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9716A - Flat type drone - Google Patents

Flat type dr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9716A
KR20160129716A KR1020160037999A KR20160037999A KR20160129716A KR 20160129716 A KR20160129716 A KR 20160129716A KR 1020160037999 A KR1020160037999 A KR 1020160037999A KR 20160037999 A KR20160037999 A KR 20160037999A KR 20160129716 A KR20160129716 A KR 201601297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propeller
frame body
drones
p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799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725444B1 (en
Inventor
장민하
Original Assignee
장민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민하 filed Critical 장민하
Priority to KR1020160037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5444B1/en
Publication of KR20160129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97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5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544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04Helicopters
    • B64C27/08Helicopters with two or more r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04Helicopters
    • B64C27/12Rotor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7/00Rotorcraft; Rotors peculiar thereto
    • B64C27/20Rotorcraft characterised by having shrouded rotors, e.g. flying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35/00Transmitting power from power plants to propellers or rotors; Arrangements of transmissions
    • B64D35/02Transmitting power from power plants to propellers or rotors; Arrangements of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ower pl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7/00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7/08Arrangements of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10/00Type of UAV
    • B64U10/10Rotorcraf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30/00Means for producing lift; Empennages; Arrangements thereof
    • B64U30/20Rotors; Roto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10Propulsion
    • B64U50/13Propulsion using external fans or propellers
    • B64U50/14Propulsion using external fans or propellers ducted or shrou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50/00Propulsion; Power supply
    • B64U50/10Propulsion
    • B64U50/19Propulsion using electrically powered motors
    • B64C2201/024
    • B64C2201/042
    • B64C2201/108
    • B64C2201/12
    • B64C2201/16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at type drone, comprising: a body of a plate shape having a predefined thickness, to provide a space portion; a driving package installed in the space portion of the body, provided with a control unit, a transmitting/receiving unit, and a battery; and a motor and a propeller installed in the space portion of the body, to fly the body by receiving a control signal from the driving pack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lat type drone of the plate shape having a predefined thickness provides an excellent portability capable of being carried in a fully packed bag or backpack and even in a small pocket, by overlapping with other mobile devices such as a tablet PC, a smartphone or a book. Furthermore, the flat type drone is able to be used as an auxiliary battery to supply emergency power to the mobile device by connecting through an additional cable, when not used as the flying drone. The flat type drone comprises a touch panel to input various information or to display the information such as a flight distance of the drone, a remaining battery amount, a flight distance to empty, etc. to enable an intuitive use, and the driving package is able to be managed and used separately as necessary, as the driving package including the control unit, the battery, the touch panel, the GPS, a camera module, etc. is detachable.

Description

플랫형 드론{Flat type drone}Flat type drone}

본 발명은 플랫형 드론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at drones.

무선통신 방식을 통해 원격 제어되는 드론은, 처음에는 군사용으로 개발되어 단순한 사격연습에 사용되었으나, 전자 통신기술의 지속적 발전에 따라 군사용 뿐 아니라 그 이외의 다양한 분야로 확대 보급되고 있다. The drones, which are remotely controll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were initially developed for military use and used for simple shooting practice. However, as the electronic communication technology continues to develop, the drones are being widely used not only for military use but also for various other fields.

가령, 사람이 쉽게 접근할 수 없는 각종 재해나 사고지역 또는 정글이나 오지 또는 화산지역 등으로 투입되어, 현장의 상황파악이나 인명구조 또는 방송용 영상을 얻기 위하여 사용되기도 하고, 배송회사에서 물품수송의 상업적 목적으로 운용한다거나, 감시카메라를 대신하는 보안 및 관제서비스에 적용되기도 한다. 최근에는 드론의 일반화에 따라 많은 사람들이 취미생활을 목적으로 드론을 구입하기도 한다.For example, it can be used for various disasters or accident areas that people can not easily access, jungles, ogres, volcanoes, etc. Or to security and control services on behalf of surveillance cameras. Recently, according to the generalization of drones, many people buy drones for hobbies.

이러한 드론은 지상의 콘트롤러로부터 송출되는 제어신호를 받아 원격 제어된다. 드론 오퍼레이터는 드론과 매칭된 콘트롤러를 이용해 드론의 비행이나 영상촬영 등 필요한 동작을 수행하게 한다.These drones are remotely controlled by receiving a control signal transmitted from a ground controller. The drone operator uses the drones and matched controllers to perform necessary actions such as flying the drones and shooting images.

최근에는 태블릿피씨나 스마트폰 등을 포함하는 모바일기기에서 구동되는 드론 제어 애플리케이션도 개발된 바 있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은 기존의 투박하고 커다란 콘트롤러를 따로 가지고 다닐 필요 없이, 자신이 늘상 휴대하고 있는 스마트폰으로 드론을 제어할 수 있어 매우 간편하다.In recent years, a drones control application has been developed that runs on mobile devices including tablet PCs and smart phones. This application is very simple because you can control the drones with your own smartphone, which you do not have to carry around with any tough, big controller.

한편, 종래의 일반적인 드론은, GPS와 전원과 제어부 등이 자리하고 있는 본체와, 상기 본체와 연결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연장단부에 구비되는 모터 및 프로펠러 등의 기본 구성을 갖는다.The conventional drones include a main body having a GPS, a power source, and a control unit, a frame connected to the main body and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motor and a propeller provided at the extending end of the frame. .

