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2266A - 높낮이 조절 베개 - Google Patents

높낮이 조절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2266A
KR20160132266A KR1020150064625A KR20150064625A KR20160132266A KR 20160132266 A KR20160132266 A KR 20160132266A KR 1020150064625 A KR1020150064625 A KR 1020150064625A KR 20150064625 A KR20150064625 A KR 20150064625A KR 20160132266 A KR20160132266 A KR 201601322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ing
height
driven
rotary
upp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4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6954B1 (ko
Inventor
장상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텍스
Priority to KR1020150064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6954B1/ko
Priority to PCT/KR2016/004175 priority patent/WO2016182222A1/ko
Publication of KR20160132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22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69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69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09Rigid frame construc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부부재와; 하부부재의 상측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각각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된 복수의 상부부재와; 상부부재들을 각각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상부부재들의 높낮이를 독립적으로 조절하는 승강장치를 포함하는, 높낮이 조절 베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높낮이 조절 베개 {Height-Adjustable Pillow}
본 발명은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높낮이를 가변시킬 수 있는 높낮이 조절 베개에 관한 것이다.
베개는 사용자가 눕거나 수면을 취할 때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사용자의 머리를 받치는 것인바, 일반적으로 일정한 높이와 적정한 쿠션을 갖도록 구성된다.
사람은 다양한 자세로 수면을 취한다. 정자세로 눕기도 하고, 옆으로 눕기도 하며, 엎드리기도 한다. 정자세에서 베개를 베는 경우에는 인체의 뒷머리, 경추 및 등 부위가 대략 일직선을 이루므로 비교적 높지 않은 베개를 사용하더라도 큰 불편함을 느끼지 않겠지만, 동일한 높이의 베개를 옆으로 누운 자세에서 베는 경우에는 인체의 한쪽 어깨와 한쪽 얼굴 옆면의 거리차로 인하여 경추 부위가 휘면서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반대로, 상대적으로 높은 베개를 사용하면, 옆으로 누운 경우에는 비교적 편안함을 느낄 수 있겠으나, 정자세로 누운 경우에는 머리가 들려져서 편안한 수면을 기대하기 어려울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사용자가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높이로 조절할 수 있는 높낮이 조절 베개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언급되지 않은 기타 과제는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하의 기재로부터 명확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의 상측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각각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복수의 상부부재와; 상기 복수의 상부부재를 각각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각 상부부재의 높낮이를 독립적으로 조절하는 승강장치를 포함하는, 높낮이 조절 베개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상부부재 중 제1상부부재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승강장치는, 상기 제1상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 중 어느 하나에 상하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운동을 변환하여 상기 제1상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 중 다른 하나에 대하여 상하방향의 직선운동을 하면서 상기 제1상부부재를 승강시키는 승강작동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작동기구는, 상기 회전부재에서 상기 제1상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 중 다른 하나와 대향하는 부분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부재용 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방향을 따라 한쪽방향으로 오르막 경사진 경사면이 마련된 경사부를 갖는 승강유도부재와; 상기 제1상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 중 다른 하나로부터 상기 경사면에 접촉하도록 돌출되어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되면 상기 경사면에 의하여 상하방향의 직선운동을 하는 접촉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상부부재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승강장치는 상기 회전부재가 상기 제1상부부재를 상승시키는 정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방향을 제한하는 역회전 방지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승강작동기구는, 상기 회전부재에서 상기 제1상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 중 다른 하나와 대향하는 부분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부재용 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방향을 따라 한쪽방향으로 오르막 경사지도록 마련된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 상에 상기 경사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마련되어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된 복수의 걸림턱부를 갖는 승강유도부재와; 상기 제1상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 중 다른 하나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복수의 걸림턱부 중 어느 하나와 접촉하도록 배치된 접촉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걸림턱부는 각각 단차면 및 연결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단차면들은 상기 경사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서로 이격됨과 아울러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되고, 상기 연결면들은 상기 서로 다른 높이의 단차면들을 연결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되면 상기 연결면을 따라 승강되면서 이웃한 다른 단차면으로 변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빈 구조를 갖는 하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의 상측에서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제1상부부재 및 제2상부부재와; 상기 제1상부부재와 상기 제2상부부재를 각각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제1상부부재의 높낮이와 상기 제2상부부재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제1승강장치 및 제2승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승강장치 또는 상기 제2승강장치는, 상기 하부부재의 내부에 각각 상하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구동회전부재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종동회전부재와; 상기 구동회전부재의 회전력을 상기 종동회전부재에 전달하는 제1동력전달기구와; 상기 종동회전부재의 회전운동을 변환하여 상기 제1상부부재 또는 상기 제2상부부재에 대하여 상하방향의 직선운동을 하면서 상기 제1상부부재 또는 상기 제2상부부재를 승강시키는 승강작동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승강장치 또는 상기 제2승강장치는, 상기 구동회전부재용 축과 교차하도록 배치되며 사용자가 직접 조작할 수 있게 한쪽 단부가 상기 하부부재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회전력을 상기 구동회전부재에 전달하여 상기 구동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제2동력전달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구동회전부재는 사용자가 직접 조작할 수 있게 외주 쪽 일부가 상기 하부부재에 마련된 노출개구를 통하여 노출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베개는, 상기 제1상부부재(또는, 상기 제2상부부재)의 높낮이를 표시하는 높이표시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높이표시장치는, 상기 제1상부부재(또는, 상기 제2상부부재)로부터 상하방향을 따라 하측으로 연장된 래크(rack)와; 상기 래크와 맞물린 피니언(pinion)과; 상기 하부부재의 외부에 상기 피니언과 함께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며 높낮이 표시부를 갖는 표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과제의 해결 수단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 도면 등을 통하여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될 것이다. 또한, 이하에서는 언급한 해결 수단 이외의 다양한 해결 수단이 추가로 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높이로 베개의 높낮이를 부분별로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보다 안락하게 숙면을 취할 수 있다.
