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4069A - 광조사 살균기능을 구비한 전기 집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 - Google Patents

광조사 살균기능을 구비한 전기 집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4069A
KR20160134069A KR1020150067488A KR20150067488A KR20160134069A KR 20160134069 A KR20160134069 A KR 20160134069A KR 1020150067488 A KR1020150067488 A KR 1020150067488A KR 20150067488 A KR20150067488 A KR 20150067488A KR 20160134069 A KR20160134069 A KR 201601340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unit
dust collecting
air
char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7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6327B1 (ko
Inventor
박현설
여정구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50067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6327B1/ko
Publication of KR20160134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40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6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6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02A50/2351Atmospheric particulate matter [PM], e.g. carbon smoke microparticles, smog, aerosol particles, dust

Abstract

본 발명은 항균 전기 집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기에 포함된 입자상 물질을 하전시켜 포집하는 집진부; 및 상기 집진부 내부로 광선을 조사하는 광 조사부를 포함하는 전기 집진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전기 집진 장치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광조사 살균기능을 구비한 전기 집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ELECTROSTATIC PRECIPITATOR UTILIZING LIGHT GERMICIDAL IRRADIATION AND AIR CLEANER USING THE PRECIPIATOR}
본 발명은 공기 살균을 위한 전기 집진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기에 포함된 유해 미생물을 포함한 입자상 오염물질을 전기적인 방법으로 포집하고, 포집된 유해미생물을 광조사를 통해 살균하여 깨끗한 공기로 정화하기 위한 전기 집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실내 공기는 외부와 어느 정도 차단된 상태로 일정 시간 동안 실내에 머무르게 된다. 그러므로 외부 공기와의 환기가 일정 시간 이상 이루어지지 않으면, 실내의 사람들의 활동에 의해 발생된 미세먼지 등이 누적된다. 이렇게 누적된 미세먼지 등이 포함된 실내 공기에 노출된 사람들은 눈이나 목의 통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심하면 각종 호흡기 질환이나 폐질환을 유발할 수도 있다.
더욱이, 공기 중에는 세균, 진균, 바이러스 등과 같은 유해 미생물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인간의 호흡이나 접촉 등을 통해 다양한 질환이 유발될 수 있다.
최근, 생활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실내 공기를 좀 더 쾌적하고 안전하게 하기 위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외부 공기와의 환기를 하지 않아도 실내 공기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청정기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공기청정기는 유해 미생물을 포함한 입자상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포집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이 적용되는데 가장 널리 사용되는 기술은 필터 기술과 전기집진기술이다. 또한 유해 미생물의 위험성에 대응하기 위해 필터에 항균기능을 부가한 항균 필터가 개발되어 왔으며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항균 물질을 필터 표면에 코팅한 항균기술, 공기정화용 필터의 경우 이온클러스터를 필터 전단에 발생시켜 이온이 필터에 포집된 미생물에 부착됨으로써 미생물을 사멸하는 항균기술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항균 필터기술은 필터에 입자상 오염물질이 지속적으로 쌓이는 실제 적용조건에서는 유해한 미생물을 효과적으로 사멸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들어, 새로운 기술이 적용된 다양한 형태의 공기청정기 개발이 시도되고 있으며, 그 중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106173호(공기 살균 환기 시스템, 공개일: 2010.10.01, 이하 선행문헌)에 공기 환기를 위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선행문헌은 실내 공기의 먼지를 포집하고, 환기하며, 살균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으나, 그 구성이 복잡하고, 여러 종류의 필터를 다중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공기저항이 크고 비용이 증가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은 살균 기능이 적절하지 못해 경우 필터나 전기집진기에 먼지와 함께 포집된 유해 미생물이 번식하여 2차 오염을 초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입자상 오염물질을 포함한 공기를 정화함에 있어, 전기집진 방식으로 유해미생물을 포함한 입자상 오염물질을 포집 제거하고 전기집진부에 포집된 유해미생물을 