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0729A - 사용자 친밀도 기반의 주소록 생성을 위한 시스템, 서버 장치, 단말 장치, 기록매체 및 사용자 친밀도 기반의 주소록 생성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친밀도 기반의 주소록 생성을 위한 시스템, 서버 장치, 단말 장치, 기록매체 및 사용자 친밀도 기반의 주소록 생성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0729A
KR20160130729A KR1020160145104A KR20160145104A KR20160130729A KR 20160130729 A KR20160130729 A KR 20160130729A KR 1020160145104 A KR1020160145104 A KR 1020160145104A KR 20160145104 A KR20160145104 A KR 20160145104A KR 20160130729 A KR20160130729 A KR 201601307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ress book
user
information
contact
intima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5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기원
이은복
황인성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45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0729A/ko
Publication of KR201601307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072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87Arrangements for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s, e.g. recorded voice services or time announcements
    • H04M3/493Interactive information services, e.g. directory enquiries ; Arrangements therefor, e.g. interactive voice response [IVR] systems or voice portals
    • H04M3/4931Directory assistanc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1Collaborative creation, e.g. joint development of products or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7Computer-aided management of electronic mailing [e-mai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30Managing network names, e.g. use of aliases or nicknames
    • H04L61/3015Name registration, generation or assign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H04W4/022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with dynamic range vari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단말 장치로부터 제공받은 다양한 통신 기록, 각 연락처간의 연계도 및 각 연락처에 대응되는 사용자들의 위치 정보를 기초하여 사용자와 각 연락처간 친밀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친밀도를 이용하여 소셜 주소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사용자 친밀도 기반의 주소록 생성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친밀도 기반의 주소록 생성을 위한 서버 장치는 단말 장치로부터 주소록 정보를 제공받고,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의 시간대별 위치 정보 및 주소록 정보 내 각 연락처의 시간대별 위치 정보를 수집하며, 사용자의 시간대별 위치 정보 및 각 연락처의 시간대별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동선의 일치 여부, 사용자의 주소록과 각 연락처의 주소록간의 동일 번호 공유 여부 판단 결과 및 사용자와 각 연락처간의 통화 시간 및 빈도를 이용하여 사용자와 각 연락처의 친밀도를 판단하고, 판단된 친밀도를 기반으로 소셜 주소록 정보를 생성하여 단말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친밀도 기반의 주소록 생성을 위한 시스템, 서버 장치, 단말 장치, 기록매체 및 사용자 친밀도 기반의 주소록 생성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ADDRESS BOOK BASED ON USER RELATIONSHIP AND RECORD MEDIUM}
본 발명은 주소록 생성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말 장치로부터 제공받은 다양한 통신 기록, 각 연락처간의 연계도 및 각 연락처에 대응되는 사용자들의 시간대별 위치 정보를 기초하여 사용자와 각 연락처간 친밀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친밀도를 이용하여 소셜 주소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사용자 친밀도 기반의 주소록 생성을 위한 시스템, 서버 장치, 방법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기록매체와 주소록 내의 연락처와 사용자의 친밀도를 다양한 통신 기록과 사용자 위치 정보를 기초하여 산출한 후 이를 그래프 형태의 소셜 주소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사용자 친밀도 기반의 주소록 생성을 위한 단말 장치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이 증가하면서, 개인의 인간 관계는 휴대용 단말기에 저장된 주소록에 많이 의존하게 된다.
종래 기술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주소록 표시 방법은 연락처, 주소, 이름 및 그룹 정보 등을 가나다순 도는 지정 번호 순 등의 단순 나열식으로만 표현하고 있기 때문에 주소록에 등록된 연락처를 찾기 위한 시간과 노력이 주소록의 정보와 양에 비례하여 커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서, 주소록 데이터에 기록되는 각 레코드에 대해 통신 횟수를 카운트하여 접속 정보 별로 중요도를 매기고, 이에 기초하여 통신 빈도가 높은 사람을 추출하여 해당 사람의 연락처에 대한 바로 가기 아이콘을 휴대용 단말기 바탕화면에 자동으로 생성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은 단순히 통신 횟수에 기초하여 통신 빈도가 높은 연락처의 바로 가기 아이콘을 휴대용 단말기의 바탕 화면에 생성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을 뿐, 연락처와 사용자간의 다양한 통신 기록에 기초하여 연관도를 산출하는 방법은 개시하고 있지 않다.
