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0366A - 어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단말기 - Google Patents

어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0366A
KR20160130366A KR1020160145103A KR20160145103A KR20160130366A KR 20160130366 A KR20160130366 A KR 20160130366A KR 1020160145103 A KR1020160145103 A KR 1020160145103A KR 20160145103 A KR20160145103 A KR 20160145103A KR 20160130366 A KR20160130366 A KR 201601303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plication
terminal
request
proposer
advertis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5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승원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45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30366A/ko
Publication of KR201601303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03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7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20Software desig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11Determining the effectiveness of discounts or incenti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3Determination of fees for adverti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77Online advertis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4Billing or invoic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일반 제안자의 요청에 따라 생성된 어플리케이션과 광고를 결합하여 제공함으로써, 제안자의 제안 및 니즈를 개발자가 어플리케이션 개발에 적용하여 풍부한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개발 및 보급이 가능하고, 제작장치를 통해 개발된 어플리케이션을 개인 또는 기업으로부터 요청되는 광고데이터와 결합하여 수익구조의 다변화가 가능하고, 이를 활용한 신규 비즈니스 서비스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어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단말기{System for providing application, method thereof, apparatus thereof and terminal thereof}
본 발명은 어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반 사용자가 어플리케이션의 제작에 참여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라인상의 오픈 마켓 플레이스(Open Market Place) 시스템은 개발자 포털과 구매자 포털로 나뉘며, 개발자 포털에서는 개발자가 개발한 애플리케이션을 등록하여 가격을 책정하며, 구매자 포털에서는 구매자가 어플리케이션을 검색하여 구매 또는 다운로드할 수 있는 인프라를 제공한다. 특히, 온라인 오픈 마켓 플레이스는 개발자에게 개발지원, 검증, 유통 및 통계 기능을 제공하고, 구매자에게 자신의 단말기에 맞는 컨텐츠에 대한 검색, 구매 및 설치 기능을 제공한다.
최근에는 스마트폰의 확산과 함께 업체들이 각각의 단말기에 적합한 오픈 마켓 플레이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그러나, 현재의 오픈 마켓 플레이스 시스템은 개발자가와 공급사간의 협의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비즈 모델만을 제공할 뿐, 사용자의 참여에 의한 사용자의 경험과 니즈(Needs)가 적용된 어플리케이션 개발은 제한적인 형태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직접 어플케이션 시나리오 작성에 영향을 주고, 의견을 제안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오픈 마켓 플레이스 시스템과 서비스가 필요하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40840호, 2010년 9월 14일 공개 (명칭: 무선 단말기에 어플리케이션을 용이하게 설치하는 방법 및 그 시스템)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제안자의 요청에 따라 제작장치에서 생성된 어플리케이션과 광고장치로부터 개인 또는 기업의 요청에 상응하는 복수의 광고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어플리케이션과 광고데이터를 결합하고, 광고데이터가 결합된 어플리케이션을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단말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은 제안자의 요청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생성하고, 생성된 어플리케이션을 공급장치로 전송하는 제작장치와, 개인 또는 기업으로부터 요청되는 다수의 광고데이터를 수집하여 공급장치로 제공하는 광고장치와, 제안자의 요청을 제작장치로 전송하고 이에 대응하여 제작장치로부터 생성된 어플리케이션과 광고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고데이터를 결합하여 단말기로 제공하는 공급장치 및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공급장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고,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출력하는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급장치는 제작장치, 공급 장치 및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제안자의 요청을 확인하여 통신부를 통하여 제작장치로 전송하고, 제작장치로부터 생성된 제안자의 요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과 광고장치로부터 개인 또는 기업의 요청에 따른 복수의 광고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어플리케이션과 적어도 하나의 광고데이터를 결합하고,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광고데이터가 결합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급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단말기로 어플리케이션의 제공에 따른 정보 이용료의 결제를 요청하고, 요청에 따른 정보 이용료를 수금하고, 수금된 정보 이용료에 대한 수익금을 기 설정된 비율에 따라 제안자 및 제작장치와 배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급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광고데이터를 제안하는 개인 또는 기업으로부터 광고데이터를 어플리케이션에 포함하여 단말기로 제공하는 조건에 따른 광고대금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급장치에 있어서, 광고데이터가 결합된 어플리케이션을 어플리케이션 목록에 등록하여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제어부는 등록된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급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어플리케이션을 QR(Quick Response) 코드 