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4148A - 클라우드 구조의 홈네트워크 시스템 - Google Patents

클라우드 구조의 홈네트워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4148A
KR20160134148A KR1020150067684A KR20150067684A KR20160134148A KR 20160134148 A KR20160134148 A KR 20160134148A KR 1020150067684 A KR1020150067684 A KR 1020150067684A KR 20150067684 A KR20150067684 A KR 20150067684A KR 20160134148 A KR20160134148 A KR 201601341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household
interworking
home network
gene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7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8111B1 (ko
Inventor
이재형
이승민
김재웅
노양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쥬드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쥬드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쥬드림
Priority to KR1020150067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8111B1/ko
Publication of KR20160134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41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8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8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3Processing of data at an internetworking point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23Reporting information sensed by appliance or service execution status of appliance services in a home automation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05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by checking avail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라우드 구조의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홈 네트워크 시스템 구조를 오픈 타입으로 제공하고 클라우드 제어서버와 연동되게 함으로써 전 세대의 주장치에 개별 객체화면을 제공할 수 있고 원격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 클라우드 구조의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HN 연동단말기 화면의 구성이 용이하므로 기존 월패드의 변경시 전세대가 변경할 필요가 없고, 화면의 편집이나 화면에 포함된 키버튼 항목에 대해 유저가 자유롭게 선택해서 구성할 수 있으므로 편의성과 효율성이 매우 높다. 또한, 주변 상가정보나 광고정보를 효율적으로 유저에게 전송할 수 있으며, 스마트 기기나 연동단말기의 고장여부 체크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고, 촬상된 방문자의 사진정보 등을 연동단말기나 클라우드 제어서버에 대량으로 저장할 수 있으므로 메모리 확장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클라우드 구조의 홈네트워크 시스템{HOME NETWORK SYSTEM OF A CLOUD STRUCTURE}
본 발명은 클라우드 구조의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홈 네트워크 시스템 구조를 오픈 타입으로 제공하고 클라우드 제어서버와 연동되게 함으로써 전 세대의 주장치에 개별 객체화면을 제공할 수 있고 원격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 클라우드 구조의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최근 정보 기술의 발전으로 PC뿐만 아니라 휴대 전화, 디지털 TV, PDA, 게임기 등 다양한 홈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이 하나의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있으며, 이러한 네트워크 환경이 가정 내로 파급되면서 특허등록 10-796893과 같은 홈네트워크 관련 기술이 크게 주목받고 있다.
전술한 홈 네트워크 기술은 가정내의 홈 네트워크 디바이스들을 하나의 망(topology)으로 연결해 이들이 서로의 디지털 데이터를 공유하고 광대역 통신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 주는 환경을 말하며, 협의로는 가정내의 홈 네트 워크 디바이스들을 연결하는 유선 및 무선 네트워크 장비 그 자체를 의미하고, 광의로는 홈 네트워크는 그 장비뿐만 아니라 홈 네트워크 디바이스 상호간의 통합/제어/운영을 위한 미들웨어나, 서비스 등을 포괄한다.
이러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다수의 스마트 가전에 대한 원격 제어 및 자동 제어를 수행할 수 있으며, 최근에는 아파트와 같은 공동 집합 건축구조에 적용되어 경비실 모니터링 장치와 연동됨으로써 유저 편의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이러한 구조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폐쇄형 구조이므로 세대별 기기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전 세대의 기기를 모두 변경해야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기존의 홈 네트워크 시스템은 쌍방향으로 각 세대에 구비된 세대기에 대한 고장여부를 진단할 수 없었으며, 월패드 등의 비디오 출력장치에 비디오 저장공간이 부족하므로 장시간의 방문자 녹화데이터를 저장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홈 네트워크 시스템 구조를 오픈 타입으로 제공하고 클라우드 제어서버와 연동되게 함으로써 전 세대의 주장치에 개별 객체화면을 제공할 수 있고 원격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 클라우드 구조의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 세대내에 구비된 다수의 스마트 기기에 대해 구동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각 스마트 기기의 작동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세대별 HN 주장치(20)와; 상기 세대별 HN 주장치(20)와 연동하여, 상기 세대별 HN 주장치(20)와 동일한 제어신호를 스마트 기기에 발생시키며, 상기 클라우드 제어서버(40)와 연동하여 상기 세대별 HN 주장치(20)의 데이터를 백업시키는 HN 연동 단말기(2)와; 상기 HN 연동 단말기(2)와 연동되어 각 세대별 개별 객체화면을 제공하며, 방문자 촬상화면과 같은 세대별 HN 주장치(20)의 세대별 데이터를 백업하여 저장하고, 상기 HN 연동 단말기(2)로 해당 세대 스마트 기기의 개별 제어신호를 중계 처리하는 클라우드 제어서버(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구조의 홈네트워크 시스템.