다른 종래 기술로서, 각 주소록 별 통화 시간 및 통화 횟수를 산출하여 저장하고, 사용자로부터 특정 주소에 대한 검색 요청이 있는 경우에 해당 주소의 일정 기간 동안 누적된 통화 시간 및 통화 횟수를 표시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하지만, 다른 종래 기술 역시 단순히 통화 시간 통화 횟수를 표시해주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을 뿐, 연락처와 사용자간의 다양한 통신 기록에 기초하여 연관도를 산출하는 방법은 개시하고 있지 않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7-0067332호, 2007년 6월 28일 공개 (명칭: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메뉴 표시 방법, 및 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말 장치로부터 제공받은 다양한 통신 기록, 각 연락처간의 연계도 및 각 연락처에 대응되는 사용자들의 위치 정보를 기초하여 사용자와 각 연락처간 친밀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친밀도를 이용하여 소셜 주소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사용자 친밀도 기반의 주소록 생성을 위한 시스템, 서버 장치 및 방법과 이를 실행하기 위한 기록매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주소록 내의 연락처와 사용자의 친밀도를 다양한 통신 기록과 사용자 위치 정보를 기초하여 산출한 후 이를 그래프 형태의 소셜 주소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사용자 친밀도 기반의 주소록 생성을 위한 단말 장치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기록매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친밀도 기반의 주소록 생성 시스템은 사용자와 상기 사용자의 주소록 정보내의 각 연락처 간의 동선의 일치여부 및 상기 사용자의 주소록과 상기 각 연락처간의 주소록 간의 동일 번호 공유 여부 및 상기 사용자와 상기 각 연락처 간의 통화시간 및 통화빈도 수집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와 각 연락처 간의 친밀도를 판단하는 서버장치 및 상기 서버장치에 주소록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서버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와 각 연락처 간의 친밀도 판단 결과를 제공받아 친밀도 판단결과를 기반으로 소셜 주소록 정보를 생성하는 단말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친밀도 기반의 주소록 생성을 위한 서버 장치는 단말 장치로부터 주소록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단말 장치에 소셜 주소록 정보를 제공하는 입출력부와, 상기 단말장치의 사용자와 상기 단말 장치의 주소록 정보내의 각 연락처 간의 동선의 일치여부 및 상기 사용자의 주소록과 상기 각 연락처간의 주소록 간의 동일 번호 공유 여부 및 상기 사용자와 상기 각 연락처 간의 통화시간 및 통화빈도 수집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와 각 연락처 간의 친밀도를 판단하는 친밀도 판단부와, 상기 친밀도 판단부에서 판단된 친밀도를 기반으로 상기 소셜 주소록 정보를 생성하는 소셜 주소록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친밀도 기반의 주소록 생성을 위한 서버 장치에서 상기 친밀도 판단부는, 상기 사용자의 시간대별 위치 정보 및 각 연락처의 시간대별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동선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와 각 연락처간의 연관도를 산출하는 연관도 산출부와, 상기 사용자의 주소록과 상가 각 연락처의 주소록 간의 동일 번호 공유 여부 판단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와 각 연락처간의 연계도를 산출하는 연계도 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친밀도 판단부는, 상기 사용자와 상기 각 연락처간의 통화 시간 및 빈도를 수집하며, 상기 수집된 통화 시간 및 통화 빈도와 상기 연계도 및 연관도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와 각 연락처의 친밀도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친밀도 기반의 주소록 생성을 위한 서버 장치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의 사용자의 시간대별 위치 정보 및 상기 주소록 정보 내 각 연락처의 시간대별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위치정보 획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친밀도 기반의 주소록 생성을 위한 서버 장치에서 상기 위치 정보 획득부는, 위치 정보 제공 장치에 요청하여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의 시간대별 위치 정보와 상기 주소록 정보 내 각 연락처의 시간대별 위치 정보를 제공받거나, 상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의 단말 장치와 상기 각 연락처에 대응되는 단말 장치 내 위치 수신기를 통해 수집된 시간대별 위치 정보를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친밀도 기반의 주소록 생성을 위한 서버 장치에서 상기 소셜 주소록 생성부는, 상기 사용자와 각 연락처간 상기 친밀도를 연결선으로 한 그래프 형태로 표현된 상기 소셜 주소록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친밀도 기반의 주소록 생성을 위한 서버 장치에서 상기 친밀도 판단부는, 상기 사용자의 시간대별 위치 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주소록 정보 내 각 연락처의 주소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와 상기 각 연락처간의 관계도를 산출하는 관계도 산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셜 주소록 생성부는, 상기 관계도, 연관도 및 연계도와 상기 수집된 통화 시간 및 빈도를 기반으로 상기 소셜 주소록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친밀도 기반의 주소록 생성을 위한 단말 장치는 주소록 내 각 연락처의 주소록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와, 기 설정된 시간 동안의 사용자의 시간대별 위치 정보와 상기 주소록 내 각 연락처의 시간대별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위치 정보 수집부와, 상기 사용자와 상기 주소록 정보내의 각 연락처 간의 동선의 일치여부 및 상기 사용자의 주소록과 상기 각 연락처의 주소록 간의 동일 번호 공유 여부 및 상기 사용자와 상기 각 연락처 간의 통화시간 및 통화빈도 수집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와 각 연락처 간의 친밀도를 산출하는 친밀도 산출부와, 상기 친밀도 산출부에서 산출한 친밀도를 기반으로 소셜 주소록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친밀도 기반의 주소록 생성을 위한 단말 장치에서 상기 친밀도 판단부는 상기 사용자의 시간대별 위치정보와 상기 각 연락처의 시간대별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동선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와 상기 각 연락처간의 연관도를 분석하고, 상기 사용자의 주소록과 상기 주소록 내 각 연락처의 주소록 정보간의 동일 번호 공유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와 상기 각 연락처간의 연계도를 분석하며, 상기 친밀도 판단부는 상기 통화 시간 및 통화 빈도 수집 결과 및 상기 분석한 연계도 및 연관도를 이용하여 상기 친밀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친밀도 기반의 주소록 생성을 위한 단말 장치에서 상기 위치 정보 획득부는 위치 정보 제공 장치에 요청하여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의 시간대별 위치 정보와 상기 주소록 