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4071A - 개폐능력 시험 장치 - Google Patents

개폐능력 시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4071A
KR20160134071A KR1020150067490A KR20150067490A KR20160134071A KR 20160134071 A KR20160134071 A KR 20160134071A KR 1020150067490 A KR1020150067490 A KR 1020150067490A KR 20150067490 A KR20150067490 A KR 20150067490A KR 20160134071 A KR20160134071 A KR 201601340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cam
physical
physical loa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7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17641B1 (ko
Inventor
문제달
박상서
경성현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67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7641B1/ko
Publication of KR20160134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4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7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76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1R31/3606
    • G01R31/3658
    • G01R31/3679

Landscapes

  •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nd Detecting Electric Faults (AREA)

Abstract

축전지의 개폐능력 시험 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개폐능력 시험 장치는 축전지와 연결하여 전기적 에너지를 물리적 운동으로 변환하고, 상기 물리적 운동에 적용되는 물리적 부하를 조절하는 작동부; 및상기 물리적 운동을 측정하여 축전지의 개폐능력을 판단하는 판단부;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개폐능력 시험 장치{Testing device of switchgear}
본 발명은 개폐능력 시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개폐기의 정상 작동여부를 시험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전선로의 고장 등의 사고는 장시간의 전력공급중단에 직접 관여되어 있어, 사회적으로도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 이에 따라, 배전계통의 각종 설비는 물론 수용가의 부하에 이르기까지 모든 정보를 온라인으로 수집, 원격 운전토록 시스템화하여 계통의 신뢰도 향상 등을 위해 배전지능화시스템이 적극 추진하는 추세이다. 하지만, 현재 배전 지능화시스템에서 축전지 시험은 축전지 및 충전회로 출력단의 전압만을 검사하고, 개폐기의 투입 및 개방 가능 여부를 확인할 수 없다. 따라서, 외부전원 상실상태에서는 불량한 축전지만으로는 원격 조작에 요구되는 충분한 용량을 확보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시 축전지의 개폐능력에 대한 점검이 이루어지도록 다수의 제조사에 의해 제조되는 각각의 개폐기의 전류특성을 모두 수용 가능하도록 물리적 부하가 조절 가능한 개폐능력 시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개폐능력 시험 장치는 축전지와 연결하여 전기적 에너지를 물리적 운동으로 변환하고, 상기 물리적 운동에 적용되는 물리적 부하를 조절하는 작동부; 및 상기 물리적 운동을 측정하여 상기 축전지의 개폐능력을 판단하는 판단부; 를 포함한다.
상기 작동부는 상기 축전지와 연결되어 구동되는 전동기; 상기 전동기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캠; 상기 캠과 연결하여 상기 물리적 부하를 전달하는 전달부재;
상기 전달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물리적 부하가 발생하는 압축 스프링; 및 상기 압축스프링의 압축강도를 조절하여 상기 물리적 부하의 크기 조절이 가능한 조절체; 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캠이 기 설정된 회전수 또는 회전각도에 따라 회전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축전지의 개폐능력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조절체는 상기 물리적 부하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나타나는 상기 전동기와 상기 축전지 사이의 구동 전류 특성이 상기 축전지에 연결된 개폐기를 작동하여 나타나는 구동 전류 특성을 포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회전각도는 360도일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은 1초일 수 있다.
상기 판단부의 전원은 FRTU(Feeder Remote Terminal Unit)의 외부전원과 연결될 수 있다.
시험 명령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작동부 및 상기 판단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축전지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전원 절체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의 전원은 상기 FRTU(Feeder Remote Terminal Unit)의 외부전원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주기적으로 시험 명령 신호를 받을 수 있다.
