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3610A - 하이브리드 투명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소자 - Google Patents

하이브리드 투명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3610A
KR20160133610A KR1020150066162A KR20150066162A KR20160133610A KR 20160133610 A KR20160133610 A KR 20160133610A KR 1020150066162 A KR1020150066162 A KR 1020150066162A KR 20150066162 A KR20150066162 A KR 20150066162A KR 20160133610 A KR20160133610 A KR 201601336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rylate resin
electrode layer
metal
transparent electrod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6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근영
김경남
이세한
오종식
오지수
신재희
Original Assignee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66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3610A/ko
Publication of KR20160133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36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4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or films on insulating-suppor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metals or allo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투명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소자에 관한 것으로, 상기 하이브리드 투명전극은 투명 기판 및 상기 투명 기판에 임베디드된 금속 나노와이어 또는 금속 나노메쉬를 포함하는 금속 나노 구조체를 포함하는 제1전극층; 및 전도성 2차원 물질을 포함하는 제2전극층을 포함하고, 상기 금속 나노 구조체의 일부가 상기 제2전극층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표면 거칠기가 개선되고 디스플레이 소자의 표면으로 전류의 스프레딩이 향상되며 일함수 조절이 가능한 투명전극을 제공하여 디스플레이 소자 또는 플렉서블 소자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하이브리드 투명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소자{HYBRID TRANSPARENT ELECTRODE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하이브리드 투명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소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금속 나노구조체를 포함하는 전극층와 전도성 2차원 물질을 포함하는 전극층이 하이브리드된 우수한 전기적, 광학적 특성을 가지는 투명전극에 관한 것이다.
투명전극은 낮은 비저항과 면저항을 가져 전도성이 우수하고 380 내지 780nm의 가시광선 영역에서 투과율이 높은 박막으로, 디스플레이, 터치스크린, 태양전지 및 광전자 소자들의 전자분야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기술이다.
투명전극의 소재로는 인듐 주석 산화물(ITO) 필름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무기물인 ITO은 휨에 약하여 플렉서블 소자 적용에 한계가 있고 인듐 자체가 희소 금속으로 가격 상승과 자원 고갈의 우려도 있다.
투명전극 소재로는 ITO 이외에도 산화주석(SnO2), 산화아연(ZnO) 등도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ITO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저항값으로 인하여 높은 저항값을 필요로 하는 터치 패널이나 저급의 투명전극재로 일부 사용되고 있다.
이처럼 수요가 급속도로 늘어가는 투명전극 소재로 플렉서블, 원가 절감 및 투명도 대비 전도도 개선 등을 위해 차세대 소재로 탄소나노튜브, 그래핀 및 금속 나노와이어 또는 금속 나노 메쉬 등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 중 금속 나노와이어는 투명전극에 적용시 면저항은 20Ω/sq 이하를 가지며 투과도는 가시광선 영역의 경우 평균 75% 이상 나오는 것으로 보고되어 미래의 투명전극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금속 나노와이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발광소자를 위한 투명전극을 제조하는 경우 금속 나노와이어 접합면의 표면 거칠기가 크고 발광소자와 접하는 면이 일부분이여서 투명전극의 특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고자 종래에는 금속 나노와이어를 코팅한 후 PEDOT 등의 전도성 고분자를 코팅하였으나, 표면 거칠기는 개선하더라도 코팅된 PEDOT으로 인하여 투과도와 전도도가 떨어져 OLED 등의 소자에 적용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에, 광학적 특성과 전기적 특성이 우수하면서도 금속 나노와이어 또는 금속 나노 메쉬 투명전극의 표면 거칠기를 개선하며 디스플레이 발광소자의 많은 부분과 접하며 접합저항을 낮추기 위해 일함수가 제어된 투명전극의 제조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금속 나노와이어 또는 금속 나노 메쉬 투명전극의 표면 거칠기를 개선한 투명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이에, 광학적 특성과 전기적 특성이 우수하면서도 금속 나노와이어 또는 금속 나노 메쉬 투명전극의 표면 거칠기를 개선하며 디스플레이 발광소자의 많은 부분과 접하며 접합저항을 낮추기 위해 일함수가 제어된 투명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광학적 특성 및 전기적 특성이 우수한 투명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전극은 투명 기판 및 상기 투명 기판에 임베디드된 금속 나노와이어 또는 금속 나노메쉬를 포함하는 금속 나노 구조체를 포함하는 제1전극층; 및 전도성 2차원 물질을 포함하는 제2전극층을 포함하고, 상기 금속 나노 구조체의 일부가 상기 제2전극층에 접촉할 수 있다.