또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중 하나의 형태로 단말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급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제작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과 광고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고데이터를 결합하는 광고결합모듈과, 어플리케이션을 제공받는 단말기로부터 정보 이용료에 따른 결제를 처리하여 수금되는 수익금을 기 설정된 비율에 따라 제안자, 어플리케이션 제작자, 어플리케이션 공급자 중 하나 이상에게 배분하도록 처리하고, 광고장치로부터 광고데이터에 대한 광고대금의 결제를 처리하는 과금처리모듈 및 어플리케이션 제작을 위한 일반 사용자의 아이디어, 경험, 및 니즈 중에서 하나 이상을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에 따라 제안자의 요청을 생성하여 제작장치로 전송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작 참여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작장치는 어플리케이션을 공급하는 공급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통신부를 통해 공급 장치로부터 제안자의 요청을 수신하고, 제안자의 요청에 따라 해당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생성하고, 생성된 어플리케이션을 공급장치로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작장치에 있어서, 생성된 어플리케이션을 생활, 소설, 교육 또는 게임 중 하나의 서비스 영역에 따라 구분하여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작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공급장치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의 제공에 따른 정보 이용료에 대한 비용 정산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작장치에 있어서, 제어부는 제안자의 요청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생성하는 어플리케이션생성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은 공급장치가 제작장치로부터 제안자의 요청에 따라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과 광고장치로부터 개인 또는 기업의 요청에 따른 복수의 광고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와, 공급장치가 수집된 어플리케이션과 적어도 하나의 광고데이터를 결합하는 단계 및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공급장치가 광고데이터가 결합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은 제작장치가 제안자의 제안을 수신하는 단계와, 제작장치가 제안에 따라 해당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생성하는 단계 및 제작장치가 생성된 어플리케이션을 공급장치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을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서, 제안자의 제안에 따라 해당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생성하는 단계와, 생성된 어플리케이션과 개인 또는 기업의 요청에 따라 수집된 광고데이터를 결합하는 단계와, 광고데이터가 결합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단계 및 어플리케이션의 제공에 따른 정보 이용료에 대한 수익금을 기 설정된 비율에 따라 배분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반 제안자의 제안 및 니즈를 개발자가 어플리케이션 개발에 적용하여 풍부한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개발 및 보급이 가능하다.
또한, 제작장치를 통해 개발된 어플리케이션을 개인 또는 기업으로부터 요청되는 광고데이터와 결합하여 제공함으로써, 수익구조의 다변화가 가능하고, 이를 활용한 신규 비즈니스 서비스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급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작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에 따른 데이터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급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작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급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구성 요소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도면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한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는 통신망에 연결되어 어플리케이션을 제공받아 실행하고, 이에 대한 과금을 처리할 수 있는 이동통신단말기를 대표적인 예로서 설명하지만 단말기는 이동통신단말기에 한정된 것이 아니고, 모든 정보통신기기, 멀티미디어 단말기, 유선 단말기, 고정형 단말기 및 IP(Internet Protocol) 단말기 등의 다양한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는 휴대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ID(Mobile Internet Device), 스마트폰(Smart Phone), 데스크톱(Desktop), 태블릿컴퓨터(Tablet PC), 노트북(Note book), 넷북(Net book) 및 정보통신 기기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통신 사양을 갖는 모바일(Mobile) 단말기일 때 유리하게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100)은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제안하는 제안자(50), 제안자(50)의 경험 및 니즈를 바탕으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제작장치(30), 제작장치(30)로부터 개발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고, 저장된 어플리케이션과 광고 제공자(60)로부터 요청된 광고데이터를 광고장치(40)로부터 수신하여 결합한 후, 통신망(70)을 통해 단말기(10)로 제공하는 공급장치(2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은 제안자(50)의 제안을 바탕으로 제작장치(30)로부터 생성된 생활, 소설, 교육 또는 게임 등과 같은 서비스 영역이 된다.
통신망(70)은 단말기(10) 및 공급장치(20) 간의 데이터 통신 정보교환을 위한 통신망을 의미한다. 여기서, 통신망(70)은 인터넷, 인트라넷, 익스트라넷, 이동통신망, 근거리 무선통신망 등 현재 개발되었거나 장래에 개발되어 상용화될 유선망, 무선망 및 이들의 결합망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통신망(70)은 공급장치(20)로부터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을 단말기(10)로 제공하는 통로가 된다.
단말기(10)는 통신망(70)을 통해 공급장치(20)에 접속할 수 있다. 이때, 단말기(10)는 통신망(70)에 접속을 지원하는 프로토콜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접속할 수 있다. 예컨대, 단말기(10)는 DSL(Digital Subscriber Line), 케이블 모뎀(cable modem), 이더넷(Ethernet) 등의 고정 접속(Fixed Access) 방식을 통해 통신망(70)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는 이동 접속(Mobile Access) 방식을 통해 통신망(70)에 접속할 수 있다.
