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0578A - 언어 특성을 고려한 언어 학습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언어 특성을 고려한 언어 학습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0578A
KR20160130578A KR1020150062484A KR20150062484A KR20160130578A KR 20160130578 A KR20160130578 A KR 20160130578A KR 1020150062484 A KR1020150062484 A KR 1020150062484A KR 20150062484 A KR20150062484 A KR 20150062484A KR 20160130578 A KR20160130578 A KR 201601305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language
pronunciation
unit
test tex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2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훈
Original Assignee
김정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훈 filed Critical 김정훈
Priority to KR1020150062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0578A/ko
Publication of KR201601305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05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언어 구분 정보, 각 언어 구분 정보에 대응하는 표준 발음 정보를 포함하는 언어 데이터와 발음 테스트 텍스트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테스트 텍스트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음성 인식부; 상기 음성 정보를 상기 언어 데어터의 표준 발음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음성 정보의 싱크로율을 산정하고, 싱크로율이 가장 높은 언어 데이터의 언어 구분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추출부로부터 산정되는 싱크로율 중 가장 높은 순위에 해당하는 언어 구분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언어 특성을 고려한 언어 학습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언어 특성을 고려한 언어 학습 장치 및 시스템{APPARATUS AND METHOD FOR STUDYING LANGUAGE BASED ON LANGUAGE CHARACTERISTIC}
본 발명은 학습자의 발음에 대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평가하여, 학습자가 발음 학습에 있어서 흥미를 잃지 않도록 하는, 언어 특성을 고려한 언어 학습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수출 산업이 주요 근간이 되는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 국제화 경향은 필수적인 바가 있다. 이러한 국제화의 추세에 따라 최근에는 외국어 활용에 대한 중요성이 날로 커지고 있으며, 이에 맞추어 많은 사람들이 외국어 학습에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있다. 그러나 외국어 학습을 위하여 별도의 학원을 다니거나 학교를 다니는 것은 바쁜 직장인 생활자들에게 요원한 일이 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혼자서도 효과적으로 외국어를 학습하고, 사용자의 발음에 대한 피드백을 주는 다양한 학습 장치들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학습 장치들은 사용자의 발음이 대부분 표준 발음과의 싱크로율만을 평가한다. 이에 따라, 발음 교정이 어려운 성인의 경우, 발음 학습중 잦은 훼일(failure) 로 인하여 학습 흥미를 잃게 된다.
또한, 언어라고 하는 것은 지역에 따라 사투리, 로컬 언어, 표준 언어 등으로 다양하게 존재하므로 언어 학습중에는, 표준 언어가 아니라 하더라도 충분히 의사소통할 수 있는 발음군이 존재한다. 그런데, 표준 언어만을 기준으로 발음 학습을 하게 되면, 충분히 의사소통이 가능한 사람도 잘못된 발음이라고 판정하게 되어서 필요없는 발음 교정을 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자신의 발음이 어느 지역 사투리와 유사한지를 제공한다면, 사용자에게 발음 학습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29970호 (2010. 03. 18)에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음성 정보와 음운과 발음 강세 등이 서로 상이한 다양한 종류의 언어들(표준 언어, 사투리 지역 언어 등)과 다양하게 비교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자신의 발음이 어느 국가 어느 언어와 매칭되는지 판단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되어, 학습자의 발음 학습의 능률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또한, 학습자가 자신이 원하는 종류의 언어(예컨대 미국식 영어. 또는 영국식 영어)를 선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선택된 언어로 발음을 학습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언어 특성을 고려한 언어 학습 장치는, 복수의 언어 구분 정보, 각 언어 구분 정보에 대응하는 표준 발음 정보를 포함하는 언어 데이터와 발음 테스트 텍스트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테스트 텍스트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음성 인식부; 상기 음성 정보를 상기 언어 데어터의 표준 발음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음성 정보의 싱크로율을 산정하고, 싱크로율이 가장 높은 언어 데이터의 언어 구분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추출부로부터 산정되는 싱크로율 중 가장 높은 순위에 해당하는 언어 구분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싱크로율을 퍼센티지로 각각 연산하고, 각 언어 구분 정보에 대응되게 상기 퍼센티지를 상기 언어 구분 정보와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학습 장치는, 상기 복수의 언어 구분 정보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언어 구분 정보의 싱크로율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추출부는, 상기 음성 정보와 강세와 음운을 비교하여 상기 싱크로율을 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음 테스트 텍스트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상태에서, 이에 대응하는 음성 정보를 상기 음성 인식부를 통해 입력받으면, 상기 추출부를 제어하여 입력된 음성 정보와 상기 발음 테스트 텍스트 정보에 대응하는 복수의 발음 정보를 비교하여 싱크로율을 산정하고, 싱크로율이 가장 높은 언어 구분 정보와 그 싱크로율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학습 장치는, 음향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산된 싱크로율이 설정된 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음성 정보 대응하는 발음 테스트 텍스트 정보의 표준 발음 정보 중 설정된 표준 발음 정보를 상기 음향 출력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 정보중 그 싱크로율이 기준값 이하인 음성 정보만을 분류한 후, 분류된 발음 테스트 텍스트 정보를 랜덤하게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메모리부는, 언어 학습 게임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음 테스트 텍스트 데이터를 이용하는 상기 언어 학습 게임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언어 학습 게임 프로그램을 통해 입력된 싱크로율이 설정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상기 언어 학습 게임 프로그램의 다음 단계를 실행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음 테스트 텍스트 데이터에 대해 연산된 싱크로율을 시기별로 분류하여 학습 통계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음 테스트 텍스트 데이터는 학습 레벨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언어 특성을 고려한 언어 학습 장치는, 상기 학습 레벨 