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1210A - 폭식성 섭식장애 조절을 위한 옥시토신의 용도 - Google Patents

폭식성 섭식장애 조절을 위한 옥시토신의 용도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1210A
KR20160131210A KR1020150063069A KR20150063069A KR20160131210A KR 20160131210 A KR20160131210 A KR 20160131210A KR 1020150063069 A KR1020150063069 A KR 1020150063069A KR 20150063069 A KR20150063069 A KR 20150063069A KR 20160131210 A KR20160131210 A KR 201601312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ytocin
eating disorder
binge eating
eating
pati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3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5348B1 (ko
Inventor
김율리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63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5348B1/ko
Publication of KR20160131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12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5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5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61K38/11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43No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옥시토신(Oxytocin, OT)의 섭식장애 조절에 대한 새로운 용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신경성 폭식증(bulimia nervosa, BN) 또는 폭식장애(binge eating disorder, BED)를 가지는 폭식성 섭식 장애 환자에 있어서 음식 섭취 및 감정 인지에 미치는 옥시토신의 새로운 영향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폭식성 섭식장애 조절을 위한 옥시토신의 용도{The Use of Oxytocin for Treatment of Bulimia Nervosa and Binge Eating Disorder}
본 발명은 옥시토신(Oxytocin, OT)의 섭식장애 조절에 대한 새로운 용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신경성 폭식증(bulimia nervosa, BN) 또는 폭식장애(Binge eating disorder, BED)를 가지는 폭식성 섭식 장애 환자에 있어서 음식 섭취 및 감정 인지에 미치는 옥시토신의 새로운 영향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섭식장애(eating disorders) 에 대한 빈도는 연구자와 대상 인구에 따라 다양하지만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여성의 경우 자신의 섭식행동을 밝히지 않음으로 실제 빈도는 연구에서 나타난 것보다 훨씬 높다고 한다(Fogel & Woods, 1995; Williamson, Cubic, & Gleaves, 1993).
섭식장애는 젊은 여성들에게 흔한 정신장애이며 만성적으로 지속되고 정동장애 등의 다른 정신장애와 공병률이 높다. 또한 빈번한 자살 시도가 나타나기도 하며 신체적으로 심각한 의학적 손상을 초래하여 모든 정신질환 중 가장 치사율이 높다는 점에서 매우 심각한 장애이다(Stice,2001a).
섭식장애 관련 변인으로는 생물학적 요소, 유전적 영향, 아동기 경험, 체중의 과거력, 정신병리의 가족 경력, 성과 사회 문화적 맥락, 여성 청소년 발달(신체적 성숙, 친밀한 관계의 발달, 자기감의 발달), 다이어트, 개인의 성격 특징들, 가족적 요인, 사회-문화적 요인, 대중매체의 역할 등 다양하고 광범위하며(김정내, 하정희, 2006), 여러 변인들이 복합적으로 이 병의 발병에 기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섭식장애에 관한 연구 자료가 부족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최근 외모를 중시하는 가치관의 확대로 인해 청소년 및 성인 여성의 섭식장애로 인한 손상은 날로 심각해지고 있다. 이러한 식습관은 심리 정서적 위협은 물론 신체적인 건강까지 위협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책의 마련이 시급하다고 볼 수 있다(성미혜, 2005).
섭식장애는 연구자들이나 건강 전문직의 관심이 된지 그리 오래되지 않은 새로운 정신병리 현상으로서 진단적 특성의 결정이 명백히 이루어진 것은 1980년 DSM-Ⅲ에서 부터이며 1987년 DSM-Ⅲ-R을 거쳐, 1994년 DSM-Ⅳ, 2013년 DSM-5에 이르고 있다. 이러한 섭식장애는 다양하며 일관성 없는 섭식행동이 핵심으로, 크게 신경성 식욕부진증(anorexia nervosa, AN), 신경성 폭식증(bulimia nervosa, BN), 폭식장애 (binge eating disorder, BED)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이규은 외, 1998).
신경성 식욕부진증은 최소한의 정상체중 유지를 거부하는 것이 주요 특징이며 신경성 폭식증은 반복되는 폭식과 그에 따르는 부적절한 보상행동(자기 유발성 구토, 하제, 이뇨제, 기타 약물의 남용, 단식, 지나친 운동을 포함)을 특징으로 한다. 두 장애 모두 체형과 체중이 자기 평가에 지나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공통점이다(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섭식장애에 대한 빈도는 연구자와 대상 인구에 따라 다양하지만 점차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여성의 경우 자신의 섭식행동을 밝히지 않음으로 실제 빈도는 연구에서 나타난 것보다 훨씬 높다고 한다(Fogel & Woods, 1995; Williamson, Cubic, & Gleaves, 1993).
이러한 섭식장애의 효율적인 치료를 위해, 치료제 개발이 매우 중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옥시토신이 섭식장애, 더욱 구체적으로는 폭식성 섭식장애인 신경성 폭식증(bulimia nervosa, BN) 또는 폭식장애(binge eating disorder, BED) 환자의 음식 섭취 및 감정 인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옥시토신이 폭식성 섭식장애 환자의 감정 인식 민감도를 증가시키고 섭취 칼로리를 감소시키는 새로운 기능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미국특허문헌 US 2014-0066373A1
본 발명은 섭식장애와 관련한 옥시토신(oxytocin, OT)의 신규 용도, 특히,폭식성 섭식장애 치료를 위한, 음식 섭취 및 감정 인지에 미치는 옥시토신의 새로운 기능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감정 인식 민감도를 증가시키고 섭취 칼로리를 감소시키는 옥시토신을 함유하는 신경성 폭식증(bulimia nervosa, BN) 또는 폭식장애(Binge eating disorder, BED)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고 감정 인지 민감도 및 칼로리 소모량을 이용하여 분석하는 방법을 특징으로 하는, 폭식성 섭식장애 평가(cognitive appraisal)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옥시토신의 폭식성 섭식장애에 대한 감정 인식 민감도를 증가시키고 섭취 칼로리를 감소시키는 기능을 제공한다.
