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9822A - 화장품 첨가용액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화장품 첨가용액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9822A
KR20160129822A KR1020160144433A KR20160144433A KR20160129822A KR 20160129822 A KR20160129822 A KR 20160129822A KR 1020160144433 A KR1020160144433 A KR 1020160144433A KR 20160144433 A KR20160144433 A KR 20160144433A KR 20160129822 A KR20160129822 A KR 201601298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raw material
cosmetic
powde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4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89996B1 (ko
Inventor
김남호
Original Assignee
김남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남호 filed Critical 김남호
Priority to KR1020160144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9996B1/ko
Publication of KR20160129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9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9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9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품 첨가용액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기술구현의 목적은 실리카,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에코늄, 일라이트, 규양석 성분물질을 혼합 조성하여, 인체에 유익한 항균, 정화, 해독작용은 물론, 미네랄의 양과 원적외선 방출기능을 극대화시킨 기능성 화장품 첨가용액 생성물질을 마련하고, 그 생성물질에 의해 생성된 용액을 화장품의 제조원료로 이용하여, 인체에 유익한 성분물질들을 피부를 통해 안정적으로 흡수되게 함으로서, 피부노화를 방지하고, 인체 신진대사를 촉진되게 함은 물론, 질병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 화장품 첨가용액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따라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 수단으로는;
일련의 제조과정으로서, 원료준비공정과, 조성물 혼합공정과, 조성물 용융공정과, 용융 혼합조성물 냉각공정과, 용융 혼합조성물 용해공정과, 조성물 용해정수 여과처리공정과, 화장수 생성공정을 행하도록 하여 달성한다.

Description

화장품 첨가용액 제조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cosmetic solution}
본 발명은 화장품 첨가용액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리카(규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일련의 물질조성관계로서, 미네랄의 량과 원적외선 방출기능을 극대화시킨 화장품 첨가용액을 생성하고, 이와 같이, 생성된 용액을 화장품 제조시 주요 원료로 첨가, 피부를 통해 안정적으로 흡수되게 하여, 인체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이루어질수 있도록 한 화장품 첨가용액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급속한 산업의 발달과 폭발적인 인구의 증가로 인하여, 천혜의 자원인 물과 공기는 날로 심각한 상태로 훼손 오염되고 있는 상황이며, 이러한 자연자원의 훼손과 오염의 원인으로 인해 인간생활에 없어서는 안 될 수자원, 예컨대, 상수원 또한 그 오염의 위험수위를 넘어, 이제는 우리의 신체건강에 이르기까지 상당한 위협을 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물은 산소와 더불어 인간 생존에 가장 필수적인 요소로서, 인간은 물 없이 없는 곳에서는 생명 또한 유지할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우리의 인체는 식물과 달리 몸에서 필요한 물질을 스스로 생산할 수 없고, 외부로부터 영양물질을 섭취해야만 생명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며, 특히, 체내에서의 모든 대사반응은 물이 있어야만 가능한 것이므로, 이에 일상생활에 있어 좋은 물의 섭취는 대단히 중요한 일이라 할 수 있다.
학자들의 연구 분석에 따르면, 좋은 물은 규산이 많이 함유되고, 알칼리성이며, 산소함량이 많고, 무기 미네랄이 적당히 함유된, 6각수인 것으로 발표되고 있다.
그러나, 물의 상태가 좋지 못하거나 부족하면 인체 내의 대사반응에 균형이 쉽게 깨지기 쉬우며, 그에 따라 병이 생기는 악순환은 계속되는 것이다.
세계보건기구(WHO)는 깨끗한 물을 마시면 현재 우리 인류가 앓고 있는 질병의 80%를 제거할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는바, 인체에서 물이 하는 역할은 세포의 형태를 유지하고 대사작용을 높이며, 혈액과 조직액의 순환을 원활하게 하고, 영양소를 용해시키며, 이를 흡수 운반해서 필요한 세포로 공급해주고, 체내에서 불필요한 노폐물이나 독소를 체외로 배설시키며, 몸속에 독성물질이 생성되는 것을 예방하고, 독성물질을 묽게 하여 배출하며, 몸에 쌓이는 피로물질인 젖산을 몸 밖으로 배출시켜 주고, 면역 기능을 높임은 물론 성인병을 예방하거나 완치시키는데 공헌하며, 혈액을 중성 내지 알칼리성으로 유지시키고, 체내의 열을 발산시켜 체온조절의 역할을 하며, 관절, 뼈마디의 움직임을 윤활와 같이 원활하게 해주고, 소장과 대장에서 음식물을 녹이고 희석시켜 소화흡수에 도움을 주는 역할 등을 행하는 것으로, 이는, 주지의 사실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물속에 포함된 미네랄(Mineral)이란, 주로 광석에 포함된 광물질이나 철, 망간 등의 여러 가지 요소가 있으며 이들은 지하수가 땅속을 흐르며 돌이나 암반을 조금씩 녹여서 물에 흡수된다.
