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2327A - 천연 호르몬을 이용한 은행나무 적화용 조성물 제조방법 및 그로써 제조된 은행나무 적화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연 호르몬을 이용한 은행나무 적화용 조성물 제조방법 및 그로써 제조된 은행나무 적화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2327A
KR20160132327A KR1020160141610A KR20160141610A KR20160132327A KR 20160132327 A KR20160132327 A KR 20160132327A KR 1020160141610 A KR1020160141610 A KR 1020160141610A KR 20160141610 A KR20160141610 A KR 20160141610A KR 20160132327 A KR20160132327 A KR 201601323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kgo
composition
seaweed
stabilizer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1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6792B1 (ko
Inventor
조재두
김성호
강인규
김창길
최철
한증술
정희영
이경열
윤해근
박상준
Original Assignee
(주)에코팜
김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코팜, 김성호 filed Critical (주)에코팜
Priority to KR1020160141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6792B1/ko
Publication of KR20160132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23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67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67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3Alga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1/00Solvent extraction
    • B01D11/02Solvent extraction of so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c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Zoology (AREA)
  • Dent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조류 내의 천연 생장조절 호르몬을 활용하여 은행나무가 미개화 또는 개화시기에 살포하여 암, 수꽃의 낙하 및 결실불량을 유도하여 은행 열매가 맺히는 것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천연 호르몬을 이용한 은행나무 적화용 조성물 제조방법 및 그로써 제조된 은행나무 적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야생 해조류를 채취하는 해조류 채취 단계(S100)와, 상기 채취한 해조류에 포함된 이물질 제거를 위해 물을 이용하여 수세를 하는 수세단계(S200)와, 상기 수세 한 해조류를 중량(g)단위로 계근을 하는 중량 계근단계(S300)와, 상기 중량 계근 단계에서 수득한 해조류를 0.5 내지 2cm의 크기로 잘게 절단하는 절단단계(S400)와, 상기 잘게 절단한 해조류를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자연건조를 시키는 자연건조단계(S500)와, 상기 자연건조단계에서 수득한 해조류에 대해 소금기를 제거하기 위한 가수분해단계(S600)와, 상기 가수분해 단계에서 수득한 해조류에서 은행나무 적화용 조성물로 사용할 BA, NAA, GA 성분을 저온에서 추출하는 저온추출단계(S700)와, 상기 저온추출단계에서 수득한 BA, NAA, GA 성분에 식물성장조절물질 18 내지 22g을 투입하여 혼합하는 식물성장조절물질 투입/혼합단계(S800)와, 저온추출단계에서 수득한 BA, NAA, GA 성분과, 식물성장조절물질을 혼합하는 과정에서 물리적 성질의 개선과 산화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물리적으로 압착을 하는 고압의 물리적 압착단계(S900)와, 상기 물리적 압착단계 실시 후 화학적, 물리적 변화를 방지하기 위한 안정제 18 내지 22g을 투입하는 안정제 투입단계(S1000)와, 상기 안정제 투입단계에서 수득한 조성물을 미세 망에 통과시켜 여과를 시키는 여과단계(S1100)와, 상기 여과단계에서 수득한 조성물을 중량(g)단위별 검사/포장하는 검사/포장단계(S1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천연 호르몬을 이용한 은행나무 적화용 조성물 제조방법 및 그로써 제조된 은행나무 적화용 조성물{The composition for deblossoming ginkgo using natural hormone production method and composition for the production of deblossoming ginkgo thereby}