또한, 병원이나 호텔, 콘도와 같이 다중이 이용하는 시설에 적용하면 사용자마다 자신의 선호도에 따라 베개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고객 만족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베개를 나타내는 정면도, 평면도 및 측면에서 본 개략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베개의 승강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은 도 6의 B 부분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베개의 높이표시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베개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역회전 방지수단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참조하는 도면에서 구성요소의 크기나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데 사용되는 용어는 주로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용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해석하는 것이 마땅하겠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베개가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베개는, 하부부재인 베이스(20) 및 상부부재인 복수 개의 승강패널(30A, 30B)을 포함한다. 베이스(20) 및 승강패널(30A, 30B)들은 베개 몸체를 구성한다.
베이스(20)는 상부의 적어도 일부가 개방된 구조를 갖는 사각의 박스 형상으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베이스(20)는, 바닥판 및 바닥판 상에 가장자리 쪽을 따라 세워진 측벽으로 구성된다.
승강패널(30A, 30B)들은 베이스(20)의 상측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각각 상하방향인 Z축방향(수직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각 승강패널(30A, 30B)의 상측에는 사용자의 머리를 탄력적으로 받치기 위한 쿠션(40A, 40B)이 배치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베개는, 승강패널(30A, 30B)들이 상하방향으로 정확히 이동할 수 있게 승강패널(30A, 30B)들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안내수단(52, 5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안내수단(52, 54)은, 승강패널(30A, 30B)들의 하부로부터 각각 하측방향으로 돌출된 가이드핀(guide pin, 52), 베이스(20)의 바닥판 상에 가이드핀(52)들과 각각 대향하도록 구비되며 가이드핀(52)이 각각 삽입되는 가이드홀(guide hall)을 갖는 핀 삽입부재(54)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패널(30A, 30B)들에는 핀 삽입부재(54)와 짝을 이루는 가이드핀(52)이 복수 개씩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짝을 이루는 가이드핀(52)과 핀 삽입부재(54)는 그 위치가 서로 바뀔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베개는, 승강패널(30A, 30B)들을 각각 상하방향(Z축방향)으로 이동시켜 승강패널(30A, 30B)들의 높낮이를 독립적(개별적)으로 조절하는 승강장치(500A, 500B)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승강패널(30A, 30B)을 복수로 구비할 수 있는 것이나, 상대적으로 전방에 위치되는 제1승강패널(30A) 및 상대적으로 후방에 위치되는 제2승강패널(30B), 이렇게 2개의 승강패널을 구비하고, 이에 따라 제1승강패널(30A)을 승강시키는 제1승강장치(500A) 및 제2승강패널(30B)을 승강시키는 제2승강장치(500B)를 구비한 구성을 중심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전후(Y축방향)로 배치된 제1승강패널(30A)과 제2승강패널(30B)은 사용자의 머리를 상부와 하부 쪽으로 나누어서 받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제1승강패널(30A)과 제2승강패널(30B)의 높낮이를 서로 다르게 조절하는 방식 등에 의하여 사용자가 수면 시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자세로 유지 가능하도록 머리 높이, 머리 각도 등을 보다 다양하고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제1승강장치(500A)는 제1승강패널(30A)을 베이스(2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베이스(20)에 대한 제1승강패널(30A)의 높낮이를 조절한다.
도 4,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승강장치(500A)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회전부재(512A, 514A)를 포함한다. 회전부재(512A, 514A)들은 베이스(20)와 제1승강패널(30A) 사이에 배치된다. 회전부재(512A, 514A)로는, 단일의 구동회전원판(512A) 및 지름이 서로 동일한 복수의 종동회전원판(514A)이 구비된다.
구동회전원판(512A)과 종동회전원판(514A)들은 모두 베이스(20)의 바닥판 상에 각각 상하방향(Z축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베이스(20)의 내부공간에 수용된다. 일례로, 종동회전원판(514A)은 4개 구비되며 좌우(X축방향의 양쪽)에 전후방향으로 둘씩 배치될 수 있다.
도 4,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승강장치(500A)는, 구동회전원판(512A)이 회전되면 종동회전원판(514A)들이 함께 회전되도록 구동회전원판(512A)의 회전력을 각 종동회전원판(514A)에 전달하는 제1동력전달기구(522A, 524A, 526A)를 더 포함한다.
제1동력전달기구(522A, 524A, 526A)는 평기어(spur gear)를 포함하는 기어식 전동기구이다. 평기어로는, 단일의 구동기어(522A), 피치원 지름이 서로 동일한 복수의 종동기어(524A) 및 단일의 아이들러기어(idler gear, 526A)가 구비된다.
구동기어(522A)는 구동회전원판(512A)과 동축으로 장착되어 구동회전원판(512A)과 함께 회전되고, 종동기어(524A)들은 종동회전원판(514A)들에 각각 동축으로 장착되어 종동회전원판(514A)과 함께 회전된다.