이러한, 미네랄은 무기질이라도 아주 미량이기는 하지만 사람의 인체 또는 동식물에 필수적으로 필요한 요소이다.
예컨대, 무기질로서의 미네랄(Mineral)은, 골격과 치아조직 등 체 조직 형성에 관여하며, 정상적인 심장박동, 근육수축성 조절, 신경자극전달, 체액의 산-알칼리 평형에 관여하고, 대사작용 조절기능을 가지며, 세포활동에 관여하는 효소나 호르몬의 중요한 구성요소로 작용함은 물론 당질, 지질, 단백질의 분해과정 중 에너지를 내는 반응을 활성화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행하는 것이다.
그러나 오늘날, 지구환경의 무리한 개발과 비료와 농약 등의 무분별한 사용 요인으로 인해, 미네랄의 감소가 급속히 진행되고 있는 현실인바, 따라서 현대인에게 있어, 미네랄을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또 다르게, 우리 인체에 있어 피부는, 외부의 환경적 변화요인에 대해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인바, 이에, 일반 자외선은 물론, 환경오염물질인 미세먼지나 매연, 또는, 기타 감정적 유해요인인 스트레스나 질병 등에 피부가 무방비 상태로 노출될 경우, 그 유해요인들로 인해 피부세포막의 지질부분이 산화되고, 그로 인해, 세포파괴 현상을 일으켜 피부염이나 여드름, 또는 피부암 등의 질병을 유발되게 함은 물론 피부노화를 가속화게 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통상 피부 노화 메카니즘이라 지칭하는바, 이러한, 피부 노화 메카니즘과 관련하여, 연령 증가에 따른 전신적, 내인성의 생리적 노화, 장기간 노출된 자외선에 의한 국소적인 외인성 광노화에 대한 연구가 오늘날 주목 되고 실정임을 알 수 있다.
특히, 미용의 대상으로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안면, 두부 등은 광 노화의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밝혀져, 인체 피부나 동물 모델의 광노화 및 주름 형성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광노화에 따라 피부 내부 구조가 변화하는데, 그 예로서 표피, 진피의 비후화 또는 엘라스틴의 축적, 또는 탄성섬유의 입체구조 변화 등이 보고된 바 있다.
또한 피부구조의 주요 구성성분 골격인 콜라겐과 관련하여 콜라겐 섬유의 미세섬유화, 섬유형태의 약화 등이 밝혀지고 있다.
그러나, 콜라겐 섬유가 묶여서 형성된 콜라겐 섬유 다발에 대해서는, 광노화에 의한 구조 변화, 피부 물성의 변화 등에 대하여 지금까지 충분한 검토가 이루어지지 않고, 피부 상처 치료 과정의 연구 등에 의해 피부의 강인성 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에 관해서 알려져 있을 뿐이다.
최근, 피부 노화 연구의 주류를 이루는 것으로 밝혀진 오존층의 파괴로 인한 태양광의 직간접적인 영향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이다.