가령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559898호에 개시된 드론에는, 중심부와, 상기 중심부로부터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분기부와, 각 분기부의 단부에 구비되는 모터 및 프로펠러와, 모터의 하부에 설치되는 각종 센서를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다.For example, the drone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559898 include a center portion, a plurality of branch portions extending in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center portion, a motor and a propeller provided at the end portions of the respective branch portions, And has a structure including various sensors.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드론을 포함하는 기존 드론은, 거의 대부분, 프로펠러와 모터를 지지하는 프레임이 사방으로 길게 연장된 구조를 가지고 또한 프로펠러가 프레임의 단부에 위치된 형태를 취하므로, 휴대하기가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었다. 크기가 작은 미니드론이라 하더라도 가방에 다른 물건과 함께 넣어 다닐 수 없는 것이다. 프레임이나 프로펠러가 가방속의 물건에 눌려 휘어지거나 부러질 수 있기 때문이다. However, the conventional drones including the conventional drones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propeller and the frame supporting the motor are elongated in four directions and the propeller is positioned at the end of the frame, There was a disadvantage of being. Even small mini drones can not be put in the bag with other things. This is because the frame or propeller can be bent or bent by the object in the bag.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가방이나 포켓 등에 수납하더라도 다른 물건에 눌려 손상이나 변형될 염려가 없어 그만큼 휴대성이 뛰어나고, 더 나아가 별도의 케이블을 통해 모바일기기와 접속시켜 모바일 기기에 비상용 전력을 공급하는 보조배터리의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으며, 아울러, 각종 정보를 입력하거나 출력하는 터치패널을 구비하여 직관적 사용이 가능하고, 제어부, 배터리, 터치패널, GPS, 카메라 등이 패키징되어 있는 구동팩을 착탈 가능하게 적용하여, 필요시 구동팩을 따로 분리하여 활용할 수 도 있는 플랫형 드론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device which is excellent in portability even when stored in a bag or a pocket, A battery, a touch panel, a GPS, a camera, and the like are packaged in the case where the touch panel is used for intuitive us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lat type dron which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a driving pack and which can be separated and used separately if necessary.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플랫형 드론은, 일정두께를 갖는 플레이트의 형태를 취하는 프레임바디와; 상기 프레임바디에 구비되며, 제어부와 송수신부와 배터리와 카메라모듈과 GPS와 터치패널이 포함되어 있는 구동팩과; 상기 프레임바디의 내부 영역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구동팩으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동작하는 것으로서, 상기 프레임바디 두께 이하의 두께를 가지는 다수의 프로펠러케이스와, 상기 프로펠러케이스에 수용되며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프로펠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lat-type dron comprising: a frame body in the form of a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 driving pack provided in the frame body and including a controller, a transceiver, a battery, a camera module, a GPS, and a touch panel; A plurality of propeller cases having a thickness equal to or less than a thickness of the frame body and receiving power from the battery pack, the propeller case being installed in an inner region of the frame body, And a propeller rotating by the motor.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플렛형 드론은, 일정두께를 갖는 플레이트형 프레임바디와; 상기 프레임바디에 구비되며, 제어부와 송수신부와 배터리와 카메라모듈과 GPS와 터치패널이 포함되어 있는 구동팩과; 상기 프레임바디에 위치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것으로서, 상기 프레임바디 두께 이하의 두께를 가지는 다수의 프로펠러케이스와, 상기 프로펠러케이스에 수용되며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프로펠러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바디에는, 상기 프로펠러케이스를 위치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부가 구비되며, 상기 프로펠러케이스에는 상기 배터리와의 전기적 접속을 위한 이동전극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부에는 프로펠러케이스의 이동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고정전극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lat-type dron including: a plate-shaped frame body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 driving pack provided in the frame body and including a controller, a transceiver, a battery, a camera module, a GPS, and a touch panel; A plurality of propeller cases supported by the frame body to be movable in position, the propeller case having a thickness equal to or less than the thickness of the frame body, a motor accommodated in the propeller case and operated by receiving power from the battery, Wherein the propeller case is provided with a guide part for movably supporting the propeller case, the propeller case is provided with a moving electrode for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battery, and the guide part is provided with a propeller case And a fixed electrod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ving electrode.

아울러, 상기 바디에는; 상기 구동팩내의 배터리에 충전용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포트와, 외부의 모바일기기를 상기 구동팩에 접속시키기 위한 접속포트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ody includes: A charge port for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charging to the battery in the drive pack and a connection port for connecting an external mobile device to the drive pack are provided.

또한, 상기 바디는 상기 모바일기기에 포갤 수 있도록 모바일기기와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body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a mobile device so that the body can be embedded in the mobile device.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플랫형 드론은, 일정두께의 플레이트의 형태를 취하므로, 책은 물론 태블릿피씨나 스마트폰과 같은 다른 모바일기기와 포갤 수 있어, 가령 속이 꽉 찬 가방이나 배낭은 물론 작은 포켓에도 부담없이 넣어 휴대할 수 있으므로 그만큼 휴대성이 뛰어나다.The flat dron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ake the form of a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can be packed with other mobile devices such as a tablet PC and a smart phone as well as a book, You can carry it easily in your pocket, so it is more portable.

또한, 본 발명의 플랫형 드론은, 드론을 띄우지 않을 때에, 별도의 케이블을 통해 모바일기기와 접속시켜 모바일 기기에 비상용 전력을 공급하는 보조배터리의 용도로 사용할 수 도 있다. Further, the flat type dron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as an auxiliary battery for supplying emergency power to a mobile device by connecting with a mobile device through a separate cable when the drones are not opened.

아울러, 본 발명의 플랫형 드론은, 그 상면에 각종 정보를 입력하거나, 드론의 비행거리나 배터리 전력의 잔량은 물론 앞으로의 비행 가능거리 등을 디스플레이하는 터치패널을 가져 직관적 사용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flat dron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tuitively used with a touch panel for inputting various information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displaying the flying distance of the drones, remaining amount of battery power,