아이들러기어(526A)는 베이스(20)의 바닥판 상에 상하방향(Z축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종동기어(524A)들은 서로 다른 위치에서 각각 아이들러기어(526A)와 맞물리며, 구동기어(522A)는 종동기어(524A)들 중 어느 하나와 맞물린다. 이에 따라, 구동회전원판(512A)을 회전시키면, 구동기어(522A) 및 이와 맞물린 어느 하나의 종동기어에 의하여 해당의 어느 하나의 종동회전원판이 회전되고, 아울러 구동기어(522A)와 맞물린 종동기어, 아이들러기어(526A) 및 나머지 종동기어에 의하여 나머지 종동회전원판이 어느 하나의 종동회전원판과 동일한 속도로 회전된다.
구동기어(522A)와 종동기어(524A)들은, 구동회전원판(512A)과 종동회전원판(514A)들의 하부에 구비될 수도 있고, 구동회전원판(512A)과 종동회전원판(514A)들의 외주에 마련되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아이들러기어(526A)의 구비 개수는 구동회전원판(512A)과 종동회전원판(514A) 간의 배치구조, 종동회전원판(514A)의 구비 개수 등의 실시조건에 따라 적절히 증가될 수 있다. 물론, 실시조건에 따라서는 아이들러기어(526A)가 적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제1동력전달기구(522A, 524A, 526A)로는 기어식 전동기구 대신, 벨트(belt, 타이밍벨트(timing belt)일 수 있다.)와 풀리(pulley) 또는 체인(chain)과 스프로킷휠(sprocket wheel)을 이용하는 전동기구가 적용될 수도 있다.
도 6 및 도 7 등을 참조하면, 제1승강장치(500A)는, 종동회전원판(514A)들의 회전운동을 변환하여 제1승강패널(30A)에 대하여 상하방향(Z축방향)의 직선운동을 하면서 제1승강패널(30A)을 승강시키는 승강작동기구(532A, 534A)를 더 포함한다.
승강작동기구(532A, 534A)는, 종동회전원판(514A)들의 상부에 각각 종동회전원판(514A)들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비된 승강유도부재(532A), 제1승강패널(30A)의 하부로부터 각각 승강유도부재(532A)들 쪽으로 돌출된 접촉부재(534A)를 포함한다.
각 승강유도부재(532A)는 상부에 그 하부의 종동회전원판(514A)용 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방향을 따라 한쪽방향(회전방향과 반대방향, 즉 도 5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오르막 경사지게 마련된 경사부(532A1)를 갖는다. 또한, 승강유도부재(532A)들은 경사부(532A1) 상에 각각 경사부(532A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마련된 걸림턱부(532A2)들을 갖는다. 이에 따라, 걸림턱부(532A2)들은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된다.
각 접촉부재(534A)는 종동회전원판(514A)과 함께 회전되는 승강유도부재(532A)의 회전각도에 따라 걸림턱부(532A2)들 중 어느 하나와 끝 부분이 접촉된다. 바람직하게는, 각 접촉부재(534A)의 끝은 뾰족하도록 형성된다.
각각의 걸림턱부(532A2)는 단차면(532A3) 및 연결면(532A4)으로 구성된다. 단차면(532A3)들은, 경사부(532A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서로 이격됨과 아울러,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된다. 연결면(532A4)들은 서로 다른 높이의 단차면(532A3)들을 연결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르면, 접촉부재(534A)는 승강유도부재(532A)가 그 하부의 종동회전원판(514A)과 함께 회전되면 연결면(532A4)을 따라 승강되면서 현 단차면에서 이웃한 다른 단차면에 접촉될 수 있다.
접촉부재(534A)가 의도하지 않게 연결면(532A4)을 따라 승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단차면(532A3)들은 각각 그 하부의 종동회전원판용 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방향을 따라 한쪽방향(회전방향과 반대방향, 즉 도 5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내리막 경사지게 마련된다.
도 4,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승강장치(500A)는, 구동회전원판(512A) 상에 구동회전원판(512A)용 축과 교차하도록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며 회전 가능한 구동축(540A), 구동축(540A)의 회전력을 구동회전원판(512A)에 전달하는 제2동력전달기구(552A, 554A)를 더 포함한다.
구동축(540A)은 Y축방향인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며 사용자가 직접 조작할 수 있게 베이스(20)를 구성하는 측벽의 한쪽을 관통하여 한쪽 단부가 외부로 노출된다. 이러한 구동축(540A)에서 외부로 노출된 한쪽 단부에는 조작핸들(545A)이 장착된다.
제2동력전달기구(552A, 554A)는, 구동축(540A)의 다른 쪽 단부 상에 장착된 구동베벨기어(552A), 구동베벨기어(552A)와 맞물리며 구동회전원판(512A)의 상측에 구동회전원판(512A)과 동축으로 장착된 종동베벨기어(554A)를 포함하는, 기어식 전동기구이다.