피부 노화 방지 또는 피부 주름개선을 위한 종래의 방법은, 아스코르브산, α-토코페롤, 레티놀 및 그 유도체, SOD 등을 함유한 화장료나 의약품을 제조하여 사용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화장료나 의약품은 가격이 고가일 뿐만 아니라 화학적 안정성이 좋지 못하여 의약품이나 식품 분야뿐만 아니라 화장품 산업 분야에서 실질적인 효과를 기대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본원 발명자에 의해 선출원 등록된 "규소조성물 및 이를 함유한 음용수 제조방법"(특허등록 제0883825호)과, "규소조성물을 함유한 식품첨가용액 제조방법"(특허등록 제1363773호)에 대한 원천기술을 응용 개량하여, 단순 음용관계가 아닌, 피부를 통해 흡수되는 유용한 화장수를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실리카(규소)조성물이 함유된 화장품 첨가용액을 이용하여, 종래 화장품이 갖는 제반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실리카(규소),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에코늄, 일라이트, 규양석 성분물질을 혼합 조성하여, 인체에 유익한 항균, 정화, 해독작용은 물론, 미네랄의 양과 원적외선 방출기능을 극대화시킨 화장품 첨가용액 생성물질을 마련 하고, 그 생성물질에 의해 생성된 용액을 화장품의 제조원료로 이용되게 하여, 상기 인체에 유익한 성분물질들을, 일상적 화장이라는 행위를 통해 피부에 안정적으로 흡수되게 함으로서, 피부노화를 방지하고, 인체 신진대사를 촉진되게 함은 물론, 질병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 화장품 첨가용액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첨가용액 제조방법의 구체적 수단으로는;
일련의 제조과정으로서, 원료준비공정과, 조성물 혼합공정과, 조성물 용융공정과, 용융 혼합조성물 냉각공정과, 용융 혼합조성물 용해공정과, 조성물 용해정수 여과처리공정과, 화장품원료 생성공정을 행하도록 하여 달성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첨가용액 제조방법 제조방법은, 인체에 유익한 항균, 정화, 해독작용은 물론, 미네랄과 원적외선 방출기능이 우수한 원료들의 조성관계, 예컨대, 실리카(규소),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에코늄, 일라이트, 규양석으로 이루어진 혼합 조성관계로서, 화장품 첨가용액 생성물질을 형성하고, 그 혼합 조성물에 의해 생성된 용액을 화장품의 제조원료로 이용되게 하여, 상기 인체에 유익한 성분물질들을, 단지 화장이라는 행위만을 통해 피부에 안정적으로 흡수되게 함으로서, 피부노화를 방지하고, 인체 신진대사를 촉진되게 함은 물론, 질병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는 매우 유용한 기대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화장품 첨가용액 생성물질의 성분혼합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첨가용액 제조방법의 공정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화장품 첨가용액에 의해 유분이 제거된 화장품의 일예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화장품 첨가용액의 주요성분 분석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첨가용액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 구성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첨부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주요 물질구성관계를 먼저 살펴보면, 이는, 실리카(규소),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에코늄, 일라이트, 규양석 성분으로 이루어진 화장수 첨가용액 생성물질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실리카(silica:규소)는, 주기율표 제4B족의 탄소족원소에 속하는 비금속원소로써, 원소기호 Si, 원자번호 14, 원자량 28.0855, 녹는점 1414℃, 끓는점 2335℃, 비중 2.33(18℃)이고, 이러한 규소는 자연계에는 유리상태로 산출되지 않고, 산화물, 규산염 등으로 존재하며, 암석권의 주요 구성성분이 되어 있다.
이러한 성분으로서의 실리카는, 인체의 건강을 유지하는데, 꼭 필요한 미량의 미네랄로서, 일반 성인의 경우 1일 평균 10mg ~ 40mg이 소비한다.
아울러, 규소는 인간을 포함한 모든 생명체의 피부, 혈관, 뼈, 관절, 결합조직, 임파선, 배, 근육, 손발톱, 이빨, 모발, 기관지 등에 존재하는 것이며, 더 나아가 영구적인 미약전류(0.04mA)를 발생시키고, 원적외선(4~14마이크론)을 방사하여 물 분자를 음이온화 시킴과 동시에 약 알칼리성(Ph7.5)이라는 물질 특성을 갖는 것임을 주지의 사실로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산나트륨(sodium carbonate)은 탄산의 나트륨염을 말하는 것으로, 탄산소다, 소다라고도 하며, 무수물(無水物)은 소다회, 수화물은 세탁소다, 결정소다라고도 한다.
화학식은 Na2CO3이며, 무수물은 백색분말로, 흡습성이 강하다. 일반적으로 1수화물, 7수화물, 10수화물이 알려져 있다. 100g의 물에 0℃에서 7.1g, 100℃에서 45.5g 용해한다. 알코올, 에테르 등에는 녹지 않는다. 수용액은 아래 화학식 1과 같이 분해하여 알칼리성을 나타낸다.
