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2585A -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과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과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및 그의 무선 전력 전송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과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과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및 그의 무선 전력 전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2585A
KR20160132585A KR1020150065285A KR20150065285A KR20160132585A KR 20160132585 A KR20160132585 A KR 20160132585A KR 1020150065285 A KR1020150065285 A KR 1020150065285A KR 20150065285 A KR20150065285 A KR 20150065285A KR 20160132585 A KR20160132585 A KR 201601325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power
power transmission
unit
transmitting
receiv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5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수영
박수빈
이종헌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65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2585A/ko
Priority to US15/573,023 priority patent/US20180166905A1/en
Priority to EP16792885.2A priority patent/EP3297124A4/en
Priority to PCT/KR2016/004583 priority patent/WO2016182239A1/ko
Priority to CN201680026924.6A priority patent/CN107580741A/zh
Publication of KR20160132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25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5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capacitive coupling
    • H02J17/00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4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two or more trans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for charging batteries from ac mains by converters
    • H02J7/025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Abstract

무선 전력 송신 장치가 개시된다. 본 장치는 제1 감지부에 연결되어,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무선 전력을 전송하는 제1 무선 전력 송신부, 제2 감지부에 연결된 제2 무선 전력 송신부,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무선 전력이 전송되는 중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제2 무선 전력 송신부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제2 무선 전력 송신부로 유도되는 유도전류를 감지하도록 제2 감지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감지된 유도전류의 크기가 기 설정된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제2 무선 전력 송신부를 통해 무선 전력을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치 효율성 및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과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과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및 그의 무선 전력 전송 방법 {APPARATUS FOR TRANSMITTING WIRELESS POWER, THE CONTROL METHOD THEREOF, THE CONTROL METHOD OF APPARATUS FOR RECEIVING WIRELESS POWER, SYSTME FOR TRANSMITTING WIRELESS POWER AND TRANSMITTING WIRELESS POWER THEREOF }
본 발명은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과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과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및 그의 무선 전력 전송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충전 송신부를 구비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과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과 복수의 충전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및 그의 무선 전력 전송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 통신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함에 따라, 정보 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유비쿼터스 사회가 이루어지고 있다.
언제 어디서나 정보통신 기기들이 접속되기 위해서는 사회 모든 시설에 통신 기능을 가진 컴퓨터 칩을 내장시킨 센서들이 설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들 기기나 센서의 전원 공급 문제는 새로운 과제가 되고 있다. 또한 휴대폰 뿐만 아니라 블루투스 핸드셋과 아이팟 같은 뮤직 플레이어 등의 휴대기기 종류가 급격히 늘어나면서 배터리를 충전하는 작업이 사용자에게 시간과 수고를 요구하고 됐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이 최근 들어 관심을 받고 있다.
무선 전력 전송 기술(wireless power transmission 또는 wireless energy transfer)은 자기장의 유도 원리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송신기에서 수신기로 전기 에너지를 전송하는 기술로서, 이미 1800년대에 전자기유도 원리를 이용한 전기 모터나 변압기가 사용되기 시작했고, 그 후로는 라디오파나 레이저와 같은 전자파를 방사해서 전기에너지를 전송하는 방법도 시도되었다.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전동칫솔이나 일부 무선면도기도 실상은 전자기유도 원리로 충전된다.
현재까지 무선을 이용한 에너지 전달 방식은 크게 자기 유도 방식, 자기 공진(Electromagnetic Resonance) 방식 및 단파장 무선 주파수를 이용한 전력 전송 방식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자기 유도 방식은 두 개의 코일을 서로 인접시킨 후 한 개의 코일에 전류를 흘려보내면 이 때 발생한 자속(MagneticFlux)이 다른 코일에 기전력을 일으키는 현상을 사용한 기술로서, 휴대폰과 같은 소형기기를 중심으로 빠르게 상용화가 진행되고 있다. 자기 유도 방식은 최대 수백 키로와트(kW)의 전력을 전송할 수 있고 효율도 높지만 최대 전송 거리가 1센티미터(cm) 이하이므로 일반적으로 충전기나 바닥에 인접시켜야 하는 단점이 있다.
자기 공진 방식은 전자기파나 전류 등을 활용하는 대신 전기장이나 자기장을 이용하는 특징이 있다. 자기 공진 방식은 전자파 문제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으므로 다른 전자 기기나 인체에 안전하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한정된 거리와 공간에서만 활용할 수 있으며 에너지 전달 효율이 다소 낮다는 단점이 있다.
단파장 무선 전력 전송 방식-간단히, RF 방식-은 에너지가 라디오 파(RadioWave)형태로 직접 송수신될 수 있다는 점을 활용한 것이다. 이 기술은 렉테나(rectenna)를 이용하는 RF 방식의 무선 전력 전송 방식으로서, 렉테나는 안테나(antenna)와 정류기(rectifier)의 합성어로서 RF 전력을 직접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는 소자를 의미한다. 즉, RF 방식은 AC 라디오파를 DC로 변환하여 사용하는 기술로서, 최근 효율이 향상되면서 상용화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은 모바일 뿐만 아니라 IT, 철도, 가전 산업 등 산업 전반에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종래 기술에서는 복수의 코일을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가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전력을 송신하는 것을 개시하고 있었다. 그러나, 무선 수신 장치가 충전 중에 이동되는 경우, 보다 효율적으로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전력을 전송하는 기술의 대두가 요청된다.
미국공개문헌 US20070182367A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복수의 전력 송신부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 전력 수신 장치를 정확하게 인식하여, 무선 충전을 수행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 전력 수신 장치를 보다 효율적으로 서칭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충전 중에 이동되는 경우, 자동으로 무선 전력 수신 장치를 서칭하여 무선 전력을 전송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이용한 무선 전력 전송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무선 전력 송신부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제어 방법은 제1 무선 전력 송신부를 통해 무선 전력을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무선 전력 전송 중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제2 무선 전력 송신부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2 무선 전력 송신부로 유도되는 유도전류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무선 전력 송신부에 감지된 유도전류의 크기가 기 설정된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제2 무선 전력 송신부를 통해 무선 전력을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무선 전력 송신부를 통해 무선 전력을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무선 전력 송신부에 인가된 전류를 이용하여 전자기 유도 방식으로 상기 무선 전력을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무선 전력 송신부를 통해 무선 전력을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무선 전력 송신부로부터 제2 무선 전력 송신부로 송신 채널이 변경되더라도, 끊김없이 무선 전력을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방법은 상기 제2 무선 전력 송신부를 통해 무선 전력을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경우, 제1 무선 전력 송신부를 통한 무선 전력 전송을 중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무선 전력 송신부를 통해 무선 전력을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무선 전력 송신부를 통해 무선 전력을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전송함과 동시에, 상기 제1 무선 전력 송신부를 통해서도 무선 전력을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방법은 상기 제2 무선 전력 송신부로 무선 전력 전송 채널이 변경되는 경우, 알림 신호를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무선 전력 송신부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제1 감지부에 연결되어,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무선 전력을 전송하는 제1 무선 전력 송신부, 제2 감지부에 연결된 제2 무선 전력 송신부, 및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무선 전력이 전송되는 중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제2 무선 전력 송신부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2 무선 전력 송신부로 유도되는 유도전류를 감지하도록 제2 감지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감지된 유도전류의 크기가 기 설정된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2 무선 전력 송신부를 통해 무선 전력을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무선 전력 송신부에 인가된 전류를 이용하여 전자기 유도 방식으로 무선 전력을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무선 전력 송신부로부터 제2 무선 전력 송신부로 송신 채널이 변경되더라도, 끊김없이 무선 전력을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무선 전력 송신부를 통해 무선 전력을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경우, 제1 무선 전력 송신부를 통한 무선 전력 전송을 중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무선 전력 송신부를 통해 무선 전력을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전송하면서, 상기 제1 무선 전력 송신부를 통해서도 무선 전력을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무선 전력 송신부로 무선 전력 전송 채널이 변경되는 경우, 알림 신호를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무선 전력 송신부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제어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무선 전력 송신부를 통해 무선 전력을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무선 전력 전송 중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특정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특정 방향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전력 송신부 각각에 유도되는 유도 전류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방향에 배치된 무선 전력 송신부 중 적어도 하나에 감지된 유도전류의 크기가 기 설정된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기 설정된 기준을 초과하는 무선 