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9951A - 센서가 설치된 엠알 현가장치 - Google Patents

센서가 설치된 엠알 현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9951A
KR20160129951A KR1020150061174A KR20150061174A KR20160129951A KR 20160129951 A KR20160129951 A KR 20160129951A KR 1020150061174 A KR1020150061174 A KR 1020150061174A KR 20150061174 A KR20150061174 A KR 20150061174A KR 20160129951 A KR20160129951 A KR 201601299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sensor
nitrogen gas
vehicle body
piston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11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준
Original Assignee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로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611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29951A/ko
Publication of KR20160129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99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06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both gas and liquid
    • F16F9/066Units characterised by the partition, baffle or like element
    • F16F9/067Partitions of the piston type, e.g. sliding pist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207Constructional features
    • F16F9/3235Constructional features of cylin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292Sensor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3Means for adjusting damping characteristics by varying fluid viscosity, e.g. electromagnetically
    • F16F9/535Magnetorheological [MR] fluid dam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센서가 설치된 MR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 2 실린더의 외주 면에 센서부의 센싱을 위한 요철 패턴을 구비하여 비접촉 표면적이 넓어지도록 함으로써, 외력에 의해 신축동작시 변위(이동거리, 움직임)를 정확하게 측정하여 감쇠력 제어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센서가 설치된 MR 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성은 센서가 설치된 MR 현가장치에 있어서, 일단이 차체 구조물에 연결되고, 내부에는 필요에 따라 스프링 기능을 하기 위한 질소가스를 충진할 수 있는 제 1 실린더와; 상기 제 1 실린더의 내부로 결합 되고, 내부일 측으로는 자기장의 세기에 따라 유변학적 특성이 달라지는 MR유체가 충진 되고, 타 일 측으로는 질소가스가 충진 되는 제 2 실린더와; 상기 제 1 실린더와 제 2 실린더의 내부로 형성되고 일단은 차체에 연결되고 타 일단에는 전자석으로 이루어지는 피스톤을 형성한 피스톤 로드와; 상기 제 1 실린더의 선단 외 측에 형성되는 센서부와 상기 제 2 실린더의 외주 면에 형성되는 요철 패턴으로 이루어지는 변위측정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센서가 설치된 엠알 현가장치{A mr suspension apparatus, sensor is installed}
본 발명은 센서가 설치된 MR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 2 실린더의 외주 면에 센서부의 센싱을 위한 요철 패턴을 구비하여 비접촉 표면적이 넓어지도록 함으로써, 외력에 의해 신축동작시 변위(이동거리, 움직임)를 정확하게 측정하여 감쇠력 제어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센서가 설치된 MR 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철도 차량 등의 바퀴와 차체 사이에 설치되어 차체의 중량을 지지함과 동시에 차륜의 상하 진동을 완화함으로써 승차감을 좋게 하고, 화물의 충격으로 인한 파손을 방지하며 각부에 과대 부하가 가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댐퍼(damper : 진동 에너지를 흡수하는 장치로, 제진기(制振器), 흡진기(吸振器)라고도 한다.)를 포함하는 현가 장치(suspension system, 懸架裝置)가 사용된다.
이러한 현가장치는 최근 감쇠력을 제어하기 위해 차체의 상태를 정확히 감지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하므로 차체의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다양한 종류와 구조의 센서를 이용하고 있다.
그 한 예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가장치(100)는 실린더(110)와 상기 실린더(110)의 일 단면을 관통하여 내부를 왕복 이동하도록 형성되는 피스톤 로드(120)와 상기 피스톤 로드(120)의 타 일단에 결합 되어 실린더(110)의 내부를 슬라이딩 동작하는 피스톤(130)과 상기 피스톤(130)과 실린더(110)의 일단 내면 사이에 형성되어 피스톤 로드(120)가 실린더(110)의 내부로 유입되는 양이 변화함에 따라 발생하는 내부 부피변화를 보상하기 위한 플로팅 피스톤(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실린더(110)의 밑면 또는 내부로는 피스톤 로드(120)의 변위(이동거리, 움직임)를 감지하기 위한 자기저항센서(Magneto Resistance Sensor)(150)가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 로드(120)의 외주 면에는 현가장치(100)의 감쇠력 제어에 필요한 요철 패턴(160)이 형성된다.
