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3635A - 안경 착용자 안경알의 김서림 방지기능을 갖는 마스크 - Google Patents

안경 착용자 안경알의 김서림 방지기능을 갖는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3635A
KR20160133635A KR1020150066373A KR20150066373A KR20160133635A KR 20160133635 A KR20160133635 A KR 20160133635A KR 1020150066373 A KR1020150066373 A KR 1020150066373A KR 20150066373 A KR20150066373 A KR 20150066373A KR 20160133635 A KR20160133635 A KR 201601336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way valve
preventing
fogging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63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해룡
Original Assignee
이해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해룡 filed Critical 이해룡
Priority to KR10201500663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3635A/ko
Publication of KR20160133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363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62B23/025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the filter having substantially the shape of a mas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경 착용자 안경알의 김서림 방지기능을 갖는 마스크에 있어서, 특히 안경을 쓰고 일하는 작업자가 마스크를 착용시에 입이나 코에서 발산되는 수증기가 위로 상승하는 것을 차단함으로서 자신이 내뿜는 수증기에 의해서 안경에 김이 서리는 것을 차단하고, 동시에 공기 통로를 확보하여 숨을 들이쉬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이를 위해 탄발수단을 장착하여 제어밸브가 자동으로 개폐됨으로서 보다 용이하게 마스크 내부의 공기를 조절토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착용자 안경알의 김서림 방지기능을 갖는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반구 형태로 이루어지며 입과 코를 임시로 폐쇄하여 외부 유해 공기가 목구멍을 통과하여 폐속으로 직접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마스크 본체(10)와;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양쪽에 설치되며 상기 마스크 본체(10)를 입 주변에 설치후 머리 뒤쪽에서 고정하여 마스크 본체(10)가 움직이지 않고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귀걸이용 탄성수단(20)와;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내측 상부영역에 설치되며, 작업자가 마스크 본체(10)를 착용한 상태에서 호흡시에 상부 방향으로 입김이나 콧김이 출력되는 것을 방지하는 김서림 방지용 기밀수단(30)과;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전면에 설치하되 입이 위치하는 부분에 설치하고, 입이나 코로 호흡하되 들숨때에는 탄발스프링이 팽창되어 일방향 밸브가 폐쇄되어 공기가 마스크 외부에서 내부로 인입되는 것을 차단 메인 공기 통로 제어수단(40)과; 상기 김서림 방지용 기밀수단(30)에 설치하되, 김서림 방지용 기밀수단에 기억자 형태로 공간부(30a)를 형성하고, 입이나 코로 호흡하되 들숨때에는 김서림 방지용 일방향 밸브(54)가 오픈되면서 마스크의 상부쪽에 위치하는 공기를 공간부를 통해 인입시켜 입이나 코로 들여마실 수 있도록 구성된 보조 공기 통로 제어수단(50)을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안경 착용자 안경알의 김서림 방지기능을 갖는 마스크{A Mask Unit Having Defensing of a Glass Steam Removing}
본 발명은 안경 착용자 안경알의 김서림 방지기능을 갖는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안경을 쓰고 일하는 작업자가 마스크를 착용시에 입이나 코에서 발산되는 수증기가 위로 상승하는 것을 차단함으로서 자신이 내뿜는 수증기에 의해서 안경에 김이 서리는 것을 차단하고, 동시에 공기 통로를 확보하여 숨을 들이쉬는 것을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구성하며, 이를 위해 탄발수단을 장착하여 제어밸브가 자동으로 개폐됨으로서 보다 용이하게 마스크 내부의 공기를 조절토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착용자 안경알의 김서림 방지기능을 갖는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스크는 겨울철에 찬 공기가 직접 기도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추위를 