전력 송신부를 통해 무선 전력을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무선 전력 송신부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무선 전력을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무선 전력 송신부; 특정 방향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감지부 각각에 일대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무선 전력 송신부;및 무선 전력 전송 중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상기 특정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2 무선 전력 송신부 중 적어도 하나에 유도되는 유도 전류를 상기 감지부를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감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방향에 배치된 제2 무선 전력 송신부 중 적어도 하나에 감지된 유도전류의 크기가 기 설정된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기 설정된 기준을 초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전력 송신부를 통해 무선 전력을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무선 전력 송신부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단계;및 수신된 무선 전력의 수신 효율이 기 설정된 기준 값보다 작은 경우, 커맨드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무선 전력 송신부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무선 전력 송신부 중 적어도 하나가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부터 전송된 커맨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커맨드 신호를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전력 송신부 각각의 수신 감도를 측정하는 단계;및 측정된 상기 수신 감도가 기 설정된 기준을 충족하는 특정 무선 전력 송신부를 이용하여 무선 전력을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무선 전력 송신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무선 전력 전송 방법은 제1 무선 전력 송신 장치를 통해 무선 전력을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무선 전력 전송 중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제2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2 무선 전력 송신 장치로 유도되는 유도전류를 감지하는 단계;및 상기 제2 무선 전력 송신 장치에 감지된 유도전류의 크기가 기 설정된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제2 무선 전력 송신 장치를 통해 무선 전력을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무선 전력 송신 장치가 상기 제1 무선 전력 송신 장치로부터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디바이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무선 전력 송신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은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무선 전력을 전송하는 제1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무선 전력 전송 중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이동되는 경우, 상기 이동되는 방향에 배치되어 유도전류를 감지하는 제2 무선 전력 송신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감지된 유도전류의 크기가 기 설정된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 무선 전력을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상기 제1 무선 전력 송신 장치로부터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디바이스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양태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원 발명의 기술적 특징들이 반영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 상술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전력 송신부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가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정확하게 인식되어 장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효율적으로 서칭됨으로써, 장치 효율성 및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충전 중에 이동되더라도 자동으로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서칭되고 충전됨으로써, 장치 효율성 및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 첨부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에 대한 실시예들을 제공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 특정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도면에서 개시하는 특징들은 서로 조합되어 새로운 실시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송신 유도 코일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전력 소스와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전력 송신부를 구비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일 예인 단말기의 후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에서는 공진 방식으로 무선 전력 전송이 수행되는 무선 전력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을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무선 전력 수신 중에 이동되는 경우,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3은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충전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충전 중 이동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실시예에 따른 공진 방식으로 충전 중에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이동되는 경우, 무선 전력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6 및 도 17은 이동 중인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끊김 없이 무선 파워를 전송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보다 상세한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적용되는 장치 및 다양한 방법들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배치되어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무선 전력 송신장치에 대해 설명의 편의를 위해 송신기, 송신단, 송신 장치, 송신측, 파워 전송 장치 등을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대한 표현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수신기, 단말기, 수신측, 수신 장치, 파워 수신 장치 등이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복수의 무선 전력 송신 수단을 구비하여 복수의 수신기에 무선으로 전력을 전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휴대폰(mobile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MP3 player, 기타 소형 전자 기기 등에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는 아니한다.
도 1은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은 전력 소스(100),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 및 부하단(400, LOAD)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소스(100)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에 포함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는 송신 유도 코일(210) 및 송신 공진 코일(220)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는 수신 공진 코일(310), 수신 유도 코일(320) 및 정류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소스(100)의 양단은 송신 유도 코일(210)의 양단과 연결될 수 있다.
송신 공진 코일(220)은 송신 유도 코일(210)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수신 공진 코일(310)은 수신 유도 코일(320)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수신 유도 코일(320)의 양단은 정류부(330, RECTIFIER)의 양단과 연결될 수 있고, 부하단(400, LOAD)은 정류부(330, RECTIFIER)의 양단과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부하단(400, LOAD)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에 포함될 수 있다.
전력 소스(100)에서 생성된 전력은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로 전달되고,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로 전달된 전력은 공진 현상에 의해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와 공진을 이루는 즉, 공진 주파수 값이 동일한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로 전달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보다 구체적으로 전력전송 과정을 설명한다.
전력 소스(100)는 소정 주파수를 갖는 교류 전력을 생성하여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에 전달할 수 있다.
송신 유도 코일(210)과 송신 공진 코일(220)은 유도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송신 유도 코일(210)은 전력 소스(100)로부터 공급받은 교류 전력에 의해 교류 전류가 발생되고, 이러한 교류 전류에 의한 전자기 유도에 의해 물리적으로 이격 되어 있는 송신 공진 코일(220)에도 교류 전류가 유도될 수 있다.
그 후, 송신 공진 코일(220)로 전달된 전력은 공진에 의해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와 주파수 공진 방식을 이용하여 동일한 공진 주파수를 갖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로 전달될 수 있다.
임피던스가 매칭된 2개의 LC 회로 사이는 공진에 의해 전력이 전송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공진에 의한 전력 전송은 전자기 유도 방식에 의한 전력 전송보다 더 먼 거리까지 더 높은 전송 효율로 전력 전달이 가능하게 한다.
수신 공진 코일(310)은 송신 공진 코일(220)로부터 주파수 공진 방식을 이용하여 전달된 전력을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된 전력으로 인해 수신 공진 코일(310)에는 교류 전류가 흐를 수 있고, 수신 공진 코일(310)로 전달된 전력은 전자기 유도에 의해 수신 공진 코일(310)과 유도 결합된 수신 유도 코일(320)로 전달될 수 있다. 수신 유도 코일(320)로 전달된 전력은 정류부(330)를 통해 정류되어 부하단(400)로 전달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송신 유도 코일(210), 송신 공진 코일(220), 수신 공진 코일(310), 수신 유도 코일(320)은 스파이럴(spiral) 또는 헬리컬(helical) 구조 중 어느 하나의 구조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송신 공진 코일(220)과 수신 공진 코일(310)은 공진 주파수에서 전력 전달이 가능하도록 공진 결합될 수 있다.
송신 공진 코일(220)과 수신 공진 코일(310)의 공진 결합으로 인해,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와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간 전력 전송 효율은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이상의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은 공진 주파수 방식에 의한 전력 전달을 설명하였다.
또한, 실시 예에서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가 하나의 송신 유도 코일(210) 및 하나의 송신 공진 코일(220)을 가진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고, 복수의 송신 유도 코일(210) 및 복수의 송신 공진 코일(220)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한 예는 후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는 이러한 공진 주파수 방식 이외에도 전자기 유도 방식에 의한 전력 전달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실시예에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이 전자기 유도를 기반으로 전력 전송을 수행하는 경우,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에 포함된 송신 공진 코일(220)과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에 포함된 수신 공진 코일(310)이 생략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전송에서 품질 지수(Quality Factor)와 결합계수(Coupling Coefficient)는 중요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즉, 전력 전송 효율은 품질 지수 및 결합계수 각각과 비례 관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품질 지수 및 결합계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값이 커질수록 전력 전송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품질 지수(Quality Factor)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 또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 부근에 축척할 수 있는 에너지의 지표를 의미할 수 있다.