일 구체적인 태양으로, 본 발명은 폭식성 섭식장애에 대한 감정 인식 민감도를 증가시키고 섭취 칼로리를 감소시키는 옥시토신을 포함하는, 폭식성 섭식장애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폭식성 섭식장애는 신경성 폭식증(bulimia nervosa, BN) 또는 폭식장애(binge eating disorder, BED)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감정 인식 민감도는 슬픔, 분노, 공포 및 행복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이상의 감정에 대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슬픔 또는 분노에 관련된 인식에 의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로써,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 및 감정 인지 민감도 및 칼로리 소모량을 이용하는, 신경성 폭식증(bulimia nervosa) 또는 폭식장애(Binge eating disorder)와 같은 폭식성 섭식장애 평가(cognitive appraisal)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섭식장애와 관련한 옥시토신(oxytocin, OT)의 신규 용도, 특히, 신경성 폭식증(bulimia nervosa, BN) 또는 폭식장애(Binge eating disorder, BED)와 같은 폭식성 섭식장애에 있어서 감정 인식 민감도를 증가시키고 섭취 칼로리를 감소시키는 새로운 기능의 다양한 모든 용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옥시토신이 감정 인식 민감도를 증가시키고 섭취 칼로리를 감소시키는 새로운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섭식장애, 더욱 바람직하게는 신경성 폭식증(bulimia nervosa, BN) 및 폭식장애(Binge eating disorder, BED) 환자의 치료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참여자에 대한 실험 공정을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역동(학)적 얼굴표정 몰핑과제 (Dynamic facial morphing task)를 수행하여 강도에 있어서 점진적 변화를 나타내는 표현 중 행복에 관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옥시토신 또는 플라시보 조건 하에서 전체 감정의 정확한 감정 인식(identification)에 대한 감정적 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용어에 대한 정의는 이하와 같다.
"섭식장애"란 자신의 신체상(image)에 대한 불만족으로 체중감소를 위해 음식을 거절하거나(신경성 식욕부진증;anorexia nervosa, AN), 먹고 토하는 행동을 반복하거나(신경성 폭식증;bulimia nervosa, BN), 제거행동 없는 폭식이 특징인(폭식장애;binge eating disorder, BED) 행동장애를 말한다(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특히, 본 발명은 신경성 폭식증(bulimia nervosa) 및 폭식장애(binge eating disorder)에 매우 유용하다.
"폭식"은 일정한 시간에 대부분의 사람들이 유사한 상황에서 동일한 시간 동안 먹는 것보다 분명하게 많은 양의 음식을 먹으면서 조절감의 상실이 동반되는 증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폭식 증상이 동반되어 있는 상태를 DSM-5에 의하면 신경성 폭식증(bulimia nervosa), 과식장애 또는 폭식장애(binge eating disorder), 달리 분류되지 않는 섭식장애(eating disorder not otherwise specified)로 진단 내릴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와 관련된 증상을 "폭식성 섭식장애"로 표현하기도 한다.
"식이 행동(eating behavior)"은 생명을 유지하고 삶을 영위하는 데에 필수적인 생물학적 기능으로 음식과 관련된 태도와 느낌, 행동을 말한다.
"자극"은 일반적으로 신경 조직(뇌 또는 신경의 다량의 신경 조직)의 신경세포 활성도에 작용하기 위한, 신경 조직에 신호, 자극 또는 충격의 전달을 의미한다
"화학 물질"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기재하고 있는 물질에 노출된 신경 또는 신경 조직에서 신경세포 활성을 자극할 수 있는 화합물, 약물 또는 약제를 의미한다. 이러한 물질의 예로는 저해성 신경전달물질 작용제, 흥분성 신경전달물질 길항제, 저해성 신경전달물질의 수준을 증가시키는 물질, 흥분성 신경전달물질의 수준을 감소시키는 물질, 및 국소 마취제가 있다.
"대상체"는 인간을 포함한 모든 포유동물을 포함할 수 있다. "대상체"는 또한 애완동물 (예를 들어, 개, 고양이, 말)뿐만 아니라 다른 동물들 (예를 들어, 소, 양, 돼지, 염소)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인간이 바람직하다.
"억제제 또는 저해제(inhibitor)"는 특정 단백질(유전자)의 발현이나, 특정의 생리 기능 또는 활성을 억제, 차단 또는 감소시키는 물질을 의미한다.
"치료"는 임상적 결과를 포함한 유익하거나 바람직한 결과를 수득하기 위한 방법이다. 질환, 장애 또는 상태를 "치료하는" 또는 "완화하는"은 장애를 치료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서 상태 또는 장애 또는 질병의 정도 또는 원치 않는 임상적 증상 또는 둘 다를 완화시키거나, 진행의 과정을 느리게 또는 연장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방법의 목적에 따라서, 유용하거나 바람직한 임상적 결과에는 검출가능한 것이든 아니든 간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증상의 경감 또는 개선, 장애 정도의 감소, 장애의 안정화된 (즉, 악화되지 않은) 상태, 장애 진행의 지연 또는 둔화, 장애의 개선 또는 완화, 및 관해 (부분적 또는 완전)가 포함되나,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또한, 치료하는 것은 반드시 1회 용량의 투여에 의해서 일어나지는 않으며, 종종 일련의 용량을 투여한 후에 일어난다. 따라서, 치료학적 유효량, 완화시키기에 충분한 양, 또는 질환, 장애 또는 상태를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1 회 또는 그 이상 투여로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섭식장애, 바람직하게는 신경성 폭식증(bulimia nervosa, BN) 및 폭식장애(Binge eating disorder, BED)의 치료를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옥시토신(Oxytocin, OT)의 새로운 기능에 관한 것이다.
상기 "옥시토신"은 강력한 자궁수축제로서, 임상적으로 분만 유도에 사용되며, 수유 개시와 유지를 강화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Gimpl, G. et al., Physiol. Rev. 81 (2001) 629-683 및 Ruis H. et al., British Medical Journal 283 (1981) 340-342).
본 발명의 "옥시토신" 단백질은 동물 유래의 모든 옥시토신 단백질을 포함한다. 야생형(wild type)의 옥시토신 단백질을 포함하여, 결실, 삽입, 비보전적 또는 보전적 치환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옥시토신 단백질의 변이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옥시토신" 단백질 또는 옥시토신 폴리펩티드란 폴리펩티드 단편, 이의 화학적으로 변형된 유도체 뿐만 아니라 그것의 핵산 및 또는 아미노산 서열 변이체를 포함한다.