또한, 본 발명의 플랫형 드론은, 제어부, 배터리, 터치패널, GPS, 카메라모듈 등이 패키징되어 있는 구동팩이 착탈 가능하므로, 필요시 구동팩을 따로 분리하여 관리 또는 사용 할 수 도 있다.In addition, the flat dron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movably attached to a drive pack packaged with a controller, a battery, a touch panel, a GPS, and a camera module, so that the drive pack can be separately managed and used as needed.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플랫형 드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플랫형 드론에서 구동팩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구동팩을 뒤집어 도시한 도립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플랫형 드론의 다른 예를 나타내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플랫형 드론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구동팩의 작동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7은 상기 도 1에 도시한 플랫형 드론을 스파트폰과 함께 휴대케이스에 수납하여 펼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at drone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lat drones shown in Fig. 1 in which the driving pack is disassembled.
FIG. 3 is an inverted perspective view of the drive pack shown in FIG. 2.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flat drone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lat drone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pack.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lat drones shown in FIG. 1 are housed in a carrying case together with a spong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기본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프랫형 드론(11)은, 전체적인 외곽 형상이 일정두께를 갖는 사각판의 형태를 취하므로 휴대성이 매우 뛰어나다. 가령 빽빽한 책가방 속의 책 사이에 끼워 놓거나 책꽂이에 꼽아 놓을 수 도 있고, 후술하는 바와같이 스마트폰과 겹쳐 가지고 다니다가 필요할 때 꺼내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도 9참조)Basically, the plated drone 1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portability because the entire outer shape takes the form of a rectangular plate having a certain thickness. For example, it can be inserted between books in a dense backpack or placed in a bookshelf, and it can be carried over to a smartphone as described below, and can be taken out and used when needed (see FIG. 9).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플랫형 드론(1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플랫형 드론(11)에서 구동팩(17)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lat type drone 11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flat type drone 11 shown in FIG. 1, .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플랫형 드론(11)은 직사각형의 평면 형태를 취하는 프레임바디(13)와, 상기 프레임바디(13)의 내부 영역에 구비되는 피칭프로펠러(25,27) 및 롤링프로펠러(31,33)와, 구동팩(17)을 포함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flat drones 1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 a frame body 13 having a rectangular planar shape, pitching propellers 25 and 27 provided in the inner region of the frame body 13, Rolling propellers 31 and 33, and a drive pack 17.

먼저, 상기 프레임바디(13)는 일정두께(A)를 가지는 사각틀로서 그 중앙부에 센터지지부(15)를 갖는다. 상기 프레임바디(13)는 전체적으로 일정 두께를 가지며, 그 형상이 도 9에 도시한 바와같이 페어링(pairing)된 스마트폰(57)의 평면 형상에 대응하여 완벽히 겹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바디(13)가 중공형 바디로서 그 내부에 전력선이나 신호케이블 등이 내장됨은 당연하다.First, the frame body 13 is a rectangular fram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 and has a center support portion 15 at its center. The frame body 13 has a certain thickness as a whole, and the shape of the frame body 13 can completely overlap with the plan shape of the paired smart phone 57 as shown in Fig.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frame body 13 is a hollow body and a power line, a signal cable or the like is built in the frame body.

또한 상기 센터지지부(15)는 상부로 개방된 수납부(15e)를 갖는다. 상기 수납부(15e)는 구동팩(17)을 착탈 가능하게 수용하는 홈으로서 관통구멍(15f)를 통해 하부로도 개방되어 있다. 관통구멍(15f)을 형성한 이유는 도 3에 도시한 제 1카메라모듈(17e)를 하부로 개방하기 위한 것이다.The center supporting portion 15 has a receiving portion 15e which is opened upward. The accommodating portion 15e is a groove for detachably receiving the drive pack 17 and is also opened downward through a through hole 15f. The reason for forming the through hole 15f is to open the first camera module 17e shown in Fig. 3 downward.

아울러 상기 수납부(15e)의 내벽면에는 메인접속포트(35)와 전력포트(37)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메인접속포트(35)는 구동팩(17)의 메인단자(17b)와 접속하는 포트이고, 전력포트(37)는 전력단자(17c)와 접속한다.In addition, a main connection port 35 and a power port 37 are provid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15e. The main connection port 35 is a port connected to the main terminal 17b of the drive pack 17 and the power port 37 is connected to the power terminal 17c.

상기 메인접속포트(35)는, 구동팩(17)으로부터, 피칭프로펠러(25,27)와 롤링프로펠러(31,33)의 작동을 제어하는 작동신호를 전달받는 포트이다. 상기 메인접속포트(35)가 피칭프로펠러(25,27) 및 롤링프로펠러(31,33)와 전송케이블(미도시)을 통해 내부 연결됨은 물론이다.The main connection port 35 is a port for receiving an operation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itching propellers 25 and 27 and the rolling propellers 31 and 33 from the drive pack 17. The main connection port 35 is internally connected to the pitching propellers 25 and 27 and the rolling propellers 31 and 33 through a transmission cable (not shown).

또한 상기 전력포트(37)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충전용 전력을 전력단자(17c)로 전달한다. 상기 전력단자(17c)로 공급된 전력은 구동팩(17) 내부의 배터리(17h)로 인가되어 배터리를 충전시킨다. 특히 상기 전력포트(37)는 센터지지부(15) 내부에서 충전포트(15c)와 접속되어 있다. Further, the power port 37 delivers the charging power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the power terminal 17c. The power supplied to the power terminal 17c is applied to the battery 17h inside the drive pack 17 to charge the battery. In particular, the power port 37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port 15c inside the center support portion 15. [

상기 충전포트(15c)는 일반 스마트폰의 충전에 사용되는 범용적 충전용 잭이 끼워지는 포트이다. 결국 본 실시예에 따른 플랫형 드론(11)은 일반 스마트폰의 충전기로 충전기 가능한 것이다. 스마트폰의 충전시 플랫형 드론(11)을 함께 충전할 수 있다.The charging port 15c is a port into which a universal charging jack used for charging a general smart phone is inserted. As a result, the flat drones 11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charged by a charger of a general smartphone. The flat type drone 11 can be charged together when the smart phone is charged.

또한 상기 센터지지부(15)의 측부에는 접속포트(15d)가 더 구비된다. 상기 접속포트(15d)는 도 9에 도시한 바와같이, 통신케이블(61)의 커넥터(61a)가 끼워지는 포트이다. 상기 통신케이블(61)은 스마트폰(57)과 구동팩(17)을 접속시키는 케이블이다. Further, a connection port 15d is further provided on the side of the center supporting portion 15. [ The connection port 15d is a port into which the connector 61a of the communication cable 61 is inserted, as shown in Fig. The communication cable 61 is a cable that connects the smartphone 57 and the drive pack 17.