공급장치(20)는 제작장치(30)로부터 제안자의 요청에 따라 생성된 어플리케이션과 광고장치(40)로부터 개인 또는 기업의 요청에 따른 광고데이터를 수집한다. 그리고, 공급장치(20)는 수집된 어플리케이션과 광고데이터를 결합하고, 단말기(10)의 요청에 따라 광고데이터가 결합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
제작장치(30)는 제안자(50)로부터 요청되는 제안에 따라 해당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생성하고, 생성된 어플리케이션을 공급장치(20)로 제공한다.
광고장치(40)는 개인 또는 기업의 광고제공자(60)로부터 요청되는 광고데이터를 수집하고, 수집된 광고데이터를 공급장치(20)로 제공한다.
이를 통해, 일반 제안자의 제안 및 니즈를 개발자가 어플리케이션 개발에 적용하여 풍부한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개발 및 보급이 가능하다. 또한, 제작장치를 통해 개발된 어플리케이션을 개인 또는 기업으로부터 요청되는 광고데이터와 결합하여 제공함으로써, 수익구조의 다변화가 가능하고, 이를 활용한 신규 비즈니스 서비스가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급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급장치(20)는 제어부(21), 저장부(22) 및 통신부(23)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어부(21)는 광고결합모듈(21a), 과금처리모듈(21b) 및 어플리케이션 제작 참여 모듈(21c)을 포함하며, 저장부(22)는 어플리케이션 목록(22a)을 포함한다.
통신부(23)는 제작장치(30)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고, 단말기(10)로 어플리케이션을 전송한다. 또한, 통신부(23)는 광고장치(40)로부터 광고데이터를 수신한다.
저장부(22)는 제작장치(30)로부터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한다. 그리고, 저장부(22)는 기 저장된 어플리케이션과 광고장치(40)로부터 수신되는 광고데이터가 결합된 어플리케이션을 어플리케이션 목록(22a)에 등록하여 저장한다.
제어부(21)는 제작장치(30)로부터 제안자(50)의 요청에 따라 생성된 어플리케이션과 광고장치(40)로부터 개인 또는 기업의 요청에 따른 광고데이터를 수집한다. 그리고, 제어부(21)는 수집된 어플리케이션과 광고데이터를 결합하고, 어플리케이션 목록에 포함하여 단말기(10)로 제공한다. 이후, 제어부(21)는 단말기(10)의 요청에 따라 광고데이터가 결합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 이때, 제어부(21)는 어플리케이션을 QR 코드 또는 URL 중 하나의 형태로 단말기(10)에 제공한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은 제안자(50)의 제안을 바탕으로 제작장치(30)에서 생성된 생활, 소설, 교육 또는 게임 등과 같은 서비스 영역이 된다.
제어부(21)는 단말기(10)로 어플리케이션의 제공에 따른 정보 이용료의 결제를 요청하고, 결제 요청에 따른 정보 이용료를 수금한다. 이때, 제어부(21)는 수금된 정보 이용료에 대한 수익금을 기 설정된 비율에 따라 제안자(50) 및 제작장치(30)와 배분한다. 또한, 제어부(21)는 광고데이터를 제안하는 개인 또는 기업으로부터 광고데이터를 어플리케이션에 포함하여 단말기(10)로 제공하는 조건에 따른 광고대금을 수금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21)는 어플리케이션 제작을 위한 일반 사용자의 아이디어, 경험 또는 니즈를 수집한다. 그리고, 제어부(21)는 수집된 정보에 따라 제작장치(30)로 해당되는 어플리케이션 제작을 요청한다. 이후, 제어부(21)는 제작장치(30)에서 생성된 어플리케이션을 단말기(10)로 제공하고, 해당되는 정보 이용료에 대한 수익금을 기 설정된 비율에 따라 일반 사용자 및 제작장치(30)와 배분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급장치(20)의 기능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제어부(21)는 광고결합모듈(21a), 과금처리모듈(21b) 및 어플리케이션 제작 참여 모듈(21c)을 포함한다. 특히, 광고결합모듈(21a)은 제작장치(30)로부터 제공되는 어플리케이션과 광고장치(40)로부터 제공되는 광고데이터를 결합한다. 또한, 과금처리모듈(21b)은 어플리케이션을 제공받는 단말기(10)로부터 정보 이용료에 따른 결제를 요청하여 수금되는 수익금을 기 설정된 비율에 따라 배분하고, 광고장치(40)로부터 광고데이터에 대한 광고대금의 결제를 요청하여 수금한다. 또한, 어플리케이션 제작 참여 모듈(21c)은 어플리케이션 제작을 위한 일반 사용자의 아이디어, 경험 또는 니즈를 수집하여 제작장치(30)로 해당되는 어플리케이션 제작을 요청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공급장치(20)는 서버 기반 컴퓨팅 기반 방식 또는 클라우드 방식으로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서버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클라우드 컴퓨팅 장치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 실행을 위한 데이터는 인터넷 상의 클라우드 컴퓨팅 장치에 영구적으로 저장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기능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클라우드 컴퓨팅은 데스크톱,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넷북 및 스마트폰 등의 디지털 단말기에 인터넷 기술을 활용하여 가상화된 IT(Information Technology) 