상기 금속 나노 구조체의 금속은 은(Ag), 금(Au), 백금(Pt), 주석(Sn), 철(Fe), 니켈(Ni), 코발트(Co), 알루미늄(Al), 아연(Zn), 구리(Cu), 인듐(In), 티타늄(Ti),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명 기판은 고분자, 산화물 또는 질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는 폴리이미드, 폴리디메틸실로세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테르술폰, UV 경화 수지, 열 경화 수지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UV 경화 수지는 에폭시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계,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폴리부타디엔아크릴레이트계, 실리콘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알킬아크릴레이트계 수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상기 열 경화 수지는 에폭시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계,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폴리부타디엔아크릴레이트계, 실리콘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알킬아크릴레이트계 수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산화물은 산화실리콘, 산화알루미늄, 산화하프늄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질화물은 질화실리콘, 질화알루미늄, 질화하프늄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2차원 물질은 그래핀, C60, MoS2, GaS, GeS, TaS2, WS2, HfS2, CdS, SnS2, SnSe2, Bi2Se3, BiTe2Se, ZnSe, MoSe2, CdTe, PbTe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그래핀은 화학기상증착(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그래핀이거나 그래핀 플레이크(graphene flake)일 수 있다.
상기 금속 나노 구조체는 상기 제1전극층에서 상기 제2전극층과 맞닿는 방향쪽에 분포할 수 있다.
상기 투명전극은 상기 금속 나노 구조체 표면적의 20 내지 99%가 제1전극층에 임베디드되고, 표면적의 1 내지 80%가 상기 제2전극층에 접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소자는 상술한 하이브리드 투명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는 전류의 스프레딩이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 전체 면적의 60 내지 100%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투명전극은 광학적, 전기적 특성을 우수하게 유지하면서도 금속 나노와이어 또는 금속 나노 메쉬가 투명 기판의 한쪽 면에 임베디드됨으로써, 낮은 표면 거칠기를 가지는 투명전극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금속 나노와이어 또는 금속 나노 메쉬가 전도성 2차원 물질과 하이브리드 형태로 투명전극을 형성함으로써 커런트 스프레드(current spread)를 향상시키고 일함수 조절이 가능하여 투명전극의 광학적 또는 전기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투명전극은 디스플레이 소자 또는 플렉서블 소자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전극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제2전극층이 그래핀인 투명전극인 경우, 도핑에 따라서 일함수가 변화하는 그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전극을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이미지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투명전극에 대하여 벤딩 테스트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투명전극을 바닥전극으로 하여 OLED 소자를 제조하였을 때 작동되는 것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투명전극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전극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투명전극은 투명 기판(11) 및 상기 투명 기판에 임베디드된 금속 나노 구조체(12)를 포함하는 제1전극층(10) 및 전도성 2차원 물질을 포함하는 제2전극층(20)을 포함하고, 상기 금속 나노 구조체의 일부가 상기 제2전극층(20)에 접촉하는 형태이다.