자외선과 같은 광선을 직접 조사하여 살균할 수 있는 전기 집진 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 특징으로서 공기에 포함된 입자상 물질을 전기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포집하는 집진부; 및 상기 집진부 내부로 광선을 조사하는 광 조사부를 포함하는 전기 집진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광 조사부로부터 조사된 광선이 상기 집진부 내부에 고루 조사되도록 광선을 반사시키는 광 반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 반사부는 상기 집진부의 공기 유입 측과 공기 배출 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집진부는 상기 입자상 물질의 대전 및 포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집진부는 상기 입자상 물질을 대전시키는 하전부; 및 대전된 입자상 물질을 포집하는 포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 조사부는 광원 및 광 발산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전부 또는 상기 포집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광 촉매 코팅면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 조사부에서 조사하는 광선은 자외선, 가시광선 또는 자연광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광 발산부는 광섬유로 이루어지고 광섬유 표면에서 광이 발산되며, 상기 광 발산부는 광섬유로 이루어지고 광섬유의 클래드가 제거된 부분에서 광이 발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원은 자외선 램프, 가시광선 램프 및 태양광 중에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2 특징으로서 공기에 포함된 입자상 물질을 전기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포집하는 집진부; 및 상기 집진부 내부로 광선을 조사하는 광 조사부를 포함하는 전기 집진 장치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에 포함된 입자상 물질을 전기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포집하고, 집진부에 포집된 입자상 물질들에 자외선 등의 광선을 직접 조사하여 입자상 오염물질에 포함되어 집진되어 있는 유해미생물을 살균함으로써, 세균, 진균, 바이러스 등과 같은 공기 중에 포함된 유해미생물을 종래 기술에 비해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사멸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 집진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하전부와 포집부의 설명을 위한 집진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 집진 장치에서 광 조사부의 다양한 배치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 집진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는 광 반사부의 설명을 위한 집진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 집진 장치에서 광 조사부 및 광 반시부의 다양한 배치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 집진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집진 장치(1000)는 집진부(100) 및 광 조사부(20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화살표는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다.
집진부(100)는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입자상 물질을 전기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포집한다. 전기적인 방법으로 입자상 물질을 포집하는 장치를 전기 집진 장치라고 하는데 일반적으로는 전기적으로 하전된 입자상 물질을 반대의 전기적 극성을 갖는 집진부에서 제거하는 원리를 이용한다. 본 발명의 집진부(100)는 입자상 물질의 하전과 포집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형태를 갖출 수도 있으며 도 1b와 같이 하전부(110)와 포집부(120)가 구별된 형태를 갖출 수도 있다.
광 조사부(200)는 집진부(100) 내부로 광선을 조사하는데 집진부(100)에 포집된 입자상 물질에 직접 광선이 조사되어 유해 미생물이 살균되도록 한다.
광 조사부(200)는 광원(210)과 광 발산부(22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광원(210)으로 자외선 램프, 가시광선 램프 또는 자연광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광조사부(200)는 집진부(100)의 후단에 배치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이들의 배치 관계는 적절히 변형 가능하다.
또한 입자상 물질이 포집되는 집진부(100)의 표면은 광 촉매가 코팅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 촉매는 광조사부(200)에서 조사된 광선에 의해 활성화되어 포집된 유해 미생물의 살균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도 2는 하전부(110)와 포집부(120)를 설명하기 위한 전기 집진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전기 집진 장치의 측면단면도 또는 평면단면도를 나타낸다.
하전부(110)는 하전 플레이트(112), 하전 단자(114) 및 고전압 발생부(116)를 포함한다.
하전 플레이트(112)는 각각 일정 크기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고, 다수 개가 구비된다. 다수의 하전 플레이트(112)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며, 하전 플레이트(112)의 배치는 오염된 공기가 배치된 다수의 하전 플레이트(112) 사이를 통과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이렇게 배치된 하전 플레이트(112)는 접지되거나 하전 단자(114)와 반대 극성의 고전압이 인가될 수도 있다.