품질 지수(Quality Factor)는 동작 주파수(w), 코일의 형상, 치수, 소재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품질 지수는 다음의 식 1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식 1]
Q=w*L/R
L은 코일의 인덕턴스이고, R은 코일자체에서 발생하는 전력손실량에 해당하는 저항을 의미한다.
품질 지수(Quality Factor)는 0에서 무한대의 값을 가질 수 있고, 품질지수가 클수록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와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간 전력 전송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결합계수(Coupling Coefficient)는 송신 측 코일과 수신 측 코일 간 자기적 결합의 정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0에서 1의 범위를 갖는다.
결합계수(Coupling Coefficient)는 송신 측 코일과 수신 측 코일의 상대적인 위치나 거리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2는 송신 유도 코일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 유도 코일(210)은 인덕터(L1)와 캐패시터(C1)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들에 의해 적절한 인덕턴스와 캐패시턴스 값을 갖는 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송신 유도 코일(210)은 인덕터(L1)의 양단이 캐패시터(C1)의 양단에 연결된 등가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송신 유도 코일(210)은 인턱터(L1)와 캐패시터(C1)가 병렬로 연결된 등가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캐패시터(C1)는 가변 캐패시터일 수 있으며, 캐패시터(C1)의 캐패시턴스가 조절됨에 따라 임피던스 매칭이 수행될 수 있다. 송신 공진 코일(220), 수신 공진 코일(310), 수신 유도 코일(320)의 등가 회로도 또한, 도 2에 도시된 것과 동일하거나 유사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전력 소스와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 유도 코일(210)과 송신 공진 코일(220)은 각각 인덕턴스 값과 캐패시턴스 값을 갖는 인덕터(L1, L2)와 캐패시터(C1, C2)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신 공진 코일(310)과 수신 유도 코일(320)은 각각 인덕턴스 값과 캐패시턴스 값을 갖는 인덕터(L3, L4)와 캐패시터(C3, C4)로 구성될 수 있다.
정류부(330)는 수신 유도 코일(320)로부터 전달받은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을 변환하여 변환된 직류 전력을 부하단(400)에 전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정류부(330)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정류기와 평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정류기는 실리콘 정류기가 사용될 수 있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오드(D1)로 등가화 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정류기는 수신 유도 코일(320)로부터 전달받은 교류 전력을 직류 전력을 변환할 수 있다.
평활 회로는 정류기에서 변환된 직류 전력에 포함된 교류 성분을 제거하여 매끄러운 직류 전력을 출력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평활 회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류 캐패시터(C5)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정류부(330)로부터 전달된 직류 전력은 직류 전압이나 직류 전류일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부하단(400)는 직류 전력을 필요로 하는 임의의 충전지 또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부하단(400)는 배터리를 의미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는 휴대폰, 노트북, 마우스 등 전력이 필요한 전자기기에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신 공진 코일(310) 및 수신 유도 코일(320)은 전자기기의 형태에 맞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와 인밴드(In band) 또는 아웃 오브 밴드(out of band) 통신을 이용하여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인밴드(In band) 통신은 무선 전력 전송에 사용되는 주파수를 갖는 신호를 이용하여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와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 간 정보를 교환하는 통신을 의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는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스위치의 스위칭 동작을 통해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에서 송신되는 전력을 수신하거나, 수신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에서 소모되는 전력량을 검출하여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에 포함된 스위치의 온 또는 오프 신호를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는 저항 소자와 스위치를 이용해 저항에서 흡수하는 전력량을 변화시켜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에서 소모되는 전력량을 변경시킬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는 소모되는 전력의 변화를 감지하여 부하단(400)의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스위치와 저항 소자는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부하단(400)의 상태 정보는 부하단(400)의 현재 충전량, 충전량 추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부하단(400)은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에 포함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스위치가 개방되면, 저항 소자가 흡수하는 전력은 0이 되고,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에서 소모되는 전력도 감소한다.
스위치가 단락되면, 저항 소자가 흡수하는 전력은 0보다 크게 되고,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에서 소모되는 전력은 증가한다.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서 이와 같은 동작을 반복하면,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에서 소모되는 전력을 검출하여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와 디지털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는 위와 같은 동작에 따라 부하단(400)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그에 적합한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 측에 저항 소자와 스위치를 구비하여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상태 정보를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에서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상태 정보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가 전송할 수 있는 최대공급 전력량,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가 전력을 제공하고 있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의 개수 및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가용 전력량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아웃 오브 밴드 통신에 대해 설명한다.
아웃 오브 밴드 통신은 공진 주파수 대역이 아닌 별도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전력 전송에 필요한 정보를 교환하는 통신을 말한다.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및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 각각에 아웃 오브 밴드 통신 모듈이 장착되어 양자 간에 전력 전송에 필요한 정보가 교환될 수 있다. 아웃 오브 밴드 통신 모듈은 전력 소스(100)에 장착될 수도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실시예에서 아웃 오브 밴드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무선랜, NFC(Near Field Communic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 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될 필요는 없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전력 송신부를 구비한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는 충전 패드(5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충전 패드(510)는 복수의 전력 송신부((1,1), (1,2),...,(6,6)) 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전력 송신부를 6행 6열로 예를 들었으나, 복수개의 송신부가 일렬로 배치될 수도 있고, 수신부의 개수가 2개 이상이 배치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충전 패드(510)는 도 1에 도시된 전력 소스 및 무선 전력 송신부(가령, 송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전력 소스와 복수의 무선 전력 송신부(가령, 송신 장치)가 충전 패드(510)에 내장될 수 있다. 충전 패드(510)는 위에서 보았을 때 원형, 타원형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을 가질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충전 패드(510)의 상면은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의 어느 일면과 면접촉될 수 있다. 충전 패드(510)의 상면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의 형상은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의 배면의 형상과 동일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다만, 여기서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는 단말기(300)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충전 패드(510)에 내장된 무선 전력 송신부((1,1), (1,2), ..., (6,6)) 각각은 도 1에서 도시된 송신 코일(도 1의 210, 2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무선 전력 송신부((1,1), (1,2),...,(6,6)) 각각은 하나의 송신 코일을 포함할수도 있고, 복수의 송신 코일(미도시)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무선 전력 송신부((1,1), (1,2),..., (6,6)) 각각에 구비된 송신 코일(미도시)은 충전 패드(510)의 상면과 면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송신 코일(미도시)의 전력이 균일하게 단말기(300)로 전송되도록 송신 코일(미도시)은 충전 패드(510)의 상면과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전력 송신부((1,1), (1,2),...,(6,6)) 각각은 상술한 전력 소스(100)로부터 전력을 제공받을 수 있을 수 있다. 특히, 전력 소스(100)는 복수로 구성되어 복수의 전력 송신부((1,1), (1,2),...,(6,6)) 각각 매칭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는 도시된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와 같은 복수 개의 디바이스로 동시에 무선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는 도 4에서 도시한 등가 회로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 유도 코일(320), 정류부(330) 및 부하단(400)이 포함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는 다양한 형태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는 휴대폰(mobile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MP3 player, 기타 소형 전자 기기 등에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는 아니한다.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는 충전을 위한 배터리(미도시)를 포함하고, 배터리(미도시)에 충전된 전원을 이용하여 소정의 전자적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전자 기기를 지칭할 수 있다. 예컨대,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는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PC와 같은 모바일 기기나 텔레비전, 냉장고 또는 세탁기와 같은 가전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는 도 1에 도시된 무선 전력 수신 코일 및 부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무선 전력 수신 코일 및 부하단은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에 내장될 수 있다.
충전을 위해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가 충전 패드(510)의 상면 상에 놓여질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가 놓여질 때, 무선 전력 송신 장치(300)의 전면 커버(22)가 위로 향하고 무선 전력 송신 장치(300)의 후면 커버(24)가 충전 패드(510)의 상면과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충전 패드(510)로부터 무선으로 전력이 제공되어 부하단에 충전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는 단말기(300)를 예로 설명하기로 한다.