덜 느끼게 해 주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안경을 착용한 사람이 마스크를 착용했을 때 마스크와 얼굴 면의 틈으로 수증기가 올라와서 차가운 안경에 응결됨으로써 시야가 흐려지는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마스크에 형상기억합금을 넣는다든지, 마스크 내부에 기밀부재를 형성시킨다든지 하는 여러 가지 기술이 시도된바가 있으나 아직까지 완벽하게 해결되지 못한 상태에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특허출원 10-2010-0139782호는 김서림 방지장치가 안출되어 있는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종래기술에 따른 김 서림 방지장치(100)는 상기 마스크(10)의 내면 상단 부분에 접착물질로 형성하는 접착부재(110)와, 상기 접착부재(110)의 외주 면에 형성하는 구부러지기 쉬운금속 스트립(120) 및 상기 금속 스트립(120)의 외주 면에 형성하는 기밀부재(130)로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접착부재(110)는 접착물질 즉 본드 또는 테이프(혹은 양면 테이프)로 구현함으로써, 상기 마스크(10)와 탈착(脫着)이 가능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금속 스트립(120)은 마스크(10)를 착용하는 사람의 얼굴 체형에 맞게 구부러지도록 탄성이 약한 금속소재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금속 스트립(120)을 얼굴의 코에서부터 양쪽 눈 밑 광대뼈까지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기밀부재(130)는 고무, 스폰지 또는 천 재질 중 어느 하나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김 서림 방지장치(100)는 기밀부재(130) 및 금속 스트립(120)을 통해 얼굴 면과 마스크(10)가 잘 밀착되게 함으로써, 그 틈으로 수증기가 새지 않도록 하여 겨울철에 안경(또는 고글)을 끼고 야외에서 활동을 하더라도 안경에 김 서림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그런데, 이러한 기밀부재는 날숨을 쉴때 눈쪽으로 입금이나 콧김이 상승되는 것을 차단하여 안경 착용자의 안경알에 김서림을 방지할 수는 있으나, 들숨때에는 상기 기밀부재가 외부 공기의 유입을 막게 되어 숨쉬기 곤란하게 만드는 문제가 있다.
즉, 종래의 기밀부재는 날숨때에는 효과적으로 작용하여 김서림을 방지할 수 있으나, 들숨때에는 상기 기밀부재의 존재로 인하여 호흡곤란을 일으키는 문제가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기밀부재를 설치하되 공기 통로를 형성시키고 상기 공기 통로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을 부가 설치하여 들숨때에는 입김과 콧김이 상승하는 것을 차단하여 안경 착용자의 안경알에 김이 서리는 것을 차단하고, 아울러 날숨때에는 공기가 통하도록 공기 통로를 개방하여 마스크를 착용하고도 편안하게 호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하며, 탄발수단을 이용하여 보다 용이하게 마스크 내부의 공기 흐름을 제어토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반구 형태로 이루어지며 입과 코를 임시로 폐쇄하여 외부 유해 공기가 목구멍을 통과하여 폐속으로 직접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마스크 본체(10)와;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양쪽에 설치되며 상기 마스크 본체(10)를 입 주변에 설치후 머리 뒤쪽에서 고정하여 마스크 본체(10)가 움직이지 않고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귀걸이용 탄성수단(20)와;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내측 상부영역에 설치되며, 작업자가 마스크 본체(10)를 착용한 상태에서 호흡시에 상부 방향으로 입김이나 콧김이 출력되는 것을 방지하는 김서림 방지용 기밀수단(30)과;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전면에 설치하되 입이 위치하는 부분에 설치하고, 공간부를 형성한 박스형 하우징(41)과, 박스형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측 지지판(42)과, 박스형 하우징의 외측에 설치되는 외측 지지판(43) 및, 내측 지지판과 외측 지지판 사이에 설치되는 원형 또는 다각형 패널 형상의 일방향 밸브(44)와, 외측 지지판으로부터 연장 설치되어 일방향 밸브의 중심을 탄발 지지하여 마스크 내부의 공기 압력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개폐를 결정시키는 밸브 개폐 제어용 탄발 스프링(45)으로 이루어지며, 입이나 코로 호흡하되 날숨때에는 탄발 스프링이 압축되면서 일방향 밸브(44)가 열려 공기가 마스크 외부로 출력되도록하고, 입이나 코로 호흡하되 들숨때에는 탄발스프링이 팽창되어 일방향 밸브가 폐쇄되어 공기가 마스크 외부에서 내부로 인입되는 것을 차단 메인 공기 통로 제어수단(40)과; 상기 김서림 방지용 기밀수단(30)에 설치하되, 김서림 방지용 기밀수단에 기억자 형태로 공간부(30a)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의 