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2312A - 이어폰케이스 - Google Patents

이어폰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2312A
KR20160132312A KR1020150064995A KR20150064995A KR20160132312A KR 20160132312 A KR20160132312 A KR 20160132312A KR 1020150064995 A KR1020150064995 A KR 1020150064995A KR 20150064995 A KR20150064995 A KR 20150064995A KR 20160132312 A KR20160132312 A KR 201601323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phone
front plate
plate
back plate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49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나원
Original Assignee
이나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나원 filed Critical 이나원
Priority to KR10201500649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2312A/ko
Publication of KR20160132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231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1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audio devices, e.g. headphones or MP3-player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이어폰은 귀에 꽂아 소리를 듣는 음향장치이다. 근래에는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공공장소에서 이어폰을 휴대하며 스마트폰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어폰은 음향을 출력하는 이어폰헤드, 음향을 전기적 신호로 전달하는 이어폰줄, 음향신호를 발생 및 송출하는 음향기기에 연결하는 이어폰플러그로 구성된다. 이때 이어폰헤드가 한개인 경우와 두개인 경우가 있으며, 두개인 경우에는 두개의 이어폰헤드에 연결되는 두개의 이어폰줄을 하나로 통합해주는 이어폰줄뭉치가 더 구성된다.
이러한 이어폰은 보관시에 이어폰줄이 가늘고 길어서 종종 쉽게 꼬이고 엉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이어폰줄을 감아서 보관하는 이어폰파우치나 이어폰케이스가 종래에도 존재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이어폰파우치나 이어폰케이스와 같은 용도이나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어폰을 보관하는 용도뿐 아니라 스마트폰을 무선으로 충전하고, 배터리가 부족할때 보조배터리로 사용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Description

이어폰케이스 {earphones case}
본 발명은 이어폰을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는 이어폰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이어폰케이스에 병행하여 스마트폰의 무선충전과 보조충전기 기능을 더한 것이다.
이어폰은 귀에 꽂아 소리를 듣는 음향장치이다. 근래에는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공공장소에서 이어폰을 휴대하며 스마트폰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이어폰은 음향을 출력하는 이어폰헤드, 음향을 전기적 신호로 전달하는 이어폰줄, 음향신호를 발생 및 송출하는 음향기기에 연결하는 이어폰플러그로 구성된다. 이때 이어폰헤드가 한개인 경우와 두개인 경우가 있으며, 두개인 경우에는 두개의 이어폰헤드에 연결되는 두개의 이어폰줄을 하나로 통합해주는 이어폰줄뭉치가 더 구성된다.
이러한 이어폰은 보관시에 이어폰줄이 가늘고 길어서 종종 쉽게 꼬이고 엉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이어폰줄을 감아서 보관하는 이어폰파우치나 이어폰케이스가 종래에도 존재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이어폰파우치나 이어폰케이스와 같은 용도이나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이어폰을 보관하는 용도뿐 아니라 스마트폰을 무선으로 충전하고, 배터리가 부족할때 보조배터리로 사용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스마트폰의 무선충전 원리는 무선충전기가 전기를 이용해서 자기장을 만들어 방사하면 상기 자기장 안에 스마트폰이 위치할 때 상기 자기장을 스마트폰의 리시버에서 받아들여 유도전기로 변환하여 충전하는 것이며, 그 방식은 자기유도방식, 자기공명방식, 전자기파방식이 있다.
이러한 무선충전기의 기본 구조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공급부, 전압조절 및 과충전방지를 위한 전기회로부, 전기를 자기로 변환하는 방사하는 코일부로 구성된다.
또한 스마트폰의 배터리가 부족할 때 보조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휴대하며 이용하는 보조배터리가 있는데, 보조배터리의 구조는 상기 무선충전기와 비슷하여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공급부, 전압조절 및 과충전방지를 위한 전기회로부, 전기를 충전하는 배터리부, 전기를 외부장치로 내보내는 전원송출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이어폰을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는 이어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이어폰은 보관시에 이어폰줄이 가늘고 길어서 종종 쉽게 꼬이고 엉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이어폰줄을 감아서 보관하는 이어폰파우치나 이어폰케이스가 종래에도 존재한다.