상기 스마트폰(57)의 각종 제어신호가 드론(11)의 비행 전 통신케이블(61)을 통해 구동팩(17)으로 전달되어 구동팩(17)에 저장될 수 도 있고, 플랫형 드론(11)의 비행 후, 드론의 비행이력이 스마트폰(57)으로 전달될 수 도 있는 것이다. 가령 플랫형 드론의 비행거리나 비행고도 또는 비행속도가 스마트폰(57)으로 보고될 수 있는 것이다. 당연히 플랫형 드론(11)이 촬영한 영상이 접속포트(15d)와 커넥터(61a)와 통신케이블(61)을 통해 스마트폰(57)으로 전송될 수 도 있다.Various control signals of the smartphone 57 may be transmitted to the driving pack 17 and stored in the driving pack 17 through the pre-flying communication cable 61 of the drones 11, The flight history of the drones may be transmitted to the smartphone 57. [ For example, the flight distance, flight altitude or flight speed of a flat dron can be reported to the smartphone 57. Naturally an image photographed by the flat type drone 11 may be transmitted to the smartphone 57 through the connection port 15d, the connector 61a and the communication cable 61.

상기 구동팩(17)은 수납부(15e)에 착탈 가능하도록 끼워지는 것으로서, 송수신부(17g)와 배터리(17h)와 제어부(17k)와 GPS(17m)와 제 1카메라모듈(17e) 등이 통합되어 패키징된 것이다. 특히 상기 구동팩(17)의 상면에는 터치패널(17a)이 구비된다.The driving pack 17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receiving portion 15e and includes a transmitting and receiving portion 17g, a battery 17h, a controller 17k, a GPS 17m, a first camera module 17e, It is integrated and packaged. Particularly, the touch panel 17a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riving pack 17.

상기 터치패널(17a)은 현재 배터리(17h)의 전력 잔량이나 GPS(17m)와 송수신부(17g)의 감도는 물론 완료된 비행이력과 예정된 비행정보 등이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터치패널(17a)을 통해 플랫형 드론(11)의 목적지를 입력할 수 도 있다.The touch panel 17a displays the remaining power level of the battery 17h and the sensitivity of the GPS 17m and the transmitter / receiver 17g as well as the completed flight history and the scheduled flight information. Also, the destination of the flat drones 11 may be inputted through the touch panel 17a.

도 6을 통해 상기 구동팩(17)의 구성 및 작동을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drive pack 17 will be described first with reference to FIG.

상기 구동팩(17)은 프레임바디(13)에 장착된 상태로, 플랫형 드론(11)의 운항에 관련된 모든 제어신호를 발생함은 물론 영상촬영이나 지상콘트롤러와의 접속기능을 담당하는 것으로서 하나의 케이스에 패키징되어 있다.The driving pack 17 is installed in the frame body 13 and generates all the control signal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flat drones 11 as well as a connection function with the image shooting or the ground controller, And is packaged in a case of

상기 구동팩(17)에는 제어부(17k)와 GPS(17m)와 제 1카메라모듈(17e)과 LED램프(17f)와 배터리(17h)와 송수신부(17g)가 내장된다. 또한 그 상면에는 터치패널(17a)이 배치된다. 상기 터치패널(17a)은 사용자에게 비행이력이나 비행가능 예측거리 또는 배터리의 잔량 등을 포함하는 필요한 정보를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사용자가 터치패널(17a)을 통해 정보를 입력할 수 도 있다. 가령 드론(11)이 도착할 목적지 코드를 입력하여 드론이 별도의 제어신호를 받지 않고도 목적지에 도달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The driving pack 17 includes a control unit 17k, a GPS 17m, a first camera module 17e, an LED lamp 17f, a battery 17h, and a transceiver 17g. And a touch panel 17a is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The touch panel 17a informs the user of necessary information including a flight history, a flightable prediction distance, or the remaining amount of the battery. In addition, the user can input information through the touch panel 17a. For example, the destination code of the drones 11 may be input to allow the drones to arrive at the destination without receiving a separate control signal.

상기 GPS(17m)와 제 1카메라모듈(17e)과 LED램프(17f)와 송수신부(17g)는 제어부와 내부 접속되며 제어부에 의해 콘트롤된다. The GPS 17m, the first camera module 17e, the LED lamp 17f, and the transmitter / receiver 17g are internally connected to the controller and controlled by the controller.

상기 배터리(17h)는 충전형 배터리로서, 방전시 충전케이블을 연결하여 충전하거나 새로운 배터리로 교체할 수 도 있다.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구동팩(17)의 저면에는 배터리커버(17d)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배터리커버(17d)를 개방하면 배터리(17h)가 노출된다. 마치 스마트폰의 배터리를 교체하는 것처럼, 배터리커버(17d)를 열고 배터리(17h)를 교체하는 것이다.The battery 17h may be a rechargeable battery. The rechargeable battery 17h may be charged by connecting a charging cable during discharging or may be replaced with a new battery. For this, a battery cover 17d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drive pack 17 as shown in Fig. When the battery cover 17d is opened, the battery 17h is exposed. The battery cover 17d is opened and the battery 17h is replaced as if the battery of the smartphone is replaced.

상기 LED램프(17f)는 제 1카메라모듈(17e)을 이용해 카메라를 사용할 때 사용될 수 있다. 가령 제 1카메라모듈(17e)을 이용해 야간에 사진을 찍을 때 카메라 플래쉬의 기능을 하는 것이다. 또한 야간비행시 드론(11)의 위치를 알려주기 위해 점등되기도 한다.The LED lamp 17f may be used when using the camera using the first camera module 17e. For example, when taking a picture at night using the first camera module 17e, it functions as a camera flash. It may also be illuminated to indicate the location of the drones 11 during night flight.

이외의 송수신부(17g)와 GPS(17m)와 제 1카메라모듈(17e)은 일반적인 드론에서 적용되는 송수신부와 GPS와 카메라와 같은 것이다.The other transceiver 17g, the GPS 17m and the first camera module 17e are similar to the transmitter and receiver, the GPS and the camera, which are applied to general drones.

특히 상기 제어부(17k)는 구동팩(17) 외부에 설치되어 있는 모터(39)와 제 2카메라모듈(19)과 LED램프(21)까지 제어한다. 상기 모터(39)는 프로펠러(25,27,31,33,51)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제어부(17k)를 통해 배터리(17h)의 전력을 공급받는다.Particularly, the controller 17k controls the motor 39, the second camera module 19, and the LED lamp 21 provided outside the driving pack 17. The motor 39 is for rotating the propellers 25, 27, 31, 33, 51 and receives power of the battery 17h through the control unit 17k.