본 발명은 천연 호르몬을 이용한 은행나무 적화용 조성물 제조방법 및 그로써 제조된 은행나무 적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해조류 내의 천연 생장조절 호르몬을 활용하여 은행나무가 미개화 또는 개화시기에 살포하여 암, 수꽃의 낙하 및 결실불량을 유도하여 은행 열매가 맺히는 것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천연 호르몬을 이용한 은행나무 적화용 조성물 제조방법 및 그로써 제조된 은행나무 적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알려진 바와 같이 은행나무는 산소 배출량이 다른 나뭇잎에 비해 4 내지 6배 많고 수질, 토질, 중금속 오염을 정화하는 능력이 탁월하기 때문에 우리나라에서는 쾌적한 도시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가로수로 많이 사용되기도 하며, 은행잎과 열매에 포함된 기능성을 제공받기 위해 은행수확의 용도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은행나무는 특유의 곤충 기피 향을 풍기기 때문에 별도로 농약, 비료 등이 필요 없어 관리 비용이 많이 들지 않아 매우 경제적이고, 농사용으로 사용할 경우 은행잎을 거름으로 사용하면 벼멸구가 박멸되는 등 무공해 천연 살충제로도 사용 가능하여 농약으로 인한 환경오염을 크게 줄이는 효과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뿐만 아니라 은행잎은 신경계 질환, 노인성 질환, 알레르기 등의 예방 및 치료 약품이나 항암제 분야에서 각광을 받고 있으며, 나무 재질은 뒤틀림이 없고 단단해 최고의 목재로 인정받고 있는 등, 수백 가지에 이르는 각종 유효 성분과 열매는 식량 대용으로 쓸 수가 있어, 은행나무는 그 활용 분야와 범위가 훨씬 다양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은행나무를 주로 가로수로 사용할 경우 도심공해의 주종인 아황산가스, 이산화질소, 미세먼지 등의 흡수·흡착해 제거하고 산소를 방출하여 도심의 공기질 개선에 상당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은행나무가 가로수로 사용될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탁월한 정화 능력에 따른 쾌적한 도심 환경을 제공한다는 효과가 있는 반면, 은행이 결실기에 접어드는 가을철에는 은행 열매의 겉껍질을 감싸고 있는 과육질에 함유된 빌로볼(Bilobol)과 은행산(ginkgoic acid)이라는 성분으로 인해 심한 악취와 더불어 얼룩으로 미관을 찌푸리게 한다.
은행나무는 결실을 위한 화분을 제공하는 수나무와 은행의 결실을 맺는 암나무가 각각의 다른 개체로 존재하는 암 수 딴그루(자웅이주) 식물이며, 암나무에서만 은행 열매가 열리기 때문에 기존의 은행나무를 수나무로 교체하거나 수나무만을 식재하여 은행나무 열매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었으나, 여러 가지 어려운 문제점이 도출되었다.
즉, 은행나무는 공손수(公孫樹)라고 불릴 만큼 초기 성장 속도가 느려 어린 묘목에서는 확인이 어렵고, 심은 후 약 20 내지 30년 이상이 지나 성목이 되어 개화할 수 있는 시기가 되었을 때 비로소 은행나무의 성을 식별할 수 있었는바, 이는 암수 식별의 확인시간이 너무 많이 소요된다는 점과, 성목이 되는 시간 동안 엄청난 경제적 비용이 발생 된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은행나무의 암나무와 수나무의 식별을 손쉽게 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3-0117435호는 은행나무의 수나무에 대한 특이적인 유전적 표지자인 SCAR-GBM를 찾아내었으며, 이를 확인함을 통해 암수나무를 구별하는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상기 특허공개 제10-2013-0117435호를 통해 종래보다 암수 판별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나, 수나무만을 선택적으로 심을 경우 약재로 사용할 수 있는 은행열매의 수확을 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자연생태의 불균형을 야기한다는 문제점이 대두 되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4416호는 가을에 은행나무 열매가 맺는 시기에 은행나무의 기둥에 간편하게 설치하여 은행나무 열매를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는 은행 낙과 수거장치를 제안하고 있으나, 개인이 은행 수확을 목적으로 하지 않는 이상 도로 가에 식재된 수많은 은행나무에 대해 장치를 설치하기에는 현실적으로 부족한 노동력과 낙과시기가 한꺼번에 몰린다는 시기상의 문제가 대두 되었다.