정보 내 각 연락처의 시간대별 위치 정보를 제공받거나, 상기 사용자의 단말 장치와 상기 각 연락처에 대응되는 단말 장치 내 위치 수신기를 이용하여 상기 기 설정된 시간 동안의 상기 사용자의 시간대별 위치 정보와 상기 각 연락처의 시간대별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친밀도 기반의 주소록 생성을 위한 단말 장치는 주소록 내 각 연락처에 대한 주소록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와, 기 설정된 시간 동안의 사용자 시간대별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위치 정보 수집부와, 상기 주소록 정보와 상기 시간대별 위치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서버에 상기 사용자와 상기 주소록 내 각 연락처간의 친밀도 정보를 요청하는 친밀도 정보 요청부와,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친밀도 정보에 의거하여 소셜 주소록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친밀도 기반의 주소록 생성을 위한 단말 장치에서 상기 위치 정보 수집부는, 위치 정보 제공 장치에 요청하여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의 시간대별 위치 정보와 상기 주소록 정보 내 각 연락처의 시간대별 위치 정보를 제공받거나, 상기 사용자의 단말 장치와 상기 각 연락처에 대응되는 단말 장치 내 위치 수신기를 이용하여 상기 기 설정된 시간 동안의 상기 사용자의 시간대별 위치 정보와 상기 각 연락처의 시간대별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 장치에서 사용자 친밀도 기반의 주소록을 생성하는 방법은 단말 장치로부터 주소록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와, 상기 단말장치의 사용자와 상기 단말 장치의 주소록 정보내의 각 연락처 간의 동선의 일치여부 및 상기 사용자의 주소록과 상기 각 연락처간의 주소록 간의 동일 번호 공유 여부 및 상기 사용자와 상기 각 연락처 간의 통화시간 및 통화빈도 수집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와 각 연락처 간의 친밀도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친밀도 판단부에서 판단된 친밀도를 기반으로 상기 소셜 주소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소록 생성 방법은 단말 장치로부터 주소록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단말장치의 사용자와 상기 단말 장치의 주소록 정보내의 각 연락처 간의 동선의 일치여부 및 상기 사용자의 주소록과 상기 각 연락처간의 주소록 간의 동일 번호 공유 여부 및 상기 사용자와 상기 각 연락처 간의 통화시간 및 통화빈도 수집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와 각 연락처 간의 친밀도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친밀도를 기반으로 상기 소셜 주소록 정보를 생성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서버 장치의 기록 매체에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소록 생성 방법은 주소록 내 각 연락처의 주소록 정보를 수집하고, 기 설정된 시간 동안의 사용자의 시간대별 위치 정보와 상기 주소록 내 각 연락처의 시간대별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사용자의 시간대별 위치 정보와 상기 각 연락처의 시간대별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동선의 위치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와 상기 각 연락처간의 연관도를 분석하고, 상기 사용자와 상기 주소록 내 각 연락처간 통화 시간 및 빈도와 상기 연관도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와 각 연락처간 친밀도를 산출한 후 이를 기반으로 소셜 주소록 정보를 생성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의 기록매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소록 생성 방법은 주소록 내 각 연락처에 대한 주소록 정보를 수집하고, 기 설정된 시간 동안의 사용자 시간대별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주소록 정보와 상기 시간대별 위치 정보를 서버에 송부하고, 상기 서버에 상기 사용자와 상기 주소록 내 각 연락처간의 친밀도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친밀도 정보를 기반으로 소셜 주소록 정보를 생성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의 기록매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단말 장치로부터 제공받은 다양한 통신 기록, 각 연락처간의 연계도 및 각 연락처에 대응되는 사용자들의 위치 정보를 기초하여 사용자와 각 연락처간 친밀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친밀도를 이용하여 소셜 주소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사용자 친밀도 기반의 주소록 생성을 위한 서버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소셜 주소록 정보를 통해 자신과 연락처 내 타인과의 관계를 한눈에 알아 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소록 내의 연락처와 사용자의 친밀도를 다양한 통신 기록과 사용자 위치 정보를 기초하여 산출한 후 이를 그래프 형태의 소셜 주소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사용자 친밀도 기반의 주소록 생성을 위한 단말 장치 및 이를 실행하기 위한 기록매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더 많은 통신을 시도하는 사람을 쉽게 구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친밀도 기반의 주소록 생성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생성된 사용자 친밀도 기반의 소셜 주소록 정보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소록 생성을 위한 단말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주소록 생성을 위한 단말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소록 생성 장치가 소셜 주소록 정보를 생성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친밀도 기반의 주소록 생성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친밀도 기반의 주소록 생성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단말 장치(100)는 넷북, 노트북, 컴퓨터, 스마트 폰 등과 같이 사용자의 입력을 통해 주소록 데이터를 생성 및 관리할 수 있는 단말기를 의미하며, 통신망(150)을 통해 주소록 생성을 위한 서버 장치(200)와 연동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원을 공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 장치(100)는 연락처 관련 정보를 통신망(150)을 통해 연결된 주소록 생성을 위한 서버 장치(200)에 제공하며, 연락처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주소록 생성을 위한 서버 장치(200)에서 생성된 소셜 주소록 정보를 제공받은 후 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연락처 관련 정보는 각 연락처별 통화 빈도, 통화 시간 등을 들 수 있으며, 소셜 주소록 정보는 사용자와 각 연락처간 친밀도가 디스플레이된 그래프 형태일 수 있다.
단말 장치(100)는 주소록 생성을 위한 서버 장치(200)의 요청에 따라 사용자의 시간대별 위치 정보를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수집한 후 이를 주소록 생성을 위한 서버 장치(200)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의 시간대별 위치 정보는 단말 장치(100) 내 이동 수신기인 GPS 모듈(미도시됨)을 통해 수집될 수 있다.