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레벨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발음 테스트 텍스트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언어 구분 정보는, 표준 정보, 지역 정보, 국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단말기 및 서버를 포함하는 언어 특성을 기반으로 한 발음 학습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는,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말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 음성 인신부, 단말 통신부, 및 상기 음성 인식부를 통해 상기 음성 정보를 입력하면, 상기 음성 정보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도록 상기 단말 통신부를 제어하는 단말기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서버는, 복수의 언어 구분 정보, 각 언어 구분 정보에 대응하는 표준 발음 정보를 포함하는 언어 데이터와 발음 테스트 텍스트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 메모리부와, 상기 음성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서버 통신부와, 상기 음성 정보를 상기 언어 데어터의 표준 발음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음성 정보의 싱크로율을 산정하고, 싱크로율이 가장 높은 언어 데이터의 언어 구분 정보를 추출하는 서버 추출부와, 상기 서버 추출부로부터 산정되는 싱크로율 중 가장 높은 순위에 해당하는 언어 구분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도록 상기 서버 통신부를 제어하는 서버 제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는 단말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싱크로율을 퍼센티지로 각각 연산하고, 각 언어 구분 정보에 대응되게 상기 퍼센티지를 상기 언어 구분 정보와 함께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단말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발음 테스트 텍스트 정보를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 제어부는, 상기 서버로부터의 상기 발음 테스트 텍스트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음성 인식부를 통해 상기 발음 테스트 텍스트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음성 정보를 입력하면, 입력된 음성 정보를 상기 단말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음성 정보와 상기 발음 테스트 텍스트 정보에 해당되는 발음 정보를 비교하여 싱크로율을 퍼센티지로 연산하고, 연산된 퍼센티지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연산된 퍼센티지가 설정된 기준 퍼센티지 이하인 경우에 해당되는 발음 테스트 텍스트 데이터를 분류한 후, 분류된 발음 테스트 텍스트 정보를 랜덤하게 상기 단말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발음 테스트 텍스트 데이터에 대해 연산된 싱크로율을 시기별로 분류하학습 통계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언어 특성을 고려한 언어 학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언어 특성을 고려한 언어 학습 장치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인 언어 특성을 고려한 언어 학습 장치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언어 특성을 기반으로 한 발음 학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언어 특성을 기반으로 한 언어 학습 장치 및 시스템이 지문을 이용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언어 특성을 기반으로 한 언어 학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언어 특성을 기반으로 한 언어 학습 장치(100)는 음성 인식부(110), 음향 출력부(120), 통신부(130), 디스플레이부(140), 지문 센서(150), 메모리부(160), 추출부(17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한다.
음성 인식부(110)는 오디오 입력부(미도시)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인식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음성 인식부를 통해 학습자(사용자)의 음성 정보가 입력되게 된다.
음향 출력부(120)는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구성요소로서, 본 발명에서는 학습자가 원하는 종류의 언어가 음성 출력된다. 또한,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사용자가 원하는 종류의 음성의 표준 음성이 음향 출력부(120)를 통해 출력된다.
통신부(130)는 유선 및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타 장치로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후술하는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0)는 언어 특성을 기반으로 한 언어 학습 장치(100)를 이용하기 위한 텍스트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0)는 터치 센서를 포함하여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사용자 입력부에 해당)는 터치되는 위치 및 면적 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가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지문 센서(150)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할 수 있다. 지문 센서부(150)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기 위하여 프리즘이나 홀로그램과 같은 광학렌즈를 이용하는 광학방식의 스캐너와, CMOS 소자 등과 같은 반도체 소자를 이용한 비광학방식의 지문센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들 광학방식의 스캐너 또는 비광학방식의 지문센서는 사용자의 지문을 스캔하여 소정형태(고정 이미지, 동영상)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지문 센서부(150)가 획득한 지문의 영상은 지문의 접촉 상태에 따라 지문영역 이외에 여백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지문 센서부(150)는 슬라이드 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지문 센서부(150)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움직이는 손가락의 지문을 센싱하여 단편적인 지문 영상들을 읽어들인 후, 이 단편 지문 영상을 하나의 영상으로 정합하여 온전한 지문 영상을 구현하는 방식으로 지문 인식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지문 센서부(150)는 특정 방식의 센서부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센서부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복수의 언어 구분 정보, 각 언어 구분 정보에 대응하는 표준 발음 정보를 포함하는 언어 데이터와 발음 테스트 텍스트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예를 들면, 메모리부(160)는 영어인 경우, 미국-영어 DB, 영국-영어 DB, 한국 - 영어 DB, 필리핀 - 영어 DB일 수 있고, 한국어인 경우, 한국 - 한국어 - 서울 DB, 한국 - 한국어 - 경상도 DB, 한국 - 한국어 - 전라도 DB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언어 특성을 기반으로 한 언어 학습 장치(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부(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추출부(170)는 사용자가 음성 인식부(110)를 통해 음성 정보를 입력하면, 상기 음성 정보를 상기 언어 데어터의 표준 발음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음성 정보의 싱크로율을 산정하고, 싱크로율이 가장 높은 언어 데이터의 언어 구분 정보를 추출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음성 정보와 상기 표준 발음 정보의 강세과 음운을 비교하여 상기 싱크로율을 산정한다. 표 1을 참조하면, 언어 구분 정보는 국가별, 국가의 지역별 및 언어별 등으로 구별 정보일 수 있다.