또한 상기 제 2카메라모듈(19)은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프레임바디(13)의 전방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비행 중 전방 상황을 촬영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LED램프(21)는 상기 제 2카메라모듈(19)의 양측에 위치하며 필요시 점등한다.As shown in FIG. 1, the second camera module 19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frame body 13 and shoots the forward situation during the flight. The LED lamp 21 i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camera module 19 and lights up if necessary.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구동팩(17)의 길이방향 앞뒤에는 프레임바디(13)에 고정되는 모터(39)와 상기 모터(39)의 구동축에 고정되는 피칭프로펠러(25,27)가 구비된다.1 and 2, the motor 39 fixed to the frame body 13 and the pitching propellers 25 and 27 fixed to the drive shaft of the motor 39 are provided in front a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rive pack 17 .

상기 피칭프로펠러(25,27)를 구동하는 모터의 회전수는 제어부(17k)에 의해 각기 제어되어, 비행 중 플랫형 드론(11)의 피칭(pitching) 모멘트가 적절히 발생된다. 즉 화살표 p 방향 및 그 반대방향의 기울어짐이 조절될 수 있는 것이다.The rotational speed of the motor for driving the pitching propellers 25 and 27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7k so that the pitching moment of the flat drones 11 during flight is appropriately generated. The inclination of the arrow p and the opposite direction can be adjusted.

또한, 상기 구동팩(17)의 양측부에는 롤링(rolling) 모멘트를 발생하기 위한 롤링프로펠러(31,33)와 모터(39)가 장착된다. 본 상세한 설명의 도면에서 모터(39)의 구체적 형상은 도시되지 않았으나 각 프로펠러(25,27,31,33,51)의 하부에 모터가 위치됨은 당연한 것이다.Rolling propellers 31 and 33 and a motor 39 are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drive pack 17 to generate a rolling moment. Although the specific shape of the motor 39 is not shown in the drawings of this detailed description, it is natural that the motors are located below the respective propellers 25, 27, 31, 33,

상기 롤링프로펠러(31,33)는 구동팩(17)의 좌측에 두 개, 우측에 두 개가 구비된다. 상기 롤링프로펠러(31,33)는 제어부(17k)의 제어에 의해 회전속도가 제어되며 플랫형 드론(11)에 롤링모멘트를 제공한다. 즉 플랫형드론이 비행하는 동안 화살표 R 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기울어지게 하는 것이다.The rolling propellers 31 and 33 are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drive pack 17 and on the right side thereof. The rolling propellers 31 and 33 are controlled in rotation spe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7k and provide a rolling moment to the flat drone 11. That is, the flat drones are tilted in the direction of arrow R or the opposite direction during flight.

본 실시예에서 롤링프로펠러(31,33)를 두 개씩 설치하였지만 롤링프로펠러의 개수는 달라질 수 있다.Although two rolling propellers 31 and 33 are provided in this embodiment, the number of rolling propellers may be different.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구동팩(17)을 뒤집어 도시한 도립사시도이다.3 is an invert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rive pack 17 shown in FIG.

도시한 바와같이, 구동팩(17)의 저면에 배터리커버(17d)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배터리커버(17d)를 개방했을 때 배터리(17h)가 노출됨은 상기한 바와같다.As shown in the figure, a battery cover 17d is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drive pack 17. The battery 17h is exposed when the battery cover 17d is opened.

또한 상기 배터리커버(17d)의 측부에는 제 1카메라모듈(17e)과 LED램프(17f)가 위치한다. 상기 제 1카메라모듈(17e)은 제어부(17k)에 의해 제어되며 비행 중 동영상이나 사진을 촬영한다. 특히 상기 제 1카메라모듈(17e)을 프레임바디(13)로부터 분리하여 그 자체를 카메라로 사용할 경우에는, 터치패널(17a)에 카메라 사용모드 화면이 디스플레이 된다. 통상의 스마트폰을 카메라의 용도로 사용할 때와 마찬가지이다. 또한 LED램프(17f)를 점등하여 조명으로 사용할 수 도 있다.The first camera module 17e and the LED lamp 17f ar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battery cover 17d. The first camera module 17e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7k and photographs a moving picture or a photograph while flying. In particular, when the first camera module 17e is separated from the frame body 13 and used as a camera, a camera use mode screen is displayed on the touch panel 17a. This is the same as when using a normal smartphone for camera use. In addition, the LED lamp 17f may be lit to be used as illumina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플랫형 드론(11)의 다른 예를 나타내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flat drones 1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구동팩(17)의 양측부에 공간부(13a)가 마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공간부(13a)는 수평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는 부분으로서 그 내부에 프로펠러케이스(41)를 수용한다. 상기 공간부(13a)가 프레임바디(13)의 두께방향 상하로도 개방되어 있음은 당연하다.Referring to FIG. 1, it can be seen that the space 13a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driving pack 17. The space portion 13a is a portion which is open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accommodates the propeller case 41 therein.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space portion 13a is also opened up and down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frame body 13. [

또한 상기 각 공간부(13a)를 구획하는 양측 대향면에는 가이드슬릿(15k)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슬릿(15k)은 수평으로 연장된 홈으로서 케이싱(41)의 양측면에 형성된 사이드돌출부(41a)를 수용한다. 상기 사이드돌출부(41a)는 가이드슬릿(15k)에 지지된 상태로 슬라이딩 가능하다.Guide slits 15k are formed on both side opposite surfaces for partitioning the space portions 13a. The guide slits 15k accommodate side projections 41a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asing 41 as horizontally extending grooves. The side projecting portion 41a is slidable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guide slit 15k.