(화학식 1)
Na2CO3+H2O→NaOH+NaHCO3
탄산나트륨에 염산(HCl)이나 황산 등의 강산성을 가하면 아래 화학식 2와 같이 이산화탄소(CO2)를 발생한다.
(화학식 2)
Na2CO3+2HCl→2NaCl+H2O+CO2↑
탄산나트륨을 알칼리성으로 규소와 같은 비율로 용융로에서 1500~1650℃온도로 가열하면 규산나트륨이 된다.
이와 같이, 형성되는 규산나트륨(sodium silicate)은 규산의 나트륨염으로서, 규산소다라고도 한다. 조성에 따라 메타규산나트륨(Na2SiO3), 그 수화물인 오르토규산나트륨(Na4SiO4), 이규산나트륨(Na2Si2O5) 등 여러 가지가 있으나, 보통은 메타규산나트륨을 말한다.
수화물(水和物)도 있으나, 무수물은 규소와 탄산나트륨의 혼합물을 1600~1700℃ 온도로 가열 융해하여 고체화시켜서 만든다. 메타규산나트륨은 물에 잘 녹으며, 수용액은 가수분해하여 알칼리성이 된다. 규산나트륨의 진한수용액을 물유리라 하며, 조성은 일정하지 않다.
규산나트륨에 속한 규산염(SiO3)은 수질의 유기성 물질을 분해하는 자정능력을 가진 무공해 규석을 주체로 하는 청정제로써, 반도체 산업 및 바이오산업 등 최첨단 산업에서 식품용기의 방식제에 사용되고 있다.
또한, 미국 식품안정청(F.D.A)에서 식품첨가제로 승인에 따른 무해성을 인정받고 있다.
규산염 성분이 포함된 규산 나트륨은 물로 생성된 모든 자연의 물질을 중화시키며, 산성화 물질을 알칼리성 물질로 전환하는 자정능력 등을 가지는 물질이다.
규산염은 규석(silicate)이 많은 하천이나 냇물의 정화능력이 향상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물의 변질을 막는 보존제의 형태로 개발되어 사용되었다.
이런, 규석(Silicate)에는 5대 영양소 중의 하나인 미네랄로 철, 요오드, 아연, 구리, 셀레늄, 망간, 몰리브덴, 불소 등의 미량원소를 함유하고 있다.
이러한, 규산염은 강알칼리성을 가져 산성을 중화하는 것뿐만 아니라, 자정능력을 향상시키는 원적외선이 방사된다.
이런 원적외선은 적외선영역(0.76~1000㎛) 중 인간에게 가장 유익한 파장의 영역(8~14㎛)이며, 생체를 구성하는 유기체와 공명현상을 잘 일으켜 인체가 받아들이기 좋은 파장대이다.
원적외선은 인체 내 세포를 구성하는 수분 등, 분자에 방사되어 세포를 분당 2000번 이상 미세하게 흔들어주는 진동을 통하여 세포조직을 활성화시켜 생명활동을 보다 왕성하게 해주며, 이러한, 세포활동과정에서 세포내부에 서 열에너지를 발생시킬 뿐만 아니라, 인체 내 세포가 갖고 있는 유해물질인 노폐물을 자연스럽게 배출시키는 효과가 있다.
원적외선은 인체의 가장 기본조직인 세포에 영향을 미쳐 혈액순환을 촉진시키고, 인체의 자기방어능력을 강화시켜 스스로 건강을 회복하는데 도움을 준다.
또한, 원적외선은 발한작용을 통한, 촉진, 통증완화, 중금속 제거, 쾌적한 숙면효과, 탈취효과, 방균효과, 곰팡이 번식방지, 제습효과, 방충효과, 공기정화 등의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탄산칼륨(potassium carbonate)은 탄산의 칼륨염으로써, 탄산칼리, 칼리라고도 한다. 화학식 K2CO3, 백색분말로 식물의 태운 재 속에 함유되어 있으며. 녹는점은 891℃, 비중 2.29이다.
