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1179A - 자연자중에 의한 차등상계감압식 유속완화장치 - Google Patents

자연자중에 의한 차등상계감압식 유속완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1179A
KR20160131179A KR1020150062975A KR20150062975A KR20160131179A KR 20160131179 A KR20160131179 A KR 20160131179A KR 1020150062975 A KR1020150062975 A KR 1020150062975A KR 20150062975 A KR20150062975 A KR 20150062975A KR 20160131179 A KR20160131179 A KR 201601311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derwater
flow rate
differential
river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2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성민
Original Assignee
나성민
지앤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성민, 지앤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나성민
Priority to KR1020150062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1179A/ko
Publication of KR20160131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11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02Fixed barr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16Fixed weirs; Superstructures or flash-board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ther Liquid Machine Or Engine Such As Wave Power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연자중에 의한 차등상계감압식 유속완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하천의 하상유동에 의하여 수중보로 인한 생태환경의 단절을 방지하여 친환경적인 하천이 조성되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하천에 감속 하상유동 수중격실로 구성한 자연자중에 의한 차등상계감압식 유속완화장치를 구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천에 감속 하상유동 수중격실로 구성한 자연자중에 의한 차등상계감압식 유속완화장치를 구비함으로써 하천수의 유속이 감속되어 수생생물의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하상 침전물이 발생하지 않아 생태환경이 단절되지 않고 연결된 상태를 유지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연자중에 의한 차등상계감압식 유속완화장치{Flow rate reduction device}
본 발명은 자연자중에 의한 차등상계감압식 유속완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하천에 감속 하상유동 수중격실로 구성된 자연자중에 의한 차등상계감압식 유속완화장치를 구비하여서, 하천수의 자중에 의하여 유속이 완화되고 하천의 하상유동에 의하여 수중보로 인한 생태환경의 단절을 방지하여 친환경적인 하천이 조성되도록 함을 목적을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은 지대 차에 따른 수위 차에 의하여 상류에서 하류로 유동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하천은 일정 수위를 유지하며 지대 차에 따라 상류에서 하류로 유동되는 것이다.
한편, 하천 주변으로 도시가 발전함에 있어 생활 급수를 위하여 하천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보를 설치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설치된 보는 상류 측의 수위를 일정 수위로 유지하여 생활 용수를 취수할 수 있는 수위를 확보하는 것이다.
또한, 하천을 이용한 관광자원의 개발을 위한 유람선의 운행을 위하여도 보를 설치하여서 하천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하천의 수위 유지를 위하여 형성한 보는 어류의 유동을 차단하여 생태환경의 고리가 차단되게 하고, 벌과 같은 퇴적물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하천의 유동에 따라 자연히 형성되는 백사장이 형성되지 않아 인간과 공존하는 하천이 아닌 단순히 물이 저장된 그릇에 불과한 실정이다.
특허공개 제2005-0100341호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하천에 설치된 보가 물의 하상유동을 유발하지 않아 퇴적물을 유발하는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하천에 감속 하상유동 수중격실로 구성한 자연자중에 의한 차등상계감압식 유속완화장치를 구비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천에 감속 하상유동 수중격실로 구성한 자연자중에 의한 차등상계감압식 유속완화장치를 구비함으로써 하천수의 유속이 감속되어 수생생물의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하상 침전물이 발생하지 않아 생태환경이 단절되지 않고 연결된 상태를 유지되는 것이다.
도 1 과 도 2 는 본 발명의 예시도.
도 3 내지 6 는 본 발명을 셧더 댐에 적용한 예시도.
도 7 내지 도 9 는 본 발명을 부력 댐에 적용한 예시도.
도 10은 팬더그래프리프트 승강형 댐의 예시도.
도 11 내지 13 는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할 수 있는 파력수로의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하천에 설치되는 보에 의하여 하천의 생태계 단절을 방지 되도록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하천에 감속 하상유동 수중격실로 구성한 자연자중에 의한 차등상계감압식 유속완화장치(1)를 구비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자연자중에 의한 차등상계감압식 유속완화장치(1)는 하천에 하상이 동일 면으로 연속되며 수중격벽(10)에 의하여 분할형성되는 는 2개 내지 20 개의 감속 하상유동 수중격실(30)을 형성하고, 상기 수중격벽(10)에 하상유동구(20)를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감속 하상유동 수중격실(30)들을 구성하는 수중격벽(10)은 수중보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자연자중에 의한 차등상계감압식 유속완화장치(1)는 하천의 수중보 상류 측에 하천으로 흐름방향으로 감속 하상유동 수중격실(30)이 형성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자연자중에 의한 차등상계감압식 유속완화장치(1)는 하천의 수중보 하류 측에 하천으로 흐름방향으로 감속 하상유동 수중격실(30)이 형성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자연자중에 의한 차등상계감압식 유속완화장치(1)는 하상유동구(20)가 제방측으로 개구되게 형성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각 감속 하상유동 수중격실(30)의 수중격벽(10)에 형성되는 하상유동구(20)는 하천의 하상이 다음 수중격실의 하상과 연속되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동작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천에 감속 하상유동 수중격실로 구성한 자연자중에 의한 차등상계감압식 유속완화장치(1)를 구비하되, 상기 자연자중에 의한 차등상계감압식 유속완화장치(1)는 하천에 하상이 동일 면으로 연속되며 수중격벽(10)에 의하여 분할형성되는 는 2개 내지 20 개의 감속 하상유동 수중격실(30)을 형성하고, 상기 수중격벽(10)에 하상유동구(20)를 형성한 본 발명을 적용하여 실시하게 되면, 최 상측의 수중격벽(10)에 형성된 하상유동구(20)를 통하여 유입된 하천수가 두 번째 수중격벽(10)의 하상유동구(20)의 통수유량에 따른 통수 저항에 따라 최 상측의 수중격실과 두 번째 수중격실 사이에 하천수가 채워지고, 두 번째 하상유동구(20)를 통과한 하천수의 유속은 감속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정이 반복됨에 따라 하천수의 유속이 감속되고 수압이 감압되어 상기 하상유동구(20)를 통하여 수생생물의 유동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자연자중에 의한 차등상계감압식 유속완화장치를 설치한 상태에서 고기가 감속 하상유동 수중격실(30)과 수중격실 사이로 유동할 수 있어 하천의 생태 고리가 연결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하천의 하상을 통하여 하천수의 유동이 이루어져 하천의 하상에 퇴적물의 하상 침전이 발생하지 않아 퇴적물로 인한 하천의 오염이 방지되고 하천의 자정작용이 향상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차등상계감압식 유속완호장치를 셧더댐과 부력승강댐, 팬더그래프리프트 및 파력수로 중 어느 하나에 적용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 : 자연자중에 의한 차등상계감압식 유속완화장치
10 : 수중격벽
20 : 하상유동구
30 : 감속 하상유동 수중격실