일측에 장착하며, 공간부를 형성한 박스형 하우징(51)과, 박스형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 1 지지판과(52), 박스형 하우징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 2 지지판(53)과, 제 1 지지판과 제 2 지지판 사이에 설치되는 원형 또는 다각형 패널 형상의 김서림 방지용 일방향 밸브(54)와, 김서림 방지용 일방향 밸브를 개폐시키는 밸브 개폐 제어용 탄발 스프링(55)으로 이루어지며, 입이나 코로 호흡하되 날숨때에는 밸브 개폐 제어용 탄발 스프링(55)의 작용으로 김서림 방지용 일방향 밸브가 폐쇄되어 메인 공기 통로 제어수단(40)을 통해서만 입김이나 콧김이 출력되도록하고, 입이나 코로 호흡하되 들숨때에는 김서림 방지용 일방향 밸브(54)가 오픈되면서 마스크의 상부쪽에 위치하는 공기를 공간부를 통해 인입시켜 입이나 코로 들여마실 수 있도록 구성된 보조 공기 통로 제어수단(50)을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김서림 방지용 기밀수단(30)의 공간부(30a)에는 필터(60)를 더 장착하여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기밀부재를 설치하되 공기 통로를 형성시키고 상기 공기 통로를 개폐하는 개폐수단을 부가 설치하여 들숨때에는 입김과 콧김이 상승하는 것을 차단하여 안경 착용자의 안경알에 김이 서리는 것을 차단하고, 아울러 날숨때에는 공기가 통하도록 공기 통로를 개방하여 마스크를 착용하고도 편안하게 호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탄발수단을 이용하여 보다 용이하게 마스크 내부의 공기 흐름을 제어토록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마스크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마스크 구성을 나타낸 외측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마스크 구성을 나타낸 내측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마스크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마스크 사용 상태도로서 날숨시 공기의 이동도.
도 6은 본 발명의 마스크 사용 상태도로서 들숨시 공기의 이동도.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이미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마스크 구성을 나타낸 외측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마스크 구성을 나타낸 내측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마스크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마스크 사용 상태도로서 날숨시 공기의 이동도.
도 6은 본 발명의 마스크 사용 상태도로서 들숨시 공기의 이동도로서,
본 발명의 주요한 구성요소는 크게 마스크 본체(10)와, 귀걸이용 탄성수단(20)과, 김서림 방지용 기밀수단(30)과, 메인 공기 통로 제어수단(40)과, 보조 공기 통로 제어수단(50) 및, 필터(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마스크 본체(10)는 반구 형태로 이루어지며 입과 코를 임시로 폐쇄하여 외부 유해 공기가 목구멍을 통과하여 폐속으로 직접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귀걸이용 탄성수단(20)은 마스크 본체(10)의 양쪽에 설치되며 상기 마스크 본체(10)를 입 주변에 설치후 머리 뒤쪽에서 고정하여 마스크 본체(10)가 움직이지 않고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김서림 방지용 기밀수단(30)은 마스크 본체(10)의 내측 상부영역에 설치되며, 작업자가 마스크 본체(10)를 착용한 상태에서 호흡시에 상부 방향으로 입김이나 콧김이 출력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경 착용자의 안경알에 입김이나 콧김으로 인한 김서림이 생기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메인 공기 통로 제어수단(40)은 마스크 본체(10)의 전면에 설치하되 입이 위치하는 부분에 설치하고, 공간부를 형성한 박스형 하우징(41)과, 박스형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측 지지판(42)과, 박스형 하우징의 외측에 설치되는 외측 지지판(43)과, 내측 지지판과 외측 지지판 사이에 설치되는 원형 또는 다각형 패널 형상의 일방향 밸브(44)와, 외측 지지판으로부터 연장 설치되어 일방향 밸브의 중심을 탄발 지지하여 마스크 내부의 공기 압력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개폐를 결정시키는 밸브 개폐 제어용 탄발 스프링(45)으로 이루어지며, 입이나 코로 호흡하되 날숨때에는 탄발 스프링이 압축되면서 일방향 밸브(44)가 열려 공기가 마스크 외부로 출력되도록하고, 입이나 코로 호흡하되 들숨때에는 탄발스프링이 팽창되어 일방향 밸브가 폐쇄되어 공기가 마스크 외부에서 내부로 인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미설명부호 45a는 탄발 스프링(45)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수단이다.