바람직하게, 상기 HN 연동 단말기(2)는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단말기 또는 태블릿 PC의 형태인 포터블 단말기이며, 단일의 세대별 HN 주장치(20)에 대해 다수개가 연동되게 등록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구조의 홈네트워크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클라우드 제어서버(40)는 상기 HN 연동 단말기(2)로부터 전송된 세대별 데이터를 백업하는 DB서버(60)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구조의 홈네트워크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클라우드 제어서버(40)는 그 내부에, 각 세대내 스마트 기기에 대해 개별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고, 그 구동상태를 모니터링하며,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HN 관리 제어서버(50)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구조의 홈네트워크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단일의 상기 세대별 HN 주장치(20)에 대해 연동된 다수의 상기 HN 연동 단말기(2)는 세대내 스마트 기기를 제어하는 키버튼 항목 개수가 서로 다르게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구조의 홈네트워크 시스템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HN 관리 제어서버(50)는 그 내부에, 세대별로 구성된 상기 HN 연동 단말기(2)에 대해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51)과; 상기 HN 연동 단말기(2)에 설치할 연동 단말기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처리와 그 다운로드 현황을 관리하는 연동 단말기 어플리케이션 관리부(52)와; 상기 HN 연동 단말기(2)를 매개하여 각 세대별 HN 기기(스마트기기)의 고장 여부를 점검하는 세대별 HN 기기 점검부(53)와; 상기 HN 연동 단말기(2)를 매개하여 각 세대별 방문자 촬상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세대별 촬상 데이터 관리부(54)와; 상기 HN 연동 단말기(2)를 매개하여 각 세대별 기기에 대한 통제권을 부여받고 통제 설정정보를 등록하여 통제하는 세대별 기기 통제부(55)와; 상기 HN 연동 단말기(2)를 매개하여 상기 HN 연동 단말기(2) 또는 세대별 HN 주장치(20)로 전송할 광고데이터를 관리하는 광고데이터 관리부(56)와; 상기 HN 연동 단말기(2)에 대한 화면 편집정보를 각 HN 연동 단말기(2)의 식별정보와 매칭하여 관리하는 연동 단말기 화면 편집부(57)와; 상기 HN 연동 단말기(2)를 매개하여 각 세대별 홈 네트워크 정보를 백업하여 저장하고, 편집된 각 유저의 상기 HN 연동 단말기(2)의 화면 편집정보를 관리하고, 각 홈 네트워크 기기에 대한 고장 여부를 체크하여 각 세대로 통보하며, 특정 홈 네트워크 기기에 대해서 별도 인증을 통해 구동 통제를 수행하도록 제어 처리하는 제어부(58)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구조의 홈네트워크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구조의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HN 연동단말기 화면의 구성이 용이하므로 기존 월패드의 변경시 전세대가 변경할 필요가 없고, 화면의 편집이나 화면에 포함된 키버튼 항목에 대해 유저가 자유롭게 선택해서 구성할 수 있으므로 편의성과 효율성이 매우 높다. 또한, 주변 상가정보나 광고정보를 효율적으로 유저에게 전송할 수 있으며, 스마트 기기나 연동단말기의 고장여부 체크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고, 촬상된 방문자의 사진정보 등을 연동단말기나 클라우드 제어서버에 대량으로 저장할 수 있으므로 메모리 확장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구조의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구조의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포함된 세대별 HN 주장치와 클라우드 제어서버간 데이터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구조의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한 세대별 가전 통제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구조의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포함된 HN 관리제어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구조의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포함된 세대별 HN 연동 단말기에 대한 화면구성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구조의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구조의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포함된 세대별 HN 주장치와 클라우드 제어서버간 데이터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구조의 홈네트워크 시스템을 통한 세대별 가전 통제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구조의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홈 네트워크 시스템 구조를 오픈 타입으로 제공하고 클라우드 제어서버와 연동되게 함으로써 전 세대의 주장치에 개별 객체화면을 제공할 수 있고 원격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 시스템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구조의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각 세대내에 구비된 다수의 스마트 기기에 대해 구동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각 스마트 기기의 작동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세대별 HN 주장치(20)와; 상기 세대별 HN 주장치(20)와 연동하여, 상기 세대별 HN 주장치(20)와 동일한 제어신호를 스마트 기기에 발생시키며, 상기 클라우드 제어서버(40)와 연동하여 상기 세대별 HN 주장치(20)의 데이터를 백업시키는 HN 연동 단말기(2)와; 상기 HN 연동 단말기(2)와 연동되어 각 세대별 개별 객체화면을 제공하며, 방문자 촬상화면과 같은 세대별 HN 주장치(20)의 세대별 데이터를 백업하여 저장하고, 상기 HN 연동 단말기(2)로 해당 세대 스마트 기기의 개별 제어신호를 중계 처리하는 클라우드 제어서버(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HN 연동 단말기(2)는 홈 네트워크(HN) 연동 단말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단말기 또는 태블릿 PC의 형태인 포터블 단말기이며, 단일의 세대별 HN 주장치(20)에 대해 다수개가 연동되게 등록 가능하다.