이밖에 배나무나 사과나무 등의 과실나무에서는 좋은 과실을 만들기 위하여 1화방에 많은 꽃이 붙었을 경우 또는, 많은 수의 어린 열매가 달렸을 경우 꽃이나 열매를 솎아내는 적화 또는 적과 작업을 진행하는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3-0105988호 및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03-0026415호가 있지만, 본원발명에서 추구하고자 하는 목적과는 전혀다른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일소키 위해 안출한 것으로 해조류에서 추출한 천연호르몬 성분을 활용하여 암, 수의 구분 없이 꽃이 개화된 상태에서 살포를 하고 이로 인해 암, 수 꽃 모두 낙화가 되도록 함으로써 수정이 되는 수의 감소와 동시에 은행 열매가 맺히는 것을 사전에 차단하거나 또는 대폭 줄일 수 있는 천연 호르몬을 이용한 은행나무 적화용 조성물 제조방법 및 그로써 제조된 은행나무 적화용 조성물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낙화 된 꽃이 자연상태에서 건조 및 소멸 되도록 함으로써 도심 주변환경의 미화와 동시에 청소에 따른 인적, 물적 자원의 투입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 발명의 천연 호르몬을 이용한 은행나무 적화용 조성물 제조방법은,
야생 해조류를 채취하는 해조류 채취 단계(S100)와, 상기 채취한 해조류에 포함된 이물질 제거를 위해 물을 이용하여 수세를 하는 수세단계(S200)와, 상기 수세 한 해조류를 중량(g)단위로 계근을 하는 중량 계근단계(S300)와, 상기 중량 계근 단계에서 수득한 해조류를 0.5 내지 2cm의 크기로 잘게 절단하는 절단단계(S400)와, 상기 잘게 절단한 해조류를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자연건조를 시키는 자연건조단계(S500)와, 상기 자연건조단계에서 수득한 해조류에 대해 소금기를 제거하기 위한 가수분해단계(S600)와, 상기 가수분해 단계에서 수득한 해조류에서 은행나무 적화용 조성물로 사용할 BA, NAA, GA 성분을 저온에서 추출하는 저온추출단계(S700)와, 상기 저온추출단계에서 수득한 BA, NAA, GA 성분에 식물성장조절물질 18 내지 22g을 투입하여 혼합하는 식물성장조절물질 투입/혼합단계(S800)와, 저온추출단계에서 수득한 BA, NAA, GA 성분과, 식물성장조절물질을 혼합하는 과정에서 물리적 성질의 개선과 산화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물리적으로 압착을 하는 고압의 물리적 압착단계(S900)와, 상기 물리적 압착단계 실시 후 화학적, 물리적 변화를 방지하기 위한 안정제 18 내지 22g을 투입하는 안정제 투입단계(S1000)와, 상기 안정제 투입단계에서 수득한 조성물을 미세 망에 통과시켜 여과를 시키는 여과단계(S1100)와, 상기 여과단계에서 수득한 조성물을 중량(g)단위별 검사/포장하는 검사/포장단계(S1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해조류는 톳, 파래, 다시마, 미역, 모자반, 청각, 감태, 마디잘록이, 애기마디잘록이 중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이 혼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물성장조절물질은 브라시노스테로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정제는 디페닐아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원 발명에서 제공하는 천연 호르몬을 이용한 은행나무 적화용 조성물 제조방법 및 그로써 제조된 은행나무 적화용 조성물은 은행나무의 암, 수꽃이 개화된 상태에서 살포를 하기 때문에 수정 자체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은행열매가 맺히는 것을 차단 내지 대폭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열매가 거의 맺히지 않기 때문에 열매 제거에 소요되는 인적, 물적 자원절약과 더불어 도심환경을 깨끗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따른 제조공정을 도시한 블록구성도
위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원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따른 제조공정을 도시한 블록구성도로써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천연 호르몬을 이용한 은행나무 적화용 조성물 제조방법은, 먼저, 자연생태계에서 서식하는 야생 해조류를 채취한다(S100).
이때 상기 해조류라 함은 톳, 파래, 다시마, 미역, 모자반, 청각, 감태, 마디잘록이, 애기마디잘록이 중 선택된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원재료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조류에는 아래의 표와 같은 다양한 성분이 있으며, 본원발명에서는 BA, NAA, GA 성분을 추출하여 활용하는 것이다.
[해조류 추출물 성분표]
성분명 중량비 성분명 중량비
건상 ≥98.0 칼슘(Ca) 0.15~1.0%
유기물(%) 45.0~60.0 비타민 600(ppm)
질소화합물 ≥1.0% 유황(S) 1.0~3%
칼륨(K) ≥16.0% pH 9~11
마니톨(Manitol) 4~7% 천연단백질 6.0~8.0
아미노산 1.5~3.5% 철분(Iron) 0.2%
질소 0.5~1% 인산 0.8~2.0%
니켈(Nickel) 3.0(ppm) 아연(Zinc) 20~200(ppm)
마그네슘(Mg) 0.2~1.0% 붕소(Boron) 10~24(ppm)
셀레늄 3.0(ppm) 납(Plumbum) 10(ppm)
알긴산 10% 확수중량 1:0.53~0.55
카드늄 5.0(ppm) 수용성 100%
싸이토키닌 , GA,
NAA , BA
600~800 그 외 다수 함유 -
상기와 같이 해조류가 채취되면 채취한 해조류에 포함된 이물질 제거를 위해 물을 이용하여 수세를 하고(S200), 상기 수세를 한 해조류는 중량(g)단위로 계근을 한다(S300).