단말기(300)의 배면에 인접하여 수신 코일(32) 및 자석(30)이 배치될 수 있다. 수신 코일(32) 또한 충전 패드(510)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송신 코일, 충전 패드(510)의 상면 및 무선 단말기(300)의 후면 커버(24)와 면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특히, 단말기(300)의 수신 코일(32)이 충전 패드(510)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송신 코일과 평행하도록 위치될 때, 충전 패드(510)의 송신 코일로부터 단말기(300)의 수신 코일(32)로 전달되는 전력의 전력 전달 효율이 극대화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구조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충전 패드(510)는 예를들어, 복수의 전력 송신부((1,1)~(1,5))를 포함할 수 있으며, 2개 이상의 전력 송신부가 될 수도 있다. 여기서 무선 수신 장치(300)는 단말기(300)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복수의 전력 송신부((1,1)~(1,5)) 각각은 송신 코일(14-1~14-5) 및 복수의 제1 자석(12-1~12-5)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송신 코일(14-1~14-5) 및 복수의 제1 자석(12-1~12-5)은 충전 패드(510)의 상면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송신 코일(14-1~14-5) 및 자석(12-1~12-5)은 동일 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송신 코일(14-1~14-5)은 도 1에 도시된 송신 유도 코일 및/또는 송신 공진 코일일 수 있다. 예컨대, 공진 방식의 경우 송신 유도 코일과 송신 공진 코일 모두가 사용되는데 반해, 전자기 유도 방식의 경우 송신 유도 코일만 사용될 수 있다.
복수의 송신 코일(14-1~14-5) 각각은 복수의 제1 자석(12-1~12-5) 각각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가령, 제1 송신 코일(14-1)은 제1 자석(12-1)을 둘러쌀 수 있고, 제2 송신 코일(14-2)은 제2 자석(12-2)을 둘러쌀 수 있으며, 제3 송신 코일(14-3)은 제3 자석(12-3)을 둘러쌀 수 있고, 제4 송신 코일(14-4)은 제4 자석(12-4)을 둘러싸도록 구성될 수 있고, 제5 송신 코일(14-5)은 제5 자석(12-5)을 둘러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도면은 단면도이므로, 도면상에 표시되기는 어렵다.
송신 코일(14-1~14-5)은 수개의 권수(number of turns)를 가지고, 인접하는 송신 코일(14-1~14-5)사이는 이격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송신 코일(14-1~14-5)은 가상의 수평면에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송신 코일(14-1~14-5)의 중앙 영역은 빈 공간일 수 있다.
복수의 제1 자석(12-1~12-5)은 송신 코일(14-1~14-5)의 중앙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자석(12-1~12-5)의 두께는 송신 코일(14-1~14-5)의 두께와 같거나 이보다 크거나 작을 수 있다. 복수의 제1 자석(12-1~12-5)에 요구되는 자속 밀도의 세기와 자석(12-1~12-5)의 점유 면적에 따라 복수의 제1 자석(12-1~12-5)의 두께와 복수의 제1 자석(12-1~12-5)의 면적은 달라질 수 있다.
단말기(300)는 차폐 부재(26), 수신 코일(32) 및 제2 자석(30)을 포함할 수 있다. 수신 코일(32) 및 제2 자석(30)은 동일 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단말기(300)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충전 패드(510)에 접한 것으로 표현되었으나, 단말기(300)는 일정거리를 두고 충전 패드(510)와 거리를 둘 수 있다.
단말기(300)는 복수의 전력 송신부((1,1)~(1,5)) 각각보다 크기가 더 클수도 더 작을 수도 있으나,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수신 코일(32)은 도 1에 도시된 수신 공진 코일 및/또는 수신 유도 코일일 수 있다. 예컨대, 공진 방식의 경우 수신 공진 코일 및 수신 유도 코일 모두가 사용되는데 반해, 전자기 유도 방식의 경우 수신 유도 코일만 사용될 수 있다.
수신 코일(32)은 제2 자석(30)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수신 코일(32)은 수개의 권수를 가지고, 인접하는 수신 코일(32) 사이는 이격될 수 있다. 수신 코일(32)은 가상의 수평면에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수신 코일(32)의 중앙 영역은 빈 공간일 수 있다.
제2 자석(30)은 수신 코일(32)의 중앙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수신 코일(32)의 중앙 영역은 송신 코일(14-1~14-5)의 중앙 영역보다 더 작을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제2 자석(30)의 두께는 수신 코일(32)의 두께와 같거나 이보다 크거나 작을 수 있다. 제2 자석(30)에 요구되는 자속 밀도의 세기와 제2 자석(30)의 점유 면적에 따라 제2 자석(30)의 두께와 제2 자석(30)의 면적은 달라질 수 있다.
제2 자석(30)은 단말기(300)의 근접 내지 접촉 여부가 충전 패드(510)에 의해 감지되도록 하여 준다.
이러한 감지를 위해 충전 패드(510)는 홀 센서(Hall sensor, 16-1~16-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홀 센서(16-1~16-5)는 충전 패드(510)의 상면과 제1 자석(12-1~12-5) 사이에 배치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홀 센서(16-1~16-5)는 제1 자석(12-1~12-5)보다 충전 패드(510)의 상면과 더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홀 센서(16-1~16-5)는 충전 패드(510)의 제1 자석(12-1~12-5)과 단말기(300)의 제2 자석(30) 사이의 충전 패드(510)에 배치될 수 있다. 홀 센서(16-1~16-5)는 단말기(300)가 없을 때에는 제1 자석(12-1~12-5)의 자속 밀도의 세기만을 감지한다. 하지만, 단말기(300)가 충전 패드(510)로 근접하게 되는 경우, 홀 센서(16-1~16-5)는 제1 자석(12-1~12-5)의 자속 밀도의 세기뿐만 아니라 제2 자석(30)의 자속 밀도의 세기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충전 패드(510)는 단말기(300)가 없을 때에 감지되는 제1 자석(12-1~12-5)의 자속 밀도의 세기를 기준으로 단말기(300)가 충전 패드(510) 상에 놓여졌을 때 감지되는 제1 자석(12-1~12-5)의 자속 밀도의 세기 및 제2 자석(30)의 자속 밀도의 세기를 감지하여 그 자속 밀도의 변화폭(α)이 임계값 이상인 경우 단말기(300)가 충전을 위해 충전 패드(510)에 놓여진 것으로 판단하고 단말기(300)에 대한 충전이 진행될 수 있다.
상기한 예에서는 홀 센서(16-1~16-5)가 충전 패드(510)의 상면과 제1 자석(12-1~12-5)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는 홀 센서(16-1~16-5)가 제1 자석(12-1~12-5)의 하단 일측에 배치되거나, 송신 코일(14-1~14-5)의 하단 일측에 배치될 수도 있음을 주의해야 한다.
이를 위해, 제2 자석(30)은 임계값 이상의 자속 밀도의 변화폭(α)을 유발시키는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임계값은 32G일 수 있다. 표준에서 요구되는 임계값은 40G일 수 있다.
제2 자석(30)은 전기 강판(electrical sheet, 전자 電磁鋼板)일 수 있다. 예컨대, 전기 강판은 적어도 1% 내지 5%의 규소(Si)가 함유될 수 있지만,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표준이나 고객사에서 요구하는 임계값 이상의 자속 밀도의 변화폭(?)이 유발되도록 제2 자석(30)의 규소 함유량은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수신 코일(32)과 제2 자석(30)은 점착제(28)를 이용하여 차폐 부재(26)의 배면에 부착될 수 있다. 차폐 부재(26) 상에는 전력 소스, 교류 전력 생성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자 부품들이 실장된 인쇄회로기판이 배치될 수 있다.