또, 상기 실린더(110)의 내부에는 예컨대, 자기유변유체(Magneto rheological Fluid)(MR)와 질소가스(NG)가 충진 되어 이 유체의 자기적 성질을 이용하여 유체의 유동저항을 조절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센서가 설치된 MR 현가장치는 감쇠력 제어에 필요한 자기저항센서(Magneto Resistance Sensor)가 실린더의 내부(밑면)에 형성되고, 요철 패턴이 지름이 작은 피스톤 로드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자기저항센서의 비접촉 표면적이 작고 평평하지 않아 감쇠력 제어에 필요한 신호를 제대로 송,수신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여 신호의 정확도가 저하되고 감쇠력 제어가 원활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 질소가스 스프링을 포함한 가스 스프링 댐퍼 일체형 현가장치는 구조적으로 로드 표면에 요철 패턴을 적용할 경우 이를 감지하기 어렵다. 즉, 피스톤 로드에 요철 패턴이 형성되면 자기저항센서가 장착되는 실린더 내부가 질소가스의 압축으로 인해 고압/고온의 환경을 형성하게 되므로 자기저항센서가 손상되거나 정상적으로 작동하기 어렵고, 안정성과 내구성 저하는 물론 제품수명이 현저하게 단축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10-0833329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요철 패턴을 제 2 실린더의 외주 면에 형성함으로써 자기저항센서와 요철 패턴의 비접촉 표면적이 증대되도록 하여 신호의 정확도를 향상시켜 현가장치의 거동을 정확하게 감지하여 감쇠력을 더욱더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센서가 설치된 MR 현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스톤 로드 부분에 설치된 요철 패턴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장착이 어려운 구조를 가진 현가장치에 적합한 것으로, 일체형 현가장치와 같이 피스톤 로드에 적용한 요철 패턴을 감지하기 위해 장착된 자기저항센서의 손상이나 파손을 방지하고 안정성과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센서가 설치된 MR 현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센서가 설치된 MR 현가장치에 있어서, 일단이 차체 구조물에 연결되고, 내부에는 필요에 따라 스프링 기능을 하기 위한 질소가스를 충진할 수 있는 제 1 실린더와; 상기 제 1 실린더의 내부로 결합 되고, 내부일 측으로는 자기장의 세기에 따라 유변학적 특성이 달라지는 MR유체가 충진 되고, 타 일 측으로는 질소가스가 충진 되는 제 2 실린더와; 상기 제 1 실린더와 제 2 실린더의 내부로 형성되고 일단은 차체에 연결되고 타 일단에는 전자석으로 이루어지는 피스톤을 형성한 피스톤 로드와; 상기 제 1 실린더의 선단 외 측에 형성되는 센서부와 상기 제 2 실린더의 외주 면에 형성되는 요철 패턴으로 이루어지는 변위측정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센서부는, 일단에 개구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개구부를 밀폐하는 제 1 PCB와, 상기 제 1 PCB의 외 측에 결합하는 자기저항센서와, 상기 제 1 PCB의 내측에 결합하는 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요철 패턴은 제 2 실린더의 외주 면에 요(凹)부와 철(凸)부가 번갈아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요(凹)부에는 요철 패턴을 평탄하게 하고 자기장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비자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도금(鍍金)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 2 실린더의 외주 면에 요철 패턴을 형성함과 동시에 자기저항센서를 제 1 실린더의 선단 외 측에 형성하여 자기저항센서와 요철 패턴의 비접촉 표면적이 증대되도록 하여 신호의 정확도를 향상시켜 댐퍼의 거동을 정확하게 감지하고 감쇠력을 더욱더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자기저항센서가 고압의 질소가스에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센서의 손상 및 파손을 방지하고 내구성과 수명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센서가 설치된 MR 현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센서가 설치된 MR 현가장치의 단면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센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요부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센서가 설치된 MR 현가장치의 자운스 방향 동작시 MR유체와 질소가스가 유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센서가 설치된 MR 현가장치의 리바운드 방향 동작시 MR유체와 질소가스가 유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센서가 설치된 MR 현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하기의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아울러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것은 고유의 통용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MR 현가장치(200)는 제 1 실린더(210)와 제 2 실린더(220) 및 변위측정수단(230)으로 대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제 1 실린더(210)는 일단이 차체 구조물(미도시)에 연결되고, 내부에는 필요에 따라 스프링 기능을 하기 위한 예컨대 질소가스(Nitrogen Gas : NG)가 충진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실린더(210)는 피스톤 로드(211)를 감싸도록 형성되어 피스톤 로드(211)를 외력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프링 역할이 필요 없을 경우 빈 공간으로 둘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실린더(210)의 내부로는 상기 제 2 실린더(220)가 결합 형성된다.