또한, 상기 중량 계근 단계에서 수득한 해조류를 0.5 내지 2cm의 크기로 잘게 절단(S400)한 다음, 상기 잘게 절단한 해조류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자연건조를 실시한다(S500).
물론, 빠른 건조를 위해 건조장치를 이용할 수 있지만, 추출하고자 하는 성분의 파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자연건조를 선택하는 것이고, 물기를 제거한다는 측면에서 저속 탈수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자연건조단계에서 수득한 해조류에 대해 소금기를 제거하기 위한 가수분해(S600)를 실시한 다음, 상기 가수분해 단계에서 수득한 해조류에서 은행나무 적화용 조성물로 사용할 BA, NAA, GA 성분을 저온에서 추출한다(S700).
일반적인 열수 추출방법에서 70℃ 이상으로 가열하게 되면 많은 요소가 파괴되거나 변성이 일어나며, 비타민 C와 무기질류는 열에 약에 성분이 파괴되기도 하고, 단백질의 경우 열에 의한 변성이 일어난다.
그러나 본원발명에서 채택하고 있는 저온추출방법은 성질의 변화 없이 모든 필수 요소를 추출할 수 있으며, 물이나 어떤 화학제도 사용하지 않고 추출하기 때문에 영양소나 기능성 물질의 주된 성분에 전혀 손상을 주지 않고 순도의 물질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저온추출단계에서 수득한 BA, NAA, GA 성분에 식물성장조절물질 18 내지 22g을 투입하여 혼합(S800)한 다음, 저온추출단계에서 수득한 BA, NAA, GA 성분과, 식물성장조절물질을 혼합하는 과정에서 물리적 성질의 개선과 산화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물리적으로 압착을 하는 고압의 물리적 압착(S900)을 실시한다.
이때 상기 식물성장조절물질로는 브라시노 스테로이드(BR, brassino steroid)라는 식물 호르몬을 사용하였으며, 상기 브라시노 스테로이드(BR, brassino steroid)는 지상부의 성장과 엽신 굴곡을 촉진하고 부정근의 형성을 저해하며, 과실의 성장과 노화 및 각종 장애에 대한 내성을 촉진하는 한편, 줄기 생장에서의 옥신의 작용을 돕는다. 본원 발명에서는 BA, GA에 의한 양분 경합을 할 때 브라시노 스테로이드(BR, brassino steroid)가 촉매효과가 있어 사용을 하는 것이다.
상기 물리적 압착단계 실시 후 화학적, 물리적 변화를 방지하기 위한 안정제를 투입하되(S1000), 상기 안정제는 디페닐아민을 사용하였으며, 18 내지 22g을 투입 한다.
또한, 안정제 투입단계에서 수득한 조성물을 미세 망에 통과시켜 여과를 시킨(S1100) 후, 상기 여과단계에서 수득한 조성물을 중량(g)단위별 검사/포장(S1200)을 함으로서 제조과정은 완료된다.
실시예 1
채취한 해조류 중 톳, 파래, 다시마, 미역 각 20kg, 모자반, 청각, 감태 각 15kg, 마디잘록이, 애기마디잘록이 각 9kg를 수세한 다음, 잘게 썰어 건조를 하였으며, 건조 후에는 가수분해를 실시하여 해조류에 포함된 소금기를 제거하였다.
가수분해 후에는 저온추출공법을 이용하여 해조류에 포함된 BA, NAA, GA 성분을 추출하였으며, 상기 성분에 브라시노 스테로이드(BR, brassino steroid) 20g을 투입하여 혼합을 하였다.
상기와 같이 혼합 후에는 조성물의 물리적 성질을 개선함과 동시에 산화안정성을 꿰하기 위해 고압의 물리적 압착을 실시하였으며, 물리적 압착 실시 이후에는 안정제로서 디페닐아민 18 내지 22g을 투입한 다음 미세망에 통과시켜 여과를 시켰으며, 3kg의 적화제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적화제 조성물을 사용할 때는 조성물과 물을 1 : 1000의 비율(%) 로 희석하여 사용하되, 은행나무 한 그루 기준으로 꽃이 80% 이상 만개를 한 시기에 1회 내지 2회를 살포한다.