하전 단자(114)는 고전압 발생부(116)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다수 개가 구비되어 각각 다수의 하전 플레이트(112) 사이에 배치된다. 하전 단자(114)는 다양한 형태를 갖출 수 있으며, 전도성의 와이어, 침(needle), 또는 섬유 형태가 가능하다. 하전 단자(114)와 하전 플레이트(112) 사이에 공기 분자를 전리시킬 수 있을 정도의 세기를 갖는 불균형 전기장이 형성되면 하전 단자(114) 주변의 공기 분자가 전리되어 플라즈마 형태의 이온과 전자가 형성되고 공기 중의 입자상 물질이 이러한 전자와 이온에 의해 하전된다.
고전압 발생부(116)는 하전 단자(114)와 하전 플레이트(112)사이에 불균형 전기장이 형성되도록 하전 단자(114) 각각에 전원을 공급한다.
포집부(120)는 하전부(110)에서 하전된 입자상 물질을 집진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하전된 입자상 물질은 반대극성의 포집부(120)에 정전기력에 의해 포집된다. 포집부(120)는 다수의 집진 플레이트(122)와 고전압 발생부(126)를 포함한다.
각 집진 플레이트(122)는 도전체로 구성되며, 각각 일정 크기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된다. 각 집진 플레이트(122)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며, 오염된 공기가 배치된 다수의 집진 플레이트(122) 사이를 통과할 수 있도록 공기의 진행방향과 평행하게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포집부(120)의 각 집진 플레이트(122) 또는 하전부(110)의 하전 플레이트(112)의 표면에는 광 촉매가 코팅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 촉매는 광조사부(200)에서 조사된 광선에 의해 활성화되어 포집된 유해 미생물의 살균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대면하는 한 쌍의 집진 플레이트(122)는 반대의 극성을 갖도록 고전압 발생부(126)와 연결되는데, 예를 들어 대면하는 두 개의 집진 플레이트(122) 중 하나가 (+)극성의 고전압 발생부(126)와 연결되면 다른 하나는 (-)극성의 고전압 발생부와 연결되며, 다수 개의 집진 플레이트(122)로 구성된 경우 이러한 반대 극성이 인가된 집진 플레이트(122)가 서로 번갈아 배치된다. 또 다른 예로는 대면하는 두 개의 집진 플레이트(122) 중 하나가 (+) 또는 (-)극성의 고전압 발생부(126)와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접지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다수 개의 집진 플레이트(122)로 구성된 경우 고전압이 인가된 집진 플레이트(122)와 접지된 집진 플레이트(122)가 서로 번갈아 배치된다. 즉, 포집부(120)의 대면하는 집진 플레이트(122) 사이에는 전위차에 의한 전기장이 형성되고 하전된 입자상 물질이 통과할 경우 정전기력에 의해 집진 플레이트(122)에 포집된다. 대부분의 전기 집진 장치는 입자상 물질을 하전시킨 후 집진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나 하전되지 않은 입자상 물질이 상기 포집부(120)의 집진 플레이트(122) 사이를 통과하는 경우에도 정전기적 분극력에 의해 포집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하전 플레이트(112)와 상기 집진 플레이트(122)는 전기적 안전성을 위해 절연체로 표면이 코팅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광촉매의 코팅은 이미 코팅된 절연체 위에 추가로 이루어지는 형태를 갖춘다.