옥시토신 단백질의 변이체란 야생형의 아미노산 서열과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가 상이한 서열을 가지는 단백질을 의미한다. 삽입은 통상적으로 약 1개 내지 20개 아미노산의 연속 서열로 이루어지나, 보다 큰 삽입도 가능할 수 있다. 결실은 통상적으로 약 1개 내지 30개의 잔기로 이루어지나, 일부의 경우에는 도메인중 하나가 결실될 수 있는 것과 같이 보다 큰 결실 또한 가능할 수 있다. 이런 변이체는 당해 분야에 공지된 화학적 펩티드 합성방법 또는 DNA 서열을 기본으로 하는 재조합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Sambrook et al., Molecular Cloning, Cold Spring Harbour Laboratory Press, New York, USA, 2d Ed., 1989). 분자의 활성을 전체적으로 변경시키지 않는 단백질 및 펩티드에서의 아미노산 교환은 당해분야에 공지되어 있다(H.Neurath, R.L.Hill, The Proteins, Academic Press, New York, 1979). 가장 통상적으로 일어나는 교환은 아미노산 잔기 Ala/Ser, Val/Ile, Asp/Glu, Thr/Ser, Ala/Gly, Ala/Thr, Ser/Asn, Ala/Val, Ser/Gly, Thy/Phe, Ala/Pro, Lys/Arg, Asp/Asn, Leu/Ile, Leu/Val, Ala/Glu, Asp/Gly 간의 교환이다.
옥시토신의 서열은 공지되어 있으므로 화학적으로 합성(Merrifleld, J. Amer. chem. Soc.. 85:2149-2156, 1963)하거나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이용하여 얻을 수 있다.
화학적으로 합성하여 제조하는 경우, 당 분야에 널리 공지된 폴리펩타이드 합성법을 이용하여 얻을 수 있다.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이용할 경우, 옥시토신을 코딩하는 핵산을 적절한 발현 벡터에 삽입하고, 벡터를 숙주세포로 형질전환하여 옥시토신이 발현되도록 숙주 세포를 배양한 뒤, 숙주세포로부터 뉴리틴을 회수하는 과정으로 수득할 수 있다. 뉴리틴의 유전자 서열은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고 이용 가능하다. 따라서, 통상의 방법을 사용하여, 공지된 재조합 핵산 기술[예를 들면, 문헌(Sambrook 등, eds., "Molecular Cloning: A Laboratory Manual", 2편, Cold Spring Harbor Laboratory Press, Cold Spring Harbor, NY, 1989 및 "Current Protocols in Molecular Biology", John Wiley & Sons, N.Y. 1989)에 기재된 바와 같음]을 사용하여 선별된 세포에서 옥시토신의 발현을 획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음식 섭취 및 감정 인지에 미치는 옥시토신의 새로운 기능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특히, 상기 옥시토신이 폭식성 섭식장애, 더욱 구체적으로는 신경성 폭식증(bulimia nervosa, BN) 및 폭식장애(Binge eating disorder, BED) 환자의 감정 인식 민감도를 증가시키고 섭취 칼로리를 감소시키는 신규 기능에 관한 것이다.
치료 대상
본 발명이 치료 대상으로 하는 섭식장애(eating disorder)는 최근에 주목받기 시작한 새로운 정신병리 현상으로서 진단적 특성의 결정이 명백히 이루어진 것은 1980년 DSM-Ⅲ에서 부터이며 1987년 DSM-Ⅲ-R을 거쳐, 1994년 DSM-Ⅳ, 2013년 DSM-5에 이르고 있다. 이러한 섭식장애는 다양하며 일관성 없는 섭식행동이 핵심으로, 크게 신경성 식욕부진증(anorexia nervosa, AN), 신경성 폭식증(bulimia nervosa, BN), 폭식장애(binge eating disorder, BED)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이규은 외, 1998).
신경성 식욕부진증은 최소한의 정상체중 유지를 거부하는 것이 주요 특징이며 신경성 폭식증은 반복되는 폭식과 그에 따르는 부적절한 보상행동(자기 유발성 구토, 하제, 이뇨제, 기타 약물의 남용, 단식, 지나친 운동을 포함)을 특징으로 한다. 두 장애 모두 체형과 체중이 자기 평가에 지나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공통점이다(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본 발명에서 치료 대상으로 하는 섭식장애는 폭식성 섭식장애로서, 바람직하게는 신경성 폭식증(bulimia nervosa, BN) 및 폭식장애(binge eating disorder,BED)이다.
신경성 폭식증(bulimia nervosa, BN)은 반복되는 폭식과 그에 따르는 부적절한 보상행동(자기 유발성 구토, 하제, 이뇨제, 기타 약물의 남용, 단식, 지나친 운동을 포함)을 특징으로 한다.
신경성 폭식증에 대한 DSM-5의 기준은 다음과 같다.
- 반복적인 폭식행동이 나타나야 한다. 이러한 폭식행동은 일정한 시간 동안 대부분의 사람들이 유사한 상황에서 동일한 시간 동안 먹는 것보다 분명하게 많은 양의 음식을 먹거나 폭식행위 동안 먹는 것에 대한 조절 능력의 상실감을 느끼는 것을 말한다. 스스로 유도한 구토 또는 설사제, 이뇨제, 관장약, 기타 약물의 남용 또는 금식이나 과도한 운동과 같이 체중 증가를 억제하기 위한 반복적이고 부적절한 보상행동이 나타난다.
- 폭식행동과 부적절한 보상행동 모두 평균적으로 평균 1주 1회 이상 3개월 동안 일어난다.
- 체형과 체중이 자기평가에 과도한 영향을 미쳐야 한다.
신경성 폭식증 환자는 신경성 식욕부진증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체중증가에 대한 두려움을 지니며 흔히 체중조절을 위해 노력하지만 종종 많은 음식을 먹게 되는 폭식행동이 반복되어 나타난다. 그러나 신경성 폭식증은 환자들이 정상 체중을 유지한다는 점에서 신경성 식욕부진증과 다르다. 신경성 폭식증은 식욕부진증보다 훨씬 더 흔하며 영양실조가 나타나지 않는다는 점에서 식욕부진증보다 양호한 장애라고 할 수 있다. 처음에는 이런 폭식행동과 배출행동을 비밀로 하기 때문에 가족들이 몇 년 동안이나 모르고 지낼 수도 있다.
신경성 폭식증 역시 90% 이상이 여성에게서 발견되며, 청소년과 젊은 성인 여성에게서 유병률이 1~3%이다. 폭식증 환자는 심리적으로 우울하고 불안과 긴장감, 무기력감을 많이 느끼며 자기비하적 생각을 많이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DSM-5에서는 폭식장애(binge eating disorder)를 섭식장애에 포함시킨다. 폭식장애의 DSM-진단기준 은 다음과 같다.