자원, 예를 들어, 하드웨어(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 소프트웨어(데이터베이스, 보안, 웹 서버 등), 서비스, 데이터 등을 온 디맨드(On demand) 방식으로 서비스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모든 데이터는 인터넷 상의 클라우드 컴퓨팅 장치에 저장되고, 단말기(10)를 통하여 언제 어디서든 이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작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작장치(30)는 제어부(31), 저장부(32) 및 통신부(33)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어부(31)는 어플리케이션생성모듈(31a)을 포함하며, 저장부(32)는 어플리케이션DB(32a)를 포함한다.
통신부(33)는 제안자(50)로부터 제안을 수신하고, 제안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공급장치(20)로 전송한다.
저장부(32)는 제안자(50)의 제안에 따라 생성된 어플리케이션을 생활, 소설, 교육 또는 게임 등과 같은 서비스 영역에 따라 구분하여 어플리케이션DB(32a)에 저장한다.
제어부(31)는 통신부(33)를 통해 수신되는 제안자(50)의 제안에 따라 해당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생성하고, 생성된 어플리케이션을 공급장치(20)로 제공한다.
제어부(31)는 공급장치(20)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의 제공에 따른 정보 이용료에 대한 수익금을 수금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작장치(30)의 기능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제어부(31)는 어플리케이션생성모듈(31a)을 포함한다. 특히, 어플리케이션생성모듈(31a)은 제안자(50)로부터 수신되는 제안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생성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는 제어부(11), 입력부(12), 표시부(13), 저장부(14), 오디오처리부(15) 및 통신부(16)로 구성된다.
입력부(12)는 숫자 및 문자 정보 등의 다양한 정보를 입력 받고, 각종 기능을 설정 및 단말기(10)의 기능 제어와 관련하여 입력되는 신호를 제어부(11)로 전달한다. 또한, 입력부(12)는 사용자의 터치 또는 조작에 따른 입력 신호를 발생하는 키패드와 터치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입력부(12)는 표시부(13)와 함께 하나의 터치패널(또는 터치스크린)의 형태로 구성되어 입력과 표시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는 키보드, 키패드, 마우스, 조이스틱 등과 같은 입력 장치 외에도 향후 개발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입력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표시부(13)는 단말기(10)의 기능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련의 동작상태 및 동작결과 등에 대한 정보를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13)는 단말기(10)의 메뉴 및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데이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부(13)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TFT-LCD(Thin Film Transistor LCD),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발광다이오드(LED),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및 3차원 디스플레이(3 Dimension)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표시부(13)는 터치스크린(Touch screen) 형태로 구성될 수 있고, 이와 같이, 표시부(13)가 터치스크린 형태로 형성된 경우, 표시부(13)는 입력부(12)의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할 수 있다.
저장부(14)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장치로, 주 기억 장치 및 보조 기억 장치를 포함하고, 단말기(10)의 기능 동작에 필요한 응용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이러한 저장부(14)는 크게 프로그램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10)는 사용자의 요청에 상응하여 각 기능을 활성화하는 경우, 제어부(11)의 제어 하에 해당 응용 프로그램들을 실행하여 각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프로그램 영역은 단말기(10)를 부팅시키는 운영체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프로그램 및 어플리케이션 제공에 따른 정보이용료를 처리하는 결제 프로그램 등이 저장된다. 또한, 데이터 영역은 단말기(10)의 사용에 따라 발생하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영역이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단말기(10)는 광고데이터가 결합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한다.