차폐 부재(26)는 코일에 의해 유도된 자기장을 차폐하여 자기장이 전자 부품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하여 전자 부품의 오동작을 방지하여 줄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공진 방식으로 무선 전력 전송이 수행될 수 있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8 내지 도 10에서는 공진 방식으로 무선 전력 전송이 수행되는 무선 전력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 따르면, 무선 전력 시스템(1)은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 및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를 포함한다.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는 송신(Tx) 공진부(840), 정합부(Matching Circuit), 파워앰프(Power Amp), 파워공급부(Power Supply) 및 송신 콘트롤러(860)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 콘트롤러는 송신 마이크로 콘트롤러와 아웃오브밴드 시그널링 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송신 공진부(840)는 후술할 수신(Rx) 공진부(830)로 동일한 공진 주파수(가령, 6.78MHz)를 이용하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송신 콘트롤러(860)는 무선 전력 신호 외의 신호를 채널(880)을 통해 수신 콘트롤러(85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가령, 블루투스를 통해서 통신이 수행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는 수신(Rx) 공진부(830), 정류부(Rectifier), 직류 직류 변환부(DC/DC Converter), 부하(LOAD) 및 수신 콘트롤러(85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 콘트롤러(850)은 수신 마이크로 콘트롤러와 아웃오브밴드 시그널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에서 무선 전력을 송신하기 위한 상태(State)를 나타내는 도면이다.도 9에 따르면,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는 설정 상태(Configuration State)(910), 전력절약상태(Power Save State)(920), 저전력상태(Low Power State)(930), 전력전송상태(Power Transfer State)(940) 를 거쳐서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로 무선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는 설정 상태(910)에서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장치 초기화를 수행한다. 무선 전력 전송 초기화가 완료되거나, 전송 리셋 타이머(Reset Timer) 가 리셋(Reset) 된 경우,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는 전력절약상태(920)로 상태로 바뀐다.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는 전력절약상태 (920)에서 주기적으로 송신 공진부(840)에 전류를 인가하여 송신 공진부(840)의 임피던스의 변화를 탐지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는 주기적으로 송신 공진부(840)에 전류를 인가하여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와 통신 가능하도록 한다.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는 숏비콘(Short Beacon)을 이용하여 송신 공진부(840)의 임피던스 변화를 탐지하고, 무선 전력 송신 장치(300)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가 부팅 및 반응에 충분한 파워가 전송되도록 보장하기 위한 롱비콘(Long Beacon) 을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로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0은 상술한 숏비콘과 롱비콘 이 전송되는 시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의 X 축은 시간, Y 축은 전류를 나타낸다.
도 10에 따르면, 숏비콘 의 전송주기(tCYCLE)는 250 ms 에서 +5 이하 -5 이상이 될 수 있다. 또한, 숏비콘의 전류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를 탐지하기 위한 최소 전류량(ITX_SHORT_BEACON_MIN) 보다 커야한다. 상기 탐지가능한 전류량은 무선 전력 수신장치의 타입(타입은 카테고리로 분류하며, 부하에 전달되는 최대 전력값으로 구분됨)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롱비콘의 주기는 숏비콘전송 종료의 10ms 내 시작하여, 105ms 에서 +5 이하 -5 이상이 될 수 있다. 롤비콘의 전류는 상기 롱비콘의 주기동안 무선전력 수신 장치(300)와의 통신을 초기화 하기위해 수신 콘트롤러(850)를 깨우기(Wake-up)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전류량(ITX_LONG_BEACON_MIN)보다 커야한다.이하에서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가 무선 전력 수신 장치를 인식하여, 제어하는 방법을 자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을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 부호는 도 5(가령, 복수의 전력 송신부), 도 7(가령, 홀 센서) 및 후술할 도 16(가령, 제어부)를 추가적으로 참고하기로 한다.
일단,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제어부(17)는 복수의 전력 송신부((1,1)~(6,6))를 통해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를 인식한다(S810).
복수의 전력 송신부((1,1)~(6,6)) 각각은 홀 센서(16-1~16-n)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17)는 각각의 홀 센서(16-1~16-n)의 자기장 변화를 통해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를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홀 센서(16-1~16-n)는 제어부(17)의 제어에 따라, 홀 센서(16-1~16-n) 각각에 대응되는 복수의 전력 송신부((1,1)~(6,6))에 포함된 송신 코일의 자속 밀도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홀 센서(16-1~16-n)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에 포함된 자석 또는 금속부재가 접근되는 경우,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가 접근되지 않은 경우의 자속 밀도의 세기와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가 접근된 경우의 자속 밀도의 세기를 이용하여 자속 밀도의 세기의 변화를 측정할 수 있다.
홀 센서(16-1~16-n)가 복수의 전력 송신부((1,1)~(6,6)) 각각에 포함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복수의 전력 송신부((1,1)~(6,6))와 무관하게 충전 패드(510)의 일정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제어부(17)는 복수의 전력 송신부((1,1)~(6,6))를 제어함으로써, 최외각에서부터 시작하여 중앙부까지 홀 센서(16-1~16-n)를 구동시켜,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을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는 홀센서 및 자석(금속부재) 등이 없더라도 복수의 전력 송신부((1,1)~(6,6))의 입력 임피던스 변화를 검출하여, 일정 임계값 이상으로 임피던스 변화가 생긴 경우,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를 인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면, 유도 방식(가령, PMA(Power Matters Alliance))인 경우, 제어부(17)는 ping을, 공진 방식(가령, A4WP(Alliance For Wireless Power))인 경우, 제어부(17)는 beacon signal 을 전송할 수 있다.
유도 방식의 경우,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는 In-Band로 피드백 신호를 복수의 전력 송신부((1,1)~(6,6))로 전송하고, 공진 방식의 경우,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는 Out-Of-Band 방식으로 피드백 신호를 복수의 전력 송신부((1,1)~(6,6))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7)는 센서(가령, 임피던스 변화 감지 센서)를 통해, 복수의 전력 송신부((1,1)~(6,6))에 형성된 임계값 이상의 입력 임피던스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또한, 제어부(17)는 상술한 경우 이외에도 압력 감지 센서, 광학 센서 등을 이용하여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를 인식할 수 있다.
단계 S810 이후에, 제어부(17)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로 전력을 전송할 적어도 하나의 전력 송신부를 포함하는 전력 송신군을 특정한다(S820).
제어부(17)는 적어도 하나의 전력 송신부 각각이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와의 자기장(또는 입력 임피던스) 변화 값이 기 설정된 스레쉬홀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스레쉬홀드 값을 초과한 적어도 하나의 전력 송신부를 전력 송신군(1010)으로 특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는 복수의 전력 송신부((1,1)~(6,6)) 중에서 가장 효율적으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는 전력 송신군(1010)을 특정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는 복수의 전력 송신부((1,1)~(6,6)) 중에서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를 인식한 전력 송신부를 이용하여,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의 형상을 스캔하여, 무선전력 수신 장치로 전력을 송신할 적어도 하나의 전력 송신군를 특정할 수도 있다.
전력 송신군(1010)은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로 전력을 송신하는 전력 송신부가 될 수 있다.
또한, 전력 송신군은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를 인식한 홀 센서를 구비한 전력 송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를 인식한 전력 송신부를 통해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를 정밀 스캔을 수행할 수 있다.
단계 S820 이후에, 제어부(17)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대한 상기 전력 송신군의 위상을 제어한다(S830).
제어부(17)는 특정된 전력 송신군 중 상기 수신 장치(300)와 코일(Coil) 얼라인먼트(Alignment)가 우수한 제1 전력 송신부를 선택할 수 있다. 여기서, 얼라인먼트가 뛰어난 전력 송신부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와 형성되는 자기장 크기가 가장 커서,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구비된 배터리에 파워가 우수하게 채워지는 전력 송신부를 의미한다.