- 반복적인 폭식 삽화가 있다. 이러한 폭식 삽화에 다음 중 3가지 (또는 그 이상)가 동반된다. 즉, 정상보다 훨씬 더 빨리 먹는 것, 불편할 정도로 배가 부를 때까지 먹는 것, 신체적으로 배고프다고 느끼지 않을 때에도 많은 양의 음식을 먹는 것, 자신이 많이 먹는 것이 부끄러워서 혼자 먹는 것, 과식 후 자신에 대해 혐오감, 우울감, 또는 심한 죄책감을 느낌.
- 폭식과 연관되는 심각한 고통이 있다.
- 폭식은 평균적으로 3개월 동안 1주에 적어도 1번은 있어야 한다.
- 폭식이 규칙적인, 신경성 폭식증에서의 부적절한 보상 행동과 관련되어 있지 않으며, 신경성 식욕부진증이나 신경성 폭식증의 경과 중에만 발생 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옥시토신이 감정 인식 민감도를 증가시키고 섭취 칼로리를 감소시키는 기능에 근거하여 이러한 폭식성 섭식장애, 바람직하게는 "신경성 폭식증(bulimia nervosa, BN) 및 폭식장애(binge eating disorder,BED)" 치료에 옥시토신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옥시토신은 사회적 정보처리, 불안, 스트레스, 식사 등 신경성 식욕 부진증(Anorexia Nervosa, AN)과 연관된 많은 신경 회로에 영향을 미친다. 옥시토신 회로가 AN 환자들에게서는 비정상적으로 기능한다는 연구결과가 있고(Maguire et al., In press), AN의 절식 주기 동안에 옥시토신의 뇌척수액 농도가 감소하며(Chiodera et al., 1991; Demitrack et al., 1990; Lawson et al., 2011b) AN 환자들의 야간 혈청 옥시토신 농도 역시 일반인에 비해 낮게 나타난다는 보고가 있다(Lawson et al., 2011a). 또한, AN의 급성기에는 식후 옥시토신 분비가 증가하고 회복 후에는 감소한다는 보도 있다(Lawson et al., 2012b).
그러나, 옥시토신의 신경성 폭식증(bulimia nervosa, BN)과 폭식장애(Binge eating disorder, BED)의 관계성에 대한 종래 연구는 많지 않다.
동물연구에 의하면 옥시토신은 식욕과 섭식 행동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한다(Sabatier et al., 2007). 그러므로 옥시토신은 체중 조절, 특히 당 및 탄수화물에 대한 식욕을 억제하는데 관여한다. 이러한 사실들은 옥시토신이 섭식장애 정신 병리의 강도나 음식과 관련된 이미지에 대한 반응과도 연관성이 있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발명자들은 옥시토신이 사회성 및 감정 프로세스에 관여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본 발명자들은 하기 가정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실험들을 통해서 음식 섭취 및 감정 인지에 미치는 옥시토신의 새로운 기능을 규명하였다.
-옥시토신은 음식 소비(food consumption)를 감소시킨다.
-옥시토신은 BN, BED 환자들의 사회적 감정 인지 능력을 개선시킨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i) BN, BED 환자는 옥시토신 투여 후 다소 적은 칼로리를 소비하고, AN 환자는 칼로리 소비가 다소 증가한다.
(ii) BN, BED 환자에서 감정에 대한 전체 민감도가 옥시토신 조건에서 다소 증가하고 특히, 슬픔 및 분노에 대한 민감도를 유의미하게 증가시킨다. AN 환자는 감정 인지 민감도에 영향을 거의 보이지 않는다.
(iii) 그러나, BN, BED 환자에서 옥시토신 투여 직후 섭취하는 주스의 양은 큰 영향이 없다
즉, 옥시토신은 신경성 폭식증(bulimia nervosa, BN) 및 폭식장애(Binge eating disorder, BED) 환자의 감정 인식 민감도를 증가시키고 섭취 칼로리를 감소시키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구체적 용도
본 발명은 상기 설명한 새로운 옥시토신의 기능(메커니즘)에 기초하여,
일 구체적인 태양으로, 감정 인식 민감도를 증가시키고 섭취 칼로리를 감소시키는 옥시토신을 포함하는, 폭식성 섭식장애 치료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폭식성 섭식장애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신경성 폭식증(bulimia nervosa, BN) 및 폭식장애(binge eating disorder, BED)의 치료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통상적인 약학 합성 기법에 따라 제조되는 약학 조성물로 제형화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8th Ed.(1990,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U.S.A.)]을 참조한다. 조성물은 활성 제제 또는 활성 제제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동시적, 또는 연속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하나의 활성 물질 이외에, 당업계에 잘 알려진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 담체, 버퍼, 안정화제 또는 다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물질들은 비독성이어야 하며 활성 성분의 효능을 방해해서는 안 된다.
담체는 투여를 위해 바람직한 제제 형태, 예를 들어, 국소형, 정맥내, 경구, 뇌막, 신경상막 또는 비경구인지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충진제, 확장제, 결합제, 습윤제(wetting agent), 붕해제(disintegrating agent), 계면 활성제와 같은 희석제, 부형제와 혼합함으로써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경구 투여에 있어서, 화합물은 고체 또는 액체 제제, 예컨대 캡슐, 환약, 정제, 로젠지, 분말, 현탁액 또는 에멀젼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고체 제형은 정제, 알약, 더스팅 파우더, 과립 및 캡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고체 제형은 하나 이상의 전분, 칼슘 카르보네이트, 수크로오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과 같은 적절한 부형제와 혼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간단한 부형제외에도,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를 사용할 수 있다. 경구 투여용 액체 제형은 현탁액, 용액, 에멀젼 및 시럽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언급한 제형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물 및 액체 파라핀과 같은 단순한 희석제뿐만 아니라 습윤제, 감미료(sweeteners), 방향제 및 보존제(preservatives)와 같은 다양한 부형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의 투여의 용이성 때문에, 정제 및 캡슐이 가장 유리한 경구 투여단위 형태이고, 이 경우 고체 약학 담체가 사용된다. 필요하다면, 정제는 표준 방법에 의해 당-코팅 또는 장용-코팅될 수 있다. 활성 제제는 코팅 외에 위장관 통과 시에 안전하며, 동시에 뇌혈관 장벽을 통과하여 지나갈 수 있도록 해준다.