언어 국가 국가의 지역 표준어 여부
영어 미국 서부
영어 미국 중부
영어 미국 동부
영어 영국
영어 필리핀
영어 한국
한국어 한국 서울 표준어
한국어 한국 강원도
한국어 한국 경상도
한국어 한국 전라도
한국어 한국 충청도
한국어 한국 제주도
한국어 중국
한국어 일본
한국어 베트남
예를 들면, 입력된 음성 정보가 영어인 경우, 추출부(170)는 입력된 음성 정보와 언어 구분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추출부(170)는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입력된 음성 정보에 매칭되는 언어 구분 정보('영어')를 추출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 않았으나, 본 발명에 따른 언어 특성을 고려한 언어 학습 장치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복수의 언어 구분 정보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제어부(180)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언어 구분 정보의 싱크로율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제어부(180)는 상기 추출부로부터 산정되는 싱크로율 중 가장 높은 순위에 해당하는 언어 구분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기능을 한다. 이 때, 상기 싱크로율을 퍼센티지로 연산하고, 언어 구분 정보에 대응되는 연산된 퍼센티지를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할 수 있다. 즉, 상기 발음 테스트 텍스트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된 상태에서, 이에 대응하는 음성 정보를 상기 음성 인식부를 통해 입력받으면, 상기 추출부를 제어하여 입력된 음성 정보와 상기 발음 테스트 텍스트 정보에 대응하는 복수의 발음 정보를 비교하여 싱크로율을 산정하고, 싱크로율이 가장 높은 언어 구분 정보와 그 싱크로율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싱크로율을 퍼센티지로 각각 연산하고, 각 언어 구분 정보에 대응되게 상기 퍼센티지를 상기 언어 구분 정보와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부(미도시)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된 하나의 언어 구분 정보가 선택되면, 선택된 언어 구분 정보를 학습하기 위한 학습 과정에 진입할 수 있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언어 구분 정보에 대응되는 발음 테스트 텍스트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한 후, 학습자의 음성 입력을 대기하게 된다. 즉, 학습자가, 학습을 위해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된 단어 또는 문장을 소리내어 읽게 되면, 단말기(100)의 음성 인식부(110)에서는, 음성정보와 각 언어 구분 정보에 대응하는 표준 발음 정보와 비교하여 싱크로율을 연산하게 된다. 이 때, 싱크로율이 가장 높은 언어 구분 정보는 학습자의 현재 언어 발음상태를 나타내게 된다.
또한, 메모리에 저장된 모든 언어 구분 정보에 대한 싱크로율이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수 있다. 만약 이 경우, 모든 언어 구분 정보 중 학습자가 하나의 언어 구분 정보를 선택하게 되면 선택된 언어으로의 발음 교정이 진행될 수 있다.
하나예를 들면, 선택된 언어 구분 정보가 미국-영어에 대응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미국-영어에 대응되는 발음 테스트 텍스트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되어서, 미국-영어에 대한 발음 교정 학습이 진행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선택된 언어 구분 정보가 한국-한국어-서울에 대응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한국-한국어-서울에 대응되는 발음 테스트 텍스트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된 상태에서, 서울의 한국어를 학습할 수 있게 된다.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음성 인식부(110)를 통해 발음 테스트 텍스트 정보에 대응되는 음성 정보를 입력하면, 입력된 음성 정보와 발음 테스트 텍스트 정보에 해당되는 발음 정보를 비교하여 싱크로율을 퍼센티지로 연산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연산된 퍼센티지를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자신의 발음이 어느 국가 어느 언어와 매칭되는 지 판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되는 언어 구분 정보의 각 퍼센티지를 통해 각 언어별 매칭 정도도 한번에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학습에 따른 퍼센티지 정보의 변화를 통해 자신의 발음 향상 정도를 즉각적으로 알 수 있다.
제어부(180)는 연산된 싱크로율이 설정된 기준 싱크로율 이하인 경우, 발음 테스트 텍스트 정보의 억양 정보 및, 강세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하고, 발음 테스트 텍스트 정보의 발음 정보를 음향 출력부(12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즉, 상기 연산된 싱크로율이 설정된 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음성 정보 대응하는 발음 테스트 텍스트 정보의 표준 발음 정보 중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설정된 표준 발음 정보를 상기 음향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게 하여 학습자에게 발음 교정의 기회를 부여하게 된다.