여기서, '제1전극층' 및 '제2전극층'에서, '제1' 및 '제2'는 전극층을 구별하기 위하여 기재한 용어일 뿐, 권리범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전극층(10)을 구성하는 투명 기판(11)은 고분자, 산화물 또는 질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분자는 폴리이미드, 폴리디메틸실로세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테르술폰, UV 경화 수지 또는 열 경화 수지 일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UV 경화 수지는 에폭시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계,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폴리부타디엔아크릴레이트계, 실리콘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알킬아크릴레이트계 수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상기 열 경화 수지는 에폭시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계,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폴리부타디엔아크릴레이트계, 실리콘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알킬아크릴레이트계 수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산화물은 산화실리콘, 산화알루미늄 또는 산화하프늄일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질화물은 질화실리콘, 질화알루미늄, 질화하프늄일 수 있으며, 경우에따라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전극층(10)을 구성하는 금속 나노 구조체(12)는 금속 나노와이어 또는 금속 나노 메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 나노 구조체의 금속은 은(Ag), 금(Au), 백금(Pt), 주석(Sn), 철(Fe), 니켈(Ni), 코발트(Co), 알루미늄(Al), 아연(Zn), 구리(Cu), 인듐(In) 또는 티타늄(Ti)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은(Ag)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금속의 종류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2전극층(20)은 전도성 2차원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2차원 물질은 그래핀, C60, MoS2, GaS, GeS, TaS2, WS2, HfS2, CdS, SnS2, SnSe2, Bi2Se3, BiTe2Se, ZnSe, MoSe2, CdTe 또는 PbTe일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2차원 물질로 바람직하게는 그래핀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그래핀은 육방정계 격자 구조의 탄소 원자로 이루어진 단층 구조물질로, 고온에서 탄소를 가스화하여 금속표면에 증착시키는 방법으로 생산되는 화학기상증착(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그래핀 또는 흑연 결정으로부터 그래핀을 박리하는 방법으로 생산되는 그래핀 플레이크(graphene flake)를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금속 나노 구조체는 제1전극층(10)에서 제2전극층(20)과 맞닿는 방향쪽에 밀도있게 분포하여 임베디드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기 투명전극은, 금속 나노 구조체가 제2전극층(20)에 접촉될 수 잇으며 바람직하게는 금속 나노 구조체의 20 내지 99%가 제1전극층(10)에 매립되고, 표면적의 1 내지 80%가 제2전극층(20)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금속 나노 구조체가 제2전극층(20)에 상기 범위로 접촉하는 경우 낮은 표면 거칠기를 구현할 수 있다.
금속 나노와이어나 금속 나노 메쉬의 금속 나노 구조체는 구조의 특성상 높은 표면 거칠기를 가져, 본 발명에서금속 나노 구조체가 임베디드되어 있는 제1전극층 상에 전도성 2차원 물질을 포함하는 제2전극층을 하이브리드 형태로 형성시킴으로써, 금속 나노 구조체의 표면 거칠기를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제2전극층을 도입함으로써 금속 나노와이어 또는 금속 나노 메쉬 사이의 공극을 채울 수 있으며, 인젝션 커런트(injection current)를 증가시키고, 제2전극층은 금속 나노 구조체를 포함하는 제1전극층 상에 적층시켜 커런트 스프레드를 향상시킬 수 있고, 일함수(work function)의 조절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를 통하여, 본 발명의 투명전극은 전기전도도가 우수한 수준으로 유지되면서 전기장이 전체 면적에 일정하게 가해질 수 있어, 적용 소자는 발광 효율 및 발광 면적을 향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투명전극의 일함수는 4 내지 6eV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디스플레이 소자는 상술한 투명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는 제2전극층이 제1전극층 표면의 앞면에 도포된 형태를 가지는 하이브리드 투명전극을 포함함으로써, 전류의 스프레딩이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 전체 면적의 60 내지 100%로 형성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00%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전체 면적 100%로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브리드 투명전극은 여러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하이브리드 투명전극을 제조하는 일 실시예에 의하면, 기재 준비단계, 기재 처리단계, 제2전극층 형성단계, 금속 나노 구조체 코팅단계, 제1전극층 형성단계 및 기재 제거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기재 준비단계는 금속 나노와이어 또는 상기 금속 나노 메쉬를 코팅하기 위한 구성인 기재를 준비하는 단계이다.