한편, 단말 장치(100)는 주소록 생성을 위한 서버 장치(200)에 주소록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주소록 생성을 위한 서버 장치(200)로부터 사용자와 각 연락처간의 친밀도 판단 결과를 제공받은 후 이를 기반으로 소셜 주소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주소록 생성을 위한 서버 장치(200)는 통신망(150)을 통해 단말 장치(100) 및 위치 정보 제공 장치(300)와 연결될 수 있으며, 단말 장치(100)로부터 제공받은 연락처 관련 정보와 위치 정보 제공 장치(300)로부터 제공받은 사용자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와 각 연락처간 친밀도를 지표화한 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소록 생성을 위한 서버 장치(200)는 오픈 API 기반으로 소셜 주소록 정보를 생성 및 관리할 수 있는데, 즉 사용자와 사용자의 주소록 정보 내 각 연락처 간의 동선의 일치 여부 및 사용자의 주소록과 각 연락처의 주소록간의 동일 번호 공유 여부 및 사용자와 각 연락처간의 통화 시간 및 통화 빈도 수집 결과를 기반으로 사용자와 각 연락처간의 친밀도를 판단하여 단말 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오픈 API는 다양한 프로그램 언어로 코딩할 수 있도록 라이브러리를 제공할 수 있으며, 그 예로서 자바스크립트 또는 URL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주소록 생성을 위한 서버 장치(200)는 입출력부(210), 위치 정보 획득부(215), 친밀도 판단부(220), 소셜 주소록 생성부(230), 제 1 데이터베이스(240) 및 제 2 데이터베이스(245)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친밀도 판단부(220)는 관계도 산출부(221), 연관도 산출부(222), 연계도 산출부(22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210)는 단말 장치(100)로부터 주소록 정보와 연락처 관련 정보를 제공받고, 연락처 관련 정보와 사용자의 시간대별 위치 정보 및 주소록 정보 내 각 연락처의 시간대별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소셜 주소록 정보를 단말 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입출력부(210)는 단말 장치(100)로부터 주소록 정보를 제공받아 제 1 데이터베이스(240)에 저장할 수 있다.
위치 정보 획득부(215)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의 시간대별 위치 정보 및 주소록 정보 내 각 연락처의 시간대별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위치 정보 제공 장치(300)로부터 사용자의 시간대별 위치 정보와 각 연락처의 시간대별 위치 정보를 제공받거나, 각 연락처에 대응되는 단말과 사용자의 단말 장치(100)에서 수집된 위치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친밀도 판단부(220)는 단말 장치(100)의 사용자와 단말 장치(100)의 주소록 정보내의 각 연락처 간의 동선의 일치여부 및 사용자의 주소록과 상기 각 연락처의 주소록 간의 동일 번호 공유 여부 및 사용자와 각 연락처 간의 통화시간 및 통화빈도 수집 결과를 기반으로 사용자와 각 연락처 간의 친밀도를 판단할 수 있다.
친밀도 판단부(220)의 관계도 산출부(221)는 사용자의 시간대별 위치 정보와 주소록 정보 내 각 연락처의 주소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와 각 연락처간 관계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렇게 산출된 관계도는 소셜 주소록 생성부(230)에 제공될 수 있다.
연관도 산출부(222)는 주소록 정보 내 각 연락처와 단말 장치(100) 사용자의 시간대별 위치 정보를 비교하여 각 연락처와 사용자간의 연관도를 산출하며, 산출된 연관도를 소셜 주소록 생성부(230)에 제공할 수 있다. 즉, 연관도 산출부(222)는 사용자의 시간대별 위치 정보와 각 연락처의 시간대별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동선의 일치 여부 정도를 판단하여 사용자와 각 연락처간의 연관도를 산출하며, 산출한 연관도를 소셜 주소록 생성부(230)에 제공할 수 있다.
연계도 산출부(223)는 사용자의 주소록 정보와 각 연락처의 주소록을 비교하여 동일 번호 공유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와 각 연락처간의 연계도를 산출하며, 산출한 연계도를 소셜 주소록 생성부(230)에 제공할 수 있다.
소셜 주소록 생성부(230)는 소셜 주소록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오픈 API 함수를 관리하며, 오픈 API 함수의 호출을 통해 소셜 주소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소셜 주소록 생성부(230)는 관계도, 연관도, 연계도 및 연락처 관련 정보를 파라미터로 하여 오픈 API 함수를 호출하여 사용자와 각 연락처간의 친밀도를 산출하며, 산출된 친밀도를 기반으로 소셜 주소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소셜 주소록 정보는 사용자와 각 연락처간의 친밀도를 지표화한 데이터로서, 그 예로서 소셜 그래프를 들 수 있다.
소셜 그래프에 대해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연락처를 선으로 연결한 후 각 연락처간의 친밀도를 기반으로 연결선을 소정 색깔 또는 두께를 부여하는 방식으로 소셜 그래프가 생성될 수 있다. 이렇게 생성된 소셜 주소록 정보는 제 2 데이터베이스(245)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셜 주소록 정보인 소셜 그래프는 입출력부(210)를 통해 사용자의 단말 장치(100)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주소록 생성을 위한 장치는 주소록 생성을 위한 서버 장치(200)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기록매체는 단말 장치(100)로부터 주소록 정보를 제공받고, 단말 장치(100)의 사용자와 단말 장치(100)의 주소록 정보내의 각 연락처 간의 동선의 일치여부 및 사용자의 주소록과 상기 각 연락처의 주소록 간의 동일 번호 공유 여부 및 사용자와 각 연락처 간의 통화시간 및 통화빈도 수집 결과를 기반으로 사용자와 각 연락처 간의 친밀도를 판단하고, 판단된 친밀도를 기반으로 상기 소셜 주소록 정보를 생성하는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정보 제공 장치(300)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그 예로서 이동 통신 시스템의 위치 등록기를 들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통신망(150)을 통해 연결된 별도의 장치, 즉 소셜 주소록 생성을 위한 서버 장치(200)를 통해 사용자의 소셜 주소록 정보가 생성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단말 장치(100)에서 직접 연락처 관련 정보를 수집할 뿐만 아니라 위치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와 연락처간 친밀도를 계산한 후 이를 기반으로 소셜 주소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단말 장치(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집부(132), 위치 정보 수집부(134), 친밀도 산출부(136), 생성부(138) 및 업데이트부(140) 등으로 구성된 주소록 생성 모듈(130)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에서, 주소록 생성 모듈(130)은 단말 장치(100)의 플랫폼, 즉 운영체제(120)와 하드웨어(110) 연동될 수 있으며, 오픈 API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즉, 주소록 생성 모듈(130)은 운영체제(120)의 위치 획득 API를 호출한 후 이를 통해 하드웨어(110) 내 장치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시간 동안의 사용자 위치 정보를 획득하거나, 위치 정보 제공 장치(300)와 연동하기 위한 연결 API의 호출을 통해 위치 정보 제공 장치(300)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동안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사용자 위치 정보와 연락처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친밀도가 표시된 소셜 주소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운영체제(120)는 단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 수단으로서, 그 예로서 심비안, 윈도우 모바일7, 안드로이드, 블랙베리(blackberry) RIM, 애플의 아이폰(iPhone), 팜 webOS, 마애모, 미고, 바다OS 등을 들 수 있다.