하지만 이어폰의 종류는 무척 다양하여 이어폰헤드의 형태와 크기가 제각각이고, 이어폰줄의 굵기와 길이도 제각각이며, 이어폰뭉치의 형태와 크기도 제각각이다. 따라서 특정 이어폰에 맞춰진 전용의 이어폰케이스가 아닌 일반적인 이어폰케이스나 이어폰파우치는 이어폰헤드가 맞지 않아 걸리지 않거나, 이어폰뭉치가 들어가지 않거나, 이어폰줄이 충분히 감기지 않아 헝클어지는 등 불편하거나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어폰 케이스는 다양한 이어폰을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특별한 구조와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며, 더 나아가 스마트폰을 무선으로 충전하고 스마트폰의 보조배터리로도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어폰케이스는, 판상으로 나란히 마주보며 이어폰헤드가 가운데 수용될 수 있는 간격(공간)을 갖는 앞판과 뒷판이 있고, 상기 앞판과 뒷판 사이 안쪽 중심부에 상기 앞판과 뒷판보다 넓지 않게 수직의 기둥형태로 상기 두 판을 연결 지지하는 중심몸체가 있으며, 상기 뒷판의 일측에는 가장자리에서 중심쪽으로 뚫려있어 이어폰줄이 수용될 수 있는 이어폰줄모음공과; 상기 뒷판에서 상기 이어폰줄모음공의 양 옆이나 반대편에 상기 뒷판의 가장자리에서 중심쪽으로 뚫려있어 이어폰줄이 수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 이어폰헤드걸이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있어, 상기 앞판과 뒷판의 사이 공간에 이어폰헤드를 수용하고 상기 이어폰헤드걸이공에 상기 이어폰헤드에 연결된 이어폰줄을 통과시켜 상기 이어폰줄을 상기 뒷판의 바깥쪽으로 나오게 하고, 만일 이어폰헤드가 두개인 이어폰의 경우에는, 각각의 이어폰헤드의 이어폰줄을 각각의 이어폰헤드걸이공에 통과시켜 상기 뒷판의 바깥쪽으로 나오게 하고, 이렇게 상기 뒷판의 바깥쪽으로 나온 상기 이어폰줄들을 하나로 모아 상기 뒷판의 상기 이어폰줄모음공으로 통과시켜 상기 뒷판의 안쪽으로 다시 들어가게 하여, 상기 이어폰줄들을 상기 앞판과 뒷판 사이의 상기 중심몸체 외주면에 감아서 이어폰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앞판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앞판과 뒷판의 간격을 덮을 수 있는 넓이로 상기 앞판의 사방으로 둘러쳐진 측벽 형태의 덮개가 상기 앞판에 걸쳐진 상태로 상기 앞판의 전후로 슬라이딩하며 상기 앞판과 뒷판의 사이 공간을 개폐함으로써 상기 앞판과 뒷판 사이의 상기 중심몸체에 감겨있는 이어폰줄을 안정적으로 수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중심몸체는 요철구조로 오목부와 볼록부로 나누어져 맞물리고, 상기 볼록부는 상기 앞판의 중심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뒷판의 중심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오목부와 볼록부는 상기 오목부의 중심축의 길이 이내에서 상기 볼록부가 상기 오목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까지 슬라이딩방식으로 이격되어 상기 앞판과 뒷판의 사이 공간이 벌어져 넓어지고, 다시 상기 오목부와 볼록부가 밀착하면 상기 앞판과 뒷판이 좁혀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앞판의 안쪽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앞판과 뒷판의 간격을 덮을 수 있는 넓이로 상기 앞판의 사방으로 둘러쳐진 측벽 형태의 덮개가 상기 앞판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뒷판에 일체로 형성된 오목부와 상기 앞판에 일체로 형성된 볼록부가 이격되면 상기 앞판에 일체로 형성된 상기 덮개와 상기 뒷판의 사이가 열려 이어폰줄을 상기 앞판과 뒷판의 사이 공간에 감아 넣거나 풀어 꺼낼 수 있고, 반대로 상기 오목부와 볼록부가 밀착하면 상기 앞판에 일체로 형성된 덮개와 상기 뒷판이 맞닿아 밀폐되어 상기 앞판과 뒷판 사이의 상기 중심몸체에 감겨있는 이어폰줄을 안정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앞판의 내부 또는 뒷면에는 자기장이나 