평상시 점검원이 현장에 가지 않고, 외부 AC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주기적으로 축전지의 개폐능력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개폐능력이 정상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점검원이 현장에 가서 고장진행 정도 등을 파악하며, 그에 따른 정확한 불량원인 분석 및 보수를 진행하므로 결론적으로 인건비 절약, 배전신뢰도 유지 및 효율적인 전원장치 관리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자동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자동화기기의 전원 공급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폐능력 시험장치를 추가한 자동화 기기 전원 공급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폐능력 시험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동부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동부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동부의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전지와 연결된 전동기에 흐르는 전류 특성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개폐기에 흐르는 전류 특성곡선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자동화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배전자동화시스템(DAS, Distribution Automation System)의 주장치(100)는 배전선로 상에 설치된 배전자동화기기(800)를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 제어할 수 있다. 배전자동화기기(800)은 개폐기(600)와 제어함(500)을 포함할 수 있다. 배전자동확기기(800)의 고장이 인식되면, 주장치(100)로부터 조작명령이 제어함에 송신되어 자동화개폐기(이하 개폐기)(600)가 조작된다. 이를 통해, 개폐기(600)는 고장구간 축소 등의 고장복구 작업을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배전자동화기기(800)는 고전압 배전선로를 연결 또는 분리하기 위해 On/Off의 스위칭 기능을 하는 개폐기(600)와 개폐기(600)를 제어하는 제어함(500)으로 구성되어 있다. 개폐기(600)는 대부분 기계적인 기구로 구성되어 있고 제어함(500)은 개폐기(600) 운전정보를 취득하여 통신매체를 통해 주장치(100)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주장치(100)는 개폐기(600) 고장 시에 고장 발생여부를 전달하고, 개폐기(600) 조작명령을 받아 상부의 개폐기(600)를 조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배전자동화기기의 전원 공급도이다. 외부 전원(500)은 제어함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단말 제어부(700)는 외부전원(500)의 교류 전력을 받아 직류전력으로 변환하여, 축전지(400)를 충전하고 개폐기, 원격제어단말(FRTU, Feeder Remote Terminal Unit, 이하 FRTU)(200) 및 통신기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전 등이 아닌 일반적인 경우에는 외부전원(500)에 의해 교류전력이 공급되어, 개폐기(600) 조작 및 축전지(400) 충전이 이루어 질 수 있다. 그러나, 정전 등의 외부전원(500)의 상실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축전지(400)에 의해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축전지(400)가 충분히 충전되지 않았다면, 개폐기(600) 조작 구동전원이 확보되지 않아 자동화 시스템의 고장구간 축소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어, 전력공급 신뢰도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폐능력 시험장치를 추가한 자동화 기기 전원 공급도이다. 그리고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폐능력 시험장치의 구성도이다. 먼저, 도 3은 도 2에서 단말 제어부(700)와 축전지(400) 사이에 도 4에 도시된 개폐능력 시험 장치(400)를 추가하여, 외부전원(500)이 상실하는 경우에 축전지(400)의 전원 공급 건전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개폐능력 시험장치(300)는 축전지(400)에 의해 개폐기(600)의 구동전원 확보여부를 판단하는 장치이다.
개폐능력 시험 장치(300)는 작동부(310), 판단부(320) 및 제어부(33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작동부(310)는 축전지(4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전선 등으로 연결되며, 전기에너지를 물리적 회전운동으로 변환하는 전동기 등에 연결하여 조절가능한 물리적 부하가 전동기에 작용하는 장치이다. 물리적 부하의 조절을 통해, 축전지(400)와 작동부(310) 사이에 흐르는 전류 특성 그래프가 기존의 다양한 제조사의 개폐기(600) 동작(투입 또는 개방)시에 축전지(400)에 흐르는 전류 특성 그래프를 수용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로써, 개폐기 시험 장치(300)는 높은 호환성을 가질 수 있다.
판단부(320)는 작동부(310)의 물리적 결과를 바탕으로 축전지(400)가 개폐기(600)의 동작(투입 또는 개방)을 수행할 수 있는 상태인지 판단할 수 있다.