살펴본 바와 같이 구성되는 제1승강장치(500A)는, 접촉부재(534A)들이 각 승강유도부재(532A)의 걸림턱부(532A2)들 중 최하단에 위치한 걸림턱부의 단차면(532A3) 상에 위치되면, 제1승강패널(30A)을 가장 낮은 위치로 유지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조작핸들(545A)을 조작하여 구동축(540A)을 회전시킴으로써, 구동축(540A)의 회전력을 구동베벨기어(552A) 및 종동베벨기어(554A)에 의하여 구동회전원판(512A)에 전달하여 구동회전원판(512A)을 회전시킴과 아울러, 구동회전원판(512A)의 회전력을 구동기어(522A), 종동기어(524A)들 및 아이들러기어(526A)에 의하여 각 종동회전원판(514A)들에 전달하여 종동회전원판(514A)들과 함께 승강유도부재(532A)들을 회전시킨다. 이렇게 조작핸들(545A)을 조작하여 승강유도부재(532A)들을 모두 도 5를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함께 회전시키면, 접촉부재(534A)들은 최하단의 걸림턱부(532A2)의 경사진 연결면(532A4)을 따라 상승되면서 최하단의 걸림턱부(532A2)와 이웃한 한 단계 높은 위치의 걸림턱부의 단차면(532A3) 상에 위치되고, 이에 따라 제1승강패널(30A)은 한 단계 상승된 높이로 유지된다.
조작핸들(545A)을 동일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면, 제1승강패널(30A)은 그 높이가 보다 상승된다. 물론, 조작핸들(545A)을 동일방향으로 계속적으로 회전시키면, 접촉부재(534A)들은 각 걸림턱부(532A2)들에 의하여 계속 상승되어 최상단에 위치한 걸림턱부의 단차면(532A3) 상에 위치되었다가 낙하하여 최하단 걸림턱부의 단차면 상에 위치된다.
한편, 조작핸들(545A)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접촉부재(534A)들이 상대적으로 낮은 단계에 위치한 걸림턱부(532A2)의 단차면(532A3) 상에 위치되면서, 제1승강패널(30A)의 높이가 하강된다.
제2승강장치(500B)는 제2승강패널(30B)을 베이스(20)에 대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베이스(20)에 대한 제2승강패널(30B)의 높낮이를 조절한다.
도 4,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승강장치(500B)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회전부재(512B, 514B)를 포함한다. 제2승강장치(500B)의 회전부재(512B, 514B)들은 베이스(20)와 제2승강패널(30B) 사이에 배치된다. 제2승강장치(500B)의 회전부재(512B, 514B)로는, 단일의 구동회전원판(512B) 및 지름이 서로 동일한 복수의 종동회전원판(514B)이 구비된다.
제2승강장치(500B)의 구동회전원판(512B)과 종동회전원판(514B)들은 모두 베이스(20)의 바닥판 상에 각각 상하방향(Z축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베이스(20)의 내부공간에 수용된다. 일례로, 제2승강장치(500B)의 종동회전원판(514B)은 4개 구비되며 좌우(X축방향의 양쪽)에 전후방향으로 둘씩 배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승강장치(500B)의 구동회전원판(512B)은 그 외주 쪽 일부가 베이스(20)를 구성하는 측벽의 한쪽에 마련된 노출개구(22)를 통하여 노출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사용자는 노출개구(22)를 통하여 노출된 구동회전원판(512B)의 외주 쪽 일부를 이용하여 제2승강장치(500B)의 구동회전원판(512B)을 직접 회전시킬 수 있다.
도 4,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승강장치(500B)는, 제2승강장치(500B)의 구동회전원판(512B)이 사용자의 조작으로 인하여 회전되면 제2승강장치(500B)의 종동회전원판(514B)들이 함께 회전되도록 제2승강장치(500B)의 구동회전원판(512B)의 회전력을 제2승강장치(500B)의 각 종동회전원판(514B)에 전달하는 동력전달기구(522B, 524B, 526B)를 더 포함한다.
제2승강장치(500B)의 동력전달기구(522B, 524B, 526B)는 평기어를 포함하는 기어식 전동기구이다. 제2승강장치(500B)의 동력전달기구(522B, 524B, 526B)의 평기어로는, 단일의 구동기어(522B), 피치원 지름이 서로 동일한 복수의 종동기어(524B) 및 피치원 지름이 서로 동일한 두 아이들러기어(526B)가 구비된다.
제2승강장치(500B)의 구동기어(522B)는 제2승강장치(500B)의 구동회전원판(512B)과 동축으로 장착되어 제2승강장치(500B)의 구동회전원판(512B)과 함께 회전되고, 제2승강장치(500B)의 종동기어(524B)들은 제2승강장치(500B)의 종동회전원판(514B)들에 각각 동축으로 장착되어 제2승강장치(500B)의 종동회전원판(514B)과 함께 회전된다.
제2승강장치(500B)에 있어서, 두 아이들러기어(526B)는 서로 맞물리며 베이스(20)의 바닥판 상에 각각 상하방향(Z축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종동기어(524B)들은 일부 및 나머지가 서로 다른 위치에서 각각 어느 하나 및 다른 하나의 아이들러기어(526B)와 맞물리며, 구동기어(522B)는 종동기어(524B)들 중 어느 하나와 맞물린다. 이에 따라, 제2승강장치(500B)의 구동회전원판(512B)을 회전시키면, 제2승강장치(500B)의 구동기어(522B) 및 이와 맞물린 어느 하나의 종동기어에 의하여 해당의 어느 하나의 종동회전원판이 회전되고, 아울러 제2승강장치(500B)의 구동기어(522B)와 맞물린 종동기어, 두 아이들러기어(526B) 및 나머지 종동기어에 의하여 제2승강장치(500B)의 나머지 종동회전원판이 해당의 어느 하나의 종동회전원판과 동일한 속도로 회전된다.