전자기파를 상기 앞판의 외부 전면 방향으로 방사하는 무선충전코일이 형성되고, 상기 앞판이나 뒷판의 일측에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컨넥터가 형성되며, 상기 무선충전코일과 상기 전원컨넥터의 연결 중간에는 전압조절 및 과충전방지 등의 제어를 위한 제어부가 형성되어, 상기 앞판의 전면이 위로 향하도록 지면에 수평하게 눕혀진 경우, 상기 앞판의 전면 위로 스마트폰이 놓여져서 상기 무선충전코일에서 방사되는 자기장이나 전자기파를 받아들여 무선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중심몸체의 내부에는 반복하여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가 내장되고, 상기 앞판이나 뒷판의 일측에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컨넥터가 형성되며, 상기 앞판이나 뒷판의 다른 일측에는 배터리의 전원을 외부기기로 공급하는 USB포트가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와 상기 전원컨넥터 및 상기 USB포트의 연결 중간에는 전압조절 및 과충전, 역전류 방지 등의 제어를 위한 제어부가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에 전기를 축전하여 스마트폰 등 전자기기의 보조배터리로 사용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다양한 형태와 크기 및 길이의 이어폰을 편리하고 간단하게 보관 및 휴대할 수 있으며, 또한 스마트폰의 무선충전 또는 보조배터리로도 겸용하여 휴대하며 사용할 수 있는 다용도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어폰케이스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어폰케이스에 덮개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어폰케이스에 이어폰이 수용된 상태를 뒷판에서 투영해 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어폰케이스에 이어폰이 수용된 상태를 위에서 내려 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어폰케이스로, 중심몸체가 요철구조로 나뉘어져 맞물려, 슬라이딩방식으로 개폐되는 전후상태를 나타낸 세로방향으로 절개된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무선충전 기능을 추가로 구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보조배터리 기능을 추가로 구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어폰케이스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상으로 일정 간격 떨어져서 나란히 마주보며 앞판(110)과 뒷판(100)이 있고, 상기 앞판(110)과 뒷판(100) 사이 안쪽 중심부에 상기 앞판(110)과 뒷판(100)보다 넓지 않게 수직의 기둥형태로 상기 두 판을 연결 지지하는 중심몸체(120)가 형성되어 본체를 구성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어폰케이스의 사시도로서, 상기 뒷판(100)의 일측 가장자리에서 중심쪽으로 일부 뚫려있어 이어폰줄(320)이 수용될 수 있는 이어폰줄모음공(130)과; 상기 뒷판(100)에서 상기 이어폰줄모음공(130)의 양 옆이나 반대편에 상기 뒷판(100)의 가장자리에서 중심쪽으로 일부 뚫려있어 이어폰줄(320)이 수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이어폰헤드걸이공(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어폰케이스에 덮개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로서,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앞판(110)과 뒷판(100)의 사이의 빈 가장자리를 덮어줄 수 있도록 사방으로 둘러쳐진 측벽 형태의 덮개(200)가 상기 앞판(110)에 걸쳐져서 상기 앞판(110)의 전후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앞판(110)과 뒷판(100)의 사이 공간을 개폐할 수 있게 한다.