조해성이 있고, 수용액은 가수분해하여 염기성을 보이며, PH는 11.6이다. 수용액으로 탄산칼륨을 결정화시킬 때는 수화물이 생긴다. 산과 작용시키면 이산화탄소가 발생하고. 또한, 이산화탄소를 발생하면서 중탄산칼륨으로 변한다. 수산화칼륨 수용액을 반응조에 넣고, 교반하면서 이산화탄소를 불어넣어 탄산칼륨수용액을 만들고, 거른 후 증발, 건조시키거나, 탄산칼륨수용액에 다시 이산화탄소를 불어넣어 중탄산칼륨으로 결정을 만들어, 회전로를 사용하여 가수분해하여 얻는다. 또, 탄산나트륨을 제르브랑법과 비슷한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도 있다. 즉, 염화나트륨 대신 염화칼륨과 진한 황산을 높은 온도에서 작용하여 환산칼륨으로 하고, 이것을 탄소로 환원시켜 황화칼륨으로 변화시켜 다시 탄산칼슘을 작용시키면 탄산칼륨과 황화칼슘이 생긴다. 이 생성물을 물에 담그면 탄산칼륨이 녹음에 따라 이것을 여과한 다음 증발, 건조시킨다. 칼리비누, 칼리유리, 광학유리 등의 제조원료, 염색, 가죽무두질, 사진, 분석시약과 의약품의 제제원료, 화학조작 등에 사용되며, 이러한, 탄산칼륨은 미네랄의 일종으로 칼륨을 공급하는 의약제제에 사용되는 물질 특성을 갖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에코늄은, 천연광물질로서, 규칙적인 생체 파동에너지를 발생하여, 강력한 살균 및 멸균작용을 행하는 것일 뿐만 아니라,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 또한 다량 방출되게 하는 물질특성을 갖는 것이다.
또한, 상기 일라이트(K,H3O)Al2(Si,Al) 4O10(H2O,OH)2는, 미립질의 광물로서, 일반적인 백운모와 흡사한 판상의 점토광물에 해당되고, 화학조성은 백운모에 비하여 칼륨(K)과 알루미늄(Al)은 적으나, 규소(Si)와 물(H2O)은 약간 더 많이 포함하고 있는 물질 구성인바, 이에, 이러한, 일라이트는 주지된 바와 같이, 원적외선 방출작용에 따른, 공명흡수작용에 의해, 인체 에너지를 활성화하여, 신진대사를 촉진되게 함으로서, 운동부족해소, 노화방지, 피로회복 등의 효과를 제공하고, 병균감염, 종기를 치료하기 위한 배농(排膿)용으로 효과가 크며, 기타, 정화작용,해독작용 뿐만 아니라 관절통, 근육통, 벌레 물린데 등에 효과가 있는 주지의 물질특성을 갖는 것이다.
끝으로, 상기 귀양석은, 약 6,500만년전, 지각변동에 따른 고온난수 작용에 의해 형성된 광산에 존재하는 천연광석으로서, 이는, 산화규소, 산화알루미늄, 산화칼륨, 산화나트륨, 산화칼슘 등이 주성분을 이루고 있으며, 그 물질 특성은, 음이온 발생량이 최대 9,451(개/cc)이고, 원적선방사율이 평균 96%로 수치를 나타내는, 높은 에너지 응축물질로서의 특징을 갖는 것이다.