즉, 세대원이 다수인 경우 다수개의 HN 연동 단말기(2)를 상기 단일의 세대별 HN 주장치(20)에 등록하여 해당 홈 네트워크내에 속한 다수의 스마트 기기를 제어토록 한다.
특히, 상기 HN 연동 단말기(2)는 무선 인터넷 모듈이 내장되어져 있으므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CC 카메라(4)나 세대 현관 카메라(8)를 통한 비디오 신호를 각 세대의 TV(6)로 인터페이스할 수 있고, 상기 클라우드 제어서버(40)로 전송하여 별도의 세대별 촬상데이터 저장공간(62)을 통해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HN 연동 단말기(2)는 CC 카메라(4)나 세대 현관 카메라(8)를 통한 비디오 신호를 상기 HN 연동 단말기(2)에 자체 저장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구조의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상기 클라우드 제어서버(40)내의 DB서버(60)에 저장된 광고데이터를 상기 HN 연동 단말기(2)나 또는 세대 TV(6) 또는 세대별 HN 주장치(20)를 통해 화면 및 음성, 음향으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클라우드 제어서버(40)는 그 내부에, 각 세대내 스마트 기기에 대해 개별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고, 그 구동상태를 모니터링하며,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HN 관리 제어서버(50)와; 상기 HN 연동 단말기(2)로부터 전송된 세대별 데이터를 백업하는 DB서버(60)가 더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구조의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상기 세대별 HN 주장치(20) 또는 HN 연동단말기(2)가 관리할 수 있는 해당 홈 네트워크 범위내의 스마트 기기에 대해, 상기 클라우드 제어서버(40)는 단선이나 고장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즉, 상기 클라우드 제어서버(40)는 상기 세대별 HN 주장치(20) 또는 HN 연동단말기(2)를 매개하여 해당 홈 네트워크 범위내의 스마트 기기에 대해 점검신호를 전송하고, 그 확인신호를 수신함으로써 해당 스마트 기기들의 정상 동작을 체크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구조의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상기 세대별 HN 주장치(20) 또는 HN 연동단말기(2)를 매개하여 특정 스마트 기기 예컨대, 자녀의 PC(12)에 대한 구동 통제를 수행할 수 있는 바,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구조의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원격지에 위치된 상기 클라우드 제어서버(40)에 자녀의 PC(12)에 대한 구동 통제를 수행하게 함으로써 자녀가 스스로 자신의 PC(12)에 대한 통제권에 접근하지 못하게 한다.
예컨대, 상기 클라우드 제어서버(40)에 특정 PC(12)의 통제권을 해제하도록 요청하는 경우에는 최초 설정자의 HN 연동단말기(12)를 통해서 설정하되, 별도의 유저 인증 예컨대, 비밀번호 인증 등을 통해서 수행되게 함으로써 단지 자녀가 부모의 비밀번호만을 안다고 해도 부모의 스마트폰을 통한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특정 PC(12)에 대한 서버의 통제권이 해제되지 않아서 통제를 수행할 수 없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구조의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포함된 HN 관리제어서버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구조의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포함된 HN 관리제어서버(50)는 그 내부에, 세대별로 구성된 상기 HN 연동 단말기(2)에 대해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51)과; 상기 HN 연동 단말기(2)에 설치할 연동 단말기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처리와 그 다운로드 현황을 관리하는 연동 단말기 어플리케이션 관리부(52)와; 상기 HN 연동 단말기(2)를 매개하여 각 세대별 HN 기기(스마트기기)의 고장 여부를 점검하는 세대별 HN 기기 점검부(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HN 관리제어서버(50)는 그 내부에, 상기 HN 연동 단말기(2)를 매개하여 각 세대별 방문자 촬상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세대별 촬상 데이터 관리부(54)와; 상기 HN 연동 단말기(2)를 매개하여 각 세대별 기기에 대한 통제권을 부여받고 통제 설정정보를 등록하여 통제하는 세대별 기기 통제부(55)와; 상기 HN 연동 단말기(2)를 매개하여 상기 HN 연동 단말기(2) 또는 세대별 HN 주장치(20)로 전송할 광고데이터를 관리하는 광고데이터 관리부(5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상기 HN 관리제어서버(50)는 그 내부에, 상기 HN 연동 단말기(2)를 매개하여 각 세대별 홈 네트워크 정보를 백업하여 저장하고, 편집된 각 유저의 상기 HN 연동 단말기(2)의 화면 편집정보를 관리하고, 각 홈 네트워크 기기에 대한 고장 여부를 체크하여 각 세대로 통보하며, 특정 홈 네트워크 기기에 대해서 별도 인증을 통해 구동 통제를 수행하도록 제어 처리하는 제어부(5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구조의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포함된 세대별 HN 연동 단말기에 대한 화면구성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구조의 홈네트워크 시스템에 포함되며, 상기 세대별 HN 주장치(20)에 연동되는 다수의 상기 HN 연동단말기(2)는 그 화면이 모두 동일할 필요는 없다.