이에 따라, 외력 작용시 상기 제 1 실린더(210) 내의 질소가스(NG)가 압축되면서 내부 압력이 높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가스 스프링 상수가 높은 상태를 이루어 외력을 흡수하는 완충력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제 2 실린더(220)는 상기 제 1 실린더(210)의 내부로 결합 되고, 내부일 측으로는 전기장의 변화에 따라 물리적 특성이 변하는 전기유동성(Electro- Rheological)유체나, 자기장의 변화 즉, 자기장의 세기에 따라 물리적 특성인 유변학적 특성(점성)이 달라지는 MR유체(Magneto rheological Fluid)(자기유변유체)와 같은 스마트형 유체가 충진 되고, 타 일 측으로는 질소가스(NG)가 충진되어 외력 작용시 제 1 실린더(210)의 내부를 왕복 슬라이딩 동작하면서 외력을 흡수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마트형 유체를 MR유체(자기유변유체)를 적용한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 MR유체는 자화될 수 있는 금속입자를 함유하는 유체로서 주변에 자기장이 발생하면 그 영향으로 겉보기 점도가 달라지는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이하 설명하는 피스톤 로드(211)에 형성된 전류로(211a)에 인가되는 전류를 조절하여 피스톤(221) 주위의 자기장을 제어함으로써 유체의 유동저항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MR 현가장치(200)의 감쇠력이나 인장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1 실린더(210)와 제 2 실린더(220)의 내부로는 일단이 차체(미도시)에 연결되고 타 일단에는 전자석으로 이루어지는 피스톤(221)을 형성한 피스톤 로드(211)가 형성된다.
즉, 상기 피스톤 로드(211)는 일단이 차체에 연결되어 고정된 상태로 제 1 실린더(210)와 제 2 실린더(220)의 내부를 신축동작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피스톤 로드(211)의 내부에는 상기 피스톤(221)에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전류로(211a) 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MR유체는 자화될 수 있는 금속입자를 함유하는 유체로서 주변에 자기장이 발생하면 그 영향으로 겉보기 점도가 달라지는 특성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피스톤 로드(211)에 형성된 전류로(211a)에 인가되는 전류를 조절하여 전자석인 피스톤(221) 주위의 자기장을 제어함으로써 MR유체의 점성을 변화시켜 유동저항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MR 현가장치(200)에 가해지는 외력을 흡수하여 감쇠력이나 인장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2 실린더(220)의 내부 즉, 상기 질소가스(NG)와 MR유체 사이에는 플로팅 피스톤(floating piston)(222)이 형성된다.
상기 플로팅 피스톤(222)은, 제 2 실린더(220)의 왕복 슬라이딩 동작에 따라 피스톤 로드(211)가 제 2 실린더(220)의 내부로 유입되는 양이 변화함에 따라 발생하는 제 2 실린더(220)의 내부 부피변화를 보상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플로팅 피스톤(222)을 기준으로 일 측에는 피스톤 로드(211)에 의한 제 2 실린더(220)의 내부 부피변화를 보상하기 위한 질소가스(NG)가 충진 되어 있고, 다른 일 측에는 전기장이나 자기장의 변화에 따라 물리적 특성이 변하는 스마트형 유체 중, MR유체가 충진 되어 있다.