단말 장치(100) 내 하드웨어(110)는 다수의 연락처로 구성된 주소록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 매체, 예컨대 메모리, 하드디스크 등과 위치 수신기(미도시됨)인 GPS 모듈, 디스플레이 장치, 키 입력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집부(132)는 주소록 각 연락처에 대한 연락처 관련 정보, 예컨대 각 연락처의 통화 빈도, 시간 등을 수집할 수 있다. 이렇게 수집된 연락처 관련 정보는 소셜 주소록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파라미터로서 생성부(138)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수집부(132)는 주소록 내 각 연락처의 주소록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데, 즉 각 연락처에 대응되는 단말 장치로부터 주소록 정보를 제공받아 친밀도 산출부(136)에 제공할 수 있다.
위치 정보 수집부(134)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의 시간대별 위치 정보와 사용자의 주소록 내 각 연락처 사용자의 시간대별 위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은 운영체제(120)의 위치 측위 API, 즉 단말 장치(100) 내 위치 수신기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시간대별 위치 정보를 수집하거나, 연결 API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 제공 장치(300)로부터 사용자의 시간대별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렇게 수집된 위치 정보는 소셜 주소록 정보 생성에 필요한 관계도를 산출하기 위한 파라미터로서, 친밀도 산출부(136)에 제공될 수 있다.
친밀도 산출부(136)는 사용자의 시간대별 위치 정보와 주소록 내 각 연락처의 주소 정보간의 비교를 통해 사용자와 각 연락처간 관계도를 분석할 수 있는데, 즉 사용자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자주 가는 연락처를 분석하여 사용자와 각 연락처간의 관계도를 산출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시간대별 위치 정보와 각 연락처 사용자의 시간대별 위치 정보간의 비교를 통해 동선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와 각 연락처간의 연관도를 분석할 수 있으며, 각 연락처의 단말로부터 제공받은 주소록 정보와 단말 장치(100)에 저장된 주소록간의 비교를 통해 동일 번호 공유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와 각 연락처간의 연계도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친밀도 산출부(136)는 이러한 분석 결과, 즉 관계도, 연계도, 연관도를 기반으로 사용자와 각 연락처간의 친밀도를 산출할 수 있다. 즉, 친밀도 산출부(136)는 관계도, 연관도, 연계도 및 연락처 관련 정보를 파라미터로 하여 주소록 생성용 API를 호출하여 사용자와 각 연락처간 친밀도를 산출한 후 이를 생성부(138)에 제공할 수 있다.
생성부(138)는 친밀도 산출부(136)로부터 제공받은 친밀도를 기반으로 소셜 주소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소셜 주소록 정보는 사용자와 각 연락처간의 친밀도를 나타내는 연결선을 생성한 후 생성된 연결선을 이용하여 사용자와 각 연락처를 도시한 그래프 형태일 수 있다. 여기에서, 친밀도 정도는 연결선의 색 또는 두께로 표시될 수 있다.
업데이트부(140)는 기 설정된 시간을 주기로 수집부(132), 위치 정보 수집부(134) 및 친밀도 산출부(136)를 이용하여 연락처 관련 정보를 수집함과 더불어 관계도, 연계도, 연관도 등의 산출을 통해 소셜 주소록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단말 장치(100)에서 연계도, 연관도, 관계도, 연락처 관련 정보 등을 수집하고, 이를 분석하여 소셜 주소록 정보를 생성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다른 실시 예로서 주소록 내 각 연락처의 주소록 정보 수집, 위치 정보 수집 등을 수행한 후 이를 이용하여 주소록 생성을 위한 서버 장치(200)에 친밀도 정보를 요청할 수 있으며, 친밀도 정보 요청에 따라 주소록 생성을 위한 서버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친밀도 정보에 의거하여 소셜 주소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를 위하여 단말 장치(100)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의 친밀도 산출부(136) 대신에 주소록 정보와 시간대별 위치 정보를 주소록 생성을 위한 서버 장치(200)에 전송하여 친밀도 정보를 요청할 수 있는 친밀도 정보 요청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주소록 생성 모듈(130)은 단말 장치(100)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는데, 즉, 기록매체에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의 각 연락처의 시간대별 위치 정보와 사용자의 시간대별 위치 정보 및 연락처 관련 정보를 수집하고, 시간대별 위치 정보와 연락처 관련 정보를 기반으로 친밀도를 분석한 후 친밀도를 이용하여 소셜 주소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명령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기록매체에는 위치 정보 제공 장치(300) 및 각 연락처의 단말 장치와 연동하여 시간대별 위치 정보 및 주소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명령어, 사용자 시간대별 위치 정보와 주소록 내 각 연락처의 주소 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와 각 연락처간의 관계를 산출할 수 있는 명령어, 단말 장치(100)의 사용자 시간대별 위치 정보 및 각 연락처의 시간대별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각 연락처와 사용자간의 연관도를 산출할 수 있는 명령어, 단말 장치(100)에 저장된 주소록과 획득한 주소록 정보간의 비교를 통해 연락처간의 연계도를 산출할 수 있는 명령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주소록 생성 모듈(130)은 주소록 내 각 연락처의 주소록 정보 수집, 위치 정보 수집 등을 수행한 후 이를 이용하여 주소록 생성을 위한 서버 장치(200)에 친밀도 정보를 요청할 수 있으며, 친밀도 정보 요청에 따라 주소록 생성을 위한 서버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친밀도 정보에 의거하여 소셜 주소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단말 장치(100)의 기록매체에는 주소록 내 각 연락처에 대한 주소록 정보를 수집하고, 기 설정된 시간 동안의 사용자 시간대별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주소록 정보와 시간대별 위치 정보를 주소록 생성을 위한 서버 장치(200)에 송부하고, 주소록 생성을 위한 서버 장치(200)로부터 사용자와 주소록 내 각 연락처간의 친밀도 정보를 요청하고, 주소록 생성을 위한 서버 장치(200)로부터 수신한 친밀도 정보를 기반으로 소셜 주소록 정보를 생성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주소록 생성 시스템이 동작하여 소셜 주소록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에 대해 도 5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주소록 생성 장치가 소셜 주소록 정보를 생성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소록 생성을 위한 서버 장치(200)는 입출력부(210)를 통해 다수의 단말 장치(100)로부터 주소록 내 각 연락처의 통화 빈도, 시간 등의 연락처 관련 정보와 주소록 정보를 제공받아 수집하며(S400), 위치 정보 획득부(215)는 통신망(150)을 통해 연결된 위치 정보 제공 장치(300)에 기 설정된 시간 동안의 사용자의 시간대별 위치 정보와 사용자의 주소록 정보 내 각 연락처 의 시간대별 위치 정보를 요청하여 수집한다(S402).
