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3876A - 탈부착이 가능한 라링고스코프용 카메라 장치 - Google Patents

탈부착이 가능한 라링고스코프용 카메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3876A
KR20160133876A KR1020150066958A KR20150066958A KR20160133876A KR 20160133876 A KR20160133876 A KR 20160133876A KR 1020150066958 A KR1020150066958 A KR 1020150066958A KR 20150066958 A KR20150066958 A KR 20150066958A KR 20160133876 A KR20160133876 A KR 201601338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light source
holder
camera device
source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6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06066B1 (ko
Inventor
김광민
송의성
송양호
이계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디칼써프라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디칼써프라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디칼써프라이
Priority to KR1020150066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6066B1/ko
Publication of KR20160133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38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60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60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67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respiratory tract, e.g. laryngoscopes, bronchoscop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8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 A61B1/00096Optical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64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7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 A61B1/0008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 A61B1/00101Insertion part of the endoscope body characterised by distal tip features the distal tip features being detach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부착이 가능한 라링고스코프용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시술자가 손에 쥘 수 있는 핸들과, 연결부를 매개로 상기 핸들과 연결되고, 환자의 구강 내의 목적 부위에 삽입되어 기도 확보를 위한 공간을 유지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기존의 라링고스코프에 있어서, 상기 라링고스코프의 블레이드 일 측면에 일체로 고정되게 형성되는 원형상의 광원 램프와 착탈이 가능하게 체결되는 카메라 홀더; 상기 카메라 홀더와 일체로 형성되며, 환자의 목적 부위와 관련된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및 상기 라링고스코프의 핸들에 핸들 홀더를 매개로 결합되는 표시장치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 접속되며,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촬영된 이미지 영상 신호를 상기 표시장치 본체로 전송하기 위한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탈부착이 가능한 라링고스코프용 카메라 장치에 따르면, 기존의 라링고스코프의 광원 램프에 탈부착 하는 방식으로 쉽게 사용될 수 있는 카메라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 향상 및 소독 보관의 관리가 용이함은 물론, 기존의 라링고스코프를 사용함에 따른 기존의 비디오 스코프의 고가 장비의 대체 사용으로 비용이 절감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원형상의 광원 램프를 구비하는 기존의 라링고스코프에 범용적으로 적용 및 사용될 수 있도록 하고, 그에 따른 저렴한 비용으로 구현이 가능하며, 시술자가 현장에서 바로 손쉽게 적용할 수 있는 편의성이 있으며, 시술 후 손쉽게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는 관리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탈부착이 가능한 라링고스코프용 카메라 장치{A CAMERA DEVICE FOR A DETACHABLE USE LARYNGOSCOPE}
본 발명은 탈부착이 가능한 라링고스코프용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존의 라링고스코프의 자체 광원 램프에 탈부착 되는 방식으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탈부착이 가능한 라링고스코프용 카메라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라링고스코프(후두경)는 사고 또는 기타 원인으로 인해 의식불명 상태에 있는 환자에 대한 응급조치로서 인공호흡 장치를 사용하여 인공호흡을 해야 할 필요가 있을 때, 환자의 기도를 확보하여 인공호흡장치에 연결된 삽관튜브와 같은 튜브부재의 선단부를 환자의 기관과 같은 목적부위에 삽입하기 위해 사용되는 의료기구이다. 즉, 라링고스코프는 사고 등에 의해 의식불명 상태에 있는 응급환자에 대한 응급조치로서, 인공호흡이 수행되어야 할 긴급 상황에 사용된다.