제어부(180)는 연산된 싱크로율이 설정된 기준 싱크로율 이하인 경우에 해당되는 발음 테스트 텍스트 정보를 분류한 후, 분류된 발음 테스트 텍스트 정보를 랜덤하게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이 부족한 부분을 반복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제어부(180)는 발음 테스트 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실행되는 게임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게임 프로그램은 스펠링 게임, 롤 플레임 게임, crossword 퍼즐 게임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싱크로율이 설정된 기준 싱크로율 이상인 경우에만, 게임 프로그램의 다음 단계를 실행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게임을 통해 발음 학습을 함으로써, 지속적으로 발음 학습에 흥미를 가질 수 있게 된다.
제어부(180)는 발음 테스트 텍스트 정보에 대해 연산된 싱크로율을 일자별로 분류하여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일자별로 자신이 발음한 발음 테스트 텍스트 정보의 퍼센티지 정보를 한눈에 봄으로써, 발음 향상 정도를 즉각적으로 알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 / 중 / 하 또는 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대학교/일반 등과 같은 학습 레벨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레벨 정보에 대응되는 발음 테스트 텍스트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에게 맞는 레벨의 발음 테스트 텍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발음 학습을 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지문 센서(150)를 통해 입력된 지문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이하의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언어 특성을 기반으로 한 언어 학습 장치는 사용자의 음성 정보와 언어 구분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자신의 발음이 어느 국가 어느 언어와 매칭되는지 판단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학습을 원하는 국가 / 국가의 지역 / 언어에 매칭되는 발음 테스트 텍스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언어 특성을 기반으로 한 언어 학습 장치는 사용자의 음성 정보와 발음 테스트 텍스트 정보의 싱크로율을 퍼센티지로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각 언어 구분 정보에 대한 퍼센티지를 통해 매칭 정도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편의성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언어 특성을 기반으로 한 언어 학습 장치는 싱크로율이 낮은 발음 테스트 텍스트 정보를 랜덤하게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이 부족한 부분을 반복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편의셩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언어 특성을 기반으로 한 언어 학습 장치는 게임을 통해 발음 학습 을 함으로써, 사용자가 지속적으로 발음 학습에 흥미를 가질 수 있게 된다.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언어 특성을 기반으로 한 언어 학습 장치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a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언어 특성을 기반으로 한 언어 학습 장치(100)로 자신의 음성 정보(200)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된 메시지를 발음하여 음성 정보를 입력하게 된다. 그러면, 제어부(180)는 상기 사용자의 발음에 대하여 각 언어 구분 정보의 표준 발음 정보와 비교하여 가장 싱크로율이 높은 언어 구분 정보와 이의 싱크로율을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하여 사용자의 발음이 어떤 지역 언어(방언, 사투리 등) 와 유사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도 1 및 도 2b를 참조하면, 언어 특성을 기반으로 한 언어 학습 장치(100)는 입력된 음성 정보와 복수의 언어 구분 정보와 이에 각각 대응되는 표준 발음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또는, 모든 언어 구분 정보의 표준 발음에 대한 싱크로율을 함께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학습을 개시하고자 하는 경우, 자신이 원하는 발음의 종류를 상기 언어 구분 정보를 선택함으로써,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언어 특성을 기반으로 한 언어 학습 장치(100)는 비교 결과에 기초하여 입력된 음성 정보에 매칭율이 가장 높은(싱크로율이 가장 높은) 언어 구분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는 다수의 언어 구분 정보에 대응하는 싱크로율을 추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음성 정보가 영어인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하겠다. 본 발명은 영어에 한정되지 않고 일본어, 중국어, 한국어 등 다양한 언어에 이용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언어 특성을 기반으로 한 언어 학습 장치(100)는 입력된 음성 정보와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발음 정보의 싱크로율을 퍼센티지로 연산하고, 언어 구분 정보에 대응되는 연산된 퍼센티지를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언어 특성을 기반으로 한 언어 학습 장치(100)는 언어 정보(200), 한국-영어의 발음 정보에 대한 싱크로율 아이콘(210), 미국-영어의 발음 정보에 대한 싱크로율 정보(220), 영국-영어의 발음 정보에 대한 싱크로율 아이콘(230) 및, 필리핀-영어의 발음 정보에 대한 싱크로율 아이콘(240)을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의 영어 발음이 한국식 영어 발음에 가장 많이 일치되며('75%'), 미국식 영어 발음 / 영국식 영어 발음 / 필리핀식 영어 발음과는 각각 50%, 30%, 25%의 일치됨을 즉각적으로 알 수 있다.