광 조사부(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 플레이트(122) 사이에 배치되며, 또한 필요한 경우 하전 플레이트(112) 사이에도 배치될 수 있다. 광 조사부(200)는 다양한 형태를 갖을 수 있는데, 도 2의 광 조사부(200)는 광섬유가 집진 플레이트(122) 사이에 집진 플레이트(122)와 평행하게 배치된 형태를 보여 준다. 광섬유는 광원으로부터 입사된 광이 광섬유 길이방향으로 전달되면서 광섬유 표면을 통해 발산되어 집진 플레이트(122)에 조사되도록 구성된다. 광섬유는 일반적으로 내부 코어와 이를 감싸는 외부 클래드로 구성되는데 광섬유 표면으로 광을 발산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클래드의 일부를 제거할 수도 있으며, 광 굴절율이 다른 소재의 클래드를 사용하거나, 클래드의 두께를 조정하거나, 또는 클래드가 없이 코어로만 이루어진 광섬유를 사용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도 2의 광 조사부(200)는 광섬유가 아닌 직접 광원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들어, 막대 형태의 자외선 램프를 광섬유 대신 사용할 수도 있다. 도 2에서 도시된 광 조사부(200)의 배치 관계는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 가운데 하나에 불과하므로, 다양한 배치 예는 도 3에서 다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 집진 장치에서 광 조사부의 다양한 배치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전기 집진 장치의 평면구조를 나타낼 수도 있고 또한 측면구조를 나타낼 수도 있다.
도 3a는 집진부(100) 내부에 광 조사부(200)가 위치한 예를 나타낸다.
도 3b는 하전부(110)과 포집부(120)로 구성된 집진부(100)에서 광 조사부(200)가 포집부(120) 내부에 위치한 예이다. 도 2가 도 3b 구성의 예시라고 할 수 있다.
도 3c는 집진부(100)의 측면에 광 조사부(200)가 위치한 예이다. 일측에만 광 조사부(200)가 위치할 수도 있고 양측 모두에 광 조사부가(200)가 위치할 수도 있다. 전기 집진 장치가 도 2와 같은 단면 구성을 갖는 경우, 광 조사부(200)가 집진부(100) 측면에 배치된다는 것은 광섬유 또는 막대형 자외선 램프와 같은 광 조사부(200)가 도 2의 하전 플레이트(112) 또는 집진 플레이트(122)의 길이방향 끝단 측면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위치함을 의미한다. 이러한 경우, 하전 플레이트(112) 또는 집진 플레이트(122) 내부에 광섬유와 같은 광 조사부(200)가 위치하지 않기 때문에 공기흐름을 방해하지 않는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 3d는 광원(210)과 광 발산부(220)로 구성되는 광 조사부(200)에 있어서 집진부(100)의 측면에는 광원(210)이 배치되고 광 발산부(220)는 집진부(100) 내부에 배치되는 예를 보여준다. 본 실시예에서 광원(210)은 자외선 램프이며, 광 발산부(220)는 클래드의 일부가 제거된 광섬유이다. 광원(210)에서 방출된 자외선은 광섬유를 따라 집진부(100) 내부로 전달된다. 집진부(100) 내부에 위치한 광섬유는 클래드가 제거된 광섬유 표면으로부터 자외선이 발산되어 집진부(100) 내부로 조사되게 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광섬유는 직경이 가늘기 때문에 막대형 램프와 같이 광원이 집진부(100) 내부에 직접 설치된 경우에 비해 공기 흐름을 방해하지 않고, 전기 집진 장치의 구성을 좀 더 간단히 할 수 있다. 또한 도 2의 구성에서 볼 수 있듯이 집진 플레이트(122) 사이에 광섬유가 설치될 경우, 집진 플레이트(122) 간격을 좀 더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집진 플레이트(122)에 인가되는 전압의 세기를 낮게 유지하면서도 높은 집진효율을 유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 집진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집진 장치(1000)는 집진부(100), 광 조사부(200) 및 광 반사부(30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화살표는 공기의 흐름을 나타낸다.