상기 보조 공기 통로 제어수단(50)은 김서림 방지용 기밀수단(30)에 설치하되, 김서림 방지용 기밀수단에 기억자 형태로 공간부(30a)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의 일측에 장착하며, 공간부를 형성한 박스형 하우징(51)과, 박스형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 1 지지판과(52), 박스형 하우징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 2 지지판 (53)과, 제 1 지지판과 제 2 지지판 사이에 설치되는 원형 또는 다각형 패널 형상의 김서림 방지용 일방향 밸브(54)와, 김서림 방지용 일방향 밸브를 개폐시키는 밸브 개폐 제어용 탄발 스프링(55)으로 이루어지며, 입이나 코로 호흡하되 날숨때에는 밸브 개폐 제어용 탄발 스프링(55)의 작용으로 김서림 방지용 일방향 밸브가 폐쇄되어 메인 공기 통로 제어수단(40)을 통해서만 입김이나 콧김이 출력되도록하고, 입이나 코로 호흡하되 들숨때에는 김서림 방지용 일방향 밸브(54)가 오픈되면서 마스크의 상부쪽에 위치하는 공기를 공간부를 통해 인입시켜 입이나 코로 들여마실 수 있도록 구성한다. 미설명부호 55a는 탄발 스프링을 가이드하는 가이드 수단이다.
상기 김서림 방지용 기밀수단(30)에 형성되는 공간부(30a)는 원통형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이는 공간부의 형성이 용이하도록하고, 아울러 보조 공기통로 제어수단(50)을 용이하게 설치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조리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마스크 본체(10)와, 귀걸이용 탄성수단(20)과, 김서림 방지용 기밀수단(30)과, 메인 공기 통로 제어수단(40)과, 보조 공기 통로 제어수단(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바, 먼저 마스크 본체(10)는 입과 코 주변을 차단하여 작업자가 호흡시에 외부의 이물질을 거르면서 순수한 공기만 마스크 본체를 통해 전달되도록 구성되며, 이를 위해 마스크 본체(10)는 양질의 부직포로 제작토록 한다.
그러면, 상기 마스크 본체(10)를 통해 사방에서 공기가 인입되면서 외부의 먼지등을 거르게 되어 외부 이물질이 작업자의 입과 코를 통해 폐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마스크 본체(10)는 널리 알려져 있는 통상적인 재질이기 때문에 더이상의 설명은 생략토록 한다. 즉, 본 발명의 마스크 본체(10)는 이미 공지된 재료를 적용하는 것이다.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양 사이드에는 귀걸이용 탄성수단(20)이 각각 설치되며, 상기 귀걸이용 탄성수단(20)을 이용하여 귀에 걸거나 또는 머리 뒤쪽으로 걸어서 마스크 본체(10)가 입과 코 주변을 강력하게 압착하도록하여 마스크 본체(10)의 테두리면을 통해 인입되는 공기를 차단토록 한다. 상기 귀걸이용 탄성수단(20) 역시 공지된 기술이기 때문에 더이상의 설명은 생략토록 한다.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내측 상부에는 김서림 방지용 기밀수단(30)을 설치하는바, 상기 김서림 방지용 기밀수단(30)은 수평바 형태로 이루어지며, 입과 코에서 발생되는 입김과 콧김이 위로 상승하는 것을 차단하여 안경 착용자의 안경알에 김이 안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김서림 방지용 기밀수단(30)을 마스크 본체(10)의 내측에 장착하되 코가 위치하는 부분보다 윗쪽에 설치하며 가로방향으로 길게 설치하여 마스크 본체(10)를 착용시에 코의 윗쪽에서 압착되므로 입이나 코에서 발생되는 입김이나 콧김이 위로 상승하는 것을 막게 되고, 이에 따라 작업자가 안경 착용자일 경우 안경알에 습기가 안착되는 것을 차단하여 김서림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메인 공기 통로 제어수단(40)과, 보조 공기 통로 제어수단(50)을 더 설치하는바, 메인 공기 통로 제어수단(40)은 마스크 본체(10)의 내측 전면에 설치하며, 이에 따라 작업자가 호흡과정에서 날숨시에 