작동부(310)에서는 예를들면, 캠의 회전여부를 기준으로 개폐능력을 판단한다. 즉, 캠의 회전 동작이 기 설정된 회전수 또는 회전 각도를 충족하면 정상인 것으로 판단하고, 기 설정된 회전수 또는 회전각도를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 비정상인 것으로 판단한다. 예를 들면 작동부는 캠이 1회전(360도 회전)하면 정상, 1회전(360도 회전) 하지 못하는 경우는 불량으로 판단한다. 캠의 회전수와 회전각도는 캠의 종류와 전류 특성, 외부 환경 등의 요인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작동부(310)는 캠의 회전동작이 기 설정된 시간 이내에 수행되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개폐능력을 판단한다. 일반적으로 개폐기(600)의 투입 또는 개방에서 전류특성은 1초내에 이루어지므로, 캠의 1회전(360도 회전)이 1초내에 발생하는지를 기준으로 개폐능력을 판단할 수 있다. 캠의 회전동작을 판단하기 위한 시간은 캠의 종류와 투입되는 전류 특성, 외부 환경 등의 요인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판단부(320)의 전원은 FRTU(200)의 외부전원(500)으로부터 제공 받는다. 이를 통해 전압분배에 의한 축전지(400)의 전압강하를 차단하여 개폐시험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330)는 주장치로부터의 시험명령 등을 담은 조작정보를 FRTU(200) 및 단말 제어부(700)로부터 무선 또는 유선 통신의 통신수단(340)을 통해 송수신한다. 주기적으로 시험을 수행하는 명령을 받을 수도 있다. 또한 시험 명령 신호는 주장치 뿐만 아니라, 전단처리장치(FEP, Front End Processor)의 스케쥴 명령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여기서 통신수단(340)은 유선 랜(Local Area Network; LAN), 이더넷(Ethernet),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무선 랜(Wireless LA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30)는 전원 절체 장치(350)를 통해 단말제어부(700) 등에 대한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작동부(310)의 시동과 판단부(320)의 결과를 주장치 등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전원 절체 장치(350)는 시험명령이 없는 경우에는 축전지(400)와 단말 제어부(700)간에 전원공급이 가능하도록 연결하고, 시험명령이 있는 경우에는 전원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원 절체 장치(350)는 단말 제어부(700) 등의 내부 임피던스 영향이 없도록 하여 축전지(400)의 개폐능력 시험의 정확도를 보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전원 절체 장치(350)는 B접점 물리적 또는 전기적 릴레이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330)도 판단부(320)와 마찬가지로 축전지의 전압강하를 차단하기 위해, 외부전원(500)으로부터 전원을 제공받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동부의 구성도이다. 먼저 작동부는 전동기(311), 캠(312), 전달부재(314), 압축스프링(315), 제1고정축(313) 및 제 1조절체(316)으로 구성될 수 있다.
축전지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는 전동기(311)는 축전지의 전기적 에너지를 물리적 에너지로 변환한다. 전기적 에너지를 변환하여 물리적 회전운동을 수행하는 전동기(311)에 캠(312)이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캠(312)은 캠(312)의 회전을 담당하는 캠축(312-a)과 캠(312)의 돌출부분인 캠 노즈(312-b)를 포함할 수 있다. 캠축(312-a)은 전동기(311)의 회전 샤프트일 수 있다. 전달부재(314)는 캠(312) 과 일면이 접촉하고, 타면에는 압축스프링(315)이 접촉할 수 있다. 그리고 전달부재(314)는 지레의 원리에서 지레로 볼 수 있다. 그리고 받침점으로 제1고정축(3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고정축(313)의 위치조정은 물리적 부하가 캠(312)에 미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 1 조절체(316)를 위아래로 이동시켜서 물리적 부하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제 1조절체(316)를 압축스프링(315)과 전달부재(314)사이의 거리가 작아지는 경우에는 압축스프링(315)의 압축응력이 커지게 되어, 캠(312)에 큰 물리적 부하가 작용할 수 있다. 반대로, 거리가 증가하는 경우에는 캠(312)에 적은 물리적 부하가 작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조절체(316)는 물리적 부하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나타나는 전동기와 축전지 사이의 구동 전류 특성이 축전지에 연결된 개폐기를 작동하여 나타나는 전류 특성을 포함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조절체(316)의 높낮이 조절을 통해 물리적 부하의 크기를 조절하는 다이얼이나 레버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폐기에 맞춰서 다이얼, 레버 등에 지침을 표시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이러한 다이얼, 레버등의 조절은 무선 또는 유선통신을 통해 주장치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물론 다양한 개폐기를 모두 수용하도록 설정될 수도 있다.