제2승강장치(500B)의 구동기어(522B)와 종동기어(524B)들은, 제2승강장치(500B)의 구동회전원판(512B)과 종동회전원판(514B)들의 하부에 구비될 수도 있고, 제2승강장치(500B)의 구동회전원판(512B)과 종동회전원판(514B)들의 외주에 마련되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제2승강장치(500B)에 있어서, 아이들러기어(526B)의 구비 개수는 구동회전원판(512B)과 종동회전원판(514B) 간의 배치구조, 종동회전원판(514B)의 구비 개수 등의 실시조건에 따라 적절히 증감될 수 있다. 즉, 실시조건에 따라서는, 아이들러기어(526B)를 하나만 구비할 수도 있고, 셋 이상을 구비할 수도 있는 것이다. 물론, 실시조건에 따라서는 아이들러기어(526A)가 적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
한편, 제2승강장치(500B)의 동력전달기구(522B, 524B, 526B)로는 기어식 전동기구 대신, 벨트(타이밍벨트일 수 있다.)와 풀리 또는 체인과 스프로킷휠을 이용하는 전동기구가 적용될 수도 있다.
제2승강장치(500B)는, 제2승강장치(500B)의 종동회전원판(514B)들의 회전운동을 변환하여 제2승강패널(30B)에 대하여 상하방향(Z축방향)의 직선운동을 하면서 제2승강패널(30B)을 승강시키는 승강작동기구(532B 참조)를 더 포함한다.
제2승강장치(500B)의 승강작동기구(532B 참조)는, 제2승강장치(500B)의 종동회전원판(514B)들의 상부에 각각 제2승강장치(500B)의 종동회전원판(514B)들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비된 승강유도부재(532B), 제2승강패널(30B)의 하부로부터 각각 제2승강장치(500B)의 승강유도부재(532B)들 쪽으로 돌출된 접촉부재(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제2승강장치(500B)의 승강작동기구(532B 참조)는 제1승강장치(500A)의 승강작동기구(532A, 534A)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구성되고 작동한다.
구체적으로, 제2승강장치(500B)의 승강작동기구(532B, 534B)는 아이들러기어(526B)가 두 개 구비되어 어느 하나 및 다른 하나의 아이들러기어(526B)와 맞물린 종동기어(524B)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므로, 두 아이들러기어(526B) 중 어느 하나와 맞물린 종동기어와 동축인 종동회전원판에 구비된 승강유도부재(도 5를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된 두 승강유도부재)의 상부에는 그 하부의 종동회전원판용 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방향을 따라 한쪽방향(회전방향과 반대방향, 즉 도 5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오르막 경사지게 마련된 경사부(도 6의 도면부호 532A1 참조)를 갖는 반면, 두 아이들러기어(526B) 중 다른 하나와 맞물린 종동기어와 동축인 종동회전원판에 구비된 승강유도부재(도 5를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된 두 승강유도부재)의 상부에는 그 하부의 종동회전원판용 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방향을 따라 다른 쪽의 방향(회전방향과 반대방향, 즉 도 5를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오르막 경사지게 마련된 경사부(도 6에 도시된 경사부(532A1)의 오르막 경사방향과 반대인 반시계방향으로 오르막 경사지게 마련된다.)를 갖는다.
제1승강장치(500A)의 승강유도부재(532A)들과 마찬가지로, 제2승강장치(500B)의 승강유도부재(532B)들도 그 경사부 상에 각각 경사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마련된 걸림턱부(도 6의 도면부호 532A2)들을 갖는다. 이에 따라, 제2승강장치(500B)의 걸림턱부들도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된다.
또한, 제1승강장치(500A)의 걸림턱부(532A2)들과 마찬가지로, 제2승강장치(500B)의 걸림턱부들도 단차면(도 6의 도면부호 532A3 참조) 및 연결면(도 6의 도면부호 532A4 참조)으로 구성된다. 다만, 제2승강장치(500B)의 두 아이들러기어(526B) 중 어느 하나와 맞물린 종동기어와 동축인 종동회전원판에 구비된 승강유도부재(도 5를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된 두 승강유도부재)의 단차면은 그 하부의 종동회전원판용 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방향을 따라 한쪽방향(회전방향과 반대방향, 즉 도 5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내리막 경사지게 마련되는 반면, 두 아이들러기어(526B) 중 다른 하나와 맞물린 종동기어와 동축인 종동회전원판에 구비된 승강유도부재(도 5를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된 두 승강유도부재)의 단차면은 그 하부의 종동회전원판용 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방향을 따라 다른 쪽의 방향(회전방향과 반대방향, 즉 도 5를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내리막 경사지게 마련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제2승강장치(500B)의 승강작동기구(532B 참조)는 제1승강장치(500A)의 승강작동기구(532A, 534A)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구성되고 작동하므로, 이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살펴본 바와 같이 구성되는 제2승강장치(500B)는, 접촉부재들이 각 승강유도부재(532B)의 걸림턱부(도 6의 도면부호 532A2 참조)들 중 최하단에 위치한 걸림턱부의 단차면(도 6의 도면부호 532A3 참조) 상에 위치되면, 제2승강패널(30B)을 가장 낮은 위치로 유지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2승강장치(500B)의 구동회전원판(512B)을 조작, 회전시킴으로써, 구동회전원판(512B)의 회전력을 제2승강장치(500B)의 구동기어(522B), 종동기어(524B)들 및 아이들러기어(526B)들에 의하여 제2승강장치(500B)의 종동회전원판(514B)들에 전달하여 제2승강장치(500B)의 종동회전원판(514B)들과 함께 그 상부의 승강유도부재(532B)들을 회전시킨다. 이렇게 제2승강장치(500B)의 구동회전원판(512B)을 조작하여, 제2승강장치(500B)의 승강유도부재(532B)들 중, 일부(도 5를 기준으로 우측에 배치된 두 승강유도부재)는 도 5를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나머지(도 5를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된 두 승강유도부재)는 도 5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승강장치(500B)의 접촉부재(도 7의 도면부호 534A 참조)들은 승강유도부재(532B)들의 최하단에 위치한 걸림턱부(도 6의 도면부호 532A2 참조)의 경사진 연결면(도 6의 도면부호 532A4 참조)을 따라 상승되면서 최하단의 걸림턱부와 이웃한 한 단계 높은 위치의 걸림턱부의 단차면(도 6의 도면부호 532A3 참조) 상에 위치되고, 이에 따라 제2승강패널(30B)은 한 단계 상승된 높이로 유지된다.