비경구 투여에 있어서, 화합물은 약학적 담체에 용해되어 현탁 용액으로서 투여될 수 있다. 적절한 담체의 예로서는 물, 식염수, 덱스트로스 용액, 프럭토스 용액, 에탄올, 리포솜 또는 그 유도체, 또는 동물성, 식물성 또는 합성 오일이 있다. 담체는 또한 다른 성분들, 예를 들어, 보존제, 현탁제, 가용화제, 버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용 제형들로는 멸균된 수성 용액, 수-불용성 부형제, 현탁액, 에멀젼, 좌약(suppositories) 등이 있다. 수불용성 부형제 및 현탁액은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오일과 같은 식물성 오일, 에틸로레이트와 같은 주사형 에스테르 등을 포함하는 활성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좌약은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macrogol), 트윈61, 카카오 버터, 라우린 버터(laurin butter), 글리세린화된 젤라틴(glycerinated gelati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조성물은 비강으로 투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바람직하게는 스프레이-건조된 또는 냉동-건조된 입자, 마이크로스피어 또는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스프레이, 에어로졸 또는 건조 분말의 형태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비강을 통한 전달은 특히 편리하고, 치료제가 체순환으로 직접 수송될 수 있고, 따라서 위산, 담즙산, 소화 효소 및 다른 일차 통과 효과로부터의 분해를 피한다. 따라서, 이들 전달 경로는 개선된 작용의 개시, 용량 감소 및 더욱 정확한 용량의 가능성을 제공하고, 따라서 치료제의 효능 및 안전 프로파일을 증진시킬 수 있다.
활성 제제는 바람직하게는 치료적 유효량으로 투여된다. 투여되는 실제량과 투여 시간은 치료되는 질환의 특성 및 중증도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예를 들어, 투여량, 시간 등에 대한 치료 처방의 결정은 일반적인 당업자 또는 전문가의 역량 내에 있으며, 보통 치료될 질병, 개개 환자의 상태, 전달 부위, 투여 방법 및 당업자에게 알려진 기타 요인을 고려하게 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치료학적 또는 예방학적 유효양으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량은 환자의 질병 종류 및 중증도, 연령, 성별, 투여방법, 표적 세포, 발현정도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당 분야의 전문가들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로서, 본 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는 폭식성 섭식장애, 바람직하게는 신경성 폭식증(bulimia nervosa, BN) 및 폭식장애(Binge eating disorder, BED)에 대한 평가(cognitive appraisal)방법을 제공한다.
공지의 다양한 방법을 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플라시보와 이중 맹검법을 이용하였는데, 옥시토신 또는 플라시보를 비강내 투여한 후 역동적 얼굴표정 몰핑과제 (Dynamic facial morphing task)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감정 인지 민감도을 평가한다. 한편 주스 섭취량과 24시간 음식섭취량을 통해 칼로리 섭취량을 평가하였다.
이처럼, 본 발명은 섭식장애와 관련한 옥시토신(oxytocin, OT)의 신규 용도, 특히, 신경성 폭식증(bulimia nervosa, BN) 및 폭식장애(binge eating disorder, BED)에 있어서 감정 인식 민감도를 증가시키고 섭취 칼로리를 감소시키는 새로운 기능의 모든 다양한 용도를 포함한다.
이하,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참여자
이 연구의 프로토콜은 식품 의약품 안전처 임상시험 심사 위원회와 (12061) 서울 백병원 임상시험위원회에 (IIT-2012-096) 의해 승인되었다. 이 연구는 임상 연구 정보 서비스에 등록되었다 (http://cris.nih.go.kr) (등록번호: KCT0000716). 모든 참가자는 서면 동의서를 제출하였다.
102 명의 여성 (AN의 환자 35명, BN 환자 34명 및 33명의 건강한 대학생)이 이중맹검, 플라시보, 대조군, 교차실험에 참여했다. 연구는 서울백병원 섭식장애 클리닉에서 수행되었으며, 첫 실험참여는 2013년 4월 4일에 수행되었고, 마지막 실험참여는 2014년 8월 14일에 완료되었다. AN 환자들은 입원 병동 환자들로부터 모집하고, BN 환자들은 외래 환자들로부터 모집했다.
섭식장애의 진단은 DSM-5 진단 기준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물질 사용 장애(active substance use disorder), 정신병력 (정신분열증, 분열 정동장애, 달리 분류되지 않은 정신병(psychosis NOS), 및 자폐증이 포함되는 동반 질환 환자들은 환자군에서 배제됐다. 플루옥세틴(fluoxetine) 이외의 정신병 약을 복용하는 환자들 또한 배제하였다.
대조군 참여자들은 서울에 위치한 한 여자대학의 심리학과에 게시한 홍보물을 보고 지원한 학부 또는 대학원 재학생들이었다. 만 17세 이상의 신체, 정신적 병력이 없는 건강한 여성이 실험군 포함조건이었다. 주요우울증, 양극성장애, 공황 장애 등 정신장애, 약물 의존 장애, 간질, 섭식장애, 자폐증, 그리고 외상성 뇌손상의 자기 보고병력이 있는 사람의 경우 참가자에서 배제됐다. 모든 실험군 참가자는 비흡연자에 이성애자였으며 아이를 낳은 적이 없었고 피임약을 포함해 복용중인 약이 없었다. 건강한 정상군 및 BN 환자는 월경 주기의 여포기 (약 3-12일경) 중에 내원하여 실험을 진행했고, AN 환자는 월경을 하는 사람이 없었다.
실험 준비
1. 식사 과정
AN 및 BN 양 환자를 위한 통상의 치료는 실험 기간 동안 고정된 1인분 양(portion)으로 식사 계획을 포함하였다. BN 외래환자들은 균형 잡힌 식사 계획을 포함하는 인지행동치료를 받았다. AN 환자 치료는, 입원 환자 병동에서는 하루 종일 간격을 두고 구조화된, 시간-제한적 식사(하루 3회) 및 스낵(하루 3회)을 포함하였다. 식사양은 영양사가 감독한 프로토콜에 따라 결정하였다. 의학적 심각도 및 입원전 섭식 행동 (pre-admission eating behaviours)을 기준으로, 입원한 AN 환자들은 하루 1000 kcal의 식사로 시작하여 점차 하루 3000 kcal까지 섭취량을 증가하였다. 입원병동에서, AN 환자들은, 제공된 모든 식사를 시간 제한 내에 전량 섭취하는 감독하 식사를 계속하였지만, 실험 후 24시간 동안은 식사에 간섭을 받지 않고 자율적으로 식사하였다.