상기 기재는 금속 나노와이어 또는 상기 금속 나노 메쉬를 높은 평탄도로 코팅하기 위하여 도입된 구성으로, 추후 기재 제거단계에서 제거되는 구성이다.
상기 기재의 종류는, 해당 기술 분야에서 사용할 수 있는 유리 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플라스틱 기판의 구체적인 예로,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테르 케톤,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염화비닐, 셀룰로오스 에스테르, 폴리이미드,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에스테르, 폴리스티렌, 폴리올레핀, 폴리술폰, 폴리에테르 술폰 등으로 이루어진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할 수 있다.
기재 처리단계는 기재 준비단계에서 준비된 기재를 표면 처리하거나 또는 기재에 유기용매 레이어를 형성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기재를 표면 처리되거나 기재에 유기용매 레이어를 형성시킴으로써, 계면 특성을 이용하여 소수성을 가지는 금속 나노와이어 또는 금속 나노 메쉬나, 전도성 물질로부터 기재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상기 기재의 표면 처리는 탄소 계열 가스를 이용하여 표면 처리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탄소 계열 가스는 CHF3, C2F6, C3F8, C4F8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 레이어는 기재에 유기용매를 코팅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으며, 스핀 코팅 등 통상의 방법에 의해 코팅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 레이어는 모노 레이어(mono layer)로 0.5 내지 10n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구체적인 예로, 펜탄, 사이클로펜탄, 헥산, 사이클로헥산, 벤젠, 톨루엔, 1,4-디옥산, 클로로폼,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DMC), 테트라히드로퓨란(THF),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디메틸포름아마이드(DMF), 아세토니트릴(MeCN), 디메틸술폭사이드(DMSO), 니트로메탄, 프로필렌카보네이트, 포름산, n-부탄올, 이소프로판올(IPA), n-프로판올, 에탄올, 메탄올 또는 아세트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2전극층 형성단계는 표면 처리 또는 유기용매 레이어가 형성된 기재 상에 전도성 2차 물질을 코팅하여 제2전극층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금속 나노 구조체 코팅단계는 제2전극층 상에 금속 나노와이어 또는 상기 금속 나노 메쉬를 코팅하는 단계이다.
상기 금속 나노와이어 또는 상기 금속 나노 메쉬는 용매와 혼합하여 금속 용액을 형성하여 스프레이 방식, 잉크젯 방식 등의 통상의 방법으로 코팅될 수 있다.
제1전극층 형성단계는 상기 금속 코팅단계에서 코팅된 금속 나노와이어 또는 상기 금속 나노 메쉬 상에 고분자, 산화물 및 질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 물질을 코팅하는 단계이다.
기재 제거단계는 상기 제1전극층 형성단계(S14) 후 기재를 제거하는 단계이다.
기재를 제거하는 방법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방법을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물 또는 유기용매에 담지하여 기재를 박리시킬 수 있다. 상기 기재의 표면과 물 또는 유기용매의 계면 성질을 이용함으로써 간단한 방법에 의해 기재를 박리시켜 표면 거칠기가 작은 투명전극을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유기용매의 종류는 제한이 없으나, 구체적으로 펜탄, 사이클로펜탄, 헥산, 사이클로헥산, 벤젠, 톨루엔, 1,4-디옥산, 클로로폼,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DMC), 테트라히드로퓨란(THF),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디메틸포름아마이드(DMF), 아세토니트릴(MeCN), 디메틸술폭사이드(DMSO), 니트로메탄, 프로필렌카보네이트, 포름산, n-부탄올, 이소프로판올(IPA), n-프로판올, 에탄올, 메탄올 또는 아세트산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기재의 표면 처리 방식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의하면 금속 나노 구조체가 낮은 표면 거칠기를 가지도록 투명 기판에 임베디드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이브리드 투명전극을 제조하는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기재 준비단계, 희생층 형성단계, 제2전극층 형성단계, 금속 나노 구조체 코팅단계, 제1전극층 형성단계 및 희생층 제거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희생층의 구성을 도입하여 하이브리드 투명전극을 제조하는 방법이다.