그런 다음, 관계도 산출부(221)는 사용자의 시간대별 위치 정보와 주소록 정보 내 각 연락처의 주소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가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자주 이동하는 연락처와 그 빈도를 산출함으로써, 사용자와 각 연락처간의 관계도를 산출한다(S404).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관계도 산출을 위한 사용자의 시간대별 위치 정보를 위치 정보 제공 장치(300)로부터 획득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사용자의 시간대별 위치 정보를 임의의 단말 장치(100)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즉, 임의의 단말 장치(100)는 자신의 위치 수신기(미도시됨)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수집된 사용자의 시간대별 위치 정보를 주소록 생성을 위한 서버 장치(200)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연관도 산출부(222)는 사용자의 시간대별 위치 정보와 각 연락처의 시간대별 위치 정보간의 비교를 통해 동선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각 연락처와 사용자간의 연관도를 산출(S406)하며, 산출된 연관도를 소셜 주소록 생성부(230)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연계도 산출부(223)는 사용자의 주소록 정보와 각 연락처의 주소록 정보를 비교하여 동일 번호 공유 여부를 판단하여 사용자와 각 연락처간의 연계도를 산출(S408)한 후 이를 소셜 주소록 생성부(230)에 제공할 수 있다.
이후, 주소록 생성을 위한 서버 장치(200)의 소셜 주소록 생성부(230)는 관계도, 연관도, 연계도 및 연락처 관련 정보를 파라미터로 하여 API 함수를 호출하며, 호출된 API 함수를 이용하여 요청자와 각 지인의 친밀도를 산출한다(S410). 친밀도를 산출하는 방법의 예로는 관계도에 소정의 가중치를 부여하고, 연락처 관련 정보 중 통화 빈도, 시간 등에 가중치를 부여한 후 이를 합산하여 친밀도를 산출하는 것을 들 수 있다.
그리고 나서, 소셜 주소록 생성부(230)는 친밀도 정도를 나타내는 연결선을 생성한 후 이를 이용하여 각 연락처와 사용자간을 연결시킨 소셜 주소록 정보를 생성한다(S412). 이렇게 생성된 소셜 주소록 정보는 입출력부(210)를 통해 임의의 단말 장치(100)에 제공될 수 있다. 여기에서, 연결선에는 친밀도 정도에 따라 서로 다른 두께 또는 색깔이 부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단말 장치로부터 제공받은 다양한 통신 기록, 각 연락처간의 연계도 및 각 연락처에 대응되는 사용자들의 위치 정보를 기초하여 사용자와 각 연락처간 친밀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친밀도를 이용하여 소셜 주소록 정보를 생성할 수 있는 사용자 친밀도 기반의 주소록 생성을 위한 서버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자신과 연락처 내 지인과의 관계를 한눈에 알아 볼 수 있는 주소록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와 각 연락처간의 친밀도를 기반으로 생성된 소셜 주소록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보다 다양한 형태로 주소록을 관리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으로 활용될 수 있다.
100 : 단말 장치 150 : 통신망
200 : 주소록 정보 생성을 위한 서버 장치 210 : 입출력부
215 : 위치 정보 획득부 220 : 친밀도 판단부
221 : 관계도 산출부 222 : 연계도 산출부
223 : 연관도 산출부 230 : 소셜 주소록 생성부
240 : 제 1 데이터베이스 245 : 제 2 데이터베이스
300 : 위치 정보 제공 장치

Claims (16)

  1. 사용자와 상기 사용자의 주소록 정보내의 각 연락처 간의 동선의 일치여부 및 상기 사용자의 주소록과 상기 각 연락처간의 주소록 간의 동일 번호 공유 여부 및 상기 사용자와 상기 각 연락처 간의 통화시간 및 통화빈도 수집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와 각 연락처 간의 친밀도를 판단하는 서버장치 및
    상기 서버장치에 주소록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서버장치로부터 상기 사용자와 각 연락처 간의 친밀도 판단 결과를 제공받아 친밀도 판단결과를 기반으로 소셜 주소록 정보를 생성하는 단말장치를 포함하는
    사용자 친밀도 기반의 주소록 생성 시스템.