오디오처리부(15)는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여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SPK) 또는 마이크(MIC)로부터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를 제어부(11)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오디오처리부(15)는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형식의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형식으로 변환하여 제어부(11)에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처리부(15)는 제어부(11)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형식의 오디오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특히, 오디오처리부(15)는 단말기(10)의 기능 또는 어플리케이션 실행에 따른 모든 효과음, 설정음 또는 실행음을 출력한다.
통신부(16)는 공급장치(20)와 통신망(70)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통신부(16)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 변환 및 증폭하는 RF 송신 수단과 수신되는 신호를 저잡음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 수단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통신부(16)는 무선통신 모듈(미도시) 및 유선통신 모듈(미도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무선통신 모듈은 무선망 통신 모듈, 무선랜(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또는 WiFi, Wireless Fidelity 또는 WiMAX, Worldwide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통신 모듈 및 무선팬(WPAN,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 모듈은 무선 통신 방법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구성이며, 단말기(10)가 무선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무선망 통신 모듈, 무선랜 통신 모듈 및 무선팬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공급장치(20)로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무선망 통신 모듈은 기지국을 통해 통신망(70)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무선 통신 모듈은 제어부(11)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면, 기지국을 통해 통신망(70)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공급장치(2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무선망 통신 모듈은 기지국을 통해 통신망(70)에 접속하고, 데이터를 공급장치(20)로부터 수신하여, 수신된 데이터를 제어부(11)로 제공할 수 있다.
무선랜 통신 모듈은 무선 랜(WLAN), 와이파이(WiFi) 또는 와이맥스(WiMAX) 방식에 따른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것이다. 무선랜 통신 모듈은 제어부(11)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면, 접속 포인트(AP, Access Point)를 통해 통신망(70)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공급장치(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무선랜 통신 모듈은 접속 포인트를 통해 통신망(70)에 접속하여 공급장치(2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면, 수신된 데이터를 제어부(11)로 제공할 수 있다.
무선팬 통신 모듈은 무선 팬(WPAN) 방식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으로, 무선망 통신 모듈 및 무선랜 통신 모듈에 비해 짧은 거리의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무선팬 통신 모듈은 단말기간에 직접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도 있다. 즉, 무선팬 통신 모듈을 통해 다른 단말기와 직접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무선팬 통신 모듈은 통신망(70)에 게이트웨이(Gateway)에 직접 또는 멀티 홉(Multi-hop)을 통해 연결 가능한 경우, 게이트웨이를 통해 통신망(70)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이러한 무선팬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지그비(ZigBee) 등에 따른 통신을 예시할 수 있다.
유선통신 모듈은 유선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유선통신 모듈은 유선을 통해 통신망(70)에 접속하여, 공급장치(20)에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즉, 단말기(10)는 유선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통신망(70)에 접속하며, 통신망(70)을 통해 공급장치(20)와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1)는 운영 체제(Operation System: OS) 및 각 구성을 구동시키는 프로세스 장치가 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1)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가 될 수 있다. 제어부(11)는 단말기(10)의 전원이 켜지면, 운영 체제를 보조 기억 장치로부터 주 기억 장치로 이동시킨 후, 운영 체제를 구동하기 위한 부팅(Booting)을 수행하고, 필요한 신호 제어를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1)는 공급장치(20)로부터 광고데이터가 결합된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한다. 그리고, 제어부(11)는 어플리케이션 다운로드에 따른 정보이용료를 결제 처리한다.
제어부(11)는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공급장치(20)로 어플리케이션 제작을 요청한다. 그리고, 제어부(11)는 사용자의 아이디어, 경험 또는 니즈를 기반으로 제작장치(30)에서 생성된 어플리케이션을 공급장치(20)로부터 수신하여 실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에 따른 데이터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데이터 흐름은, 먼저, 제안자(50)는 S11 단계에서 경험과 니즈를 기반으로 제작장치(30)로 어플리케이션 개발을 요청한다. 이후, 제작장치(30)는 S13 단계에서 제안자(50)의 제안에 따라 해당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생성한다. 여기서, 제작장치(30)는 생성된 어플리케이션을 생활, 소설, 교육 또는 게임 등과 같은 서비스 영역에 따라 구분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제작장치(30)는 S15 단계에서 생성된 어플리케이션을 공급장치(20)로 전송한다.
공급장치(20)는 S17 단계에서 제작장치(30)로부터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한다. 그리고, 공급장치(20)는 S19 단계에서 광고장치(40)로부터 개인 또는 기업의 요청에 따른 광고데이터를 수신한다.
공급장치(20)는 S21 단계에서 수집된 어플리케이션과 광고데이터를 결합한다. 그리고, 공급장치(20)는 S23 단계에서 광고데이터가 결합된 어플리케이션을 어플리케이션 목록에 등록하여 저장한다.