상기 메인 공기 통로 제어수단을 통해 외부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메인 공기 통로 제어수단(40)은 공간부를 형성한 박스형 하우징(41)과, 박스형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측 지지판(42)과, 박스형 하우징의 외측에 설치되는 외측 지지판(43) 및, 내측 지지판과 외측 지지판 사이에 설치되는 원형 또는 다각형 패널 형상의 일방향 밸브(44)와, 외측 지지판으로부터 연장 설치되어 일방향 밸브의 중심을 탄발 지지하는 밸브 개폐 제어용 탄발 스프링(45)으로 이루어지는바, 동작전 상태에서는 일방향 밸브(44)가 밸브 개폐 제어용 탄발 스프링(45)에 지지되어 공기가 통과하지 못하도록 폐쇄되어 있으며, 작업자가 날숨으로 압력을 가할시에는 밸브 개폐 제어용 탄발 스프링(45)을 압축시키면서 외측 지지판(43) 영역으로 밀리고 이에 따라 외부와 연결되어 공기가 외부로 방출된다. 그리고, 들숨시에는 내측 지지판으로 이동하여 공기의 통로를 폐쇄하여 외부 공기가 상기 메인 공기 통로 제어수단을 통해 직접 인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보조 공기 통로 제어수단(50)을 더 설치하는바, 상기 보조 공기 통로 제어수단은 김서림 방지용 기밀수단(30)에 기억자 형태로 공간부(30a)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의 일측에 장착하며, 공간부를 형성한 박스형 하우징(51)과, 박스형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 1 지지판과(52), 박스형 하우징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 2 지지판 (53)및, 제 1 지지판과 제 2 지지판 사이에 설치되는 김서림 방지용 일방향 밸브(54)와, 김서림 방지용 일방향 밸브(54)의 중심을 탄발 지지시키는 밸브 개폐 제어용 탄발 스프링(55)으로 이루어지며, 날숨시에는 김서림 방지용 일방향 밸브(54)가 탄발 스프링이 팽창되어 제 2 지지판(53)에 밀착되고 이에 따라 공기가 통과하는 것을 차단하고, 들숨시에는 탄발 스프링(55)이 압착되면서 김서림 방지용 일방향 밸브(54)가 열리고, 이에 따라 마스크 본체의 상부를 통해 인입되는 공기가 상기 보조 공기 통로 제어수단(50)을 통해 인입되어 입이나 코로 숨쉬기 편하게 유도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김서림 방지용 기밀수단(30)의 공간부(30a)에 필터(60)를 더 장착하여 외부 공기가 공간부를 통해 진입시에 다시한번 걸리주게 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전체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마스크 본체(10)를 입 주변에 갖다 댄 상태에서 귀걸이용 탄성수단(20)을 통해 고정시킨다.
그러면 마스크 본체(10)가 압착되면서 외부 공기가 직접 착용자의 입이나 코를 통해 진입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이후, 작업자가 호흡을 하게 되는바, 먼저 날숨시에는 메인 공기 통로 제어수단(4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며, 이때에는 밸브 개폐 제어용 탄발 스프링(45)이 압축되어 메인 공기 통로 제어수단(40)의 일방향 밸브가 열리면서 작업자가 내쉬는 호습이 상기 일방향 밸브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때, 보조 공기통로 제어수단(50)은 밸브 개폐 제어용 탄발 스프링(55)가 탄발되어 있는 상태로서 김서림 방지용 일방향 밸브(54)가 폐쇄되면서 윗쪽으로 공기가 이동하는 것을 막아서 안경 착용자의 안경에 입김이나 콧김이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즉, 김서림 방지용 기밀수단(30)이 마스크 본체(10)의 내측에 형성되어 작업자가 호흡시에 입김이나 콧김이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근본적으로 차단하며, 이때 보조 공기통로 제어수단(50)을 폐쇄하여 더욱더 공기의 상향 이동을 막게 된다.