만약, 본 발명의 사용자가 미국-영어 발음을 자신이 배우고 싶은 발음으로 설정되는 경우,싱크로율이 가장 높은 언어 구분 정보와, 설정 언어 구분 정보의 싱크로율을 퍼센티지로 표시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c를 참조하면, 사용자 입력부(미도시)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된 하나의 싱크로율 아이콘(220)가 선택되면, 언어 특성을 기반으로 한 언어 학습 장치(100)는 선택된 싱크로율 아이콘(220)에 대응되는 언어 구분 정보의 발음 테스트 텍스트 정보(250)를 발음 학습을 위해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싱크로율 아이콘(220)에 대응되는 언어 구분 정보가 미국식 영어이므로, 언어 특성을 기반으로 한 언어 학습 장치(100)는 미국식 영어에 대응되는 발음 테스트 텍스트 정보(250)를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d를 참조하면, 언어 특성을 기반으로 한 언어 학습 장치(100)는 사용자가 음성 인식부(110)를 통해 발음 테스트 텍스트 정보(250)에 대응되는 음성 정보를 입력하면, 입력된 음성 정보와 발음 테스트 텍스트 정보에 해당되는 발음 정보를 비교하여 싱크로율을 퍼센티지로 연산할 수 있다. 언어 특성을 기반으로 한 언어 학습 장치(100)는 발음이 불일치되는 영역(260) 및 연산된 싱크로율 아이콘(270)을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사용자는 자신의 발음이 불일치되는 부분 및 일치되는 정보를 즉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 1, 도 2d 및 도 2e를 참조하면, 싱크로율 아이콘(270)에 표시된 싱크로율이 설정된 기준 싱크로율 이하('70%')인 경우, 언어 특성을 기반으로 한 언어 학습 장치(100)는 발음 테스트 텍스트 정보의 억양 정보(280) 및, 강세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하고, 발음 테스트 텍스트 정보의 발음 정보(290)를 음향 출력부(12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자신의 발음이 잘못된 부분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언어 특성을 기반으로 한 언어 학습 장치(100)는 발음 테스트 텍스트 정보에 대해 연산된 퍼센티지 정보를 일자별로 분류(300)하여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일자별로 자신이 발음한 발음 테스트 텍스트 정보의 퍼센티지 정보를 한눈에 봄으로써, 발음 향상 정도를 즉각적으로 알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인 언어 특성을 기반으로 한 언어 학습 장치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3a를 참조하면, 언어 특성을 기반으로 한 언어 학습 장치(100)는 발음 테스트 텍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실행되는 게임 프로그램을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게임 프로그램은 스펠링 게임, 롤 플레임 게임, crossword 퍼즐 게임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다. 언어 특성을 기반으로 한 언어 학습 장치(100)는 게임 프로그램을 실행 시켜 발음 테스트 텍스트 정보(300)를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음성 인식부(110)를 통해 발음 테스트 텍스트 정보(300)에 대응되는 음성 정보를 입력하면, 언어 특성을 기반으로 한 언어 학습 장치(100)는 입력된 음성 정보와 발음 테스트 텍스트 정보에 해당되는 발음 정보를 비교하여 싱크로율을 퍼센티지로 연산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b를 참조하면, 연산된 싱크로율 아이콘(310)이 설정된 기준 싱크로율(기준 퍼센티지) 이하('60%')인 경우, 언어 특성을 기반으로 한 언어 학습 장치(100)는 게임 프로그램의 다음 단계를 실행시키지 않고 기존 발음 테스트 텍스트 정보(300)를 다시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한다.
그 다음, 사용자가 음성 인식부(110)를 통해 발음 테스트 텍스트 정보(300)에 대응되는 음성 정보를 입력하면, 언어 특성을 기반으로 한 언어 학습 장치(100)는 다시 입력된 음성 정보와 발음 테스트 텍스트 정보에 해당되는 발음 정보를 비교하여 싱크로율을 퍼센티지로 연산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c를 참조하면, 언어 특성을 기반으로 한 언어 학습 장치(100)는 설정된 기준 퍼센티지 이상('60%')인 경우, 게임 프로그램의 다음 단계를 실행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언어 특성을 기반으로 한 언어 학습 장치(100)는 다음 단계의 발음 테스트 텍스트 정보(320)을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게임을 통해 발음 학습을 함으로써, 지속적으로 발음 학습에 흥미를 가질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언어 특성을 기반으로 한 발음 학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언어 특성을 기반으로 한 발음 학습 시스템은 단말기(400) 및 서버(50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400)는 단말 음성 인식부(410), 음향 출력부(420), 단말 통신부(430), 단말 디스플레이부(440), 지문 센서(450) 및 단말기 제어부(460)를 포함한다.
단말 음성 인식부(410)는 오디오 입력부(미도시)를 통해 입력되는 오디오 데이터를 인식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420)는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단말 통신부(430)는 유선 및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타 장치로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단말 통신부(430)를 통해 음성 정보가 서버(500)로 전송되게 된다.
단말 디스플레이부(440)는 단말기(400)를 이용하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단말 디스플레이부(440)는 터치 센서(사용자 입력부)를 포함하여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 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되는 위치 및 면적 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가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단말기(400)는 고정형 및 이동형 단말기일 수 있으며, 타 장치와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지문 센서(450)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할 수 있다. 지문 센서부(450)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기 위하여 프리즘이나 홀로그램과 같은 광학렌즈를 이용하는 광학방식의 스캐너와, CMOS 소자 등과 같은 반도체 소자를 이용한 비광학방식의 지문센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들 광학방식의 스캐너 또는 비광학방식의 지문센서는 사용자의 지문을 스캔하여 소정형태(고정 이미지, 동영상)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단말기 제어부(460)는 단말기(400)에 포함된 다양한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서버(500)는 서버 통신부(510), 서버 메모리부(520), 서버 추출부(530) 및 서버 제어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 통신부(510)는 유선 및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타 장치로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서버통신부(510)를 통해 단말기(400)로부터의 음성 정보를 수신하게 된다.