단말기(10)는 S25 단계에서 공급장치(20)로 어플리케이션의 다운로드를 요청한다. 이후, 공급장치(20)는 S27 단계에서 해당되는 어플리케이션을 단말기(10)로 전송한다. 즉, 공급장치(20)는 단말기(10)의 요청에 따라 광고데이터가 결합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 이때, 공급장치(20)는 어플리케이션을 QR 코드 또는 URL 중 하나의 형태로 단말기(10)에 제공한다. 그리고 나서, 단말기(10)는 S29 단계에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에 따른 공급장치(20)는 단말기(10)로 어플리케이션의 제공에 따른 정보 이용료의 결제를 요청하고, 결제 요청에 따른 정보 이용료를 수금한다. 이때, 공급장치(20)는 수금된 정보 이용료에 대한 수익금을 기 설정된 비율에 따라 제안자(50) 및 제작장치(30)와 배분한다. 또한, 제작장치(20)는 광고데이터를 제안하는 개인 또는 기업으로부터 광고데이터를 어플리케이션에 포함하여 단말기(10)로 제공하는 조건에 따른 광고대금을 수금한다.
이를 통해, 일반 제안자의 제안 및 니즈를 개발자가 어플리케이션 개발에 적용하여 풍부한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개발 및 보급이 가능하다. 또한, 제작장치를 통해 개발된 어플리케이션을 개인 또는 기업으로부터 요청되는 광고데이터와 결합하여 제공함으로써, 수익구조의 다변화가 가능하고, 이를 활용한 신규 비즈니스 서비스가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급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급장치(20)는 S41 단계에서 제안자(50)의 경험과 니즈를 기반으로 제작장치(30)로부터 생성된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한다. 여기서, 제작장치(30)는 생성된 어플리케이션을 생활, 소설, 교육 또는 게임 등과 같은 서비스 영역에 따라 구분된다. 그리고, 공급장치(20)는 S43 단계에서 제작장치(30)로부터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한다. 그리고, 공급장치(20)는 S45 단계에서 광고장치(40)로부터 개인 또는 기업의 요청에 따른 광고데이터가 수신되는지 판단한다. 이때, 광고데이터가 수신되면, 공급장치(20)는 S47 단계에서 수집된 어플리케이션과 광고데이터를 결합한다. 한편, 광고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으면, 공급장치(20)는 제작장치(30)로부터 생성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지속적으로 수신한다.
공급장치(20)는 S49 단계에서 광고데이터가 결합된 어플리케이션을 어플리케이션 목록에 등록하여 저장한다.
공급장치(20)는 S51 단계에서 단말기(10)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전송이 요청되는지 판단한다. 어플리케이션 전송이 요청되는 경우, 공급장치(20)는 S53 단계에서 해당되는 어플리케이션을 단말기(10)로 전송한다. 즉, 공급장치(20)는 단말기(10)의 요청에 따라 광고데이터가 결합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 이때, 공급장치(20)는 어플리케이션을 QR 코드 또는 URL 중 하나의 형태로 단말기(10)에 제공한다.
공급장치(20)는 S55 단계에서 단말기(10)로 어플리케이션의 제공에 따른 정보 이용료의 결제를 요청하고, 결제 요청에 따른 정보 이용료를 수금한다. 이때, 공급장치(20)는 S57 단계에서 수금된 정보 이용료에 대한 수익금을 기 설정된 비율에 따라 제안자(50) 및 제작장치(30)와 배분한다. 또한, 공급장치(20)는 광고데이터를 제안하는 개인 또는 기업으로부터 광고데이터를 어플리케이션에 포함하여 단말기(10)로 제공하는 조건에 따른 광고대금을 수금한다.
예를 들어, 공급장치(20)는 어플리케이션 제공에 따른 정보 이용료에 대한 수익금을 제안자(50)와 제작장치(30)에 50%의 동일한 비율로 배분한다. 또한, 공급장치(20)는 정보 이용료에 대한 수익금을 제안자(50), 제작장치(30) 및 공급장치(20) 간에 40%, 40& 및 20%의 비율로 배분한다. 여기서, 수익금 배분에 따른 결정은 사전에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작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작장치(30)는 S61 단계에서 제안자(50)의 경험과 니즈를 기반으로 한 어플리케이션 개발 요청을 수신한다. 이후, 제작장치(30)는 S63 단계에서 제안자(50)의 제안에 따라 해당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생성하고 저장한다. 여기서, 제작장치(30)는 생성된 어플리케이션을 생활, 소설, 교육 또는 게임 등과 같은 서비스 영역에 따라 구분하여 저장한다. 그리고, 제작장치(30)는 S65 단계에서 생성된 어플리케이션을 공급장치(20)로 전송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공급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급장치(20)는 S71 단계에서 어플리케이션 제작을 위한 일반 사용자의 아이디어, 경험 또는 니즈를 수집한다. 그리고, 공급장치(20)는 S73 단계에서 수집된 정보에 따라 제작장치(30)로 해당되는 어플리케이션 제작을 요청한다.