상기 질소가스(NG)와 MR유체 사이에는 플로팅 피스톤(222)이 있기 때문에, 질소가스(NG)와 MR유체는 서로 섞이지 않는다. 이러한 플로팅 피스톤(222)은 제 2 실린더(220)와 반대방향으로 운동함으로써, 제 2 실린더(220)의 내부 부피변화를 보상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피스톤(221)의 내부에는 MR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오리피스(orifice)(OF)가 형성된다.
이러한 오리피스(OF)의 구성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변위측정수단(230)은, 상기 제 1 실린더(210)의 선단 외 측에 형성되는 센서부(231)와 상기 제 2 실린더(220)의 외주 면에 형성되는 요철 패턴(232)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센서부(231)는 제 1 실린더(210)의 선단 외 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피스톤 로드(211)에 요철 패턴(232)을 형성할 경우 이하에 설명되는 자기저항센서(231c)와 접촉하는 요철 패턴(232)이 작은 곡면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자기저항센서(231c)가 요철 패턴(232)을 감지하는데 정확성이 떨어져 감쇠력 제어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 가스 실린더를 한 몸체로 하는 일체형 현가장치의 경우에는 피스톤 로드에 형성된 요철 패턴을 감지하기 위해 제 1 실린더의 내부에 자기저항센서를 설치하면 실린더 내부에 충진된 질소가스의 압축으로 인해 자기저항센서 외부에 고압이 작용하여 센서가 손상이나 파손 우려가 있으므로 신호 측정의 신뢰도와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센서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이다.
상기 센서부(231)는, 일단에 개구부(OP)가 형성된 하우징(231a), 상기 하우징(231a)의 내부에서 상기 개구부(OP)를 밀폐하는 제 1 PCB(231b), 상기 제 1 PCB(231b)의 외 측에 결합하는 자기저항센서(Magneto Resistance Sensor)(231c), 상기 제 1 PCB(231b)의 내측에 결합하는 자석(231d)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231a)의 내부에는 자기저항센서(231c)의 출력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231e)가 설치되고, 상기 신호처리부(231e)나 기타 부속회로는 제 2 PCB(231f)에 탑재된다.
상기 하우징(231a)의 외 측으로는 전원/신호선(231g)이 인출되며, 상기 전원/신호선(231g)은 자기저항센서(231c) 및 신호처리부(231e)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라인과 신호처리부(231e)의 출력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신호전송라인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의 상기 센서부(230)는 자기저항센서(231c)를 이용하여 댐퍼의 상대변위를 비접촉식으로 측정하는 것이다.
또, 상기 자기저항센서(231c)의 출력신호를 처리하는 신호처리부(231e)가 탑재된 제 2 PCB(231f)는 자기저항센서(231c)가 탑재된 제 1 PCB(231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제 1 PCB(231b)와 제 2 PCB(231f)를 FPCB등을 이용하여 연결할 수 있다. 물론 다른 전기적 연결수단이 이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센서부(231)는 별도의 제어장치(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동작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요철 패턴(232)은 제 2 실린더(220)의 외주 면에 요(凹)부(232a)와 철(凸)부(232b)가 번갈아 일정한 길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요(凹)부(232a)에는 요철 패턴(232)을 평탄하게 커버 함과 동시에 마찰에 강하고 내식성과 장식성이 뛰어나며 자기장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크롬이나 니켈과 같은 비자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도금(鍍金)층(cl)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도금층(cl)은 요(凹)부(232a)를 모두 채울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두께로 매끄럽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제 2 실린더(220)의 외주 면을 통해 요철 패턴(232)이 형성됨에 따라, 종래에 피스톤 로드에 형성하는 요철 패턴(232)에 비해 비접촉 표면적이 증대되어 상기 센서부(231)의 센싱 동작시 신호의 정확도를 향상시켜 현가장치의 거동을 정확하게 감지하고 감쇠력을 더욱더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즉, 지름이 작은 피스톤 로드(211)에 형성되는 요철 패턴에 비해 몇 배의 큰 지름으로 형성되는 제 2 실린더(220)의 외주 면에 형성되는 요철 패턴(232)은 넓고 평평하기 때문에 비접촉 표면적이 커져 상기 센서부(231)에 의해 센싱시 종래에 비해 더욱더 정확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의 변위측정수단(230)은, 요철 패턴(232)의 요(凹)부(232a)와 철(凸)부(232b) 사이의 피치가 10㎛(마이크로미터)이하인 경우에도 제 2 실린더(220)의 변위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현가장치(200)의 감쇠력을 종래에 비해 