Claims (5)

  1. 하천에 감속 하상유동 수중격실로 구성한 자연자중에 의한 차등상계감압식 유속완화장치(1)를 구비하되,
    상기 자연자중에 의한 차등상계감압식 유속완화장치(1)는 하천에 하상이 동일 면으로 연속되며 수중격벽(10)에 의하여 분할형성되는 는 2개 내지 20 개의 감속 하상유동 수중격실(30)을 형성하고, 상기 수중격벽(10)에 하상유동구(20)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자중에 의한 차등상계감압식 유속완화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 하상유동 수중격실(30)들을 구성하는 수중격벽(10)은 수중보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자중에 의한 차등상계감압식 유속완화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연자중에 의한 차등상계감압식 유속완화장치(1)는 하천의 수중보 상류 측에 하천으로 흐름방향으로 감속 하상유동 수중격실(3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자중에 의한 차등상계감압식 유속완화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연자중에 의한 차등상계감압식 유속완화장치(1)는 하천의 수중보 하류 측에 하천으로 흐름방향으로 감속 하상유동 수중격실(3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자중에 의한 차등상계감압식 유속완화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연자중에 의한 차등상계감압식 유속완화장치(1)는 하상유동구(20)가 제방측으로 개구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연자중에 의한 차등상계감압식 유속완화장치.


KR1020150062975A 2015-05-06 2015-05-06 자연자중에 의한 차등상계감압식 유속완화장치 KR201601311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2975A KR20160131179A (ko) 2015-05-06 2015-05-06 자연자중에 의한 차등상계감압식 유속완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2975A KR20160131179A (ko) 2015-05-06 2015-05-06 자연자중에 의한 차등상계감압식 유속완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1179A true KR20160131179A (ko) 2016-11-16

Family

ID=57540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2975A KR20160131179A (ko) 2015-05-06 2015-05-06 자연자중에 의한 차등상계감압식 유속완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3117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1120A (ko) 2019-01-22 2020-07-30 삼화건설환경 주식회사 생태유동로를 갖는 상계감압형 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0341A (ko) 2005-09-26 2005-10-18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친환경 하천 회동식 가동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0341A (ko) 2005-09-26 2005-10-18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친환경 하천 회동식 가동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1120A (ko) 2019-01-22 2020-07-30 삼화건설환경 주식회사 생태유동로를 갖는 상계감압형 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9374B1 (ko) 잠수정용 가변부력 제어장치
KR101596155B1 (ko) 부유식 조류발전 장치
Zhou et al. Influence of skirt radius on performance of circular clarifier with density stratification
CN105298715A (zh) 深水能源发电站、动力站、船舶动力装置及其海上浮城
JP6754752B2 (ja) 潮流発電用浮游体及びこれを利用した発電方法
KR102039782B1 (ko) 조류발전장치용 직접착저식 fd형 케이슨
KR20160131179A (ko) 자연자중에 의한 차등상계감압식 유속완화장치
CN105416521A (zh) 平台月池减阻装置
JP2003268749A (ja) 排水用シールピット
KR101728609B1 (ko) 수리 시설물에서 어류의 이동을 위한 인공어도
AU2016299856A1 (en) A dynamic artificial wave facility for the practice of surfing
JP2008063826A (ja) 水流の運動エネルギー低減方法、水流の運動エネルギー低減装置、被害軽減システム及び湧昇流発生システム
KR20130082012A (ko) 복합형 문풀 저항 저감 구조를 갖는 드릴쉽
KR20170057013A (ko) 제방에 구비되는 유속완화장치
CN110056069A (zh) 一种高压防洪下水道排水系统
KR101762496B1 (ko) 셧더 댐
KR20150001612U (ko) 하상유동형 유속완화장치
KR101187094B1 (ko) 생태유지 기능을 구비하는 래버린스 보
Elkady et al. The alternatives of ballast water system
Yang et al. Study on the Effects of Unsteady Ship to Ship Interaction by CFD method
KR20140136589A (ko) 반잠수 수중익형 부방파제
Madadi Esfad et al.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 of circular jet on sediment flushing in reservoirs
JP5608858B2 (ja) 放水路の分離装置
Chen et al. Study on the hydraulic geometry of the canal section under the action of ship-generated waves and currents
Shao et al. Research on Countermeasure of Safe Navigation of Ship in Tidal Rea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