집진부(100)는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입자상 물질을 전기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포집한다. 집진부(100)는 도 2의 하전부(110)만으로 구성된 형태를 가질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집진부(100)에서는 입자상 물질의 하전과 포집이 함께 이루어진다. 또한 집진부(100)는 도 2의 하전부(110)와 포집부(120)가 각각 존재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광 조사부(200)는 집진부(100) 내부로 광선을 조사한다. 따라서 집진부(100)에 포집된 입자상 물질에 포함된 유해 미생물이 살균되도록 한다.
광 조사부(200)는 광원(210)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광원(210)과 광 발산부(22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때 광원(210)으로 자외선, 가시광선 및 자연광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광 반사부(300)는 광 조사부(200)로부터 조사되는 광선을 반사시킨다. 따라서 광 반사부(300)는 광선이 집진부(100) 내부에 고루 조사되게 한다.
광 반사부(300)는 일 예로 복수의 볼록 거울 배열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광 반사부(300)를 설명하기 위한 집진 장치의 측면단면도 또는 평면단면도이다.
광 조사부(200)에서 조사된 광 반사부(300)에서 반사되어 집진 플레이트(122)에 포집된 입자상 물질 중 유해 미생물을 살균한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광조사부(200)는 집진부(100)의 후단에 배치되고, 광 반사부(300)는 하전부(110)와 포집부(120)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도시된 각 구성요소간의 배치 관계는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 가운데 하나에 불과하므로, 다양한 배치 예는 도 6에서 다시 설명하도록 한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기 집진 장치에서 광 조사부(200) 및 광 반사부(300)의 다양한 배치 예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6은 전기 집진 장치의 평면구조를 나타낼 수도 있고 또한 측면구조를 나타낼 수도 있다.
도 6a는 집진부(100) 내부에 광 조사부(200)를 배치하고, 광 반사부(300)를 양단에 배치한 예이다.
도 6b는 도 5의 단면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광 반사부(300)는 하전부(110)와 포집부(120) 사이에 배치된다.
도 6c는 집진부(100)의 일측면에는 광 조사부(200)를 배치하고 타측면에는 광 반사부(300)를 배치한 예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하면, 전기 집진 장치는 광 조사부(200)의 작동시간을 제어하는 광 조사부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유해 미생물 중 일부는 자외선 광에 단시간 노출되어도 사멸되기 때문에, 광 조사부(200)가 전기 집진 장치의 운전 내내 작동될 필요가 없는 경우가 있다.
광 조사부 제어부는 설정된 제어시간 동안 광 조사부(200)가 동작되게 하므로 불필요한 전력 사용을 줄일 수 있게 한다.
이때, 광 조사부 제어부에 의해 광 조사부(200)는 집진부(100)의 가동과는 독립적으로 동작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 중에 입자상 물질의 농도가 낮은 경우 집진부(100)는 가동시키지 않고 광 조사부(200)만 가동하여 살균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전력 사용량 저감 및 소음 저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므로,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돼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등가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집진부
110 : 하전부
120 : 포집부
200 : 광 조사부
210 : 광원
220 : 광 발산부
300 : 광 반사부

Claims (12)

  1. 공기에 포함된 입자상 물질을 전기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포집하는 집진부; 및
    상기 집진부 내부로 광선을 조사하는 광 조사부를 포함하는 전기 집진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 조사부로부터 조사된 광선이 상기 집진부 내부에 고루 조사되도록 광선을 반사시키는 광 반사부를 더 포함하는 전기 집진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광 반사부는 상기 집진부의 공기 유입 측과 공기 배출 측에 각각 구비되는 전기 집진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는 상기 입자상 물질의 대전 및 포집을 수행하는 전기 집진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는
    상기 입자상 물질을 대전시키는 하전부; 및
    대전된 입자상 물질을 포집하는 포집부를 포함하는 전기 집진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 조사부는 광원 및 광 발산부를 포함하는 전기 집진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하전부 또는 상기 포집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광 촉매 코팅면이 구비되는 전기 집진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광 조사부에서 조사하는 광선은 자외선, 가시광선 또는 자연광 중 어느 하나인 전기 집진 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광 발산부는 광섬유로 이루어지고 광섬유 표면에서 광이 발산되는 전기 집진 장치.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광 발산부는 광섬유로 이루어지고 광섬유의 클래드가 제거된 부분에서 광이 발산되는 전기 집진 장치.