희생층 형성단계는 기재 상에 희생층을 형성하는 단계이며, 희생층은 제1전극층 형성단계를 거친 후, 에칭을 통해 제거되면서 금속 나노 구조체를 높은 평탄도로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희생층은 금속 또는 고분자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고분자일 수 있다. 상기 금속이나 고분자는 종류에 무관하게 사용할 수 있다.
희생층을 형성한 후, 금속 나노 구조체 코팅단계 및 제1전극층 형성단계 후, 희생층 제거단계에서 희생층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희생층의 제거는 에칭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희생층의 소재에 따라 에칭에 사용되는 용매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희생층이 고분자인 경우에는 아세톤 등의 약산을 사용할 수 있고 산화물인 경우에는 불산, 질화물인 경우는 인산 등의 강산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강산을 사용하면 전극이 손상될 수 있어 고분자로 이루어진 희생층을 사용하는 것이 선호될 수 있다.
도 2는 제 2전극인 그래핀의 경우 도핑에 따라서 일함수가 변화하는 그림을을 나타낸다. 도핑에 따라서 일함수가 4에서 5eV로 변화함을 알 수가 있다.
도 3은 은(Ag) 나노와이어와 그래핀 플레이크를 이용하여 제조된 하이브리드 투명전극을 전자 현미경 이미지로 거칠기가 거의 없고 그래핀이 전류 스프레딩을 위해 투명기판의 표면쪽 전면적에 균일하게 분포된 것을 알 수가 있다.
도 4는 하이브리드 투명전극에 대하여 벤딩 테스트한 것으로, 도 4(a)는 제조된투명전극을 구부렸을 경우 구부린 면을 중심으로 반경(radius)을 측정하여 계산한 것이고, 도 4(b)는 도4(a)의 벤딩 반경에서의 벤딩 횟수에 따라 저항 변화율 전후를 비교한 것이다.
도 4(a)에 의하면, 벤딩 반경 변화에 따라 저항이 증가할수록 R/R0의 값이 거의 1.0으로 유지되며, 도 3(b)에 의하면, 벤딩 횟수가 증가하더라도 저항 변화율이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어 유연성이 우수하여 고품질의 투명전극을 제조되었음을 알 수 있다.
도 5는 하이브리드 투명전극을 바닥전극으로 하여 OLED 소자를 제조하였을 때 굽은 상태에서 작동되는 것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이를 통하여 본발명에 의한 투명전극은 유연 OLED 소자로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 제1전극층
11: 투명 기판
12: 금속 나노 구조체
20: 제2전극층

Claims (14)

  1. 투명 기판 및 상기 투명 기판에 임베디드된 금속 나노와이어 또는 금속 나노메쉬를 포함하는 금속 나노 구조체를 포함하는 제1전극층; 및
    전도성 2차원 물질을 포함하는 제2전극층을 포함하고,
    상기 금속 나노 구조체의 일부가 상기 제2전극층에 접촉하는 것인 하이브리드 투명전극.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나노 구조체의 금속은 은(Ag), 금(Au), 백금(Pt), 주석(Sn), 철(Fe), 니켈(Ni), 코발트(Co), 알루미늄(Al), 아연(Zn), 구리(Cu), 인듐(In), 티타늄(Ti),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금속을 포함하는 것인 하이브리드 투명전극.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기판은 고분자, 산화물 또는 질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하이브리드 투명전극.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는 폴리이미드, 폴리디메틸실로세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테르술폰, UV 경화 수지, 열 경화 수지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하이브리드 투명전극.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UV 경화 수지는 에폭시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계,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폴리부타디엔아크릴레이트계, 실리콘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알킬아크릴레이트계 수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고,
    상기 열 경화 수지는 에폭시아크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에스테르아크릴레이트계, 우레탄아크릴레이트계, 폴리부타디엔아크릴레이트계, 실리콘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알킬아크릴레이트계 수지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하이브리드 투명전극.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물은 산화실리콘, 산화알루미늄, 산화하프늄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하이브리드 투명전극.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질화물은 질화실리콘, 질화알루미늄, 질화하프늄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하이브리드 투명전극.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2차원 물질은 그래핀, C60, MoS2, GaS, GeS, TaS2, WS2, HfS2, CdS, SnS2, SnSe2, Bi2Se3, BiTe2Se, ZnSe, MoSe2, CdTe, PbTe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인 하이브리드 투명전극.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핀은 화학기상증착(Chemical Vapor Deposition, CVD) 그래핀이거나 그래핀 플레이크(graphene flake)인 것인 하이브리드 투명전극.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나노 구조체는 상기 제1전극층에서 상기 제2전극층과 맞닿는 방향쪽에 분포하는 것인 하이브리드 투명전극.