이어폰이 본 발명의 이어폰케이스에 수용되는 방법을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을 설명하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어폰케이스에 이어폰이 수용된 상태를 뒷판에서 투영해 본 정면도이고, 도 4는 이를 위에서 내려 본 평면도이다.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앞판(110)과 뒷판(100)의 사이 공간에 이어폰헤드(310)를 수용하고,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이어폰헤드걸이공(140)에 상기 이어폰헤드(310)에서 이어진 이어폰줄(320)을 통과시켜,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이어폰줄(320)을 상기 뒷판(100)의 바깥쪽으로 나오게 하고, 만일 이어폰헤드(310)가 두개인 이어폰의 경우에는, 각각의 이어폰헤드(310)의 이어폰줄(320)을 각각의 이어폰헤드걸이공(140)에 통과시켜 상기 뒷판(100)의 바깥쪽으로 나오게 하고, 이렇게 상기 뒷판(100)의 바깥쪽으로 나온 상기 이어폰줄(320)들을 하나로 모아 상기 뒷판(100)의 상기 이어폰줄모음공(130)으로 통과시켜 상기 뒷판(100)의 안쪽으로 다시 들어가게 하여,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이어폰줄(320)들을 상기 앞판(110)과 뒷판(100) 사이의 상기 중심몸체(120)의 외주면에 감은 후, 상기 덮개(200)를 덮어서 이어폰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로서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 예에 따른 이어폰케이스로, 상기 중심몸체(120)가 요철구조로 나뉘어져 맞물려, 슬라이딩방식으로 개폐되는 전후 상태를 나타낸 세로방향으로 절개된 측단면도로서, 상기 중심몸체(120)는 요철구조로 오목부(120(a))와 볼록부(120(b))로 나누어져 맞물리고, 상기 볼록부(120(b))는 상기 앞판(110)의 중심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120(a))는 상기 뒷판(100)의 중심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앞판(110)의 가장자리 안쪽 사방에는 상기 앞판(110)과 뒷판(100)의 사이를 덮을 수 있는 넓이로 측벽 형태의 덮개(200)가 상기 앞판(110)의 가장자리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5의 (A)에서와 같이, 상기 오목부(120(a))와 볼록부(120(b))가 밀착한 상태이면, 상기 앞판(110)과 뒷판(100)이 가장 가까워져서 상기 덮개(200)가 상기 뒷판(100)의 가장자리와 맞닿아 폐쇄되어 이어폰을 안정적으로 수용하여 보관할 수 있고,
반대로, 도 5의 (B)에서와 같이, 상기 오목부(120(a))와 볼록부(120(b))가 서로 이탈하지 않는 범위까지 슬라이딩 이격되면, 상기 앞판(110)과 뒷판(100)의 사이가 넓게 벌어져서 상기 앞판(110)에 일체로 형성된 상기 덮개(200)와 상기 뒷판(100)의 사이가 개방되어 상기 이어폰헤드(310)와 이어폰줄(320)을 그 안에 감아 넣거나 풀어 꺼낼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이어폰을 보관하는 것뿐만 아니라, 이에 더하여, 스마트폰을 무선충전하는 무선충전기 또는 보조배터리로 기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무선충전 기능을 추가로 구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상기 앞판(110)의 내부 또는 뒷면에는 자기장이나 전자기파를 상기 앞판(110)의 외부 전면 방향으로 방사하는 무선충전코일(410)이 형성되고, 상기 앞판(110)이나 뒷판(100)의 일측에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컨넥터(420)가 형성되며, 상기 무선충전코일(410)과 상기 전원컨넥터(420)의 연결 중간에는 전압조절 및 과충전방지 등의 제어를 위한 제어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상기 앞판(110)의 전면이 위로 향하도록 지면에 수평하게 눕혀진 경우, 상기 앞판(110)의 전면 위로 스마트폰이 놓여지면, 상기 무선충전코일(410)에서 방사되는 자기장이나 전자기파를 상기 스마트폰이 받아들여 무선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7은 보조배터리 기능을 추가로 구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상기 중심몸체(120)의 내부에는 반복하여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520)가 내장되고, 상기 앞판(110)이나 뒷판(100)의 일측에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컨넥터(420)가 형성되며, 상기 앞판(110)이나 뒷판(100)의 다른 일측에는 상기 배터리(520)의 전원을 외부기기로 공급하는 USB포트(510)가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520)와 상기 전원컨넥터(420) 및 상기 USB포트(510)의 연결 중간에는 전압조절 및 과충전, 역전류 방지 등의 제어를 위한 제어부(미도시)가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520)에 전기를 축전하여 휴대하다가 유사시에 스마트폰 등 전자기기의 보조배터리로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뒷판