상기와 같이 살포를 하였을 때 수정되지 못한 암, 수꽃이 낙화를 하였으며, 살포 이후에 개화된 꽃의 경우에도 수정될 수 있는 수정체 자체가 거의 없어 열매가 맺히지 않았다.
또한, 낙화 된 꽃은 자연건조 및 소멸 되어 기존과 같이 은행 열매를 수거 및 청소를 하는 등의 별도 작업이 필요 없게 됨에 따라 열매 수거에 따른 인적, 물적 자원을 절약할 수 있었다.
S100: 해조류 채취단계 S200: 수세단계
S300: 계근단계 S400: 절단단계
S500: 건조단계 S600: 가수분해단계
S700: 저온추출단계 S800: 투입/혼합단계
S900: 안정제 투입단계 S1000: 여과단계
S1100: 검사/포장단계

Claims (5)

  1. 은행나무의 꽃을 적화함에 있어서,
    야생 해조류를 채취하는 해조류 채취 단계(S100);
    상기 채취한 해조류에 포함된 이물질 제거를 위해 물을 이용하여 수세를 하는 수세단계(S200);
    상기 수세 한 해조류를 중량(g)단위로 계근을 하는 중량 계근단계(S300);
    상기 중량 계근 단계에서 수득한 해조류를 0.5 내지 2cm의 크기로 잘게 절단하는 절단단계(S400);
    상기 잘게 절단한 해조류를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자연건조를 시키는 자연건조단계(S500);
    상기 자연건조단계에서 수득한 해조류에 대해 소금기를 제거하기 위한 가수분해단계(S600);
    상기 가수분해 단계에서 수득한 해조류에서 은행나무 적화용 조성물로 사용할 BA, NAA, GA 성분을 저온에서 추출하는 저온추출단계(S700);
    상기 저온추출단계에서 수득한 BA, NAA, GA 성분에 식물성장조절물질 18 내지 22g을 투입하여 혼합하는 식물성장조절물질 투입/혼합단계(S800);
    저온추출단계에서 수득한 BA, NAA, GA 성분과, 식물성장조절물질을 혼합하는 과정에서 물리적 성질의 개선과 산화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물리적으로 압착을 하는 고압의 물리적 압착단계(S900);
    상기 물리적 압착단계 실시 후 화학적, 물리적 변화를 방지하기 위한 안정제18 내지 22g을 투입하는 안정제 투입단계(S1000);
    상기 안정제 투입단계에서 수득한 조성물을 미세 망에 통과시켜 여과를 시키는 여과단계(S1100);
    상기 여과단계에서 수득한 조성물을 중량(g)단위별 검사/포장하는 검사/포장단계(S12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호르몬을 이용한 은행나무 적화용 조성물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조류는 톳, 파래, 다시마, 미역, 모자반, 청각, 감태, 마디잘록이, 애기마디잘록이 중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이 혼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호르몬을 이용한 은행나무 적화용 조성물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장조절물질은 브라시노스테로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호르몬을 이용한 은행나무 적화용 조성물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제는 디페닐아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호르몬을 이용한 은행나무 적화용 조성물 제조방법.

  5. 제1항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은행나무 적화용 조성물.