서버 메모리부(520)는 복수의 언어 구분 정보, 각 언어 구분 정보에 대응하는 표준 발음 정보를 포함하는 언어 데이터와 발음 테스트 텍스트 정보를 저장하는등과 같이 다양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서버 메모리부(520)는 미국-영어 DB, 영국-영어 DB, 한국 - 영어 DB, 필리핀 - 영어 DB, 한국 - 한국어 - 서울 DB, 한국 - 한국어 - 경상도 DB, 한국 - 한국어 - 전라도 DB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서버 추출부(530)는 단말기(400)로부터 상기 음성 정보를 상기 언어 데어터의 표준 발음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음성 정보의 싱크로율을 산정하고, 싱크로율이 가장 높은 언어 데이터의 언어 구분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서버 제어부(540)는 서버(500)에 포함된 다양한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서버 제어부(540)는, 상기 서버 추출부로부터 산정되는 싱크로율 중 가장 높은 순위에 해당하는 언어 구분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도록 상기 서버 통신부를 제어하는 긴으을 한다. 또한, 서버 제어부는,
언어 특성을 기반으로 한 발음 학습 시스템에 대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단말기 제어부(460)는 사용자가 단말 음성 인식부(410)를 통해 음성 정보를 입력하면, 입력된 음성 정보를 서버(500)로 송신한다.
서버(500)의 서버 추출부(530)는 단말기(400)로부터 수신된 음성 정보와 언어 구분 정보에 대응되는 발음 정보를 비교하여, 입력된 음성 정보에 매칭되는 언어 구분 정보를 추출한다.
서버 제어부(540)는 입력된 음성 정보와 언어 구분 정보에 대응되는 발음 정보의 싱크로율을 퍼센티지로 연산하고, 언어 구분 정보에 대응되는 연산된 퍼센티지를 단말기(400)로 송신한다.
단말기 제어부(460)는 서버(500)로부터 수신된 퍼센티지를 단말 디스플레이부(440)에 표시한다.
단말기 제어부(460)는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단말 디스플레이부(440)에 표시된 하나의 퍼센티지가 선택하면, 선택된 퍼센티지에 대응되는 언어 구분 정보를 서버(500)로 송신한다.
서버 제어부(540)는 서버(500)로부터 수신된 언어 구분 정보에 대응되는 발음 테스트 텍스트 정보를 단말기(400)로 송신한다.
단말기 제어부(460)는 서버(500)로부터 수신된 발음 테스트 텍스트 정보를 단말 디스플레이부(440)에 표시한다.
단말기 제어부(460)는 사용자가 단말 음성 인식부(410)를 통해 발음 테스트 텍스트 정보에 대응되는 음성 정보를 입력하면, 입력된 음성 정보를 서버(500)로 송신한다.
서버 제어부(540)는 단말기(400)로부터 수신된 음성 정보와 발음 테스트 텍스트 정보에 해당되는 발음 정보를 비교하여 싱크로율을 퍼센티지로 연산하고, 연산된 퍼센티지를 단말기(400)로 송신한다.
단말기 제어부(460)는 서버(500)로부터 수신된 퍼센티지가 설정된 기준 퍼센티지 이하인 경우, 발음 테스트 텍스트 정보의 억양 정보 및, 강세 정보를 단말 디스플레이부(440)에 표시하고, 발음 테스트 텍스트 정보의 발음 정보를 음향 출력부(420)를 통해 출력한다.
단말기 제어부(460)는 연산된 퍼센티지가 설정된 기준 퍼센티지 이하인 경우에 해당되는 발음 테스트 텍스트 정보를 분류한 후, 분류된 발음 테스트 텍스트 정보를 랜덤하게 상기 단말 디스플레이부(440)에 표시할 수 있다.
단말기 제어부(460)는 발음 테스트 텍스트 정보에 대해 연산된 퍼센티지 정보를 일자별로 분류하여 디스플레이부(46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언어 특성을 기반으로 한 언어 학습 장치 및 시스템이 지문을 이용해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5a를 참조하면, 메모리부는 사용자의 등록 지문 및 잠금 해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잠금 해제 정보는 등록 지문에 포함된 N개의 융선(610, 611, 612, 613) 및 N개의 융선을 연결하는 패턴(630)을 포함할 수 있다. 패턴(630)의 형태 및 패턴(630)이 N개의 융선을 통과하는 순서는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지문 센서부(150)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의 지문이 메모리부(160)에 기 저장된 사용자의 등록 지문과 매칭되는 경우, 메모리부(160)에 기 저장된 등록 지문을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미도시)를 통해 지문에 포함된 융선들 중 N개의 융선(610, 611, 612, 613)을 선택하고, N개의 융선을 연결하는 패턴(630)을 입력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620)에 의해 입력된 N개의 융선(610, 611, 612, 613) 및, N개의 융선을 연결하는 패턴(630)을 메모리부(160)에 저장하여, 잠금 해제 정보에 대한 설정을 저장할 수 있다.