제1승강장치(500A)와 마찬가지로, 제2승강장치(500B)의 경우에도 그 구동회전원판(512B)을 동일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면, 제2승강패널(30B)의 높이가 보다 상승된다. 또, 제2승강장치(500B)의 구동회전원판(512B)을 동일방향으로 계속 회전시키면, 제2승강장치(500B)의 접촉부재들은 제2승강장치(500B)의 각 걸림턱부들에 의하여 계속 상승되어 최상단에 위치한 걸림턱부의 단차면 상에 위치되었다가 낙하하여 최하단 걸림턱부의 단차면 상에 위치된다. 반면, 제2승강장치(500B)의 구동회전원판(512B)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2승강패널(30B)은 높이가 하강된다.
도 1, 2 및 8의 도면부호 200A와 200B는 제1승강장치(500A)에 의하여 승강된 제1승강패널(30A)의 높낮이를 표시하는 제1높이표시장치 및 제2승강장치(500B)에 의하여 승강된 제2승강패널(30B)의 높낮이를 표시하는 제2높이표시장치이다.
제1높이표시장치(200A)는, 제1승강패널(30A)의 하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베이스(20)의 내부에 위치되는 래크(210A), 래크(210A)와 맞물리며 베이스(20)의 내부에 장착된 피니언(220A), 피니언(220A)과 맞물리며 베이스(20)의 내부에 장착된 작동기어(230A), 베이스(20)의 외부에 배치되고 작동기어(230A)와 동축 상에 장착되어 작동기어(230A)와 함께 회전되며 높낮이 표시부를 갖는 표시부재(240A)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는 없으나, 베이스(20)에서 표시부재(240A)와 인접하는 부분에는 지시부가 마련되고 표시부재(240A)의 높낮이 표시부가 나타내는 높낮이를 지시부가 지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높이표시장치(200A)는, 제1승강패널(30A)이 승강되면 래크(210A)가 동일방향으로 함께 승강되고, 이에 따라 피니언(220A)과 작동기어(230A)가 회전됨과 아울러 표시부재(240A)가 회전되면서 승강된 제1승강패널(30A)의 높낮이가 표시된다. 이 때, 사용자는 승강된 제1승강패널(30A)의 높낮이를 표시부재(240A)의 높낮이 표시부를 통하여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제1승강패널(30A)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제1높이표시장치(200A)와 마찬가지로, 제2높이표시장치(200A)도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구성되고 작동하는 래크(210B), 피니언(220B), 작동기어(230B) 및 표시부재(240B)를 포함한다. 제2높이표시장치(200A)는 제1높이표시장치(200A)와 비교하여 볼 때, 그 래크(210B)가 제2승강패널(30B)의 하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제2승강패널(30B)과 함께 동일방향으로 승강되는 점만이 상이하므로, 이에 대한 보다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승강장치(500A, 500B)들의 회전부재(512A, 514A, 512B, 514B)들이 베이스(20)에 장착되고 승강장치(500A, 500B)들의 접촉부재(534A)들이 승강패널(30A, 30B)들에 구비되는 식으로 승강장치(500A, 500B)들이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승강장치(500A, 500B)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은 회전부재(512A, 514A, 512B, 514B)가 승강패널(30A, 30B)에 장착되고 접촉부재(534A 참조)가 베이스(20)에 구비되는 식으로 역순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2개의 승강패널(30A, 30B)이 전후로 배치된 구성을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나, 승강패널(30A, 30B)의 구비 개수 및 배치구조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승강패널(30A, 30B)들이 사용자의 머리를 상부와 하부 쪽으로 나누어서 받치는 1인용 베개가 아닌, 일례로 2개의 승강패널이 좌우로 배치되어 사용자의 머리를 각각 받치는 2인용 베개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베개의 요부가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베개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볼 때, 기타 구성 및 작용은 모두 동일한 것에 대하여, 제1승강장치(도 4, 5의 도면부호 500A 참조)의 승강작동기구에서 승강유도부재(532A-1)가 다소 달리 구성되고, 이에 따라 역회전 방지수단(562A, 564A)을 더 포함하는 점이 상이하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 제1승강장치의 승강유도부재(532A-1)는 제1승강장치의 종동회전원판(514A)들의 상부에 각각 제1승강장치의 종동회전원판(514A)들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이러한 제1승강장치의 승강유도부재(532A-1)는 상부에 그 하부의 종동회전원판(514A)용 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방향을 따라 한쪽방향(회전방향과 반대방향, 즉 도 9를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오르막 경사진 경사면(532A5)이 마련된 경사부를 갖는다.