또한, 제어부(17)는 제1 전력 송신부를 중심으로 상기 수신 장치에 대한 상기 전력 송신군의 위상을 제어할 수 있다.
단계 S830이후에, 제어부(17)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송신할 상기 전력 송신군의 전력을 조절한다(S840).
제어부(17)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의 수신 전력이 한정되어 있으므로 수신기와의 거리와 효율을 고려하여 전력 송신군의 전력을 조절할 수 있다.
가령, 제어부(17)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와 가장 얼라인먼트(Alignment)가 뛰어난 전력 송신부에 우선적으로 전력을 공급하고, 주변으로 전력 공급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와 가장 얼라인먼트가 열악한 전력 송신부의 전력을 차단하고, 전력 송신군의 외곽에 배치된 전력 송신부에서부터 전력 송신군의 중심에 배치된 전력 송신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충전 중 이동될 때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동작
도 12는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무선 전력 수신 중에 이동되는 경우,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3 및 도 14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7 역시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3은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충전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4은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충전 중 이동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에 따르면, 일단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의 제어부(17)는 제1 무선 전력 송신부(1,1)를 통해 무선 전력을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전송한다(S910). 도 13에 도시된 실시 예에 해당된다.
제어부(17)는 제1 무선 전력 송신부(1,1)로 전력 소스(미도시)를 제어하여 교류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무선 전력 송신부(1,1)는 전력 소스(미도시)로부터 공급받은 교류 전력에 의해 교류 전류가 발생되고, 이러한 교류 전류에 의한 전자기 유도에 의해 물리적으로 이격 되어 있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의 코일(미도시)에도 교류 전류가 유도될 수 있다.
도 13을 참고하면, 제1 무선 전력 송신부(1,1)는 코일과 제1 전류 측정부(910)를 포함하고, 제2 무선 전력 송신부(2,1)는 코일과 제2 전류 측정부(920)를 포함하고, 제3 무선 전력 송신부(3,1)는 코일과 제3 전류 측정부(930)를 포함한다. 제1 내지 제3 무선 전력 송신부((1,1)~(3,1)) 각각의 코일은 제1 내지 제3 전류 측정부(910~930)와 일대일로 각각 연결된다.
제1 전류 측정부(910)는 제1 무선 전력 송신부(1,1)에 인가된 전류를 측정가능하고, 제2 전류 측정부(920)는 제2 무선 전력 송신부(2,1)에 인가된 전류를 측정가능하고, 제3 전류 측정부(930)는 제3 무선 전력 송신부(3,1)에 인가된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제1 무선 전력 송신부(1,1)가 제1 방향(940)으로 전류가 인가되는 것으로 상정하면,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는 제2 방향(950)으로 전류가 유도된다.
다음으로,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가 제2 무선 전력 송신부(2,1)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에 해당된다.
S810 단계이후, 제어부(17)는 무선 전력 전송 중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가 제2 무선 전력 송신부(2,1)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제2 무선 전력 송신부(2,1)로 유도되는 유도전류를 감지한다(S920).
도 14을 참고하면,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가 제2 무선 전력 송신부(2,1)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에 제2 방향(950)으로 유도된 전류에 의해 제2 무선 전력 송신부(2,1)에 제3 방향(960)으로 전류가 유도된다.
제2 전류 측정부(920)는 제2 무선 전력 송신부(2,1)에 인가된 전류의 변화를 측정하여 측정된 전류 값을 제어부(17)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S920 단계이후), 제어부(17)는 감지된 유도전류의 크기가 기 설정된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 제2 무선 전력 송신부(2,1)를 통해 무선 전력을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로 전송한다(S930).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제어부(17)는 제2 전류 측정부(920)를 통해 제2 무선 전력 송신부(2,1)의 유도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제어부(17)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의 이동에 따른 전류의 변화량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것으로 상정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가 이동되지 않고 충전되는 경우(가령, 제1 무선 전력 송신부(1,1)를 통해 충전되는 경우)의 주변 무선 전력 송신부(가령, 제2 무선 전력 송신부(2,1) 및 제2 무선 전력 송신부(3,1))에서 감지되는 전류값(또는 임피던스 변화값)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제어부(17)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가 이동되지 않고 충전되는 경우의 전류값과,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가 이동되는 경우의 전류값(또는 임피던스의 변화값)과의 차이를 인식할 수 있다. 이동되는 거리가 크면 전류값(또는 임피던스의 변화값)도 비례하여 크게 된다.
제어부(17)는 제1 무선 전력 송신부(1,1)를 통해 전송되는 무선 효율 및 제2 무선 전력 송신부(2,1)를 통해 전송되는 무선 효율 간에 우열을 판단할 수 있다. 가령, 제어부(17)는 제1 무선 전력 송신부(1,1) 및 제2 무선 전력 송신부(2,1)의 전류량 뿐만 아니라 무선 전력 전송 효율을 고려하여 무선 전력 송신부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는 무선 전력 전송이 심리스(Seamless)하게 제1 무선 전력 송신부(1,1)에서 제2 무선 전력 송신부(2,1)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17)는 하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되어, 제1 무선 전력 송신부(1,1)에서 제2 무선 전력 송신부(2,1)로 무선 전력 송신부가 변경되더라도, 제어부(17)는 ping 전송, Identification 및 Configuration 단계를 재반복하지 않을 수 있다. 제어부(17)는 이미 무선 전력 수신부(300)와 무선 전력 전송을 수행하였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전력 송신부가 제1 무선 전력 송신부(1,1)에서 제2 무선 전력 송신부(2,1)로 Seamless 하게 변경됨으로써, 충전 중단과 재시작이 중단없이 진행될 수 있어, 장치의 감성 품질의 개선 또한 기대된다. 이에 따라, 종래 기술에서의 무선 전력 송신부가 변경될 때마다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무선 전력 전송 중단, 재전송의 알림팝업으로 인한 사용자 불편문제, 및 무선 전력 송신부의 변경으로 인한 ping, Identification, Configuration 절차의 반복문제 등이 해결될 수 있다.
제어부(17)는 제1 무선 전력 송신부(1,1)에서 제2 무선 전력 송신부(2,1)로 무선 전력 송신부가 변경되는 경우, 무선 전력을 끊김없이(Seamless)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로 전송될 수 있다.
제어부(17)는 제1 무선 전력 송신부(1,1)의 무선 전력 전송을 중지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는 제1 무선 전력 송신부(1,1)도 제2 무선 전력 송신부(2,1)와 함께 무선 전력을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런 경우,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는 복수의 무선 전력 송신부((1,1),(2,1))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할 수 있는 모듈이 구비되어야 한다.
제어부(17)는 무선 전력 송신부가 변경되는 경우, 무선 전력 송신부가 변경되었음을 알리는 정보를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7)는 In-Band 방식의 경우, 파워 신호와 함께 해당 정보를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고, Out-Of-Band 방식의 경우 파워 전송 채널과 별도의 채널을 통해 해당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무선 전력 송신부(1,1) 또는 제2 무선 전력 송신부(2,1) 하나만을 이용하여 무선 전력을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나, 복수의 무선 전력 송신부를 이용하여 무선 전력을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제어부(17)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전력 송신부를 통해 무선 전력을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전송하고, 무선 전력 전송 중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특정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특정 방향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전력 송신부 각각에 유도되는 유도 전류를 감지한다.
그 후에, 제어부(17)는 특정 방향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전력 송신부 각각에 감지된 유도전류의 크기가 기 설정된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기 설정된 기준을 초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전력 송신부를 통해 무선 전력을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전송한다. 무선 전력 수신부(300)의 이동 감지 및 무선 전력 송신부 변경은 동일한 바, 도 12의 경우와 유사한 바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5는 실시예에 따른 공진 방식으로 충전 중에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이동되는 경우, 무선 전력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공진 방식에서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 및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가 공진 주파수 대역으로 파워 신호를 전송하며, 따로 공진 주파수 대역이 아닌 별도의 주파수 대역을 이용(아웃 오브 밴드)하여 전력 전송에 필요한 정보를 교환하는 통신 방식을 의미하고 상술한 바 있다.