아울러 상기 구동팩(17)의 양측부에는 사이드단자(15m)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사이드단자(15m)는 구동팩(17)과 내부 접속된 단자로서 신호접속포트(41b)에 삽입되어 모터(39)에 전력과 작동신호가 인가되도록 한다.In addition, side terminals 15m protrude from both sides of the driving pack 17. The side terminal 15m is inserted into the signal connection port 41b as a terminal internally connected to the drive pack 17 so that power and operation signals are applied to the motor 39. [

상기 신호접속포트(41b)는 양 케이싱(41)의 측면에 적용된 것으로서, 케이싱(41) 내에서 모터(39)와 접속된다. 결국 상기 공간부(13a)에 케이싱(41)을 끼움에 따라 구동팩(17)의 전력과 제어신호가 모터(39)까지 전달되는 것이다. 필요에 따라 공간부(13a)로부터 케이싱(41)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록킹수단을 적용할 수 도 있다.The signal connection port 41b is applied to the side surfaces of both casings 41 and is connected to the motor 39 in the casing 41. [ The power and the control signal of the driving pack 17 are transmitted to the motor 39 by inserting the casing 41 into the space 13a. It is also possible to apply a locking means for preventing the casing 41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space portion 13a if necessary.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플랫형 드론(11)의 분해 사시도이다.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lat drones 11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있어서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키며 이에 관한 설명은 가급적 생략하기로 한다.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of the reference numerals denote the same members having the same function, and th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s much as possible.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구동팩(17)의 앞뒤에 두 개씩의 공간부(13a)가 마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모두 네 개의 공간부(13a)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Referring to the drawings, it is seen that two space portions 13a are provid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driving pack 17. All four space portions 13a are formed.

상기 공간부(13a)는 프로펠러케이스(41)를 수용하는 홈으로서, 각 가이드슬릿(15k) 내부에 지지스프링(55)과 탄력전극(53)을 갖는다.The space portion 13a is a groove for receiving the propeller case 41 and has a support spring 55 and a resilient electrode 53 inside each guide slit 15k.

상기 지지스프링(55)은, 말하자면 띠형 탄력판을 구부려 양단부를 가이드슬릿(15k)의 벽 내부로 매립한 것으로서, 프로펠러케이스(41)가 공간부(13a)의 내부에 끼워져 있도록 지지한다. 즉 프로펠러케이스(41)가 공간부(13a)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The support spring 55 is formed by bending the band-shaped resilient plate and burying the both ends into the wall of the guide slit 15k. The support spring 55 supports the propeller case 41 so that the propeller case 41 is inserted into the space portion 13a. That is, the propeller case 41 is not separated from the space portion 13a.

아울러 탄력전극(53)은 상기 구동팩(17)과 내부 접속한 부속으로서, 배터리(17h)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을 이동전극(41d)으로 인가한다. 상기 탄력전극(53)의 모양은 지지스프링(55)과 같도록 제작하 수 있다.In addition, the elastic electrode 53 is an inner part connected to the drive pack 17 and applies electric power supplied from the battery 17h to the moving electrode 41d. The shape of the elastic electrode 53 may be the same as that of the support spring 55.

또한 상기 프로펠러케이스(41)의 양측부에 형성되어 있는 사이드돌출부(41a)에는 상하로 개방된 걸림홈(41c)이 마련되어 있고, 각 걸림홈(41c)에는 이동전극(41d)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이동전극(41d) 프로펠러케이스(41) 내부의 모터(39)와 접속되어 있음은 물론이다.The side projecting portion 41a formed at both sides of the propeller case 41 is provided with a vertically opened engagement groove 41c and a moving electrode 41d is disposed in each engagement groove 41c. Needless to say, the moving electrode 41d is connected to the motor 39 inside the propeller case 41.

상기 이동전극(41d)은 상하로 개방된 ㄷ 자형 브라켓의 형태를 취하며, 상기 지지스프링(55)이나 탄력전극(53)에 선택적으로 접한다. 가령 프로펠러케이스(41)를 화살표 x 방향으로 이동시켜 공간부(13a)에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는, 그 내부에 지지스프링(55)을 수용하여 지지력을 인가 받는다. 이 상태는 드론(11)의 유휴상태이다.The movable electrode 41d takes the form of a U-shaped bracket that opens upward and downward, and contacts the support spring 55 and the elastic electrode 53 selectively. For example, when the propeller case 41 is fully inserted into the space 13a by moving the propeller case 41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x, the support spring 55 is accommodated in the propeller case 41 to receive a supporting force. This state is the idle state of the drone 11.

또한, 프로펠러케이스(41)를 화살표 z방향으로 최대한 인출한 상태에서는 탄력전극(53)과 접하여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다. 상기 탄력전극(53)과 이동전극(41d)이 접함으로써 드론(11)의 비행이 가능해진다.Further, in a state where the propeller case 41 is drawn out in the direction of arrow z as much as possible, power is supplied from the battery in contact with the elastic electrode 53. The elastic electrode 53 and the moving electrode 41d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so that the drones 11 can fly.

아울러 상기 각 프로펠러케이스(41)에는 근거리무선송수신포트(7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근거리무선송수신포트(71)는 상기 제어부(17k)의 제어신호를 블루투스 방식으로 전송받는 통로이다.In addition, each of the propeller cases 41 is provided with a short-rang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port 71. The short-range wireless transmission / reception port 71 is a path through which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ler 17k is transmitted in a Bluetooth manner.

결국 제 2실시예에 따른 플랫형 드론(11)은 드론을 작동시키기 위해 프로펠러케이싱(41)을 프레임바디(13)로부터 양측방향으로 인출하는 특징을 갖는다.Consequently, the flat drones 11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peller casing 41 is drawn out from the frame body 13 in both lateral directions to operate the drones.

도 9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플랫형 드론(11)을 스마트폰(57)과 함께 휴대케이스(59)에 수납하여 펼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flat drones 11 shown in FIG. 1 housed in a carrying case 59 together with a smartphone 57. FIG.

상기 휴대케이스(59)는 스마트폰(57)과 플랫형 드론(11)을 동시에 수납할 수 있도록 설계된 케이스이다. 이는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스마트폰케이스와 같은 것이다.The carrying case 59 is a case designed to accommodate both the smartphone 57 and the flat drones 11 at the same time. This is like the smartphone case we see around us.

상기 휴대케이스(59)에는 제 1수납부(59a)와 제 2수납부(59b)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제 1수납부(59a)에는 스마트폰(57)이 끼워지고, 제 2수납부(59b)에는 상기 프랫형 드론(11)이 끼워진다. 상기 프랫형 드론(11)은 그 두께가 스마프폰(57)과 다를지라도 넓이 즉 평면형상은 스마트폰(57)가 같아 양자를 포갤 수 있다.The carrying case 59 is provided with a first receiving portion 59a and a second receiving portion 59b. The smartphone 57 is inserted into the first accommodating portion 59a and the plated drill 11 is inserted into the second accommodating portion 59b. Although the thickness of the plated drones 11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smartphone 57, the width and the planar shape of the smartphone 57 can be the same.

