이 되면 토동되어 전류가 급격히 증가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3트랜지스터(TR3)에 일정 크기의 전압이 인가되어 제3트랜지스터의 베이스단과 이미터단의 전압 차가 특정 값 이상이 되면 제3트랜지스터가 턴온되며, 이에 따라 컬렉터와 이미터가 도통된다. 컬렉터와 이미터가 도통되는 경우 제3트랜지스터의 컬렉터단 전압은 급격히 강하(도 3의 다섯 번째 그래프)하게 되는데, 상기 컬렉터단에 회로 차단단자를 연결시킴으로써 전체 LED장치의 회로가 차단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LED장치 보호회로(100)의 구동 과정에 대해 살펴보았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이벤트 신호의 인가에 대한 회로의 구동 민감도를 조절할 수 있다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회로가 수동소자로 구현되어 있음을 상기해 볼 때, 회로의 구동 민감도는 수동소자의 저항값 또는 용량값을 변경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트랜지스터의 컬렉터 단에는 제4저항과 제2축전기가 직렬로 연결되는데, 이 때 컬렉터로 흐르는 전류를 I2라 할 때 제2축전기(C2)의 전압 출력(V_C2)은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at00001
이에 따르면, 제2축전기의 상승 전압 크기는 제2축전기 또는 제4저항의 소자값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제2축전기의 전압 상승 속도 역시 시상수(R4/C2)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르는 경우 제2축전기를 얼마나 빠르게 상승시킬 것인지를 제어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회로의 구동 민감도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구별되어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LED장치 보호회로 100
이벤트 검출부 110
제어부 120

Claims (8)

  1. 구동에 필요한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부;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이벤트 신호의 유효성을 파악하는 이벤트 검출부; 및
    상기 이벤트 신호의 유효성 여부에 따라 회로 차단여부를 판단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LED장치 보호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검출부는, 수신되는 이벤트 신호의 반복패턴을 카운트(count)하여 상기 이벤트 신호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벤트 신호의 카운트 수가 기 설정된 수 이상인 경우 회로를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장치 보호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이벤트 검출부는,
    상기 이벤트 신호의 입력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 상태가 되는 제1스위치;
    상기 제1스위치가 온상태이면 제2스위치와 연결된 제2축전기에 전하를 누적시키고, 상기 제1스위치가 턴오프 상태이면 상기 제2축전기에의 전하 누적을 중지하는 제2스위치;
    를 포함하고,
    상기 제2축전기에의 전하 누적량에 따라 상기 수신된 이벤트 신호의 반복패턴을 카운트(count)하는 LED장치 보호회로.
  4. 제3항에 있어서,
    제1스위치 또는 제2스위치는 트랜지스터인 LED장치 보호회로.
  5. 제4항에 있어서, 제1스위치의
    이미터(E)는 그라운드;와 연결되고,
    컬렉터(C)는 타단이 제2스위치의 베이스와 연결된 제2저항(R2)의 일단;과 연결되고,
    베이스(B)는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는 LED장치 보호회로.
  6. 제5항에 있어서, 제2스위치의
    이미터는(E)는 전원부;와 연결되고,
    컬렉터(C)는 타단이 제2축전기와 연결된 제4저항(R4)의 일단;과 연결되고,
    베이스(B)는, 상기 전원부와 병렬로 연결된 제3저항(R3) 및 제1축전기(C1);와 연결되고, 일단이 상기 제1스위치의 컬렉터와 연결된 제2저항(R2)의 타단;과 연결되는 LED장치 보호회로.
  7. 제3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상기 제2스위치의 작동 상태에 따라 전하가 누적되는 제2축전기;
    상기 제2축전기의 전하 누적량이 기 설정값 이상인 경우 제3스위치를 턴온 시키는 제너다이오드; 및
    상기 제너다이오드의 턴온 신호에 따라 회로를 차단하는 제3스위치;
    를 포함하는 LED장치 보호회로.
  8. 제7항에 있어서,
    제3스위치는 트랜지스터이고, 제3스위치의
    이미터(E)는 그라운드와 연결되고,
    컬렉터(C)는 회로 차단단자와 연결되고,
    베이스(B)는 타단이 상기 제2축전기와 제4저항과 연결되는 제너다이오드(ZD1)의 일단; 및 타단이 그라운드와 연결된 제5저항(R5)의 일단;과 연결되는 LED장치 보호회로.

KR1020150068115A 2015-05-15 2015-05-15 Led장치 보호회로 KR201601342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8115A KR20160134287A (ko) 2015-05-15 2015-05-15 Led장치 보호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8115A KR20160134287A (ko) 2015-05-15 2015-05-15 Led장치 보호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4287A true KR20160134287A (ko) 2016-11-23

Family

ID=57541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8115A KR20160134287A (ko) 2015-05-15 2015-05-15 Led장치 보호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3428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23552A1 (en) 2013-11-07 2015-05-07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Overvoltage Protection Circuit, LED Backlight Driving Circuit and LCD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23552A1 (en) 2013-11-07 2015-05-07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Overvoltage Protection Circuit, LED Backlight Driving Circuit and LC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85640B2 (en) Control circuit for a DC motor
EP1393443B1 (en) Overcurrent detection and protection apparatus for switching element
US8270138B2 (en) Power supply controller and threshold adjustment method thereof
US8379360B2 (en) Overcurrent protection circuit and in-vehicle display device
US8054602B2 (en) Power supply controller
US20080048877A1 (en) Power supply controller
US6831447B1 (en) Surge limiting circuit with optional short circuit detection
JP2001216033A (ja) 電源供給制御装置および電源供給制御方法
US10256805B2 (en) Protective circuit with current regulating digital output module
US20140118873A1 (en) Power module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malfunctio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reof
CN213304965U (zh) 过压保护电路及过压保护器
EP3306767B1 (en) A circuit protection arrangement
CN110967568B (zh) 静电放电检测装置
CN211116736U (zh) 风扇的故障检测电路与风扇系统
JP2011152003A (ja) 過電圧保護回路、及び過電圧保護方法
CN101504537A (zh) 用于自动化设备的负逻辑输出的控制和保护系统
KR20160134287A (ko) Led장치 보호회로
KR101145501B1 (ko) 2 와이어 터치 센서 인터페이스
CN107394749B (zh) 一种保护电路
KR20190093554A (ko) 과전압 보호기
KR20090070082A (ko) 차량용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209978979U (zh) 一种计量仪表累计气量检测电路
CN108736877B (zh) 驱动电路
JP2013031273A (ja) 過電圧保護回路
JP2010231509A (ja) 過電圧検出回路、過電圧保護回路