110 : 앞판
120 : 중심몸체
120(a) : (중심목체)오목부
120(b) : (중심몸체)볼록부
130 : 이어폰줄모음공
140 : 이어폰헤드걸이공
200 : 덮개
310 : 이어폰헤드
320 : 이어폰줄
330 : 이어폰줄뭉치
340 : 이어폰플러그
410 : 무선충전코일
420 : 전원컨넥터
500 : 전원플러그
510 : USB포트
520 : 배터리

Claims (6)

  1. 판상으로 나란히 마주보며 이어폰헤드가 가운데 수용될 수 있는 간격(공간)을 갖는 앞판과 뒷판이 있고, 상기 앞판과 뒷판 사이 안쪽 중심부에 상기 앞판과 뒷판보다 넓지 않게 수직의 기둥형태로 상기 두 판을 연결 지지하는 중심몸체가 있으며,
    상기 뒷판의 일측에는 가장자리에서 중심쪽으로 뚫려있어 이어폰줄이 수용될 수 있는 이어폰줄모음공과; 상기 뒷판에서 상기 이어폰줄모음공의 양 옆이나 반대편에 상기 뒷판의 가장자리에서 중심쪽으로 뚫려있어 이어폰줄이 수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 이어폰헤드걸이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있어,
    상기 앞판과 뒷판의 사이 공간에 이어폰헤드를 수용하고 상기 이어폰헤드걸이공에 상기 이어폰헤드에 연결된 이어폰줄을 통과시켜 상기 이어폰줄을 상기 뒷판의 바깥쪽으로 나오게 하고, 만일 이어폰헤드가 두개인 이어폰의 경우에는, 각각의 이어폰헤드의 이어폰줄을 각각의 이어폰헤드걸이공에 통과시켜 상기 뒷판의 바깥쪽으로 나오게 하고, 이렇게 상기 뒷판의 바깥쪽으로 나온 상기 이어폰줄들을 하나로 모아 상기 뒷판의 상기 이어폰줄모음공으로 통과시켜 상기 뒷판의 안쪽으로 다시 들어가게 하여, 상기 이어폰줄들을 상기 앞판과 뒷판 사이의 상기 중심몸체 외주면에 감아서 이어폰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케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앞판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앞판과 뒷판의 간격을 덮을 수 있는 넓이로 상기 앞판의 사방으로 둘러쳐진 측벽 형태의 덮개가 상기 앞판에 걸쳐진 상태로 상기 앞판의 전후로 슬라이딩하며 상기 앞판과 뒷판의 사이 공간을 개폐함으로써 상기 앞판과 뒷판 사이의 상기 중심몸체에 감겨있는 이어폰줄을 안정적으로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케이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몸체는 요철구조로 오목부와 볼록부로 나누어져 맞물리고, 상기 볼록부는 상기 앞판의 중심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뒷판의 중심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오목부와 볼록부는 상기 오목부의 중심축의 길이 이내에서 상기 볼록부가 상기 오목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까지 슬라이딩방식으로 이격되어 상기 앞판과 뒷판의 사이 공간이 벌어져 넓어지고, 다시 상기 오목부와 볼록부가 밀착하면 상기 앞판과 뒷판이 좁혀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케이스.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앞판의 안쪽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앞판과 뒷판의 간격을 덮을 수 있는 넓이로 상기 앞판의 사방으로 둘러쳐진 측벽 형태의 덮개가 상기 앞판과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뒷판에 일체로 형성된 오목부와 상기 앞판에 일체로 형성된 볼록부가 이격되면 상기 앞판에 일체로 형성된 상기 덮개와 상기 뒷판의 사이가 열려 이어폰줄을 상기 앞판과 뒷판의 사이 공간에 감아 넣거나 풀어 꺼낼 수 있고, 반대로 상기 오목부와 볼록부가 밀착하면 상기 앞판에 일체로 형성된 덮개와 상기 뒷판이 맞닿아 밀폐되어 상기 앞판과 뒷판 사이의 상기 중심몸체에 감겨있는 이어폰줄을 안정적으로 수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케이스.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앞판의 내부 또는 뒷면에는 자기장이나 전자기파를 상기 앞판의 외부 전면 방향으로 방사하는 무선충전코일이 형성되고, 상기 앞판이나 뒷판의 일측에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컨넥터가 형성되며, 상기 무선충전코일과 상기 전원컨넥터의 연결 중간에는 전압조절 및 과충전방지 등의 제어를 위한 제어부가 형성되어,