2. 옥시토신 준비
비강내 옥시토신 스프레이는 분말형 옥시토신으로부터(Hemmo Pharmaceuticals, 뭄바이, 인도) 중외제약에 (서울, 대한민국) 의해 제작되었다. 시약은 옥시토신 35.2 mg 과 (568U) 0.9% 식염수 300mL를 혼합한 후 10배 희석된 아세트산을 이용해 pH를 4.01로 맞추어 제작되었다. 플라시보 시약은 (pH 4.01) 옥시토신 첨가 없이 0.9% 식염수와 아세트산만을 이용하여 제작되었다. 용액은 여과되고 살균된 후 1.5mL 바이알에 밀봉하여 냉동 보관하였다. 사용 당일에, 바이알을 해동하여 4℃에서 사용 직전까지 냉장 보관하였다. 임상의는 옥시토신이나 플라시보를 바이알에서 분무기(nebulizer)로 옮겼다. 환자는 임상의의 모니터링 하에 분무기의 옥시토신이나 플라시보를 비강내 자가 투여 하였다.
3. 옥시토신 및 플라시보 투여
환자가 옥시토신이나 플라시보를 비강 내 투여한 후, 45분이 경과한 시점부터 신경인지검사(neuropsychological tasks)를 시작하였다. 최근 검토결과를 기초로 실험실 하 환경에서 주관적 변화를 느끼지 않는 옥시토신 용량인 40 IU을 투여량으로 선택하였다(MacDonald E et al., Psychoneuro endocrinology 36: 1114-1126, 2011)
실험 참여자가 도착했을 때, 임상의 감독 하 옥시토신 또는 플라시보 분무기로 40IU를 양 비강 내로 자가-스프레이하였다. 옥시토신의 비강 투여는 Guastella et al.(2013) 의 지침을 따랐다. 약물 투여 후 45분 째 신경인지검사(neuropsychological task)를 시작하였다. 두 번째 실험은 첫 번째 실험 후 4일 이후 7일 이내에 실시하였다.
4. 주스 섭취의 즉각적 시험 식이(Immediate test meal)
약물을 투여한 후 90분 째, 참여자들에게 사과 주스 한 통(Delmont, 한 통당 190 mL, 60 kcal)을 마시도록 요구하였다. 주스섭취는 가능한 많이 20분내 섭취하게끔 하였다.
5. 24 시간 동안 칼로리 섭취
참여자들은 실험을 마치고 24시간에 걸쳐 섭취한 음식과 음료를 식사일기에 기록하여 보고하였다. 연구자는 참여자들의 식사일기를 통해 칼로리 섭취를 계산하였다.
6. 역동적 얼굴표정 몰핑 과제(Dynamic facial morphing task)
역동적 얼굴표정 몰핑과제는 컴퓨터에 의해 몰핑되는 얼굴을 보여주는 비디오 클립으로 구성된다. 감정이 자제된 얼굴(Neutral faces)이 슬픔, 공포, 분노 또는 행복 표현을 보여주는 감정적인 얼굴로 50단계에 걸쳐 몰핑되고, Joormann and Gotlib (2006) 에 의해 기술된 실험적 패러다임을 따랐다.
상기 과제는 양재원이 제작하였으며(Yang J, Perceptual and cognitive bias for facial emotion in social anxiety: Yonsei University Graduate School, 2009), Psychophysics Toolbox version 2.54 와 결합된 MATLAB 버전 R2010 (Mathworks, Natick, MA, USA)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회색 배경의 스크린의 가운데에 얼굴표정자극은 12.7 × 16.9 cm 크기로 표현되었다. 상기 몰핑자극은 고해상도 15인치 모니터 상에 표현되었고, 참여자와 모니터 간 거리는 약 60cm 였다.
참여자들에게는 그들이 얼굴표정 몰핑자극에서 특정감정을 인식할 때 키보드를 통해 가능한 빨리 반응하게끔 지시했다. 상기 표정자극은 20~40 초로 한국인 얼굴표정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얻은 2명의 남자 및 2명의 여자의 얼굴로 구성되었다.
과제 수행 시에 스크린의 중앙에서 500 ms 동안 고정된 '+' 가 제시된 후, 감정 강도가 0% 인 중립적 얼굴 표현이 500ms 동안 나타났다. 이후 2% 씩의 더 높은 감정적 강도의 얼굴 표현이 500 ms 간격으로 나타났으며, 그 동안 참여자들은 얼굴 표현에서 감정의 존재를 검출하였을 때, 컴퓨터 키보드 상 스페이스 바를 눌러 반응함으로써 얼굴몰핑이 중단되고, 참여자들은 숫자 키 0. 1, 2, 또는 3을 각각 이용하여 인식한 슬픔, 공포, 분노 또는 행복 감정 중의 하나를 인식하고 과제가 종료되었다(도 2).
7. 정신적 평가(Psychological measures)
모든 참여자들의 식이 정신 병리(eating psychopathology)의 정도(체중, 체형, 식이 염려 및 식습관 억제)는 섭식장애검사 자기보고설문지 (Eating Disorder Examination Questionnaire, EDE-Q) 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우울과 불안은 각각 Beck Depression Inventory Depression(BDI; (Beck et al., 1961)와 Spielberger State 및 Trait Anxiety Inventory (STAI) (Spielberger et al., 1983)의 한국어판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IQ는 웩슬러 지능 검사 (Wechsler Adult Intelligence Scale)의 Ward 7-subtest short form의 한국어 버젼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8. 과정
각 참여자들은 테스트를 위해 실험실을 2회 방문하였다: 플라시보 조건과 옥시토신 조건 각 한번 씩. 참여자와 본 발명자 모두는 당일 어떤 약물을 약물 분배받는지 알지 못했다. 각 참여자에게 플라시보 또는 옥시토신을 투여하기 위한 순서는 실험에 참여하지 않은 프로젝트 책임자에 의해 Microsoft Excel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무작위로(1:1) 결정하였다 : (1) RAND 기능을 사용하여 0 및 1 사이의 임의의 숫자를 생성시킴, (2) 생성된 숫자가 0.5보다 작으면, 참여자는 플라시보 1점을 받고, 그리고 (3) 생성된 숫자가 0.5보다 같거나 크면, 옥시토신 1점을 받음.
실험은 서울 백병원의 면담실에서 14:30에 진행되었다. 참여자들에게는 테스트 당일 알코올 또는 카페인을 삼가토록 했고 테스트 전 2 시간동안 물 외에 음식 및 음료를 삼가하도록 지시하였다.
면담실에 도착하자마자 참여자들은, 복부, 신경, 피부, 심장 증상을 포함하는 신체적 이상 여부에 대한 평가(baseline measures)를 완료하였다. 옥시토신 또는 플라시보를 비강 내에 투여한 후, 45분 동안 참여자들은 정신적 상태를 평가하는 설문지를 완료하였으며, 이후 신경인지검사를 수행하였다.