  11. 제1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전극은 상기 금속 나노 구조체 표면적의 20 내지 99%가 제1전극층에 임베디드되고, 표면적의 1 내지 80%가 상기 제2전극층에 접촉되는 것인 하이브리드 투명전극.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전극은 일함수가 4 내지 6 eV인 것인 하이브리드 투명전극.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하이브리드 투명전극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소자.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는 전류의 스프레딩이 상기 디스플레이 소자 전체 면적의 60 내지 100%로 형성되는 것인 디스플레이 소자.
KR1020150066162A 2015-05-12 2015-05-12 하이브리드 투명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소자 KR201601336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6162A KR20160133610A (ko) 2015-05-12 2015-05-12 하이브리드 투명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6162A KR20160133610A (ko) 2015-05-12 2015-05-12 하이브리드 투명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소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3610A true KR20160133610A (ko) 2016-11-23

Family

ID=57541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6162A KR20160133610A (ko) 2015-05-12 2015-05-12 하이브리드 투명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33610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1661A (ko) * 2017-11-28 2019-06-05 전자부품연구원 복합 전도성 기판 및 그의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1661A (ko) * 2017-11-28 2019-06-05 전자부품연구원 복합 전도성 기판 및 그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18971B2 (en) OLED display device with auxiliary electrod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display apparatus
US9711664B2 (en) Flexible transparent solar cell and production process of the same
CA2925436C (en) Methods for producing thin film charge selective transport layers
US20140212672A1 (en) One-dimensional conductive nanomaterial-based conductive film having the conductivity thereof enhanced by a two-dimensional nanomaterial
Han et al. Flexible transparent electrodes for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CN102938262A (zh) 一种透明导电薄膜及其制备方法
US9123914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1349357B1 (ko) 금속산화물에 의해 전도성이 향상된 그래핀 투명 전도성 필름
EP3179529A1 (en) Oled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display apparatus
US10329660B2 (en) Flexible transparent thin film
US11708499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highly conductive polymer thin film including plurality of conductive treatments
WO2009097212A1 (en) Transparent conductors that exhibit minimal scattering, methods for fabricat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s comprising the same
Xu et al. Multilayer graphene with chemical modification as transparent conducting electrodes i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CN103107286A (zh) 一种采用非光刻工艺制备图形化ito电极的方法
KR101892919B1 (ko) 투명 하이브리드 전극 및 그 제조방법
KR101296809B1 (ko) 산화그래핀에 의해 전도성이 향상된 탄소나노튜브 필름
KR20160130017A (ko) 투명전극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투명전극
KR101578268B1 (ko) 일함수 조절막을 구비한 전극 소자
KR20160133610A (ko) 하이브리드 투명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소자
Cui et al. Flexible 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with a smooth and transparent silver nanowire electrode
KR101781837B1 (ko) 그래핀 산화물 박막의 제조 방법 및 환원 방법, 그 방법들에 따라 생성된 그래핀 산화물 박막을 정공 주입층으로 이용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
CN114121346A (zh) 一种耐腐蚀的银纳米线复合透明电极及其制备方法
KR101264357B1 (ko) 산화그래핀에 의해 전도성이 향상된 그래핀 투명 전도성 필름
US10170629B2 (en) Field-effect transistor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KR101706963B1 (ko) 그래핀 복합 전극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