공급장치(20)는 S75 단계에서 일반 사용자의 제안에 따라 생성된 어플리케이션을 제작장치(30)로부터 수신하고, 이를 단말기(10)로 제공한다. 여기서, 어플리케이션은 생활, 소설, 교육 또는 게임 등과 같은 서비스 영역에 따라 구분되어 개발될 수 있다.
공급장치(20)는 S53 단계에서 해당되는 어플리케이션을 단말기(10)로 전송한다. 즉, 공급장치(20)는 단말기(10)의 요청에 따라 광고데이터가 결합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 이때, 공급장치(20)는 어플리케이션을 QR 코드 또는 URL 중 하나의 형태로 단말기(10)에 제공한다. 즉, 공급장치(20)는 단말기(10)의 요청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을 QR 코드 또는 URL 중 하나의 형태로 단말기(10)에 제공한다.
공급장치(20)는 S77 단계에서 단말기(10)로 어플리케이션의 제공에 따른 정보 이용료의 결제를 요청하고, 결제 요청에 따른 정보 이용료를 수금한다. 그리고, 공급장치(20)는 수금된 정보 이용료에 대한 수익금을 기 설정된 비율에 따라 일반 사용자 및 제작장치(30)와 배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판독 가능한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예컨대 기록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Compact Disk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ideo Disk)와 같은 광 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반 제안자의 요청에 따라 생성된 어플리케이션과 광고를 결합하여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써, 제안자의 제안 및 니즈를 개발자가 어플리케이션 개발에 적용하여 풍부한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개발 및 보급이 가능하고, 제작장치를 통해 개발된 어플리케이션을 개인 또는 기업으로부터 요청되는 광고데이터와 결합하여 제공함으로써, 수익구조의 다변화가 가능하고, 이를 활용한 신규 비즈니스 서비스가 가능하다. 이는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다.
10: 단말기 20: 공급장치 30: 제작장치
40: 광고장치 50: 제안자 60: 광고제공자
70: 통신망 11, 21, 31: 제어부 12: 입력부
13: 표시부 14, 22, 32: 저장부 15: 오디오처리부
16, 23, 33: 통신부 21a: 광고결합모듈 21b: 과금처리모듈
21c: 어플리케이션 제작 참여 모듈 31a: 어플리케이션생성모듈
100: 어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

Claims (14)

  1. 제안자의 요청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생성하여, 공급장치로 전송하는 제작장치;
    개인 또는 기업으로부터 요청되는 다수의 광고데이터를 수집하여 상기 공급장치로 제공하는 광고장치;
    상기 제안자의 요청을 상기 제작 장치에 전송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제작장치로부터 생성된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광고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고데이터를 결합하여 단말기로 제공하는 공급장치; 및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공급장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어플리케이션을 출력하는 단말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
  2. 제작장치, 공급장치, 및 단말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부; 및
    제안자의 요청을 확인하여 상기 제작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작장치로부터 생성된 제안자의 요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과 광고장치로부터 개인 또는 기업의 요청에 따른 복수의 광고데이터를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어플리케이션과 적어도 하나의 광고데이터를 결합하고, 상기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광고데이터가 결합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로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공에 따른 정보 이용료의 결제를 요청하고, 상기 요청에 따른 정보 이용료를 수금하고, 상기 수금된 정보 이용료에 대한 수익금을 기 설정된 비율에 따라 상기 제안자 및 제작장치와 배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광고데이터를 제안하는 개인 또는 기업으로부터 상기 광고데이터를 어플리케이션에 포함하여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는 조건에 따른 광고대금을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고데이터가 결합된 어플리케이션을 어플리케이션 목록에 등록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등록된 어플리케이션 목록을 상기 단말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QR(Quick Response) 코드 또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 중 하나의 형태로 상기 단말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작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과 상기 광고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광고데이터를 결합하는 광고결합모듈;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제공받는 단말기로부터 정보 이용료에 따른 결제를 처리하여 수금되는 수익금을 기 설정된 비율에 따라 상기 제안자, 어플리케이션 제작자, 어플리케이션 공급자 중 하나 이상에게 배분되도록 처리하고, 상기 광고장치로부터 상기 광고데이터에 대한 광고대금의 결제를 처리하는 과금처리모듈;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제작을 위한 일반 사용자의 아이디어, 경험, 니즈 중 하나 이상을 수집하고, 상기 수집된 정보에 따라 상기 제안자의 요청을 생성하여 상기 제작장치로 전송하는 어플리케이션 제작 참여 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급장치.