제2실시예의 제1승강장치를 구성하는 승강유도부재(532A-1)들은 제1승강장치의 종동회전원판(514A)들이 회전되면 이들 종동회전원판(514A)과 함께 동일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에 따라 제1승강장치를 구성하는 접촉부재(도 7의 도면부호 534A 참조)는 제1승강장치의 승강유도부재(532A-1)들에 마련된 경사면(532A5)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므로, 제1승강패널(도 7의 도면부호 30A 참조)은 승강된다.
역회전 방지수단(562A, 564A)은 제1승강장치의 종동회전원판(514A)이 정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종동회전원판(514A)의 회전방향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제1승강장치의 종동회전원판(514A)의 정회전방향은 제1승강패널이 상승되도록 제1승강장치의 종동회전원판(514A)이 회전되는 방향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역회전 방지수단(562A, 564A)은, 제1승강장치의 종동회전원판(514A)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상부 중앙에 해당의 종동회전원판(514A)과 동축으로 장착되어 제1승강장치의 승강유도부재(532A-1)에 의하여 한정된 내부영역에 배치됨과 아울러 해당의 종동회전원판(514A)과 함께 회전되며 내주에 래칫기어(ratchet gear)가 마련된 내치래칫(562A), 내치래칫(562A)의 래칫기어에 걸려 내치래칫(562A)이 해당의 종동회전원판(514A)과 함께 역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폴(pawl)을 단수 또는 복수로 갖는 스토퍼(564A)를 포함한다.
내치래칫(562A)의 래칫기어는 선단 쪽 부분이 역회전방향 쪽을 향하도록 내치래칫(562A)의 반경방향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 경사져서 정회전방향 쪽을 향하는 이동면(562A1) 및 역회전방향 쪽을 향하는 스톱면(562A2)을 갖는 복수의 기어 이(齒)로 구성된다.
스토퍼(564A)는 내치래칫(562A)의 내주 측 공간에 배치되며 전용의 고정축에 센터가 고정된다. 스토퍼(564A)의 센터에는 해당의 종동회전원판(514A)의 센터를 관통하여 베이스(도 1 등의 도면부호 20 참조)의 바닥판에 고정된 상기의 스토퍼(564A) 전용 고정축에 고정된 축부재를 갖는다. 스토퍼(564A)의 폴은 축부재의 상부의 외주에 마련된다. 스토퍼(564A)의 폴은 유연성이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선단이 정회전방향 쪽을 향하도록 구부러진 호형으로 형성된다.
스토퍼(564A)의 폴은 선단부가 스톱면(562A2)에 접촉된 상태로 유지되는바, 내치래칫(562A)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그 유연성이 있는 재질 및 호형의 형상에 의하여 이동면(562A1)과 접촉되고 구부러지면서 내치래칫(562A)의 정방향회전을 허용하는 반면, 내치래칫(562A)을 역회전시키면 그 호형의 형상으로 인하여 구부러지는 변형이 방지되면서 내치래칫(562A)의 역방향회전을 제한한다.
설명한 바와 달리, 스토퍼(564A)의 폴은 일반적인 래칫폴일 수도 있다.
살펴본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 베개는 역회전 방지수단(562A, 564A)의 작용에 의하여 제1승강장치의 종동회전원판(514A)들이 정방향으로만 회전된다. 그러므로, 제1승강패널의 높낮이가 조절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사용 등으로 인하여 제1승강패널에 상측에서 외력(사용자의 머리 무게)이 가해지더라도, 제1승강패널은 역회전 방지수단(562A, 564A)의 작용으로 인하여 하강이 방지된다.
한편, 제2실시예는 그 역회전 방지수단(562A, 564A)이 제1승강장치의 종동회전원판(514A)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에 적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역회전 방지수단(562A, 564A)은 제1승강장치의 구동회전원판(도 4의 도면부호 512A 참조), 아이들러기어(도 4의 도면부호 526A 참조), 구동베벨기어(도 4의 도면부호 552A 참조) 또는 종동베벨기어(도 4의 도면부호 554A 참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동일하거나 유사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제2실시예의 제1승강장치를 구성하는 승강유도부재(532A-1) 및 역회전 방지수단(562A, 564A)은 제2승강장치에도 동일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20 : 베이스(하부부재)
30A, 30B : 제1, 2승강패널(상부부재)
40A, 40B : 쿠션
52 : 가이드핀
54 : 핀 삽입부재
200A, 200B : 제1, 2높이표시장치
500A, 500B : 제1, 2승강장치

Claims (8)

  1. 하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의 상측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각각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복수의 상부부재와;
    상기 복수의 상부부재를 각각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각 상부부재의 높낮이를 독립적으로 조절하는 승강장치를 포함하는,
    높낮이 조절 베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상부부재 중 제1상부부재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승강장치는,
    상기 제1상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 중 어느 하나에 상하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운동을 변환하여 상기 제1상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 중 다른 하나에 대하여 상하방향의 직선운동을 하면서 상기 제1상부부재를 승강시키는 승강작동기구를 포함하는,
    높낮이 조절 베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승강작동기구는,
    상기 회전부재에서 상기 제1상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 중 다른 하나와 대향하는 부분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부재용 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방향을 따라 한쪽방향으로 오르막 경사진 경사면이 마련된 경사부를 갖는 승강유도부재와;
    상기 제1상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 중 다른 하나로부터 상기 경사면에 접촉하도록 돌출되어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되면 상기 경사면에 의하여 상하방향의 직선운동을 하는 접촉부재를 포함하는,
    높낮이 조절 베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상부부재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승강장치는 상기 회전부재가 상기 제1상부부재를 상승시키는 정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방향을 제한하는 역회전 방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높낮이 조절 베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승강작동기구는,
    상기 회전부재에서 상기 제1상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 중 다른 하나와 대향하는 부분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부재용 축을 중심으로 하는 원주방향을 따라 한쪽방향으로 오르막 경사지도록 마련된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 상에 상기 경사부의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마련되어 서로 다른 높이에 배치된 복수의 걸림턱부를 갖는 승강유도부재와;
    상기 제1상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 중 다른 하나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회전부재의 회전각도에 따라 상기 복수의 걸림턱부 중 어느 하나와 접촉하도록 배치된 접촉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걸림턱부는 각각 단차면 및 연결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단차면들은 상기 경사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서로 이격됨과 아울러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되고, 상기 연결면들은 상기 서로 다른 높이의 단차면들을 연결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접촉부재는 상기 회전부재가 회전되면 상기 연결면을 따라 승강되면서 이웃한 다른 단차면으로 변위되는,
    높낮이 조절 베개.