이후, 작업자가 들숨을 쉬게 되면 외부 공기가 입 주변을 통해 직접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해 메인 공기 통로 제어수단(40)의 일방향 밸브(44)가 폐쇄되고, 동시에 김서림 방지용 일방향 밸브(54)가 열리면서 상부쪽 마스크 본체(10)를 통해 인입되는 공기가 김서림 방지용 일방향 밸브(54)를 통해 입이나 코로 이동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들숨시에 마스크 본체(10) 상부쪽에서 인입되는 공기를 상기 보조 공기통로 제어수단(50)을 통해 인입되도록하여 편안한 호흡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만약에, 보조 공기통로 제어수단(50)을 설치하지 않게 되면 마스크 본체(10)의 상부에서 진입하는 공기가 김서림 방지용 기밀수단(30)에 막혀서 이동할 수 없기 때문에 호흡이 곤란하게 된다. 즉, 단순히 김서림 방지용 기밀수단(30)만을 설치할 경우에는 김서림을 방지할 수는 있느나, 마스크 본체(10) 상부를 통해 진입하려는 공기의 이동을 막아서 작업자의 호흡이 곤란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보조 공기통로 제어수단(50)을 설치함으로서 날숨시에는 공기가 위로 상승하는 것을 막아서 안경 착용자의 안경에 김서림이 발생하는 것을 막고, 들숨시에는 보조 공기통로 제어수단(50)을 통해 공기가 인입되도록하여 편안한 호흡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결국, 본 발명을 이용하게 되면 호흡이 편안하면서도 안경 착용자의 안경알에 김서림이 방지되는 효과를 갖게 되어, 마스크 본체(10)를 착용하여 근무하는 작업자가 좀더 편안한 상태로 작업을 할 수 있게 되다.
10: 마스크 본체
20: 귀걸이용 탄성수단
30: 김서림 방지용 기밀수단
40: 메인 공기 통로 제어수단
50: 보조 공기 통로 제어수단
60: 필터

Claims (2)

  1. 반구 형태로 이루어지며 입과 코를 임시로 폐쇄하여 외부 유해 공기가 목구멍을 통과하여 폐속으로 직접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마스크 본체(10)와;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양쪽에 설치되며 상기 마스크 본체(10)를 입 주변에 설치후 머리 뒤쪽에서 고정하여 마스크 본체(10)가 움직이지 않고 고정상태를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귀걸이용 탄성수단(20)와;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내측 상부영역에 설치되며, 작업자가 마스크 본체(10)를 착용한 상태에서 호흡시에 상부 방향으로 입김이나 콧김이 출력되는 것을 방지하는 김서림 방지용 기밀수단(30)과;
    상기 마스크 본체(10)의 전면에 설치하되 입이 위치하는 부분에 설치하고, 공간부를 형성한 박스형 하우징(41)과, 박스형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되는 내측 지지판(42)과, 박스형 하우징의 외측에 설치되는 외측 지지판(43)과, 내측 지지판과 외측 지지판 사이에 설치되는 원형 또는 다각형 패널 형상의 일방향 밸브(44)와, 외측 지지판으로부터 연장 설치되어 일방향 밸브의 중심을 탄발 지지하여 마스크 내부의 공기 압력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개폐를 결정시키는 밸브 개폐 제어용 탄발 스프링(45)으로 이루어지며, 입이나 코로 호흡하되 날숨때에는 탄발 스프링이 압축되면서 일방향 밸브(44)가 열려 공기가 마스크 외부로 출력되도록하고, 입이나 코로 호흡하되 들숨때에는 탄발스프링이 팽창되어 일방향 밸브가 폐쇄되어 공기가 마스크 외부에서 내부로 인입되는 것을 차단 메인 공기 통로 제어수단(40)과;
    상기 김서림 방지용 기밀수단(30)에 설치하되, 김서림 방지용 기밀수단에 기억자 형태로 공간부(30a)를 형성하고, 상기 공간부의 일측에 장착하며, 공간부를 형성한 박스형 하우징(51)과, 박스형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 1 지지판과(52), 박스형 하우징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 2 지지판(53)과, 제 1 지지판과 제 2 지지판 사이에 설치되는 원형 또는 다각형 패널 형상의 김서림 방지용 일방향 밸브(54)와, 김서림 방지용 일방향 밸브를 개폐시키는 밸브 개폐 제어용 탄발 스프링(55)으로 이루어지며, 입이나 코로 호흡하되 날숨때에는 밸브 개폐 제어용 탄발 스프링(55)의 작용으로 김서림 방지용 일방향 밸브가 폐쇄되어 메인 공기 통로 제어수단(40)을 통해서만 입김이나 콧김이 출력되도록하고, 입이나 코로 호흡하되 들숨때에는 김서림 방지용 일방향 밸브(54)가 오픈되면서 마스크의 상부쪽에 위치하는 공기를 공간부를 통해 인입시켜 입이나 코로 들여마실 수 있도록 구성된 보조 공기 통로 제어수단(50)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착용자 안경알의 김서림 방지기능을 갖는 마스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김서림 방지용 기밀수단(30)의 공간부(30a)에는 필터(60)를 더 장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착용자 안경알의 김서림 방지기능을 갖는 마스크.