도 15에 따르면, 일단,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무선 전력을 송신한다(S1210).
이때,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가 이동되는 경우,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는 제1 무선 전력 송신부로부터 수신된 무선 전력의 수신 효율이 기 설정된 기준보다 작은 경우(S1220), 무선 전력 수신 장치(200)가 움직이는 것으로 판단하여, 가장 무선 전력 전송 효율이 우수한 무선 전력 송신부를 찾기 위해 커맨드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한다(S1230). 커맨드 신호는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무선랜, NFC(Near Field Communication)와 같은 근거리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만약,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는 수신된 무선 전력의 수신 효율이 기 설정된 기준보다 큰 경우(S1220), 계속 무선 전력을 수신한다.
커맨드 신호를 수신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복수의 무선 전력 송신부는 수신 감도(커맨드 신호를 수신한 수신 감도)를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제어부(17)로 전송한다(S1240).
제어부(17)는 이중에서도 기 설정된 기준을 만족하는 특정 무선 전력 송신부를 이용하여 무선 전력을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로 전송하게 된다(S1250).
이하에서는 도 16 및 도 17를 참조하여, 이동 중인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끊김 없이 무선 파워를 전송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은 제어부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무선 전력 송신 장치를 포함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무선 전력 송신 장치(1610)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1620)로 무선 전력을 전송하고 있다.
도 14 또는 도 18의 제어부 17은 각 전류측정부별로 따로 구성되어 도 16에 구성과 같이 개별 무선전력송신창치로 구성될 수 있다. 각 무선전력송신장치의 제어부들은 서로 연결되어 통신이 가능할수 있다. 상기 통신 연결은 유/무선 통신 또는 하나의 메인 송신장치에 기타 송신장치가 접속되어 메인 송신장치가 허브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때, 도 17과 같이 무선 전력 수신 장치(1620)가 제3 무선 전력 송신 장치(1650)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제3 무선 전력 송신 장치(1650)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1620)에 의해 생성된 유도 전류를 측정할 수 있다. 제3 무선 전력 송신 장치(1650)는 유도되는 유도 전류값(혹은, 임피던스 변화량)을 주기적으로 측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제3 무선 전력 송신 장치(1650)는 유도전류의 값이 기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제2 무선 전력 송신 장치(1610)로 무선 전력 수신 장치(1620)의 디바이스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디바이스 정보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1620)로 무선 전력을 전송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이다.
디바이스 정보를 전송하기 앞서, 제2 무선 전력 송신 장치(1610) 및 제3 무선 전력 송신 장치(1650)는 서로 무선 전력 전송의 효율을 교환할 수 있다. 무선 전력의 효율이 높은 장치에 무선 전력 전송을 허가할 수도 있으나, 이에 대해서는 한정하지 않는다.
제3 무선 전력 송신 장치(1650)가 무선 전력 수신 장치(1620)로 무선 전력을 전송하기로 한 경우, 심리스(Seamless)하게 무선 전력이 전송될 수 있다.
제3 무선 전력 송신 장치(1650)는 제2 무선 전력 송신 장치(1610)로부터 디바이스 정보를 수신하므로, 무선 전력 전송되기 위한 초기 세팅이 생략될 수 있다. 가령, ping 전송, Identification 및 Configuration 단계 등의 동작이 불필요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수신 장치(1620)의 디바이스 정보는 블루투스 신호에 대한 수신 감도 정보,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식별 정보,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의해 요구되는 전력량 정보,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충전 상태 정보,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탑재된 소프트웨어 버전 정보,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를 위한 인증 및 보안 정보,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대응되는 인접 및/또는 후보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리스트 정보,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할당된 Sub-In-Band 채널 할당 정보,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에 상응하는 블루투스 통신 접속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도 18는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 대한 블록도이다.
도 18에 따르면,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는 제어부(17) 및 복수의 전력 송신부((1,1)~(n,n))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 하나당 하나의 전력송신부를 구성한 무선 전력 송신장치일 수 있고, 복수개의 송신장치가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송신 장치(200)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300)로 전력을 송신할 수 있다.
도 19는 도 168의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보다 상세한 블록도이다.
충전 패드(510)와 단말기(300)의 외관 형상에 대해서는 이미 설명한 바 있으므로, 이하에서는 충전 패드(510) 및 단말기(300)에 내장된 회로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충전 패드(510)는 전력 소스, 교류 전력 생성부(19), 제어부(17), 송신 코일(14), 제1 자석(12) 및 홀 센서(16)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력 송신부((1,1)~(n,n)) 각각은 전력 소스, 교류 전력 생성부(19), 송신 코일(14)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소스를 공유하고 교류전력 생성부와 송신 코일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소스와 교류 전력 생성부를 공유하고, 송신코일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전력 소스는 교류 전력 또는 직류 전력을 생성한다. 정류부는 교류 전력을 제1 직류 전력으로 변환하고, 변환된 제1 직류 전력을 제2 직류 전력으로 변환할 수 있다.
교류 전력 생성부(19)는 제어부(17)의 제어 하에 전력 소스의 전력을 교류 전력으로 변환할 수 있다. 교류 전력 생성부(19)에서 변환된 교류 전력이 송신 코일(14)을 통해 단말기(20)로 송신될 수 있다.
제어부(17)는 홀 센서(16)로부터 검출된 자속 밀도의 세기(B1, B2)의 변화를 바탕으로 교류 전력 생성부(19)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는 홀 센서(16)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임피던스의 변화량을 이용하여 교류 전력 생성부(19)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제작되어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으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무선 전력 송신 장치 : 200 무선 전력 수신 장치 : 300
제어부 : 17

Claims (20)

  1. 복수의 무선 전력 송신부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제1 무선 전력 송신부를 통해 무선 전력을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무선 전력 전송 중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제2 무선 전력 송신부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2 무선 전력 송신부로 유도되는 유도전류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무선 전력 송신부에 감지된 유도전류의 크기가 기 설정된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제2 무선 전력 송신부를 통해 무선 전력을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전력 송신부를 통해 무선 전력을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무선 전력 송신부에 인가된 전류를 이용하여 전자기 유도 방식으로 상기 무선 전력을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 전력 송신부를 통해 무선 전력을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무선 전력 송신부로부터 제2 무선 전력 송신부로 송신 채널이 변경되더라도, 끊김없이 무선 전력을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 전력 송신부를 통해 무선 전력을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경우, 제1 무선 전력 송신부를 통한 무선 전력 전송을 중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 전력 송신부를 통해 무선 전력을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무선 전력 송신부를 통해 무선 전력을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전송함과 동시에, 상기 제1 무선 전력 송신부를 통해서도 무선 전력을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 전력 송신부로 무선 전력 전송 채널이 변경되는 경우, 알림 신호를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제어 방법.
  7. 복수의 무선 전력 송신부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에 있어서,
    제1 감지부에 연결되어,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무선 전력을 전송하는 제1 무선 전력 송신부;
    제2 감지부에 연결된 제2 무선 전력 송신부;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무선 전력이 전송되는 중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제2 무선 전력 송신부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2 무선 전력 송신부로 유도되는 유도전류를 감지하도록 제2 감지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감지된 유도전류의 크기가 기 설정된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제2 무선 전력 송신부를 통해 무선 전력을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무선 전력 송신부에 인가된 전류를 이용하여 전자기 유도 방식으로 무선 전력을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무선 전력 송신부로부터 제2 무선 전력 송신부로 송신 채널이 변경되더라도, 끊김없이 무선 전력을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무선 전력 송신부를 통해 무선 전력을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경우, 제1 무선 전력 송신부를 통한 무선 전력 전송을 중지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무선 전력 송신부를 통해 무선 전력을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전송하면서, 상기 제1 무선 전력 송신부를 통해서도 무선 전력을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무선 전력 송신부로 무선 전력 전송 채널이 변경되는 경우, 알림 신호를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13. 복수의 무선 전력 송신부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전력 송신부를 통해 무선 전력을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무선 전력 전송 중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특정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특정 방향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전력 송신부 각각에 유도되는 유도 전류를 감지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방향에 배치된 무선 전력 송신부 중 적어도 하나에 감지된 유도전류의 크기가 기 설정된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기 설정된 기준을 초과하는 무선 전력 송신부를 통해 무선 전력을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제어 방법.