예컨대, 동일 세대에 포함된 세대원이 휴대하는 다수의 상기 HN 연동단말기(2)중 적어도 2개는 부모가 소지할 것이고, 또한 소정개수는 자녀가 소지할 것인 바, 이때 자녀가 가스를 차단하거나 조명이나 난방을 제어할 필요가 없는 경우라면 해당 자녀의 HN 연동단말기(2)의 화면은 도어락 제어(12a), TV 제어(12b), 전화기 제어(12c)와 같이 화면의 출력항목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또한, 부모의 상기 HN 연동단말기(2)의 화면은 도어락 제어(12a), TV 제어(12b), 전화기 제어(12c), 가스밸브 제어(12d), 조명제어(12e), 난방제어(12f) 등과 같은 항목으로 화면의 출력항목이 편집될 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구조의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단일의 상기 세대별 HN 주장치(20)에 대해 연동된 다수의 상기 HN 연동 단말기(2)는 세대내 스마트 기기를 제어하는 키버튼 항목 개수가 서로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HN 관리 제어서버(50)도 상기 HN 연동단말기(2)와 연동되어 키신호에 대해 인지할 수 있어야 하므로, 상기 HN 관리 제어서버(50)내에는 상기 HN 연동 단말기(2)에 대한 화면 편집정보를 각 HN 연동 단말기(2)의 식별정보와 매칭하여 관리하는 연동 단말기 화면 편집부(57)가 더 포함되어져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구조의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2:HN 연동단말기, 20:세대별 HN 주장치,
40:클라우드 제어서버, 50:HN 관리제어서버,
60:DB서버.

Claims (6)

  1. 각 세대내에 구비된 다수의 스마트 기기에 대해 구동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각 스마트 기기의 작동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세대별 HN 주장치(20)와;
    상기 세대별 HN 주장치(20)와 연동하여, 상기 세대별 HN 주장치(20)와 동일한 제어신호를 스마트 기기에 발생시키며, 상기 클라우드 제어서버(40)와 연동하여 상기 세대별 HN 주장치(20)의 데이터를 백업시키는 HN 연동 단말기(2)와;
    상기 HN 연동 단말기(2)와 연동되어 각 세대별 개별 객체화면을 제공하며, 방문자 촬상화면과 같은 세대별 HN 주장치(20)의 세대별 데이터를 백업하여 저장하고, 상기 HN 연동 단말기(2)로 해당 세대 스마트 기기의 개별 제어신호를 중계 처리하는 클라우드 제어서버(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구조의 홈네트워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HN 연동 단말기(2)는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단말기 또는 태블릿 PC의 형태인 포터블 단말기이며, 단일의 세대별 HN 주장치(20)에 대해 다수개가 연동되게 등록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구조의 홈네트워크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제어서버(40)는 상기 HN 연동 단말기(2)로부터 전송된 세대별 데이터를 백업하는 DB서버(60)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구조의 홈네트워크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우드 제어서버(40)는 그 내부에, 각 세대내 스마트 기기에 대해 개별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고, 그 구동상태를 모니터링하며, 고장 여부를 판단하는 HN 관리 제어서버(50)가 더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구조의 홈네트워크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단일의 상기 세대별 HN 주장치(20)에 대해 연동된 다수의 상기 HN 연동 단말기(2)는 세대내 스마트 기기를 제어하는 키버튼 항목 개수가 서로 다르게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구조의 홈네트워크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HN 관리 제어서버(50)는 그 내부에, 세대별로 구성된 상기 HN 연동 단말기(2)에 대해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모듈(51)과;
    상기 HN 연동 단말기(2)에 설치할 연동 단말기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 처리와 그 다운로드 현황을 관리하는 연동 단말기 어플리케이션 관리부(52)와;
    상기 HN 연동 단말기(2)를 매개하여 각 세대별 HN 기기(스마트기기)의 고장 여부를 점검하는 세대별 HN 기기 점검부(53)와;
    상기 HN 연동 단말기(2)를 매개하여 각 세대별 방문자 촬상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세대별 촬상 데이터 관리부(54)와;
    상기 HN 연동 단말기(2)를 매개하여 각 세대별 기기에 대한 통제권을 부여받고 통제 설정정보를 등록하여 통제하는 세대별 기기 통제부(55)와;
    상기 HN 연동 단말기(2)를 매개하여 상기 HN 연동 단말기(2) 또는 세대별 HN 주장치(20)로 전송할 광고데이터를 관리하는 광고데이터 관리부(56)와;
    상기 HN 연동 단말기(2)에 대한 화면 편집정보를 각 HN 연동 단말기(2)의 식별정보와 매칭하여 관리하는 연동 단말기 화면 편집부(57)와;