도 1 및 도 5b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지문 센서부(150)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의 지문이 메모리부(160)에 기 저장된 사용자의 등록 지문과 매칭되는 경우, 메모리부(160)에 기 저장된 등록 지문을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 및 도 5c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기 저장된 등록 지문(640) 및 후보 융선 정보(650 - 661)를 디스플레이부(140)에 표시할 수 있다.
잠금 해제 정보와 일치되는 융선 및 패턴은 N개의 융선(650, 651, 652, 653)을 선택하고, N개의 융선을 연결하는 패턴(680)이다.
표시된 등록 지문 중 잠금 해제 정보와 매칭되는 부분이 사용자(670)에 의해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잠금 상태를 해제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즉, 제어부(180)는 사용자(670)에 의해 입력된 정보와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잠금 해제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되는 경우에만 잠금 상태를 해제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언어 특성을 기반으로 한 언어 학습 장치는 N개의 융선 및 N개의 융선을 연결하는 패턴을 이용하여 본인 인증을 수행함으로써, 단순히 지문 정보의 일치만으로 본인 인증을 수행하는 것보다 더욱 안정적이면서도 정확하게 본인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설명된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언어 특성을 기반으로 한 언어 학습 장치
110 : 음성 인식부
120 : 음향 출력부
130 : 통신부
140 : 디스플레이부
150 : 지문 센서
160 : 메모리부
170 : 추출부
180 : 제어부

Claims (17)

  1. 복수의 언어 구분 정보, 각 언어 구분 정보에 대응하는 표준 발음 정보를 포함하는 언어 데이터와 발음 테스트 텍스트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테스트 텍스트 정보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음성 인식부;
    상기 음성 정보를 상기 언어 데어터의 표준 발음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음성 정보의 싱크로율을 산정하고, 싱크로율이 가장 높은 언어 데이터의 언어 구분 정보를 추출하는 추출부;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추출부로부터 산정되는 싱크로율 중 가장 높은 순위에 해당하는 언어 구분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언어 특성을 고려한 언어 학습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는,
    상기 싱크로율을 퍼센티지로 각각 연산하고,
    상기 제어부는,
    각 언어 구분 정보에 대응되게 상기 퍼센티지를 상기 언어 구분 정보와 함께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언어 특성을 고려한 언어 학습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언어 구분 정보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언어 구분 정보의 싱크로율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함께 표시하는, 언어 특성을 고려한 언어 학습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부는,
    상기 음성 정보와 상기 표준 발음 정보의 발음 테스트 텍스트 정보과 음운 및 강세를 비교하여 상기 싱크로율을 산정하는, 언어 특성을 고려한 언어 학습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음 테스트 텍스트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상태에서, 이에 대응하는 음성 정보를 상기 음성 인식부를 통해 입력받으면, 상기 추출부를 제어하여 입력된 음성 정보와 상기 발음 테스트 텍스트 정보에 대응하는 복수의 발음 정보를 비교하여 싱크로율을 산정하도록 하고, 싱크로율이 가장 높은 언어 구분 정보와 그 싱크로율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언어 특성을 고려한 언어 학습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음향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산된 싱크로율이 설정된 기준값 이하인 경우, 상기 음성 정보 대응하는 발음 테스트 텍스트 정보의 표준 발음 정보 중 설정된 표준 발음 정보를 상기 음향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언어 특성을 고려한 언어 학습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성 정보중 그 싱크로율이 기준값 이하인 음성 정보만을 분류한 후, 분류된 발음 테스트 텍스트 정보를 랜덤하게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언어 특성을 고려한 언어 학습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는, 언어 학습 게임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음 테스트 텍스트 데이터를 이용하는 상기 언어 학습 게임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이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언어 학습 게임 프로그램을 통해 입력된 싱크로율이 설정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상기 언어 학습 게임 프로그램의 다음 단계를 실행시키는, 언어 특성을 고려한 언어 학습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발음 테스트 텍스트 데이터에 대해 연산된 싱크로율을 시기별로 분류하학습 통계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언어 특성을 고려한 언어 학습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음 테스트 텍스트 데이터는 학습 레벨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언어 특성을 고려한 언어 학습 장치는, 상기 학습 레벨 정보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선택된 레벨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발음 테스트 텍스트 데이터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언어 특성을 고려한 언어 학습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언어 구분 정보는
    표준 정보, 지역 정보, 국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언어 특성을 고려한 언어 학습 장치.