또한, 제1고정축(313) 및 전달부재(314)를 이용하여 물리적 부하를 전달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도 6과 같이 제1고정축(313)을 제거하여 캠(312) 및 압축스프링(315)의 사이에 전달부재(314)를 놓을 수도 있다. 제1고정축(313)의 유무는 캠(312)의 회전에 물리적 부하의 전달방법의 다른 예로 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6을 바탕으로 작동부의 전동기에 의한 캠(312)의 회전정도에 따른 축전지와 연결된 전동기에 흐르는 작동부의 구동전류의 변화를 설명하겠다. 먼저, 캠 노즈(312-b)가 전동기의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전달부재(314)와 접촉하기 직전에는 압축스프링(315)에의한 부하가 전달되지 않아 적은 구동전류가 흐를 수 있다. 하지만 캠 노즈(312-b)가 회전하면서 전달부재(314)에 접촉하면, 압축스프링(315)의 압축응력이 캠의 회전에 부하로서 작용하기 시작하여 구동전류는 점차 증가할 수 있다. 캠(312)의 회전중에 캠 노즈(312-b)와 캠(312)의 기초 원(base circle)의 중심에 연결되는 직선과 전달부재가 이루는 각도가 90도가 될 때, 압축스프링(315)이 최대로 압축되므로 압축응력도 최대가 된다. 따라서 캠(312)에 미치는 물리적 부하의 크기도 최대가 되어 구동전류의 값도 최대로 증가한다. 그 이후에 회전하는 캠(312)은 점차 작은 압축응력을 받아 구동전류가 작아진다. 따라서 도 8과 같은 개폐능력 시험장치와 축전지 사이의 구동전류 특성 곡선이 나타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축전지와 연결된 전동기에 흐르는 전류 특성 그래프이다. 전류 특성 그래프는 기동 전류와 구동 전류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여기서, 기동전류는 정지상태에 있는 전동기 등에 전원을 가할 때에 흐르는 전류가 운전상태에 있을 때의 전류의 수배 정도로 나타난다. 그리고 기동전류의 특성은 전동기의 종류에 따라 변하므로, 개폐기의 전류 특성곡선에 적합한 전동기를 선정할 수 있다. 구동전류는 기동전류 이후에 전동기가 정상 구동에서 나타나는 전류로, 작동부에서 물리적 부하의 크기를 크게하면 구동전류는 커지고, 부하의 크기를 작게하면 구동전류는 작아진다. 따라서, 다양한 다양한 종류의 개폐기의 동작(투입 또는 개방)시에 나타나는 전류특성 곡선을 모두 수용하도록 작동부를 구성할 수 있다. 이로써, 개폐능력 시험장치는 다양한 개폐기에 대한 축전지의 개폐능력 시험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폐능력 시험장치는 높은 호환성을 가진다. 추가적으로, 다이얼 또는 레버를 이용하여 물리적 부하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각각의 개폐기 전류특성을 수용가능하도록 미세 조정도 가능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동부의 구성도이다. 작동부에 다양한 모양의 회전체가 적용될 수 있지만, 캠으로 한정하여 설명하겠다. 축전지에 전동기를 연결하고, 전동기의 회전샤프트를 캠축으로 하여 캠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 때, 캠의 내부에 존재하는 제 2조절체(319)와 탄성이 있는 연결부재(318)는 연결할 수 있다. 이 때, 연결부재는 고무 등으로 탄성을 가진다. 또한, 제2 조절체(319)와 제2 고정축(317)에 고리형태 등으로 결합할 수 있다. 제2조절체(319)는 캠의 내부 어디든 위치할 수 있다. 물론 제 2 고정축(317)도 어느곳에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연결부재(318)의 일면을 고정하는 제2 고정축(317) 및 제2 조절체(319)의 위치에 따라 캠의 회전에 미치는 물리적 부하가 조절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고정축(317)이 캠의 기초 원의 상단에 존재하고 캠 노즈 부근에 제2 조절체(319)가 존재하면, 캠의 회전위치에 따라 연결부재(318)의 탄성에 의한 물리적 부하가 조절된다. 이는 늘어난 길이에 따라 탄성력이 변하기 때문이다. 캠의 노즈가 제2고정축(317)의 방향과 반대를 향하면 제2 조절체(319)와 제 2고정축(317)과의 거리가 최대가 될 수 있다. 이 때, 연결부재(318)가 늘어난 길이는 최대가 됨에 따라 최대 탄성력이 캠에 미치므로, 물리적 부하는 최대일 수 있다. 