    상기 앞판의 전면이 위로 향하도록 지면에 수평하게 눕혀진 경우, 상기 앞판의 전면 위로 스마트폰이 놓여져서 상기 무선충전코일에서 방사되는 자기장이나 전자기파를 받아들여 무선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케이스.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몸체의 내부에는 반복하여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가 내장되고, 상기 앞판이나 뒷판의 일측에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컨넥터가 형성되며, 상기 앞판이나 뒷판의 다른 일측에는 배터리의 전원을 외부기기로 공급하는 USB포트가 형성되고, 상기 배터리와 상기 전원컨넥터 및 상기 USB포트의 연결 중간에는 전압조절 및 과충전, 역전류 방지 등의 제어를 위한 제어부가 형성되어,
    상기 배터리에 전기를 축전하여 스마트폰 등 전자기기의 보조배터리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어폰케이스.

KR1020150064995A 2015-05-09 2015-05-09 이어폰케이스 KR2016013231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4995A KR20160132312A (ko) 2015-05-09 2015-05-09 이어폰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4995A KR20160132312A (ko) 2015-05-09 2015-05-09 이어폰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2312A true KR20160132312A (ko) 2016-11-17

Family

ID=57542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4995A KR20160132312A (ko) 2015-05-09 2015-05-09 이어폰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3231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3169A (ko) 2020-02-13 2021-08-23 차진혁 Led를 장착해 가시성을 높인 이어폰케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3169A (ko) 2020-02-13 2021-08-23 차진혁 Led를 장착해 가시성을 높인 이어폰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18285B2 (en) Device with multi-directional inductive charger for charg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9977462B2 (en) Universal phone battery chargers for mobile cellphones and like devices
US20160134142A1 (en) Portable device case having integrated wireless charging station
EP2894761A1 (en) Wireless charge and discharge wrist band for placing cell phone
KR101751389B1 (ko) 무선충전 보조배터리 일체형 스마트폰 케이스
TWI691139B (zh) 非接觸饋電裝置及非接觸電力傳送裝置
US9331731B2 (en) Wireless charge wristband-type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20140203767A1 (en) Electric induction charger capable of collecting electric wire
CN202424796U (zh) 适用于iphone4或iphone4s手机的保护壳
CN207506085U (zh) 一种智能设备放置收纳盒
CN204651978U (zh) 一种机线一体移动电源
KR101657447B1 (ko) 분실 방지용 다목적 충전기
US9112368B1 (en) Charger with strap for securing cord
KR20160132312A (ko) 이어폰케이스
US9866045B2 (en) Mobile charging dock
US20180175654A1 (en) Portable Speaker Charging Structure
CN209218348U (zh) 一种迷你无线蓝牙耳机及其便携式充电仓
CN207475245U (zh) 充电线易收纳型充电座
CN204696756U (zh) 一种移动电源
CN209748765U (zh) 一种与蓝牙耳机配套使用的充电收纳盒
US20140292255A1 (en) Usb charging structure of mobile power pack
CN105790391A (zh) 一种手机无线充电器
CN104901368A (zh) 便携式移动电源
CN208874710U (zh) 便携式智能充电座及蓝牙耳机
CN208956273U (zh) 实现无线充电的听力设备系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