더욱더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MR 현가장치(200)가 장착된 차량의 운행시, 제 1 실린더(210)와 제 2 실린더(220)에 외력이 인가되면 압축 과정인 자운스(Jounce) 동작과 신장 과정인 리바운드(Rebound) 동작이 이루어지면서 차체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예컨대, 자운스 방향 동작인 경우 제 1 실린더(210)는 지면 쪽으로 이동하고, 제 2 실린더(220)는 차체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 로드(211)는 제 2 실린더(220) 내부로 유입되는데, 이때 유입된 피스톤 로드(211)의 부피를 보상해주기 위해 질소가스(NG)는 압축되며 플로팅 피스톤(222)은 지면 쪽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1 실린더(210)와 제2 실린더(220)에 질소가스(NG)를 주입하면 차량운행 조건에 맞는 스프링력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실린더(220) 내부에 있는 피스톤(221)에 형성된 조리개인 오리피스(OF)를 통해 지면 쪽의 MR유체가 차체 쪽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피스톤 로드(211) 내부에 있는 전류로(211a)를 통해 피스톤(221)에 전류를 인가함에 따라 피스톤(221) 내부의 오리피스(OF)를 통과하는 MR유체의 점성을 변화시켜 차량의 요구조건에 맞는 감쇠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변위측정수단(230)의 센서부(231)는 제 2 실린더(220)의 외주 면에 형성된 요철 패턴(232)의 피치를 정확하게 측정하여 제 1 실린더(210)와 제 2 실린더(220)의 이동거리(움직임)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변위측정수단(230)에 의해 감지한 제 1 실린더(210)와 제 2 실린더(220)의 정확한 이동거리를 피드백하여 감쇠력을 보다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MR 현가장치(200)가 리바운드 방향 동작시 제 1 실린더(210)와 제 2 실린더(220)에 들어 있는 질소가스(NG)는 팽창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 2 실린더(220)는 지면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MR유체는 피스톤(221)을 기준으로 차체 쪽 방향에서 지면 쪽 방향으로 오리피스(OF)를 통해 이동하게 되며, 자운스 운동과 동일하게 차량 운행조건에 맞는 감쇠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 로드(211)의 이동에 따른 제 2 실린더(220) 내부의 부피변화로 인해 질소가스(NG)는 팽창하게 되고 플로팅 피스톤(222)은 차체 쪽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MR 현가장치는 외력 작용시 제 1 실린더의 선단 측에 형성되는 센서부와 제 2 실린더의 외주 면에 형성되는 요철 패턴에 의해 제 1 실린더와 제 2 실린더의 이동거리(움직임, 변위)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므로 감쇠력 제어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의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200 : MR 현가장치 210 : 제 1 실린더
211 : 피스톤 로드 211a : 전류로
220 : 제 2 실린더 221 : 피스톤
222 : 플로팅 피스톤(floating piston) 230 : 변위측정수단
231 : 센서부 231a : 하우징
231b : 제 1 PCB 231c : 자기저항센서
231d : 자석 231e : 신호처리부
231f : 제 2 PCB 231g : 전원/신호선
232 : 요철 패턴 232a : 요(凹)부
232b : 철(凸) cl : 도금층
OP : 개구부 OF : 오리피스
NG : 질소가스 MR : MR유체

Claims (4)

  1. 센서가 설치된 MR 현가장치에 있어서,
    일단이 차체 구조물에 연결되고, 내부에는 필요에 따라 스프링 기능을 하기 위한 질소가스를 충진할 수 있는 제 1 실린더와;
    상기 제 1 실린더의 내부로 결합 되고, 내부일 측으로는 자기장의 세기에 따라 유변학적 특성이 달라지는 MR유체가 충진 되고, 타 일 측으로는 질소가스가 충진 되는 제 2 실린더와;
    상기 제 1 실린더와 제 2 실린더의 내부로 형성되고 일단은 차체에 연결되고 타 일단에는 전자석으로 이루어지는 피스톤을 형성한 피스톤 로드와;
    상기 제 1 실린더의 선단 외 측에 형성되는 센서부와 상기 제 2 실린더의 외주 면에 형성되는 요철 패턴으로 이루어지는 변위측정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가 설치된 MR 현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일단에 개구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개구부를 밀폐하는 제 1 PCB와, 상기 제 1 PCB의 외 측에 결합하는 자기저항센서와, 상기 제 1 PCB의 내측에 결합하는 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가 설치된 MR 현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철 패턴은 제 2 실린더의 외주 면에 요(凹)부와 철(凸)부가 번갈아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가 설치된 MR 현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요(凹)부에는 요철 패턴을 평탄하게 하고 자기장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 비자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도금(鍍金)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가 설치된 MR 현가장치.