KR1020160141610A 2016-10-28 2016-10-28 천연 호르몬을 이용한 은행나무 적화용 조성물 제조방법 및 그로써 제조된 은행나무 적화용 조성물 KR1019667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1610A KR101966792B1 (ko) 2016-10-28 2016-10-28 천연 호르몬을 이용한 은행나무 적화용 조성물 제조방법 및 그로써 제조된 은행나무 적화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1610A KR101966792B1 (ko) 2016-10-28 2016-10-28 천연 호르몬을 이용한 은행나무 적화용 조성물 제조방법 및 그로써 제조된 은행나무 적화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2327A true KR20160132327A (ko) 2016-11-17
KR101966792B1 KR101966792B1 (ko) 2019-04-09

Family

ID=57542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1610A KR101966792B1 (ko) 2016-10-28 2016-10-28 천연 호르몬을 이용한 은행나무 적화용 조성물 제조방법 및 그로써 제조된 은행나무 적화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679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03693A1 (ko) * 2017-05-04 2018-11-08 주식회사 진양사 천연 호르몬을 이용한 과실수 적화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조성물의 사용방법
KR20210006695A (ko) * 2019-07-09 2021-01-19 주식회사 진양사 천연 생장조절 호르몬의 수관 주사에 의한 은행 열매의 결실 억제 방법
KR20210006693A (ko) * 2019-07-09 2021-01-19 주식회사 진양사 천연 생장조절 호르몬의 토양을 통한 뿌리에서의 흡수에 의한 은행 열매의 결실 억제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1632A (ko) 2020-10-19 2022-04-26 주식회사 진양사 토양을 통한 식물 뿌리로 천연 생장조절 호르몬을 흡수시킴에 의한 은행 열매의 결실을 억제하는 방법
KR102641939B1 (ko) 2023-07-12 2024-02-29 애플(주) 질소를 포함하는 은행나무 결실 제어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은행나무 결실 제어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A(벤질아데닌): 경북능금농협 기술강좌 *
해조류를 농업에 활용한다(자연의 사람들.013.12월-2014.1월, p.333∼336 *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03693A1 (ko) * 2017-05-04 2018-11-08 주식회사 진양사 천연 호르몬을 이용한 과실수 적화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조성물의 사용방법
KR20180122856A (ko) * 2017-05-04 2018-11-14 주식회사 진양사 천연 호르몬을 이용한 과실수 적화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조성물의 사용방법
CN110612026A (zh) * 2017-05-04 2019-12-24 真阳社 利用天然激素的果实树摘花用组合物的制备方法及通过其制备的组合物的使用方法
KR20210006695A (ko) * 2019-07-09 2021-01-19 주식회사 진양사 천연 생장조절 호르몬의 수관 주사에 의한 은행 열매의 결실 억제 방법
KR20210006693A (ko) * 2019-07-09 2021-01-19 주식회사 진양사 천연 생장조절 호르몬의 토양을 통한 뿌리에서의 흡수에 의한 은행 열매의 결실 억제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6792B1 (ko) 2019-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6792B1 (ko) 천연 호르몬을 이용한 은행나무 적화용 조성물 제조방법 및 그로써 제조된 은행나무 적화용 조성물
Ibrahim et al. Effect of foliar spray with potassium humate and green tea extract on some of the vegetative characteristics of guava (Psidium guajava L. cv. Local) seedlings
Ferrara et al. Effects of the times of application of a soil humic acid on berry quality of table grape (Vitis vinifera L.) cv Italia
KR101482038B1 (ko) 유황비료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유황비료
CN101433905B (zh) 一种利用观赏植物凤仙花修复石油污染土壤的方法
CN106856948B (zh) 一种防治烟草青枯病的田间种植方法
CN104255351A (zh) 一种防治黄龙病的方法
WO2017012375A1 (zh) 一种松树针叶有机肥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102037935B1 (ko) 천연 호르몬을 이용한 과실수 적화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조성물의 사용방법
CN105766309A (zh) 一种洞庭湖区玫瑰茄的栽培方法
KR100927314B1 (ko) 칼슘의 함량이 높고 상품성이 우수한 토마토의 재배 방법
Siminis et al. Humic substances from compost affects nutrient accumulation and fruit yield in tomato
US11800873B2 (en) Use of a crushed plant material for promoting plant or root growth and method for speeding up the growth of a plant
KR20180015822A (ko) 난초과 식물용 천연 액비 및 그 제조방법
CN107047222B (zh) 一种提高硒肥利用率生产富硒葡萄的方法
KR20220051632A (ko) 토양을 통한 식물 뿌리로 천연 생장조절 호르몬을 흡수시킴에 의한 은행 열매의 결실을 억제하는 방법
CN107198226A (zh) 一种辣木芽苗自发酵冷干粉及其制备方法
CN104996486A (zh) 一种防治含笑花黄化病的药物
CN106259486B (zh) 防治小麦白粉病的植物源农药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0915300B1 (ko) 칼슘의 함량이 높고 상품성이 우수한 사과의 재배 방법
Sabu et al. Cultivation of Solanum nigrum under controlled environment using organic fertilizer
CN111066597A (zh) 一种草莓的种植方法
CN107548947A (zh) 有机石斛的栽培方法
KR101802249B1 (ko) 노린재류 기피 및 방제용 천연 조성물 제조 방법 및 그로써 제조된 천연 조성물
KR101749123B1 (ko) 노린재류 기피 및 방제용 천연 조성물 제조 방법 및 그로써 제조된 천연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