약물 투여 90분 후, 참여자들의 애플 주스 섭취량을 평가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약물부작용을 평가하였다. 실험을 종료한 당일 참여자들에게는 24시간 동안의 식사일지를 작성하게 하였으며, 스마트 폰을 통해 다음 날 수거하였다. 다음 방문시에 무작위 배정에 따라 투여 약물만을 다르게 하고 동일한 과정을 반복하였다.
9. 통계학적 분석
그룹 간(AN, BN, 대조군) 플라시보 조건의 기준치에서의 차이를 검토하기 위해, 주스 섭취, 24시간 동안 소모된 칼로리, 및 감정적 인지에 대한 민감도의 양에 대해 one-way ANOVA를 시행하였다.
음식 섭취 결과에 대해, 2원(two-way) 2 (약물: 옥시토신, 플라시보) × 3 (그룹: AN, BN, 및 대조군) 반복-측정 ANOVA를 통해 상기 그룹들 간을 고려하고 비교하였다. 감정적 자극에 대한 반응들은, 3원(three way) 2 (약물: 옥시토신, 플라시보) × 3 (그룹: AN, BN, 대조군) × 4 (감정: 슬픔, 공포, 분노, 행복) 반복 측정 변량 분석법(ANOVAs)을 통해 조사하였다.
Post-hoc 쌍대 비교 또는 단순 주 효과 분석을 수행하여 유의미한 주 효과 또는 상호작용 효과를 확인하였다. 그러한 데이터를 평균 및 효과 크기(effect size, ES)로서 표시하였다 [Cohen's d for t-tests; partial eta squared (Δη2) for ANOVA].
Cohen's d를 사용한 효과 크기는 다음을 기준으로 하였다: 사소한 (= 0 and < 0.15), 작은(≥ 0.15 and < 0.40), 보통의(≥ 0.40 and < 0.75), 큰(≥ 0.75 and < 1.10), 매우 큰(≥ 1.10 and < 1.45) 거대한(> 1.45). Δη2 을 사용한 효과 크기는 다음을 기준으로 하였다: 작은(<0.01), 보통(<0.059), 큰(<0.138).
P-values < 0.05를 유의미한 것으로 간주하였으며, 양측 검증(two-tailed tests)을 이용하였다. 통계적 분석은 SPSS 19.0 (IBM Inc., Chicago, IL, USA) 을 이용했다.
실시예 1: 인구학 및 임상적 특성
참여자들의 인구학적 및 그룹 특성들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연령 (p=0.754) 및 IQ 수준 (p=0.243)은 그룹 간 차이가 없었다. 시작 평균 연령 (p=0.957) 및 질환의 평균 기간(p=0.243)도 AN 환자 및 BN 환자 사이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AN 환자 및 BN 환자는 대조군보다 더 높은 수준의 우울 및 불안을 보였다[all p<0.001, BN=AN>HC in post hoc Tukey]. 섭식 정신 병리는 그룹 간 다르게 나타났다[all p<0.001: in post hoc Tukey, 글로벌 점수 및 식이 관련 점수 BN>AN>HC, 체형 및 체중 관련 점수 BN>AN=HC, 식이제한 관련 점수에서 AN=BN>HC].
<표 1>
Figure pat00001

실시예 2 : 플라시보 조건에서 기준치 측정
주스 섭취의 양은 플라시보 조건에서 그룹 간 현저하게 상이하였다 [F(2,99)=8.738, p<0.01; Δη2=0.150] (표 2). post hoc 테스트 결과 AN [p<0.001] 및 BN [p=0.030] 환자 모두 대조군보다 적은 양의 주스를 마셨음을 보여준다.
24시간 동안 그룹 간 칼로리 섭취양도 현저한 차이를 나타냈다 [F(2,99)=6.581, p=0.002, Δη2=0.120] (표 2). post hoc 테스트는 BN 환자가 24시간 동안 AN 환자보다 더 많은 칼로리를 섭취하는 것을 보여주었다 (p=0.001 in AN vs BN; p=0.372 in AN vs HC; p=0.082 in BN vs HC).
민감도 분석은 얼굴 표현을 정확하게 확인되는 시점으로 한정하였다. 이원(two-way) 그룹 × 표현형(expression type) ANOVA을, 플라시보 조건에 대한 감정적 인지의 역치 상에서 수행하였다. 전반적 감정적 인지에 대한 민감도는 그룹 간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F(2,99)=0.662, p=0.518, Δη2=0.013].
그룹 간 감정적 인지의 민감도 상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지만 [F(3,97)=171.584, p<0.001, Δη2=0.844], 그룹 및 표정의 종류 사이의 상호작용은 존재하지 않았다 [F(6,196)=1.439, p=0.199, Δη2=0.029]. post hoc 테스트에서, 일반적으로 참여자들은 행복한 얼굴을 확인하는 것에 더 민감하였고 분노 얼굴을 확인하는데 덜 민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 2>
Figure pat00002

실시예 3 : 옥시토신 투여 후 주스 섭취의 즉각적 완료 행동(Immediate consummatory behavior)
표 2는 옥시토신 또는 플라시보 투여 후 주스 섭취를 나타냈다. 주스 섭취의 즉각적 양에 대한 옥시토신의 영향 분석은 약물[F(1,99)=4.469, p=0.037, Δη2=0.043] 및 그룹[F(2,99)=11.600, p<0.001, Δη2=0.190] 의 주 효과가 유의미함을 가리킨다. post-hoc 분석은 옥시토신이, 특히 대조군(d = 0.246) 및 BN 환자(d = 0.210)에서 주스 섭취 양을 증가시키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실시예 4 : 옥시토신 조건에서 24-시간 칼로리 섭취
상기 표 2 는 옥시토신 또는 플라시보 투여 후 24시간 기간 동안의 칼로리 섭취를 보여준다. 24시간 동안 소비된 칼로리에 대한 그룹X약물 간 상호작용은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다[F(2,99)=4.736, p=0.011, Δη2=0.089]. 온건한 크기로 주요한 효과가 그룹[F(2,99)=3.099, p=0.050, Δη2=0.060] 및 약물 [F(1,99)=2.835, p=0.095, Δη2=0.028]에 대해 관찰되었다. BN 환자는 옥시토신 투여 후 온건한 효과크기로 칼로리 섭취가 감소했다 (p=0.016, d=0.482). 대조군에서도 작은 효과크기로 감소했다 (p=0.384, d=0.155). 대조적으로, AN 환자의 경우는 작은 효과크기의 칼로리 섭취 증가가 있었다 (p=0.145, d=-0.203).