KR1020150061174A 2015-04-30 2015-04-30 센서가 설치된 엠알 현가장치 KR201601299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1174A KR20160129951A (ko) 2015-04-30 2015-04-30 센서가 설치된 엠알 현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1174A KR20160129951A (ko) 2015-04-30 2015-04-30 센서가 설치된 엠알 현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9951A true KR20160129951A (ko) 2016-11-10

Family

ID=57484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1174A KR20160129951A (ko) 2015-04-30 2015-04-30 센서가 설치된 엠알 현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2995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0779B1 (ko) * 2019-07-18 2020-12-14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핀치모드의 개선 구조를 갖는 mr 댐퍼와 이를 통한 핀치모드 개선 방법
CN113007261A (zh) * 2021-02-06 2021-06-22 广西科技大学 一种齿形磁流变阻尼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3329B1 (ko) 2007-04-26 2008-05-28 에스앤티대우(주) 상대변위 측정 센서가 설치된 댐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3329B1 (ko) 2007-04-26 2008-05-28 에스앤티대우(주) 상대변위 측정 센서가 설치된 댐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0779B1 (ko) * 2019-07-18 2020-12-14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핀치모드의 개선 구조를 갖는 mr 댐퍼와 이를 통한 핀치모드 개선 방법
CN113007261A (zh) * 2021-02-06 2021-06-22 广西科技大学 一种齿形磁流变阻尼器
CN113007261B (zh) * 2021-02-06 2022-02-25 广西科技大学 一种齿形磁流变阻尼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79198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fluid damper
JP4890348B2 (ja) 相対変位測定センサーが設けられたダンパー
KR101024124B1 (ko) 가압된 자기유변 유체 댐퍼
US9457635B2 (en) Magnetic damper
US11029140B2 (en) Distance measurement sensor based on magnetic signal triangulation
KR20160129951A (ko) 센서가 설치된 엠알 현가장치
KR101679244B1 (ko) 영구 자석을 이용한 mr 유체 댐퍼
US10539203B2 (en) Replacement indicator for a shock absorber
JP2008275567A (ja) 相対変位測定センサーモジュール及びこれを用いた移動方向感知方法
CN101561241B (zh) 位置测量系统
CN110410445A (zh) 一种阻尼位移速度可测的可变阻尼半主动油压减振器
KR100947288B1 (ko) 가속도센서와 상대변위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모듈, 이를장착한 댐퍼, 이를 포함하는 전자제어 현가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차량 동작 제어 방법
US6745876B2 (en) Piston-cylinder assembly
JP6465809B2 (ja) 回転斜板の位置センサ機構
CN104832495A (zh) 悬挂油缸以及起重机
CN108535001B (zh) 一种基于电磁感应的油气弹簧蓄能器状态检测系统及方法
KR101263453B1 (ko) 자기기억형상합금(sma)을 이용한 고압 피스톤 댐퍼
CN205780039U (zh) 内置位移传感器式回路控制井架油缸
US12005755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fluid damper
KR20080011952A (ko) 자기유동성 유체를 이용한 센서내장형 연속감쇠력 가변식댐퍼
KR101051377B1 (ko) 쇼크 업소버
KR20200022821A (ko) 자동차용 쇼크 업소버
KR101161528B1 (ko) 쇼크 업소버
KR20100007049A (ko) 쇽업소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