  14. 복수의 무선 전력 송신부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에 있어서,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무선 전력을 전송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무선 전력 송신부;
    특정 방향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감지부 각각에 일대일로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무선 전력 송신부;및
    무선 전력 전송 중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상기 특정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2 무선 전력 송신부 중 적어도 하나에 유도되는 유도 전류를 상기 감지부를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감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특정 방향에 배치된 제2 무선 전력 송신부 중 적어도 하나에 감지된 유도전류의 크기가 기 설정된 기준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기 설정된 기준을 초과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전력 송신부를 통해 무선 전력을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15. 복수의 무선 전력 송신부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송신 장치로부터 무선 전력을 수신하는 단계;및
    수신된 무선 전력의 수신 효율이 기 설정된 기준 값보다 작은 경우, 커맨드 신호를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
  16. 복수의 무선 전력 송신부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 전력 송신부 중 적어도 하나가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부터 전송된 커맨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커맨드 신호를 수신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전력 송신부 각각의 수신 감도를 측정하는 단계;및
    측정된 상기 수신 감도가 기 설정된 기준을 충족하는 특정 무선 전력 송신부를 이용하여 무선 전력을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의 제어 방법.
  17. 복수의 무선 전력 송신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무선 전력 전송 방법에 있어서,
    제1 무선 전력 송신 장치를 통해 무선 전력을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무선 전력 전송 중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제2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제2 무선 전력 송신 장치로 유도되는 유도전류를 감지하는 단계;및
    상기 제2 무선 전력 송신 장치에 감지된 유도전류의 크기가 기 설정된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제2 무선 전력 송신 장치를 통해 무선 전력을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무선 전력 전송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 전력 송신 장치가 상기 제1 무선 전력 송신 장치로부터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디바이스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방법.
  19. 복수의 무선 전력 송신 장치를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 있어서,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무선 전력을 전송하는 제1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무선 전력 전송 중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가 이동되는 경우, 상기 이동되는 방향에 배치되어 유도전류를 감지하는 제2 무선 전력 송신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감지된 유도전류의 크기가 기 설정된 기준을 충족하는 경우, 무선 전력을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로 전송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 전력 송신 장치는 상기 제1 무선 전력 송신 장치로부터 상기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디바이스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KR1020150065285A 2015-05-11 2015-05-11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과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과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및 그의 무선 전력 전송 방법 KR20160132585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5285A KR20160132585A (ko) 2015-05-11 2015-05-11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과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과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및 그의 무선 전력 전송 방법
US15/573,023 US20180166905A1 (en) 2015-05-11 2016-05-02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method for controlling wireless power reception apparatus,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therefor
EP16792885.2A EP3297124A4 (en) 2015-05-11 2016-05-02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method for controlling wireless power reception apparatus,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therefor
PCT/KR2016/004583 WO2016182239A1 (ko) 2015-05-11 2016-05-02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과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과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및 그의 무선 전력 전송 방법
CN201680026924.6A CN107580741A (zh) 2015-05-11 2016-05-02 无线电力传输装置及其控制方法、用于控制无线电力接收装置的方法以及无线电力传输系统及其无线电力传输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5285A KR20160132585A (ko) 2015-05-11 2015-05-11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과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과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및 그의 무선 전력 전송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2585A true KR20160132585A (ko) 2016-11-21

Family

ID=57247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5285A KR20160132585A (ko) 2015-05-11 2015-05-11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과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과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및 그의 무선 전력 전송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80166905A1 (ko)
EP (1) EP3297124A4 (ko)
KR (1) KR20160132585A (ko)
CN (1) CN107580741A (ko)
WO (1) WO201618223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63548A1 (en) * 2014-03-14 2015-09-17 Emily Cooper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power distribution allocation
US10469119B2 (en) * 2017-05-25 2019-11-05 Spigen Korea Co., Ltd. Magnetic mount for electronic devices
CN107196420B (zh) * 2017-07-14 2021-01-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无线充电装置及其无线充电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82367A1 (en) 2006-01-31 2007-08-09 Afshin Partovi Inductive power source and charg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349139Y (zh) * 2008-11-27 2009-11-18 比亚迪股份有限公司 感应式无线充电装置
JP2010288431A (ja) * 2009-06-15 2010-12-24 Sanyo Electric Co Ltd 電池内蔵機器と充電台
US8934857B2 (en) * 2010-05-14 2015-01-13 Qualcomm Incorporated Controlling field distribution of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KR20120020661A (ko) * 2010-08-30 2012-03-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및 그의 무선 충전 방법
KR20130006326A (ko) * 2011-07-07 2013-01-1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 및 충전 시스템, 무선 전력 전송 및 충전 시스템의 통신 및 전력 제어 방법
US9859755B2 (en) * 2012-07-16 2018-01-02 Qualcomm Incorporated Device alignment and identification in inductive power transfer systems
US9496744B2 (en) * 2012-12-20 2016-11-15 Intel Corporation Wireless charging optimization utilizing an NFC module that detects induced current and provides an indication of induced current
KR20140142006A (ko) * 2013-06-03 2014-12-11 (주)기술과가치 무선전력을 송수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WO2014204158A1 (en) * 2013-06-16 2014-12-24 Lg Electronics Inc. Wireless power transfer method, apparatus and system
KR102086345B1 (ko) * 2013-07-01 2020-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전력 전송장치
JP2015027187A (ja) * 2013-07-26 2015-02-05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非接触充電システムおよびこれに用いる充電器と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82367A1 (en) 2006-01-31 2007-08-09 Afshin Partovi Inductive power source and charg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97124A1 (en) 2018-03-21
CN107580741A (zh) 2018-01-12
WO2016182239A1 (ko) 2016-11-17
US20180166905A1 (en) 2018-06-14
EP3297124A4 (en) 2018-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84994B2 (ja) 無線電力受信装置、端末機、及び無線電力送信装置
US10205351B2 (en) Wireless power transmitter, wireless power repeater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US20170244286A1 (en) Wireless power repeater and method thereof
EP3407456A1 (en) Wireless power receiv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03094993A (zh) 无线电力发送器及其电力传输方法
TW201338332A (zh) 無線電力傳輸器及其傳輸電力之方法
EP3261214A1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and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ethod
KR101785648B1 (ko) 무선 전력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1241712B1 (ko)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그 방법
JP6901491B2 (ja) 複数の送信コイルを備えた無線電力器機及びその駆動方法
KR20130132175A (ko) 무선전력 송신장치, 전력 공급 장치 및 그의 전력 제어 방법
KR20160106032A (ko)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무선 전력 송신 방법
KR20170050991A (ko) 무선 전력 송신기
KR20160132585A (ko)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과 무선 전력 수신 장치의 제어 방법과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 및 그의 무선 전력 전송 방법
KR101700793B1 (ko)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3046217B1 (en) Device for receiving wireless power
KR20170010870A (ko)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124568A (ko)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976625B1 (ko) 무선전력 수신장치 및 그의 전력 수신 방법
KR20170024999A (ko)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129915A (ko) 무선 전력 수신 장치 및 무선 전력 수신 방법
KR101773092B1 (ko) 무선 전력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20140129905A (ko)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무선 전력 전송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