이에, 전술한 바와 같은, 특징적 기능의 물질성분, 예컨대, 화장품 첨가용액 생성물질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첨가용액 제조방법을 구현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일련의 방법적 구성은, 도 2로 도시된 바와 같이,
원료준비공정(S1)과, 조성물 혼합공정(S2)과, 조성물 용융공정(S3)과, 용융 혼합조성물 냉각공정(S4)과, 용융 혼합조성물 용해공정(S5)과, 조성물 용해정수 여과처리공정(S6)과, 화장품원료 생성공정(S7)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여기서, 먼저 상기 원료준비공정(S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화장품 첨가용액 생성물질들을 각 성분별로 구분하여 준비하는 과정으로서, 먼저, 그들 성분별 물질, 예컨대, 실리카와, 탄산나트륨과, 탄산칼륨과, 에코늄과, 일라이트와, 규양석 원료를 종류별로 분리하여 마련하고, 이와 같이 마련된 성분물질들을 각각 개별적인 분리 형태로 산업용 원료분쇄기(도시생략)에 투입하여, 10~15㎛ 입자크기의 분말로 형태로 분쇄,가공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게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성물 혼합공정(S2)은, 전술한 원료준비공정(S1)을 통해 분쇄가공된 성분물질에 있어, 먼저 실리카분말을 20~25% 중량비율 하여, 여기에, 탄산나트륨 분말 60~65% 중량비율, 탄산칼륨 분말 2~5% 중량비율, 에코늄 분말 2~4% 중량비율, 일라이트 분말 2~4% 중량비율, 규양석 분말 2~4% 중량비율로 각각 첨가 혼합하고, 이어, 이들을 산업용 믹싱장치(도시생략)에 투입하여, 고르게 혼합 조성되게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게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성물 용융공정(S3)은, 전술한 조성물 혼합공정(S2)을 통해 혼합된 조성물을, 재차, 산업용 용융로(도시생략)에 투입하여, 1500~1650℃의 온도범위 내에서 8시간 내지 9시간 동안 가열하고, 이와 같은, 고온의 열에 의해 상기 혼합된 성분들을 용융되게 하여, 용융혼합 조성물을 형성되게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게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이와 같은, 조성물 용융공정(S3)에 있어, 1500~1650℃의 범위로 고온이 가해질 경우, 조성물질에 포함된 성분물질 중 규소와 탄산나트륨은 상호 반응하여 규산나트륨을 생성하게 된다.
또한, 상기 용융 혼합조성물 냉각공정(S4)은, 전술한, 조성물 용융공정(S3)을 통해 용융된 용융혼합 조성물을 용융로에서 추출하여, 이를 상온에서 5~10시간 범위로 1차 자연 냉각시키고, 이와 같이, 1차적 형태로 자연냉각된 용융혼합 조성물을 재차, 동결건조기에 투입하여,영하 1~ 3도의 온도범위에서 10~15시간 범위로 2차 냉각 건조되게 하여, 그 냉각 건조된 용융혼합 조성물이 고형체를 이루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용융 혼합조성물 용해공정(S5)은, 전술한, 용융 혼합조성물 냉각공정(S4) 통해 냉각된 용용혼합 조성물을 산업용 원료분쇄기(도시생략)에 재투입하여, 이를 10~20㎛의 분말입자크기로 분쇄,가공하고, 이와 같이, 분쇄처리된 용융혼합 조성물 분말을 정수가 충진된 용해용기(도시생략)에 투입하여 120~240시간 범위의 용해과정과, 이후, 36~48시간 범위의 자연정제 과정을 통해 용해처리토록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게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성물 용해정수 여과처리공정(S6)은, 전술한, 용융혼합 조성물 용해공정(S5)을 통해 생성된 조성물 용해정수를 산업용 여과처리기장치(도시생략)에 투입하여, 그 조성물 용해정수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되도록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게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불순물이 제거된 상태의 조성물 용해정수의 투명도는 95~100%범위를 그 도달 목표로 하는 것인바, 이에, 1차 여과처리를 통한 불순물 제거과정에 있어, 조성물 용해정수의 투명도가 목표하는 바에 도달하지 못할 경우, 용해정수 여과처리공정(S6)을 1회 이상 반복하여 진행할 수 있는 것으로,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는 것은 아니다.
끝으로, 상기 화장품원료 생성공정(S7)은, 전술한, 조성물 용해정수 여과처리단계(S6)를 통해 투명도 95~100% 범위로 불순물이 제거된 조성물 용해정수를, 화장품의 제조원료에 첨가하는 하는 과정을 행하게 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화장품 첨가용액 생성물질을 이용한 화장품 첨가 용액 제조방법을 구현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이와 같은, 화장품원료 생성공정(S7)을 통해 조성물 용해정수가 원료로 제공되는 화장품의 종류를 살펴보면, 이는, 스킨, 로션, 영양크림, 썬크림, 헤어크림, 바디크림 등등, 그 종류에 구애받음 없이 모든 화장품의 제조원료로 다양하게 첨가 이용할 수 있는 것이며,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생성된 조성물 용해정수를 화장품 원료로 첨가할 경우, 그 조성물 용해정수의 성분특성, 예컨대, 풍부한 미네랄 함유와 더불어, 살균, 제독, 탈취 등의 작용으로 인해, 통상의 화장품 제조시 첨가되는 방부제(파라벤 등)의 사용을 원천적으로 배제할 수 있는 것임은 물론, 도 3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장품에 포함된 무해지방(유분)을 효과적으로 감소 되게 하여, 화장시 피부노화를 방지하고, 인체 신진대사를 촉진하며, 질병예방에 도움을 주는 기능을 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전술한 바와 같은, 일련의 제조방법을 통해 생성된 화장품 원료 첨가용액은 실리카(규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일련의 물질조성관계를 갖는 것으로, 이러한 실리카(규소) 성분 특징은 아래 [표1] 성분 인증서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다.