이러한 라링고스코프는 일반적인 맥킨토시형 후두경과 후두경의 블레이드에 카메라가 장착되어 개선된 시야를 제공하는 비디오 스코프로 구분될 수 있다. 일반적인 맥킨토시형 후두경은 핸들과 블레이드로 구성되며, 시술자의 눈에 의존하여 기도 구조물을 확인하기 때문에 시야의 제한이 있을 수 있고, 때로는 주요한 해부학적 지표를 확인하지 못하여 삽관이 지연되거나 실패할 가능성이 있다. 반면, 비디오 스코프는 기도확보를 위한 블레이드의 선단부에 구비된 카메라와,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함으로써, 시술자가 환자의 인두나 후두를 더 쉽게 관찰할 수 있게 하므로 시술자가 환자의 기도를 확보하여 삽관 튜브를 삽입하는 시술을 용이하게 한다. 이에 따라서, 최근에는 비디오 스코프의 사용이 점점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종래의 비디오 스코프는 기존의 후두경을 이용하는 육안 시술보다 더 정확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이를 위해서는 고가의 전혀 새로운 장비를 이용해야 하는 등의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카메라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어 탈부착 사용이 어려우며, 소독 관리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08839호는 제어부를 구비한 후두경을 발명으로 하는 선행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기존에 제안된 방법들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기존의 라링고스코프의 광원 램프에 탈부착 하는 방식으로 쉽게 사용될 수 있는 카메라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 향상 및 소독 보관의 관리가 용이함은 물론, 기존의 라링고스코프를 사용함에 따른 기존의 비디오 스코프의 고가 장비의 대체 사용으로 비용이 절감될 수 있도록 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라링고스코프용 카메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원형상의 광원 램프를 구비하는 기존의 라링고스코프에 범용적으로 적용 및 사용될 수 있도록 하고, 그에 따른 저렴한 비용으로 구현이 가능하며, 시술자가 현장에서 바로 손쉽게 적용할 수 있는 편의성이 있으며, 시술 후 손쉽게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는 관리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라링고스코프용 카메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라링고스코프용 카메라 장치는,
시술자가 손에 쥘 수 있는 핸들과, 연결부를 매개로 상기 핸들과 연결되고, 환자의 구강 내의 목적 부위에 삽입되어 기도 확보를 위한 공간을 유지하는 블레이드를 포함하는 기존의 라링고스코프에 있어서,
상기 라링고스코프의 블레이드 일 측면에 일체로 고정되게 형성되는 원형상의 광원 램프와 착탈이 가능하게 체결되는 카메라 홀더;
상기 카메라 홀더와 일체로 형성되며, 환자의 목적 부위와 관련된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 및
상기 라링고스코프의 핸들에 핸들 홀더를 매개로 결합되는 표시장치 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 접속되며,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촬영된 이미지 영상 신호를 상기 표시장치 본체로 전송하기 위한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메라 홀더는,
상기 라링고스코프의 자체 광원 램프의 원형상의 형상 구조에 대응하여 착탈이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절개부가 형성된 원형상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메라 장치는,
상기 라링고스코프의 핸들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블레이드의 크기별로 다른 크기가 적용되는 자체 광원 램프에 대응하여 모두 장착될 수 있도록 다양한 크기를 갖는 복수로 구성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메라 장치는,
상기 라링고스코프의 블레이드에 형성된 광원 램프와 체결되는 카메라 홀더의 경사각을 통해 상기 라링고스코프의 블레이드와 카메라 모듈이 수평을 이루도록 구성할 수 있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메라 홀더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초점거리를 고려하여 최적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상기 카메라 모듈의 중간 부위의 포지션에 위치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 있는 탈부착이 가능한 라링고스코프용 카메라 장치에 따르면, 기존의 라링고스코프의 광원 램프에 탈부착 하는 방식으로 쉽게 사용될 수 있는 카메라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 향상 및 소독 보관의 관리가 용이함은 물론, 기존의 라링고스코프를 사용함에 따른 기존의 비디오 스코프의 고가 장비의 대체 사용으로 비용이 절감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원형상의 광원 램프를 구비하는 기존의 라링고스코프에 범용적으로 적용 및 사용될 수 있도록 하고, 그에 따른 저렴한 비용으로 구현이 가능하며, 시술자가 현장에서 바로 손쉽게 적용할 수 있는 편의성이 있으며, 시술 후 손쉽게 분리하여 세척할 수 있는 관리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라링고스코프용 카메라 장치가 기존의 라링고스코프에 설치된 전체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라링고스코프용 카메라 장치가 적용되는 기존의 라링고스코프의 광원 램프 측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라링고스코프용 카메라 장치의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라링고스코프용 카메라 장치가 기존의 라링고스코프의 광원 램프에 체결된 요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라링고스코프용 카메라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라링고스코프용 카메라 장치의 크기별 일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 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 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라링고스코프용 카메라 장치가 기존의 라링고스코프에 설치된 전체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라링고스코프용 카메라 장치가 적용되는 기존의 라링고스코프의 광원 램프 측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라링고스코프용 카메라 장치의 