KR1020150066373A 2015-05-13 2015-05-13 안경 착용자 안경알의 김서림 방지기능을 갖는 마스크 KR2016013363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6373A KR20160133635A (ko) 2015-05-13 2015-05-13 안경 착용자 안경알의 김서림 방지기능을 갖는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6373A KR20160133635A (ko) 2015-05-13 2015-05-13 안경 착용자 안경알의 김서림 방지기능을 갖는 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3635A true KR20160133635A (ko) 2016-11-23

Family

ID=57541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6373A KR20160133635A (ko) 2015-05-13 2015-05-13 안경 착용자 안경알의 김서림 방지기능을 갖는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33635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4969B1 (ko) * 2017-09-07 2019-02-01 이영기 콧구멍에 삽입되는 비강 마스크
KR102265308B1 (ko) * 2020-11-10 2021-06-15 지한준 기능성 코편을 갖는 마스크
IT202100025910A1 (it) * 2021-10-09 2022-01-09 Gionata Grandini Dispositivo antiappannante occhiali per mascherina chirurgica/ffp2
KR20220045449A (ko) 2020-10-05 2022-04-12 황광연 김서림 방지기능을 가진 안면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4969B1 (ko) * 2017-09-07 2019-02-01 이영기 콧구멍에 삽입되는 비강 마스크
KR20220045449A (ko) 2020-10-05 2022-04-12 황광연 김서림 방지기능을 가진 안면 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KR102265308B1 (ko) * 2020-11-10 2021-06-15 지한준 기능성 코편을 갖는 마스크
IT202100025910A1 (it) * 2021-10-09 2022-01-09 Gionata Grandini Dispositivo antiappannante occhiali per mascherina chirurgica/ffp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10046B1 (ko) 안경 김서림 방지기능을 갖는 마스크
KR101653614B1 (ko) 숨쉬기 용이한 기능성 마스크
KR101854270B1 (ko) 방진 마스크
KR20160133635A (ko) 안경 착용자 안경알의 김서림 방지기능을 갖는 마스크
KR20200000600U (ko) 습기조절 프레임과 필터 및 외피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고정부를 구비한 미세먼지 차단 마스크
KR20180058604A (ko) 홀더부재가 형성되는 마스크의 호흡용 프레임
KR101578506B1 (ko) 마스크
KR101083435B1 (ko) 김서림방지마스크
JP2016073591A (ja) メガネの曇り止めマスク
KR20090030017A (ko) 김서림방지 마스크
KR20190072304A (ko) 마스크윈도우 김서림 방지 구조
JP2007061585A (ja) メガネの曇り止めマスク
KR102265308B1 (ko) 기능성 코편을 갖는 마스크
KR20190002556U (ko) 미세먼지 차단용 마스크
US20220151319A1 (en) Fog Preventing Barrier for a Mask and Method
WO2018047987A1 (ko) 방진 마스크
US6920880B1 (en) Mask defogging system and method
JP3116426U (ja) メガネの曇り止めマスク
KR101672697B1 (ko) 방진 마스크
KR102319973B1 (ko) 김서림 방지 마스크
CN112315049B (zh) 一种新冠特殊防护服
KR102192507B1 (ko) 거꾸로 착용이 가능한 마스크
KR102421391B1 (ko) 김서림 방지 마스크
CN218571467U (zh) 一种医用防护面罩
CN219330791U (zh) 防护面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