[표 1 ] 성분인증서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한편, 또 다르게,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화장품 첨가용액을 원료로 하여 제조된 화장품에 대한 관능 시험결과는 아래 [표2]로 확인되는 바와 같은 결과를 갖는 것임을 알 수 있다.
[표2] 관능시험 결과표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S1 : 원료준비공정
S2 : 조성물 혼합공정
S3 : 조성물 용융공정
S4 : 용융혼합 조성물 냉각공정
S5 : 용융혼합 조성물 용해공정
S6 : 조성물 용해정수 여과처리공정
S7 : 화장수 생성공정

Claims (2)

  1. 실리카와, 탄산나트륨과, 탄산칼륨과, 에코늄과 일라이트와, 규양석 원료를 종류별로 분리하여 원료분쇄기에 투입한 후, 이들을 10~20㎛의 입자크기로 분쇄,가공하는 원료준비공정(S1);
    상기 원료준비공정(S1)을 통해 분쇄된 규소분말을 20~25% 중량비율하고, 여기에, 탄산나트륨 분말 60~65% 중량비율, 탄산칼륨 분말 2~5% 중량비율, 에코늄 분말 2~4% 중량비율, 일라이트 분말 2~4% 중량비율, 규양석 분말 2~4% 중량비율을 갖는 규양석 분말로 혼합하여, 이들을 믹싱장치에 투입하여 혼합되게 하는 조성물 혼합공정(S2);
    상기 조성물 혼합공정(S2)을 통해 혼합된 조성물을 용융로에 투입, 1500~1650℃의 온도범위에서 8~9시간 동안 가열하여 용융 용융혼합 조성물을 형성하되, 그 고온의 열에 의해 조성물에 포함된 실리카와 탄산나트륨은 상호 반응하여 규산나트륨을 생성되게 하는 조성물 용융공정(S3);
    상기 조성물 용융공정(S3)을 통해 용융 혼합된 조성물을 상온에서 1차 냉각시키고, 1차 냉각된 용융혼합 조성물을 동결건조기에 투입하여,영하 1~ 3도의 온도범위에서 2차 냉각되게 하여 고형화시키는 용융혼합 조성물 냉각공정(S4);
    상기 고형화 냉각된 용용혼합 조성물을 원료분쇄기에 재투입하여, 10~20㎛의 분말입자크기로 분쇄,가공하고, 이와 같이, 분쇄된 용융혼합 조성물 분말을 정수에 투입하여 120~240시간 범위의 용해과정과, 이후, 36~48시간 범위의 자연정제 과정을 통해 용해처리하여 조성물 용해정수를 생성하는 용융혼합 조성물 용해공정(S5);
    상기 용융혼합 조성물 용해공정(S6)을 통해 생성된 조성물 용해정수를 여과처리기장치에 투입, 그 조성물 용해정수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되도록 하여, 불순물이 제거된 조성물 용해정수의 투명도를 95~100%범위에 도달되도록 하는 조성물 용해정수 여과처리공정(S6);
    상기 조성물 용해정수 여과처리공정(S6)을 통해 불순물이 제거된 조성물 용해정수를 화장품 제조원료 첨가 제공하는 화장품원료 생성공정(S7)을 통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첨가용액 제조방법
  2.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품원료 생성공정(S7)을 통해 조성물 용해정수가 원료로 첨가되는 화장품은, 스킨, 로션, 영양크림, 썬크림, 헤어크림, 바디크림 중 어느 하나의 화장품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첨가 용액 제조방법
KR1020160144433A 2016-11-01 2016-11-01 화장품 첨가용액 제조방법 KR101689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4433A KR101689996B1 (ko) 2016-11-01 2016-11-01 화장품 첨가용액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4433A KR101689996B1 (ko) 2016-11-01 2016-11-01 화장품 첨가용액 제조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6930A Division KR20160095539A (ko) 2015-02-03 2015-02-03 기능성 화장품의 원료로 이용되는 첨가용액용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첨가용액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9822A true KR20160129822A (ko) 2016-11-09
KR101689996B1 KR101689996B1 (ko) 2016-12-26

Family