사시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라링고스코프용 카메라 장치가 기존의 라링고스코프의 광원 램프에 체결된 요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라링고스코프용 카메라 장치(100)는, 카메라 홀더(110), 카메라 모듈(120), 및 케이블(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라링고스코프용 카메라 장치(100)가 장착 사용될 수 있는 기존의 라링고스코프(10)는, 도 1 및 도 2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시술자가 손에 쥘 수 있는 핸들(11)과, 연결부(12)를 매개로 핸들(11)과 연결되고, 환자의 구강 내의 목적 부위에 삽입되어 기도 확보를 위한 공간을 유지하는 블레이드(13)와, 블레이드(13)의 일 측면에 일체로 고정되게 형성되는 원형상의 광원 램프(14)와, 라링고스코프(10)의 핸들(11)에 핸들 홀더(15)를 매개로 결합되는 표시장치 본체(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기존의 라링고스코프(10)는 사고 또는 기타 원인으로 인해 의식불명 상태에 있는 사람의 호흡 기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기관 내에 삽관을 위하여 사용되는 의료기기로서, 일반적으로 후두경이라 불리고 있다. 여기서, 기존의 라링고스코프(10)의 전체적인 구성은 통상의 후두경의 구성 및 기능과 동일하거나 유사하며,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장치(100)가 탈/부착 식으로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도록 자체 광원 램프(14)가 원형상으로 구성됨을 전제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장치(100)는 라링고스코프(10)의 핸들(11)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블레이드(13)의 크기별로 다른 크기가 적용되는 자체 광원 램프(14)에 대응하여 모두 장착될 수 있도록 다양한 크기를 갖는 복수로 구성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장치(100)는 기존의 라링고스코프(10)에 장착되어 사용되어지는 만큼 굵기를 최소화하여 기도 삽관 시에 방해되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자체 광원 램프(14)의 형상이 원형상인 구조를 갖는 기존의 라링고스코프(10)에 장착 사용될 수 있는 카메라 장치(100)의 세부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카메라 홀더(110)는, 라링고스코프(10)의 블레이드(13) 일 측면에 일체로 고정되게 형성되는 원형상의 광원 램프(14)와 착탈이 가능하게 체결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카메라 홀더(110)는 라링고스코프(10)의 자체 광원 램프(14)의 원형상의 형상 구조에 대응하여 착탈이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절개부(111)가 형성된 원형상 구조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홀더(110)는 카메라 모듈(120)의 초점거리를 고려하여 최적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포지션에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3 내지 도 6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카메라 홀더(110)는 카메라 모듈(120)의 중간 부위의 포지션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20)은, 카메라 홀더(110)와 일체로 형성되며, 환자의 목적 부위와 관련된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촬영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120)은 라링고스코프(10)의 블레이드(13) 일 측면에 배치 구성된 광원 램프(14)로부터 방출된 광이 피시술자의 목적 부위로 조사된 후 반사되는 광을 렌즈를 통해 수신하고, 내부 센서에서 전기적 신호의 이미지 처리를 통해 피시술자의 목적 부위의 촬영 영상을 획득하게 된다. 여기서, 카메라 모듈(120)은 라링고스코프(10)의 블레이드(13)에 형성된 광원 램프(14)와 체결되는 카메라 홀더(110)의 경사각을 통해 라링고스코프(10)의 블레이드(13)와 카메라 모듈(120)이 수평을 이루도록 구성한다. 즉, 라링고스코프(10)에 고정 설치된 자체 광원 램프(14)는 임의의 각도가 있어 카메라를 장착하였을 때 목적하는 기도부분의 영상을 획득하기 어려우므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120)은 라링고스코프(10)의 블레이드(13)와 수평을 이루도록 구성되게 된다.
케이블(130)은, 라링고스코프(10)의 핸들(11)에 핸들 홀더(15)를 매개로 결합되는 표시장치 본체(16)와 전기적으로 연결 접속되며, 카메라 모듈(120)을 통해 촬영된 이미지 영상 신호를 표시장치 본체(16)로 전송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케이블(130)은 카메라 모듈(120)의 후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표시장치 본체(16)의 접속부에 체결되어 카메라 모듈(120)에서 촬영된 이미지 영상 신호를 표시장치 본체(16)로 전송함으로써, 시술자가 촬영된 영상을 보면서 환자의 구강 내 손상 없이 안전한 시술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라링고스코프용 카메라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라링고스코프용 카메라 장치의 크기별 일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a)는 카메라 장치(100)의 평면도 구성을 나타내고, 도 5의 (b)는 카메라 장치(100)의 사시도 구성을 나타내며, 도 5의 (c)는 카메라 장치(100)의 정면도 구성을 나타내고, 도 5의 (d)는 카메라 장치(100)의 일 측면도 구성을 나타낸다. 도 6의 (a)는 대형으로 설계된 카메라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내고, 도 6의 (b)는 도 6의 (a)에 비해 작은 소형으로 설계된 카메라 장치(100)의 구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카메라 장치(100)의 크기 표현인 대형 또는 소형은 통상의 라링고스코프(10)의 블레이드(13)의 일 측면에 형성되는 원형상의 광원 램프(14)와 탈부착되는 구성으로 기존의 블레이드(13)에 장착되어 사용되어지는 만큼 굵기를 최소화 하여 기도 삽관 시 방해되지 않도록 설계된 크기를 전제로 하며, 도 6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이한 크기를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이 가능한 라링고스코프용 카메라 장치에 따르면, 기존의 라링고스코프의 광원 램프에 탈부착 하여 사용할 수 있는 카메라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기존의 비디오스코프가 갖는 탈부착의 어려움 및 소독 문제가 해소되고, 사용 및 소독 보관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사상의 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라링고스코프(Laryngoscope)