부하의 조절 방법을 통해, 다양한 제조사 별 개폐기가 동작(투입 또는 개방)시에 나타나는 구동전류 특성 곡선을 모두 수용하도록 작동부를 구성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개폐기에 흐르는 전류 특성곡선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폐능력 시험 장치에서 나타나는 전류 특성 곡선(도 8 참조)이 도 9에 나타난 다양한 개폐기(A~F 개폐기)의 전류 특성 곡선을 모두 수용한다. 특히, 큰 물리적 부하를 설정하여 구동전류의 최대값을 다양한 개폐기(A~F 개폐기)의 구동전류의 최대값 이상으로 설정하여, 다양한 개폐기(A~F 개폐기)에 대하여 모두 시험가능하도록 축전지의 개폐능력을 점검할 수 있다. 또한 미세조정을 통하여 해당하는 개폐기에 맞춰서 수용가능한 범위로 물리적 부하를 설정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주장치 200: FRTU
300: 개폐능력 시험장치 310: 작동부
311: 전동기 312: 캠
312-a: 캠축 312-b: 캠 노즈
313: 제1 고정축 314: 전달부재
315: 압축 스프링 316: 제1조절체
317: 제2 고정축 318: 연결부재
319: 제2 조절체 320: 판단부
330: 제어부 340: 통신장치
350: 전원절체장치 400: 축전지
500: 외부전원 600: 개폐기
700: 단말 제어부 800: 배전자동화기기

Claims (10)

  1. 축전지와 연결하여 전기적 에너지를 물리적 운동으로 변환하고, 상기 물리적 운동에 적용되는 물리적 부하를 조절하는 작동부; 및
    상기 물리적 운동을 측정하여 상기 축전지의 개폐능력을 판단하는 판단부; 를 포함하는 개폐능력 시험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축전지와 연결되어 구동되는 전동기;
    상기 전동기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캠;
    상기 캠과 연결하여 상기 물리적 부하를 전달하는 전달부재;
    상기 전달부재와 연결되어 상기 물리적 부하가 발생하는 압축 스프링; 및
    상기 압축스프링의 압축강도를 조절하여 상기 물리적 부하의 크기 조절이 가능한 조절체; 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부는 상기 캠이 기 설정된 회전수 또는 회전각도에 따라 회전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기 축전지의 개폐능력을 판단하는 개폐능력 시험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체는 상기 물리적 부하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나타나는 상기 전동기와 상기 축전지 사이의 구동 전류 특성이 상기 축전지에 연결된 개폐기를 작동하여 나타나는 구동 전류 특성을 포함하도록 설정되는 개폐능력 시험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회전각도는 360도인 개폐능력 시험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시간은 1초인 개폐능력 시험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부의 전원은 FRTU(Feeder Remote Terminal Unit)의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개폐능력 시험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시험 명령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작동부 및 상기 판단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개폐능력 시험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축전지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전원 절체 장치를 더 포함하는 개폐능력시험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의 전원은 상기 FRTU(Feeder Remote Terminal Unit)의 외부전원과 연결되는 개폐능력 시험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주기적으로 시험 명령 신호를 받는 개폐능력 시험 장치.