아울러 상기 스마트폰(57)과 플랫형 드론(11)은 통신케이블(61)을 통해 접속될 수 도 있다. 상기 통신케이블(61)은 그 양단부에 커넥터(61a,61b)가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서, 일측 커넥터(61b)를 스마트폰(57)의 충전포트에, 타측 커넥터(61a)를 플랫형 드론(11)의 접속포트(15d)에 끼움으로써, 스마트폰(57)의 CPU와 플랫형 드론(11)의 구동팩(17)을 접속시키는 것이다.In addition, the smartphone 57 and the flat drones 11 may be connected through a communication cable 61. The communication cable 61 is provided with connectors 61a and 61b at both ends of the communication cable 61. The connector 61b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port of the smartphone 57 and the other connector 61a to the charging port of the flat drones 11 And connects the CPU of the smartphone 57 and the drive pack 17 of the flat drones 11 by fitting the connection port 15d into the connection port 15d.

이와같이 스마트폰(57)과 플랫형 드론(11)을 접속시키는 이유는, 플랫형 드론(11)의 비행이력을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확인하거나, 드론(11)의 앞으로의 비행 계획을 스마트폰에서 구동팩(17)으로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플랫형 드론(11)이 촬영한 내용을 스마트폰으로 다운 받기 위해서 이기도 하다.The reason why the smartphone 57 and the flat drones 11 are connected in this manner is that the flight history of the flat drones 11 is confirm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smartphone, To the drive pack (17). In addition, it is also for downloading the contents taken by the flat type drone 11 to a smart phone.

결국, 사용자는 플랫형 드론(11)을 스마트폰(57)과 함께 휴대케이스(59) 내부에 넣어 언제 어디에서나 휴대할 수 있고, 필요할 때마다 수시로 꺼내어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As a result, the user can put the flat drones 11 together with the smartphone 57 inside the carrying case 59 to carry them anytime and anywhere, and take them out whenever needed.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1:플랫형 드론 13:프레임바디 13a:공간부
15:센터지지부 15c:충전포트 15d:접속포트
15e:수납부 15f:관통구멍 15k:가이드슬릿
15m:사이드단자 17:구동팩 17a:터치패널
17b:메인단자 17c:전력단자 17d:배터리커버
17e:제 1카메라모듈 17f:LED램프 17g:송수신부
17h:배터리 17k:제어부 17m:GPS
19:제 2카메라모듈 21:LED램프 25,27:피칭프로펠러
31,33:롤링프로펠러 35:메인접속포트 37:전력포트
39:모터 41:프로펠러케이스 41a:사이드돌출부
41b:신호접속포트 41c:걸림홈 41d:이동전극
51:프로펠러 53:탄력전극 55:지지스프링
57:스마트폰 59:휴대케이스 59a:제 1수납부
59b:제 2수납부 61:통신케이블 61a,61b:커넥터
71:근거리무선 송수신포트
11: flat type drones 13: frame body 13a:
15: center support portion 15c: charging port 15d: connection port
15e: a receiving portion 15f: a through hole 15k: a guide slit
15m: Side terminal 17: Drive pack 17a: Touch panel
17b: main terminal 17c: power terminal 17d: battery cover
17e: First camera module 17f: LED lamp 17g: Transmitting /
17h: battery 17k: control unit 17m: GPS
19: second camera module 21: LED lamp 25, 27: pitching propeller
31, 33: Rolling propeller 35: Main connection port 37: Power port
39: motor 41: propeller case 41a: side projection
41b: signal connection port 41c: engagement groove 41d: moving electrode
51: Propeller 53: Elastic electrode 55: Supporting spring
57: smartphone 59: carrying case 59a: first receiving portion
59b: second receiving portion 61: communication cable 61a, 61b: connector
71: Short-range wireless transmit / receive port

Claims (4)

일정두께를 갖는 플레이트의 형태를 취하는 프레임바디와;
상기 프레임바디에 구비되며, 제어부와 송수신부와 배터리와 카메라모듈과 GPS와 터치패널이 포함되어 있는 구동팩과;
상기 프레임바디의 내부 영역에 설치된 상태로 상기 구동팩으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동작하는 것으로서, 상기 프레임바디 두께 이하의 두께를 가지는 다수의 프로펠러케이스와, 상기 프로펠러케이스에 수용되며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프로펠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형 드론.
A frame body in the form of a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 driving pack provided in the frame body and including a controller, a transceiver, a battery, a camera module, a GPS, and a touch panel;
A plurality of propeller cases having a thickness equal to or less than a thickness of the frame body and receiving power from the battery pack, the propeller case being installed in an inner region of the frame body, And a propeller that is rotated by the motor.
일정두께를 갖는 플레이트형 프레임바디와;
상기 프레임바디에 구비되며, 제어부와 송수신부와 배터리와 카메라모듈과 GPS와 터치패널이 포함되어 있는 구동팩과;
상기 프레임바디에 위치이동 가능하게 지지된 것으로서, 상기 프레임바디 두께 이하의 두께를 가지는 다수의 프로펠러케이스와, 상기 프로펠러케이스에 수용되며 상기 배터리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작동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프로펠러를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바디에는, 상기 프로펠러케이스를 위치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가이드부가 구비되며,
상기 프로펠러케이스에는 상기 배터리와의 전기적 접속을 위한 이동전극이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부에는 프로펠러케이스의 이동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고정전극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형 드론.
A plate-shaped frame body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A driving pack provided in the frame body and including a controller, a transceiver, a battery, a camera module, a GPS, and a touch panel;
A plurality of propeller cases supported by the frame body to be movable in position, the propeller case having a thickness equal to or less than the thickness of the frame body, a motor accommodated in the propeller case and operated by receiving power from the battery, Including a propeller,
The frame body is provided with a guide portion for supporting the propeller case so as to be movable,
Wherein the propeller case is provided with a moving electrode for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battery, and the guide unit is provided with a fixed electrod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moving electrode of the propeller case.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에는;
상기 구동팩내의 배터리에 충전용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포트와,
외부의 모바일기기를 상기 구동팩에 접속시키기 위한 접속포트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형 드론.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body includes:
A charging port for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charging to the battery in the drive pack,
And a connection port for connecting an external mobile device to the drive pack.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모바일기기에 포갤 수 있도록 모바일기기와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형 드론.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body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a mobile device so that the body can be folded in the mobile device.
KR1020160037999A 2016-03-29 2016-03-29 Flat type drone KR10172544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999A KR101725444B1 (en) 2016-03-29 2016-03-29 Flat type dr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999A KR101725444B1 (en) 2016-03-29 2016-03-29 Flat type dr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9716A true KR20160129716A (en) 2016-11-09
KR101725444B1 KR101725444B1 (en) 2017-04-11