    상기 HN 연동 단말기(2)를 매개하여 각 세대별 홈 네트워크 정보를 백업하여 저장하고, 편집된 각 유저의 상기 HN 연동 단말기(2)의 화면 편집정보를 관리하고, 각 홈 네트워크 기기에 대한 고장 여부를 체크하여 각 세대로 통보하며, 특정 홈 네트워크 기기에 대해서 별도 인증을 통해 구동 통제를 수행하도록 제어 처리하는 제어부(58)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구조의 홈네트워크 시스템.
KR1020150067684A 2015-05-14 2015-05-14 클라우드 구조의 홈네트워크 시스템 KR101708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7684A KR101708111B1 (ko) 2015-05-14 2015-05-14 클라우드 구조의 홈네트워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7684A KR101708111B1 (ko) 2015-05-14 2015-05-14 클라우드 구조의 홈네트워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4148A true KR20160134148A (ko) 2016-11-23
KR101708111B1 KR101708111B1 (ko) 2017-02-20

Family

ID=57541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7684A KR101708111B1 (ko) 2015-05-14 2015-05-14 클라우드 구조의 홈네트워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811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7127A (ko) * 2012-12-13 2014-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디바이스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50045206A (ko) * 2013-10-18 2015-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격 제어 시스템, 모바일 디바이스 및 디지털 디바이스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7127A (ko) * 2012-12-13 2014-06-23 삼성전자주식회사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디바이스 제어 방법 및 장치
KR20150045206A (ko) * 2013-10-18 2015-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격 제어 시스템, 모바일 디바이스 및 디지털 디바이스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8111B1 (ko) 2017-0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87447B2 (en) Configuration and management of smart nodes with limited user interfaces
US11178144B2 (en) Apparatus and method by which user device in home network system transmits home-device-related information
US10119714B2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tely controlling IR-enabled appliances via networked device
CN101946267B (zh) 匹配通信设备
RU2620992C2 (ru) Дистанционное управление и системы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управления
CN105850076A (zh) 在家庭网络系统中的服务器中注册家庭设备的装置和方法
US10867507B2 (en) Set-top box gateway architecture for universal remote controller
US2016036411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mart Home Automation Using a Multifunction Status and Entry Point Icon
CN108141395A (zh) 包括云和家庭消息队列同步的家庭自动化系统及相关方法
CN107615783A (zh) 家庭自动化系统的硬件元件的无线预置和配置
CN102422552A (zh) 设备间无线通信管理方案
JP2016503539A (ja) 論理センサー・プラットフォーム用の論理センサー・サーバー
JP2011182344A (ja) 電気機器制御システム
CN107851046A (zh) 自动化环境中触发器执行的委托
KR20150072885A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이벤트 통지 방법 및 장치
KR101708111B1 (ko) 클라우드 구조의 홈네트워크 시스템
US20230119043A1 (en) Operating-system-level permission management for multi-ecosystem smart-home devices
Chatzigiannakis Apps for smart buildings: A case study on building security
Maiti Home automation as a service
CN104038791A (zh) Iptv业务的放装实现方法及装置
CN105389733A (zh) 社交网络中的朋友退化
CN105933371B (zh) 统一的通知和响应系统
US20240087382A1 (en) Smart thermostat hub with private and public network support
KR101667288B1 (ko) 댁내에서의 cctv 영상을 제공하는 영상 제공 시스템
JP7422654B2 (ja) 防犯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