  8. 어플리케이션을 공급하는 공급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공급 장치로부터 제안자의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제안자의 요청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어플리케이션을 상기 공급장치로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작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어플리케이션을 생활, 소설, 교육 또는 게임 중 하나의 서비스 영역에 따라 구분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작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급장치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공에 따른 정보 이용료에 대한 비용 정산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작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안자로의 요청에 대응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생성하는 어플리케이션생성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작장치.
  12. 공급장치가 제작장치로부터 제안자의 요청에 따라 생성된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과 광고장치로부터 개인 또는 기업의 요청에 따른 복수의 광고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
    상기 공급장치가 상기 수집된 어플리케이션과 적어도 하나의 광고데이터를 결합하는 단계; 및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공급장치가 광고데이터가 결합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13. 제작장치가 제안자의 제안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작장치가 상기 제안에 따라 해당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작장치가 상기 생성된 어플리케이션을 공급장치로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플리케이션 제공 방법.
  14. 제안자의 제안에 따라 해당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어플리케이션과 개인 또는 기업의 요청에 따라 수집된 광고데이터를 결합하는 단계;
    상기 광고데이터가 결합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제공에 따른 정보 이용료에 대한 수익금을 기 설정된 비율에 따라 배분하는 단계;
    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60145103A 2016-11-02 2016-11-02 어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단말기 KR201601303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5103A KR20160130366A (ko) 2016-11-02 2016-11-02 어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5103A KR20160130366A (ko) 2016-11-02 2016-11-02 어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단말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4310A Division KR101810024B1 (ko) 2011-08-24 2011-08-24 어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0366A true KR20160130366A (ko) 2016-11-11

Family

ID=57527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5103A KR20160130366A (ko) 2016-11-02 2016-11-02 어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3036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0840A (ko) 2007-06-06 2010-04-21 도만티스 리미티드 폴리펩티드,항체 가변 도메인 및 길항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0840A (ko) 2007-06-06 2010-04-21 도만티스 리미티드 폴리펩티드,항체 가변 도메인 및 길항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3027B1 (ko) 클라우드 스트리밍을 이용한 데이터 공유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단말기 및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
CN101467152B (zh) 用于管理移动域和关键词激活应用的平台
US20150135160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application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social platform
KR102122451B1 (ko) 애플리케이션의 개발을 지원하는 플랫폼의 동작 방법 및 플랫폼을 제공하는 서버
JP2013502011A (ja) ウェブベースのマーケティング管理システム
CN104580348B (zh) 访问基于位置的内容
CN105190664A (zh) 报告移动应用的动作
CN103703460A (zh) 用于针对实时推荐的协同过滤的方法和装置
CN103444159A (zh) 用于定制设备内容的方法和装置
KR102202022B1 (ko) 유휴 휴대 단말기를 이용한 디지털 사이니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755012B1 (ko) 컨텐츠 공유 방법, 시스템 및 그의 단말기
KR101810024B1 (ko) 어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2012003757A (ja) 検索ライブラリを用いた検索システムおよび方法
WO2023217066A1 (zh) 推广信息分发方法、相关装置及通信系统
US2013011060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ed data sharing for vendor loyalty program execution
KR20140091122A (ko)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관리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KR20150132737A (ko) 광고 플랫폼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KR20160130366A (ko) 어플리케이션 제공 시스템, 이를 위한 방법, 이를 위한 장치 및 이를 위한 단말기
KR101847898B1 (ko) 문제데이터 공유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KR101244777B1 (ko) 무선 단말기용 어플리케이션 설치를 통한 광고 시스템
Gao et al. Smartmobile-ad: An intelligent mobile advertising system
Liu A taxonomy and business analysis for mobile web applications
KR20140087453A (ko) 단말기의 퀵 메뉴 편집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KR20140085626A (ko) 컨텐츠 추천 방식을 이용한 컨텐츠 제공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및 장치
KR20160019440A (ko) 광고를 위한 판촉 양식 생성 기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