KR1020150067490A 2015-05-14 2015-05-14 개폐능력 시험 장치 KR1017176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7490A KR101717641B1 (ko) 2015-05-14 2015-05-14 개폐능력 시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7490A KR101717641B1 (ko) 2015-05-14 2015-05-14 개폐능력 시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4071A true KR20160134071A (ko) 2016-11-23
KR101717641B1 KR101717641B1 (ko) 2017-03-17

Family

ID=57541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7490A KR101717641B1 (ko) 2015-05-14 2015-05-14 개폐능력 시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764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8104A (ja) * 1997-07-15 1999-02-12 Mitsubishi Electric Corp 電池の残存容量検出装置
JP2006078332A (ja) * 2004-09-09 2006-03-23 Chubu Electric Power Co Inc 開閉機器の異常診断方法
KR20130092276A (ko) * 2012-02-10 2013-08-2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항복토크 조절이 가능한 토크리미터
KR101383812B1 (ko) * 2012-10-09 2014-04-10 네오피스 주식회사 개폐기 모터 구동 모의 시험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8104A (ja) * 1997-07-15 1999-02-12 Mitsubishi Electric Corp 電池の残存容量検出装置
JP2006078332A (ja) * 2004-09-09 2006-03-23 Chubu Electric Power Co Inc 開閉機器の異常診断方法
KR20130092276A (ko) * 2012-02-10 2013-08-20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항복토크 조절이 가능한 토크리미터
KR101383812B1 (ko) * 2012-10-09 2014-04-10 네오피스 주식회사 개폐기 모터 구동 모의 시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7641B1 (ko) 2017-03-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40756B2 (en) Measuring device for checking an electrical circuit breaker
AU2008221640B2 (en) Multi-vacuum contactor control system
US9000733B2 (en) Electric actuator
US9024591B2 (en) Electric actuator
CN108886246B (zh) 控制电气设备
US11764564B2 (en) Device for the automatic interruption and reconnection of medium-voltage circuits which can be installed in interchangeable bases
CN106026351B (zh) 电源切换选择器
KR101717641B1 (ko) 개폐능력 시험 장치
BR112014004787B1 (pt) Dispositivo de monitoramento de rede, controlador lógico programável, sistema de fornecimento com uma rede de fornecimento e método para acionar uma unidade comutadora
CN117748746B (zh) 深度融合柱上断路器的分合闸控制系统、方法及装置
KR101749553B1 (ko) 수동식 부하개폐형 지상변압기 원격 조작 및 감시 장치
CN109888749B (zh) 一种直流断路器控制方法及装置
CN204480043U (zh) 变桨距系统的测试装置
CN210167803U (zh) 接触器电压暂降保护装置
CN112764403A (zh) 一种执行机构控制系统和方法
CN110121818B (zh) 用于电气装置的控制系统
CN201540480U (zh) 变电所照明及风机系统远程控制装置
JP2004509435A (ja) スイッチング装置
CN219227574U (zh) Sts静态单相双电源切换开关
EP4115485B1 (en) A voltage link arrangement between power distribution grids
KR101874450B1 (ko) 부하개폐형 지상변압기의 부하개폐 원격 제어 시스템
KR102071671B1 (ko) 바이패스 및 무정전으로 선로 선택이 가능한 부하 개폐형 변압기
CN220874274U (zh) 用于远程控制电机的装置
CN111835234B (zh) 用于控制多于一个马达的马达驱动器控制系统
JP2010119271A (ja) コンバー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