실시예 5 : 옥시토신 조건에서 감정적 인지(of emotional recognition) 의 민감도
옥시토신 조건에서 얼굴 감정 확인에 대한 역치를 표 3에 기재하였다.
<표 3>
Figure pat00003
3원(three-way) 2 (약물: 옥시토신, 플라시보) × 3 (그룹: AN, BN, 대조군) × 4 (감정: 슬픔, 공포, 분노, 행복) 반복-측정 ANOVAs는 옥시토신 적용이, 감정종류에 상관없이, 감정 인식의 민감도 수준을 감소시킴을 증명하였고[약물의 주 효과: F(1,99)=5.172, p=0.025, Δη2=0.053], 그룹(p=0.949)이나 약물×감정간 상호작용(p>0.1)은 감정 인식의 민감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참여자들의 상기 감정인식의 역치는 행복 표현에 대해 낮았고, 공포 표현에 대해 온건하였으며, 분노 및 슬픔 표현에 대해 높았다 [감정의 주 효과: F(3,297)=228.824, p<0.001, Δη2=0.883].
옥시토신 조건에서 전체 감정에 대한 민감도는 건강한 여성[t(32)=2.128, p=0.041, d=0.311] 및 BN 환자[t(32)=2.128, p=0.052, d=0.315]에서 작은 효과 크기로 증가되었다 (도 3). post-hoc 분석에서, 옥시토신은 건강한 대조군에서 슬픈 얼굴(d=0.355) 에 대한 민감도를 유의미하게 증가시켰고, BN 환자에서 슬픔(d=0.385) 및 분노(d=0.378) 얼굴에 대한 민감도를 유의미하게 증가시켰다.
이처럼, 본 발명은 옥시토신이 신경성 폭식증(bulimia nervosa, BN) 및 폭식장애(binge eating disorder,BED) 환자의 감정 인식 민감도를 증가시키고 섭취 칼로리를 감소시키는 결과에 관한 것으로, 폭식성 섭식장애 치료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감정 인식 민감도를 증가시키고 섭취 칼로리를 감소시키는 옥시토신을 포함하는, 폭식성 섭식장애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폭식성 섭식장애는 신경성 폭식증(Bulimia nervosa) 또는 폭식장애(Binge eating disord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식성 섭식장애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정 인식 민감도는 슬픔, 분노, 공포 및 행복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이상의 감정에 대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폭식성 섭식장애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정 인식 민감도의 증가는 슬픔 또는 분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식성 섭식장애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비강으로 투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식성 섭식장애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6. 제1항의 조성물을 이용하고 감정 인지 민감도 및 칼로리 소모량을 이용하여 분석하는 방법을 특징으로 하는, 폭식성 섭식장애 평가(cognitive appraisal)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폭식성 섭식장애는 신경성 폭식증(bulimia nervosa) 또는 폭식장애(binge eating disord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50063069A 2015-05-06 2015-05-06 폭식성 섭식장애 조절을 위한 옥시토신의 용도 KR1018153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3069A KR101815348B1 (ko) 2015-05-06 2015-05-06 폭식성 섭식장애 조절을 위한 옥시토신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3069A KR101815348B1 (ko) 2015-05-06 2015-05-06 폭식성 섭식장애 조절을 위한 옥시토신의 용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1210A true KR20160131210A (ko) 2016-11-16
KR101815348B1 KR101815348B1 (ko) 2018-01-08

Family

ID=57540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3069A KR101815348B1 (ko) 2015-05-06 2015-05-06 폭식성 섭식장애 조절을 위한 옥시토신의 용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5348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030524A2 (en) * 2002-10-03 2004-04-15 Pr Pharmaceuticals Treatment of autism and similar disord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5348B1 (ko) 2018-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ummins et al. Treatment of primary sjögren's syndrome with low‐dose human interferon alfa administered by the oromucosal route: Combined phase III results
Dunn-Geier et al. Effect of secretin on children with autism: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KR102315761B1 (ko) 신경계 및 정신 장애의 행동 증상을 치료하는 방법
US7855176B1 (en) Reduced volume formulation of glatiramer acetate and methods of administration
US11918551B2 (en) Methods of treating seizure disorders and Prader-Willi syndrome
CN101460843A (zh) 凝溶胶蛋白治疗多发性硬化和诊断神经疾病的用途
CN109069595A (zh) 标靶医疗性溶酶体酵素融合蛋白质、其相关调配物与用途
US20130302298A1 (en) Treatment and prevention of eczema
US20190134096A1 (en) Hyperimmune colostrum in the modulation and treatment of conditions associated with the mammalian microbiome
KR101815348B1 (ko) 폭식성 섭식장애 조절을 위한 옥시토신의 용도
KR20160138365A (ko) 섭식장애 치료제로써 옥시토신의 용도
Yuda et al. Safety evaluation of high‐dose intake of casein‐derived peptide Met‐Lys‐Pro in healthy adults: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trial
DK2686004T3 (en) COMPOSITION COMPREHENSIVE DIAMINOXIDASE TO USE FOR TREATMENT OR PREVENTION OF FIBROMYALGY OR CHRONIC TIRE SYNDROME
US20170020993A1 (en) Composition comprising diamine oxidase for use in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fibromyalgia or chronic fatigue syndrome
KR20150092582A (ko) 섭식장애 치료제로써 옥시토신의 용도
Schuckit et al. Alcoholism: acute treatment
Salwan et al. Side effects of antidepressants
Vitale et al. A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crossover clinical trial of super blue-green algae in patients with essential blepharospasm or Meige syndrome
Sadighi et al. ADJUNCT ALLOPURINOL TO SODIUM VALPROATE AND HALOPERIDOL IN TREATMENT OF IN-PATIENTS WITH ACUTE BIPOLAR MANIA
US20230126610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deterioration in cognitive function and/or improving cognitive function
Hristova Impaired Neuronal Communication Syndrome (INCS) as Novel Neurological Side Effect to Botulinum Toxin Type A Therapy with 16 Case Reports
Hoffer Schizophrenia: an evolutionary advance
Maccaro Dr. Janet's Guide to Thyroid Health
KR20240110084A (ko) 프라더-윌리 증후군 및 발작 장애들을 치료하는 방법들
Grande, KJ and Hilaire Complications of diabe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