  12. 단말기 및 서버를 포함하는 언어 특성을 기반으로 한 발음 학습 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터를 표시하는 단말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의 음성 정보를 수신하는 단말 음성 인신부, 단말 통신부, 및 상기 음성 인식부를 통해 상기 음성 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음성 정보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도록 상기 단말 통신부를 제어하는 단말기 제어부를 구비하는 단말기; 및
    복수의 언어 구분 정보, 각 언어 구분 정보에 대응하는 표준 발음 정보를 포함하는 언어 데이터와 발음 테스트 텍스트 정보를 저장하는 서버 메모리부와, 상기 음성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서버 통신부와, 상기 음성 정보를 상기 언어 데어터의 표준 발음 정보와 비교하여 상기 음성 정보의 싱크로율을 산정하고 싱크로율이 가장 높은 언어 데이터의 언어 구분 정보를 추출하는 서버 추출부와, 상기 서버 추출부로부터 산정되는 싱크로율 중 가장 높은 순위에 해당하는 언어 구분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도록 상기 서버 통신부를 제어하는 서버 제어부를 구비하는, 언어 특성을 기반으로 한 발음 학습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싱크로율을 퍼센티지로 각각 연산하고, 각 언어 구분 정보에 대응되게 상기 싱크로율을 상기 언어 구분 정보와 함께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여, 상기 단말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하는, 언어 특성을 기반으로 한 발음 학습 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발음 테스트 텍스트 정보를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상기 단말기로 전송하는, 언어 특성을 기반으로 한 발음 학습 시스템.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제어부는,
    상기 서버로부터의 상기 발음 테스트 텍스트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음성 인식부를 통해 상기 발음 테스트 텍스트 정보에 대응되는 상기 음성 정보가 입력되면, 입력된 상기 음성 정보를 상기 단말 통신부를 통해 상기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서버 추출부는,
    상기 음성 정보와 상기 발음 테스트 텍스트 정보에 해당되는 발음 정보를 비교하여 싱크로율을 퍼센티지로 연산하고,
    상기 서버 제어부는,
    연산된 상기 퍼센티지 정보를 상기 단말기로 송신하는, 언어 특성을 기반으로 한 발음 학습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퍼센티지가 설정된 기준 퍼센티지 이하인 경우에 해당되는 발음 테스트 텍스트 데이터를 분류한 후, 분류된 발음 테스트 텍스트 정보를 랜덤하게 상기 단말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도록, 상기 서버 통신부를 통해 전송하는, 언어 특성을 기반으로 한 발음 학습 시스템.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발음 테스트 텍스트 데이터에 대해 연산된 싱크로율을 시기별로 분류하학습 통계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언어 특성을 기반으로 한 발음 학습 시스템.
KR1020150062484A 2015-05-04 2015-05-04 언어 특성을 고려한 언어 학습 장치 및 시스템 KR2016013057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2484A KR20160130578A (ko) 2015-05-04 2015-05-04 언어 특성을 고려한 언어 학습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2484A KR20160130578A (ko) 2015-05-04 2015-05-04 언어 특성을 고려한 언어 학습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0578A true KR20160130578A (ko) 2016-11-14

Family

ID=57528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2484A KR20160130578A (ko) 2015-05-04 2015-05-04 언어 특성을 고려한 언어 학습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3057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58991A1 (ko) * 2019-01-30 2020-08-06 주식회사 이볼케이노 단어의 컨셉 메이커를 이용한 언어 학습 시스템
CN112581954A (zh) * 2020-12-01 2021-03-30 杭州九阳小家电有限公司 一种高匹配性语音交互方法和智能设备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58991A1 (ko) * 2019-01-30 2020-08-06 주식회사 이볼케이노 단어의 컨셉 메이커를 이용한 언어 학습 시스템
CN112581954A (zh) * 2020-12-01 2021-03-30 杭州九阳小家电有限公司 一种高匹配性语音交互方法和智能设备
CN112581954B (zh) * 2020-12-01 2023-08-04 杭州九阳小家电有限公司 一种高匹配性语音交互方法和智能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84503B2 (en) VPA with integrated object recognition and 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US20190332680A1 (en) Multi-lingual virtual personal assistant
CN107683446A (zh) 用于自动识别眼睛追踪设备的至少一个用户的方法以及眼睛追踪设备
KR102043419B1 (ko) 아동언어학습을 위한 음성인식 기반 학습 시스템 및 학습방법
US20120200492A1 (en) Input Method Applied in Electronic Devices
US10657960B2 (en) Interactive system, terminal, method of controlling dialog, and program for causing computer to function as interactive system
US1083980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asillas et al. The accent on Modern Family: Listening to representations of the Latina vocal body
US10353475B2 (en) Automated E-tran application
US20180011687A1 (en) Head-mounted display system and operating method for head-mounted display device
CN109089172B (zh) 一种弹幕显示方法、装置及电子设备
US20220392361A1 (en) Learning system and learning method
KR20150038892A (ko) 음성인식을 이용한 영어학습방법
KR20160130578A (ko) 언어 특성을 고려한 언어 학습 장치 및 시스템
CN105786204A (zh) 信息处理方法和电子设备
KR20200074786A (ko) 증강현실을 기반한 기억력 향상 훈련 시스템 및 방법
CN113016031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和程序
CN114663920A (zh) 手势识别的方法、装置、服务器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6930754B2 (ja) 学習支援装置及び出題方法
Coumans et al. Non-native word recognition in noise: the role of word-initial and word-final information.
US10529330B2 (en) Speech recognition apparatus and system
ten Bosch et al. The recognition of compounds. A computational account
JP2002207413A (ja) 行動認識発話型語学学習装置
KR102645783B1 (ko) 외국인 대상 한국어 교육 서비스 제공 시스템
JP2021015189A (ja) マルチモーダル音声認識装置およびマルチモーダル音声認識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