ID=57529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4433A KR101689996B1 (ko) 2016-11-01 2016-11-01 화장품 첨가용액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99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2696B1 (ko) * 2021-01-12 2021-07-05 조이바이오 주식회사 농업회사법인 식물성 규산을 이용한 미네랄 알칼리염 제조와 그에 의해 제조된 미네랄 알칼리수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4988A (ko) * 2005-07-28 2007-02-01 최영남 아토피성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64462B1 (ko) * 2006-12-27 2007-10-05 장정만 생물체에 적용되는 다종 미네랄을 함유하는 규산염제조제법
KR20130038019A (ko) * 2011-10-07 2013-04-17 김주태 수용성 규산염 혼합 분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363773B1 (ko) * 2012-11-13 2014-02-14 김남호 규소 조성물을 함유한 식품첨가 용액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14988A (ko) * 2005-07-28 2007-02-01 최영남 아토피성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64462B1 (ko) * 2006-12-27 2007-10-05 장정만 생물체에 적용되는 다종 미네랄을 함유하는 규산염제조제법
KR20130038019A (ko) * 2011-10-07 2013-04-17 김주태 수용성 규산염 혼합 분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363773B1 (ko) * 2012-11-13 2014-02-14 김남호 규소 조성물을 함유한 식품첨가 용액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2696B1 (ko) * 2021-01-12 2021-07-05 조이바이오 주식회사 농업회사법인 식물성 규산을 이용한 미네랄 알칼리염 제조와 그에 의해 제조된 미네랄 알칼리수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9996B1 (ko) 2016-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3773B1 (ko) 규소 조성물을 함유한 식품첨가 용액 제조방법
Ziemska et al. Natural medicinal resources and their therapeutic applications
Sandu et al. Salt and human health: science, archaeology, ancient texts and traditional practices of Eastern Romania
KR20170065851A (ko) 천연 광물질을 이용한 미네랄복합체의 효율적인 제조방법
KR101689996B1 (ko) 화장품 첨가용액 제조방법
KR20160095539A (ko) 기능성 화장품의 원료로 이용되는 첨가용액용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첨가용액의 제조방법.
KR100883825B1 (ko) 규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한 음용수 제조방법
KR101834634B1 (ko) 실리카를 주성분으로 하는 항균조성물질 및 그 조성물질을 이용한 위생용품 제조방법
KR20060108282A (ko) 천연의 미네랄을 포함하는 미용맛사지팩의 제조방법
CN1742703A (zh) 一种死海漂浮盐疗洗浴溶液
KR101246849B1 (ko) 미네랄 수용액 및 그 제조방법
KR100993571B1 (ko) 미네랄 함유수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미네랄 함유수
KR100764462B1 (ko) 생물체에 적용되는 다종 미네랄을 함유하는 규산염제조제법
KR102251461B1 (ko) 고 순도 규소와 천일염을 이용한 수용성 알칼리염과 그에 의해 제조되는 미네랄 알칼리수의 제조방법
KR20160100174A (ko) 광물가루 가공방법 및 가공장치
KR19990065878A (ko) 머드팩의 제조방법
KR20140098037A (ko) 인공온천 입욕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73326A (ko) 미네랄 성분을 함유한 미네랄제재 및 이를 이용한 미네랄 지장수
KR100665966B1 (ko) 규산염과 은행잎추출물로 제조되는 입욕제의 조성물 및제조제법
KR20160030491A (ko) 광물가루 가공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724071B1 (ko) 천연 광물로 구성된 겔상의 미용품 및 그 제조방법
KR100815403B1 (ko) 수용성 미네랄이 코팅(coating)된 알칼리 쌀의 제조제법
JP2015054192A (ja) ホタテ液冷水製造法
KR100794326B1 (ko) 원적외선 방사 황금 소금
CN102210709A (zh) 一种鳄鱼甲粉末的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