  11.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자외선 램프, 가시광선 램프 및 태양광 중에서 어느 하나인 전기 집진 장치.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개시된 전기 집진 장치를 포함하는 공기 청정기.
KR1020150067488A 2015-05-14 2015-05-14 광조사 살균기능을 구비한 전기 집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 KR101806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7488A KR101806327B1 (ko) 2015-05-14 2015-05-14 광조사 살균기능을 구비한 전기 집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7488A KR101806327B1 (ko) 2015-05-14 2015-05-14 광조사 살균기능을 구비한 전기 집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4069A true KR20160134069A (ko) 2016-11-23
KR101806327B1 KR101806327B1 (ko) 2017-12-08

Family

ID=57541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7488A KR101806327B1 (ko) 2015-05-14 2015-05-14 광조사 살균기능을 구비한 전기 집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632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4037A (ko) 2018-07-31 2020-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살균 집진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KR20220021852A (ko) 2020-08-14 2022-02-22 (주)동일기연 전기집진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60993B2 (ja) * 2004-12-22 2007-08-15 九州電力株式会社 電気集塵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4037A (ko) 2018-07-31 2020-02-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살균 집진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홈 어플라이언스
KR20220021852A (ko) 2020-08-14 2022-02-22 (주)동일기연 전기집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6327B1 (ko) 2017-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8329B1 (ko) 복합 살균 공기정화기
KR101773371B1 (ko) 공기살균 및 미세먼지제거 기능을 겸비한 공기정화장치
RU2436017C2 (ru) Устройство фильтрации воздуха для закрытых пространств
JP3509741B2 (ja) 非放電型空気清浄器、非放電型空気清浄方法、及び、非放電型空気除菌器
KR102191144B1 (ko) 미세먼지제거, 세균 및 바이러스 살균, 습도조절, 산소 및 음이온 발생 기능을 가지는 다기능 공기정화장치
JP3286288B2 (ja) 空気清浄アッセンブリ
US9393339B2 (en) Antimicrobial filter adopting optical fibers and air cleaner comprising same
KR101761908B1 (ko) 공기정화장치
JP2003035445A (ja) 空気清浄機
KR101922560B1 (ko) 광전 효과에 의한 항균 기능을 구비하는 공기 정화 장치
US20100089234A1 (en) Device and Method for Separating Particulate Material from a Gas Flow
CN111389589A (zh) 一种细微颗粒物污染源的捕集、杀灭及脱敏模组
KR101806327B1 (ko) 광조사 살균기능을 구비한 전기 집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
CN100479865C (zh) 空气处理方法和装置
WO2019160381A1 (ko) 선분 전기장을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 장치
RU2541004C1 (ru) Способ обеззараживания воздух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20130128095A (ko) 광섬유 혼합 부직포 적용 항균 필터 및 이를 포함한 공기청정기
KR101431562B1 (ko) 광섬유층 적용 항균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KR101569629B1 (ko) 공기정화장치
KR102065350B1 (ko) 전기집진장치
RU2598387C1 (ru) Система контроля и управления медико-биологическими параметрами воздуха в стоматологической установке
RU162383U1 (ru) Устройство контроля и управления медико-биологическими параметрами воздуха в стоматологической установке
WO2013168984A1 (ko) 광섬유 적용 공기정화용 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KR102651616B1 (ko) 3차원 고밀도 전기장 선속 터널을 이용한 세균 멸균기
KR20230077503A (ko) 공기 중에 존재하여 질병을 유발하는 바이러스 또는 세균들을 제거하는 바이러스 제거 필터 및 바이러스 제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