  2. 단말 장치로부터 주소록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단말 장치에 소셜 주소록 정보를 제공하는 입출력부와,
    상기 단말장치의 사용자와 상기 단말 장치의 주소록 정보내의 각 연락처 간의 동선의 일치여부 및 상기 사용자의 주소록과 상기 각 연락처간의 주소록 간의 동일 번호 공유 여부 및 상기 사용자와 상기 각 연락처 간의 통화시간 및 통화빈도 수집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와 각 연락처 간의 친밀도를 판단하는 친밀도 판단부와,
    상기 친밀도 판단부에서 판단된 친밀도를 기반으로 상기 소셜 주소록 정보를 생성하는 소셜 주소록 생성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친밀도 기반의 주소록 생성을 위한 서버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친밀도 판단부는
    상기 사용자의 시간대별 위치 정보 및 각 연락처의 시간대별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동선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와 각 연락처간의 연관도를 산출하는 연관도 산출부와,
    상기 사용자의 주소록과 상가 각 연락처의 주소록 간의 동일 번호 공유 여부 판단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와 각 연락처간의 연계도를 산출하는 연계도 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친밀도 판단부는, 상기 사용자와 상기 각 연락처간의 통화 시간 및 빈도를 수집하며, 상기 수집된 통화 시간 및 통화 빈도와 상기 연계도 및 연관도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와 각 연락처의 친밀도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친밀도 기반의 주소록 생성을 위한 서버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장치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의 사용자의 시간대별 위치 정보 및 상기 주소록 정보 내 각 연락처의 시간대별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위치정보 획득부를 더 포함하는
    사용자 친밀도 기반의 주소록 생성을 위한 서버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획득부는,
    위치 정보 제공 장치에 요청하여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의 시간대별 위치 정보와 상기 주소록 정보 내 각 연락처의 시간대별 위치 정보를 제공받거나, 상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의 단말 장치와 상기 각 연락처에 대응되는 단말 장치 내 위치 수신기를 통해 수집된 시간대별 위치 정보를 제공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친밀도 기반의 주소록 생성을 위한 서버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셜 주소록 생성부는,
    상기 사용자와 각 연락처간 상기 친밀도를 연결선으로 한 그래프 형태로 표현된 상기 소셜 주소록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친밀도 기반의 주소록 생성을 위한 서버 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친밀도 판단부는,
    상기 사용자의 시간대별 위치 정보와 상기 사용자의 주소록 정보 내 각 연락처의 주소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와 상기 각 연락처간의 관계도를 산출하는 관계도 산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셜 주소록 생성부는, 상기 관계도, 연관도 및 연계도와 상기 수집된 통화 시간 및 빈도를 기반으로 상기 소셜 주소록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친밀도 기반의 주소록 생성을 위한 서버 장치.
  8. 주소록 내 각 연락처의 주소록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와,
    기 설정된 시간 동안의 사용자의 시간대별 위치 정보와 상기 주소록 내 각 연락처의 시간대별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위치 정보 수집부와,
    상기 사용자와 상기 주소록 정보내의 각 연락처 간의 동선의 일치여부 및 상기 사용자의 주소록과 상기 각 연락처의 주소록 간의 동일 번호 공유 여부 및 상기 사용자와 상기 각 연락처 간의 통화시간 및 통화빈도 수집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와 각 연락처 간의 친밀도를 산출하는 친밀도 산출부와,
    상기 친밀도 산출부에서 산출한 친밀도를 기반으로 소셜 주소록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친밀도 기반의 주소록 생성을 위한 단말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친밀도 판단부는
    상기 사용자의 시간대별 위치정보와 상기 각 연락처의 시간대별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동선의 일치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와 상기 각 연락처간의 연관도를 분석하고,
    상기 사용자의 주소록과 상기 주소록 내 각 연락처의 주소록 정보간의 동일 번호 공유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와 상기 각 연락처간의 연계도를 분석하며,
    상기 친밀도 판단부는 상기 통화 시간 및 통화 빈도 수집 결과 및 상기 분석한 연계도 및 연관도를 이용하여 상기 친밀도를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친밀도 기반의 주소록 생성을 위한 단말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획득부는
    위치 정보 제공 장치에 요청하여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의 시간대별 위치 정보와 상기 주소록 정보 내 각 연락처의 시간대별 위치 정보를 제공받거나,
    상기 사용자의 단말 장치와 상기 각 연락처에 대응되는 단말 장치 내 위치 수신기를 이용하여 상기 기 설정된 시간 동안의 상기 사용자의 시간대별 위치 정보와 상기 각 연락처의 시간대별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친밀도 기반의 주소록 생성을 위한 단말 장치.
  11. 주소록 내 각 연락처에 대한 주소록 정보를 수집하는 수집부와,
    기 설정된 시간 동안의 사용자 시간대별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위치 정보 수집부와,
    상기 주소록 정보와 상기 시간대별 위치 정보를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서버에 상기 사용자와 상기 주소록 내 각 연락처간의 친밀도 정보를 요청하는 친밀도 정보 요청부와,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친밀도 정보에 의거하여 소셜 주소록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를 포함하는
    사용자 친밀도 기반의 주소록 생성을 위한 단말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 수집부는,
    위치 정보 제공 장치에 요청하여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사용자의 시간대별 위치 정보와 상기 주소록 정보 내 각 연락처의 시간대별 위치 정보를 제공받거나,
    상기 사용자의 단말 장치와 상기 각 연락처에 대응되는 단말 장치 내 위치 수신기를 이용하여 상기 기 설정된 시간 동안의 상기 사용자의 시간대별 위치 정보와 상기 각 연락처의 시간대별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친밀도 기반의 주소록 생성을 위한 단말 장치.