Family

ID=57528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7999A KR101725444B1 (en) 2016-03-29 2016-03-29 Flat type dr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5444B1 (en)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46404A (en) * 2016-12-02 2018-06-12 成都天府新区光启未来技术研究院 The replacement system and method and unmanned plane of unmanned machine battery
WO2018145356A1 (en) * 2017-02-13 2018-08-16 深圳市龙云创新航空科技有限公司 Modularized driving component and combined model
WO2018150313A1 (en) * 2017-02-14 2018-08-23 Hangzhou Zero Zero Technology Co., Ltd. Aeri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aerial device
WO2019019093A1 (en) * 2017-07-27 2019-01-31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Unmanned aerial vehicle assembly
CN109625303A (en) * 2017-10-05 2019-04-16 尹泰期 Photography unmanned plane and its control method
KR20210107433A (en) * 2020-02-24 2021-09-01 주식회사 아이에스케이 A Camera Module Sharing Type of a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Being Integrated with a Drone
KR20210001992U (en) * 2020-02-25 2021-09-03 주식회사 위즈윙 Unmanned vehicle
KR20210115219A (en) * 2020-03-12 2021-09-27 윤태기 An aerial battery replacement method of battery-replaceable drone and a device therefor
KR20210149924A (en) * 2020-06-02 2021-12-10 김용철 Mountain lifesaving dro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0116A (en) * 2012-01-06 2013-12-0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Multi-rotor aircraft
KR20140025024A (en) * 2012-08-21 2014-03-04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Self-powered quadcopter
KR20150104842A (en) * 2014-03-06 2015-09-16 국방과학연구소 Appatatus for aircraft captive flight test for guided anti-tank missile
KR101565979B1 (en) * 2015-04-13 2015-11-13 한국항공우주연구원 Unmanned aerial vehic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30116A (en) * 2012-01-06 2013-12-0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Multi-rotor aircraft
KR20140025024A (en) * 2012-08-21 2014-03-04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Self-powered quadcopter
KR20150104842A (en) * 2014-03-06 2015-09-16 국방과학연구소 Appatatus for aircraft captive flight test for guided anti-tank missile
KR101565979B1 (en) * 2015-04-13 2015-11-13 한국항공우주연구원 Unmanned aerial vehicle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46404A (en) * 2016-12-02 2018-06-12 成都天府新区光启未来技术研究院 The replacement system and method and unmanned plane of unmanned machine battery
CN108146404B (en) * 2016-12-02 2024-04-02 成都天府新区光启未来技术研究院 Unmanned aerial vehicle battery replacement system and method and unmanned aerial vehicle
WO2018145356A1 (en) * 2017-02-13 2018-08-16 深圳市龙云创新航空科技有限公司 Modularized driving component and combined model
CN110431505A (en) * 2017-02-14 2019-11-08 杭州零零科技有限公司 Aeri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erial device
US10067504B1 (en) 2017-02-14 2018-09-04 Hangzhou Zero Zero Technology Co., Ltd. Aeri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aerial device
US11003181B2 (en) 2017-02-14 2021-05-11 Hangzhou Zero Zero Technology Co., Ltd. Aeri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aerial device
WO2018150313A1 (en) * 2017-02-14 2018-08-23 Hangzhou Zero Zero Technology Co., Ltd. Aeria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aerial device
WO2019019093A1 (en) * 2017-07-27 2019-01-31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Unmanned aerial vehicle assembly
CN109625303A (en) * 2017-10-05 2019-04-16 尹泰期 Photography unmanned plane and its control method
CN109625303B (en) * 2017-10-05 2022-05-10 尹泰期 Unmanned aerial vehicle for photography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10107433A (en) * 2020-02-24 2021-09-01 주식회사 아이에스케이 A Camera Module Sharing Type of a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Being Integrated with a Drone
KR20210001992U (en) * 2020-02-25 2021-09-03 주식회사 위즈윙 Unmanned vehicle
KR20210115219A (en) * 2020-03-12 2021-09-27 윤태기 An aerial battery replacement method of battery-replaceable drone and a device therefor
KR20210149924A (en) * 2020-06-02 2021-12-10 김용철 Mountain lifesaving dro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25444B1 (en) 2017-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5444B1 (en) Flat type drone
US11454963B2 (en) Self-propelled device with center of mass drive system
CN105593780B (en) Modular tablet housing
US9038938B2 (en) UAV kit
CN110233919B (en) Mobile terminal, control method of mobile terminal and shooting device
US20070115955A1 (en) System and apparatus for integration of equipment and communications
CN111294427B (en) Electronic device
KR102397076B1 (en) Hinge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with the same
CN211145912U (en) Cloud platform, unmanned aerial vehicle image device and hand-held type image device
US20160277052A1 (en) Modular Portable Power Device
US20140106822A1 (en) Multi-Screen Personal Communication Device
KR20210130140A (en) mobile terminal
KR20170064882A (en) Recharging assembly for digital frame and recharging method for digital frame
CN111294428B (en) Electronic device
CN210694116U (en) Cloth control camera
US6029073A (en) Display carrier with binocular viewing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12954092B (en) Electronic equipment
KR20200096666A (en) Display device
KR20190080516A (en) Roll type digital touch note
KR101508601B1 (en) Multifunctional belt
CN110417953B (en) Mobile terminal
CN207658058U (en) Separation type flight formula mobile terminal and its flying power unit
WO202025024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lying of a mobile device
CN215991220U (en) Portab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and communication system
CN110191219A (en) Mobile phone she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