11: 핸들(Handle) 12: 연결부
13: 블레이드(blade) 14: 광원 램프
15: 핸들 홀더 16: 표시장치 본체
10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장치
110: 카메라 홀더 111: 절개부
120: 카메라 모듈 130: 케이블

Claims (5)

  1. 시술자가 손에 쥘 수 있는 핸들(11)과, 연결부(12)를 매개로 상기 핸들(11)과 연결되고, 환자의 구강 내의 목적 부위에 삽입되어 기도 확보를 위한 공간을 유지하는 블레이드(13)를 포함하는 기존의 라링고스코프(10)에 있어서,
    상기 라링고스코프(10)의 블레이드(13) 일 측면에 일체로 고정되게 형성되는 원형상의 광원 램프(14)와 착탈이 가능하게 체결되는 카메라 홀더(110);
    상기 카메라 홀더(110)와 일체로 형성되며, 환자의 목적 부위와 관련된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120); 및
    상기 라링고스코프(10)의 핸들(11)에 핸들 홀더(15)를 매개로 결합되는 표시장치 본체(16)와 전기적으로 연결 접속되며, 상기 카메라 모듈(120)을 통해 촬영된 이미지 영상 신호를 상기 표시장치 본체(16)로 전송하기 위한 케이블(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라링고스코프용 카메라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홀더(110)는,
    상기 라링고스코프(10)의 자체 광원 램프(14)의 원형상의 형상 구조에 대응하여 착탈이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절개부(111)가 형성된 원형상 구조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라링고스코프용 카메라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장치(100)는,
    상기 라링고스코프(10)의 핸들(11)에 연결되어 사용되는 블레이드(13)의 크기별로 다른 크기가 적용되는 자체 광원 램프(14)에 대응하여 모두 장착될 수 있도록 다양한 크기를 갖는 복수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라링고스코프용 카메라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장치(100)는,
    상기 라링고스코프(10)의 블레이드(13)에 형성된 광원 램프(14)와 체결되는 카메라 홀더(110)의 경사각을 통해 상기 라링고스코프(10)의 블레이드(13)와 카메라 모듈(120)이 수평을 이루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라링고스코프용 카메라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 홀더(110)는,
    상기 카메라 모듈(120)의 초점거리를 고려하여 최적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상기 카메라 모듈(120)의 중간 부위의 포지션에 위치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라링고스코프용 카메라 장치.
KR1020150066958A 2015-05-13 2015-05-13 탈부착이 가능한 라링고스코프용 카메라 장치 KR1017060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6958A KR101706066B1 (ko) 2015-05-13 2015-05-13 탈부착이 가능한 라링고스코프용 카메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6958A KR101706066B1 (ko) 2015-05-13 2015-05-13 탈부착이 가능한 라링고스코프용 카메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3876A true KR20160133876A (ko) 2016-11-23
KR101706066B1 KR101706066B1 (ko) 2017-02-13

Family

ID=57541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6958A KR101706066B1 (ko) 2015-05-13 2015-05-13 탈부착이 가능한 라링고스코프용 카메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606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35413A (ja) * 1988-11-17 1990-05-24 Olympus Optical Co Ltd 内視鏡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35413A (ja) * 1988-11-17 1990-05-24 Olympus Optical Co Ltd 内視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6066B1 (ko) 2017-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38789B1 (en) Endotracheal video device
JP4717843B2 (ja) 無線光学的内視鏡デバイス
US8414481B2 (en) Laryngoscope
EP1847214B1 (en) Ultra wide band wireless optical endoscopic device
US6890298B2 (en) Video laryngoscope with detachable light and image guides
US20100261967A1 (en) Video laryngoscope system and devices
ES2801056T3 (es) Dispositivo de inserción de tubo endotraqueal
WO2017159335A1 (ja) 医療用画像処理装置、医療用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
CN1695546A (zh) 体腔诊断系统
US20050192481A1 (en) Laryngoscope and camera coupling
KR101600339B1 (ko) 비디오 후두경
WO2020024638A1 (zh) 一种手术导航装置
KR101798141B1 (ko) 비디오 후두경
US20180147381A1 (en) Endotracheal Intubation System
US11839362B2 (en) Visualization devices and methods for otologic procedures
KR101706066B1 (ko) 탈부착이 가능한 라링고스코프용 카메라 장치
CN209863777U (zh) 一种用于胃肠外科的组装式腹腔镜
JP3108837U (ja) 気管挿管用小型カメラ無線システム
US20170127909A1 (en) Apparatus for Clinical Use
CN211484495U (zh) 适用困难气道喉部手术的视频支撑喉镜
US10327628B2 (en) Pediatric laryngoscope, and method of use
JP2008307350A (ja) 喉頭鏡システム
CN110811519A (zh) 适用困难气道喉部手术的视频支撑喉镜
KR20170121388A (ko) 비디오 후두경 거치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