  13. 단말 장치로부터 주소록 정보를 제공받는 단계와,
    상기 단말장치의 사용자와 상기 단말 장치의 주소록 정보내의 각 연락처 간의 동선의 일치여부 및 상기 사용자의 주소록과 상기 각 연락처간의 주소록 간의 동일 번호 공유 여부 및 상기 사용자와 상기 각 연락처 간의 통화시간 및 통화빈도 수집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와 각 연락처 간의 친밀도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친밀도 판단부에서 판단된 친밀도를 기반으로 상기 소셜 주소록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서버 장치에서 사용자 친밀도 기반의 주소록을 생성하는 방법.
  14. 단말 장치로부터 주소록 정보를 제공받고,
    상기 단말장치의 사용자와 상기 단말 장치의 주소록 정보내의 각 연락처 간의 동선의 일치여부 및 상기 사용자의 주소록과 상기 각 연락처간의 주소록 간의 동일 번호 공유 여부 및 상기 사용자와 상기 각 연락처 간의 통화시간 및 통화빈도 수집 결과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와 각 연락처 간의 친밀도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된 친밀도를 기반으로 상기 소셜 주소록 정보를 생성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서버 장치에서 사용자 친밀도 기반의 주소록 생성을 위한 기록 매체.
  15. 주소록 내 각 연락처의 주소록 정보를 수집하고,
    기 설정된 시간 동안의 사용자의 시간대별 위치 정보와 상기 주소록 내 각 연락처의 시간대별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사용자의 시간대별 위치 정보와 상기 각 연락처의 시간대별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동선의 위치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사용자와 상기 각 연락처간의 연관도를 분석하고,
    상기 사용자와 상기 주소록 내 각 연락처간 통화 시간 및 빈도와 상기 연관도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와 각 연락처간 친밀도를 산출한 후 이를 기반으로 소셜 주소록 정보를 생성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에서 사용자 친밀도 기반의 주소록 생성을 위한 기록매체.
  16. 주소록 내 각 연락처에 대한 주소록 정보를 수집하고,
    기 설정된 시간 동안의 사용자 시간대별 위치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주소록 정보와 상기 시간대별 위치 정보를 서버에 송부하고, 상기 서버에 상기 사용자와 상기 주소록 내 각 연락처간의 친밀도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친밀도 정보를 기반으로 소셜 주소록 정보를 생성하도록 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단말 장치에서 사용자 친밀도 기반의 주소록 생성을 위한 기록매체.
KR1020160145104A 2016-11-02 2016-11-02 사용자 친밀도 기반의 주소록 생성을 위한 시스템, 서버 장치, 단말 장치, 기록매체 및 사용자 친밀도 기반의 주소록 생성 방법 KR2016013072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5104A KR20160130729A (ko) 2016-11-02 2016-11-02 사용자 친밀도 기반의 주소록 생성을 위한 시스템, 서버 장치, 단말 장치, 기록매체 및 사용자 친밀도 기반의 주소록 생성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5104A KR20160130729A (ko) 2016-11-02 2016-11-02 사용자 친밀도 기반의 주소록 생성을 위한 시스템, 서버 장치, 단말 장치, 기록매체 및 사용자 친밀도 기반의 주소록 생성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3108A Division KR101820505B1 (ko) 2011-06-28 2011-06-28 사용자 친밀도 기반의 주소록 생성을 위한 시스템, 서버 장치, 단말 장치, 기록매체 및 사용자 친밀도 기반의 주소록 생성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0729A true KR20160130729A (ko) 2016-11-14

Family

ID=57528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5104A KR20160130729A (ko) 2016-11-02 2016-11-02 사용자 친밀도 기반의 주소록 생성을 위한 시스템, 서버 장치, 단말 장치, 기록매체 및 사용자 친밀도 기반의 주소록 생성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3072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7332A (ko) 2005-12-23 2007-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메뉴 표시 방법, 및 그 방법을구현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7332A (ko) 2005-12-23 2007-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메뉴 표시 방법, 및 그 방법을구현하기 위한 이동통신 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0505B1 (ko) 사용자 친밀도 기반의 주소록 생성을 위한 시스템, 서버 장치, 단말 장치, 기록매체 및 사용자 친밀도 기반의 주소록 생성 방법
CN107924506B (zh) 用于推断用户可用性的方法、系统及计算机存储介质
CN109247070B (zh) 使用能唯一识别且未标记的位置的移动设备上的主动动作
TWI736673B (zh) 來電處理方法、裝置及終端
CN104105064B (zh) 定位设备的方法及装置
US20130132330A1 (en) Management of privacy settings for a user device
CN109644318A (zh) 基于接近度的自适应位置共享
CN107767228A (zh) 应用推荐方法、装置、终端设备及存储介质
CN110019382B (zh) 用户亲密度指数确定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设备
CN105100197B (zh) 安装应用的方法及装置
CN105488348A (zh) 提供健康数据的方法、装置及系统
CN109815416A (zh) 关联信息的推送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11490316B2 (en) Predictive routing based on microlocation
EP2937831A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identifying target terminals and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terminals
CN105488109A (zh) 内容项目排布方法、装置及系统
CN104380768B (zh) 通讯录信息服务系统及用于通讯录信息服务的方法和装置
CN112417318A (zh) 一种兴趣点的状态确定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AU2018101666A4 (en) Proactive actions on mobile device using uniquely-identifiable and unlabeled locations
KR20160046038A (ko) 위치 기반 소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JP2017033569A (ja) インスタントメッセージに基づいてユーザの感情および活動を収集する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160130729A (ko) 사용자 친밀도 기반의 주소록 생성을 위한 시스템, 서버 장치, 단말 장치, 기록매체 및 사용자 친밀도 기반의 주소록 생성 방법
JP6389301B1 (ja) 判定装置、判定方法及び判定プログラム
KR101103896B1 (ko) 단말간 컨텐츠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101391588B1 (ko) 주소록 정보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주소록 정보 서비스를 위한 방법 및 장치
US9503546B2 (en) Method for connecting to one another communicating objects in which user profiles are stored, and communicating object corresponding theret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