  6. 상부가 개방되고 내부가 빈 구조를 갖는 하부부재와; 상기 하부부재의 상측에서 전방 및 후방에 각각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 제1상부부재 및 제2상부부재와; 상기 제1상부부재와 상기 제2상부부재를 각각 상하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제1상부부재의 높낮이와 상기 제2상부부재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제1승강장치 및 제2승강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승강장치 또는 상기 제2승강장치는,
    상기 하부부재의 내부에 각각 상하방향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구동회전부재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종동회전부재와;
    상기 구동회전부재의 회전력을 상기 종동회전부재에 전달하는 제1동력전달기구와;
    상기 종동회전부재의 회전운동을 변환하여 상기 제1상부부재 또는 상기 제2상부부재에 대하여 상하방향의 직선운동을 하면서 상기 제1상부부재 또는 상기 제2상부부재를 승강시키는 승강작동기구를 포함하는,
    높낮이 조절 베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승강장치 또는 상기 제2승강장치는,
    상기 구동회전부재용 축과 교차하도록 배치되며 사용자가 직접 조작할 수 있게 한쪽 단부가 상기 하부부재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돌출된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회전력을 상기 구동회전부재에 전달하여 상기 구동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제2동력전달기구를 더 포함하는,
    높낮이 조절 베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구동회전부재는 사용자가 직접 조작할 수 있게 외주 쪽 일부가 상기 하부부재에 마련된 노출개구를 통하여 노출되는 위치에 배치된,
    높낮이 조절 베개.
KR1020150064625A 2015-05-08 2015-05-08 높낮이 조절 베개 KR1016869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4625A KR101686954B1 (ko) 2015-05-08 2015-05-08 높낮이 조절 베개
PCT/KR2016/004175 WO2016182222A1 (ko) 2015-05-08 2016-04-21 높낮이 조절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4625A KR101686954B1 (ko) 2015-05-08 2015-05-08 높낮이 조절 베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2266A true KR20160132266A (ko) 2016-11-17
KR101686954B1 KR101686954B1 (ko) 2016-12-19

Family

ID=57542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4625A KR101686954B1 (ko) 2015-05-08 2015-05-08 높낮이 조절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69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4387B1 (ko) * 2017-05-10 2018-05-08 주식회사 모텍스 저부 장착형 핸들을 가진 높낮이 조절 베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6628A (ko) * 1997-01-27 1998-10-15 한상언 후라이 팬
CN201822426U (zh) * 2010-04-27 2011-05-11 谢发连 可调式枕头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6628A (ko) * 1997-01-27 1998-10-15 한상언 후라이 팬
CN201822426U (zh) * 2010-04-27 2011-05-11 谢发连 可调式枕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6954B1 (ko) 2016-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93179B (zh) 升降机构
US8936315B2 (en) Ophthalmic examination chair having tilt drive assembly
US8763176B2 (en) Lift device including ring-shaped driving unit
CN203777246U (zh) 一种眼科手术床
JP7444823B2 (ja) フットコントローラおよび医療用診療装置
KR101686954B1 (ko) 높낮이 조절 베개
CN110584972A (zh) 一种脊柱外科用脊柱辅助治疗装置
JP6253799B2 (ja) 高低調節枕
KR101686956B1 (ko) 높낮이 조절 베개
CN110636782B (zh) 具有底部安装式柄的高低调节枕头
US20150005083A1 (en) Tiltable/adjustable golf practice device
KR101743171B1 (ko) 높낮이 조절 베개
KR101645636B1 (ko) 높낮이 조절 베개
KR101686955B1 (ko) 높낮이 조절 베개
TWM579024U (zh) 帶有顯示器的病床
CN214386631U (zh) 一种适用于不同身高学生使用的课桌椅
CN210039366U (zh) 一种护理教学用口腔模型辅助装置
CN114504442A (zh) 一种眼科诊疗床
CN111631902B (zh) 一种患者自我使用的颈部牵引器材
CN209392326U (zh) 医用支撑装置及康复系统
CN206651536U (zh) 改良式桌上型升降台
CN207575310U (zh) 一种脊柱拉伸装置
KR101686952B1 (ko) 높낮이 조절 베개
CN217391140U (zh) 具有调节功能的健康治疗仪
CN213965027U (zh) 一种康复医学科手部训练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